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2927A - 강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자외선 처리를 포함하는 건선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강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자외선 처리를 포함하는 건선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2927A
KR20210052927A KR1020190138545A KR20190138545A KR20210052927A KR 20210052927 A KR20210052927 A KR 20210052927A KR 1020190138545 A KR1020190138545 A KR 1020190138545A KR 20190138545 A KR20190138545 A KR 20190138545A KR 20210052927 A KR20210052927 A KR 20210052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rmaceutical composition
turmeric
improving
extract
psoria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8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7827B1 (ko
Inventor
김진철
김수남
함정엽
반츠라크치
전주영
김창건
권학철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38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7827B1/ko
Publication of KR20210052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2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6Curcuma, e.g. common turmeric, East Indian arrowroot or mango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61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ultraviol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황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선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과 UVA를 처리함으로서 개체의 건선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강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자외선 처리를 포함하는 건선 개선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improving psoriasis symptom comprising extract of Curcuma longa L and UV treatment}
본 명세서는 강황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가면역피부질환, 특히 건선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건선(Psoriasis)은 은백색의 인설을 동반한 구진을 나타내는 흔한 자가면역 피부 질환으로 분포나 정도가 개인에 따라 전신성 박탈, 홍반, 소양감, 건조감 및 작열감 등 아주 다양한 증상을 나타낸다. 전세계적으로 발생하나 인종 및 종족간 발생 빈도에 현저한 차이를 보이며 임상 경과는 다양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면서 지속되는 형태를 보인다. 건선의 발병 기전은 아직 완전히 규명되지 않았지만 염증세포의 침윤, 면역 활성화 분자 증가, Th1 및 Th17 반응, 염증 관련 사이토카인의 비정상적인 변화 등 염증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건선은 만성 재발성 질환이기에, 우수한 효과를 보이면서도 부작용이 적은 치료법을 적용하여야만 한다. 알려진 치료법으로는 국소 치료, 전신 치료, 광선 치료 및 생물학적 제제를 이용한 치료로 요약되며 경증인 경우 국소 치료를 시행하는게 일반적이며, 그 정도가 심할 경우 자외선 요법을 병행하거나 전신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원칙이다.
하지만 건선에 대한 광선 치료에 사용되는 알려진 천연물 기능성 제제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10-2000-0064607 호 한국공개특허 10-2018-0134856 호 한국공개특허 10-2018-0053292 호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에서 건선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검색하던 중, 강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UV와 함께 피부에 처리함으로서 수분량의 증가 및 수분 손실량의 감소와 피부 형태학적 변화와 염증 발현의 억제를 통해 건선의 천연물을 이용한 광선 치료를 통한 완화 수단의 가능성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강황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유효성분은 피부 도포의 경로를 통해 투여되는 것이며, 자외선 조사를 포함하는, 자가면역피부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상기 약학 조성물을 포함하는 키트, 및 상기 약학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가면역질환, 특히 건선의 개선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하의 설명으로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수단 및 그 조합으로 실현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의 약학 조성물, 키트 또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강황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유효성분은 피부 도포의 경로를 통해 투여되는 것인, 자가면역피부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강황은 Curcuma longa L 이며, 상기 강황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수용액의 추출물인, 자가면역피부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피부 도포의 경로로 투여되며, 투여와 함께 또는 투여 후 자외선 A(UVA)의 조사를 하는 것인, 자가면역피부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A의 조사는 유효성분의 피부 도포 부위에 100 내지 1500 mJ/cm2의 조사량을 가지는 자외선 A의 조사인, 자가면역피부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강황 추출물은 강황의 줄기, 뿌리, 또는 줄기 및 뿌리의 추출물이며, 상기 강황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인, 자가면역피부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강황 분획물은 강황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물 분획물인, 자가면역피부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강황 추출물 또는 상기 강황 분획물은 커큐민(curcumin) 및 디메톡시커큐민(demethoxy curcumin)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자가면역피부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강황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며, 상기 유효성분은 피부 도포의 경로로 투여되며, 상기 투여와 함께 또는 투여 후 100 내지 1500 mJ/cm2의 조사량을 가지는 자외선 A(UVA)의 조사를 하는 것인, 자가면역피부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자가면역피부질환은 건선인, 자가면역피부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건선에 의한 피부 수분 손실량의 감소, 피부 수분량의 증가, 건선에 의한 피부 두께의 변화량 감소 또는 건선에 의한 피부 발적부위의 감소를 통해 건선을 개선 또는 치료하는 것인, 자가면역피부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Cxcl1, Cxcl2, Cxcl3, S100a7, S100a8, S100a9, TNF-α IL-6, IL-36γ, IFN-γ 및 L-1β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감소를 통해 건선을 개선 또는 치료하는 것인, 자가면역피부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본 발명의 일 측면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약학 조성물을 포함하는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키트는 유효성분의 피부 도포의 경로로 투여와 함께 또는 투여 후 자외선 A(UVA)의 조사를 하는 내용이 포함된 설명서를 더 포함하는,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A의 조사량은 100 내지 1500 mJ/cm2의 조사량이라는 내용이 포함된 설명서를 포함는,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다른 측면은, 자가면역피부질환을 가지는 대상의 자가면역피부질환을 개선 또는 치료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본 발명의 일 측면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약학 조성물을 피부 도포의 경로로 투여하는 단계; 및 상기 약학 조성물의 투여와 함께 또는 투여 후 자외선 A를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가면역피부질환을 개선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대상은 인간을 제외한 동물인, 자가면역피부질환을 개선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자가면역피부질환은 건선인, 자가면역피부질환을 개선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건선의 예방 또는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조성물은 건선에 의한 피부의 수분 손실량의 감소 및 수분량의 증가, 피부 두께의 변화와 염증반응을 유의하게 억제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 따른 건선을 치료하는 방법에 의하면, 건선을 효율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하의 설명에서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강황 에탄올 추출물에 대해 에틸아세테이트을 이용하여 가용화 분획하는 단계와 HPLC를 통한 분리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강황 분획물과 UVA 처리에 따른 마우스의 귀 발적 부위 감소와 두께 변화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강황 분획물과 UVA 처리에 따른 마우스의 등의 발적 부위 감소와 수분량과 수분 손실량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강황 분획물과 UVA 처리에 따른 마우스의 귀 상피 두께와 T cell의 수, 케라틴 발현량 변화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는 강황 분획물과 UVA 처리에 따른 마우스의 등 상피 두께와 T cell의 수, 케라틴 발현량 변화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6에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mRNA 발현량을 측정하기 위한 프라이머이다.
도 7은 강황 분획물과 UVA 처리에 따른 마우스에서 RNA 수준에서 염증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강황 분획물과 UVA 처리에 따른 마우스에서 단백질 수준에서 염증의 발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성분, 반응 조건, 성분의 함량을 표현하는 모든 숫자, 값 및/또는 표현은, 이러한 숫자들이 본질적으로 다른 것들 중에서 이러한 값을 얻는 데 발생하는 측정의 다양한 불확실성이 반영된 근사치들이므로, 모든 경우 "약"이라는 용어에 의해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기재에서 수치범위가 개시되는 경우, 이러한 범위는 연속적이며,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이러한 범 위의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의 모든 값을 포함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범위가 정수를 지칭하는 경우,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를 포함하는 모든 정수가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범위가 변수에 대해 기재되는 경우, 상기 변수는 상기 범위의 기재된 종료점들을 포함하는 기재된 범위 내의 모든 값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면, "5 내지 10"의 범위는 5, 6, 7, 8, 9, 및 10의 값들뿐만 아니라 6 내지 10, 7 내지 10, 6 내지 9, 7 내지 9 등의 임의의 하위 범위를 포함하고, 5.5, 6.5, 7.5, 5.5 내지 8.5 및 6.5 내지 9 등과 같은 기재된 범위의 범주에 타당한 정수들 사이의 임의의 값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예를 들면, "10% 내지 30%"의 범위는 10%, 11%, 12%, 13% 등의 값들과 30%까지를 포함하는 모든 정수들뿐만 아니라 10% 내지 15%, 12% 내지 18%, 20% 내지 30% 등의 임의의 하위 범위를 포함하고, 10.5%, 15.5%, 25.5% 등과 같이 기재된 범위의 범주 내의 타당한 정수들 사이의 임의의 값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강황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유효성분은 피부 도포의 경로를 통해 투여되는 것인, 자가면역피부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강황"이란, 생강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고온다습한 남부아시아 지역인 인도와 중국 등을 원산지로 두고 있다. 인도등지에서는 이를 뿌리와 줄기의 껍질을 벗겨서 익힌 후 건조, 분말화하여 식품첨가물, 향신료 및 착색료 등으로 사용되어 오고있다. 또한 최근엔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생약 조성물 등의 기능성 식품의 원재료로도 활용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강황은 이담작용, 이뇨작용, 위액분비촉진에 효과적인 민간치료제로 이용되어왔다. 또한 “커큐민”은 강황의 주요 약효성분으로 동물실험과 역학조사등에서 항암작용, 항산화작용, 항염작용, 해독기능, 콜레스테롤 저해효과 등으로 알려져 있다. 일구현예에서 강황(Curcuma Longa L.)은 생강과(ZINGIBER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의 뿌리줄기를 말린 것이다
강황 추출물은 천연, 잡종, 변종 식물의 다양한 기관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뿌리, 줄기, 잎, 꽃, 열매의 몸통, 열매의 껍질뿐만 아니라 식물 조직 배양물로부터 추출 가능하며 줄기 뿌리에서 추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강황 추출물은 추출용매로 추출한 용매 추출물,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한 추출물에 분획용매를 가하여 분획한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에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하여 수득한 정제물일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천연물 추출에 사용될 수 있는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일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 예를 들면 물 또는 에탄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강황 추출물은 통상의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강황 추출물의 제조는 불순물을 제거한 강황 줄기뿌리의 건조물을 분쇄한 분쇄물에 추출용매를 가하고 추출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용매를 이용한 추출법은 냉침추출법, 온침추출법, 가용화 추출법, 환류추출법 또는 초음파 분쇄 추출법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냉침 추출법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강황을 용매 중에서 인큐베이션하여 용매 중에서 활성 성분을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인큐베이션은 4℃ 내지 환류 온도, 4℃ 내지 100℃, 4℃ 내지 80℃, 4℃ 내지 60℃, 4℃ 내지 50℃, 4℃ 내지 40℃, 4℃ 내지 35℃, 4℃ 내지 30℃, 4℃ 내지 25℃, 또는 실온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인큐베이션은 활성 성분이 용매 중에 추출되는데 충분한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시간은 1 시간 내지 2주일, 1 시간 내지 1주일, 1 시간 내지 5일, 1 시간 내지 3일, 12 시간 내지 5일, 12 시간 내지 3일, 12 시간 내지 2일, 24 시간 내지 5일, 또는 24 시간 내지 3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분획물"은 여러 다양한 구성 성분들을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특정 성분 또는 특정 성분 그룹을 분리하기 위하여 분획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물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의 제조는 상기 추출법으로 제조한 추출물에 분획용매를 가한 후에 분획용매의 극성에 따라 분획물을 수득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분획물을 수득하는 방법은 층분리에 의한 분리법 또는 분획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출물에 분획용매를 가한 후에, 예를 들어 에틸아세테이트 및 물의 분획 용매를 상기 기재와 동일한 순서로 가한 후에 층분리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 물 분획물을 수득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층분리에 의한 분획법은 상기 용매의 비극성의 정도에 따라 그 순차적으로 추출물에 가하고, 각 적용시마다 층분리에 의해 얻어지는 분획물을 수득하는 방법일 수 있고, 일 예로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에 에틸아세테이트를 첨가하여 층분리가 된 에틸아세테이트층을 분획하여 얻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상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분리하고 남은 층인 물 분획물 순서로 수득하는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시예 1의 제조방법으로 추출한 강황 에탄올 추출물을 증류수에 현탁시킨 후 에틸아세테이트 및 물로 계통 분획하여 강황 추출물의 상기와 같은 분획물을 얻었다. 상기 분획물의 정제를 위한 크로마토그래피는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TLC) 또는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등의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강황은 Curcuma longa L 이며, 상기 강황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수용액의 추출물인, 자가면역피부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펜탄올, 또는 헥산올일 수 있따. 또한,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수용액은 농도가 5 내지 99%일 수 있다. 바림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추출용매는 에탄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피부 도포의 경로로 투여되며, 투여와 함께 또는 투여 후 자외선 A(UVA)의 조사를 하는 것인, 자가면역피부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자외선 A의 조사를 수반한다. 자외선 A는 다른 광원인 LED에 비하여 건선의 치료에 현저한 효과가 있다. 상기 자외선 A의 조사는 유효성분의 피부도포와 함께 또는 피부도포 후에 조사될 수 있따. 피부도포 후에 조사되는 경우 피부도포 후 1초 내지 5시간 이내에 조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A의 조사는 유효성분의 피부 도포 부위에 100 내지 1500 mJ/cm2의 조사량을 가지는 자외선 A의 조사인, 자가면역피부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조사량은 100 내지 1000 mJ/cm2의 조사량, 200 내지 800 mJ/cm2의 조사량, 또는 300 내지 500 mJ/cm2의 조사량일 수 있다. 조사량이 상기 범위를 만족할 때 건선의 치료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강황 추출물은 강황의 줄기, 뿌리, 또는 줄기 및 뿌리의 추출물이며, 상기 강황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인, 자가면역피부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서, 강황추출물은 강황의 줄기 및 뿌리를 이용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강황 분획물은 강황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물 분획물인, 자가면역피부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강황 추출물 또는 상기 강황 분획물은 커큐민(curcumin) 및 디메톡시커큐민(demethoxy curcumin)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자가면역피부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커큐민(curcumin) 및 디메톡시커큐민(demethoxy curcumin)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에 대하여 1ppm 내지 100 ppm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강황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며, 상기 유효성분은 피부 도포의 경로로 투여되며, 상기 투여와 함께 또는 투여 후 100 내지 1500 mJ/cm2의 조사량을 가지는 자외선 A(UVA)의 조사를 하는 것인, 자가면역피부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자가면역피부질환은 건선, 루프스, 아토피 피부염인, 자가면역피부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건선(Psoriasis)"은 전신성 박탈, 홍반, 소양감, 건조감, 작열감 등의 증상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건선에 의한 피부 수분 손실량의 감소, 피부 수분량의 증가, 건선에 의한 피부 두께의 변화량 감소 또는 건선에 의한 피부 발적부위의 감소를 통해 건선을 개선 또는 치료하는 것인, 자가면역피부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Cxcl1, Cxcl2, Cxcl3, S100a7, S100a8, S100a9, TNF-α IL-6, IL-36γ, IFN-γ 및 L-1β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감소를 통해 건선을 개선 또는 치료하는 것인, 자가면역피부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은 피부의 수분량을 증가시키거나 귀와 피부 상피의 두께 변화와 염증 발현을 억제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피부의 형태 변화는 염증반응으로 인해 정상 대조군에 비해 귀와 피부의 표면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염증 반응에 따른 염증 세포와 T cell 수의 증가로 인한 염증 발현을 나타내는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이를 억제 및 개선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서 강황의 EtOAc를 용매로 하여 얻어진 분획물과 UV를 처리 하여, 실험 종료 후 분획물 처리군에서 건선 유발군과 비교하여 손상 부위가 줄어듦과 동시에 유의적으로 피부의 수분량의 증가와 수분손실량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단백질과 RNA 수준에서 염증 발현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양성대조군인 PUVA 실험군의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결과를 통해서 강황 추출물 또는 분획물이 건선에 대해 치료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미결정셀룰로스, 규소화미결정셀룰로오스, 포비돈, 크로스포비돈, 크로스카멜로오스나트륨,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노이시린, 콜로이드실리콘디옥사이드, 유당, 탈크,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콜로이드 스테아릴마그네슘, 및 광물유 등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처리량은 사용목적, 질환의 중증도, 연령, 체중, 건강 성별, 약물에 대한 민감도 처리시간 경로 또는 유효성분으로서 사용되는 물질의 종류 등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들을 고려하여 당업자가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강황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단일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강황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 외의 다른 단일 유효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일구현에서 상기 약학 조성물을 건선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에 유효한 양으로 개체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에서 건선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개체는 포유동물일 수 있다. 상기 포유동물을 사람, 개, 고양이, 소, 염소, 또는 돼지일 수 있다. 또한, 사람 또는 인간을 제외한 동물일 수 있으며, 사람 또는 인간을 제외한 포유 동물일 수 있다. 상기 처리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도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부 도포, 복강내 투여, 정맥내 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경피 패치, 경구 투여, 비내 투여, 폐내 투여, 직장내 투여 등의 경로를 통해 처리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피부 도포의 경로 등을 통해 목적하는 바에 따라 처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피부 도포의 경로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나이,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1일 0.001 mg/kg 내지 1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1 mg/kg 내지 10 mg/kg으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는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시간 간격으로 1일 수회, 바람직하기로는 1회 내지는 6회 분할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본 발명의 일 측면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약학 조성물을 포함하는 키트(Kit)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키트는 유효성분의 피부 도포의 경로로 투여와 함께 또는 투여 후 자외선 A(UVA)의 조사를 하는 내용이 포함된 설명서를 더 포함하는,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A의 조사량은 100 내지 1500 mJ/cm2의 조사량이라는 내용이 포함된 설명서를 포함는,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다른 측면은, 자가면역피부질환을 가지는 대상의 자가면역피부질환을 개선 또는 치료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본 발명의 일 측면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약학 조성물을 피부 도포의 경로로 투여하는 단계; 및 상기 약학 조성물의 투여와 함께 또는 투여 후 자외선 A를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가면역피부질환을 개선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대상은 인간을 제외한 동물인, 자가면역피부질환을 개선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자가면역피부질환은 건선인, 자가면역피부질환을 개선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강황 추출물 및 분획물 제조
본 실시예에서는 강황(Curcuma Longa L.)을 에탄올로 추출하여 약 100g 에틸아세테이트, 및 증류수로 가용화 분획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약 64.8g을 수득하고 수용액층 35.2g을 얻었다.
1.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강황의 성숙한 줄기뿌리에서 건조시킨 다음 강황 약 800g을 100 % 에탄올에 24 시간 실온에서 냉침하는 것을 2회 반복하였다. 용액을 거름종이로 여과하여 얻어진 여과액(Filtrate)을 35 ℃에서 감압 농축하여 조 추출물 약 120 g을 얻었다(이하 "에탄올 추출물"이라 한다.). 도 1은 강황 추출물 및 그 분획물의 제조 과정을 그린 도면이다.
2. 분획물의 제조
(1) 에틸아세테이트 층 분획 추출물
1절에서 얻은 조추출물 120 g 중 100 g을 물 200 mL에 녹이고 이를 에틸아세테이트 200 mL와 혼합한 후 24 시간 실온에서 정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분리하였다. 이 과정을 3회 수행하여 얻어진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감압 농축하여 64.8 mg의 헥산 층 추출물을 얻었다 (이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이라 한다.).
실시예 2: 실험동물을 이용한 효능 평가
1. 건선 동물 모델 제작
6 주령 수컷 Balb/c 마우스(강원생명과학, 한국)를 구입하고, 일주일 순화 후, 5% 이미퀴모드(동아ST,한국)를 사용하여 건선 유발을 진행하였다.
2. 동물 실험 디자인
이미퀴모드로 인해 유발된 건선에 대한 강황 분획물과 UVA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1절의 실험동물을 이용하였다. 무작위로 배정된 군당 5 마리의 개체를 각 실험군 별로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아무 처리를 하지 않은 정상 대조군 (Con), 1절의 방법으로 이미퀴모드로 인한 건선을 유발시킨 질환군 (IMQ), PUVA처리한 양성 대조군(PUVA), 강황 분획물과 UVA를 동시에 처리한 군(강황+UV) 즉, 정상 대조군 1개 군, 질환군 1개 군, 양성대조군 1개군 및 분획물 처리군 1개군 총 4개 군으로 구성하였다.
본 발명의 강황 분획물을 포함하는 약물의 농도는 분획물 처리군의 농도는 1%로 설정하였으며, DMSO를 vehicle로 하여 상기 농도로 녹여 준비하였으며, 매일 1회씩 피펫(Pipet)을 통해 도포하여 화장품과 피부도포제로 활용 가능 여부를 조사하였으며, 정상 대조군과 질환군에도 vehicle만을 동량 도포하였다.
UVA는 HD2102.2 휴대용 luxmeter (Delta OHM, Veneto, Italy)를사용하여 400mJ/Cm2가 도달하는 순간까지 조사하였으며, 0.005%의 Psoralen혹은 강황분획물을 이미퀴모드로 유도된 피부염증에 도포하여 사용하였다.
3. 수분량 및 수분 손실량 측정 및 귀 두께, 피부의 발적 부위 감소량 측정
이미퀴모드로 인해 유발된 건선의 수분량 및 수분 손실량과 피부의 손상 부위 감소량에 대한 강황 분획물과 UVA 처리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약물 처리 후 상기 2절의 동물 실험 디자인을 이용하여 건선이 발병 시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 대표적인 증상인 발적 부위 의 감소량을 비교, 확인하기 위해 사진을 촬영하였다. 또한 귀의 경우 또 다른 대표적 증상인 두께의 변화를 측정하고, 등의 경우 Corneometer와 TEWL 장비로 수분량 및 수분 손실량을 측정하였다.
도 2는 강황 분획물과 UVA 처리에 따른 마우스의 귀 발적 부위 감소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붉은 사각형은 이미퀴모드를 처리한 오른쪽 귀의 발적 부위를 나타내는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강황+UV군에서 IMQ 군에 비하여 귀 발적 부위가 감소하였다(도2 day-7의 귀 붉은 발적 감소). 귀의 두께 또한 강황+UV군에서 IMQ 군에 비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도 3은 강황 분획물과 UVA 처리에 따른 마우스의 등 발적 부위 감소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강황+UV군은 IMQ 군에 비하여 수분량은 증가하였고, 발적 부위와 수분 손실량은 감소하였다.
4. 귀와 등의 상피 두께 및 T cell의 수 변화와 케라틴 발현량 측정
이미퀴모드로 인해 유발된 건선의 귀와 등의 상피의 두께 및 T cell의 수 변화와 케라팀 발현량에 대한 강황 분획물과 UVA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약물 처리 후 상기 2절의 동물 실험 디자인을 이용하여 H&E staining, Toluidine blue, 면역 염색을 통해 안구 및 눈물샘 조직을 염색하여 관찰하였다.
도 4는 강황 분획물과 UVA 처리에 따른 마우스의 귀의 조직을 H&E, Toluidine blue, 면역 염색한 사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선에 의하여 발생한 염증이 등의 상피의 두께와 T cell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케라틴의 발현 감소 정도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를 강황 분획물과 UVA를 처리함으로서 두께 감소 및 T cell 감소 효과, 케라틴 발현을 증가시키는 양상을 보여주어 건선으로 인한 염증반응을 개선 시킴을 확인하였다.
도 5는 강황 분획물과 UVA 처리에 따른 마우스의 등 조직을 H&E, Toluidine blue, 면역 염색한 사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선에 의하여 발생한 염증이 등의 상피의 두께와 T cell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케라틴의 발현 감소 정도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를 강황 분획물과 UVA를 처리함으로서 두께 감소 및 T cell 감소 효과, 케라틴 발현을 증가시키는 양상을 보여주어 건선으로 인한 염증반응을 개선 시킴을 확인하였다.
5. 귀 조직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량 측정
이미퀴모드로 인해 건선이 유발된 귀 조직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에 대한 강황 분획물과 UVA 처리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약물 처리 후 상기 2절의 동물 실험 디자인을 이용하여 qPCR을 통해 대표적인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Cxcl1, Cxcl2, Cxcl3, S100a7, S100a8, S100a9, TNF-α IL-6, IL-36γ, IFN-γ 및 IL-1β의 mRNA수준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도 6에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mRNA 발현량을 측정하기 위한 프라이머이다.
도 7는 강황 분획물과 UVA 처리에 따른 qPCR 결과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선에 의하여 발생한 염증이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높게 유도한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또한 이를 강황 분획물과 UVA 처리로 인해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mRNA 수준에서 감소하였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6. 등 조직에서 염증 인자 단백질 발현량 측정
이미퀴모드로 인해 유발된 건선의 쥐 피부조직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에 대한 강황 분획물과 UVA처리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약물 처리 후 상기 2절의 동물 실험 디자인을 이용하여 Western blotting을 통해 대표적인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Cxcl1, Cxcl2, Cxcl3, S100a7, S100a8, S100a9, TNF-α IL-6, IL-36γ, IFN-γ 및 L-1β의 단백질 수준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도 8은 강황 분획물과 UVA 처리에 따른 Western blotting 결과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선에 의하여 발생한 염증이 사이토카인을 높은 발현 정도를 관찰 할 수 있었다. 또한 이를 강황 분획물과 UVA 처리로 인해 단백질 수준에서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정도를 감소시켰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6)

  1. 강황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유효성분은 피부 도포의 경로를 통해 투여되는 것인,
    자가면역피부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황은 Curcuma longa L 이며,
    상기 강황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수용액의 추출물인, 자가면역피부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피부 도포의 경로로 투여되며, 투여와 함께 또는 투여 후 자외선 A(UVA)의 조사를 하는 것인, 자가면역피부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A의 조사는 유효성분의 피부 도포 부위에 100 내지 1500 mJ/cm2의 조사량을 가지는 자외선 A의 조사인, 자가면역피부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황 추출물은 강황의 줄기, 뿌리, 또는 줄기 및 뿌리의 추출물이며,
    상기 강황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인, 자가면역피부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황 분획물은 강황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물 분획물인, 자가면역피부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황 추출물 또는 상기 강황 분획물은 커큐민(curcumin) 및 디메톡시커큐민(demethoxy curcumin)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자가면역피부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강황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며,
    상기 유효성분은 피부 도포의 경로로 투여되며, 상기 투여와 함께 또는 투여 후 100 내지 1500 mJ/cm2의 조사량을 가지는 자외선 A(UVA)의 조사를 하는 것인, 자가면역피부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면역피부질환은 건선인, 자가면역피부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건선에 의한 피부 수분 손실량의 감소, 피부 수분량의 증가, 건선에 의한 피부 두께의 변화량 감소 또는 건선에 의한 피부 발적부위의 감소를 통해 건선을 개선 또는 치료하는 것인, 자가면역피부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Cxcl1, Cxcl2, Cxcl3, S100a7, S100a8, S100a9, TNF-α IL-6, IL-36γ, IFN-γ 및 L-1β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감소를 통해 건선을 개선 또는 치료하는 것인, 자가면역피부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의 약학 조성물을 포함하는 키트.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키트는 유효성분의 피부 도포의 경로로 투여와 함께 또는 투여 후 자외선 A(UVA)의 조사를 하는 내용이 포함된 설명서를 더 포함하는, 키트.
  14. 제 13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A의 조사량은 100 내지 1500 mJ/cm2의 조사량이라는 내용이 포함된 설명서를 포함는, 키트.
  15. 자가면역피부질환을 가지는 대상의 자가면역피부질환을 개선 또는 치료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 1항 내지 제 11 중 어느 한 항의 약학 조성물을 피부 도포의 경로로 투여하는 단계; 및
    상기 약학 조성물의 투여와 함께 또는 투여 후 자외선 A를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대상은 인간을 제외한 동물인, 자가면역피부질환을 개선 또는 치료하는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면역피부질환은 건선인, 자가면역피부질환을 개선 또는 치료하는 방법.
KR1020190138545A 2019-11-01 2019-11-01 강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자외선 처리를 포함하는 건선 개선용 조성물 KR102327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545A KR102327827B1 (ko) 2019-11-01 2019-11-01 강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자외선 처리를 포함하는 건선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545A KR102327827B1 (ko) 2019-11-01 2019-11-01 강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자외선 처리를 포함하는 건선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927A true KR20210052927A (ko) 2021-05-11
KR102327827B1 KR102327827B1 (ko) 2021-11-18

Family

ID=75914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8545A KR102327827B1 (ko) 2019-11-01 2019-11-01 강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자외선 처리를 포함하는 건선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782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4607A (ko) 1996-03-16 2000-11-06 훽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손발톱건선치료용국소제제
EP1133992A1 (en) * 1999-09-23 2001-09-19 ASAC Compania de Biotecnologia E Investigacion, S.A. Novel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curcuma longa extracts
US20040126442A1 (en) * 1999-09-23 2004-07-01 Asca, Compania De Biotecnologia E Investigacion S.A.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Curcuma longa extracts
KR101416149B1 (ko) * 2011-04-20 2014-07-09 한국생명공학연구원 Il-6 유도 stat3 활성화 저해 효과를 갖는 강황 또는 울금의 지상부 추출물, 또는 이의 비극성 유기용매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80053292A (ko) 2015-06-18 2018-05-21 밸리언트 파마슈티컬즈 노오쓰 아메리카 엘엘씨 건선을 치료하기 위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및 레티노이드를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
KR20180134856A (ko) 2016-02-09 2018-12-19 루마 세러퓨틱스 인코포레이티드 광선요법에 의해 건선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 조성물 및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4607A (ko) 1996-03-16 2000-11-06 훽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손발톱건선치료용국소제제
EP1133992A1 (en) * 1999-09-23 2001-09-19 ASAC Compania de Biotecnologia E Investigacion, S.A. Novel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curcuma longa extracts
US20040126442A1 (en) * 1999-09-23 2004-07-01 Asca, Compania De Biotecnologia E Investigacion S.A.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Curcuma longa extracts
KR101416149B1 (ko) * 2011-04-20 2014-07-09 한국생명공학연구원 Il-6 유도 stat3 활성화 저해 효과를 갖는 강황 또는 울금의 지상부 추출물, 또는 이의 비극성 유기용매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80053292A (ko) 2015-06-18 2018-05-21 밸리언트 파마슈티컬즈 노오쓰 아메리카 엘엘씨 건선을 치료하기 위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및 레티노이드를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
KR20180134856A (ko) 2016-02-09 2018-12-19 루마 세러퓨틱스 인코포레이티드 광선요법에 의해 건선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 조성물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7827B1 (ko) 2021-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ou et al. Atractylenolide III ameliorates cerebral ischemic injury and neuroinflammation associated with inhibiting JAK2/STAT3/Drp1-dependent mitochondrial fission in microglia
RU2671492C2 (ru) Композиции, содержащие берберин или его аналоги для лечения кожных заболеваний, связанных с розацеа или с покраснением лица
KR101914233B1 (ko) 병풀 추출물 및 아스타잔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60418B1 (ko) 고삼, 감초 및 백선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22095972A (ja) 視神経保護用組成物
CN106659749B (zh) 包含葎草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用于预防或治疗退行性脑疾病的组合物
KR101734093B1 (ko) 알러지 유발 물질을 저감시킨 정제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327827B1 (ko) 강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자외선 처리를 포함하는 건선 개선용 조성물
Shenoy et al. Antibacterial and wound healing activity of the leaves of Annona squamosa Linn.(Annonaceae)
WO2019103497A1 (ko)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소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tri et al. Clitorea ternatea flower extract induces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PDGF) and GPx gene overexpression in ultraviolet (UV) B irradiation-induced collagen loss
KR20180136039A (ko) 호장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839109B1 (ko) 퍼플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20170051926A (ko) 붉은토끼풀(red clover, Trifolium pratense) 유래 Biochanin-A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퇴행성관절염 예방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1746158B1 (ko) 은시호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을 개선시키기 위한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102159343B1 (ko) 가자육 추출물 포함하는 안구 건조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 및 그 용도
KR102164465B1 (ko) 강황, 프로폴리스 및 잎새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성 천연 조성물
KR102507513B1 (ko)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건선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52129B1 (ko) 닥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13249B1 (ko) 메밀잣밤나무속 식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096330A1 (ko) 메밀잣밤나무속 식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01024B1 (ko) 프로폴리스를 포함하는, 위염 및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억제를 위한 조성물
KR101967318B1 (ko) 삼백초의 수용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Th-1 매개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085082B1 (ko) 백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척수 손상 치료용 조성물
JP5909272B2 (ja) シマオオタニワタリの抽出物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