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0619A - 전동기 밸런싱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전동기 밸런싱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0619A
KR20210050619A KR1020190134458A KR20190134458A KR20210050619A KR 20210050619 A KR20210050619 A KR 20210050619A KR 1020190134458 A KR1020190134458 A KR 1020190134458A KR 20190134458 A KR20190134458 A KR 20190134458A KR 20210050619 A KR20210050619 A KR 20210050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unit
support
unit
electric motor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4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순섭
고명진
이성호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34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0619A/ko
Publication of KR20210050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06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 G01M1/02Details of balancing machines or devices
    • G01M1/04Adaptation of bearing support assemblies for receiving the body to be tes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00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 G01H1/1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of longitudinal or not specified vibrations
    • G01H1/14Frequenc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 G01M1/02Details of balancing machines or devices
    • G01M1/06Adaptation of drive assemblies for receiving the body to be tes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 G01M1/14Determining imbalance
    • G01M1/16Determining imbalance by oscillating or rotating the body to be tested
    • G01M1/22Determining imbalance by oscillating or rotating the body to be tested and converting vibrations due to imbalance into electric varia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66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exciting or detecting vibration or accele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Balance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동기 밸런싱 측정장치는, 회전축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지지유닛, 상기 제1지지유닛과 이격되어 회전축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지지유닛, 제1지지유닛 및 상기 제2지지유닛에 안착된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유닛 및 상기 회전축이 상기 구동유닛에 의해 회전되는 과정에서의 흔들림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측정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동기 밸런싱 측정장치{Balance Measuring Apparatus for Electric Motor}
본 발명은 전동기 밸런싱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동기의 밸런싱을 정밀하게 측정하도록 하여, 전동기의 회전축에 대한 정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동기 밸런싱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동기는 전류가 흐르는 도체가 자기장 속에서 받는 힘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역학적 에너지로 바꾸는 장치로서, 설계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전동기 구동을 위한 제어기 설계에 활용하기 위해 개발 초기 단계에서부터 정확한 특성 파라미터를 측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전동기는 기계의 복잡성, 공차, 방진 등과 같은 다양한 고려 요소에 따라 제작될 필요가 있으므로, 종래에는 미리 밸런싱 작업이 이루어진 부품을 구매하여 전동기를 조립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기존 전동기 제작 시에는 밸런싱 공정이 생략되며, 샘플링 측정을 통해 제품을 제작하므로 질량 불평형을 가진 회전체에 의해 전동기 수명과 효율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전동기의 회전자 및 샤프트 축을 포함하는 축계의 밸런싱을 측정하여 정밀한 교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전동기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기술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22098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전동기의 회전자 및 샤프트 축을 포함하는 축계의 밸런싱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여, 소음 저감 및 진동 저감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동기 밸런싱 측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동기 밸런싱 측정장치는, 회전축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지지유닛, 상기 제1지지유닛과 이격되어 회전축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지지유닛, 제1지지유닛 및 상기 제2지지유닛에 안착된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유닛 및 상기 제1지지유닛 및 상기 제2지지유닛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의 일측 및 타측에서 발생하는 진동량을 측정하는 가속도센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지지유닛 및 상기 제2지지유닛은, 상기 회전축을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를 지지하는 보조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보조지지부에 대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유닛 및 상기 제2지지유닛은, 조작에 의해 상기 지지부의 높이를 미세 조절하는 높이조절나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유닛은,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와 구동력 전달부재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의 일부가 관통하도록 상기 제1지지유닛 또는 상기 제2지지유닛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풀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제1지지유닛 또는 상기 제2지지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구동력 전달부재의 일부를 권취하는 보조풀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구동모터와의 이격 거리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어, 상기 구동력 전달부재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력조절모듈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와의 이격 거리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거리가변부 및 상기 거리가변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구동력 전달부재의 일부를 권취하는 장력조절풀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제1지지유닛 및 상기 제2지지유닛에 구비되어 상기 제1지지유닛 및 상기 제2지지유닛 상에 안착된 회전축을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제1지지유닛 및 상기 제2지지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의 하부에 접촉되는 한 쌍의 지지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제1지지유닛 및 상기 제2지지유닛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하이동부 및 상기 상하이동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상하이동부의 높이 조절을 통해 상기 회전축의 상부에 접촉되는 고정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제1지지유닛 또는 상기 제2지지유닛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지지유닛과 상기 제2지지유닛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폭조절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폭조절유닛은, 상기 제1지지유닛 또는 상기 제2지지유닛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1지지유닛 또는 상기 제2지지유닛과 나사산에 의해 치합되도록 형성되는 폭조절바 및 조작에 의해 상기 폭조절바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폭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동기 밸런싱 측정장치는 전동기 조립 전 단계에서 축과 열박음된 회전자에 대한 밸런싱 측정을 통해 축계의 밸런싱 정도를 정밀등급인 0.4g 이내로 관리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와 같이 회전자 밸런싱 등급을 정밀 하게 관리함으로써 소음 저감/진동 저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회전자의 위치를 원하는 대로 변화시키면서도 축의 정렬 상태를 유지하며 전동기의 축계 밸런싱을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측정 대상이 되는 전동기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밸런싱 측정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밸런싱 측정장치에 있어서, 제2지지유닛에 구비되어 회전축을 고정시키는 구성요소들을 자세히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밸런싱 측정장치에 있어서, 폭조절유닛을 통해 제1지지유닛을 이동시키는 모습을 자세히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밸런싱 측정장치에 있어서, 구동유닛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자세히 나타낸 도면;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밸런싱 측정장치에 있어서, 거치된 회전축의 높이를 조절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측정 대상이 되는 전동기(1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측정 대상으로 하는 전동기는 로터 및 스테이터가 내부에 구비되는 몸체(12)와, 로터와 연결되어 로터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축(14)을 포함한다.
이때 회전축(14)은 일단부 및 타단부가 하우징(12)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가지며, 제1직경을 가지는 대경부(14a)와, 제1직경보다 작은 제2직경을 가지는 소경부(14b)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회전축(14)의 일측 및 타단의 대경부(14a) 부분에는, 축 베어링(16)이 각각 압입된 상태를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전동기의 회전자 및 회전축(14)을 포함하는 축계의 밸런싱을 측정하기 위한 전동기 밸런싱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밸런싱 측정장치(1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밸런싱 측정장치(100)는 제1지지유닛(110)과, 제2지지유닛(120)과, 구동유닛(150)과, 가속도센서(140)와, 고정유닛(130)과, 폭조절유닛(170)을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유닛(110)은 전동기(10)의 회전축(14) 일측을 지지하며, 상기 제2지지유닛(120)은 상기 제1지지유닛(110)과 이격되도록 구비되고, 전동기(10)의 회전축(14) 타측을 지지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지지유닛(110) 및 상기 제2지지유닛(120)에 의해 지지되는 지점은 전동기(10)의 회전축(14)에 양단에 압입된 축 베어링(16) 부분인 것으로 하였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지지유닛(110) 및 상기 제2지지유닛(120)은 베이스플레이트(102) 상에 구비되며, 각각 상기 회전축(14)을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112, 122)와, 상기 지지부(112, 122)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112, 122)를 지지하는 보조지지부(114, 124)로 분할된 형태를 가진다.
이때 상기 지지부(112, 122)는 상기 보조지지부(114, 124)에 대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개별 조절을 통해 회전축(14)의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그리고 고정유닛(130)은 상기 제1지지유닛(110) 및 상기 제2지지유닛(120)에 구비되어 상기 제1지지유닛(110) 및 상기 제2지지유닛(120) 상에 안착된 회전축(14)을 고정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유닛(130)은 상기 제1지지유닛(110) 및 상기 제2지지유닛(12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14)의 하부에 접촉되는 한 쌍의 지지베어링(136)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한 쌍의 지지베어링(136)은 상기 회전축(14)이 회전할 경우,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회전축(14)이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보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유닛(130)은, 상기 제1지지유닛(110) 및 상기 제2지지유닛(12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하이동부(132)와, 상기 상하이동부(132)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상하이동부(132)의 높이 조절을 통해 상기 회전축(14)의 상부에 접촉되는 고정베어링(1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상하이동부(132) 및 상기 고정베어링(134)은 상기 회전축(14)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필요가 있을 경우, 하부의 지지베어링(136)과 연동하여 회전축(14)의 상부를 가압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폭조절유닛(170)은, 상기 제1지지유닛(110) 또는 상기 제2지지유닛(120)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지지유닛(110)과 상기 제2지지유닛(120)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폭조절유닛(170)은 상기 제1지지유닛(110) 또는 상기 제2지지유닛(120)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1지지유닛(110) 또는 상기 제2지지유닛(120)과 나사산에 의해 치합되도록 형성되는 폭조절바(172)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폭조절바(17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폭조작부(17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폭조절유닛(170)이 베이스플레이트(102) 상에 구비되며, 상기 폭조절바(172)는 제1지지유닛(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연결부(116)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폭조절유닛(170)은 제1지지유닛(110)을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하였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로서 상기 폭조절유닛(170)은 제2지지유닛(120)과 연결되어 폭 조절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구동유닛(150)은 상기 제1지지유닛(110) 및 상기 제2지지유닛(120)에 안착된 전동기(10)의 회전축(14)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요소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밸런싱 측정장치에 있어서, 구동유닛(150)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유닛(150)은,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51)와, 상기 구동모터(151)의 회전축 단부에 구비되는 모터풀리(152)와, 상기 구동모터(151)의 모터풀리(152)와 구동력 전달부재(B)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14)의 일부가 관통하도록 상기 제1지지유닛(110) 또는 상기 제2지지유닛(120)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151)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14)을 회전시키는 구동풀리(15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구동풀리(153)는 중심부에 상기 회전축(14)이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구동풀리(153)에는 삽입홀 내에 삽입된 회전축(14)을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나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유닛(150)은, 상기 제2지지유닛(12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구동력 전달부재(B)의 일부를 권취하는 보조풀리(154)와, 상기 구동모터(151)와의 이격 거리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어, 상기 구동력 전달부재(B)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모듈(15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력조절모듈(155)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가이드레일(158)과, 상기 가이드레일(158)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151)와의 이격 거리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거리가변부(157)와, 상기 거리가변부(157)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구동력 전달부재(B)의 일부를 권취하는 장력조절풀리(156)를 포함한다.
즉 상기 장력조절모듈(155)은 상기 거리가변부(157) 및 상기 장력조절풀리(156)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으로 구동력 전달부재(B)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가속도센서(140)는 상기 제1지지유닛(110) 및 상기 제2지지유닛(120)에 각각 구비되어, 전동기(10)의 회전축(14) 일측 및 타측에서 발생하는 진동량을 측정하는 구성요소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레이저 등과 같은 측정수단이 아닌 가속도센서(140)를 적용하는 이유는, 회전축(14)의 고속 회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진동에 대해 상대적으로 물리적 안정성이 높기 때문이며, 이를 통해 측정 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속도센서(140)를 통해 센싱된 진동값, 그리고 구동모터(151)의 RPM값 등은 별도의 필드 밸런스 모니터링장치(미도시)로 전송되어 처리된 후 기 설정된 UI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를 통해 밸런싱 측정 및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지지유닛(110) 및 상기 제2지지유닛(120)은 상기 지지부(112, 122)가 상기 보조지지부(114, 124)에 대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유닛(110) 및 상기 제2지지유닛(120)은, 조작에 의해 상기 지지부(112, 122)의 높이를 미세 조절하는 높이조절나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나사(160)는 상기 지지부(112, 122) 또는 상기 보조지지부(114, 124)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다른 하나와는 나사산을 통해 치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높이조절나사(160)를 회전 조작할 경우, 상기 지지부(112, 122)가 상하 이동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회전축(14)의 높이를 미세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전동기
100: 전동기 밸런싱 측정장치
110: 제1지지유닛
120: 제2지지유닛
130: 고정유닛
140: 가속도센서
150: 구동유닛
160: 미세조절나사
170: 폭조절유닛

Claims (13)

  1. 전동기의 회전축 일측을 지지하는 제1지지유닛;
    상기 제1지지유닛과 이격되어 전동기의 회전축 타측을 지지하는 제2지지유닛;
    상기 제1지지유닛 및 상기 제2지지유닛에 안착된 전동기의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유닛; 및
    상기 제1지지유닛 및 상기 제2지지유닛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의 일측 및 타측에서 발생하는 진동량을 측정하는 가속도센서;
    를 포함하는 전동기 밸런싱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유닛 및 상기 제2지지유닛은,
    상기 회전축을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를 지지하는 보조지지부;
    를 포함하는 전동기 밸런싱 측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보조지지부에 대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전동기 밸런싱 측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유닛 및 상기 제2지지유닛은,
    조작에 의해 상기 지지부의 높이를 미세 조절하는 높이조절나사를 더 포함하는 전동기 밸런싱 측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와 구동력 전달부재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의 일부가 관통하도록 상기 제1지지유닛 또는 상기 제2지지유닛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풀리;
    를 포함하는 전동기 밸런싱 측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제1지지유닛 또는 상기 제2지지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구동력 전달부재의 일부를 권취하는 보조풀리를 더 포함하는 전동기 밸런싱 측정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구동모터와의 이격 거리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어, 상기 구동력 전달부재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모듈을 더 포함하는 전동기 밸런싱 측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모듈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와의 이격 거리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거리가변부; 및
    상기 거리가변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구동력 전달부재의 일부를 권취하는 장력조절풀리;
    를 포함하는 전동기 밸런싱 측정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유닛 및 상기 제2지지유닛에 구비되어 상기 제1지지유닛 및 상기 제2지지유닛 상에 안착된 회전축을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더 포함하는 전동기 밸런싱 측정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제1지지유닛 및 상기 제2지지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의 하부에 접촉되는 한 쌍의 지지베어링을 포함하는 전동기 밸런싱 측정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제1지지유닛 및 상기 제2지지유닛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하이동부; 및
    상기 상하이동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상하이동부의 높이 조절을 통해 상기 회전축의 상부에 접촉되는 고정베어링;
    을 더 포함하는 전동기 밸런싱 측정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유닛 또는 상기 제2지지유닛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지지유닛과 상기 제2지지유닛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폭조절유닛을 더 포함하는 전동기 밸런싱 측정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폭조절유닛은,
    상기 제1지지유닛 또는 상기 제2지지유닛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1지지유닛 또는 상기 제2지지유닛과 나사산에 의해 치합되도록 형성되는 폭조절바; 및
    조작에 의해 상기 폭조절바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폭조작부;
    를 포함하는 전동기 밸런싱 측정장치.
KR1020190134458A 2019-10-28 2019-10-28 전동기 밸런싱 측정장치 KR202100506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458A KR20210050619A (ko) 2019-10-28 2019-10-28 전동기 밸런싱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458A KR20210050619A (ko) 2019-10-28 2019-10-28 전동기 밸런싱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619A true KR20210050619A (ko) 2021-05-10

Family

ID=75918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4458A KR20210050619A (ko) 2019-10-28 2019-10-28 전동기 밸런싱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061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59750A (zh) * 2023-07-28 2023-08-29 常州市万禾精密冲压有限公司 一种电机铁芯动平衡检测设备
CN116878736A (zh) * 2023-09-07 2023-10-13 武汉工程大学 一种机械设计运动平衡检测装置和检测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2098A (ko) 2004-09-06 2006-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동기의 밸런스웨이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2098A (ko) 2004-09-06 2006-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동기의 밸런스웨이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59750A (zh) * 2023-07-28 2023-08-29 常州市万禾精密冲压有限公司 一种电机铁芯动平衡检测设备
CN116659750B (zh) * 2023-07-28 2023-10-10 常州市万禾精密冲压有限公司 一种电机铁芯动平衡检测设备
CN116878736A (zh) * 2023-09-07 2023-10-13 武汉工程大学 一种机械设计运动平衡检测装置和检测方法
CN116878736B (zh) * 2023-09-07 2023-11-21 武汉工程大学 一种机械设计运动平衡检测装置和检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50619A (ko) 전동기 밸런싱 측정장치
US4193293A (en) Apparatus for determining blood elasticity parameters
US5760586A (en)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meter
JP2002502484A (ja) ベアリングデバイス
US7239050B2 (en) Uniaxial drive unit and surface shape measur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070278054A1 (en) Yarn brake with settable braking force
CN102866355A (zh) 用于数控直接进给轴的直线电机功率性能测试试验装置
US4347734A (en) Rotary viscometer
US6622571B2 (en) Apparatus for measuring tension and stress capable of adjusting an angle of measurement
KR20210050618A (ko) 회전체 축 흔들림 측정장치
CN206074254U (zh) 一种滚动丝杠的动刚度测试装置
US2722824A (en) Apparatus for testing antifriction bearings
JP2001241905A (ja) 粗さ測定装置
Hathaway Sub-micro-Newton resolution thrust balance
JP2016045048A (ja) タイヤまたはタイヤ付ホイールの試験装置
CN113611195B (zh) 一种动力减振实验装置和实验方法
CN111595226A (zh) 一种电动机轴向间隙检测装置及方法
US2983148A (en) Apparatus for use in the dynamic balancing of rotors
CN115790930A (zh) 一种高适应性高精度永磁电机齿槽转矩测量装置及方法
CN1023255C (zh) 天平式电机转矩测试仪
JP3953014B2 (ja) 張力計
CN116718315B (zh) 一种矿用机械轮轴的动平衡检测装置
CN110398367A (zh) 用于测量滑动轴承动态系数的测量装置
CN213579148U (zh) 一种角度传感器测试治具
JP2011196836A (ja) 動バランス計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