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0629A -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 - Google Patents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0629A
KR20210050629A KR1020190134613A KR20190134613A KR20210050629A KR 20210050629 A KR20210050629 A KR 20210050629A KR 1020190134613 A KR1020190134613 A KR 1020190134613A KR 20190134613 A KR20190134613 A KR 20190134613A KR 20210050629 A KR20210050629 A KR 202100506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ervical
cervix
unit
acqui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4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8335B9 (ko
KR102268335B1 (ko
Inventor
정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도트
Priority to KR1020190134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8335B1/ko
Priority to BR112022008163A priority patent/BR112022008163A2/pt
Priority to PCT/KR2020/014755 priority patent/WO2021085987A1/ko
Priority to EP20883238.6A priority patent/EP4042928A4/en
Priority to US17/770,246 priority patent/US11998168B2/en
Priority to CN202080075522.1A priority patent/CN114615920A/zh
Priority to JP2022525120A priority patent/JP2023500246A/ja
Publication of KR20210050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0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8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8335B1/ko
Publication of KR102268335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8335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39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input arrangements for the user
    • A61B1/0004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input arrangements for the user for mechanical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11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11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 A61B1/00016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using wireless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data stor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25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power management
    • A61B1/00027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power management characterised by power supply
    • A61B1/0003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power management characterised by power supply internally powered
    • A61B1/00034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power management characterised by power supply internally powered recharge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39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input arrangements for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43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output arrangements
    • A61B1/00045Display arrang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43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output arrangements
    • A61B1/00045Display arrangement
    • A61B1/0005Display arrangement combining images e.g. side-by-side, superimposed or ti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43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output arrangements
    • A61B1/00045Display arrangement
    • A61B1/00052Display arrangement positioned at proximal end of the endoscop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63Optical arrangements
    • A61B1/00186Optical arrangements with imaging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45Control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5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characterised by the image sensor, e.g. camera, being in the distal end po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61Endoscope light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30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vagina, i.e. vagin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4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scene brightness using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2Modifying the appearance of television pictures by optical filters or diffusing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56Apparatus provided with a docking un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reproductive systems
    • A61B5/4306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reproductive systems for evaluating the female reproductive systems, e.g. gynaecological evaluations
    • A61B5/4318Evaluation of the lower reproductive system
    • A61B5/4331Evaluation of the lower reproductive system of the cervix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sychiatry (AREA)
  • Physiology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Endoscope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궁경부의 영상을 획득하여 표시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자궁경부 관련 질병의 발병 여부를 자동 진단할 수 있는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에 관한 것으로, 자궁경부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가 일측에 설치되고 그 일측의 반대측에 상기 자궁경부 영상을 표시하고 사용자 터치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부가 설치되며 하방으로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와, 상기 손잡이부 내에 위치하여 충전 및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적어도 상기 손잡이부에 형성된 촬영버튼, 줌인 버튼, 줌아웃 버튼을 포함하는 조작 버튼부와, 촬영된 자궁경부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자궁경부 영상을 판독의 컴퓨터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와, 촬영된 자궁경부 영상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선택된 자궁경부 영상을 암호화하여 상기 판독의 컴퓨터로 전송 제어하기 위한 영상전송 제어부와, 촬영된 자궁경부 표시영상의 좌우 혹은 상하에 사용자 터치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메뉴 바를 함께 표시 제어하는 표시화면 제어부와, 구비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줌, 오토 포커스 및 광원부의 밝기를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Colposcopy}
본 발명은 자궁경부암 진단을 위한 영상진단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궁경부의 영상을 획득하여 표시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자궁경부 관련 질병의 발병 여부를 자동 진단할 수 있는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에 관한 것이다.
자궁경부암은 유선암과 함께 2대 여성 암이기는 하나 조기 검진을 통해 예방이 가장 쉬운 암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건강한 여성도 매년 1회의 정기 검진이 필요하다.
자궁경부암 검진 기술은 세포검사(Cytology), 질확대경 검사(Colposcopy)에 집중되어 있으나, 이들 검진 기술은 판독의에 의존적이며 결과 리포트를 얻기까지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중국을 비롯한 기술 선진국들에서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영상 자동 진단기술의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기 때문에, 자국 또한 범국가적 차원에서 의료 영상 관련 인공지능 엔진 기술의 개발 및 발굴이 절실히 요구되는 바이며, 영상 자동 진단기술을 구현함에 있어 선행되어야 할 영상 획득기 역시 함께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원 출원인은 자궁경부에 대한 질환을 진단함에 있어서 선행되어야 하는 자궁경부 영상 획득 기기를 개발하기에 이르렀으며, 더 나아가 자궁경부 영상 획득 기기와 상호 연동하여 자궁경부암 관련 질환을 자동 진단할 수 있는 연계 프로그램도 개발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890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1-0069660호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창안된 발명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 및 사용, 조작이 편리한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를 제공함에 있으며,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표시부 상에 메뉴 바를 함께 표시하여 조작의 편의성을 제공하되, 기기 사용자의 좌, 우수 손잡이를 고려하여 메뉴 바의 표시 위치가 수동 혹은 자동으로 변경될 수 있도록 하여 기기 사용의 편의성을 높인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궁경부 영상을 획득하는 기기 본체의 기울기에 따라 촬영된 자궁경부 표시 영상의 기울기를 자동 보정해 줄 수 있는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를 제공함에 있으며,
더 나아가 상술한 각각의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에서 전송된 자궁경부 영상을 자동 판독하여 자궁경부암의 발병 여부를 자동 진단할 수 있는 판독의용 응용 프로그램과 상호 연동 가능한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를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 사용 가능하고 충전 및 거치가 가능하면서 조도, 줌인/아웃 조절 및 영상 표시면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는 자궁경부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가 일측에 설치되고 그 일측의 반대측에 상기 자궁경부 영상을 표시하고 사용자 터치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부가 설치되며 하방으로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와, 상기 손잡이부 내에 위치하여 충전 및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적어도 상기 손잡이부에 형성된 촬영버튼, 줌인 버튼, 줌아웃 버튼을 포함하는 조작 버튼부를 포함하는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로서,
촬영된 자궁경부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자궁경부 영상을 판독의 컴퓨터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와;
촬영된 자궁경부 영상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선택된 자궁경부 영상을 암호화하여 상기 판독의 컴퓨터로 전송 제어하기 위한 영상전송 제어부와;
촬영된 자궁경부 표시영상의 좌우 혹은 상하에 사용자 터치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메뉴 바를 함께 표시 제어하는 표시화면 제어부와,
구비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줌, 오토 포커스 및 광원부의 밝기를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술한 구성의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에 있어서, 상기 표시화면 제어부는 상기 메뉴 바에 표시되는 좌우 핸드모드 설정버튼의 조작시마다 상기 메뉴 바의 표시 위치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변경 표시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변형 가능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술한 구성의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는 상기 손잡이부에 형성되어 손잡이부를 홀딩하는 좌수 혹은 우수를 감지하기 위한 핸드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상기 핸드감지센서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화면 제어부는 상기 메뉴 바의 표시 위치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변경 표시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는 본체의 기울기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기울기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울기 감지센서의 감지 기울기에 따라 상기 표시화면 제어부는 촬영된 자궁경부 표시영상의 기울기를 보정할 수도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에서는 카메라를 통해 자궁경부 영상을 촬영하고 그 촬영 영상을 기기 사용자 명에 따라 지정된 판독의 컴퓨터로 무선 전송 가능하기 때문에,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와 판독의 컴퓨터를 케이블 연결해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의 후방에 설치된 유저 인터페이스부의 상부가 전방으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누워 있는 피진료자의 자궁경부를 촬영함에 있어 기기 사용자는 무릎 혹은 머리와 같은 신체 일부를 굽히지 않고 편리하게 촬영화면을 보면서 자궁경부를 촬영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의 유저 인터페이스부에는 카메라 영상이 표시되고, 그 카메라 영상 표시 영역 좌우 혹은 상하에 기기 조작 및 설정을 위한 다수의 기능버튼들이 표시되는 메뉴 바가 함께 표시되기 때문에, 한 손으로 기기 손잡이부를 잡고 나머지 한 손으로 메뉴 바에 구비된 기능버튼을 터치 입력하는 방식으로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는 빈번하게 자주 사용하는 주요 기능버튼을 좌우에 각각 표시되는 메뉴 바 중 어느 하나에 집중하여 위치시키되 왼손잡이 혹은 오른손잡이에 따라 메뉴 바의 위치를 수동 조작 혹은 자동으로 변경 표시해 주기 때문에, 이 역시 기기 조작의 편의성을 제공해 주는 효과가 있으며,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가 본체 기울기를 감지하여 촬영된 표시 영상의 기울기를 보정할 수 있는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라면, 설령 본체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자궁경부를 촬영하더라도 정 위치된 자궁경부 표시 영상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판독의 컴퓨터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의 지원하에 표시되는 QR코드를 스캔하는 것만으로도 편리하게 판독의 컴퓨터의 IP와 포트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 본체(100)의 외관 예시도.
도 2는 도 1 중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 본체(100)의 후방 예시도.
도 3은 도 1 중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 본체(100)의 전방 예시도.
도 4는 도 1 중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 본체(100)의 측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충전대(200)를 포함하는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의 외관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의 블럭 구성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 본체(100)의 유저 인터페이스부에 표시되는 메뉴바(A,B)의 표시 위치 예시도.
도 8은 악성의 비정형 혈관(Atypical Vessels)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의 동작 흐름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의 표시화면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판독의 컴퓨터에 표시되는 판독의뢰 화면 예시도.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이미 출원 공개에 의해 공지된 구성 및 동작 관련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 본체(100)의 외관도를 예시한 것이며, 도 2는 도 1 중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 본체(100)의 후방을, 도 3은 도 1 중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 본체(100)의 전방을, 도 4는 도 1 중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 본체(100)의 측면을 각각 예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는 자궁경부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오토 포커스 기능의 카메라(110)가 일측(전방)에 설치되고 그 일측의 반대측(후방)에 자궁경부 영상을 표시하고 사용자 터치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부(115)가 설치되며 하방으로 손잡이부(105)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본체(1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0)의 전방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으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155)가 카메라(110)를 구성하는 렌즈부 주변에 배치된다. 이러한 광원부(155)의 조도는 도 4에 도시된 밝기조절 다이얼(135)의 조작에 따라 조절된다.
참고적으로 유저 인터페이스부(115)는 촬영된 자궁경부 영상을 표시하고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 가능한데, 이러한 터치 스크린의 표시면 상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 비해 카메라(110)가 설치된 방향(전방)으로 기울어져 설치됨으로써, 누워 있는 피진료자의 자궁경부를 촬영함에 있어 진료자가 자신의 신체 일부를 굽히거나 숙이지 않고 편하게 자궁경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유저 인터페이스부(115)가 경사지게 고정되어 있지만 좌우,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기구적으로 설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유저 인터페이스부(115)의 일 측면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 버튼(150)과 SD 카드 삽입슬롯(145)이 형성되어 있고, 하면에는 스피커(140)가 형성되어 있어 촬영한 자궁경부 영상을 저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녹화음 재생 출력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한편, 수평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있는 본체(100)의 하방으로는 손잡이부(105)가 돌출되어 있는데, 이러한 손잡이부(105) 내에는 충전 및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도시 생략)가 내장되며, 손잡이부(105) 저면에는 추후 설명할 충전대(200)에 형성된 충전부(혹은 충전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내장 배터리측으로 충전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 단자(160)가 형성된다.
아울러 손잡이부(105)에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영시 사용자 편의를 위해 다수 개의 조작 버튼이 형성되는데, 검지 손가락에 의해 조작되는 촬영버튼(120)은 손잡이부(105)의 전방에 형성되고, 엄지 손가락에 의해 조작되는 줌인 버튼(125)과 줌아웃 버튼(130)은 손잡이부(105)의 후방에 형성되어 촬영시 조작의 편의성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기구적 구성과 구조적 특징을 가지는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 본체(100)를 하나의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로 구성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전대(200)와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 본체(100)를 하나의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충전대(200)를 포함하는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의 외관도를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는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손잡이부(105) 하단 저면에 형성된 충전단자(160)와 접속되는 충전부(2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부(105) 상단이 결합 지지될 수 있는 결합홈(205)이 형성되어 있는 충전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기구적 구성과 구조적 특징을 가지는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의 전자적 구성을 부연 설명하면,
우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 본체(100)의 블럭 구성도를 예시한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 본체(100)의 유저 인터페이스부(115)에 표시되는 메뉴 바(A,B)의 표시 위치를 예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는 앞서 설명한 카메라(110), 유저 인터페이스부(115), 광원부(155), 배터리(165), 촬영/줌인/줌아웃 및 다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조작버튼부(170) 외에 촬영된 자궁경부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75)와, 자궁경부 영상을 판독의 컴퓨터로 전송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부(와이파이 모듈 혹은(및) 블루투스 모듈)(190)와,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80)는 촬영된 자궁경부 영상을 메모리(175)에 저장하고, 기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자궁경부 영상을 암호화하여 판독의 컴퓨터로 전송 제어하기 위한 영상전송 제어부(181)와,
촬영된 자궁경부 표시영상의 좌우 혹은 상하에 사용자 터치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메뉴 바를 함께 표시 제어하는 표시화면 제어부(183)와,
구비 버튼의 조작에 따라 카메라(110)의 줌, 오토 포커스 및 광원부(155)의 밝기(조도)를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부(185)를 포함한다.
구현 방법에 따라 상기 제어부(180)는 카메라(110)를 통해 획득한 QR 코드를 통해 판독의 컴퓨터의 IP/포트를 자동 설정하기 위한 주소 설정 제어부(18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QR코드는 판독의 컴퓨터에 설치되는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되는 정보로서 판독의 컴퓨터의 IP와 포트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표시화면 제어부(183)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영된 자궁경부 표시영상(D)의 좌우(혹은 상하)에 표시되는 메뉴 바 A와 B를 어느 하나의 메뉴 바에 표시되거나 설정버튼 누름시 표시되는 좌우 핸드모드 설정버튼의 조작시마다 메뉴 바 A와 B의 표시 위치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변경 표시(즉, 메뉴 바에 표시되는 기능 버튼들의 표시 위치를 변경)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왼손잡이(좌수) 혹은 오른손잡이(우수)를 고려하여 메뉴 바에 표시되는 기능 버튼들의 조작 편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더 나아가 표시화면 제어부(183)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뉴 바 B에 그린 필터 온/오프 버튼을 표시하고, 그린 필터 온 선택시 자궁경부 영상을 그린필터 적용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좌우 핸드모드의 설정은 수동 조작에 의해 설정되기 때문에 사용자 편의를 위해 자동으로 좌우 핸드모드의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의 본체(100)를 구성하는 손잡이부(105)에 손잡이부(105)를 홀딩하는 좌수 혹은 우수를 감지하기 위한 핸드감지센서(195)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출 형성하면, 표시화면 제어부(183)는 핸드감지센서(195)를 통해 손잡이부(105)를 홀딩하는 사용자의 손을 감지해 메뉴 바 A와 B의 위치를 자동 변경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핸드감지센서(195)로서 조도변화에 따라 반응하는 광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근접하는 손을 감지하여 반응하는 근접감지센서, 열감지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또 다른 변형 실시예로서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는 지면에 대해 본체(100)(혹은 손잡이부(105))의 기울기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기울기 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울기 감지센서를 통해 얻어지는 기울기 값에 따라 표시화면 제어부(183)가 촬영된 자궁경부 표시영상의 기울기를 보정하면, 설령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자궁경부가 촬영되더라도 그 기울기 값에 맞춰 자궁경부 표시영상의 기울기를 보정할 수 있기 때문에, 지면에 대해 기울어짐 없이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 본체(100)를 정 위치시킨 상태에서 자궁경부를 촬영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자궁경부 촬영을 수행하는 진료자는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의 손잡이부(105)를 가장 편하게 홀딩한 상태에서 자궁경부에 대한 촬영을 수행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는 손잡이부(105) 하단 저면에 형성된 충전단자(160)와 접속되는 충전부(2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부(105) 상단이 결합 지지될 수 있는 결합홈(205)이 형성되어 있는 충전대(2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는 앞서 설명한 기술적 구성들 외에, 판독의 컴퓨터의 메모리에 설치되어 실행되되,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 본체(100)에서 암호화되어 전송된 자궁경부 영상을 암호 해제하여 표시부에 표시하기 위한 판독의용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의 집합체와 함께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를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판독의용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의 집합체는, 자궁경부암 자동 진단을 위해 필요한 학습데이터의 특징을 학습한 자궁경부암에 대한 기계학습모델과, 상기 기계학습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암호 해제된 자궁경부 영상에 대해 자궁경부암의 발병 여부에 관한 진단 정보를 생성 표시하는 자궁경부암 진단모델을 포함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상기 자궁경부암 진단모델은 컬러와, 자궁경부 영상 내의 자궁경부 크기와, 악성의 비정형 혈관 패턴 중 판독의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진단기준에 따라 자궁경부암의 발병 여부에 관한 진단 정보를 생성한다.
참고적으로, 아세트산 반응 영상은 흰색의 얼룩이 자궁경부에 나타나기 때문에 핑크색의 자궁경부 및 질과 구분이 가능하다. 루골용액 반응 영상은 갈색 또는 진한 주황색 컬러가 나타나며, 그린필터 영상은 영상 전반에 걸쳐 그린이 강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이러한 각 영상의 특징을 나타내는 컬러값을 이용해 자궁경부암의 발병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도 8은 악성의 비정형 혈관(Atypical Vessels)을 예시한 것으로, 도 8에 도시한 악성의 비정형 혈관 패턴에 대한 학습이 이루어지면 자궁경부암 진단모델은 학습된 기계학습모델에 기초하여 악성의 비정형 혈관 패턴을 나타내는 자궁경부암의 발병 여부에 대한 진단을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기계학습모델과 자궁경부암 진단모델은 원격지에 위치하는 진단서버에 자궁경부암 진단용 응용 프로그램의 형태로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 판독의 컴퓨터에도 설치되어 운용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기구적, 전자적 구성을 가지는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의 동작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의 동작 흐름도를 예시한 것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의 표시화면 예시도를,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판독의 컴퓨터에 표시되는 판독의뢰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우선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에 구비된 전원버튼(150)을 조작하여 파워 온 되면 표시화면 제어부(183)는 첫 실행 화면으로서 병원 이름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을 유저 인터페이스부(115)에 표시한다. 이에 기기 사용자는 병원 이름을 설정한다.
병원 이름의 설정이 완료되면 표시화면 제어부(183)는 와이파이(및 블루투스)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을 유저 인터페이스부(115)에 표시해 줌으로써, 기기 사용자는 연결 가능한 와이파이를 설정(S10단계)한다.
이어 표시화면 제어부(183)는 판독의 컴퓨터의 IP와 포트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을 유저 인터페이스부(115)에 표시해 준다. 이러한 표시화면에는 기기 사용자가 판독의 컴퓨터의 IP와 포트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 있는 정보 입력란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정보 입력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판독의 컴퓨터에 설치된 판독의용 응용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QR코드를 스캔할 것을 지시하는 버튼이 구비될 수도 있다.
참고적으로, 기기 사용자는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에서 촬영되어 암호화 전송되는 자궁경부 영상을 암호해제하여 표시부에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즉 판독의용 응용 프로그램을 판독의 컴퓨터의 메모리에 설치한다. 기기 사용자는 판독의 컴퓨터에 설치된 판독의용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와 판독의 컴퓨터 간에 정상적으로 정보 송수신이 이루어지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입력 설정할 수 있다.
무엇보다 판독의용 응용 프로그램에서는 판독의 컴퓨터에 설정되어 있는 IP와 포트정보를 액세스하여 이를 QR코드로 변환하여 화면상에 표시한다. 이에 기기 사용자는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에 카메라(110)를 이용해 판독의 컴퓨터에 표시된 QR코드를 스캔하면, 주소 설정 제어부(187)는 카메라(110)를 통해 획득한 QR 코드를 판독하여 판독의 컴퓨터의 IP와 포트정보를 자동 설정(S20단계)한다.
IP와 포트 설정이 완료되면 표시화면 제어부(183)는 날짜와 패스워드를 순차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화면을 유저 인터페이스부(115)에 표시해 줌으로써, 기기 사용자는 기기 사용시 필요한 여러 정보들을 입력 혹은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정보 입력 혹은 설정이 완료되면, 이후 기기 사용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C)의 좌우에 표시되는 메뉴 바(A,B)에 구비된 기능버튼(g, k)을 통해 자궁경부를 캡쳐하거나 동영상 촬영(S30단계)할 수 있다. 도 7에서 'l'은 병원명을, 'e'는 플래쉬 온/오프 버튼을, 'f'는 앨범 이동버튼을, 'g'는 캡쳐/동영상 촬영 버튼을, 'k'는 캡쳐/동영상 변경 버튼을, 'h'는 배터리 상태를, 'i'는 와이파이 연결 상태를, 'j'는 그린필터 온/오프 버튼을 표시한 것이다. 메뉴 바 A와 B에 구비되는 기능버튼들은 하나의 예시일 뿐, (시스템)설정 버튼, 좌우 핸드모드 설정(혹은 변경) 버튼이 메뉴 바 A 혹은 B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메뉴 바 A와 B는 좌우 핸드모드 설정버튼 조작시마다 그 위치가 좌에서 우로, 우에서 좌로 변경된다. 좌우 핸드모드 설정은 표시 버튼 구비 없이 (시스템) 설정 모드에서 설정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드감지센서(195)를 구비하여 손잡이부(105)를 홀딩하는 손을 감지해 메뉴 바 A와 B의 표시 위치를 변경할 수도 있다.
이하 자궁경부를 촬영하고 그 영상을 전송하는 과정에 대해 부연 설명하면,
기기 사용자는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 본체(100)의 손잡이부(105)를 왼손 혹은 오른손으로 홀딩한 상태에서 피진료자의 자궁경부를 촬영한다. 이때 표시화면에 나타나는 자궁경부의 밝기가 어둡다면 밝기조절 다이얼(135)을 이용해 광원부(155)의 조도를 조절한다.
조도 조절후 자궁경부를 표시화면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 본체(100)의 위치를 조정한 후 촬영버튼(120)을 가압하기 시작하면 자궁경부에 대한 오토 포커싱이 이루어지고, 오토 포커싱 완료후 촬영버튼(120)을 재가압하면 표시화면에 나타난 자궁경부에 대한 캡쳐(S30단계)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촬영된 자궁경부 영상은 메모리(175)에 저장(S40단계)된다. 순차적으로 촬영되어 저장된 앨범 및 촬영 화면(Picture album)의 예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기기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자궁경부에 대해 다수의 캡쳐 화면을 촬영한 후 필요한 자궁경부 촬영화면을 앨범에서 선택하여 판독의 컴퓨터로 전송할 수 있다. 즉, 기기 사용자에 의해 전송할 영상의 선택이 완료되면(S50단계) 영상 전송 제어부(181)는 선택된 자궁경부 영상에 대해 암호화하여 통신부(190)를 통해 설정된 IP와 포트정보를 가지는 판독의 컴퓨터로 전송(S60단계)한다.
자궁경부 영상을 전송하는 경우 도 10의 Wireless transfer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송상태가 표시되며, 전송완료된 경우 전송 영상은 백업폴더로 이동 저장되고 기기 사용자에게 전송 완료가 팝업 표시(S60단계)된다. 참고적으로 도 10의 Green filter 화면을 그린필터를 적용(온)하여 자궁경부를 촬영하여 얻은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에서 촬영되어 암호화된 자궁경부 영상이 판독의 컴퓨터로 전달되면, 판독의 컴퓨터에 설치된 판독의 응용 프로그램에서는 암호화되어 전송된 자궁경부 영상을 암호 해제하고, 암호 해제된 자궁경부 영상을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동시에 도 11에 도시한 판독의뢰 화면에 표시하여 준다. 이에 판독의는 판독의뢰 화면에 표시된 자궁경부 영상을 선택하여 이상 여부를 판독한다.
만약 판독의용 응용 프로그램이 자궁경부암에 대한 학습데이터의 특징을 학습한 기계학습모델과, 상기 기계학습모델에 기초하여 자궁경부암의 발병 여부에 관한 진단 정보를 생성 표시하는 자궁경부암 진단모델을 포함한 응용 프로그램이라면, 상기 암호화되어 전송된 자궁경부 영상을 상기 기계학습모델에 기초하여 자궁경부암의 발병 여부를 자동 진단하고 그 결과를 판독의뢰 화면 일부에 표시해 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자궁경부암에 대한 자동 진단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판독의는 재차 자궁경부 영상을 판독하여 자동 진단결과가 잘못된 경우 그 오진원인을 체크하여 정정해 준다. 이러한 판독의의 평가정보는 판독의의 평가정보 전송명령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지정된 관리자 서버측으로 전달되어 기계학습모델의 재학습에 활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에서는 카메라(110)를 통해 자궁경부 영상을 촬영하고 그 촬영영상을 기기 사용자 명에 따라 지정된 판독의 컴퓨터로 무선 전송 가능하기 때문에,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와 판독의 컴퓨터를 케이블 연결해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의 후방에 설치된 유저 인터페이스부(115)의 상부가 전방으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누워 있는 피진료자의 자궁경부를 촬영함에 있어 기기 사용자는 무릎 혹은 머리와 같은 신체 일부를 굽히지 않고 편리하게 촬영화면을 보면서 자궁경부를 촬영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의 유저 인터페이스부(115)에는 카메라 영상이 표시되고, 그 카메라 영상 표시 영역 좌우 혹은 상하에 기기 조작 및 설정을 위한 다수의 기능버튼들이 표시되는 메뉴 바(A,B)가 함께 표시되기 때문에, 한 손으로 기기 손잡이부(105)를 잡고 나머지 한 손으로 메뉴 바(A, B)에 구비된 기능버튼을 터치 입력하는 방식으로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는 빈번하게 자주 사용하는 주요 기능버튼을 메뉴 바 A와 B 중 어느 하나에 집중하여 위치시키되 왼손잡이 혹은 오른손잡이에 따라 메뉴 바의 위치를 수동 조작 혹은 자동으로 변경 표시해 주기 때문에, 이 역시 기기 조작의 편의성을 제공해 주는 효과가 있다.
만약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가 본체(100) 기울기를 감지하여 촬영된 표시 영상의 기울기를 보정할 수 있는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라면, 설령 본체(100)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자궁경부를 촬영하더라도 정 위치된 자궁경부 표시 영상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판독의 컴퓨터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의 지원하에 표시되는 QR코드를 스캔하는 것만으로도 편리하게 판독의 컴퓨터의 IP와 포트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자궁경부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가 일측에 설치되고 그 일측의 반대측에 상기 자궁경부 영상을 표시하고 사용자 터치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부가 설치되며 하방으로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와, 상기 손잡이부 내에 위치하여 충전 및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적어도 상기 손잡이부에 형성된 촬영버튼, 줌인 버튼, 줌아웃 버튼을 포함하는 조작 버튼부를 포함하는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에 있어서,
    촬영된 자궁경부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자궁경부 영상을 판독의 컴퓨터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와;
    촬영된 자궁경부 영상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선택된 자궁경부 영상을 암호화하여 상기 판독의 컴퓨터로 전송 제어하기 위한 영상전송 제어부와;
    촬영된 자궁경부 표시영상의 좌우 혹은 상하에 사용자 터치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메뉴 바를 함께 표시 제어하는 표시화면 제어부와,
    구비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줌, 오토 포커스 및 광원부의 밝기를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화면 제어부는,
    상기 메뉴 바에 표시되는 좌우 핸드모드 설정버튼의 조작시마다 상기 메뉴 바의 표시 위치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변경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기울기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기울기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울기 감지센서의 감지 기울기에 따라 상기 표시화면 제어부는 촬영된 자궁경부 표시영상의 기울기를 보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 하단 저면에 형성된 충전단자와 접속되는 충전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부 상단이 결합 지지될 수 있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충전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의 컴퓨터의 메모리에 설치되어 실행되되, 암호화되어 전송된 자궁경부 영상을 암호 해제하여 표시하기 위한 판독의용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의 집합체;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판독의용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의 집합체는,
    학습데이터의 특징을 학습한 자궁경부암에 대한 기계학습모델과, 상기 기계학습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암호 해제된 자궁경부 영상에 대해 자궁경부암의 발병 여부에 관한 진단 정보를 생성 표시하는 자궁경부암 진단모델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자궁경부암 진단모델은,
    컬러와, 자궁경부 영상 내의 자궁경부 크기와, 악성의 비정형 혈관 패턴 중 판독의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진단기준에 따라 자궁경부암의 발병 여부에 관한 진단 정보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화면 제어부는 상기 메뉴 바에 그린 필터 온/오프 버튼을 표시하고, 그린 필터 온 선택시 자궁경부 영상을 그린필터 적용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의 표시면 상단은 하단에 비해 상기 카메라가 설치된 방향으로 기울어져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
KR1020190134613A 2019-10-28 2019-10-28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 KR102268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613A KR102268335B1 (ko) 2019-10-28 2019-10-28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
BR112022008163A BR112022008163A2 (pt) 2019-10-28 2020-10-28 Aparelho de aquisição de imagem do colo do útero
PCT/KR2020/014755 WO2021085987A1 (ko) 2019-10-28 2020-10-28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
EP20883238.6A EP4042928A4 (en) 2019-10-28 2020-10-28 DEVICE FOR TAKING CERVICAL IMAGES
US17/770,246 US11998168B2 (en) 2019-10-28 2020-10-28 Uterine cervical image acquisition apparatus
CN202080075522.1A CN114615920A (zh) 2019-10-28 2020-10-28 子宫颈影像获取装置
JP2022525120A JP2023500246A (ja) 2019-10-28 2020-10-28 子宮頸部画像獲得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613A KR102268335B1 (ko) 2019-10-28 2019-10-28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629A true KR20210050629A (ko) 2021-05-10
KR102268335B1 KR102268335B1 (ko) 2021-06-24
KR102268335B9 KR102268335B9 (ko) 2023-05-11

Family

ID=75715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4613A KR102268335B1 (ko) 2019-10-28 2019-10-28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4042928A4 (ko)
JP (1) JP2023500246A (ko)
KR (1) KR102268335B1 (ko)
CN (1) CN114615920A (ko)
BR (1) BR112022008163A2 (ko)
WO (1) WO2021085987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660A (ko) 2001-04-25 2001-07-25 김종일 자궁경부 촬영기의 조명장치
KR20110108905A (ko) 2010-03-30 2011-10-06 주식회사 엔티엘 자궁경부 촬영 장치
KR20150142289A (ko) * 2014-06-11 2015-12-22 주식회사 써비코씨엔에스 의료진단용 영상 촬영 장치
KR20160138787A (ko) * 2015-05-26 2016-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KR20170042900A (ko) * 2015-10-12 2017-04-20 (주)에이스 힌지텍 디스플레이 각도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전자기기
KR20180029069A (ko) * 2015-08-27 2018-03-19 시앙 리 구강 내시경 검사 시스템 및 그 검사 방법
KR20190087681A (ko) * 2017-11-16 2019-07-25 주식회사 버즈폴 자궁경부암에 대한 피검체의 발병 여부를 판정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32318B1 (en) * 2010-10-25 2019-11-27 Endosee Corporation Apparatus for hysteroscopy and endometrial biopsy
CN103442628B (zh) * 2011-03-16 2016-06-15 皇家飞利浦有限公司 用于检查宫颈的医疗器械
US9757507B2 (en) * 2012-11-13 2017-09-12 Karl Storz Imaging, Inc. Configurable control for operating room system
US10028649B2 (en) * 2013-12-02 2018-07-24 Welch Allyn, Inc. Digital colposcope system
CN105030187A (zh) * 2015-08-04 2015-11-11 张玲 可弯折一体式妇科阴道窥镜
JP7307742B2 (ja) * 2018-04-04 2023-07-12 クーパーサージカ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内視鏡装置および関連方法
AU2018101578A4 (en) * 2018-10-22 2018-11-29 Menon, Vineet MR Machine learning applied to Cervical Cancer Data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660A (ko) 2001-04-25 2001-07-25 김종일 자궁경부 촬영기의 조명장치
KR20110108905A (ko) 2010-03-30 2011-10-06 주식회사 엔티엘 자궁경부 촬영 장치
KR20150142289A (ko) * 2014-06-11 2015-12-22 주식회사 써비코씨엔에스 의료진단용 영상 촬영 장치
KR20160138787A (ko) * 2015-05-26 2016-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KR20180029069A (ko) * 2015-08-27 2018-03-19 시앙 리 구강 내시경 검사 시스템 및 그 검사 방법
KR20170042900A (ko) * 2015-10-12 2017-04-20 (주)에이스 힌지텍 디스플레이 각도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전자기기
KR20190087681A (ko) * 2017-11-16 2019-07-25 주식회사 버즈폴 자궁경부암에 대한 피검체의 발병 여부를 판정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615920A (zh) 2022-06-10
KR102268335B9 (ko) 2023-05-11
JP2023500246A (ja) 2023-01-05
BR112022008163A2 (pt) 2022-07-12
WO2021085987A1 (ko) 2021-05-06
KR102268335B1 (ko) 2021-06-24
EP4042928A4 (en) 2023-11-01
EP4042928A1 (en) 2022-08-17
US20220377227A1 (en) 2022-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24265B (zh) 摄像装置和摄像装置的摄像方法
KR101451129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JP2011170194A (ja) 撮影装置及び撮影制御方法
JP5751869B2 (ja) 電子内視鏡装置、電子内視鏡用プロセッサ及び電子内視鏡システム
US8449113B2 (en) Imaging unit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693022B2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システム、並びにそれら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KR102268335B1 (ko)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
JP2006301201A (ja) 光学装置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JPWO2018221068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11998168B2 (en) Uterine cervical image acquisition apparatus
JP6310339B2 (ja) 撮像システム及び撮像方法
JP2005143782A (ja) 医療用画像ファイリングシステム
US20230289926A1 (en) Processing device, processing program, processing method, and processing system
JP2019033971A (ja) 内視鏡装置
JP4647260B2 (ja) 眼科撮影装置システム
JP2006157154A (ja) 情報入力装置、カメラ
JP2004329620A (ja) 撮像装置
US20240000307A1 (en) Photography support device, image-captur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image-capturing device
CN109937567A (zh) 图像处理装置和方法以及程序
JP7444074B2 (ja) 撮像装置、撮像制御装置、撮像方法
JPWO2018088238A1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WO2022130667A1 (ja) ダーモスコープ、ダーモアダプタ、およびプログラム
US11533419B2 (en) Imaging apparatus, image sensor unit, camera unit, and control method for determining and updating correction data
KR101141054B1 (ko) 프리뷰 이미지 저장 및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안저 촬영 장치
JP3793474B2 (ja) マウス兼用デジタル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