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7034A - 중공슬래브 설치구조물 - Google Patents

중공슬래브 설치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7034A
KR20210047034A KR1020190130589A KR20190130589A KR20210047034A KR 20210047034 A KR20210047034 A KR 20210047034A KR 1020190130589 A KR1020190130589 A KR 1020190130589A KR 20190130589 A KR20190130589 A KR 20190130589A KR 20210047034 A KR20210047034 A KR 20210047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hollow pipe
fixed
protruding
installatio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0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5757B1 (ko
Inventor
정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90130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5757B1/ko
Publication of KR20210047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7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2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hollow fill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중공관부; 상기 중공관부의 양측 단부영역을 막아 상기 중공관부에 중공구간을 형성하는 차단판부;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되는 제2 방향으로 이격하여 설치되는 복수 개의 상기 중공관부의 단부홀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중공구간을 벗어난 영역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관통철물부;를 포함하는 중공슬래브 설치구조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중공슬래브 설치구조물{INSRALLATION STRUCTURE OF HOLLOW CORE SLAB}
본 발명은 중공슬래브 설치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공간활용의 다양화를 위해서 기둥이나 벽으로 구획되는 장스팬구조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슬래브의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슬래브를 지지하는 보를 다수개 적절하게 배치하여야 한다.
그러나 슬래브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경우에는 슬래브 자중도 증가하여 구조물 전체에도 많은 하중부담이 되어 구조적 어려움이 발생하며, 보를 배치하는 경우는 층고가 높아지게 되고 복잡한 거푸집 작업을 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경량이면서 슬래브의 두께 및 보의 춤이 적고 휨강성이 커서 장스팬에서 구조적 안정성이 보장되는 중공슬래브 등이 제안되어 적용되고 있다.
중공슬래브는 콘크리트 타설시 경량성형재에 작용하는 부력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조치가 필요하다.
중공슬래브의 시공을 위해, 설치된 중공슬래브 설치구조물 위로 작업자가 이동시 미끄러짐이 발생하면서 작업자의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는바 이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
KR 10-2019-0021691 A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간이한 방식에 의해 중공슬래브를 시공할 수 있어 시공성이 향상된 중공슬래브 설치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중공슬래브 설치구조물 위로 작업자가 이동시 미끄러짐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가능성을 저감시킨 중공슬래브 설치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중공관부; 상기 중공관부의 양측 단부영역을 막아 상기 중공관부에 중공구간을 형성하는 차단판부;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되는 제2 방향으로 이격하여 설치되는 복수 개의 상기 중공관부의 단부홀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중공구간을 벗어난 영역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관통철물부;를 포함하는 중공슬래브 설치구조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공관부는, 상기 중공관부와 상기 차단판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중공구간; 및, 상기 관통철물부가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중공구간을 벗어난 영역에 형성되어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타설구간;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단판부는, 상기 중공구간과 상기 타설구간의 경계를 형성하는 차단판재; 및, 상기 중공관부의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중공관부의 내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차단판재를 상기 관통철물부 보다 내측에 배치시키는 판고정체;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판고정체는, 상기 중공관부의 단부에 고정되는 링상의 단부고정링; 및, 상기 단부고정링에서 상기 중공관부의 내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관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차단판재가 설치되는 가이드관;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판고정체는, 일측이 상기 중공관부의 단부에 고정되고 타측에 상기 차단판재가 고정되며, 상기 중공관부의 내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 개의 고정선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상측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지지플레이트부;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중공관부; 및, 상기 중공관부를 고정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플레이트부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부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설비의 설치부분을 형성하는 고정체부;를 포함하는 중공슬래브 설치구조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체부는, 탄성 변형되면서 일측 단부가 상기 지지플레이트부의 걸림홀을 관통하여 억지끼움 방식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체부는, 일측 단부가 상기 지지플레이트부의 걸림홀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에 하부설비가 걸림 고정되는 폐단면형상의 걸이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체부는, 상기 중공관부를 고정하는 고정본체;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부의 걸림홀에 걸림고정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부를 관통하여 돌출된 부분에 하부설비가 걸림 고정되는 탄성걸림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본체는, 상기 탄성걸림부재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철선걸이; 상기 탄성걸림부재 및 상기 철선걸이의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고정하고, 상기 중공관부를 지지하는 고정블록; 및, 상기 철선걸이와 함께 상기 중공관부를 둘러싸도록 고정하는 결속선;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걸림부재는,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부의 걸림홀에 삽입되고, 탄성변형이 회복된 상태로 상기 고정본체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걸림부재는, 상기 지지플레이트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일측 단부가 서로 경사지게 연결되는 한 쌍의 돌출판; 상기 돌출판의 타측 단부에서 횡방향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수평연장판; 및, 상기 수평연장판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대향되게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탄성가압판;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공관부는,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돌출높이가 상이한 적어도 2 이상의 요철라인이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공관부는, 상기 중공관부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제1 돌출높이로 돌출 형성되는 나선형의 제1 요철라인; 및, 상기 중공관부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돌출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덜 돌출된 제2 돌출높이로 돌출 형성되는 나선형의 제2 요철라인;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간이한 방식에 의해 중공슬래브를 시공할 수 있어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중공슬래브 설치구조물 위로 작업자가 이동시 미끄러짐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슬래브 설치구조물이 설치된 중공슬래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슬래브 설치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A-A'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슬래브 설치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슬래브 설치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슬래브 설치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중공슬래브 설치구조물의 고정체부의 설치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슬래브 설치구조물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슬래브 설치구조물은 중공관부(100), 차단판부(200) 및, 관통철물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중공슬래브 설치구조물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 형성되고, 콘크리트(C)에 매립되는 중공관부(100)와, 상기 중공관부(100)의 양측 단부영역을 막아 상기 중공관부(100)에 중공구간(100-1)을 형성하는 차단판부(200) 및, 상기 제1 방향(D1)과 교차되는 제2 방향(D2)으로 이격하여 설치되는 복수 개의 상기 중공관부(100)의 단부홀(110)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중공구간(100-1)을 벗어난 영역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관통철물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중공관부(100)는 횡방향인 제1 방향(D1)으로 연장 형성되고, 콘크리트(C)에 매립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중공관부(100)는 횡방향인 제1 방향(D1)으로 연장 형성되고, 복수 개의 중공관부(100)가 제1 방향(D1)과 교차되는 횡방향인 제2 방향(D2)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중공관부(100)는 강재 등의 금속소재로 구성될 있다.
중공관부(100)는 내부가 중공된 관체로 구성될 수 있고, 중공관부(100)의 단부를 차단판부(200)가 막은 상태에서 콘크리트(C)가 타설되면서 중공구간(100-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공관부(100)에 중공구간(100-1)이 형성됨으로써, 콘크리트(C)의 물량을 줄여 슬래브를 경량화할 수 있고, 중공구간(100-1)이 층간소음과 진동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중공관부(100)의 단부홀(110)은 중공관부(100)의 길이방향 단부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중공관부(100)의 단부홀(110)은 콘크리트(C)의 굵은골재가 통과할 수 있도록 최소 25mm 이상으로 할 수 있더,
도 4를 참조하면, 중공관부(100)에는 제1 방향(D1)과 교차되는 제2 방향(D2)으로 대향되는 위치에 단부홀(110)이 형성되고, 관통철물부(300)는 중공관부(100)의 대향되는 단부홀(110)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중공관부(100)는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요철라인(130)이 형성되는 파형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중공관부(100)에 형성되는 요철라인(130)은 중공관부(100)의 길이방향인 제1 방향(D1)을 따라 나선형의 요철라인(1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요철라인(130)은 중공관부(100)와 콘크리트(C) 간의 미끄러짐 저항을 향상시키기 위해, 중공관부(100)의 외주면에서 적어도 2.5mm 이상을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공관부(100)의 외주면에 요철라인(130)이 돌출 형성됨으로써, 중공관부(100)의 형태적으로 저항력이 커지면서 중공관부(100)의 강성이 커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시공과정에서 작업자가 중공관부(100)를 밟아도 중공관부(100)가 찌그러짐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중공관부(100)의 외주면에 요철라인(130)이 돌출 형성됨으로써, 중공관부(100) 상으로 작업자가 이동시 미끄러짐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차단판부(200)는 중공관부(100)의 양측 단부영역을 막아 상기 중공관부(100)에 중공구간(100-1)을 형성하는 구성요소이다.
차단판부(200)는 중공관부(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중공관부(100)의 양측 단부영역을 막아 중공관부(100)의 중공구간(100-1)으로 콘크리트(C)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물론, 중공관부(100)와 차단판부(200) 사이의 미세한 공차를 통해 소량의 콘크리트(C)가 중공구간(100-1)으로 유입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차단판부(200)는 중공구간(100-1)과 타설구간(100-2)의 경계를 막도록 설치되어 중공구간(100-1)으로 콘크리트(C)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차단판부(200)는 중공관부(100)의 내부에 접합되는 판형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관통철물부(300)는 제1 방향(D1)과 교차되는 횡방향인 제2 방향(D2)으로 이격하여 설치되는 복수 개의 상기 중공관부(100)의 단부홀(110)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중공관부(100)의 단부홀(110)은 중공관부(100)의 길이방향 단부영역에 형성되고, 관통철물부(300)는 단부영역에 형성된 복수 개의 단부홀(110)을 연속적으로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관통철물부(300)는 단부홀(110)의 중앙부분에 배치된 상태에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관통철물부(300)는 중공슬래브의 상부철근(E1) 또는 하부철근(E2) 등에 별도의 고정부재(미도시)를 매개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관통철물부(300)는 중공구간(100-1) 이외의 부분을 관통하여 설치되는데, 이는 중공구간(100-1)을 관통하여 설치될 경우 중공구간(100-1)으로 콘크리트(C)가 유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관통철물부(300)는 복수 개의 중공관부(100)의 타설구간(100-2)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관통철물부(300)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 형성되는 이형철근 등의 철근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중공관부(100)는, 상기 중공관부(100)와 상기 차단판부(200)에 의해 둘러싸이는 중공구간(100-1) 및, 상기 관통철물부(300)가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중공구간(100-1)을 벗어난 영역에 형성되어 콘크리트(C)가 타설되는 타설구간(100-2)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중공구간(100-1)은 중공관부(100)와 상기 차단판부(200)에 의해 둘러싸이고, 내부에 콘크리트(C)가 채워지지 않은 빈 공간일 수 있다.
물론, 중공구간(100-1)에는 중공관부(100)와 차단판부(200) 사이의 미세한 공차를 통해 소량의 콘크리트(C)가 유입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중공관부(100)의 양측 단부영역에 차단판부(200)를 설치하여 중공관부(100)를 막음으로써, 중공관부(100)의 길이방향 중앙영역에 중공구간(100-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타설구간(100-2)은 중공관부(100)의 중앙영역을 벗어난 양측 단부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타설구간(100-2)에는 관통철물부(300)가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차단판부(200)는, 상기 중공구간(100-1)과 상기 타설구간(100-2)의 경계를 형성하는 차단판재(210) 및, 상기 중공관부(100)의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중공관부(100)의 내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차단판재(210)를 상기 관통철물부(300) 보다 내측에 배치시키는 판고정체(230)를 구비할 수 있다.
차단판재(210)는 중공구간(100-1)과 타설구간(100-2)에 설치되어 중공구간(100-1)으로 콘크리트(C)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판고정체(230)는, 상기 중공관부(100)의 단부에 고정되는 링상의 단부고정링(231) 및, 상기 단부고정링(231)에서 상기 중공관부(100)의 내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관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차단판재(210)가 설치되는 가이드관(233)을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관(233)의 일측단부에는 단부고정링(231)이 설치되고, 가이드관(233)의 타측 단부에는 차단판재(210)가 설치될 수 있다.
차단판재(210)는 가이드관(233)의 타측 단부측을 막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단부고정링(231)은 가이드관(233)의 일측 단부측 외주면에서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되고, 가이드관(233)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링상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관(233)은 양측 단부가 개방된 관상체로 구비되고, 일측 단부에는 단부고정링(231)이 형성되고, 타측단부에는 차단판재(210)가 설치될 수 있다.
관통철물부(300)는 중공관부(100)의 단부홀(110)과 가이드관(233)의 가이드홀(234)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중공관부(100)의 단부홀(110)과 가이드관(233)의 가이드홀(234)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판고정체(230)는, 일측이 상기 중공관부(100)의 단부에 고정되고 타측에 상기 차단판재(210)가 고정되며, 상기 중공관부(100)의 내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 개의 고정선재(235)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선재(235)의 일측에 상기 중공관부(100)의 단부에 고정되고 중공관부(100)의 내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고정선재(235)의 타측에 상기 차단판재(210)가 고정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고정선재(235) 중 일부의 고정선재(235)는 차단판재(210)의 제1 면에 접합되고, 복수 개의 고정선재(235) 중 다른 일부의 고정선재(235)는 차단판재(210)의 제1 면의 반대방향인 제2 면을 둘러싸도록 연결될 수 있다.
고정선재(235)는 단부고정선재(236), 연장선재(237), 삽입선재(238)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b의 확대된 부분을 참조하면, 고정선재(235)는 중공관부(100)의 단부에 고정되는 단부고정선재(236)와, 단부고정선재(236)에서 중공관부(100)의 내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선재(237) 및, 2개의 연장선재(237)와 연결되고 상기 차단판재(210)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삽입선재(238)로 구성될 수 있다.
연장선재(237)는 차단판재(210)를 직접 고정하거나, 연장선재(237)와 삽입선재(238)가 함께 차단판재(210)를 고정할 수 있다.
연장선재(237)는 차단판재(210)의 제1 면에 직접 접합되거나, 2개 연장선재(237)가 삽입선재(238)와 연결되면서 차단판재(210)의 삽입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공관부(100), 차단판부(200) 및, 관통철물부(300)를 포함하는 중공슬래브 설치구조물에는 이후 설명할 지지플레이트부(400), 고정체부(500)의 구성이 추가적으로 적용될 수 있고, 다양한 실시형태를 가지는 지지플레이트부(400), 고정체부(500)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슬래브 설치구조물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슬래브 설치구조물은 지지플레이트부(400), 중공관부(100) 및, 고정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중공슬래브 설치구조물은 상측에 콘크리트(C)가 타설되는 지지플레이트부(400)와, 제1 방향(D1)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콘크리트(C)에 매립되는 중공관부(100) 및, 상기 중공관부(100)를 고정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플레이트부(40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부(400)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설비(F)의 설치부분을 형성하는 고정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지지플레이트부(400)의 상측에는 콘크리트(C)가 타설되면서 바닥을 형성하는 슬래브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부(400)는 타설된 콘크리트를 지지하는 데크플레이트 또는 거푸집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데크플레이트와 거푸집에는 걸림홀(410)이 형성될 수 있고, 고정체부(500)가 탄성 변형되면서 걸림홀(410)을 관통하여 억지끼움 방식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부(400)가 데크플레이트로 구성될 경우, 데크프레이트는 타설된 콘크리트와 함께 슬래브를 구성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부(400)가 거푸집으로 구성될 경우, 거푸집은 콘크리트가 타설 및 경화된 후 거푸집은 제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체부(500)가 하부공간(G)으로 돌출된 부분을 탄성 변형시켜 폭을 감소시켜 고정체부(500)에 고정된 거푸집을 제거할 수 있다.
콘크리트(C)가 중공관부(100) 및 고정체부(500)를 둘러싸도록 타설 및 경화되면서 중공슬래브가 형성될 수 있다.도 7을 참조하면, 중공관부(100)는 제1 방향(D1)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콘크리트(C)에 매립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형태를 가지는 중공슬래브 설치구조물에 적용된 다양한 실시형태의 중공관부(100)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지플레이트부(400), 중공관부(100), 고정체부(500)를 포함하는 중공슬래브 설치구조물에 앞서 설명한 차단판부(200) 및, 관통철물부(300)의 구성이 추가적으로 적용될 수 있고, 다양한 실시형태를 가지는 차단판부(200), 관통철물부(300)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고정체부(500)는 적어도 일부가 콘크리트(C)에 매립되어 중공관부(100)를 지지하고, 지지플레이트부(400)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체부(500)는 지지플레이트부(400)를 관통하여 지지플레이트부(400) 및 콘크리트(C)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고정체부(500)는 중공관부(100)의 길이방향인 제1 방향(D1)으로 복수 개가 이격하여 설치될 수 있다.
고정체부(500)는 콘크리트(C)의 내부에 타설되는 상부철근(E1) 및, 하부철근(E2)과의 간섭되지 않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고정체부(500)는 일측 단부가 콘크리트(C) 및 지지플레이트부(40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공슬래브 설치구조물은 고정체부(500)의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됨으로써, 고정체부(500)가 지지플레이트부(4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추가적으로 하부설비(F)의 설치부분을 형성할 필요없이 고정체부(500)에 하부설비(F)가 설치될 수 있어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중공슬래브 설치구조물은 고정체부(500)의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됨으로써, 중공관부(100)의 설치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고정체부(500)는, 탄성 변형되면서 일측 단부가 상기 지지플레이트부(400)의 걸림홀(410)을 관통하여 억지끼움 방식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고정체부(500)의 일측단부를 작업자가 가압하여 탄성 변형시킨 지지플레이트부(400)의 걸림홀(410)에 삽입하고, 가압을 해제하면 고정체부(500)가 다시 펼쳐지면서 고정체부(500)가 지지플레이트부(400)에 원터치 방식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고정체부(500)를 지지플레이트부(400)에 용접하거나, 추가적인 설치부재를 설치할 필요없이 고정체부(500)의 일측 단부를 걸림홀(410)에 삽입함으로써, 고정체부(500)를 지지플레이트부(400)에 간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현장에서의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고정체부(500)는, 일측 단부가 상기 지지플레이트부(400)의 걸림홀(410)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에 하부설비(F)가 걸림 고정되는 폐단면형상의 걸이부분(516)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체부(500)의 하단부분은 지지플레이트부(400)를 관통하여 하측으로 돌출되고, 폐단면형상의 걸이부분(516)에는 중공슬래브의 하부공간(G)에 설치되는 하부설비(F)가 걸림 고정될 수 있다.
고정체부(500)에 걸림 고정되는 하부설비(F)는 천장구조물일 수 있다.
일례로, 고정체부(500)의 걸이부분(516)에 천장구조물의 달대볼트가 걸림고정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고정체부(500)는, 상기 중공관부(100)를 고정하는 고정본체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부(400)의 걸림홀(410)에 걸림고정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부(400)를 관통하여 돌출된 부분에 하부설비(F)가 걸림 고정되는 탄성걸림부재(510)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본체는 중공관부(100)를 고정하는 부분이고, 고정본체는 고정블록(530), 철선걸이(550), 결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체부(500)는 중공관부(100)가 설치된 고정체부(500)가 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지지하는 횡지지대(59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횡지지대(590)는 탄성걸림부재(510)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지지플레이트부(400)에 하단이 고정되면서 중공관부(100)가 설치된 고정체부(500)를 지지할 수 있다.
횡지지대(590)는 탄성걸림부재(510) 및 고정블록(530)을 관통하는 수평지지대와, 수평지지대의 양단부에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지지플레이트부(400)에 고정되는 경사지지대를 구비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고정본체는, 상기 탄성걸림부재(51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철선걸이(550)와, 상기 탄성걸림부재(510) 및 상기 철선걸이(550)의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고정하고, 상기 중공관부(100)를 지지하는 고정블록(530) 및, 상기 철선걸이(550)와 함께 상기 중공관부(100)를 둘러싸도록 고정하는 결속선(570)을 구비할 수 있다.
철선걸이(550)는 고정블록(530) 및 상기 탄성걸림부재(510)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고정블록(530)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고정블록(530)은 중공관부(100)의 하부를 지지하고, 지지플레이트부(400)의 상면에 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고정블록(530)은 철선걸이(550)와 탄성걸림부재(510)가 연결되도록 일체화시키거나, 철선걸이(550)와 탄성걸림부재(510) 및, 횡지지대(590)가 연결되도록 일체화시킬 수 있다.
고정블록(530)은 탄성걸림부재(510) 및 상기 철선걸이(55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콘크리트블록으로 구성되거나, 철선걸이(550)와 탄성걸림부재(510) 및, 횡지지대(59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콘크리트블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콘크리트블록의 압축강도는 중공슬래브를 형성하는 콘크리트(C)의 압축강도의 동등 또는 동등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블록(530)은 탄성걸림부재(510)에 철선걸이(550) 및/또는 횡지지대(590)가 관통하여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에 형틀을 설치하고, 형틀에 콘크리트(C) 또는 플라스틱을 채운 상태에서 증기 양생 등의 방식에 의해 굳혀서 형성할 수 있다.
결속선(570)은 철선걸이(550)와 함께 상기 중공관부(100)를 둘러싸도록 고정할 수 있다.
결속선(570)과 철선걸이(550)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선재형상의 금속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결속선(570)은 고정블록(530)이 굳혀진 상태에서 철선걸이(550)와 함께 중공관부(10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중공관부(100)를 고정함으로써, 콘크리트(C)를 타설시 중공관부(100)가 부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블록(530)은, 상기 중공관부(100)의 하부를 지지하고, 상기 철선걸이(550)가 고정되는 철선블록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부(400)의 상면에 거치되고, 상기 탄성걸림부재(510)가 고정되는 걸림블록을 구비할 수 있다.
철선블록에 철선걸이(550)가 고정되고, 철선블록의 양단부를 통해 철선걸이(550)가 노출될 수 있다.
철선블록은 중공관부(10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중공관부(100)의 하부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걸림블록에 탄성걸림부재(510)의 상부가 고정되고, 걸림블록의 하부로 탄성걸림부재(510)가 노출될 수 있다.
고정체부(50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부(400)의 걸림홀(410)에 걸림고정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부(400)를 관통하여 돌출된 부분에 하부설비(F)가 걸림 고정되는 탄성걸림부재(510)와, 상기 탄성걸림부재(51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철선걸이(550)와, 상기 탄성걸림부재(510) 및 상기 철선걸이(550)의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고정하고, 상기 중공관부(100)를 지지하는 고정블록(530) 및, 상기 철선걸이(550)와 함께 상기 중공관부(100)를 둘러싸도록 고정하는 결속선(570)을 구비할 수 있다.
고정체부(500)의 설치순서 일례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탄성걸림부재(510)를 지지플레이트부(400)의 걸림홀(410)에 삽입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탄성걸림부재(510)의 관통홀(518)에 철선걸이(550)를 설치하거나, 탄성걸림부재(510)의 관통홀(518)에 철선걸이(550)를 설치한 상태에서 탄성걸림부재(510)를 지지플레이트부(400)의 걸림홀(410)에 삽입하여 고정한다.
다음으로, 탄성걸림부재(510)의 관통홀(518)에 철선걸이(550)를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에 형틀을 설치하고, 형틀에 콘크리트(C) 또는 플라스틱을 채운 상태에서 증기 양생 등의 방식에 의해 굳혀서 고정블록(530)을 설치한다.
다음으로, 고정블록(530)에 중공관부(100)를 배치한 상태에서 철선걸이(550)와 결속선(570)을 연결하여 중공관부(100)를 고정할 수 있다.
고정체부(500)의 설치순서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바람직한 시공방법으로서 예시하는 것으로, 상술한 순서 이외에도 구체적인 현장상황에 따라 다른 순서에 따라 변형실시되거나 혹은 기타 부수적인 공정이 추가될 수도 있다.
이후, 지지플레이트부(400)에 고정체부(500)가 고정되고, 고정체부(500)가 중공관부(100)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부철근(E1)과 하부철근(E2) 등이 배근되고 테크플레이트부의 상부에 콘크리트(C)가 타설되고, 중공관부(100)가 콘크리트(C)에 매립된 상태로 경화되면서 중공슬래브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콘크리트(C)를 타설하기 전에 복수 개의 중공관부(100)의 단부홀(110)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연결철물부를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탄성걸림부재(510)는,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부(400)의 걸림홀(410)에 삽입되고, 탄성변형이 회복된 상태로 상기 고정본체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탄성걸림부재(510)는,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부(400)의 걸림홀(410)에 걸림고정되고, 내부가 중공된 화살표 형상의 쐐기강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탄성걸림부재(51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부(400)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일측 단부가 서로 경사지게 연결되는 한 쌍의 돌출판(511)과, 상기 돌출판(511)의 타측 단부에서 횡방향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수평연장판(513) 및, 상기 수평연장판(513)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대향되게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탄성가압판(515)을 구비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돌출판(511)은 일측 단부가 서로 경사지게 연결되고, 타측 단부에는 수평연장판(513)이 연결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수평연장판(513)은 돌출판(511)의 일측단부에서 수평하게 절곡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탄성가압판(515)에 인가된 가압되어 최대한 압축된 상태에서 한 쌍의 수평연장판(513)은 단부가 서로 접할 수 있다.
이때, 최대한 압축된 상태의 한 쌍의 수평연장판(513)의 폭은 지지플레이트부(400)의 걸림홀(410)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면서 탄성걸림부재(510)는 걸림홀(410)로 삽입될 수 있다.
수평연장판(513)이 걸림홀(410)의 주변에 걸리면서, 콘크리트(C) 타설시 중공관부(100)의 부력에 의한 떠오름 현상에 의해 탄성걸림부재(510)가 지지플레이트부(400)에서 뽑히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수평연장판(513)이 걸림홀(410)의 주변에 걸리는 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탄성걸림부재(510)가 지지플레이트부(400)에서 뽑히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수평연장판(513)이 탄성걸림부재(510)의 걸이부분(516)에 확장판(520)을 설치하여 확장판(520)이 걸림홀(410)의 주변에 추가적으로 걸리도록 함으로써, 탄성걸림부재(510)가 지지플레이트부(400)에서 뽑히는 것이 추가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탄성가압판(515)은 수평연장판(513)의 일측단부에서 상측으로 절곡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변형공간(517)을 사이에 두고 대향되게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탄성가압판(515)에는 철선걸이(550) 및/또는 횡지지대(590)가 관통하는 관통홀(518)이 형성될 수 있다.
철선걸이(550)와 횡지지대(590)는 어느 정도 탄성변형이 가능한 강재로 구성되어, 탄성변형되면서 관통홀(518)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탄성가압판(515)의 사이에는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면서 탄성변형 가능한 변형공간(517)이 형성될 수 있다.
이격 배치된 탄성가압판(515)이 내측으로 가압되면서 탄성변형되면서 돌출판(511) 및 수평연장판(513)은 걸림홀(410)로 삽입될 수 있다.
탄성가압판(515)에 인가된 가압이 해제되면 탄성가압판(515)이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탄성변형이 복귀될 수 있고, 돌출판(511) 및, 수평연장판(513)은 지지플레이트부(400)의 하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걸림홀(410)에 고정될 수 있다.
탄성 변형되면서 탄성걸림부재(510)가 걸림홀(410)에 고정되고, 탄성걸림부재(510)의 탄성 변형이 복귀된 상태에서 고정블록(530)이 타설되면서 고정블록(530)이 탄성걸림부재(510)를 탄성변형이 복귀된 상태로 고정하여 탄성걸림부재(510)가 지지플레이트부(40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중공관부(100)는,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돌출높이가 상이한 적어도 2 이상의 요철라인(130)이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돌출높이가 상이한 적어도 2 이상의 요철라인(130)이 교번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요철라인(130)은 중공관부(100)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나선형의 요철라인(1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중공관부(100)가 높이를 달리하는 요철라인(130)이 형성됨으로써, 콘크리트(C)와 중공관부(100)와의 미끄러짐 저항을 높일 수 있고, 콘크리트(C)에 전달되는 부착응력이 고르게 전달되면서 국부적인 부착파괴나 부분적 균열폭의 증가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중공관부(100)는, 상기 중공관부(100)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제1 돌출높이로 돌출 형성되는 나선형의 제1 요철라인(130-1) 및, 상기 중공관부(100)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돌출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덜 돌출된 나선형의 제2 돌출높이로 돌출 형성되는 제2 요철라인(130-2)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요철라인(130-1)과 제2 요철라인(130-2)은 횡방향인 제1 방향(D1)으로 연장 형성되는 중공관부(100)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중공관부(100)가 높이를 달리하는 제1 요철라인(130-1)과 제2 요철라인(130-2)이 형성됨으로써, 제1 요철라인(130-1)에 의한 전단파괴면이 제2 요철라인(130-2)에 의한 전단파괴면에 영향을 주지않아 넓은 전단파괴면을 형성할 수 있다.
중공관부(100)에는 제1 요철라인(130-1)과 제2 요철라인(130-2)이 교번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교번적이라 함은 중공관부(100)에 제1 요철라인(130-1)와 제2 요철라인(130-2)이 순번적으로 교대로 설치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2개 이상의 중공관부(100)에 제1 요철라인(130-1)이 연속적으로 설치되고, 다음으로 제2 요철라인(130-2)이 설치되는 형태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요철라인(130-1)에는 중공관부(100)에서 최대로 돌출된 제1 돌출부분(131)이 형성되고, 제2 요철라인(130-2)이 중공관부(100)에서 최대로 돌출된 제2 돌출부분(13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요철라인(130-2)의 제2 돌출부분(132)과 인접한 제1 요철라인(130-1)의 제1 돌출부분(131)을 연결한 제1 라인과, 인접한 2개의 제2 요철라인(130-2)의 최고로 돌출된 인접한 2개의 제2 돌출부분(132)을 연결한 제2 라인이 이루는 각도(θ)를 15도 이하로 할 수 있다.
제1 라인과 제2 라인이 이루를 각도(θ)를 15도 이하로 함으로써, 콘크리트(C)의 전단파괴면이 제2 요철라인(130-2)의 제2 돌출부분(132)에 의해 단절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1 라인과 제2 라인이 이루를 각도(θ)를 15도 이하로 함으로써, 전단파괴면의 면적을 최대한 넓게 형성할 수 있어 콘크리트(C)와 중공관부(100)의 부착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제1 요철라인(130-1)의 상단인 제1 돌출부분(131)에서 제2 요철라인(130-2)의 상단인 제2 돌출부분(132)을 연결하는 제1 라인과 중공관부(100)의 축이 이루는 각도(θ)를 15도 이하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중공관부 100-1: 중공구간
100-2: 타설구간 110: 단부홀
130: 요철라인 130-1: 제1 요철라인
130-2: 제2 요철라인 131: 제1 돌출부분
132: 제2 돌출부분 200: 차단판부
210: 차단판재 230: 판고정체
231: 단부고정링 233: 가이드관
234: 가이드홀 235: 고정선재
236: 단부고정선재 237: 연장선재
238: 삽입선재 300: 관통철물부
400: 지지플레이트부 410: 걸림홀
500: 고정체부 510: 탄성걸림부재
511: 돌출판 513: 수평연장판
515: 탄성가압판 516: 걸이부분
517: 변형공간 518: 관통홀
520: 확장판 530: 고정블록
550: 철선걸이 570: 결속선
590: 횡지지대 C: 콘크리트
D1: 제1 방향 D2: 제2 방향
E1: 상부철근 E2: 하부철근
F: 하부설비 G: 하부공간

Claims (14)

  1.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중공관부;
    상기 중공관부의 양측 단부영역을 막아 상기 중공관부에 중공구간을 형성하는 차단판부;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되는 제2 방향으로 이격하여 설치되는 복수 개의 상기 중공관부의 단부홀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중공구간을 벗어난 영역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관통철물부;를 포함하는 중공슬래브 설치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관부는,
    상기 중공관부와 상기 차단판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중공구간; 및,
    상기 관통철물부가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중공구간을 벗어난 영역에 형성되어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타설구간;을 구비하는 중공슬래브 설치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부는,
    상기 중공구간과 상기 타설구간의 경계를 형성하는 차단판재; 및,
    상기 중공관부의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중공관부의 내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차단판재를 상기 관통철물부 보다 내측에 배치시키는 판고정체;를 구비하는 중공슬래브 설치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고정체는,
    상기 중공관부의 단부에 고정되는 링상의 단부고정링; 및,
    상기 단부고정링에서 상기 중공관부의 내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관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차단판재가 설치되는 가이드관;을 구비하는 중공슬래브 설치구조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고정체는,
    일측이 상기 중공관부의 단부에 고정되고 타측에 상기 차단판재가 고정되며, 상기 중공관부의 내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 개의 고정선재로 구성되는 중공슬래브 설치구조물.
  6. 상측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지지플레이트부;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중공관부; 및,
    상기 중공관부를 고정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플레이트부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부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설비의 설치부분을 형성하는 고정체부;를 포함하는 중공슬래브 설치구조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부는,
    탄성 변형되면서 일측 단부가 상기 지지플레이트부의 걸림홀을 관통하여 억지끼움 방식에 의해 고정되는 중공슬래브 설치구조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부는,
    일측 단부가 상기 지지플레이트부의 걸림홀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에 하부설비가 걸림 고정되는 폐단면형상의 걸이부분이 형성되는 중공슬래브 설치구조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부는,
    상기 중공관부를 고정하는 고정본체;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부의 걸림홀에 걸림고정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부를 관통하여 돌출된 부분에 하부설비가 걸림 고정되는 탄성걸림부재;를 구비하는 중공슬래브 설치구조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본체는,
    상기 탄성걸림부재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철선걸이;
    상기 탄성걸림부재 및 상기 철선걸이의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고정하고, 상기 중공관부를 지지하는 고정블록; 및,
    상기 철선걸이와 함께 상기 중공관부를 둘러싸도록 고정하는 결속선;을 구비하는 중공슬래브 설치구조물.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걸림부재는,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부의 걸림홀에 삽입되고, 탄성변형이 회복된 상태로 상기 고정본체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슬래브 설치구조물.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걸림부재는,
    상기 지지플레이트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일측 단부가 서로 경사지게 연결되는 한 쌍의 돌출판;
    상기 돌출판의 타측 단부에서 횡방향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수평연장판; 및,
    상기 수평연장판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대향되게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탄성가압판;을 구비하는 중공슬래브 설치구조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관부는,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돌출높이가 상이한 적어도 2 이상의 요철라인이 이격하여 형성되는 중공슬래브 설치구조물.
  14.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관부는,
    상기 중공관부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제1 돌출높이로 돌출 형성되는 나선형의 제1 요철라인; 및,
    상기 중공관부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돌출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덜 돌출된 제2 돌출높이로 돌출 형성되는 나선형의 제2 요철라인;을 구비하는 중공슬래브 설치구조물.
KR1020190130589A 2019-10-21 2019-10-21 중공슬래브 설치구조물 KR102305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589A KR102305757B1 (ko) 2019-10-21 2019-10-21 중공슬래브 설치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589A KR102305757B1 (ko) 2019-10-21 2019-10-21 중공슬래브 설치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034A true KR20210047034A (ko) 2021-04-29
KR102305757B1 KR102305757B1 (ko) 2021-09-27

Family

ID=75728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0589A KR102305757B1 (ko) 2019-10-21 2019-10-21 중공슬래브 설치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57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8855A (ko) 2021-06-17 2022-12-26 주식회사 포스코 중공 슬래브 설치구조물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2654A (ja) * 1998-12-25 2000-07-11 Meiwa Ind Co Ltd 中空スラブ工法用の管支持固定器具及び支持固定方法
JP2001140393A (ja) * 1999-11-18 2001-05-22 Miyoujiyou Cement Kk 中空孔を有するコンクリ−ト板のボイド塞ぎ栓及びこれを装備した中空孔を有するコンクリ−ト板
JP2001173140A (ja) * 1999-12-15 2001-06-26 Kurimoto Ltd 薄鋼板製パイプ用のキャップ
JP2004285583A (ja) * 2003-03-19 2004-10-14 Sekisui Plastics Co Ltd 現場打ち中空コンクリートスラブの施工法
JP2011214365A (ja) * 2010-04-02 2011-10-27 Takenaka Komuten Co Ltd ボイドスラブの構築方法
KR20180025372A (ko) * 2016-08-30 2018-03-09 주식회사 포스코 보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슬림플로어
KR20190021691A (ko) 2017-08-23 2019-03-06 주식회사 포스코 기둥부재와 슬래브의 보강구조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2654A (ja) * 1998-12-25 2000-07-11 Meiwa Ind Co Ltd 中空スラブ工法用の管支持固定器具及び支持固定方法
JP2001140393A (ja) * 1999-11-18 2001-05-22 Miyoujiyou Cement Kk 中空孔を有するコンクリ−ト板のボイド塞ぎ栓及びこれを装備した中空孔を有するコンクリ−ト板
JP2001173140A (ja) * 1999-12-15 2001-06-26 Kurimoto Ltd 薄鋼板製パイプ用のキャップ
JP2004285583A (ja) * 2003-03-19 2004-10-14 Sekisui Plastics Co Ltd 現場打ち中空コンクリートスラブの施工法
JP2011214365A (ja) * 2010-04-02 2011-10-27 Takenaka Komuten Co Ltd ボイドスラブの構築方法
KR20180025372A (ko) * 2016-08-30 2018-03-09 주식회사 포스코 보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슬림플로어
KR20190021691A (ko) 2017-08-23 2019-03-06 주식회사 포스코 기둥부재와 슬래브의 보강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8855A (ko) 2021-06-17 2022-12-26 주식회사 포스코 중공 슬래브 설치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5757B1 (ko) 202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38886B2 (ja) 設備用基礎
KR100741431B1 (ko) 거푸집 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복합형강보 및 건축물시공방법
KR101101208B1 (ko) 캔틸레버부 시공을 위한 프리캐스트 데크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슬래브 시공방법
KR100812132B1 (ko) 콘크리트 슬래브 조립체
KR102040363B1 (ko) 무천공방식의 정착고리철근을 이용한 교대측과 교량측 간의 연결슬래브조인트 시공방법
KR100704055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갖는 강주형 연속합성형교량및 그 시공방법
KR20210047034A (ko) 중공슬래브 설치구조물
KR102300099B1 (ko) 하중에 의한 파손을 방지한 일체형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
KR101658390B1 (ko) 암거 보강 공법
KR100635137B1 (ko) 교량 슬래브 시공방법 및 그에 적용되는 래티스바아데크형 피씨플레이트
KR101119050B1 (ko) 에이치 형강 매립 구조
JP2017082405A (ja) T桁の架設方法
KR101541451B1 (ko) 하부 반단면 콘크리트 슬래브와 이의 제작 및 시공방법
JP2017082404A (ja) T桁橋の上部構造
KR101631096B1 (ko) 교량용 멀티 합성거더
KR101124820B1 (ko) 슬래브 구축용 결합구조
KR100583671B1 (ko) 다양한 위치에 설치된 강재정착구와 상하 플랜지에보강재를 설치하여 제작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 및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20120108328A (ko) 강선인장을 이용하는 복공판 및 그 시공방법
JP6517121B2 (ja) 埋設型枠
EP1416101A1 (en) Composite beam
KR101389821B1 (ko) 매립형 추가 긴장부가 부설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및 이의 제작 및 보수공법
KR20130103970A (ko)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와 제조방법 및 이를 적용한 가설교량
JP2019078116A (ja) 継手部構造、及び接合方法
KR102031416B1 (ko) 매트슬래브
JP5781873B2 (ja) 橋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