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6630A - 커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커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6630A
KR20210046630A KR1020210051385A KR20210051385A KR20210046630A KR 20210046630 A KR20210046630 A KR 20210046630A KR 1020210051385 A KR1020210051385 A KR 1020210051385A KR 20210051385 A KR20210051385 A KR 20210051385A KR 20210046630 A KR20210046630 A KR 20210046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mixed solution
heating
sand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1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수
Original Assignee
김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수 filed Critical 김광수
Priority to KR1020210051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6630A/ko
Publication of KR20210046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66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23F5/243Liquid, semi-liquid or non-dried semi-solid coffee extract preparations; Coffee gels; Liquid coffee in solid 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10Treating roasted coffee;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23F5/26Extraction of water-soluble constituents
    • A23F5/262Extraction of water-soluble constituents the extraction liquid flows through a stationary bed of solid substances, e.g. in percolation colum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로스팅된 원두를 분쇄 입자로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 입자와 물을 혼합하여 혼합액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혼합액을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된 혼합액을 여과지를 통과시켜 커피 원액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혼합액을 가열하는 단계는, 상기 혼합액을 넣은 용기를 150℃ ~ 300℃의 모래에 담궈 가열하며, 상기 용기의 측면의 일부는 상기 모래와 직접 접하며, 상기 분쇄 입자의 직경은 20μm 내지 0.3mm이고, 상기 혼합액은 상기 물 200g에 상기 분쇄 입자를 20g 내지 60g을 넣어 형성하며, 상기 혼합액을 가열하는 단계에서, 상기 혼합액은 5초 내지 20초 동안 가열하는, 커피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커피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Drip Coffe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커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두커피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추출되고 있는데, 분쇄된 원두가 담긴 여과지에 뜨거운 물을 부어 커피액을 추출하는 드립커피추출법과, 포트에 분쇄된 원두를 충전한 다음에 고압상태로 고온의 물을 통과시켜 커피액을 추출하는 에스프레소커피추출법, 다량의 분쇄된 원두가 충전된 용기에 소량의 찬물을 장시간 투과시키면서 차가운 상태에서 커피액을 추출하는 더치(Dutch)커피 추출법 등이 있다. 커피의 추출방법에 따라, 커피의 향미, 신맛, 쓴맛, 단맛, 및 전체적인 균형감 등이 다른 커피가 제조된다.
그 중 드립커피추출법은 원두의 로스팅 정도, 분쇄 정도, 드리퍼(dripper)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풍미를 갖는 커피를 제조할 수 있어, 커피 애호가들에게 인기있는 추출법이다.
그러나, 드립커피추출법은 분쇄된 원두에 뜨거운 물을 부운 후 분쇄된 원두가 부풀어 오르는 시간을 기다렸다가, 다시 뜨거운 물을 분쇄된 원두에 서서히 부어서 커피를 추출하게 된다. 이때, 최초 뜨거운 물을 붓는 양, 뜨거운 물을 분쇄된 원두에 서서히 부울 때의 물줄기의 굵기, 시간 등에 따라서 커피의 맛이 달라진다.
즉, 드립커피추출법은 사람의 숙련도에 따라 상당히 달라지게 된다. 또한, 드립커피추출법은 드립 과정이 차지하는 시간이 상당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피의 풍미가 좋으면서 사람의 숙련도의 영향을 받지 않고, 짧은 시간 동안 원두 커피를 제조하는 커피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로스팅된 원두를 분쇄 입자로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 입자와 물을 혼합하여 혼합액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혼합액을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된 혼합액을 여과지를 통과시켜 커피 원액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혼합액을 가열하는 단계는, 상기 혼합액을 넣은 용기를 150℃ ~ 300℃의 모래에 담궈 가열하며, 상기 용기의 측면의 일부는 상기 모래와 직접 접하며, 상기 분쇄 입자의 직경은 20μm 내지 0.3mm이고, 상기 혼합액은 상기 물 200g에 상기 분쇄 입자를 20g 내지 60g을 넣어 형성하며, 상기 혼합액을 가열하는 단계에서, 상기 혼합액은 5초 내지 20초 동안 가열하는, 커피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혼합액을 가열하는 단계는, 상기 용기를 상기 모래에 담궈 가열하는 과정을 1~3회 반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혼합액을 가열하는 단계는, 상기 혼합액이 끓어오를 때, 상기 혼합액을 저어주어 가스를 빼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래 입자의 직경은 약 0.2 mm 내지 1.5mm일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특허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풍미가 좋으면서 사람의 숙련도의 영향을 받지 않고, 짧은 시간 동안 원두 커피를 제조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제조방법의 순서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액의 가열 수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제조방법의 순서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제조방법은, 로스팅된 원두를 분쇄 입자로 분쇄하는 단계(S1), 상기 분쇄 입자와 물을 혼합하여 혼합액을 형성하는 단계(S2), 상기 혼합액을 가열하는 단계(S3), 및 상기 가열된 혼합액을 필터 용지를 통과시켜 커피 원액을 추출하는 단계(S4)를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제조방법은 상기 커피 원액에 물을 넣어 희석하는 단계(S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로스팅된 원두를 분쇄 입자로 분쇄한다. (S1)
로스팅은 생두를 가열하여 생두 내부 조직에 물리적, 화학적 변화를 일으킴으로써 커피 특유의 맛과 향을 결정하는 가공처리이다. 생두는 로스팅 정도에 따라 다양한 향과 맛을 낸다. 로스팅의 방법으로 통상적인 열풍식, 반열풍식, 직화식 등 통상적인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렇게 로스팅된 원두를 분쇄 입자로 분쇄한다. 상기 분쇄 입자는 통상의 드립커피추출법에 사용되는 분쇄 원두보다 더 잘게 분쇄된다. 통상적으로 드립커피추출법에 사용되는 분쇄 원두의 직경은 약 0.5mm 내지 1mm로 알려져 있다. 통상적인 드립커피추출법에 사용되는 분쇄 원두의 경우 직경이 0.5mm보다 작게 되면, 여과지에 담겨져 있을 때 입자가 서로 뭉쳐, 추출 구멍을 막아 추출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분쇄 입자는 그 보다 더 작을 수 있으며, 밀가루 입자 정도로 고울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분쇄 입자의 직경은 약 20μm 내지 0.3mm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분쇄 입자가 작아, 물과 분쇄 입자가 닿는 전체 표면적이 넓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빠른 시간 내에 커피의 성분이 우러나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분쇄 입자가 작더라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피 제조방법에서는 커피 원액 추출이 용이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그 다음, 분쇄 입자와 물을 혼합하여 혼합액을 형성한다. (S2)
상기 분쇄 입자와 물의 혼합 비율은 약 3:10 내지 1:10일 수 있다. 분쇄 입자와 물의 혼합비율에 의해서 커피의 풍미가 달라질 수 있으며, 상기 혼합 비율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제조방법을 따를 때, 최상의 커피 풍미를 제공하는 범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물 200g 에 상기 분쇄 입자를 20 ~ 60g, 바람직하게는 20 ~ 35g 을 넣고 스푼 등으로 저어서 혼합액을 형성할 수 있다. 물은 상온의 물, 미지근한 물, 끓는 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물 150g 에 상기 분쇄 입자를 20 ~ 30g 을 넣고 스푼 등으로 저어서 혼합액을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혼합액에는 설탕 등 다양한 첨가물을 추가하여, 풍미를 높일 수 있다.
그 다음, 혼합액을 가열한다. (S3)
상기 혼합액은 용기에 넣어 가열한다. 혼합액이 가열되는 동안, 원두의 분쇄 입자로부터 커피의 성분, 단맛, 신맛, 쓴맛, 떫은 맛, 및 향 등이 추출된다. 이와 같이, 혼합액을 가열하는 것으로 커피 성분을 우러내기에, 통상의 드립커피추출방식에 비해서 사람의 숙련도의 영향이 적을 수 있다.
상기 혼합액을 가열하면 내부의 가스가 발생하여 거품이 끓어 넘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혼합액은 이를 고려하여 용기의 일부만을 채우도록 담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는 약 200ml 내지 500ml의 용액을 담을 수 있는 크기일 수 있다.
상기 용기는 열전달율이 높은 용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용기는 구리, 구리 합금, 스테인리스 재질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혼합액의 가열수단은 가스 렌지, 버너 등을 이용한 불 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혼합액을 넣은 용기의 하부를 불을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이 때, 용기는 약 150℃ 내지 300℃로 가열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혼합액의 가열 수단은 전기 렌지, 전자 렌지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혼합액의 가열 수단은 약 150℃ 내지 300℃로 가열된 모래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혼합액(10)이 들어 있는 용기(100)를 150℃ 내지 300℃로 가열된 모래(200)에 담궈서 혼합액(10)을 가열시킬 수 있다. 혼합액(10)이 들어 있는 부분까지 용기(100)를 모래(200)에 담그면, 모래(200)의 열이 용기(100)의 하부뿐만 아니라 측면으로 혼합액(10)에 전달되는 바, 용기(100)의 하부를 가열하는 경우에 비해서 균일하고 빠른 열전달이 가능하다.
상기 모래(200)는 규사(Silica sand)일 수 있다. 상기 모래(200) 입자의 직경은 약 0.2 mm 내지 1.5mm 으로 비교적 가는 모래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는 모래를 사용함으로써, 용기(100)에 모래(200) 입자가 닿는 면적이 넓어지는 바, 보다 빠른 열전달이 가능하다.
상기 모래(200)는 솥과 같이 큰 그릇(300)에 담겨져 있고, 상기 그릇(300)을 가열함으로써, 모래(200)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는, 모래(200)는 오븐 등 다른 가열수단에 의해서 가열된 후, 그릇(300)에 담길 수 있다.
혼합액(10)이 가열되는 동안, 원두의 분쇄 입자로부터 커피의 성분, 단맛, 신맛, 쓴맛, 떫은 맛, 고소한 맛, 향기 등이 추출된다. 한편, 혼합액(10)에 설탕 등 첨가물이 들어 있는 경우, 상기 첨가물은 가열을 통해서 물속에 용해가 빨리 될 수 있다.
상기 혼합액(10)을 가열하는 시간은 약 5초 내지 30초, 바람직하게는 약 5초 내지 20초일 수 있다. 혼합액(10)을 30초 이상 가열하면, 쓴맛이 과도하게 우러나와 커피의 맛과 풍미가 떨어질 수 있다.
모래(200)를 사용해서 혼합액(10)을 가열하는 경우, 모래(200)를 먼저 약 150℃ 내지 300℃로 가열해 놓고, 용기(200) 측면까지 상기 혼합액(10)은 약 5초 내지 30초 사이에 끓어오를 수 있다. 이 때, 혼합액(10)의 양은 약 100 ~ 200g 일 수 있다.
상기 혼합액(10)은 한 번의 가열 과정을 거칠 수도 있고, 거품이 생겨 끓어오르면 상기 용기(10)를 모래에서 빼내고, 거품이 가라앉으면 다시 모래에 담그는 가열 과정을 1 ~ 3회 반복할 수 있다. 상기 가열 과정의 반복 횟수에 따라, 커피의 바디감, 균형감 등을 조절할 수 있다. 가열 과정을 3회 초과하는 경우, 커피의 풍미가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액(10)의 한 번의 가열 과정 동안 거품이 생겨 끓어 오르는 경우, 스푼 등으로 저어주어 내부의 가스를 빼내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 다음, 가열된 혼합액을 여과지를 통과시켜 커피 원액을 추출한다. (S4)
상기 혼합액을 여과지에 통과시킴에 따라, 분쇄 입자는 걸러지고 맑은 커피 원액이 추출된다.
혼합액이 가열되는 동안, 대류 과정을 통해서 분쇄 입자가 혼합액에 고르게 분산된다. 따라서, 분쇄 입자가 통상의 드립커피추출법에 의한 분쇄 원두보다 작더라도, 한 곳에 뭉쳐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바, 여과지를 통한 커피 원액 추출은 짧은 시간 내에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출된 커피 원액은 바로 음용이 가능하다.
그 다음, 커피 원액에 물을 넣어 희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5)
상기 커피 원액은 진하고 농후한 풍미가 있으나, 취향에 따라서는 온수 또는 냉수를 넣어 희석할 수 있다.
그 밖에, 물 대신 우유나 술, 과즙 등을 추가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제조방법은 통상의 드립커피추출법보다 더 고운 입자로 원두를 분쇄하여 커피 성분이 빠르게 추출되며, 분쇄 입자와 물을 혼합하여 끓이는 과정에서 보다 깊은 풍미가 우러난다.
또한, 분쇄 입자가 물에 분산되어 있는 바, 작은 입자에도 불구하고 여과를 통한 커피 원액 추출이 빠른 시간 내에 이뤄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제조방법은 전체적으로 통상의 드립커피추출법보다 빠른 시간내에 커피를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제조방법은 통상의 드립커피추출법에서 사람이 컨트롤 해야만 하는 물줄기의 굵기 조정, 드립 시간 조정 등이 필요 없고, 정량의 분쇄된 원두와 물을 가열하면 되는 바, 사람의 숙련도의 영향이 적은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혼합액
100: 용기
200: 모래

Claims (4)

  1. 로스팅된 원두를 분쇄 입자로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 입자와 물을 혼합하여 혼합액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혼합액을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된 혼합액을 여과지를 통과시켜 커피 원액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혼합액을 가열하는 단계는, 상기 혼합액을 넣은 용기를 150℃ ~ 300℃의 모래에 담궈 가열하며, 상기 용기의 측면의 일부는 상기 모래와 직접 접하며,
    상기 분쇄 입자의 직경은 20μm 내지 0.3mm이고,
    상기 혼합액은 상기 물 200g에 상기 분쇄 입자를 20g 내지 60g을 넣어 형성하며,
    상기 혼합액을 가열하는 단계에서, 상기 혼합액은 5초 내지 20초 동안 가열하는, 커피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액을 가열하는 단계는,
    상기 용기를 상기 모래에 담궈 가열하는 과정을 1~3회 반복하는 커피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액을 가열하는 단계는,
    상기 혼합액이 끓어오를 때, 상기 혼합액을 저어주어 가스를 빼내는 커피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래 입자의 직경은 약 0.2 mm 내지 1.5mm인 커피 제조방법.
KR1020210051385A 2021-04-20 2021-04-20 커피 제조방법 KR202100466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385A KR20210046630A (ko) 2021-04-20 2021-04-20 커피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385A KR20210046630A (ko) 2021-04-20 2021-04-20 커피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7408A Division KR20190021935A (ko) 2017-08-24 2017-08-24 커피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6630A true KR20210046630A (ko) 2021-04-28

Family

ID=75721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1385A KR20210046630A (ko) 2021-04-20 2021-04-20 커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663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8125B1 (ko) 2022-09-14 2023-08-17 이창용 액상커피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액상커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8125B1 (ko) 2022-09-14 2023-08-17 이창용 액상커피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액상커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2166210A (ja) 焙煎挽きコーヒー粉末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90317526A1 (en) Coffee brewing system
Severini et al. How much caffeine in coffee cup? Effects of processing operations, extraction methods and variables
KR102385680B1 (ko) 분리드립 커피 및 커피 원액을 순차적으로 추출하는 방법
KR20140020907A (ko) 커피 제품
CN106720385A (zh) 一种速食枸杞豆浆及制备方法
KR20210046630A (ko) 커피 제조방법
JP2004097154A (ja) コーヒー飲料の製造方法
KR20130132368A (ko) 냉수-커피 혼합물의 고속여과에 의한 농축커피 추출방법과 장치
CN105901251A (zh) 一种玫瑰海盐咖啡饮料及其制备方法
KR20190021935A (ko) 커피 제조방법
KR102385729B1 (ko) 핸드드립 커피의 제조방법
KR20200069949A (ko) 드립커피의 제조방법
Tekulsky Making Your Own Gourmet Coffee Drinks: Espressos, Cappuccinos, Lattes, Mochas, and More!
CN107950724A (zh) 香盖咖啡的调配方法
KR102314708B1 (ko) 콜라겐을 함유하는 더치커피 제조방법
EP3534758A2 (en) A new design for a turkish coffee pot
KR20230174468A (ko) 테프가 혼합된 원두커피 가공방법 및 그러한 가공방법으로 제조된 테프가 혼합된 원두커피
KR20210069341A (ko) 커피생두의 로스팅방법
JP3407207B2 (ja) コーヒー抽出液の味質改良方法
US5238700A (en) Fruit tea process and product
US20220133075A1 (en) Accessory for Improving Operation of Espresso Coffee Brewing Machine
JP6502447B2 (ja) コーヒー飲料の製造方法
CN108713621B (zh) 一种辣木咖啡奶及其制备方法
KR20220075073A (ko) 식물성 크림과 헤이즐넛을 이용한 커피음료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