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6039A - 호장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호장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6039A
KR20180136039A KR1020170074403A KR20170074403A KR20180136039A KR 20180136039 A KR20180136039 A KR 20180136039A KR 1020170074403 A KR1020170074403 A KR 1020170074403A KR 20170074403 A KR20170074403 A KR 20170074403A KR 20180136039 A KR20180136039 A KR 20180136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ction
dry eye
eye syndrome
extract
functional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4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숙
김정현
김찬식
김영숙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74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6039A/ko
Priority to PCT/KR2018/006659 priority patent/WO2018230942A1/ko
Publication of KR20180136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60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5Extraction with lipophilic solvents, e.g. Hexane or petrol ether
    • Y10S514/912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장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호장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호장근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은 안구건조증에 의한 눈물 분비량의 감소 및 각막 형태의 변화를 유의하게 억제할 수 있으므로, 눈피로 및 안구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의 개발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호장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treatment and prevention of dry eye syndrome comprising Polygonum Cuspidatum extract or fraction thereof}
본 발명은 호장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호장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안구 건조증(건성안: dry eye syndrome)은 단순히 눈물부족이 아닌, 눈물과 안구표면(각막 및 결막)의 염증에 의한 안구의 불편감, 눈피로, 시력저하, 눈물층의 불안정성을 유발하여 안구표면에 손상을 주어, 통증, 불규칙한 각막 표면, 흐리고 변동폭이 커진 시력 및 각막궤양 등의 발병 위험성이 크다. 그러나 이러한 발병기전은 아직 완전히 규명되지 않았으나, 염증세포의 침윤, 면역활성화 분자 및 접착분자발현 증가, Th1 및 Th17 반응, 세포사멸 마커 및 케모카인의 비정상적인 변화 등 염증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안구 건조증 치료를 위해서 칼륨과 안토시아닌이 풍부한 음식섭취를 권장하고 있고, 이외에도 케일, 키위, 사과 등의 과일섭취도 적극 권장하고 있다, 또한 인공눈물 점안, 눈물점을 막아 배출되는 눈물의 양을 조절하는 치료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글로벌 데이터 보고서에 의하면 세계 안구건조증 시장은 2012년 16억 달러 (1조8816억원)에서 2011년에는 55억 달러(6조4680억원)로 연평균 12.8%의 성장률을 보일 것을 전망하였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의하면 국내 안구건조증 치료에 사용된 총 진료비는 연평균 8.6%씩 증가해 2009년에는 521억원, 2013년에는 726억원으로 5년 사이 200억원 이상 증가하였다(이투데이, 2016. 06.27).
그러나 안구건조증은 우리나라 성인의 20% 내외로 발생하는 흔한 질병으로, 특히 전 세계적인 기후 변화 특히 엘리뇨 현상으로 온도가 올라가고 있는 상황과 미세먼지 등 환경오염으로 인해 안구건조증 환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특별한 치료제 또는 기능성 식품이 없는 상황이다.
현재 해외에서 안구건조증이나 눈 피로 관련 기능성식품이 대량 수입되고 있는 상황이다. 국내에서 우수한 기능성 식품이 개발될 경우 눈피로, 안구건조증으로 이행되는 것을 예방함으로 국민 개인의 건강 뿐만 아니라 막대한 국가 재정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호장근(Polygonum Cuspidatum, Japanese Knotweed )은 우리나라 산야에서 자라는 마디풀과의 다년초 식물로 한국, 일본, 타이완 및 중국 등지에서 분포한다. 호장근은 민간에서 이뇨, 통경제, 진정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호장근의 약리작용으로는 지질대사억제작용 (Masaki H., et al., 1995, Biol. Pharm. Bull. 18:162-166, 1995), protein tyrosine kinase저해작용 (Jayatilake G. S., et al., 1993, J. Nat. Prod. 56: 1805-1810), 변이원성억제작용(Su et al., 1995, Mutat. Res. 329:205-212) 등이 보고되어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에서 안구건조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검색하던 중, 호장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이 눈물 분비량의 증가, 각막형태 변화의 억제 및 눈피로 방지를 통해 안구건조증을 치료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호장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호장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안구건조증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치료제를 개발하고자,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던 중, 호장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이 안구건조증을 치료하는 효과를 나타냄을 발견하였다. 상기 호장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안구 건조증에 따라 나타나는 눈물 분비량의 감소 및 각막 형태의 변화를 유의하게 억제할 뿐만 아니라, 안구건조증의 치료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 상용약물과 유사한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상기 호장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사용하여 안구건조증을 치료하는 기술은 지금까지 전혀 알려져 있지 않고, 본 발명자에 의하여 최초로 개발되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양태로서, 본 발명은 호장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안구건조증의 예방 및 치료 활성을 갖는 상기 호장근 추출물은 천연, 잡종, 변종 식물의 다양한 기관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뿌리, 줄기, 잎, 꽃, 열매의 몸통, 열매의 껍질뿐만 아니라 식물 조직 배양물로부터 추출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호장근"이란, 우리나라 산야에서 자라는 마디풀과의 다년초 식물로 뿌리줄기는 굵고, 줄기는 높이 1.5 m가량이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 길이 6~12 cm 이며 끝이 뽀족하고, 잎자루는 길다. 어릴 때 줄기의 생김새가 호피를 닮아서 호장근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호장근은 민간에서 이뇨, 통경제, 진정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완화, 이뇨, 통경, 화농성 피부염, 요도염, 방광염, 고혈압, 암, 동맥경화 등 여러 질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동양권의 전통의학에서 이용되어 왔다.
본 발명에서, 상기 호장근 추출물은 호장근의 뿌리, 줄기, 잎, 꽃, 또는 열매로부터 추출한 것일 수 있으며, 이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호장근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한 것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에는,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또는 이들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 중 어느 하나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콜은 부틸 알콜, 에틸 알콜, 메틸 알콜 또는 이의 수용성 알콜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성 알콜은 알콜이 0.1 내지 100 % 중량 범위로 포함되는 것 일 수 있고, 상기 부틸 알콜은 수포화 부틸 알콜일 수 있다.
상기 수포화 부틸 알콜은 물과 부틸 알코올 혼합하여 최대로 물이 함유되어 있는 부탄올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물의 첨가량은 동량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호장근 분쇄물에 에탄올과 같은 탄소수1(C1) 내지 탄소수(C4)의 저급 알콜의 극성용매를 넣고, 추출용기에서 상온상태로 반복 추출한 후, 40℃의 온도에서 감압 하에 농축시켜 에탄올 추출물을 얻었다(도 1). 또한, 상기 추출액을 여과한 후 구성성분의 분해 및 가수분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농축 시 온도를 40 내지 45℃ 이하로 유지하고, 감압 상태에서 농축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분획물"은 여러 다양한 구성 성분들을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특정 성분 또는 특정 성분 그룹을 분리하기 위하여 분획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 분획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분획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호장근을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에 소정의 용매를 처리하여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획물을 얻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호장근 추출물의 헥산 분획물,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또는 물 분획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분획물은 각각 약학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0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1 내지 8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호장근 추출물의 용매분획물은 호장근 추출물을 물로 현탁한 후 n-헥산(n-hexane), 에틸 아세테이트(EtOAc) 또는 n-부탄올(n-BuOH)과 같은 비극성 용매를 사용하여 분획함으로써 극성 용매 분획물과 비극성 용매 분획물을 각각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구체적인 일 양태로서 용매분획물로는 물 분획물, n-헥산 분획물,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n-부탄올 분획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 데에 사용되는 분획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획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알코올 등의 극성 용매; 헥산(Hexan),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클로로포름(Chloroform),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등의 비극성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분획 용매 중 알코올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구체적으로 C1 내지 C4의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실시예 1의 제조방법으로 추출한 호장근 에탄올 추출물을 증류수에 현탁시킨 후 n-헥산(n-hexane), 에틸 아세테이트(EtOAc) 또는 n-부탄올(n-BuOH)으로 순차적으로 계통 분획하여 호장근 추출물의 상기와 같은 분획물을 얻었다(도 1).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안구건조증"이란, 안구건조증(dry eye syndrome)은 눈물샘의 염증 및 각막의 탈신경화에 의하여 눈물 분비가 억제되거나 마이봄선의 기능부전(Meibomian gland dysfunction) 또는 눈꺼풀의 기능이상에 따른 비정상적인 눈물 증발 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질환일 수 있고, 상기 안구건조증에 의해 눈물이 과다 건조되어 각막의 상처로 나타나는 각결막 상피장애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호장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로 안구건조증의 증상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치료"란, 본 발명에 따른 호장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로 상기 안구건조증의 증상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눈물의 분비량을 증가시키거나 각막의 형태변화를 억제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각막의 형태 변화는 눈물의 과다건조로 인해 각막의 표면이 울퉁불퉁해져 둥근 원형이 휘어지고 찌그러지는 형태를 나타내는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이를 매끈하고 평평하게 개선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호장근의 부탄올 분획물을 투여하여, 투여 3일 후 고농도군(1.0 mg/mL)에서, 투여 5일 후 저농도군(0.5 mg/mL) 및 고농도군(1.0 mg/mL)에서 유의적으로 눈물 분비량이 증가함을 확인하였고 이는 안구건조증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약물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도 2).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호장근의 부탄올 분획물을 투여하여, 고농도군(1.0 mg/mL)에서 안구건조증 질환군에서 나타나는 각막 형태의 변화를 유의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하였다(도 3 및 4).
따라서, 상기 결과를 통해서 호장근 추출물 또는 부탄올 분획물이 안구건조증에 대해 치료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약학 조성물"이란,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를 목적으로 제조된 것을 의미하며, 각각의 통상의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등의 제형으로 제형화할 수 있고,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점안투여하기 적합한 형태, 예를 들어, 점안제, 크림제, 연고제, 겔제 또는 로션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담체는 비자연적 담체(non-naturally occuring carrier)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상엽 추출물과 이의 분획물들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 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사용목적, 질환의 중독도,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기왕력, 또는 유효성분으로서 사용되는 물질의 종류 등을 고려하여 당업자가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성인 1인당 약 0.1 ng 내지 약 1,000mg/kg, 구체적으로 1 ng 내지 약 1,000mg/kg로 투여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빈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1일 1회 투여하거나 또는 용량을 분할하여 수회 투여할 수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약학 조성물을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안구 건조증이 발병된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구 건조증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개체"란 안구건조증이 발병된 쥐, 가축 등을 포함하는 포유동물 등을 제한 없이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체”는 반려동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려동물은 인간과 함께 더불어 사는 동물을 의미하며, 구체적인 종류로서 개, 고양이, 햄스터, 기니피그 등의 포유류, 앵무새, 카나리아 등의 조류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구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도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점안 투여, 복강내 투여, 정맥내 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경피패치투여, 경구 투여, 비내 투여, 폐내 투여, 직장내 투여 등의 경로를 통해 투여 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점안 투여의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시양태로서, 본 발명은 호장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에서 호장근, 분획물, 안구건조증에 대한 정의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개선"은 상기 조성물을 경구투여하여 안구건조증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기능성"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 가능하며, 상기 제조시에는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제형 또한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 없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나므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안구건조증의 예방 또는 개선의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보조제로 섭취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호장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 소재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이 없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호장근의 부탄올 분획물을 투여하여, 투여 3일 후 고농도군(1.0 mg/mL)에서, 투여 5일 후 저농도군(0.5 mg/mL) 및 고농도군(1.0 mg/mL)에서 유의적으로 눈물 분비량이 증가함을 확인하였고 이는 안구건조증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약물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도 2).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호장근의 부탄올 분획물을 투여하여, 고농도군(1.0 mg/mL)에서 안구건조증 질환군에서 나타나는 각막 형태의 변화를 유의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하였다(도 3 및 4).
따라서, 상기 결과를 통해서 호장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안구건조증 또는 눈피로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호장근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은 안구건조증에 의한 눈물 분비량의 감소 및 각막 형태의 변화를 유의하게 억제할 수 있으므로, 눈피로, 안구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의 개발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호장근 에탄올 추출물에 대해 n-헥산(n-hexane), 에틸아세테이트(EtOAc), n-부탄올(n-BuOH)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계통 분획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은 호장근 부탄올 분획물 투여에 따른 랫트의 눈물 분비량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p<0.05 vs. Nor; #: p<0.05 vs. DED).
도 3는 호장근 부탄올 분획물 투여에 따른 랫트의 각막 형태 변화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는 호장근 부탄올 분획물 투여에 따른 랫트의 각막의 평활도 점수(corneal smoothness score)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각막 평활도 점수는 각막 형태 변화를 둥근 원 형태의 찌그림 정도를 0 내지 5까지 점수를 매겨 평가하였다(0점: 찌그러짐 없음, 1점: 1/4 부위에서 찌그러짐, 2점: 2/4 부위에서 찌그러짐, 3점: 3/4 부위에서 찌그러짐, 4점: 모든 부위에서 찌그러짐, 5점: 심한 찌그러짐으로 둥근 원형의 형태를 알아볼 수 없음; #: p<0.05 vs. DED).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호장근 에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 제조
실험에 사용된 호장(Polygonum cuspidatum Sieb. et Zucc.= Reynotria japonica Houtt.; Polygonaceae)의 근경 (호장근)은 대전에 위치한 백제당 한약방에서 구입하고 가천대 김주환 교수에 의해 동정되었다. 증거표본(no. KIOM-POCU1B)은 한국한의학연구원에 보관중이다.
그늘에 건조하고 세절한 호장근에 에탄올을 넣고, 추출용기에서 상온상태로 반복 추출한 후, 40℃에서 감압 하에 농축시켜 에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추출액을 여과한 후 감압 상태에서 농축하였다. 이때, 구성성분의 분해 및 가수분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농축 시 온도를 40℃ 내외로 유지하였다.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호장근 에탄올 추출물을 증류수에 현탁시킨 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르말 헥산(n-hexane), 에틸아세테이트(EtOAc), 노르말 부탄올(n-BuOH)로 순차적으로 계통분리를 하여 노르말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노르말 부탄올, 물 분획물을 각각 획득하였다(도 1).
따라서, 상기의 제조방법을 통해서 건조 호장근 5.5kg을 분쇄하여 에탄올로 상온에서 3회 반복 추출하고, 여과 및 농축한 후, 상기 농축된 에탄올 추출물을 노르말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노르말 부탄올, 물로 각각 용매 분획하여 최종적으로 부탄올 분획물(POCU7B로 칭함) 105g을 얻었다.
실시예 2. 실험동물을 이용한 약효시험
실시예 2.1: 안구건조증 실험동물의 제작
6주령 암컷 SD 랫트(오리엔트바이오, 한국)에서 구입하고, 일주일 순화 후, 눈물샘 제거를 위해, 펜토바비탈 나트륨(pentobarbital sodium(30 mg/kg body weight, 한림제약, 한국)으로 마취하였다. 마취시킨 랫트의 안구와 귀 사이 정중앙 부위의 털을 제모하고, 수술부위를 소독한 후 피부를 1cm 가량 절개하였다. 절개 부위로부터 안구 밖 눈물샘(exorbital lacrimal gland)를 떼어낸 후, 피부를 봉합하였다. 1주일 뒤, 페놀-레드 thread 눈물량 검사지(FCI Opthalmics Zone Quick, Japan)를 눈꺼풀 외측 끝 부위 안구표면에 접촉시킨 후 30초 후 눈물에 의해 검사지의 색이 변한 길이를 측정하여, 비수술군에 비해 현저하게 눈물 분비량이 감소된 개제들만 이용하여 약효시험을 진행하였다.
실시예 2.2: 눈물 분비량 측정
안구건조증에 대한 호장근 부탄올 분획물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2.1의 실험동물을 이용하여 호장근 부탄올 분획물 투여에 따른 눈물 분비량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각 실험군별로 5마리의 개체를 무작위로 배정하였으며, 실험군은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아무 이상이 없는 비수술 정상군 (NOR), 실시예 2.1의 방법으로 안구 밖 눈물샘을 제거하여 안구건조증을 유발시킨 질환군 (DED), 본 발명의 호장근 부탄올 분획물(POCU7B)을 0.5 mg/ml을 투여한 약물투여군 저농도 (POCU7b-0.5), 본 발명의 부탄올 분획물(POCU7B)을 1.0 mg/ml을 투여한 약물투여군 고농도 (POCU7b-1.0), 대조약물로는 안구건조증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상용약물인 히아루론산(hyaluronic acid;HL 1 mg/ml, 한림제약, 한국)과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즈(caboxymethyl cellulose;CC 5 mg/ml, 디알클리어, 디에치피코리아, 한국) 2종 약물을 사용한 대조약물 1 투여군, 대조약물 2 투여군으로 구성하였다.
본 발명의 호장근 부탄올 분획물을 포함하는 약물은 0.5 % DMSO가 포함된 멸균 생리식염수에 상기 농도로 녹여 준비하였으며, 매일 오전, 오후 2회씩 양쪽의 눈에 1 드롭(drop)씩 점안하였다. 대조약물군에도 각각의 약물을 1일 2회 점안하였으며, 정상군과 질환군에도 vehicle만을 동량 점안하였다. 약물 투여 3일 및 5일 후 상기 실시예 2.1에 기재한 방법과 동일한 눈물량 측정 방법으로 눈물량을 측정하였다.
안구건조증을 유발한 후 3일 동안 POCU7B와 대조약물을 점안한 후 눈물 분비량을 측정한 결과, 질환군은 정상군에 비해 4배 가량 눈물 분비량이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POCU7B 투여군에서는 고농도 군인 1.0 mg/ml 농도 투여군에서 유의적인 눈물 분비량 증가가 관찰되었다. 또한, 대조약물인 HL과 CC의 경우에도 유의적인 눈물 분비량 증가가 나타났으며 효능은 약물투여군 고농도 군과 유사하였다(도 2).
약물투여 5일 후 측정한 눈물분비량에서는 POCU7B 저농도 및 고농도군 모두에서 유의적인 눈물 분비량 증가가 나타났으며, 약효는 대조약물인 HL 및 CC군과 거의 유사하였다. 투여한 약물의 용량을 비교하였을 때에는 POCU7B 0.5 mg/ml 농도에서도 대조약물 HL 1.0 mg/ml 및 CC 5.0 mg/ml과 유사한 효능을 보이므로 가장 강한 약효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2).
따라서, 상기 결과를 통해서, 호장군의 부탄올 분획물을 투여하여 눈물 분비량이 개선됨을 확인하였으므로, 호장근 부탄올 분획물이 안구건조증 치료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3: 각막의 형태 변화 측정
안구건조증에 대한 호장근 부탄올 분획물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2.1의 실험동물을 이용하여 호장근 부탄올 분획물 투여에 따른 각막의 형태 변화를 확인하였다.
실험군의 구성 및 약물의 투여는 상기 실시예 2.2와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각막은 동물을 마취 후, fiberoptic ring illuminator가 부착된 stereoscopic microsope (Olympus, Japan)를 이용하여 사진을 찍었다. 각막의 형태 변화는 각막 상피세포에 반사된 원형의 illuminator을 둥근 원 형태의 찌그러짐 정도를 0 내지 5까지 점수를 매겨 평가하였다. 0점: 찌그러짐 없음, 1점: 1/4 부위에서 찌그러짐, 2점: 2/4 부위에서 찌그러짐, 3점: 3/4 부위에서 찌그러짐, 4점: 모든 부위에서 찌그러짐, 5점: 심한 찌그러짐으로 둥근 원형의 형태를 알아볼 수 없음.
각막의 형태학적 변화를 평가한 결과, 정상군에서는 외부에 눈물샘에서 분비되는 눈물이 tear film을 형성하여 매끈하고 평평한 표면 상태를 유지되어, 도 3과 같이 원형이 조명 그대로 반사되어 둥근 원모양을 관찰하였다. 그러나 안구건조증 질환군에서는 각막을 덮고 있는 tear film에 이상이 생겨 각막 상피세포의 변성 및 매끈한 각막 표면이 말라서 울퉁불퉁하게 변하게 되어, 둥근 원형이 휘어지고 찌그러지는 형태를 관찰하였다. POCU7B 약물의 고농도 투여군에서는 질환군과 같은 각막형태변화를 유의적으로 억제하였으며, 대조약물인 HL 및 CC 등과 약효를 비교하였을 때에도 거의 동등한 약효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도 3 및 4).
따라서, 상기 결과를 통해서, 호장근의 부탄올 분획물을 투여하여 안구건조증에 의해 나타나는 각막의 형태변화를 억제함을 확인하였으므로, 호장근 부탄올 분획물이 안구건조증 치료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충분히 인식하고 유추할 수 있는 내용은 그 상세한 기재를 생략하였으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체적인 예시들 이외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구성을 변경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보다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예시한 것과 다른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이해할 수 있는 사항이다.

Claims (8)

  1. 호장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호장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인 것인, 건강기능식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알콜은 부틸 알콜, 에틸 알콜, 메틸 알콜 또는 이의 수용성 알코올인 것인, 건강기능식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알콜은 알콜이 0.1 내지 100 % 중량 범위로 포함되는 것인, 건강기능식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틸 알콜은 수포화 부틸 알콜인 것인, 건강기능식품.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호장근 추출물의 n-헥산 분획물,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또는 물 분획물인 것인, 건강기능식품.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눈물 분비량을 증가시키거나 각막 형태 변화를 억제하거나, 눈피로를 개선하는 것인, 건강기능식품.
KR1020170074403A 2017-06-13 2017-06-13 호장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8013603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403A KR20180136039A (ko) 2017-06-13 2017-06-13 호장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CT/KR2018/006659 WO2018230942A1 (ko) 2017-06-13 2018-06-12 호장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403A KR20180136039A (ko) 2017-06-13 2017-06-13 호장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039A true KR20180136039A (ko) 2018-12-24

Family

ID=64659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4403A KR20180136039A (ko) 2017-06-13 2017-06-13 호장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136039A (ko)
WO (1) WO201823094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4010A (ko) * 2018-11-28 2020-06-05 삼일제약주식회사 안정성이 증진된 경구투여용 호장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형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45270A (ko) * 2019-10-16 2021-04-26 한국 한의학 연구원 호장근 지상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안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793B1 (ko) * 2011-07-28 2012-01-31 이병철 요실금 증상 개선 및 치료용 환제(丸劑)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488756B (zh) * 2011-12-09 2013-04-17 田明霞 一种治疗干眼症的药剂
KR101764786B1 (ko) * 2015-12-30 2017-08-07 한국 한의학 연구원 호장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4010A (ko) * 2018-11-28 2020-06-05 삼일제약주식회사 안정성이 증진된 경구투여용 호장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형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45270A (ko) * 2019-10-16 2021-04-26 한국 한의학 연구원 호장근 지상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안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30942A1 (ko) 2018-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4786B1 (ko) 호장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11655274B (zh) 包含桃叶珊瑚提取物的眼球干燥症预防及治疗用组合物
KR102120483B1 (ko) 하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황반변성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80136039A (ko) 호장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941221B1 (ko) 노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황반변성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70850B1 (ko)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62797B1 (ko) 단풍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220072077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skin diseases comprising bridalwreath spirea
US11564962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maple leaf extract for preventing or treating retinal disease
KR101807605B1 (ko) 천선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65933A (ko) 단풍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안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28026B1 (ko)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43245B1 (ko) 감국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87271B1 (ko) 신규한 디하이드로-2&#39;H,3H-스피로[퓨란-2,3&#39;-퓨로[3,2-b]퓨란]-2&#39;,5(3a&#39;H,4H,5&#39;H)-디온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염증성 안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310990B1 (ko) 호장근 지상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안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38860B1 (ko) 단풍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압 저하용 조성물
KR101838142B1 (ko) 쥐눈이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각막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73938A (ko) 들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치료용 조성물
KR101797072B1 (ko) 동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눈의 피로, 눈의 염증, 또는 안구 건조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864729B1 (ko) 사스레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구 피로 및 건조증 완화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2209664B1 (ko) 회잎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4219856A1 (ko) 안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141192A1 (ko) 꽃송이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154479A (ko) 안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Swati et al. A critical review of potaki (Basella alba) in ayurvedic texts with recent stud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