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7824A - 프라이머리스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프라이머리스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7824A
KR20210047824A KR1020207036392A KR20207036392A KR20210047824A KR 20210047824 A KR20210047824 A KR 20210047824A KR 1020207036392 A KR1020207036392 A KR 1020207036392A KR 20207036392 A KR20207036392 A KR 20207036392A KR 20210047824 A KR20210047824 A KR 20210047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dhesive composition
polyurethane adhesive
less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6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디에트마르 골롬보우스키
세르지오 그룬더
Original Assignee
디디피 스페셜티 일렉트로닉 머티리얼즈 유에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디피 스페셜티 일렉트로닉 머티리얼즈 유에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디디피 스페셜티 일렉트로닉 머티리얼즈 유에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10047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782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09J175/08Polyurethanes from poly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C08G18/12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using two or more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the first polymerisa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6Catalysts
    • C08G18/161Catalysts containing two or more components to be covered by at least two of the groups C08G18/166, C08G18/18 or C08G18/22
    • C08G18/163Catalysts containing two or more components to be covered by at least two of the groups C08G18/166, C08G18/18 or C08G18/22 covered by C08G18/18 and C08G18/22
    • C08G18/165Catalysts containing two or more components to be covered by at least two of the groups C08G18/166, C08G18/18 or C08G18/22 covered by C08G18/18 and C08G18/22 covered by C08G18/18 and C08G18/24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6Catalysts
    • C08G18/18Catalysts containing secondary or tertiary amines or salts thereof
    • C08G18/20Heterocyclic amines; Salts thereof
    • C08G18/2009Heterocyclic amines; Salts thereof containing one heterocyclic ring
    • C08G18/2018Heterocyclic amines; Salts thereof containing one heterocyclic ring having one nitrogen atom in the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6Catalysts
    • C08G18/22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 C08G18/24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of tin
    • C08G18/244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of tin tin salts of carboxylic acids
    • C08G18/246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of tin tin salts of carboxylic acids containing also tin-carbo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2805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2815Monohydroxy compounds
    • C08G18/283Compounds containing ether groups, e.g. oxyalkylated mono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2805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288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one heteroatom other than oxygen or nitrogen
    • C08G18/289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one heteroatom other than oxygen or nitrogen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04Two or more polyethers of different physical or chemical nature
    • C08G18/4812Mixtures of polyetherdiols with polyetherpolyols having at least three hydr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25Polyethers containing two hydr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29Polyethers containing at least three hydr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21Two or more polyisocyanate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08G18/73 - C08G18/80
    • C08G18/725Combination of polyisocyanates of C08G18/78 with other polyis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5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 C08G18/766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5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 C08G18/766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 C08G18/767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containing only one alkylene bispheny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having heteroatoms in addition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
    • C08G18/78Nitrogen
    • C08G18/79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791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containing isocyanurate groups
    • C08G18/792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containing isocyanurate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aliphatic and/or cycloaliphatic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08K2003/265Calcium, strontium or barium carbon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6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surface are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9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the composition being defined by the absence of a certain addit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a) 이소시아네이트 모이어티를 갖는 하나 이상의 우레탄 예비중합체; (b) 촉매량의 하나 이상의 촉매; (c) 하나 이상의 충전제; (d) 하나 이상의 실란 접착 촉진제; 및 (e) 하나 이상의 단일작용성 폴리알킬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프라이머리스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
본 발명은 유리를 구조체에 접합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는 프라이머리스(primerless)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우레탄 실란트(접착제) 조성물은 많은 산업에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자동차 산업에서,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은 유리 물체, 예를 들어 윈드 쉴드, 백라이트 창 및 쿼터 글래스(quarter glass)와 같은 기재를 차체 구조체에 접합시키는 데 사용된다.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를 실란 접착 촉진제와 함께 함유한다.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을 유리와 같은 기재에 접합시키기 위해, 전처리 단계는 접착제 조성물의 내구성 있는 장기간의 접착 촉진을 제공하도록 프라이머 또는 활성화제를 기재에 적용하여 실시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표준 표면 처리는 유리 프라이머 또는 와이프 처리, 또는 반응성 화학기를 통해 화학적 표면 연결을 증가시키는 연마 처리로 대표된다. 일반적인 간소화 및 공정 합리화의 일환으로, 많은 차량 제조업체들은 별개의 프라임 조성물을 이용한 표면 전처리 단계를 제거하려고 시도해 왔다. 이를 통해, 접착제를 별개의 프라임 도포 단계 없이 유리 또는 페인트 위에 직접 도포하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간소화된 도포의 핵심 요건은 장기 내구성을 갖춘 접합부를 형성하기 위해 페인트, e-코트 및 유리에 대한 접착제의 접착력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전체 차량 라이프 사이클을 견디기 위해 표면 전처리하는 것 없이 유리 표면과 같은 기재에 대한 매우 우수한 접착 촉진을 나타내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다음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a) 이소시아네이트 모이어티를 갖는 하나 이상의 우레탄 예비중합체;
(b) 촉매량의 하나 이상의 촉매;
(c) 하나 이상의 충전제;
(d) 하나 이상의 실란 접착 촉진제; 및
(e) 하나 이상의 단일작용성 폴리알킬렌 글리콜.
예시적인 일 실시 형태에서,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2개의 기재의 접합 방법이 제공된다:
(a)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을 제1 기재의 적어도 일부에 적용하는 단계(여기서,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은 (i) 이소시아네이트 모이어티를 갖는 하나 이상의 우레탄 예비중합체; (ii) 촉매량의 하나 이상의 촉매; (iii) 하나 이상의 충전제; (iv) 하나 이상의 실란 접착 촉진제; 및 (v) 하나 이상의 단일작용성 폴리알킬렌 글리콜을 포함함);
(b) 제2 기재를 제1 기재와 접촉시키는 단계; 및
(c) 제1 기재와 제2 기재 사이에 접착 접합을 형성하도록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단계.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은 유리하게는 하나 이상의 단일작용성 폴리알킬렌 글리콜을 사용함으로써 기재에 대한 전처리 단계를 사용하지 않고서 유리와 같은 기재에 접착된다. 따라서, 단일작용성 폴리글리콜의 사용은 접착 가공 동안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의 원위치 지방족 말단 캡핑을 통해 내구성 프라이머리스 유리 접착을 제공한다. 이는 다시 상용화 구성 요소로서의 접합 기재에 대한 화학적 상용성을 조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며, 카타플라즘(cataplasm) 접착 성능의 열화를 야기하는 수분 흡수를 감소시킬 것이다.
(a) 이소시아네이트 모이어티를 갖는 하나 이상의 우레탄 예비중합체; (b) 촉매량의 하나 이상의 촉매; (c) 하나 이상의 충전제; (d) 하나 이상의 실란 접착 촉진제; 및 (e) 하나 이상의 단일작용성 폴리알킬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이 개시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이라는 용어는 인용된 성분 중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초과가 이용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성분 (a)인 이소시아네이트 모이어티를 갖는 상기 하나 이상의 우레탄 예비중합체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임의의 통상적인 예비중합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우레탄 예비중합체는 적어도 2.0개의 평균 이소시아네이트 작용체 및 적어도 2,000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임의의 예비중합체를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예비중합체의 평균 이소시아네이트 작용체는 적어도 2.2개 또는 적어도 2.4개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평균 이소시아네이트 작용체는 4.0개 이하, 또는 3.5개 이하 또는 3.0개 이하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예비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2,500 이상 또는 3,000 이상, 40,000 이하, 또는 20,000 이하, 또는 15,000 이하 또는 10,000 이하이다.
일반적으로, 우레탄 예비중합체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하나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것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우레탄 예비중합체는 상응하는 예비중합체를 형성하기에 충분한 반응 조건 하에서 적어도 2개의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활성 수소 함유 기를 포함하는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화합물과 화학량론적 과량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킴으로써 수득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2.0개 이상의 평균 이소시아네이트 작용체 및 80 이상의 당량을 갖는다. 일 실시 형태에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네이트 작용체는 2.0개 이상, 또는 2.2개 이상, 또는 2.4개 이상이고; 4.0개 이하, 또는 3.5개 이하, 또는 3.0개 이하이다. 당업자가 이해하듯이, 더 많은 작용체가 또한 사용될 수 있지만, 더 많은 작용체는 과도한 가교결합을 야기할 수 있고, 핸들링 및 적용되기에는 너무 점성인 접착제를 초래할 수 있으며, 경화된 접착제가 너무 취성이 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당량은 80 이상, 또는 110 이상, 또는 120 이상이고; 300 이하, 또는 250 이하 또는 200 이하이다.
적합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예를 들어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지환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방향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복소환식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적합한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예를 들어 m- 및 p-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2,4- 및 2,6-디이소시아네이트(TDI); 나프틸렌-1,5-디이소시아네이트; 메톡시페닐-2,4-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4,4', 2,4'-, 및 2,2'-디이소시아네이트(MDI); 4,4'-비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톡시-4,4'-비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4,4'-비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디페닐 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1,3-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벤젠(자일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XDI); 4,4',4"-트리페닐 메탄 트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메틸렌 폴리페닐이소시아네이트(PMDI); 톨루엔-2,4,6-트리이소시아네이트; 4,4'-디메틸디페닐메탄-2,2',5,5'-테트라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에테르디이소시아네이트; 2,4,4'-트리이소시아나토디페닐에테르; 클로로페닐렌-2,4-디이소시아네이트; 이들의 블렌드 및 이들의 중합체 블렌드 및 단량체 블렌드를 포함한다. 적합한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지환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예를 들어 시클로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1,3- 및 1,4-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시클로헥산; 1-메틸-시클로헥산-2,4-디이소시아네이트; 1-메틸-시클로헥산-2,6-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 디시클로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에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들의 블렌드 및 이들의 중합체 블렌드 및 단량체 블렌드를 포함한다.
우레탄, 우레아, 비우레트, 카르보디이미드, 우레톤이민, 알로포네이트, 또는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반응에 의해서 형성된 다른 기를 포함하는 개질된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또한 유용하다.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MDI 또는 PMDI(또는 일반적으로 "중합체성 MDI"로 지칭되는 이의 혼합물), 및 비우레트, 카르보디이미드, 우레톤이민 및/또는 알로포네이트 연결체를 갖는 MDI 및 MDI 유도체의 혼합물인 소위 "액체 MDI" 제품일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에 존재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중 적어도 일부는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일 수 있다. 방향족 및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이 존재하는 경우에, 개수 기준으로 50% 이상, 또는 개수 기준으로 75% 이상이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개수 기준으로 80 내지 98%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방향족일 수 있고, 개수 기준으로 2 내지 20%는 지방족일 수 있다. 우레탄 예비중합체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모든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방향족일 수 있다. 추가 실시 형태에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MDI, 예를 들어 40 내지 99 중량%의 MDI의 4,4'-이성질체를 포함한다.
적합한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화합물은 예를 들어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모이어 티를 갖는 임의의 유기 화합물, 예컨대 활성 수소 모이어티를 함유하는 화합물 또는 이미노-작용성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활성 수소 모이어티는 수소 원자를 포함하는 모이어티를 지칭하는데, 이는 분자 내에서의 그의 위치로 인해서, 문헌[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Vol. 49, p. 3181 (1927)]에서 Wohler에 의해서 설명된 Zerewitinoff 테스트에 따른 상당한 활성도를 나타낸다. 활성 수소 모이어티의 대표적인 예는 -COOH, -OH, -NH2, -NH-, -CONH2, -SH, 및 -CONH-를 포함한다. 적합한 활성 수소 함유 화합물은 예를 들어 폴리올, 폴리아민, 폴리머캅탄 및 폴리산을 포함한다. 적합한 이미노-작용성 화합물은 예를 들어 분자당 하나 이상의 말단 이미노 기를 갖는 것, 예컨대 미국 특허 제4,910,279호에 개시된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화합물은 폴리올이다. 적합한 폴리올은 예를 들어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알킬렌 카르보네이트) 폴리올, 히드록실 함유 폴리티오에테르, 중합체 폴리올(공중합체 폴리올로 일반적으로 지칭되는, 이러한 폴리올 중 비닐 중합체의 분산물),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폴리올은 폴리올의 백본에 하나 이상의 알킬렌 옥시드 단위를 함유하는 폴리에테르 폴리올이다. 적합한 알킬렌 옥시드 단위는 예를 들어 에틸렌 옥시드, 프로필렌 옥시드, 부틸렌 옥시드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알킬렌 옥시드는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렌 단위를 함유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폴리올은 프로필렌 옥시드 단위, 에틸렌 옥시드 단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한다. 알킬렌 옥시드 단위들의 혼합물이 폴리올에 함유된 실시 형태에서, 상이한 단위들은 랜덤으로 배열될 수 있거나 각각의 알킬렌 옥시드의 블록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폴리올은 폴리올을 캡핑하는 에틸렌 옥시드 쇄를 갖는 프로필렌 옥시드 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폴리올은 디올과 트리올의 혼합물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화합물은 1.5개 이상, 또는 1.8개 이상 또는 2.0개 이상의 작용체를 가질 수 있고; 이는 4.0개 이하, 또는 3.5개 이하, 또는 3.0개 이하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화합물의 당량은 200 이상, 또는 500 이상, 또는 1,000 이상이고; 5,000 이하, 또는 3,000 이하, 또는 2,500 이하이다.
우레탄 예비중합체는 접착제 제형에서의 예비중합체의 사용을 허용하기에 충분한 점도를 가질 것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예비중합체는 6,000 센티푸아즈(600 N-S/m2) 이상, 또는 8,000 센티푸아즈(800 N-S/m2) 이상의 점도를 가질 것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예비중합체는 30,000 센티푸아즈(3,000 N-S/m2) 이하 또는 20,000 센티푸아즈(2,000 N-S/m2) 이하의 점도를 가질 것이다. 당업자가 이해하는 바와 같이, 30,000 센티푸아즈(3,000 N-S/m2) 초과인 경우 폴리우레탄 조성물은 너무 점성으로 되어 펌핑할 수 없고 따라서 종래의 기술을 이용해서는 적용할 수 없다. 게다가, 6,000 센티푸아즈(600 N-S/m2) 미만인 경우 예비중합체는 우레탄 예비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원하는 응용에 이용되게 하기에 충분한 무결성(integrity)을 제공하지 못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점도"는 RV 스핀들 #5를 갖춘 Brookfield 점도계, 모델 DV-E에 의해 5의 초당 회전수의 속도 및 25℃의 온도에서 측정된다.
일반적으로, 우레탄 예비중합체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양은 본원에 논의된 바와 같은 원하는 특성, 즉, 적절한 유리 이소시아네이트 함량, 및 점도를 제공하는 양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우레탄 예비중합체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양은 우레탄 예비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6.5 중량% 이상, 또는 7.0 중량% 이상 또는 7.5 중량% 이상의 양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우레탄 예비중합체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양은 우레탄 예비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12 중량% 이하, 또는 10.5 중량% 이하 또는 10 중량% 이하의 양이다.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화합물의 양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대부분의 이소시아네이트 기와 반응하기에 충분한 양으로서, 이는 우레탄 예비중합체의 원하는 유리 이소시아네이트 함량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이소시아네이트 기를 남긴다. 일 실시 형태에서,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화합물은 우레탄 예비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30 중량% 이상, 또는 35 중량% 이상 또는 40 중량% 이상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화합물은 우레탄 예비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75 중량% 이하, 또는 65 중량% 이하 또는 6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한다.
우레탄 예비중합체는 벌크 중합 및 용액 중합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비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반응은, 대기중 수분에 의한 이소시아네이트 기의 가교결합을 방지하기 위해, 무수 조건 하에서, 또는 불활성 분위기, 예컨대 질소 블랭킷 하에서 실시될 수 있다. 반응은, 샘플의 적정에 의해 결정되는 잔존 이소시아네이트 함량이 원하는 이론치에 매우 근접할 때까지, 0℃ 내지 150℃, 또는 25℃ 내지 90℃의 온도에서 실시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예비중합체 중 이소시아네이트 함량은 0.1 중량% 이상, 또는 1.5 중량% 이상 또는 1.8 중량%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예비중합체 중 이소시아네이트 함량은 10 중량% 이하, 또는 5 중량% 이하 또는 3 중량% 이하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이소시아네이트 함량"이라는 용어는 예비중합체의 총 중량에 대한 이소시아네이트 모이어티의 중량 백분율을 의미한다.
우레탄 예비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반응은 우레탄 촉매의 존재 하에 실시될 수 있다. 적합한 우레탄 촉매는 예를 들어, 카르복실산의 제일주석염, 예컨대 제일주석 옥토에이트, 제일주석 올레에이트, 제일주석 아세테이트, 및 제일주석 라우레이트, 3차 아민 및 주석 메르캅티드와 같이, 우레탄 촉매로서 당업계에 공지된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 및 디부틸주석 디아세테이트와 같은 디알킬주석 디카르복실레이트를 포함한다. 사용되는 촉매의 양은 일반적으로, 이소시아네이트의 성질에 따라, 촉매되는 혼합물의 0.005 내지 5 중량%이다.
일반적으로, 우레탄 예비중합체는 접착제가 기재들을 함께 접합시킬 수 있도록 충분한 양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에 존재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우레탄 예비중합체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20 중량% 이상, 또는 30 중량% 이상, 또는 40 중량% 이상 또는 50 중량% 이상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우레탄 예비중합체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85 중량% 이하, 또는 80 중량% 이하, 또는 75 중량% 이하, 또는 7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우레탄 예비중합체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30 중량% 내지 6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예비중합체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55 중량% 내지 62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은 이소시아네이트 모이어티와 물 또는 활성 수소 함유 화합물의 반응을 촉매하는 하나 이상의 촉매를 추가로 포함한다. 촉매는 이소시아네이트 모이어티와 물 또는 활성 수소 함유 화합물의 반응에 대해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촉매일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3차 아민 기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촉매, 유기주석 촉매, 금속 알카노에이트 촉매 및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3차 아민 기를 함유하는 적합한 하나 이상의 촉매는 예를 들어 디모르폴리노디알킬 에테르, 디((디알킬모르폴리노)알킬)에테르, 치환된 모르폴린 화합물, N-디알킬 아미노 알킬 에테르 및 알킬 치환된 폴리알킬렌 폴리아민을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적합한 하나 이상의 촉매는 예를 들어 비스-(2-디메틸아미노에틸)에테르; 트리에틸렌 디아민; 펜타메틸디에틸렌 트리아민; N,N-디메틸시클로헥실아민; N,N-디메틸 피페라진 4-메톡시에틸 모르폴린; N-메틸모르폴린; N-에틸 모르폴린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촉매의 한 종류로는 디모르폴리노 디알킬 에테르가 있으며, 여기서 모르폴린 기는 촉매의 촉매적 영향을 방해하지 않는 기로 치환될 수 있다. 적합한 디모르폴리노디알킬 에테르는 예를 들어 디모르폴리노디에틸 에테르를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3차 아민 기를 함유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촉매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1 중량% 이상, 또는 0.03 중량% 이상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3차 아민 기를 함유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촉매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2.0 중량% 이하, 또는 1.75 중량% 이하, 또는 1.0 중량% 이하 또는 0.5 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3차 아민 기를 함유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촉매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 중량% 내지 1 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3차 아민 기를 함유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촉매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3 중량% 내지 0.5 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한다.
적합한 하나 이상의 유기주석 촉매는 예를 들어 알킬 주석 산화물, 제일주석 알카노에이트, 디알킬 주석 카르복실레이트 및 주석 메르캅티드를 포함한다. 적합한 제일주석 알카노에이트는 예를 들어, 제일주석 옥토에이트를 포함한다. 적합한 알킬 주석 산화물은 예를 들어 디알킬 주석 산화물, 예컨대 디부틸 주석 산화물 및 그 유도체를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유기주석 촉매는 디알킬주석 디카르복실레이트 또는 디알킬주석 디메르캅티드이다. 적합한 디알킬 디카복실레이트는 예를 들어 1,1-디메틸주석 디라우레이트; 1,1-디부틸주석 디아세테이트 및 1,1-디메틸 디말레에이트를 포함한다. 적합한 금속 알카노에이트는 예를 들어 비스무트 옥토에이트 및 비스무트 네오데카노에이트를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유기주석 화합물 또는 금속 알카노에이트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60 ppm(백만분율(parts per million)) 이상, 또는 120 ppm 이상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유기주석 화합물 또는 금속 알카노에이트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2.0 중량% 이하, 또는 1.5 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유기주석 화합물 또는 금속 알카노에이트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내지 1.6 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유기주석 화합물 또는 금속 알카노에이트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6 중량% 내지 1.3 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촉매의 촉매량은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3 중량% 이상 또는 0.5 중량% 이상의 양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촉매의 촉매량은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3.5 중량% 이하, 또는 3 중량% 이하의 양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촉매의 촉매량은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63 중량% 내지 1.8 중량%의 양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촉매의 촉매량은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내지 2.6 중량%의 양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충전제를 추가로 포함하여, 조성물의 강도 및 리올로지를 개선시킨다. 적합한 충전제는, 예를 들어, 무기 충전제, 예컨대 유리, 실리카, 산화붕소, 질화붕소, 산화티타늄, 질화티타늄, 비산회, 탄산칼슘, 규회석 및 고령토와 같은 점토를 포함하는 다양한 알루미나-실리케이트, 금속 입자, 예컨대 철, 티타늄, 알루미늄, 구리, 황동, 청동 등; 열경화 중합체 입자, 예컨대 폴리우레탄, 경화된 에폭시 입자, 페놀-포름알데히드 또는 크레졸-포름알데히드 수지, 가교결합 폴리스티렌 등; 열가소성 수지, 예컨대 폴리스티렌,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에테르 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 케톤, 폴리에틸렌이민, 폴리(p-페닐렌 술피드), 폴리옥시메틸렌, 폴리카르보네이트 등; 및 다양한 유형의 카본, 예컨대 활성탄, 흑연, 카본 블랙 등을 포함한다.
탄산칼슘이 충전제로 사용되는 경우 탄산칼슘은 조성물에서 백색 안료로서의 기능을 한다. 적합한 탄산칼슘은 예를 들어 임의의 표준 탄산칼슘을 포함한다. 적합한 표준 탄산칼슘은 비처리되며, 즉, 이것은 유기 산 또는 유기 산의 에스테르와 같은 다른 화학 물질을 이용한 처리에 의해 개질된 것이 아니다. 일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은 유일한 백색 안료로서 탄산칼슘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탄산칼슘은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원하는 접착 특성이 달성되게 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탄산칼슘은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량% 이상, 또는 8 중량% 이상 또는 12 중량% 이상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탄산칼슘은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25 중량% 이하, 또는 20 중량% 이하, 또는 18 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탄산칼슘은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8 중량%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탄산칼슘은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2 중량% 내지 18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카본 블랙이 충전제로서 사용되는 경우, 사용되는 카본 블랙은 표준 카본 블랙일 수 있다. 표준 카본 블랙은 특별히 표면 처리되거나 산화되지 않아 비전도성을 보이는 카본 블랙이다. 비전도성은 일반적으로 1010 Ohm-cm 이상의 조성물의 임피던스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하나 이상의 비전도성 카본 블랙이 표준 카본 블랙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비전도성 카본 블랙은 큰 표면적의 카본 블랙일 수 있으며, 이는 110 cc/100 g 이상, 또는 115 cc/100 g 이상의 오일 흡수성 및/또는 130 mg/g 이상, 또는 150 mg/g 이상의 요오드가를 나타낸다. 적합한 비전도성 카본 블랙은 예를 들어 ELFTEXTM 57100(Cabot로부터 입수가능함), RAVENTM 1040 및 RAVENTM 1060 카본 블랙(Birla Carbon으로부터 입수가능함)을 포함한다. 적합한 표준 카본 블랙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어 RAVENTM 790, RAVEN TM 450, RAVENTM 500, RAVENTM 430, RAVENTM 420 및 RAVENTM 410 카본 블랙(Birla Carbon으로부터 입수가능함) 및 CSXTM 카본 블랙(Cabot로부터 입수가능함), 및 PRINTEXTM 카본 블랙(Degussa로부터 입수가능함)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형태의 카본 블랙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에 조성물을 보강하고 조성물의 리올로지를 개선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형태의 카본 블랙은 조성물의 부분들이 비전도성이 되도록 하는 양으로 존재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형태의 카본 블랙은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이상, 또는 14 중량% 이상, 또는 18 중량% 이상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형태의 카본 블랙은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35 중량% 이하, 또는 30 중량% 이하, 또는 25 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형태의 카본 블랙은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5 중량% 내지 23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형태의 카본 블랙은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9 중량% 내지 23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충전제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에 조성물을 보강하고 조성물의 리올로지를 개선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충전제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 중량% 이상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충전제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 중량% 이상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충전제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0 중량% 이하를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충전제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5 중량% 이하를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은 충전제로서 어떠한 형태의 점토도 함유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은 폴리우레탄 접착제와 예를 들어 유리 표면 사이의 내구성 접합을 촉진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실란 접착 촉진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실란 접착 촉진제는 산성 화합물과 염을 형성하는 작용기를 갖지 않는 것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적합한 하나 이상의 실란 접착 촉진제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알콕시실란을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적합한 하나 이상의 알콕시실란은 이소시아네이트 모이어티와 반응하는 알콕시실란이다. 적합한 알콕시실란은 예를 들어 메르캅토실란, 아미노실란, 이소시아나토 실란, 에폭시 실란, 아크릴 실란 및 비닐 실란을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적합한 알콕시실란은 트리알콕시실란, 예컨대 트리메톡시 실란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서, 알콕시실란의 종류로는 메르캅토실란이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메르캅토실란"은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유리 표면에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메르캅토 및 실란 기 둘 다를 갖는 임의의 분자를 지칭한다. 적합한 메르캅토실란은 예를 들어 메르캅토 알킬 디- 또는 트리-알콕시실란을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적합한 메르캅토실란은 하기 일반 화학식의 것일 수 있다:
Figure pct00001
여기서, R은 히드로카르빌렌 기이고, R1은 독립적으로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기, 6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 기, 7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아르알킬 기 또는 (R2)3SiO-로 표시되는 트리오르가노실록시 기(여기서, 각각의 R2 기는 독립적으로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1가 탄화수소 기를 나타냄)이고; X는 독립적으로 히드록실 기 또는 가수분해성 기이고; a는 독립적으로 0, 1 또는 2이고; b는 독립적으로 0, 1, 2 또는 3이고; a와 b의 합은 3이다.
X로 표시되는 가수분해성 기는 한정되지 않으며 임의의 통상적인 가수분해성 기일 수 있다. 적합한 가수분해성 기는 예를 들어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알콕시 기, 아실옥시 기, 케톡시메이트 기, 아미노 기, 아미도 기, 산 아미도 기, 아미노-옥시 기, 메르캅토실란 기, 및 알케닐옥시 기를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가수분해성 기는 수소 원자, 알콕시 기, 아실옥시 기, 케톡시메이트 기, 아미노 기, 아미도 기, 아미노-옥시 기, 메르캅토실란 기, 및 알케닐옥시 기를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가수분해성 기는 온화한 가수분해성으로 인한 핸들링의 용이함 때문에 예를 들어 메톡시 또는 에톡시 기와 같은 알콕시 기이다. 반응성 규소 기당 2개 이상의 히드록실 기 또는 가수분해성 기가 존재하는 경우, 이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R1은 알킬 기, 예를 들어 메틸 또는 에틸; 시클로알킬 기, 예를 들어 시클로헥실; 아릴 기, 예를 들어 페닐; 아랄킬 기, 예를 들어 벤질; 또는 R2가 메틸 또는 페닐인 화학식 (R2)3Si-의 트리오르가노실록시 기이다.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R1 및 R2는 메틸 기이다.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R은 아릴렌, 알크아릴렌 또는 알킬렌 기, 예컨대 C2 내지 C8 알킬렌 기, 또는 C2 내지 C4 알킬렌 기 또는 C2 내지 C3 알킬렌 기이다.
적합한 하나 이상의 실란 접착 촉진제의 대표적인 예는 메르캅토실란 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메르캅토실란 프로필 메틸 디메톡시실란, 비스-(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아민, 이소시아나토 트리메톡시실란, N,N-비스[(3-트리에톡시실릴) 프로필]아민, N,N-비스[(3-트리프로폭시실릴) 프로필]아민, N-(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3-[N-(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 아미노]프로피온아미드, N-(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3-[N-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아미노]프로피온아미드, N-(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3-[N-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아미노]프로피온아미드, 3-트리메트-옥시실릴 프로필 3-[N-(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 아미노]-2-메틸 프로피오네이트, 3-트리에톡시실릴 프로필 3-[N-(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아미노]-2-메틸 프로피오네이트 및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 3-[N-(3-트리에톡시 실릴)-프로필아미노]-2-메틸 프로피오네이트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실란 접착 촉진제는 이소시아네이트 작용성 접착제의 기재, 또는 유리 또는 코팅된 플라스틱 표면에의 접합을 향상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실란 접착 촉진제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이상, 또는 0.4 중량% 이상, 또는 0.7 중량% 이상, 또는 1.0 중량% 이상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실란 접착 촉진제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량% 이하, 또는 3 중량% 이하, 또는 2 중량% 이하, 또는 1.5 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실란 접착 촉진제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7 중량% 내지 3 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실란 접착 촉진제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2 중량% 내지 1.7 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단일작용성 폴리알킬렌 글리콜을 추가로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단일작용성 폴리알킬렌 글리콜은 그의 사슬의 한 말단에 반응성 수소 모이어티를 갖고 다른 한 말단에 불활성 비반응성 모이어티를 갖는다. 반응성 수소 모이어티는 예를 들어 1차 또는 2차 아민 또는 히드록실 모이어티일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반응성 수소 모이어티는 히드록실 모이어티이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을 형성할 때, 단일작용성 폴리알킬렌 글리콜의 반응성 수소 모이어티는 우레탄 예비중합체의 이소시아네이트 모이어티와 원위치에서 반응하여, 단일작용성 폴리알킬렌 글리콜의 잔기가 우레탄 예비중합체의 말단 기를 형성하게 되는(즉, 우레탄 예비중합체가 단일작용성 폴리알킬렌 글리콜의 잔기로 캡핑되는) 것으로 믿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 내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단일작용성 폴리알킬렌 글리콜은 우레탄 예비중합체의 이소시아네이트 모이어티에 비해 화학량론적 양 미만의 양으로 혼입되어, 우레탄 예비중합체는 단일작용성 폴리알킬렌 글리콜의 잔기로 부분적으로 캡핑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우레탄 예비중합체의 이소시아네이트 모이어티의 약 0.1~50 몰%, 또는 약 1~20 몰%, 또는 약 2~10 몰%가 상기 하나 이상의 단일작용성 폴리알킬렌 글리콜의 반응성 수소 모이어티와 반응한다.
불활성 비반응성 모이어티는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하지 않는 임의의 모이어티, 예를 들어 히드로카르빌옥시 모이어티일 수 있다. 적합한 히드로카르빌옥시 모이어티는 예를 들어 알콕시, 아릴옥시 및 알킬아릴옥시를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히드로카르빌옥시 모이어티는 알콕시이다. 적합한 알콕시 모이어티는 예를 들어 C1 내지 C20 알콕시, 또는 C1 내지 C12 알콕시, 또는 C1 내지 C6 알콕시 또는 C1 내지 C4 알콕시를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단일작용성 폴리알킬렌 글리콜은 한 말단에 히드로카르빌옥시 모이어티를 포함하고 다른 한 말단에 반응성 수소 기를 포함하는 단일작용성 히드록실 치환 탄화수소 개시 폴리알킬렌 글리콜이다. 말단 기들 사이에는 복수의 알킬렌 옥시드 모이어티가 있다. 대안적으로 이 화합물은 단일작용성 히드로카르빌옥시 폴리알킬렌옥시 글리콜로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적합한 알킬렌 옥시드 모이어티는 에틸렌 옥시드 모이어티, 프로필렌 옥시드 모이어티, 부틸렌 옥시드 모이어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단일작용성 폴리알킬렌 글리콜은 하기 화학식 I 및 II로 표시된다:
[화학식 I]
Figure pct00002
[화학식 II]
Figure pct00003
여기서, R1 및 R3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하나 이상의 불포화 결합을 포함할 수 있고 선형 또는 분지형 구조를 갖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기와 같은 C1 내지 C20 히드로카르빌 기이되, 단, R1 및 R3 중 하나는 수소이며; 각각의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 또는 에틸이며; m은 1 내지 20의 정수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R1 및 R3은 독립적으로 C1 내지 C12 히드로카르빌 기, 또는 C1 내지 C6 히드로카르빌 기 또는 C1 내지 C4 히드로카르빌 기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R1 및 R3은 독립적으로 C1 내지 C20 알콕시, 또는 C1 내지 C12 알콕시, 또는 C1 내지 C6 알콕시 또는 C1 내지 C4 알콕시이다. 상기 하나 이상의 단일작용성 폴리알킬렌 글리콜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거나 또는 The Dow Chemical Company로부터의 PAG-15 등으로 구매가능하다.
상기 하나 이상의 단일작용성 폴리알킬렌 글리콜은 200 이상 또는 500 이상의 수평균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양태에서, 단일작용성 폴리알킬렌 글리콜의 수평균 분자량은 2,000 이하, 또는 1,000 이하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단일작용성 폴리알킬렌 글리콜은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이상, 또는 0.4 중량% 이상 또는 0.8 중량% 이상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단일작용성 폴리알킬렌 글리콜은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량% 이하, 또는 3 중량% 이하, 또는 2 중량% 이하, 또는 1.5 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단일작용성 폴리알킬렌 글리콜은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4 중량% 내지 2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단일작용성 폴리알킬렌 글리콜은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6 중량% 내지 1.3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은 충전제 입자의 표면을 습윤시키고 상기 입자의 분산을 돕는 하나 이상의 동일하거나 상이한 분산 보조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분산 보조제는 또한 점도 감소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적합한 하나 이상의 분산 보조제는, 예를 들어, BYK, DISPERBYK 및 ANTI-TERRA-U의 상표명으로 BYK Chemie와 같은 공급처에 의해 판매되고 구매가능한 분산 보조제, 예컨대 저분자량 폴리카르복실산 중합체의 알킬암모늄 염 및 불포화 폴리아민 아미드 및 저분자 산성 폴리에스테르의 염, 및 플루오르화 계면활성제, 예컨대 3M Corporation으로부터의 FC-4430, FC-4432 및 FC-4434를 포함한다. 이러한 분산 보조제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최대 2 중량% 또는 최대 1 중량%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건조제, 예를 들어 흄드(fumed) 실리카, 소수성으로 개질된 흄드 실리카, 실리카 겔, 에어로겔, 다양한 제올라이트 및 분자 체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건조제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이상, 또는 5 중량% 이하 또는 4 중량% 이하를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은 건조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은 유동학적 특성을 원하는 주도로 변경시키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가소제 또는 용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가소제 또는 용매는 물이 없고, 이소시아네이트 기에 대하여 불활성이며, 예비중합체와 상용성이어야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가소제 또는 용매는 예비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반응 혼합물 또는 최종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혼합물에 첨가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가소제 또는 용매는 예비중합체 및 부가물의 제조를 위한 반응 혼합물에 첨가되어서, 이러한 혼합물은 더 용이하게 혼합 및 핸들링될 수 있게 된다. 적합한 가소제 및 용매는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어 직쇄 및 분지형 알킬프탈레이트, 예컨대 디이소노닐 프탈레이트, 디옥틸 프탈레이트 및 디부틸 프탈레이트, "HB-40"으로 구매가능한 부분 수소화 테르펜, 트리옥틸 포스페이트, 에폭시 가소제, 톨루엔-술파미드, 클로로파라핀, 아디프산 에스테르, 피마자유, 자일렌, 1-메틸-2-피롤리디논 및 톨루엔을 포함한다. 사용되는 가소제의 양은, 원하는 유동학적 특성을 제공하고 본 발명의 조성물 중에 성분들을 분산시키기에 충분한 양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가소제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 중량% 이상, 또는 5 중량% 이상 또는 10 중량% 이상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가소제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35 중량% 이하, 또는 30 중량% 이하 또는 25 중량 % 이하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은 조성물을 습기로부터 보호하고 이에 의해 조성물에서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실라놀 기의 조기 가교결합의 진행을 억제하고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하나 이상의 안정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하나 이상의 안정화제는 예를 들어 디에틸말로네이트, 알킬페놀 알킬레이트, 파라톨루엔 술포닉 이소시아네이트, 벤조일 클로라이드, 산화칼슘 및 오르토알킬 포르메이트를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안정화제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이상, 또는 0.5 중량% 이상, 또는 0.8 중량% 이상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안정화제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5.0 중량% 이하, 또는 2.0 중량% 이하 또는 1.4 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경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하나 이상의 경화제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사슬 연장제, 가교결합제, 폴리올 또는 폴리아민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폴리올이 경화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경화제는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기 및 탄화수소 백본(여기서, 상기 백본은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음)을 갖는 하나 이상의 저분자량 화합물일 수 있다. 적합한 저분자량 화합물은 당업계에 사슬 연장제, 2작용성 화합물, 또는 가교결합제로 공지된 화합물(화합물당 평균 2개 초과의 활성 수소 기를 가짐)일 수 있다. 백본 내의 헤테로원자는 산소, 황, 질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저분자량 화합물의 분자량은 250 이하, 또는 120 이하, 또는 100 이하이다. 저분자량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다작용성 알코올, 다작용성 알칸올 아민, 다작용성 알코올과 알킬렌 옥시드의 하나 이상의 부가물, 다작용성 알칸올 아민과 알킬렌 옥시드의 하나 이상의 부가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적합한 다작용성 알코올 및 다작용성 알칸올 아민은 예를 들어, 에탄 디올, 프로판 디올, 부탄 디올, 헥산 디올, 헵탄 디올, 옥탄 디올, 글리세린, 트리메틸올 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네오펜틸 글리콜, 에탄올 아민(디에탄올 아민, 트리에탄올 아민) 및 프로판올 아민(디-이소프로판올 아민, 트리-이소프로판올 아민)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경화제는 원하는 G-모듈러스(E-모듈러스)를 얻기에 충분한 양으로 사용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경화제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2 중량% 이상, 또는 2.5 중량% 이상 또는 3.0 중량% 이상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경화제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이하, 또는 8 중량% 이하 또는 6 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은 폴리아민당 2개 이상의 아민을 갖는 폴리옥시알킬렌 폴리아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폴리옥시알킬렌 폴리아민은 폴리아민당 2 내지 4개의 아민, 또는 폴리아민당 2 내지 3개의 아민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폴리옥시알킬렌 폴리아민은 200 이상, 또는 400 이상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폴리옥시알킬렌 폴리아민은 5,000 이하, 또는 3,000 이하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적합한 폴리옥시알킬렌 폴리아민은 예를 들어 분자량이 400인 JeffamineTM D-T-403 폴리프로필렌 옥시드 트리아민 및 분자량이 400인 JeffamineTM D-400 폴리프로필렌 옥시드 디아민을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폴리옥시알킬렌 폴리아민은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2 중량% 이상, 또는 0.3 중량% 이상 또는 0.5 중량% 이상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폴리옥시알킬렌 폴리아민은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6 중량% 이하, 또는 4 중량% 이하 또는 2 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은 알킬 치환된 페놀, 포스파이트, 세바케이트 및 신나메이트 및 바람직하게는 유기포스파이트를 포함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다른 내구성 안정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구성 안정화제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기재 표면에의 접합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한다. 적합한 포스파이트는, 예를 들어, 폴리(디프로필렌글리콜) 페닐 포스파이트(Dover Chemical Corporation으로부터 상표명 및 명칭 DOVERPHOS 12로 입수가능함), 테트라키스 이소데실 4,4'이소프로필리덴 디포스파이트(Dover Chemical Corporation으로부터 상표명 및 명칭 DOVERPHOS 675로 입수가능), 및 페닐 디이소데실 포스파이트(Dover Chemical Corporation으로부터 상표명 및 명칭 DOVERPHOS 7로 입수가능)를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내구성 안정화제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이상, 또는 0.2 중량% 이상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내구성 안정화제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이하, 또는 0.5 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광 안정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기재가 접합되는 구조체의 수명의 상당한 부분 동안 기재에 대한 내구성 접합을 시스템이 유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적합한 하나 이상의 광 안정화제는 예를 들어, 장애 아민 광 안정화제, 예컨대 티누빈(Tinuvin) 1,2,3 비스-(1-옥틸옥시-2,2,6,6, 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 세바케이트 및 티누빈 765,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닐)세바케이트를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광 안정화제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이상, 또는 0.2 중량% 이상 또는 0.3 중량% 이상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광 안정화제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 중량% 이하, 또는 2 중량% 이하 또는 1 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자외선(UV) 광 흡수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조성물의 기재에의 접합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적합한 하나 이상의 자외선 광 흡수제는 예를 들어 벤조페논 및 벤조트리아졸, 예컨대 시아소르브(Cyasorb) UV-531 2-히드록시-4-n-옥톡시벤조페논 및 티누빈 571 2-(2H-벤조트리아졸-2-일)-6-도데실-4-메틸페놀(분지형 및 선형)을 포함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UV 광 흡수제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이상, 또는 0.2 중량% 이상 또는 0.3 중량% 이상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UV 광 흡수제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 중량% 이하, 또는 2 중량% 이하 또는 1 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성분들을 함께 블렌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분들은 적합한 혼합기에서 블렌딩될 수 있다. 이러한 블렌딩을 예를 들어 불활성 분위기에서 대기중 수분의 부재 하에 행하여 조기 반응을 방지할 수 있다. 성분들의 혼합은 특정 응용 및 이용가능한 장비에 따라 임의의 편리한 방식으로 행해질 수 있다. 성분들의 혼합은 배치식으로(batchwise), 성분들을 수동으로 혼합하여, 또는 다양한 종류의 배치 혼합 장치를 사용한 후, 브러싱, 붓기, 비드 적용 및/또는 다른 적합한 방식으로 적용함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일단 조성물이 제형화되면, 조성물은 대기중 수분으로부터 보호되도록 적합한 용기 내에 패키징될 수 있다. 대기 수분과의 접촉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된 우레탄 예비중합체의 조기 가교결합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은 다공성 및 비다공성 기재들을 함께 접합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은 제1 기재에 적용되고, 그 후 제1 기재 상의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은 제2 기재와 접촉된다. 그 후,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은 경화 조건에 노출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하나의 기재는 내마모성 코팅으로 코팅된 유리 또는 투명 플라스틱이고, 다른 하나의 기재는 선택적으로 페인트되거나 코팅될 수 있는 플라스틱, 금속, 유리 섬유 또는 복합 기재이다. 내마모성 코팅으로 코팅된 플라스틱은 폴리카르보네이트, 아크릴, 수소화된 폴리스티렌 또는 수소화된 스티렌 공액 디엔 블록 공중합체(50% 초과의 스티렌 함량을 가짐)와 같이 투명한 임의의 플라스틱일 수 있다. 코팅은 폴리실록산 코팅과 같은 내마모성인 임의의 코팅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코팅은 유색 자외선 광 차단 첨가제를 갖는다. 일 실시 형태에서, 유리 또는 코팅 플라스틱 창은 UV 광이 접착제에 도달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접착제와 접촉될 영역에 배치된 불투명 코팅을 갖는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프릿으로 지칭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불투명 코팅은 무기 에나멜 또는 유기 코팅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은 구조체에 접합될 유리 또는 코팅된 플라스틱의 일부를 따라 유리 또는 코팅된 플라스틱의 표면에 적용될 수 있다. 그 후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이 유리 또는 코팅된 플라스틱과 제2 기재 사이에 배치되도록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이 제2 기재와 접촉된다.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을 경화시켜 유리 또는 코팅된 플라스틱과 기재 사이에 내구성 접합을 형성하게 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은 대기중 수분의 존재 하에 주위 온도에서 적용될 수 있다. 대기중 수분에의 노출은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경화를 초래하기에 충분하다. 경화는 컨벡션 열, 또는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에 의해 경화 조성물에 열을 가함으로써 추가로 가속화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조성물은 다른 기재의 표면에 적용되고 그 후 유리 또는 코팅된 플라스틱과 접촉 될 수 있으며 이는 기술된 바와 같다. 일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은 전처리 단계의 부재 하에 표면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은 구조체 내의 갭을 충전시키도록 적용될 수 있고, 건물과 같은 구조체 내의 또는 차량 내의 갭 주위를 밀봉하도록 경화될 수 있다.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적용될 수 있다. 건물에서,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은 구조체 내의 갭을 밀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차량에서,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은 팬들 사이의 갭 또는 시임(seam)(이는 물이 예를 들어 이러한 갭을 가진 자동차, 버스, 트럭, 트레일러, 철도 차량 및 특수 차량 내부로 들어가게 할 수 있음)을 밀봉하거나, 창문, 도어 프레임, 트림, 차체 패널들 사이 및 도어 부품들 사이 주위 등을 밀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인 핸들링은, 예를 들어, 조립체를 하류 작업 스테이션에 운반하는 것, 그리고 추가적인 제조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추가적인 제조 단계는 조립체를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에 접합하는 것, 다양한 성형 및/또는 기계가공 단계, 코팅의 적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경화의 완료는 이러한 추가 핸들링 단계 동안 및/또는 그 후에 일어날 수 있다.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분자량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로도 지칭됨)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 수평균 분자량이다.
하기 실시예는 개시된 조성물을 예시하기 위해 제공되지만, 그 범주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모든 부 및 백분율은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중량 기준이다.
이하의 표기, 심볼, 용어, 및 약어가 하기 예에서 사용된다.
예비중합체 1은 MDI/PPO계 예비중합체이다. 상기 예비중합체는 상표명 Voranol 2000L로 구매가능한 2000 g/mol의 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옥시프로필렌 디올 22.571 g을 상표명 Arcol CP 4655로 구매가능한 4650 g/mol의 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옥시프로필렌 트리올 33.132 g과 혼합하여 제조한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이다. 33.779 g의 가소제 및 9.501 g의 디페닐메탄 4,4'-디이소시아네이트를 첨가하였다. 그 후 0.009 g의 메틸 에틸 케톤 및 1 g의 디에틸말로네이트에 0.001 g의 오르토포스폰산을 첨가하였다. 그 후, 전체 혼합물을 반응기에서 50℃까지 가열하고 0.007 g의 제일주석옥토에이트를 첨가하였다. 반응을 50℃에서 1시간 동안 실시하였다. 생성된 예비중합체는 본원에서 NCO-예비중합체로 지칭된다.
예비중합체 2는 이소시아네이트 작용성 폴리에스테르 예비중합체이다.
46.7 g의 가소제(분지형 가소제), 상표명 Isonate M125U로 구매가능한 이소시아네이트(디페닐메탄 4,4'-디이소시아네이트) 30.15 g을 상표명 DYNACOL 7381로 구매가능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190.0 g과 혼합하여 상기 예비중합체를 제조하였다. 그 후, 전체 혼합물을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Vestinol 9는 분자량이 418.6 g/mol이고 Evonik로부터 입수가능한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이다.
Aerosil R 208은 BET 표면적이 대략 80 내지 140 m2/g이고 Evonik로부터 입수가능한 발열성 실리카이다.
Printex 30은 Orion Carbons로부터 입수가능한 카본 블랙이다.
Carbital 120은 BET 표면적이 2 m2/g이고 Imerys로부터 입수가능한 비코팅 탄산칼슘이다.
DEM은 디에틸 말로네이트이다.
Desmodure N3300은 NCO 함량이 21.8 ± 0,3%이고 23℃ 에서의 점도가 3.000 ± 750 mPa*s이고 Covestro로부터 입수가능한 HDI-트리메리사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삼량체이다.
VORANATE M600은 이소시아네이트 당량이 137~139이고 이소시아네이트 함량이 30.2~31.1이고 25℃에서의 점도가 520~680 mPa*s이고 DOW로부터 입수가능한 중합체성 MDI(중합체성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이다.
SILQUEST A189는 Momentive로부터 입수가능한 감마-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이다.
SILQUEST A1170은 Momentive로부터 입수가능한 비스-(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아민이다.
DMDEE는 BASF로부터 입수가능한 2,2'-디모르폴리노디에틸에테르이다.
UL28 + Vestinol은 디메틸-주석-디라우레이트/Vestinol 혼합물이다. 상기 혼합물은 0.24 g의 촉매 UL28을 9.76 g의 Vestinol 9 가소제에 첨가함으로써 제조한다. 교반 후에, 수분을 배제하기 위해 건조 질소 하에서 용액을 플라스크 내에 채웠다.
PAG-15는 1100 g/mol의 분자량을 생성하는 프로필렌 옥시드 단위가 더해진, C12 내지 C15의 사슬 길이를 갖는, DOW로부터 입수가능한 단일작용성 폴리알킬렌 글리콜이다.
접착제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제시된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플래니터리 믹스쳐(planetary mixture)를 언급된 양의 PPO계 예비중합체 1 및 모든 액체 첨가제(DEM, 실란, Vestinol 9, Voranate M600, Desmodur N3300 및 PAG-15)로 충전시켰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진공 하에 35분 동안 교반시켰다. 그 후 적당량의 카본 블랙, 탄산칼슘 및 Aerosil R 208을 첨가하였다. 그 후, 혼합물을 교반시키고 가열하였다(질소 분위기 하에 60℃ 내지 70℃가 될 때까지 및 그 후 진공 하에 35분). 온도가 60℃를 초과하는 경우, 적당량의 폴리에스테르 예비중합체 2를 플래너터리 믹서에 첨가하고 추가 10분 동안 교반시켰다. 그 후, 적당량의 디이소노닐 프탈레이트를 Vestinol 9로서 첨가하고, UL28 + Vestinol 촉매 및 DMDEE 촉매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진공 하에 15분 동안 또는 균질한 페이스트성 흑색 혼합물이 관찰될 때까지 교반시켰다.
테스트 및 분석 절차
기재: 하기 세라믹 프릿 타입을 사용하였다: SGS Ferro 14305, SGS Ferro 14502 및 PLK Johnson Matthey C 24 - 8708 IR - 9872-L.
기재 준비. 노즐 및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한 접착제 적용.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을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위에서 논의된 비프라이밍 세라믹 프릿 타입에 적용하였다. 접착제 비드를 스패튤라로 직사각형으로 평탄화하였다. 그 후 테스트 시편을 표 1에 열거된 원하는 경화 시간 및 환경 조건으로 보관하였다.
그 후 유리 기재 상의 경화된 비드의 박리 테스트를 하기 표 1에 열거된 하기 기후 조건 후에 실시하였다.
Figure pct00004
테스트한 접착제에 사용한 성분 및 양은 테스트 결과와 함께 하기 표 2에 열거되어 있다. 열거된 모든 양은 중량%이다.
Figure pct00005
표 2로부터의 데이터는 본 발명의 범주 내의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이 단일작용성 폴리알킬렌 글리콜을 탄산칼슘 및 실란 접착 촉진제와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14일의 카타플라즘 컨디셔닝을 거친 후 유리 접착 지속 시간을 상당히 개선시킴을 보여 준다.

Claims (14)

  1. 다음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
    (a) 이소시아네이트 모이어티를 갖는 하나 이상의 우레탄 예비중합체;
    (b) 촉매량의 하나 이상의 촉매;
    (c) 하나 이상의 충전제;
    (d) 하나 이상의 실란 접착 촉진제; 및
    (e) 하나 이상의 단일작용성 폴리알킬렌 글리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우레탄 예비중합체가 에틸렌 옥시드, 프로필렌 옥시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알킬렌 옥시드 단위를 함유하는 폴리올로부터 유도된 것인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우레탄 예비중합체가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것인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촉매가 하나 이상의 3차 아민 기를 함유하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촉매가 디모르폴리노 디알킬 에테르로부터 선택되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충전제가 하나 이상의 형태의 카본 블랙 및 하나 이상의 탄산칼슘인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점토를 함유하지 않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실란 접착 촉진제가 알콕시실란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폴리알킬렌 글리콜이 C1 내지 C12 단일작용성 알코올 개시 폴리알킬렌 옥시드 사슬이고, 여기서 폴리알킬렌 옥시드 사슬은 에틸렌옥시 프로필옥시, 부틸렌옥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폴리알킬렌 글리콜이 200 내지 2,000의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다음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
    (a)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85 중량%의, 이소시아네이트 모이어티를 갖는 상기 하나 이상의 우레탄 예비중합체;
    (b)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3 내지 3.5 중량%의 상기 하나 이상의 촉매;
    (c)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5 내지 50 중량%의 상기 하나 이상의 충전제;
    (d)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 중량%의 상기 하나 이상의 실란 접착 촉진제; 및
    (e)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 중량%의 상기 하나 이상의 폴리알킬렌 글리콜.
  12. 제8항에 있어서, 다음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
    (a)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30 내지 65 중량%의, 이소시아네이트 모이어티를 갖는 상기 하나 이상의 우레탄 예비중합체;
    (b)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6 중량%의 상기 하나 이상의 촉매;
    (c)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5 내지 23 중량%의 상기 하나 이상의 형태의 카본 블랙;
    (d)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8 내지 20 중량%의 상기 하나 이상의 탄산칼슘 및 0.7 내지 3 중량%의 상기 하나 이상의 실란 접착 촉진제; 및
    (e)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4 내지 2 중량%의 상기 하나 이상의 폴리알킬렌 글리콜.
  13.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a)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을 제1 기재의 적어도 일부에 적용하는 단계(여기서,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은
    (i) 이소시아네이트 모이어티를 갖는 하나 이상의 우레탄 예비중합체;
    (ii) 촉매량의 하나 이상의 촉매;
    (iii) 하나 이상의 충전제;
    (iv) 하나 이상의 실란 접착 촉진제; 및
    (v) 하나 이상의 단일작용성 폴리알킬렌 글리콜을 포함함),
    (b) 제2 기재를 제1 기재와 접촉시키는 단계; 및
    (c) 제1 기재와 제2 기재 사이에 접착 접합을 형성하도록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단계.
  14. 제13항에 있어서, 제1 기재가 유리 또는 코팅된 플라스틱인 방법.
KR1020207036392A 2018-07-02 2019-06-14 프라이머리스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 KR202100478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693006P 2018-07-02 2018-07-02
US62/693,006 2018-07-02
PCT/US2019/037219 WO2020009792A1 (en) 2018-07-02 2019-06-14 Primerless polyurethane adhesive composi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824A true KR20210047824A (ko) 2021-04-30

Family

ID=67297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6392A KR20210047824A (ko) 2018-07-02 2019-06-14 프라이머리스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859109B2 (ko)
EP (1) EP3818090B1 (ko)
JP (1) JP7343530B2 (ko)
KR (1) KR20210047824A (ko)
CN (1) CN112533970B (ko)
WO (1) WO20200097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19581B1 (en) * 2019-01-30 2024-05-29 Sika Technology AG Urethane-based adhesive agent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705801D0 (en) 1987-03-11 1987-04-15 Ici Plc Injection moulding compositions
WO1993008796A1 (fr) * 1991-11-02 1993-05-13 Takiron Co., Ltd. Autocollant pour preparation absorbable par voie percutanee
US5773490A (en) 1993-06-24 1998-06-30 Takiron Co., Lt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or transdermal absorption formulations
JP3601553B2 (ja) * 1995-08-31 2004-12-15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変性ポリアミドエポキシ樹脂の製造法
JP3702381B2 (ja) * 1997-10-09 2005-10-05 株式会社カネカ 上塗り塗料用硬化性組成物及びそれを塗布してなる塗装物
DE60010050T2 (de) 1999-02-05 2005-07-14 Essex Epecialty Products Llc, Auburn Hills Polyurethandichtungszusammensetzung
JP2000234082A (ja) 1999-02-16 2000-08-29 Sekisui Chem Co Ltd 湿気硬化型ウレタン系組成物
US6657035B1 (en) 2000-01-19 2003-12-02 Sunstar Giken Kabushiki Kaisha Moisture-curable one-pack-type urethane adhesive composition
JP4623875B2 (ja) * 2001-07-09 2011-02-02 オート化学工業株式会社 湿気硬化型粘着性ポリウレタン系接着剤
US6649084B2 (en) * 2001-07-25 2003-11-18 Nippon Polyurethane Industry Co., Ltd. Polyisocyanate curing agent for laminate adhesive, and laminate adhesive using the same
FR2863623B1 (fr) * 2003-12-10 2007-01-26 Snpe Materiaux Energetiques Composition pour couche de liaison a base d'une dispersion aqueuse de polyurethane , et procede de preparation
RU2440395C2 (ru) * 2005-05-31 2012-01-20 ДАУ ГЛОБАЛ ТЕКНОЛОДЖИЗ ЭлЭлСи Композиции для получения герметика для связывания поверхности без грунтовки со стеклом и пластиком
EP1760100A1 (de) * 2005-09-01 2007-03-07 Sika Technology AG Isocyanatgruppen enthaltende Addukte und Zusammensetzung mit guter Haftung auf Lacksubstraten
JP2007153912A (ja) * 2005-11-30 2007-06-21 Sanyo Chem Ind Ltd ドライラミネート用接着剤の製造法
BRPI0717664A2 (pt) * 2006-12-21 2013-02-26 Dow Global Technologies Inc composiÇço adesiva e mÉtodo para ligar dois ou mais substratos entre si
DE102007058483A1 (de) * 2007-12-04 2009-06-10 Henkel Ag & Co. Kgaa Härtbare Zusammensetzungen enthaltend silylierte Polyurethane
EP2072551A1 (de) * 2007-12-21 2009-06-24 Sika Technology AG Aldimin enthaltende Primerzusammensetzung
DE102009028636A1 (de) * 2009-08-19 2011-02-24 Evonik Goldschmidt Gmbh Neuartige Urethangruppen enthaltende silylierte Präpolymer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6224623B2 (ja) * 2012-01-30 2017-11-01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ガラスを構造体に接合するための水性プライマー組成物
WO2013126183A1 (en) 2012-02-21 2013-08-29 Dow Global Technologies Llc Compositions containing aromatic isocyanate functional components and aliphatic aromatic isocyanate functional components having improved cure speed
EP2789636A1 (de) * 2013-04-10 2014-10-15 Sika Technology AG Primerlose Haftung von Kleb- und Dichtstoffen auf Basis von silanfunktionellen Polymeren
JP5794356B1 (ja) 2014-06-30 2015-10-14 横浜ゴム株式会社 ウレタン系接着剤組成物
US10202527B2 (en) 2015-04-24 2019-02-12 Illinois Tool Works Inc. Primer-less two component polyurethane adhesive
WO2016179256A1 (en) * 2015-05-06 2016-11-10 Dow Global Technologies Llc Adhesive formulation
CN112996832B (zh) * 2018-06-20 2022-12-13 Ddp特种电子材料美国有限责任公司 粘结聚丙烯的粘合剂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59109B2 (en) 2024-01-02
JP2021528524A (ja) 2021-10-21
JP7343530B2 (ja) 2023-09-12
CN112533970B (zh) 2023-10-27
CN112533970A (zh) 2021-03-19
EP3818090A1 (en) 2021-05-12
US20210207012A1 (en) 2021-07-08
WO2020009792A1 (en) 2020-01-09
EP3818090B1 (en) 2024-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3933B2 (en) Curable compositions containing isocyanate functional components having improved durability
JP7364575B2 (ja) ポリウレタン接着剤組成物
US20060079661A1 (en) Low volatile isocyanate monomer containing polyurethane prepolymer and adhesive system
JP6178865B2 (ja) ガラスへの接合に有用な速硬性接着剤
US9102854B2 (en) Polyurethane sealant compositions having high filler levels
JP6336381B2 (ja) 迅速な走行可能時間を提供する車輌窓装着において有用な接着剤
KR20130106273A (ko) 개선된 차량 유리 접착제 및 상기 유리를 접착시키는 방법
KR102628565B1 (ko) 실란화된 아크릴 폴리올계 코팅에 프라이머 없이 접합하는 이소시아네이트 작용성 접착제
EP2782943B1 (en) Curable compositions containing isocyanate functional components and having improved durability in the cured state
EP2992026B1 (en) Rapid drive away time adhesive for installing vehicle windows
US9499727B2 (en) Curable compositions containing isocyanate functional components having improved durability
EP3818090B1 (en) Primerless polyurethane adhesive compositions
KR20230087501A (ko) 1-성분 폴리우레탄 접착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