KR20200107307A - 집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 - Google Patents

집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7307A
KR20200107307A KR1020190026230A KR20190026230A KR20200107307A KR 20200107307 A KR20200107307 A KR 20200107307A KR 1020190026230 A KR1020190026230 A KR 1020190026230A KR 20190026230 A KR20190026230 A KR 20190026230A KR 20200107307 A KR20200107307 A KR 20200107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fixing member
collecting plate
f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6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용
김기홍
김재호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6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7307A/ko
Publication of KR20200107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73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4F3/166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47Collecting-electrodes flat, e.g. plates, discs, gra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6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by electric means, e.g. ionisers or electrostatic sepa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컨이나 공기정화기와 같은 공조장치에서 공기에 포함된 미세 먼지를 흡착하여 여과할 수 있는 집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제1고정부재에 의해 제1집진부를 용이하게 고정하고, 제2집진부의 위치를 안내할 수 있어 조립성을 높일 수 있으며, 집진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집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집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Collector and electric Dust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에어컨이나 공기정화기와 같은 공조장치에서 공기에 포함된 미세 먼지를 흡착하여 여과할 수 있는 집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제1고정부재에 의해 제1집진부를 용이하게 고정하고, 제2집진부의 위치를 안내할 수 있어 조립성을 높일 수 있으며, 집진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집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나 가스에 포함된 먼지, 분진 등의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미세한 섬유로 구성된 부직포 등을 사용한 필터를 사용한다. 일반적인 섬유형 필터는 기공의 크기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기공 보다 작은 크기의 먼지 입자는 걸러줄 수 없었다. 또한 기공의 크기를 과도하게 줄일 경우, 풍량이 감소하며 큰 먼지 입자들에 의해 기공이 조기에 막혀 버리기 때문에 필터의 수명이 매우 짧아지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풍량의 저하를 방지하고 큰 입자에 의한 기공 막힘의 문제가 없으며 매우 작은 크기의 불순물 입자도 걸러 줄 수 있는 전기집진필터가 사용되고 있다.
도 1과 같이 전기집진필터는 각각 별개로 형성된 다수의 집진플레이트(42a, 42b)를 일정 간격을 갖도록 배치하고, 하나 건너 하나씩 교대로 양극 고전압과 음극 고전압을 인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양극의 극성 또는 음극의 극성을 띈 집진플레이트(42a, 42b)의 표면에 반대 극성을 갖도록 대전된 먼지 입자가 흡착됨으로써 집진플레이트들의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나 가스로부터 미세 입자가 제거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도 2와 같이 집진플레이트(42a, 42b)들은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양면을 관통하도록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바(44a, 44b)들이 집진플레이트(42a, 42b)들에 형성된 구멍들을 통과하도록 삽입되어 있다. 이때, 양극 집진플레이트(42a)들은 양극 고전압 공급부에 연결된 관통바(44a)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음극 고전압 공급부에 연결된 관통바(44b)와는 이격되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는 반대로 음극 집진플레이트(42b)들은 음극 고전압 공급부에 연결된 관통바(44b)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양극 고전압 공급부에 연결된 관통바(44a)와는 이격되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각각 별개로 구성된 복수의 집진플레이트들을 관통하도록 관통바들이 삽입되어 결합되므로 집진플레이트들 사이의 공간인 공기가 통과되는 유로를 관통바들이 막아서 집진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그리고 관통바와 집진플레이트가 접촉되어 결합되는 부분에서 정확한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고 미접촉되는 부분이 발생할 수 있으며, 집진플레이트가 관통바와 접촉되지 않고 이격되어 있는 구멍 부분에 이물질 또는 전도성 물질들이 유입되어 적체되면 전기적으로 방전 현상이 발생되어 집진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집진플레이트들과 관통바들을 결합하여 조립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집진플레이트들 간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별도의 고정부재를 집진플레이트들 사이로 삽입하여 결합하여 집진플레이트들을 물리적으로 잡아주는데, 서로 다른 전압이 인가되는 집진플레이트들을 고정하고 있는 고정부재 부분에 수분 또는 물이 유입되거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쌓이면, 서로 다른 압이 인가되는 집진플레이트이 전기적으로 통전되면서 전계가 약화되어 집진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KR 10-0722863 B1 (2007.05.22)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고정부재에 의해 제1집진부 및 제2집진부가 정확한 위치에서 조립될 수 있어 조립성을 높일 수 있으며, 집진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집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제1고정부재의 제1스페이서를 통해 제1집진부와 면접촉되어 고정력을 높일 수 있으며, 제1스페이서에 제1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제2집진부의 위치를 안내하여 제1집진부 및 제2집진부가 정확한 위치에서 조립 및 작도오딜 수 있는 집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2고정부재가 더 구비되어 제2스페이서를 통해 제2집진부와 면접촉되어 고정력을 높일 수 있으며, 제2스페이서에 제2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제1집진부의 위치를 안내할 수 있는 집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제1집진플레이트에 제1지지홈이 형성되어 제1고정부재의 제1지지부가 삽입결합되고, 제2집진플레이트에 제2지지홈이 형성되어 제2고정부재의 제2지지부가 삽입결합되며, 제1집진플레이트에 제2지지부와 접하지 않되 제2지지부가 삽입되는 제1절개홈이 형성되고, 제2집진플레이트에 제1지지부와 접하지 않되 제1지지부가 삽입되는 제2절개홈이 형성되어 전체 장치의 폭방향 길이를 줄일 수 있는 집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전기집진장치용 집진부(1000)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제1집진플레이트(110); 상기 복수의 제1집진플레이트(110) 각각과 교번 배치되는 복수의 제2집진플레이트(210); 및 상기 제1집진플레이트(110)와 상기 제2집진플레이트(210)의 간극을 유지시키며, 양단을 고정하는 고정부재(300,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전기집진기용 집진부(1000)는 2개의 고정부재(300, 400)가 상기 제1집진플레이트(110) 및 제2집진플레이트(210)의 양단에 각각 서로 교차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2개의 고정부재(300, 400) 중 하나인 상기 제1고정부재(300)는 상기 제1집진플레이트(110)의 배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지지부(310)와, 복수개의 상기 제1집진플레이트(110)를 고정하도록 복수개가 상기 제1지지부(310)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집진플레이트(110)의 양면이 안착되는 제1고정홈(S321)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1스페이서(320)와, 이웃하는 상기 제1스페이서(320)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고정돌기(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2개의 고정부재(300, 400) 중 나머지 하나인 상기 제2고정부재(400)는 상기 제2집진플레이트(210)의 배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2지지부(410)와, 복수개의 상기 제2집진플레이트(210)를 고정하도록 복수개가 상기 제2지지부(410)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집진플레이트(210)의 양면이 안착되는 제2고정홈(S421)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2스페이서(420)와, 이웃하는 상기 제2스페이서(420)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고정돌기(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기집진장치용 집진부(1000)는, 상기 제1집진플레이트(110)의 일측이 상기 제1고정부재(300)에 의해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제2고정부재(400)의 제2고정돌기(430)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2집진플레이트(210)의 타측이 상기 제2고정부재(400)에 의해 고정되고 일측이 상기 제1고정부재(300)의 제1고정돌기(33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고정돌기(330)는 상기 제2집진플레이트(210)의 삽입 위치를 안내하도록 경사진 제1경사면(331)을 포함하며, 상기 제2고정돌기(430)는 상기 제1집진플레이트(110)의 삽입 위치를 안내하도록 경사진 제2경사면(4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재(300)는 상기 제2집진플레이트(210)의 삽입 방향으로 상기 제1고정돌기(330)가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400)는 상기 제1집진플레이트(110)의 삽입 방향으로 제2고정돌기(430)가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전기집진장치용 집진부(1000)는 내부에 상기 제1집진플레이트(110)가 장착되는 제1케이스(510); 및 내부에 상기 제2집진플레이트(210)가 장착되는 제2케이스(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전기집진장치용 집진부(1000)는 상기 제1고정부재(300)가 상기 제1케이스(510)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400)가 상기 제2케이스(52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기집진장치용 집진부(1000)는 상기 제1고정부재(300) 및 제2고정부재(400)가 각각 높이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전기집진장치용 집진부(1000)는, 상기 제1집진플레이트(110)의 양단부에 번갈아 형성되어 이웃하는 제1집진플레이트(110)들을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하는 복수의 제1연결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집진플레이트(210)의 양단부에 번갈아 형성되어 이웃하는 제2집진플레이트(210)들을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하는 복수의 제2연결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집진플레이트(110)는 상기 제1지지부(310)가 삽입결합되는 제1지지홈(141)이 형성되고, 상기 제2집진플레이트(210)는 상기 제2지지부(410)가 삽입결합되는 제2지지홈(24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집진플레이트(110)는 상기 제1고정부재(300)가 구비되는 측의 반대측에 상기 제2고정부재(400)의 제2지지부(410)가 삽입되되 상기 제2지지부(410)와 제1집진플레이트(110)가 접하지 않도록 오목한 제1절개홈(142)이 형성되며, 상기 제2집진플레이트(210)는 상기 제2고정부재(400)가 구비되는 측의 반대측에 상기 제1고정부재(300)의 제1지지부(310)가 삽입되되 상기 제1지지부(310)와 제2집진플레이트(210)가 접하지 않도록 오목한 제2절개홈(24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재(300)는 상기 제1지지부(310)가 서로 높이방향으로 밀착되는 제1-1지지부(311) 및 제1-2지지부(312)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스페이서(320) 중 하나가 상기 제1-1지지부(311)에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가 상기 제1-2지지부(312)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2고정부재(400)는 상기 제2지지부(410)가 서로 높이방향으로 밀착되는 제2-1지지부(411) 및 제2-2지지부(412)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2스페이서(420) 중 하나가 상기 제2-1지지부(411)에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가 상기 제2-2지지부(412)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전기집진장치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먼지입자에 전하를 인가하는 대전부; 및 상술한 바와 같은 집진부(10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집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는 제1고정부재에 의해 제1집진부 및 제2집진부가 정확한 위치에서 조립될 수 있어 조립성을 높일 수 있으며, 집진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집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는 제1고정부재의 제1스페이서를 통해 제1집진부와 면접촉되어 고정력을 높일 수 있으며, 제1스페이서에 제1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제2집진부의 위치를 안내하여 제1집진부 및 제2집진부가 정확한 위치에서 조립 및 작동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집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는 제2고정부재가 더 구비되어 제2스페이서를 통해 제2집진부와 면접촉되어 고정력을 높일 수 있으며, 제2스페이서에 제2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제1집진부의 위치를 안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의 집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는 제1집진플레이트에 제1지지홈이 형성되어 제1고정부재의 제1지지부가 삽입결합되고, 제2집진플레이트에 제2지지홈이 형성되어 제2고정부재의 제2지지부가 삽입결합되며, 제1집진플레이트에 제2지지부와 접하지 않되 제2지지부가 삽입되는 제1절개홈이 형성되고, 제2집진플레이트에 제1지지부와 접하지 않되 제1지지부가 삽입되는 제2절개홈이 형성되어 전체 장치의 폭방향 길이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전기집진장치의 집진부를 나타낸 평면도 및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기집진장치용 집진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기집진장치용 집진부의 하측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상기 도 3에 도시한 AA' 방향 단면도 및 분해사시도.
도 7은 제1집진부와 제1고정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8은 제2집진부와 제2고정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제1고정부재 및 제2고정부재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전기집진장치용 집진부의 다른 측면도 및 BB' 방향 단면도.
도 13 및 도 14는 각각 상기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형태의 제1고정부재 및 제2고정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15는 상기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형태의 제1고정부재 및 제2고정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용 집진부를 나타낸 다른 사시도.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전기집진장치용 집진부(1000)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기집진장치용 집진부(100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전기집진장치용 집진부(1000)의 하측 사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상기 도 3에 도시한 AA' 방향 단면도 및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제1집진부(100)와 제1고정부재(300)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제2집진부(200)와 제2고정부재(40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제1고정부재(300) 및 제2고정부재(400)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며,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전기집진장치용 집진부(1000)의 다른 측면도 및 BB' 방향 단면도이고, 도 13 및 도 14는 각각 상기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형태의 제1고정부재(300) 및 제2고정부재(400)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5는 상기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형태의 제1고정부재(300) 및 제2고정부재(400)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용 집진부(1000)를 나타낸 다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전기집진장치용 집진부(1000)는 제1집진플레이트(110), 제2집진플레이트(210), 고정부재(300, 4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집진플레이트(110)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복수개가 배치되며, 상기 도 3에서, 길이방향으로 제1집진플레이트(110)들이 복수개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된다. 아래에서, 상기 제1집진플레이트(110)들의 단부는 제1연결부(120)에 의해 연결된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제1연결부(120)는 복수개의 상기 제1집진플레이트(110)의 양단부에 번갈아 형성되어 이웃하는 제1집진플레이트(110)들을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한다. 상기 복수의 제1집진플레이트(110) 및 제1연결부(120)를 포함하는 구성을 제1집진부(100)로 명명하고 설명한다. 즉, 상기 제1집진부(100)는 단일의 시트(Sheet)를 절곡하여 상기 제1집진플레이트(110), 상기 제1집진플레이트(110)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1연결부(120), 상기 제1연결부(120)에 연결되어 이웃하여 나란하게 위치되는 다른 제1집진플레이트(110), 및 상기 제1집진플레이트(110)의 타측과 연결되는 제1연결부(120)가 반복형성되는 코루게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시트는 전도성 물질이 유전체로 코팅되어, 유전체에 의해 전도성 물질이 감싸져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전도성 물질은 전기 전도성이 있는 카본 시트 등 다양한 물질이 될 수 있으며, 유전체는 플라스틱 등의 얇은 필름이 될 수 있다.
상기 제2집진플레이트(210)는 상기 제1집진부(100)와 유사한 형태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복수개가 배치되되, 상기 제1집진플레이트(110)와 제2집진플레이트(210)가 서로 마주보면서 번갈아 배치된다. 이 때, 상기 제1집진부(100)의 제1집진플레이트(110)들과 제2집진부(200)의 제2집진플레이트(210)들은 서로 접촉되지 않게 배치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제1집진플레이트(110) 및 제2집진플레이트(210)가 교번하여 나란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집진플레이트(210)의 단부는 제2연결부(220)에 의해 연결된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제2연결부(220)는 복수개의 상기 제2집진플레이트(210)의 양단부에 번갈아 형성되어 이웃하는 제2집진플레이트(210)들을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한다. 상기 복수의 제2집진플레이트(210) 및 제2연결부(220)를 포함하는 구성을 제2집진부(200)로 명명하고 설명한다. 즉, 상기 제2집진부(200)는 단일의 시트(Sheet)를 절곡하여 상기 제2집진플레이트(210), 상기 제2집진플레이트(210)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2연결부(220), 상기 제2연결부(220)에 연결되어 이웃하여 나란하게 위치되는 다른 제2집진플레이트(210), 및 상기 제2집진플레이트(210)의 타측과 연결되는 제2연결부(220)가 반복형성되는 코루게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또, 상기 제1집진부(100)는 최외곽에 배치된 제1집진플레이트(110)의 제1연결부(120)가 연결된 측의 반대측 단부에 제1전극탭(130)이 연장되고, 상기 제2집진부(200)는 최외곽에 배치된 제2집진플레이트(210)의 제2연결부(220)가 연결된 측의 반대측 단부에 제2전극탭(230)이 연장된다. 이 때, 상기 제1전극탭(130) 및 제2전극탭(230)은 도 2, 6 및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높이방향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되, 조립이 용이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서로 반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 2, 6 및 8에서, 제1전극탭(130) 및 제2전극탭(230)이 하측의 길이방향 일측 및 타측에 형성된 일실시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제1집진부(100) 및 제2집진부(200)에 고전압이 인가되면, 그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며, 상기 제1집진플레이트(110) 및 제2집진플레이트(210) 사이로 대전부를 통해 음이온화 또는 양이온화된 먼지 입자를 포함한 공기가 통과되면서 대전된 먼지 입자가 전기장에 의하여 제1집진부(100) 및 제2집진부(200)의 표면에 흡착되어 포집된다.
상기 고정부재(300, 400)는 상기 제1집진플레이트(110)와 상기 제2집진플레이트(210)의 간극을 유지시키며, 양단을 고정하는 구성이다. 상기 "양단"이란, 상기 제1집진플레이트(110)와 상기 제2집진플레이트(210)의 공기가 유입되는 측과 배출되는 측을 의미하는 것으로, 도 3, 5, 6, 7, 8에 도시한 폭방향으로 양측 단부를 의미한다. 이 때, 상기 고정부재(300, 400)는 동일한 형태의 2개가 상기 제1집진플레이트(110) 및 제2집진플레이트(210)의 양단에 각각 서로 교차되게 구비될 수 있다. 아래에서, 상기 2개의 고정부재(300, 400)는 제1고정부재(300) 및 제2고정부재(400)로 정의하고 설명한다. 상기 제1고정부재(300) 및 제2고정부재(400)는 형태가 동일하되, 서로 엇갈리게 마주하는 구성으로, 상기 제1집진플레이트(110) 및 제2집진플레이트(210)의 양단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1고정부재(300)는 상기 제1집진부(100)를 고정하고, 제2집진부(200)의 위치를 안내하는 수단으로, 제1지지부(310), 제1스페이서(320), 및 제1고정돌기(3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부(310)는 제1집진플레이트(110)의 배치방향(도면에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스페이서(320)는 상기 제1지지부(310)로부터 상기 제1집진플레이트(110)를 고정하도록 돌출되는 구성으로, 상기 제1집진플레이트(110)의 양면을 지지하도록 한 쌍이 짝을 이루어 상기 제1집진플레이트(110)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복수개 형성된다. 이 때, 한 쌍의 제1스페이서(320)는 내부에 상기 제1집진플레이트(110)가 삽입되어 양면을 지지하도록 안착되는 제1고정홈(S321)을 형성하며, 상기 제1스페이서(320)와 제1집진플레이트(110)는 면접촉된다.
상기 제1고정돌기(330)는 한 쌍의 제1스페이서(320) 외부에서 각각 상기 제2집진플레이트(210)가 삽입되는 측으로 돌출되는 구성이다. 상기 제1고정돌기(330) 사이는 상기 제2집진플레이트(210)가 삽입되는 제1안착홈(S322)을 형성하며, 제1고정돌기(330)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의 한 쌍의 제1스페이서(320) 외부 영역에 비해 좁은 제1안착홈(S322)을 형성하여 상기 제2집진플레이트(210)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고정돌기(330)는 돌기형태로서, 전기적인 연결은 최소화하면서도 제2집진플레이트(210)의 고정 위치는 정확하게 할 수 있어, 제1집진플레이트(110)와 제2집진플레이트(210)가 정확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전기집진장치용 집진부(1000)는 제1고정부재(300)가 구비되어 제1집진플레이트(110)와 제2집진플레이트(210)의 위치를 정확히 고정하면서도 서로 접촉되지 않으면서도 그 간격을 더욱 촘촘하게 형성할 수 있어 집진 성능을 보다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1고정돌기(330)는 폭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집진플레이트(210)의 양면을 고정할 수 있는 형태라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고정돌기(330)는 폭방향으로 제2집진플레이트(210)가 삽입되는 측에 제1경사면(331)이 형성되어 제2집진플레이트(210)가 제1안착홈(S322)에 고정되는 것을 가이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경사면(331)는 폭방향으로 상기 제2집진플레이트(210)가 삽입되는 일측에 경사지게 형성된다.(도 9 참조)
상기 제2고정부재(400)는 상기 제2고정부재(400)는 상기 제2집진부(200)를 고정하고, 제1집진부(100)의 위치를 안내하는 수단으로, 상기 제1고정부재(30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며, 더욱 상세하게, 제2지지부(410), 제2스페이서(420), 및 제2고정돌기(430)를 포함한다.
상기 제2지지부(410)는 제2집진플레이트(210)의 배치방향(도면에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2스페이서(420)는 상기 제2지지부(410)로부터 상기 제2집진플레이트(210)를 고정하도록 돌출되는 구성으로, 상기 제2집진플레이트(210)의 양면을 지지하도록 한 쌍이 짝을 이루어 상기 제2집진플레이트(210)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복수개 형성된다. 이 때, 한 쌍의 제2스페이서(420)는 내부에 상기 제2집진플레이트(210)가 삽입되어 양면을 지지하도록 안착되는 제2고정홈(S421)을 형성하며, 상기 제2스페이서(420)와 제2집진플레이트(210)는 면접촉된다.
상기 제2고정돌기(430)는 한 쌍의 제2스페이서(420) 외부에서 각각 상기 제1집진플레이트(110)가 삽입되는 측으로 돌출되는 구성이다. 상기 제2고정돌기(430) 사이는 상기 제1집진플레이트(110)가 삽입되는 제2안착홈(S422)을 형성하며, 제2고정돌기(430)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의 한 쌍의 제2스페이서(420) 외부 영역에 비해 좁은 제2안착홈(S422)을 형성하여 상기 제1집진플레이트(110)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고정돌기(430)는 돌기형태로서, 전기적인 연결은 최소화하면서도 제1집진플레이트(110)의 고정 위치는 정확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돌기(430)는 폭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집진플레이트(110)의 양면을 고정할 수 있는 형태라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고정돌기(430)는 폭방향으로 제1집진플레이트(110)가 삽입되는 측에 제2경사면(431)이 형성되어 제1집진플레이트(110)가 제2안착홈(S422)에 고정되는 것을 가이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경사면(431)는 폭방향으로 상기 제1집진플레이트(110)가 삽입되는 일측에 경사지게 형성된다.(도 9 참조)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전기집진장치용 집진부(1000)는 제1고정부재(300)에 의해 제1집진플레이트(110)의 일측을 고정하며, 상기 제1집진플레이트(110)들 사이에 위치되는 제2집진플레이트(210)의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고, 제2고정부재(400)에 의해 제2집진플레이트(210)를 고정하며, 상기 제2집진플레이트(210) 사이에 위치되는 제1집진플레이트(110)의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어 제1집진부(100) 및 제2집진부(200)가 정확한 위치에서 전기장을 형성하여 집진 성능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즉, 상기 제1집진플레이트(110)의 일측이 상기 제1고정부재(300)에 의해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제2고정부재(400)의 제2고정돌기(430)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2집진플레이트(210)의 타측이 상기 제2고정부재(400)에 의해 고정되고 일측이 상기 제1고정부재(300)의 제1고정돌기(33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도 12를 기준으로, 상기 제1집진플레이트(110) 및 제2집진플레이트(210)의 일측은 도면 왼쪽이며, 상기 제1집진플레이트(110) 및 제2집진플레이트(210)의 타측은 도면 오른쪽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전기집진장치용 집진부(1000)는 폭방향 길이를 줄일 수 있도록, 상기 제1집진부(100)의 제1집진플레이트(110)의 제1고정부재(300)가 장착되는 측에, 상기 제1지지부(310)가 삽입결합되는 제1지지홈(141)이 형성되고, 그 타측에 제1절개홈(14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절개홈(142)은 오목한 형태이되, 제2고정부재(400)의 제2지지부(410)가 삽입되되, 제2지지부(410)와 제1집진플레이트(110)가 접하지 않는 크기로서, 제2지지부(410)와 제1집진플레이트(110)가 이격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집진부(200)의 제2집진플레이트(210)의 제2고정부재(400)가 장착되는 측에, 상기 제2지지부(410)가 삽입결합되는 제2지지홈(241)이 형성되고, 그 타측에 제2절개홈(24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절개홈(242)은 오목한 형태이되, 제1고정부재(300)의 제1지지부(310)가 삽입되되, 제1지지부(310)와 제2집진플레이트(210)가 접하지 않는 크기로서, 제1지지부(310)와 제2집진플레이트(210)가 이격되게 배치된다.
도 11 내지 도 15는 제1고정부재(300)의 상기 제1지지부(310)가 서로 높이방향으로 밀착되는 제1-1지지부(311) 및 제1-2지지부(312)를 포함하며, 상기 제2고정부재(400)의 제2지지부(410)가 서로 높이방향으로 밀착되는 제2-1지지부(411) 및 제2-2지지부(412)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었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제1고정부재(300)는 높이방향으로 밀착되는 제1-1지지부(311) 및 제1-2지지부(312)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스페이서(320) 중 하나가 상기 제1-1지지부(311)에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가 상기 제1-2지지부(312)에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제2고정부재(400)가는 높이방향으로 밀착되는 제2-1지지부(411) 및 제2-2지지부(412)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2스페이서(420) 중 하나가 상기 제2-1지지부(411)에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가 상기 제2-2지지부(412)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전기집진장치용 집진부(1000)는 제1케이스(510) 및 제2케이스(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케이스(510) 및 제2케이스(520)는 내부가 중공되어 공기가 유동되는 틀형태로, 상기 제1케이스(510) 내부에 제1집진부(100)의 일정영역이 장착되고, 상기 제2케이스(520) 내부에 제2집진부(200)의 일정영역이 장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케이스(510)에는 상기 제1집진부(100)의 제1연결부(120)를 지지하는 구성을 통해 상기 제1집진부(100)를 고정하고, 상기 제2케이스(520)에는 상기 제2집진부(200)의 제1연결부(120)를 지지하는 구성을 통해 상기 제2집진부(200)를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케이스(510) 및 제2케이스(520)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고정부재(300) 및 제2고정부재(400)는 각각 상기 제1케이스(510) 및 제2케이스(52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전기집진장치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먼지입자에 전하를 인가하는 대전부(미도시) 및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집진부(1000)를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의 대전부를 통해 대전된 먼지를 효과적으로 집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 전기집진장치용 집진부
100 : 제1집진부
110 : 제1집진플레이트 120 : 제1연결부
130 : 제1전극탭
141 : 제1지지홈 142 : 제1절개홈
200 : 제2집진부
210 : 제2집진플레이트 220 : 제2연결부
230 : 제2전극탭
241 : 제2지지홈 242 : 제2절개홈
300 : 제1고정부재
310 : 제1지지부
311 : 제1-1지지부 312 : 제1-2지지부
320 : 제1스페이서
S321 : 제1고정홈
S322 : 제1안착홈
330 : 제1고정돌기 331 : 제1경사면
400 : 제2고정부재
410 : 제2지지부
411 : 제2-1지지부 412 : 제2-2지지부
420 : 제2스페이서
S421 : 제2고정홈
S422 : 제2안착홈
430 : 제2고정돌기 431 : 제2경사면
510 : 제1케이스
520 : 제2케이스

Claims (16)

  1.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제1집진플레이트(110);
    상기 복수의 제1집진플레이트(110) 각각과 교번 배치되는 복수의 제2집진플레이트(210); 및
    상기 제1집진플레이트(110)와 상기 제2집진플레이트(210)의 간극을 유지시키며, 양단을 고정하는 고정부재(300,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용 집진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집진기용 집진부(1000)는 2개의 고정부재(300, 400)가 상기 제1집진플레이트(110) 및 제2집진플레이트(210)의 양단에 각각 서로 교차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용 집진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고정부재(300, 400) 중 하나인 제1고정부재(300)는 상기 제1집진플레이트(110)의 배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지지부(310)와, 복수개의 상기 제1집진플레이트(110)를 고정하도록 복수개가 상기 제1지지부(310)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집진플레이트(110)의 양면이 안착되는 제1고정홈(S321)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1스페이서(320)와, 이웃하는 상기 제1스페이서(320)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고정돌기(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용 집진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고정부재(300, 400) 중 나머지 하나인 제2고정부재(400)는 상기 제2집진플레이트(210)의 배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2지지부(410)와, 복수개의 상기 제2집진플레이트(210)를 고정하도록 복수개가 상기 제2지지부(410)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집진플레이트(210)의 양면이 안착되는 제2고정홈(S421)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2스페이서(420)와, 이웃하는 상기 제2스페이서(420)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고정돌기(430)를 포함하는 제2고정부재(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용 집진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집진장치용 집진부(1000)는,
    상기 제1집진플레이트(110)의 일측이 상기 제1고정부재(300)에 의해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제2고정부재(400)의 제2고정돌기(430)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2집진플레이트(210)의 타측이 상기 제2고정부재(400)에 의해 고정되고 일측이 상기 제1고정부재(300)의 제1고정돌기(33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용 집진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돌기(330)는 상기 제2집진플레이트(210)의 삽입 위치를 안내하도록 경사진 제1경사면(331)을 포함하며,
    상기 제2고정돌기(430)는 상기 제1집진플레이트(110)의 삽입 위치를 안내하도록 경사진 제2경사면(4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용 집진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300)는 상기 제2집진플레이트(210)의 삽입 방향으로 상기 제1고정돌기(330)가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400)는 상기 제1집진플레이트(110)의 삽입 방향으로 제2고정돌기(430)가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용 집진부.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집진장치용 집진부(1000)는 내부에 상기 제1집진플레이트(110)가 장착되는 제1케이스(510); 및 내부에 상기 제2집진플레이트(210)가 장착되는 제2케이스(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용 집진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집진장치용 집진부(1000)는 상기 제1고정부재(300)가 상기 제1케이스(510)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400)가 상기 제2케이스(52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용 집진부.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집진장치용 집진부(1000)는 상기 제1고정부재(300) 및 제2고정부재(400)가 각각 높이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용 집진부.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집진장치용 집진부(1000)는,
    상기 제1집진플레이트(110)의 양단부에 번갈아 형성되어 이웃하는 제1집진플레이트(110)들을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하는 복수의 제1연결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집진플레이트(210)의 양단부에 번갈아 형성되어 이웃하는 제2집진플레이트(210)들을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하는 복수의 제2연결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용 집진부.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집진플레이트(110)는 상기 제1지지부(310)가 삽입결합되는 제1지지홈(141)이 형성되고,
    상기 제2집진플레이트(210)는 상기 제2지지부(410)가 삽입결합되는 제2지지홈(24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용 집진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집진플레이트(110)는 상기 제1고정부재(300)가 구비되는 측의 반대측에 상기 제2고정부재(400)의 제2지지부(410)가 삽입되되 상기 제2지지부(410)와 제1집진플레이트(110)가 접하지 않도록 오목한 제1절개홈(142)이 형성되며,
    상기 제2집진플레이트(210)는 상기 제2고정부재(400)가 구비되는 측의 반대측에 상기 제1고정부재(300)의 제1지지부(310)가 삽입되되 상기 제1지지부(310)와 제2집진플레이트(210)가 접하지 않도록 오목한 제2절개홈(24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용 집진부.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300)는 상기 제1지지부(310)가 서로 높이방향으로 밀착되는 제1-1지지부(311) 및 제1-2지지부(312)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스페이서(320) 중 하나가 상기 제1-1지지부(311)에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가 상기 제1-2지지부(312)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용 집진부.
  1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재(400)는 상기 제2지지부(410)가 서로 높이방향으로 밀착되는 제2-1지지부(411) 및 제2-2지지부(412)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2스페이서(420) 중 하나가 상기 제2-1지지부(411)에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가 상기 제2-2지지부(412)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용 집진부.
  16. 외부에서 유입되는 먼지입자에 전하를 인가하는 대전부; 및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의한 집진부(10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KR1020190026230A 2019-03-07 2019-03-07 집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 KR202001073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230A KR20200107307A (ko) 2019-03-07 2019-03-07 집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230A KR20200107307A (ko) 2019-03-07 2019-03-07 집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307A true KR20200107307A (ko) 2020-09-16

Family

ID=72670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6230A KR20200107307A (ko) 2019-03-07 2019-03-07 집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730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53370A (zh) * 2024-01-10 2024-02-13 深圳市德尼环境技术有限公司 一种车间用送风装置及车间换气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863B1 (ko) 2006-02-28 2007-05-30 에어텍21 주식회사 전기 집진기의 콜렉터 셀 유니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863B1 (ko) 2006-02-28 2007-05-30 에어텍21 주식회사 전기 집진기의 콜렉터 셀 유니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53370A (zh) * 2024-01-10 2024-02-13 深圳市德尼环境技术有限公司 一种车间用送风装置及车间换气系统
CN117553370B (zh) * 2024-01-10 2024-03-19 深圳市德尼环境技术有限公司 一种车间用送风装置及车间换气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1903B1 (ko)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US5322550A (en) Electrical dust collector
KR20100122274A (ko) 전기집진장치
EP2468411B1 (en) Electric precipitator
KR101997549B1 (ko) 집진부를 포함하는 필터링 장치
KR102421908B1 (ko)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KR102533349B1 (ko)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KR20200107307A (ko) 집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
KR101757899B1 (ko) 중첩식 컬렉터 셀 유닛을 갖는 전기 집진기
KR20200120252A (ko) 집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기
KR101963786B1 (ko) 대전부를 포함하는 필터링 장치
KR102572534B1 (ko)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KR102421894B1 (ko)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KR20210054717A (ko)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
KR102634227B1 (ko) 대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
CN113286660B (zh) 用于电除尘器的集尘设备
JP2006281173A (ja) 電気集塵フィルタ
CN114729757B (zh) 空气调节器
KR102190081B1 (ko) 전기집진장치용 집진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048598A (ko) 전기 집진기
KR102002127B1 (ko) 소형 공기정화기용 전기집진유닛과 이를 이용한 소형 공기정화기
KR102449162B1 (ko) 전기집진필터를 이용한 미세먼지들의 전기집진필터방법
JP3257239B2 (ja) 電気集塵エレメントのスペーサ突起およびそれを有する電極板積層体
CN117715704A (zh) 用于电除尘器的集尘单元和包括该集尘单元的电除尘器
KR20230000532U (ko) 집진필터용 카본필름 고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