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6224A - 블렌더 - Google Patents

블렌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6224A
KR20210026224A KR1020190106700A KR20190106700A KR20210026224A KR 20210026224 A KR20210026224 A KR 20210026224A KR 1020190106700 A KR1020190106700 A KR 1020190106700A KR 20190106700 A KR20190106700 A KR 20190106700A KR 20210026224 A KR20210026224 A KR 20210026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ensing
blender
sensing devic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6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인우
김양호
강기중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6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6224A/ko
Priority to EP20859274.1A priority patent/EP4023120A4/en
Priority to US17/639,243 priority patent/US20220322884A1/en
Priority to PCT/KR2020/010328 priority patent/WO2021040260A1/ko
Publication of KR20210026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2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5Safety devices
    • A47J43/0761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66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activated by the proper positioning of the mixing bow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22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렌더에 관한 것으로, 모터 어셈블리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식품이 수용되는 용기; 상기 용기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용기의 장착시 상기 모터 어셈블리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블레이드 모듈; 상기 용기에 구비되는 감지부재; 상기 감지부재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용기의 장착시 상기 감지부재를 감지하는 감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블렌더 { A blender }
본 발명은 블렌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렌더는 전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블레이드에 의해 용기에 수용된 식품을 잘게 자르거나, 가루로 분쇄하거나 액체와 같은 상태로 만드는 가전기기로서 통상 믹서기로 부르기도 한다.
일반적인 블렌더는 모터가 내장된 본체의 상면에 용기가 안착되고, 용기의 안착시 용기 내부의 블레이드가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용기에 식품을 넣은 후 상기 본체를 조작하여 상기 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가 회전되어 식품을 분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블렌더는 최근 용기의 크기가 큰 대용량의 블렌더로 개발되고 있으며, 다양한 식품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쇄할 수 있도록 초고속으로 회전되는 모터를 이용한 블렌더가 개발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렌더는 다양한 식품의 분쇄 작업이 용이하도록 다양한 조작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국제공개특허 PCT/EP2016074116 에는 컨테이너가 안착되는 베이스 파트 전면에 회전 조작되는 컨트롤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컨트롤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기설정된 조리프로그램에 따라서 상기 블렌더가 동작되도록 하며, 사용자의 간편한 조작에 의해 상기 블렌더의 동작 입력이 가능한 블렌더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의 블렌더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조작을 직접 설정하여 입력하고, 조작을 선택하여야 하는 등 사용상 다소 불편한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파트에 컨테이너가 안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베이스 파트 내부의 모터가 동작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용기의 안착이 감지된 상태에서 모터 어셈블리가 동작되도록 하는 블렌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용기의 장착 방향 및 상태에 관계없이 용기의 인식이 가능한 블렌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장착된 용기의 종류를 감지하여, 감지된 용기에 적합한 운전으로 자동 설정될 수 있도록 하는 블렌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는, 모터 어셈블리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식품이 수용되는 용기; 상기 용기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용기의 장착시 상기 모터 어셈블리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블레이드 모듈; 상기 용기에 구비되는 감지부재; 상기 감지부재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용기의 장착시 상기 감지부재를 감지하는 감지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감지부재가 구비되는 용기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상기 용기의 장착시 상기 용기 결합부가 삽입되며, 상기 감지장치가 장착되는 용기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 결합부의 중앙에는 상기 블레이드 모듈의 하단이 노출되며, 상기 용기 안착부의 중앙에는 상기 블레이드 모듈의 하단과 결합되는 모터 어셈블리의 상단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재는 상기 용기 결합부의 둘레에 구비되며,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감지부재와 대응하는 상기 용기 안착부는 내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용기 결합부는 상기 삽입 공간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원형으로 돌출되며, 상기 감지부재는 상기 용기 결합부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감지 부재와 상기 감지 장치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서로 겹쳐지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용기 결합부는 상기 용기의 중앙에서 설정 반경으로 돌출되며, 상기 용기 안착부는 상기 용기 결합부의 외측면을 지지하도록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 결합부의 둘레에는 등 간격으로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결합 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 안착부에는, 상기 용기 결합부의 외측면을 지지하며, 다수개 등간격으로 이격되는 결합 지지부와; 상기 결합 지지부들의 이격된 사이에서 상기 결합 가이드가 삽입되는 가이드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재는 이웃하는 상기 결합 가이드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결합 지지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장치는 다수의 상기 결합 지지부 중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용기 안착부는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용기 안착부의 내측면과 외측면의 이격된 사이에는 하방으로 개구되어상기 감지장치가 삽입 장착되는 감지장치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 내측에 삽입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감지부재와 마주보는 위치에 위치되어 상기 감지부재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가 장착되며,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의 외측에서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브라켓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에는 상기 감지부를 양측에서 지지하는 감지장치 가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재는 다수개가 상기 용기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감지부재의 일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용기는 복수개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상기 용기 안착부에 장착되며, 상기 복수의 용기는 상기 감지부재의 배치 위치가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는 복수개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상기 용기 안착부에 장착되며, 상기 복수의 용기는 상기 감지부재의 배치 개수가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재는 자석이며, 상기 감지장치는 자석을 감지하는 홀 센서일 수 있다.
상기 감지부재는 알에프아이디 태그이며,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알에프아이디 태그를 인식하는 알에프아이디 리더일 수 있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는 상기 감지부재가 상기 감지장치에 인식된 상태에서만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용기에 감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에 상기 감지부재를 감지하는 감지장치가 구비되어 상기 용기의 장착을 감지한 후 상기 모터 어셈블리가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블렌더는 용기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동작되지 않으며, 상기 용기가 장착된 것이 인식된 상태에서만 동작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오조작 또는 부주의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동작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부재는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용기 결합부의 둘레면에 구비되고,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용기 결합가 수용되는 용기 안착부의 내측면에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용기의 장착시 상기 감지부재와 감지장치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게 되어 상기 감지부재의 감지를 보장항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감지부재와 상기 감지장치는 설정된 간격으로 회전 배치되어, 상기 용기의 장착 방향에 관계없이 상기 감지부재가 상기 감지장치에 항상 인식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의 안착을 안내하는 결합 가이드와 가이드 결합홈에 의해 상기 용기는 항상 정렬된 상태로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의 장착시 상기 감지부재가 상기 감지장치에 감지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에 제공되는 감지부재의 정보 또는 배치와 수에 따라서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용기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용기를 장착하게 되면 상기 블렌더는 상기 용기에 적합한 운전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최적화된 운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 편의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블렌더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블렌더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블렌더의 일 구성인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6-6' 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용기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다른 용기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블렌더의 일 구성인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본체를 상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본체를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본체의 외관을 구성하는 구성들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상기 본체의 일 구성인 이너 케이스와 피시비 모듈들의 배치 관계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상기 이너 케이스의 내부를 일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5는 상기 이너 케이스의 내부에 감지장치가 장착된 모습을 보인 하면도이다.
도 16은 상기 감지장치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9의 17-17' 단면도이다.
도 18은 상기 본체에 서로 다른 종류의 용기가 선택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상기 감지장치의 감지부재 감지시의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0은 상기 용기의 인식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상기 다른 용기의 인식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블렌더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블렌더의 종단면도이다.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먼저 방향을 정의한다. 노브(40)가 형성되는 위치를 전면 또는 전방이라 하고, 파워 커넥터(도 10에서 35)가 연결되는 부분을 후면 또는 후방이라 정의한다. 그리고, 본체(30)의 바닥의 위치를 하면 또는 하방이라 하고, 용기(container, 10)의 상단의 위치를 상면 또는 상방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브(40)를 기준으로 좌측을 좌측면 또는 좌측방이라 할 수 있으며, 상기 노브(40)를 기준으로 우측을 우측면 또는 우측방이라 정의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1)는, 바닥면에 배치되는 본체(30)와, 상기 본체(30)의 상부에 안착되는 용기(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30)는 상기 블렌더(1)의 동작을 위한 모터 어셈블리(50) 및 피시비 모듈(60)을 비롯한 전기 장치와 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렌더(1)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40,310b)와 동작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310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30)는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30)의 상면에는 상기 용기(10)가 안착되기 위한 용기 안착부(30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 안착부(301)는 상기 용기(10)가 상하 방향으로 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30)의 외관은 금속 소재 또는 금속 질감을 가지는 아우터 케이스(31)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우터 케이스(31)는 하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내부에는 이너 케이스(3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에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와 피시비 모듈(60) 등이 장착되는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본체(3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블렌더(1)의 조작을 설정하기 위한 노브(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브(40)는 상기 본체(30)의 전면에서 돌출되며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블렌더(1)의 동작을 조작 및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본체(30)의 하면에는 바텀 커버(7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텀 커버(74)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31) 및 이너 케이스(32)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블렌더(1)가 설치되는 바닥면과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텀 커버(74)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31) 및 이너 케이스(32)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본체(30)의 내부와 외부로 냉각 공기가 흡입 및 토출되는 커버 흡입구(744)와 커버 토출구(746)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30)의 상면에는 상기 블렌더(1)의 동작 상태를 가시화시키기 위한 표시부(310a)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표시부(310a)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7 세그먼트(seven-segment display)와 같은 형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30)의 상면에는 상기 블렌더(1) 동작의 시작 또는 정지를 조작할 수 있는 터치 조작부(310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블렌더(1)의 조작을 위해 상기 조작부(40,310b)는 상기 노브(40)와 터치 모듈(6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30)의 상면에는 안착부(30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 안착부(301)는 본체(30)의 상면에서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 안착부(301)의 일부가 상기 용기(10)의 하면에 삽입되어 상기 용기(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상기 용기(10)가 안착되면,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와 상기 용기(10) 내부의 블레이드 모듈(14)은 서로 결합되어 상기 블레이드 모듈(14)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용기 안착부(301)는 상기 본체(30)의 중앙에서 다소 치우친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용기(10)의 손잡이(13)를 포함한 전체 가로 길이와 상기 본체(30)의 가로 길이는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10)의 식품 수용 공간의 중심은 상기 본체(30)의 중앙으로부터 편심되도록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 안착부(301)의 중심 또한 상기 용기(10)의 중심과 동일 연장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브(40)는 상기 용기 안착부(301) 및 용기(10)의 중심선과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되어 상기 본체(30)의 전면의 편심된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용기 안착부(301) 또한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와 동일한 소재로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 안착부(301)는 금속 소재 또는 금속 질감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외관과 전체적으로 일체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용기 안착부(301) 하방의 상기 본체(30) 내부에는 모터 어셈블리(5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50)는 상기 용기(10) 내부의 블레이드 모듈(14)의 회전을 위한 것으로 고속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 어셈블리(50)는 상기 노브(40)의 조작에 따라서 회전 속도의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의 상단은 상기 용기(10) 내부의 블레이드 모듈(14)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의 하단에는 쿨링 팬(55)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의 구동시 상기 블레이드 모듈(14)과 동시에 회전하여 상기 본체(30) 내부의 냉각 공기의 유동을 강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30)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32)의 내측 벽면에는 다수의 피시비 모듈(6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 모듈(60)은 다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본체(30)의 내측면 둘레 즉, 전면과 후면 및 좌우 양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구된 하면은 베이스 플레이트(71)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에는 상기 쿨링 팬(55)에 의해 흡입된 냉각 공기의 토출을 안내하기 위한 에어 가이드(7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와 바텀 커버(74)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와 상기 바텀 커버(74)의 사이에는 무선 전력 모듈(7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모듈(73)은 유도 기전력을 이용한 무선 방식으로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용기(10)는 상기 용기 안착부(301)의 외경과 대응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식품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용기(10)는 유리 또는 유리와 같이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10)는 내측 하면의 중앙에 블레이드 모듈(1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모듈(14)은 다수의 블레이드(141)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10)가 상기 본체(3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50)가 구동되면, 상기 블레이드(141)는 회전되어 상기 용기(10) 내부의 식품을 분쇄 또는 절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10)의 내부에는 회전되는 식품을 가이드 하기 위한 이너 가이드(121)가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가이드(121)는 상기 용기(10)의 내측면 하단에서 상방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뚜껑(20)의 장착시 상기 뚜껑(20)의 하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기(10)의 상단에는 분쇄된 식품을 따를 수 있는 주둥이(111,spout)가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주둥이(111)와 마주보는 일측에는 손잡이(1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3)는 상기 용기(10)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후 하방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상기 용기(10)를 들어올리거나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손잡이(13)의 돌출된 단부는 상기 본체(30)의 측단과 동일 연장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에는 뚜껑(2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뚜껑(20)은 상기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뚜껑 손잡이(13)를 잡고 상기 뚜껑(20)을 상기 용기(10)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뚜껑(20)은 뚜껑 상부(22)와 뚜껑 하부(23) 및 상기 뚜겅 손잡이(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뚜껑(20)의 둘레를 따라 뚜껑 가스켓(24)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용기(10)의 구조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상기 블렌더의 일 구성인 용기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상기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4의 6-6'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상기 용기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용기(10)는 상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10)의 하면에는 블레이드 모듈(14)이 장착되고, 상기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에는 상기 뚜껑(20)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용기(10)는 상기 블렌더(1)의 동작 중 내부의 식품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유리, 트라이탄, 투명 플라스틱과 등과 같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10)는 외부 형상을 형성하는 아우터 컨테이너(11)와, 식품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컨테이너(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 컨테이너(12)와 아우터 컨테이너(11)는 서로 결합되어 상기 용기(10)의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용기(10)가 이중 벽 구조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는 상단과 하단의 외경이 같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10)의 외관이 깔끔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의 외경은 상기 용기 안착부(301)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용기(10)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본체(30)와 상기 용기(10)가 일체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의 하면에는 본체 수용부(10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 수용부(102)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의 하면에서 상방으로 함몰된 공간을 형성하며, 아래에서 설명할 제 2 안착부(325)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본체 수용부(102)와 상기 제 2 안착부(325)의 결합에 의해 상기 용기(10)는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의 하단 일측에는 에어 벤트(104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벤트(104a)는 상기 용기(10)와 안착부(301)가 서로 결합 또는 분리될 때 상기 용기(10)의 하면과 상기 용기 안착부(301)의 상면 사이의 공기가 배기되는 통로를 형성하여 상기 용기(10)가 용이하게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장착 및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에어 벤트(104a)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의 하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본체 수용부(102)의 내부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의 하면 중앙에는 블레이드 모듈(14)이 장착되는 용기 결합부(10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 결합부(103)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의 내측면과 상기 본체 수용부(102)의 내측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용기 결합부(103)는 상기 용기(10)의 바닥면 중앙을 중심으로 하며, 하방으로 연장되는 리브 형상으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 결합부(103)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의 하단보다 더 하방으로 연장되지 않으며, 상기 용기(10)의 중앙에 상기 블레이드 모듈(14)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 결합부(103)의 내부는 상기 용기가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안착될 때 상기 용기 안착부(301) 내측과 서로 형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이너 컨테이너(12)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와 이격되어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와 이너 컨테이너(12)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너 컨테이너(12)는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질 수 있다. 상기 이너 컨테이너(12)의 하부는 상기 블레이드 모듈(14)을 향하여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용기(10)의 내부 식품이 상기 블레이드 모듈(14)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너 컨테이너(12)의 상단은 하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경사면(122)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에 상기 뚜껑(20)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너 컨테이너(12)와 점진적으로 보다 밀착되면서 기밀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이너 컨테이너(12) 상단의 경사면은 상기 용기(10)의 상단에서 이너 가이드(121)의 상단까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10)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컨테이너(12)의 내측면에는 상기 이너 가이드(1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가이드(121)는 상기 경사면(122)에서 상기 이너 컨테이너(12)의 바닥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뚜껑(20)은 상면을 형성하는 뚜껑 상부(22)와, 상기 뚜껑 상부(22)와 결합되며 상기 뚜껑(20)의 하면을 형성하는 뚜껑 하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뚜껑 손잡이(13)는 상기 뚜껑 상부(22)와 뚜껑 하부(23)의 개구된 중앙에 삽입 장착될 수 있으며, 탈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뚜껑 손잡이(13)를 분리한 상태에서 식품의 추가 또는 상기 용기(10) 내부 공간(101)으로의 접근이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뚜껑(20)의 둘레에는 상기 용기(10)의 내측면과 접하여 상기 용기(10) 내부를 기밀시키는 뚜껑 가스켓(24)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뚜껑(20)이 상기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을 통해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뚜껑(20)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뚜껑 가스켓(24)은 상기 용기의 경사면(122)과 접하면서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 가스켓(24)은 상기 용기(10)의 내측면에 가압 밀착되어 상기 뚜껑(20)이 상기 용기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뚜껑(22)의 외측 단부에는 손잡이부(22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221)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뚜껑(22)의 일부가 상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부 뚜껑(23)과 이격되어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뚜껑 손잡이(21)를 사용하지 않거나, 상기 뚜껑 손잡이(21)가 분리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부(221)를 잡고 상기 뚜껑(20)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용기(10)의 하면에는 중앙에는 상기 블레이드 모듈(1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모듈(14)은 상기 용기(10) 내부 공간(101)에 수용된 식품을 분쇄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블레이드(141)와, 블레이드 샤프트(142), 샤프트 마운팅 부재(143)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141)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며, 다수개가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블레이드 샤프트(142)를 축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141)는 상기 블레이드 샤프트(142)를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블레이드(141)의 연장 방향과 절곡 각도 및 형상은 각각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다양한 식품의 분쇄, 절단 및 식품을 가루로 만들거나 액체와 같이 상태로 만드는데 모두 적합하도록 다양한 형상의 블레이드(141)가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샤프트(142)는 상기 샤프트 마운팅 부재(143)를 관통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샤프트 마운팅 부재(143)을 구성하는 베어링(143a)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143a)은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블레이드 샤프트(142)가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 마운팅 부재(143)는 상기 용기(10)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샤프트(142)의 상단에는 상기 블레이드(141)의 분리를 방지하고, 상기 블레이드(141)가 상기 블레이드 샤프트(142)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블레이드 구속부재(142a)가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 샤프트(142)의 하단에는 블레이드측 연결부(14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측 연결부(144)는 상기 용기(10)의 바닥면 중앙에서 노출될 수 있으며,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10)가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장착될 때에 아래에서 설명할 모터측 연결부(54)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의 동력이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기(10)의 바닥면에는 상기 용기 결합부(10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 결합부(103)의 내측에는 마운팅 커버(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커버(15)는 상기 용기(10)가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장착될 때, 상기 모터측 연결부(54)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151)을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마운팅 커버(15)의 중앙은 상기 샤프트 마운팅 부재(143)가 관통되도록 개구될 수 있으며, 상기 마운팅 커버(15)의 하면 중앙을 통해 상기 블레이드측 연결부(144)가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측 연결부(144)의 둘레와 대응되는 상기 마운팅 커버(15)의 중앙부는 함몰되어 상기 모터측 연결부(54)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10)가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모터측 연결부(54)와 블레이드측 연결부(144)는 서로 간섭되지 않고 자연스럽게 서로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 용기 결합부(103)의 내측에는 마운팅 케이스(153)와 탄성부재(15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케이스(153)는 상기 용기 결합부(103)의 내측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마운팅 케이스(153)의 내부에 링 형상의 탄성부재(152)가 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152)는 상기 마운팅 커버(1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가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마운팅 커버(15)에 가해지는 충격은 상기 탄성부재(152)에 의해 완충될 수 있다.
상기 용기 결합부(103)에는 감지부재(10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재(104)는 상기 용기(10)의 장착 여부 및 상기 용기(10)의 정보를 상기 본체(30)의 감지장치(39)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용기(10)가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장착되면 상기 본체(30)에 감지장치(39)는 상기 감지부재(104)를 감지하여 상기 용기(10)의 장착을 감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용기(10)의 종류를 식별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감지부재(104)는 상기 용기 결합부(103)의 둘레를 따라서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재(104)는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10)가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감지장치(39)와 마주보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감지부재(104)는 6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10)의 중심을 기준으로 각각 60˚각도만큼 회전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감지장치(39)는 상기 용기(10)의 장착 방향과 관계없이 어떤 위치에서도 상기 감지부재(104)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39)의 배치 및 상기 감지부재(104)와의 관계에 관하여서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한편, 상기 감지부재(104)는 상기 감지장치(39)에서 인식 가능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할 것이다. 일 예로 상기 감지부재(104)는 자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감지장치(39)는 자석을 감지하는 홀 센서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감지부재(104)와 감지장치(39)가 마주보도록 배치되면, 상기 홀 센서는 상기 자석을 감지하여 상기 용기(10)의 장착을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부재(104)는 상기 용기 결합부(103)의 둘레 내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부재(104)의 자력이 상기 감지장치(39)에서 감지될 수 있다는 전제하에서 상기 감지부재(104)는 상기 마운팅 커버(15)의 내측 또는 상기 마운팅 케이스(153)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용기 결합부(103)의 외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결합 가이드(103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가이드(103a)는 상기 용기 결합부(103)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외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용기 결합부(103)는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일 예로 3개의 결합 가이드(103a)가 각각 120˚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용기 결합부(103)는 상기 용기(10)가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장착될 때 아래에서 설명할 가이드 결합홈(325c)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10)는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안착될 때 상기 용기 결합부(103)가 상기 가이드 결합홈(325c)에 삽입되면서 정렬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10)의 정렬에 의해 상기 감지부재(104)와 감지장치(39)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위치되어 상기 용기(10)의 장착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감지부재(104)는 다수개가 구비되며, 용기(10)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감지부재(104)의 수는 다를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장치(39) 또한 복수개가 구비되어 감지되는 상기 감지부재(104)의 수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용기(10)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용기(10)는 일반적인 식품을 분쇄하는 블렌더(1)의 용기(10)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감지장치(39)에서 상기 용기(10)의 장착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감지장치(39)는 상기 용기(10)의 종류를 인지할 수 있으며, 상기 용기(10)에 적합한 운전으로 기본 값이 세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의 조작에 의해 상기 블렌더(1)가 동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10)와 용도가 다르거나 다른 용기(10')에서 가공이 필요한 식품을 수용 및 분쇄하는 다른 용기(10')가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안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다른 용기(10')는 쌀과 같은 곡식의 껍질을 벗기거나 깎을 수 있는 정미기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다른 용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다른 용기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다른 용기(10')의 전체적인 구조와 형상은 전술한 상기 용기(1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동일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다른 용기(10')를 정미용 용기 또는 제 2 용기, 상기 용기를 블렌더용 용기 또는 제 1 용기라 부를 수도 있다.
상기 다른 용기(10')는 상기 용기(10)보다 그 높이가 다소 낮을 뿐 전체적인 외관의 형상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다른 용기(10')는 상기 블렌더(1)의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안착될 수 있어야하며, 상기 용기(10)의 하면 형상은 상기 용기 안착부(301)의 내부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른 용기(10')의 하면에는 용기 결합부(10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 안착부(301)의 내측에 삽입되는 용기 결합부(10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 결합부(103)의 내측에는 마운팅 커버(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커버(15)는 상기 용기(10)가 상기 용기 안착부에 장착될 때, 상기 모터측 연결부(54)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151)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마운팅 커버(15)의 중앙으로 상기 블레이드측 연결부(144)가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측 연결부(144)의 둘레와 대응되는 상기 마운팅 커버(15)의 중앙부는 함몰되어 상기 모터측 연결부(54)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 결합부(103)의 둘레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결합 가이드(103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른 용기(10')가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안착될 때 상기 결합 가이드(103a)는 상기 가이드 결합홈(325c)에 삽입되며, 상기 다른 용기(10')가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정렬상태로 장착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용기 결합부(103)의 둘레를 따라서 감지부재(10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재(104)는 일 예로 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재(104)는 상기 용기 결합부(103)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감지부재(104)는 3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다른 용기(10')의 중앙을 기준으로 각각 120°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감지부재(104)의 개수와 위치는 전술한 상기 용기(10)의 감지부재(104)와 다르게 배치되며, 따라서 상기 감지장치(39)는 상기 감지부재(104)를 감지하여 상기 다른 용기(10')의 장착 여부를 판단함은 물론, 장착된 다른 용기(10')를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다른 용기(10')를 상기 용기 안착부에 안착시키게 되면, 상기 블렌더(1)의 제어부는 상기 다른 용기(10')를 인지한 후 상기 다른 용기(10')에 적합한 운전을 기본 운전으로 세팅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조작부(40,310b)를 조작하여 상기 다른 용기(10')에 적합한 동작을 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다른 용기(10')는 정미기 외에도 회전되는 상기 블레이드 모듈(14)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용기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의 용기는 다른 위치에 감지부재(104)가 구비되어 상기 감지장치(39)에서 이들을 구별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본체(30)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9는 상기 블렌더의 일 구성인 본체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상기 본체를 상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상기 본체를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상기 본체의 외관을 구성하는 구성들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상기 본체의 일 구성인 이너 케이스와 피시비 모듈들의 배치 관계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본체(30)는 직육면체의 상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30)의 상면에는 상기 용기(10)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301)가 돌출 형성 되고, 상기 본체(30)의 전면에는 상기 블렌더(1)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노브(4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30)의 내부 및 전체적인 구조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외측에 아우터 케이스(31)가 장착되어 상기 본체(3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32)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되어 상기 본체(30)의 내부 및 외부의 구성들이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케이스(31)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판상의 소재가 절곡 및 접합되어 매우 깔끔하고 견고한 외관 형상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와 이너 케이스(32)는 하면이 개구된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모터 어셈블리(50)와 다수의 상기 피시비 모듈(60)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너 케이스(32)의 개구된 하면은 베이스 플레이트(71)에 의해 차폐되며, 상기 바텀 커버(74)에 의해 상기 본체(30)의 하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30)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아우터 케이스(31)는 사각형 형상의 상면과, 상기 상면의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는 전면과 후면 및 좌우 양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상면에는 상면 개구(3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면 개구(311)는 상기 용기 안착부(301)의 외경과 같거나 다소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너 케이스(32)와 아우터 케이스(31)의 결합시 상기 용기 안착부(301)를 형성하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상부가 상기 상면 개구(311)를 관통하여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상부에는 제 1 안착부 데코(314)와 제 2 안착부 데코(316), 로어 데코(315) 그리고 연결 데코(317)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용기 안착부(301)는 제 1 안착부 데코(314)와 제 2 안착부 데코(316), 로어 데코(315) 및 연결 데코(317)에 의해서 전체적인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안착부 데코(314)와 제 2 안착부 데코(316)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와 동일 소재 또는 동일한 질감으로 보이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안착부 데코(314)와 제 2 안착부 데코(316)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안착부 데코(314)는 상기 제 2 안착부 데코(316)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연결 데코(317)는 상기 제 1 안착부 데코(314)의 상단과 상기 제 2 안착부 데코(316)를 연결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안착부 데코(314)와 제 2 안착부 데코(316) 및 상기 연결 데코(317)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에 형성되는 제 1 안착부(324)와 제 2 안착부(325)의 외측면 및 상기 제 1 안착부(324)의 상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안착부(324)의 하단과 접하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상면에는 로어 데코 장착부(3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데코 장착부(323)는 상기 제 1 안착부(324)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며 상기 로어 데코(315)가 장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데코(315)는 플라스틱 또는 고무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안착부 데코(314)의 장착시 상기 제 1 안착부 데코(314)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사이 공간을 채워 틈새가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금속 소재로 된 상기 제 2 안착부 데코(316)의 하단과 상기 상면 개구(311)의 둘레 사이를 기밀하고 외관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안착부(324)의 상면에는 상기 제 2 안착부(3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안착부(325)는 상기 제 1 안착부(324)보다 더 작은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안착부(324)의 상면에는 연결 데코 장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데코 장착부(324a)는 상기 제 2 안착부(325)의 하단 둘레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안착부(324)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데코 장착부(324a)에는 상기 연결 데코(317)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데코(317)는 상기 제 1 안착부 데코(314)의 상단과 상기 제 2 안착부 데코(316)의 하단을 연결하는 것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 데코(317)는 상기 제 1 안착부(324)의 상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안착부 데코(314)와 제 2 안착부 데코(316) 사이의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연결 데코(317)는 수평부(317a)와 수직부(317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317a)는 상기 연결 데코 장착부(324a)와 대응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부(317a)의 하단에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 데코 장착부(324a)의 홈에 삽입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부(317a)의 상면은 상기 제 1 안착부(324)의 상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직부(317b)는 상기 수평부(317a)의 내측단을 따라서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317b)는 상기 제 2 안착부 데코(316)의 하단을 가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안착부 데코(314)와 제 2 안착부 데코(316)의 사이는 상기 연결 데코(317)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안착부(325)는 상기 제 1 안착부(324)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상기 용기 결합부(103)가 수용될 수 있는 삽입 공간(325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 공간(325a)의 내측면에는 결합 지지부(325b) 및 용기 결합 홈(325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지지부(325b)는 상기 제 2 안착부(325)의 내측 둘레면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10)의 장착시 상기 용기 결합부(103)의 외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결합 지지부(325b)는 다수개가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이웃하는 결합 지지부(325b)의 사이에 상기 가이드 결합홈(325c)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 지지부(325b)의 상면은 중앙이 돌출되고 돌출된 중앙에서 양측 방향으로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10)가 장착될 때 상기 결합 가이드(103a)가 상기 결합 지지부(325b)의 상면과 접하게 되고 상기 결합 가이드(103a)가 상기 가이드 결합홈(325c)을 향하도록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결합홈(325c)은 상기 결합 가이드(103a)가 삽입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함몰 형성되며,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결합 지지부(325b)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 결합부(103)는 상기 삽입 공간(325a)의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10)가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장착되면, 상기 용기 결합부(103)는 상기 가이드 결합홈(325c)에 의해 정렬 상태로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감지부재(104)와 감지장치(39)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유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 가이드(103a)와 상기 가이드 결합홈(325c)의 배치에 의해서 상기 용기가 어떤 방향으로 장착되더라도 상기 감지장치(39)가 상기 감지부재(104)를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10)의 위치를 정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 지지부(325b)는 상기 용기 결합부(103)의 외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용기(10)가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장착된 상태에서 견고한 장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10)는 장착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으며 안정적인 동작이 보장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전면에는 상기 노브(40)가 위치되는 노브 홀(3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브(40)는 상기 노브 홀(312)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30)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후면에는 리어 플레이트(34)가 수용되도록 함몰된 플레이트 홈(31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홈(313)에는 통신 모듈(36)의 통신 신호의 보다 효과적인 전달을 위한 리어 개구(313b)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홈(313)에는 상기 리어 플레이트(34)가 장착되는 플레이트 장착 홀(313c)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어 개구(313b)와 대응하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에는 통신 모듈(36)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홈(313)에는 상기 본체(3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파워 커넥터(35)가 장착되는 커넥터 홀(313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어 플레이트(34) 중 상기 커넥터 홀(313a)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플레이트 개구(34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 개구(341)에는 상기 파워 커넥터(35)가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너 케이스(32)는 하면이 개구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상면에는 안착부(30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32)는 전체적으로 평면 형상의 상면과, 상면의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전면과 후면 그리고 좌우 양측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32)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어 비교적 복잡한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으며, 내부에 상기 모터 어셈블리(50) 및 피시비 모듈(60)의 장착을 위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상면에는 상면 장착부(3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면 장착부(322)는 디스플레이 모듈(66)과 상기 터치 모듈(65)이 장착되도록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면 장착부(322)는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6)과 상기 터치 모듈(65)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6)과 대응하는 상기 아웃 케이스(31)에는 다수의 미세한 홀들에 의해 7세그먼트 형상으로 형성된 표시부(310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6)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되어 상기 블렌더(1)의 동작 정보를 숫자 또는 문자로 표시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 모듈(65)과 대응하는 상기 아웃 케이스(31)의 상면에는 인쇄 또는 표면 가공에 의해 터치 조작부(310b)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터치 조작부(310b)를 터치하여 상기 터치 모듈(65)로 상기 블렌더(1)의 동작을 위한 조작을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부 공간에는 모터 어셈블리(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50)는 상기 블레이드 모듈(14)의 회전을 위한 것으로, 상기 용기 안착부(301)의 중심부와 대응하는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5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모터 샤프트(53)를 포함하는 모터(51)와, 상기 모터(51)가 수용되는 모터 하우징(52), 그리고 상기 모터 샤프트(53)의 상단에 구비되는 모터측 연결부(54)와, 상기 모터 샤프트(53) 하단에 구비되는 쿨링 팬(5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 하우징(52)의 상면에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50)가 상기 이너 케이스(32)에 고정 장착되도록 하는 하우징 장착부(52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 샤프트(53)의 상단에는 상기 용기(10)의 장착시 상기 블레이드측 연결부(144)와 결합되는 모터측 연결부(5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터측 연결부(54)는 상기 블레이드측 연결부(144)와 결합되어 상기 모터(51)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모터측 연결부(54)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상면을 통해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 안착부(301) 내부의 삽입 공간(325a)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측 연결부(54)는 상기 블레이드측 연결부(144)와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모터(51)의 동력이 상기 블레이드 모듈(14)로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샤프트(53)의 하단에는 상기 본체(30) 내부의 냉각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기 위한 쿨링 팬(55)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51)의 회전시 상기 블레이드(141)의 회전과 동시에 상기 쿨링 팬(55) 또한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쿨링 팬(55)은 상기 모터 하우징(52)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상기 에어 가이드(72)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쿨링 팬(55)의 동작시 상기 모터 하우징(52)을 통과한 공기가 상기 에어 가이드(72) 내측으로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부에는 상기 블렌더(1)의 동작을 위한 다수의 피시비 모듈(6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 모듈(60)은 상기 이너 케이스(32) 내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 모듈(60)은 기능별로 분리된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면과 인접위치에서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벽면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피시비 모듈(60)은 상기 노브(40)가 장착되며 상기 블렌더(1)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 피시비 모듈(64)과, 상기 모터(51)를 제어하기 위한 인버터 피시비 모듈(61), 입력 전원을 컨트롤하는 파워 피시비 모듈(62) 그리고,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링 피시비 모듈(63)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피시비 모듈(60)은 상기 블렌더(1)의 기능에 따라 추가의 피시비 모듈(60)이 더 구비되거나, 일부 피시비 모듈(60)이 생략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하단에는 베이스 플레이트(7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개구된 하면을 차폐하며, 상기 이너 케이스(32) 내부의 구성들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 플레이트 흡입구(719a)와 플레이트 토출구(719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흡입구(719a)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의 일측단을 따라서 형성되며,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의 구동시 냉각을 위한 공기가 상기 이너 케이스(32)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토출구(719b)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의 다른 일측단을 따라서 형성되며, 상기 이너 케이스(32) 내부의 냉각 공기가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외부로 토출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의 상면에는 에어 가이드(7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에어 가이드(72)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의 개구된 하단을 지지하며 상기 플레이트 토출구(719b)와 연결하여, 상기 모터 어셈블리(50)를 통과하면서 상기 모터를 냉각한 공기의 토출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의 하면에는 무선 전력 모듈(7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모듈(73)은 상기 블렌더(1)의 무선 전원 공급을 위한 것으로, 유도 기전력 방식으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모듈(73)의 구체적인 구조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의 하방에는 바텀 커버(7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텀 커버(74)는 상기 본체(30)의 하면을 형성하며,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개구된 하면을 차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에 상기 무선 전력 모듈(73)이 장착되는 경우에는 상기 바텀 커버(74)에 의해서 상기 무선 전력 모듈(73)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바텀 커버(74)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개구된 하면과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바텀 커버(74)의 둘레는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하단과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텀 커버(74)에는 커버 흡입구(744) 및 커버 토출구(746)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흡입구(744)와 커버 토출구(746)를 통해서 외부 공기의 유입 및 상기 본체(30) 내부에서 방열된 공기의 토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이너 케이스 구조와 상기 감지장치의 장착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4는 상기 이너 케이스의 내부를 일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5는 상기 이너 케이스의 내부에 감지장치가 장착된 모습을 보인 하면도이다. 그리고, 도 16은 상기 감지장치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7은 도 9의 17-17' 단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부를 살펴보면,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하면은 사각형 형상으로 개구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와의 결합을 위해 다수의 보스(371,375,37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보스(371,375,376)는 상기 이너 케이스(32) 내측의 상면에서 개구된 하면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스(371,375,376)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를 관통하는 스크류가 체결되는 스크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스(371,375,376)들 중 일부에는 상기 피시비 모듈(60) 중 일부가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결합 보스(375)와 제 2 결합 보스(376), 제 3 결합 보스(371), 및 피시비 고정 돌기(381)에 의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는 이너 케이스(32)에 고정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30) 내부의 구성들이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너 케이스(32) 내측 상면은 상기 용기 안착부(301)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될 수 있다. 상기 용기 안착부(301) 내측의 삽입 공간(325a) 중앙에는 상기 이너 케이스(32)를 관통하는 안착부 홀(325d)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 안착부 홀(325d)에는 상기 모터측 연결부(54)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 공간(325a)의 바닥면에는 배수 홀(325h)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 홀(325h)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배수관(33)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에는 상기 배수관(33)이 수용될 수 있는 배수관 가이드(388a,388b)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배수관 가이드(388a,388b)에 의해 상기 배수관(33)이 정확한 장착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용기 안착부(301)와 대응하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면에는 상기 용기 안착부 홀(325d)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보강 리브(32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리브(327)에 의해 상기 용기 안착부(301)는 구조적인 강도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보강 리브(327)는 상기 용기 안착부 홀에서 상기 제 1 안착부(324)까지 연장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일부의 보강 리브(327)는 상기 용기 안착부 홀(325d)에서 상기 제 2 안착부(325)까지 연장되는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이너 케이스(32) 내측 중 상기 제 1 안착부(324)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모터 장착부(32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장착부(326)는 상기 용기 안착부 홀(325d)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장착부(326)는 상기 보강 리브(327) 또는 보강 리브(327)의 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 장착부(326)는 상기 제 1 안착부(324)의 상면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하우징 장착부(521)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장착부(326)는 상기 하우징 장착부(521)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으며, 하방으로 더 돌출되는 모터 장착 보스(326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 장착 보스(326a)는 상기 하우징 장착부(521)를 관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보스(326a)의 둘레에는 진동을 감쇄하기 위한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의 방진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장착부(521)를 관통하여 상기 모터 장착부(326)에 체결되는 스크류에 의해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의 상단이 상기 제 1 안착부(324)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기 안착부(301)의 내측에는 상기 용기(10)의 장착을 감지하는 감지장치(3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39)는 상기 제 2 안착부(325)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상기 용기(10)가 장착되면, 상기 감지장치(39)는 상기 용기(10)에 구비된 감지부재(104)의 감지를 통해 상기 용기(10)의 장착 여부 및 상기 용기(10)의 종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39)의 장착을 위해 상기 제 2 안착부(325)의 내측에는 감지장치 수용부(32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329)는 상기 제 2 안착부(325)의 외측면 및 상기 삽입 공간(325a)의 내측면 사이를 연결하여 내부에 상기 감지장치(39)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329a)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안착부(325)의 성형시 상기 제 2 안착부(325)의 외측면과 상기 삽입 공간(325a)의 내측면 사이에는 이격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329)는 상기 공간의 내측을 구획하여 상기 감지장치(39)가 삽입 및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329)는 상기 결합 지지부(325b)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지지부(325b)는 상기 삽입 공간(325a)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결합 지지부(325b)의 외측면은 상기 용기 결합부(103)와 접하고, 상기 결합 지지부(325b)의 내측면은 상기 제 2 안착부(325)의 외측면과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 지지부(325b) 내측면과 상기 제 2 안착부(325)의 사이에는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329)가 형성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329)는 다수의 상기 결합 지지부(325b)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6개의 결합 지지부(325b) 중 4개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2개씩 형성되되, 서로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329)는 상기 용기 안착부(301)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용기(10)의 장착 방향에 관계없이 상기 감지부재(104)의 일정한 감지를 보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329)는 다양한 형태로 배치되는 감지부재(104)를 감지하여 다양한 용기를 구별해 낼 수 있다면, 그 배치 개수와 배열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것이다.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329)는 함몰된 상기 제 2 안착부(325)의 외측면과 상기 삽입 공간(325a)의 내측면 사이 공간을 구획하는 한쌍의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329)는 하방으로 개구되며, 상기 감지장치(39)가 하방에서 상방으로 삽입되어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329)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329)의 내측면에는 상기 감지장치(39)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감지장치 가이드(329b)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 가이드(329b)는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329)의 양측 하단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감지장치(39)가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329)에 삽입 장착될 때 상기 감지장치(39)를 정확한 위치로 안내하며, 상기 감지장치(39)가 유동되지 않고 고정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329)의 외측에는 감지장치 고정부(32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 고정부(328)는 상기 감지장치(39)의 일측을 고정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 1 안착부(324)의 상면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 고정부(328)는 상기 감지장치(39)가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329)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329)의 외측으로 연장된 일측에 스크류가 체결되어 상기 감지장치(39)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감지장치(39)는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329)의 내측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장치 고정부(328)의 양측에는 고정 돌기(328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돌기(328a)는 상기 감지장치(39)의 양측을 관통하여 상기 감지장치(39)가 유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감지장치(39)는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329)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 지지부(325b)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용기(10)가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감지부재(104)와 근접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감지부재(104)의 감지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돌기(328a)에 의해 상기 감지장치(39)가 고정되어 상기 감지장치 고정부(328)에 상기 스크류가 체결되기 전 상기 감지장치(39)를 가고정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지장치(39)는 브라켓부(391)와 감지부(39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부(391)와 감지부(392)는 별도 성형된 상태에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절곡된 형태의 브라켓부(391)에 상기 감지부(392)가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부(391)는 상기 감지장치(39)가 상기 이너 케이스(32)에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부(391)는 상기 제 1 안착부(324)의 상면과 평행한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부(391)의 중앙에는 상기 감지장치 고정부(328)가 삽입되는 브라켓 홀(39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홀(391a)은 상기 브라켓부(391)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 고정부(328)는 상기 브라켓 홀(391a)을 관통하여 단부가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스크류가 체결되어 상기 브라켓부(391)를 구속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 홀(391a)의 양측에는 상기 고정 돌기(328a)가 삽입되는 고정 홈(391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홈(391b)은 상기 감지장치 고정부(328)가 상기 브라켓 홀(391a)에 삽입될 때 상기 고정 돌기(328a)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홈(391b)은 상기 고정 돌기(328a)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홈(391b)은 상기 브라켓부(391)의 양단에서 함몰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브라켓부(391)에는 상기 감지장치(39)로 전원 공급 및 신호 전달을 위한 전선이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392)는 상기 브라켓부(391)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392)는 상기 수용 공간(329a)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감지장치 가이드(329b)에 양측면이 각각 지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392)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용 공간(329a)의 내측을 따라 연장되며, 적어도 상기 감지부재(104)와 마주보는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392)는 상기 수용 공간(329a)의 둘레면과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 지지부(325b)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부(392)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감지부재(104)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용기(10)가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장착될 때 서로 근접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일 예로, 상기 감지부재(104)는 자석이고, 상기 감지부(392)는 홀 센서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감지부(392)는 상기 감지부재(104)의 자력이 미칠 수 있는 거리상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지부재(104)와 감지장치(39)는 서로 근접 감지가능한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감지부재(104)는 자석 외에도 알에프아이디 태그(RFID Tag)로 구성되고, 상기 감지부는 알에프 아이디 리더(RFID Reade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블렌더(1)의 상기 용기(10)의 인식 동작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8은 상기 본체에 서로 다른 종류의 용기가 선택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9는 상기 감지장치의 감지부재 감지시의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0은 상기 용기의 인식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블렌더(1)의 사용을 위해서는 상기 용기(10)를 상기 본체(30)에 장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10)의 장착시 상기 본체(30)는 상기 용기(10)의 장착을 인식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용기(10)의 종류까지 인식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용기(10)는 일반적인 식품의 분쇄 가공을 위한 블렌더(1)에 사용되는 제 1 용기(10)와, 쌀과 같은 곡물의 껍질을 분리하기 위한 정미기와 같은 특정 용도로 사용되는 제 2 용기(1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물론, 다른 용도에 적합한 구성을 가지는 다른 용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 용기들(10.10')은 모두 다른 내부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나, 상기 본체(30)와의 장착 구조는 모두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한 용도에 맞는 용기를 상기 본체(30)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기(10)의 하부에는 용기 결합부(10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 결합부(103)는 상기 용기 안착부(301) 내측의 삽입 공간(325a)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용기(10)는 정확한 위치로 정렬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 가이드(103a)가 상기 가이드 결합홈(325c)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용기 결합부(103)가 상기 삽입 공간(325a) 내측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결합 지지부(325b)가 상기 용기 결합부(103)의 외측면과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용기 결합부(103) 내부의 감지부재(104)가 상기 감지장치(39)에 의해 인식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 가이드(103a)와 상기 용기 결합부(103)의 결합에 의해 상기 용기(10)가 정렬되는 경우 상기 용기(10)는 항상 상기 감지부재(104)와 상기 감지장치(39)가 마주볼수 있도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20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용기(10)의 경우, 상기 감지부재(104)는 모두 6개가 등 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감지부재(104)는 상기 제 1 용기(10)의 중심을 기준으로 각각 60°간격으로 회전된 상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부재(104)와 대응하는 상기 용기 안착부(301)의 내측에 상기 감지장치(39)가 배치되면, 상기 제 1 용기(10)의 장착시 상기 감지부재(104)를 인식하여 상기 제 1 용기(10)의 장착을 감지하게 된다.
특히, 상기 감지장치(39)는 복수개가 구비되며, 좌우 양측에 대칭되도록 각각 한쌍씩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장치(39)의 배치 위치는 상기 감지부재(104)의 배치 위치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감지장치(39)는 상기 제 1 용기(10)의 중심과 대응하는 상기 용기 안착부(301)의 중심을 기준으로 각각 60°간격으로 회전 된 위치 중, 중심축의 상단과 하단을 제외한 좌우 양측에 각각 2개씩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용기(10)가 어떤 방향으로 삽입되더라도,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삽입되어 안착되면 6개의 상기 감지부재(104)들 중 4개의 상기 감지부재(104)가 4개의 상기 감지장치(39)에 각각 인식될 수 있다.
즉, 상기 4개의 감지장치(39)모두에서 각각 상기 감지부재(104)가 인식되는 경우에는 제어부에서는 상기 제 1 용기(10)가 장착된 것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용기(10)에 적합하도록 미리 설정된 운전 모드를 기본 운전 모드로 자동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운전 모드로 동작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별도의 설정 조작 없이도 상기 제 1 용기(10)에 적합한 운전을 수행 가능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본체에 제 2 용기(10')가 장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 2 용기(10')가 장착된 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1은 상기 다른 용기의 인식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가 상기 제 2 용기(10')를 사용하기를 원하는 경우 상기 제 2 용기(10')를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안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 2 용기(10')의 장착 방식은 전술한 상기 제 1 용기(10)의 장착 방식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용기(10')는 상기 결합 가이드(103a)와 상기 가이드 결합홈(325c)에 의해 정렬된 상태로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용기(10')의 경우, 상기 감지부재(104)는 모두 3개가 등 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감지부재(104)는 상기 제 2 용기(10')의 중심을 기준으로 각각 120°간격으로 회전 된 상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부재(104)와 대응하는 상기 용기 안착부(301)의 내측에 상기 감지장치(39)들이 배치되어 상기 제 2 용기(10')의 장착시 상기 감지부재(104)들을 인식하여 상기 제 2 용기(10')의 장착을 감지하게 된다.
특히, 상기 감지장치(39)는 복수개가 구비되며, 좌우 양측에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한쌍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감지장치(39)는 상기 제 2 용기(10')의 중심과 대응하는 상기 용기 안착부(301)의 중심을 기준으로 각각 60°간격으로 회전 된 6개의 지점 중 중심축의 상단과 하단을 제외한 좌우 양측에 2개씩 모두 4개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용기(10')가 어떤 방향으로 삽입되더라도, 상기 용기 결합부(103)가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삽입 안착되면 상기 3개의 감지부재(104) 중 2개의 감지부재(104)가 상기 감지장치(39)에 각각 인식될 수 있다.
즉, 4개의 상기 감지장치(39) 중 2개의 감지장치(39)에서만 상기 감지부재(104)가 인식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제 2 용기(10')가 장착된 것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용기(10')에 적합하도록 설정된 운전 모드를 자동으로 기본 운전 모드로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운전 모드로 동작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별도의 설정 조작 없이도 상기 제 2 용기(10')에 적합한 운전을 수행 가능하게 된다.

Claims (20)

  1. 모터 어셈블리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식품이 수용되는 용기;
    상기 용기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용기의 장착시 상기 모터 어셈블리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블레이드 모듈;
    상기 용기에 구비되는 감지부재;
    상기 감지부재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용기의 장착시 상기 감지부재를 감지하는 감지장치;를 포함하는 블렌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감지부재가 구비되는 용기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상기 용기의 장착시 상기 용기 결합부가 삽입되며, 상기 감지장치가 장착되는 용기 안착부가 형성되는 블렌더.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결합부의 중앙에는 상기 블레이드 모듈의 하단이 노출되며,
    상기 용기 안착부의 중앙에는 상기 블레이드 모듈의 하단과 결합되는 모터 어셈블리의 상단이 노출되는 블렌더.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재는 상기 용기 결합부의 둘레에 구비되며,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감지부재와 대응하는 상기 용기 안착부는 내측면에 구비되는 블렌더.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결합부는 상기 삽입 공간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원형으로 돌출되며,
    상기 감지부재는 상기 용기 결합부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블렌더.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부재와 상기 감지 장치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서로 겹쳐지는 위치에 배치되는 블렌더.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결합부는 상기 용기의 중앙에서 설정 반경으로 돌출되며,
    상기 용기 안착부는 상기 용기 결합부의 외측면을 지지하도록 함몰 형성되는 블렌더.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결합부의 둘레에는 등 간격으로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결합 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 안착부에는,
    상기 용기 결합부의 외측면을 지지하며, 다수개 등간격으로 이격되는 결합 지지부와;
    상기 결합 지지부들의 이격된 사이에서 상기 결합 가이드가 삽입되는 가이드 결합홈이 형성되는 블렌더.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재는 이웃하는 상기 결합 가이드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블렌더.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결합 지지부에 구비되는 블렌더.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장치는 다수의 상기 결합 지지부 중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블렌더;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안착부는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용기 안착부의 내측면과 외측면의 이격된 사이에는 하방으로 개구되어상기 감지장치가 삽입 장착되는 감지장치 수용부가 형성되는 블렌더.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 내측에 삽입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감지부재와 마주보는 위치에 위치되어 상기 감지부재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가 장착되며,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의 외측에서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브라켓부;를 포함하는 블렌더.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에는 상기 감지부를 양측에서 지지하는 감지장치 가이드가 구비되는 블렌더.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재는 다수개가 상기 용기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감지부재의 일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블렌더.
  1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복수개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상기 용기 안착부에 장착되며,
    상기 복수의 용기는 상기 감지부재의 배치 위치가 서로 다르게 구성되는 블렌더.
  1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복수개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상기 용기 안착부에 장착되며,
    상기 복수의 용기는 상기 감지부재의 배치 개수가 서로 다르게 구성되는 블렌더.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재는 자석이며,
    상기 감지장치는 자석을 감지하는 홀 센서인 블렌더.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재는 알에프아이디 태그이며,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알에프아이디 태그를 인식하는 알에프아이디 리더인 블렌더.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는 상기 감지부재가 상기 감지장치에 인식된 상태에서만동작되도록 구성되는 블렌더.
KR1020190106700A 2019-08-29 2019-08-29 블렌더 KR2021002622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700A KR20210026224A (ko) 2019-08-29 2019-08-29 블렌더
EP20859274.1A EP4023120A4 (en) 2019-08-29 2020-08-05 BLENDER
US17/639,243 US20220322884A1 (en) 2019-08-29 2020-08-05 Blender
PCT/KR2020/010328 WO2021040260A1 (ko) 2019-08-29 2020-08-05 블렌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700A KR20210026224A (ko) 2019-08-29 2019-08-29 블렌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224A true KR20210026224A (ko) 2021-03-10

Family

ID=74685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6700A KR20210026224A (ko) 2019-08-29 2019-08-29 블렌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322884A1 (ko)
EP (1) EP4023120A4 (ko)
KR (1) KR20210026224A (ko)
WO (1) WO20210402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157484A1 (en) 2021-11-23 2023-05-25 Whirlpool Corporation Container detection system for a countertop applianc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09821B2 (en) * 2001-04-13 2003-08-26 Sunbeam Products, Inc. Blender base with food processor capabilities
US7950842B2 (en) * 2007-03-05 2011-05-31 Hamilton Beach Brands, Inc. Durability monitoring and improvement of a blender
US7878702B2 (en) * 2007-04-30 2011-02-01 Zheng Peng Baby food maker
WO2015143268A1 (en) * 2014-03-20 2015-09-24 Vita-Mix Corporation Container/lid/blender interlock
EP3666140A1 (en) * 2015-04-24 2020-06-17 Vita-Mix Management Corporation Interlocking blending system
CN106551637A (zh) * 2015-09-28 2017-04-05 李文钦 有安全防护机制的食物调理机
CN106510495A (zh) * 2015-12-30 2017-03-22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多功能食品加工平台
KR20170033818A (ko) * 2017-01-23 2017-03-27 주식회사 하우스일렉 결합되는 조리 기기의 식별이 가능한 믹서기
US10898028B2 (en) * 2017-06-30 2021-01-26 Capbran Holdings, Llc Mixer with safety mechanis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23120A4 (en) 2023-11-01
EP4023120A1 (en) 2022-07-06
WO2021040260A1 (ko) 2021-03-04
US20220322884A1 (en) 2022-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114360U (zh) 食物处理机
EP3785586B1 (en) Blender
CN114302660B (zh) 料理机
EP3735881B1 (en) Blender
AU2020269750B2 (en) Blender
KR20210048914A (ko) 블렌더
KR20210026224A (ko) 블렌더
KR102511609B1 (ko) 블렌더
US20210059475A1 (en) Blender
KR20210026223A (ko) 블렌더
KR20210053647A (ko) 블렌더 용기 및 블렌더 용기 뚜껑
KR102372820B1 (ko) 블렌더
CN113784648B (zh) 料理机
CN113784649B (zh) 料理机
CN113795183B (zh) 料理机
KR20220169219A (ko) 블렌더
KR20220165358A (ko) 블렌더
EP4032447A1 (en) Blender
KR20210019798A (ko) 블렌더
CN214017276U (zh) 主机及料理机
KR20220165357A (ko) 블렌더
KR20220165356A (ko) 블렌더
KR20230019540A (ko) 블렌더
KR20230017061A (ko) 블렌더
KR20210026912A (ko) 블렌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