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4093B1 - 알러지 유발 물질을 저감시킨 정제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알러지 유발 물질을 저감시킨 정제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4093B1
KR101734093B1 KR1020160048429A KR20160048429A KR101734093B1 KR 101734093 B1 KR101734093 B1 KR 101734093B1 KR 1020160048429 A KR1020160048429 A KR 1020160048429A KR 20160048429 A KR20160048429 A KR 20160048429A KR 101734093 B1 KR101734093 B1 KR 101734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 venom
weight
present
purified
ebv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8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2094A (ko
Inventor
신준식
이진호
Original Assignee
신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준식 filed Critical 신준식
Priority to KR1020160048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4093B1/ko
Publication of KR20160122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2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4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4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Insects, e.g. bees, wasps or fleas
    • A61K35/644Beeswax; Propolis; Royal jelly; Hon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61K9/0021Intradermal administration, e.g. through microneedle arrays, needleless inj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러지 성분을 제거하는 정제 봉독 제조 방법 및 상기 정제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정제 봉독은 알러지 물질인 포스포리파제 A2(Phospholipase A2;PLA2) 및 히스타민(histamine)이 제거되어 부작용(통증, 부종, 가려움증, 발진 등)이 적어짐과 동시에 유효물질인 멜리틴(melittin)의 함량이 높아져 기존의 봉독보다 항염증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정제 봉독을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알러지 유발 물질을 저감시킨 정제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 containing the purified bee venom which was reduced allergen, as a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알러지 유발 물질을 저감시킨 정제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증(inflammation)이란 외부 감염원(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 다양한 종류의 알레르기 유발물질)의 침입에 의하여 형성되는 농양의 병리적 상태를 뜻한다. 구체적으로, 외부 세균이 특정 조직에 침입하여 증식을 하게 되면 생체의 백혈구가 이를 인지하여 증식된 외부 세균을 활발히 공격하게 되는데, 이 과정 중 발생되는 백혈구의 사해가 균에 의하여 침입받은 조직에 축적됨과 동시에 백혈구에 의하여 사멸된 침입균의 세포 파괴물이 침입받은 조직 내로 융해되어 농양이 형성된다. 염증에 의한 농양의 치료는 소염작용을 통하여 촉진될 수 있는데, 소염작용이란 항균제를 이용하여 침입균의 증식을 억제하거나 농양 중에 축적된 이물질들을 탐식하는 대식세포(macrophage)를 활성화하여 상기 이물질들을 소화 및 배설하는 대식세포의 기능을 항진시키는 등의 염증치료 촉진작용이다.
일반적으로 염증 반응은 생체의 세포나 조직에 어떠한 기질적 변화를 가져오는 침습이 가해질 때 그 손상부위를 수복 재생하려고 하는 생체의 방어 반응과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일련의 반응에는 국소의 혈관, 체액의 각종 조직세포, 면역관여 세포 등이 포함된다고 한다. 최근 분자생물학의 발달과 더불어 염증성 질환이 사이토카인(cytokine)이라는 분자 수준에서의 이해가 시도되고 있으며, 이러한 질환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도 하나씩 규명되고 있다.
염증을 유도하는 사이토카인과 매개체들은 핵의 요소에 의해 조절된다. 그 예로 NF-κB(nuclear factor-kappaB)는 Rel 유전자계(Rel gene family)의 핵단백질로서 7가지가 있고, 세포질에서는 IκB(inhibitory kappa B)와 결합되어 불활성인 형태로 존재하나, 유해산소(reactive oxygen), TNF-α(tumor necrosis factor-alpha)과 같은 케모카인(chemokines) 및 리포폴리사카라이드(lipopolysaccharide;LPS)와 같은 다양한 자극에 의해 IκB 키나제가 활성화된 후 인산화 과정을 통해 IκB가 떨어져 나가게 된다. p50과 p65의 헤테로다이머(heterodimer)로 구성된 NF-κB는 활성화된 후, 핵으로 이동하여 염증반응을 유도하는 유전자(종양괴사인자나 사이클로옥사이드 합성효소) 발현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Oh GT et al., Artherosclerosis, 159(1):17-26, 2001; Epstein FH et al.,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36(15):1066-1071, 1997; Zhang WJ et al., FASEB J, 15(130):2423-2431, 2001; Denk A et al., J. Biol. Chem., 276(30):28451-28458, 2001; Sahnoun Z et al., Phsiology, 53(4):315-339, 1998; Lindner V Pathobiology, 66(6):311-320, 1998; Landry DB et al., Am. J. Pathol., 151(4):1085-1095, 1997; ; Gerritsen ME et al., Am. J. Pathol.,147(2):p278-292, 1995).
나이트릭 옥사이드(Nitric oxide; NO)는 나이트릭 옥사이드 합성효소(NOS)에 의해 L-아르기닌(L-arginine)이 산화되어 생성되는데, 염증과정의 매개체로서 병원성 DNA를 손상시키는 방어작용을 함으로써 항상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Kou and Schroder, Annuals of Surgery 221, 220-235, 1995). 나이트릭 옥사이드 합성효소중에서 유도성 나이트릭옥사이드 합성효소(iNOS;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는 세포내에서 나이트릭 옥사이드의 과생산에 아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프로스타글란딘 E2(PGE2)와 류코트리엔(Leukotriene) 또한, 아라키도닉산(arachidonic acid)으로부터 생성되는 염증 매개체로서 특히, PGE2는 사이클로옥사이드 합성 효소(COX-2; cyclooxygenase-2 enzyme)에 의해 생성되며 주로 대식세포와 단핵구세포에서 많이 생성되는데, 대식세포는 리보폴리사카라이드와 같은 염증성 제제에 의해 빠르게 유도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염증유발을 위해 동물모델에서 사용되는 물질들은 adjuvant, collagen II, carrageenan 등이 있는데, 해조류의 일종인 Chondrus cripus에서 추출한 carrageenan은 면역반응 억제 외에도 급성 염증 및 만성염증유발, DIC유발, 종양의 성장 촉진, Hageman factor와 kinin의 활성화, 보체의 불활성화 등 다양한 생물학적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han WY et al., J. Pharmacol. Exptl. Therap., 147: 48, 1965).
지금껏 인류가 개발한 약제 중 가장 강력한 항염작용을 지니고 있는 약제는 스테로이드 제제이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사용할 때 반드시 부작용을 수반하게 된다. 따라서 염증 치료에 있어 스테로이드제는 처음 사용할 때 놀라울 정도의 효과를 발휘하여 증상을 완전 소실시켜버리지만 이는 잠시일 뿐이고, 증상은 스테로이드 사용을 중지함과 함께 다시 나타나며 반복사용하면 증상은 더욱 심해져 간다. 스테로이드제의 부작용으로는 둥근 다혈성의 얼굴, 체액의 저류, 부신억제, 감염에 대한 감수성의 증가와 기타 정신병, 백내장, 녹내장, 소화성 궤양, 창상치유지연, 초기 감염의 재활성화 등의 많은 부작용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천연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의약품이나, 별도의 정제 과정 없이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으며 염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용이하게 식품에 이용할 수 있는 물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 예로 일본 히로사키대 및 오사카대 연구진은 아토피성 피부염이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유전자군을 조절하는 단백질의 하나인 NF-κB가 면역세포의 특정 유전자와 결합하여 염증성 물질을 만들어 발현된다는 것에 착안하여 NF-κB가 결합하는 유전자와 유사한 인공 DNA를 투여하여 인공 DNA와 NF-κB를 결합시켜 NF-κB의 작용을 억제하게 한 아토피성 치료제를 개발하여 임상에서 유효성을 확인한 바 있다. 그리고 스위스 노타비스사는 아스코마이신의 유도제 일종으로, 염증을 유발하는 사이토카인의 방출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기전을 가진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제인 Pimecrolimus 성분의 "엘리델"을 개발하여 시판하고 있다. 또한, 영남대 약대 장현욱 교수 연구팀은 삼백초와 가죽나무의 추출물이 천식과 알레르기 치료에 효과가 있고, 한국파마에 기술 선급료 1억 5000만원, 경상실시료 매출액의 4%로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하였다(약사공론 2006년 1월 22일 기사자료). 또한, 지금까지 알레르기 질환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다양한 종류의 사이토카인 및 케모카인에 대한 항체를 이용한 알레르기 질환 치료제로써 천연물 추출물을 이용한 알레르기 치료제, 항염증 질환 치료제 개발 등이 이루어져 왔다.
봉독(蜂毒, Bee Venom)은 꿀벌(Apis mellifera)의 산란관에서 나오는 독액으로, 비중이 1.3이고 pH가 5.2이며 쓴맛이 있고 약한 방향성을 가진다. 봉독의 75%는 단백질이며 기타 성분으로는 칼륨 나트륨, 마그네슘, 인, 알라닌, 발린, 아르기닌, 트립토판, 메티오닌, 히스티딘 등 다양한 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봉독은 NO, PGE2, TNF-α 등이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과정을 차단하고 염증성 유전자가 발현되는 과정을 차단하여 소염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신경통, 류머티즘, 요통의 효과가 있다(Dong Ju Son, et al., Pharmacol. Therapeutics, 115, pp.246-270, 2007). 이뿐만 아니라 돼지나 어린 송아지의 호흡기 질환과 설사예방에도 효과가 크며, 성장 후 산유량 증가 및 항생작용으로 효과를 보고 있다. 기존 사용하던 항생제는 잔류하여 문제가 야기 되었지만 봉독을 사용할 경우 안전한 축산물 생산이 가능할 뿐 아니라 사료 효율 개선과 방역비 등 가축 질병관리 비용까지 절감할 수 있어 1석 2조의 효과가 있다.
봉독을 실온에서 증발시키면 약 30%의 건조물이 남으며, 약 75%는 단백질로 그 성분은 멜리틴(melittin), 아파민(apamin), 포스포리파제(phospholipase), 아돌라핀(adolapine), 히알우로니다제(hyaluronidase), 히스티딘(histidine) 및 히스타민(histamine) 등 다양한 물질이 함유되어 있다(Meier J, et al., CRC Press, Inc., 1995). 이들은 봉독의 항균, 항염, 진통, 항암, 단순포진, 다발성경화증, 종양, 해열과 ACTH 분비촉진 등에 작용기전이 된다(An et al., 2006; Kim et al., 2006; Kwon et al., 2007; Kim et al., 2009). 이러한 성분 중에서 멜리틴은 건조 봉독의 약 50%를 차지하는 주성분으로 진통 소염작용이 매우 우수하다.
예로부터 민간에서는 벌침요법 혹은 봉침요법이라 하여 이미 오래 전부터 살아있는 벌을 환부나 경혈에 자극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을 사용해 왔으며, 현재에도 상당수의 양봉가가 시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벌을 그대로 잡아 경혈에 사용하는 직침법의 경우 시술 상황에서 벌의 움직임에 의해 정확한 취혈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러한 방법은 계절이나 벌의 일령에 따라 지니고 있는 독의 함량 변화가 많아 자극량의 정량적 객관화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살아 있는 꿀벌의 독낭 안에 들어 있는 봉독을 전기 자극 등으로 추출하여 건조한 후 정제 가공한 다음, 이를 질병과 유관한 부위 및 경혈에 주입함으로써 자침의 효과와 벌의 독이 지니고 있는 생화학적 약리 작용을 질병의 치료에 이용하는 봉약침 요법이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봉약침 요법의 약리작용은 소염작용, 진통작용, 면역계의 조절작용, 혈액순환 촉진작용, 항암작용 등이 있어서 임상적으로 요추간판탈출증, 근위축증, 류마티스 관절염, 슬관절염 등에 유효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치료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형태의 알러지 반응은 시술자나 환자에게 있어서 부담으로 작용하며, 특히 봉독에 대한 과민성을 지닌 경우에 발생하는 전신즉시형 반응인 과민성 쇼크(anaphylactic shock)는 봉약침 시술에서 가장 큰 장애가 되고 있다. 봉독의 알러지 반응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효소들로서, 특히 포스포리파제 A2(Phospholipase A2;PLA2)가 주요 알러지 유발 효소로 알려져 있다. 특히 PLA2는 효소성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물질로, 봉독에 민감한 사람들의 90% 정도에서 이에 대한 IgE 항체가 발견된다. 또한, 봉독 정제물을 임상에서 사용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알러지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방법이 연구 개발 중에 있으나, 봉독에서 멜리틴은 건물량 기준으로 약 40~50% 함유되어 있으며, PLA는 약 10~12% 함유되어 있어, 봉독으로부터 멜리틴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PLA가 함유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봉독에 의한 알러지 반응은 항원항체 반응으로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는 성분이 바로 히스타민(histamine)이다. 히스타민(Histamine)은 C5H9N3의 화학식을 가진 저분자 물질로 음식 등을 통한 섭취에 의해 인체에 두드러기 등의 알러지 반응을 일으키기도 하고, 항원의 자극에 의해 호염구(basophils)나 비만세포(mast cell)의 활성화에 의해 체내에서 히스타민이 유리되어 알러지를 유발하기도 한다. 특히 과민반응은 세포 표면의 IgE와 결합하여 과민반응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알러지를 유발하는 고분자 물질 포스포리파아제 A2 뿐만 아니라 히스타민을 포함한 분자량 2,000 이하의 저분자 물질을 제거함으로써 기존의 정제 봉독 보다 부작용이 적어짐을 확인하였으며 동시에 봉독의 유효물질의 함량이 높아져 항염증 효과가 더욱 높아진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알러지 유발 물질을 저감시킨 정제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봉독을 증류수에 혼합한 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2 kDa 이하의 분자량을 갖는 저분자 물질을 제거한 정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2) 상기 단계 1)에서 수득한 정제물을 10 kDa 분자량 이하를 여과할 수 있는 필터를 이용하여 고분자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알러지 증상이 감소된 정제 봉독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정제 봉독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정제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정제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주사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알러지 성분을 제거하는 정제 봉독 제조 방법 및 상기 정제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정제 봉독은 알러지 물질인 포스포리파제 A2(Phospholipase A2;PLA2) 및 히스타민(histamine)이 제거되어 부작용(통증, 부종, 가려움증, 발진 등)이 적어짐과 동시에 유효물질인 멜리틴(melittin)의 함량이 높아져 기존의 봉독보다 항염증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정제 봉독을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봉독(Bee Venom) 성분의 분자량(Da)별 분리 및 조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정제 봉독(eBV)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도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정제 전 봉독 및 본 발명의 정제 봉독의 히스타민(histamine) 및 멜리틴(melittin)의 함량을 HPLC로 분석한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정제 봉독(eBV) 및 일반 봉독(BV; 고분자 물질만 제거된 봉독)의 LPS로 유도된 마우스 대식세포에서 산화질소(NO) 억제 활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정제 봉독(eBV) 및 일반 봉독(BV; 고분자 물질만 제거된 봉독)의 LPS로 유도된 마우스 대식세포에서 프로스타글란딘 E2(Prostaglandin E2) 및 사이토가인(TNF-α)의 억제 활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정제 봉독(eBV) 및 일반 봉독(BV; 고분자 물질만 제거된 봉독)의 봉침 시술 부위의 통증을 시간에 따른 시각척도(VAS; visual analog scale)로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정제 봉독(eBV) 및 일반 봉독(BV; 고분자 물질만 제거된 봉독)의 봉침 시술 부위의 부종을 시간에 따른 시각척도(VAS; visual analog scale)로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정제 봉독(eBV) 및 일반 봉독(BV; 고분자 물질만 제거된 봉독)의 봉침 시술 부위의 소양감(가려움증)을 시간에 따른 시각척도(VAS; visual analog scale)로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정제 봉독(eBV) 및 일반 봉독(BV; 고분자 물질만 제거된 봉독)의 봉침 시술 부위의 발진 크기를 시간에 따라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정제 봉독(eBV) 및 일반 봉독(BV; 고분자 물질만 제거된 봉독)의 봉침 시술 부위의 발적 크기를 시간에 따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염증"이란 외부 감염원(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 다양한 종류의 알레르기 유발물질)의 침입에 의하여 형성되는 농양의 병리적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알레르기"는 어떤 외래성 물질과 접한 생체가 그 물질에 대하여 정상과는 다른 반응을 나타내는 현상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염증성 질환을 억제시키거나 진행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 및 "개선"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염증성 질환의 증상이 호전 또는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 소정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체"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여 염증성 질환의 증상이 호전될 수 있는 질환을 가진 인간, 원숭이, 개, 염소, 돼지 또는 쥐 등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 또는 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이는 개체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비율, 치료기간, 동시에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1) 봉독을 증류수에 혼합한 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2 kDa 이하의 분자량을 갖는 저분자 물질을 제거한 정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2) 상기 단계 1)에서 수득한 정제물을 10 kDa 분자량 이하를 여과할 수 있는 필터를 이용하여 고분자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알러지 증상이 감소된 정제 봉독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계 1)의 봉독은 액상이거나, 통상의 동결건조 방법으로 동결건조되어 분말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단계 1)의 컬럼은 세파덱스 25(sephadex 25) 컬럼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단계 1)의 저분자 물질은 히스타민(histamine), 프로가민(procamine) A, B 또는 도파민(dopamine)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단계 2)의 고분자 물질은 포스포리파제 A2(Phospholipase A2;PLA2), 히알루로니다아제(Hyaluronidase), 리소포스포리파아제(Lysophospholipase), α-D-글루코시다아제(α-D-glucosidase) 또는 아돌라핀(Adolapin)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제 봉독은 정제 과정에 의해 멜리틴(melittin) 성분이 유실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제 봉독은 2 내지 10 kDa의 분자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프로테아제 억제제(Protease inhibitor), MCD 펩티드(MCD peptide), 세카핀(Secapin), 멜리틴(Melittin), 델티아핀(Tertiapin) 및 아파민(Apamine)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프로테아제 억제제(Protease inhibitor)는 0.5 내지 1.0 중량%, MCD 펩티드(MCD peptide)는 1 내지 3 중량%, 세카핀(Secapin)은 0.1 내지 1.0 중량%, 멜리틴(Melittin)은 40 내지 50 중량%, 델티아핀(Tertiapin)은 0.01 내지 0.1 중량% 및 아파민(Apamine)은 2 내지 4 중량%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프로테아제 억제제(Protease inhibitor)는 0.8 중량%, MCD 펩티드(MCD peptide)는 2 중량%, 세카핀(Secapin)은 0.5 중량%, 멜리틴(Melittin)은 40 내지 50 중량%, 델티아핀(Tertiapin)은 0.1 중량% 및 아파민(Apamine)은 3 중량%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봉독으로부터 알러지 유발 물질 중 저분자 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sephadex 25 컬럼(open column)(4.6 × 150 ㎜, 4 ㎛)을 사용하였으며, 고분자 물질의 제거를 위해 10 kDa 필터를 이용하여 10 kDa 이상의 물질을 모두 제거하였다. 상기 분리 및 정제된 봉독(eBV)의 멜리틴(melittine) 및 히스타민(histamine)의 함량을 분석하였으며, 히스타민의 경우, 정제 전 벌독 자체의 히스타민은 5.48 mg/g이였으나, 정제 후 봉독(eBV)의 경우 0.08 mg/g으로 히스타민의 제거가 된 것을 확인하였다(도 3a 참조). 또한, 멜리틴의 경우 정제 전 벌독 자체의 멜리틴은 573.48 mg/g이였으나, 정제 후 봉독(eBV)의 경우 686.82 mg/g으로 멜리틴 농도가 높아진 것을 확인하였다(도 3b 참조).
또한, 상기 제조한 본 발명의 정제 봉독(eBV)의 염증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Raw264.7 세포에서 리포폴리사카라이드(lipopolysaccharide; LPS, Sigma사)로 유도된 나이트릭 옥사이드(nitric oxide; NO)의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정제 봉독(eBV)를 처리한 경우가 일반 봉독(BV)을 처리한 경우보다 생성된 산화질소의 양이 더 크게 감소하였으며, 정제 봉독의 농도 의존적으로 산화질소의 양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4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정제 봉독(eBV)의 염증 관련 사이토카인 및 프로스타글란딘 E2(Prostaglandin E2) 생성 저해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LPS에 의해 프로스타글란딘 E2 및 TNF-α생성량이 증가하였고, LPS와 정제 봉독(eBV)을 농도별로 처리한 군에서는 농도의존적으로 프로스타글란딘 E2 및 TNF-α의 생성량이 감소하였으며, 본 발명의 정제 봉독(eBV)의 처리가 일본 봉독을 처리한 것보다 항염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5a 및 도 5b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상기 정제 봉독(eBV)의 알러지 감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정제 봉독(eBV)로 제조한 봉침시술을 실시하여 통증, 부종, 소양감 및 발진/발적 크기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시술 24시간 후의 정제 봉독(eBV)의 통증 정도 및 부종 정도가 가장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도 6 및 도 7 참조). 또한, 시술 6시간 이후부터 정제 봉독(eBV)으로 인한 소양감(가려움증)이 일반 봉독보다 크게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도 8 참조), 발진 및 발적의 크기도 정제 봉독(eBV)의 경우 크게 작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9 및 도 10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정제 봉독은 알러지 물질인 포스포리파제 A2(Phospholipase A2;PLA2) 및 히스타민(histamine)이 제거되어 부작용(통증, 부종, 가려움증, 발진 등)이 적어짐과 동시에 유효물질인 멜리틴(melittin)의 함량이 높아져 기존의 봉독보다 항염증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정제 봉독을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프로테아제 억제제(Protease inhibitor), MCD 펩티드(MCD peptide), 세카핀(Secapin), 멜리틴(Melittin), 델티아핀(Tertiapin) 및 아파민(Apamine)를 포함하는 정제 봉독을 제공한다.
상기 프로테아제 억제제(Protease inhibitor)는 0.5 내지 1.0 중량%, MCD 펩티드(MCD peptide)는 1 내지 3 중량%, 세카핀(Secapin)은 0.1 내지 1.0 중량%, 멜리틴(Melittin)은 40 내지 50 중량%, 델티아핀(Tertiapin)은 0.01 내지 0.1 중량% 및 아파민(Apamine)은 2 내지 4 중량%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프로테아제 억제제(Protease inhibitor)는 0.8 중량%, MCD 펩티드(MCD peptide)는 2 중량%, 세카핀(Secapin)은 0.5 중량%, 멜리틴(Melittin)은 40 내지 50 중량%, 델티아핀(Tertiapin)은 0.1 중량% 및 아파민(Apamine)은 3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정제 봉독은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제 봉독은 정제 과정에 의해 멜리틴(melittin) 성분이 유실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정제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정제 봉독은 정제 과정에 의해 멜리틴(melittin) 성분이 유실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제 봉독은 2 내지 10 kDa의 분자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프로테아제 억제제(Protease inhibitor), MCD 펩티드(MCD peptide), 세카핀(Secapin), 멜리틴(Melittin), 델티아핀(Tertiapin) 및 아파민(Apamine)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프로테아제 억제제(Protease inhibitor)는 0.5 내지 1.0 중량%, MCD 펩티드(MCD peptide)는 1 내지 3 중량%, 세카핀(Secapin)은 0.1 내지 1.0 중량%, 멜리틴(Melittin)은 40 내지 50 중량%, 델티아핀(Tertiapin)은 0.01 내지 0.1 중량% 및 아파민(Apamine)은 2 내지 4 중량%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프로테아제 억제제(Protease inhibitor)는 0.8 중량%, MCD 펩티드(MCD peptide)는 2 중량%, 세카핀(Secapin)은 0.5 중량%, 멜리틴(Melittin)은 40 내지 50 중량%, 델티아핀(Tertiapin)은 0.1 중량% 및 아파민(Apamine)은 3 중량%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정제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주사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봉독으로부터 분리된 봉독 정제물(eBV)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예를 들어, 주사제, 정제, 연고제, 드레싱제, 밴드(bandage), 거즈(gauze)와 같은 통상의 의약제형을 의미하며, 이때 매스틱 추출물은 항염증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봉독으로부터 분리된 봉독 정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봉독으로부터 분리된 봉독 정제물(BV)은 1일 8 마이크로그램 내지 5 밀리그램, 바람직하게는 8 마이크로그램 내지 2 밀리그램, 보다 바람직하게는 16 마이크로그램 내지 1 밀리그램의 투여량으로, 바람직하게는 주사제, 보다 더 바람직하기로는 근육내 주사법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투여 회수는 1일 1회, 1일 수회, 2일 내지 1주일간 1회 등으로 투여가능하나, 그 투여횟수에는 그 제한이 없다. 상기 투여량, 투여횟수 및 투여방법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봉독으로부터 분리된 봉독 정제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내,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제 봉독은 알러지 물질인 포스포리파제 A2(Phospholipase A2;PLA2) 및 히스타민(histamine)이 제거되어 부작용(통증, 부종, 가려움증, 발진 등)이 적어짐과 동시에 유효물질인 멜리틴(melittin)의 함량이 높아져 기존의 봉독보다 항염증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정제 봉독을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봉독의 정제 및 함량 분석
<1-1> 봉독의 정제
본 발명자들은 봉독으로부터 알러지 유발 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공정으로 봉독을 분리 및 정제하였다.
구체적으로, 꿀벌(Apismeliffera L.)로부터 채취하여 건조한 봉독 건조 봉독 10 g을 20 ml의 정제수를 이용하여 용해하였다. 용해된 수용액을 정제수를 이용하여 충분히 불려 준 sephadex G-25 column(Φ6 x 90cm)을 사용하여 분획을 나누었으며, 용출액을 40 ml씩 분획하였다. 상기 분리된 분획물의 HPLC를 이용하여 함량을 분석하였으며, 멜리틴(melittin)은 함유되어 있고 히스타민은 제거된 분획만을 취하였다. 분석 조건은 다음과 같다.
분석에 사용된 Column은 TC-C18(5 ㎛, 4.6 I.D. x 150 mm, Aglient), 컬럼 온도(Column temperature)는 35℃, 주입 용량(Injection Volume)은 10 ㎕, 유속(Flow rate)은 0.4 mL/min을 유지하였다. 이동상으로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rifluoroacetic acid)을 0.1% 첨가한 증류수(water)와,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을 초음파를 이용하여 탈기(degassing)하여 사용하였고, gradient syste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0 min: 5% B → 19 min: 64% B → 20 min: 5% B → 30 min: 5% B). 사용한 Detector로는 멜리틴(melittin) 및 PLA2를 분석하기 위하여 UV detector를 이용하여 220nm 파장으로 분석하였으며, 히스타민(histamine)을 분석하기 위하여 MS detector를 사용하였으며 Interface는 ESI를 사용하였으며, Nebulizer gas flow 1.5 L/min, interface Volt는 4.5 Kv, Detector Volt는 1.15 kV Acquisition Mode는 SIM 모드로 m/z값은 112.2를 사용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히스타민(histamine)이 제거된 분획을 Cogent M1 TFF System을 이용하여 10 kDa 이상의 분자량을 가지는 물질을 제거하였다. 이렇게 분리 및 정제된 물질을 eBV로 명명하여 하기 실험에 사용하였다. 또한, 10 kDa 필터를 이용하여 고분자 물질만을 분리한 일반 봉독(BV)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1-2> 봉독의 함량 분석
상기 실시예 <1-1>에서 분리 및 정제된 봉독(eBV)의 멜리틴(melittine) 및 히스타민(histamine)의 함량을 분석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HPLC-MS SIM mode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1>에서 분리 및 정제된 봉독(eBV)의 히스타민을 정량분석하였으며, HPLC-UV를 이용하여 멜리틴을 정량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컬럼(Column)은 TC-C18(5 ㎛, 4.6 I.D. x 150 mm, Aglient), 컬럼 온도(Column temperature)는 35℃, 주입 용량(Injection Volume)은 10 ㎕, 유속(Flow rate)은 0.4 mL/min을 유지하였다. 이동상으로는 트리플르오로아세트산(trifluoroacetic acid)을 0.1% 첨가한 증류수(water)와,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을 초음파를 이용하여 탈기(degassing)하여 사용하였고, gradient syste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0 min: 5% B → 19 min: 64% B → 20 min: 5% B → 30 min: 5% B). 사용한 Detector로는 멜리틴(melittin) 및 PLA2를 분석하기 위하여 UV detector를 이용하여 220 nm 파장으로 분석하였으며, 히스타민(histamine)을 분석하기 위하여 MS detector를 사용하였으며 Interface는 ESI를 사용하였으며, Nebulizer gas flow 1.5 L/min, interface Volt는 4.5 Kv, Detector Volt는 1.15 kV Acquisition Mode는 SIM 모드로 m/z값은 112.2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히스타민의 경우, 정제 전 벌독 자체의 히스타민은 5.48 mg/g이였으나, 정제 후 봉독(eBV)의 경우 0.08 mg/g으로 히스타민의 제거가 된 것을 확인하였다(도 3a). 또한, 멜리틴의 경우 정제 전 벌독 자체의 멜리틴은 573.48 mg/g이였으나, 정제 후 봉독(eBV)의 경우 686.82 mg/g으로 멜리틴 농도가 높아진 것을 확인하였다(도 3b).
<실험예 1> 본 발명의 정제 봉독(eBV)의 생체 외(in vitro) 항염증 효과 확인
<1-1> 산화 질소(NO) 생성의 억제 확인
상기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정제 봉독(eBV)의 염증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Raw264.7 세포에서 리포폴리사카라이드(lipopolysaccharide; LPS, Sigma사)로 유도된 나이트릭 옥사이드(nitric oxide; NO)의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실험에 사용되는 세포로는 마우스 유래 대식세포 RAW 264.7 세포주(ATCC) 사용하였으며, DMEM 배지를 사용하여 2 ×105 세포수/ml 농도로 24웰 플레이트에 각각 분주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하루 동안 세포를 배양한 후 상기 실시예 <1-1>에서 정제한 봉독(eBV) 및 일반 봉독(BV)을 각각 1, 10 및 20 ㎍/㎖ 농도로 처리한 후 2시간 후에 LPS를 1 ㎍/㎖ 농도로 처리하여 2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군을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하고, LPS만 처리한 것을 음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마우스 유래 대식세포 RAW 264.7 세포로부터 생성된 산화 질소(NO)의 양은 그리스(Griess) 시약을 이용하여 제조사의 방침에 따라세포 배양액 중에 존재하는 NO2-의 형태로서 측정하였다. 상기 배양한 실험군 세포의 상등액 100 ㎕에 그리스(Griess) 시약[1% (w/v) 설파닐아미드(sulfanilamide) in 5% (v/v) 포스포릭산, 0.1% (w/v) 나프틸렌디아민-HCl(naphtylethylenediamine-HCl)] 100 ㎕를 혼합하여 96 웰 플레이트에 분주한 후 10분 동안 반응시켜 540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소디움 나이트라이트(sodium nitrite)를 이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하고, 이를 기준으로 배양액 내의 나이트릭 옥사이드 생성량을 구하였으며, 리포폴리사카라이드를 처리한 군의 나이트릭 옥사이드 생성량을 100%로 하여 각 시료의 저해율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제 봉독(eBV)를 처리한 경우가 일반 봉독(BV)을 처리한 경우보다 생성된 산화질소의 양이 더 크게 감소하였으며, 정제 봉독의 농도 의존적으로 산화질소의 양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4).
<1-2> 염증관련 사이토카인의 발현 억제 확인
본 발명자들은 정제 봉독(eBV)의 염증 관련 사이토카인 및 프로스타글란딘 E2(Prostaglandin E2) 생성 저해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험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정제 봉독(eBV) 및 일반 봉독을 처리한 후, LPS를 처리한 Raw264.7 세포의 배양 상층액을 수득한 후, 프로스타글란딘 측정 키트(PGE2 assay kit; R&D systems, Minneapolis, 미국)를 사용하여 프로스타글란딘 E2(Prostaglandin E2)의 생성 저해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LPS로 유도된 TNF-α의 생성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상층액 100 ㎕를 회수하여 마우스 면역글로불린을 코팅한 96 웰플레이트에 분주하여 2시간 동안 교반하며 반응시켰다. 그런 다음, 세척용액으로 4회 세척한 다음, 제 1차 항체인 항-TNF-α 항체를 100 ㎕ 분주한 후 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에 세척을 하고 제 2차 항체를 분주하고 30분간 반응시켰다. 다시 세척한 후 기질을 넣어 30분간 반응시킨 다음, 발색 정도를 마이크로플레이트 측정기로 450 nm에서 효소면역학적 분석키트(mouse IL-6 ELISA set; BD OptEIATM, USA 혹은 mouse IL-1beta Enzyme Immunometric Assay Kit; Assay designs,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LPS에 의해 프로스타글란딘 E2 및 TNF-α생성량이 증가하였고, LPS와 정제 봉독(eBV)을 농도별로 처리한 군에서는 농도의존적으로 프로스타글란딘 E2 및 TNF-α의 생성량이 감소하였으며, 본 발명의 정제 봉독(eBV)의 처리가 일본 봉독을 처리한 것보다 항염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5a 및 도 5b).
<실험예 2> 분리 및 정제 봉독(eBV)의 알러지 유발 감소 확인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정제 봉독(eBV)의 알러지 감소 효과를 확안하기 위해 정제 봉독(eBV)로 제조한 봉침시술을 실시하여 통증, 부종, 소양감 및 발진/발적 크기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임상실험을 위한 피험자는 20명이었으며 임상자원자 중 남자는 16명, 여자는 4명이었고, 평균연령은 29.0±3.2세였다. 모든 군에서 연령과 키, 체중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시험군은 상기 실시예 <1-1>에서 정제한 봉독(eBV) 및 일반 봉독(BV)을 피험자의 좌우 아래 팔 내측 부위에 각각 0.1 ml씩 주입하여 시술 부위의 통증 정도, 부종 정도 및 소양감(가려움증)을 시술 직후부터 시간 단위로 시각척도(VAS; visual analog scal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봉침 시술 부위의 발진 및 발적 크기는 시간 단위로 캘리퍼스(callipe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시술 전 모든 자원자는 시술 직후부터 시술 후 24시간까지 통증, 부종, 소양감 및 발진/발적 등 자각증상에 대한 평가방법(VAS)을 교육받은 후 시술에 임하였다.
그 결과, 도 6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술 24시간 후의 정제 봉독(eBV)의 통증 정도 및 부종 정도가 가장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도 6 및 도 7). 또한, 시술 6시간 이후부터 정제 봉독(eBV)으로 인한 소양감(가려움증)이 일반 봉독보다 크게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도 8), 발진 및 발적의 크기도 정제 봉독(eBV)의 경우 크게 작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9 및 도 10).

Claims (1)

1) 봉독을 증류수에 혼합한 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하여 분획물을 얻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수득한 분획물을 주입 용량 10 ㎕, 유속 0.4 mL/min,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rifluoroacetic acid)을 0.1%(v/v) 첨가한 증류수(water)와,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0.1%(v/v) 첨가한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을 이동상으로 컬럼크로마토그래피하여 히스타민(histamine), 프로가민(procamine) A, B 또는 도파민(dopamine)을 포함하는 0.5 kDa 분자량 이하 저분자 물질이 제거된 분획을 가스 유속 1.5 L/min, 인터페이스 전압 4.5 Kv, 검출 전압 1.15 kV로 분석하여 선별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2)에서 선별된 분획을 10 kDa 분자량 이하를 여과할 수 있는 필터를 이용하여 포스포리파제 A2(Phospholipase A2;PLA2),히알루로니다아제(Hyaluronidase), 리소포스포리파아제(Lysophospholipase), α-D-글루코시다아제(α-D-glucosidase) 또는 아돌라핀(Adolapin)을 포함하는 10 kDa 이상의 고분자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테아제 억제제(Protease inhibitor) 0.5 내지 1.0 중량%, MCD 펩티드(MCD peptide) 1 내지 3 중량%, 세카핀(Secapin) 0.1 내지 1.0 중량%, 멜리틴(Melittin) 40 내지 50 중량%, 델티아핀(Tertiapin) 0.01 내지 0.1 중량% 및 아파민(Apamine) 2 내지 4 중량%를 포함하는 알러지 증상 억제 효과가 향상된 정제 봉독 제조 방법.
KR1020160048429A 2016-04-20 2016-04-20 알러지 유발 물질을 저감시킨 정제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34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429A KR101734093B1 (ko) 2016-04-20 2016-04-20 알러지 유발 물질을 저감시킨 정제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429A KR101734093B1 (ko) 2016-04-20 2016-04-20 알러지 유발 물질을 저감시킨 정제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1617 Division 2015-04-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094A KR20160122094A (ko) 2016-10-21
KR101734093B1 true KR101734093B1 (ko) 2017-05-11

Family

ID=57257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8429A KR101734093B1 (ko) 2016-04-20 2016-04-20 알러지 유발 물질을 저감시킨 정제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40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0797B1 (ko) * 2018-10-29 2020-08-0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치벌 유래의 천연독을 이용한 항염증 조성물
WO2020116952A1 (ko) * 2018-12-05 2020-06-11 유바이오주식회사 바이러스 클리어런스 공정을 포함하는 봉독의 정제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20675B1 (ko) * 2018-12-05 2020-06-09 유바이오주식회사 바이러스 클리어런스 공정을 포함하는 봉독의 정제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506B1 (ko) * 2013-06-07 2014-02-21 주식회사 청진바이오텍 알러지성분이 분리된 분리정제봉독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506B1 (ko) * 2013-06-07 2014-02-21 주식회사 청진바이오텍 알러지성분이 분리된 분리정제봉독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약침학회지 제11권 제2호, 55-62 페이지(2008년6월)
대한약침학회지 제12권 제4호 33-49 페이지(2009년12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094A (ko) 2016-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87831B2 (ja) 生存期間及び健康寿命を増加させる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Yu et al. Dendrobium chrysotoxum Lindl. alleviates diabetic retinopathy by preventing retinal inflammation and tight junction protein decrease
JP6290531B2 (ja) 抗関節炎活性を有するプレクトランサス・アンボイニクス画分
Peng et al. Juglone prevents metabolic endotoxemia-induced hepatitis and neuroinflammation via suppressing TLR4/NF-κB signaling pathway in high-fat diet rats
US8613962B2 (en) Prophylactic or alleviating agent for peripheral nerve disorder induced by anti-cancer agent
Zuo et al. Therapeutic effects of dichloromethane fraction of Securidaca inappendiculata on adjuvant-induced arthritis in rat
Fan et al. Effects and mechanism of action of Huang-Lian-Jie-Du-Tang in atopic dermatitis-like skin dysfunction in vivo and in vitro
KR101734093B1 (ko) 알러지 유발 물질을 저감시킨 정제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Seo et al. A novel role for earthworm peptide Lumbricusin as a regulator of neuroinflammation
Lee et al. Triticum aestivum sprout extract attenuates 2, 4‑dinitrochlorobenzene‑induced atopic dermatitis‑like skin lesions in mice and the expression of chemokines in human keratinocytes
JP2009298810A (ja) 炎症過程の調節に有用なチラコイドを含む組成物
KR101391911B1 (ko) 증체율 및 면역기능이 향상된 봉독조성물
Wang et al. The protective effects of cobra venom from Naja naja atra on acute and chronic nephropathy
CN113209154B (zh) 鸡骨香提取物在制备预防和/或治疗溃疡性结肠炎药物中的应用
US6413553B1 (en) Herbal formulation of a combination of Piper betel and Murrya koenigii extracts for blocking 5 lipoxygenase activity
CN107998116B (zh) 乙酰胺在抗银屑病药物中的应用
CN105358164B (zh) 治疗和/或预防慢性炎症疾病的菌株
KR20230037245A (ko)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pl60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9045107B (zh) 一种治疗类风湿关节炎的药物及制备方法
Spînu et al. Vegetal extracts influence in vitro on the cell-mediated immunity in carnivores depending on health status, target species and plant taxonomy
JP7349362B2 (ja) 化合物、化合物の製造法、富化抽出物、富化抽出物の活性な分画、富化抽出物の製造法、富化抽出物を製造するため植物バイオマスを選択する方法、免疫障害を治療するための組成物とその利用
US10441540B2 (en) Liposomal lupeol acetate and the use thereof in preparing drugs for rheumatoid arthritis
Peng et al. Total alkaloids of Fritillaria unibracteata var. wabuensis bulbus ameliorate chronic asthma via the TRPV1/Ca2+/NFAT pathway
Shamina et al. Haematological Assessment of Methanolic Stem Extract of Cissus quadrangularisLinn. against Freund's Complete Adjuvant induced Female Albino Arthritic Rats.(2020)
CN113730395A (zh) 白杨素在治疗酒精性肝损伤药物中的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