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8070A -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8070A
KR20210048070A KR1020190131905A KR20190131905A KR20210048070A KR 20210048070 A KR20210048070 A KR 20210048070A KR 1020190131905 A KR1020190131905 A KR 1020190131905A KR 20190131905 A KR20190131905 A KR 20190131905A KR 20210048070 A KR20210048070 A KR 20210048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charger
vehicle
abnorm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1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준
신현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1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8070A/ko
Priority to US16/816,739 priority patent/US11518264B2/en
Publication of KR20210048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80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2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in response to charging parameters, e.g. current, voltage or electrical 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46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electric energy storage systems,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8Off-site monitoring or control, e.g. remot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5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7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60Navigation input
    • B60L2240/64Road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70Interactions with external data bases, e.g. traffic cent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70Interactions with external data bases, e.g. traffic centres
    • B60L2240/72Charging station selection relying on external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충전소의 충전기 별 정상/비정상 여부를 판별하고, 그 판별 정보를 기초로 충전소까지의 경로 안내를 실시하며, 판별 정보를 타 사용자와 공유함으로써 사용자들의 편의를 도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은, 충전기의 정보와 충전 차량의 정보, 상기 충전기 및 상기 충전 차량의 충전 이력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기의 기대 출력과 실제 출력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충전기의 기대 출력보다 상기 충전기의 실제 출력이 더 작을 때 상기 충전기를 비정상 충전기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및 그 제어 방법{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에 관한 것으로, 충전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구성되는 친환경 차량에 관한 것이다.
친환경 차량은 별도의 충전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배터리를 충전하고, 배터리의 충전 전력을 주행을 위한 에너지로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고장 충전기는 충전 기능을 전혀 수행하지 못하기 때문에 쉽게 식별하여 고장 표시를 통해 해당 충전기를 사용하지 않도록 유도하지만, 충전이 가능하기는 하지만 기능 장애로 인하여 정상적인 출력을 발생시키지 못하는 비정상 충전기는 비록 정격 출력에는 미치지 못하더라도 어느 정도 충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정상 충전기와 구분하여 운용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비정상 충전기의 경우, 충전을 위한 출력이 정격 출력보다 작기 때문에 요구 충전량을 충전하기까지 정상 충전기보다 더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 이로 인해 충전기의 정격 출력을 기대하는 사용자가 비정상 충전기를 사용하면 예상보다 더 긴 시간을 충전을 위해 대기해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충전소의 충전기 별 정상/비정상 여부를 판별하고, 그 판별 정보를 기초로 충전소까지의 경로 안내를 실시하며, 판별 정보를 타 사용자와 공유함으로써 사용자들의 편의를 도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은, 충전기의 정보와 충전 차량의 정보, 상기 충전기 및 상기 충전 차량의 충전 이력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기의 기대 출력과 실제 출력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충전기의 기대 출력보다 상기 충전기의 실제 출력이 더 작을 때 상기 충전기를 비정상 충전기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차량 제어 방법에서, 상기 충전기의 기대 출력은, 상기 충전 차량의 배터리 셀 전압 및 배터리 온도 별 충전 전류의 관계를 나타내는 값과, 상기 충전기를 통한 예상 충전 시간, 상기 충전기의 정격 충전 용량 가운데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판단되고, 상기 충전기의 실제 출력은, 상기 차량에 인가되는 실제 충전 전류와, 상기 차량에서의 실제 충전 시간, 상기 충전기의 실제 충전 용량 가운데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판단된다.
상술한 차량 제어 방법은, 상기 비정상 충전이 차량 문제에 기인한 비정상 충전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 문제로 인해 비정상 충전이 이루어지는 충전기들을 정상 충전기로 분류하고, 상기 정상 충전기로 분류된 충전기들을 상기 비정상 충전기로 분류된 충전기들의 목록에서 제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차량 제어 방법에서, 상기 비정상 충전이 차량 문제에 기인한 비정상 충전인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기에서 출력되는 전력보다 상기 충전 차량에서 입력 받는 전력이 더 작을 때 상기 충전기의 비정상 충전의 원인이 상기 충전 차량의 문제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술한 차량 제어 방법에서, 상기 비정상 충전이 차량 문제에 기인한 비정상 충전인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기 및 충전 차량의 정보에 기초하여 발생하는 전류 지령이 상기 정보의 내용에 상응하지 않을 때 상기 충전기의 비정상 충전의 원인이 상기 충전 차량의 문제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술한 차량 제어 방법에서, 상기 비정상 충전이 차량 문제에 기인한 비정상 충전인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 차량에서의 충전 케이블의 비정상적 체결로 인해 충전 소요 시간이 길어질 때 상기 충전기의 비정상 충전의 원인이 상기 충전 차량의 문제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술한 차량 제어 방법에서, 상기 비정상 충전이 차량 문제에 기인한 비정상 충전인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 차량의 배터리 이상으로 인해 충전 전류량 및 충전 시간이 비정상일 때 상기 충전기의 비정상 충전의 원인이 상기 충전 차량의 문제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술한 차량 제어 방법은, 상기 비정상 충전기의 정보를 표시부의 지도 상에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선택한 충전기의 위치로 경로를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차량 제어 방법은, 상기 비정상 충전기의 정보를 원격지의 서버로 전송하여 공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은, 충전기의 정보와 충전 차량의 정보, 상기 충전기 및 상기 충전 차량의 충전 이력의 정보를 수신하도록 마련되는 수신부와; 획득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기의 기대 출력과 실제 출력을 계산하도록 마련되는 연산부와; 상기 충전기의 기대 출력보다 상기 충전기의 실제 출력이 더 작을 때 상기 충전기를 비정상 충전기로 분류하도록 마련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차량에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충전 차량의 배터리 셀 전압 및 배터리 온도 별 충전 전류의 관계를 나타내는 값과, 상기 충전기를 통한 예상 충전 시간, 상기 충전기의 정격 충전 용량 가운데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판단하고, 상기 차량에 인가되는 실제 충전 전류와, 상기 차량에서의 실제 충전 시간, 상기 충전기의 실제 충전 용량 가운데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기의 실제 출력을 판단한다.
상술한 차량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정상 충전이 차량 문제에 기인한 비정상 충전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차량 문제로 인해 비정상 충전이 이루어지는 충전기들을 정상 충전기로 분류하고, 상기 정상 충전기로 분류된 충전기들을 상기 비정상 충전기로 분류된 충전기들의 목록에서 제외한다.
상술한 차량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기에서 출력되는 전력보다 상기 충전 차량에서 입력 받는 전력이 더 작을 때 상기 충전기의 비정상 충전의 원인이 상기 충전 차량의 문제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상술한 차량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기 및 충전 차량의 정보에 기초하여 발생하는 전류 지령이 상기 정보의 내용에 상응하지 않을 때 상기 충전기의 비정상 충전의 원인이 상기 충전 차량의 문제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상술한 차량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 차량에서의 충전 케이블의 비정상적 체결로 인해 충전 소요 시간이 길어질 때 상기 충전기의 비정상 충전의 원인이 상기 충전 차량의 문제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상술한 차량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 차량의 배터리 이상으로 인해 충전 전류량 및 충전 시간이 비정상일 때 상기 충전기의 비정상 충전의 원인이 상기 충전 차량의 문제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상술한 차량에서, 상기 비정상 충전기의 정보를 표시부의 지도 상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충전기의 위치로 경로를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차량에서, 상기 비정상 충전기의 정보를 원격지의 서버로 전송하여 공유하도록 마련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충전소의 충전기 별 정상/비정상 여부를 판별하고, 그 판별 정보를 기초로 충전소까지의 경로 안내를 실시하며, 판별 정보를 타 사용자와 공유함으로써 사용자들의 편의를 도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차량의 충전소 판별을 위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친환경 차량의 충전기 판별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충전 차량의 배터리 셀 전압 / 배터리 온도 별 충전 전류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충전기 조회 결과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차량의 충전소 판별을 위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차량(100)은 수신부(102)와 연산부(104), 송신부(106), 표시부(108)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친환경 차량(100)은 국가 충전 관리 서버(150)와 통신하여 충전기의 정상/비정상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충전기 판별 결과를 국가 충전 관리 서버(150)로 피드백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차량(100)에서의 충전기 판별 결과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차량(100)에서 타 차량(170)으로 직접 전송되거나, 또는 국가 충전 관리 서버(150)에서 타 차량(170)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정상 충전기(Normal Charger)'와 '비정상 충전기(Abnormal Charger)', '고장 충전기(Broken Charger)'는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먼저 '정상 충전기'는, 충전 시 정상적으로 동작하여 해당 충전기의 기대 출력(예를 들면 정격 출력)대로 충전을 위한 출력이 이루어지는 충전기를 의미한다. '비정상 충전기'는, 차량의 충전이 이루어지기는 하지만, 충전기의 부분적인 문제(기능 장애)로 인하여 해당 충전기의 기대 출력(정격 출력)대로 출력이 이루어지지 않고, 정격 출력보다 작은 출력을 발생시키는 충전기를 의미한다. '고장 충전기'는 말 그대로 해당 충전기에 고장이 발생하여 충전 기능을 전혀(또는 거의) 수행할 수 없는 충전기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고장 충전기는 충전 기능을 전혀 수행하지 못하기 때문에 쉽게 식별하여 고장 표시를 통해 해당 충전기를 사용하지 않도록 유도하지만, 충전이 가능하기는 하지만 기능 장애로 인하여 정상적인 출력을 발생시키지 못하는 비정상 충전기는 비록 정격 출력에는 미치지 못하더라도 어느 정도 충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정상 충전기와 구분하여 운용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비정상 충전기의 경우, 충전을 위한 출력이 정격 출력보다 작기 때문에 요구 충전량을 충전하기까지 정상 충전기보다 더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 이로 인해 충전기의 정격 출력을 기대하는 사용자가 비정상 충전기를 사용하면 예상보다 더 긴 시간을 충전을 위해 대기해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충전소의 충전기 별 정상/비정상 여부를 판별하고, 그 판별 정보를 기초로 충전소까지의 경로 안내를 실시하며, 판별 정보를 타 사용자와 공유함으로써 사용자들의 편의를 도모하고자 한다.
국가 충전 관리 서버(150)는 전국의 전기 충전소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운용하는 서버이다. 즉, 각 충전소의 위치와 충전기 보유 현황, 각 충전기의 사용 이력 및 규격, 충전기를 이용한 차량들의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해 놓고, 친환경 차량 사용자들의 요구에 응답하여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국가 충전 관리 서버(150)의 정보 축적은 등록된 충전소 및 국가 충전 관리 서버(150)에 등록된 차량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진다.
친환경 차량(100)의 수신부(102)는 국가 충전 관리 서버(150)로부터 충전소 별 충전기 정보를 수신한다. 수신부(102)를 통해 수신되는 충전소 별 충전기 정보는 해당 충전기의 고유 식별 정보와 규격, 직전 충전 이력, 직전 충전 차량의 정보를 포함한다.
친환경 차량(100)의 연산부(104)는 수신부(102)를 통해 수신된 충전소 별 충전기 정보를 미리 정의된 판별 기준에 따라 연산을 수행하여 각 충전기의 정상/비정상 여부를 판별한다. 충전기의 정상/비정상 여부의 판별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2 및 도 3을 통해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친환경 차량의 송신부(106)는 연산부(104)에서의 판별 결과를 정보 저장 및 갱신을 목적으로 국가 충전 관리 서버(150)로 피드백 하거나 또는 공유를 목적으로 타 차량(170)에게 제공한다. 국가 충전 관리 서버(150)에 제공된 정보가 국가 충전 관리 서버(150)에서 타 차량(170)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친환경 차량의 표시부(108)는 충전소 별 충전기의 판별 결과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내비게이션 화면의 지도 상에 각 충전소들을 표시하되, 각 충전소에 마련되어 있는 충전기들 가운데 정상적인 충전기와 비정상적인 충전기, 고장난 충전기의 존재 여부 또는 비율에 따라 각 충전소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4를 통해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제어부(110)는 수신부(102)와 연산부(104), 송신부(106), 표시부(108)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여 충전소 별 정보 수집과 분석, 표시 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친환경 차량의 충전기 판별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친환경 차량(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충전소 조회 요청을 수신한다(202). 충전소 조회 요청은 사용자(운전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을 통해 발생한다. 예를 들면 친환경 차량(100)에 마련되어 있는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충전소 조회 메뉴 선택에 의해 충전소 조회 요청이 발생할 수 있다. 또는, 충전소 조회 요청을 위해 별도로 마련된 버튼의 조작에 의해 충전소 조회 요청이 발생할 수 있다. 또는 미리 약속된 음성이나 제스처를 통해서도 충전소 조회 요청이 발생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충전소 조회 요청의 수신에 응답하여, 충전기 관리 서버인 국가 충전 관리 서버(150)로부터 충전소 정보를 조회한다(204). 즉, 제어부(110)는 국가 충전 관리 서버(150)로부터 각 충전소의 위치와 충전기 보유 현황, 각 충전기의 사용 이력 및 규격, 충전기를 이용한 차량들의 정보들을 조회한다.
이 경우 친환경 차량(100)이 국가 충전 관리 서버(150)로부터 획득하는 정보들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아래의 정보에서 '충전 차량'은 해당 충전기에서 충전을 실시했던 차량을 의미한다. 즉, 친환경 차량(100)이 국가 충전 관리 서버(150)로부터 획득하는 정보들은 각 충전기 별 기대 출력(정격 출력)을 확인하기 위한 정보와 해당 충전기에서 실제로 충전을 실시했던 충전 차량들의 충전 이력(충전 결과)의 정보를 포함한다.
1) 충전 소요 시간(hr)
2) 배터리 셀 온도(℃)
3) 배터리 셀 전압(V)
4) 충전 에너지량(kWh)
5) 충전기의 정격 용량(kW)
6) 충전기의 제공 전류(A)
7) 충전 차량의 충전 전류(A)
8) 충전 차량의 전류 지령(A)
충전 소요 시간(hr)은 각 충전기 별 실제 충전에 소요된 시간이다.
배터리 셀 온도(℃)는 충전 시 해당 충전 차량의 배터리 셀의 온도이다.
배터리 셀 전압(V)은 충전 시 해당 충전 차량의 배터리 셀의 전압이다.
충전 에너지량(kWh)은 충전 시 해당 충전 차량의 배터리에 실제로 충전되는 단위 시간 당 에너지의 양이다.
충전기의 정격 용량(kW)은 해당 충전기의 제조사에서 발표한 규격(specification) 상의 정격 충전 에너지량이다.
충전기의 제공 전류(A)는 해당 충전기의 제조사에서 발표한 규격(specification) 상의 정격 충전 전류량이다.
충전 차량의 충전 전류(A)는 충전 시 해당 충전 차량의 배터리에 실제로 충전되는 전류량이다.
충전 차량의 전류 지령(A)은 충전 차량에서 충전기에 요구하는 전류량이다. 충전 시, 충전 차량은 배터리의 온도에 따라 배터리의 컷 오프 전압이 설정되는데, 배터리의 온도와 컷 오프 전압에 따라 전류 지령의 크기(즉 충전 차량에서 충전기에 요구하는 충전 전류의 크기)가 결정된다.
제어부(110)는, 국가 충전 관리 서버(150)로부터 획득한 정보들(각 충전소의 위치와 충전기 보유 현황, 각 충전기의 사용 이력 및 규격, 충전기를 이용한 차량들의 정보들)의 분석(연산)을 통해 비정상 충전기를 확인한다(206). 즉, 각 충전기 별 기대 출력(정격 출력)과 해당 충전기에서 다른 차량들이 실제로 충전한 실제 충전 결과를 비교하여 그 차이로부터 해당 충전기의 정상/비정상 여부를 확인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10)는, 앞서 설명한 204 동작에서 획득한 정보들을 분석(연산)하여 다음의 조건 A1 내지 조건 A3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확인한다. 만약 다음의 세 가지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해당 충전기를 비정상 충전기인 것으로 잠정 판단한다. 비정상 충전기 여부의 최종 판단은 나중에 설명하게 될 차량 문제 여부 확인 이후에 이루어진다.
(조건 A1) 충전 차량의 배터리 셀 전압 / 배터리 온도 별 충전 전류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의 값과 충전 차량의 실제의 충전 전류를 비교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오차가 발생한 경우
(조건 A2) 예상 충전 시간보다 실제 충전 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 더 긴 경우
(조건 A3) 충전기의 정격 충전 용량 대비 실제 충전 용량이 더 작은 경우
제어부(110)는 위의 조건 A1의 성립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충전 온도(℃)와 셀 전압(V), 충전기의 제공 전류(A), 충전 차량의 충전 전류(A), 충전 차량의 전류 지령(A)의 정보를 이용한다. 충전 차량의 배터리의 충전은 배터리 셀 전압의 영향을 받는다. 배터리 셀의 전압은 배터리의 온도에 영향을 받는다. 또한 배터리 셀의 전압은 배터리의 에너지 사용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앞에서, 충전 차량의 배터리 셀 전압 / 배터리 온도 별 충전 전류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에 기초하여 충전 차량의 전류 지령의 값이 결정됨을 설명한 바 있다. 충전기가 정상인 경우 충전기의 실제 출력 전류는 충전 차량의 전류 지령과 일치하거나, 또는 오차 허용 범위 내의 크기를 가져야 한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충전 차량의 전류 지령과 충전기에서 실제로 출력되는 전류의 크기를 비교하고, 만약 충전기의 실제 출력 전류량이 친환경 차량의 전류 지령을 만족하지 못하면(오차가 허용 범위를 벗어나면), 해당 충전기를 비정상 충전기로 잠정 판단한다. 예를 들면, 허용 오차 범위가 ±10A일 때, 전류 지령이 90A임에도 불구하고 충전기의 실제 출력 전류가 50A이면, 오차가 허용 오차 범위를 크게 벗어나므로, 제어부(110)는 해당 충전기를 비정상 충전기로 잠정 판단한다.
도 3은 충전 차량의 배터리 셀 전압 / 배터리 온도 별 충전 전류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친환경 차량(100)의 제어부(110)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은 테이블을 참조하여 전류 지령을 생성하고, 이 전류 지령을 충전기에 전달함으로써 충전기에서 이 전류 지령에 상응하는 충전 전류가 출력되도록 한다.
도 2로 돌아와서, 제어부(110)는 위의 조건 A2의 성립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충전 소요 시간(hr)과 충전 에너지량(kWh)의 정보를 이용한다. 즉, 제어부(110)는 전류(A)와 전압(V)을 이용하여 에너지(kWh)를 적산하여 배터리의 충전 목표 SOC(State Of Charge)에 해당하는 에너지에 도달하기 까지의 충전 완료 예상 시간을 계산한다. 만약 계산된 충전 완료 예상 시간보다 실제의 충전 완료 시간이 비정상적으로 더 긴 경우(미리 설정된 오차 이상으로 더 긴 경우), 제어부(110)는 해당 충전기를 비정상 충전기로 잠정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위의 조건 A3의 성립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충전기의 정격 충전 용량(kW)의 정보를 이용한다. 각 충전소마다 설치되어 있는 충전기들 각각은 충전 제공 가능한 정격 충전 용량이 있다(예를 들면, 50kW급, 100kW급 등). 모든 기계에는 실제 효율이 존재하고 이 실제 효율을 적용하면 완벽하게 정격 충전 용량(50kW, 100kW)이 출력되지는 않는다. 다만, 정상적인 경우라면 정격 충전 용량 대비 실제 충전 용량의 오차가 허용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제어부(110)는 충전기의 충전 이력을 조회하고, 각 충전기마다 정격 충전 용량과 실제 충전 용량을 비교하여 그 오차가 허용 오차 범위를 벗어나면 해당 충전기를 비정상 충전기로 잠정 판단한다. 예를 들면, 정격 충전 용량이 50kW이고 허용 오차 범위가 ±5kW인 충전기에서 실제 충전 용량이 25kW라면, 해당 충전기의 실제 충전 용량이 정격 충전 용량보다 25kW나 작고, 그 오차가 허용 오차 범위인 ±5kW를 훨씬 벗어나므로, 해당 충전기는 비정상 충전기로 잠정 판단할 수 있다.
국가 충전 관리 서버(150)로부터 획득한 정보의 분석 결과와 실제 충전 결과의 비교를 통해 비정상 충전기의 확인이 완료되면, 제어부(110)는 확인된 충전기들의 비정상 충전이 충전기의 문제가 아닌 충전 차량의 문제에 기인한 것은 아닌지를 확인하기 위해 차량 문제 여부를 확인한다(208). 즉, 실제로 비정상 충전의 원인이 충전 차량의 문제에 기인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충전기의 문제에 기인한 것으로 잘 못 판단할 수 있으므로, 충전 차량에서의 문제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해당 충전기의 비정상 충전의 원인이 충전기의 문제로 인한 것인지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비정상 충전의 원인이 충전 차량에 있는 경우, 제어부(110)는 해당 충전기를 정상 충전기로 분류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10)는 다음의 조건 B1 내지 조건 B4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비정상 충전의 원인이 충전기가 아닌 충전 차량 자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충전기를 비정상 충전기가 아닌 정상 충전기로 분류한다.
(조건 B1) 충전기에서 정격 용량의 전력이 출력되지만, 충전 차량에서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의 문제로 충전기의 정격 용량만큼 전력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경우
(조건 B2) 충전 차량에서 데이터 판독 오류로 인해 올바른 전류 지령을 생성하지 못하는 경우
(조건 B3) 충전 차량에서의 충전 케이블의 비정상적 체결로 인해 충전 소요 시간이 길어지는 경우
(조건 B4) 충전 차량의 배터리 이상으로 인해 충전 전류량 및 충전 시간이 비정상인 경우
조건 B1의 경우, 충전기에서 정격 용량의 전력이 출력되지만, 충전 차량에서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의 문제로 충전기의 정격 용량만큼 전력을 받아들이지 못하면, 충전 시간이 충전 예상 시간보다 더 길어진다. 이 경우는 충전 시간이 길어지는 원인이 충전 차량 즉 충전 차량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의 문제이므로, 제어부(110)는 해당 충전기를 정상 충전기로 분류한다.
조건 B2의 경우, 충전 차량 즉 충전 차량에서 센서의 오동작으로 인해 잘못된 값을 검출하면, 이로 인해 잘못된 전류 지령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충전 차량에서의 센서의 오동작으로 인해 잘못된 전류 지령이 발생한 경우, 제어부(110)는 해당 충전기를 정상 충전기로 분류한다. 예를 들면, 만약 충전 차량의 온도 센서에 문제가 있다면, 충전기의 온도 측정 값과 충전 차량의 온도 측정 값, 국가 충전 관리 서버(150)의 온도 데이터의 비교를 통해 충전 차량의 온도 측정 값에 문제가 있음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충전 차량인 충전 차량의 온도 측정 값에 문제가 있음이 확인되면, 이 때의 전류 지령이 올바른 값이 아닌 것으로 인정하여 해당 충전기를 정상 충전기로 분류한다.
조건 B3의 경우, 충전 차량 즉 충전 차량의 충전 단자와 충전기를 연결하는 케이블의 커넥터가 충전 차량의 충전 단자에 올바르게 체결되지 않으면, 충전기는 커넥터 락(Connector Lock)을 시도하다가 포기하고 충전을 중단하게 된다. 이럴 경우 충전기에서 충전 차량으로 전력이 전송되지 못하므로, 해당 충전기를 비정상 충전기로 잘 못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만약 충전 단자에서의 커넥터 락 시도 횟수가 정상의 경우보다 더 많으면, 제어부(110)는 충전 차량에서의 커넥터 연결 문제로 인한 비정상 충전으로 인식하여 해당 충전기를 정상 충전기로 분류한다.
조건 B4의 경우, 충전 차량 즉 충전 차량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BMS)에서 배터리 셀 간 전압을 모니터링하고, 전류 지령을 생성하는데 이용된 특정 배터리 셀의 전압이 다른 배터리 셀의 전압에 비해 두드러지게 차별되는 경우(특별히 높거나 또는 특별히 낮은 경우), 제어부(110)는 이 경우의 비정상 충전이 충전 차량의 배터리 문제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충전기를 정상 충전기로 분류한다.
비정상 충전기의 확인(206)과 충전 차량에서의 문제 여부 확인(208)이 완료되면, 제어부(110)는 이 확인 결과들을 종합하여 최종적으로 비정상 충전기를 판별한다(210). 즉, 앞서 설명한 비정상 충전기 확인 결과(206)에서 비정상 충전기로 확인된 충전기들 가운데 충전 차량의 문제로 비정상적인 충전이 이루어진 경우의 충전기를 제외한 나머지 충전기들을 실제로 비정상적인 충전이 이루어지는 비정상 충전기로 최종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비정상 충전기의 최종 판별 결과를 표시부(108)를 통해 표시한다(212). 도 4는 충전기 조회 결과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각각의 충전소를 '모든 충전기가 정상 동작하는 충전소'와 '일부 충전기가 비정상 동작하는 충전소', '모든 충전기가 비정상 동작하는 충전소'로 구분하여 표시부(108) 상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운전자)에게 충전소 정보를 제공한다.
제어부(110)는, 표시부(108) 상에 충전소 정보를 표시할 때, 지도 상에 각 충전소의 위치를 표시하고, 각 충전소 별로 정상 충전기와 비정상 충전기의 비율을 백분율 또는 분수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사용자(운전자)가 표시부(108)에 표시되는 충전소 아이콘을 선택하면, 표시부(108)의 화면을 전환하여 해당 충전소의 충전기 정보를 좀 더 구체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10)는 선택된 충전소의 각 충전기 별 정상/비정상 판정 여부와 해당 충전기들 각각의 충전 예상 시간을 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운전자)는, 표시부(108)에 표시되는 충전소 정보 및 충전기 정보를 참조하여 원하는 조건의 충전소(충전기)를 선택하고, 선택된 충전소(충전기)로 내비게이션의 경로 안내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운전자)는 비록 충전 속도가 느린 비정상 충전기를 보유하더라도 친환경 차량(100)의 현재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충전소를 선택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운전자)는 비록 가까운 거리가 아니더라도 충전 속도가 빠른 정상 충전기를 보유한 충전소를 선택할 수 있다.
표시부(108)에 표시되는 충전소 정보 및 충전기 정보는 국가 충전 관리 서버(150)로 전달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됨으로써, 다른 친환경 차량들도 참조할 수 있다.
위의 설명은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위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친환경 차량
102 : 수신부
104 : 연산부
106 : 송신부
108 : 표시부
110 : 제어부
150 : 국가 충전 관리 서버
170 : 타 차량

Claims (18)

  1. 충전기의 정보와 충전 차량의 정보, 상기 충전기 및 상기 충전 차량의 충전 이력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기의 기대 출력과 실제 출력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충전기의 기대 출력보다 상기 충전기의 실제 출력이 더 작을 때 상기 충전기를 비정상 충전기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의 기대 출력은,
    상기 충전 차량의 배터리 셀 전압 및 배터리 온도 별 충전 전류의 관계를 나타내는 값과, 상기 충전기를 통한 예상 충전 시간, 상기 충전기의 정격 충전 용량 가운데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판단되고,
    상기 충전기의 실제 출력은,
    상기 차량에 인가되는 실제 충전 전류와, 상기 차량에서의 실제 충전 시간, 상기 충전기의 실제 충전 용량 가운데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판단되는 차량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 충전이 차량 문제에 기인한 비정상 충전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 문제로 인해 비정상 충전이 이루어지는 충전기들을 정상 충전기로 분류하고, 상기 정상 충전기로 분류된 충전기들을 상기 비정상 충전기로 분류된 충전기들의 목록에서 제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 충전이 차량 문제에 기인한 비정상 충전인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기에서 출력되는 전력보다 상기 충전 차량에서 입력 받는 전력이 더 작을 때 상기 충전기의 비정상 충전의 원인이 상기 충전 차량의 문제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 충전이 차량 문제에 기인한 비정상 충전인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기 및 충전 차량의 정보에 기초하여 발생하는 전류 지령이 상기 정보의 내용에 상응하지 않을 때 상기 충전기의 비정상 충전의 원인이 상기 충전 차량의 문제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 충전이 차량 문제에 기인한 비정상 충전인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 차량에서의 충전 케이블의 비정상적 체결로 인해 충전 소요 시간이 길어질 때 상기 충전기의 비정상 충전의 원인이 상기 충전 차량의 문제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 충전이 차량 문제에 기인한 비정상 충전인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 차량의 배터리 이상으로 인해 충전 전류량 및 충전 시간이 비정상일 때 상기 충전기의 비정상 충전의 원인이 상기 충전 차량의 문제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 충전기의 정보를 표시부의 지도 상에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선택한 충전기의 위치로 경로를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 충전기의 정보를 원격지의 서버로 전송하여 공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10. 충전기의 정보와 충전 차량의 정보, 상기 충전기 및 상기 충전 차량의 충전 이력의 정보를 수신하도록 마련되는 수신부와;
    획득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기의 기대 출력과 실제 출력을 계산하도록 마련되는 연산부와;
    상기 충전기의 기대 출력보다 상기 충전기의 실제 출력이 더 작을 때 상기 충전기를 비정상 충전기로 분류하도록 마련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충전 차량의 배터리 셀 전압 및 배터리 온도 별 충전 전류의 관계를 나타내는 값과, 상기 충전기를 통한 예상 충전 시간, 상기 충전기의 정격 충전 용량 가운데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기의 기대 출력을 판단하고,
    상기 차량에 인가되는 실제 충전 전류와, 상기 차량에서의 실제 충전 시간, 상기 충전기의 실제 충전 용량 가운데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기의 실제 출력을 판단하는 차량.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정상 충전이 차량 문제에 기인한 비정상 충전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차량 문제로 인해 비정상 충전이 이루어지는 충전기들을 정상 충전기로 분류하고, 상기 정상 충전기로 분류된 충전기들을 상기 비정상 충전기로 분류된 충전기들의 목록에서 제외하는 차량.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기에서 출력되는 전력보다 상기 충전 차량에서 입력 받는 전력이 더 작을 때 상기 충전기의 비정상 충전의 원인이 상기 충전 차량의 문제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차량.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기 및 충전 차량의 정보에 기초하여 발생하는 전류 지령이 상기 정보의 내용에 상응하지 않을 때 상기 충전기의 비정상 충전의 원인이 상기 충전 차량의 문제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차량.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 차량에서의 충전 케이블의 비정상적 체결로 인해 충전 소요 시간이 길어질 때 상기 충전기의 비정상 충전의 원인이 상기 충전 차량의 문제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차량.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 차량의 배터리 이상으로 인해 충전 전류량 및 충전 시간이 비정상일 때 상기 충전기의 비정상 충전의 원인이 상기 충전 차량의 문제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차량.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 충전기의 정보를 표시부의 지도 상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충전기의 위치로 경로를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 충전기의 정보를 원격지의 서버로 전송하여 공유하도록 마련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KR1020190131905A 2019-10-23 2019-10-23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4807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905A KR20210048070A (ko) 2019-10-23 2019-10-23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16/816,739 US11518264B2 (en) 2019-10-23 2020-03-12 Monitoring and controlling vehicle charging facility informa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905A KR20210048070A (ko) 2019-10-23 2019-10-23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070A true KR20210048070A (ko) 2021-05-03

Family

ID=75585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1905A KR20210048070A (ko) 2019-10-23 2019-10-23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518264B2 (ko)
KR (1) KR2021004807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09931A1 (en) * 2021-03-23 2022-09-2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uiding vehicles to charging points
DE102021119965A1 (de) * 2021-08-02 2023-02-0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Laden eines Elektrofahrzeugs an einer Ladesäule
US20230158910A1 (en) * 2021-11-22 2023-05-25 Rivian Ip Holdings, Llc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fleet charging optimization
DE102021214171A1 (de) 2021-12-12 2023-06-15 eClever Entwicklungs OHG Verfahren zur prüfung von ladesäulen und deren funktionsumfang
LU500992B1 (de) 2021-12-12 2023-06-12 Eclever Entw Ohg Verfahren zur prüfung von ladesäulen und deren funktionsumfang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6449B1 (ko) 2010-04-12 2011-11-25 한국전력공사 원거리 인식 충전소 상태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20130089711A (ko) 2011-12-29 2013-08-13 주식회사 효성 충전 에이전트 기반의 전기차 충전시스템
US11440431B2 (en) * 2012-01-17 2022-09-13 Shwu-Jiang Liang Managing and monitoring car-battery and tires to assure safe operation and providing arrival ready battery and tire services
US20150298565A1 (en) * 2012-09-03 2015-10-22 Hitachi, Ltd. Charging support system and charging support method for electric vehicle
KR101449170B1 (ko) 2012-12-17 2014-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충전소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91559B1 (ko) 2015-08-07 2016-12-30 주식회사 유디존테크놀로지 전기자동차의 충전인프라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EP3438610B1 (en) * 2016-03-31 2020-07-08 Nissan Motor Co., Ltd. Charging facility notification method and information presentation device
KR20180084285A (ko) * 2017-01-16 2018-07-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에 충전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07656B1 (ko) 2017-08-29 2018-10-12 주식회사 아모티 전기차 충전기 고장관리 운영 시스템
KR20190043764A (ko) 2017-10-19 2019-04-29 주식회사 하이엔시스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상태 확인을 위한 IoT 장치 및 방법
JP2019129671A (ja) * 2018-01-26 2019-08-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充電器およびそれを備えた充電システム、ならびに、充電器の異常診断方法
JP6984555B2 (ja) * 2018-07-10 2021-12-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ーバ、車両および充電情報提供方法
JP2020108244A (ja) * 2018-12-27 2020-07-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および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22257A1 (en) 2021-04-29
US11518264B2 (en) 202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48070A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11051145B2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server,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10919397B2 (en) Vehicle, method of controlling vehicle, and charging system
US10549644B2 (en) Server and charging system
US11097629B2 (en) Charging connection detection
US20130110340A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nd, and method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EP2787597A1 (en) Charging system and charging reservation method
US10308126B2 (en) Char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charging apparatus
US11872896B2 (en) Multi-electric source vehicle
CN113682184B (zh) 电动汽车的充电检测方法、装置及系统
EP3640081A1 (en) Vehicle and charging system
US20200108730A1 (en) Diagnosis apparatus, diagnosis method, and program
CN103459189A (zh) 车辆充电装置、配备充电装置的车辆、以及电流传感器的偏差校正方法
US2016015608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verter
CN111376781A (zh) 车辆及其控制方法
KR20170072992A (ko) 전기자동차 충전케이블 제어장치 및 전기자동차 전력충전 제어시스템
KR20150113391A (ko) 전기자동차 충전장치의 소비전력 절감 시스템
US10955453B2 (en) Neuro-adaptive onboard/offboard fault detector for digital charging
JP2020078183A (ja) 異常解析装置
JP2014063090A (ja) 停電エリア特定装置、停電エリア特定方法及び停電エリア特定システム
US11738652B2 (en) Vehicle including vehicle-side charging/discharging device
EP3865883A1 (en) Power amount measurement system, power amount measurement method, and power amount measurement device
CN117879078A (zh) 充放电状态显示装置
JP2023091287A (ja) 車両および車両の制御装置
JP2022076657A (ja) 制御装置、非接触給電診断プログラム、及び、非接触給電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