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9219A - 블렌더 - Google Patents

블렌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9219A
KR20220169219A KR1020210079361A KR20210079361A KR20220169219A KR 20220169219 A KR20220169219 A KR 20220169219A KR 1020210079361 A KR1020210079361 A KR 1020210079361A KR 20210079361 A KR20210079361 A KR 20210079361A KR 20220169219 A KR20220169219 A KR 20220169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knob
container
protrusion
ble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9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대용
정상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9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9219A/ko
Priority to US17/728,179 priority patent/US20220400903A1/en
Priority to EP22171532.9A priority patent/EP4104727A1/en
Publication of KR20220169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92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5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브의 오조립이 방지되는 블렌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블렌더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용기를 지지하는 본체와; 상기 용기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용기의 상방을 개폐하는 뚜껑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본체에는, 회전조작이 입력되는 노브와, 노브가 결합되는 메인피시비모듈과, 상기 노브가 메인피시비모듈에 정위치에 결합되도록 하는 오조립방지수단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노브의 오조립이 방지되고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블렌더{Blender}
본 발명은 블렌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노브의 오조립이 방지되는 블렌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렌더(blender)는 믹서기 또는 분쇄기 등으로 일컫는 것으로, 모터의 회전에 의해 칼날이 회전하여 용기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을 잘게 부수거나 잘게 자르는 용도로 주로 쓰인다.
통상의 블렌더는 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모터가 내장된 본체가 하측에 위치하고, 이러한 본체의 상측에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가 안착되며, 용기 내부에는 음식물을 분쇄하거나 잘게 자르기 위한 블레이드(칼날)이 구비되어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용기에 음식물 등과 같은 썰기 위한 식품을 넣은 후, 본체의 조작버튼이나 노브 등을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시키면, 모터의 회전을 전달받은 블레이드가 회전하여 용기 내부의 음식물을 분쇄하거나 썰게 된다.
이러한 블렌더는 근래 직장인의 바쁜 일상 및 음식물 섭취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사용자의 욕구와 부합하여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고 있다. 즉, 소형의 핸드블렌더가 개발되기도 하고, 좀 더 크기가 큰 대용량 또는 고속으로 음식물이 분쇄되도록 하는 블렌더 등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블렌더의 용기 내부에 수용되는 음식 재료가 더 신선한 상태에서 가공될 수 있도록 용기 내부를 진공으로 만들어 음식물을 절개하거나 분쇄하도록 하는 진공블렌더가 개시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블렌더에는 작동 제어를 위해 모터어셈블리나 PCB모듈과 같은 전장부품들이 구비되는데, 블렌더 작동시 모터어셈블리나 PCB모듈에서 열이 발생하여 오작동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아니라, 터치버튼 등으로 이루어지는 조작버튼에서는 조작부 하부에 구비되는 피시비(PCB)가 유동되어 조작부에 의한 조작감도가 떨어지고 조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도 있다. 즉 한국 등록번호 제10-2057487호 또는 제10-1987055호와 같은 조리기기에서 사용자가 조작하거나 디스플레이되는 조작디스플레이부의 하측에 구비되는 조작반이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여 사용자의 조작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거나 조작 에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는 다수의 부품 조립시 방향설정이나 조립가이드 등의 부족으로 오조립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다. 특히 한국 등록특허 제10-1713194호에서와 같이 원형의 조절노브나 배출밸브 등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조립 방향이 상하나 좌우로 잘못되어 오조립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2057487호 한국 등록특허 제10-1987055호 한국 등록특허 제10-1713194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노브가 메인피시비모듈에 정위치에 결합되도록 하는 오조립방지수단이 구비되는 블렌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노브를 구성하는 라이트가이드와 노브링 사이에 완충 기능을 가지는 링(ring) 형상의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는 블렌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노브를 구성하는 라이트가이드와 노브링에 서로 대응되게 성형되어 결합되는 가이드체결돌기와 링체결부가 각각 구비되는 블렌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본체의 터치조작부 하부의 터치모듈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이 더 구비되는 블렌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PCB모듈과 모터어셈블리 내부를 통과하여 본체의 하부로 배출되는 블렌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블렌더에서는 노브가 메인피시비모듈에 정위치에 결합되도록 하는 오조립방지수단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블렌더에서는 메인피시비모듈의 엘이디에서 조사되는 빛을 안내하는 라이트가이드에 오조립방지수단의 일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블렌더에서는 노브의 구성품들이 서로 결합하도록 하는 안내돌기 또는 체결돌기가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조립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블렌더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용기를 지지하는 본체와; 상기 용기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용기의 상방을 개폐하는 뚜껑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본체에는, 회전조작이 입력되는 노브와, 노브가 결합되는 메인피시비모듈과, 상기 노브가 메인피시비모듈에 정위치에 결합되도록 하는 오조립방지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조립방지수단은, 상기 노브와 메인피시비모듈에 구비되는 안내돌기와 안내홀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돌기와 안내홀은 각각 다수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안내돌기와 안내홀은 그 크기가 서로 상이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노브는, 외관을 형성하는 노브데코와, 상기 노브데코의 내부에 수용되는 노브바디와, 상기 메인피시비모듈의 엘이디에서 조사되는 빛을 안내하는 라이트가이드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안내돌기 또는 안내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라이트가이드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돌기는 상기 라이트가이드의 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안내홀은 상기 메인피시비모듈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돌기는, 상기 라이트가이드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안내돌기지지부와, 상기 안내돌기지지부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되게 연장 형성되는 안내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돌기부의 외경은, 상기 안내홀의 내경 크기와 대응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돌기와 안내홀은 각각 다수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돌기와 안내홀은, 상기 라이트가이드와 메인피시비모듈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1안내돌기 및 제1안내홀과, 상기 라이트가이드와 메인피시비모듈의 중앙을 중심으로 상기 제1안내돌기 및 제1안내홀과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는 제2안내돌기 및 제2안내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안내돌기와 제2안내돌기는 돌기부의 외경 크기가 서로 상이하며, 상기 제1안내홀과 제2안내홀의 내경은 상기 제1안내돌기와 제2안내돌기의 외경과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라이트가이드의 일측에는, 링 형상을 가지며, 상기 메인피시비모듈의 엘이디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노브링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라이트가이드와 노브링 사이에는 완충 기능을 가지는 링(ring) 형상의 탄성부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라이트가이드와 노브링에는, 서로 대응되게 성형되어 결합되는 가이드체결돌기와 링체결부가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체결돌기는 상기 라이트가이드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링체결부는 상기 노브링의 일면으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체결돌기는, 상기 라이트가이드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기지지부와, 상기 돌기지지부의 일면으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가이드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체결부에는, 끝단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돌기지지부가 수용되는 링체결부홈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돌기부는, 상기 링체결부홈과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링체결부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돌기부는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돌기부의 끝단 외경은, 상기 링체결부홈의 내경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돌기부의 뿌리단 외경은, 상기 링체결부홈의 내경 크기와 같거나 더 큰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블렌더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하나. 본 발명에 의한 블렌더에서는, 본체의 노브의 조립을 위한 오조립방지수단이 구비된다. 따라서 메인피시비모듈에 조립되는 노브가 상하좌우로 정위치에 조립되므로 조립불량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둘, 본 발명에서는 오조립방지수단이 안내돌기와 안내홀로 이루어지며, 안내돌기는 테이퍼(taper) 형상을 가짐과 동시에 끝단의 외경은 안내홀의 내경보다 작고 안쪽단(뿌리단)의 외경은 안내홀과 같거나 더 크게 형성되어 안내돌기와 안내홀이 억지끼움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립이 편리하고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도 노브와 메인피시비모듈의 결합이 견고해지는 장점이 있다.
셋, 본 발명의 오조립방지수단은 서로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한 쌍의 안내돌기와 안내홀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한 쌍의 안내돌기와 안내홀은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한 쌍의 안내돌기와 안내홀 중 서로 대응되는 안내돌기와 안내홀만 결합이 가능하므로 라이트가이드가 메인피시비에 상하 방향이 정확하게 설치되는 이점이 있다.
넷, 본 발명에서 노브를 구성하는 라이트가이드와 노브링에는 서로 대응되게 성형되어 결합되는 가이드체결돌기와 링체결부가 각각 구비되고, 가이드체결돌기는 테이퍼(taper) 형상으로 이루어져 링체결부홈에 결합된다. 따라서 라이트가이드와 노브링의 조립 능률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다섯, 본 발명에서는 본체의 터치조작부 하부에 터치모듈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이 더 구비된다. 따라서 터치조작부의 조작시 터치모듈의 유동이 방지되므로 터치조작의 정밀도가 향상되고 조작 에러가 방지된다.
여섯, 본 발명에 의한 블렌더에서는, 본체의 본체케이스 상면에 구비되는 터치조작부와 하부의 터치모듈 그리고 방열프레임에 구비되는 지지수단 등이 서로 밀착 고정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터치 조작시 조작부의 상하 유동이 방지되므로 터치감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일곱, 본 발명에서는 본체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본체의 하측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본체 내부를 통과하면서 전장부품의 방열에 이용된 뜨거운 공기가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닿는 것이 방지되므로, 사용자의 감성 불만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블렌더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블렌더의 내부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용기의 상세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용기의 하측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본체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본체의 상반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본체에서 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본체케이스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본체의 내부 구성을 보인 정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본체의 우측이 부분적으로 절개된 상태를 보인 절개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본체의 부분 절개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터치모듈의 설치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터치모듈의 설치상태를 보인 부분 분해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본체 내부의 구성을 보인 하부사시도.
도 15는 도 14에서 인버터피시비모듈과 방열부재를 제거한 상태를 보인 본체 내부의 하부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노브가 메인피시비모듈과 메인브라켓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전방 분해사시도.
도 18은 도 16의 하방 분해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메인피시비모듈의 상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노브의 라이트가이드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노브의 라이트가이드 구성을 보인 후방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노브의 라이트가이드가 메인피시비모듈에 체결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2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노브의 라이트가이드가 메인피시비모듈에 체결된 상태를 보인 배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블렌더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블렌더의 일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와 종단면도로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블렌더는,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되어 음식물을 수용하는 용기(100)와, 상기 용기(100)의 하측에 구비되어 용기(100)를 지지하는 본체(50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용기(100)는 음식물이 수납되어 절개되거나 분쇄되는 등의 가공이 일어나는 부분이며, 상기 본체(500)는 상기 용기(100)를 지지한다. 그리고, 이러한 본체(500)의 내부에는 상기 용기(100)에서 음식물이 절개되거나 분쇄되는 것을 제어하거나 전력 공급 등을 위한 다수의 부품이 구비된다.
상기 용기(100)는 전체적으로는 원통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면은 개구되어 음식물이 출입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용기(100)는 외부에서 내부를 투시 가능하도록 투명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유리나 투명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외부에서 상기 용기(100) 내부의 음식물 상태를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용기(100)의 내측 하부에는 블레이드어셈블리(200)가 구비된다. 상기 블레이드어셈블리(200)는, 다수의 블레이드(도 3의 206)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용기(100)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을 잘게 절개하거나 분쇄한다.
상기 블레이드어셈블리(200)는 아래에서 설명할 모터어셈블리(600)와 연결되어, 모터어셈블리(600)의 회전 동력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용기(100)는 이중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용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측용기(110)와 내측에 구비되는 내측용기(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측용기(110)와 내측용기(120)는 서로 접하도록 구성되거나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일부만 접하도록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용기(100)의 내부에는 이너가이드(122)가 상하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하나 이상이 구비된다. 상기 이너가이드(122)는 상기 용기(100) 내부에서 회전하는 음식물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전후나 좌우로 서로 대칭되게 쌍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100)의 우측면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300)가 우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손잡이(300)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상단이 상기 용기(100)의 상면과 일체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300)의 반대측에는 주둥이(210)가 더 형성된다.
상기 주둥이(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100)의 좌측면 상단에 형성되며, 용기(100) 내부에서 절개작업이 완료된 음식물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안내하기 위한 부분이다. 따라서, 이러한 주둥이(210)는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좌측방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100)의 상면은 뚜껑(400)에 의해 차폐된다. 즉, 상기 용기(100)의 상면에는 뚜껑(400)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용기(100)의 상방을 개폐하게 된다.
상기 뚜껑(400)은 상기 용기(100)의 상면을 덮어 내부의 음식물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한편, 외부의 이물질이 용기(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뚜껑(400)은 사용자의 가압이나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용기(100)에 장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뚜껑(400)의 외주면에는 가스켓(402)이 더 구비되어 뚜껑(400)과 용기(100) 사이의 틈새를 차폐한다. 물론, 이러한 가스켓(402)은 상기 뚜껑(400)이 상기 용기(100)에 압착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도 겸하게 된다.
상기 뚜껑(400)에는 캡(450)이 더 구비된다. 즉, 상기 뚜껑(400)의 중앙부에는 소정 크기의 원형 홈인 뚜껑홀(401)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이러한 뚜껑홀(401)에 캡(450)이 장착되어 뚜껑홀(401)을 차폐한다.
상기 캡(4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400)의 중앙부에 설치되며, 전체적으로는 상기 뚜껑(400)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압착에 의한 억지끼움이나 회전동작에 의해 뚜껑(400)에 착탈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캡(450)이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뚜껑(400)에 착탈되도록 구성된 것이 예시되어 있으며, 상세 구성은 아래에서 설명한다.
상기 캡(450)은 상기 뚜껑(40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사용자는 상기 뚜껑(400)을 열지 않고 상기 캡(450)만 연 상태에서 상기 용기(100) 내부의 음식물을 관찰할 수 있으며, 캡(450)을 열어 용기(100) 내부에 음식물을 투입하거나 막대기 등을 이용하여 용기(100) 내부의 음식물을 섞는 등의 작업도 가능하게 된다.
상기 캡(450)의 상단은 상기 뚜껑(400)의 상단보다 더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뚜껑(400)을 열거나 닫는 경우에 파지할 수 있는 뚜껑손잡이 역할도 할 수 있다.
상기 본체(5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는 사각통상의 육면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용기(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용기(100)를 지지하며, 내부에는 모터어셈블리(600)와 PCB와 같은 전자부품 등 다수의 부품이 설치된다. 물론 이러한 본체(500)의 외관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본체(500)의 내부 중앙부에는 모터어셈블리(600)가 구비된다. 상기 모터어셈블리(60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생성하여 상기 블레이드어셈블리(200)를 구성하는 블레이드(도 3의 206)가 회전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모터어셈블리(600)의 상단에는 상기 블레이드어셈블리(200)의 하단이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500)의 전면에는 노브(502)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노브(502)는 본 발명에 의한 블렌더의 조작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5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브(502)는 상기 모터어셈블리(600)의 작동 세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즉, 상기 노브(502)를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모터어셈블리(600)의 회전 속도가 고속과 저속으로 변경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500)의 상면에는 터치조작부(504)가 구비된다.
상기 터치조작부(504)는 본 발명에 의한 블렌더의 조작을 터치에 의해 하기 위한 것으로, 블렌더의 동작 시작과 정지 등을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의 노브(502)와 터치조작부(504)는 블렌더의 작동 설정과 조작을 서로 선택적으로 할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기능이 중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편의에 의해 상기 노브(502)나 터치조작부(504) 중 사용자가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블렌더의 작동을 설정하거나 조작할 수 있도록 서로 기능이 중복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터치조작부(504)의 옆(도 1에서는 좌측)에는 표시부(506)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본체(500)의 상면에는 표시부(506)가 더 구비되며, 이러한 표시부(506)는 블렌더의 작동 상태를 외부에서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표시부(506)는 7 세그먼트(seven-segment display)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터어셈블리(600)의 하측에는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는 쿨링팬(61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쿨링팬(610)은 상기 모터어셈블리(600)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어셈블리(600)에서 생성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외부의 공기를 본체(500) 내부로 흡입하여 다시 외부로 배출되도록 강제한다. 이와 같이 상기 쿨링팬(610)은 외부로부터 공기가 본체(500) 내부로 흡입된 다음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본체(500) 내부에 구비되는 PCB 등의 부품을 냉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본체(500)의 하면에는 베이스단(510)이 더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단(510)은 상기 본체(500)의 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내부에는 소정 크기의 공간이 형성되어 무선전력모듈(520)이 수용된다. 상기 무선전력모듈(520)은 유도 기전력을 이용한 무선 방식으로 외부의 전력(Wireless Power)을 공급받아 상기 본체(500) 내부의 모터어셈블리(6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체(500)와 용기(100) 등에는 상기 뚜껑(400)이 상기 용기(100)에 장착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시스템이 더 구비된다.
상기 감지시스템은 상기 용기(100)에 개폐 가능한 전기회로(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도록 하여, 이러한 전기회로가 폐회로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본체(500)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에 의해 폐회로에 전류가 흐르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감지시스템은, 상기 본체(500)에 구비되어 상기 용기(100)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송신수단(700)과, 상기 용기(100)에 구비되어 상기 전력송신수단(70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수신하는 전력수신수단(220)과, 상기 용기(100)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뚜껑(400)의 닫힘 여부에 따라 용기(100)에 형성되는 전기회로가 개폐되도록 하는 개폐수단(230)과, 상기 용기(100)의 일면에 구비되며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전력수신수단(220)과 상기 개폐수단(230) 사이에 전기의 흐름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투명전극필름(240)과, 상기 본체(500)나 용기(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전력수신수단(220)과 개폐수단(230)이 연결된 전기회로가 폐회로를 형성하여 전기의 흐름이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80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력송신수단(700)은, 상기 본체(500) 외부로부터 본체(500)로 유입되거나 본체(500) 자체에 미리 저장된 전력을 상기 용기(100)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유도기전력 발생이 가능한 유도코일(coil) 등이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력수신수단(220)은, 상기 본체(500)로부터 송신되는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전력송신수단(700)과 대응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전력송신수단(700)와 전력수신수단(220) 사이에 유도기전력에 의해 전력이 전달되도록 코일(coil)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력송신수단(700)과 전력수신수단(220)은 서로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어 유도기전력이 생성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력송신수단(700)은 상기 본체(500)의 우측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전력수신수단(220)은 상기 용기(100)의 우측하단에 설치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개폐수단(230)은, 상기 용기(100)에 형성되는 전기회로(도시되지 않음)가 상기 뚜껑(400)의 장착 여부에 따라 개폐(on/off)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뚜껑(400)과 용기(100)에 각각 구비되는 영구자석(232)과 리드스위치(234) 등으로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영구자석(232)이 상기 뚜껑(400)의 우측 테두리에 설치되고, 상기 리드스위치(234)는 상기 용기(100)의 상단 우측(손잡이 부분)에 설치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리드스위치(234)는 상기 손잡이(30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스위치홈(236)에 수용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리드 스위치(reed switch)는 유리 튜브 속에 자성체가 되는 가동접점을 봉입하여 자석을 접근시킴으로써 유리 튜브 내의 접점은 온(ON) 되도록 한 것으로 널리 사용되는 구성이므로 여기서는 리드 스위치(reed switch)의 자체 구성과 원리에 대한 더 이상의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물론, 이러한 개폐수단(230)으로 상기 영구자석(232)과 리드스위치(234)를 사용하는 외에, 다른 전기적 온(on)/오프(off) 수단이나 기구적인 구조물을 이용하여 전기회로가 개폐(on/off)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여, 상기 뚜껑(400)과 용기(100)에 각각 설치되는 영구자석(232)과 리드스위치(234)의 설치 위치를 반대로 하는 등의 변경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감지수단(800)은, 상기 개폐수단(230)에 의해 용기(100)에 형성된 전기회로에 전류가 흐르는지의 여부를 감지 가능한 기능을 가지는 한 다양한 형태의 전기장치나 구조물 등이 가능할 것이나, 본 발명에서는 광(光)센서(photosensor, photodetector)를 이용하여 빛을 감지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상기 감지수단(800)은, 상기 용기(100)에 구비되어 빛을 생성하는 광송신모듈(810)과, 상기 본체(500)에 구비되어 상기 광송신모듈(810)로부터 송신되는 빛을 수신하는 광수신모듈(82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광송신모듈(810)과 광수신모듈(820)은 서로 인접한 곳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송신모듈(810)은 상기 용기(100)의 좌측 하단에 위치되며, 상기 광수신모듈(820)은 상기 본체(500)의 좌측 상단부에 위치된다.
상기 광송신모듈(810)에는 전기에 의해 빛을 생성하는 엘이디(LED) 등이 사용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광수신모듈(820)에는 빛을 수신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광(光)센서(photosensor, photodetector) 등이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은 상기 외측용기(110)와 내측용기(120) 사이에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외측용기(110)의 내면에 부착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은, ITO필름(Indium-Tin Oxide film)과 같이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용기(100)의 표면에 부착 설치되며, 상기 용기(100)의 상측에 구비된 개폐수단(230)이 상기 용기(10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전력수신수단(220) 및 광송신모듈(810)과도 연결되어 전기회로를 구성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은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는 상기 용기(100)의 표면에 상하로 길게 부착되어 용기(100)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전기신호가 전달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상기 용기(100)가 투명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투명전극필름(240)도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면,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이 시각적으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외관을 해치지 않게 되어 용기(100)의 디자인을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을 상기 용기(100)의 표면에 부착한 경우 부착면과의 사이에 발생된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ITO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의 중앙부분에 타공을 추가하여 기포가 빠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포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체(500)의 상면에는 안착단(900)이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안착단(900)은 상기 용기(100)의 하단과 대응되는 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여기에 상기 용기(100)의 하단이 상하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100)는 겹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용기(100)는, 외측용기(110)와 내측용기(1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너가이드(122)는 내측용기(120)의 내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용기(100)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살펴본다.
도 3에는 상기 용기(100)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상기 용기(100)의 하측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100)는, 전체적으로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겹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용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측용기(110)와, 상기 외측용기(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측용기(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용기(100) 즉, 상기 외측용기(110)와 내측용기(120)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가 외부에서 용기(100) 내부의 음식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유리, 트라이탄 또는 투명 플라스틱 등과 같은 투명 소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측용기(110)는,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하의 크기가 동일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외면 우측에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메인손잡이(302)가 우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메인손잡이(302)는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단부가 상기 외측용기(110)의 우측 상단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손잡이(302)는 상기 외측용기(110)와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메인손잡이(302)가 상기 외측용기(110)에 일체로 형성되면, 상대적으로 별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접합되거나 고정되는 경우에 비해 강도와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메인손잡이(302)가 상기 용기(100)에 연결되는 부위에는 상기 리드스위치(234)가 수용되는 스위치홈(236)이 형성된다. 즉, 상기 메인손잡이(302)의 상단에는 스위치홈(236)이 형성되어 상기 리드스위치(234)가 장착될 공간을 제공하며, 이러한 스위치홈(236)의 좌측은 개방된다.
상기 메인손잡이(302)의 외측에는 외장손잡이(304)와 내측손잡이(306)가 더 구비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손잡이(306)의 우측에는 외장손잡이(304)가 구비되고, 좌측에는 내측손잡이(306)가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외장손잡이(304)도 상기 메인손잡이(302)와 같이 전체적으로는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메인손잡이(302)의 상면과 우측면 및 전후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재질 등과 같이 표면이 매끈하고 녹이 잘 슬지 않으면서도 쉽게 깨지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져 소비자로 하여금 미감을 형성하도록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측손잡이(306)는 상기 메인손잡이(302)의 좌측면과 저면을 감싸는 것으로, 상기 메인손잡이(302)의 저면과 대응되는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일부분이 탄성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내측손잡이(306)는 상기 메인손잡이(302)의 상단 하부를 감싸는 연결부(306a)와, 상기 연결부(306a)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메인손잡이(302)의 좌측면을 감싸는 손부(306b)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306a)는 상기 외장손잡이(304)와 같이 매끈하고 강도가 큰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상기 손부(306b)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감겨지는 부분이므로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연결부(306a)는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재질 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상기 손부(306b)에는 사용자의 네 손가락(엄지 제외)이 감싸게 되므로 사용자에게 부드러운 접촉감을 줄 수 있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측용기(120)는 상기 외측용기(110)보다 작은 크기(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외측용기(110) 내부에 안착된다.
상기 내측용기(12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내측용기(120)의 외면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다수의 이너가이드(122)가 상하로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기 블레이드어셈블리(200) 등이 장착된다.
상기 내측용기(120)의 좌측 상단에는 주둥이(210)가 좌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내측용기(120)의 우측 상단에는 차폐단(124)이 우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차폐단(124)은 상기 외측용기(110)의 스위치홈(236) 상면을 차폐하는 것으로, 소정 두께를 가지는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위치홈(236)의 상단 크기와 대응되도록 우측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내측용기(120)의 하단에는 블레이드어셈블리(200)가 장착된다.
상기 블레이드어셈블리(200)는 블레이드(칼날)에 의해 음식물이 잘게 분쇄되거나 혼합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모터어셈블리(600)로부터 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블레이드축(202)과, 상기 블레이드축(202)의 외측에 구비되어 블레이드축(202)을 지지하는 블레이드바디(204)과, 상기 블레이드축(202)에 연결되어 회전함으로써 음식물을 분쇄하는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20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뚜껑(400)의 외주면에는 자석홀더(404)가 더 구비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400)의 외주면에는 자석홀더(404)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이러한 자석홀더(404)의 내부에는 영구자석(232)이 장착된다.
상기 영구자석(232)은 상기 뚜껑(400)이 용기(100)에 장착되거나 분리될 때, 상기 리드스위치(234)의 온(on)/오프(off)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외측용기(110)와 내측용기(120) 사이에는 코일홀더어셈블리가 더 구비된다.
상기 코일홀더어셈블리는, 유도코일이 구비되는 코일홀더(130)와, 상기 코일홀더(130)를 상하로 감싸는 상커버(140) 및 하커버(150) 등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외측용기(110)의 저면과 상기 내측용기(120)의 저면 사이에는 코일홀더(130)가 구비되며, 이러한 코일홀더(130)에는 상기 전력수신수단(220)과 광송신모듈(810)이 장착된다.
상기 코일홀더(130)는 전체적으로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원형의 링(ring) 형상을 가지며, 이러한 링(ring) 형상의 코일홀더(130) 우측단에는 상기 전력수신수단(220)이 구비된다. 즉,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코일홀더(130)의 우측단에는 전력을 수신하는 유도코일(coil)이 구비되어 전력수신수단(220)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코일홀더(130)에 구비되는 상기 전력수신수단(220)은, 피시비(PCB)기판에 수신 유도코일이 동일 평면에 패턴화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력수신수단(220)의 일 실시예는 상기 코일홀더(130)의 저면에 수신 유도코일이 수신 중심점을 중심으로 나선형 형상으로 피시비(PCB) 기판에 다수 회 권선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일홀더(130)의 저면에는 광송신모듈(810)이 구비된다.
상기 광송신모듈(810)은 상기 전력수신수단(22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빛을 발하는 것으로, 상기 감지수단(800)의 일 구성을 이루며,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빛을 생성하는 엘이디(LED) 등이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력수신수단(220)과 광송신모듈(810)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상기 개폐수단(230) 등과 폐회로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코일홀더(130)에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등에 의해 상기 전력수신수단(220)과 광송신모듈(810) 및 개폐수단(230)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코일홀더(130)에는 교류(AC)를 직류(DC)로 변환하는 변환모듈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일홀더(130)의 우측단 상면에는 홀더단자(132)가 구비된다.
상기 홀더단자(132)는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의 하단이 삽입되어 연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코일홀더(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는 대체로 링(ring)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단은 상기 전력수신수단(220) 등이 형성될 수 있도록 폭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일홀더(130)의 외주면과 내주면에는 다수의 부품 고정을 위한 후크가 관통되는 홈이 형성되기도 한다.
상기 코일홀더(130)는 상하의 커버에 의해 보호된다. 즉 상기 코일홀더(130)의 상하에는 코일홀더(130)의 상하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상커버(140) 및 하커버(150)가 구비되어 상기 코일홀더(130)의 상하를 감싸게 된다.
상기 상커버(140)의 우측단에는 상기 코일홀더(130)의 홀더단자(132)가 수용되는 단자홀더(142)가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단자홀더(142)의 내부에 상기 홀더단자(132)가 하측으로부터 유입되어 수용되고, 이러한 단자홀더(142)의 상부는 일부가 개구되어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의 하단이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상커버(140)에는 하커버(150)와 결합하기 위한 후크(hook)가 형성되기도 한다.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ITO필름(Indium-Tin Oxide film)과 같은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용기(100)의 상하 길이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은, 상기 외측용기(110)와 내측용기(120) 사이에 구비된다. 이와 같이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이 상기 외측용기(110)와 내측용기(120) 사이에 설치되면, 상기 내측용기(120)의 음식물과의 접촉이 방지되는 한편, 상기 외측용기(110) 외부의 바깥 이물질과도 접촉이 차단된다.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은 상기 외측용기(110)의 표면에 부착되거나, 상기 내측용기(120)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즉,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이 상기 외측용기(110)의 내면 또는 상기 내측용기(120)의 외측면(외주면)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는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은 상기 외측용기(110)의 내면에 상하로 부착 설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의 상하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한번 이상 절곡되어, 하단은 상기 상커버(140)의 단자홀더(142)를 관통하여 상기 코일홀더(130)의 홀더단자(132)에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리드스위치(234)에 연결된다.
상기 외측용기(110)의 내부 표면(내면)에는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이 부착되는 필름가이드가 상하로 형성되기도 한다. 즉, 필름가이드가 상기 외측용기(110)의 내부 우측면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이 부착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내측용기(120)의 상단에는 상기 영구자석(232)이 수용되는 자석홈(126이 외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내측용기(120)의 우측면 상단은 우측으로 단차지게 절곡되어 자석홈(126)을 형성하며, 이러한 자석홈(126)은 상기 영구자석(232) 등이 위치되는 부분이다.
한편, 상기 용기(100)의 저면은 상기 본체(500)의 상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500)의 상면에 상기 용기(100)가 쉽게 착탈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용기(100)는 아래에서 설명할 본체(500)의 안착단(900)에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100)의 저면은 상기 본체(500)의 상단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500)에 안정적으로 장착되고, 이탈도 용이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상기 용기(100)의 저면에는 소정 크기의 폭을 가지는 테두리단(170)이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테두리단(170)은 아래에서 설명할 본체(500)의 하측단(910) 상면에 접하는 부분으로, 하측단(910)의 상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용기(100)의 저면 중앙부는 상측으로 함몰되어 상측단수용홈(172)을 형성한다. 즉, 상기 용기(100)의 테두리단(170) 내측으로 상측으로 함몰되어 상측단수용홈(172)을 형성하며, 이러한 상측단수용홈(172)에는 상기 용기(100)가 본체(500)에 장착될 때 아래에서 설명할 본체(500)의 상측단(920)이 수용된다.
상기 테두리단(170)은, 일부가 개구된 원형의 링(ring) 형상을 가지며, 개구된 부분은 아래에서 설명할 코일안착부(940)가 수용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테두리단(170)의 우측단은 개구되어 코일안착부홈(170a)을 형성하며, 이러한 코일안착부홈(170a)에 아래에서 설명할 코일안착부(940)가 수용된다.
상기 용기(100)의 저면 중앙부는 하측으로 돌출되어 원형단(174)을 형성한다. 즉, 상기 상측단수용홈(172)의 중앙부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원형단(174)이 구비된다.
상기 원형단(17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링(ring) 형상을 가지며, 내부는 중공되어 상기 블레이드어셈블리(200)와 모터어셈블리(60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상기 원형단(174)은 아래에서 설명할 본체(500)에 형성되는 원형단수용홈(980)에 수용되는 부분이다.
상기 원형단(174)의 외주면에는 방사상으로 돌출된 다수의 장착돌기(174a)가 더 형성된다. 상기 장착돌기(174a)는 상기 용기(100)가 상기 본체(500)에 견고하고 정위치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며,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하나 이상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장착돌기(174a)가 4개가 구비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장착돌기(174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그 두께가 작아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장착돌기(174a)가 아래에서 설명할 돌기홈(982)에 용이하게 수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5 내지 도 7에는 상기 본체(500)의 상반부 구성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즉, 도 5에는 상기 본체(5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상기 본체(500)의 상반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상기 본체(500)에서 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500)의 상면에는, 상측으로 단차지게 돌출되어 상기 용기(100)의 저면이 안착되도록 하는 안착단(900)이 구비된다.
상기 안착단(900)은, 상기 용기(100)의 하단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이러한 안착단(900)은 상기 용기(100)의 하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안착단(900)은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용기(100)의 하단과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는 하측단(910)과, 상기 하측단(910)으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하측단(91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상측단(920) 등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측단(910)은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이러한 하측단(910)의 상부에는 하측단(91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상측단(920)이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하측단(910)과 직경이 작은 상측단(920) 사이에는 상기 본체(500)의 상면과 같이 수평을 이루는 단차면(90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측단(910)과 상측단(920)의 외면에는, 하측단(910)과 상측단(920)의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외장링(912)과 상단링(914)이 각각 구비된다. 즉, 원형의 외면을 가지는 상기 하측단(910)과 상측단(920)의 외주면에는 외장링(912)과 상단링(914)이 각각 구비되어 하측단(910)과 상측단(920)의 외면(측면)을 감싸게 된다.
상기 외장링(912)과 상단링(914)은 금속재질 등으로 이루어져 내측의 부품을 보호함과 더불어 외장재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러한 외장링(912)과 상단링(914)은 상기 외장손잡이(304)와 같이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재질 등과 같이 표면이 매끈하고 녹이 잘 슬지 않는 재질로 이루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측단(920)과 하측단(910) 사이의 단차면(902)에는, 탄성재질을 가지는 탄성부재(930)가 더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9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측단(910)의 상면에 형성되는 단차면(902)을 덮는 한편, 상기 상측단(920)의 하반부를 감싸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930)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본체(500)의 상측에 용기(100)가 놓여질 때 완충작용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상측단(920) 위에 놓여지는 상기 용기(100)의 바닥면이 접하게 될 때, 서로 견고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본체(500) 상측단(920) 및 하측단(910)과 상기 용기(100)의 저면이 서로 충돌되어 파손되거나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930)는 고무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져, 용기(100)의 안착을 부드럽게 하기 위한 용도를 가지며, 더불어 필요에 따라 전도고무가 사용되기도 하며, 이때에는 상기 용기(100)의 바닥에도 전도고무가 구비된다.
상기 상측단(920)의 상면에는, 상기 전력송신수단(700)과 상기 광수신모듈(820)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상측단(920)의 우측면은 우측으로 더 돌출되어 코일안착부(940)가 형성되고, 이러한 코일안착부(940)의 상면에 상기 전력송신수단(700)이 설치된다.
상기 전력송신수단(700)은 상기 용기(100)에 구비되는 전력수신수단(220)과 근접하여 전력수신수단(220)에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전력송신수단(700)은 유도코일(coil)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전력수신수단(220)과 같이 코일(coil)이 중심점(미도시)을 기준으로 나선형태로 동일 면에 다수 회 권선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PCB기판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본체(500) 내부에는 발진회로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발진회로부에서 전력을 생성하여 상기 전력송신수단(700)으로 전류를 인가할 수 있고, 전력송신수단(700)에는 인가된 전류에 의해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발진회로부는 상기 전력송신수단(700)에 인가하는 전류의 세기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전류세기의 변화에 의해 전력송신수단(700)에서는 자기장이 변화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상기 전력수신수단(220)과 전력송신수단(700)이 상하로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면, 상기 전력송신수단(700)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가 변함에 따라 전력송신수단(700)에서의 자기장이 변하게 되고, 상기 전력송신수단(700) 및 전력수신수단(220) 간 유도결합에 의해 상기 전력수신수단(220)을 지나는 자속이 변하게 되어 전력수신수단(220)에 유도기전력(induced electromotive force)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유도기전력을 상기 광송신모듈(810)로도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광수신모듈(820)은 상기 전력송신수단(700)의 반대편에 구비된다. 즉, 상기 용기(100)에 설치되는 광송신모듈(810)과 상하로 서로 대응되는 위치인, 상기 상측단(920)의 상면 좌측단에 구비되는 수신홈(822)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상측단(920)의 상면 좌측단에는 하측으로 함몰된 소정 크기의 수신홈(822)이 형성되고, 이러한 수신홈(822)에 상기 광수신모듈(820)이 고정 설치된다.
상기 광수신모듈(820)은 상기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광(光)센서(photosensor, photodetector)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광송신모듈(810)에서 송신하는 광을 수광하고, 이러한 수광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측단(920)의 상면에는 홀센서(950)와 용기감지스위치(960)가 더 구비되기도 한다. 즉, 상기 상측단(920)의 상면 선단과 후단부에는 각각 용기스위치홈(962)과 센서홈(952)이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고, 이러한 용기스위치홈(962)과 센서홈(952)에 상기 용기감지스위치(960)와 홀센서(950)가 각각 고정 설치된다.
상기 용기감지스위치(960)는 리드스위치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500)의 상면에 용기(100)가 안착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용기감지스위치(960)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용기(100)의 하단에도 이와 대응되는 자석(미도시)이 더 구비된다.
상기 홀센서(950)는 상기 본체(500)에 안착되는 용기(100)의 종류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이 경우에도 상기 용기(100)의 저면에 대응되는 신호 전달수단이 필요할 것이다.
상기 상측단(920)의 테두리에 설치되는 상단링(914)은 2개로 분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측단(920)의 우측은 우측방으로 돌출되어 코일안착부(940)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코일안착부(940)의 외면을 감싸는 돌출편(916)과, 나머지 부분을 감싸는 곡률편(918)으로 구성된다. 상기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돌출편(916)과 곡률편(918)은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상측단(920)의 상부는 커버(970)에 의해 덮여진다. 따라서, 상기 상측단(920)에 설치되는 상기 전력송신수단(700)과 광수신모듈(820), 용기감지스위치(960), 홀센서(950) 등은 상기 커버(970)에 의해 덮여 보호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단(900)의 중앙부는 상하로 관통되어, 상기 용기(100)의 블레이드어셈블리(200)와 상기 본체(500)에 내장되는 모터어셈블리(60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상측단(920)의 중앙부는 하측으로 함몰된 원형단수용홈(980)이 형성되며, 이러한 원형단수용홈(980)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용기(100) 하단의 원형단(174)이 수용된다. 즉, 상기 상측단(920)도 전체적으로는 원형의 링(ring) 형상을 가지며, 이러한 상측단(920)의 중앙에는 원형의 원형단수용홈(980)이 형성된다.
상기 상측단(920)의 내면에는 하나 이상의 돌기홈(982)이 형성된다. 상기 돌기홈(982)은 상기 원형단수용홈(980)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것으로, 여기에는 상기 용기(100)의 장착돌기(174a)가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돌기홈(982)은 상기 장착돌기(174a)와 대응되는 크기와 수량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돌기홈(982)의 폭 크기는 상기 장착돌기(174a)의 폭 크기보다 같거나 더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측단(910)의 하단부에는 차폐링(912')이 더 구비되기도 한다. 즉 상기 외장링(912)과 본체(500) 상면의 결합부분에는 차폐링(91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폐링(912')은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링(ring)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외장링(912)과 본체(500) 상면 사이의 틈새를 차폐하거나 외장링(912) 등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8에는 상기 본체(500)를 구성하는 본체케이스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본체(500)는 전체적으로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케이스(530)에 의해 개략적인 외관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케이스(5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개구된 사각박스 형상의 육면체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본체케이스(530)의 하측은 아래에서 설명할 베이스플레이트(540)와 상기에서 설명한 베이스단(510)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본체케이스(530)는 이중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본체케이스(530)는 안밖으로 구비되는 이너케이스(532)와 아우터케이스(534)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아우터케이스(534)는 금속 소재 또는 금속 질감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케이스(530)의 상부 외관의 일부는 상기 안착단(900)이 구성한다. 즉, 상기 본체케이스(530)의 상면 중앙부분에는 상기 안착단(900)이 형성되므로, 이러한 안착단(900)이 상기 본체(500)의 상면을 일부 형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하측단(910)과 상측단(920)을 포함하는 안착단(900)이 상기 이너케이스(532)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안착단(900)은 상기 이너케이스(532)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 형성되어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이너케이스(532)와 아우터케이스(534)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우터케이스(534)의 크기는 상기 이너케이스(532)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이너케이스(532)가 상기 아우터케이스(534)의 하측으로부터 아우터케이스(534) 내부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우터케이스(534)의 상면에는 상기 이너케이스(532)의 안착단(900)이 삽입 가능한 케이스홀(534a)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아우터케이스(534)의 전면에는 상기 노브(502)가 삽입되도록 하는 아우터노브홀(534b)이 전후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이너케이스(532)에도 상기 노브(502)가 통과하는 홀이 형성된다. 즉 상기 이너케이스(532)의 전면에는 상기 노브(502)가 통과하는 이너노브홀(532a)이 전후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이너케이스(532)에는 모듈안착부(532b)가 더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너케이스(532)의 상면 우측 선단부 모서리는 일정부분 절개된 모듈안착부(532b)가 형성되며, 이러한 모듈안착부(532b)에는 터치모듈(570)과 디스플레이모듈(580) 등이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듈안착부(532b)에 상기 터치모듈(570)과 디스플레이모듈(580)이 설치되면, 상기 터치모듈(570)과 디스플레이모듈(580)은 아우터케이스(534)의 터치조작부(504)와 표시부(506)의 하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이너케이스(532)의 모듈안착부(532b)에 구비되는 터치모듈(570)과 아우터케이스(534)의 터치조작부(504)는 상하로 서로 밀착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해 터치조작부(504)의 터치나 누름을 터치모듈(570)이 감지하게 된다.
상기 터치모듈(570)은 상기 터치조작부(504)를 통한 사용자의 터치나 누름 등을 감지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580)은 상기 표시부(506)를 통해 블렌더의 동작 상태나 온도 등이 외부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터치모듈(570)과 디스플레이모듈(580)의 설치상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9에는 상기 본체(500)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본체(500)는 상기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본체케이스(530)는 이중으로 이루어지고 아우터케이스(534)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이너케이스(532)는 상기 아우터케이스(534)의 내부에 구비되어 실질적으로 내부의 다수 부품들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너케이스(532)의 내부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모터어셈블리(600)와 피시비(PCB) 모듈 등이 장착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모터어셈블리(600)는 상기 본체(500)의 중앙 부분에 설치되며, 중앙부에 상하로 모터축(622)이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모터(620)와, 상기 모터(620)의 외관을 형성하는 모터하우징(63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터하우징(630)은 상기 모터(620)의 상반부를 감싸는 상부하우징(632)과, 상기 모터(620)의 하반부를 감싸는 하부하우징(634) 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하우징(632)과 하부하우징(634)은 다수의 결합볼트(636) 등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된다.
상기 모터축(622)은 상기 본체(500)의 내부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하단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쿨링팬(610)이 결합되며, 상단에는 상기 블레이드어셈블리(200)와 연결되는 동력전달단(640)이 연결된다. 상기 동력전달단(640)은 상기 본체(500)의 상방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모터(620)의 회전력을 상기 블레이드어셈블리(200)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 본체(500)의 내부에는 다수의 피시비(PCB)모듈(560,562,564,566)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본체케이스(530)를 구성하는 이너케이스(532)의 개구된 하면은 베이스플레이트(540)에 의해 차폐되며, 이러한 베이스플레이트(540)의 상측에는 다수의 피시비모듈(560,562,564,566)이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40)는 상기 이너케이스(532)의 개구된 하면과 대응되는 크기의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베이스플레이트(540)의 테두리는 상기 이너케이스(532)의 하단과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40)는, 상기 본체(500)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모터어셈블리(600)와 피시비모듈(560,562,564,566)과 같은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40)의 하측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베이스단(510)이 구비된다.
상기 피시비모듈(560,562,564,566)은 상기 이너케이스(532) 내측에 다수개가 각각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기능별로 다수개가 분리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피시비모듈(560,562,564,566)은 상기 모터어셈블리(600)의 외측에 모터어셈블리(600)를 둘러싸도록 다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블렌더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피시비모듈(560)과 상기 모터(620)를 제어하기 위한 인버터피시비모듈(562), 입력 전원을 컨트롤하는 파워피시비모듈(564) 그리고,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링피시비모듈(566)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피시비모듈(560,562,564,566)은 본 발명에 의한 블렌더의 기능에 따라 추가로 더 구비되거나, 일부를 생략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인버터피시비모듈(562)에는 열 방출을 위한 방열부재(544)가 구비되기도 한다. 상기 방열부재(544)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피시비모듈(560,562,564,566) 중 적어도 하나의 피시비모듈(560,562,564,566)에 접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다수의 방열핀이 공기와 접하여 열을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40)의 상면에는 에어가이드(550)가 구비된다.
상기 에어가이드(550)는 상기 쿨링팬(61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의 배출을 안내하는 것으로, 이러한 에어가이드(550)의 상면에 상기 모터어셈블리(600)가 안착되고, 상기 쿨링팬(610)은 상기 에어가이드(550)에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쿨링팬(610)은 다양한 형태의 블레이드를 가질 수 있으나, 적어도 상측의 상기 모터어셈블리(60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측방 또는 하방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쿨링팬(610)이 상기 모터축(622)과 함께 회전하면, 본체(500) 외부의 공기가 본체(500) 내부로 흡입된 다음 상기 모터하우징(630) 내부를 통하여 아래로 내려온 다음, 상기 쿨링팬(610)에 의해 유동하여 상기 에어가이드(550)를 통해 토출된다.
상기 에어가이드(550)와 상기 모터어셈블리(600) 사이에는 기밀부재(552)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에어가이드(550)의 상면에는 상기 모터어셈블리(600)가 안착되는데, 이러한 모터어셈블리(600)의 하단 안착면 테두리에는 기밀부재(552)가 구비된다.
상기 기밀부재(552)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에어가이드(550)에 안착되는 상기 모터어셈블리(600)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한편, 상기 모터어셈블리(600)와 에어가이드(550) 사이의 틈새를 차폐하여 공기나 액체의 이동을 차단하게 된다.
한편,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본체(500)에는 본체(500)의 상면에 고인 액체나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출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터어셈블리(600)는 상기 본체(500)의 중앙 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모터축(622)과 모터(620) 및 모터하우징(630)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모터하우징(630)은 상기 모터(620)의 상반부를 감싸는 상부하우징(632)과, 상기 모터(620)의 하반부를 감싸는 하부하우징(634) 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하우징(632)과 하부하우징(634)은 다수의 결합볼트(636) 등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모터축(622)은 상기 모터(620)의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상하로 설치되며, 이러한 모터축(622)의 하단에는 상기 쿨링팬(610)이 결합되고, 쿨링팬(610)은 상기 에어가이드(550)의 내부에 위치되어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게 된다. 즉, 상기 쿨링팬(610)의 회전에 의해 본체(500) 외부의 공기가 본체(500) 내부로 유입된 다음 상기 에어가이드(550)를 따라 유동하여 본체(500) 하부로 배출된다.
상기 상부하우징(632)의 상면에는 다수의 하우징홀(638)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홀(638)을 통해 모터어셈블리(600)의 상측 공기가 모터어셈블리(600)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모터하우징(630)은 측방이 차폐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상부하우징(632)과 하부하우징(634)은 모두 측면이 차폐되어 상기 하우징홀(638)을 통해 모터어셈블리(6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모두 하측으로 유동하여 상기 에어가이드(550) 내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모터어셈블리(600)는 상부하우징(632)과 하부하우징(634)에 의해 외관이 형성되는데, 상기 상부하우징(632)은 측방이 차폐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634)에도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선이 통과하는 작업홀(도시되지 않음)과 같은 꼭 필요한 홀(hole) 외에는 모두 밀폐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터하우징(630)의 측방이 모두 차폐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상부하우징(632)의 하우징홀(638)을 통해 모터어셈블리(60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측방으로 배출되지 아니하고, 모두 상기 모터어셈블리(600)의 하부로 유동하여 상기 에어가이드(550)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본체(500)에는, 상기 모터어셈블리(600)를 통과한 공기가 본체(500)의 하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에어가이드(550)가 구비된다. 즉,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에어가이드(550)는 상기 모터어셈블리(600)의 하단과 접하여 모터어셈블리(600)의 내부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통과한 공기를 상기 본체(500)의 하측으로 안내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어가이드(550)는, 상기 본체(500)의 하단에 구비되는 베이스플레이트(540)에 장착된다.
한편, 상기에도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40)의 하측에는, 상기 무선전력모듈(520)이 수용되는 공간을 가지는 베이스단(510)이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단(510)의 일단에는, 상기 본체(50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다시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기홀(512)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단(510)의 바닥면 좌측단 부근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다수의 배기홀(5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단(510)의 다른 일단에는, 상기 본체(500) 외부의 공기가 본체(500)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가 되는 흡기홀(514)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베이스단(510)의 바닥면 우측단 부근에는 흡기홀(514)이 다수개가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40)에는 본체(50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흡기안내홀(588)과 본체(50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기안내홀(586)이 각각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40)의 흡기안내홀(588)과 상기 베이스단(510)의 흡기홀(514)은 상하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흡기안내홀(588)은 상기 흡기홀(514)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흡기홀(514)을 통해 상기 본체(500)의 하부 외측에서 본체(50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흡기안내홀(588)을 바로 통과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40)의 배기안내홀(586)과 상기 베이스단(510)의 배기홀(512)도 상하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배기안내홀(586)은 상기 배기홀(512)의 상측 바로 위에 위치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배기안내홀(586)을 통과한 본체(500) 내부의 공기가 상기 배기홀(512)로 바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40)의 흡기안내홀(588) 상측에는, 인버터피시비모듈(562) 또는 방열부재(544)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본체(500)의 외부 공기는 상기 본체(500)의 우측단 하부로부터 상기 흡기홀(514)과 흡기안내홀(588)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외부의 차가운 공기가 상기 인버터피시비모듈(562) 또는 방열부재(544)에 접촉하여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상기 흡기안내홀(588) 상측에 상기 인버터피시비모듈(562)과 방열부재(544)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열부재(544)는 방열프레임(546)에 의해 상기 본체(500) 내부에 고정 설치된다. 즉 상기 방열프레임(546)은 상기 방열부재(544)의 상단과 하단 그리고 측단을 감싸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하단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40)에 접하여 상기 방열부재(544)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단(510)의 흡기홀(514) 또는 배기홀(512) 테두리에는, 공기의 측방 이동을 차단하는 소정 높이의 차단벽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차단벽은 공기의 측방이동을 차단하고 상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모터어셈블리(600)와 상기 에어가이드(550) 사이에는, 탄성재질을 가지는 기밀부재(552)가 더 구비된다. 상기 기밀부재(552)는 전체적으로 원형의 링(ring) 형상을 가지며, 상기 모터어셈블리(600)의 하단과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밀부재(552)는 상기 모터어셈블리(600)의 하단과 에어가이드(550) 사이의 틈새를 통해 공기의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밀폐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기 에어가이드(550)에 설치되는 모터어셈블리(600)를 충격으로부터 방지하는 완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본체(500)에는 방전부재(75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방전부재(750)는 본체(500)에 생성되는 정전기를 외부로 방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본체케이스(530) 및 안착단(900)의 내부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방전부재(75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5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케이스(530)와 외장링(912) 및 상단링(914) 등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여, 금속재질의 외관 케이스 중 어느 한 곳에서라도 정전기가 형성되면 이를 접지브라켓(도시되지 않음)에 연결하여 방전이 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전부재(750)가 상기 본체케이스(530)와 외장링(912) 및 돌출편(916)을 각각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10 내지 도 15에는 상기 본체(500) 내부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0에는 상기 본체(500)의 우측단 일부를 절개한 절개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1에는 상기 본체(500)의 터치조작부(504)와 표시부(506)의 하부 구성이 부분 절개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12 및 도 13에는 상기 본체(500) 내부에 구비되는 터치모듈(570)의 설치상태를 보인 부분사시도와 부분 분해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4에는 상기 본체케이스(530)의 하측을 차폐하는 베이스플레이트(540)와 베이스단(510)이 제거된 상태의 내부 구성을 보인 본체(500) 내부의 하부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5에는 도 14에서 인버터피시비모듈(562)과 방열부재(544)를 제거한 상태의 본체(500) 내부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도 14와 도 15는 상기 본체(500)를 뒤집은 상태의 내부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500)에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거나 블렌더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터치모듈(570)과 디스플레이모듈(580) 등이 구비되며, 이러한 터치모듈(570)이나 디스플레이모듈(580)은 지지수단(590)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모듈(570)은 상기 본체(500)의 상면에 형성되는 터치조작부(504)의 하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본체(500)의 상면에는 블렌더 동작의 시작 또는 정지나 시간 설정 등을 조작 가능하도록 하는 터치조작부(504)기 구비되며, 이러한 터치조작부(504)의 하측에는 사용자가 터치조작부(504)를 누르거나 터치하는 것을 감지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등의 기능을 하는 터치모듈(570)이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580)은 상기 본체(500)의 상면에 형성되는 표시부(506)의 하측에 구비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7 세그먼트(seven-segment display)와 같은 형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부(506)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580)을 통해 외부로 온도나 시간 또는 동작 신호 등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수단(590)은 상기 터치모듈(570)의 하측 이동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지지수단(590)은 상기 터치모듈(570)의 하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터치조작부(504)를 누르거나 터치할 때 상기 터치모듈(570)이 하측으로 처지거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터치모듈(570)의 하측 이동이 방지되면, 사용자가 상기 터치조작부(504)를 누르거나 터치할 때 상기 터치모듈(570)에 상기 터치조작부(504)의 신호가 정확하게 전달되며 사용자의 터치감이 향상된다.
상기 터치모듈(570)은 피시비홀더(572)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지지수단(590)은 상기 피시비홀더(572)의 하부에 구비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모듈(570)과 디스플레이모듈(580)의 하측(도 14 및 도 15에서는 상측)에는 소정 크기와 두께를 가지는 평판 형상의 피시비홀더(572)가 구비되며, 이러한 피시비홀더(572)의 상면(도 14 및 도 15에서는 하면)에 상기 터치모듈(570)과 디스플레이모듈(580)이 놓여 지지된다.
상기 피시비홀더(572)는 상기 이너케이스(532)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피시비홀더(572)는 하나 이상의 스크류에 의해 상기 이너케이스(532)의 상면 하부(도 14 및 도 15에서는 상부)에 고정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수단(590)은, 상기 본체(500) 내부의 방열부재(544)를 고정 지지하는 방열프레임(546)의 일단에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방열프레임(546)은 상기 방열부재(544)의 상하단 등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방열부재(544)를 고정 지지하게 되며, 이러한 방열프레임(546)의 선단부 상단에 상기 지지수단(590)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수단(59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열프레임(546)의 상단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거나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지지수단(590)의 상단은 상기 피시비홀더(572)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지지수단(59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수단(590)의 상면에는 하측으로 함몰된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되거나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된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지지수단(590)에 홈이 형성되면 상기 피시비홀더(572)를 지지하면서도 무게와 재료비가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지수단(590)은 하나 이상의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수단(590)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리브가 구비되고, 이러한 리부의 상단이 상기 피시비홀더(572)에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케이스(530)의 상면 하부에는 지지부재(592)가 더 구비되어, 사용자 등에 의해 상기 본체케이스(530)의 상면이 눌러지는 경우에도 본체케이스(530)의 하부 처짐이 방지되도록 한다.
도 16 내지 도 23에는 상기 노브(502)와 이의 체결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6에는 상기 노브(502)가 상기 메인피시비모듈(560)과 메인브라켓(561)에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7 및 도 18에는 도 16의 전후방 분해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19에는 상기 메인피시비모듈(560)의 상세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0 및 도 21에는 상기 노브(502)를 구성하는 라이트가이드(680)의 전후방 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고, 도 22 및 도 23에는 라이트가이드(680)가 상기 메인피시비모듈(560)에 체결된 상태의 정면도와 배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피시비모듈(560)은 블렌더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본체(500)의 내부 전반부에 구비되며, 메인브라켓(561)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메인피시비모듈(560)의 중앙에는 상기 노브(502)가 장착되는 노브회전축(65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브회전축(652)은 상기 노브(502)의 회전 중심과 결합되며, 상기 노브(502)의 조작시 상기 노브회전축(652)이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메인피시비모듈(560)는 상기 노브회전축(652)의 회전 감지를 통해 상기 블렌더의 운전 모드 선택, 동작 시간 설정, 상기 모터어셈블리(600)의 회전 속도 설정 등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메인피시비모듈(560)에는 부저(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저(B)는 상기 블렌더의 동작 상태를 음성 또는 소리로 알릴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부저(B)는 상기 블렌더에 전원이 인가될 때 특정 음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동작 준비 상태를 알릴 수 있다. 상기 메인피시비모듈(560)에는 상기 부저(B)를 대신하여 스피커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노브회전축(652)은 상기 메인피시비모듈(560)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노브회전축(652)의 둘레를 따라서 다수의 엘이디(L1,L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엘이디(L1,L2)는 다수개가 원형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외측에 배치되는 아우터엘이디(L1)와, 내측에 배치되는 이너엘이디(L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엘이디(L1)는 아래에서 설명할 아우터파트(680a)를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엘이디(L1)는 상기 노브(502)의 조작에 따라 다수의 아우터엘이디(L1) 중 일부가 점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노브(502)를 조작하여 특정 조작을 입력하게 될 때, 해당 조작에 대응하는 상기 아우터엘이디(L1)가 점등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상기 노브(502)를 회전시켜 설정된 특정 운전 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운전 모드와 대응하는 상기 아우터엘이디(L1)가 점등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예로, 사용자가 상기 노브(502)를 회전시켜 특정 시간을 입력하게 되면, 상기 특정 시간과 대응하는 상기 아우터엘이디(L1)가 점등될 수 있다. 그리고, 또 다른 예로, 사용자가 상기 노브(502)를 회전시켜 특정 회전수를 입력하게 되면, 상기 회전수와 대응하는 상기 아우터엘이디(L1)가 점등될 수 있다.
한편, 다수의 상기 아우터엘이디(L1)는 등간격으로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노브(502)의 회전 영역에 따라 조작되는 대상이 다른 경우 영역별로 상기 아우터엘이디(L1)의 배치 간격이 다를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운전 모드를 설정하는 구간에서는 상기 아우터엘이디(L1)의 간격이 크고, 상기 시간 또는 회전수를 설정하는 구간에서는 상기 아우터엘이디(L1)의 간격이 좁고 더 많은 수가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다수의 아우터엘이디(L1)들은 모두 가상의 원 둘레 즉, 상기 노브(502)의 아우터파트(680a)를 따라 모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너엘이디(L2)는 아래에서 설명할 상기 노브(502)의 이너파트(680b)를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너엘이디(L2)는 상기 아우터엘이디(L1) 보다는 상기 노브회전축(652)에 더 가까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너파트(680b)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상기 이너엘이디(L2)는 모두 등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가상의 원 둘레 즉, 아래에서 설명할 이너파트(680b)를 따라 모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너엘이디(L2)는 모두 한꺼번에 점등되어 블렌더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블렌더에 전원이 입력되면 상기 이너엘이디(L2)가 온되어 사용자에게 블렌더의 동작 준비 상태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이너엘이디(L2)는 상기 아우터엘이디(L1)와 다른 색상의 빛을 조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엘이디(L2)는 다양한 빛의 색상을 상황에 따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노브회전축(652)의 둘레에는 다수의 피시비결합구(560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결합구(560a)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가이드결합돌기(686)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피시비결합구(560a)는 가이드결합돌기(686)와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시비결합구(560a)는 상기 노브회전축(652)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등(等)간격으로 3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피시비모듈(560)은 스크류(screw)와 같은 2 이상의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메인브라켓(561)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메인브라켓(561)은 상기 메인피시비모듈(560)이 상기 이너케이스(532)의 내측에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메인브라켓(561)은 사각형의 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브라켓(561)의 내측에 상기 메인피시비모듈(560)이 고정 장착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브라켓(561)은 사각 틀 형상의 브라켓테두리(561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테두리(561a)는 소정의 폭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메인피시비모듈(56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테두리(561a)의 하단 일측에는 상기 메인피시비모듈(560)과 연결되는 전선 커넥터가 출입되는 테두리절개부(561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테두리(561a)의 내측면에는 상기 메인피시비모듈(560)의 둘레가 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테두리(561a)의 내측면에는 상기 메인피시비모듈(560)의 단부를 구속하기 위한 다수의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브라켓테두리(561a)의 외측에는 하나 이상의 브라켓결합부(256b,256c,256e)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결합부(256b,256c,256e)는 상기 메인브라켓(561)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1브라켓결합부(561c)와, 상기 메인브라켓(561)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제2브라켓결합부(561d) 및 제3브라켓결합부(561e)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브라켓(561)의 상면은 상기 이너케이스(532)의 내측 상면과 접하여 구속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브라켓결합부(561c)는 상기 메인브라켓(561)의 상면 전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결합부(561c)는 한쌍이 좌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한쌍의 상기 제1브라켓결합부(561c)는 상기 메인브라켓(561)의 상면 좌우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결합부(561c)는 전방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연장된 상기 제1브라켓결합부(561c)는 상기 이너케이스(532)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이너케이스(532)의 하단에는 상기 제1브라켓결합부(561c)와 대응하는 위치에 별도의 마운팅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브라켓결합부(561c)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결합부(561c)에는 스크류(S)가 체결되는 스크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S)는 상기 제1브라켓결합부(561c)에 형성된 스크류 홀을 관통하여 상기 이너케이스(532)의 하단 또는 마운팅부(도시되지 않음)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결합부(561d)는 상기 메인브라켓(561)의 측면(도 17에서는 우측면)에서 측방(도 17에서는 우측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케이스(532) 내측에 별도의 마운팅부가 상기 제2브라켓결합부(561d)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제2브라켓결합부(561d)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브라켓결합부(561d)에는 스크류가 체결되는 스크류 홀이 형성되어 스크류에 의해 상기 이너케이스(532) 또는 마운팅부(도시되지 않음)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3브라켓결합부(561e)는 상기 제2브라켓결합부(561d)와 반대되는 상기 메인브라켓(561)의 다른 일측면(도 17에서는 좌측면)에서 측방(도 17에서는 좌측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케이스(532) 내측에도 상기 제3브라켓결합부(561e)와 대응하는 위치에 별도의 마운팅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3브라켓결합부(561e)를 지지할수 있으며, 상기 제3브라켓결합부(561e)에는 스크류가 체결되는 스크류 홀이 형성되어 스크류가 스크류 홀을 관통함으로서 제3브라켓결합부(561e)가 상기 이너케이스(532) 또는 마운팅부(도시되지 않음)에 체결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메인브라켓(561)은 상기 이너케이스(532)의 내측에서 둘레면 전체 즉, 4면에서 모두 상기 이너케이스(532)에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구성되거나 적어도 3면에서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피시비모듈(560)에 장착되는 상기 노브(502)의 견고한 지지 및 고정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노브(502)는 상기 메인피시비모듈(56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아우터케이스(534)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회전 조작이 용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노브(502)는 전체적으로, 상기 노브데코(650), 노브바디(660), 노브링(670), 라이트가이드(6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노브데코(650)는 상기 노브(502)의 외관 일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특히 상기 아우터케이스(534)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는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노브데코(650)는 상기 아우터케이스(534)와 동일 재질 또는 동일 질감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30)의 외관과 일체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노브데코(650)는 후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노브데코(650)의 직경은 상기 아우터케이스(534)의 전면에 형성되는 아우터노브홀(534b)의 직경보다는 다소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노브데코(650)는 상기 아우터노브홀(534b)의 내측 영역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노브데코(650)는 후방으로 개구되어 상기 노브바디(660)가 수용될 수 있는 바디수용공간(650a)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노브바디(660)는 상기 노브회전축(652)과 결합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실질적으로 상기 노브회전축(652)을 회전시켜 회전 조작이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노브바디(660) 또한 후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브바디(660)는 전체적으로 상기 바디수용공간(650a)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바디삽입부(660a)와, 상기 바디삽입부(660a)의 후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노브돌출부(660b)와, 상기 제1노브돌출부(660b)의 후단에서 돌출되는 제2노브돌출부(660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삽입부(660a)는 상기 바디수용공간(650a)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삽입부(660a)의 전면에는 첩착홈이 형성되어 접착제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바디수용공간(650a)에 삽입된 상태에서 노브데코(650)와 접착 또는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노브돌출부(660b)는 상기 바디삽입부(660a)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도록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노브돌출부(660b)는 상기 바디삽입부(660a)와의 사이에 지지면(660d)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면(660d)은 상기 노브데코(650)의 후단과 접하게 된다.
상기 제1노브돌출부(660b)의 외경은 상기 노브데코(650)의 외경과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노브데코(650)와 상기 노브바디(660)의 결합시 결합부위의 돌출을 최소화하여 서로 일체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노브돌출부(660c)는 상기 제1노브돌출부(660b)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도록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노브돌출부(660c)의 외경은 상기 노브링(670)에 형성되는 링개구(670a)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노브돌출부(660b)는 상기 노브링(67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링개구(670a)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2노브돌출부(660c)는 상기 링개구(670a)의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노브바디(660)가 상기 노브링(67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노브바디(660)의 내측 중앙에는 축결합부(66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축결합부(662)는 내부가 중공된 보스 형상으로 연장되며, 내부에는 상기 노브회전축(652)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축결합부(662)의 내부 형상은 상기 노브회전축(652)의 단면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노브바디(660)의 회전시 회전력이 상기 노브회전축(652)으로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축결합부(662)의 외측면에는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보강리브(66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662a)는 상기 노브바디(660)의 내측면과 상기 축결합부(662)의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662a)는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노브바디(660)를 전체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
상기 노브바디(660)는 빛이 투과 가능한 소재 또는 빛이 반사되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브바디(660) 중 상기 노브데코(650)의 후방에 위치되는 부분은 상기 아우터노브홀(534b)의 내측 및 상기 링개구(670a)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이너엘이디(L2)가 온(on)될 때 발광될 수 있다.
상기 노브바디(660)는 적어도 상기 제1노브돌출부(660b)와 제2노브돌출부(660c)는 빛이 투과 가능한 소재 또는 빛이 반사되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너엘이디(L2)가 온(on)되면, 외부에서 볼 때 상기 노브데코(650)의 둘레를 따라 빛나는 띠 모양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노브링(670)은 상기 아우터노브홀(534b)과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브링(670)의 중앙에는 링개구(670a)가 개구될 수 있으며, 상기 링개구(670a)에는 상기 노브바디(66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노브링(670)은 중앙에 상기 링개구(670a)가 형성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우터노브홀(534b)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아우터노브홀(534b)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브링(670)은 상기 링개구(670a)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노출부(670b)와 상기 노출부(670b)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케이스안착부(670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출부(670b)는 상기 링개구(670a)의 둘레를 형성하며, 상기 아우터노브홀(534b)을 통해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노출부(670b)의 내경은 상기 링개구(670a)의 내경 즉, 상기 제1노브돌출부(660b)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다소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노출부(670b)의 내경은 상기 제2노브돌출부(660c)의 외경보다는 작게 형성되어 상기 노브바디(660)가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노출부(670b)의 전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노출부(670b)의 전면은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후방으로 함몰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아우터엘이디(L1)를 통해 조사되는 빛이 굴절되어 상기 노브바디(660)의 외측면을 항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안착부(670c)는 상기 노출부(670b)의 외측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안착부(670c)는 상기 노출부(670b)의 단부에서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아우터케이스(534)가 안착될 수 있는 면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아우터케이스(534)의 아우터노브홀(534b) 둘레면은 상기 노브링(670)에 의해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노출부(670b)의 단부와 상기 케이스안착부(670c)는 상기 아우터케이스(534)의 두께와 대응하는 높이만큼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안착부(670c)의 전면에는 접착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부재는 상기 케이스안착부(670c)와 상기 아우터케이스(534)가 서로 접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미도시)에 의해 상기 노브(502)는 상기 아우터케이스(534)에 일부가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접착부재(미도시)는 접착 시트, 테이프 또는 접착제가 도포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라이트가이드(680)의 일측(도 17에서는 좌측 또는 전방)에 구비되는 노브링(67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링(ring)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메인피시비모듈(560)의 엘이디(L1,L2)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이트가이드(680)와 노브링(670) 사이에는 완충 기능을 가지는 링(ring) 형상의 탄성부재(67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라이트가이드(680)와 노브링(670)은 서로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라이트가이드(680)와 노브링(670)에는 서로 대응되게 성형되어 결합되는 가이드체결돌기(682)와 링체결부(672)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노브링(670)에 상기 링체결부(672)가 형성되고, 상기 라이트가이드(680)에 상기 가이드체결돌기(682)가 형성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노브링(670)에는 상기 라이트가이드(680)와의 체결을 위한 링체결부(672)가 다수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링체결부(67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브링(670)의 후면으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링체결부(672)는 상기 노브링(670)의 일면(외주면)으로부터 일측(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링체결부(672)는 아래에서 설명할 라이트가이드(680)의 가이드체결돌기(682)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링체결부(672)에는, 끝단(도 18에서는 선단)으로부터 내측(도 18에서는 후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가이드체결돌기(682)의 가이드돌기부(682b)가 수용되도록 하는 링체결부홈(672a)이 더 형성된다. 즉 상기 링체결부(672)의 중앙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가이드체결돌기(682)의 가이드돌기부(682b)가 삽입되는 링체결부홈(672a)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링체결부홈(672a)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체결부(672)의 후단(도 18에서는 선단) 중앙부으로부터 전방(도 18에서는 후방)으로 소정 깊이로 함몰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링체결부(672)에 아래에서 설명할 라이트가이드(680)의 가이드체결돌기(682)가 결합되면, 상기 노브링(670)과 상기 라이트가이드(680)는 서로 정위치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노브링(670)은 빛의 투과가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상기 아우터노브홀(534b)을 통해 노출되는 노출부(670b)는 빛의 투과가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라이트가이드(680)를 통해 조사되는 상기 아우터엘이디(L1)의 빛이 투과될 수 있으며, 다수의 아우터엘이디(L1) 중 특정 아우터엘이디(L1)가 온(on) 될 경우 대응하는 상기 노출부(670b)를 통해 빛이 투과되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라이트가이드(680)는 상기 노브(502)의 가장 후단을 형성하며, 상기 노브(502)와 상기 메인피시비모듈(560)가 실질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라이트가이드(680)는 상기 메인피시비모듈(560)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아우터엘이디(L1) 및 이너엘이디(L2)에서 조사되는 빛을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라이트가이드(680)는 링(ring) 형상의 아우터파트(680a)와 이너파트(680b)로 구성되며, 상기 이너파트(680b)는 상기 아우터파트(680a)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파트(680a)의 둘레에는 가이드체결돌기(682)가 2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체결돌기(682)는 상기 노브링(670)의 링체결부(672)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체결돌기(682)는 상기 링체결부(672)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체결돌기(682)는 상기 아우터파트(680a)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하좌우에 등(等)간격으로 4개가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체결돌기(682)가 상기 아우터파트(680a)의 외주면 좌우 및 하측에 구비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가이드체결돌기(682)는 상기 아우터파트(680a)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기지지부(682a)와, 상기 돌기지지부(682a)의 일면으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가이드돌기부(682b)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부(682b)는 상기 돌기지지부(682a)의 전면(도 21에서는 후면)으로부터 전방(도 21에서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연장 형성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부(682b)는, 상기 링체결부홈(672a)과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링체결부홈(672a)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라이트가이드(680)와 노브링(670)이 서로 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돌기부(682b)가 상기 링체결부홈(672a)에 삽입되고, 상기 라이트가이드(680)와 노브링(670)이 서로 분리되는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돌기부(682b)가 상기 링체결부홈(672a)에서 이탈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부(682b)는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돌기부(682b)는 전방(도 21에서는 후면)으로 갈수록 점차 외경이 감소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링체결부홈(672a)에 쉽게 삽입되어 억지끼움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부(682b)의 끝단(도 20에서는 선단) 외경은 상기 링체결부홈(672a)의 내경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돌기부(682b)의 뿌리단(도 20에서는 후단) 외경은 상기 링체결부홈(672a)의 내경 크기와 같거나 더 큰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기 가이드돌기부(682b)의 선단(도 21에서는 후단) 외경은 상기 링체결부(672)의 링체결부홈(672a)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이드돌기부(682b)의 후단(도 21에서는 선단) 외경은 상기 링체결부(672)의 링체결부홈(672a)의 내경과 대응되거나 더 크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상기 노브링(670)과 라이트가이드(68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결합시에는 서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가이드체결돌기(682)가 상기 링체결부(672)에 체결되면 상기 라이트가이드(680)의 전면은 상기 노브링(670)의 배면에 왼전히 밀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아우터파트(680a)에는 라이트홀(68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라이트홀(684)은 상기 아우터엘이디(L1)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아우터파트(680a)의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이트홀(684)은 상기 아우터엘이디(L1)가 각각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라이트홀(684)은 상기 아우터파트(680a) 후면의 개구된 크기가 상기 아우터엘이디(L1)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라이트홀(684)의 후단부(도 21에서는 선단부) 내측에 상기 아우터엘이디(L1)가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라이트홀(684)은 상기 아우터파트(680a)의 후면에서 상기 아우터파트(680a)의 전면으로 갈수록 그 내경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성형되어 상기 아우터엘이디(L1)에서 조사되는 빛이 전방으로 향할수록 집중되어 상기 노브링(670)의 노출부(670b)를 투과하여 스팟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상기 라이트홀(684)은 각각의 상기 아우터엘이디(L1)에서 조사되는 빛이 넓게 확산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노브링(670)의 노출부(670b)에 선명하게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가시화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라이트홀(684)은 상기 아우터파트(680a)를 따라서 다수개가 연속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우터파트(680a) 중 상기 라이트홀(684)이 형성되지 않는 차단부(684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684a)는 상기 아우터파트(680a)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아우터엘이디(L1)의 빛이 투과되지 않도록 하는 부분으로, 상기 노브바디(660)가 적어도 상기 차단부(684a)를 지나는 지점까지 회전되어야 상기 노브(502)의 조작이 유효하게 입력되고 상기 아우터엘이디(L1)가 점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단부(684a)는 상기 라이트가이드(680)의 중앙을 지나는 연장선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으로 설정 각도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파트(680b)는 상기 아우터파트(680a)의 내측에 이격 배치되며, 상기 이너파트(680b)와 아우터파트(680a)의 사이에는 다수의 연결부(680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680c)는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우터파트(680a)와 이너파트(680b) 그리고 이웃하는 연결부(680c)의 사이에는 상기 이너엘이디(L2)가 투과되는 가이드개구(680d)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개구(680d)는 상기 이너엘이디(L2)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개구(680d)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너엘이디(L2)가 위치되어 상기 이너엘이디(L2)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가이드개구(680d)를 지나 전방을 향하도록 안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개구(680d)의 위치는 상기 노브바디(660)의 후단부 즉, 상기 제2노브돌출부(660c)와 대응하는 위치에 해당한다. 따라서, 상기 이너엘이디(673b)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노브바디(660)의 후단을 밝힐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파트(680b)의 내측 둘레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가이드결합돌기(68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결합돌기(686)는 상기 메인피시비모듈(560)에 형성된 상기 피시비결합구(560a)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결합돌기(686)는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파트(680b)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피시비결합구(560a)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결합돌기(686)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피시비결합구(560a)에 삽입 및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피시비모듈(560)의 전면과 상기 라이트가이드(680)의 배면이 서로 밀착 상태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라이트가이드(680)가 상기 메인피시비모듈(560)에 밀착 결합되면, 상기 아우터엘이디(L1)는 상기 아우터파트(680a)의 상기 라이트홀(684) 내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엘이디(L2)는 상기 가이드개구(680d)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우터엘이디(L1) 및 이너엘이디(L2)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라이트가이드(680)를 통해서 안내되어 전방으로 향하게 된다.
상기 이너파트(680b)의 내측 둘레에는 전방으로 연장되는 가이드연장부(688)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연장부(688)는 상기 노브바디(660)의 내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연장부(688)의 단부에는 축관통홀(688a)이 형성되며, 상기 노브회전축(652)은 상기 축관통홀(688a)을 통과하여 상기 노브바디(660)의 축결합부(662)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상기 노브(502)는 메인피시비모듈(560)에 장착되며, 상기 메인피시비모듈(560)의 아우터엘이디(L1)와 이너엘이디(L2)에서 조사되는 빛을 안내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노브(502)가 메인피시비모듈(560)에 정위치에 결합되도록 하는 오조립방지수단이 본체(500)에 구비된다.
상기 오조립방지수단은, 상기 노브(502)와 메인피시비모듈(560)에 구비되는 안내돌기(690,691)와 안내홀(692,693) 등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오조립방지수단은 상기 노브(502)와 메인피시비모듈(560)에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안내돌기(690,691)와 안내홀(692,693)이 서로 다른 곳에 형성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내돌기(690,691)는 상기 노브(502)에 구비되고, 상기 안내홀(692,693)은 상기 메인피시비모듈(560)에 구비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안내돌기(690,691)가 상기 메인피시비모듈(560)에 구비되고, 상기 안내홀(692,693)이 상기 노브(502)에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노브(502)는, 외관을 형성하는 노브데코(650)와, 상기 노브데코(650)의 내부에 수용되는 노브바디(660)와, 상기 메인피시비모듈(560)의 엘이디(L1,L2)에서 조사되는 빛을 안내하는 라이트가이드(680) 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안내돌기(690,691) 또는 안내홀(692,693)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노브(502)를 구성하는 상기 라이트가이드(680)에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내돌기(690,691)가 상기 라이트가이드(680)에 구비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안내돌기(690,691)와 안내홀(692,693)은 각각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다수의 안내돌기(690,691)와 안내홀(692,693)은 그 크기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안내돌기(690,691)와 안내홀(692,693)이 2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크기가 다르도록 구성되는 것은 보다 정확한 조립 방향을 가이드하고 조립후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안내돌기(690,691)는 도시(도 20 및 도 21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라이트가이드(680)의 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안내홀(692,693)은 상기 메인피시비모듈(560)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돌기(690,691)는 상기 라이트가이드(680)의 좌측단(도 21에서는 우측단)과 상단 사이에 형성되는 제1안내돌기(690)와, 상기 라이트가이드(680)의 우측단(도 21에서는 좌측단)과 하단 사이에 형성되는 제2안내돌기(691)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안내돌기(690)와 제2안내돌기(691)는, 상기 라이트가이드(680)의 중앙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돌기(690,691)는, 상기 라이트가이드(68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안내돌기지지부(690a,691a)와, 상기 안내돌기지지부(690a,691a)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되게 연장 형성되는 안내돌기부(690b,691b)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돌기지지부(690a,691a)는 상기 라이트가이드(680)의 외주면 후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안내돌기부(690b,691b)는 상기 안내돌기지지부(690a,691a)의 후단으로부터 후측으로 소정 크기를 가지도록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안내돌기부(690b,691b)는 테이퍼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안내돌기부(690b,691b)는 후측(도 21에서는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 그 외경이 줄어들도록 형성되고, 끝단은 반구(半球)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안내돌기부(690b,691b)가 상기 안내홀(692,693)에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돌기(690,691)가 쌍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안내돌기(690,691)는 도시(도 20 및 도 21 참조)된 바와 같이 제1안내돌기(690)와 제2안내돌기(691)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안내돌기(690)는 제1안내돌기지지부(690a)와 제1안내돌기부(690b)로, 그리고 상기 제2안내돌기(691)는 제2안내돌기지지부(691a)와 제2안내돌기부(691b)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안내돌기(690)는 제2안내돌기(691)보다 그 크기가 더 크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안내돌기(690)의 제1안내돌기부(690b) 크기가 상기 제2안내돌기(691)의 제2안내돌기부(691b)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피시비모듈(560)에는 도시(도 19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안내돌기(690,691)에 대응되는 한 쌍의 안내홀(692,693)이 형성된다. 즉 상기 메인피시비모듈(560)에는 한 쌍의 안내홀(692,693)이 전후로 관통되게 소정의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홀(692,693)은 상기 제1안내돌기(690)와 대응되는 제1안내홀(692)과, 상기 제2안내돌기(691)와 대응되는 제2안내홀(69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메인피시비모듈(560)의 상반부 좌측 모서리 근처에는 제1안내홀(692)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피시비모듈(560)의 하반부 우측 모서리 근처에는 제2안내홀(693)이 형성된다.
상기 제1안내홀(692)은 상기 제1안내돌기(690)가 삽입되는 부분이며, 상기 제2안내홀(693)은 상기 제2안내돌기(691)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제1안내홀(692)의 크기는 상기 제2안내홀(693)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안내돌기(690,691)와 안내홀(692,693)은 각각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안내돌기부(690b,691b)의 외경은 상기 안내홀(692,693)의 내경 크기와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안내돌기(690,691)와 안내홀(692,693)은, 상기 라이트가이드(680)와 메인피시비모듈(560)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1안내돌기(690) 및 제1안내홀(692)과, 상기 라이트가이드(680)와 메인피시비모듈(560)의 중앙을 중심으로 상기 제1안내돌기(690) 및 제1안내홀(692)과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는 제2안내돌기(691) 및 제2안내홀(693)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안내돌기(690)와 제2안내돌기(691)는 돌기부(690b,691b)의 외경 크기가 서로 상이하며, 상기 제1안내홀(692)과 제2안내홀(693)의 내경은 상기 제1안내돌기(690)와 제2안내돌기(691)의 외경과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안내돌기(690)와 제1안내홀(692)은 그 크기가 서로 대응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안내돌기(691)와 제2안내홀(693)은 서로 그 크기가 대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안내돌기(690)와 제2안내홀(693)의 크기는 상기 제2안내돌기(691)와 제2안내홀(693)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안내돌기(690) 및 제2안내홀(693)의 크기와 상기 제2안내돌기(691) 및 제2안내홀(693)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하는 것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립의 정확도와 유동 방지를 위함이다.
예들 들어 상기 안내돌기(690,691)와 안내홀(692,693)이 각각 2개가 서로 중앙으로부터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면서 그 크기가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한 쌍의 안내돌기(690,691)와 안내홀(692,693)이 서로 구분없이 결합될 수 있으므로 상기 라이트가이드(680)가 상기 메인피시비모듈(560)에 거꾸로 장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처럼 상기 라이트가이드(680)가 상기 메인피시비모듈(560)에 상하가 뒤집혀 거꾸로 조립되면, 상기 메인피시비모듈(560)의 엘이디(L1,L2)에서 조사되는 빛이 라이트가이드(680)에 의해 안내되지 못하고 차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내돌기(690,691)의 안내돌기부(690b,691b)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테이퍼진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 크기는 상기 안내홀(692,693)의 크기와 대응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안내돌기부(690b,691b)의 끝단(도 20에서는 후단)의 외경 크기는 상기 안내홀(692,693)의 내경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고, 상기 안내돌기부(690b,691b)의 뿌리단(도 20에서는 선단)의 외경 크기는 상기 안내홀(692,693)의 내경 크기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안내돌기부(690b,691b)가 상기 안내홀(692,693)에 원활하게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블렌더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상기 용기(100)가 상기 본체(500) 위에 안착되면, 도 1과 같은 상태가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본 발명에 의한 블렌더의 사용이 시작된다.
먼저 사용자가 블렌더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외부로부터의 전원 공급이 필요하며, 이러한 전원 공급은 상기 무선전력모듈(520)에 의한 무선 전원 공급기 가능하다. 즉, 유도 기전력 방식으로 외부로부터 전원 공급이 가능하며, 물론 유선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무선전력모듈(520)의 전원은 상기 모터어셈블리(600)와 터치조작부(504), 전력송신수단(700) 등과 같이 전원이 필요한 부품에 공급되며, 사용자는 상기 터치조작부(504)나 상기 노브(502)를 조작함에 의해 블렌더 동작의 시작이나 정지를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터치조작부(504)나 노브(502)를 조작하여 음식물의 분쇄를 시작하려 하면, 상기 모터어셈블리(600)가 작동하여 블레이드어셈블리(200)의 블레이드가 회전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때 상기 감지시스템이 상기 뚜껑(400)이 닫혔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되며, 뚜껑(400)이 열린 경우에는 상기 모터어셈블리(600)와 블레이드어셈블리(200)의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리드스위치(234)는 평소에는 개방(off)된 상태를 이루고 있으므로, 상기 용기(100) 내에서 상기 전력수신수단(220)과 리드스위치(234) 및 광송신모듈(810) 등은 폐회로를 형성하지 못하게 되어, 상기 광수신모듈(820)에서 광수신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광수신모듈(820)에서 광수신이 일어나지 않게 되면, 이러한 신호에 의해 상기 모터어셈블리(600)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뚜껑(400)이 닫히게 되면, 상기 뚜껑(400)의 영구자석(232)이 리드스위치(234)에 근접하게 되므로 리드스위치(234)는 온(on)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전력수신수단(220)과 리드스위치(234) 및 광송신모듈(810) 등은 폐회로를 형성하게 되므로 광송신모듈(810)에서 발생되는 광을 상기 광수신모듈(820)이 수신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뚜껑(400)의 닫힘이 감지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모터어셈블리(600)의 작동이 시작되어 용기(100) 내부의 음식물이 분쇄된다. 물론, 이때 상기 용기감지스위치(960) 등에 의하여 상기 본체(500)에 용기(100)가 장착되었는지의 여부도 같이 감지되어 모터어셈블리(600)의 작동이 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때 본 발명에 의한 블렌더의 동작 상태가 상기 표시부(506) 등을 통하여 외부로 나타나게 되므로 사용자는 시각적으로 블렌더의 동작 상태나 동작 시간 등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뚜껑(400)을 용기(100)에 닫거나 열 때에는 손으로 상기 캡(450) 상반부를 잡은 상태로 뚜껑(400)을 개폐한다. 상기 뚜껑(400)은 사용자가 상방으로부터 뚜껑(400)을 아래로 미는 힘에 의해 상기 용기(100)의 상면에 밀착 고정되며, 이때 상기 뚜껑(400)의 외면에 구비된 가스켓에 의해 뚜껑(400)과 용기(100)의 틈새가 차페된다.
또한, 상기 뚜껑(400)의 중앙부에 장착된 캡(450)을 사용자가 분리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캡(450)의 상단을 잡은 상태에서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가능하다.
상기 캡(450)이 뚜껑(400)으로부터 분리되면, 사용자는 상기 뚜껑홀(401)을 통해 상기 용기(100) 내부로 음식물을 넣을 수도 있으며, 막대기 등을 이용하여 상기 용기(100) 내부의 음식물을 제어할 수도 있게 된다.
상기 모터어셈블리(600)과 블레이드어셈블리(20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용기(100) 내부의 음식물이 분쇄되거나 믹스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작업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상기 용기(100)를 본체(500)로부터 상방으로 들어올려 분리한 다음, 상기 뚜껑(400)을 개방하여 용기(100) 내부의 음식물을 꺼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어셈블리(600)의 작동에 따라 상기 모터축(622)의 하단에 연결된 상기 쿨링팬(610)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쿨링팬(610)이 회전하면, 외부의 공기가 상기 본체(500) 내부로 유입된 다음 다시 본체(500)의 하측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상기 본체(500) 내부의 전장부품이 냉각된다.
한편, 상기 노브(502)는 메인피시비모듈(560)에 장착되며, 상기 메인피시비모듈(560)의 아우터엘이디(L1)와 이너엘이디(L2)에서 조사되는 빛은 본체(500) 전방으로 안내되어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오조립방지수단이 본체(500)에 구비되어 상기 노브(502)가 메인피시비모듈(560)에 정위치에 결합되도록 안내하게 된다. 즉, 상기 오조립방지수단은 상기 노브(502)와 메인피시비모듈(560)에 구비되는 한 쌍의 안내돌기(690,691)와 안내홀(692,693)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한 쌍의 안내돌기(690,691)와 안내홀(692,693)은 서로 크기가 다르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제1안내돌기(690)와 제1안내홀(692)의 크기는 제2안내돌기(691)와 제2안내홀(693)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노브(502)를 메인피시비모듈(560)에 조립하는 경우, 제1안내돌기(690)는 제1안내홀(692)에는 삽입가능하나 제2안내홀(693)에는 삽입이 불가능하므로, 상기 노브(502)를 구성하는 라이트가이드(680)는 상기 메인피시비모듈(560)과 상하가 일치되는 상태로만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체결돌기(682)는 상기 아우터파트(680a)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상기 아우터파트(680a)의 전면이나 후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체결돌기(682)가 돌기지지부(682a)와 가이드돌기부(682b)로 구성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상기 돌기지지부(682a) 없이 상기 라이트가이드(680)의 일면으로부터 가이드돌기부(682b)가 형성되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내돌기(690,691)와 안내홀(692,693)이 서로 그 크기가 다른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상기 안내돌기(690,691)와 안내홀(692,693)이 하나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용기 110. 외측용기
120. 내측용기 130. 코일홀더
132. 홀더단자 140. 상커버
142. 단자홀더 150. 하커버
160. 필름가이드 170. 테두리단
172. 상측단수용홈 174. 원형단
200. 블레이드어셈블리 210. 주둥이
220. 전력수신수단 230. 개폐수단
232. 영구자석 234. 리드스위치
240. 투명전극필름 300. 손잡이
302. 메인손잡이 304. 외장손잡이
306. 내측손잡이 400. 뚜껑
450. 캡 500. 본체
510. 베이스단 512. 배기홀
514. 흡기홀 520. 무선전력모듈
530. 본체케이스 532. 이너케이스
534. 아우터케이스 540. 베이스플레이트
544. 방열부재 546. 방열프레임
550. 에어가이드 552. 기밀부재
560. 메인피시비모듈 562. 인버터피시비모듈
564. 파워피시비모듈 566. 필터링피시비모듈
570. 터치모듈 572. 피시비홀더
580. 디스플레이모듈 590. 지지수단
600. 모터어셈블리 610. 쿨링팬
620. 모터 622. 모터축
630. 모터하우징 632. 상부하우징
634. 하부하우징 636. 결합볼트
640. 동력전달단 650. 노브데코
660. 노브바디 670. 노브링
675. 탄성부재 680. 라이트가이드
682. 가이드체결돌기 690. 제1안내돌기
691. 제2안내돌기 692. 제1안내홀
693. 제2안내홀 700. 전력송신수단
750. 방전부재 800. 감지수단
810. 광송신모듈 820. 광수신모듈
900. 안착단 910. 하측단
920. 상측단 930. 탄성부재
940. 코일안착부 950. 홀센서
960. 용기감지스위치 970. 커버
L1. 아우터엘이디 L2. 이너엘이디

Claims (20)

  1.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용기를 지지하는 본체와;
    상기 용기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용기의 상방을 개폐하는 뚜껑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본체에는,
    회전조작이 입력되는 노브와, 노브가 결합되는 메인피시비모듈과, 상기 노브가 메인피시비모듈에 정위치에 결합되도록 하는 오조립방지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조립방지수단은,
    상기 노브와 메인피시비모듈에 구비되는 안내돌기와 안내홀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돌기와 안내홀은 각각 다수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안내돌기와 안내홀은 그 크기가 서로 상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는,
    외관을 형성하는 노브데코와, 상기 노브데코의 내부에 수용되는 노브바디와, 상기 메인피시비모듈의 엘이디에서 조사되는 빛을 안내하는 라이트가이드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안내돌기 또는 안내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라이트가이드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돌기는 상기 라이트가이드의 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안내홀은 상기 메인피시비모듈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돌기는,
    상기 라이트가이드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안내돌기지지부와, 상기 안내돌기지지부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되게 연장 형성되는 안내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돌기부의 외경은,
    상기 안내홀의 내경 크기와 대응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돌기와 안내홀은 각각 다수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돌기와 안내홀은,
    상기 라이트가이드와 메인피시비모듈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1안내돌기 및 제1안내홀과, 상기 라이트가이드와 메인피시비모듈의 중앙을 중심으로 상기 제1안내돌기 및 제1안내홀과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는 제2안내돌기 및 제2안내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내돌기와 제2안내돌기는 돌기부의 외경 크기가 서로 상이하며, 상기 제1안내홀과 제2안내홀의 내경은 상기 제1안내돌기와 제2안내돌기의 외경과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가이드의 일측에는,
    링 형상을 가지며, 상기 메인피시비모듈의 엘이디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노브링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가이드와 노브링 사이에는 완충 기능을 가지는 링 형상의 탄성부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가이드와 노브링에는,
    서로 대응되게 성형되어 결합되는 가이드체결돌기와 링체결부가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체결돌기는 상기 라이트가이드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링체결부는 상기 노브링의 일면으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체결돌기는,
    상기 라이트가이드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기지지부와, 상기 돌기지지부의 일면으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가이드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링체결부에는,
    끝단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돌기지지부가 수용되는 링체결부홈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부는,
    상기 링체결부홈과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링체결부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부는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부의 끝단 외경은, 상기 링체결부홈의 내경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돌기부의 뿌리단 외경은, 상기 링체결부홈의 내경 크기와 같거나 더 큰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KR1020210079361A 2021-06-18 2021-06-18 블렌더 KR2022016921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361A KR20220169219A (ko) 2021-06-18 2021-06-18 블렌더
US17/728,179 US20220400903A1 (en) 2021-06-18 2022-04-25 Blender
EP22171532.9A EP4104727A1 (en) 2021-06-18 2022-05-04 Blen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361A KR20220169219A (ko) 2021-06-18 2021-06-18 블렌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9219A true KR20220169219A (ko) 2022-12-27

Family

ID=81580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9361A KR20220169219A (ko) 2021-06-18 2021-06-18 블렌더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400903A1 (ko)
EP (1) EP4104727A1 (ko)
KR (1) KR202201692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2044B1 (ko) 2023-12-06 2024-02-27 오길식 컨버터 및 엘이디모듈을 서랍식으로 교체하도록 한 혁신적인 엘이디조명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194B1 (ko) 2015-06-24 2017-03-07 염영철 열배출기능이 향상된 믹서기
KR101987055B1 (ko) 2017-12-26 2019-06-1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조작부 이동이 가능한 조리기기
KR102057487B1 (ko) 2018-02-22 2019-12-19 주식회사 현성오토텍 직수형 인덕션 간편조리기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8705B1 (ko) 1996-09-17 1999-06-15 류정열 전기자동차용 변속장치
CN201996263U (zh) * 2011-02-22 2011-10-05 李文钦 旋钮式营养食物调理机控制面板按键结构
CN208740780U (zh) * 2017-12-20 2019-04-16 广东布鲁斯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侧方旋钮控制式辅食机
WO2020107429A1 (zh) 2018-11-30 2020-06-0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随机接入的方法和设备
KR20210026226A (ko) * 2019-08-29 2021-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렌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194B1 (ko) 2015-06-24 2017-03-07 염영철 열배출기능이 향상된 믹서기
KR101987055B1 (ko) 2017-12-26 2019-06-1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조작부 이동이 가능한 조리기기
KR102057487B1 (ko) 2018-02-22 2019-12-19 주식회사 현성오토텍 직수형 인덕션 간편조리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2044B1 (ko) 2023-12-06 2024-02-27 오길식 컨버터 및 엘이디모듈을 서랍식으로 교체하도록 한 혁신적인 엘이디조명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04727A1 (en) 2022-12-21
US20220400903A1 (en) 2022-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48914A (ko) 블렌더
US11666181B2 (en) Blender
KR102511609B1 (ko) 블렌더
KR20220169219A (ko) 블렌더
US11779160B2 (en) Blender
KR20220165358A (ko) 블렌더
CN113784648B (zh) 料理机
CN113784649B (zh) 料理机
KR102630211B1 (ko) 블렌더
CN113795183B (zh) 料理机
KR20220165356A (ko) 블렌더
KR20220165357A (ko) 블렌더
KR20210053726A (ko) 블렌더
KR20230017061A (ko) 블렌더
KR20230019540A (ko) 블렌더
CN113811235B (zh) 料理机
KR102401757B1 (ko) 블렌더
KR20210044072A (ko) 블렌더
KR20210019958A (ko) 블렌더
KR20220140325A (ko) 블렌더
KR20210044068A (ko) 블렌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