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1908B1 -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 Google Patents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1908B1
KR102421908B1 KR1020170152766A KR20170152766A KR102421908B1 KR 102421908 B1 KR102421908 B1 KR 102421908B1 KR 1020170152766 A KR1020170152766 A KR 1020170152766A KR 20170152766 A KR20170152766 A KR 20170152766A KR 102421908 B1 KR102421908 B1 KR 102421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case
dust
plates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2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5922A (ko
Inventor
박지용
김기홍
김재호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주)동일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주)동일기연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2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1908B1/ko
Priority to PCT/KR2018/011736 priority patent/WO2019098526A2/ko
Publication of KR20190055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5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1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1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82Housings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제1집진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코루게이트 형태로 형성된 제1집진부; 복수의 제2집진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코루게이트 형태로 형성된 제2집진부; 내측이 폭방향으로 뚫려 있으며, 상기 제1집진부의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된 제1케이스; 및 내측이 폭방향으로 뚫려 있으며, 상기 제2집진부의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된 제2케이스;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제작성이 향상되어 제작시간 및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는 부분 및 전기적으로 절연되어야 하는 부분이 확실하게 이루어져 전기적으로 안정적인 특성을 갖는 전기집진기용 집진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Collector for electric precipitator}
본 발명은 에어컨이나 공기정화기와 같은 공조장치에서 공기에 포함된 미세 먼지를 흡착하여 여과할 수 있는 전기식 집진기의 집진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나 가스에 포함된 먼지, 분진 등의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미세한 섬유로 구성된 부직포 등을 사용한 필터를 사용한다. 일반적인 섬유형 필터는 기공의 크기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기공 보다 작은 크기의 먼지 입자는 걸러줄 수 없었다. 또한 기공의 크기를 과도하게 줄일 경우, 풍량이 감소하며 큰 먼지 입자들에 의해 기공이 조기에 막혀 버리기 때문에 필터의 수명이 매우 짧아지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풍량의 저하를 방지하고 큰 입자에 의한 기공 막힘의 문제가 없으며 매우 작은 크기의 불순물 입자도 걸러 줄 수 있는 전기집진필터가 사용되고 있다.
도 1과 같이 전기집진필터는 각각 별개로 형성된 다수의 집진플레이트(42a, 42b)를 일정 간격을 갖도록 배치하고, 하나 건너 하나씩 교대로 양극 고전압과 음극 고전압을 인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양극의 극성 또는 음극의 극성을 띈 집진플레이트(42a, 42b)의 표면에 반대 극성을 갖도록 대전된 먼지 입자가 흡착됨으로써 집진플레이트들의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나 가스로부터 미세 입자가 제거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도 2와 같이 집진플레이트(42a, 42b)들은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양면을 관통하도록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바(44a, 44b)들이 집진플레이트(42a, 42b)들에 형성된 구멍들을 통과하도록 삽입되어 있다. 이때, 양극 집진플레이트(42a)들은 양극 고전압 공급부에 연결된 관통바(44a)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음극 고전압 공급부에 연결된 관통바(44b)와는 이격되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는 반대로 음극 집진플레이트(42b)들은 음극 고전압 공급부에 연결된 관통바(44b)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양극 고전압 공급부에 연결된 관통바(44a)와는 이격되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각각 별개로 구성된 복수의 집진플레이트들을 관통하도록 관통바들이 삽입되어 결합되므로 집진플레이트들 사이의 공간인 공기가 통과되는 유로를 관통바들이 막아서 집진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그리고 관통바와 집진플레이트가 접촉되어 결합되는 부분에서 정확한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고 미접촉되는 부분이 발생할 수 있으며, 집진플레이트가 관통바와 접촉되지 않고 이격되어 있는 구멍 부분에 이물질 또는 전도성 물질들이 유입되어 적체되면 전기적으로 방전 현상이 발생되어 집진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집진플레이트들과 관통바들을 결합하여 조립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KR 10-0722863 B1 (2007.05.22)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작이 용이하여 제작시간 및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전기적으로 접촉 및 절연이 확실하게 이루어져 전기적으로 안정적인 특성을 갖고 공기 유동성이 향상되어 집진 성능이 향상된 전기집진기용 집진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기집진기용 집진부는,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제1집진 플레이트(110), 및 길이방향으로 가면서 상기 복수의 제1집진 플레이트(110)의 높이방향 상단부 및 하단부에 번갈아 형성되며 서로 이웃하는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에 양단이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제1집진 플레이트(110)를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1연결부(120)를 포함하는 제1집진부(100);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제2집진 플레이트(210), 및 길이방향으로 가면서 상기 복수의 제2집진 플레이트(210)의 높이방향 상단부 및 하단부에 번갈아 형성되며 서로 이웃하는 제2집진 플레이트(210)들에 양단이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제2집진 플레이트(210)를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2연결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110)와 제2집진 플레이트(210)가 서로 마주보면서 길이방향으로 번갈아 배치되도록 상기 제1집진부(100)에 끼워지되 상기 제1집진부(100)와 접촉되지 않게 배치된 제2집진부(200); 내측이 폭방향으로 뚫려 있으며, 상기 제1집진부(100)의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된 제1케이스(500); 및 내측이 폭방향으로 뚫려 있으며, 상기 제2집진부(200)의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된 제2케이스(6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케이스(500)에 삽입되어 결합된 제1집진부(100)의 반대측은 상기 제2케이스(600)의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제2케이스(600)에 삽입되어 결합된 제2집진부(200)의 반대측은 상기 제1케이스(500)의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집진부(100)의 제1연결부(120)는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의 높이방향 양단에서 높이방향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부(120)가 제1케이스(500)의 내주면에서 돌출 형성된 단턱(510)에 지지되며, 상기 제2집진부(200)의 제2연결부(220)는 제2집진 플레이트(210)들의 높이방향 양단에서 높이방향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2연결부(220)가 제2케이스(600)의 내주면에서 돌출 형성된 단턱(610)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케이스(500)는 내주면에서 오목하게 안치홈(520)들이 형성되어, 상기 제1집진부(100)의 제1연결부(120)들이 안치홈(520)에 삽입되며, 상기 제2케이스(600)는 내주면에서 오목하게 안치홈(620)들이 형성되어, 상기 제2집진부(200)의 제2연결부(220)들이 안치홈(620)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집진부(100)는 길이방향으로 최외곽에 배치된 제1집진 플레이트(110)에서 제1연결부(120)가 형성된 반대측 단부에서 제1전극탭(130)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케이스(500)는 인출홈(530)이 형성되어 상기 제1전극탭(130)이 인출홈(530)을 통과하여 제1케이스(500)의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제2집진부(200)는 길이방향으로 최외곽에 배치된 제2집진 플레이트(210)에서 제2연결부(220)가 형성된 반대측 단부에서 제2전극탭(230)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케이스(600)는 인출홈(630)이 형성되어 상기 제2전극탭(230)이 인출홈(630)을 통과하여 제2케이스(6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케이스(500)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1집진부(100)의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에 끼워져 결합된 제1고정부재(300); 및 상기 제2케이스(600)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2집진부(200)의 제2집진 플레이트(210)들에 끼워져 결합된 제2고정부재(400);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재(300)는 제1케이스(500)와 별개로 형성되어 제1케이스(500)에 결합되며, 상기 제2고정부재(400)는 제2케이스(600)와 별개로 형성되어 제2케이스(50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재(300)는 제1케이스(500)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고정부재(400)는 제2케이스(6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케이스(500)는 제2케이스(600)와 접촉되어 직접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케이스(500)와 제2케이스(600)의 사이에 개재되어 제1케이스(500) 및 제2케이스(600)에 결합된 조립부재(5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길이방향으로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제1집진 플레이트(110)를 포함하는 제1집진부(100); 길이방향으로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제2집진 플레이트(210)를 포함하며,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210)가 제1집진부(100)에 접촉되지 않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210)가 제1집진 플레이트(110)와 서로 마주보면서 번갈아 배치되도록 상기 제1집진부에 끼워진 제2집진부(200); 내측이 폭방향으로 뚫려 있으며, 상기 제1집진부(100)의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된 제1케이스(500); 내측이 폭방향으로 뚫려 있으며, 상기 제2집진부(200)의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된 제2케이스(600); 상기 제1케이스(500)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1집진부(100)의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에 끼워져 결합된 제1고정부재(300); 및 상기 제2케이스(600)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2집진부(200)의 제2집진 플레이트(210)들에 끼워져 결합된 제2고정부재(4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집진부(100)의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은 각각 제1전극탭(130)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집진부(100)는 제1전극탭(130)들이 연결되는 제1전극리드(1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케이스(500)는 인출홈(530)이 형성되어 상기 제1전극리드(140)가 인출홈(530)을 통과하여 제1케이스(500)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제2집진부(200)의 제2집진 플레이트(210)들은 각각 제2전극탭(230)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집진부(200)는 제2전극탭(230)들이 연결되는 제2전극리드(2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케이스(600)는 인출홈(630)이 형성되어 상기 제2전극리드(240)가 인출홈(630)을 통과하여 제2케이스(600)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집진기용 집진부는, 제작성이 향상되어 제작시간 및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는 부분 및 전기적으로 절연되어야 하는 부분이 확실하게 이루어져, 전기적으로 안정적인 특성을 갖고 공기 유동성이 향상되어 집진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전기집진기의 집진부를 나타낸 평면도 및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용 집진부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제1집진부와 제2집진부의 배치구조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제1집진부와 제2집진부를 아래쪽에서 바라본 부분사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용 집진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용 집진부를 나타낸 측면단면도.
도 10은 도 9의 AA'방향 단면도.
도 11 및 도 12는 도 3에서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 사이에 조립부재가 개재되어 결합된 실시예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및 측면단면도.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용 집진부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분해사시도 및 측면단면도.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전기집진기용 집진부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4는 도 3에서 제1집진부와 제2집진부의 배치구조를 나타낸 조립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제1집진부와 제2집진부를 아래쪽에서 바라본 부분사시도이며,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용 집진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용 집진부는,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제1집진 플레이트(110), 및 길이방향으로 가면서 상기 복수의 제1집진 플레이트(110)의 높이방향 상단부 및 하단부에 번갈아 형성되며 서로 이웃하는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에 양단이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제1집진 플레이트(110)를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1연결부(120)를 포함하는 제1집진부(100);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제2집진 플레이트(210), 및 길이방향으로 가면서 상기 복수의 제2집진 플레이트(210)의 높이방향 상단부 및 하단부에 번갈아 형성되며 서로 이웃하는 제2집진 플레이트(210)들에 양단이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제2집진 플레이트(210)를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2연결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110)와 제2집진 플레이트(210)가 서로 마주보면서 길이방향으로 번갈아 배치되도록 상기 제1집진부(100)에 끼워지되 상기 제1집진부(100)와 접촉되지 않게 배치된 제2집진부(200); 내측이 폭방향으로 뚫려 있으며, 상기 제1집진부(100)의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된 제1케이스(500); 및 내측이 폭방향으로 뚫려 있으며, 상기 제2집진부(200)의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된 제2케이스(6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용 집진부는 크게 제1집진부(100), 제2집진부(200), 제1케이스(500) 및 제2케이스(600)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일례로 제1집진부(100)는 양극 집진 전극이고 제2집진부(200)는 음극 집진 전극이 될 수 있으며, 제1케이스(500) 및 제2케이스(600)는 플라스틱 등의 부도체 또는 전기 절연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집진부(100) 및 제2집진부(200)는 각각 코루게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제1집진부(100)와 제2집진부(200)가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끼워져 있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양극 고전압 발생부가 제1집진부(100)에 연결되고 음극 고전압 발생부가 제2집진부(2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1집진부(100)와 제2집진부(200)에 각각 고전압이 인가되면 제1집진부(100)와 제2집진부(200)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며, 제1집진부(100)의 제1집진 플레이트(110)와 제2집진부(200)의 제2집진 플레이트(210) 사이로 음이온화 또는 양이온화 된 먼지 입자를 포함한 공기가 통과되면 음이온화 또는 양이온화 된 먼지 입자가 전기장에 의하여 제1집진부(100) 또는 제2집진부(200)의 표면에 흡착되어 포집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집진부(100)는 크게 평판 형태로 형성된 복수의 제1집진 플레이트(110) 및 상기 복수의 제1집진 플레이트(110)가 직렬로 연결되도록 서로 이웃하는 제1플레이트(110)들에 양단이 연결된 복수의 제1연결부(120)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은 폭방향에 비해 높이방향이 더 길게 형성된 장방형의 평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은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연결부(120)는 서로 이웃하는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에 양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제1연결부(120)는 복수개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가면서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의 높이방향 상단부와 하단부에 번갈아 형성되어, 복수의 제1집진 플레이트(110)가 제1연결부(120)들에 의해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길이방향의 전방쪽에서부터 후방쪽으로 가면서 배열된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 중 첫 번째를 플레이트 A, 두 번째를 플레이트 B, 세 번재를 플레이트 C라고 하면, 길이방향 전방에서부터 첫 번째 제1연결부(120)는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의 높이방향 상단부에 형성되며, 플레이트 A의 상단과 플레이트 B의 상단에 제1연결부(120)의 양단이 연결된다. 그리고 두 번째 제1연결부(120)는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의 높이방향 하단부에 형성되며, 플레이트 B의 하단과 플레이트 C의 하단에 제1연결부(120)의 양단이 연결된다. 또한, 이와 같은 패턴이 반복된 형태로 제1연결부(120)들이 형성되어, 폭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제1집진부(100)가 코루게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집진부(200)는 제1집진부(100)와 마찬가지로 크게 평판 형태로 형성된 복수의 제2집진 플레이트(210) 및 상기 복수의 제2집진 플레이트(210)가 직렬로 연결되도록 서로 이웃하는 제2플레이트(210)들에 양단이 연결된 복수의 제2연결부(220)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2집진 플레이트(210)들도 장방형의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제2집진 플레이트(210)들은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연결부(220)들도 제1연결부(120)와 같은 패턴이 반복되는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가면서 제2집진 플레이트(210)들의 높이방향 상단부와 하단부에 번갈아 형성될 수 있으며, 폭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제2집진부(200)가 코루게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1집진부(100)와 제2집진부(200)가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끼워져 있는 형태로 배치되어, 제1집진 플레이트(110)와 제2집진 플레이트(210)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길이방향으로 가면서 제1집진 플레이트(110)와 제2집진 플레이트(210)가 번갈아 배치된 형태가 될 수 있다.
제1케이스(500)는 내측이 폭방향으로 뚫려 있는 사각 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집진부(100)의 일부인 폭방향 후방측이 제1케이스(500)의 내측에 삽입되어 제1집진부(100)와 제1케이스(50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1집진부(100)의 폭방향 후방측의 높이방향 양측 및 길이방향 양측이 제1케이스(500)에 의해 둘러싸인 형태가 되며, 제1집진부(100)의 폭방향 전방측이 제1케이스(50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제2케이스(600)도 내측이 폭방향으로 뚫려 있는 사각 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집진부(200)의 일부인 폭방향 전방측이 제2케이스(600)의 내측에 삽입되어 제2집진부(200)와 제2케이스(60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2집진부(200)의 폭방향 전방측의 높이방향 양측 및 길이방향 양측이 제2케이스(600)에 의해 둘러싸인 형태가 되며, 제2집진부(200)의 폭방향 후방측이 제2케이스(60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집진기용 집진부는, 제작성이 향상되어 제작시간 및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는 부분 및 전기적으로 절연되어야 하는 부분이 확실하게 이루어져, 전기적으로 안정적인 특성을 갖고 공기 유동성이 향상되어 집진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케이스(500)에 삽입되어 결합된 제1집진부(100)의 반대측은 상기 제2케이스(600)의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제2케이스(600)에 삽입되어 결합된 제2집진부(200)의 반대측은 상기 제1케이스(500)의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케이스(50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인 제1집진부(100)의 폭방향 전방측이 상기 제2케이스(600)의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제2케이스(60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제2집진부(200)의 폭방향 후방측이 상기 제1케이스(500)의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1집진부(100)의 폭방향 양측이 제1케이스(500) 및 제2케이스(600)에 결합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제2집진부(200)도 폭방향 양측이 제1케이스(500) 및 제2케이스(600)에 결합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집진부(100)와 제2집진부(200)의 고정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집진부(100)의 제1연결부(120)는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의 높이방향 양단에서 높이방향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부(120)가 제1케이스(500)의 내주면에서 돌출 형성된 단턱(510)에 지지되며, 상기 제2집진부(200)의 제2연결부(220)는 제2집진 플레이트(210)들의 높이방향 양단에서 높이방향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2연결부(220)가 제2케이스(600)의 내주면에서 돌출 형성된 단턱(610)에 지지될 수 있다.
즉, 도 9와 같이 제1집진부(100)의 제1연결부(120)는 높이방향으로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의 상단 및 하단에서 볼록하게 형성되고, 제1케이스(500)는 높이방향 상측인 상부 프레임의 하면 및 하측인 하부 프레임의 상면에서 각각 단턱(510)이 돌출 형성되어, 제1집진부(100)의 제1연결부(120)들이 단턱(510)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1집진부(100)를 제1케이스(500)에 삽입하여 결합할 때 제1집진부(100)가 제1케이스(500)에 삽입되는 깊이가 제한될 수 있다. 이때, 단턱(510)은 제1케이스(500)의 폭방향의 전체 폭 중 후방측 일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집진부(200)의 제2연결부(220)는 높이방향으로 제2집진 플레이트(210)들의 상단 및 하단에서 볼록하게 형성되고, 제2케이스(600)는 높이방향 상측인 상부 프레임의 하면 및 하측인 하부 프레임의 상면에서 각각 단턱(610)이 돌출 형성되어, 제2집진부(200)의 제2연결부(220)들이 단턱(610)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2집진부(200)를 제2케이스(600)에 삽입하여 결합할 때 제2집진부(200)가 제2케이스(600)에 삽입되는 깊이가 제한될 수 있다. 이때, 단턱(610)은 제2케이스(600)의 폭방향의 전체 폭 중 전방측 일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케이스(500)는 내주면에서 오목하게 안치홈(520)들이 형성되어, 상기 제1집진부(100)의 제1연결부(120)들이 안치홈(520)에 삽입되며, 상기 제2케이스(600)는 내주면에서 오목하게 안치홈(620)들이 형성되어, 상기 제2집진부(200)의 제2연결부(220)들이 안치홈(62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1케이스(500)에 형성된 안치홈(520)들은 높이방향 상측인 상부 프레임의 하면 및 하측인 하부 프레임의 상면에서 각각 오목하게 형성되고, 안치홈(520)들은 서로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제1집진부(100)의 제1연결부(120)들이 안치홈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의 간격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케이스(600)에 형성된 안치홈(620)들도 높이방향 상측인 상부 프레임의 하면 및 하측인 하부 프레임의 상면에서 각각 오목하게 형성되고, 안치홈(620)들은 서로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제1집진부(100)의 제1연결부(120)들이 안치홈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의 간격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케이스(500)에 형성된 안치홈(520)은 폭방향 전면에서부터 단턱(510)까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케이스(600)에 형성된 안치홈(620)은 폭방향 후면에서부터 단턱(610)까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집진부(100)는 길이방향으로 최외곽에 배치된 제1집진 플레이트(110)에서 제1연결부(120)가 형성된 반대측 단부에서 제1전극탭(130)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케이스(500)는 인출홈(530)이 형성되어 상기 제1전극탭(130)이 인출홈(530)을 통과하여 제1케이스(500)의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제2집진부(200)는 길이방향으로 최외곽에 배치된 제2집진 플레이트(210)에서 제2연결부(220)가 형성된 반대측 단부에서 제2전극탭(230)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케이스(600)는 인출홈(630)이 형성되어 상기 제2전극탭(230)이 인출홈(630)을 통과하여 제2케이스(6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즉, 제1집진부(100)의 제1전극탭(130)은 길이방향으로 최전방에 배치된 제1집진 플레이트(110)의 하단에서 아래쪽으로 직선 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제2집진부(200)의 제2전극탭(230)은 길이방향으로 최후방에 배치된 제2집진 플레이트(210)의 하단에서 아래쪽으로 직선 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케이스(500)는 제1전극탭(130)에 대응되는 위치에 폭방향 전면에서부터 특정한 거리만큼 오목하게 인출홈(530)이 형성되어, 제1전극탭(130)이 인출홈(530)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1전극탭(130)이 인출홈(530)을 통과하여 제1케이스(50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제2케이스(600)는 제2전극탭(230)에 대응되는 위치에 폭방향 후면에서부터 특정한 거리만큼 오목하게 인출홈(630)이 형성되어, 제2전극탭(230)이 인출홈(630)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2전극탭(230)이 인출홈(630)을 통과하여 제2케이스(60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전극탭(130)이 형성된 제1집진부(100)를 제1케이스(500)에 삽입하여 결합하기 용이하며, 제1전극탭(130)이 제1케이스(500)의 외부로 인출되기 용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전극탭(230)이 형성된 제2집진부(200)를 제2케이스(600)에 삽입하여 결합하기 용이하며, 제2전극탭(230)이 제2케이스(600)의 외부로 인출되기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케이스(500)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1집진부(100)의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에 끼워져 결합된 제1고정부재(300); 및 상기 제2케이스(600)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2집진부(200)의 제2집진 플레이트(210)들에 끼워져 결합된 제2고정부재(400);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케이스(500)에는 제1고정부재(30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고정부재(300)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되 제1집진부(100)의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이 배치된 영역보다 길게 형성되어 길이방향 양단이 제1케이스(500)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1집진부(100)의 모든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이 제1고정부재(300)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1고정부재(300)에 의해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 간의 이격된 간격이 유지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고정부재(400)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되 제2집진부(200)의 제2집진 플레이트(210)들이 배치된 영역보다 길게 형성되어 길이방향 양단이 제2케이스(600)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2집진부(200)의 모든 제2집진 플레이트(210)들이 제2고정부재(400)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2고정부재(400)에 의해 제2집진 플레이트(210)들 간의 이격된 간격이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제1고정부재(300)와 제2고정부재(400)는 서로 접촉되지 않고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1고정부재(300)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각봉 형태의 제1지지대(310)에서 제1집진 플레이트(110)를 향해 폭 방향으로 제1고정돌기(330)들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한 쌍의 제1고정돌기(330) 사이에 제1집진 플레이트(110)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제1고정홈(320)들이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고정부재(400)도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각봉 형태의 제2지지대(410)에서 제2집진 플레이트(210)를 향해 폭 방향으로 제2고정돌기(430)들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한 쌍의 제2고정돌기(430) 사이에 제2집진 플레이트(210)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제2고정홈(420)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제1고정돌기(330)가 한 조를 이룰 수 있으며, 한 조를 이루는 한 쌍의 제1고정돌기(330)는 서로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형성된 한 조의 제1고정돌기(330)가 제1집진 플레이트(310)들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각 조를 이루는 제1고정돌기(330)가 서로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고정부재(400)도 제1고정부재(300)와 같은 형태로 제2고정돌기(430)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고정부재(300)는 제1케이스(500)와 별개로 형성되어 제1케이스(50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2고정부재(400)도 제2케이스(600)와는 별개로 형성되어 제2케이스(50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고정부재(300)는 제1케이스(5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고정부재(400)도 제2케이스(6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케이스(500)는 제2케이스(600)와 접촉되어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도면에서는 제1케이스(500)와 제2케이스(600)가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형태를 나타내었으나, 제1케이스(500)와 제2케이스(600)가 서로 맞닿아 직접 결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케이스(500)와 제2케이스(600)의 사이에 개재되어 제1케이스(500) 및 제2케이스(600)에 결합된 조립부재(5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11 및 도 12와 같이 제1케이스(500)와 제2케이스(600)의 사이에 사각 링 형태의 조립부재(500)가 개재되어, 제1케이스(500)와 조립부재(500)가 결합되고 제2케이스와 조립부재(5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조립부재(500)는 전기 절연성 재료의 실링부재가 될 수 있다.
또한, 제1집진부(100)의 제1연결부(120)는 높이방향으로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의 상단 및 하단에서 볼록하게 형성되어 볼록한 안쪽은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집진부(200)의 제2연결부(220)도 높이방향으로 제2집진 플레이트(210)들의 상단 및 하단에서 볼록하게 형성되어 볼록한 안쪽은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집진부(100)의 제1연결부(120)들은 제1집진 플레이트(110)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매우 좁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집진부(100)의 제1연결부(120)들은 제1집진 플레이트(110)의 폭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집진부(200)의 제2연결부(220)들은 폭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타측인 제1연결부(120)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제1집진부(100)와 제2집진부(200)가 서로 끼워졌을 때 제1연결부(120)들과 제2연결부(220)들이 서로 접촉되지 않고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기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집진부(100)의 복수의 제1집진 플레이트(110) 및 복수의 제1연결부(120)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집진부(200)의 복수의 제2집진 플레이트(210) 및 복수의 제2연결부(2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2>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용 집진부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분해사시도 및 측면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용 집진부는, 길이방향으로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제1집진 플레이트(110)를 포함하는 제1집진부(100); 길이방향으로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제2집진 플레이트(210)를 포함하며,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210)가 제1집진부(100)에 접촉되지 않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210)가 제1집진 플레이트(110)와 서로 마주보면서 번갈아 배치되도록 상기 제1집진부에 끼워진 제2집진부(200); 내측이 폭방향으로 뚫려 있으며, 상기 제1집진부(100)의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된 제1케이스(500); 내측이 폭방향으로 뚫려 있으며, 상기 제2집진부(200)의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된 제2케이스(600); 상기 제1케이스(500)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1집진부(100)의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에 끼워져 결합된 제1고정부재(300); 및 상기 제2케이스(600)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2집진부(200)의 제2집진 플레이트(210)들에 끼워져 결합된 제2고정부재(4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용 집진부는 크게 제1집진부(100), 제2집진부(200), 제1케이스(500) 및 제2케이스(600)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일례로 제1집진부(100)는 양극 집진 전극이고 제2집진부(200)는 음극 집진 전극이 될 수 있으며, 제1케이스(500) 및 제2케이스(600)는 플라스틱 등의 부도체 또는 전기 절연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집진부(100)는 각각 별개로 형성된 장방형 평판 형태의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이 서로 길이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2집진부(200) 역시 각각 별개로 형성된 장방형 평판 형태의 제2집진 플레이트(210)들이 서로 길이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집진부(100)와 제2집진부(200)는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끼워져 있는 형태로 배치되되, 제1집진부(100)와 제2집진부(200)는 제1집진 플레이트(110)와 제2집진 플레이트(210)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길이방향으로 가면서 제1집진 플레이트(110)와 제2집진 플레이트(210)가 번갈아 배치된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양극 고전압 발생부가 제1집진부(100)에 연결되고 음극 고전압 발생부가 제2집진부(2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1집진부(100)와 제2집진부(200)에 각각 고전압이 인가되면 제1집진부(100)와 제2집진부(200)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며, 제1집진부(100)의 제1집진 플레이트(110)와 제2집진부(200)의 제2집진 플레이트(210) 사이로 음이온화된 먼지 입자를 포함한 공기가 통과되면 음이온화된 먼지 입자가 전기장에 의하여 제1집진부(100)의 표면에 흡착되어 포집될 수 있다.
제1케이스(500)는 내측이 폭방향으로 뚫려 있는 사각 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집진부(100)의 일부인 폭방향 후방측이 제1케이스(500)의 내측에 삽입되어 제1집진부(100)와 제1케이스(50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1집진부(100)의 폭방향 후방측의 높이방향 양측 및 길이방향 양측이 제1케이스(500)에 의해 둘러싸인 형태가 되며, 제1집진부(100)의 폭방향 전방측이 제1케이스(50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제2케이스(600)도 내측이 폭방향으로 뚫려 있는 사각 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집진부(200)의 일부인 폭방향 전방측이 제2케이스(600)의 내측에 삽입되어 제2집진부(200)와 제2케이스(60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2집진부(200)의 폭방향 전방측의 높이방향 양측 및 길이방향 양측이 제2케이스(600)에 의해 둘러싸인 형태가 되며, 제2집진부(200)의 폭방향 후방측이 제2케이스(60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제1고정부재(300)는 제1케이스(500)에 고정되어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케이스(500)와는 별개로 제1고정부재(300)가 형성되어 결합되거나 제1케이스(500)와 일체로 제1고정부재(300)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고정부재(300)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되 제1집진부(100)의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이 배치된 영역보다 길게 형성되어 길이방향 양단이 제1케이스(500)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1집진부(100)의 모든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이 제1고정부재(300)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1고정부재(300)에 의해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 간의 이격된 간격이 유지될 수 있다.
제2고정부재(400)는 제2케이스(600)에 고정되어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케이스(600)와는 별개로 제2고정부재(400)가 형성되어 결합되거나 제2케이스(600)와 일체로 제2고정부재(400)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고정부재(400)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되 제2집진부(200)의 제2집진 플레이트(210)들이 배치된 영역보다 길게 형성되어 길이방향 양단이 제2케이스(600)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2집진부(200)의 모든 제2집진 플레이트(210)들이 제2고정부재(400)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2고정부재(400)에 의해 제2집진 플레이트(210)들 간의 이격된 간격이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제1고정부재(300)와 제2고정부재(400)는 서로 접촉되지 않고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에서 제1고정부재(300) 및 제2고정부재(400)의 세부적인 구성은 상기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집진 플레이트(110) 및 제2집진 플레이트(210)의 폭방향 양측에 형성된 삽입홈(111, 211) 및 절개홈(112, 212)도 상기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집진부(100)의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은 각각 제1전극탭(130)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집진부(100)는 제1전극탭(130)들이 연결되는 제1전극리드(1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케이스(500)는 인출홈(530)이 형성되어 상기 제1전극리드(140)가 인출홈(530)을 통과하여 제1케이스(500)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제2집진부(200)의 제2집진 플레이트(210)들은 각각 제2전극탭(230)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집진부(200)는 제2전극탭(230)들이 연결되는 제2전극리드(2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케이스(600)는 인출홈(630)이 형성되어 상기 제2전극리드(240)가 인출홈(630)을 통과하여 제2케이스(600)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즉, 제1집진부(100)의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은 각각 상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제1전극탭(130)이 각각 연장 형성되고, 제1전극탭(130)들이 제1전극리드(140)에 연결되어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이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케이스(500)에는 폭방향 전방측 면에서 후방측을 향해 오목하게 인출홈(530)이 형성되어 인출홈(530)에 제1전극리드(140)의 길이방향 전방측 단부가 인출홈(530)을 통과하여 제1케이스(500)의 외측으로 인출되기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제2집진부(200)의 제2집진 플레이트(210)들은 각각 상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제2전극탭(230)이 각각 연장 형성되고, 제2전극탭(230)들이 제2전극리드(240)에 연결되어 제2집진 플레이트(210)들이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케이스(600)에는 폭방향 후방측 면에서 전방측을 향해 오목하게 인출홈(630)이 형성되어 인출홈(630)에 제2전극리드(240)의 길이방향 전방측 단부가 인출홈(630)을 통과하여 제2케이스(600)의 외측으로 인출되기 용이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의 전기집진기용 집진부는,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는 부분 및 전기적으로 절연되어야 하는 부분이 확실하게 이루어져, 전기적으로 안정적인 특성을 갖고 공기 유동성이 향상되어 집진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케이스(50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인 제1집진부(100)의 폭방향 전방측이 상기 제2케이스(600)의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제2케이스(60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제2집진부(200)의 폭방향 후방측이 상기 제1케이스(500)의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1집진부(100)와 제2집진부(200)의 고정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케이스(500)는 내주면에서 단턱(510)이 돌출 형성되어 제1집진부(100)의 제1전극탭(130)들이 단턱(510)에 지지될 수 있으며, 제2케이스(600)도 내주면에서 단턱(610)이 돌출 형성되어 제2집진부(200)의 제2전극탭(230)들이 단턱(610)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도면에서는 제1케이스(500)와 제2케이스(600)가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형태를 나타내었으나, 제1케이스(500)와 제2케이스(600)가 서로 맞닿아 직접 결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1케이스(500)와 제2케이스(600)의 사이에 사각 링 형태의 조립부재(500)가 개재되어, 제1케이스(500)와 조립부재(500)가 결합되고 제2케이스와 조립부재(500)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제1집진부
110 : 제1집진 플레이트
111 : 삽입홈 112 : 절개홈
120 : 제1연결부 130 : 제1전극탭
140 : 제1전극리드
200 : 제2집진부
210 : 제2집진 플레이트
211 : 삽입홈 212 : 절개홈
220 : 제2연결부 230 : 제2전극탭
240 : 제1전극리드
300 : 제1고정부재
310 : 제1지지대 320 : 제1고정홈
330 : 제1고정돌기
400 : 제2고정부재
410 : 제2지지대 420 : 제2고정홈
430 : 제2고정돌기
500 : 제1케이스
510 : 단턱 520 : 안치홈
530 : 인출홈
550 : 조립부재
600 : 제2케이스
610 : 단턱 620 : 안치홈
630 : 인출홈

Claims (12)

  1.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제1집진 플레이트(110), 및 길이방향으로 가면서 상기 복수의 제1집진 플레이트(110)의 높이방향 상단부 및 하단부에 번갈아 형성되며 서로 이웃하는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에 양단이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제1집진 플레이트(110)를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1연결부(120)를 포함하는 제1집진부(100);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제2집진 플레이트(210), 및 길이방향으로 가면서 상기 복수의 제2집진 플레이트(210)의 높이방향 상단부 및 하단부에 번갈아 형성되며 서로 이웃하는 제2집진 플레이트(210)들에 양단이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제2집진 플레이트(210)를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2연결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110)와 제2집진 플레이트(210)가 서로 마주보면서 길이방향으로 번갈아 배치되도록 상기 제1집진부(100)에 끼워지되 상기 제1집진부(100)와 접촉되지 않게 배치된 제2집진부(200);
    내측이 폭방향으로 뚫려 있으며, 상기 제1집진부(100)의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된 제1케이스(500); 및
    내측이 폭방향으로 뚫려 있으며, 상기 제2집진부(200)의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된 제2케이스(600);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집진부(100)와 상기 제2집진부(200)는 서로 다른 전압이 인가되며,
    상기 제1케이스(500)에 삽입되어 결합된 제1집진부(100)의 반대측은 상기 제2케이스(600)의 내측에 삽입되며,
    상기 제2케이스(600)에 삽입되어 결합된 제2집진부(200)의 반대측은 상기 제1케이스(500)의 내측에 삽입되며,
    상기 제1케이스(500)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1집진부(100)의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에 끼워져 결합된 제1고정부재(300); 및
    상기 제2케이스(600)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2집진부(200)의 제2집진 플레이트(210)들에 끼워져 결합된 제2고정부재(4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부재(300)와 제2고정부재(400)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집진부(100)의 제1연결부(120)는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의 높이방향 양단에서 높이방향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부(120)가 제1케이스(500)의 내주면에서 돌출 형성된 단턱(510)에 지지되며,
    상기 제2집진부(200)의 제2연결부(220)는 제2집진 플레이트(210)들의 높이방향 양단에서 높이방향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2연결부(220)가 제2케이스(600)의 내주면에서 돌출 형성된 단턱(610)에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500)는 내주면에서 오목하게 안치홈(520)들이 형성되어, 상기 제1집진부(100)의 제1연결부(120)들이 안치홈(520)에 삽입되며,
    상기 제2케이스(600)는 내주면에서 오목하게 안치홈(620)들이 형성되어, 상기 제2집진부(200)의 제2연결부(220)들이 안치홈(620)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집진부(100)는 길이방향으로 최외곽에 배치된 제1집진 플레이트(110)에서 제1연결부(120)가 형성된 반대측 단부에서 제1전극탭(130)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케이스(500)는 인출홈(530)이 형성되어 상기 제1전극탭(130)이 인출홈(530)을 통과하여 제1케이스(500)의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제2집진부(200)는 길이방향으로 최외곽에 배치된 제2집진 플레이트(210)에서 제2연결부(220)가 형성된 반대측 단부에서 제2전극탭(230)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케이스(600)는 인출홈(630)이 형성되어 상기 제2전극탭(230)이 인출홈(630)을 통과하여 제2케이스(600)의 외부로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300)는 제1케이스(500)와 별개로 형성되어 제1케이스(500)에 결합되며,
    상기 제2고정부재(400)는 제2케이스(600)와 별개로 형성되어 제2케이스(500)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300)는 제1케이스(500)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고정부재(400)는 제2케이스(600)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500)는 제2케이스(600)와 접촉되어 직접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500)와 제2케이스(600)의 사이에 개재되어 제1케이스(500) 및 제2케이스(600)에 결합된 조립부재(5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11. 삭제
  12. 삭제
KR1020170152766A 2017-11-16 2017-11-16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KR102421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766A KR102421908B1 (ko) 2017-11-16 2017-11-16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PCT/KR2018/011736 WO2019098526A2 (ko) 2017-11-16 2018-10-04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766A KR102421908B1 (ko) 2017-11-16 2017-11-16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922A KR20190055922A (ko) 2019-05-24
KR102421908B1 true KR102421908B1 (ko) 2022-07-19

Family

ID=66680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2766A KR102421908B1 (ko) 2017-11-16 2017-11-16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19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1012B1 (ko) * 2019-11-18 2021-11-29 한국기계연구원 전기 집진기
CN115155815A (zh) * 2022-06-24 2022-10-11 美埃(中国)环境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集尘板、集尘板的组装结构及板式静电离子箱
KR102559209B1 (ko) * 2022-12-19 2023-07-25 (주)아하 이온화부가 별도로 구비된 협소 유로용 집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살균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2511Y1 (ko) * 1997-02-26 1999-06-01 윤종용 전기집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1594A (ja) * 1993-08-17 1995-02-28 Ricoh Elemex Corp 空気清浄器の集塵装置
KR100722863B1 (ko) 2006-02-28 2007-05-30 에어텍21 주식회사 전기 집진기의 콜렉터 셀 유니트
KR20170004199A (ko) * 2015-07-01 2017-01-1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단락방지용 스페이서를 구비한 전기집진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2511Y1 (ko) * 1997-02-26 1999-06-01 윤종용 전기집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922A (ko) 2019-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1903B1 (ko)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KR102421908B1 (ko)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RU276374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енерирования плазмы коронного разряда и плазменный реактор
KR101156349B1 (ko) 집진장치
KR20110088742A (ko)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SG175662A1 (en) Improved active field polarized media air cleaner
KR20100122274A (ko) 전기집진장치
KR101082713B1 (ko) 집진장치
KR101997549B1 (ko) 집진부를 포함하는 필터링 장치
KR102660792B1 (ko) 필터 모듈
KR102533349B1 (ko)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JPWO2019044724A1 (ja) 電池モジュール
CN109980143A (zh) 蓄电装置
KR101963786B1 (ko) 대전부를 포함하는 필터링 장치
KR102421894B1 (ko)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US20040065203A1 (en) Disc type air filters
KR102572534B1 (ko)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CN111569619B (zh) 电净化结构、电净化组件、空气净化装置
KR102623665B1 (ko) 전기 집진 필터
KR102634227B1 (ko) 대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
WO2019080371A1 (zh) 座体及集尘器
US20220111399A1 (en)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electric precipitator
KR20210054717A (ko)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
KR102190076B1 (ko) 공기청정기용 집진부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729757B (zh) 空气调节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