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6157A - 내구성 및 유연성이 우수한 기능성 폴리우레탄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내구성 및 유연성이 우수한 기능성 폴리우레탄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6157A
KR20210046157A KR1020190129566A KR20190129566A KR20210046157A KR 20210046157 A KR20210046157 A KR 20210046157A KR 1020190129566 A KR1020190129566 A KR 1020190129566A KR 20190129566 A KR20190129566 A KR 20190129566A KR 20210046157 A KR20210046157 A KR 20210046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urethane film
polyurethane
layer
weigh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9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3565B1 (ko
Inventor
임영규
이창의
김학성
Original Assignee
대원화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화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화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9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3565B1/ko
Publication of KR20210046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6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3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3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36After-treatment
    • C08J9/365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29C41/02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1/16Slip casting, i.e. applying a slip or slurry on a perforated or porous or absorbent surface with the liquid being drained awa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2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by elimination of a solid phase from a macromolecular composition or article, e.g. leaching ou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8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for application to surfaces to minimize adherence of ice, mist or water thereto; Thawing or antifreeze materials for application to surf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Cavity); 및 미세기공을 포함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복수의 셀이 포함되어 있는 기능성 폴리우레탄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복수의 셀과 수세 단계 이후 남은 복합 파우더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인체에 무해할 뿐 아니라, 투습 및 방수 효과가 우수하고, 신율강도, 인장강도, 인열강도 등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유연성이 향상되는 바 비표면적이 커져 의료 및 코스메틱의 재료로 사용시 도포 함량을 늘릴 수 있으며, 표면의 마찰계수를 낮추는 바 의료 및 코스메틱의 재료로 사용시 피부 손상을 막고 촉촉한 보습 효과를 높일 수 있으므로 피부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방법은 별도의 가로막 필름이나 시트를 삽입할 필요가 없으므로 공정을 단순화 시킬 수 있고, 원가를 절감시키는 바 경제성이 있으며,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아미노산 파우더가 제조 속도를 향상시키는 바 작업 효율성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내구성 및 유연성이 우수한 기능성 폴리우레탄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Functional polyurethane film excellent in durability and flexi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동(Cavity); 및 미세기공을 포함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복수의 셀이 포함되어 있는 기능성 폴리우레탄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우레탄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는 중에 하나인 건식법은 이형지 상에 용액상의 폴리우레탄 극성 유기용액을 도포하고, 이를 건조 및 숙성시킨 다음, 이형지로부터 필름을 박리해내는 방법으로서, 이러한 건식법은 그 제조공정이 비교적 간단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건식법 특유의 표면특성이나 투습성의 부족 및 볼륨간의 상실 등이 문제시되어 그 사용범위에 많은 제약을 받아왔다.
그러나, 상기 여러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습식법이 등장하게 되면서, 최근 폴리우레탄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 습식법이 자주 이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상기 습식법을 통해 폴리우레탄 필름을 제조하더라도 기재를 나일론을 사용할 경우 삼출 현상 및 도포량 및 필름의 두께조절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고, 점도가 높은 수지액을 사용하게 되면 미세 기공층이 용이하게 형성되지 않아서 제조된 필름의 투습성 및 신축성이 크게 불량해지게 되는 어려움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종래 습식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폴리우레탄 코팅 조성물에 고분자 충전물질이나 과당이나 무기염을 첨가한 후 녹여 미세기공을 포함하는 습식 폴리우레탄 시트를 제조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이 경우에도 물성을 다소 저하 경우가 많고 인체에도 유해한 프탈레이트류가 제품에 잔류 할 수 있어 인체에 유해 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05184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공동(Cavity)(a1) 및 미세기공을 포함하는 격벽(a2)을 포함하는 셀(A)을 복수 개로 포함하는 기공층을 포함하는, 내구성 및 유연성이 우수하면서도 인체에 무해한 폴리우레탄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폴리우레탄 필름 제조 공정에 비해 공정이 단순화 되고, 경쟁성이 있는 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하의 설명으로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수단 및 그 조합으로 실현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 필름은 공동(Cavity)(a1); 및 상기 공동을 둘러싸는, 미세기공을 포함하는 격벽(a2);을 포함하는 셀(A)을 복수 개로 포함하는 기공층을 포함한다.
상기 폴리우레탄 필름은 상기 기공층의 일 편면 상에 형성되는, 폴리우레탄 수지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중간층; 및 상기 중간층의 기공층과 접한 일 편면과 다른 편면상에 형성되는, 발수제를 포함하는 전처리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벽(a2)은 폴리우레탄 수지; 및 복합 파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벽(a2)은 폴리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 및 복합 파우더 2.5~28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합 파우더는 수용성 단백질, 지방,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동(Cavity)(a1)의 직경은 100~300μm이고, 상기 미세기공의 크기는 0.1~5μm일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필름은 두께가 0.2mm~2mm, 중량은 100~300g/m2, 인장강도는 0.5~2.0kgf/2.54cm, 신율은 0.5~2.0kgf, 밀도는 0.05~0.20g/m3 및 경도(F TYPE)는 40~80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방법은 기재를 전처리하여 전처리층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층 상에 폴리우레탄 수지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1차 복합 수지 조성물로 1차 코팅하여 중간층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중간층 상에 폴리우레탄 수지 및 복합 파우더를 포함하는 2차 복합 수지 조성물로 2차 코팅하여 기공층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기재를 박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재는 친수성 원사, 소수성 원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처리는 상기 기재에 발수제를 100~160℃ 조건에서 1~10분 동안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발수제는 C6 과불화 화합물계(6 carbon perfluorinated chemical; C6 PFC), C8 과불화 화합물계(8 carbon perfluorinated chemical; C8 PFC), 실리콘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층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전처리층을 1차 복합 수지 조성물로 1차 코팅하는 단계, 상기 1차 코팅 후 응고시키는 단계, 상기 응고 후 수세용수로 처리하는 수세 단계, 및 상기 수세용수로 처리 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차 복합 수지 조성물은 폴리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및 가교제 1~1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차 코팅은 도포량이 10g~300g/lm일 수 있다.
상기 응고시키는 단계는 온도 22~28℃ 및 디메틸포름아마이드(Dimethylformamide; DMF) 수용액 10~15% 조건에서 응고시킬 수 있다.
상기 기공층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중간층을 2차 복합 수지 조성물로 2차 코팅하는 단계, 상기 2차 코팅 후 응고시키는 단계, 상기 응고 후 수세용수로 처리하여 복합 파우더의 전부 또는 일부를 용해시키는 수세 단계 및 상기 수세용수로 처리 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공층은 공동(Cavity)(a1) 및 상기 공동을 둘러싸는, 미세기공을 포함하는 격벽(a2)을 포함하는 셀(A)을 복수 개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차 복합 수지 조성물은 폴리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 및 복합 파우더 5~4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합 파우더는 크기가 0.5~5μm일 수 있다.
상기 복합 파우더는 수용성 단백질, 지방,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를 박리하는 단계는 박리 강도가 50~1000g/cm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필름은 수세 단계 이후 제조된 미세기공을 포함하는 격벽 및 공동(Cavity)을 포함하고 있고, 수세 단계 이후 남은 복합 파우더가 포함되어 있는 바 인체에 무해할 뿐 아니라, 투습 및 방수 효과가 우수하고, 신율강도, 인장강도, 인열강도 등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유연성이 향상되는 바 비표면적이 커져 의료 및 코스메틱의 재료로 사용시 도포 함량을 늘릴 수 있으며, 표면의 마찰계수를 낮추는 바 의료 및 코스메틱의 재료로 사용시 피부 손상을 막고 촉촉한 보습 효과를 높일 수 있으므로 피부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방법은 별도의 가로막 필름이나 시트를 삽입할 필요가 없으므로 공정을 단순화 시킬 수 있고, 원가를 절감시키는 바 경제성이 있으며,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아미노산 파우더가 제조 속도를 향상시키는 바 작업 효율성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하의 설명에서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필름(1)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필름(1)에 포함되어 있는 기공층(1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는 종래 습식 공정으로 제조된 폴리우레탄 필름의 단면을 주사 전자 현미경(SEM)으로 관찰한 이미지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폴리우레탄 필름의 단면을 주사 전자 현미경(SEM)으로 관찰한 이미지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필름에 포함된 중간층(20)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필름에 포함된 기공층(10)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하부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성분, 반응 조건, 폴리머 조성물 및 배합물의 양을 표현하는 모든 숫자, 값 및/또는 표현은, 이러한 숫자들이 본질적으로 다른 것들 중에서 이러한 값을 얻는 데 발생하는 측정의 다양한 불확실성이 반영된 근사치들이므로, 모든 경우 "약"이라는 용어에 의해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기재에서 수치범위가 개시되는 경우, 이러한 범위는 연속적이며,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이러한 범 위의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의 모든 값을 포함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범위가 정수를 지칭하는 경우,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를 포함하는 모든 정수가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필름(1)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폴리우레탄 필름(1)은 공동(Cavity)(a1) 및 격벽(a2)을 포함하는 셀(A)을 복수 개로 포함하는 기공층(1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공층의 일 편면 상에 형성되는, 폴리우레탄 수지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중간층(20); 및 상기 중간층의 기공층과 접한 일 편면과 다른 편면상에 형성되는, 발수제를 포함하는 전처리층(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공층
도 2는 상기 기공층(1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기공층(10)은 공동(Cavity)(a1) 및 상기 공동을 둘러싸는, 미세기공을 포함하는 격벽(a2)을 포함하는 셀(A)을 복수 개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셀(A)에 포함된 공동(Cavity)(a1)는 응고/수세 과정을 통해 복합 파우더가 용해되면서 폴리우레탄 수지 안에서 생성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Cavity)(a1)의 직경은 100~300μm일 수 있다. 상기 공동(Cavity)(a1)의 직경이 100μm 미만이면 흡습 기능 및 볼륨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300μm을 초과하면 폴리우레탄 필름의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셀(A)에 포함된 격벽(a2)은 폴리우레탄 수지 및 복합 파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격벽에 포함되는 폴리우레탄 수지는 폴리우레탄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수지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테르폴리올,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폴리올과 폴리우레탄 제조를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중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폴리올은 폴리에테르폴리올 40~80중량% 및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 20~60중량%을 혼합한 복합 폴리올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격벽에 포함되는 복합파우더는 수용성 단백질, 지방,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용성 단백질은 복합 당류의 한 종류로서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있는 콩, 옥수수, 설탕 등일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지방은 식물성 지방으로서 식물성 유지, 야자유, 팜유, 카카오 지방, 올리브유, 카놀라유, 해바라기씨유, 포도씨유, 콩기름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파우더에 포함된 수용성 단백질은 6~10중량% 및 식물성 지방은 1.0~2.0%일 수 있다. 수용성 단백질이 6중량% 미만 또는 식물성 지방이 1.0중량% 미만이면 이면 부드러운 터치감 구현이 어려운 단점이 있고, 수용성 단백질이 10중량%를 초과하거나 식물성 지방이 2.0중량%를 초과하면 제품의 기계적 물성 및 내구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셀(A)에 포함된 격벽(a2)은 폴리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 및 복합 파우더 2.5~28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복합파우더가 2.5중량부 미만이면 부드러운 터치감 구현이 어려운 단점이 있고, 28중량부를 초과하면 제품의 기계적 물성 및 내구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격벽(a2)에 포함된 미세기공은 응고/수세 과정을 통해 복합 파우더가 용해되면서 폴리우레탄 수지 안에서 생성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기공의 크기는 0.1~5μm일 수 있다. 상기 미세기공의 크기가 0.1μm 미만이면 통기성, 흡습성 및 의료용품, 코스메틱 제품의 발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5μm을 초과하면 기계적 물성(강도)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기공층은,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 습식폴리우레탄 수지에 비하여, 공동(Cavity)(a1) 및 미세기공을 포함하는 격벽(a2)을 포함하는 복수의 셀(A)이 더 정교하고 조밀하게 구성되어 있을 뿐 아니라, 복합 파우더를 포함하므로, 투습 및 방수 효과가 우수하고, 인장, 인열 및 신율 등의 내구성 및 유연성이 향상되며, 표면의 마찰계수를 낮출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중간층
본 발명에 따른 중간층(20)은 상기 기공층의 일 편면 상에 형성되고, 폴리우레탄 수지 및 가교제를 포함할 수 있고 희석용제 및 안료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폴리우레탄 필름의 밀도를 높여 내수압을 높이는 역할을 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간층(20)에 포함된 폴리우레탄 수지는 상기 기공층에 포함된 폴리우레탄 수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간층에 포함된 가교제는 폴리우레탄 필름의 밀도를 높여 내수압을 높일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가교제는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Isocynate)형 가교제 등이 있을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필름의 밀도를 효율적으로 높일 수 있는 이소시아네이트(Isocynate)형 가교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교제는 포함되는 양에 따라 투습과 내수압 정도를 조절할 수 있고, 기재 박리 시 상기 중간층의 도포량에 따라 박리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처리층
본 발명에 따른 전처리층은 상기 중간층의 기공층과 접한 일 편면과 다른 편면상에 형성될 수 있고, 발수제 및 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폴리우레탄 필름의 투습성이나 내수압의 기본적인 균형을 이루는 역할 및 기재를 용이하게 박리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전처리층에 포함된 발수제는 C6 과불화 화합물계(6 carbon perfluorinated chemical; C6 PFC), C8 과불화 화합물계(8 carbon perfluorinated chemical; C8 PFC), 실리콘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투습도를 높일 수 있는 실리콘계 발수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수제는 전처리층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5~35중량%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필름에 포함된 전처리층은 두께가 10~100μm, 도포량이 0.5~20g/lm, 및 탄성계수(modulus)가 30~120%일 수 있다. 상기 두께가 10μm 미만이거나 도포량이 0.5g/lm 미만이면 습식코팅 시 원단 및 필름이 분리되는 단점이 있고, 상기 두께가 100μm를 초과하거나 도포량이 20g/lm를 초과하면 폴리우레탄 필름의 터치감이 딱딱해지는 단점이 있다.
즉,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기공층, 중간층 및 전처리층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필름은, 두께가 0.2mm~2mm, 중량은 100~300g/m2, 인장강도는 0.5~2.0kgf/2.54cm, 신율은 0.5~2.0kgf, 밀도는 0.05~0.20g/m3, 경도(F TYPE)는 40~80도, 압축율 90~100% 및 회복율 90~100%인 바, 투습 및 방수 효과가 우수할 뿐 아니라, 신율강도, 인장강도, 인열강도 등의 내구성이 우수하고, 유연성 또한 우수한 바 비표면적이 커질 수 있으며, 표면의 마찰계수를 낮출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필름(1)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기재를 전처리하여 전처리층을 제조하는 단계(S10), 상기 전처리층 상에 폴리우레탄 수지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1차 복합 수지 조성물로 1차 코팅하여 중간층을 제조하는 단계(S20), 상기 중간층 상에 폴리우레탄 수지 및 복합 파우더를 포함하는 2차 복합 수지 조성물로 2차 코팅하여 기공층을 제조하는 단계(S30) 및 상기 전처리층에 포함된 기재를 박리하는 단계(S40)를 포함한다.
상기 전처리층을 제조하는 단계(S10)는 기재 즉 원단 기재를 전처리하여 전처리층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재는 이의 종류에 따라 최종산물인 폴리우레탄 필름의 물성이 달라지므로, 물리적 강도 및 투습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기재는 친수성 원사, 소수성 원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친수성 원사는 면사, 울(WOOL), 레이온사, 나일론사 등이 있을 수 있고, 상기 소수성 원사는 폴리프로필렌사, 폴리에스테르사, 아크릴사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들의 혼방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혼방사는 천연섬유의 부드러움 및 유연성의 특징과 합성섬유의 강성 및 소수성의 특징을 모두 구현하기 위하여, 천연섬유와 합성섬유의 비율을 1:99~99:1로 할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기재는 전처리 효과를 구현하기에 적합한 소수성 원사인 폴리프로필렌사, 폴리에스테르사, 아크릴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재 즉 원단 기재에 포함되는 원사의 굵기는 50~300 데니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50 데니어 미만이면 물리적 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고, 300 데니어를 초과하면 투습도 저하 및 유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원사를 포함하는 기재는 두께가 0.5mm 이하, 및 중량 120g/m2 이하 일 수 있으며, 상기 두께 및 중량 이하여야 기재 밀도가 낮아 투습효과를 구현하기 좋으며 유연성 및 볼륨감을 구현하기에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전처리는 본 발명에 따른 기재에 발수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발수처리를 위한 발수제는 발수층에 포함된 발수제와 동일하다. 이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전처리는 상기 발수제를 본 발명에 따른 기재에 100~160℃ 조건에서 1~10분 동안 발수 처리할 수 있다. 발수 처리 온도가 100℃미만이거나 발수 처리 시간이 1분 미만이면 원단과 발수제의 부착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발수 처리 온도가 160℃를 초과하거나 발수 처리 시간이 10분을 초과하면 발수제의 과도한 흡습으로 인해 박리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상기 중간층을 제조하는 단계(S20)는 상기 S10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처리층 상에 폴리우레탄 수지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1차 복합 수지 조성물로 1차 코팅한 뒤, 응고, 수세 및 건조 단계를 거쳐 중간층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중간층을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전처리층을 1차 복합 수지 조성물로 1차 코팅하는 단계(S21), 상기 1차 코팅 후 응고시키는 단계(S22), 상기 응고 후 수세용수로 처리하는 수세 단계(S23) 및 상기 수세용수로 처리 후 건조시키는 단계(S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차 코팅하는 단계(S21)는 전처리층 상에 폴리우레탄 수지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1차 복합 수지 조성물로 코팅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따른 1차 복합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폴리우레탄 수지 및 가교제는 본 발명에 따른 중간층에 포함된 폴리우레탄 수지 및 가교제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1차 복합 수지 조성물은 희석 용제 및 안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1차 복합 수지 조성물에 포함된 폴리우레탄 수지 및 가교제는 폴리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및 가교제 1~1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가 1 중량부 미만이면 제품의 물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유연성 저하되어 제품의 터치감이 딱딱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희석 용제는 예를 들어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로리돈, 디메틸설폭사이드, 아세트산에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고, 안료는 예를 들어 다양한 색상의 색소(Pigment)로써 비히클(Vehicle)은 폴리우레탄 수지(PU RESIN)를 포함 할 수 있으며, 폴리우레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10 중량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1차 복합 수지 조성물을 전처리층 상에 코팅하는 1차 코팅은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기재 상에 기재의 전포에 걸쳐 균일한 두께로 코팅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플로팅 나이프(floating knife), 슬롯다이 코터, 콤마 코터, 나이프 코터 등으로 코팅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이동하는 기재 상에 균일한 두께로 코팅할 수 있는 플로팅 나이프로 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나이프로 1차 복합 수지 조성물이 전처리층에 도포되는 도포량은 10~300g/lm일 수 있다. 도포량이 10g/lm 미만이면 코팅과정에서 불량이 발생할 수 있고 원단과 폴리우레탄(PU)층이 분리될 수 있으며, 300g/lm를 초과하면 응고속도가 너무 늦어 다공 셀의 형성이 불균일할 수 있다.
상기 응고시키는 단계(S22)는 전처리된 기재 상에 코팅된 1차 복합 수지 조성물을 온도 22~28℃ 조건에서 디메틸포름아마이드(Dimethylformamide; DMF) 수용액 10~15%에 통과시키면서 응고시키는 단계이다. 응고 온도 조건이 22℃ 미만이면 셀의 크기가 커지고, 제품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28℃를 초과하면 응고가 되지 않아 불량제품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DMF 수용액의 농도가 10% 미만이면 응고가 되지 않아 불량제품이 제조될 수 있고, 15%를 초과하면 셀의 불균일성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상기 수세 단계(S23)는 전처리된 기재 상에 코팅된 1차 복합 수지 조성물을 응고 시킨 후 수세용수로 처리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따라 수세 단계에 사용되는 수세용수는 일반 공업 용수 또는 지하수일 수 있다.
상기 건조 단계(S24)는 전처리된 기재 상에 코팅된 뒤, 응고 및 수세용수로 처리된 1차 복합 수지 조성물을 건조시켜 중간층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기공층을 제조하는 단계(S30)는 상기 S20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중간층의 전처리층과 접한 일 편면과 다른 편면 상에, 폴리우레탄 수지 및 복합 파우더를 포함하는 2차 복합 수지 조성물로 2차 코팅한 뒤, 응고, 수세 및 건조 단계를 거쳐 기공층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공층을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중간층을 2차 복합 수지 조성물로 2차 코팅하는 단계 (S31), 상기 2차 코팅 후 응고시키는 단계(S32), 상기 응고 후 수세용수로 처리하여 복합 파우더의 전부 또는 일부를 용해시키는 수세 단계 (S33) 및 상기 수세용수로 처리 후 건조시키는 단계(S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차 코팅하는 단계(S31)는 중간층 상(전처리층과 접한 일 편면과 다른 편면 상)에 폴리우레탄 수지 및 복합 파우더를 포함하는 2차 복합 수지 조성물로 코팅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따른 2차 복합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폴리우레탄 수지 및 복합 파우더는 본 발명에 따른 기공층에 포함된 폴리우레탄 수지 및 복합 파우더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2차 복합 수지 조성물은 폴리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 및 복합 파우더 5~4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복합 파우더의 중량부가 5중량부 미만이면 추후 수세 단계를 통해 형성되는 공동(Cavity)의 양이 적어 투습 효과가 저하될 수 있고, 40 중량부를 초과하면 성막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며 표면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2차 복합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복합 파우더의 크기는 0.5~5μm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파우더는 추후, 응고 시 응고조 내에서 DMF 수용액의 침투를 도와 응고 속도를 향상시켜 작업의 효율성도 높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2차 복합 수지 조성물을 중간층 상에 코팅하는 2차 코팅은 상기 중간층을 제조하는 단계에 포함되어 있는 1차 코팅 방식과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2차 복합 수지 조성물이 중간층에 도포되는 도포량은 3000~4000g/lm일 수 있다. 도포량이 3000g/lm 미만이면 제품두께가 얇아지고 화장품 액 및 기타 코스메틱 어플리케이터로 사용할 경우 발림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4000g/lm를 초과하면 도포량이 많아 수지 응고 시간이 길어져 코팅시 어려움이 있으며 제품의 퀄리티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 응고시키는 단계(S32)는 중간층 상에 코팅된 2차 복합 수지 조성물을 온도 30~50℃ 조건에서 DMF 수용액 2~10%에 통과시키면서 응고시키는 단계이다. 응고 온도 조건이 30℃ 미만이면 첨가된 단백질의 용해가 느려져 셀이 불균일해지는 단점이 있고, 50℃를 초과하면 응고속도가 느려 셀이 너무 작아지므로 폼(FOAM) 형성이 어려워지는 바 쿠션감 약화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DMF 수용액의 농도가 2% 미만이면 셀이 불규칙하고 화장품액의 발림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10%를 초과하면 셀이 작아져 쿠션감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온도 및 수용액의 농도 조건을 조절하여, 추후 수세 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공동 및 격벽을 포함하는 셀의 크기, 조밀도 및 정밀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수세 단계(S23)는 중간층 상에 코팅된 2차 복합 수지 조성물을 응고 시킨 후 수세용수로 처리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따라 수세 단계에 사용되는 수세용수는 일반 공업 용수 또는 지하수일 수 있다. 이에, 2차 복합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파우더는 응고 단계에서 폴리우레탄 수지 속에 포함되어 있다가 상기 수세 단계를 통하여 용해되어 제거되는 동시에 미세한 공동 및 미세기공을 포함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셀이 생성될 수 있다. 이 때, 형성되는 셀에 포함되는 공동 및 격벽에 포함된 미세기공은 균일하면서도 제품 내 기계/화학적 물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특성이 있다. 또한, 수세되더라도 폴리우레탄 수지 속에 포함되어 있는 복합 파우더는 인체에 무해한 성분으로서 인체 자극이 없으므로 의료 및 코스메틱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상기 건조 단계(S34)는 중간층 상에 코팅된 뒤, 응고 및 수세용수로 처리된 2차 복합 수지 조성물을 건조시켜 최종적으로 기공층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는 챔버 온도 100~130℃에서 상기 수세용수로 처리된 2차 복합 수지 조성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건조하는 챔버 온도가 100℃ 미만이면 건조시간이 오래걸려 제품의 경제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130℃를 초과하면 수지가 딱딱해져 제품의 촉감이 딱딱해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 박리하는 단계(S40)는 전처리층 상에 위치한 기재를 박리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따라 박리하는 단계는 박리 강도가 50~1000g/cm 일 수 있다. 박리 강도가 50g/cm 미만이면 폴리우레탄 필름 제조 공정 중에 기재가 박리될 수 있으며, 1000g/cm를 초과하면 박리하는 공정에서 폴레우레탄 필름이 ??겨질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1
(S10) 소수성 원사로써 굵기가 20 데니어인 폴리에스테르사를 포함한, 두께 0.2mm 및 중량 110g/m2 인 기재를 준비하였다. 그 다음, 상기 준비한 기재에 실리콘계 발수제인 JF-08310F가 30중량% 포함된 발수제로 130℃ 온도 조건에서 1분 동안 발수처리하여 전처리층을 제조하였다. 이 때, 전처리층의 두께는 0.1μm이하, 도포량이 150g/lm 였다.
(S20)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한 전처리층 상에 1차 복합 수지 조성물을 준비하여 코팅하였다. 구체적으로, 폴리에테르폴리올 60중량% 및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 40중량%을 섞은 복합 폴리올 80g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20g을 중합하여 제조한 폴리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형 가교제인 CLA-300 3 중량부; 희석용제인 DMF 10 중량부; 및 안료인 토너(toner) 10중량부를 포함하는 1차 복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 코팅 기술인 플로팅 나이프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전처리층에 상기 제조한 1차 복합 수지 조성물을 22g/lm인 도포량으로 도포하여 코팅하였다.
상기 전처리층에 코팅된 1차 복합 수지 조성물을 온도 35℃ 조건에서 디메틸포름아마이드(Dimethylformamide; DMF) 수용액 13%에 통과시키면서 응고시켰다.
상기 전처리된 기재 상에 코팅된 1차 복합 수지 조성물을 응고 시킨 후 수세용수로 온도 35℃로 5분 동안 수세 처리하였다.
그 다음, 상기 전처리된 기재 상에 코팅된 뒤, 응고 및 수세용수로 처리된 1차 복합 수지 조성물을 챔버 온도 130℃ 조건으로 건조시켜 전처리층 상에 중간층을 제조하였다.
(S30) 상기 제조된 중간층 상(전처리층과 접한 일 편면과 다른 편면 상)에 2차 복합 수지 조성물을 준비하여 코팅하였다. 구체적으로, 폴리에테르폴리올 40중량% 및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 60중량%을 섞은 복합 폴리올 80g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20g을 중합하여 제조한 폴리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 및 수용성 단백질 99.5중량% 및 식물성 지방 0.5중량%인 복합 파우더 10중량부를 포함하는 2차 복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 코팅 기술인 플로팅 나이프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중간층에 상기 제조한 2차 복합 수지 조성물을 3500g/lm인 도포량으로 도포하여 코팅하였다.
상기 중간층에 코팅된 1차 복합 수지 조성물을 온도 35℃ 조건에서 디메틸포름아마이드(Dimethylformamide; DMF) 수용액 5%에 통과시키면서 응고시켰다.
상기 중간층 상에 코팅된 2차 복합 수지 조성물을 응고 시킨 후 수세용수로 온도 60℃로 150분 동안 수세 처리하였다.
그 다음, 상기 전처리된 기재 상에 코팅된 뒤, 응고 및 수세용수로 처리된 2차 복합 수지 조성물을 챔버 온도 100℃ 조건으로 건조시켜 중간층 상에 기공층을 제조하였다.
(S40) 상기 기재와 전처리층, 중간층 및 기공층을 포함한 것을 버핑롤러에서 버핑(buffing)한 후, 전처리층 상에 위치한 기재를 박리강도 100g/cm로 하여 박리시켜 폴리우레탄 필름을 제조하였다. 그 후, 박리하여 권취한 폴리우레탄 필름을 실리콘계 유연제 30%를 90℃ 조건으로 건조 후 처리하였다.
실시예 1-2
실시예 1-1과 비교하였을 때, 실리콘계 발수제를 30중량% 대신 16~25중량%로 사용하여 전처리층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폴리우레탄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실시예 1-1과 비교하였을 때, 실리콘계 발수제를 30중량% 대신 5~15중량%로 사용하여 전처리층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폴리우레탄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1
실시예 1-1과 비교하였을 때, 중간층 제조에 사용되는 가교제의 중량부를 3~4중량부 대신 1~2 중량부를 사용하여 중간층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폴리우레탄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2
실시예 1-1과 비교하였을 때, 중간층 제조에 사용되는 가교제의 중량부를 3~4중량부 대신 5~6 중량부를 사용하여 중간층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폴리우레탄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3
실시예 1-1과 비교하였을 때, 중간층 제조에 사용되는 가교제의 중량부를 3~4중량부 대신 7~8 중량부를 사용하여 중간층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폴리우레탄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4
실시예 1-1과 비교하였을 때, 중간층 제조에 사용되는 가교제의 중량부를 3~4중량부 대신 9~10 중량부를 사용하여 중간층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폴리우레탄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1
실시예 1-1과 비교하였을 때, 전처리층 제조 시 사용되는 발수제를 실리콘계 발수제 대신 C6 과불화 화합물계(6 carbon perfluorinated chemical; C6 PFC)로 사용하여 전처리층을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폴리우레탄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2
실시예 1-1과 비교하였을 때, 전처리층 제조 시 사용되는 발수제를 실리콘계 발수제 대신 C6 과불화 화합물계(6 carbon perfluorinated chemical; C6 PFC) 16~25중량%로 사용하여 전처리층을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폴리우레탄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3
실시예 1-1과 비교하였을 때, 전처리층 제조 시 사용되는 발수제를 실리콘계 발수제 대신 C6 과불화 화합물계(6 carbon perfluorinated chemical; C6 PFC) 5~15중량%로 사용하여 전처리층을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폴리우레탄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1
실시예 1-1과 비교하였을 때, 전처리층 제조 시 사용되는 발수제를 실리콘계 발수제 대신 C8 과불화 화합물계(8 carbon perfluorinated chemical; C8 PFC)로 사용하여 전처리층을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폴리우레탄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2
실시예 1-1과 비교하였을 때, 전처리층 제조 시 사용되는 발수제를 실리콘계 발수제 대신 C8 과불화 화합물계(8 carbon perfluorinated chemical; C8 PFC) 16~25중량%로 사용하여 전처리층을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폴리우레탄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3
실시예 1-1과 비교하였을 때, 전처리층 제조 시 사용되는 발수제를 실리콘계 발수제 대신 C8 과불화 화합물계(8 carbon perfluorinated chemical; C8 PFC) 5~15중량%로 사용하여 전처리층을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폴리우레탄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1과 비교하였을 때, 중간층 제조에 사용되는 가교제의 중량부를 3~4중량부 대신 7~8 중량부를 사용하여 중간층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폴리우레탄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 전처리에 사용되는 발수제의 종류 및 함량에 따른 투습도 및 내수압 비교
상기 실시예 1-1 ~ 1-3에 따라 제조된 폴리우레탄 필름 및 비교예 1-1 ~ 2-3에 따라 제조된 폴리우레탄 필름의 투습도 및 내수압을 비교하였다.
구체적인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발수제 중량(%) 투습도 (g/m2*24Hr) 내수압(mmH20)


1-1 실리콘계 26~35 5,999 5,967
1-2 16~25 6,074 5,835
1-3 5~15 6,488 5,623


1-1 C6 PFC계 26~35 5,622 8,952
1-2 16~25 5,869 7,255
1-3 5~15 5,978 6,952


2-1 AC8 PFC계 26~35 5,686 9,855
2-2 16~25 5,753 9,235
2-3 5~15 5,875 8,541
*투습도 측정 방법(KS K 0594) : 중발법으로 시험컵을 채우고 원단을 엎은 다음 원단을 통해서 습기가 투습하여 나간 양을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40℃로 예열한 투습컵에 약 40℃의 물 42mL를 넣고 물과 시험편의 거리가 10mm가 되도록 조절한다. 그 후, 70mm 시험편을 3매 채취하고 이면을 물쪽으로 하여 고정시킨다. 그 후, 온도 38~42℃, 상대습도 45~55%의 공기가 순환하는 항온항습 장치에 놓고 1h 후에 시험체를 꺼내어 질량 a1을 측정하고 이 시험체를 다시 항온항습장치에 넣어서 1h 후에 시험체를 꺼내어 질량 a2를 1mg까지 측정한다. 그렇게 측정한 결과값을 하기 식에 대입하여 투습도를 구한다. 3회 측정한 평균값은 g/m2/h 단위의 정수 자리로 표시한다.[수학식 1]
Figure pat00001
- P = 투습도(g/(mh)
-a2-a1 : 1h 경과 후 시험체의 질량 변화(g/h)
-S : 투습면적(m2)
*내수압 측정 방법(KS K ISO 811) : 수압을 가한 다음 천 표면에 3개의 물방울이 생기기 시작하는 순간의 수압을 그 천의 내수압으로 측정하는 방법이다. 구체적으로, 시험편으로부터 3곳에서 물이 보이기 시작할 때의 압력을 cmH2O 단위로 기록한다. 이때, 압력을 기록하는 정확도와 유효값의 판정은 KS K ISO 811을 참조하되, 시험편에서 임의로 시험하여 적어도 5개의 유효한 값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리콘계 발수제를 사용하여 전처리층을 제조했을 때, 비교예 1 및 비교예 2 계열의 C6 및 C8 과불화 화합물계 발수제를 사용하여 전처리층을 제조했을 때보다 투습도가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투습 및 방수 효과가 우수한 특징이 있다. 다만, 실리콘계 발수제를 사용했을 때, 내수압은 상대적으로 과불화 화합물계 발수제를 사용했을 때에 비해 낮으나,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중간층을 포함시켜, 내수압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별도의 가로막 필름 및 시트 등을 삽입하지 않으므로 공정을 단순화 시키고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
실험예 2 - 중간층의 가교제의 첨가량에 따른 내수압 비교
상기 실시예 1-1 및 실시예 2-1 ~ 2-3에 따라 제조된 폴리우레탄 필름 및 비교예 3에 따라 제조된 폴리우레탄 필름의 투습도 및 내수압을 비교하였다.
구체적인 결과는 하기 표 2과 같다.
비교예

실시예
가교제 중량부 투습도 (g/m2*24Hr) 내수압(mmH20)
비교예 3 - 5,950 8,652
실시예 2-1 1~2 5,705 9,150
실시예 1-1 3~4 5,626 10,250
실시예 2-2 5~6 5,568 10,580
실시예 2-3 7~8 4,658 10,780
실시예 2-4 9~10 4,159 10,855
*투습도 측정 방법(KS K 0594) : 상기 표 1 방식과 동일*내수압 측정 방법(KS K ISO 811) : 상기 표 1 방식과 동일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1차 복합 수지 조성물 중 폴리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 중량부가 증가할수록, 응고/수세 단계에서 폴리우레탄의 밀도를 중가시키는 바, 투습도는 낮아지나 내수압은 점점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교제 중량부의 조절을 통하여 투습도 및 내수압의 목표치를 만족시키는 폴리우레탄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투습도 및 내수압이 적당하게 모두 높은 가교제 중량부를 3~4 중량부를 포함하는 1차 복합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폴리우레탄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에,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폴리우레탄 필름은 투습 및 방수 효과가 우수하고, 신율강도, 인장강도, 인열강도 등의 내구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상기 가교제가 포함된 중간층을 포함하는 바, 별도의 가로막 필름이나 시트를 삽입할 필요가 없으므로 공정을 단순화 시킬 수 있고, 원가를 절감시키는 바 경제성이 있다.
1 : 폴리우레탄 필름
10 : 기공층 20 : 중간층 30 : 전처리층
A : 셀 a1 : 공동 a2 : 격벽

Claims (21)

  1. 공동(Cavity)(a1) 및
    상기 공동을 둘러싸는, 미세기공을 포함하는 격벽(a2)을 포함하는 셀(A)을 복수 개로 포함하는 기공층;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공층의 일 편면 상에 형성되는, 폴리우레탄 수지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중간층; 및
    상기 중간층의 기공층과 접한 일 편면과 다른 편면상에 형성되는, 발수제를 포함하는 전처리층;을 더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a2)은 폴리우레탄 수지; 및
    복합 파우더를 포함하는 것인 폴리우레탄 필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a2)은 폴리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 및 복합 파우더 2.5~28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폴리우레탄 필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파우더는 수용성 단백질, 지방,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폴리우레탄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Cavity)(a1)의 직경은 100~300μm이고, 상기 미세기공의 크기는 0.1~5μm인 것인 폴리우레탄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두께는 0.2mm~2mm, 중량은 100~300g/m2, 인장강도는 0.5~2.0kgf/2.54cm, 신율은 0.5~2.0kgf, 밀도는 0.05~0.20g/m3, 경도(F TYPE)는 40~80도, 압축율 90~100% 및 회복율 90~100%인 것인 폴리우레탄 필름.
  8. 기재를 전처리하여 전처리층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층 상에 폴리우레탄 수지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1차 복합 수지 조성물로 1차 코팅하여 중간층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중간층 상에 폴리우레탄 수지 및 복합 파우더를 포함하는 2차 복합 수지 조성물로 2차 코팅하여 기공층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기재를 박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친수성 원사, 소수성 원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는 상기 기재에 발수제를 100~160℃ 조건에서 1~10분 동안 처리하는 것인 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발수제는 C6 과불화 화합물계(6 carbon perfluorinated chemical; C6 PFC), C8 과불화 화합물계(8 carbon perfluorinated chemical; C8 PFC), 실리콘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전처리층을 1차 복합 수지 조성물로 1차 코팅하는 단계;
    상기 1차 코팅 후 응고시키는 단계;
    상기 응고 후 수세용수로 처리하는 수세 단계; 및
    상기 수세용수로 처리 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복합 수지 조성물은 폴리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및 가교제 1~1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코팅은 도포량이 10g~300g/lm인 것인 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응고시키는 단계는 온도 22~28℃ 및 디메틸포름아마이드(Dimethylformamide; DMF) 수용액 10~15% 조건에서 응고시키는 것인 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방법.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공층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중간층을 2차 복합 수지 조성물로 2차 코팅하는 단계;
    상기 2차 코팅 후 응고시키는 단계;
    상기 응고 후 수세용수로 처리하여 복합 파우더의 전부 또는 일부를 용해시키는 수세 단계; 및
    상기 수세용수로 처리 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공층은 공동(Cavity)(a1) 및
    상기 공동을 둘러싸는, 미세기공을 포함하는 격벽(a2)을 포함하는 셀(A)을 복수 개로 포함하는 것인 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방법.
  1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복합 수지 조성물은 폴리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 및 복합 파우더 5~4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방법.
  1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파우더는 크기가 0.5~5μm인 것인 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파우더는 수용성 단백질, 지방,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방법.
  2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를 박리하는 단계는 박리 강도가 50~1000g/cm인 것인 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방법.
KR1020190129566A 2019-10-18 2019-10-18 내구성 및 유연성이 우수한 기능성 폴리우레탄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93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566A KR102293565B1 (ko) 2019-10-18 2019-10-18 내구성 및 유연성이 우수한 기능성 폴리우레탄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566A KR102293565B1 (ko) 2019-10-18 2019-10-18 내구성 및 유연성이 우수한 기능성 폴리우레탄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6157A true KR20210046157A (ko) 2021-04-28
KR102293565B1 KR102293565B1 (ko) 2021-08-26

Family

ID=75720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9566A KR102293565B1 (ko) 2019-10-18 2019-10-18 내구성 및 유연성이 우수한 기능성 폴리우레탄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356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7461A (ja) * 1993-05-12 1995-04-11 Asahi Chem Ind Co Ltd 湿式凝固した樹脂皮膜および布帛との複合シート
KR100726936B1 (ko) * 2006-04-20 2007-06-14 주식회사 일신텍스타일 투습 방수포용 미세다공 형성 코팅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105184B1 (ko) 2003-10-01 2012-01-12 도요 폴리머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우레탄 다공질체
KR20160060467A (ko) * 2014-11-20 2016-05-30 강남화성 (주) 바이오 폴리우레탄 수지 제조 방법 및 직물의 투습-방수 처리 방법
KR101804862B1 (ko) * 2016-12-20 2017-12-06 대원화성 주식회사 미세다공성 유지패드
KR20180068682A (ko) * 2016-12-14 2018-06-22 에프엔에스테크 주식회사 연마 패드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7461A (ja) * 1993-05-12 1995-04-11 Asahi Chem Ind Co Ltd 湿式凝固した樹脂皮膜および布帛との複合シート
KR101105184B1 (ko) 2003-10-01 2012-01-12 도요 폴리머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우레탄 다공질체
KR100726936B1 (ko) * 2006-04-20 2007-06-14 주식회사 일신텍스타일 투습 방수포용 미세다공 형성 코팅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60467A (ko) * 2014-11-20 2016-05-30 강남화성 (주) 바이오 폴리우레탄 수지 제조 방법 및 직물의 투습-방수 처리 방법
KR20180068682A (ko) * 2016-12-14 2018-06-22 에프엔에스테크 주식회사 연마 패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04862B1 (ko) * 2016-12-20 2017-12-06 대원화성 주식회사 미세다공성 유지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3565B1 (ko) 2021-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03096B1 (ja) 透湿防水性布帛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2247441B1 (de) Mehrschichtiges verbundmaterial, seine herstellung und verwendung
JPH01129041A (ja) シート材料の製造方法
EP2288493B1 (de) Mehrschichtige verbundmaterialien, die eine wasserdampfdurchlässige kunststofffolie umfass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TW201014617A (en) Layered composite wound dressing comprising a polyurethane foam layer, an absorbent layer and a covering layer
KR101811273B1 (ko) 개선된 폴리우레탄 마스크 팩재 및 그의 제조 방법
KR950011185B1 (ko) 수증기 투과율 및 유연성이 우수한 가죽상 재료
KR101234043B1 (ko) 자외선 경화형 투습발수 기능을 갖는 코팅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93565B1 (ko) 내구성 및 유연성이 우수한 기능성 폴리우레탄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2993170B2 (ja) 創傷被覆材
DE1809574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oroesen Folienmaterials
US7858009B2 (en) Synthetic leath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5396010B2 (ja) 透湿性防水布帛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912828B1 (ko) 무팽윤성 기공타입의 통기방수성 필름,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용도
JP2004231804A (ja) ポリウレタン樹脂組成物、ポリウレタン樹脂皮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33578B2 (ja) 皮革様シート状物の製造法
KR100795386B1 (ko) 친수무공형 투습방수포
JPH11124774A (ja) 透湿性防水布帛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3573121A (en) Method of producing suede-like artificial leathers
TWI835056B (zh) 多孔層結構體及多孔層結構體之製造方法
JPH1161648A (ja) 透湿性防水布帛
JPH01291927A (ja) 透湿性防水加工布
KR20210085074A (ko) 무팽윤성 기공타입의 통기방수성 필름을 이용한 고내열성 의료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04663A (ko) 방수 및 통기성이 우수한 멤브레인 필름과 직물의 제조방법
JPH03140320A (ja) 多孔質構造物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