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3258A - 귀 처치용 기구 - Google Patents

귀 처치용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3258A
KR20210053258A KR1020207024990A KR20207024990A KR20210053258A KR 20210053258 A KR20210053258 A KR 20210053258A KR 1020207024990 A KR1020207024990 A KR 1020207024990A KR 20207024990 A KR20207024990 A KR 20207024990A KR 20210053258 A KR20210053258 A KR 202100532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
support
ear treatment
shape
insertio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4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네마루 신-이치
Original Assignee
교토 메디컬 컨설 씨오., 엘티디.
제이엠알 씨오., 엘티디.
노벨파마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토 메디컬 컨설 씨오., 엘티디., 제이엠알 씨오., 엘티디., 노벨파마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교토 메디컬 컨설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10053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32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20Ear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087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internal passag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B1/018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internal passages or accessories therefor for receiving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2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ears, i.e. ot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32Devices for opening or enlarging the visual field, e.g. of a tube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58Additional features; Implant or prostheses propert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250/0091Additional features; Implant or prostheses propert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arent or transluc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sych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Endoscope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귀 처치용 기구에 메스 등의 기구를 삽통하여 귀내부를 치료 또는 시술을 쉽게 하는 귀 처치용 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귀 처치용 기구(1)는 나팔형의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며, 외이도에 삽입되는 삽통부(2)를 구비하고, 삽통부(2) 내에 삽통한 기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3)가 삽입부(2)의 내주면(2a) 또는 선단측 개방 단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지지부(3)가 삽통부(2)의 내주면(2a)에서 돌출되는 돌기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고, 또한 지지부(3)는 삽통부(2)의 축선(L1) 방향의 선단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Description

귀 처치용 기구
본 발명은 이경을 비롯한 귀 처치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의사가 귀 내부를 치료하기 위해 외이도를 직선형으로 다듬어 치료 부분을 똑바로 볼 수 있도록 하고, 메스나 주사 바늘 등을 삽통(揷通)하여 선단으로부터 돌출시켜 치료 또는 시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이경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하기 특허 문헌1).
특허 문헌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이경은 절두 원추통 모양으로 형성되며, 외이도에 삽입되는 삽통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삽통부의 내주면은 기단부에서 선단을 향해 서서히 ?아지는 평활한 주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의사는 이경의 삽통부내에 메스 등의 기구를 삽통하여 귀 내부를 들여다보면서 치료를 진행한다. 예를 들어, 고막 재생 수술 등에서는 직경이 대략 3mm에서 9mm인 작은 귀 구멍의 주벽에 상처를 내지 않고 메스나 주사를 사용하여 고막의 가장자리에 절개를 진행하거나, 의약 충전 등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치료는 손의 작은 떨림을 0.3mm 이하로 억제하고 정확하게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고도의 스킬과 높은 집중력이 요구된다.
특개평 10-276978호 공보
그러나 기존의 이경은 내주면이 평활한 주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손의 미묘한 떨림을 억제하는 수단이 없었다. 또한 예를 들어, 내주면에 기구의 일부를 대여 지점으로 하고 기구의 선단을 움직이려고 하면 지점이 미끄러져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수술은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므로 해당 수술을 진행하는 의사가 숙련된 의사에 한정되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메스 등의 기구를 삽통시켜 귀내부의 치료 또는 시술을 쉽게 하는 귀 처치용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귀 처치용 기구는 소위 이경의 일부를 개량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상기 기구를 단순히 이경이라고 부를 경우도 있다. 그러나 소위 귀 관찰용 이경에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선단측이란 사용시에 귀에 삽입하는 측의 방향을 가르키며, 기단측이란 사용시에 귀의 외부 시술자 측에 위치하는 방향을 가리킨다.
본 발명은 나팔형의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며, 외이도에 삽입되는 삽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통부내에 삽통한 기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가 상기 삽통부의 내주면의 임의의 일부 또는 선단측 개방 단부에 설치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구의 흔들림을 지지부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귀 처치용 기구의 상기 지지부는 상기 삽통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기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지지부와 삽통부의 내주면에 의해 기구를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기구의 흔들림을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귀 처치용 기구의 상기 지지부는 상기 삽통부의 축선 방향의 선단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지지부에 댄 기구의 위치와 시술 기구 선단의 거리가 짧아지므로 기구의 조작을 안정시키기 쉽다. 여기에서 삽통부의 축선 방향의 선단측이란 삽통부의 선단측 절반까지의 부분을 가르키며, 바람직하게는 선단측 3분의 1까지의 부분을 가르키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선단측 6분의 1까지의 부분을 가리킨다.
본 발명의 귀 처치용 기구의 상기 삽통부의 선단부는 원통형의 주벽을 상기 주벽의 축선에 대해 경사지게 절단한 형상을 갖는 경사 주벽부이며, 상기 경사 주벽부의 내주면의 임의의 일부에 상기 지지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시술을 진행하는 곳의 가장 가까운 지점을 경사 주벽부에 의해 누르면서 경사 주벽부에 형성된 지지부에 의해 기구를 지지하여 시술을 실시하고, 그 이외의 곳에 삽통부 주벽을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환부 전체를 넓게 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귀 처치용 기구의 상기 삽통부의 선단부는 원통형의 주벽을 상기 주벽의 축선에 대해 경사지게 절단한 형상을 갖는 경사 주벽부이며, 상기 선단부가 축선 방향으로 가장 돌출된 최장부에 대향하는 상기 경사 주벽부의 최단부측의 내주면에 상기 지지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시술을 할 부분 이외의 부분의 부풀음 등을 경사 주벽부에 의해 누르면서 환부 시술부의 주변을 넓히면서, 지지부에 의해 기구를 지지하고 시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귀 처치용 기구의 상기 지지부는 상기 내주면에 복수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사용하는 지지부의 선택 사항이 복수가 되므로 귀 내부의 형상에 따라 삽통부의 방향을 설정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귀 처치용 기구의 상기 지지부는 내주면에서 중심을 향해 돌출된 원주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구를 지지부의 둘레면을 따라 지지부 선단의 방향을 원활하게 바꿀 수 있다.
본 발명의 귀 처치용 기구의 상기 지지부는 내주면에서 중심을 향해 돌출된 O자형, V자형 또는 Y자형의 지지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구를 O자형 지지부의 중심이나 V자형 또는 Y자형의 지지부의 분지한 부분 사이에 안정적으로 놓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를 O자형, V자형 또는 Y자형으로 형성하는 경우, 상기 지지부를 기단측 개구부로부터 상기 축선을 따라 볼 때, O자형, V자형 또는 Y자형의 형상으로 보이는 방향으로 형성한다.
본 발명의 귀 처치용 기구의 상기 지지부의 표면에 상기 기구를 지지하기 위한 오목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오목부에 기구를 댈 수 있기 때문에 기구가 상기 지지체에서 미끄러져 버리는 것을 보다 쉽게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귀 처치용 기구의 상기 지지부의 높이가 상기 내주면으로부터 1mm 이상 5mm 이하 일 수도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지지부에 의해 안정적으로 기구를 지지할 수 있는 동시에, 삽통부의 시야를 막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귀 처치용 기구의 상기 삽통부의 외주면에 상기 축선 주위로 연장되는 볼록조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삽통부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귀 처치용 기구의 삽통부분이 투명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귀 내부를 최대한 밝게 할 수 있으며 삽통부에 의해 눌린 부분을 간접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귀 처치용 기구는 삽통부에 삽통하는 기구를 지지하여 시술을 보다 쉽게 할수 있게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처치용 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처치용 기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처치용 기구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처치용 기구를 기단측 개구부로부터 축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처치용 기구의 지지부의 다른 예를 기단측 개구부로부터 축 방향으로 볼 경우의 확대도이고,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처치용 기구의 다른 예를 기단측 개구부로부터 축 방향으로 본 도면이며,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처치용 기구의 다른 예를 기단측 개구부로부터 축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처치용 기구의 다른 예를 기단측 개구부로부터 축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처치용 기구의 다른 예를 나타낸 일부 저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귀 처치용 기구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은 어디 까지나 본 발명을 이해하기 위해 바람직한 구체예를 예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내용을 제한하는 것을 의도로 하지 않는다.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실시 형태의 귀 처치용 기구(1)는 이도(도시하지 않음. 이하 같다)에 삽입된 상태에서 메스나 주사 바늘 등의 기구(X)를 삽통시키기 위해 나팔 모양의 원통형으로 형성된 삽통부(2)와, 삽통부(2)내에 삽통된 기구(X)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3)를 구비한다.
삽통부(2)는 약간 굽어지면서 밑단을 향해 퍼지는 나팔형의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다. 삽통부(2)는 선단측이 소경으로 개구되고 이에 비해 기단측이 대경으로 개구된다. 구체적으로, 삽통부(2)는 선단으로부터 조금씩 거의 일정한 비율로 확경되고 축선(L1) 방향의 중앙 정도의 위치로부터 축선에 대해 약간 휘도록 만곡하면서 선단측보다 큰 밑단으로 확산되도록 확경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삽통부(2)의 형상은 대략 절두 원추통 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삽통부(2)는 축선(L1) 방향의 대략 중앙으로부터 확경된 후 축선(L1) 주위의 원주 방향으로 부풀어 오른 볼록조(4)를 사이에 두고 더욱 확경 된다. 즉, 삽통부(2)는 중앙보다 기단측이 2단계에서 확개된다.
기단 근처의 볼록조(4)는 삽통부(2)의 일부 벽을 두껍게 하여 형성된다.
삽통부(2)의 기단측의 개구 단부(5a)에는 축선(L1)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5b)가 형성된다. 플랜지(5b)는 정면시에서 윤곽이 원호 모양을 이루도록 부풀어 있다.
삽통부(2)의 플랜지(5b) 및 볼록조(4) 이외의 벽 두께는 강성이 담보되는 범위 내에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3mm에서 1.0mm로 형성된다. 삽통부(2)의 플랜지(5b) 및 볼록조(4) 이외의 벽 두께는 0.5mm 이상 0.8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플랜지(5b) 및 볼록조(4)는 그 이외의 부분보다 벽이 더 두껍게 형성된다.
플랜지(5b)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축선(L1)에 거의 수직 인 면(F1) 상에 형성된다.
삽통부(2)의 선단부(6)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면(6a)이 축선(L1)에 대해 경사진 면(F2) 상에 형성되도록 개략적으로 원통형의 주벽부를 경사지게 자른 모양으로 형성된다. 선단면(6a)의 경사 각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 3의 예에서는 약 45도로 형성된다. 상기 경사각은 특별히 한정 할 필요가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30°에서 90° 사이의 각도를 선택한다. 90°로 할 경우, 선단측 개구부를 경사지게 하지 않은 모양으로 형성된다.
선단부(6)에서 축선(L1) 방향으로 가장 길게 연장된 최장부(6t)를 향해 경사진 선단부(6)는 경사 주벽부(K)를 구성한다. 또한, 선단면(6a)과 삽통부(2)의 외주면(2b)이 이루는 각은 뾰족하지 않도록 매끈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경사 주벽부(K)는, 정면시로 개구부를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볼 수 있으며, 선단 가장자리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경사 주벽부(K)는 저면시로 선단면(6a)이 최장부(6t)를 경사진 첨예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삽통부(2)의 내주면(2a)에서, 최장부(6t)의 기단측에는 지지부(3)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3)는 내주면(2a)으로부터 돌출된 돌기이다. 지지부(3)의 형상은 직경이 약 1mm인 중실의 약원주형이다.
지지부(3)는, 지지부(3)의 축선(L2)과 삽통부(2)의 축선(L1)이 거의 수직으로 교차하는 방향을 향한다. 지지부(3)의 돌출 치수는 1mm 이상 5mm 이하로 형성된다. 지지부(3)의 돌출 치수는, 경사 주벽부(K)의 형상과의 관계에서 선단면(6a)에 따른 면(F2)으로부터 돌출되지 않으며, 면(F2)으로부터 돌출해도 치수가 1mm 미만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3)는 본 실시예에서 최장부(6t)로부터 기단측으로 약 2.8mm의 위치에 형성된다. 그러나 지지부(3)의 위치는 최장부(6t)로부터 기단측으로 5mm 정도 이내의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고, 2.8mm 이상 4mm 이하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선단면(6a)의 축선(L)에 대한 경사 각도는 상술 한 약 45도이며, 지지부(3)가 최장부(6t)로부터 기단측으로 2.8mm의 위치에 형성되기 때문에 지지부(3)가 개구부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대략적으로 회피한다.
본 실시예에서, 삽통부(2) 및 지지부(3)는 일체로 성형된다. 삽통부(2) 및 지지부(3)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아크릴, 나일론, 폴리아세탈(POM), 폴리페닐설폰(PPSU),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유산(PLA), 폴리스틸렌(PS), 폴리불화비닐리덴(PVDF), 폴리아미드이미드(PAI), 폴리이미드(PI) 등의 합성수지 또는 스테인리스, 티타늄 등의 금속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있다.
지지부(3)는 삽통부(2)와 일체로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고, 삽통부(2)의 내주면(2a)에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이 경우 삽통부(2)와 지지부(3)는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귀 처치용 기구(1)는 이상과 같이, 지지부(3)가 삽통부(2)의 내주면(2a)에서 특히 경사 주벽부(K)의 내주면(2a)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삽통부(2)내에 메스나 주사 바늘 등 기구(X)를 삽입했을 때, 도 2와 같이 기구(X)의 선단 부분을 지지부(3)에 대여서 지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지지부(3)를 경사 주벽부(K)의 내주면(2a)에 설치함으로서, 기구(X)를 지지부(3)로 지지하는 지점과 시술을 하는 기구(X)의 선단 부분의 거리를 짧게 하여 작업중에 보다 안정적으로 기구(X)를 지지 할 수 있다.
따라서, 고막의 가장자리에 칼집을 내려고 할 경우 등 3mm~9mm 정도의 작은 귓구멍 속에서 신중하게 시술을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손의 아주 작은 진동을 작게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귀 처치용 기구(1)는 충분한 기술을 갖추지 않은 의사뿐만 아니라 고도의 기술과 집중력을 갖춘 의사한테서도 발생할 수 있는 0.3mm 정도의 손의 진동을 보다 쉽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귀 처치용 기구(1)는 지지부(3)가 원주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기구(X)의 선단 방향을 도 2에 표시된 화살표(P1, P2) 방향으로 원활하게 바꾸어 시술을 쉽게 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귀 처치용 기구(1)는 지지부(3)를 지점으로 기구(X)를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기구(X)를 삽통부(2)내에 삽입하여 내주면(2a)에 댈 경우 내주면(2a)이 평활함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미끄러짐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귀 처치용 기구(1)는 도 4와 같이, 지지부(3)의 돌출 치수를 선단부(6)의 내경의 절반 이하로 하고 또한 지지부(3)의 직경 치수를 선단부(6)의 내경의 7분의 1 정도로 형성한다. 따라서 귀 처치용 기구(1)는 지지부(3)가 삽입부(2)내의 시야를 막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면서 기구(X)를 양호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귀 처치용 기구(1)는 삽통부(2)의 중앙보다 기단측을 2 단계에서 확개하며, 2 단의 플레어 모양의 확개 사이에 볼록조(4)를 설치 하기때문에 삽통부(2)를 쉽게 파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귀 처치용 기구(1)는 다음과 같이 적용할 수 있다.
즉 원주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부(3)에는 도 5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내주면에 도 3에 도시한 삽통부(2)의 관통 방향에 따른 오목부(1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 오목부(10)는 도 3에 도시한 삽통부(2)의 축선(L1)을 중심으로 하는 지지부(3)의 양측에 형성될 수도 있고, 한측 주벽에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전체 둘레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지지부(3)의 원주 형상은 도 3에 도시한 지지부(3)의 축선(L2)이 삽입부(2)의 축선(L1)위를 향해 돌출되면 반드시 삽통부(2)의 축선(L1)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지지부(3)의 형상은 원주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도 5 (b) 또는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V자형 또는 Y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지지부(3)는 V자 또는 Y자 상측의 분지(3a, 3a)간 또는 분지(3a)와 내주면(2a) 사이의 관통 방향이 축선(L1) 방향으로 관통하는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부(3)를 배치하여 분지(3a, 3a)간 또는 분지(3a)와 내주면(2a) 사이에 기구(X)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기구(X)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지지부(3)의 형상은 도 6과 같이 대략 O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지지부(3)의 중앙 개구부(3b)의 관통 방향은 축선(L1) 방향으로 관통하는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지지부(3)를 배치함으로써 중앙 개구부(3b)에 기구(X)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기구(X)를 사용할 수 있다.
지지부(3)는 귀 처치용 기구(1)의 사용자가 귀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고 귀 치료용 메스나 주사 바늘 등의 기구(X)를 삽통하여 지지부(3)로 기구를 지지하면서 시술을 할 수 있다면, 원주형, O자형, V자형 또는 Y자형 이외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3)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 1mm의 두께를 가진 편평한 조각이며, 평평한 판면(3s)이 삽입부(2)의 관통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 한 각종 형상을 갖는 지지부(3)는 도 7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 주벽부(K)의 최장부(6t)에 대향하는 주벽 즉 경사 주벽부(K)의 축선(L1) 방향으로 돌출이 가장 작은 최단부(6b)측의 내주면(2a)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위치에 지지부(3)를 설치한 경우에는 시을술 진행할 곳 이외의 부분이 부풀어 올라있을 경우 등 경우에 그 부풀어 오른 부분을 경사 주벽부(K)에 의해 눌러서 시술 부위를 가능한 한 크게 넓힌 상태에서 지지부(3)로 기구(X)를 지지하여 시술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술한 각종 형상을 갖는 지지부(3)는 의사 등의 사용자가 귀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고 기구(X)를 삽통하여 시술을 진행할 수 있다면, 삽통부(2)의 내주면(2a)에 복수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 한 각종의 형상을 갖는 지지부(3)의 표면은 평활하지 않고 갖다댄 기구(X)가 헛되이 미끄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면 거친 표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삽통부(2)의 선단부(6)는 원통을 축선(L1)에 경사지게 자른 모양에 한정되지 않고, 축선(L1)에 직교하는 동일면까지 주벽부를 갖는 형상 일 수도 있다.
또한, 지지부는 도 7에 도시한 삽통부(2)의 선단측 개구 단부(2t)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삽통부(2)는 투명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삽통부(2)를 투명 재료로 형성할 경우에는 귀 내부를 최대한 밝게 할수 있으며 또한 삽통부(2)에 의해 눌린 부분의 상태를 간접적으로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귀 처치용 기구를 사용함으로써, 예를 들면, 수술 중에 피사체가 움직하거나 반대로 시술자의 손이 흔들림으로 인한 실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귀 처치용 기구는 소위 숙련자에 의한 시술을 용이하게 하고 실수를 억제 할뿐만 아니라 충분한 스킬을 갖추지 않은 시술자가 더 쉬운 시술이 가능하게 하는 등의 효과도 기대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귀 처치용 기구를 이용함으로써 종래에는 숙련된 일부 의사에 의해서만 이루어졌던 수술이 더 많은 의사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1 귀 처치용 기구
2 삽통부
2a 내주면
3 지지부
4 볼록조
5a 기단측 개구부
5b 플랜지
6 선단부
6a 선단면
6b 최단부
6t 최대부
F2 경사진 면
K 경사 주벽부
L 축
X 기구

Claims (12)

  1. 나팔형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외이도에 삽입되는 삽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통부에 삽통한 기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가 상기 삽통부의 내주면 또는 선단측 개방 단부에 설치되는 귀 처치용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가 상기 삽통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기에 의해 형성되는 귀 처치용 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가 상기 삽통부의 축선 방향의 선단측에 형성되는 귀 처치용 기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통부의 선단부는 원통형의 주벽을 상기 주벽의 축선에 대해 경사지게 절단한 형상을 갖는 경사 주벽부이며,
    상기 경사 주벽부의 내주면에 상기 지지부가 형성되는 귀 처치용 기구.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통부의 선단부는 원통형의 주벽을 상기 주벽의 축선에 대해 경사지게 절단한 형상을 갖는 경사 주벽부이며,
    상기 선단부가 축선 방향으로 가장 돌출된 최장부에 대향하는 상기 경사 주벽부의 최단부측의 내주면에 상기 지지부가 형성되는 귀 처치용 기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가 상기 내주면에 복수 설치되는 귀 처치용 기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가 원주형으로 형성되는 귀 처치용 기구.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가 O자형, V자형 또는 Y자형으로 형성되는 귀 처치용 기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표면에 상기 기구를 지지하기 위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귀 처치용 기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높이가 1mm 이상 5mm 이하인 귀 처치용 기구.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통부의 외주면에 상기 축선 주위로 연장되는 볼록조가 설치되는 귀 처치용 기구.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귀 처치용 기구가 투명 재료로 형성되는 귀 처치용 기구.
KR1020207024990A 2018-01-29 2019-01-29 귀 처치용 기구 KR202100532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12311 2018-01-29
JP2018012311 2018-01-29
PCT/JP2019/003038 WO2019146806A1 (ja) 2018-01-29 2019-01-29 耳処置用器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3258A true KR20210053258A (ko) 2021-05-11

Family

ID=67395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4990A KR20210053258A (ko) 2018-01-29 2019-01-29 귀 처치용 기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10137740A1 (ko)
EP (1) EP3747411A4 (ko)
JP (1) JPWO2019146806A1 (ko)
KR (1) KR20210053258A (ko)
CN (2) CN110179429A (ko)
AU (1) AU2019210831A1 (ko)
CA (1) CA3092576A1 (ko)
SG (1) SG11202008421XA (ko)
WO (1) WO20191468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66508S1 (en) * 2020-04-30 2022-10-11 Yingjie Sun Otoscope protective cap
USD967418S1 (en) * 2020-05-01 2022-10-18 Yingjie Sun Double layer otoscope protective cap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6978A (ja) 1997-04-03 1998-10-20 Shinka:Kk 診察用器具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46200A (en) * 1920-01-24 1920-07-13 Albert S Harris Diagnostic instrument
US1775140A (en) * 1928-05-12 1930-09-09 Erling S Platou Otoscope
FR659084A (fr) * 1928-08-17 1929-06-24 Appareil pour l'examen médical de diverses parties du corps
US3020912A (en) * 1958-10-06 1962-02-13 Martin H Chester Motor driven surgical knife
JPS55110528A (en) * 1979-02-20 1980-08-26 Olympus Optical Co Endoscope
US4993406A (en) * 1989-09-14 1991-02-19 Reynolds William V Device for dampening uncontrolled movement of surgical instruments
US6390975B1 (en) * 1998-07-16 2002-05-21 Walls Precision Instrument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performing otoscopic procedures
IT1306199B1 (it) * 1999-01-12 2001-05-30 Giorgio Mezzoli Dispositivo per l'autovisione del condotto uditivo esterno e/o dellamembrana timpanica.
KR200336532Y1 (ko) * 2003-08-11 2003-12-24 임덕식 검이경 장착용 귀이개
US20110166421A1 (en) * 2010-01-01 2011-07-07 Pejman Katiraei Enhanced Otoscope Cover
US20130150675A1 (en) * 2011-12-07 2013-06-13 Lillian Folley Transparent Speculum Apparatus and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6978A (ja) 1997-04-03 1998-10-20 Shinka:Kk 診察用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47411A4 (en) 2021-11-03
US20210137740A1 (en) 2021-05-13
SG11202008421XA (en) 2020-09-29
CA3092576A1 (en) 2019-07-29
EP3747411A1 (en) 2020-12-09
AU2019210831A1 (en) 2020-09-24
JPWO2019146806A1 (ja) 2021-08-05
CN210408356U (zh) 2020-04-28
WO2019146806A1 (ja) 2019-08-01
CN110179429A (zh) 2019-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18410B2 (en) Endoscopic surgical blade and use thereof
EP2572656A1 (en) Arthroscope guide
JP4877570B2 (ja) 硝子体手術用コンタクトレンズ保持リング
US20100228083A1 (en) Slotted clear cannula
JP6222495B2 (ja) バイオ穿刺針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WO2005070341A1 (ja) 眼内レンズ挿入装置及びそのカートリッジ
KR20210053258A (ko) 귀 처치용 기구
JP2016137122A (ja) 眼内レンズ挿入器具
WO2016103366A1 (ja) 切開用手術器械
US20190380728A1 (en) Ultrasonic probe
US9968348B2 (en) Surgical access tube
JP5507281B2 (ja) 眼内レンズ挿入器具
JP2007130472A (ja) 強膜切開術用アダプタ
JP6960857B2 (ja) 刺通針付きカニューレ
JP2007151739A (ja) 眼科手術用コンタクトレンズ
KR20190000062A (ko) 의료용 트로카
KR102614337B1 (ko) 외과수술용 리트렉터
US10271838B2 (en) Laparoscopic suturing guide
US11801068B2 (en) Sheathed cutting device
KR102276071B1 (ko) 척추 시술용 리트렉터
JP2022018846A (ja) 椎弓保持プレート
JP3159414U (ja) スクリュースタンド
KR20180004905A (ko) 흉부용 흉관
JP2015009137A (ja) 切開用手術器械
JP3170919U (ja) スクリュースタン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