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6717A - 조리 장치 - Google Patents

조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6717A
KR20230036717A KR1020210119564A KR20210119564A KR20230036717A KR 20230036717 A KR20230036717 A KR 20230036717A KR 1020210119564 A KR1020210119564 A KR 1020210119564A KR 20210119564 A KR20210119564 A KR 20210119564A KR 20230036717 A KR20230036717 A KR 20230036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unit
communication
cover unit
upp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9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8018B1 (ko
Inventor
김종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to KR1020210119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8018B1/ko
Priority to PCT/KR2022/012923 priority patent/WO2023038355A1/ko
Publication of KR20230036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6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8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8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83Warming devices with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2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2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 A47J36/321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performed over a network, e.g. by means of a handheld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5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분쇄 및 교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피조리물을 조리하는 블레이드 및 피조리물을 가열 조리하는 가열유닛을 갖는 조리 장치는 피조리물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블레이드가 배치되는 용기, 용기가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게 상기 용기를 지지하며 블레이드와 연결되는 모터 및 용기에 열을 제공하는 상기 가열유닛이 배치되는 본체, 본체에 배치되며 용기가 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를 커버하여 외부와 용기 사이를 차단하는 커버유닛 및 용기의 상부와 커버유닛 사이에 배치되고 용기와 커버유닛을 상호 연통하며 가열유닛에 의해 용기 내부의 피조리물이 가열 조리될 때 발생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증기 배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리 장치{COO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조리물을 분쇄 및 교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조리하거나 가열 조리하는 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리 장치는 채소류, 과일류, 고기류, 곡류 등의 피조리물을 조리하는 식품 제조가 가능한 가전 기기이다. 조리 장치는 분쇄 및 교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피조리물을 조리하는 믹서 및 블렌드와 같은 조리 장치뿐만 아니라 분쇄 및 교반 중 어느 하나와 함께 피조리물을 가열 조리하는 멀티 쿠커와 같은 조리 장치를 포함한다. 최근 들어 분쇄 및 교반 중 어느 하나로 피조리물을 조리할 뿐만 아니라 피조리물을 가열 조리하는 멀티 쿠커와 같은 조리 장치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여기서, 조리 장치는 피조리물을 수용하는 용기 및 용기의 저부에 배치되어 분쇄 및 교반 중 어느 하나로 피조리물을 조리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또한, 조리 장치는 용기가 장착되고 블레이드와 연결되어 블레이드에 회전 운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수용하는 본체를 포함함과 함께 용기에 수용된 피조리물을 가열 조리하기 위한 가열유닛을 포함한다.
한편, 상술한 본체, 용기, 블레이드, 모터 및 가열유닛을 포함한 조리 장치의 작동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용기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 영역에 피조리물을 투입 후 용기 뚜껑으로 개구 영역을 폐쇄한다. 그리고, 조리 장치는 용기 내부에 수용된 피조리물을 분쇄 및 교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조리하기 위해서 블레이드에 회전 운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모터를 구동한다. 다른 조리 방식으로서 조리 장치는 용기 내부에 수용된 피조리물을 가열 조리하기 위해서 용기에 열을 제공하는 가열유닛을 작동한다.
그런데, 종래의 조리 장치의 조리 방식 중 분쇄 및 교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피조리물을 조리할 때 블레이드의 회전 운동과 모터의 작동에 따라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조리 장치의 조리 방식 중 용기에 수용된 피조리물을 가열 조리할 때 용기 내부에서 발생한 증기에 의해 용기 내부의 압력 증가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용기 내부로부터 외부로 증기를 배출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유럽 등록특허공보 EP2612580B1: Kitchen utensil for cutting a food product
본 발명의 목적은 분쇄 및 교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피조리물의 조리 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감소하는 조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조리물의 가열 조리 시 발생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분쇄 및 교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피조리물을 조리하는 블레이드와 피조리물을 가열 조리하는 가열유닛을 갖는 조리 장치에 있어서, 피조리물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블레이드가 배치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가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게 상기 용기를 지지하며 상기 블레이드와 연결되는 모터 및 상기 용기에 열을 제공하는 상기 가열유닛이 배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배치되며 상기 용기가 상기 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를 커버하여 외부와 상기 용기 사이를 차단하는 커버유닛과, 상기 용기의 상부와 상기 커버유닛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용기와 상기 커버유닛을 상호 연통하며 상기 가열유닛에 의해 상기 용기 내부의 피조리물이 가열 조리될 때 발생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증기 배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용기는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 영역을 커버하는 용기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본체에 상기 용기가 결합된 결합위치에서 상기 증기 배출유닛을 사이에 두고 상기 용기 뚜껑을 커버하여 피조리물의 조리 시 소음을 차단하는 상부 커버유닛과, 상기 결합위치에서 상기 상부 커버유닛의 외곽 둘레를 따라 접촉되며 상기 용기 본체를 둘러싸서 피조리물의 조리 시 소음을 차단하는 측부 커버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버유닛은 상기 본체에 대해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축선에 대해 가로 방향의 회전축선을 가지고 회전 운동하여 상기 결합위치에서 상기 용기 뚜껑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측부 커버유닛은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축선에 대해 평행 방향의 회전축선을 가지고 회전 운동하도록 한 쌍으로 배치되어 상기 결합위치에서 상기 용기 본체를 둘러쌀 수 있다.
상기 측부 커버유닛은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축선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도록 한 쌍으로 배치되어 상기 결합위치에서 상기 용기 본체를 둘러쌀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버유닛이 상기 결합위치에서 상기 용기의 상부에 대한 커버를 해제하는 상부 개방위치로 이동될 때 한 쌍의 상기 측부 커버유닛은 상기 상부 커버유닛의 회전 운동에 연동하여 상기 용기의 측부에 대한 커버를 해제하는 측부 개방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버유닛과 한 쌍의 상기 측부 커버유닛은 각각 상기 결합위치에서 개별적으로 상기 용기의 상부에 대한 커버를 해제하는 상부 개방위치와 상기 용기의 측부에 대한 커버를 해제하는 측부 개방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버유닛은 상기 증기 배출유닛이 관통 배치되는 관통홀을 형성하며 상기 결합위치에서 상기 용기 뚜껑을 커버하는 상부 커버본체와, 상기 상부 커버본체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결합위치에서 상기 용기 뚜껑과 상기 증기 배출유닛에 접촉되어 피조리물의 조리 시 상기 용기 및 상기 증기 배출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하는 진동 감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기 배출유닛은 상기 용기와 상기 상부 커버유닛을 상호 연통하는 관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용기로부터 발생된 증기를 배출하는 복수 개의 연통홀이 형성된 연통부와, 상기 연통부의 둘레를 따라 상향으로 볼록한 일정 곡률을 가지며 상기 용기 뚜껑과 상기 상부 커버유닛 사이에 지지되는 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통부 내부에는 복수 개의 상기 연통홀이 관통 형성되는 연통막이 배치되고 상기 연통막은 상기 날개부의 일정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연통홀은 상기 연통막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연통부의 벽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용기로부터 발생된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 1연통홀과, 상기 제 1연통홀과 상기 연통부의 벽체 사이에 상기 제 1연통홀 대비 상대적으로 큰 지름을 가지고 배치되어 상기 용기로부터 발생된 증기의 배출 및 상기 연통막에서 응축된 수분을 상기 용기로 안내하는 제 2연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날개부는 상기 용기와 상기 상부 커버유닛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용기와 상기 상부 커버유닛에 접촉 지지되는 날개몸체와, 상기 날개몸체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용기로부터 발생된 증기가 배출된 후 상기 용기와 상기 상부 커버유닛 사이에서 체류되어 응축된 수분을 상기 용기로 안내하는 노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통부 내부에는 복수 개의 상기 연통홀이 관통 형성되는 연통막이 배치되고 상기 연통막은 하향으로 볼록한 일정 곡률과 깔때기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연통홀은 상기 연통막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연통부의 벽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용기로부터 발생된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 1연통홀과, 상기 제 1연통홀 대비 상대적으로 큰 지름을 가지고 상기 연통막의 중심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용기로부터 발생된 증기의 배출 및 상기 연통막에서 응축되어 집수된 수분을 상기 용기로 안내하는 제 2연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 장치는 상기 결합위치에서 상기 상부 커버유닛이 상기 용기 뚜껑을 커버하는 지 감지하는 안전 감지부와, 상기 안전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와 상기 가열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동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조리 장치는 상기 본체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에 상기 모터와 상기 가열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작동하는 입력 신호를 입력 받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입력된 입력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갖는 원격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장치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피조리물의 분쇄 및 교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리 과정뿐만 아니라 피조리물의 가열 조리 시 용기를 커버유닛으로 커버하여 조리 과정 중에 발생한 소음 및 진동을 감소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작동 만족도를 향상할 수 있다.
둘째, 피조리물의 가열 조리 시 증기 배출유닛을 통해 용기로부터 발생한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증기 배출유닛이 통과 시 응축된 수분을 용기로 재공급할 수 있으므로, 피조리물의 조리 결과물의 만족도를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용기와 증기 배출유닛이 본체에 결합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리 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용기와 증기 배출유닛이 본체에 결합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Ⅵ-Ⅵ 선의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용기, 커버유닛 및 증기 배출유닛 영역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A 영역의 확대 단면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B 영역의 확대 단면도,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증기 배출유닛의 제 1변형 실시 예에 따른 확대 단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C 영역의 확대 단면도,
도 12는 도 7에 도시된 증기 배출유닛의 제 2변형 실시 예에 따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D 영역의 확대 단면도,
도 14는 도 2에 도시된 E 영역의 확대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조리 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조리 장치,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제 2 및 제 3실시 예에 따른 조리 장치에 대해 기재하고 있음을 알려둔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3실시 예에 따른 조리 장치는 커버유닛의 작동 방식 및 형상에 차이가 있으나, 동일한 구성 명칭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로 기재하였음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도 7 내지 도 15에 도시된 증기 배출유닛, 안전 감지부, 제어부 및 원격 컨트롤러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조리 장치를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제 2 및 제 3실시 예에 따른 조리 장치에 적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용기와 증기 배출유닛이 본체에 결합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리 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용기와 증기 배출유닛이 본체에 결합된 사시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조리 장치(10)는 본체(100), 모터(200; 도 6 참조), 블레이드(300; 도 6 참조), 가열유닛(400; 도 6 참조), 용기(700), 커버유닛(900), 증기 배출유닛(110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조리 장치(10)는 입력부(500), 패킹부재(1000), 안전 감지부(1300; 도 14 및 도 15 참조), 제어부(1500; 도 15 참조) 및 원격 컨트롤러(1700; 도 15 참조)를 더 포함한다.
본체(100)는 용기(700)가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게 용기(700)를 지지한다. 본체(100)는 용기(700) 내부에 배치된 블레이드(300)와 연결되는 모터(200) 및 용기(700) 내부로 열을 전달하는 가열유닛(400)을 수용한다. 본체(100)에는 모터(200) 및 가열유닛(400)을 작동하도록 입력 신호를 제공하는 입력부(500)가 배치된다. 또한, 본체(100)에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모터(200) 및 가열유닛(400)에 작동 신호를 인가하는 원격 컨트롤러(1700)가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된다.
용기(700)는 피조리물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R)을 형성하고, 본체(100)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된다. 용기(700)는 피조리물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R)을 형성하는 용기 본체(710)와, 용기 본체(710)의 일측에 배치된 손잡이(730)와, 용기 본체(7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용기 본체(710) 상부의 개구 영역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용기 뚜껑(750)을 포함한다. 여기서, 용기 뚜껑(750)은 용기 본체(710) 내부로 피조리물의 인입 및 조리된 음식물을 인출하도록 용기 본체(710)의 개구 영역을 개방 및 폐쇄한다. 용기 뚜껑(750)은 피조리물의 조리 시 용기 본체(710)에 결합되어 개구 영역을 폐쇄한다.
커버유닛(900)은 본체(100)에 배치되며 용기(700)가 본체(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700)를 커버하여 외부와 용기(700) 사이를 차단한다. 즉, 커버유닛(900)은 용기(700)가 본체(100)에 결합되고 조리 과정이 진행될 때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차단한다. 커버유닛(900)은 상부 커버유닛(910)과 측부 커버유닛(930)을 포함한다.
상부 커버유닛(910)은 본체(100)에 용기(700)가 결합된 결합위치에서 증기 배출유닛(1100)을 사이에 두고 용기 뚜껑(750)을 커버하여 피조리물의 조리 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차단한다. 구체적으로 상부 커버유닛(910)은 본체(100)에 대해 블레이드(300)의 회전축선에 대해 가로 방향의 회전축선을 가지고 회전 운동하여 결합위치에서 용기 뚜껑(750)을 커버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로서 상부 커버유닛(910)은 상부 커버본체(911), 관통홀(913) 및 진동 감쇠부(915)를 포함한다. 또한, 상부 커버유닛(910)은 상부 커버 손잡이(917)를 더 포함한다.
상부 커버본체(911)는 증기 배출유닛(1100)이 관통 배치되는 관통홀(913)을 형성한다. 상부 커버본체(911)는 본체(100)에 힌지 결합되고 회전 운동되어 결합위치에서 용기 뚜껑(750)을 커버한다. 상부 커버본체(911)는 결합위치에서 용기 뚜껑(750)을 커버할 때, 용기 뚜껑(750)과의 사이에 증기가 체류하는 체류 공간(S; 도 9 참조)를 형성한다. 체류 공간(S)의 역할에 대해서는 후술할 증기 배출유닛(1100)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진동 감쇠부(915)는 상부 커버본체(911)의 하부에 배치된다. 진동 감쇠부(915)는 결합위치에서 용기 뚜껑(750)과 증기 배출유닛(1100)에 접촉되어 피조리물의 조리 시 용기(700) 및 증기 배출유닛(110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한다. 예를 들어, 진동 감쇠부(915)는 모터의 작동에 따른 용기(700)의 진동이 발생될 때 용기 뚜껑(750)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한다. 또한, 진동 감쇠부(915)는 가열유닛(400)의 작동에 의해 피조리물이 가열되어 발생한 증기의 압력에 의해 증기 배출유닛(1100)에 발생된 진동을 감쇠한다. 진동 감쇠부(915)는 증기의 온도 저항력을 갖는 다양한 탄성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상부 커버 손잡이(917)는 본체(100)와 상부 커버본체(911)가 힌지 결합된 영역에 대향된 상부 커버본체(911)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상부 커버 손잡이(917)는 상부 커버본체(911)의 회전 운동 편의성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파지된다.
측부 커버유닛(930)은 결합위치에서 상부 커버유닛(910)의 외곽 둘레를 따라 접촉된다. 측부 커버유닛(930)은 용기 본체(710)를 둘러싸서 피조리물의 조리 시 발생한 소음 및 진동을 차단한다.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의 측부 커버유닛(930)은 블레이드(300)의 회전축선에 대해 평행 방향의 회전축선을 가지고 회전 운동하도록 한 쌍으로 배치되어 결합위치에서 용기 본체(710)를 둘러싼다. 또한, 측부 커버유닛(930)은 용기(700)의 손잡이(730)가 노출되도록 손잡이(730)를 관통하는 형상을 갖는다.
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의 측부 커버유닛(930)은 블레이드(300)의 회전축선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도록 한 쌍으로 배치되어 결합위치에서 용기 본체(710)를 둘러싼다.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의 측부 커버유닛(9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73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손잡이(730)를 커버하는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상부 커버유닛(910)과 측부 커버유닛(930)의 작동은 상부 커버유닛(910)이 결합위치에서 용기(700)의 상부에 대한 커버를 해제하는 상부 개방위치로 이동될 때, 한 쌍의 측부 커버유닛(930)이 상부 커버유닛(910)의 회전 운동에 연동하여 용기(700)의 측부에 대한 커버를 해제하는 측부 개방위치로 이동한다. 한편, 상부 커버유닛(910)과 측부 커버유닛(930)의 다른 작동은 상부 커버유닛(910)과 한 쌍의 측부 커버유닛(930)이 각각 결합위치에서 개별적으로 용기(700)의 상부에 대한 커버를 해제하는 상부 개방위치와 용기(700)의 측부에 대한 커버를 해제하는 측부 개방위치로 이동한다. 즉, 상부 커버유닛(910)과 측부 커버유닛(930)의 작동 방식은 다양한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패킹부재(1000)는 상부 커버유닛(910)의 하부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측부 커버유닛(930)의 외곽 둘레를 따라 배치된다. 패킹부재(1000)는 결합위치에서 상부 커버유닛(910)과 측부 커버유닛(930)이 용기를 커버할 때, 용기(700)에서 발생된 소음 및 진동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패킹부재(1000)는 상부 커버유닛(910)과 측부 커버유닛(930)의 상호 연결 유지력을 향상한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Ⅵ-Ⅵ 선의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용기, 커버유닛 및 증기 배출유닛 영역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A 영역의 확대 단면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B 영역의 확대 단면도,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증기 배출유닛의 제 1변형 실시 예에 따른 확대 단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C 영역의 확대 단면도, 도 12는 도 7에 도시된 증기 배출유닛의 제 2변형 실시 예에 따른 부분 확대 단면도, 그리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D 영역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증기 배출유닛(1100)은 용기(700)의 상부와 커버유닛(900) 사이에 배치되고 용기(700)와 커버유닛(900)을 상호 연통한다. 증기 배출유닛(1100)은 가열유닛(400)에 의해 용기(700) 내부의 피조리물이 가열 조리될 때 발생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증기 배출유닛(1100)은 연통부(1110), 연통막(1130), 연통홀(1150) 및 날개부(1170)를 포함한다.
연통부(1110)는 용기(700)와 상부 커버유닛(910)을 상호 연통하는 관 형상으로 마련된다. 연통부(1110)는 용기 뚜껑(750)과 상부 커버유닛(910)의 관통홀(913)을 상호 연통한다. 연통막(1130)은 연통부(1110)의 내부에 형성된다. 연통홀(1150)은 용기(700)로부터 발생한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연통막(1130)에 복수 개로 관통 형성된다.
날개부(1170)는 연통부(1110)의 둘레를 따라 상향으로 볼록한 일정 곡률을 가지며 용기 뚜껑(750)과 상부 커버유닛(910) 사이에 지지된다. 날개부(1170)는 결합위치에서 상부 커버유닛(910)이 용기 뚜껑(750)을 커버할 때 상하부로 각각 상부 커버유닛(910)과 용기 뚜껑(750)에 접촉 지지된다. 날개부(1170)는 날개몸체(1171)와 노치부(1173)를 포함한다.
날개몸체(1171)는 용기(700)와 상부 커버유닛(910) 사이에 배치되고 용기(700)와 상부 커버유닛(910)에 접촉 지지된다. 노치부(1173)는 날개몸체(1171)에 함몰 형성되어 용기(700)로부터 발생된 증기가 배출된 후 용기(700)와 상부 커버유닛(910) 사이에 체류되어 응축된 수분을 용기(700)로 안내한다. 상세하게 날개몸체(1171)는 용기 뚜껑(750)과 상부 커버유닛(910) 사이에 형성된 체류 공간(S)에 배치되고, 날개몸체(1171)에 형성된 노치부(1173)는 용기(700)로부터 유입된 증기가 체류 공간(S)에서 응축되어 상 변환된 수분이 용기(700)로 안내되도록 마련된다. 이렇게 노치부(1173)는 체류 공간(S)에서 체류되어 응축된 수분을 용기(700)로 안내함으로써 증기 발생에 따라 피조리물에서 감소된 수분을 보충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의 연통막(1130)은 날개부(1170)의 일정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다. 즉, 연통막(1130)은 상향으로 볼록한 날개부(1170)의 일정 곡률에 대응된 볼록한 곡률을 갖는다.
연통홀(1150)은 제 1연통홀(1151) 및 제 2연통홀(1153)을 포함한다. 제 1연통홀(1151)은 볼록한 일정 곡률을 갖는 연통막(1130)의 중심으로부터 연통부(1110)의 벽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용기(700)로부터 발생된 증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제 2연통홀(1153)은 제 1연통홀(1151)과 벽체 사이에 배치되어 용기(700)로부터 발생된 증기의 배출 및 연통막(1130)에서 응축된 수분을 용기(700)로 안내한다. 여기서, 제 2연통홀(1153)의 지름(D2)은 제 1연통홀(1151)의 지름(D1) 대비 더 큰 지름을 갖는다. 이렇게 제 2연통홀(1153)의 지름(D2)이 제 1연통홀(1151)의 지름(D1) 대비 더 큰 지름을 가짐으로써, 연통막(1130)에서 응축된 수분을 제 1연통홀(1151) 대비 빠르게 용기(700)로 안내할 수 있다. 물론, 제 2연통홀(1153)과 함께 제 1연통홀(1151)를 통해 응축된 수분이 용기(700)로 안내될 수 있다.
한편,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연통막(1130)은 날개부(1170)와 달리 하향으로 볼록한 일정 곡률을 갖는 형상으로 배치된다. 즉,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의 연통막(1130)은 응축된 수분이 중심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하향으로 볼록한 일정 곡률의 형상을 갖는다. 한편,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연통막(1130)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의 날개부(1170)와 달리 깔때기 형상을 가지고 배치된다. 즉, 본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의 연통막(1130)은 응축된 수분이 중심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깔때기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 2 및 제 3실시 예의 제 1연통홀(1151)은 연통막(1130)의 중심으로부터 연통부(1110)의 벽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용기(700)로부터 발생된 증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제 2연통홀(1153)은 연통막(1130)의 중심 영역에 배치되어 용기(700)로부터 발생된 증기의 배출 및 연통막(1130)에서 응축되어 집수된 수분을 용기(700)로 안내한다. 본 발명의 제 2 및 제 3실시 예의 제 1연통홀(1151)의 지름(D1) 및 제 2연통홀(1153)의 지름(D2)을 비교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의 제 1연통홀(1151)의 지름(D1) 및 제 2연통홀(1153)의 지름(D2)과 같이 제 2연통홀(1153)의 지름(D2)이 제 1연통홀(1151)의 지름(D1) 대비 상대적으로 큰 지름을 갖는다.
도 14는 도 2에 도시된 E 영역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 감지부(1300)는 결합위치에서 상부 커버유닛(910)이 용기 뚜껑(750)을 커버하는 지 감지한다. 제어부(1500)는 안전 감지부(1300)로부터 감지된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모터(200)와 가열유닛(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동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상세하게 제어부(1500)는 안전 감지부(1300)로부터 상부 커버유닛(910)이 용기 뚜껑(750)을 커버하는 감지 신호를 수신할 때 사용자가 입력 신호에 따라 모터(200) 및 가열유닛(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동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반면, 제어부(1500)는 안전 감지부(1300)로부터 상부 커버유닛(910)이 용기 뚜껑(750)을 커버하는 감지 신호를 수신하지 않으면 사용자가 입력 신호를 입력해도 모터(200) 및 가열유닛(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동 제어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원격 컨트롤러(1700)는 디스플레이부(1710) 및 통신부(17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710)는 제어부(1500)에 모터(200)와 가열유닛(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작동하는 입력 신호를 입력 받는다. 통신부(1730)는 디스플레이부(1710)에 입력된 입력 신호를 제어부(1500)로 송신한다. 여기서, 원격 컨트롤러(1700)는 본체(100)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게 배치된다. 예를 들어, 원격 컨트롤러(1700)는 본체(100)와 분리될 때 통신부(1730)를 통해 무선 방식으로 제어부(1500)에 입력 신호를 송신한다. 반면, 원격 컨트롤러(1700)는 본체(100)에 결합될 때 미도시된 커넥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710)를 통한 입력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710)는 다양한 레시피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리 장치(10)의 작동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에, 피조리물의 분쇄 및 교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리 과정뿐만 아니라 피조리물의 가열 조리 시 용기를 커버유닛으로 커버하여 조리 과정 중에 발생한 소음 및 진동을 감소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작동 만족도를 향상할 수 있다.
또한, 피조리물의 가열 조리 시 증기 배출유닛을 통해 용기로부터 발생한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증기 배출유닛이 통과 시 응축된 수분을 용기로 재공급할 수 있으므로, 피조리물의 조리 결과물의 만족도를 향상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조리 장치 700: 용기
710: 용기 본체 750: 용기 뚜껑
900: 커버유닛 910: 상부 커버유닛
911: 상부 커버본체 913: 관통홀
915: 진동 감쇠부 930: 측부 커버유닛
1100: 증기 배출유닛 1110: 연통부
1130: 연통막 1150: 연통홀
1151: 제 1연통홀 1153: 제 2연통홀
1170: 날개부 1171: 날개몸체
1173: 노치부 1300: 안전 감지부
1500: 제어부 1700: 원격 컨트롤러
1710: 디스플레이부 1730: 통신부

Claims (16)

  1. 분쇄 및 교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피조리물을 조리하는 블레이드와, 피조리물을 가열 조리하는 가열유닛을 갖는 조리 장치에 있어서,
    피조리물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블레이드가 배치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가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게 상기 용기를 지지하며, 상기 블레이드와 연결되는 모터 및 상기 용기에 열을 제공하는 상기 가열유닛이 배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배치되며, 상기 용기가 상기 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를 커버하여 외부와 상기 용기 사이를 차단하는 커버유닛과;
    상기 용기의 상부와 상기 커버유닛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용기와 상기 커버유닛을 상호 연통하며, 상기 가열유닛에 의해 상기 용기 내부의 피조리물이 가열 조리될 때 발생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증기 배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 영역을 커버하는 용기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본체에 상기 용기가 결합된 결합위치에서 상기 증기 배출유닛을 사이에 두고 상기 용기 뚜껑을 커버하여, 피조리물의 조리 시 소음을 차단하는 상부 커버유닛과;
    상기 결합위치에서 상기 상부 커버유닛의 외곽 둘레를 따라 접촉되며, 상기 용기 본체를 둘러싸서 피조리물의 조리 시 소음을 차단하는 측부 커버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유닛은 상기 본체에 대해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축선에 대해 가로 방향의 회전축선을 가지고 회전 운동하여, 상기 결합위치에서 상기 용기 뚜껑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커버유닛은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축선에 대해 평행 방향의 회전축선을 가지고 회전 운동하도록 한 쌍으로 배치되어, 상기 결합위치에서 상기 용기 본체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커버유닛은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축선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도록 한 쌍으로 배치되어, 상기 결합위치에서 상기 용기 본체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유닛이 상기 결합위치에서 상기 용기의 상부에 대한 커버를 해제하는 상부 개방위치로 이동될 때, 한 쌍의 상기 측부 커버유닛은 상기 상부 커버유닛의 회전 운동에 연동하여 상기 용기의 측부에 대한 커버를 해제하는 측부 개방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7.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유닛과 한 쌍의 상기 측부 커버유닛은 각각 상기 결합위치에서 개별적으로 상기 용기의 상부에 대한 커버를 해제하는 상부 개방위치와 상기 용기의 측부에 대한 커버를 해제하는 측부 개방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유닛은,
    상기 증기 배출유닛이 관통 배치되는 관통홀을 형성하며, 상기 결합위치에서 상기 용기 뚜껑을 커버하는 상부 커버본체와;
    상기 상부 커버본체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결합위치에서 상기 용기 뚜껑과 상기 증기 배출유닛에 접촉되어, 피조리물의 조리 시 상기 용기 및 상기 증기 배출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하는 진동 감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배출유닛은,
    상기 용기와 상기 상부 커버유닛을 상호 연통하는 관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용기로부터 발생된 증기를 배출하는 복수 개의 연통홀이 형성된 연통부와;
    상기 연통부의 둘레를 따라 상향으로 볼록한 일정 곡률을 가지며, 상기 용기 뚜껑과 상기 상부 커버유닛 사이에 지지되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 내부에는 복수 개의 상기 연통홀이 관통 형성되는 연통막이 배치되고, 상기 연통막은 상기 날개부의 일정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연통홀은,
    상기 연통막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연통부의 벽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용기로부터 발생된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 1연통홀과;
    상기 제 1연통홀과 상기 연통부의 벽체 사이에 상기 제 1연통홀 대비 상대적으로 큰 지름을 가지고 배치되어, 상기 용기로부터 발생된 증기의 배출 및 상기 연통막에서 응축된 수분을 상기 용기로 안내하는 제 2연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용기와 상기 상부 커버유닛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용기와 상기 상부 커버유닛에 접촉 지지되는 날개몸체와;
    상기 날개몸체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용기로부터 발생된 증기가 배출된 후 상기 용기와 상기 상부 커버유닛 사이에서 체류되어 응축된 수분을 상기 용기로 안내하는 노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 내부에는 복수 개의 상기 연통홀이 관통 형성되는 연통막이 배치되고, 상기 연통막은 하향으로 볼록한 일정 곡률과 깔때기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연통홀은,
    상기 연통막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연통부의 벽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용기로부터 발생된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 1연통홀과;
    상기 제 1연통홀 대비 상대적으로 큰 지름을 가지고 상기 연통막의 중심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용기로부터 발생된 증기의 배출 및 상기 연통막에서 응축되어 집수된 수분을 상기 용기로 안내하는 제 2연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1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장치는,
    상기 결합위치에서 상기 상부 커버유닛이 상기 용기 뚜껑을 커버하는 지 감지하는 안전 감지부와;
    상기 안전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와 상기 가열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동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장치는,
    상기 본체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에 상기 모터와 상기 가열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작동하는 입력 신호를 입력 받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입력된 입력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갖는 원격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KR1020210119564A 2021-09-08 2021-09-08 조리 장치 KR102588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564A KR102588018B1 (ko) 2021-09-08 2021-09-08 조리 장치
PCT/KR2022/012923 WO2023038355A1 (ko) 2021-09-08 2022-08-30 조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564A KR102588018B1 (ko) 2021-09-08 2021-09-08 조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6717A true KR20230036717A (ko) 2023-03-15
KR102588018B1 KR102588018B1 (ko) 2023-10-12

Family

ID=85506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9564A KR102588018B1 (ko) 2021-09-08 2021-09-08 조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88018B1 (ko)
WO (1) WO2023038355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6137A (ja) * 2003-10-28 2005-06-16 Rinnai Corp 加熱調理器
JP2011517978A (ja) * 2008-04-19 2011-06-23 ケンウッド リミテッド スタンド式ミキサー構成の改良
KR20210053647A (ko) * 2019-11-04 2021-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렌더 용기 및 블렌더 용기 뚜껑
KR102257104B1 (ko) * 2019-11-12 2021-05-28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조리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68133B1 (fr) * 2017-06-27 2019-07-19 Seb S.A. Procede de controle de la texture d'une preparation culinaire
US11064839B2 (en) * 2018-04-20 2021-07-20 Hamilton Beach Brands, Inc. Blender with baffle for reducing nois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6137A (ja) * 2003-10-28 2005-06-16 Rinnai Corp 加熱調理器
JP2011517978A (ja) * 2008-04-19 2011-06-23 ケンウッド リミテッド スタンド式ミキサー構成の改良
KR20210053647A (ko) * 2019-11-04 2021-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렌더 용기 및 블렌더 용기 뚜껑
KR102257104B1 (ko) * 2019-11-12 2021-05-28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조리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유럽 등록특허공보 EP2612580B1: Kitchen utensil for cutting a food produ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8018B1 (ko) 2023-10-12
WO2023038355A1 (ko) 2023-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79314B (zh) 烹饪系统
KR101826760B1 (ko) 유리조리용기를 구비한 조리기기의 손잡이 구조
KR101817780B1 (ko) 초음파 진동장치가 구비된 조리용기
CN216454571U (zh) 烹饪系统
EP3376920B1 (en) Autonomous apparatus for cooking food
CN212368782U (zh) 烹饪设备
WO2018050838A1 (en) Autonomous apparatus for cooking food, and corresponding method
JP7232598B2 (ja) 電気炊飯器
KR101590639B1 (ko)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CN105982531B (zh) 煮饭器
CA2844863A1 (en) Food preparation appliance for steam cooking and food processing
WO2015082893A1 (en) Food preparation equipment
WO2018216042A1 (en) Cooking apparatus
KR20230036717A (ko) 조리 장치
JP7228395B2 (ja) 加熱調理器
KR101645564B1 (ko) 회전 드럼식 조리기
US12011115B2 (en) Food process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2023528734A (ja) 自動開閉式カバー付きブレンダー
US2023014879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food preparation
KR102275842B1 (ko) 조리 장치
KR101849099B1 (ko) 물 끓음 감지 장치
KR20040056102A (ko) 가열믹싱장치
CN112272530B (en) Security system for kitchen appliance, method for selecting operation mode and cover
CN209202920U (zh) 料理装置
KR102351746B1 (ko) 일체형 휴대용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