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6223A - 블렌더 - Google Patents
블렌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26223A KR20210026223A KR1020190106699A KR20190106699A KR20210026223A KR 20210026223 A KR20210026223 A KR 20210026223A KR 1020190106699 A KR1020190106699 A KR 1020190106699A KR 20190106699 A KR20190106699 A KR 20190106699A KR 20210026223 A KR20210026223 A KR 2021002622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blender
- main body
- seating
- seating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39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5—Safety devices
- A47J43/0761—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66—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activated by the proper positioning of the mixing bowl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27—Mixing bow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5—Safety devices
- A47J43/0761—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렌더에 관한 것으로, 모터 어셈블리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식품이 수용되는 용기; 상기 본체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용기가 안착되는 용기 안착부; 상기 용기의 하면에 상기 용기 안착부가 삽입되도록 함몰 형성되며, 상기 용기의 안착시 상기 용기 안착부와 서로 밀착되어 상기 용기를 고정하는 본체 수용부; 상기 용기의 하단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 수용부와 연통되며, 상기 용기가 상기 본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본체 수용부로 공기가 출입되는 에어 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블렌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렌더는 전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블레이드에 의해 용기에 수용된 식품을 잘게 자르거나, 가루로 분쇄하거나 액체와 같은 상태로 만드는 가전기기로서 통상 믹서기로 부르기도 한다.
일반적인 블렌더는 모터가 내장된 본체의 상면에 용기가 안착되고, 용기의 안착시 용기 내부의 블레이드가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용기에 식품을 넣은 후 상기 본체를 조작하여 상기 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가 회전되어 식품을 분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블렌더는 최근 용기의 크기가 큰 대용량의 블렌더로 개발되고 있으며, 다양한 식품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쇄할 수 있도록 초고속으로 회전되는 모터를 이용한 블렌더가 개발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렌더는 다양한 식품의 분쇄 작업이 용이하도록 다양한 조작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국제공개특허 WO/2014/071994 에는 용기의 바닥에 함몰된 연결부가 형성되고, 본체의 상면에는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용기가 상기 본체에 안착될 때 상기 돌출부가 상기 연결부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용기가 본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모터가 고속 동작하게 되더라도 상기 용기는 안정적인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의 블렌더에서는 연결부와 돌출부 사이의 밀착 구조가 제공될수록 상기 용기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즉, 상기 연결부와 돌출부의 사이가 완전히 밀착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어 상기 용기를 분리하고자 할 때 용기와 본체의 사이가 밀폐되어 서로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용기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본체가 상기 용기에 딸려서 이동될 수 있으며, 예기치 않은 본체의 낙하로 인해 파손 또는 사용자의 부상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용기의 안착 및 분리가 용이한 블렌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용기의 결합력을 유지하면서도 용기의 탈착이 용이한 블렌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는, 모터 어셈블리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식품이 수용되는 용기; 상기 본체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용기가 안착되는 용기 안착부; 상기 용기의 하면에 상기 용기 안착부가 삽입되도록 함몰 형성되며, 상기 용기의 안착시 상기 용기 안착부와 서로 밀착되어 상기 용기를 고정하는 본체 수용부; 상기 용기의 하단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 수용부와 연통되며, 상기 용기가 상기 본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본체 수용부로 공기가 출입되는 에어 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 수용부의 내측 중앙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안착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용기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 결합부의 중앙에는 상기 블레이드 모듈의 하단이 노출되며, 상기 용기 안착부의 중앙에는 상기 블레이드 모듈의 하단과 결합되는 모터 어셈블리의 상단이 노출되며, 상기 용기의 안착시 상기 블레이드 모듈과 상기 모터 어셈블리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용기의 하단에는 상기 용기의 외측면을 형성하며, 상기 용기 결합부의 둘레를 따라 이격되는 하단 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에어 벤트는 상기 하단 지지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단 지지부는 상기 용기 결합부 보다 더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단 지지부의 외측면과 상기 안착부의 외측면은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에어 벤트는 상기 하단 지지부의 하단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벤트는 상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벤트의 높이는 상기 용기 안착부의 상단보다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 안착부는, 상기 본체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용기의 외경과 대응하는 외경을 가지는 제 1 안착부와; 상기 제 1 안착부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 1 안착부보다 좁은 내경을 가지는 제 2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단 지지부는 상기 제 1 안착부에 지지되며, 상기 제 2 안착부의 내측에는 상기 용기 결합부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안착부의 내측면은 상기 용기 결합부의 외측면과 밀착되며, 상기 제 2 안착부의 외측면은 상기 하단 지지부의 내측면과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벤트는 상기 하단 지지부의 하단에서 상기 제 2 안착부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안착부와 제 2 안착부에 구비되며, 금속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 안착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 1 안착부 데코 및 제 2 안착부 데코; 상기 제 1 안착부 데코와 제 2 안착부 데코의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용기의 하단을 지지하는 연결 데코;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데코는 비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제 1 안착부 데코 및 제 2 안착부 데코와 동일한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아우터 케이스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며,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되어 상기 제 1 안착부 및 제 2 안착부를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컨테이너와;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와 이격되며, 분쇄를 위한 식품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컨테이너를 포함하며, 상기 하단 지지부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가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에어 벤트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 결합부는 상기 용기의 중앙에서 설정 반경으로 돌출되며, 상기 용기 안착부는 상기 용기 결합부의 외측면을 지지하도록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 결합부의 둘레에는 등 간격으로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결합 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 안착부에는, 상기 용기 결합부의 외측면을 지지하며, 다수개 등간격으로 이격되는 결합 지지부와; 상기 결합 지지부들의 이격된 사이에서 상기 결합 가이드가 삽입되는 가이드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지지부의 상면은 중앙에서 양측방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경사 또는 라운드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의 외측면에는 손잡이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에어 벤트는 상기 손잡이와 교차되는 방향에서 상기 용기의 외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벤트는 용기의 하단에서 상기 본체 수용부의 상면 보다 낮은 위치까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용기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 안착부에 상기 용기가 안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때, 상기 용기의 하면에는 상기 용기 안착부가 삽입되어 밀착될 수 있는 본체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가 본체에 밀착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는 본체에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의 하단에는 에어 벤트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에어 벤트는 상기 본체 수용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를 상기 본체에 장착 또는 분리하게 될 때 상기 에어 벤트를 통해 공기가 유동되어 상기 용기 안착부와 상기 본체 수용부의 사이가 밀폐되는 방지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용기의 용이한 장착과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특히, 상기 용기의 분리시 상기 에어 벤트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용기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용기와 본체의 사이 밀폐를 방지하여 본체가 상기 용기에 딸려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 편의성과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 안착부는 제 1 안착부와 제 2 안착부로 구성되며, 상기 용기의 하면에는 결합 지지부와 용기 결합부가 형성되어 각각 상기 제 1 안착부 및 제 2 안착부에 지지 및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는 본체에 보다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동작시 상기 용기의 임의 분리 또는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가 견고하게 장착되면서도 상기 에어 벤트로 인해 용기의 분리가 용이하게 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 벤트는 용기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와 교차되는 방향에서 형성되어 사용자의 눈에 잘 띄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외관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 벤트는 상기 용기의 하단에서 절개되는 구조를 가지며,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구조를 가지게 되어 공기 배출이 보다 용이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절개된 구조의 특성상 이물질에 의한 막힘이 방지될 수 있으며, 따라서 공기의 유동을 보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블렌더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블렌더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블렌더의 일 구성인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6-6' 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용기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블렌더의 일 구성인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본체의 외관을 구성하는 구성들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10-10' 단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본체와 용기가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용기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공기 유동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블렌더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블렌더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블렌더의 일 구성인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6-6' 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용기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블렌더의 일 구성인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본체의 외관을 구성하는 구성들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10-10' 단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본체와 용기가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용기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공기 유동을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블렌더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블렌더의 종단면도이다.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먼저 방향을 정의한다. 노브(40)가 형성되는 위치를 전면 또는 전방이라 하고, 파워 커넥터(도 10에서 35)가 연결되는 부분을 후면 또는 후방이라 정의한다. 그리고, 본체(30)의 바닥의 위치를 하면 또는 하방이라 하고, 용기(container, 10)의 상단의 위치를 상면 또는 상방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브(40)를 기준으로 좌측을 좌측면 또는 좌측방이라 할 수 있으며, 상기 노브(40)를 기준으로 우측을 우측면 또는 우측방이라 정의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1)는, 바닥면에 배치되는 본체(30)와, 상기 본체(30)의 상부에 안착되는 용기(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30)는 상기 블렌더(1)의 동작을 위한 모터 어셈블리(50) 및 피시비 모듈(60)을 비롯한 전기 장치와 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렌더(1)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40,310b)와 동작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310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30)는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30)의 상면에는 상기 용기(10)가 안착되기 위한 용기 안착부(30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 안착부(301)는 상기 용기(10)가 상하 방향으로 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30)의 외관은 금속 소재 또는 금속 질감을 가지는 아우터 케이스(31)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우터 케이스(31)는 하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내부에는 이너 케이스(3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에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와 피시비 모듈(60) 등이 장착되는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본체(3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블렌더(1)의 조작을 설정하기 위한 노브(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브(40)는 상기 본체(30)의 전면에서 돌출되며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블렌더(1)의 동작을 조작 및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본체(30)의 하면에는 바텀 커버(7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텀 커버(74)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31) 및 이너 케이스(32)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블렌더(1)가 설치되는 바닥면과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텀 커버(74)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31) 및 이너 케이스(32)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본체(30)의 내부와 외부로 냉각 공기가 흡입 및 토출되는 커버 흡입구(744)와 커버 토출구(746)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30)의 상면에는 상기 블렌더(1)의 동작 상태를 가시화시키기 위한 표시부(310a)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표시부(310a)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7 세그먼트(seven-segment display)와 같은 형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30)의 상면에는 상기 블렌더(1) 동작의 시작 또는 정지를 조작할 수 있는 터치 조작부(310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블렌더(1)의 조작을 위해 상기 조작부(40,310b)는 상기 노브(40)와 터치 모듈(6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30)의 상면에는 안착부(30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 안착부(301)는 본체(30)의 상면에서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 안착부(301)의 일부가 상기 용기(10)의 하면에 삽입되어 상기 용기(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상기 용기(10)가 안착되면,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와 상기 용기(10) 내부의 블레이드 모듈(14)은 서로 결합되어 상기 블레이드 모듈(14)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용기 안착부(301)는 상기 본체(30)의 중앙에서 다소 치우친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용기(10)의 손잡이(13)를 포함한 전체 가로 길이와 상기 본체(30)의 가로 길이는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10)의 식품 수용 공간의 중심은 상기 본체(30)의 중앙으로부터 편심되도록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 안착부(301)의 중심 또한 상기 용기(10)의 중심과 동일 연장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브(40)는 상기 용기 안착부(301) 및 용기(10)의 중심선과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되어 상기 본체(30)의 전면의 편심된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용기 안착부(301) 또한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와 동일한 소재로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 안착부(301)는 금속 소재 또는 금속 질감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외관과 전체적으로 일체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용기 안착부(301) 하방의 상기 본체(30) 내부에는 모터 어셈블리(5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50)는 상기 용기(10) 내부의 블레이드 모듈(14)의 회전을 위한 것으로 고속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 어셈블리(50)는 상기 노브(40)의 조작에 따라서 회전 속도의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의 상단은 상기 용기(10) 내부의 블레이드 모듈(14)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의 하단에는 쿨링 팬(55)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의 구동시 상기 블레이드 모듈(14)과 동시에 회전하여 상기 본체(30) 내부의 냉각 공기의 유동을 강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30)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32)의 내측 벽면에는 다수의 피시비 모듈(6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 모듈(60)은 다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본체(30)의 내측면 둘레 즉, 전면과 후면 및 좌우 양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구된 하면은 베이스 플레이트(71)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에는 상기 쿨링 팬(55)에 의해 흡입된 냉각 공기의 토출을 안내하기 위한 에어 가이드(7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와 바텀 커버(74)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와 상기 바텀 커버(74)의 사이에는 무선 전력 모듈(7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모듈(73)은 유도 기전력을 이용한 무선 방식으로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용기(10)는 상기 용기 안착부(301)의 외경과 대응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식품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용기(10)는 유리 또는 유리와 같이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10)는 내측 하면의 중앙에 블레이드 모듈(1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모듈(14)은 다수의 블레이드(141)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10)가 상기 본체(3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50)가 구동되면, 상기 블레이드(141)는 회전되어 상기 용기(10) 내부의 식품을 분쇄 또는 절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10)의 내부에는 회전되는 식품을 가이드 하기 위한 이너 가이드(121)가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가이드(121)는 상기 용기(10)의 내측면 하단에서 상방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뚜껑(20)의 장착시 상기 뚜껑(20)의 하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기(10)의 상단에는 분쇄된 식품을 따를 수 있는 주둥이(111,spout)가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주둥이(111)와 마주보는 일측에는 손잡이(1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3)는 상기 용기(10)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후 하방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상기 용기(10)를 들어올리거나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손잡이(13)의 돌출된 단부는 상기 본체(30)의 측단과 동일 연장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에는 뚜껑(2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뚜껑(20)은 상기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뚜껑 손잡이(13)를 잡고 상기 뚜껑(20)을 상기 용기(10)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뚜껑(20)은 뚜껑 상부(22)와 뚜껑 하부(23) 및 상기 뚜겅 손잡이(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뚜껑(20)의 둘레를 따라 뚜껑 가스켓(24)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용기(10)의 구조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상기 블렌더의 일 구성인 용기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상기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4의 6-6'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상기 용기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용기(10)는 상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10)의 하면에는 블레이드 모듈(14)이 장착되고, 상기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에는 상기 뚜껑(20)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용기(10)는 상기 블렌더(1)의 동작 중 내부의 식품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유리, 트라이탄, 투명 플라스틱과 등과 같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10)는 외부 형상을 형성하는 아우터 컨테이너(11)와, 식품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컨테이너(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 컨테이너(12)와 아우터 컨테이너(11)는 서로 결합되어 상기 용기(10)의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용기(10)가 이중 벽 구조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는 상단과 하단의 외경이 같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10)의 외관이 깔끔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의 외경은 상기 용기 안착부(301)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용기(10)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본체(30)와 상기 용기(10)가 일체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의 하면에는 본체 수용부(10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 수용부(102)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의 하면에서 상방으로 함몰된 공간을 형성하며, 아래에서 설명할 제 2 안착부(325)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본체 수용부(102)와 상기 제 2 안착부(325)의 결합에 의해 상기 용기(10)는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의 하면 중앙에는 블레이드 모듈(14)이 장착되는 용기 결합부(10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 결합부(103)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의 내측면과 상기 본체 수용부(102)의 내측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용기 결합부(103)는 상기 용기(10)의 바닥면 중앙을 중심으로 하며, 하방으로 연장되는 리브 형상으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 결합부(103)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의 하단보다 더 하방으로 연장되지 않으며, 상기 용기(10)의 중앙에 상기 블레이드 모듈(14)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 결합부(103)의 내부는 상기 용기가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안착될 때 상기 용기 안착부(301) 내측과 서로 형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10)의 하면 둘레에는 하단 지지부(10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단 지지부(104)는 상기 용기 결합부(103)의 둘레와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하단 지지부(104)와 상기 용기 결합부(103)의 사이에 상기 본체 수용부(10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 수용부(102)는 내측에 상기 용기 안착부(301)의 상단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하단 지지부(104)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가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10)의 하단 둘레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단 지지부(104)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가 절곡되는 형상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단 지지부(104)의 하단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단차진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단 지지부(104)의 외측면은 상기 용기 안착부(301)의 외측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10)가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10)와 상기 본체(30)는 일체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단 지지부(104)는 상기 용기 결합부(103)의 하단보다 더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10)가 상기 본체(30)에 완전히 장착되기 전에 상기 용기 결합부(103)가 상기 용기 안착부(301)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10)가 분리된 상태에서 바닥에 놓여지게 될 때 상기 용기 결합부(103)는 바닥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하단 지지부(104)가 바닥에 접하여 상기 용기(10)가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단 지지부(104)에는 에어 벤트(104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벤트(104a)는 상기 용기(10)와 안착부(301)가 서로 결합 또는 분리될 때 상기 용기(10)의 하면과 상기 용기 안착부(301)의 상면 사이의 공기가 출입되는 통로를 형성하여 상기 용기(10)가 용이하게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장착 및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 및 7을 참조하여 상기 에어 벤트(104a)의 구조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에어 벤트(104a)는 상기 용기(10)를 측방에서 관통하여 상기 본체 수용부(102)와 연통될 수 있다.
즉, 상기 에어 벤트(104a)는 상기 하단 지지부(104)를 형성하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본체 수용부(102)와 연통되어 상기 에어 벤트(104a)를 통해 상기 본체 수용부(102)와 외부가 연통되어 공기의 출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에어 벤트(104a)는 하단 지지부(104)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벤트(104a)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방으로 갈수록 그 절개된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벤트(104a)는 하단이 가장 폭이 넓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10)의 장착 및 분리시 공기의 유입 또는 유출이 원활하게 하고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에어 벤트(104a)는 상기 용기(10)의 하단 즉 상기 하단 지지부(104)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벤트(104a)는 상기 본체 수용부(102)의 상면과 대응하는 높이 또는 상기 본체 수용부(102)의 상면보다 다소 낮은 높이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 벤트(104a)는 상기 용기 안착부(301)의 상단보다 더 높은 위치까지 절개될 수 있다. 즉,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용기(1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에어 벤트(104a)의 상단은 상기 용기 안착부(301)의 상단보다 더 높게 위치되어 상기 용기(10)의 장착 상태에서도 상기 에어 벤트(104a)를 통해 상기 본체(30) 수용부 내측으로의 공기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에어 벤트(104a)는 상방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용기(10)가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용기(10)의 둘레 대부분이 상기 용기 안착부(301)의 둘레면과 접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10)가 안착된 상태에서는 실질적으로 상기 용기(10)의 둘레 전체가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용기(10)가 견고한 안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너 컨테이너(12)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와 이격되어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와 이너 컨테이너(12)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너 컨테이너(12)는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질 수 있다. 상기 이너 컨테이너(12)의 하부는 상기 블레이드 모듈(14)을 향하여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용기(10)의 내부 식품이 상기 블레이드 모듈(14)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너 컨테이너(12)의 상단은 하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경사면(122)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에 상기 뚜껑(20)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너 컨테이너(12)와 점진적으로 보다 밀착되면서 기밀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이너 컨테이너(12) 상단의 경사면은 상기 용기(10)의 상단에서 이너 가이드(121)의 상단까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10)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컨테이너(12)의 내측면에는 상기 이너 가이드(1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가이드(121)는 상기 경사면(122)에서 상기 이너 컨테이너(12)의 바닥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뚜껑(20)은 상면을 형성하는 뚜껑 상부(22)와, 상기 뚜껑 상부(22)와 결합되며 상기 뚜껑(20)의 하면을 형성하는 뚜껑 하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뚜껑 손잡이(13)는 상기 뚜껑 상부(22)와 뚜껑 하부(23)의 개구된 중앙에 삽입 장착될 수 있으며, 탈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뚜껑 손잡이(13)를 분리한 상태에서 식품의 추가 또는 상기 용기(10) 내부 공간(101)으로의 접근이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뚜껑(20)의 둘레에는 상기 용기(10)의 내측면과 접하여 상기 용기(10) 내부를 기밀시키는 뚜껑 가스켓(24)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뚜껑(20)이 상기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을 통해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뚜껑(20)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뚜껑 가스켓(24)은 상기 용기의 경사면(122)과 접하면서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 가스켓(24)은 상기 용기(10)의 내측면에 가압 밀착되어 상기 뚜껑(20)이 상기 용기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뚜껑(22)의 외측 단부에는 손잡이부(22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221)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뚜껑(22)의 일부가 상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부 뚜껑(23)과 이격되어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뚜껑 손잡이(21)를 사용하지 않거나, 상기 뚜껑 손잡이(21)가 분리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부(221)를 잡고 상기 뚜껑(20)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용기(10)의 하면에는 중앙에는 상기 블레이드 모듈(1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모듈(14)은 상기 용기(10) 내부 공간(101)에 수용된 식품을 분쇄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블레이드(141)와, 블레이드 샤프트(142), 샤프트 마운팅 부재(143)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141)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며, 다수개가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블레이드 샤프트(142)를 축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141)는 상기 블레이드 샤프트(142)를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블레이드(141)의 연장 방향과 절곡 각도 및 형상은 각각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다양한 식품의 분쇄, 절단 및 식품을 가루로 만들거나 액체와 같이 상태로 만드는데 모두 적합하도록 다양한 형상의 블레이드(141)가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샤프트(142)는 상기 샤프트 마운팅 부재(143)를 관통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샤프트 마운팅 부재(143)을 구성하는 베어링(143a)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143a)은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블레이드 샤프트(142)가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 마운팅 부재(143)는 상기 용기(10)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샤프트(142)의 상단에는 상기 블레이드(141)의 분리를 방지하고, 상기 블레이드(141)가 상기 블레이드 샤프트(142)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블레이드 구속부재(142a)가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 샤프트(142)의 하단에는 블레이드측 연결부(14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측 연결부(144)는 상기 용기(10)의 바닥면 중앙에서 노출될 수 있으며,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10)가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장착될 때에 아래에서 설명할 모터측 연결부(54)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의 동력이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기(10)의 바닥면에는 상기 용기 결합부(10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 결합부(103)의 내측에는 마운팅 커버(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커버(15)는 상기 용기(10)가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장착될 때, 상기 모터측 연결부(54)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151)을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마운팅 커버(15)의 중앙은 상기 샤프트 마운팅 부재(143)가 관통되도록 개구될 수 있으며, 상기 마운팅 커버(15)의 하면 중앙을 통해 상기 블레이드측 연결부(144)가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측 연결부(144)의 둘레와 대응되는 상기 마운팅 커버(15)의 중앙부는 함몰되어 상기 모터측 연결부(54)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10)가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모터측 연결부(54)와 블레이드측 연결부(144)는 서로 간섭되지 않고 자연스럽게 서로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 용기 결합부(103)의 내측에는 마운팅 케이스(153)와 감지부재(15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케이스(153)는 상기 용기 결합부(103)의 내측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감지부재(104)는 상기 용기(10)의 장착 여부 및 상기 용기(10)의 정보를 상기 본체(30)의 감지장치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용기(10)가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장착되면 상기 본체(30)에 구비된 감지장치는 상기 감지부재(152)를 감지하여 상기 용기(10)의 장착을 감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용기(10)의 종류를 식별할 수도 있다. 상기 감지부재(152)는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감지장치는 자석으로 된 상기 감지부재(152)를 감지하는 홀 센서 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본체(30)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상기 블렌더의 일 구성인 본체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상기 본체의 외관을 구성하는 구성들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도 8의 10-10'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본체(30)는 직육면체의 상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30)의 상면에는 상기 용기(10)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301)가 돌출 형성 되고, 상기 본체(30)의 전면에는 상기 블렌더(1)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노브(4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30)의 내부 및 전체적인 구조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외측에 아우터 케이스(31)가 장착되어 상기 본체(3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32)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되어 상기 본체(30)의 내부 및 외부의 구성들이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케이스(31)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판상의 소재가 절곡 및 접합되어 매우 깔끔하고 견고한 외관 형상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와 이너 케이스(32)는 하면이 개구된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모터 어셈블리(50)와 다수의 상기 피시비 모듈(60)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너 케이스(32)의 개구된 하면은 베이스 플레이트(71)에 의해 차폐되며, 상기 바텀 커버(74)에 의해 상기 본체(30)의 하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30)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아우터 케이스(31)는 사각형 형상의 상면과, 상기 상면의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는 전면과 후면 및 좌우 양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상면에는 상면 개구(3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면 개구(311)는 상기 용기 안착부(301)의 외경과 같거나 다소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너 케이스(32)와 아우터 케이스(31)의 결합시 상기 용기 안착부(301)를 형성하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상부가 상기 상면 개구(311)를 관통하여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상부에는 제 1 안착부 데코(314)와 제 2 안착부 데코(316), 로어 데코(315) 그리고 연결 데코(317)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용기 안착부(301)는 제 1 안착부 데코(314)와 제 2 안착부 데코(316), 로어 데코(315) 및 연결 데코(317)에 의해서 전체적인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안착부 데코(314)와 제 2 안착부 데코(316)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와 동일 소재 또는 동일한 질감으로 보이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안착부 데코(314)와 제 2 안착부 데코(316)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안착부 데코(314)는 상기 제 2 안착부 데코(316)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연결 데코(317)는 상기 제 1 안착부 데코(314)의 상단과 상기 제 2 안착부 데코(316)를 연결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안착부 데코(314)와 제 2 안착부 데코(316) 및 상기 연결 데코(317)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에 형성되는 제 1 안착부(324)와 제 2 안착부(325)의 외측면 및 상기 제 1 안착부(324)의 상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안착부(324)의 하단과 접하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상면에는 로어 데코 장착부(3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데코 장착부(323)는 상기 제 1 안착부(324)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며 상기 로어 데코(315)가 장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데코(315)는 플라스틱 또는 고무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안착부 데코(314)의 장착시 상기 제 1 안착부 데코(314)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사이 공간을 채워 틈새가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금속 소재로 된 상기 제 2 안착부 데코(316)의 하단과 상기 상면 개구(311)의 둘레 사이를 기밀하고 외관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안착부(324)의 상면에는 상기 제 2 안착부(3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안착부(325)는 상기 제 1 안착부(324)보다 더 작은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안착부(324)의 상면에는 연결 데코 장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데코 장착부(324a)는 상기 제 2 안착부(325)의 하단 둘레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안착부(324)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데코 장착부(324a)에는 상기 연결 데코(317)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데코(317)는 상기 제 1 안착부 데코(314)의 상단과 상기 제 2 안착부 데코(316)의 하단을 연결하는 것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 데코(317)는 상기 제 1 안착부(324)의 상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안착부 데코(314)와 제 2 안착부 데코(316) 사이의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연결 데코(317)는 수평부(317a)와 수직부(317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317a)는 상기 연결 데코 장착부(324a)와 대응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부(317a)의 하단에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 데코 장착부(324a)의 홈에 삽입되는 장착부 돌기(317c)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부(317a)의 상면은 상기 제 1 안착부(324)의 상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평부(317a)는 상기 제 1 안착부(324)와 제 2 안착부(325)의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제 1 안착부(324)와 제 2 안착부(325) 사이의 단차진 면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부(317a)는 상기 본체(30)의 상면과 평행한 면을 제공하여 상기 용기(10)가 장착되었을 때 상기 용기(10)의 하단 즉, 상기 하단 지지부(104)의 하단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 데코(317) 또는 적어도 상기 수평부(317a)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10)의 하단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직부(317b)는 상기 수평부(317a)의 내측단을 따라서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317b)는 상기 제 2 안착부 데코(316)의 하단을 가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수직부(317c)의 내측면 상단에는 단차지게 형성된 데코 홈(137d)이 형성되며, 상기 데코 홈(317d)의 내측에 상기 제 2 안착부 데코(316)의 하단이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안착부 데코(314)와 제 2 안착부 데코(316)의 사이는 상기 연결 데코(317)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안착부(325)는 상기 제 1 안착부(324)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상기 용기 결합부(103)가 수용될 수 있는 삽입 공간(325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 공간(325a)의 내측면에는 결합 지지부(325b) 및 용기 결합 홈(325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지지부(325b)는 상기 제 2 안착부(325)의 내측 둘레면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10)의 장착시 상기 용기 결합부(103)의 외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결합 지지부(325b)는 다수개가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이웃하는 결합 지지부(325b)의 사이에 상기 가이드 결합홈(325c)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 지지부(325b)의 상면은 중앙이 돌출되고 돌출된 중앙에서 양측 방향으로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10)가 장착될 때 상기 결합 가이드(103a)가 상기 결합 지지부(325b)의 상면과 접하게 되고 상기 결합 가이드(103a)가 상기 가이드 결합홈(325c)을 향하도록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결합홈(325c)은 상기 결합 가이드(103a)가 삽입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함몰 형성되며,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결합 지지부(325b)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 결합부(103)는 상기 삽입 공간(325a)의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10)가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장착되면, 상기 용기 결합부(103)는 상기 가이드 결합홈(325c)에 의해 정렬 상태로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감지부재(104)와 감지장치(39)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유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 가이드(103a)와 상기 가이드 결합홈(325c)의 배치에 의해서 상기 용기가 어떤 방향으로 장착되더라도 상기 감지장치가 상기 감지부재(104)를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10)의 위치를 정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 지지부(325b)는 상기 용기 결합부(103)의 외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용기(10)가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장착된 상태에서 견고한 장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10)는 장착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으며 안정적인 동작이 보장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전면에는 상기 노브(40)가 위치되는 노브 홀(3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브(40)는 상기 노브 홀(312)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30)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너 케이스(32)는 하면이 개구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상면에는 안착부(30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32)는 전체적으로 평면 형상의 상면과, 상면의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전면과 후면 그리고 좌우 양측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32)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어 비교적 복잡한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으며, 내부에 상기 모터 어셈블리(50) 및 피시비 모듈(61, 63, 640)의 장착을 위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상면에는 상면 장착부(3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면 장착부(322)는 디스플레이 모듈(66)과 상기 터치 모듈(65)이 장착되도록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면 장착부(322)는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6)과 상기 터치 모듈(65)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6)과 대응하는 상기 아웃 케이스(31)에는 다수의 미세한 홀들에 의해 7세그먼트 형상으로 형성된 표시부(310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6)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되어 상기 블렌더(1)의 동작 정보를 숫자 또는 문자로 표시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 모듈(65)과 대응하는 상기 아웃 케이스(31)의 상면에는 인쇄 또는 표면 가공에 의해 터치 조작부(310b)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터치 조작부(310b)를 터치하여 상기 터치 모듈(65)로 상기 블렌더(1)의 동작을 위한 조작을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부 공간에는 모터 어셈블리(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50)는 상기 블레이드 모듈(14)의 회전을 위한 것으로, 상기 용기 안착부(301)의 중심부와 대응하는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5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모터 샤프트(53)를 포함하는 모터(51)와, 상기 모터(51)가 수용되는 모터 하우징(52), 그리고 상기 모터 샤프트(53)의 상단에 구비되는 모터측 연결부(54)와, 상기 모터 샤프트(53) 하단에 구비되는 쿨링 팬(5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 하우징(52)의 상면은 상기 이너 케이스(32)에 형성되는 모터 장착부(326)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 샤프트(53)의 상단에는 상기 용기(10)의 장착시 상기 블레이드측 연결부(144)와 결합되는 모터측 연결부(5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터측 연결부(54)는 상기 블레이드측 연결부(144)와 결합되어 상기 모터(51)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모터측 연결부(54)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상면을 통해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 안착부(301) 내부의 삽입 공간(325a)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측 연결부(54)는 상기 블레이드측 연결부(144)와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모터(51)의 동력이 상기 블레이드 모듈(14)로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샤프트(53)의 하단에는 상기 본체(30) 내부의 냉각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기 위한 쿨링 팬(55)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51)의 회전시 상기 블레이드(141)의 회전과 동시에 상기 쿨링 팬(55) 또한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쿨링 팬(55)은 상기 모터 하우징(52)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바텀 플레이트(71)에 장착된 상기 에어 가이드(72)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쿨링 팬(55)의 동작시 상기 모터 하우징(52)을 통과한 공기가 상기 에어 가이드(72) 내측으로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부에는 상기 블렌더(1)의 동작을 위한 다수의 피시비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 모듈은 상기 이너 케이스(32) 내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 모듈(60)은 기능별로 분리된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면과 인접위치에서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벽면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피시비 모듈(60)은 상기 노브(40)가 장착되며 상기 블렌더(1)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 피시비 모듈(64)과, 상기 모터(51)를 제어하기 위한 인버터 피시비 모듈(61), 입력 전원을 컨트롤하는 파워 피시비 모듈(미도시) 그리고,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링 피시비 모듈(63)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피시비 모듈은 상기 블렌더(1)의 기능에 따라 추가의 피시비 모듈이 더 구비되거나, 일부 피시비 모듈이 생략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하단에는 베이스 플레이트(7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개구된 하면을 차폐하며, 상기 이너 케이스(32) 내부의 구성들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 플레이트 흡입구(719a)와 플레이트 토출구(719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흡입구(719a)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의 일측단을 따라서 형성되며,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의 구동시 냉각을 위한 공기가 상기 이너 케이스(32)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토출구(719b)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의 다른 일측단을 따라서 형성되며, 상기 이너 케이스(32) 내부의 냉각 공기가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외부로 토출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의 상면에는 에어 가이드(7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에어 가이드(72)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의 개구된 하단을 지지하며 상기 플레이트 토출구(719b)와 연결하여, 상기 모터 어셈블리(50)를 통과하면서 상기 모터를 냉각한 공기의 토출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의 하면에는 무선 전력 모듈(7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모듈(73)은 상기 블렌더(1)의 무선 전원 공급을 위한 것으로, 유도 기전력 방식으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모듈(73)의 구체적인 구조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의 하방에는 바텀 커버(7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텀 커버(74)는 상기 본체(30)의 하면을 형성하며,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개구된 하면을 차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에 상기 무선 전력 모듈(73)이 장착되는 경우에는 상기 바텀 커버(74)에 의해서 상기 무선 전력 모듈(73)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바텀 커버(74)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개구된 하면과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바텀 커버(74)의 둘레는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하단과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텀 커버(74)에는 커버 흡입구(744) 및 커버 토출구(746)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흡입구(744)와 커버 토출구(746)를 통해서 외부 공기의 유입 및 상기 본체(30) 내부에서 방열된 공기의 토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블렌더(1)의 상기 용기(10) 탈착과정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1은 상기 본체와 용기가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상기 용기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공기 유동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블렌더(1)의 사용을 위해서는 상기 용기(10)를 상기 본체(30)에 장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10)의 장착시 상기 본체(30)는 상기 용기(10)의 장착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용기(10)의 장착시 상기 용기 결합부(103)는 상기 용기 안착부(301) 내측의 삽입 공간(325a)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용기(10)는 정확한 위치로 정렬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 가이드(103a)가 상기 가이드 결합홈(325c)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용기 결합부(103)가 상기 삽입 공간(325a) 내측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결합 지지부(325b)가 상기 용기 결합부(103)의 외측면과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 안착부(301)의 상단 즉, 상기 제 2 안착부(325)의 상부는 상기 본체 수용부(102)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제 2 안착부(325)의 외측면은 상기 하단 지지부(104)의 내측면과 접하게 된다. 즉, 상기 용기 안착부(301)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기 제 2 안착부(325)는 상기 용기 결합부(103)의 외측면과 상기 하단 지지부(104)의 내측면에 접하며, 서로 밀착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어 상기 용기(10)가 안정적이고 견고한 장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용기(10)의 하단 즉, 상기 하단 지지부(104)의 하단은 상기 제 1 안착부(324)의 상면 즉, 상기 연결 데코(317)의 수평부(317a)에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블렌더(1)가 고속으로 동작되는 상태에서도 상기 용기(10)는 상기 본체(30)에 안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용기(10)가 상기 본체(30)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상기 에어 벤트(104a)에 의해 상기 외부의 공기가 상기 본체 수용부(102)의 내측 및 삽입 공간(325a)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용기(1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에어 벤트(104a)의 상단은 상기 용기 안착부(301)의 상단 즉, 상기 제 2 안착부(325)의 상단 보다는 다소 높은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 수용부(102)의 상면은 상기 에어 벤트(104a)의 상단보다 더 높은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10)가 장착된 상태에서도 외부의 공기는 상기 에어 벤트(104a)를 통해서 상기 본체 수용부(102)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1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에어 벤트(104a)에 의해서 상기 용기(10)와 본체(30)의 사이는 밀폐되지 않게 된다. 상기 용기(10)를 상기 본체(30)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에어 벤트(104a)를 통해서 외부의 공기가 상기 본체 수용부(102)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10)는 상기 용기 안착부(301)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30)는 상기 용기(10)를 따라 이동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10)를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장착하는 과정에서도 상기 본체 수용부(102) 및 삽입 공간(325a) 내측의 공기가 상기 에어 벤트(104a)를 통해서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게 되어 상기 용기(10)의 신속하고 용이한 장착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20)
- 모터 어셈블리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식품이 수용되는 용기;
상기 본체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용기가 안착되는 용기 안착부;
상기 용기의 하면에 상기 용기 안착부가 삽입되도록 함몰 형성되며, 상기 용기의 안착시 상기 용기 안착부와 서로 밀착되어 상기 용기를 고정하는 본체 수용부;
상기 용기의 하단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 수용부와 연통되며, 상기 용기가 상기 본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본체 수용부로 공기가 출입되는 에어 벤트를 포함하는 블렌더.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수용부의 내측 중앙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안착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용기 결합부가 형성되는 블렌더.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결합부의 중앙에는 상기 블레이드 모듈의 하단이 노출되며,
상기 용기 안착부의 중앙에는 상기 블레이드 모듈의 하단과 결합되는 모터 어셈블리의 상단이 노출되며,
상기 용기의 안착시 상기 블레이드 모듈과 상기 모터 어셈블리가 서로 연결되는 블렌더.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하단에는 상기 용기의 외측면을 형성하며, 상기 용기 결합부의 둘레를 따라 이격되는 하단 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에어 벤트는 상기 하단 지지부에 형성되는 블렌더.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지지부는 상기 용기 결합부 보다 더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단 지지부의 외측면과 상기 안착부의 외측면은 동일 평면을 형성하는 블렌더.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벤트는 상기 하단 지지부의 하단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블렌더.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벤트는 상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블렌더.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벤트의 높이는 상기 용기 안착부의 상단보다 더 높게 형성되는 블렌더.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안착부는,
상기 본체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용기의 외경과 대응하는 외경을 가지는 제 1 안착부와;
상기 제 1 안착부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 1 안착부보다 좁은 내경을 가지는 제 2 안착부를 포함하는 블렌더.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지지부는 상기 제 1 안착부에 지지되며,
상기 제 2 안착부의 내측에는 상기 용기 결합부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블렌더.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안착부의 내측면은 상기 용기 결합부의 외측면과 밀착되며,
상기 제 2 안착부의 외측면은 상기 하단 지지부의 내측면과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블렌더.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벤트는 상기 하단 지지부의 하단에서 상기 제 2 안착부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까지 연장 형성되는 블렌더.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착부와 제 2 안착부에 구비되며, 금속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 안착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 1 안착부 데코 및 제 2 안착부 데코;
상기 제 1 안착부 데코와 제 2 안착부 데코의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용기의 하단을 지지하는 연결 데코;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데코는 비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블렌더.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 1 안착부 데코 및 제 2 안착부 데코와 동일한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아우터 케이스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며,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되어 상기 제 1 안착부 및 제 2 안착부를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를 포함하는 블렌더.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컨테이너와;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와 이격되며, 분쇄를 위한 식품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컨테이너를 포함하며,
상기 하단 지지부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가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에어 벤트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블렌더.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결합부는 상기 용기의 중앙에서 설정 반경으로 돌출되며,
상기 용기 안착부는 상기 용기 결합부의 외측면을 지지하도록 함몰 형성되는 블렌더.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결합부의 둘레에는 등 간격으로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결합 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 안착부에는,
상기 용기 결합부의 외측면을 지지하며, 다수개 등간격으로 이격되는 결합 지지부와;
상기 결합 지지부들의 이격된 사이에서 상기 결합 가이드가 삽입되는 가이드 결합홈이 형성되는 블렌더.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지지부의 상면은 중앙에서 양측방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경사 또는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블렌더.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외측면에는 손잡이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에어 벤트는 상기 손잡이와 교차되는 방향에서 상기 용기의 외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블렌더.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벤트는 용기의 하단에서 상기 본체 수용부의 상면 보다 낮은 위치까지 절개되어 형성되는 블렌더.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6699A KR20210026223A (ko) | 2019-08-29 | 2019-08-29 | 블렌더 |
US17/638,129 US20220361716A1 (en) | 2019-08-29 | 2020-08-05 | Blender |
PCT/KR2020/010326 WO2021040259A1 (ko) | 2019-08-29 | 2020-08-05 | 블렌더 |
EP20856962.4A EP4023119A4 (en) | 2019-08-29 | 2020-08-05 | MIX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6699A KR20210026223A (ko) | 2019-08-29 | 2019-08-29 | 블렌더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26223A true KR20210026223A (ko) | 2021-03-10 |
Family
ID=74684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06699A KR20210026223A (ko) | 2019-08-29 | 2019-08-29 | 블렌더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220361716A1 (ko) |
EP (1) | EP4023119A4 (ko) |
KR (1) | KR20210026223A (ko) |
WO (1) | WO202104025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D990965S1 (en) * | 2021-01-18 | 2023-07-04 | Lg Electronics Inc. | Blender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30491A (ja) * | 2002-02-07 | 2003-08-19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電動調理機 |
US6971597B2 (en) * | 2004-02-19 | 2005-12-06 | Hamilton Beach/Proctor-Silex, Inc. | Rotatable tray for food processor |
KR100895708B1 (ko) * | 2008-05-26 | 2009-04-30 | 문기원 | 이중 용기 |
US9877612B2 (en) | 2012-11-09 | 2018-01-30 | Aktiebolaget Electrolux | Blender jar, blender base unit and blender |
US20160015217A1 (en) * | 2013-04-03 | 2016-01-21 | Aktiebolaget Electrolux | Blender jar, blender base unit and blender |
KR101384979B1 (ko) * | 2013-09-12 | 2014-04-14 | 설정구 | 분해 조립이 용이한 믹서기 |
KR101448681B1 (ko) * | 2014-05-21 | 2014-10-15 | 최은성 |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식품 조리기 |
FR3020259B1 (fr) * | 2014-04-25 | 2016-05-27 | Seb Sa | Appareil electromenager de preparation culinaire comportant un recipient amovible pouvant etre dispose sur un boitier par un simple mouvement de translation |
CN105877535B (zh) * | 2015-02-13 | 2018-12-04 | 金弘培 | 食品加工烹饪设备 |
KR101943098B1 (ko) * | 2018-09-14 | 2019-01-28 | 이클립스리빙(주) | 진공 믹서기 |
-
2019
- 2019-08-29 KR KR1020190106699A patent/KR2021002622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20
- 2020-08-05 US US17/638,129 patent/US20220361716A1/en active Pending
- 2020-08-05 WO PCT/KR2020/010326 patent/WO2021040259A1/ko unknown
- 2020-08-05 EP EP20856962.4A patent/EP4023119A4/en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4023119A1 (en) | 2022-07-06 |
EP4023119A4 (en) | 2023-11-01 |
US20220361716A1 (en) | 2022-11-17 |
WO2021040259A1 (ko) | 2021-03-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53176B1 (ko) | 조리기 | |
CN114302660B (zh) | 料理机 | |
KR101759754B1 (ko) | 가압 스크류 및 사전 절단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전기 주방 기구 | |
EP3785586A1 (en) | Blender | |
US20220160177A1 (en) | Blender | |
KR20210048914A (ko) | 블렌더 | |
KR20210026223A (ko) | 블렌더 | |
EP3735881A1 (en) | Blender | |
EP3815586B1 (en) | Blender | |
EP4023120A1 (en) | Blender | |
KR20210026225A (ko) | 블렌더 | |
CN214231006U (zh) | 料理机 | |
CN113795183B (zh) | 料理机 | |
EP4032447A1 (en) | Blender | |
KR20220165358A (ko) | 블렌더 | |
KR20220169219A (ko) | 블렌더 | |
KR20210037271A (ko) | 블렌더 및 블렌더 용기 | |
KR20210026912A (ko) | 블렌더 | |
CN210043819U (zh) | 刀座组件及料理机 | |
CN216364805U (zh) | 料理机 | |
CN211155365U (zh) | 过滤组件、刀座组件及料理机 | |
CN214017234U (zh) | 料理机的主机及料理机 | |
KR102658631B1 (ko) | 블렌더 | |
KR20220165357A (ko) | 블렌더 | |
KR20220165356A (ko) | 블렌더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