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2289A - 의료진단용 영상 촬영 장치 - Google Patents

의료진단용 영상 촬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2289A
KR20150142289A KR1020140070810A KR20140070810A KR20150142289A KR 20150142289 A KR20150142289 A KR 20150142289A KR 1020140070810 A KR1020140070810 A KR 1020140070810A KR 20140070810 A KR20140070810 A KR 20140070810A KR 20150142289 A KR20150142289 A KR 20150142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amera
subject
lens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0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환
문정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써비코씨엔에스
김중환
문정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써비코씨엔에스, 김중환, 문정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써비코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140070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42289A/ko
Publication of KR20150142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22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11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 A61B1/00016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using wireless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25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power management
    • A61B1/00027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power management characterised by power supp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0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for annular illu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61Endoscope light sources
    • A61B1/0684Endoscope light sources using light emitting diodes [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30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vagina, i.e. vaginosco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1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the display also being used for user input, e.g. touch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3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using menus, i.e. presenting the user with a plurality of selectable op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4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for image preview or review, e.g. to help the user position a sh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진단용 영상 촬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에 위치한 렌즈를 이용해 영상을 촬영하고, 후면에 정보 입력 및 정보 표시를 위한 터치스크린이 위치하며, 촬영된 영상을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카메라, 렌즈의 둘레 측으로부터 피사체 방향으로 신장된 원통 형상으로서, 피사체 방향 끝단에는 피사체를 조광하기 위한 조명원이 구비된 경통부, 및 카메라의 하단에 결합된 손잡이 형상으로서, 내부에 조명원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포함하고, 전원선을 이용해 배터리의 전원을 조명원으로 공급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촬영자가 한 손을 이용해 촬영 장치를 제어하면서 피 진단자를 용이하게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무선 통신을 통해 원격지로 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료진단용 영상 촬영 장치 {Imaging apparatus for medical diagnosis}
본 발명은 영상 촬영 장치와 관련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료 진단을 위한 영상을 용이하게 촬영하여 무선 통신을 이용해 전송함으로써 원격지에서 각종 의료 진단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의료진단용 영상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료진단용 검사 방법의 일종인 자궁경부암 검사 방법으로는, 그 검사 방법이 비교적 간단한 자궁경부 세포진 검사와, 자궁경부를 확대 촬영하여 자궁경부암의 이상 유무를 판독하는 자궁경부 확대 촬영법 등이 있다. 그런데 자궁경부 세포진 검사의 경우 거짓양성(위양성)과 거짓음성(위음성)의 확률이 높아, 자궁경부 확대 촬영법이 널리 쓰이고 있다.
자궁경부 확대 촬영법은 카메라 장치를 이용해 자궁경부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기반으로 이상 여부를 판단하며, 세포진 검사와 함께 수행되는 경우 98%의 높은 정확도를 갖는다.
그런데 기존의 자궁경부 확대 촬영 장비는, 촬영장비, 촬영 영상의 확인 장비, 조명장비 등이 별개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장비가 롤러를 이용해 움직이거나 철제 구조물 등에 부착되어 운동함으로써, 차지하는 공간이 크고 동작의 제어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자궁경부를 촬영한 영상을 촬영 장비와 별개의 장치에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다시 수집하여 전송하여야 함으로써, 영상의 촬영 및 전송까지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4-0069297호 (2004년 08월 05일 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 조명 및 손잡이를 소형의 단일 장치로 구성하여 그 제어가 용이하도록 하고, 촬영된 영상을 각종 세부 정보와 함께 손쉽게 전송하여 원격지에서 진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의료진단용 영상 촬영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의료진단용 영상 촬영 장치는, 전면에 위치한 렌즈를 이용해 영상을 촬영하고, 후면에 정보 입력 및 정보 표시를 위한 터치스크린이 위치하며, 촬영된 영상을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카메라, 상기 렌즈의 둘레 측으로부터 피사체 방향으로 신장된 원통 형상으로서, 피사체 방향 끝단에는 피사체를 조광하기 위한 조명원이 구비된 경통부, 및 상기 카메라의 하단에 결합된 손잡이 형상으로서, 내부에 상기 조명원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포함하고, 전원선을 이용해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조명원으로 공급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의료진단용 영상 촬영 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손잡이부를 쥔 손의 손가락을 이용해 터치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부와 인접한 하단 부분에 상기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의료진단용 영상 촬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 영역은, 촬영 제어, 확대 및 축소 제어 또는 밝기 제어를 위한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의료진단용 영상 촬영 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터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터치 영역이 터치됨에 따라 터치 위치에 대응하는 영상을 확대하여 보거나 삭제하기 위한 메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의료진단용 영상 촬영 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촬영된 영상에 대한 세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터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세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터치 영역이 터치됨에 따라 차트번호 또는 환자의 인적사항을 입력하기 위한 메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의료진단용 영상 촬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부 정보는 일군의 촬영된 영상에 대한 공통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의료진단용 영상 촬영 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촬영된 영상 및 대응하는 세부 정보를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기 위한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의료진단용 영상 촬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명원은, 상기 경통부의 끝단의 둘레를 따라 위치한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의료진단용 영상 촬영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통부는, 피사체 방향 끝단의 중앙에 위치한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원은 해당 렌즈의 둘레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의료진단용 영상 촬영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통부는, 상기 카메라의 렌즈가 피사체 방향으로 신장되거나 수축됨에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의료진단용 영상 촬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카메라와 삼각대를 결속하는 부분을 이용해, 상기 카메라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의료진단용 영상 촬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조명원으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를 포함하고, 해당 스위치는 상기 손잡이부를 쥔 손의 손가락을 이용해 온 또는 오프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부의 측면, 피사체 방향의 전면 또는 피사체 방향과 대향하는 후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의료진단용 영상 촬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소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의료진단용 영상 촬영 장치에 따르면,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피사체를 조광하여 영상이 촬영되도록 보조하는 조명, 전체 장치를 손에 쥐고 다룰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를 하나의 장치에 구현하여, 촬영자가 한 손을 이용해 촬영 장치를 제어하면서 자궁경부 등을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의 후면 터치스크린 중 손잡이와 인접한 하단 부분에 카메라의 동작 제어를 위한 터치 영역을 위치시키고, 촬영자가 촬영 장치를 손에 쥔 채로 엄지 손가락이나 검지 손가락 등을 이용해 해당 터치 영역을 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촬영자가 용이하게 촬영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촬영 장치에서 촬영된 영상을 곧바로 무선 통신을 이용해 원격지로 전송할 수 있어, 촬영 및 전송에 이르는 전 과정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촬영일이나 환자의 인적사항과 같은 세부 정보를 영상과 함께 전송하여 진단에 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더하여 손잡이의 내부에 조명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위치시켜 별도의 부피 증가 없이 조명의 동작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손잡이에 위치한 스위치를 이용해 조명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어, 촬영 장치의 위치이동, 촬영 자세 제어 및 조명 제어를 한 손으로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카메라에 일반적으로 위치하는 삼각대 결속 부분에 손잡이를 결합할 수 있으므로, 상용 카메라의 물리적 구성을 변화시킴이 없이 본원 발명의 영상 촬영 장치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를 손에 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의 모습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의 표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터치스크린에 촬영된 영상에 대한 메뉴가 표시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터치스크린에 세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메뉴가 표시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피 진단자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는 장치와 관련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100)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100)를 손에 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30)의 모습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영상 촬영 장치(100)는 카메라(10), 경통부(20) 및 손잡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경통부(20)는 카메라(10)의 전면에 위치하고, 손잡이부(30)는 카메라의 하단에 위치한다.
카메라(10)는 전면에 위치한 렌즈를 이용해 영상을 촬영하는 기기이다. 카메라(10)는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후면에 정보 입력과 정보 표시를 동시에 수행하기 위한 터치스크린이 위치한다. 영상을 촬영하는 사용자는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된 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특정 터치 영역을 터치함으로써 촬영을 위한 각종 기능을 제어할 수 있으며, 촬영된 영상을 확인하거나 각종 세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10)의 터치스크린은, 손잡이(30)와 인접한 하단 부분에 카메라(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 영역을 포함한다. 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잡이부(30)를 한 손으로 쥔 상태로, 해당 손의 손가락(2)(예를 들어 엄지 손가락 또는 검지 손가락)을 이용해, 카메라(10)의 동작 제어를 위한 터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카메라(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 영역은 촬영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 영역(11), 피사체의 확대 및 축소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 영역(12), 촬영되는 영상의 밝기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 영역(1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0)의 터치스크린은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터치 영역(1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해당 터치 영역이 터치되면, 터치 위치에 대응하는 영상과 관련한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공되는 메뉴는 촬영된 영상을 확대하여 보거나 삭제하기 위한 메뉴일 수 있다.
더하여 카메라(10)의 터치스크린은 촬영된 영상에 대한 세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터치 영역(1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해당 터치 영역이 터치되면, 촬영된 영상과 관련하여 차트번호나 환자의 인적사항 등을 입력하기 위한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되는 세부 정보는 단일 영상에 대한 정보일 수도 있고, 일군을 이루는 복수의 촬영된 영상에 대한 공통 정보일 수도 있다.
한편 카메라(10)는 촬영된 영상을 무선 통신을 통해 원격지의 장치로 전송하여 의료진단을 행하는 진단자가 장소에 관계없이, 피 진단자와 관련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카메라(10)는 촬영된 영상 및 대응하는 세부 정보를 무선 통신을 통해 함께 전송할 수 있으며, 카메라(10)의 터치스크린은 이러한 전송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터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경통부(20)는 카메라(10)의 렌즈 둘레 측으로부터 피사체 방향으로 신장된 원통 형상의 구성이다. 경통부(20)는 피사체 방향 끝단에 피사체를 조광하기 위한 조명원(21)을 구비한다. 조명원(21)은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와 같이 직진성이 있는 광을 조광하는 광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조명원(21)은 경통부(20)의 끝단 둘레를 따라 위치할 수 있다.
경통부(20)의 피사체 방향 끝단 중앙에는 피사체를 확대하기 위한 렌즈(22)가 위치하며, 조명원(21)은 렌즈(22)의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경통부(20)는, 카메라(10)의 촬영 배율을 확대하거 축소함에 따라 카메라(10)의 렌즈가 피사체 방향으로 신장되거나 수축되는 이동 동작을 지원하기에 충분한 내부 공간을 제공한다.
손잡이부(30)는 카메라(10)의 하단에 결합된 손잡이 형상의 구성으로서, 사용자가 영상 촬영 장치(100)를 한 손에 쥐고 다룰 수 있도록 한다. 통상의 카메라는 하부에 삼각대를 나사 결속하는 결합 부분을 포함하는데, 본 실시예에서 손잡이부(30)는 이러한 삼각대의 결속 부분을 이용해 카메라(10)와 결합할 수 있으며, 나사 결속을 위한 조임 나사(33)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카메라(10)의 물리적 구성을 변경하지 않고도 손잡이부(30)를 카메라(10)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손잡이부(30)는 그 내부에, 조명원(21)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포함하고, 전원선(1)을 이용해 해당 배터리의 전원을 조명원(21)으로 공급한다. 이때 손잡이부(30)는 조명원(21)으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31)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손잡이부(30)를 한 손에 쥔 채로, 해당 손의 손가락을 이용해 스위치(31)를 온(on) 또는 오프(off)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스위치(31)는 손잡이부(30)의 측면이나 피사체 방향 전면 또는 피사체 방향과 대향하는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부(30)의 측면에는 전원선(1)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단자(32)가 위치하며, 연결 단자(32)에 전원선(1)이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스위치(31)가 온 되면, 손잡이부(30) 내부의 배터리로부터 조명원(21)으로 전원이 공급된다.
또한 손잡이부(30)는 내부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소켓(34)을 포함하며, 이러한 소켓(3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30)의 하단에 위치할 수도 있고, 다른 곳에 위치할 수도 있다.
카메라(10)의 터치스크린에 각종 정보가 표시되는 모습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의 표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터치스크린은 피사체의 방향과 대향하는 카메라의 후면에 위치하며, 정보의 입력과 정보의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도 5에서 터치스크린의 하단에는 촬영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 영역(11), 피사체의 확대 및 축소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 영역(12), 촬영되는 영상의 밝기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 영역(13)이 위치한다. 이를 통해 영상 촬영 장치의 손잡이를 손에 쥔 채로, 해당 손의 손가락을 이용해 각 터치 영역(11, 12, 13)을 터치할 수 있다. 이는 한 손으로 영상 촬영 장치의 촬영 위치나 자세를 조정하면서 촬영 동작까지 마무리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영상 촬영의 편의성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터치스크린의 상단에는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터치 영역(14) 및 촬영된 영상에 대한 세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터치 영역(15)이 위치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터치스크린에 촬영된 영상에 대한 메뉴(16)가 표시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터치스크린의 상태에서,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터치 영역(14)을 터치한 경우, 터치 위치에 대응하는 영상에 대한 메뉴(16)가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에서 메뉴(16)의 상단에는 세부 메뉴를 선택할 수 있음을 표시하고 있으며, 메뉴(16)는 촬영된 모든 영상을 삭제하거나, 터치 위치에 대응하는 특정 영상을 삭제하거나, 터치 위치에 대응하는 특정 영상을 터치스크린에 표시하여 볼 수 있도록 하거나, 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세부 메뉴를 포함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터치스크린에 세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메뉴(17)가 표시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터치스크린의 상태에서, 촬영된 영상에 대한 세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터치 영역(15)을 터치한 경우, 촬영된 영상과 관련하여 차트번호 및 환자의 인적사항을 입력하기 위한 메뉴(17)가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에서 메뉴(17)의 상단에는 영상이 촬영된 연월시가 표시되어 있으며, 메뉴(17)는 촬영된 영상에 대한 차트 번호를 입력하거나, 피 진단자인 환자의 성명을 입력하거나, 환자의 생년월일을 입력하기 위한 세부 메뉴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각 세부 메뉴를 클릭한 후 제공되는 터치스크린 상의 자판 등을 이용해 각종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도 7의 우측에는 촬영된 영상을 무선 통신을 이용해 원격지의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터치 영역(18)이 존재한다. 사용자가 터치 영역(18)을 터치하면 촬영된 영상과 대응하는 세부 정보가 함께 전송되어 진단에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1: 전원선 10: 카메라
20: 경통부 21: 조명원
22: 렌즈 30: 손잡이부
31: 스위치 32: 연결 단자
33: 조임 나사 34: 소켓

Claims (13)

  1. 전면에 위치한 렌즈를 이용해 영상을 촬영하고, 후면에 정보 입력 및 정보 표시를 위한 터치스크린이 위치하며, 촬영된 영상을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카메라;
    상기 렌즈의 둘레 측으로부터 피사체 방향으로 신장된 원통 형상으로서, 피사체 방향 끝단에는 피사체를 조광하기 위한 조명원이 구비된 경통부; 및
    상기 카메라의 하단에 결합된 손잡이 형상으로서, 내부에 상기 조명원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포함하고, 전원선을 이용해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조명원으로 공급하는 손잡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진단용 영상 촬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손잡이부를 쥔 손의 손가락을 이용해 터치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부와 인접한 하단 부분에 상기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진단용 영상 촬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 영역은, 촬영 제어, 확대 및 축소 제어 또는 밝기 제어를 위한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진단용 영상 촬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터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터치 영역이 터치됨에 따라 터치 위치에 대응하는 영상을 확대하여 보거나 삭제하기 위한 메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진단용 영상 촬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촬영된 영상에 대한 세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터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세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터치 영역이 터치됨에 따라 차트번호 또는 환자의 인적사항을 입력하기 위한 메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진단용 영상 촬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부 정보는 일군의 촬영된 영상에 대한 공통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진단용 영상 촬영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촬영된 영상 및 대응하는 세부 정보를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기 위한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진단용 영상 촬영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원은, 상기 경통부의 끝단의 둘레를 따라 위치한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진단용 영상 촬영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경통부는, 피사체 방향 끝단의 중앙에 위치한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원은 해당 렌즈의 둘레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진단용 영상 촬영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통부는, 상기 카메라의 렌즈가 피사체 방향으로 신장되거나 수축됨에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진단용 영상 촬영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카메라와 삼각대를 결속하는 부분을 이용해, 상기 카메라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진단용 영상 촬영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조명원으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를 포함하고, 해당 스위치는 상기 손잡이부를 쥔 손의 손가락을 이용해 온 또는 오프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부의 측면, 피사체 방향의 전면 또는 피사체 방향과 대향하는 후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진단용 영상 촬영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소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진단용 영상 촬영 장치.
KR1020140070810A 2014-06-11 2014-06-11 의료진단용 영상 촬영 장치 KR201501422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810A KR20150142289A (ko) 2014-06-11 2014-06-11 의료진단용 영상 촬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810A KR20150142289A (ko) 2014-06-11 2014-06-11 의료진단용 영상 촬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289A true KR20150142289A (ko) 2015-12-22

Family

ID=55081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0810A KR20150142289A (ko) 2014-06-11 2014-06-11 의료진단용 영상 촬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4228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5712A (ko) * 2018-04-03 2019-10-1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소도체 등심 영상 획득기
WO2021085987A1 (ko) * 2019-10-28 2021-05-06 주식회사 아이도트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
KR20220095985A (ko) * 2020-12-30 2022-07-07 (주)엔티엘헬스케어 빛 반사 감소기술이 적용된 자궁경부 진단 카메라 장치
US11998168B2 (en) 2019-10-28 2024-06-04 Aidot Inc. Uterine cervical image acquisition apparatu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9297A (ko) 2004-06-22 2004-08-05 홍인표 백색발광 다이오드와 370~420nm 파장을 이용한 자궁 경부 형광 촬영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9297A (ko) 2004-06-22 2004-08-05 홍인표 백색발광 다이오드와 370~420nm 파장을 이용한 자궁 경부 형광 촬영기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5712A (ko) * 2018-04-03 2019-10-1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소도체 등심 영상 획득기
WO2021085987A1 (ko) * 2019-10-28 2021-05-06 주식회사 아이도트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
KR20210050629A (ko) * 2019-10-28 2021-05-10 주식회사 아이도트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
JP2023500246A (ja) * 2019-10-28 2023-01-05 アイドッ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子宮頸部画像獲得装置
EP4042928A4 (en) * 2019-10-28 2023-11-01 Aidot Inc. DEVICE FOR TAKING CERVICAL IMAGES
US11998168B2 (en) 2019-10-28 2024-06-04 Aidot Inc. Uterine cervical image acquisition apparatus
KR20220095985A (ko) * 2020-12-30 2022-07-07 (주)엔티엘헬스케어 빛 반사 감소기술이 적용된 자궁경부 진단 카메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2173B1 (en) Digital imaging ophthalmoscope
US20190133424A1 (en) Encasement platform for smartdevice for attachment to endoscope
US20220192471A1 (en) Detachable shafts for endoscopes
WO2006071948A2 (en) Endoscopic imaging system
EP3419497B1 (en) Circuit board assembly for a multiple viewing element endoscope using cmos sensors
US11172825B1 (en) Handheld multipurpose medical diagnostic instrument for examination of ears, eyes, nose, throat, and body temperature
CN104127164A (zh) 一种便携式智能医用内窥镜
KR20150142289A (ko) 의료진단용 영상 촬영 장치
WO2018235489A1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CN106650201A (zh) 移动式诊疗系统
US20180084996A1 (en) A wireless imagin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WO2018179979A1 (ja) 制御装置、外部機器、医療用観察システム、制御方法、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WO2018221068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1559132B1 (ko) 휴대형 내시경 시스템
CN204883038U (zh) 样本检测用便携式平板电脑数码显微镜
CN103948362A (zh) 便携式内镜摄录系统
US10176726B2 (en) Handheld, portable vision aid device and vision aid system
CN206178826U (zh) 移动式诊疗系统
CN110740675A (zh) 改进的腹腔镜相机系统和设备
JP2015033007A (ja) 画像処理装置
CN220860054U (zh) 直肠视频检查装置
KR101601410B1 (ko) 휴대용 내시경 시스템
CN110946549A (zh) 一种阴道检测装置
CN107951458A (zh) 一种操作灵活的检耳镜
CN213940681U (zh) 带wifi模块的可视喉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