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2797B1 - 단풍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단풍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2797B1
KR101762797B1 KR1020160048403A KR20160048403A KR101762797B1 KR 101762797 B1 KR101762797 B1 KR 101762797B1 KR 1020160048403 A KR1020160048403 A KR 1020160048403A KR 20160048403 A KR20160048403 A KR 20160048403A KR 101762797 B1 KR101762797 B1 KR 101762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 eye
kiom
eye syndrome
extrac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8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진열
오유창
임남희
유재명
조원경
황윤환
김연희
오태우
박은희
박광일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48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2797B1/ko
Priority to PCT/KR2017/004239 priority patent/WO201718392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2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2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0Aceraceae (Maple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8Eye, e.g. artificial t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rd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ermat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풍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단풍나무 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이용한 안구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단풍나무 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구건조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단풍나무 잎 추출물은 기존에 안구건조증의 치료제로 알려진 약제와 유사하거나 더 우수한 정도로 안구건조증을 예방, 개선 및 치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물로부터 유래한 것이므로, 안구건조증의 예방, 치료 및 개선에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풍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s for preventing or treating dry eye syndrome comprising extract of maple leaves or fraction thereof}
본 발명은 단풍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단풍나무 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이용한 안구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단풍나무 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구건조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안구건조증은 건성안증후군 또는 눈마름증후군으로 불리는 질환으로, 눈이 시리고 모래알이 들어간 듯한 이물감이 있으며, 눈이 쉽게 피로하여 잘 뜰 수가 없는 증상을 나타낸다. 발병기전은 아직 완전히 규명되지 않았으나, 염증질환의 일종이라는 증거가 확보되고 있으며, 안구건조증 환자의 눈물에는 정상인보다 IL-2, IL-4, IL-5, IL-6, IL-10, IFN-γ, TNF-α, IL-1β 등의 염증 관련 사이토카인과 IL-8 등의 염증 관련 케모카인이 과발현됨이 보고되었다(Massingale ML., 2009, Cornea, 28(9):1023-7).
이러한 안구건조증은 인공 눈물 안약이나 염증 치료 안약, 비타민 안약 등을 사용한 약물을 통해 치료할 수 있다. 안구건조증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의 예로서, 시클로스포린 A(Cyclosporin A), 플루오로메톨론(Fluorometholone)등이 있다. 시클로스포린 A는 면역억제제로 널리 사용되는 약물이며, IL-2, IL-4, IL-12 등과 관련한 T 세포의 활성 및 생장을 저해하여 면역 시스템의 활성을 감소시켜 안구 표면의 염증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1,200명을 대상으로 한 임상 시험에서는 15% 정도의 사람들에게서 눈물 생산 증가의 효과를 나타냈다(Michelle Meadows, 2005, FDA Consumer Magazine). 그러나, 발적, 눈의 통증, 이물감, 가려움 등의 부작용을 발생시키며, 고용량으로 장기 사용할 경우에는 암의 발병 위험이 증가한다고 보고되었다(Dantal J., 1998, The Lancet 351 (9103): 623-628). 또한, 플루오로메톨론은 코르티코스테로이드(corticosteroid)로서, 레이저 기반의 굴절 수술 후에 가장 흔히 사용되는 약물이다. 플루오로메톨론-아세테이트 현탁액은 눈꺼풀 및 안구결막(bulbar conjunctiva), 각막 및 안구의 앞쪽에 야기된 스테로이드 반응성 염증 상태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인공 눈물 안약에 의한 눈물의 보충은 일시적인 증상의 개선에 그칠 뿐이며, 인공 눈물에 포함된 보존제 성분에 의하여 불필요한 자극을 느낄 수 있고, 스테로이드 성분이나 혈관수축제성분이 들어있는 염증 치료 안약을 장기적으로 사용할 때에 이들 성분에 의한 안압상승, 녹내장, 백내장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사용에 주의를 요한다. 이에 따라, 천연물을 이용한 안구건조증 치료제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마퀴 베리(Maqui Berry)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치료제(한국 공개특허 10-2015-0109354), 어류 안구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치료용 조성물(한국 등록특허 10-1211969) 등이 개발된 바 있다.
한편, 단풍나무(Acer palmatum Thunb.)는 낙엽 활목 교목으로, 높이는 10m에 달하고, 작은 가지는 털이 없으며 붉은빛을 띤 갈색이고, 잎은 마주나며 손바닥 모양으로 5∼7개로 깊게 갈라진다. 한방에서는 단풍나무의 뿌리껍질과 가지를 소염 작용과 해독 효과의 약재로 사용하는데, 무릎관절염으로 통증이 심할 때 물에 넣고 달여서 복용하고, 골절상을 입었을 때 오가피를 배합해서 사용한다. 그러나, 단풍나무의 안구건조증 치료 효과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었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을 이용한 안구건조증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단풍나무 잎 추출물이 각막 상피세포의 염증 상태를 조절함으로써 안구건조증을 치료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단풍나무(Acer palmatum Thunb.) 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구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단풍나무(Acer palmatum Thunb.) 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단풍나무(Acer palmatum Thunb.) 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단풍나무(Acer palmatum Thunb.) 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단풍나무 잎 추출물은 안구건조증이 유도된 인간 각막 상피세포의 염증을 효과적으로 조절함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추출물은 안구건조증 치료제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용어, "단풍나무"는 Acer palmatum Thunb.의 학명을 갖는 낙엽 활목 교목으로, 수고 10 내지 20m 내외이며 수형이 원형 형태인 식물을 의미한다.
상기 단풍나무의 뿌리, 줄기, 잎, 열매, 꽃 등이 안구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잎이 사용될 수 있으나, 안구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갖는 한,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단풍나무 잎은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거나, 자연에서 채취 또는 재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추출물"은 상기 단풍나무 잎을 추출 처리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단풍나무 잎을 추출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열수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 추출법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종 이상의 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단풍나무 잎을 추출하는데 사용되는 추출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1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 또는 에탄올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에탄올은 10 내지 99%, 더욱 구체적으로 20 내지 50% 에탄올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단풍나무 잎 추출물은 단풍나무 잎 열수 추출물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풍나무 잎 추출물은 단풍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단풍나무 잎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는 일 예로, 단풍나무 잎 분쇄물을 물에 넣고 침적한 후, 진공 추출기를 이용하여 열수 추출 후 동결건조하여 단풍나무 잎 열수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풍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는 일 예로, 단풍나무 잎 분쇄물을 에탄올에 넣고 실온 침적하여 추출한 뒤, 상기 추출물을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단풍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분획물"은 여러 다양한 구성 성분들을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특정 성분 또는 특정 성분 그룹을 분리하기 위하여 분획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 분획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분획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다양한 용매를 처리하여 수행하는 용매 분획법,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수행하는 한외여과 분획법,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를 수행하는 크로마토그래피 분획법, 및 이들의 조합 등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단풍나무 잎을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에 소정의 용매를 처리하여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획물을 얻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 데 사용되는 분획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획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등의 극성 용매; 헥산(Hexan),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클로로포름(Chloroform),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등의 비극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1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추출 후 건조 분말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지만, 이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용어 "안구건조증"은 안구 표면이 손상되어 자극감, 이물감, 건조감 같은 자극증상을 느끼게 되는 눈의 질환을 의미한다. 상기 안구건조증은 눈물샘 또는 마이봄선(Meibomian gland)의 염증 및 각막의 탈신경화에 의하여 눈물 분비가 억제되거나 비정상적인 눈물 증발 등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안구건조증이 심화되어 눈물이 과다 건조되면 각막의 상처로 나타나는 각결막 상피장애가 야기될 수 있다. 현재, 안구건조증의 치료제로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시클로스포린 A(Cyclosporin A), 플루오로메톨론(Fluorometholone) 등이 사용되고 있음에 따라, 안구건조증은 염증의 감소에 인하여 치료 또는 개선의 효과가 달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용어, "예방"은 단풍나무 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안구건조증을 억제시키거나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용어, "치료"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안구건조증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 삼투압 스트레스에 의하여 안구건조증이 유도된 인간 각막 상피세포에 단풍나무 잎 열수 추출물 또는 단풍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각막 상피세포의 사멸 및 형태 변형이 억제되고(도 1, 2, 4, 8, 9 및 10), 세포사멸 단백질의 발현이 억제되고(도 3), 염증 유발 사이토카인인 TNF-α, IL-1β 및 IL-6의 단백질, 및 mRNA 발현량이 현저하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도 5 내지 7, 11 및 12). 이는, 본 발명의 단풍나무 잎 추출물은 안구건조증 치료제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총 조성물의 중량 대비 상기 단풍나무 잎 추출물을 0.000001 내지 8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0.00001 중량% 내지 4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담체는 비자연적 담체(non-naturally occuring carri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은 상기 조성물에 노출되는 세포나 인간에게 독성이 없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담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의 비제한적인 예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 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항산화제, 완충액 및/또는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희석제, 분산제, 계면 활성제, 결합제, 윤활제 등을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 등으로 제제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구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에 따를 수 있다. 상기 투여 방식의 비제한적인 예로, 조성물을 경구 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안구건조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목적하는 투여 방식에 따라 다양한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안구 외용제형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안연고, 점안제, 및 스프레이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제형화 되는 것일 수 있으나, 당업계에서 안구에 투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제형이라면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구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안구건조증, 예방 및 치료의 정의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용어, "투여"는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소정의 물질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용어, "개체"는 안구건조증이 발병하였거나, 발병할 수 있는 인간을 포함한 쥐, 생쥐, 가축 등의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 구체적인 예로,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안구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은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단풍나무 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하며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환자의 성별, 연령, 체중, 건강상태, 질병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방법,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배합 또는 동시에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고형분을 기준으로 1일 0.000001 내지 100 mg/체중 kg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0.0001 내지 100 mg/체중 kg으로 투여할 수 있다. 투여는 상기 권장 투여량을 하루에 한 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구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에서, 상기 조성물을 투여하는 투여 경로 및 투여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해당 부위에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도달할 수 있는 한 임의의 투여 경로 및 투여 방식에 따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으며, 그 투여 경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구강, 직장, 국소, 정맥내, 복강내, 근육내, 동맥내, 경피, 비측내 또는 흡입 등을 통하여 투여되는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단풍나무 잎 추출물이 안구 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는 특성상,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안구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단풍나무(Acer palmatum Thunb.) 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단풍나무, 추출물, 분획물, 안구건조증 및 예방의 정의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용어, "개선"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치료되는 상태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용어, "식품"은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 식품 및 건강 식품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높은 안구건조증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건강 증진 목적으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이란, 특정보건용 식품(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과 동일한 용어로, 영양 공급 외에도 생체조절기능이 효율적으로 나타나도록 가공된 의학, 의료효과가 높은 식품을 의미한다. 여기서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식품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가능하며, 상기 제조시에는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의 제형은 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 없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용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 약품과는 달리 천연물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나므로, 본 발명의 식품은 안구건조증 개선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보조제로 섭취가 가능하다.
상기 건강 식품(health food)은 일반식품에 비해 적극적인 건강유지나 증진 효과를 가지는 식품을 의미하고, 건강보조식품(health supplement food)은 건강보조 목적의 식품을 의미한다. 경우에 따라, 건강 기능 식품, 건강식품, 건강보조식품의 용어는 호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강 기능 식품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 소재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이 없는 장점이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담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어 냄새, 맛, 시각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들 들어, 비타민 A, C, D, E, B1, B2, B6, B12, 니아신(niacin), 비오틴(biotin), 폴레이트(folate), 판토텐산(panthotenic ac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연(Zn), 철(Fe), 칼슘(Ca), 크롬(Cr), 마그네슘(Mg), 망간(Mn), 구리(Cu), 크륨(Cr) 등의 미네랄; 및 라이신, 트립토판, 시스테인, 발린 등의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방부제(소르빈산 칼륨, 벤조산나트륨, 살리실산, 데히드로초산나트륨 등), 살균제(표백분과 고도 표백분, 차아염소산나트륨 등), 산화방지제(부틸히드록시아니졸(BHA), 부틸히드록시톨류엔(BHT) 등), 착색제(타르색소 등), 발색제(아질산 나트륨, 아초산 나트륨 등), 표백제(아황산나트륨), 조미료(MSG 글루타민산나트륨 등), 감미료(둘신, 사이클레메이트, 사카린, 나트륨 등), 향료(바닐린, 락톤류 등), 팽창제(명반, D-주석산수소칼륨 등), 강화제, 유화제, 증점제(호료), 피막제, 검기초제, 거품억제제, 용제, 개량제 등의 식품 첨가물(food additive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물은 식품의 종류에 따라 선별되고 적절한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의 일 예로 건강음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일 수 있다. 감미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100 mL 당 일반적으로 약 0.0001 ~ 0.4 g, 구체적으로 약 0.0002 ~ 0.3 g이 될 수 있다.
상기 외에 건강음료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펙트산의 염, 알긴산, 알긴산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또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또는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001 ~ 0.1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단풍나무(Acer palmatum Thunb.) 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구건조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단풍나무, 추출물, 분획물, 안구건조증, 예방 및 개선의 정의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눈 화장용 제품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눈 화장료 제품류로는 아이브로 펜슬, 아이 라이너, 아이 섀도, 마스카라, 및 아이 메이크업 리무버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단풍나무 잎 추출물은 기존에 안구건조증의 치료제로 알려진 약제와 유사하거나 더 우수한 정도로 안구건조증을 예방, 개선 및 치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물로부터 유래한 것이므로, 안구건조증의 예방, 치료 및 개선에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풍나무 잎 열수 추출물 KIOM-2015W의 세포사멸에 대한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삼투압 스트레스(hyperosmolar stress; HOS)를 가하여 안구건조증을 유도한 인간 각막 상피세포(Human corneal epithelial cell; HCEC)에 상기 KIOM-2015W를 0.05, 0.1 또는 0.2 m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 시클로스포린 A(Cyclosporin A; CsA) 5 ㎍/ml과 플루오로메톨론(Fluorometholone; FML) 10 ㎍/ml을 사용하여 24 시간 동안 배양 후, MTT assay를 통하여 세포 독성 및 세포사멸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도 2는 KIOM-2015W의 세포사멸 억제 효과를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삼투압 스트레스(HOS)를 가하여 안구건조증을 유도한 인간 각막 상피세포(HCEC)에 상기 KIOM-2015W를 0.05, 0.1 또는 0.2 m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 CsA 5 ㎍/ml과 FML 10 ㎍/ml을 사용하였다. 사진은 40x 배율로 촬영하였다.
도 3은 KIOM-2015W의 세포사멸 관련 단백질인 Cleaved caspase-3 및 Cleaved PARP의 발현 억제, 및 세포 생존 관련 단백질인 Bcl-2의 발현 증가 효과를 보여주는 웨스턴 블롯 이미지이다. β-actin은 발현량 비교를 위한 대조군 유전자(loading control)로 사용되었다.
도 4는 KIOM-2015W의 세포사멸 억제 효과를 보여주는 FACS 결과의 이미지로서, 세포사멸 시 일어나는 세포막 투과성의 변화에 대한 반응으로 Annexin V-FIEC와 propidium iodide(PI)의 염색의 정도를 분석하였다.
도 5는 KIOM-2015W의 TNF-α 단백질(a 및 b), IL-1β 단백질(c 및 d) 및 IL-6 단백질(e 및 f) 발현 억제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로서, 각각 3시간의 경미한 삼투압 스트레스 가한 뒤 KIOM-2015W를 24시간 동안 처리, 또는 삼투압 스트레스와 KIOM-2015W를 동시에 24시간 동안 처리한 결과이다. 세 번의 독립적인 실험을 통해 얻은 결과이며, Tukey's test를 통해 확인한 각 결과의 통계적 유의성은 다음과 같이 표시하였다: **p<0.01, ***p<0.001 vs. control; #p<0.05, ##p<0.01, ###p<0.001 vs. HOS.
도 6은 KIOM-2015W의 TNF-α 단백질(a), IL-1β 단백질(b) 및 IL-6 단백질(c) 발현 억제 효과를 보여주는 이미지로서, 초록색을 갖는 각각의 특이적 항체를 이용하여 상기 단백질의 발현 양상을 확인하였다. 스케일바는 100 ㎛를 나타낸다.
도 7은 KIOM-2015W의 TNF-α, IL-1β 및 IL-6 mRNA 발현 억제 효과를 보여주는 이미지(a) 및 그래프(b)로서, b는 상기 a에 나타낸 mRNA 발현량의 밀도를 측정하여 대조군에 대한 비율을 계산한 결과를 보여준다. GAPDH는 발현량 비교를 위한 대조군 유전자(loading control)로 사용되었다. 각 결과의 통계적 유의성은 Student's test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로 나타나는 첨자는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단풍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 KIOM-2015E의 세포사멸 억제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HOS를 가하여 안구건조증을 유도한 HCEC에 상기 KIOM-2015E를 0.05, 0.1 또는 0.2 mg/ml의 농도로, KIOM-2015W를 0.2 mg/ml의 농도로 처리하여 24 시간 동안 배양 후 MTT assay를 통하여 세포 독성 및 세포사멸에 대한 효과를 측정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 CsA 5 ㎍/ml과 FML 10 ㎍/ml을 사용하였다.
도 9는 KIOM-2015E의 세포사멸 억제 효과를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HOS를 가하여 안구건조증을 유도한 HCEC에 상기 KIOM-2015E를 0.05, 0.1 또는 0.2 mg/ml의 농도로 그리고, KIOM-2015W를 0.2 m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 CsA 5 ㎍/ml과 FML 10 ㎍/ml을 사용하였다. 사진은 100x 배율로 촬영하였다.
도 10은 KIOM-2015E의 세포사멸 억제 효과를 보여주는 결과로 세포사멸 시 일어나는 세포막 투과성의 변화에 대한 반응으로 Annexin V-FIEC와 propidium iodide(PI)의 염색의 정도를 분석하였다.
도 11은 TNF-α 단백질(a), IL-1β 단백질(b) 및 IL-6 단백질(c) 발현 억제 효과를 보여주는 이미지로서, 초록색을 갖는 각각의 특이적 항체를 이용하여 상기 단백질의 발현 양상을 확인하였다. 스케일바는 100 ㎛를 나타낸다.
도 12는 KIOM-2015E의 TNF-α, IL-1β 및 IL-6 mRNA 발현 억제 효과를 보여주는 이미지(a) 및 그래프(b)로서, b는 상기 a에 나타낸 mRNA 발현량의 밀도를 측정하여 대조군에 대한 비율을 계산한 결과를 보여준다. GAPDH는 발현량 비교를 위한 대조군 유전자(loading control)로 사용되었다. 각 결과의 통계적 유의성은 Student's test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로 나타나는 첨자는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단풍나무 잎 추출물의 제조
제조예 1-1. 단풍나무 잎 열수 추출물( KIOM -2015W)의 제조
단풍나무 잎 분쇄물 1700g을 물 17ℓ에 넣고 1시간 동안 침적한 후, 경서 초고속 진공 추출기(Gyeongseo Extractor, COSMOS 660, Incheon, Korea)를 이용하여 3시간 동안 열수추출하였다. 그 후, 상기 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단풍나무 잎 열수 추출물 98.77g을 수득하였다.
상기 추출된 단풍나무 잎 추출물을 표준 시험 시브(체)(150 ㎛, Retsch, Han, 독일)를 이용하여 필터링하고, 동결 건조기에서 건조될 때까지 농축하였다. 상기 동결 건조된 단풍나무 잎 추출물 분말(50 ㎎)을 1 ㎖의 증류수에 녹이고, 0.22 ㎛의 디스크 필터를 통해 필터링 한 다음, 사용하기 전까지 -20℃에서 보관하였다.
제조예 1-2. 단풍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 KIOM -2015E)의 제조
단풍나무 잎 분쇄물 1700g을 17ℓ의 25% 에탄올에 넣고 24시간 실온 침적하여 추출하였다. 그 후, 상기 추출물을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단풍나무 잎 25% 에탄올 추출물 78.57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 KIOM -2015W의 인간 각막 세포의 사멸 억제 효과 확인
본 발명의 단풍나무 잎 열수 추출물(KIOM-2015W)의 안구건조증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인간 각막 상피세포(Human corneal epithelial cell; HCEC)에 대한 KIOM-2015W의 세포 보호 효과를 관찰하였다.
실시예 1-1. 인간 각막 상피세포의 독성 및 세포사멸 억제 효과 확인
우선, 안구건조증 in vitro 모델을 제작하였다. HCEC를 성장 배지에 키워 안정화시킨 다음, 450 mOsM의 DMEM/F-12 serum free 배지를 넣어 삼투압 스트레스(hyperosmolar stress; HOS)를 가하였다. 이후, HOS에 의하여 안구건조증을 유발하는 동일한 환경에 노출된 상기 HCEC에 KIOM-2015W를 0.05, 0.1 또는 0.2 mg/ml의 농도로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5 mg/ml 농도의 MTT 시약 100 ㎕를 추가하여 2시간 동안 배양하였고, 상층액을 제거한 뒤 DMSO(dimethyl sulfoxide) 100 ㎕를 넣어 침전물을 용해한 뒤, 흡광도를 570nm에서 측정하였다. 이때, 양성대조군으로 안구건조증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시클로스포린 A(Cyclosporin A; CsA, 한림제약, 티스포린) 5 ㎍/ml과 플루오로메톨론(Fluorometholone; FML, 한림제약 후메론) 10 ㎍/ml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HOS가 가해진 HCEC는 세포의 생존이 현저하게 떨어졌으나, KIOM-2015W가 처리된 HCEC는 HOS에 의한 세포 독성이 증가하지 않았다. 또한, KIOM-2015W가 처리된 세포의 경우는 현재 안구건조증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CsA 또는 FML이 처리된 세포보다 생존능이 오히려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KIOM-2015W는 삼투압 스트레스에 의하여 유도되는 안구건조증과 동일한 환경에서 세포의 독성을 억제하여 세포 보호 및 생존능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2. 인간 각막 상피세포의 형태 변형 억제 효과 확인
HOS에 의하여 안구건조증을 유발하는 동일한 환경에 노출된 상기 HCEC에 KIOM-2015W를 0.05, 0.1 또는 0.2 mg/ml의 농도로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 후 세포의 형태를 관찰하였다. 이때, 양성대조군으로 안구건조증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CsA 5 ㎍/ml와 FML 10 ㎍/ml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HOS가 가해진 HCEC은 전체 세포의 수가 감소하고, 상피세포 형태를 벗어난 세포 모양을 나타내었으며, 응축된 세포의 수가 현저히 증가하는 등의 세포사멸의 전형적인 특징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KIOM-2015W가 처리된 HCEC은 그 수가 증가하고, 상피세포의 형태를 유지함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효과는 KIOM-2015W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KIOM-2015W가 처리된 세포의 형태 및 수는 현재 안구건조증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CsA 또는 FML이 처리된 세포와 유사하거나 오히려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KIOM-2015W는 삼투압 스트레스에 의하여 유도되는 안구건조증과 동일한 환경에서 세포의 사멸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3. 세포사멸 단백질의 발현 억제 효과 확인
KIOM-2015W의 삼투압 스트레스에 의한 HCEC의 세포사멸 억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세포사멸 관련 단백질의 발현양을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포에 삼투 스트레스와 동시에 KIOM-2015W를 0.05, 0.1 또는 0.2 ㎎/ml의 농도로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고, 양성대조군으로는 CsA 5 ㎍/ml과 FML 10 ㎍/ml을 사용하였다.
이후, 상기 세포에서 세포사멸에 관련된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웨스턴블롯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배양이 끝난 세포를 1x PBS로 3회 헹군 후, 용해 버퍼(50 mM HEPES, pH 7.4, 150 mM NaCl, 1% deoxycholate, 1 mM EDTA, 1 mM PMSF, 1 ㎍/ml aprotinin)를 이용하여 용해시켰다. 이후, 상등액을 회수하여 각 샘플에 존재하는 단백질을 정량하였고, 단백질 30 ㎍을 4x sample buffer와 섞어 12% SDS-폴리아크릴아마이드 젤(1.5 M Trisma base, 10% SDS, 30% acrylamide, 10% ammonium persulfate, TEMED) 상에서 전기영동시켰다. 전기영동이 끝난 젤상의 단백질을 NC 멤브레인으로 이동시키고, 각 멤브레인은 항체와 비특이적 결합을 막기 위해 5% 스킴 밀크(skim milk)로 실온에서 1시간 반응시켜 블로킹(blocking)하였다. 세포사멸과 관련된 1차 항체를 4℃에서 하룻밤 동안 반응시켰고, 0.05% Tween이 포함된 TBS로 3회 세척한 후, 2차 항체인 anti-IgG conjugated HRP와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으며, 다시 0.05% Tween이 포함된 TBS로 3회 세척한 후 ECL용액을 이용하여 단백질 발현양을 탐지하였다.
그 결과,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KIOM-2015W를 처리한 경우에는 HOS에 의해 증가한 세포사멸 유도 단백질인 Cleaved caspase-3 및 Cleaved PARP 의 발현이 농도의존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세포생존 단백질인 Bcl-2의 발현은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KIOM-2015W는 세포사멸 유도 단백질들의 발현을 억제시킴과 동시에 세포생존 유도 단백질들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HOS에 의하여 유도된 인간 각막 세포의 사멸을 저해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4. 세포사멸 시 세포막 투과성 변화 억제 효과 확인
KIOM-2015W의 삼투압 스트레스에 의한 HCEC의 세포사멸 억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유세포 분석기(Fluorescence activated cell sorter; FACS)를 통해 세포막 투과성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포에 삼투 스트레스와 동시에 KIOM-2015W를 0.05, 0.1 또는 0.2 ㎎/ml의 농도로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고, 양성대조군으로는 CsA 5 ㎍/ml과 FML 10 ㎍/ml을 사용하였다.
배양이 끝난 세포를 DPBS로 수세하고, Trypsin-EDTA를 처리하여 배양접시에서 분리된 세포를 원심분리하여 모은 뒤, 미리 희석하여 준비한 결합 버퍼(binding buffer) 100 ㎕를 넣고 Annexin V-FITC 5 ㎕ 및 PI 5 ㎕를 넣어 가볍게 섞어 준 뒤, 암조건의 상온에서 15분간 반응시켰다. 이후, 결합버퍼 400 ㎕를 추가하여 유세포 분석기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HOS가 가해진 HCEC는 Annexin V-FITC와 PI의 양성부위에 분포하는 세포의 수가 증가함을 확인함으로써 세포막의 변형이 야기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KIOM-2015W가 처리된 HCEC는 HOS에 의한 세포막의 변화가 억제되어 Annexin V-FITC와 PI와의 반응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KIOM-2015W는 삼투압 스트레스에 의하여 유도되는 안구건조증과 동일한 환경에서 세포사멸을 억제시키는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상기 실시예 1-1 내지 1-4의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단풍나무 잎 열수 추출물 KIOM-2015W는 삼투압 스트레스에 의하여 유도되는 안구건조증과 동일한 환경에서 세포의 사멸을 억제하므로, 안구건조증의 개선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KIOM -2015W의 염증 관련 사이토카인의 발현 억제 효과 확인
안구건조증이 유발되면 IL-2, IL-4, IL-5, IL-6, IL-10, IFN-γ, TNF-α, IL-1β 등의 염증 관련 사이토카인이 과발현된다. 이에 따라, 삼투압 스트레스에 의하여 유도되는 안구건조증과 동일한 환경에서 HCEC에 대한 KIOM-2015W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염증 유발 사이토카인인 TNF-α, IL-1β 및 IL-6의 단백질 또는 mRNA 발현량을 하기 실시예 2-1 내지 2-3을 통해 분석하였다.
실시예 2-1. EILSA를 통한 단백질 발현량 확인
염증 야기 사이토카인인 TNF-α, IL-1β, IL-6 단백질의 발현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효소-연결면역흡수측정검사(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방법으로 HCEC의 안구건조증 in vitro 모델을 제작하였다. 이후, 상기 세포에 3시간의 삼투압 스트레스 가한 뒤, 0.05, 0.1 또는 0.2 ㎎/ml의 농도의 KIOM-2015W를 24시간 동안 처리, 또는 삼투압 스트레스와 KIOM-2015W를 동시에 24시간 동안 처리하여 세포 배양액의 상층액을 회수하였다. 이후, Human TNF ELISA kit II(BD catalog No. 550610), Human IL-1β ELISA kit II(BD catalog No. 557966), Human IL-6 ELISA kit II(BD catalog No. 550799)를 이용하여 세포로부터 분비되어 상기 배양액에 포함된 TNF-α, IL-1β, IL-6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5의 a 및 b에서 볼 수 있듯이, KIOM-2015W를 처리하면 HOS에 의해 증가한 TNF-α의 발현량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0.2 ㎎/ml의 KIOM-2015W를 처리한 경우에는 CsA 또는 FML을 처리한 경우 뿐만아니라, HOS가 처리되지 않는 대조군 세포보다도 TNF-α의 발현량이 더욱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5의 c 및 d에서 볼 수 있듯이, KIOM-2015W를 처리하면 HOS에 의해 증가한 IL-1β의 발현량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KIOM-2015W는 CsA 또는 FML과 유사하거나 더욱 우수한 정도로 IL-1β의 발현량을 더욱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도 5의 e 및 f에서 볼 수 있듯이, KIOM-2015W를 처리하면 HOS에 의해 증가한 IL-6의 발현량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KIOM-2015W는 CsA 또는 FML과 유사하거나 더욱 우수한 정도로 IL-6의 발현량을 더욱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KIOM-2015W는 안구건조증과 동일한 환경이 유도된 HCEC의 TNF-α, IL-1β, IL-6 단백질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염증을 개선하므로, 안구건조증의 개선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2. 면역염색을 통한 단백질 발현량 확인
염증 야기 사이토카인인 TNF-α, IL-1β, IL-6의 세포 내 단백질 발현 양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TNF-α, IL-1β, IL-6 특이적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염색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HCEC에 HOS와 KIOM-2015W를 0.05, 0.1 또는 0.2 ㎎/ml의 농도로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 후, TNF-α, IL-1β, IL-6 특이적 항체(초록색)를 이용하여 세포를 반응시켰으며, 형광현미경으로 염색 양상을 확인함으로써 세포 내 TNF-α, IL-1β, IL-6 발현 양상을 확인하였다. 일정 수의 HCEC를 배양 접시에 접종하여 하룻동안 안정화 시킨 다음, HOS를 처리함과 동시에, KIOM-2015W를 0.05, 0.1 또는 0.2 ㎎/ml의 농도로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수확하였다. 수확한 세포를 4% 파라포름알데히드(paraformaldehyde)로 고정하고 이어서 항체가 세포막을 잘 투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0.3% Triton X-100/TBS로 10분간 반응시킨 다음 항체의 비특이적 결합을 방지하기 위해 blocking buffer(5% BSA, 5% normal goat serum을 함유한 TBS)를 첨가하여 1시간 동안 코팅하였다. 이어서 1차 항체인 TNF-α를 상온에서 1시간 반응 시키고 제거한 후, 2차 항체인 Alexa Fluor 488 goat anti-mouse IgG와 상온에서 1시간 추가 반응하였다. DAPI로 핵 염색 10분간 수행하고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이미지화 하였다.
그 결과, 도 6의 a 내지 c에서 볼 수 있듯이, KIOM-2015W를 처리한 경우에는 HOS에 의해 증가한 TNF-α, IL-1β 및 IL-6의 발현량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KIOM-2015W의 효과는 CsA 또는 FML과 유사하거나 더욱 우수할 뿐만 아니라, HOS가 처리되지 않는 대조군 세포와 비슷한 수준으로 상기 단백질의 발현량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KIOM-2015W는 안구건조증과 동일한 환경이 유도된 HCEC의 TNF-α, IL-1β, IL-6 단백질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염증을 개선하므로, 안구건조증의 개선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3. PCR을 통한 mRNA 발현량 확인
염증 야기 사이토카인인 TNF-α, IL-1β 및 IL-6 mRNA의 발현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HCEC에 HOS와 KIOM-2015W를 0.05, 0.1 또는 0.2 ㎎/ml의 농도로 처리하여 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상기 세포의 mRNA 발현 정도를 PCR을 통해 관찰하였다. PCR을 수행하기 위하여, KIOM-2015W를 처리한 이후 수확한 세포에서 TRIzol Reagent, 클로로포름(Chloroform),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을 이용하여 mRNA를 추출하였고, AccuPower® CycleScript RT PreMix (dT20) (BIONEER)를 사용하여 30℃에서 30초, 48℃에서 4분, 55℃에서 30초의 반응을 12번 반복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cDNA는 하기 표 1에 명시된 프라이머 서열을 사용하였고, 95℃에서 2분, 95℃에서 20초, 각 Tm 온도에서 30초, 72℃에서 30초, 72℃에서 5분의 조건으로 2x PCR Master Mix를 사용하여 PCR 결과를 도출하였다.
Primers
구분 Name Sequence Tm(℃) Cycles
서열번호 1 TNF-α F: 5'-gcggtgcttgttcctcag-3' 58 40
서열번호 2 R: 5'-ctggcaggggctcttgat-3'
서열번호 3 IL-1β F: 5'-tcagcacctctcaagcagaa-3' 58 30
서열번호 4 R: 5'-atcagaatgtgggagcgaatg-3'
서열번호 5 IL-6 F: 5'-caatctggattcaatgaggagactt-3' 58 30
서열번호 6 R: 5'-ccattaacaacaacaatctgaggtg-3'
서열번호 7 GAPDH F: 5'-gaaggtgaaggtcggagt-3' 56 35
서열번호 8 R: 5'-gaagatggtgatgggatttc-3'
그 결과,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KIOM-2015W를 처리한 경우에는 TNF-α, IL-1β 및 IL-6 모두 mRNA의 발현량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하였고, 0.2 ㎎/ml의 KIOM-2015W를 처리한 경우에는 HOS가 처리되지 않는 대조군 세포와 유사하거나 더 우수한 정도로 상기 사이토카인들의 mRNA 발현량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KIOM-2015W는 안구건조증과 동일한 환경이 유도된 HCEC의 TNF-α, IL-1β 및 IL-6 mRNA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염증을 개선하므로, 안구건조증의 개선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KIOM-2015E의 인간 각막 세포의 사멸 억제 효과 확인
본 발명의 단풍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KIOM-2015E)의 안구건조증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인간 각막 상피세포(Human corneal epithelial cell; HCEC)에 대한 KIOM-2015E의 세포 보호 효과 관찰하였다.
실시예 3-1. 인간 각막 상피세포의 독성 억제 및 생존능 증가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1에 따른 방법으로 HOS에 의하여 안구건조증을 유발하는 동일한 환경에 노출된 HCEC를 제작하였다. 상기 HCEC에 HOS를 처리함과 동시에, KIOM-2015E를 0.05, 0.1 또는 0.2 ㎎/ml의 농도로, KIOM-2015W를 0.2 ㎎/ml의 농도로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MTT assay를 통해 배양된 세포의 생존능을 관찰하였다. 이때, 양성대조군으로 안구건조증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CsA 5 ㎍/ml과 FML 10 ㎍/ml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8에서 볼 수 있듯이, HOS가 가해진 HCEC는 생존능이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나, KIOM-2015E가 처리된 HCEC는 HOS에 의한 세포 독성이 증가하지 않았다. 또한, KIOM-2015E가 처리된 세포의 경우는 현재 안구건조증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CsA 또는 FML이 처리된 세포보다 생존능이 오히려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KIOM-2015E는 삼투압 스트레스에 의하여 유도되는 안구건조증과 동일한 환경에서 세포의 독성을 억제하여 세포 보호 및 생존능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2. 인간 각막 상피세포의 형태 변형 억제 효과 확인
HOS에 의하여 안구건조증을 유발하는 동일한 환경에 노출된 상기 HCEC에 KIOM-2015E를 0.05, 0.1 또는 0.2 mg/ml의 농도로, KIOM-2015W 0.2 mg/ml의 농도로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 후 세포의 형태를 관찰하였다. 이때, 양성대조군으로 안구건조증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CsA 5 ㎍/ml과 FML 10 ㎍/ml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9에서 볼 수 있듯이, HOS가 가해진 HCEC은 전체 세포의 수가 감소하고, 상피세포 형태를 벗어난 세포 모양을 나타내었으며, 응축된 세포의 수가 현저히 증가하는 등의 세포사멸의 전형적인 특징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KIOM-2015E가 처리된 HCEC은 그 수가 증가하고, 상피세포의 형태를 유지함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효과는 KIOM-2015E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KIOM-2015E가 처리된 세포의 형태 및 수는 현재 안구건조증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CsA 또는 FML이 처리된 세포와 유사하거나 오히려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KIOM-2015E는 삼투압 스트레스에 의하여 유도되는 안구건조증과 동일한 환경에서 세포의 사멸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3. 세포사멸 시 세포막 투과성 변화 억제 효과 확인
KIOM-2015E의 삼투압 스트레스에 의한 HCEC의 세포사멸 억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FACS를 통해 세포막 투과성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포에 삼투 스트레스와 동시에 KIOM-2015E를 0.05, 0.1 또는 0.2 ㎎/ml의 농도로, KIOM-2015W를 0.2 ㎎/ml의 농도로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고, 양성대조군으로는 CsA 5 ㎍/ml과 FML 10 ㎍/ml을 사용하였다. 이후, 상기 실시예 1-4에 따른 방법으로 상기 세포에서 세포사멸에 관련된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10에서 볼 수 있듯이, HCEC는 Annexin V-FITC와 PI의 양성부위에 분포하는 세포의 수가 증가함을 확인함으로써 세포막의 변형이 야기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KIOM-2015E가 처리된 HCEC는 HOS에 의한 세포막의 변화가 억제되어 Annexin V-FITC와 PI와의 반응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KIOM-2015E는 삼투압 스트레스에 의하여 유도되는 안구건조증과 동일한 환경에서 세포사멸을 억제시키는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상기 실시예 3-1 내지 3-3의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KIOM-2015E는 삼투압 스트레스에 의하여 유도되는 안구건조증과 동일한 환경에서 세포의 사멸을 억제하므로, 안구건조증의 개선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KIOM-2015E의 염증 관련 사이토카인의 발현 억제 효과 확인
안구건조증이 유발되면 IL-2, IL-4, IL-5, IL-6, IL-10, IFN-γ, TNF-α, IL-1β 등의 염증 관련 사이토카인이 과발현 된다. 이에 따라, 삼투압 스트레스에 의하여 유도되는 안구건조증과 동일한 환경에서 HCEC에 대한 KIOM-2015E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염증 유발 사이토카인인 TNF-α, IL-1β 및 IL-6의 단백질 또는 mRNA 발현량을 하기 실시예 4-1 및 4-2를 통해 분석하였다.
실시예 4-1. 면역염색을 통한 단백질 발현량 확인
염증 야기 사이토카인인 TNF-α, IL-1β, IL-6의 세포 내 단백질 발현 양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TNF-α, IL-1β, IL-6 특이적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염색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HCEC에 HOS를 처리함과 동시에, KIOM-2015E를 0.05, 0.1 또는 0.2 ㎎/ml의 농도로, KIOM-2015W를 0.2 ㎎/ml의 농도로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상기 실시예 2-2에 따른 방법으로 TNF-α, IL-1β, IL-6 특이적 항체(초록색)를 이용하여 세포를 반응시켰으며, 형광현미경으로 염색 양상을 확인함으로써 세포 내 TNF-α, IL-1β, IL-6 발현 양상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11의 a 내지 c에서 볼 수 있듯이, KIOM-2015E를 처리한 경우에는 HOS에 의해 증가한 TNF-α, IL-1β 및 IL-6의 발현량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KIOM-2015E의 효과는 CsA 또는 FML과 유사하거나 더욱 우수할 뿐만 아니라, HOS가 처리되지 않는 대조군 세포와 비슷한 수준으로 상기 단백질의 발현량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KIOM-2015E는 안구건조증과 동일한 환경이 유도된 HCEC의 TNF-α, IL-1β, IL-6 단백질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염증을 개선하므로, 안구건조증의 개선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2. PCR을 통한 mRNA 발현량 확인
염증 야기 사이토카인인 TNF-α, IL-1β 및 IL-6 mRNA의 발현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HCEC에 HOS를 처리함과 동시에, KIOM-2015E를 0.05, 0.1 또는 0.2 ㎎/ml의 농도로, KIOM-2015W를 0.2 ㎎/ml의 농도로 처리하여 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상기 실시예 2-3의 방법에 따라 상기 세포의 mRNA 발현 정도를 관찰하였다. 이때, 양성대조군으로는 CsA 5 ㎍/ml과 FML 10 ㎍/ml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12에서 볼 수 있듯이, KIOM-2015E를 처리한 경우에는 TNF-α, IL-1β 및 IL-6 모두 mRNA의 발현량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하였고, 0.2 ㎎/ml의 KIOM-2015E를 처리한 경우에는 HOS가 처리되지 않는 대조군 세포와 유사하거나 더 우수한 정도로 상기 사이토카인들의 mRNA 발현량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KIOM-2015E는 안구건조증과 동일한 환경이 유도된 HCEC의 TNF-α, IL-1β 및 IL-6 mRNA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염증을 개선하므로, 안구건조증의 개선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120> Compositions for preventing or treating dry eye syndrome comprising extract of maple leaves or fraction thereof <130> KPA160215-KR <160> 8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TNF-alpha <400> 1 gcggtgcttg ttcctcag 18 <210> 2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TNF-alpha <400> 2 ctggcagggg ctcttgat 18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IL-1beta <400> 3 tcagcacctc tcaagcagaa 20 <210> 4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IL-1beta <400> 4 atcagaatgt gggagcgaat g 21 <210> 5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IL-6 <400> 5 caatctggat tcaatgagga gactt 25 <210> 6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IL-6 <400> 6 ccattaacaa caacaatctg aggtg 25 <210> 7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GAPDH <400> 7 gaaggtgaag gtcggagt 18 <210> 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GAPDH <400> 8 gaagatggtg atgggatttc 20

Claims (10)

  1. 단풍나무(Acer palmatum Thunb.) 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풍나무 잎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단풍나무 잎 추출물을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헥산(Hexane),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클로로포름(Chloroform),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분획하여 제조한 것인,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풍나무 잎 추출물은 단풍나무 잎 열수 추출물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풍나무 잎 추출물은 단풍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단풍나무 잎 추출물을 총 조성물의 중량 대비 0.000001 내지 8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안구 외용제형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구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9. 단풍나무(Acer palmatum Thunb.) 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구건조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0. 삭제
KR1020160048403A 2016-04-20 2016-04-20 단풍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62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403A KR101762797B1 (ko) 2016-04-20 2016-04-20 단풍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CT/KR2017/004239 WO2017183924A1 (ko) 2016-04-20 2017-04-20 단풍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403A KR101762797B1 (ko) 2016-04-20 2016-04-20 단풍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2797B1 true KR101762797B1 (ko) 2017-07-31

Family

ID=59419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8403A KR101762797B1 (ko) 2016-04-20 2016-04-20 단풍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62797B1 (ko)
WO (1) WO201718392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9301B1 (ko) * 2018-01-29 2018-04-16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구 건조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106009A1 (ko) * 2016-12-07 2018-06-14 한국한의학연구원 단풍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안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190014A1 (ko) * 2018-03-27 2019-10-03 제주동백 주식회사 동백꽃 추출물 분말 함유 식품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3068A (ja) 2001-08-02 2003-04-18 Maruzen Pharmaceut Co Ltd 皮膚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35015A4 (en) * 2006-05-01 2009-11-11 Riolan Technologies Inc COMPOSITIONS, METHODS AND KITS FOR DRY EYE TREATMENT
KR101089779B1 (ko) * 2011-04-29 2011-12-07 주식회사 청진바이오텍 정제봉독, 단풍나무 추출물 및 작살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천연 화장료 조성물
KR101211969B1 (ko) * 2012-06-14 2012-12-12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어류 안구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치료용 조성물
CA2895353C (en) * 2012-12-18 2019-10-01 Oryza Oil & Fat Chemical Co.,Ltd. Prophylactic/therapeutic agent for dry eye
KR101484948B1 (ko) * 2013-08-08 2015-01-2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돌단풍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알러지용 조성물
KR101662720B1 (ko) * 2015-07-08 2016-10-07 한국 한의학 연구원 각막질환 또는 결막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3068A (ja) 2001-08-02 2003-04-18 Maruzen Pharmaceut Co Ltd 皮膚化粧料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06009A1 (ko) * 2016-12-07 2018-06-14 한국한의학연구원 단풍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안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49301B1 (ko) * 2018-01-29 2018-04-16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구 건조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146881A1 (ko) * 2018-01-29 2019-08-0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식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구 건조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21517557A (ja) * 2018-01-29 2021-07-26 全北大学校産学協力団Industrial Cooperation Found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アオキ抽出物を含む眼球乾燥症の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JP7087088B2 (ja) 2018-01-29 2022-06-20 全北大学校産学協力団 アオキ抽出物を含む眼球乾燥症の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US11938162B2 (en) 2018-01-29 2024-03-26 Industrial Cooperation Found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ry eye syndrome, containing Aucuba japonica extract
WO2019190014A1 (ko) * 2018-03-27 2019-10-03 제주동백 주식회사 동백꽃 추출물 분말 함유 식품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83924A1 (ko) 2017-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9301B1 (ko) 식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구 건조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62797B1 (ko) 단풍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162654A (ko) 노각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시력 보호용 또는 망막 질환의 개선 및 예방용 조성물
US20210346455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purple corn extract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skin disease
KR20180007834A (ko) 인삼 꽃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세포 재생용 조성물
KR102209663B1 (ko) 조팝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114629A (ko) 인삼 꽃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180065933A (ko) 단풍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안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07605B1 (ko) 천선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7382032B2 (ja) ヘビ毒を含む関節リウマチの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KR102087271B1 (ko) 신규한 디하이드로-2&#39;H,3H-스피로[퓨란-2,3&#39;-퓨로[3,2-b]퓨란]-2&#39;,5(3a&#39;H,4H,5&#39;H)-디온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염증성 안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340531B1 (ko) Agkistrodon piscivorous piscivorous로부터 유래된 뱀독을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43245B1 (ko) 감국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136039A (ko) 호장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681980B1 (ko) Colona auricaulata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38860B1 (ko) 단풍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압 저하용 조성물
KR101838142B1 (ko) 쥐눈이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각막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91593A (ko) 심비디움(cymbidium) 추출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 질환 또는 접촉성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2209664B1 (ko) 회잎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15977B1 (ko) (7S,8R)-디히드로디히드로디코니페릴 알콜-9-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를 포함하는 염증성 안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62843B1 (ko) 개암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1541163A1 (en) Hair growth stimulants for oral use
KR102340534B1 (ko) Naja melanoleuca로부터 유래된 뱀독을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63623B1 (ko) 지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눈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06612A (ko)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당조절,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