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3647A - 블렌더 용기 및 블렌더 용기 뚜껑 - Google Patents

블렌더 용기 및 블렌더 용기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3647A
KR20210053647A KR1020190139511A KR20190139511A KR20210053647A KR 20210053647 A KR20210053647 A KR 20210053647A KR 1020190139511 A KR1020190139511 A KR 1020190139511A KR 20190139511 A KR20190139511 A KR 20190139511A KR 20210053647 A KR20210053647 A KR 20210053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ket
lid
container
protrusion
blend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9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규
예진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9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3647A/ko
Priority to PCT/KR2020/010903 priority patent/WO2021091056A1/ko
Priority to US17/070,423 priority patent/US11779161B2/en
Priority to EP20202772.8A priority patent/EP3815586B1/en
Publication of KR20210053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36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10Lid-loc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22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2Mechanically-driven liquid sha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5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808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stirrers driven from the bottom of the recepta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45Closures or doors specially adapted for mixing receptacles; Operating mechanisms therefor
    • B01F35/453Closures or doors specially adapted for mixing receptacles; Operating mechanisms therefor by moving them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2035/35Use of other general mechanical engineering elements in mixing devices
    • B01F2035/351Sea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렌더 용기 및 블렌더 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 상기 블렌더 용기 뚜껑의 상부를 형성하는 어퍼 바디; 상기 어퍼 바디의 상면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상기 어퍼 바디의 회전을 위해 조작하는 손잡이; 상기 어퍼 바디의 하방에서 상기 어퍼 바디와 결합되며, 상기 어퍼 바디의 회전에 따라 승강되는 로어 바디; 상기 로어 바디와 어퍼 바디 사이에 구비되는 가스켓 고정부재; 및 상단이 상기 가스켓 고정부재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로어 바디에 고정되는 가스켓;을 포함하며, 상기 가스켓은 상기 로어 바디의 승강에 따라 돌출되어 상기 용기의 내측면에 가압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블렌더 용기 및 블렌더 용기 뚜껑 { A blender container and a lid thereof }
본 발명은 블렌더 용기 및 블렌더 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렌더는 전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블레이드에 의해 용기에 수용된 식품을 잘게 자르거나, 가루로 분쇄하거나 액체와 같은 상태로 만드는 가전기기로서 통상 믹서기로 부르기도 한다.
일반적인 블렌더는 모터가 내장된 본체의 상면에 용기가 안착되고, 용기의 안착시 용기 내부의 블레이드가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용기에 식품을 넣은 후 상기 본체를 조작하여 상기 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가 회전되어 식품을 분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블렌더는 최근 용기의 크기가 큰 대용량의 블렌더로 개발되고 있으며, 다양한 식품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쇄할 수 있도록 초고속으로 회전되는 모터를 이용한 블렌더가 개발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렌더는 다양한 식품의 분쇄 작업이 용이하도록 다양한 조작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미국특허 20110149677호에는 뚜껑의 중앙에 개구가 형성되고, 중앙의 개구를 개폐하는 캡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뚜껑을 열지 않고 상기 캡을 개방하여 상기 용기의 내부에 식품을 추가하거나 조취를 취할 수 있다. 상기 캡은 상기 뚜껑의 개구를 완전히 차폐하여 용기 내부의 음식물이 밖으로 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의 둘래에는 가스켓이 구비되어 상기 뚜껑이 용기에 장착될 때 상기 가스켓에 의해 상기 용기의 개구된 상면이 기밀될 수 있도록 하는 블렌더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뚜껑에 의해 상기 용기가 완전히 밀폐되도록 차폐되는 경우에는 고속으로 회전되는 블레이드에 의해 용기 내부의 식품들이 분쇄 과정에서 비산되거나 압력에 의해 뚜껑 또는 캡이 개방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미국특허 10051998호에는 뚜껑에 의해 개구된 상면이 차폐되는 블렌더의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은 용기의 상단에 고정 장착될 수 있으며, 별도의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뚜껑이 의도하지 않게 열리거나 용기 내부의 식품이 비산되어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별도의 고정부재의 조작을 통해 뚜껑을 열고 닫는 구조로 사용이 번거롭게 되고, 외관이 저해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뚜껑의 탈착이 용이하며,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블렌더 용기 및 블렌더 용기 뚜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뚜껑의 간단한 조작으로 가스켓이 용기의 내측에 밀착되어 뚜껑이 선택적으로 구속될 수 있도록 하는 블렌더 용기 및 블렌더 용기 뚜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용기의 깔끔한 외관을 유지하면서 뚜껑의 밀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블렌더 용기 및 블렌더 용기 뚜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뚜껑의 회전 조작을 통해서 상기 뚜껑과 상기 용기의 내측면 사이의 기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블렌더 용기 및 블렌더 용기 뚜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뚜껑 자체의 간편한 분해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여 세척이 용이하고 부품 파손시의 서비스가 용이한 블렌더 용기 및 블렌더 용기 뚜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 용기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개구된 상면에 탈착 되어 상기 용기를 개폐하는 메인 뚜껑; 상기 뚜껑의 관통구를 차폐하는 보조 뚜껑; 상기 메인 뚜껑의 둘레에 형성되며 상기 용기와 접하여 기밀되는 가스켓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상기 보조 뚜껑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가스켓은 선택적으로 돌출되어 상기 용기와 뚜껑의 사이를 선택적으로 기밀 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 용기 뚜껑은, 어퍼 바디와; 상기 어퍼 바디에 구비되는 손잡이와; 상기 어퍼 바디에 회전 및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어 바디와; 상기 어퍼 바디와 로어 바디 사이의 가스켓 고정부재와, 상기 가스켓 고정부재 및 로어 바디에 상단과 하단이 고정되는 가스켓을 포함하며, 상기 어퍼 바디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로어 바디가 승강하면서 상기 가스켓이 선택적으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뚜껑이 상기 용기의 내측면에 가압 구속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블렌더 용기는, 용기와; 용기의 개구된 상면에 삽입되는 뚜껑과; 상기 뚜껑의 둘레에 구비되는 가스켓;을 포함하며, 상기 뚜껑이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가스켓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용기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 용기는 용기와; 용기의 개구된 상면에 삽입되는 뚜껑과; 상기 뚜껑의 둘레에 구비되는 가스켓;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뚜껑의 회전 조작시 상기 가스켓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뚜껑과 용기의 내측면 사이를 보다 기밀 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 용기는, 상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식품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모터 어셈블리가 구비된 블렌더 본체에 안착되는 용기; 상기 용기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용기의 안착시 상기 모터 어셈블리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블레이드 모듈; 및 상기 용기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뚜껑은, 상기 용기에 안착되며, 상기 용기 내부와 연통되도록 개구된 관통구가 형성되는 메인 뚜껑; 상기 메인 뚜껑의 둘레에 구비되며, 상기 용기의 내측면과 접하는 가스켓; 및 상기 관통구에 삽입되어 상기 관통구를 차폐하며, 상기 메인 뚜껑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보조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 뚜껑은 상기 관통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메인 뚜껑과 결합되어 상기 메인 뚜껑과 함께 회전 조작되며, 상기 보조 뚜껑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가스켓이 돌출되어 상기 용기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관통구의 내측에는 회전 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보조 뚜껑의 둘레에는 상기 구속 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보조 뚜껑을 구속하는 회전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돌기와 회전 홈은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개의 상기 회전 돌기 및 회전 홈들은 각각 서로 반대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 홈은 상기 보조 뚜껑의 외측면 하단에서부터 개구되며, 상기 보조 뚜껑의 삽입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돌기는 상기 관통구의 하단에서 상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돌기에는 내측으로 더 돌출되어 상기 회전 홈의 내측에 걸림 구속되는 뚜껑 구속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뚜껑의 둘레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뚜껑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의 상단에는 상기 뚜껑 리브가 안착되는 리브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뚜껑 리브가 상기 리브 안착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 뚜껑의 상면은 상기 메인 뚜껑의 상면보다 상방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회전 홈의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뚜껑 리브에는 상기 용기 내부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벤트 홀이 개구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뚜껑의 둘레에는 상기 벤트 홀과 연통되도록 함몰되며, 상기 보조 뚜껑의 하면에 개구되어 상기 용기 내부의 공기를 상기 벤트 홀로 안내하는 에어 벤트가 형성되며, 상기 에어 벤트는 상기 벤트 홀과 수직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뚜껑은, 상기 메인 뚜껑의 상부를 형성하는 어퍼 바디; 상기 메인 뚜껑의 하부를 형성하며, 상기 어퍼 바디와 서로 회전 및 상하 상대 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로어 바디; 및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로어 바디와 어퍼 바디 사이에 구비되는 가스켓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스켓은, 상기 상단이 상기 가스켓 고정부재의 둘레에 구속되고, 하단이 상기 로어 바디의 둘레에 구속되어 상기 로어 바디의 승강에 따라 압축 또는 신장될 수 있다.
상기 어퍼 바디의 내측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승강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로어 바디의 외측면에는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어퍼 바디의 회전시 상기 승강 돌기를 안내하여 상기 로어 바디를 승강시키는 승강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 돌기와 승강 가이드는 각각 복수개가 형성되며, 각각의 승강 돌기와 승강 가이드는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 가이드는, 상기 로어 바디의 둘레를 따라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승강 돌기의 하방 이동을 구속하는 상부 구속부; 및 상기 경사부의 하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강 돌기의 상방 이동을 구속하는 하부 구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 가이드는, 상기 로어 바디의 둘레를 따라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상단에서 상기 로어 바디 상면과 수평하게 연장되는 상부 수평부; 및 상기 경사부의 하단에서 상기 로어 바디 상면과 수평하게 연장되는 하부 수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 가이드의 양단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사이드 리브와 제 2 사이드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사이드 리브에는 상기 승강 돌기가 출입되도록 개구된 리브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사이드 리브의 측방에는 상기 로어 바디의 상단에 개구되며, 상기 리브 개구와 연통되어 상기 어퍼 바디와 로어 바디의 조립시 상기 승강 돌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돌기 이동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 고정부재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어퍼 바디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어퍼 바디의 외측면에는 상기 메인 뚜껑의 둘레면 외관을 형성하는 대코 플레이트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 고정부재는, 상기 어퍼 바디의 둘레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 뚜껑의 둘레면을 형성하는 고정부재 둘레부;와 상기 고정부재 둘레부의 하단에서 상기 어퍼 바디를 지지하며, 상기 가스켓의 상단이 고정되는 고정부재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은, 상방으로 연장되며, 연장된 단부가 상기 가스켓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가스켓 상부와; 상기 가스켓 상부의 다른 일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연장된 단부가 상기 로어 바디의 단부에 결합되는 가스켓 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 바디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스켓 상부와 가스켓 하부가 연결되는 중앙부의 돌출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의 내측면에는 상기 중앙부와 대응하는 위치를 따라서 함몰되는 가스켓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은, 상기 가스켓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가스켓 상부; 상기 가스켓 상부의 하방에 위치되며, 상기 로어 바디에 결합되는 가스켓 하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스켓 상부와 가스켓 하부의 단부를 연결하는 중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의 내측면에는 상기 중앙부를 따라 함몰되어 상기 가스켓의 압축시 상기 중앙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가스켓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의 내측면에는 상기 중앙부의 상단과 하단을 따라 함몰되는 한쌍의 보조 가스켓 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스켓 홈은 상기 한쌍의 보조 가스켓 홈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의 외측면은 신장 상태에서 상기 메인 뚜껑의 둘레면과 같거나 더 내측에 위치되고, 압축 상태에서 상기 메인 뚜껑의 둘레면 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은 신장 상태에서 상기 용기의 내측 벽면과 이격되고, 압축 상태에서 상기 용기의 내측 벽면에 밀착되도록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 용기 뚜껑은, 블렌더에 안착되는 용기의 개구된 상면을 개폐하는 블렌더 용기 뚜껑에 있어서, 상기 블렌더 용기 뚜껑의 상부를 형성하는 어퍼 바디; 상기 어퍼 바디의 상면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상기 어퍼 바디의 회전을 위해 조작하는 손잡이; 상기 어퍼 바디의 하방에서 상기 어퍼 바디와 결합되며, 상기 어퍼 바디의 회전에 따라 승강되는 로어 바디; 상기 로어 바디와 어퍼 바디 사이에 구비되는 가스켓 고정부재; 및 상단이 상기 가스켓 고정부재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로어 바디에 고정되는 가스켓;을 포함하며, 상기 가스켓은 상기 로어 바디의 승강에 따라 돌출되어 상기 용기의 내측면에 가압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어퍼 바디에는 상기 용기의 내측과 연통되는 관통구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관통구에 삽입되어 상기 관통구를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어퍼 바디의 내측면에 돌출되는 승강 돌기; 상기 로어 바디의 외측면을 따라 경사지게 연장되며, 상기 어퍼 바디의 회전시 상기 승강 돌기가 접촉 상태로 이동하여 상기 로어 바디를 승강시키는 승강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 용기 및 블렌더 용기 뚜껑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뚜껑은 사용자의 간단한 회전 조작에 의해서 가스켓이 용기의 내측과 선택적으로 밀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보조 뚜껑이 회전 조작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뚜껑은 상기 용기와 밀착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용기와 용이하게 분리 및 장착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의 상면에 상기 뚜껑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보조 뚜껑을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상기 가스켓이 돌출되어 상기 용기와 뚜껑이 견고하게 기밀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뚜껑을 이용한 용기의 기밀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사용 편의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의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상기 용기의 외측에 부가되는 구성 없이, 상기 용기의 내측에 장착되는 뚜껑의 가스켓이 선택적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용기와 뚜껑의 사이가 기밀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용기의 외관이 보다 간결하게 할 수 있으며, 뚜껑 구속 구조에 의해 외관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동시에, 상기 용기에 별도에 구속 구조를 구비하지 않으면서도 상기 뚜껑의 가스켓의 선택적인 돌출에 의해 상기 용기와 뚜껑의 사이의 기밀 및 뚜껑의 고정을 보장할 수 있게 되어 외관의 개선과 함께 뚜껑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상기 뚜껑의 상면에 형성된 손잡이의 회전 조작을 통해 상기 가스켓이 선택적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작을 위한 부가적인 구성없이 상기 뚜껑의 선택적인 기밀을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뚜껑은 상기 용기를 개폐하는 메인 뚜껑과, 상기 메인 뚜껑의 관통구를 차폐하는 보조 뚜껑으로 구성되며, 상기 보조 뚜껑은 상기 관통구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가스켓의 선택적인 돌출 조작을 위해 상기 메인 뚜껑의 어퍼 바디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보조 뚜껑은 상기 관통구의 개폐를 통한 상기 용기로의 접근이 가능하고, 동시에 상기 어퍼 바디를 회전시킬 수 있는 손잡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뚜껑의 구조가 간결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가스켓은 가스켓 고정부재와 로어 바디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어퍼 바디의 회전시 상기 로어 바디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가스켓이 신장되거나 압축되어 상기 뚜껑의 외측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뚜껑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어퍼 바디의 간단한 회전 조작으로 상기 가스켓이 상기 용기의 내측면에 가압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뚜껑과 용기 사이의 기밀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가스켓은 상단과 하단의 사이에는 중앙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와 대응하는 상기 가스켓의 내측면을 따라서 가스켓 홈이 형성되어 상기 가스켓의 압축시 상기 가스켓의 중앙부가 보다 용이하게 돌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상기 뚜껑의 가압 밀착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뚜껑을 구성하는 어퍼 바디와 로어 바디는 별도의 스크류 결합이나 접착 구조 없이 승강 돌기와 승강 가이드에 의한 구속 구조를 가지며, 상기 승강 돌기는 리브 개구와 돌기 이동 통로를 출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어퍼 바디와 로어 바디의 분리가 용이하게 된다. 더불어, 가스켓을 고정하는 가스켓 고정부재 또한 별도의 스크류 결합이나 접착 구조 없이 단순 지지에 의한 조립 구조를 가짐으로써 용이한 분리와 교체가 가능하게 되어 서비스 성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특히, 회전 조작되고 승강되는 메인 뚜껑의 구조의 특성상 어퍼 바디와 로어 바디 및 가스켓 사이에 이물질이 끼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으나, 상기 어퍼 바디와 로어 바디 및 가스켓 고정부재는 쉽게 분리결합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사용상 편의성은 물론 청소 및 위생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기대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블렌더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블렌더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블렌더의 일 구성인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블렌더의 일 구성인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7-7'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뚜껑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뚜껑을 구성하는 메인 뚜껑과 보조 뚜껑이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메인 뚜껑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8의 11-11' 절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A부 확대도이다.
도 13은 상기 메인 뚜껑을 구성하는 어퍼 바디와 로어 바디가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상기 로어 바디의 승강 가이드를 보인 부분 확대 도면이다.
도 15는 상기 뚜껑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상기 어퍼 바디와 로어 바디의 결합시 승강 돌기의 이동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7은 상기 어퍼 바디의 회전에 따른 상기 승강 돌기의 이동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8은 상기 어퍼 바디의 정회전에 의해 상기 가스켓과 용기의 내측면이 이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상기 어퍼 바디의 역회전에 의해 상기 가스켓과 용기의 내측면이 밀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뚜껑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상기 뚜껑의 어퍼 바디와 로어 바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는 상기 로어 바디의 승강 가이드를 보인 투시도이다.
도 23는 상기 어퍼 바디의 정회전에 의해 상기 어퍼 바디와 로어 바디가 멀어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B부 확대도이다.
도 25는 상기 어퍼 바디의 역회전에 의해 상기 어퍼 바디와 로어 바디가 가까워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C부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블렌더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블렌더의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블렌더의 일 구성인 본체의 사시도이다.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먼저 방향을 정의한다. 노브(40)가 형성되는 위치를 전면 또는 전방이라 하고, 리어 플레이트(도 3에서 34)가 배치되는 부분을 후면 또는 후방이라 정의한다. 그리고, 본체(30)의 바닥의 위치를 하면 또는 하방이라 하고, 용기(10)의 상단의 위치를 상면 또는 상방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브(40)를 기준으로 좌측을 좌측면 또는 좌측방이라 할 수 있으며, 상기 노브(40)를 기준으로 우측을 우측면 또는 우측방이라 정의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1)는, 바닥면에 배치되는 본체(30)와, 상기 본체(30)의 상부에 안착되는 용기(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30)는 상기 블렌더(1)의 동작을 위한 모터 어셈블리(50) 및 피시비 모듈(60)을 비롯한 전기 장치와 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렌더(1)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40,310b)와 동작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310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30)는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30)의 상면에는 상기 용기(10)가 안착되기 위한 용기 안착부(30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 안착부(301)는 상기 용기(10)가 상하 방향으로 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30)의 외관은 아우터 케이스(31)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우터 케이스(31)는 하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내부에는 이너 케이스(3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에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와 피시비 모듈(60) 등이 장착되는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본체(30)의 내부 및 전체적인 구조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외측에 아우터 케이스(31)가 장착되어 상기 본체(3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32)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되어 상기 본체(30)의 내부 및 외부의 구성들이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케이스(31)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판상의 소재가 절곡 및 접합되어 매우 깔끔하고 견고한 외관 형상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본체(3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블렌더(1)의 조작을 설정하기 위한 노브(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브(40)는 상기 본체(30)의 전면에서 돌출되며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블렌더(1)의 동작을 조작 및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본체(30)의 하면에는 바텀 커버(7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텀 커버(74)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31) 및 이너 케이스(32)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블렌더(1)가 설치되는 바닥면과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텀 커버(74)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31) 및 이너 케이스(32)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본체(30)의 내부와 외부로 냉각 공기가 흡입 및 토출되는 커버 흡입구(744)와 커버 토출구(746)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30)의 상면에는 상기 블렌더(1)의 동작 상태를 가시화시키기 위한 표시부(310a)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표시부(310a)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7 세그먼트(seven-segment display)와 같은 형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30)의 상면에는 상기 블렌더(1) 동작의 시작 또는 정지를 조작할 수 있는 터치 조작부(310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블렌더(1)의 조작을 위해 상기 조작부(40,310b)는 상기 노브(40)와 터치 모듈(6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30)의 상면에는 안착부(301)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상면에는 상면 개구(3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면 개구(311)는 상기 용기 안착부(301)의 외경과 같거나 다소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너 케이스(32)와 아우터 케이스(31)의 결합시 상기 용기 안착부(301)를 형성하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상부가 상기 상면 개구(311)를 관통하여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용기 안착부(301)는 본체(30)의 상면에서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 안착부(301)의 일부가 상기 용기(10)의 하면에 삽입되어 상기 용기(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상기 용기(10)가 안착되면,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와 상기 용기(10) 내부의 블레이드 모듈(14)은 서로 결합되어 상기 블레이드 모듈(14)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용기 안착부(301) 또한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와 동일한 소재로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 안착부(301)는 금속 소재 또는 금속 질감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외관과 전체적으로 일체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용기 안착부(301)는 상하 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 1 안착부(324)와 상기 제 2 안착부(3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안착부(325)는 상기 제 1 안착부(324)보다 더 작은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안착부(325)는 상기 제 1 안착부(324)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상기 용기 결합부(103)가 수용될 수 있는 삽입 공간(325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 공간(325a)의 내측면에는 결합 지지부(325b) 및 용기 결합 홈(325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지지부(325b)는 상기 제 2 안착부(325)의 내측 둘레면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10)의 장착시 상기 용기 결합부(103)의 외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결합 지지부(325b)는 다수개가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이웃하는 결합 지지부(325b)의 사이에 상기 가이드 결합홈(325c)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10)가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장착되면, 상기 용기 결합부(103)는 상기 가이드 결합홈(325c)에 의해 정렬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 지지부(325b)는 상기 용기 결합부(103)의 외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용기(10)가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장착된 상태에서 견고한 장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10)는 장착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으며 안정적인 동작이 보장될 수 있다.
상기 용기 안착부(301) 하방의 상기 본체(30) 내부에는 모터 어셈블리(5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50)는 상기 용기(10) 내부의 블레이드 모듈(14)의 회전을 위한 것으로 고속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 어셈블리(50)는 상기 노브(40)의 조작에 따라서 회전 속도의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의 상단은 상기 용기(10) 내부의 블레이드 모듈(14)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의 하단에는 쿨링 팬(55)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의 구동시 상기 블레이드 모듈(14)과 동시에 회전하여 상기 본체(30) 내부의 냉각 공기의 유동을 강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30)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32)의 내측 벽면에는 다수의 피시비 모듈(6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 모듈(60)은 다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본체(30)의 내측면 둘레 즉, 전면과 후면 및 좌우 양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구된 하면은 베이스 플레이트(71)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에는 상기 쿨링 팬(55)에 의해 흡입된 냉각 공기의 토출을 안내하기 위한 에어 가이드(7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와 바텀 커버(74)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와 상기 바텀 커버(74)의 사이에는 무선 전력 모듈(7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모듈(73)은 유도 기전력을 이용한 무선 방식으로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용기(10)는 상기 용기 안착부(301)의 외경과 대응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식품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용기(10)는 유리 또는 유리와 같이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용기(10)는 투명하면서도 충격에 강하고 흠집이 잘 나지 않는 트라이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10)는 자(jar)라 부를 수 있으며, 상기 용기(10)와 뚜껑(20)을 포함하여 블렌더 용기(container)라 부를 수 있다.
상기 용기(10)는 내측 하면의 중앙에 블레이드 모듈(1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모듈(14)은 다수의 블레이드(141)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10)가 상기 본체(3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50)가 구동되면, 상기 블레이드(141)는 회전되어 상기 용기(10) 내부의 식품을 분쇄 또는 절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10)의 내부에는 회전되는 식품을 가이드 하기 위한 이너 가이드(121)가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가이드(121)는 상기 용기(10)의 내측면 하단에서 상방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뚜껑(20)의 장착시 상기 뚜껑(20)의 하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기(10)의 상단에는 분쇄된 식품을 따를 수 있는 주둥이(111,spout)가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주둥이(111)와 마주보는 일측에는 손잡이(1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3)는 상기 용기(10)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후 하방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상기 용기(10)를 들어올리거나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손잡이(13)의 돌출된 단부는 상기 본체(30)의 측단과 동일 연장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에는 뚜껑(2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뚜껑(20)은 상기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뚜껑(20) 중앙의 보조 뚜겅(21)을 잡고 상기 뚜껑(20)을 상기 용기(10)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뚜껑(20)은 상기 용기(10) 상면을 차폐하는 메인 뚜껑(27)과, 상기 메인 뚜껑(27) 중앙의 보조 뚜껑(2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20)의 둘레를 따라 뚜껑 가스켓(24)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용기(10)의 구조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상기 블렌더의 일 구성인 용기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5의 7-7'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용기(10)는 상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10)의 하면에는 블레이드 모듈(14)이 장착되고, 상기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에는 상기 뚜껑(20)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용기(10)는 상기 블렌더(1)의 동작 중 내부의 식품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유리, 트라이탄, 투명 플라스틱과 등과 같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10)는 외부 형상을 형성하는 아우터 컨테이너(11)와, 식품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컨테이너(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 컨테이너(12)와 아우터 컨테이너(11)는 서로 결합되어 상기 용기(10)의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용기(10)가 이중 벽 구조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이너 컨테이너(12)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와 이격되어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와 이너 컨테이너(12)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너 컨테이너(12)는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질 수 있다. 상기 이너 컨테이너(12)의 하부는 상기 블레이드 모듈(14)을 향하여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용기(10)의 내부 식품이 상기 블레이드 모듈(14)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너 컨테이너(12)의 상단은 하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경사면(122)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에 상기 뚜껑(20)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너 컨테이너(12)와 점진적으로 보다 밀착되면서 기밀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이너 컨테이너(12) 상단의 경사면은 상기 용기(10)의 상단에서 이너 가이드(121)의 상단까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10)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컨테이너(12)의 내측면에는 상기 이너 가이드(1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가이드(121)는 상기 경사면(122)에서 상기 이너 컨테이너(12)의 바닥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는 상단과 하단의 외경이 같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10)의 외관이 깔끔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의 외경은 상기 용기 안착부(301)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용기(10)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본체(30)와 상기 용기(10)가 일체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의 하면에는 본체 수용부(10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 수용부(102)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의 하면에서 상방으로 함몰된 공간을 형성하며, 아래에서 설명할 제 2 안착부(325)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본체 수용부(102)와 상기 제 2 안착부(325)의 결합에 의해 상기 용기(10)는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의 하면 중앙에는 블레이드 모듈(14)이 장착되는 용기 결합부(10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 결합부(103)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의 내측면과 상기 본체 수용부(102)의 내측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용기 결합부(103)는 상기 용기(10)의 바닥면 중앙을 중심으로 하며, 하방으로 연장되는 리브 형상으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 결합부(103)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의 하단보다 더 하방으로 연장되지 않으며, 상기 용기(10)의 중앙에 상기 블레이드 모듈(14)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 결합부(103)의 내부는 상기 용기가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안착될 때 상기 용기 안착부(301) 내측과 서로 형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10)의 하면 둘레에는 하단 지지부(10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단 지지부(104)는 상기 용기 결합부(103)의 둘레와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하단 지지부(104)와 상기 용기 결합부(103)의 사이에 상기 본체 수용부(10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 수용부(102)는 내측에 상기 용기 안착부(301)의 상단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하단 지지부(104)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가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10)의 하단 둘레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단 지지부(104)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가 절곡되는 형상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단 지지부(104)의 하단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단차진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단 지지부(104)의 외측면은 상기 용기 안착부(301)의 외측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10)가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10)와 상기 본체(30)는 일체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단 지지부(104)는 상기 용기 결합부(103)의 하단보다 더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10)가 상기 본체(30)에 완전히 장착되기 전에 상기 용기 결합부(103)가 상기 용기 안착부(301)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10)가 분리된 상태에서 바닥에 놓여지게 될 때 상기 용기 결합부(103)는 바닥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하단 지지부(104)가 바닥에 접하여 상기 용기(10)가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단 지지부(104)에는 에어 벤트(104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벤트(104a)는 상기 용기(10)와 안착부(301)가 서로 결합 또는 분리될 때 상기 용기(10)의 하면과 상기 용기 안착부(301)의 상면 사이의 공기가 출입되는 통로를 형성하여 상기 용기(10)가 용이하게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장착 및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기(10)의 하면에는 중앙에는 상기 블레이드 모듈(1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모듈(14)은 상기 용기(10) 내부 공간(101)에 수용된 식품을 분쇄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블레이드(141)와, 블레이드 샤프트(142), 샤프트 마운팅 부재(143)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141)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며, 다수개가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블레이드 샤프트(142)를 축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141)는 상기 블레이드 샤프트(142)를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블레이드(141)의 연장 방향과 절곡 각도 및 형상은 각각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다양한 식품의 분쇄, 절단 및 식품을 가루로 만들거나 액체와 같이 상태로 만드는데 모두 적합하도록 다양한 형상의 블레이드(141)가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샤프트(142)는 상기 샤프트 마운팅 부재(143)를 관통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샤프트 마운팅 부재(143)을 구성하는 베어링(143a)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143a)은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블레이드 샤프트(142)가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 마운팅 부재(143)는 상기 용기(10)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샤프트(142)의 상단에는 상기 블레이드(141)의 분리를 방지하고, 상기 블레이드(141)가 상기 블레이드 샤프트(142)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블레이드 구속부재(142a)가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 샤프트(142)의 하단에는 블레이드측 연결부(14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측 연결부(144)는 상기 용기(10)의 바닥면 중앙에서 노출될 수 있으며,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10)가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장착될 때에 모터측 연결부(54)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의 동력이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기(10)의 바닥면에는 상기 용기 결합부(10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 결합부(103)의 내측에는 마운팅 커버(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커버(15)는 상기 용기(10)가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장착될 때, 상기 모터측 연결부(54)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151)을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마운팅 커버(15)의 중앙은 상기 샤프트 마운팅 부재(143)가 관통되도록 개구될 수 있으며, 상기 마운팅 커버(15)의 하면 중앙을 통해 상기 블레이드측 연결부(144)가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측 연결부(144)의 둘레와 대응되는 상기 마운팅 커버(15)의 중앙부는 함몰되어 상기 모터측 연결부(54)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10)가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모터측 연결부(54)와 블레이드측 연결부(144)는 서로 간섭되지 않고 자연스럽게 서로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 뚜껑은 상기 용기의 개구된 상면을 개폐할 수 있으며,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용기의 둘레면과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뚜껑(20)은 상기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 메인 뚜껑(27)과, 상기 메인 뚜껑(27) 중앙을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보조 뚜껑(2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20)의 둘레에는 상기 용기(10)의 내측면과 접하여 상기 용기(10) 내부를 기밀시키는 뚜껑 가스켓(24)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뚜껑(20)이 상기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을 통해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뚜껑(20)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뚜껑 가스켓(24)은 상기 용기의 경사면(122)과 접하면서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 가스켓(24)은 상기 용기(10)의 내측면에 가압 밀착되어 상기 뚜껑(20)이 상기 용기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뚜껑(20)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뚜껑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상기 뚜껑을 구성하는 메인 뚜껑과 보조 뚜껑이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상기 메인 뚜껑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도 8의 11-11' 절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도 11의 A부 확대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뚜껑(20)은 전체적으로 상기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20)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10)의 상단과 상기 용기(10)의 상면은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뚜껑(20)은 메인 뚜껑(27)과 보조 뚜껑(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뚜껑(27)은 상기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을 실질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 뚜껑(21)은 상기 메인 뚜껑(27)을 관통하는 관통구(223)를 개폐하는 것으로 캡 또는 마개라 부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 뚜껑(21)은 상기 어퍼 바디(22)를 회전 시키기 위한 조작시 사용자가 잡고 돌리는 부분이므로 손잡이라 부를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메인 뚜껑(27)에 의해 상기 용기(10) 상면이 차폐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보조 뚜껑(21)을 분리하여 상기 관통구(223)를 차폐하고, 상기 용기(10)의 내부로 접근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뚜껑(27)은 상기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의 내경과 대응하는 외경을 가지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뚜껑(27)은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메인 뚜껑(27)의 내측면과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뚜껑(27)의 중앙에는 관통구(2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구(223)는 상기 메인 뚜껑(27)의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도록 상기 관통구(223)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뚜껑(21)은 상기 메인 뚜껑(27)의 중앙의 상기 관통구(223)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보조 뚜껑(21)을 잡고 상기 메인 뚜껑(27)을 개폐하는 조작을 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뚜껑(27)은 상부 외관을 형성하는 어퍼 바디(22)와, 상기 어퍼 바디(22)의 하방에 구비되어 상기 뚜껑(20)의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로어 바디(2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뚜껑(27)은, 상기 뚜껑(20)의 둘레 외관을 형성하는 데코 플레이트(26)와, 상기 뚜껑(20)과 상기 용기(10)의 사이를 기밀시키는 가스켓(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어퍼 바디(22)는 상면 외관을 형성하며, 중앙에 상기 관통구(223)가 개구되는 탑 플레이트(221)와, 상기 관통구(223)의 내주면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는 어퍼 이너(226)와, 상기 탑 플레이트(221)의 외측 둘레를 따라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어퍼 아우터(2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탑 플레이트(221)는 상기 메인 뚜껑(27)의 상면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뚜껑(20)의 외부로 노출되는 외관의 대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이너(226)는 상기 탑 플레이트(221)로부터 수직하게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어퍼 이너(226)의 상단 즉, 상기 관통구(223)의 상단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아래에서 설명할 상기 뚜껑 리브(213)가 안착될 수 있도록 관통구 안착부(227)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이너(226)의 내측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회전 돌기(2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돌기(224)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어퍼 이너(226)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돌기(224)는 아래에서 설명할 보조 뚜껑(21)의 회전 홈(215)에 삽입 가능한 형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돌기(224)에는 내측으로 더 돌출된 뚜껑 구속부(224a)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뚜껑 구속부(224a)는 상기 회전 홈(215)의 내측에 걸림 구속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따라서 상기 보조 뚜껑(21)을 상방으로 들어올리게 될 때 상기 뚜껑 구속부(224a)가 상기 회전 홈(215)의 내측에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메인 뚜껑(27)이 함께 들어 올려질 수 있다. 물론, 일정한 크기 이상의 힘으로 상기 보조 뚜껑(21)을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회전 돌기(224)는 상기 회전 홈(215)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메인 뚜껑(27)과 보조 뚜껑(21)이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돌기(224)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돌기(224)는 상기 회전 홈(215)과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 뚜껑(21)이 상기 관통구(223)에 장착될 때 상기 회전 홈(215)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이너(226)는 상기 로어 바디(23)의 하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어퍼 이너(226)의 하단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이너 하단부(22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하단부(228)는 내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 뚜껑(21)의 하부 둘레에 형성된 기밀부(216)의 경사진 면과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 뚜껑(21)과 상기 메인 뚜껑(27)의 사이가 서로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블레이드 모듈(14)의 동작시 상기 용기(10) 내부의 식품이 외부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어퍼 아우터(225)는 상기 탑 플레이트(221)의 외측단에서 다소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탑 플레이트(221)의 둘레를 따라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아우터(225)는 상기 탑 플레이트(221)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로어 바디(23)와 이격된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어퍼 이너(226)의 내측에는 상기 어퍼 바디(22)의 회전시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할 승강 가이드(238)를 따라 이동되는 승강 돌기(도 13에서 229)가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승강 돌기(229)는, 상기 승강 가이드(238)와 대응하는 상기 어퍼 아우터(225)의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승강 돌기(229)는 상기 어퍼 아우터(225)의 내측면에 한쌍이 구비될 수 있으며,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 가이드(238)는 상기 승강 돌기(229)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 돌기(229)와 마주보는 상기 로어 바디(23)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 돌기(229)는, 상기 어퍼 아우터(225)의 내측 상단에서 하단까지 길게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 돌기(229)는 상기 어퍼 아우터(225)의 내측면에서 상기 승강 가이드(238)와 접촐될 수 있도록 수직하게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승강 돌기(229)의 하단에는 더 돌출된 접촉부(229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229a)는 상기 승강 돌기(229)의 하단 즉, 상기 어퍼 아우터(225)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승강 가이드(238)의 하면과 접하도록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어퍼 바디(22)의 회전시 상기 접촉부의 상면은 상기 승강 가이드(238)의 하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 가이드(238) 또한 상기 승강 돌기(229)와 마찬가지로 한쌍이 구비될 수 있으며,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승강 가이드(238) 및 승강 돌기(229)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지만, 상기 어퍼 바디(22)의 안정적인 회전과 상기 로어 바디(23)와의 상대적인 승강 운동을 위해서는 복수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서로 마주보는 양측에 한쌍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어퍼 아우터(225)의 둘레에는 다수의 서포트 리브(22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 리브(226)는 상기 어퍼 아우터(225)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되며, 상기 어퍼 아우터(225)의 외측면에서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 리브(226)는 상기 어퍼 아우터(225)에 장착되는 데코 플레이트(26)를 내측에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금속 판으로 된 상기 데코 플레이트(26)가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상기 서포트 리브(226)는 상기 탑 플레이트(221)의 외주면 보다 상기 데코 플레이트(26)의 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코 플레이트(26)는 상기 어퍼 아우터(225)와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데코 플레이트(26)는 상기 서포트 리브(226)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어퍼 바디(22)의 둘레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데코 플레이트(26)는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판상으로 된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데코 플레이트(26)는 상기 어퍼 바디(22)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부(261)와 상기 측면부(261)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가스켓(24)과 접하는 하면부(262)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부(261)의 상단은 상기 탑 플레이트(221)의 외측단 하면에 형성된 어퍼 플레이트 홈(211a)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면부(262)의 외측단은 상기 어퍼 아우터(225)의 하단에 형성된 로어 플레이트 홈(225a)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데코 플레이트(26)는 상기 어퍼 바디(22)의 둘레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어퍼 바디(22) 즉, 상기 메인 뚜껑(27)의 둘레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어퍼 바디(22)의 하단에는 가스켓 고정부재(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 고정부재(25)는 상기 어퍼 바디(22)의 하단 즉, 상기 어퍼 아우터(225)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가스켓(24) 상단이 고정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가스켓 고정부재(25)는 상기 어퍼 아우터(225)의 하단을 따라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어퍼 아우터(225)의 하단에 단차지게 형성된 고정부재 장착부(225b)를 지지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스켓 고정부재(25)는 상기 어퍼 아우터(225)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스켓(24)이 장착된 상태의 가스켓 고정부재(25)는 상기 어퍼 바디(22)를 하방에서 지지하며, 상기 어퍼 바디(22)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어퍼 바디(22)가 회전 조작되면 상기 가스켓 고정부재(25)는 그대로 위치를 유지하고 어퍼 바디(22)만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24)은 상기 뚜껑(20)의 둘레 하단에 배치되며,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24)은 중앙부(243)가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돌출된 중앙부(243)가 상기 용기(10)의 내측면과 접하여 상기 용기(10)와 뚜껑(20)의 사이를 기밀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24)은 중앙을 기준으로 가스켓 상부(241)와 가스켓 하부(24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 상부(241)와 가스켓 하부(242)의 단부는 각각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 상부(241)의 연장된 단부는 상기 가스켓 고정부재(25)의 상부 고정홈(25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스켓 하부(242)의 연장된 단부는 로어 바디(23)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 고정홈(237)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어퍼 바디(22) 또는 상기 로어 바디(23)가 상하 이동하게 됨에 따라서 상기 가스켓 상부(241)와 가스켓 하부(242)는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되며, 상기 가스켓(24)의 중앙부는 선택적으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로어 바디(23)가 가장 상방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가스켓(24)의 돌출된 중앙부(243)가 가장 외측으로 돌출되며, 이때에는 상기 용기(10)의 내측면과 상기 가스켓(24)은 완전히 서로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고 상기 뚜껑(20)이 상기 용기(10)로부터 분해되지 않도록 한다. 반면에, 상기 도 12의 상태에서 상기 어퍼 바디(22)가 회전하여 상기 로어 바디(23)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가스켓(24)의 중앙부(243)는 상대적으로 덜 돌출되며, 이때에는 상기 용기(10)의 내측면과 상기 가스켓(24)은 서로 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뚜껑(20)을 상기 용기(10)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스켓(24)의 중앙부(243)와 대응하는 내측면에는 가스켓 홈(24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 홈(244)은 상기 가스켓 상부(241)와 가스켓 하부(242)가 서로 만나는 지점에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스켓 홈(244)은 상기 가스켓 상부(241)와 가스켓 하부(242)의 사이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가스켓(24)이 보다 쉽게 상하방향으로 압축되고 상기 중앙부(243)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로어 바디(23)는 상기 어퍼 바디(22)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관통구(223)와 대응하는 중앙이 개구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바디(23)는 상기 어퍼 바디(22)의 함몰된 내측 공간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로어 바디(23)는 상기 로어 바디(23)의 상면을 형성하는 로어 플레이트(231)와, 상기 로어 플레이트(231)의 내측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로어 이너(232) 그리고, 상기 로어 플레이트(231)의 외측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로어 아우터(2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어 플레이트(231)와 로어 이너(232) 및 로어 아우터(235)는 상기 어퍼 바디(22)의 탑 플레이트(221)와 어퍼 이너(226) 및 어퍼 아우터(225)가 형성하는 공간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바디(22)와 로어 바디(23)가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어 플레이트(231)는 상기 탑 플레이트(221)와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이너(232) 및 로어 아우터(235)는 상기 어퍼 이너(226) 및 어퍼 아우터(225)보다 더 하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이너(232)는 상기 로어 플레이트(231)의 내측단을 따라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어퍼 이너(226)와 나란히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이너(232)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연장되는 이너 지지부(23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지지부(234)는 상기 로어 이너(232)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되며, 상기 이너 하단부(228)가 상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어퍼 바디(22)가 가장 낮아진 위치에서 상기 이너 하단부(228)가 상기 이너 지지부(234)에 안착되어 더이상 하방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상기 로어 아우터(235)는 상기 로어 플레이트(231)의 외측단을 따라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로어 아우터(235)는 상기 어퍼 아우터(225)와 나란히 배치되며, 상기 어퍼 아우터(225)보다 더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아우터(235)의 연장된 단부에는 아우터 지지부(23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지지부(236)는 상기 로어 아우터(235)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되며,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스켓 고정부재(25)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아우터 지지부(236)의 돌출된 단부는 상기 가스켓 고정부재(25)의 외측단과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지지부(236)의 돌출된 단부에는 상기 가스켓 하부(242)가 삽입 고정되는 하부 고정홈(237)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어퍼 바디(22)와 로어 바디(23)가 가장 가까워진 상태, 즉, 상기 어퍼 바디(22)가 가장 낮은 위치에서는 상기 이너 지지부(234)는 상기 이너 하단부(228)를 하방에서 지지하고, 상기 아우터 지지부(236)는 상기 가스켓 고정부재(25)를 하방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어퍼 바디(22)와 상기 로어 바디(23)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상기 승강 가이드(238)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3은 상기 메인 뚜껑을 구성하는 어퍼 바디와 로어 바디가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상기 로어 바디의 승강 가이드를 보인 부분 확대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로어 바디(23)의 외측면에는 승강 가이드(23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 가이드(238)는 상기 로어 아우터(235)의 외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승강 가이드(238)는 상기 승강 돌기(229)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로어 아우터(235)의 둘레를 따라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승강 가이드(238)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연장된 양단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승강 가이드(238)는 일단에서 연장될 수록 점점 높아지거나 낮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 가이드(238)의 양단에는 경사지지 않고 상기 메인 뚜껑(27)의 상면 또는 하면과 수평한 상태의 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승강 가이드(238)는 하부 수평부(238a)와 경사부(238b) 그리고 수평부(238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238b)는 상기 승강 돌기(229)가 접촉 상태로 이동되면서 상기 어퍼 바디(22)와로어 바디(23))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승강 가이드(238)의 대부분의 구간에 걸쳐 형성되며, 적어도 하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어퍼 바디(22)와로어 바디(23))는 상기 가스켓(2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스켓(2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어퍼 바디(22)는 상기로어 바디(23)와 항상 떨어진 상태를 유지하고자 하며, 따라서 상기 승강 돌기(229)는 상기 승강 가이드(238)의 하면과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어퍼 바디(22)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승강 돌기(229)는 상기 경사부(238b)를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어퍼 바디(22)와 상기 로어 바디(23)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고 그에 따라 상기 가스켓(24)의 돌출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승강 가이드(238)의 양단 중 낮은 일측단에는 하부 수평부(238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수평부(238a)는 상기 승강 가이드(238)의 낮은 일측단에서 상기 메인 뚜껑(27)의 상면 또는 하면과 수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 돌기(229)가 상기 하부 수평부(238a)에 위치되는 상태에서 상기 어퍼 바디(22)와로어 바디(23)는 가장 가까워진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가스켓(24)은 외측으로 가장 돌출된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수평부(238a)의 단부에는 하부 구속부(238d)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구속부(238d)는 하방으로 돌출된 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어퍼 바디(22)의 회전에 의해 상기 경사부(238b)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되는 승강 돌기(229)는 상기 하부 구속부(238d)까지 이동된 후 상기 하부 구속부(238d)에 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어퍼 바디(22)를 더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승강 돌기(229)는 상기 하부 구속부(238d)를 넘어 상기 하부 수평부(238a)에 진입될 수 있다. 따라서, 외력을 가하기 전 까지는 상기 승강 돌기(229)는 하부 구속부(238d)에 의해 구속되어 상기 경사부(238b)로 이동되지 않고 상기 하부 수평부(238a) 상에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어퍼 바디(22)와로어 바디(23))는 서로 가장 가까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승강 가이드(238)의 양단 중 높은 일측단에는 수평부(238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238c)는 상기 승강 가이드(238)의 높은 일측단에서 상기 메인 뚜껑(27)의 상면 또한 하면과 수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 돌기(229)가 상기 하부 수평부(238a)에 위치되는 상태에서 상기 어퍼 바디(22)와로어 바디(23)는 가장 가까워진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가스켓(24)은 외측으로 가장 돌출된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부(238c)의 단부에는 상부 구속부(238e)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구속부(238e)는 하방으로 돌출된 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어퍼 바디(22)의 회전에 의해 상기 경사부(238b)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되는 승강 돌기(229)는 상기 상부 구속부(238e)까지 이동된 후 상기 상부 구속부(238e)에 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어퍼 바디(22)를 더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승강 돌기(229)는 상기 상부 구속부(238e)를 넘어 상기 수평부(238c)에 진입될 수 있다. 따라서, 외력을 가하기 전까지는 상기 승강 돌기(229)는 상부 구속부(238e)에 의해 구속되어 상기 경사부(238b)로 이동되지 않고 상기 수평부(238c) 상에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어퍼 바디(22)와로어 바디(23))는 서로 가장 멀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승강 가이드(238)의 양측단에는 제 1 사이드 리브(235a)와 제 2 사이드 리브(235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사이드 리브(235a)와 제 2 사이드 리브(235b)는 상기 로어 아우터(235)의 외측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로어 아우터(235)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사이드 리브(235a)는 상기 하부 수평부(238a)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사이드 리브(235b)는 상기 수평부(238c)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사이드 리브(235a)와 제 2 사이드 리브(235b) 및 상기 승강 가이드(238)에 의해서 상기 로어 아우터(235)의 외측면에는 함몰된 돌기 수용 공간(235f)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 돌기(229)는 상기 돌기 수용 공간(235f)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승강 가이드(238)를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 2 사이드 리브(235b)에는 상기 승강 돌기(229)가 출입될 수 있는 리브 개구(235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 개구(235c)는 상기 승강 돌기(229)의 접촉부(229a)의 상하 폭과 같거나 더 크게 개구되어 상기 승강 돌기(229)가 수평 이동 하면서 출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브 개구(235c)는 상기 제 2 사이드 리브(235b)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수평부(238c)에 위치된 상기 승강 돌기(229)가 의도하지 않게 상기 리브 개구(235c)로 빠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사이드 리브(235b)의 측방에는 제 3 사이드 리브(235d)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3 사이드 리브(235d)는 상기 어퍼 바디(22)와로어 바디(23))의 조립시 상기 승강 돌기(229)가 출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 2 사이드 리브(235b)로부터 상기 승강 돌기(229)의 두께와 같거나 더 큰 폭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사이드 리브(235d)는 상기 제 2 사이드 리브(235b)와의 사이에 돌기 이동 통로(235e)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돌기 이동 통로(235e)는 상방으로 개구될 수 있다. 상기 돌기 이동 통로(235e)를 통해 상기 승강 돌기(229)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어퍼 바디(22)와로어 바디(23))의 조립시 상기 승강 돌기(229)는 상기 돌기 이동 통로(235e)의 개구된 상방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보조 뚜껑(21)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보조 뚜껑(21)은 상면을 형성하는 뚜껑 상면부(211)와 상기 뚜껑 상면부(21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뚜껑 바디(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뚜껑 바디(210)는 상기 뚜껑 상면부(21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전체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 바디(210)는 상기 관통구(223)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구(223)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뚜껑(21)에는 뚜껑 리브(2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뚜껑 리브(213)는 상기 뚜껑 바디(210)의 둘레를 따라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뚜껑 리브(213)는 상기 보조 뚜껑(21)이 상기 관통구(223)에 삽입되어 닫힌 상태에서 상기 관통구(223)를 차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뚜껑 리브(213)는 상기 관통구(223)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 리브(213)에는 벤트 홀(2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벤트 홀(214)은 상기 뚜껑 리브(213)의 일부가 개구되며, 상기 보조 뚜껑(21)이 상기 관통구(223)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구(223)의 내부와 연통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벤트 홀(214)은 상기 회전 홈(215)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홈(215)이 복수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벤트 홀(214)은 상기 회전 홈과 대응하는 개수만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벤트 홀(214)은 상기 회전 홈(215)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벤트 홀(214)은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벤트 홀(214)은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뚜껑 리브(213)는 상기 보조 뚜껑(21)이 상기 관통구(223)에 삽입되면 상기 관통구 안착부(227) 상에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 뚜껑(21)은 상기 관통구(223)에 삽입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 뚜껑(21)이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뚜껑 리브(213)와 상기 메인 뚜껑(27)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뚜껑(20)의 상면으로 벤트 홀(214)이 노출되어 상기 용기(10)의 내부 공기가 외부로 유추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뚜껑 리브(213)를 기준으로 상방에는 상기 뚜껑 바디(210)의 외측면 일부를 형성하는 바디 상부(212)가 형성된다. 상기 바디 상부(212)는 상기 뚜껑 상면부(211)를 지지하며, 상기 보조 뚜껑(21)이 상기 관통구(223)에 삽입된 상태에서도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 리브(213)를 기준으로 하방에는 상기 뚜껑 바디(210)의 외측면 일부를 형성하는 바디 하부(218)가 형성된다. 상기 바디 하부(218)는 상기 에어 챔버(218a)의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뚜껑 리브(213)의 하방에는 에어 챔버(218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챔버(218a)는 상기 보조 뚜껑(21)과 상기 관통구(223)의 내측 벽면의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에어 벤트(217)를 통해 유입된 공기의 배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 챔버(218a)는 상기 벤트 홀(214)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에어 챔버(218a)는 상기 뚜껑 리브(213)와 기밀부(216)의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뚜껑 바디(210)의 외부면을 따라서 내측으로 함몰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챔버(218a)의 하방 및 상기 뚜껑 바디(210)의 하단에는 기밀부(21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밀부(216)는 상기 관통구(223)와 보조 뚜껑(21)의 사이를 1차적으로 차폐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뚜껑 바디(210)의 둘레를 따라서 돌출될 수 있다. 즉, 상기 보조 뚜껑(21)이 장착되면, 상기 관통구(223)는 상기 기밀부(216)에 의해 1차적으로 차폐되고, 상기 뚜껑 리브(213)가 상기 관통구 안착부(227)에 의해 2차적으로 차폐될 수 있다.
상기 기밀부(216)는 하방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 뚜껑(21)이 삽입 완료되면 상기 관통구(223) 내측면은 상기 기밀부(216)와 접하게 된다. 일 예로, 상기 보조 뚜껑(21)이 삽입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기밀부(216)의 경사면은 상기 이너 하단부(228)의 단부의 접하게 된다.
한편, 상기 뚜껑 바디(210)의 외측면에는 상기 회전 홈(2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홈(215)은 상기 벤트 홀(214)의 중앙부에서 상기 뚜껑 바디(210)의 하단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뚜껑 바디(210)의 내측으로 함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홈(215)은 상기 회전 돌기(224)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뚜껑 바디(210)의 장착시 상기 회전 홈(215)의 내측으로 상기 회전 돌기(224)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회전 홈(215)은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회전 홈(215)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 홈(215)은 상기 에어 챔버(228a)를 지나 상기 기밀부(216)의 하단까지 연장되며, 상기 회전 돌기(224)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방으로 개구될 수 있다. 또한,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회전 홈(215)의 내측에는 상기 뚜껑 구속부(224a)가 걸림 구속되는 홈 또는 돌기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뚜껑 바디(210)의 외측면에는 에어 벤트(217)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벤트(217)는, 상기 용기(10) 내부의 공기가 상기 기밀부(216)를 지나 상기 에어 챔버(218a)로 향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에어 벤트(217)의 입구는 상기 기밀부(216)의 하단 즉, 상기 뚜껑 바디(210)의 하면에서 개구되며, 상기 에어 벤트(217)의 출구는 상기 기밀부(216)의 상단 즉, 상기 에어 챔버(218a)와 연결되는 면에서 개구될 수 있다.
상기 에어 벤트(217)는 입구와 출구가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에어 벤트(217)의 입구과 출구는 서로 다른 수직 연장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에어 벤트(217)의 입구로 유입되는 공기 및 비산되는 식품의 일부는 상기 에어 벤트(217)를 지나면서 유동 방향이 전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 벤트(217)는 상기 기밀부(216)상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 홈(215)과 떨어진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에어 벤트(217)는 상기 벤트 홀(214)과도 일정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회전 홈(215)과 상기 에어 벤트(217)는 각각 한쌍씩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한쌍의 상기 회전 홈(215)이 서로 반대 위치에 위치되고, 한쌍의 상기 에어 벤트(217)는 한쌍의 상기 회전 홈(215)과 상기 보조 뚜껑(21)의 중앙을 기준으로 설정 각도만큼 회전된 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뚜껑의 동작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5는 상기 뚜껑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뚜껑(20)은 상기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보조 뚜껑(21)은 상기 메인 뚜껑(27)의 관통구(223)에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뚜껑 상면부(211)를 잡고 회전 조작하게 되면, 상기 메인 뚜껑(27)의 어퍼 바디(22)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어퍼 바디(22)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상기 어퍼 바디(22)는 상기 로어 바디(23)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게 된다. 일 예로, 상기 뚜껑(20)을 상기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에 장착하거나, 상기 용기(10)에 장착된 상태의 뚜껑(20)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어퍼 바디(22)는 상기 로어 바디(23)와 멀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어퍼 바디(22)와 로어 바디(23)가 서로 멀어지게 되면, 상기 가스켓(24)의 중앙부(243)는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며, 상기 용기(10)의 내측면과 떨어질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용기(10)의 개구에 상기 뚜껑(20)을 쉽게 삽입하여 장착할 수 있으며, 상기 용기(10)에 뚜껑(20)이 장착된 상태에서 쉽게 분리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어퍼 바디(22)와 로어 바디(23)가 가까워지게 되면 상기 가스켓(24)의 중앙부(243)는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용기(10)의 내측 벽면과 밀착될 수 있다. 즉, 상기 뚜껑(20)을 상기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에 삽입하고 닫은 상태에서 상기 보조 뚜껑(21)을 잡고 회전시켜 상기 가스켓(24)의 중앙부(243)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면 상기 용기(10)와 뚜껑(20)의 사이는 기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블레이드 모듈(14)은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10) 내부의 식품이 분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블레이드 모듈(14)의 고속 회전에 의해서 상기 용기(10) 내부의 식품들은 비산되면서 유동될 수 있으나, 상기 뚜껑(20)과 용기(10)는 밀폐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용기(10) 내부의 식품들이 새거나 넘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보조 뚜껑(21)은 상기 어퍼 바디(22)의 회전을 통한 상기 가스켓(24)의 밀폐 여부를 결장하는 것 외에도, 상기 보조 뚜껑(21)을 열어서 상기 용기(10)의 내부에 식품을 첨가하거나, 막대 등을 이용하여 상기 용기(10) 내부의 식품을 재배치 또는 처리하는 등의 작업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 뚜껑(21)이 장착된 상태에서도, 상기 용기(10)의 내부와 상기 에어 벤트(217) 및 벤트 홀(214)을 통해서 연통되는 구조를 가지되, 내부의 공기는 배출될 수 있으면서도 내부의 식품이 밖으로 넘치거나 배출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어퍼 바디(22)와로어 바디(23))는 청소 작업이 필요하거나, 서비스 상황 또는 이상 발생시 서로 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뚜껑(27)의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6은 상기 어퍼 바디와 로어 바디의 결합시 승강 돌기의 이동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어퍼 바디(22)와로어 바디(23))는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조립될 수 있으며, 정확한 위치로 정렬 결합되어야만 상기 어퍼 바디(22)의 회전시 상기 어퍼 바디(22)와로어 바디(23))가 서로 가까워 지거나 멀어지도록 상대 운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메인 뚜껑(27)의 조립을 위해서 먼저, 상기 데코 플레이트(26)는 상기 어퍼 바디(22)에 조립되고, 상기 가스켓(24)은 상기 로어 바디(23) 및 가스켓 고정부재(25)에 조립된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바디(22)와로어 바디(23))의 결합을 위해서는 먼저, 상기 승강 돌기(229)가 상기 제 2 사이드 리브(235b)와 제 3 사이드 리브(235d) 사이의 돌기 이동 통로(235e)의 개구된 상방으로 위치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상기 어퍼 바디(22)를 하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승강 돌기(229)는 상하 수직 방향(도 16에서 ①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어퍼 바디(22)는 상기 승강 돌기(229)가 상기 리브 개구(235c)와 대응하는 높이에 도달 할 때까지 하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승강 돌기(229)가 상기 리브 개구(235c)와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하게 되면, 사용자는 상기 어퍼 바디(22)를 수평 방향(도 16에서 ②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승강 돌기(229)가 상기 돌기 수용 공간(235f)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승강 돌기(229)가 상기 돌기 수용 공간(235f)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어퍼 바디(22)를 회전 조작하여 상기 어퍼 바디(22)가 상승 또는 하강 하게 되며, 그에 따라 상기 가스켓(24)이 압축 또는 신장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뚜껑(27)이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메인 뚜껑(27)의 대부분이 상기 용기(10)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메인 뚜껑(27)의 상면만이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보조 뚜껑(21)을 쥐고 상기 어퍼 바디(22)를 회전 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가스켓(24)의 선택적인 돌출로 상기 용기(10)와 뚜껑(20) 사이의 기밀 상태가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용기(10)와 뚜껑(20)의 기밀 상태 조작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7은 상기 어퍼 바디의 회전에 따른 상기 승강 돌기의 이동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8은 상기 어퍼 바디의 정회전에 의해 상기 가스켓과 용기의 내측면이 이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9는 상기 어퍼 바디의 역회전에 의해 상기 가스켓과 용기의 내측면이 밀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상기 메인 뚜껑(27)은 상기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에 완전히 삽입되어 사용자는 상기 보조 뚜껑(21)의 조작을 통해서 상기 어퍼 바디(22)의 회전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사용자는 상기 메인 뚜껑(27)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보조 뚜껑(21)을 강하게 당기거나 압입하여 상기 보조 뚜껑(21)을 상기 메인 뚜껑(27)에 탈착 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상기 뚜껑(20)을 도 1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에 삽입하여, 상기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 뚜껑(27)의 둘레는 상기 용기(10)의 내측면과 접하는 상태가 될 수 있으나 상기 용기(10)와 메인 뚜껑(27)의 사이는 완전히 밀착된 상태는 아니므로 사용자는 상기 보조 뚜껑(21)을 잡고 상기 메인 뚜껑(27)을 들어올리거나 삽입하여 상기 용기(10)의 상면을 쉽게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뚜껑(27)은 상기 용기(10)의 경사진 내측면에 단순히 안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뚜껑(27)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뚜껑(27)의 상면은 상기 용기(10)의 상단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는 상기 어퍼 바디(22)와로어 바디(23))는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상태로, 상기 가스켓(24)은 상하 방향으로 늘어난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승강 돌기(229)는 상기 수평부(238c)에 위치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승강 돌기(229)는 상기 돌기 수용 공간(235f)의 가장 높은 위치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구속부(238e)에 의해 구속되어 상기 어퍼 바디(22)와로어 바디(23))는 가장 멀어진 상태로 간격이 유지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승강 돌기(229)는 상기 수평부(238c)가 아닌 상기 경사부(238b)의 상단에 위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가스켓(24)의 중앙부(243)가 상기 용기의 내측면과 떨어진 상태로 상기 용기(10)의 내부는 완전히 기밀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뚜껑(20)을 쉽게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에 안착시키거나 안착된 상태의 뚜껑(20)을 상기 용기(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10)는 기밀된 상태가 아니므로 상기 블레이드 모듈(14)이 동작되지 않는 상태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도 18과 같이 뚜껑(20)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블렌더(1)의 구동을 위해 상기 보조 뚜껑(21)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뚜껑(20)이 상기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을 기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도 18과 같이 뚜껑(20)이 상기 용기(10)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승강 돌기(229)가 상기 수평부(238c) 또는 상기 경사부(238b)의 가장 높은 위치(도 17에서 ④)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용기(10)를 기밀시키기 위해서 사용자가 상기 보조 뚜껑(21)을 잡고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어퍼 바디(22)는 상기 보조 뚜껑(21)과 함께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승강 돌기(229)는 상기 수평부(238c)를 따라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만약 상기 승강 돌기(229)가 상기 수평부(238c)에 위치한 상태라면, 상기 승강 돌기(229)가 상기 상부 구속부(238e)를 넘어 이동될 수 있도록 힘을 가하면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승강 돌기(229)는 상기 경사부(238b)를 따라서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퍼 바디(22)는 상기 가스켓(24)의 탄성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상기 승강 돌기(229)는 상기 경사부(238b)의 하면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어퍼 바디(22)가 역방향으로 회전될수록 경사부(238b)를 따라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어퍼 바디(22)의 회전에 의해 상기 로어 바디(23)가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상기 가스켓(24)은 상하방향으로 점차 압축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 상부(241)와 가스켓 하부(242)가 가까워지게 되면, 상기 중앙부(243)는 그에 따라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앙부(243)와 대응하는 상기 가스켓(24) 내측의 상기 가스켓 홈(244)에 의해 상기 가스켓(24)은 보다 용이하게 압축될 수 있으며, 상기 중앙부(243)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뚜껑(21)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어퍼 바디(22)가 완전히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승강 돌기(229)는 상기 경사부(238b)의 최하단, 또는 상기 하부 수평부(238a)(도 17에서 ③의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승강 돌기(229)가 상기 하부 수평부(238a)에 위치되기 위해서는 상기 승강 돌기(229)가 상기 하부 구속부(238d)를 넘어서 상기 하부 수평부(238a)로 이동되도록 상기 보조 뚜껑(21)에 힘을 가하여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어퍼 바디(22)를 더 이상 회전 시키지 않더라도 상기 승강 돌기(229)는 상기 하부 구속부(238d)에 의해 구속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가스켓(24)의 탄성에 의해 상기 로어 바디(23)가 임의로 하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승강 돌기(229)가 상기 하부 수평부(238a) 또는 상기 경사부(238b)의 하단에 위치되면, 상기 가스켓(24)은 도 19에서와 같이 가장 압축된 상태가 되며, 상기 가스켓(24)의 중앙부(243)는 가장 돌출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스켓 홈(244)은 상기 가스켓(24)의 변형에 의해 좁아진 상태가 되며, 상기 중앙부(243)는 상기 메인 뚜껑(27)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스켓(24)은 상기 상기 메인 뚜껑(27)의 외측면 둘레보다 더 돌출되어 상기 용기(10)의 내측면과 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10)와 뚜껑(20)의 둘레 사이를 완전히 기밀시키게 된다. 더불어, 상기 가스켓(24)의 밀착에 의해 상기 메인 뚜껑(27)은 상기 용기(1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블레이드 모듈(14)이 동작되더라도 상기 메인 뚜껑(27)이 임의로 분리되지 않고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 모듈(14)의 동작이 완료되어 식품을 용기(10)로부터 꺼내거나 다른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상기 뚜껑(20)을 상기 용기(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때에는, 상기 제 25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보조 뚜껑(21)을 쥐고 정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기 어퍼 바디(22)가 함께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어퍼 바디(2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승강 돌기(229)는 상기 승강 가이드(238)를 따라서 낮은 위치에서 높은 위치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가스켓(24)은 신장되면서 상기 로어 바디(23)를 하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어퍼 바디(22)가 정방향으로 완전히 회전되면 도 18과 같은 상태가 되고, 상기 뚜껑(20)은 상기 용기(10)와 기밀되지 않은 상태가 되어 사용자가 쉽게 용기(10)와 분리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뚜껑은 전술한 실시 예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뚜껑의 구조에만 차이가 있을 뿐 뚜껑을 제외한 다른 구조는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며, 따라서 뚜껑을 제외한 다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의 뚜껑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뚜껑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1은 상기 뚜껑의 어퍼 바디와 로어 바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뚜껑(70)은 전체적으로 메인 뚜껑(77)과 상기 메인 뚜껑(77)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구(723,733)를 차폐하는 보조 뚜껑(71)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뚜껑(71)은 상기 메인 뚜껑(77)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구(723,733)를 개폐하여 상기 메인 뚜껑(77)을 개방하지 않고도 식품의 추가 또는 상기 용기(도 19에서 10) 내부로의 접근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뚜껑(71)이 상기 관통구(723,733)를 차폐하도록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메인 뚜껑(77)과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 뚜껑(71)의 상부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메인 뚜껑(77)을 구성하는 어퍼 바디(72)를 회전 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잡고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 뚜껑(71)은 상기 관통구(723,733)를 개폐하는 기능을 하므로 마개, 캡으로 부를 수 있으며, 상기 어퍼 바디(72)를 회전 조작하기 위해 사용자가 쥐고 돌리는 기능을 하므로 손잡이로 부를 수도 있다.
상기 보조 뚜껑(71)은 상면을 형성하는 뚜껑 상면부(711)와, 상기 뚜껑 상면부(71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뚜껑 바디(7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뚜껑 바디(710)는 상기 관통구(723,733)에 삽입되어 상기 관통구(723,733)를 차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 상면부(711)는 상기 뚜껑 바디(710)의 단면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쥘 수 있도록 상기 뚜껑 바디(710)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뚜껑 바디(710)에는 뚜껑 리브(713)가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뚜껑 리브(713)는 상기 뚜껑 바디(7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구(723,733)의 상단에 단차지게 형성된 리브 안착부(727)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뚜껑 바디(710)는 상기 뚜껑 리브(713)를 기준으로 바디 상부(712)와 바디 하부(714)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 하부(714)의 둘레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관통구(723,733)의 내측으로 삽입이 용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 리브(713)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바디 함몰부(71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바디 함몰부(713)에 상기 관통구(723,733)의 내측면이 압입되어 상기 보조 뚜껑(71)이 상기 메인 뚜껑(77)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보조 뚜껑(71)과 메인 뚜껑(77)은 결합된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 뚜껑(71)의 회전 조작시 상기 메인 뚜껑(77)을 구성하는 상기 어퍼 바디(72)가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보조 뚜껑(71)과 메인 뚜껑(77)이 서로 결합되기 위해서 상기 보조 뚜껑(71)과 메인 뚜껑(77)에는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회전 홈(도 9에서 215)과 회전 돌기(도 9에서 224)가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메인 뚜껑(77)은 상기 용기(10)의 개구된 상면과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어퍼 바디(72)와 로어 바디(73) 그리고 가스켓 고정부재(7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 바디(72)는 상기 메인 뚜껑(77)의 상부를 형성하고, 상기 로어 바디(73)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어퍼 바디(72)는 중앙에 상기 관통구(723,733)가 개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바디(72)는 상면에 탑 플레이트(721)가 형성되고, 상기 탑 플레이트(721)의 내측 둘레를 따라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어퍼 이너(72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탑 플레이트(721)의 하면에는 상기 어퍼 이너(722)와 이격된 위치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어퍼 아우터(7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이너(722)는 상기 관통구(723,733)의 내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아우터(725)는 상기 가스켓 고정부재(76)에 의해 가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아우터(725)의 내측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승강 돌기(72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 돌기(729)는 어퍼 아우터(725)의 하단에 형성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승강 가이드(738)와 접하여 상기 어퍼 바디(72)와 로어 바디(73)의 상대적인 승강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승강 돌기(729)는 상기 승강 가이드(738)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승강 돌기(729)는 한쌍이 구비될 수 있으며, 서로 반대 방향에서 돌출되어 상기 어퍼 바디(72)의 안정적인 회전을 안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탑 플레이트(721)의 하면 외측단에는 고정부재 홈(72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 홈(721a)은 상기 가스켓 고정부재(76)의 상단이 수용되는 것으로 상기 가스켓 고정부재(76)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가스켓 고정부재(76)에 의해 상기 어퍼 바디(72)가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 홈(721a)은 상기 가스켓 고정부재(76)의 상단보다는 다소 큰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어퍼 바디(72)가 상기 가스켓 고정부재(76)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어퍼 바디(72)와 로어 바디(73)의 사이에는 가스켓 고정부재(7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 고정부재(76)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뚜껑(70)의 둘레면 형상을 형성하는 고정부재 둘레부(761)와 상기 고정부재 둘레부(761)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가스켓(74)의 상단이 고정되는 고정부재 결합부(7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 둘레부(761)는 상기 어퍼 바디(72)의 고정부재 홈(721a)에 상단이 삽입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 둘레부(761)는 상기 메인 뚜껑(77)의 측면 둘레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 둘레부(761)에는 데코부재(7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데코부재(760)는 상기 메인 뚜껑(77)의 둘레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판상의 금속 소재 또는 금속 질감을 가지는 필름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 둘레부(761)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 결합부(762)는 상기 고정부재 둘레부(761)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 둘레부(761)의 연장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 결합부(762)의 하단은 상기 로어 바디(73)와 인접할 수 있으며, 상기 로어 바디(73)의 승강에 따라서 상기 로어 바디(73)와 접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 결합부(762)의 외측단에는 상부 고정홈(76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고정홈(763)에는 상기 가스켓(74)의 상단이 구속되어 상기 가스켓(74)이 상기 가스켓 고정부재(76)와 결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74)은 중앙을 기준으로 가스켓 상부(741)와 가스켓 하부(7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 상부(741)와 가스켓 하부(742)의 단부는 각각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스켓(74)은 상기 가스켓 상부(741)와 가스켓 하부(742)를 연결하며, 상기 용기(10)의 내측면과 접하는 중앙부(7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 상부(741)의 연장된 단부는 상기 가스켓 고정부재(76)의 상부 고정홈(763)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스켓 하부(742)의 연장된 단부는 로어 바디(73)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 고정홈(737)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어퍼 바디(72)와 상기 로어 바디(73)의 상하 방향 상대 이동에 따라서 상기 가스켓 상부(741)와 가스켓 하부(742)는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되며, 상기 가스켓(74)의 중앙부는 선택적으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스켓의 중앙부(743)의 내측면에는 가스켓 홈(74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 홈(744)은 상기 가스켓 상부(741)와 가스켓 하부(742)의 사이 중간 지점에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스켓 홈(744)은 상기 중앙부(743)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가스켓(74)이 상하방향으로 압축되고 상기 중앙부(743)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부(743)와 가스켓 상부(741)가 만나는 지점과 상기 중앙부(743)와 가스켓 하부(742)가 만나는 지점에 추가의 보조 가스켓 홈(745)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가스켓 홈(745)에 의해서 상기 가스켓(74)이 보다 쉽게 상하방향으로 압축되고 상기 중앙부(743)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로어 바디(73)는 상기 어퍼 바디(72)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메인 뚜껑(77)의 하부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로어 바디(73)는 상기 뚜껑(70)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어퍼 바디(72)의 일부를 하방에서 지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바디(73)에는 상기 어퍼 바디(72)의 회전시 상기 어퍼 바디(72)와 상대적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하는 승강 가이드(738)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로어 바디(73)는 상기 로어 바디(73)의 상면을 형성하는 바텀 플레이트(731)와, 상기 바텀 플레이트(731)의 내측단에 형성되는 로어 이너(732), 외측단에 형성되는 로어 아우터(73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텀 플레이트(731)와 상기 로어 이너(732)와 로어 아우터(735)는 상기 어퍼 바디(72)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바텀 플레이트(731)는 상기 탑 플레이트(721)와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탑 플레이트(721)보다 작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이너(732)는 상기 탑 플레이트(721)의 내측단에서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이너(732)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절곡되는 이너 연장부(73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연장부(734)의 연장된 단부에는 이너 리브(734a)가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어 이너(732)와 상기 이너 연장부(734) 및 이너 리브(734a)에 의해서 상방으로 개구된 이너 공간(734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공간(734b)에는 상기 어퍼 바디(72)의 어퍼 이너(722) 하단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이너 리브(734a)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어퍼 바디(72) 또는 로어 바디(73)의 상하 방향 상대 이동에도 상기 어퍼 이너(722)가 이탈되지 않고 수용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어퍼 바디(72)와의 결합 관계를 유지하고 상기 어퍼 바디(72)의 안정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어 이너(732) 및 상기 이너 리브(734a)의 내측에는 상기 관통구(73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아우터(735)는 상기 바텀 플레이트(731)의 외측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로어 아우터(735)는 상기 로어 이너(732)와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로어 아우터(735)는 상기 로어 이너(732)와 대응하는 높이 또는 상기 로어 이너(732)보다 다소 낮은 높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로어 아우터(735)의 하단에는 외측으로 절곡된 고정부재 지지부(73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 지지부(736)는 상기 로어 바디(73)의 승강시 상기 가스켓 고정부재(76)와 선택적으로 접하여 하방에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 지지부(736)는 상기 고정부재 결합부(762)의 하면과 마주보는 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고정부재 결합부(762)와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 결합부(762)의 돌출된 단부와 동일한 거리만큼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 지지부(736)의 돌출된 단부에는 하부 고정홈(73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고정홈(737)에는 상기 가스켓 하부(742)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어 바디(73)의 승강시 상기 가스켓(74)이 압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어 아우터(735)의 둘레면에는 승강 가이드(73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 가이드(738)는 상기 어퍼 바디(72)의 회전시 상기 승강 가이드(738)와 접하여 상기 어퍼 바디(72)와 로어 바디(73)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승강 가이드(738)는 상기 어퍼 바디(72)의 회전에 따른 상기 로어 바디(73)의 상하 방향 상대 이동이 가능하도록 안내할 수 잇다.
상기 승강 가이드(738)는 상기 로어 바디(73)의 외측면 즉, 상기 로어 아우터(735)의 둘레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 가이드(738)는 서로 반대되는 면에 한쌍이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어퍼 바디(72)와의 안정적인 결합관계를 유지하고 상기 어퍼 바디(72)의 회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승강 가이드(738)는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승강 가이드(738)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2는 상기 로어 바디의 승강 가이드를 보인 투시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승강 가이드(738)는 상기 로어 아우터(735)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어퍼 아우터(725)와 마주보는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승강 가이드(738)는 상기 승강 돌기(729)가 이동되는 경로 상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 가이드(738)는 상기 로어 아우터(735)의 둘레를 따라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어퍼 바디(72)가 회전되는 일정 구간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 가이드(738)는 일단이 타단보다 더 상방에 위치되며, 일정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 가이드(738)는 하면이 상기 승강 돌기(729)와 접하므로, 적어도 상기 승강 가이드(738)의 하면은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 가이드(738)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부 구속부(738e)와 하부 구속부(738d)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구속부(738e)와 하부 구속부(738d)는 하방으로 돌출된 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 가이드(738)를 따라 이동되는 승강 돌기(729)를 구속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어퍼 바디(72)의 회전에 따라 이동되는 승강 돌기(729)는 상기 상부 구속부(738e)와 하부 구속부(738d)와 접촉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상기 어퍼 바디(72)에 힘을 가하여 더 회전시키면, 상기 상부 구속부(738e)와 하부 구속부(738d)를 넘어 상기 승강 가이드(738)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상부 수용 공간(738b)과 하부 수용 공간(738a)에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어퍼 바디(72)와 로어 바디(73)는 서로 간격이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스켓(74)은 변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 가이드(738)의 좌우 양측단에는 제 1 사이드 리브(735a)와 제 2 사이드 리브(735b)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사이드 리브(735a)와 제 2 사이드 리브(735b)는 상기 로어 아우터(735)의 외측면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승강 가이드(738)와 대응하는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사이드 리브(735a)는 상기 승강 가이드(738)의 양단 중 낮은 일단과 접하며, 상기 제 2 사이드 리브(735b)는 상기 승강 가이드(738)의 양단 중 높은 일단과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 가이드(738)와 상기 제 1 사이드 리브(735a) 및 제 2 사이드 리브(735b)의 사이에는 상기 승강 돌기(729)가 수용되는 돌기 수용 공간(735f)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사이드 리브(735b)에는 리브 개구(735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 개구(735c)는 상기 어퍼 바디(72)와 상기 로어 바디(73)의 조립시 상기 승강 돌기(729)가 출입되는 통로로 상기 돌기 수용 공간(735f)과 연통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로어 바디(73)의 하단과 인접한 위치에 개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사이드 리브(735b)의 외측에는 돌기 이동 통로(735e)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 이동 통로(735e)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로어 바디(73)의 상면에 개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 이동 통로(735e)는 상기 리브 개구(735c)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어퍼 바디(72)와 로어 바디(73)의 결합시 사용자는 상기 승강 돌기(729)가 상기 돌기 이동 통로(735e)를 통해 삽입되도록 정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 돌기(729)는 상기 돌기 이동 통로(735e)를 지나서 상기 리브 개구(735c)와 대응하는 위치(도 22의 ⑤의 위치)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승강 돌기(729)는 상기 리브 개구(735c)를 통과하여 상기 돌기 수용 공간(735f)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돌기 수용 공간(735f)에 상기 승강 돌기(729)가 수용된 상태에서는 상기 가스켓(74)의 탄성에 의해 상기 승강 돌기(729)는 상기 승강 가이드(738)와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 돌기(729)가 상기 승강 가이드(738)와 접촉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보조 뚜껑(71)을 회전 조작하여 상기 어퍼 바디(72)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기 로어 바디(73)는 상하 이동되면서 상기 가스켓(74)을 압축 또는 신장시켜 상기 용기(10)와 뚜껑(70) 사이의 기밀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뚜껑(70)의 회전에 따른 가스켓(74)의 상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3는 상기 어퍼 바디의 정회전에 의해 상기 어퍼 바디와 로어 바디가 멀어진 상태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4는 도 23의 B부 확대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는 상기 뚜껑(70)을 도 2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에 삽입하여, 상기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 뚜껑(77)의 둘레는 상기 용기(10)의 내측면과 접하는 상태가 될 수 있으나 상기 용기(10)와 메인 뚜껑(77)의 사이는 완전히 밀착된 상태는 아니므로 사용자는 상기 보조 뚜껑(71)을 잡고 상기 메인 뚜껑(77)을 들어올리거나 삽입하여 상기 용기(10)의 상면을 쉽게 개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는 상기 어퍼 바디(72)와 로어 바디(73)는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상태로, 상기 가스켓(74)은 상하 방향으로 늘어난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승강 돌기(729)는 상기 승강 가이드(738)의 상단(도 22에서 ⑦의 위치)에 위치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승강 돌기(729)는 상기 돌기 수용 공간(735f)의 가장 높은 위치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구속부(738e)에 의해 구속되어 상기 어퍼 바디(72)와 로어 바디(73)는 가장 멀어진 상태로 간격이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가스켓(74)의 중앙부(743)가 상기 용기(10)의 내측면과 떨어진 상태로 상기 용기(10)의 내부는 완전히 기밀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뚜껑(70)을 쉽게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에 안착시키거나 안착된 상태의 뚜껑(70)을 상기 용기(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10)는 기밀된 상태가 아니므로 상기 블레이드 모듈(도 3에서 14)이 동작되지 않는 상태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도 23과 같이 뚜껑(70)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블렌더(1)의 구동을 위해 상기 보조 뚜껑(71)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뚜껑(70)이 상기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을 기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도 23과 같이 뚜껑(70)이 상기 용기(10)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승강 돌기(729)가 상기 승강 가이드(738)의 가장 높은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용기(10)를 기밀시키기 위해서 사용자가 상기 보조 뚜껑(71)을 잡고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어퍼 바디(72)는 상기 보조 뚜껑(71)과 함께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승강 돌기(729)는 상기 승강 가이드(738)를 따라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어퍼 바디(72)는 상기 가스켓(74)과 결합된 상기 가스켓 고정부재(76)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상기 가스켓(74)의 탄성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가압될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 돌기(729)는 상기 승강 가이드(738)의 하면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어퍼 바디(72)가 역방향으로 회전될수록 상기 승강 가이드(738)를 따라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어퍼 바디(72)가 역방향 회전하여 상기 로어 바디(73)가 상방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상기 가스켓(74)은 상하방향으로 점차 압축될 수 있다.
도 25는 상기 어퍼 바디의 역회전에 의해 상기 어퍼 바디와 로어 바디가 가까워진 상태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6은 도 25의 C부 확대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어퍼 바디(72)의 역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가스켓 상부(741)와 가스켓 하부(742)가 가까워지게 되면, 상기 중앙부(743)는 그에 따라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앙부(743)와 대응하는 상기 가스켓(74) 내측의 상기 가스켓 홈(744)과 보조 가스켓 홈(745)에 의해 상기 가스켓(74)은 보다 용이하게 압축될 수 있으며, 상기 중앙부(743)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뚜껑(71)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어퍼 바디(72)가 완전히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도 2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승강 돌기(729)는 상기 승강 가이드(738)의 최하단(도 22에서 ⑥의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바디(72)를 더 이상 회전 시키지 않더라도 상기 승강 돌기는 상기 하부 구속부(738d)에 의해 구속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가스켓(74)의 탄성에 의해 상기 로어 바디(73)가 임의로 하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승강 돌기(729)가 상기 승강 가이드(738)의 하단에 위치되면, 상기 가스켓(74)은 도 26에서와 같이 가장 압축된 상태가 되며, 상기 가스켓(74)의 중앙부(743)는 외측으로 가장 돌출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스켓 홈(744) 및 상기 보조 가스켓 홈(745)은 상기 가스켓(74)의 변형에 의해 좁아진 상태가 되며, 상기 중앙부(743)는 상기 메인 뚜껑(77)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중앙부(743)는 상기 상기 메인 뚜껑(77)의 외측면 둘레보다 더 돌출되어 상기 용기(10)의 내측면과 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10)와 뚜껑(70)의 둘레 사이를 완전히 기밀시키게 된다. 더불어, 상기 가스켓(74)의 밀착에 의해 상기 메인 뚜껑(77)은 상기 용기(1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블레이드 모듈(14)이 동작되더라도 상기 메인 뚜껑(77)이 임의로 분리되지 않고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 모듈(14)의 동작이 완료되어 식품을 용기로부터 꺼내거나 다른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상기 뚜껑(70)을 상기 용기(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때에는, 도 25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보조 뚜껑(71)을 쥐고 정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기 어퍼 바디(72)가 함께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어퍼 바디(7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승강 돌기(729)는 상기 승강 가이드(738)를 따라서 낮은 위치에서 높은 위치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가스켓(74)은 신장되면서 상기 로어 바디(73)를 하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어퍼 바디(72)가 정방향으로 완전히 회전되면 도 23과 같은 상태가 되고, 상기 뚜껑(70)은 상기 용기(10)와 기밀되지 않은 상태가 되어 사용자가 쉽게 상기 용기(10)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을 개방 할 수 있다.

Claims (43)

  1. 상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식품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모터 어셈블리가 구비된 블렌더 본체에 안착되는 용기;
    상기 용기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용기의 안착시 상기 모터 어셈블리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블레이드 모듈; 및
    상기 용기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뚜껑은,
    상기 용기에 안착되며, 상기 용기 내부와 연통되도록 개구된 관통구가 형성되는 메인 뚜껑;
    상기 메인 뚜껑의 둘레에 구비되며, 상기 용기의 내측면과 접하는 가스켓; 및
    상기 관통구에 삽입되어 상기 관통구를 차폐하며, 상기 메인 뚜껑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보조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 뚜껑은 상기 관통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메인 뚜껑과 결합되어 상기 메인 뚜껑과 함께 회전 조작되며,
    상기 보조 뚜껑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가스켓이 돌출되어 상기 용기 내측면에 밀착되는 블렌더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의 내측에는 회전 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보조 뚜껑의 둘레에는 상기 구속 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보조 뚜껑을 구속하는 회전 홈이 형성되는 블렌더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돌기와 회전 홈은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개의 상기 회전 돌기 및 회전 홈들은 각각 서로 반대 방향에 배치되는 블렌더 용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홈은 상기 보조 뚜껑의 외측면 하단에서부터 개구되며,
    상기 보조 뚜껑의 삽입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블렌더 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돌기는 상기 관통구의 하단에서 상단까지 연장되는 블렌더 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돌기에는 내측으로 더 돌출되어 상기 회전 홈의 내측에 걸림 구속되는 뚜껑 구속부가 형성되는 블렌더 용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뚜껑의 둘레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뚜껑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의 상단에는 상기 뚜껑 리브가 안착되는 리브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뚜껑 리브가 상기 리브 안착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 뚜껑의 상면은 상기 메인 뚜껑의 상면보다 상방으로 더 돌출되도록 하는 블렌더 용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홈의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뚜껑 리브에는 상기 용기 내부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벤트 홀이 개구되는 블렌더 용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뚜껑의 둘레에는 상기 벤트 홀과 연통되도록 함몰되며, 상기 보조 뚜껑의 하면에 개구되어 상기 용기 내부의 공기를 상기 벤트 홀로 안내하는 에어 벤트가 형성되며,
    상기 에어 벤트는 상기 벤트 홀과 수직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블렌더 용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뚜껑은,
    상기 메인 뚜껑의 상부를 형성하는 어퍼 바디;
    상기 메인 뚜껑의 하부를 형성하며, 상기 어퍼 바디와 서로 회전 및 상하 상대 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로어 바디; 및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로어 바디와 어퍼 바디 사이에 구비되는 가스켓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스켓은,
    상기 상단이 상기 가스켓 고정부재의 둘레에 구속되고, 하단이 상기 로어 바디의 둘레에 구속되어 상기 로어 바디의 승강에 따라 압축 또는 신장되는 블렌더 용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바디의 내측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승강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로어 바디의 외측면에는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어퍼 바디의 회전시 상기 승강 돌기를 안내하여 상기 로어 바디를 승강시키는 승강 가이드를 포함하는 블렌더 용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돌기와 승강 가이드는 각각 복수개가 형성되며,
    각각의 승강 돌기와 승강 가이드는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블렌더 용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가이드는,
    상기 로어 바디의 둘레를 따라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승강 돌기의 하방 이동을 구속하는 상부 구속부; 및
    상기 경사부의 하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강 돌기의 상방 이동을 구속하는 하부 구속부를 포함하는 블렌더 용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가이드는,
    상기 로어 바디의 둘레를 따라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상단에서 상기 로어 바디 상면과 수평하게 연장되는 상부 수평부; 및
    상기 경사부의 하단에서 상기 로어 바디 상면과 수평하게 연장되는 하부 수평부를 포함하는 블렌더 용기.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가이드의 양단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사이드 리브와 제 2 사이드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사이드 리브에는 상기 승강 돌기가 출입되도록 개구된 리브 개구가 형성되는 블렌더 용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사이드 리브의 측방에는 상기 로어 바디의 상단에 개구되며, 상기 리브 개구와 연통되어 상기 어퍼 바디와 로어 바디의 조립시 상기 승강 돌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돌기 이동 통로가 형성되는 블렌더 용기.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 고정부재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어퍼 바디의 하단을 지지하는 블렌더 용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바디의 외측면에는 상기 메인 뚜껑의 둘레면 외관을 형성하는 대코 플레이트가 구비되는 블렌더 용기.
  19.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 고정부재는,
    상기 어퍼 바디의 둘레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 뚜껑의 둘레면을 형성하는 고정부재 둘레부;와
    상기 고정부재 둘레부의 하단에서 상기 어퍼 바디를 지지하며, 상기 가스켓의 상단이 고정되는 고정부재 결합부;를 포함하는 블렌더 용기.
  20.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은,
    상방으로 연장되며, 연장된 단부가 상기 가스켓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가스켓 상부와;
    상기 가스켓 상부의 다른 일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연장된 단부가 상기 로어 바디의 단부에 결합되는 가스켓 하부를 포함하는 블렌더 용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바디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스켓 상부와 가스켓 하부가 연결되는 중앙부의 돌출 정도가 조절되는 블렌더 용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의 내측면에는 상기 중앙부와 대응하는 위치를 따라서 함몰되는 가스켓 홈이 형성되는 블렌더 용기.
  2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은,
    상기 가스켓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가스켓 상부;
    상기 가스켓 상부의 하방에 위치되며, 상기 로어 바디에 결합되는 가스켓 하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스켓 상부와 가스켓 하부의 단부를 연결하는 중앙부;를 포함하는 블렌더 용기.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의 내측면에는 상기 중앙부를 따라 함몰되어 상기 가스켓의 압축시 상기 중앙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가스켓 홈이 형성되는 블렌더 용기.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의 내측면에는 상기 중앙부의 상단과 하단을 따라 함몰되는 한쌍의 보조 가스켓 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스켓 홈은 상기 한쌍의 보조 가스켓 홈의 사이에 위치되는 블렌더 용기.
  2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의 외측면은 신장 상태에서 상기 메인 뚜껑의 둘레면과 같거나 더 내측에 위치되고, 압축 상태에서 상기 메인 뚜껑의 둘레면 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는 블렌더 용기.
  2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은 신장 상태에서 상기 용기의 내측 벽면과 이격되고, 압축 상태에서 상기 용기의 내측 벽면에 밀착되도록 돌출되는 블렌더 용기.
  28. 블렌더에 안착되는 용기의 개구된 상면을 개폐하는 블렌더 용기 뚜껑에 있어서,
    상기 블렌더 용기 뚜껑의 상부를 형성하는 어퍼 바디;
    상기 어퍼 바디의 상면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상기 어퍼 바디의 회전을 위해 조작하는 손잡이;
    상기 어퍼 바디의 하방에서 상기 어퍼 바디와 결합되며, 상기 어퍼 바디의 회전에 따라 승강되는 로어 바디;
    상기 로어 바디와 어퍼 바디 사이에 구비되는 가스켓 고정부재; 및
    상단이 상기 가스켓 고정부재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로어 바디에 고정되는 가스켓;을 포함하며,
    상기 가스켓은 상기 로어 바디의 승강에 따라 돌출되어 상기 용기의 내측면에 가압 밀착되는 블렌더 용기 뚜껑.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바디에는 상기 용기의 내측과 연통되는 관통구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관통구에 삽입되어 상기 관통구를 차폐하는 블렌더 용기 뚜껑.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바디의 내측면에 돌출되는 승강 돌기;
    상기 로어 바디의 외측면을 따라 경사지게 연장되며, 상기 어퍼 바디의 회전시 상기 승강 돌기가 접촉 상태로 이동하여 상기 로어 바디를 승강시키는 승강 가이드를 포함하는 블렌더 용기 뚜껑.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가이드는,
    상기 로어 바디의 둘레를 따라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승강 돌기의 하방 이동을 구속하는 상부 구속부; 및
    상기 경사부의 하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강 돌기의 상방 이동을 구속하는 하부 구속부를 포함하는 블렌더 용기 뚜껑.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가이드는,
    상기 로어 바디의 둘레를 따라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상단에서 상기 로어 바디 상면과 수평하게 연장되는 상부 수평부; 및
    상기 경사부의 하단에서 상기 로어 바디 상면과 수평하게 연장되는 하부 수평부를 포함하는 블렌더 용기 뚜껑.
  33.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가이드의 양단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사이드 리브와 제 2 사이드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사이드 리브에는 상기 승강 돌기가 출입되도록 개구된 리브 개구가 형성되는 블렌더 용기 뚜껑.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사이드 리브의 측방에는 상기 로어 바디의 상단에 개구되며, 상기 리브 개구와 연통되어 상기 어퍼 바디와 로어 바디의 조립시 상기 승강 돌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돌기 이동 통로가 형성되는 블렌더 용기 뚜껑.
  35.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 고정부재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어퍼 바디의 하단을 지지하는 블렌더 용기 뚜껑.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바디의 외측면에는 상기 메인 뚜껑의 둘레면 외관을 형성하는 대코 플레이트가 구비되는 블렌더 용기 뚜껑.
  37.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 고정부재는,
    상기 어퍼 바디의 둘레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 뚜껑의 둘레면을 형성하는 고정부재 둘레부;와
    상기 고정부재 둘레부의 하단에서 상기 어퍼 바디를 지지하며, 상기 가스켓의 상단이 고정되는 고정부재 결합부;를 포함하는 블렌더 용기 뚜껑.
  38.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은,
    상방으로 연장되며, 연장된 단부가 상기 가스켓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가스켓 상부와;
    상기 가스켓 상부의 다른 일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연장된 단부가 상기 로어 바디의 단부에 결합되는 가스켓 하부를 포함하는 블렌더 용기 뚜껑.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바디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스켓 상부와 가스켓 하부가 연결되는 중앙부의 돌출 정도가 조절되는 블렌더 용기 뚜껑.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의 내측면에는 상기 중앙부와 대응하는 위치를 따라서 함몰되는 가스켓 홈이 형성되는 블렌더 용기 뚜껑.
  41.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은,
    상기 가스켓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가스켓 상부;
    상기 가스켓 상부의 하방에 위치되며, 상기 로어 바디에 결합되는 가스켓 하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스켓 상부와 가스켓 하부의 단부를 연결하는 중앙부;를 포함하는 블렌더 용기 뚜껑.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의 내측면에는 상기 중앙부를 따라 함몰되어 상기 가스켓의 압축시 상기 중앙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가스켓 홈이 형성되는 블렌더 용기 뚜껑.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의 내측면에는 상기 중앙부의 상단과 하단을 따라 함몰되는 한쌍의 보조 가스켓 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스켓 홈은 상기 한쌍의 보조 가스켓 홈의 사이에 위치되는 블렌더 용기 뚜껑.
KR1020190139511A 2019-11-04 2019-11-04 블렌더 용기 및 블렌더 용기 뚜껑 KR2021005364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511A KR20210053647A (ko) 2019-11-04 2019-11-04 블렌더 용기 및 블렌더 용기 뚜껑
PCT/KR2020/010903 WO2021091056A1 (ko) 2019-11-04 2020-08-14 블렌더
US17/070,423 US11779161B2 (en) 2019-11-04 2020-10-14 Blender and lid for blender container
EP20202772.8A EP3815586B1 (en) 2019-11-04 2020-10-20 Blen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511A KR20210053647A (ko) 2019-11-04 2019-11-04 블렌더 용기 및 블렌더 용기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3647A true KR20210053647A (ko) 2021-05-12

Family

ID=72964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9511A KR20210053647A (ko) 2019-11-04 2019-11-04 블렌더 용기 및 블렌더 용기 뚜껑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779161B2 (ko)
EP (1) EP3815586B1 (ko)
KR (1) KR20210053647A (ko)
WO (1) WO202109105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6717A (ko) * 2021-09-08 2023-03-15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조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277004A1 (en) * 2022-03-01 2023-09-07 Whirlpool Corporation Cordless food processo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33524C2 (de) * 1991-10-10 1996-08-29 Fissler Gmbh Dampfdruckkochtopf
KR19990042015U (ko) * 1998-05-29 1999-12-27 김용진 전기보온압력밥솥의 뚜껑개폐장치
US8529118B2 (en) 2001-04-13 2013-09-10 Sunbeam Products, Inc. Blender cup with lid storage
FR2866545B1 (fr) 2004-02-20 2006-04-14 Seb Sa Couvercle de fermeture d'un recipient d'appareil electromenager de preparation culinaire de type blender
US20080041869A1 (en) 2006-07-31 2008-02-21 Backaert Dimitri M C J Closure lid for open mouth containers
CN202518588U (zh) * 2012-03-02 2012-11-07 江苏希诺实业有限公司 用于圆口罐的一种内涨式密封盖子
JP6175877B2 (ja) * 2013-04-24 2017-08-09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蓋付容器
US9439538B2 (en) 2013-08-07 2016-09-13 Whirlpool Corporation Locking ring
CN106457176B (zh) 2014-03-14 2019-12-13 维他拌管理有限公司 搅拌容器
US9452871B1 (en) * 2015-06-30 2016-09-27 Ing Dah Enterprise Co., Ltd. Container lid assembly
KR20170140047A (ko) * 2016-06-10 2017-12-20 김홍배 유리조리용기를 구비한 조리기기
CN208909913U (zh) * 2017-10-13 2019-05-31 漳州灿坤实业有限公司 食物处理机及其容器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6717A (ko) * 2021-09-08 2023-03-15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조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15586A1 (en) 2021-05-05
EP3815586B1 (en) 2022-09-21
US11779161B2 (en) 2023-10-10
WO2021091056A1 (ko) 2021-05-14
US20210127905A1 (en) 202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15590A1 (en) Blender
CN109640763B (zh) 搅拌机的真空装置
EP3815586B1 (en) Blender
KR102453176B1 (ko) 조리기
KR20180023790A (ko) 청소기
KR102374738B1 (ko) 블렌더
KR101597631B1 (ko) 착즙드럼 체결 구조 개선 착즙기
CN205913269U (zh) 具有分离式刀片模块和旋转轴模块的混合器
BR112014027677B1 (pt) extrator de suco
KR200482022Y1 (ko) 진공 믹서기용 보조용기
KR101873900B1 (ko) 블렌더
KR101257443B1 (ko) 착즙기의 구동축 패킹구조
US20220361716A1 (en) Blender
EP3797657B1 (en) Blender
CN214231006U (zh) 料理机
KR20210026224A (ko) 블렌더
CN209090989U (zh) 一种自清洗的食品加工机
CN211155386U (zh) 杯盖组件及料理机
CN215914314U (zh) 杯盖组件、料理杯及料理机
CN216823078U (zh) 一种具有大容积干磨腔的食物加工设备
CN220236727U (zh) 杯盖组件及料理机
CN213046625U (zh) 杯盖组件及料理机
CN215686955U (zh) 烹饪器具
CN218683935U (zh) 杯盖组件、搅拌杯组件及料理机
CN218572038U (zh) 空气炸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