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6058A - 안경 - Google Patents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6058A
KR20210046058A KR1020217008592A KR20217008592A KR20210046058A KR 20210046058 A KR20210046058 A KR 20210046058A KR 1020217008592 A KR1020217008592 A KR 1020217008592A KR 20217008592 A KR20217008592 A KR 20217008592A KR 20210046058 A KR20210046058 A KR 20210046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circuit board
sound
rotation shaft
micro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8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8290B1 (ko
Inventor
예키앙 왕
하오펭 장
용지앙 리
윤빈 첸
펜 유
레이 장
Original Assignee
션젼 복스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810975515.1A external-priority patent/CN108873372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910009904.3A external-priority patent/CN109495809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920031804.6U external-priority patent/CN209267805U/zh
Application filed by 션젼 복스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션젼 복스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46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6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10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hearing aid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06Hearing aid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43Side-members having special ear piec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18Resilient hinges
    • G02C5/2254Resilient hinges comprising elastic means other than coil sp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81Special hinge scre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4Structural association of microphone with electric circuitry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6Arranging circuit leads; Relieving strain on circuit le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08Earpieces of the supra-aural or circum-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83Reduction of ambient noi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5Housing parts, e.g. shells, tips or moulds, or thei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Bending or folding regions of flexibl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9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lexible or folded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7Monophonic and stereophonic headphones with microphone for two-way hands fre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04R9/066Loudspeakers using the principle of inertia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5Flexible printed circuits [FPC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eurosurger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Eyeglasse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안경테; 제어 회로 또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안경 템플(temple); 안경테 및 안경 템플에 연결되어, 안경테 및 안경 템플이 회전 샤프트 둘레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축방향을 따라 회전 샤프트 배선 채널을 갖고 배치되는 회전 샤프트; 회전 샤프트 배선 채널을 통과하며 안경테 및 안경 템플 각각으로 연장되는 연결 와이어; 이어폰 코어를 포함하고 안경 템플에 연결되는 스피커, 이어폰 코어를 진동하도록 구동하여 연결 와이어를 통해 사운드를 발생하는 상기 제어 회로 또는 배터리; 및 안경 템플 또는 스피커 내에 배치된 적어도 2개의 마이크 - 상기 적어도 2개의 마이크는 사용자의 입으로부터 상이한 거리를 갖는 위치들에 위치설정됨 - 를 포함하는 안경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안경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각각의 내용이 전체적으로 참조로 본원에 포함되는, 2018년 8월 24일자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제201810975515.1호, 2019년 1월 5일자 출원된 중국 특허출원 제201910009904.3호, 및 2019년 1월 5일자 출원된 중국 특허출원 제201920031804.6호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기술분야
본 개시내용은 안경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스피커를 갖는 안경에 관한 것이다.
스피커 기술의 개발과 함께, 전자 제품들(예컨대, 이어폰, MP3 등)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스피커들은 상이한 제품 형태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는 안경(예컨대, 선글라스, 수영용 안경 등)에 통합되거나 또는 특수한 구조(예컨대, 이어 훅)를 통해 사용자의 귀 내에 또는 그에 근접하여 고정될 수 있다. 제품들의 기능들이 더욱 다변화함에 따라, 스피커 내부에 더 많은 모듈들 및 와이어들이 있을 수 있고, 배선이 더욱 복잡하게 될 수 있다. 복잡한 배선은 제품의 내부 공간을 크게 점유할 수 있고, 불합리한 배선 분포가 와이어들 서로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비정상 사운드를 초래하며, 스피커의 음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스피커의 배선을 단순화하여 스피커의 음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더 효율적인 배선 기술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안경을 제공할 수 있다. 안경은 안경테; 안경 템플(temple) - 상기 안경 템플은 제어 회로 또는 배터리를 수용함 -; 회전 샤프트 - 상기 회전 샤프트는 안경테 및 안경 템플을 연결하여, 안경테 및 안경 템플이 회전 샤프트 둘레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회전 샤프트에는 축방향을 따라 회전 샤프트 배선 채널이 배치됨 -; 연결 와이어 - 상기 연결 와이어가 회전 샤프트 배선 채널을 통과하며 안경테 및 안경 템플 각각으로 연장됨 -; 스피커 - 상기 스피커는 이어폰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가 안경 템플에 연결되며, 안경 템플 내의 제어 회로 또는 배터리가 이어폰 코어를 진동하도록 구동하여 연결 와이어를 통해 사운드를 발생함 -; 및 적어도 2개의 마이크 - 상기 적어도 2개의 마이크는 안경 템플 또는 스피커 내에 배열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마이크는 사용자의 입으로부터 상이한 거리들을 갖는 위치들에 위치설정됨 -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관점에서 추가로 설명된다. 이러한 예시적 실시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들이 유사한 구조들을 나타내는 비제한적인 예시적 실시예들이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스피커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플렉시블 회로 기판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스피커의 부분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스피커의 부분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스피커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서 스피커의 부분(F)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스피커를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스피커 내의 노즈 패드 커버를 도시하는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스피커 내의 안경테 및 안경 렌즈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도 9에서 스피커의 부분(A)를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스피커 내의 연결 와이어를 도시하는 부분 구조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도 7에서 스피커의 부분(B)을 도시하는 부분 구조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스피커 내의 안경의 부분 구조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스피커 내의 회전 샤프트 구성요소 및 연결 와이어를 도시하는 개략 구조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스피커 내의 제1 회전 샤프트를 도시하는 개략 구조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스피커를 도시하는 부분 분해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스피커 내의 안경테 및 안경 렌즈를 도시하는 개략 구조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스피커 내의 안경 템플의 부분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9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스피커의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도 20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안경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도 20에서 부분(A)을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22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조합된 상태에서 도 19의 A-A 축을 따라 안경의 전자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도 22에서 부분(B)을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24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도 19에서 B-B 축을 따라 안경의 전자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도 25의 것과 상이한 협각을 갖는 제1 회로 기판 및 제2 회로 기판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7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조합된 상태에서 도 19의 C-C 축을 따라 안경의 전자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8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조합된 상태에서 도 19의 A-A 축을 따라 안경의 전자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9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조합된 상태에서 도 19의 B-B 축을 따라 안경의 전자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0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안경의 스피커의 부분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1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도 26에서 부분(C)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32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안경의 스피커의 코어 하우징을 도시하는 부분 구조도이다.
도 33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도 32에서 부분(D)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34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안경의 스피커의 코어 하우징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35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공기 전도를 통해 사운드를 전송하는 개략도이다.
하기 상세한 설명에서, 다수의 특정 세부 사항이 관련 개시내용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예를 들어 설명된다. 명백하게, 아래에 설명된 도면들은 단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들 또는 실시예들일 뿐이다. 당업자는 추가의 창의적인 노력없이, 이러한 도면에 따라 본 개시내용을 다른 유사한 시나리오들에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도시된 실시예들의 목적은 단지 당업자에게만 제공되어 응용예를 실시하고,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가 없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문맥으로부터 명백하게 획득되지 않는 한 또는 문맥이 달리 예시하지 않는 한, 도면들의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조 또는 작동을 지칭한다.
개시내용 및 첨부된 청구항들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 형태들(“a,” “an,” and “the)은 문맥이 달리 명확하게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의 참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용어 "구성하는"과 "포함하는"은 명확하게 식별된 단계들 및 요소들을 포함하라는 단순한 시도에 불과하며, 이러한 단계들 및 요소들은 배타적 목록을 구성하지 않는다. 방법들 또는 디바이스들은 또한 다른 단계들 또는 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용어 "기초로 하는"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로 하는" 것이다. 용어 "일 실시예"는 "적어도 일 실시예"를 의미하고, 용어 "다른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시예"를 의미한다. 다른 용어들의 관련된 정의들은 아래 설명에서 주어질 것이다. 하기에서, 일반성을 상실하지 않고, 본 개시내용에 기재된 "안경" 또는 "선글라스"는 스피커를 갖는 "안경" 또는 "선글라스"를 의미한다. 당업자에게는, "안경" 또는 "선글라스"가 또한 "눈 보호 디바이스", "눈 착용 디바이스", 등과 같은 다른 유사한 단어로 대체될 수 있다. "스피커"는 또한 "확성기", "보청기", "플레이어", "재생 디바이스" 등과 같은 다른 유사한 단어로 대체될 수 있다. 당업자에게는, 안경의 기본 원리를 이해한 후, 원리에서 벗어나지 않고 안경을 구현하는 특정 방법들 및 작동들의 형태 및 세부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다. 특히, 안경이 보청기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환경 사운드 수집 및 처리 기능이 안경에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는 사용자/착용자의 환경 사운드를 수집하고,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사운드를 처리하고, 처리된 사운드(또는 생성된 전기 신호)를 안경의 스피커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안경은 환경 사운드를 수집하는 기능을 포함하도록 수정될 수 있으며, 신호 처리 후, 사운드가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착용자로 전송될 수 있어, 이에 의해 보청기의 기능을 구현한다. 예로서,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알고리즘은 노이즈 캔슬링(noise cancellation), 자동 게인(gain) 제어, 음향 피드백 억제, 와이드 동적 범위 압축, 활성 환경 인식, 능동 노이즈 감소, 방향 처리, 이명 처리(tinnitus processing), 다중 채널 와이드 동적 범위 압축, 능동 하울링(howling) 억제, 볼륨 제어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스피커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스피커(100)는 적어도 이어폰 코어(102), 보조 기능 모듈(104) 및 플렉시블 회로 기판(106)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어폰 코어(102)는 전기 오디오 신호(들)를 수신하고 오디오 신호(들)를 사운드 신호(들)로 변환할 수 있다. 플렉시블 회로 기판(106)은 서로 상이한 모듈들/구성요소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들)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시블 회로 기판(106)은 이어폰 코어(102)와 외부 제어 회로 사이의 전기적 연결, 그리고 이어폰 코어(102)와 보조 기능 모듈(104)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어폰 코어(102)는 적어도 자기 회로 구성요소, 진동 구성요소, 및 자기 회로 구성요소 및 진동 구성요소를 수용하는 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다. 자기 회로 구성요소는 자기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진동 구성요소는 진동 구성요소에 대한 전기 신호 입력을 기계적 진동 신호로 변환하여 사운드를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진동 구성요소는 적어도 코일 및 내부 리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어폰 코어(102)는 또한 외부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와이어는 진동 구성요소 내의 코일로 오디오 전류를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와이어의 일 단부는 이어폰 코어의 내부 리드에 연결될 수 있으며, 다른 단부는 스피커의 플렉시블 회로 기판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브래킷은 배선 홈을 가질 수 있다. 외부 와이어 및/또는 내부 리드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부분들에 상세히 설명되는 배선 홈에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보조 기능 모듈(104)은 보조 신호(들)를 수신하고 보조 기능(들)을 수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보조 기능 모듈(104)은 이어폰 코어와 상이한 모듈일 수 있으며, 보조 신호(들)를 수신하고 보조 기능(들)을 수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 오디오 신호를 사운드 신호로 변환하는 것은 스피커(100)의 주요 기능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주요 기능과 상이한 다른 기능들은 스피커(100)의 보조 기능(들)으로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100)의 보조 기능(들)은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 사운드 및/또는 주변 사운드를 수신하는 것, 키 등을 통해 사운드 신호의 방송 과정을 제어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대응하는 보조 기능 모듈은 실제 요구에 따라 설정될 수 있는, 음향 신호의 방송 과정을 제어하는, 마이크, 키 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신호(들)는 보조 기능(들)과 관련된 전기 신호(들), 보조 기능(들)과 관련된 광학 신호, 보조 기능(들)과 관련된 음향 신호(들), 보조 기능(들)과 관련된 진동 신호, 또는 유사한 종류, 또는 그들의 조합일 수 있다.
스피커(100)는 이어폰 코어(102), 보조 기능 모듈(104) 및 플렉시블 회로 기판(106)을 수용하기 위한 코어 하우징(108)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100)가 골전도 이어폰인 경우, 코어 하우징(108)의 내부벽은 이어폰 코어 내의 진동 구성요소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가 골전도 이어폰을 착용할 때, 코어 하우징(108)의 외부 벽은 사용자와 접촉하여 진동 구성요소의 기계적 진동을 뼈를 통해 청각 신경으로 전송하여, 인체가 사운드를 들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피커는 이어폰 코어(102), 보조 기능 모듈(104), 플렉시블 회로 기판(106) 및 코어 하우징(108)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플렉시블 회로 기판(106)은 코어 하우징(108)의 내부 공간 내에 수용되는 플렉시블 인쇄 회로 기판(FPC)일 수 있다. 플렉시블 회로 기판(106)은 높은 가요성을 가질 수 있으며 코어 하우징(108)의 내부 공간에 적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부 실시예들에서, 플렉시블 회로 기판(106)은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렉시블 회로 기판(106)은 코어 하우징(108) 등의 플렉시블 회로 기판의 위치에 적응하기 위해 제1 기판 및 제2 기판에서 구부러질 수 있다. 추가의 세부 사항들은 본 개시내용의 다른 부분에 있는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피커(100)는 골전도 접근법을 통해 사운드를 전성할 수 있다. 코어 하우징(108)의 외부 표면은 피팅(fitting) 표면을 가질 수 있다. 피팅 표면은 사용자가 스피커(100)를 착용할 때 인체와 접촉하는 스피커(100)의 외부 표면일 수 있다. 스피커(100)는 프리셋 영역(예를 들어, 이주(tragus)의 전방 단부, 두개골의 위치, 또는 외이(auricle)의 후방 표면)에 대해 피팅 표면을 압축하여, 이에 의해 효과적으로 진동 신호(들)를 뼈를 통해 사용자의 청각 신경으로 전송하고 스피커(100)의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피팅 표면은 외이의 후방 표면에 맞닿을 수 있다. 기계적 진동 신호(들)는 이어폰 코어에서 코어 하우징으로 전송되고 코어 하우징의 피팅 표면을 통해 외이의 후방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어서 진동 신호(들)는 외이의 후방 근처의 뼈에 의해 청각 신경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외이의 후방 근처의 뼈는 청각 신경에 더 가까워질 수 있으며, 이는 더 양호한 전도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스피커(100)에 의해 청각 신경에 사운드를 전송하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피커(100)는 고정 메커니즘(11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메커니즘(110)은 외부에서 코어 하우징(108)에 연결될 수 있으며, 코어 하우징(108)의 위치를 지지하고 유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배터리 조립체 및 제어 회로는 고정 메커니즘(1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 조립체는 스피커(100) 내의 임의의 전자 구성요소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 회로는 스피커(100) 내의 임의의 기능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기능 구성요소는 이어폰 코어, 보조 기능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어 회로는 플렉시블 회로 기판 또는 와이어를 통해 배터리 및 기타 기능 구성요소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고정 메커니즘(110)은 안경테, 모자, 헤드기어, 다른 헤드웨어(headwear) 액세서리 등,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메커니즘(110)은 안경테일 수 있다. 공동이 안경테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공동은 배터리 조립체, 플렉시블 회로 기판 및 제어 회로를 수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어폰 코어(102)는 안경 템플의 단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는 귀 근처에 위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안경을 착용할 때 사운드 신호(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코어 하우징 내측에 위치된 플렉시블 회로 기판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플렉시블 회로 기판에는 다수의 패드가 배치될 수 있다. 상이한 신호 와이어들(예를 들어, 오디오 신호 와이어, 보조 신호 와이어)은, 오디오 신호 와이어 및 보조 신호 와이어 둘 모두가 이어폰 코어 또는 보조 기능 모듈에 연결될 필요가 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많은 복잡한 내부 와이어 문제를 피하기 위해 상이한 가요성 리드들을 통해 상이한 패드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스피커의 부분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회로 기판(44)은 적어도 다수의 제1 패드(45) 및 다수의 제2 패드(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2의 플렉시블 회로 기판(44)은 도 1의 플렉시블 회로 기판(106)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패드(45)들 중 적어도 하나는 보조 기능 모듈(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패드(45)들 중 적어도 하나는 플렉시블 회로 기판(44) 상의 제1 플렉시블 리드(47)를 통해 제2 패드들 중 적어도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패드들 중 적어도 하나는 외부 와이어(들)(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이어폰 코어(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패드(45)들 중 적어도 다른 하나는 보조 신호 와이어(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패드(45)들 중 적어도 하나와 보조 기능 모듈(들)이 플렉시블 회로 기판(44) 상의 제2 플렉시블 리드(49)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패드(45)들 중 적어도 하나는 보조 기능 모듈(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패드들 중 적어도 하나는 외부 와이어(들)를 통해 이어폰 코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패드(45)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플렉시블 리드(47)를 통해 제2 패드들 중 적어도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외부 오디오 신호 와이어(들) 및 보조 신호 와이어(들)가 플렉시블 회로 기판을 통해 이어폰 코어 및 보조 기능 모듈에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는 배선의 레이아웃을 단순화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오디오 신호 와이어(들)는 이어폰 코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오디오 신호(들)를 이어폰 코어로 전송할 수 있는 와이어(들)일 수 있다. 보조 신호 와이어(들)는 보조 기능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보조 기능 모듈을 사용하여 신호 전송을 수행할 수 있는 와이어(들)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2를 참조하면, 구체적으로, 플렉시블 회로 기판(44)에는 다수의 패드(45) 및 2개의 패드(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가 배치될 수 있다. 2개의 패드 및 다수의 패드(45)는 플렉시블 회로 기판(44)의 동일한 측부에 위치되고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2개의 패드는 플렉시블 회로 기판(44) 상의 플렉시블 리드(47)를 통해 다수의 패드(45)들 중 대응하는 2개의 패드(45)에 연결될 수 있다. 더욱이, 코어 하우징(41)은 또한 2개의 외부 와이어를 수용할 수 있다. 각 외부 와이어의 하나의 단부는 대응하는 패드에 용접될 수 있으며, 다른 단부는 이어폰 코어에 연결될 수 있으므로, 이어폰 코어가 외부 와이어들을 통해 패드들에 연결될 수 있다. 보조 기능 모듈들은 플렉시블 회로 기판(44)에 장착되고, 플렉시블 회로 기판(44) 상의 플렉시블 리드(들)(44)를 통해 다수의 패드(45)의 다른 패드들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와이어들은 스피커(100)의 고정 메커니즘(1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와이어들은 적어도 오디오 신호 와이어(들)와 보조 신호 와이어(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고정 메커니즘(110) 내에 복수의 와이어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들은 적어도 두 개의 오디오 신호 와이어 및 적어도 두 개의 보조 신호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메커니즘(110)은 안경테일 수 있다. 안경테는 코어 하우징(41)에 연결될 수 있으며, 와이어들은 안경테 내에 배치된 와이어들일 수 있다. 안경테 내의 각 와이어의 하나의 단부는 제어 회로 기판에 용접될 수 있으며, 와이어의 다른 단부는 코어 하우징(41)에 진입하여 플렉시블 회로 기판(44) 상의 패드(45)에 용접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코어 하우징(41) 내에 위치될 수 있는, 안경테 내의 와이어들 중 2개의 오디오 신호 와이어 각각의 하나의 단부는 2개의 플렉시블 리드(47)에 의해 2개의 패드에 용접될 수 있고, 다른 단부는 제어 회로 기판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2개의 패드(45)는 플렉시블 리드(49)와 2개의 패드(46)의 용접을 통해 그리고 2개의 외부 와이어와 패드들의 용접을 통해 이어폰 코어에 추가로 연결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이어폰 코어로 오디오 신호(들)를 전송할 수 있다.
코어 하우징(41) 내의 적어도 2개의 보조 신호 와이어 각각의 하나의 단부는 플렉시블 리드(들)(49)에 의해 패드(45)에 용접되며, 다른 단부는 제어 회로 기판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보조 기능 모듈(들)에 의해 수신 및 변형된 보조 신호(들)를 제어 회로(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로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접근법에서, 플렉시블 회로 기판(44)은 코어 하우징(41)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대응하는 패드들은 플렉시블 회로 기판(44)에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들(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은 코어 하우징(41)에 진입하여 대응하는 패드들에 용접될 수 있으며, 추가로 패드들 상의 플렉시블 리드(47)들 및 플렉시블 리드(49)들을 통해 대응하는 보조 기능 모듈(들)에 연결되며, 이에 의해 보조 기능 모듈(들)에 직접 연결된 다수의 와이어가 코어 하우징(41) 내의 배선을 복잡하게 만드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배선의 배열이 최적화될 수 있고, 코어 하우징(41)에 의해 점유되는 공간이 절약될 수 있다. 또한, 안경테 내의 다수의 와이어가 보조 기능 모듈(들)에 직접 연결되면, 안경테 내의 와이어들의 중간 부분이 코어 하우징(41) 내에 매달려 진동을 쉽게 유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이어폰 코어의 음질에 영향을 미치는 비정상적 사운드가 생기게 된다. 본 접근법에 따르면, 안경테의 와이어들은 플렉시블 회로 기판(44)에 용접되고 추가로 대응하는 보조 기능 모듈(들)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는 와이어가 이어폰 코어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와이어들이 매달리는 상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이어폰 코어의 음질을 어느 정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플렉시블 회로 기판(또한 플렉시블 회로 기판(44)으로도 지칭됨)은 추가로 분할될 수 있다. 플렉시블 회로 기판은 적어도 2개의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하나의 보조 기능 모듈은 적어도 2개의 영역 중 하나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적어도 2개의 보조 기능 모듈이 플렉시블 회로 기판에 배치될 수 있다. 오디오 신호 와이어(들)와 보조 신호 와이어(들)와 적어도 2개의 보조 기능 모듈 사이의 배선은 플렉시블 회로 기판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플렉시블 회로 기판은 적어도 주 회로 기판 및 제1 분기 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분기 회로 기판은 주 회로 기판에 연결되어 주 회로 기판의 하나의 단부를 따라 주 회로 기판에서 멀리 연장될 수 있다. 보조 기능 모듈(들)은 적어도 제1 보조 기능 모듈 및 제2 보조 기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조 기능 모듈은 주 회로 기판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보조 기능 모듈은 제1 분기 회로 기판에 배치될 수 있다. 다수의 제1 패드는 주 회로 기판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패드들은 제1 분기 회로 기판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보조 기능 모듈은 키 스위치일 수 있다. 키 스위치는 주 회로 기판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패드들은 키 스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 보조 기능 모듈은 마이크일 수 있다. 마이크는 제1 분기 회로 기판에 배치될 수 있으며, 마이크에 대응하는 제2 패드들은 제1 분기 회로 기판에 배치될 수 있다. 주 회로 기판상의 키 스위치에 대응하는 제1 패드들은 제2 플렉시블 리드(들)를 통해 제1 분기 회로 기판상의 마이크에 대응하는 제2 패드들에 연결될 수 있다. 키 스위치가 마이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키 스위치가 마이크를 제어하거나 작동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플렉시블 회로 기판은 제2 분기 회로 기판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2 분기 회로 기판은 주 회로 기판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분기 회로 기판은 주 회로 기판의 다른 단부를 따라 주 회로 기판에서 멀리 연장되고 제 1 분기 회로 기판에서 이격될 수 있다. 보조 기능 모듈(들)은 제3 보조 기능 모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3 보조 기능 모듈은 제2 분기 회로 기판에 배치될 수 있다. 다수의 제1 패드는 주 회로 기판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패드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분기 회로 기판에 배치될 수 있으며, 다른 제2 패드들은 제2 분기 회로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3 보조 기능 모듈은 제2 마이크일 수 있다. 제2 분기 회로 기판은 주 회로 기판에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마이크는 주 회로 기판에서 이격된 제2 분기 회로 기판의 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다수의 패드는 제2 분기 회로 기판에서 이격된 주 회로 기판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보조 기능 모듈은 제1 마이크(432a)일 수 있다. 제3 보조 기능 모듈은 제2 마이크(432b)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제1 마이크(432a) 및 제2 마이크(432b) 둘 모두는 MEMS(마이크로-전기기계 시스템) 마이크(432)일 수 있으며, 이는 작은 작동 전류, 비교적 안정적인 성능 및 높은 음질을 가질 수 있다. 2개의 마이크(432)는 실제 필요에 따라 플렉시블 회로 기판(44)의 상이한 위치들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플렉시블 회로 기판(44)은 주 회로 기판(441)(또한 주 회로 기판이라고도 지칭됨), 및 분기 회로 기판(442)(또한 제1 분기 회로 기판이라고도 지칭됨) 및 상기 주 회로 기판(441)에 연결된 분기 회로 기판(443)(또한 제2 분기 회로 기판이라고도 지칭됨)을 포함할 수 있다. 분기 회로 기판(442)은 주 회로 기판(441)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마이크(432a)는 주 회로 기판(441)으로부터 이격된 분기 회로 기판(442)의 하나의 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분기 회로 기판(443)은 주 회로 기판(441)에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마이크(432b)는 주 회로 기판(441)으로부터 이격된 분기 회로 기판(443)의 하나의 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다수의 패드(45)는 분기 회로 기판(442) 및 분기 회로 기판(443)으로부터 이격된 주 회로 기판(441)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코어 하우징(41)은 주변 측벽(411) 및 상기 주변 측벽(411)의 일 단부 표면에 연결된 하단 단부벽(412)을 포함하여 개방 단부를 갖는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이어폰 코어는 개방 단부를 통해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마이크(432a)는 하단 단부벽(412)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마이크(432b)는 주변 측벽(411)에 고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분기 회로 기판(442) 및/또는 분기 회로 기판(443)은 코어 하우징(41)상의 마이크(432)에 대응하는 사운드 입구의 위치에 맞게 적절히 구부러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렉시블 회로 기판(44)은 주 회로 기판(441)이 하단 단부벽(412)과 평행하게 되는 방식으로 코어 하우징(4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마이크(432a)는 주 회로 기판(441)을 구부리지 않고 하단 단부벽(412)에 대응할 수 있다. 제2 마이크(432b)는 코어 하우징(41)의 주변 측벽(411)에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제2 주 회로 기판(441)을 구부릴 필요가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기 회로 기판(443)은 주 회로 기판(441)으로부터 이격된 하나의 단부에서 구부러질 수 있으므로, 분기 회로 기판(443)의 기판 표면이 주 회로 기판(441) 및 분기 회로 기판(442)의 기판 표면에 수직일 수 있다. 또한, 제2 마이크(432b)는 주 회로 기판(441) 및 분기 회로 기판(44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코어 하우징(41)의 주변 측벽(411)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패드(45)들, 제2 패드들, 제1 마이크(432a) 및 제2 마이크(432b)는 플렉시블 회로 기판(44)의 동일한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패드들은 제2 마이크(432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제2 패드들은 구체적으로 주 회로 기판(441)으로부터 이격된 분기 회로 기판(443)의 하나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마이크(432b)와 동일한 방향을 가지며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패드들은 분기 회로 기판(443)이 구부러짐에 따라 제1 패드(45)들의 방향에 수직일 수 있다. 분기 회로 기판(443)은 구부러진 후 주 회로 기판(441)의 기판 표면에 수직이 아닐 수 있으며, 이는 주변 측벽(411)과 하단 단부벽(412)의 배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 회로 기판(44)의 다른 면에는 제1 패드(45)들을 지지하기 위해 강성 지지판(4a) 및 마이크 강성 지지판(4b)이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 강성 지지판(4b)은 제1 마이크(432a)를 지지하기 위한 강성 지지판(4b1), 및 제2 패드들과 제2 마이크(432b)를 함께 지지하기 위한 강성 지지판(4b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강성 지지판(4a), 강성 지지판(4b1) 및 강성 지지판(4b2)은 주로 대응하는 패드들 및 마이크(432)를 지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따라서 소정 강도를 가지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상기 3개의 지지판의 재료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특정 재료는 폴리이미드(PI)일 수 있거나,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등과 같은 강도를 제공할 수 있는 다른 재료일 수 있다. 또한, 3개의 강성 지지판의 두께는 강성 지지판들의 강도에 따라, 그리고 제1 패드(45)들, 제2 패드들, 제1 마이크(432a) 및 제2 마이크(432b)에 의해 요구되는 실제 강도에 따라 설정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강성 지지판(4a), 강성 지지판(4b1) 및 강성 지지판(4b2)은 전체 강성 지지판의 3개의 상이한 영역들일 수 있고, 또는 서로 이격된 3개의 독립적인 몸체들일 수 있고,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마이크(432a) 및 제2 마이크(432b)는 각각 2개의 마이크 구성요소(4c)(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2개의 마이크 구성요소의 구조는 동일할 수 있다. 사운드 입구(413)는 코어 하우징(41)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확성기에는 코어 하우징(41)에서 코어 하우징(41)의 내부 표면에 일체로 형성된 환형 차단벽(414)이 추가로 배치되고 사운드 입구(413)의 주변부에 배치되어, 이에 의해 사운드 입구(413)에 연결된 수용 공간(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한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렉시블 회로 기판(44)은 강성 지지판(예를 들어, 강성 지지판(4a), 강성 지지판(4b1) 및 강성 지지판(4b2))과 마이크(43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운드 입력(444)은 마이크 강성 지지판(4b)의 사운드 입력(4b3)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 회로 기판(44)은 다른 기능적 구성요소들 또는 와이어들에 연결되어 대응하는 기능들을 구현하도록 마이크(432)로부터 더 멀리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마이크 강성 지지판(4b)도 또한 마이크(43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플렉시블 회로 기판과 일정 거리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환형 차단벽(414)은 플렉시블 회로 기판의 형상과 매칭(matching)하며 갭을 갖고 배치되어 플렉시블 회로 기판이 수용 공간(415) 외부로 연장될 수 있게 한다. 또한, 갭은 밀봉을 더욱 개선하기 위해 실란트(sealant)로 추가로 채워질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스피커의 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회로 기판(44)은 주 회로 기판(445)과 분기 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분기 회로 기판(446)은 주 회로 기판(445)에 수직인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다수의 제1 패드(45)는 분기 회로 기판(446)으로부터 이격된 주 회로 기판(445)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키 스위치는 주 회로 기판(445)에 장착될 수 있다. 제2 패드(46)들은 주 회로 기판(445)으로부터 이격된 분기 회로 기판(446)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보조 기능 모듈은 키 스위치(431)일 수 있다. 제2 보조 기능 모듈은 마이크(432)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플렉시블 회로 기판(44)의 기판 표면과 하단 단부벽(412)은 키 스위치가 코어 하우징(41)의 하단 단부벽(412)을 향해 배치될 수 있도록, 평행하게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어폰 코어(또는 이어폰 코어(102))는 자기 회로 구성요소, 진동 구성요소, 외부 와이어 및 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진동 구성요소는 코일 및 내부 리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와이어는 오디오 전류를 진동 구성요소내의 코일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와이어의 하나의 단부는 이어폰 코어의 내부 리드에 연결될 수 있으며, 다른 단부는 스피커의 플렉시블 회로 기판에 연결될 수 있다. 브래킷은 배선 홈을 가질 수 있다. 외부 와이어 및/또는 내부 리드의 적어도 일부가 배선 홈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내부 리드 및 외부 와이어는 서로 용접될 수 있다. 용접 위치는 배선 홈 내에 놓일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스피커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의 스피커의 부분(F)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이어폰 코어는 브래킷(421), 코일(422) 및 외부 와이어(48)를 포함할 수 있다. 브래킷(421)은 이어폰 코어의 전체 구조를 지지하고 보호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브래킷(421)에는 이어폰 코어의 회로를 수용하는 데 사용되는 배선 홈(4211)이 배치될 수 있다.
코일(422)은 브래킷(421)에 배치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내부 리드(423)를 가질 수 있다. 내부 리드(들)(423)의 하나의 단부는 코일(422) 내의 주 회로에 연결되어 주 회로 외부로 나와 내부 리드(423)를 통해 코일(422)로 오디오 전류를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와이어(48)의 하나의 단부는 내부 리드(들)(423)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와이어(48)의 다른 단부는 제어 회로(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제어 회로를 통해 오디오 전류를 내부 리드(423)를 통해 코일(422)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립 단계 동안, 외부 와이어(48)와 내부 리드(들)(423)는 용접 등에 의해 함께 연결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구조 및 기타 요인들로 인해 용접이 완료된 후 와이어의 길이가 채널의 길이와 정확히 동일하지 않을 수 있으며 와이어의 초과 길이 부분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와이어의 초과 길이 부분이 적절하게 배치되지 않으면, 그것이 코일(422)의 진동으로 진동하여 비정상적 사운드를 내고 이어폰 코어의 음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외부 와이어(48)와 내부 리드(423) 중 적어도 하나는 감겨서 배선 홈(421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응용 시나리오에서, 내부 리드(423)와 외부 와이어(48) 사이의 용접 위치는 배선 홈(4211) 내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용접 위치 근처에 위치된 외부 와이어(48)와 내부 리드(423)의 일부가 배선 홈(4211) 내에 감겨 들어갈 수 있다. 또한,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배선 홈(4211)은 배선 홈(4211) 내의 배선을 추가로 고정시키기 위해 실란트로 추가로 채워질 수 있다.
전술한 방식으로, 배선 홈(4211)은 브래킷(421)에 배치될 수 있어, 외부 와이어(48)와 내부 리드(423) 중 적어도 하나가 와이어의 초과 길이 부분을 수용하기 위해 배선 홈(4211) 내로 감겨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채널 내측에서 생성된 진동을 감소시키고, 이어폰 코어의 음질에 대한 진동으로 인한 비정상적 사운드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브래킷(421)은 환형 본체(4212), 지지 플랜지(4213) 및 외부 차단벽(421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환형 본체(4212), 지지 플랜지(4213) 및 외부 차단벽(4214)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환형 본체(4212)는 전체 브래킷(421) 내부에 배치되어 코일(422)을 지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환형 본체(4212)의 고리의 반경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서의 환형 본체(4212)의 단면은 코일(422)과 일치할 수 있다. 코일(422)은 코어 하우징을 대면하는 환형 본체(4212)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환형 본체(4212)의 내부 측벽 및 외부 측벽은 각각 코일(422)의 내부 측벽 및 외부 측벽과 동일 높이에 있어서, 코일(422)의 내부 측벽과 환형 본체(4212)의 내부 측벽이 동일 평면상에 있을 수 있고 코일(422)의 외부 측벽과 환형 본체(4212)의 외부 측벽(4212)이 동일 평면상에 있을 수 있다.
또한, 지지 플랜지(4213)는 환형 본체(4212)의 외부 측벽에서 돌출되어 환형 본체(4212)의 외측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플랜지(4213)는 환형 본체(4212)의 외부 측벽에 수직인 방향으로 외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지지 플랜지(4213)는 환형 본체(4212)의 두 단부들 사이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지지 플랜지(4213)는 환형 본체(4212)의 외부 측벽 둘레를 돌출하여 환형 지지 플랜지(4213)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지지 플랜지(4213)는 필요에 따라 환형 본체(4212)의 외부 측벽의 일부에서 돌출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외부 차단벽(4214)은 지지 플랜지(4213)에 연결될 수 있고, 환형 본체(4212)의 측부를 따라 환형 본체(4212)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외부 차단벽(4214)은 환형 본체(4212) 및/또는 코일(422)의 주변부에서 간격을 두고 슬리브(sleeved)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차단벽(4214)은 실제 필요에 따라 환형 본체(4212)와 코일(422)의 주변부 둘레에 부분적으로 슬리브되거나, 또는 환형 본체(4212)의 주변부 둘레에 부분적으로 슬리브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배선 홈(4211)에 가까운 외부 차단벽(4214)의 일부가 환형 본체(4212)의 주변부의 일부에 슬리브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외부 차단벽(4214)은 코어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된 지지 플랜지(4213)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환형 본체(4212)의 외부 측벽, 코어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된 지지 플랜지(4213)의 측벽, 및 외부 차단벽(4214)의 내부 측벽이 함께 배선 홈(4211)을 한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선 채널(424)은 환형 본체(4212) 및 지지 플랜지(4213)에 배치될 수 있다. 내부 리드(들)(423)는 배선 채널(424)을 통해 배선 홈(4211)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배선 채널(424)은 환형 본체(4212)상의 하위 배선 채널(4242) 및 지지 플랜지(4213)상의 하위 배선 채널(4241)을 포함할 수 있다. 하위 배선 채널(4241)은 환형 본체(4212)의 내부 측벽 및 외부 측벽을 통해 배치될 수 있다. 하위 배선 채널(4241)의 하나의 단부와 연통하는 배선 포트(42411)는 코일(422) 근처의 환형 본체(4212)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하위 배선 채널(4241)의 다른 단부와 연통하는 배선 포트(42412)는 코어 하우징을 대면하는 지지 플랜지(4213) 근처의 코어 하우징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하위 배선 채널(4242)은 코어 하우징의 외측을 향한 방향으로 지지 플랜지(4213)를 관통할 수 있다. 하위 배선 채널(4242)의 단부와 연통하는 배선 포트(42421)는 코어 하우징을 대면하는 지지 플랜지(4213)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하위 배선 채널(4242)의 다른 단부와 연통하는 배선 포트(42422)는 코어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된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배선 포트(42412) 및 배선 포트(42421)는 지지 플랜지(4213)와 환형 본체(4212) 사이의 공간을 통해 연통할 수 있다.
또한, 내부 리드(들)(423)는 배선 포트(42411)에 진입하며, 하위 배선 채널(4241)을 따라 연장하여 배선 포트(42412)에서 빠져나와 환형 본체(4212)와 지지 플랜지(4213) 사이의 영역으로 진입하고, 추가로 배선 포트(42421)로부터 하위 배선 채널(4242)에 진입하고, 배선 포트(42422)를 통과한 후 배선 홈(421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 차단벽(4214)의 상단에는 슬롯(42141)이 배치될 수 있다. 외부 와이어(48)는 슬롯(42141)을 통해 배선 홈(4211)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외부 와이어(48)의 하나의 단부는 플렉시블 회로 기판(44)에 배치될 수 있다. 플렉시블 회로 기판(44)은 구체적으로 코어 하우징을 대면하는 이어폰 코어의 내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지지 플랜지(4213)는 환형 본체(4212)로부터 이격된 외부 차단벽(4214)의 측부로 추가로 연장되어 외부 에지를 형성한다. 또한, 외부 에지는 코어 하우징의 내부 측벽을 둘러싸며 그에 맞닿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플랜지(4213)의 외부 에지에는 슬롯(42131)이 배치되어, 코어 하우징을 대면하는 이어폰 코어의 내부면상의 외부 와이어(48)가 슬롯(42131)을 통해 코어 하우징을 대면하는 지지 플랜지(4213)의 외부면으로 연장되고, 이어서 슬롯(42141)으로 연장되어 슬롯(42141)을 통해 배선 홈(4211)으로 진입할 수 있다.
또한, 코어 하우징의 내부 측벽에는 가이드 홈(416)이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홈(416)의 일 단부는 플렉시블 회로 기판(44)의 일 측부에 위치될 수 있고 다른 단부는 슬롯(42131)과 연통되어 코어 하우징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외부 와이어(48)가 가이드 홈(416)을 통과함으로써 플렉시블 회로 기판에서 제2 배선 홈(3331)으로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브래킷(421)은 2개의 측부 차단벽(4215)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2개의 측부 차단벽(4215)은 환형 본체(4212)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고, 환형 본체(4212), 지지 플랜지(4213) 및 외부 차단벽(4214)에 연결되어, 이에 의해 2개의 측부 차단벽(425)들 사이에서 배선 홈(421)을 한정한다.
구체적으로, 2개의 측부 차단벽(4215)은 서로 반대편에 지지 플랜지(4213)에 배치되며, 지지 플랜지(4213)를 따라 코어 하우징의 외부면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환형 본체(4212)를 대면하는 2개의 측부 차단벽(4215)의 측부는 환형 본체(4212)의 외부 측벽에 연결될 수 있다. 환형 본체(4212)로부터 이격된 측부는 외부 차단벽(4214)의 외부 측벽에서 종단될 수 있다. 배선 포트(42422) 및 슬롯(42141)은 2개의 측부 차단벽(4215)들 사이에서 한정될 수 있다. 따라서, 배선 포트(42422)에서 빠져나가는 내부 리드(들)(423) 및 슬롯(42141)을 통해 진입하는 외부 와이어(48)는 2개의 측부 차단벽(4215)에 의해 한정된 배선 홈(4211) 내로 연장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스피커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피커는 안경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고정 메커니즘은 안경 프레임일 수 있다. 고정 메커니즘은 적어도 하나의 회전 샤프트를 가질 수 있다. 회전 샤프트(들)는 안경테와 안경 템플을 연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안경테와 안경 템플은 회전 샤프트 둘레를 회전할 수 있다. 회전 샤프트는 축을 따라 배치된 회전 샤프트 배선 채널을 가질 수 있다. 연결 와이어는 고정 메커니즘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 와이어는 전기 연결 와이어일 수 있다. 연결 와이어는 회전 샤프트 배선 채널을 통과할 수 있다. 연결 와이어의 두 단부는 각각 안경테와 안경 템플로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2개의 측부들에 있는 안경 템플은 각각 제어 회로 및 배터리 구성요소를 수용할 수 있다. 안경테 내의 연결 와이어는 제어 회로 및 배터리 구성요소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 와이어는 오디오 신호 와이어 및 보조 신호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와이어는 코어 하우징(즉, 코어 하우징(108)) 내의 플렉시블 회로 기판(즉, 플렉시블 회로 기판(1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플렉시블 회로 기판을 통해 이어폰 코어(즉, 이어폰 코어(102))와 보조 기능 모듈(즉, 보조 기능 모듈(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본 개시내용의 안경은 시력을 교정하고 눈을 보호하기 위해 사람들의 일상생활에서 그리고 작업 시에 착용되는 안경일 수 있고, 또는 회로 구조 및 전자 구성요소들을 통해 특정 기능들을 추가로 구현하기 위해 소정의 회로 구조들 및 전자 구성요소들이 안경에 첨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안경은 스마트 안경, 가상 현실 안경, 홀로그램 안경, 증강 현실 안경, 또는 다른 기능적 구조들을 가진 안경(예로서 골전도 이어폰 또는 공기 전도 이어폰을 갖는 안경)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 프레임은 안경테(11), 노즈 패드(12), 안경 렌즈(13), 안경 템플(15)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안경테(11)는 안경 렌즈(13)의 적어도 일부를 운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노즈 패드(12)는 사용자가 안경을 착용할 때 사용자의 콧등상의 안경을 지지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노즈 패드(12)는 안경테(11)의 중간에 배치될 수 있고 안경테(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 안경테(11) 및 노즈 패드(12)는 각각 통상대로 형성될 수 있다. 안경테(11)의 중간 부분에는 노즈 패드(12)에 연결된 구조체가 배치될 수 있다. 성형 후, 노즈 패드(12)는 안경테(11)의 연결 구조에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안경테(11) 및 노즈 패드(12)는 일체로 직접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응하는 금형은 통합 성형, 예를 들어 사출 성형 등을 구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안경테(11) 및 노즈 패드(12)는 성형 후 더 이상 설치될 필요가 없으며, 이에 의해 안경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덧붙여, 안경 렌즈(13)는 또한 일체로 설계될 수 있으며, 안경테(11) 및 노즈 패드(12)에 의해 클램핑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안경테(11) 및 노즈 패드(12)에는 각각 안경 렌즈(13)를 클램핑하는 구조체가 배치될 수 있다. 안경을 조립할 때, 일체로 설계된 안경 렌즈(13)는 대응하는 클램핑 구조를 통해 일체로 형성된 안경테(11) 및 노즈 패드(12))에 직접 클램핑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안경테(11) 및 노즈 패드(1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안경 렌즈(13)도 일체로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안경의 전체 구조는 간단할 수 있으며 안경의 제조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안경을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실시예에서, 안경 렌즈(13)는 상단측 에지(131), 및 상기 상단측 에지(131)의 양단부들에 연결되고 노즈 패드(12)로부터 멀리 배치된 2개의 외부 에지(132)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외부 에지(132)에는 제1 버클(1321)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안경테(11)에는 상단측 에지(131) 및 외부 에지(132)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1 장착 홈(111), 및 제1 버클(1321)을 수용하고 제1 장착 홈(111)과 연통하기 위한 제1 버클 홈(112)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안경이 착용 상태에 있을 때, 상단측 에지(131)는 안경 렌즈(13)의 상부측에 위치될 수 있고, 외부 에지는 사용자의 귀들 근처(13)의 양 측부들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단측 에지(131)와 2개의 외부 에지(132)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장착 홈(111)은 안경 렌즈(13)를 대면하는 안경테(11)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장착 홈(111)의 크기는 대응하는 안경 렌즈(13)의 상단측 에지(131) 및 2개의 외부 엣지(132)와 매칭될 수 있으므로, 안경 렌즈(13)는 상단측 에지(131) 및 외부 에지(132)의 적어도 일부를 제1 장착 홈(131) 내에 장착함으로써 안경테(11)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제1 버클(1321)은 안경 렌즈(13)의 외부 에지(131)의 적어도 일부를 노즈 패드(12)로부터 이격된 양 측부들을 향해 추가로 연장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제1 버클 홈(112)은 안경 렌즈(1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1 버클(1321)에 대응하는 제1 장착 홈(111)의 위치를 리세스 형성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제1 버클 홈(112)의 형상 및 크기는 제1 버클 홈(1321)과 매칭될 수 있어, 안경(13)이 제1 버클 홈(112) 내에 제1 버클(1321)을 클램핑함으로써 안경테(11)에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외부 에지(132)의 적어도 일부가 상단측 에지(131)로부터 이격된 제1 버클(1321)의 측부에 위치될 수 있으므로, 안경 렌즈(13)의 에지의 양 측부들 근처의 안경 렌즈(13)의 일부 및 제1 버클(1321)이 제1 장착 홈(111)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안경 렌즈(13)는 안경테(11)에 더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경 렌즈(13)는 노즈 패드(12)에 맞닿는 내부 에지(133)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노즈 패드(12)에는 내부 에지(133)를 수용하기 위한 제2 장착 홈(121)이 배치될 수 있다.
안경 렌즈(13)는 왼쪽 안경 렌즈와 오른쪽 안경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안경 렌즈(13)의 내부 에지(133)는 왼쪽 안경 렌즈와 오른쪽 안경 렌즈 사이의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장착 홈(121)과 제1 장착 홈(111)은, 안경 렌즈(13)의 반대편 측부들이 각각 안경테(11)와 노즈 패드(12)에 의해 형성된 수용 공간 내에 수용 및 고정될 수 있도록 서로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내부 에지(133)의 2개의 측부에는 각각 제2 버클(1331)이 배치될 수 있다. 노즈 패드(12)에는 제2 장착 홈(121)에 연결되어 제2 버클(1331)을 수용하는 데 사용되는 제2 버클 홈(122)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내부 에지(133)는 서로 연결된 두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두 부분은 각각 오른쪽 안경 렌즈를 대면하는 왼쪽 안경 렌즈의 측부와, 왼쪽 안경 렌즈를 대면하는 오른쪽 안경 렌즈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노즈 패드(12)는 또한 사용자가 착용할 때 사용자의 좌우 콧등에서 각각 지지될 수 있는 두 부분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서, 제2 버클 홈(122)과 제2 버클 홈(1331)의 개수는 또한 2개일 수 있다. 제2 버클(1331)의 형상 및 크기는 대응하는 제2 버클 홈(122) 내에 제2 버클(1331)을 설치하기 위해 대응하는 제2 버클 홈(122)과 매칭될 수 있다.
또한, 안경 렌즈(13)에는 제2 버클(1331)의 양측부 부근에 내부 에지(133)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제2 버클(1331)의 양측부 부근을 제2 장착 홈(121) 내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안경 렌즈(13)는 노즈 패드(12)에 더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이 접근법에 의해, 안경 렌즈(13)는 각각 상단측 에지(131), 외부 에지(132), 내부 에지(133), 제1 버클(1321), 및 제2 버클(1331)을 통해 안경테(11)와 노즈 패드(12)에 장착될 수 있다.
응용 시나리오에서, 안경 렌즈(13)에는 통풍구(134)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풍구들의 개수는 2개일 수 있으며, 각각 상단측 에지(131) 부근의 안경 렌즈(13)의 좌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통풍구(134)들의 배열은 사용자가 안경을 착용할 때 안경 렌즈(13)의 내부 및 외부 측면들의 공기 순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사용자 이동 등의 이유로 인한 국소 과열에 의한 안경 렌즈(13)의 김 스림(fogging)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과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스피커를 도시하는 분해도이며,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안경의 노즈 패드 커버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노즈 패드(12)는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 부근에 또는 사용자로부터 멀리 있는 제1 장착 홈(111)의 측부의 안경테(123)에 연결된 연결부(123), 및 안경테(11)로부터 멀리 있는 상기 연결부(123)의 측부에 역전된 Y 형상 방식으로 연결부(123)에 연결된 2개의 지지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24)들은 착용시 사용자의 코에 안경을 지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응용 시나리오에서, 연결부(123)는 안경테(11)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가 안경을 착용할 때, 연결부(123)는 사용자에 가까운 제1 장착 홈(111)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의 콧등을 향해 돌출된 각 지지부(124)의 측부에는 I 형상 후크(들)(1241)가 배치될 수 있다. 안경은 후크(들)(1241)에 탈착가능하게 슬리브된 노즈 패드 커버(들)(14)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노즈 패드 커버(14)는 연질 고무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I 형상 후크(들)(1241)의 개수는 각각 사용자의 좌우 콧등에 대응하여 2개일 수 있다. 노즈 패드 커버(14)는 2개의 커버 몸체(141)와 상기 2개의 커버 몸체(141)에 연결되는 연결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연결부(142)는 사용자의 콧등과 연결될 수 있다. 커버 몸체(141)들에는 후크(들)(1241)와 매칭되는 I 형상 수용 홈(1411)이 대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의 콧등을 대면하는 커버 몸체(141)의 측부들에는 다수의 홈을 포함하는 미끄럼 방지 부분(1412)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노즈 패드 커버(14)는 탈착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어, 이에 의해 노즈 패드 커버(14)의 세척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실시예에서, 후크(들)(1241)로부터 후방에 있는 2개의 지지 부분(124)의 측부들에는 스트립 형상의 리브(1242)들이 돌출될 수 있다. 스트립 형상의 리브(1242)들은 2개의 지지부(124)와 협력하여 제2 장착 홈(121) 및 제2 버클 홈(122)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스트립 형상의 리브(1242)들은 안경 렌즈(13)로부터 멀리 2개의 지지부(124)의 에지들을 따라 돌출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안경 렌즈(13)의 내부 에지(133)를 수용하기 위한 제2 장착 홈(121)을 형성할 수 있다. 안경 렌즈(13)의 제2 버클(1331)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스트립 형상의 리브(1242)들은 제2 버클 홈(122)을 형성하기 위해 추가로 리세스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안경테는 안경 템플(15), 기능 구성요소(들)(16) 및 연결 와이어(17)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안경 템플(15)은 제1 안경 템플(151) 및 제2 안경 템플(152)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 구성요소(들)(16)는 제1 기능 구성요소(161) 및 제2 기능 구성요소(16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안경 템플(151) 및 제2 안경 템플(152)은 각각 안경테(11)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기능 구성요소(161) 및 제2 기능 구성요소(162)는 제1 안경 템플(151) 및 제2 안경 템플(152)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대응하는 기능 구성요소(16)을 수용하기 위해 2개의 안경 템플(15)에 적어도 하나의 공동이 배치될 수 있다.
연결 와이어(17)는 제1 장착 홈(111)의 내측에 그리고 제1 장착 홈(111)의 하단과 안경 렌즈(13)의 상단측 에지(131)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추가로 제1 안경 템플(151)과 제2 안경 템플(152)로 연장되어 제1 기능 구성요소(161)와 제2 기능 구성요소(16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2개의 안경 템플(15)에 각각 배치된 기능 구성요소(들)(16)는 안경이 특정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연결 와이어(17)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응용 시나리오에서, 제1 기능 구성요소(161)는 배터리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2 기능 구성요소(162)는 제어 회로 구성요소일 수 있다. 제어 회로 구성요소는 연결 와이어(17)를 통해 배터리 구성요소에 연결될 수 있으므로, 배터리 구성요소가 제어 회로 구성요소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회로 구성요소는 특정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안경의 아름다움과 경량성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연결 와이어(17)는 안경 렌즈(13)의 상단측 에지(131)를 따라 제1 장착 홈(111)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장착 홈(13)과 안경 렌즈(13)의 상단측 에지(131)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측에 수용되어, 연결 와이어(17)가 안경의 외부 표면에 노출되지도 않고 여분의 공간을 점유하지도 않을 수 있다. 응용 시나리오에서, 연결 와이어(17)는 제1 장착 홈(111) 내측에서 안경 렌즈(13)의 외부 에지(132)를 따라 추가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경테(11), 제1 안경 템플(151), 및 제2 안경 템플(152)에는 각각 서로 연통되는 배선 채널이 배치될 수 있어서, 연결 와이어(17)가 대응하는 배선 채널들을 통해 안경테(11)의 제1 장착 홈(111)으로부터 제1 안경 템플(151) 및 제2 안경 템플(152)에 진입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1 기능 구성요소(161)와 제2 기능 구성요소(162)를 연결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 연결 와이어(17)는 전기 연결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연결 와이어(17)는 또한 기계적 연결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기능 구성요소(161) 및 제2 기능 구성요소(162)는 제1 안경 템플(151) 및 제2 안경 템플(152)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능 구성요소(161) 및 제2 기능 구성요소(162)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 와이어(17)는 안경테(11)상의 제1 장착 홈(111)의 내측에 배치되어 안경 렌즈(13)의 상단측 에지(131)를 수용할 수 있어, 연결 와이어(17)가 제1 장착 홈(111)의 하단과 안경 렌즈의 상단측 에지(131) 사이에 배치되며, 추가로 제1 안경 템플(151)과 제2 안경 템플(152)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와이어(17)가 노출되지 않을 수 있으며, 연결 와이어(17)의 배열을 위해 여분의 공간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어서, 안경의 아름다움과 경량성이 유지될 수 있다.
도 9, 도 10, 및 도 11을 함께 참조하면,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안경테 및 안경 렌즈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9의 부분(A부)을 도시하는 확대도이며,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연결 와이어를 도시하는 부분 구조도이다. 실시예에서, 연결 와이어(17)는 와이어 몸체(171), 및 상기 와이어 몸체(171)의 주변 둘레로 감싸여진 와이어 보호 커버(172)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보호 커버(172)의 단면 형상은 제1 장착 홈(111)의 단면 형상과 매칭되어, 와이어 보호 커버(172)가 표면 접촉 방식으로 제1 장착 홈(111) 내에 보유될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와이어 보호 커버(172)는 연질 고무로 만들어져 있어서, 연결 와이어(17)가 제1 장착 홈(111)의 형상에 맞게 구부러질 수 있다. 와이어 몸체(171)가 얇을 수 있다는 것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와이어 몸체(171)가 제1 장착 홈(111)에 직접 설치되면, 제1 장착 홈(111)의 하단과의 접촉 영역이 작을 수 있고, 그 안에 단단히 고정되기 어렵다. 실시예에서, 와이어 보호 커버(172)는 와이어 몸체(171)의 주변부 둘레를 추가로 감싸고, 이는 한편으로는 와이어 몸체(171)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제1 장착 홈(111) 내측에 와이어 몸체(171)를 신뢰성있게 고정하도록 와이어 보호 커버(17)의 표면적을 조정함으로써 연결 와이어(17)와 제1 장착 홈(111) 사이의 접촉 영역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장착 홈(111)의 단면 형상은 표면 접촉의 넓은 면적을 가진 제1 장착 홈(111) 내에서 와이어 보호 커버(172)를 보유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형상은 U 형, 직사각형 또는 파형일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1 장착 홈(111)의 하단을 대면하는 와이어 보호 커버(172)의 측부의 형상은 제1 장착 홈(111)의 하단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에 대응할 수 있다.
응용 시나리오에서, 도 7을 추가로 참조하면, 접착제 층(18)이 와이어 보호 커버(172)와 안경테(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와이어 보호 커버(172)가 접착제 층(18)을 통해 제1 장착 홈(111)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접착제 층(18)은 제1 장착 홈(111)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거나, 추가로 양 측부로 연장되어 제1 장착 홈(111)의 하단 부근의 측벽에 배치되며, 이에 의해 접착제 층(18)이 와이어 보호 커버(172)를 감싸게 하고 제1 장착 홈(111) 내측에 연결 와이어(17)를 더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구체적으로, 응용 시나리오에서, 제1 장착 홈(111)의 단면은 직사각형일 수 있다. 제1장착 홈(111)의 하단 및 상기 제1 장착 홈(111)의 하단을 대면하는 와이어 보호 커버(172)의 측부는 평평할 수 있고, 접착제 층(18)은 그들 사이에 배치된 양면 접착제 층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안경 렌즈(13)의 상단측 에지(131)를 대면하는 와이어 보호 커버(172)의 측부에는 와이어 몸체(171)에 대응하는 돌출부(1721)가 배치될 수 있다. 안경 렌즈(13)의 상단측 에지(131)에는 돌출부(1721)를 수용하기 위한 간격 슬롯(clearance slot)(1311)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와이어 몸체(171)의 단면은 원형일 수 있다. 와이어 보호 커버(172)는 제1 장착 홈(111)의 하단을 대면하는 와이어 몸체(171)의 측부상의 와이어 몸체(171)와 동일 높이에 있을 수 있다. 제1 장착 홈(111)의 하단에서 멀리 보고 있는 와이어 몸체(171)의 측부는 여전히 와이어 몸체(171)의 형상을 제시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대응하는 돌출부(1721)를 형성한다.
또한, 안경 렌즈(13)의 상단측 에지(131)는 제1 장착 홈(111) 내측에 추가로 배치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단측 에지(131)에는 돌출부(1721)를 수용하기 위한 간격 슬롯(1311)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장착 홈(111) 내측에 설치된 연결 와이어(17)가 상단측 에지(131)에 대응하는 간격 슬롯(1311)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721)는 돌출부(1721)의 양측부에 맞대임(abutting) 부분(1722)을 형성하기 위해 와이어 보호 커버(172)의 폭 방향을 따라 와이어 보호 커버(172)의 중간 영역 내에 위치될 수 있다. 2개의 맞대임 부분(1722)은 각각 간격 슬롯(1311)의 2 측부상의 상단측 에지(131)에 맞대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와이어 보호 커버(172)의 폭 방향은 제1 장착 홈(111)을 따라 와이어 보호 커버(172)의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지칭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도 10에서 W로 표시된 방향을 지칭할 수 있다.
제1 장착 홈(111)의 깊이가 제한될 수 있다는 것은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다. 안경 렌즈(13)의 상단측 에지(131)가 연결 와이어(17)의 돌출부(1721)와 동일 높이에 있거나, 제1 장착 홈(111)의 하단에서 멀리 보고 있는 와이어 보호 커버(172)와 와이어 몸체(171)의 측부가 와이어 몸체(171)와 동일 높이에 있는 경우, 제1 장착 홈(111) 내의 안경 렌즈(13)의 상단측 에지(131)의 삽입 깊이가 감소될 수 있으며, 이는 안경테(11) 내의 안경 렌즈(13)의 안정적인 설치에 불이익을 줄 수 있다. 실시예에서, 안경 렌즈(13)의 상단측 에지(131)는 간격 슬롯(1311)을 통해 연결 와이어(1311)의 일부를 피할 수 있어, 상단측 에지(131)가 간격 슬롯(1311)에 대해 제1 장착 홈(111)의 하단을 향해 추가로 연장될 수 있고, 돌출부(1721)의 두 측부 상의 맞대임 부분(1722)에 맞대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장착 홈(111) 내의 연결 와이어(17)에 의해 점유된 공간은 어느 정도 감소될 수 있어, 안경 렌즈(13)가 제1 장착 홈(111) 내측에 더 깊숙이 설치되며, 이에 의해 안경테(11) 내의 안경 렌즈(11)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응용 시나리오에서, 안경테(11)는 얇을 수 있고, 돌출부(1721)의 적어도 일부가 연결 와이어(17)에 의해 점유된 안경테의 공간을 감소시키기 위해 제1 장착 홈(111) 외측에 노출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제1 장착 홈(111)의 깊이를 감소시키고 안경테(11)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도 2 및 도 12를 추가로 참조하면,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을 따라 도 7의 부분(B)을 도시하는 부분 구조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버클(1321)은 제1 서브 에지(13211), 제2 서브 에지(13212) 및 제3 서브 에지(132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제1 서브 에지(13211)는 상단측 에지(131)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 서브 에지(13212)는 상단측 에지(131)에서 이격되어 제1 서브 에지(13211)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서브 에지(13213)는 안경 렌즈(13)로부터 이격된 제1 서브 에지(13211)와 제2 서브 에지(13212)의 측부상의 제1 서브 에지(13211) 및 제2 서브 에지(13212)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와이어 보호 커버(172)는 제1 서브 에지(13211)를 따라 제1 버클 홈(112)으로 추가로 연장될 수 있다.
이 방법으로, 와이어 보호 커버(172)는 제1 장착 홈(111) 내에서 보유되고 제1 버클 홈(112)으로 연장되어 안경테(11) 내에 숨겨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사용 중에 안경 렌즈(13)를 분해할 경우, 안경 렌즈(13)가 분해된 후 와이어 보호 커버(172)가 노출되지 않아 안경의 아름다움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버클 홈(112)을 향해 연장되면, 와이어 보호 커버(172)는 제1 서브 에지(13211)와 제3 서브 에지(13213) 사이의 연결부에서 종료될 수 있다. 확실히, 안경 렌즈(13)가 분해될 때 와이어 보호 커버(172)가 노출되지 않는 한, 와이어 보호 커버(172)는 또한 종료되지 않으며 와이어 몸체(171)를 따라 계속 연장될 수 있다.
도 13을 함께 참조하면, 도 13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안경의 부분 구조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실시예에서, 안경은 회전 샤프트(들)(19)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회전 샤프트(들)(19)의 개수는 2개일 수 있으며, 각각 안경테(11)과 2개의 안경 템플(15)을 연결하는 데 사용될 수 있어, 안경테(11)와 안경 템플(15)들이 회전 샤프트(19)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회전 샤프트(19)에는 축방향으로 회전 샤프트 배선 채널(1901)이 배치될 수 있다. 연결 와이어(17)는 샤프트 배선 채널(1901) 내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안경테(11)와 안경 템플(15)들로 각각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연결 와이어(17)가 회전 샤프트 배선 채널(1901)을 통과한 후, 연결 와이어(17)의 하나의 단부는 안경 템플(15)들 중 하나로 직접 연장될 수 있고, 연결 와이어(17)의 다른 단부는 안경테(11)로 진입하고, 제1 장착 홈(111)를 따라 안경 템플(15)들 중 다른 하나로 추가로 연장되며, 이에 의해 2개의 안경 템플(15) 내측에 위치된 2개의 기능 구성요소(16)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 회전 샤프트 배선 채널 근처의 연결 와이어(17)는 와이어 보호 커버(172)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회전 샤프트 배선 채널(1901)은 회전 샤프트(19)를 통과할 수 있다.
안경테(11)와 안경 템플(15)이 접힐 때, 회전 샤프트(19) 근처의 구조물의 상대적 위치들이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이때, 안경테(11)와 안경 템플(15) 사이의 연결부에 위치된 연결 와이어(17)가 회전 샤프트(19)의 주변부 둘레에 직접 배치되면, 그 내의 연결 와이어(17)가 압축 또는 당겨질 수 있고, 심지어 안경테(11) 또는 안경 템플(15)들의 접힘으로 변형되거나 파손될 수 있으며, 이는 연결 와이어(17)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며 연결 와이어(17)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 샤프트(19)에는 축방향을 따라 샤프트 배선 채널(1901)이 배치될 수 있다. 안경테(11)와 안경 템플(15) 사이의 연결부에 위치된 연결 와이어(17)는 샤프트 배선 채널(1901)을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안경테(11)와 안경 템플(15)이 접히면, 회전 샤프트 배선 채널(1901) 내측에 위치된 연결 와이어(17)는 단지 회전 샤프트(19)의 회전과 함께 일정량의 회전을 생성하여 연결 와이어(17)의 접힘, 압축 또는 끌어당김을 감소시키며, 이에 의해 연결 와이어(17)를 어느 정도 보호하고, 연결 와이어(17)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연결 와이어(17)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회전 샤프트 배선 채널(1901)의 내경은 연결 와이어(17)의 외경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샤프트 배선 채널(1901)의 내경은 연결 와이어(17)의 외경의 두 배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 와이어(17)상의 축 배선 채널(1901)의 내부 측벽의 바인딩(binding) 효과가 감소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안경테(11)와 안경 템플(15)이 접힐 때 연결 와이어(17)의 회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함께 참조하면, 도 14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안경의 회전 샤프트 및 연결 와이어를 도시하는 개략 구조도이다. 실시예에서, 회전 샤프트(19)는 제1 회전 샤프트(19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 샤프트(1902)의 2개의 단부는 각각 안경테(11)와 안경 템플(15)에 연결될 수 있다. 회전 샤프트 배선 채널(1901)은 제1 회전 샤프트(1902)의 축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샤프트 배선 채널(1901)은 제1 회전 샤프트(1902)의 적어도 일 단부 표면에 배치된 배선 포트(19021)를 통해 외측과 연통될 수 있다. 연결 와이어(17)는 배선 포트(19021)를 통해 안경테(11) 또는 안경 템플(15)로 연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회전 샤프트(1902)는 안경테(11)와 안경 템플(15)들 중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그리고 서로에 대해 고정 연결될 수 있어, 안경테(11)와 안경 템플(15)들이 제1 회전 샤프트(1902) 둘레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회전 샤프트 배선 채널(1901)은 제1 회전 샤프트(1902) 내측에 배치될 수 있고, 배선 포트(19021)를 통해 외측과 추가로 연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 샤프트 배선 채널(1901)은 회전 샤프트 배선 채널(1901)의 배선 포트(19021)를 형성하기 위해 제1 회전 샤프트(1902)의 적어도 일 단부 표면을 관통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와이어(17)는 제1 회전 샤프트(1902)의 적어도 일 단부 표면을 통해 샤프트 배선 채널(1901)에서 연장되고, 이어서 안경테(11) 또는 안경 템플(15)들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회전 샤프트(1902)의 단부 표면의 주변부가 상대적으로 큰 이동 공간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제1 회전 샤프트(1902)의 단부 표면으로부터 연장된 연결 와이어(17)는 이동 공간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단부 표면의 제1 회전 샤프트(1902)가 대응하는 안경테(11) 또는 안경 템플(15)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경우, 안경테(11)와 안경 템플(15)이 접혀 회전될 때, 이동 공간은 제1 회전 샤프트(19021)의 회전에 의해 단부 표면상의 배선 포트(19021) 근처의 연결 와이어(17)의 비틀림를 적절히 버퍼링(buffering)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연결 와이어(17)의 비틀림 정도를 추가로 감소시키고 연결 와이어(17)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도 15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안경의 제1 회전 샤프트를 도시하는 개략 구조도이다. 실시예에서, 배선 포트(19021)는 제1 회전 샤프트(1902)의 2개의 단부에 각각 배치된 제1 배선 포트(190211) 및 제2 배선 포트(190212)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샤프트 배선 채널(1901)은 2개의 배선 포트(19021)를 통해 외측과 연통할 수 있어서, 연결 와이어(17)가 제1 회전 샤프트트(1902)의 2개의 단부를 통과하고, 각각 제1 배선 포트(190211) 및 제2 배선 포트(190212)를 통해 안경테(11)와 안경 템플(15)로 연장될 수 있다.
다른 말로 하면, 응용 시나리오에서, 안경테(11)와 안경 템플(15) 사이의 연결부에서의 연결 와이어(17)는 회전 샤프트(1902) 내의 회전 샤프트 배선 채널(1902) 내측에 배치될 수 있고, 각각 제1 회전 샤프트(1902)의 2개의 단부를 통해 회전 샤프트 배선 채널(190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1 회전 샤프트(1902)의 2개의 단부 표면의 주변부에 큰 이동 공간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제1 회전 샤프트(1902)의 2개의 단부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연결 와이어(17)는 단지 안경테(11)와 안경 템플(15) 사이의 상대 회전이 발생할 때 압축 또는 변형없이 단지 약간 움직이거나 비틀릴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배선 포트(19021)는 제1 배선 포트(190213)와 제2 배선 포트(19021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제1 배선 포트(190213)는 제1 회전 샤프트(1902)의 단부 표면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배선 포트(190214)는 제1 회전 샤프트(1902)의 측벽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샤프트 배선 채널(1901)의 하나의 단부는 제1 배선 포트(190213)를 통해 축방향으로 제1 회전 샤프트(1902)의 단부 표면을 관통할 수 있고, 다른 단부는 제2 배선 포트(190214)를 통해 제1 회전 샤프트(1902)의 측벽을 관통하고, 이어서 외측과 연통할 수 있다. 연결 와이어(17)는 각각 제1 배선 포트(190213) 및 제2 배선 포트(190214)를 통해 안경테(11)와 안경 템플(15)로 연장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배선 포트(190213)의 제1 회전 샤프트(1902)의 단부면 근처에 큰 이동 공간이 배치될 수 있다. 안경테(11)와 안경 템플(15) 사이에 상대 이동이 발생할 때, 제1 배선 포트(190213) 근처의 연결 와이어(17)는 단지 상대적 시프트 또는 작은 비틀림을 겪을 수 있다.
응용 시나리오에서, 제1 회전 샤프트(1902)는 제2 배선 포트(190214) 근처에 배치된 안경테(11)와 안경 템플(15) 중 하나에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배선 포트(190213) 근처에 배치된 안경테(11)와 안경 템플(15) 중 다른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회전 샤프트(1902)는 단부 표면에 배치된 배선 포트(19021)에서 안경테(11) 또는 안경 템플(15) 중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 회전 샤프트(1902)는 측벽에 배치된 배선 포트(19021)에서 안경테(11) 또는 안경 템플(15)의 다른 하나에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응용 시나리오에서, 제1 회전 샤프트(1902)는 제1 배선 포트(190213)에서 안경테(11)에 근접할 수 있고 안경테(1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 회전 샤프트(1902)는 제2 배선 포트(190214)에서 안경 템플(15)에 근접할 수 있으며, 안경 템플(15)에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시나리오에서, 제1 회전 샤프트(1902)가 안경테(1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안경테(11)와 안경 템플(15)의 상대 회전은 제1 배선(190213)에서 연결 와이어(17)의 상대 이동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그러나, 제1 배선 포트(190213)가 제1 회전 샤프트(1902)의 단부 표면에 배치되기 때문에,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제1 회전 샤프트(1902)의 단부 표면은 큰 이동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안경테(11)와 안경 템플(15)이 접혀 회전되며, 그리고 단부 표면 상의 배선 포트(19021) 근처의 연결 와이어(17)가 제1 회전 샤프트의 회전과 함께 어느 정도 비틀어지는 경우, 이동 공간은 적절히 버퍼링될 수 있고, 비틀림은 연결 와이어를 압축하거나 당기지 않고 시프트 또는 작은 비틀림으로 바뀔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연결 와이어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연결 와이어의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제1 회전 샤프트(1902)는 제2 배선 포트(190214)에서 안경 템플(15)에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안경테(11)와 안경 템플(15) 사이에 상대 회전이 발생할 때, 안경 템플(11)과 제1 회전 샤프트(1902)가 동기화될 수 있다는 것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샤프트 배선 채널(1901) 내의 연결 와이어(17)는 비틀림, 압축 또는 끌어당김이 없이 제2 배선 포트(190214)를 통해 안경 템플(11)의 연결 와이어(11)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이때, 제2 배선 포트(190214)는 제1 회전 샤프트(1902)의 단부면 또는 제1 회전 샤프트(1902)의 측벽에 배치될 수 있다. 안경테(11)와 안경 템플(15)의 상대 회전은 본원에서 연결 와이어(17)의 비틀림, 압축, 끌어당김 등을 일으키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회전 샤프트(1902)와 안경 템플(15)이 제2 배선 포트(190214)에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경우, 그들 사이의 상대 회전은 연결 와이어(17)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는 제2 배선 포트(190214)에서 제1 회전 샤프트의 측벽에 의해 제한될 수 있어서, 연결 와이어(17)가 제1 회전 샤프트의 측벽과 안경 템플(15) 사이에서 압축될 수 있다.
제1 회전 샤프트(1902)가 제1 배선 포트(190213)에서 안경 템플(15) 근처에 있고 안경 템플(15)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경우, 제1 회전 샤프트(1902)는 제2 배선 포트(190214)의 안경테(11) 근처에 있을 수 있으며 안경테(11)에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같은 이유로, 안경테(11)와 안경 템플(15)이 접힐 때, 회전 샤프트 배선 채널(1901) 내측에서 그리고 제1 배선 포트(190213) 및 제2 배선 포트(190214) 근처에서 연결 와이어(17)는 여전히 단지 약간만 비틀리거나 이동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회전 샤프트(19)는 제1 회전 샤프트(1902)와 동축이며 그로부터 이격된 제2 샤프트(1903)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2 회전 샤프트(1903)는 제1 배선 포트(190213) 근처의 제1 회전 샤프트(1902)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확실히, 다른 실시예에서, 제2 회전 샤프트(1903)는 또한 제2 배선 포트(190214)에 근접한 제1 회전 샤프트(1902)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도 16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안경을 도시하는 부분 분해도이다. 실시예에서, 안경테(11)는 제1 러그(lug)(들)(113)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러그(들)(113)의 개수는 2개일 수 있으며, 각각 2개의 안경 템플(15)에 연결되는 안경테(11)의 2개의 단부에 배치되며 대응하는 안경 템플(15)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안경 템플(15)은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2 러그(1501) 및 제3 러그(150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제2 러그(1501)와 제3 러그(1502)는 상기 러그들이 위치되는 안경 템플(15)에 연결된 안경테(11)의 단부들을 대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안경을 착용할 때, 제2 러그(1501)와 제3 러그(1502)는 사용자의 머리에서 이격된 측부에 연결될 수 있어, 이에 의해 안경의 외관을 더욱 전체적으로 더욱 아름답게 만들 수 있다. 응용 시나리오에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2 러그(1501)와 제3 러그(1502)는 안경테(11)를 대면하는 안경 템플(15)의 단부의 중간에 홈을 배치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서로 근접해 있는 제1 회전 샤프트(1902)와 제2 회전 샤프트(1903)의 단부들은 제1 러그(113)에 연결될 수 있다. 서로 이격된 제1 회전 샤프트(1902)와 제2 회전 샤프트(1903)의 단부들은 제2 러그(1501)와 제3 러그(1502) 사이에서 제1 러그(113)를 유지하기 위해 각각 제2 러그(1501) 및 제3 러그(1502)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도 14를 계속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제1 배선 포트(190213)는 제2 회전 샤프트(1903) 근처의 제1 회전 샤프트(1902)의 단부 표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배선 포트(190214)는 제2 러그(1501) 근처의 제1 회전 샤프트의 측벽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회전 샤프트는 제1 러그(113)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러그(1501)에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에서, 회전 샤프트 배선 채널(1901) 내측의 연결 와이어(17)의 하나의 단부는 제1 배선 포트(190213)로부터 연장되어 제1 회전 샤프트(1902)와 제2 회전 샤프트(1903) 사이의 간격을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응용 시나리오에서, 제1 러그(113)에는 제1 배선 포트(190213)에 연결된 배선 채널이 배치될 수 있어서, 연결 와이어(17)가 제1 러그(113)로부터 안경테(11)에 추가로 진입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샤프트 배선 채널(1901) 내측의 연결 와이어(17)의 다른 단부는 제2 배선 포트(190214)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응용 시나리오에서, 제3 러그(1502)에는 제3 배선 포트(190214)와 연통하는 배선 채널이 배치될 수 있어서, 연결 와이어(17)가 제3 러그(1502)의 배선 채널을 통해 안경 템플(15)에 추가로 진입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제2 배선 포트(190214)는 제1 회전 샤프트(1902)의 측벽에 배치된 관통구멍일 수 있으며, 제1 회전 샤프트(1902)의 단부를 관통하지 않고 회전 샤프트 배선 채널(1901)과 연통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2 배선 포트(190214)는 제1 회전 샤프트(1902)의 측벽을 따라 제1 배선 포트(190213)로부터 이격된 제1 회전 샤프트(1902)의 단부로 추가로 관통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2 배선 포트(190214)가 더 큰 공간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와이어(17)가 어떤 이유로 이동되면, 연결 와이어(17)에 대한 제한이 추가로 감소될 수 있으며, 제1 회전 샤프트(1902)의 측벽에 대한 손상이 추가로 감소될 수 있다.
도 16, 도 17, 및 도 18을 함께 참조하면, 도 17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안경의 안경테와 안경 렌즈를 도시하는 개략 구조도이며, 도 18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안경의 안경 템플을 도시하는 부분 구조 개략도이다. 실시예에서, 제1 러그(113)와 제2 러그(1501)에는 각각 제1 수용 구멍(1131)과 제2 수용 구멍(15011)이 동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수용 구멍(1131)과 제2 수용 구멍(15011)의 크기들은 제1 회전 샤프트(1902)가 안경 템플(15)의 외측에서 제2 수용 구멍(15011)을 통해 제1 수용 구멍(1131)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어서, 제1 회전 샤프트(1902)는 제2 수용 구멍(15011)과 간섭 끼워맞춤(interference fit)이 될 수 있고, 제1 수용 구멍(1131)과 헐거운 끼워맞춤(clearance fit)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수용 구멍(15011)은 제2 러그(1501)를 관통하는 관통구멍일 수 있다. 제1 수용 구멍(1131)은 제2 수용 구멍(15011)에 대응하며 제1 러그(113)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제1 수용 구멍(1131)의 내경은 제2 수용 구멍(15011)보다 클 수 있다. 제1 회전 샤프트(1902)의 외경은 제1 수용 구멍(1131)과 제2 수용 구멍(15011) 사이에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회전 샤프트(1902)는 안경 템플(15)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안경테(1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어서, 안경테(11)와 안경 템플(15)이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제1 회전 샤프트(1902)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제1 러그(113)와 제3 러그(1502)는 각각 제3 수용 구멍(1132) 및 제4 수용 구멍(15021)과 동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3 수용 구멍(1132) 및 제4 수용 구멍(15021)의 크기들은 제2 회전 샤프트(1903)가 제4 수용 구멍(15021)을 통해 안경 템플(1132)에서 제3 수용 구멍(1132)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어서, 제2 회전 샤프트(1903)가 제3 수용 구멍(1132)과 간섭 끼워맞춤이 될 수 있고 제4 수용 구멍(15021)과 헐거운 끼워맞춤이 될 수 있고, 또는 제2 회전 샤프트(1903)가 제3 수용 구멍(1132)과 헐거운 끼워맞춤이 될 수 있으며, 제4 수용 구멍(15021)과 간섭 끼워맞춤이 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3 수용 구멍(1132) 및 제4 수용 구멍(15021)은 제1 수용 구멍(1131) 및 제2 수용 구멍(15011) 둘 모두와 동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제3 수용 구멍(1132)은 제1 러그(113)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할 수 있다. 하나의 응용 시나리오에서, 제1 수용 구멍(1131)과 제3 수용 구멍(1132)은 동축으로 관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안경테(11)의 제1 러그(113)에는 제1 배선 포트(190213)에 연결된 배선 채널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수용 구멍(1131)과 제3 수용 구멍(1132)은 각각 제1 러그(113) 내측에 위치된 배선 채널의 양 측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둘 모두는 배선 채널을 통과할 수 있다. 제4 수용 구멍(15021)은 제3 러그(1502)를 관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제2 회전 샤프트(1903)의 외경은 제3 수용 구멍(1132)의 내경과 제4 수용 구멍(15021)의 내경 사이에 있을 수 있다. 제3 수용 구멍(1132)의 내경은 제4 수용 구멍(15021)보다 클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4 수용 구멍(15021)의 내경은 제3 수용 구멍(1132)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제2 회전 샤프트(1903)는 안경 템플(15)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안경테(1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또는 제2 회전 샤프트(1903)는 안경테(11)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안경 템플(15)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어서, 안경테(11)와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제1 회전 샤프트(19)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회전 샤프트(1903)는 중실 샤프트일 수 있고, 그 직경은 제1 회전 샤프트(1902)보다 적을 수 있다. 착용 상태에서, 제2 샤프트(1903)는 안경 템플(15)의 상부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제1 회전 샤프트는 안경 템플(15)의 하부측에 위치될 수 있다.
회전 샤프트 배선 채널(1901)이 제1 회전 샤프트(1902) 내측에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제1 회전 샤프트(1902)의 외경이 더 클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미적 요구를 부정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실시예에서, 더 작은 외경을 갖는 제2 회전 샤프트(1903)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안경을 착용할 때, 제2 회전 샤프트(1903)는 쉽게 발견되는 상부 부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회전 샤프트(1902)는 쉽게 관찰되지 않는 하부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회전 샤프트(1903)의 외경은 더 작기 때문에, 안경의 전반적인 미적 효과가 어느 정도 향상될 수 있다.
확실히,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회전 샤프트(1902) 및 제2 회전 샤프트(1903)도 다른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회전 샤프트(1903)는 또한 중공 샤프트일 수 있으며, 제2 회전 샤프트(1903)의 직경은 제1 회전 샤프트(1902)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대안적으로, 착용 상태에서, 제2 회전 샤프트(1903)는 안경 템플(15)의 하부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회전 샤프트(1902)는 안경 템플(15) 등의 상부측에 배치될 수 있고, 본원에서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 14를 참조하면, 제1 배선 포트(190213)를 배치하기 위한 제1 회전 샤프트(1902)의 단부 표면(19022)과 회전 샤프트 배선 채널(1901)을 한정하기 위한 제1 회전 샤프트(1902)의 내부 벽 표면(19023) 사이의 연결부는 아크 형상일 수 있다. 회전 샤프트(19)를 통해 안경테(11)와 안경 템플(19)의 회전이 발생할 때, 제1 회전 샤프트(1902)와 안경테(11)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 와이어(17)가 제1 배선 포트(190213)에서 이동될 수 있다는 것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회전 샤프트(1902)의 단부 표면(19022)과 내부 벽 표면(19023) 사이의 연결은 아크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배선 포트(190213)에서 연결 와이어(17)가 이동하여 제1 회전 샤프트(1902)와 접촉할 때, 연결 와이어(17)가 너무 날카로울 경우 연결 와이어(17)가 절단되는 것을 피할 수 있어, 이에 의해 연결 와이어(17)를 추가로 보호할 수 있다.
응용 시나리오에서는, 제2 배선 포트(190214)를 배치하기 위한 제1 회전 샤프트(1902)의 단부 표면과 회전 샤프트 배선 채널(1901)을 한정하는 제1 회전 샤프트(1902)의 내부 벽 표면 사이의 연결부도 또한 아크 형상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방식으로, 연결 와이어(17)가 추가로 보호될 수 있다.
안경의 회전 샤프트 및 배선에 대한 상기 설명은 단지 특정 예들일 수 있으며 유일한 실행 가능한 구현예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분명히, 당업자의 경우, 안경의 회전 샤프트와 배선의 기본 원리를 이해한 후, 이러한 원리에서 벗어나지 않고 안경의 회전 샤프트 및 배선을 구현하는 구체적인 방식과 동작의 형태와 세부 사항에 대해 다양한 수정들 및 변경들을 할 수 있지만, 이러한 수정들 및 변경들은 여전히 상술한 범위 내에 있다. 예를 들어, 분기 회로 기판은 또한 제3 패드 및 제3 플렉시블 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모든 변형은 본 개시내용의 보호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도 19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스피커의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도 20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스피커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도 20에서 부분(A)을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피커는 구성요소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챔버(1911)는 구성요소 몸체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구성요소 몸체가 안경 템플(15)(도 7) 내에 위치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적어도 2개의 이중 마이크가 또한 안경 템플(15)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 기능 모듈(104)은 코어 하우징(108) 내에 또는 고정 메커니즘(110) 내에, 예컨대 안경 템플(15) 내에 위치될 수 있다(도 7).
구성요소 몸체는 적어도 2개의 부분을 포함하는 구조체일 수 있다. 구성요소 몸체는 또한 통합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구조체, 예를 들어,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구조체일 수 있다. 구성요소 몸체의 공간적 형상은 직육면체, 정육면체, 타원체, 구체, 원추체 및 기타 불규칙한 공간적 형상을 포함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구성요소 몸체의 재료는 플라스틱, 실리카 젤, 고무, 유리, 세라믹, 합금, 스테인리스강 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구성요소 몸체는 수용체(1910)와 커버(192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체(1920)는 챔버(1911)를 형성하기 위해 중공일 수 있다. 수용체(1910)는 챔버(1911)와 연통된 개구부(191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1920)는 챔버(1911)를 밀봉하기 위해 개구부(1912)에 배치될 수 있다. 챔버(1911)는 조립시 2개 이상의 구성요소에 의해 형성된 내부 챔버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챔버(1911)는 또한 구성요소의 통합 성형 공정 동안 성형 금형의 형상에 따라 형성되는 내부 챔버일 수 있다. 챔버(1911)는 스피커의 다수의 전자 요소들 및 회로 구조들을 수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구성요소 몸체는 챔버(1911)를 밀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챔버(1911)는 구성요소 몸체에 의해 완전히 밀봉될 수 있거나, 구성요소 몸체와 구성요소 몸체상의 다른 부속품들에 의해 공동으로 밀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수용체(1910)는 스피커의 적어도 일부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수용체(1910)는 예컨대 스피커 내의 회로 기판, 배터리(52) 또는 전자 구성요소를 보유하기 위한 구조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체(1910)는 스피커의 하우징의 전체 또는 일부분일 수 있다.
또한, 수용체(1910)에는 회로 기판, 배터리, 전자 구성요소 등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1912)를 갖는 챔버(1911)가 배치될 수 있다. 개구부(1912)는 챔버(1911)와 연통할 수 있으며, 회로 기판, 배터리, 전자 구성요소 등을 적재하고/하거나 하역하기 위한 채널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부(112)의 개수는 본원에서 제한되지 않는 하나 또는 다수일 수 있다.
또한, 커버(1920)의 형상은 개구부(1912)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치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1920)는 챔버(1911)를 밀봉하기 위해 개구부(1912)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커버(1920)의 재료는 수용체(1910)와 상이하거나 부분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커버(1920)는 강성 브래킷(1921)과 연질 커버층(192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강성 브래킷(1921)은 수용체(1910)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연잘 커버층(1922)은 강성 브래킷(1921)이 수용체(1910)에 연결된 후 챔버(1911)에 대한 밀봉부를 제공하기 위해 사출 성형에 의해 강성 브래킷(1921)의 표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강성 브래킷(1921)의 재료는 경질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연질 커버층(1922)의 재료는 연질 실리콘 또는 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수용체(1910)를 향한 강성 브래킷(1921)의 한 측부의 형상은 개구부(1912)와 일치할 수 있다. 강성 브래킷(1921)은 수용체(1910)에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플러깅(plugging), 버클링(buckling) 등에 의해 챔버(1911)의 개구부(1912)에 고정될 수 있다. 갭이 강성 브래킷(1921) 및 수용체(1910)의 연결부에 용이하게 형성되고 챔버(1911)의 밀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연질 커버층(1922)은 사출 성형에 의하여 수용체(1910)에서 이격된 브래킷(1921)의 외부 표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브래킷(1921)과 수용체(1910) 사이의 연결부는 덮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챔버(1911)의 밀봉을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커버(1920)는 강성 브래킷(1921)과 사출 성형에 의하여 강성 브래킷(1921)의 표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연질 커버층(1922)을 포함할 수 있다. 강성 브래킷(1921)은 수용체(1910)에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질 커버층(1922)은 강성 브래킷(1921)이 수용체(1910)에 연결된 후 챔버(1911)에 대한 밀봉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연질 커버층(1922)은 강성 브래킷(1921)과 수용체(1910) 사이의 갭을 맞추기 용이하게 하여, 이에 의해 전자 구성요소의 밀봉 성능을 추가로 향상시키고 전자 구성요소의 방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동시에, 강성 브래킷(1921)과 연질 커버층(1922)은 전자 구성요소의 조립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강성 브래킷(1921)은 인서팅(inserting) 부분(19211)과 커버링(covering) 부분(19212)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링 부분(19212)은 개구부(1912) 내에서 덮일 수 있다. 인서팅 부분(19211)은 커버링 부분(19212)의 일 측부에 배치될 수 있고, 챔버(1911)의 내부 벽을 따라 챔버(1911) 내로 연장되어 개구부(1912)에 커버링 부분(19212)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응용 시나리오에서, 인서팅 부분(19211)은 챔버(1911)의 내부 벽을 통하지 않고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성 브래킷(1921)의 인서팅 부분(19211)의 형상과 일치하는 삽입부(insertion portion)가 챔버(1911) 내측에 추가로 배치될 수 있으므로, 인서팅 부분(19211)이 삽입부와 함께 삽입되어 챔버(1911) 내측에 삽입부를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서팅 부분(19211)의 형상은 실린더일 수 있다. 삽입부는 실린더의 삽입부를 둘러싼 원통형 링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원통형 링의 삽입부의 내경은 원통형 몸체의 삽입부의 외경보다 적합하게 적을 수 있다. 따라서, 인서팅 부분(19211)이 삽입부 내로 삽입될 때, 인서팅 부분(19211)과 삽입부는 브래킷(1921)이 챔버(1911)에 안정적으로 연결되도록 간섭 끼워맞춤될 수 있다. 물론, 인서팅 부분(19211)이 챔버(1911) 내에 삽입되어 챔버(1911)에 고정되는 한, 다른 삽입 방식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커버링 부분(19212)은 챔버(1911)로부터 멀리 보고 있는 인서팅 부분(19211)의 일 측부에 배치될 수 있고, 인서팅 부분(19211)이 챔버(1911) 내에 삽입된 후 개구부(1912)를 덮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커버링 부분(19212)은 일체형 구조체일 수 있거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요구 사항에 따라 일부 구멍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도 22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조합된 상태에서 도 19의 A-A 축을 따라 스피커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실시예에서, 수용체(1910)는 개구부(1912)를 한정하기 위한 개구부 에지(1913)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링 부분(19212)은 개구부(1912) 근처의 개구부 에지(1913)의 내부 영역(19131)에 가압될 수 있다. 연질 커버층(1922)은 수용체(1910)로부터 이격된 커버링 부분(19212)의 외부 표면을 덮을 수 있으며, 개구부 에지(1913)로 밀봉하기 위해 개구부 에지(1913)의 내부 영역(19131)의 외부측에 있는 외부 영역(19132)에 가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개구부 에지(1913)의 내부 영역(19131) 및 외부 영역(19132)은 둘 모두가 개구부 에지(1913)에 속할 수 있으며, 개구부 에지(1913) 외부의 다른 영역들이 아닐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개구부 에지(1913)의 내부 영역(19131)은 개구부(1912) 근처의 개구부 에지(1913)의 영역일 수 있다. 개구부 에지(1913)의 외부 영역(19132)은 개구부(1912)에서 이격된 개구부 에지(1913)의 영역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강성 브래킷(1921)의 커버링 부분(19212)은 개구부(1912) 근처의 개구부 에지(1913)의 내부 영역(19131)에 가압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링 부분(19212)은 초기에 개구부 에지(1913)를 먼저 밀봉할 수 있다. 그러나, 수용체(1910)와 강성 브래킷(1921)은 경질 재료이기 때문에, 상기 수용체와 강성 브래킷 사이의 연결부 및 커버링 부분(19212)의 추가 커버리지(coverage)는 양호한 밀봉 효과를 갖지 못할 수 있다. 커버링 부분(19212)이 개구부 에지(1913)에서 개구부(1912)로부터 멀리 가압되는 단부와 개구부 에지(1913) 사이에 갭이 쉽게 형성될 수 있다. 챔버(1911)는 갭을 통해 추가로 관통되며, 이에 의해 밀봉 성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서, 연질 커버층(1922)은 수용체(1910)로부터 이격된 커버링 부분(19212)의 외부 표면을 덮을 수 있고, 개구부 에지(1913)의 내부 영역(19131)의 주변부의 외부 영역(19132)에 추가로 가압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링 부분(19212)과 강성 브래킷(1921)의 개구부 에지(1913) 사이에 형성되는 갭이 추가로 덮일 수 있다. 연질 커버층(1922)은 연질 재료일 수 있기 때문에, 전자 구성요소의 밀봉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으며, 전자 구성요소는 양호한 내수성(water resistance)을 가질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도 23은 도 22에서 부분(B)을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응용 시나리오에서, 커버(1920)의 덮인 상태에서, 커버링 부분(19212)의 주변부는 개구부 에지(1913)의 내부 영역(19131)을 덮고 개구부 에지(1913)의 내부 영역(19131)에 접촉할 수 있다. 연질 커버층(1922)은 수용체(1910)로부터 이격된 커버링 부분(19212)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개구부 에지(1913)의 내부 영역(19131)에 위치된 커버링 부분(1913)은 개구부 에지(1913)의 내부 영역과 연질 커버층(1922)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연질 커버층(1922)은, 커버링 부분(19212)의 개구부(19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및 그것이 개구부 에지(1913)의 외부 영역(19132)에 접촉할 때까지 개구부 에지(1913)를 향하는 방향으로 추가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링 부분(19212)과 개구부 에지(1913)의 접촉 단부 표면(1913) 및 커버층(1922)과 개구부 에지(1913)의 접촉 단부 표면은 서로 동일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개구부 에지(1913)-커버링 부분(19212)-커버링 층(1922)"의 구조체는 개구부 에지(1913)의 내부 영역(19131)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응용 시나리오에서, 도 24를 참조하면, 도 24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스피커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응용 시나리오에서, 개구부 에지(1913)의 외부 영역(19132)에 접촉하도록 연장된 후, 연질 커버층(1922)은 커버링 부분(19212)과 개구부 에지(1913) 사이의 영역을 따라 개구부 에지(1913)의 내부 영역(19131)으로 추가로 연장될 수 있다. 개구부 에지(1913)의 내부 영역(19131)과 커버링 부분(19212) 사이에, 커버링 부분(19212)이 "개구부 에지(1913)-연질 커버링 층(1922)-커버링 부분(19212)-연질 커버링 층(1922)"의 구조체를 형성하도록 개구부 에지(1913)의 내부 영역(19131)으로 가압될 수 있다는 것은 추가로 추정될 수 있다. 응용 시나리오에서, 연질 커버층(1922)은 강성 브래킷(1921)을 덮는 커버링 부분(19212)을 근거로 하여 강성 브래킷(1921)과 개구부부 에지(1913) 사이에서 추가로 연장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챔버(1911)와 커버(1920) 사이의 밀봉을 추가로 향상시키고, 전자 구성요소의 방수 효과를 추가로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 도 19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스피커는 챔버 내측에 배치된 회로 구성요소(193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회로 구성요소(1930)에는 스위치(19311)가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회로 구성요소(1930)는 제1 회로 기판(1931)을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19311)는 챔버(1911)의 개구부(1912)를 향하는 제1 회로 기판(1931)의 외부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스위치(19311)의 개수는 하나 또는 다수일 수 있다. 스위치(19311)의 개수가 다수인 경우, 스위치(19311)는 간격을 두고 제1 회로 기판(1931)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회로 기판(1931)은 상기 실시예들에서 제1 분기 회로 기판에 대응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에 대응하여, 강성 브래킷(1921)에는 스위치(19311)에 대응하는 스위치 구멍(19213)이 배치될 수 있다. 연질 커버층(1922)은 스위치 구멍(19213)을 추가로 덮을 수 있다. 가압 부분(19221)은 스위치 구멍(19213)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가압 부분(19221)은 스위치 구멍(19213)을 통해 챔버(1911)의 내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연질 커버층(1922)의 대응하는 위치가 가압될 때, 가압 부분(19221)은 회로 구성요소(1930)의 스위치(19311)를 가압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회로 구성요소(1930)을 트리거하여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커버층(1922)에 배치된 가압 부분(19222)은, 강성 브래킷(1921)을 향하는 연질 커버층(1922)의 측부가 스위치 구멍(19213) 및 스위치(19311)를 대면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때 형성될 수 있다. 가압 부분(19221)의 형상은 스위치 구멍(19213)과 일치할 수 있다. 따라서, 연질 커버층(1922)의 대응하는 위치가 가압될 때, 가압 부분(19221)은 스위치 구멍(19213)을 통과하고 제1 회로 기판(1931)의 대응하는 스위치(19311)에 도달할 수 있다. 동시에, 스위치(19311)를 향한 방향으로의 가압 부분(19221)의 길이는, 연질 커버층(1922)에 대응하는 위치가 가압되지 않을 때 스위치(19311)가 가압될 수 없도록 그리고 연질 커버층(1922)에 대응하는 위치가 가압될 때 대응하는 스위치(19311)가 가압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응용 시나리오에서, 가압 부분(19221)에 대응하는 연질 커버층(1922)의 위치는 볼록한 가압 부분(19222)을 형성하도록 강성 브래킷(1921)으로부터 멀리 보고 있는 측부를 향해 추가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위치(19311)의 위치를 명확히 하고, 회로 구성요소(1930)를 트리거하여 대응하는 가압 부분(19222)을 가압하여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보조 기능 모듈(204)은 보조 신호(들)를 수신하고 보조 기능(들)을 수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보조 기능 모듈(204)은 이어폰 코어와 상이한 모듈일 수 있으며 보조 신호(들)를 수신하고 보조 기능(들)을 수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보조 기능 모듈(204)은 이미지 기능, 음성 기능, 보조 제어 기능 및 스위치 제어 기능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 오디오 신호를 사운드 신호로 변환하는 것은 스피커의 주요 기능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주요 기능과 상이한 다른 기능들은 스피커의 보조 기능(들)으로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100)의 보조 기능(들)은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 사운드 및/또는 주변 사운드를 수신하는 것, 키를 통해 사운드 신호의 방송 과정을 제어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조 기능 모듈(들)은 적어도 제1 보조 기능 모듈 및 제2 보조 기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조 기능 모듈은 주 회로 기판(445)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보조 기능 모듈은 제1 분기 회로 기판(442)에 배치될 수 있다.
더욱이, 보조 기능 모듈(들)은 또한 제3 보조 기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보조 기능 모듈은 제2 분기 회로 기판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보조 기능 모듈은 제1 마이크 요소(element)(19312)일 수 있다. 제3 보조 기능 모듈은 제2 마이크 요소(19321)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제1 마이크 요소(19312)와 제2 마이크 요소(19321)는 둘 모두가 MEMS(마이크로-전기기계 시스템) 마이크일 수 있으며, 이는 작은 작동 전류, 비교적 안정적인 성능 및 높은 음성 품질을 가질 수 있다.
제1 마이크 요소(19312) 및 제2 마이크 요소(19321)는 상기 실시예들에서 마이크(432)에 대응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마이크와 제2 마이크는 특정 방식으로 스피커 내에 분배될 수 있으므로, 주 음원(예를 들어, 인간의 입)은 제2 마이크 요소(19321)가 제1 마이크 요소(19312)를 가리키는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마이크 요소(19312)는 커버(1920)를 대면하는 제1 회로 기판(1931)의 일 측부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마이크 요소(19321)는 수용체를 대면하는 제2 회로 기판(1932)의 일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스피커를 착용할 때, 입(주 음원)으로부터 제1 마이크 요소(19312)와 제2 마이크 요소(19321)까지의 거리는 환경 내의 다른 음원(예를 들어, 소음원)으로부터 제1 마이크 요소(19321)와 제2 마이크 요소(19321)까지의 거리보다 적은 것일 수 있다. 입은 제1 마이크 요소(19321)와 제2 마이크 요소(19321)의 근거리 음원으로 간주될 수 있다. 근거리 음원의 경우, 두 세트의 마이크 요소에 의해 수신된 사운드의 크기는 음원과 두 세트의 마이크 요소 사이의 거리와 관련될 수 있다. 제1 마이크 요소(19312)가 주 음원에 더 가깝기 때문에, 제1 마이크 요소(19312)는 더 큰 오디오 신호(VJ1)을 수신할 수 있다. 제2 마이크 요소(19321)는 주 음원으로부터 멀리 있기 때문에, 제2 마이크 요소(19321)는 더 작은 오디오 신호(VJ2)를 수신할 수 있다. 즉, VJ1은 VJ2보다 클 수 있다.
환경 내의 소음원은 제1 마이크 요소(19312) 및 제2 마이크 요소(19321)로부터 멀리 있기 때문에, 환경 내의 소음원은 제1 마이크 요소(19312) 및 제2 마이크 요소(19321)의 원거리 음원으로 간주될 수 있다. 원거리 음원의 경우, 두 세트의 마이크 요소에 의해 수신된 노이즈 신호의 크기들도 비슷할 수 있다. 즉, VY1은 VY2와 같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마이크 요소(19312)에 의해 수신된 총 사운드 신호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수학식 1]
V1=VJ1+VY1
제2 마이크 요소(19321)에 의해 수신된 총 사운드 신호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수학식 2]
V2=VJ2+VY2
수신된 사운드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제1 마이크 요소(19312)의 총 사운드 신호 및 제2 마이크 요소(19321)의 총 사운드 신호에서 미분 연산(differential operation)이 수행될 수 있다. 미분 연산은 다음과 같다.
[수학식 3]
Figure pct00001
또한, 주 음원에 대한 제1 마이크 요소(19312)와 제2 마이크 요소(19321)의 거리들을 결합하는 수학식(3)에 따라 구해진 신호들의 미분 결과에 따라, 주 음원으로부터 제1 마이크 요소(19312) 및/또는 제2 마이크 요소(19321)에 의해 구해진 실제 오디오 신호들이 추가로 얻어질 수 있다. 실제 오디오 신호는 VJ1 또는 VJ2일 수 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구해진 오디오 신호들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학식(3)에 따라 구해진 신호들의 미분 결과는 가능한 커질 수 있다. 즉, VJ1은 VJ2보다 훨씬 클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효과가 이하의 방식들에 따라 달성될 수 있다: 제1 마이크 요소(19312)의 설치 위치는 주 음원(예를 들어, 인간의 입)에 가능한 가깝게 됨; 제2 마이크 요소(19321)의 설치 위치는 주 음원(예를 들어, 인간의 입)에서 가능한 멀리 있음; 2개의 마이크 요소를 격리함; 2개의 마이크 요소 사이에 사운드 장벽을 배치함. 상술한 모든 방식들은 오디오 신호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들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마이크 요소(19312)의 설치 위치를 주 음원(예를 들어, 인간의 입)에 가능한 가깝게 하기 위해, 제1 회로 기판(1931) 및 그에 설치된 제1 마이크 요소(19312)는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마이크 요소(19321)의 설치 위치를 주 음원(예를 들어, 인간의 입)으로부터 가능한 멀리 하기 위해, 제2 회로 기판(1932) 및 그에 설치된 제2 마이크 요소(19321)는 설치 거리를 유연하게 조정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동시에, 대응하는 사운드 가이드 채널과 사운드 장벽은 마이크 요소들의 각 설치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특정 설치 방식들은 도 25 내지 도 29 및 그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제2 회로 기판(1932)은 상기 실시예들에서 제2 분기 회로 기판과 동등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한다. 도 25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도 19에서 B-B 축을 따라 조합된 상태에서 전자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도 25의 협각과 상이한 협각을 제 1 회로 기판 및 제 2 회로 기판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제1 회로 기판(1931)은 제1 마이크 요소(1931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회로 기판(1931)은 커버(1920)를 대면하며 배치될 수 있다. 제1 마이크 요소(19312)는 커버(1920)를 대면하는 제1 회로 기판(1931)의 일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마이크 요소(19312)는 상기 실시예에서 스위( 19311)로부터 이격된 제1 회로 기판(1931)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마이크 요소(19312)는 전자 구성요소의 외측에서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사운드 신호를 분석 및 처리를 위해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브래킷(1921)에는 제1 마이크 요소(19312)에 대응하는 제1 마이크 구멍(19214)이 배치될 수 있다. 연질 커버층(1922)에는 제1 마이크 구멍(19214)에 대응하는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23)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23)은 제1 마이크 요소(19312)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23)은 커버(192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23)의 하나의 단부는 커버(1920) 상의 제1 마이크 구멍(19214)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23)의 다른 단부는 제1 마이크 요소(19312)에 대면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운드 안내 거리를 단축하고 사운드 안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회로 기판(1931)은 커버(1920)와 평행하거나 이에 경사지는 방식으로 커버(1920)를 대면할 수 있다.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23)은 커버(1920)의 표면에 수직하거나 경사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개구부(1912)의 깊이 방향은 수용체(1910)의 하단에 대해 수직하거나 경사질 수 있다. 개구부(1912)가 수직일 때, 커버(1920)는 덮인 후 수용체(1910)에 대해 수평일 수 있다. 개구부(1912)가 경사질 때, 커버(1920)는 수용체(1910)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경사는 인체의 입쪽으로 경사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23)은 인간의 입이나 얼굴을 보다 직접적으로 대면할 수 있으며, 마이크 요소에 의해 획득된 주 음원으로부터의 사운드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개구부(1912)가 경사질 때, 개구부(1912)의 평면과 수용체의 폭 방향의 평면 사이의 협각이 10 내지 30도 범위에 있을 수 있어서,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23)은 인간의 입 부위에 추가로 대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구부(1912)가 경사질 때, 개구부(1912)의 평면과 수용체의 폭 방향의 평면 사이의 협각이 10도, 15도, 20도, 23도, 27도, 30도 등과 같은 상기 범위 내의 임의의 각도일 수 있으며, 이는 본원에서 특정 제한사항이 아닐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23)은 연질 커버층(1922)을 통해 배치될 수 있다. 개구부(1912)가 수직이고 제1 회로 기판(1931)이 커버(1920)와 평행할 때,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23)은 커버(1920)에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23)은 수직일 수 있다. 개구부(1912)가 수직이고 제1 회로 기판(1931)이 커버(1920)에 대해 경사질 때,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23)은 커버(1920)에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개구부(1912)가 경사지고 제1 회로 기판(1931)이 커버(1920)와 평행할 때,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23)은 커버(1920)에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23)은 경사질 수 있다. 개구부(1912)가 경사지고 제1 회로 기판(1931)이 커버(1920)에 경사질 때,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23)도 또한 커버(1920)에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23)이 수직하거나 경사질 수 있다.
또한, 제1 회로 기판(131)이 커버(1920)에 경사지는 방식으로 커버(1920)를 대면할 때, 제1 회로 기판(1931)의 평면과 커버(1920)의 평면 사이의 협각은 5 내지 20도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회로 기판(1931)이 커버(1920)에 경사지는 방식으로 커버(1920)를 대면할 때, 제1 회로 기판(1931)의 평면과 커버(1920)의 평면 사이의 협각은 5도, 8도, 10도, 15도, 20도 등과 같은 협각 범위 내의 임의의 각도일 수 있으며, 이는 본원에서 특정 제한사항이 아닐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23)은 브래킷(1921)상의 제1 마이크 구멍(19214)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마이크 요소(19312)는 스피커 외측과 추가로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스피커 외측의 사운드는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23) 및 제1 마이크 구멍(19214)을 통과할 수 있다. 사운드는 제1 마이크 요소(193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사운드 안내의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23)의 중심축은 제1 마이크 요소(19312)의 사운드 수신 영역(193121)의 주축과 일치할 수 있다. 제1 마이크 요소(19312)의 사운드 수신 영역(19312)은 음파를 수신하는 제1 마이크 요소(19312)상의 영역(예: 다이어프램(diaphragm))을 지칭한다.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23)의 중심축이 제1 마이크 요소(19312)의 사운드 수신 영역(193121)의 주축과 일치할 때, 주 음원의 사운드는 제1 마이크 구멍(19214)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사운드는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23)을 통해 제1 마이크 요소(19312)의 사운드 수신 영역(193121)으로 직접 안내될 수 있다. 사운드 전파 경로는 추가로 감소될 수 있으며, 이는 주 음원이 챔버 내에서 반복적으로 전파되어 손실 및 반향을 야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주 음원이 챔버 내의 채널을 통해 제2 마이크 요소(1321)의 영역으로 전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운드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커버(1920)는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23)의 주축 및 제1 마이크 요소(19312)의 사운드 수신 영역(193121)의 주축은 커버(1920)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일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제1 마이크 요소(19312)의 사운드 수신 영역(193121)의 주축은 도 25의 축 n과 같은 커버(1920)의 폭 방향으로의 제1 마이크 요소(19312)의 사운드 수신 영역(193121)의 주축을 지칭한다.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23)의 주축은 도 25에서 축 m일 수 있다. 축 n은 축 m과 일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23)의 형상은 스피커 외측으로부터의 사운드가 스피커에 의해 수신될 수 있는 한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23)은 비교적 작은 크기를 갖는 원형 구멍일 수 있고, 마이크 구멍(19214)에 대응하는 커버층(1922)의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작은 크기의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23)은 스피커 내의 제1 마이크 요소(19312) 등과 외측 사이의 연통을 감소시키며, 이에 의해 스피커의 밀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312)에서 입력된 사운드 신호를 제1 마이크 요소(19312)로 안내하기 위해 사운드 안내 채널(192241)은 곡선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응용 시나리오에서,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23)의 주축은 커버(1920)의 폭 방향으로 커버(1920)의 중간에 배치될 수 있다.
동시에, 커버(1920)의 연질 커버(1922)에는 또한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23)에 대응하는 제1 사운드 차단 부재(1224)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사운드 차단 부재(1224)는 마이크 구멍(1214)을 통해 챔버(1911)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어 사운드가 제1 마이크 요소(19312)로 전송 방향을 따라 전송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사운드 안내 채널(12241)은 한정될 수 있다. 사운드 안내 채널(192241)의 일 단부는 연질 커버층(1922)의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22)과 연통될 수 있다. 제1 마이크 요소(19312)는 사운드 안내 채널(192241)의 다른 단부로부터 사운드 안내 채널(192241)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서 스피커가 추가로 스위치(19311)를 추가로 포함할 때, 스위치 구멍(19213)과 제1 마이크 구멍(19214)은 간격을 두고 강성 브래킷(1921)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스위치 구멍(19213)과 제1 마이크 구멍(19214) 사이의 간격 거리는 10 내지 20mm의 범위에 있을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또한 10mm, 15mm, 20mm 등일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1 사운드 차단 부재(19224)는 연질 커버층(1922)으로부터 제1 마이크 요소(19312)의 주변부로 연장될 수 있으며, 사운드 안내 채널(192241)을 형성하도록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23)의 주변부, 마이크 구멍(19214), 및 챔버(1911) 내측을 통해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23)으로부터 제1 마이크 요소(19312)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운드 안내 구멍으로 진입하는 전자 구성요소의 사운드 신호는 사운드 안내 채널(192241)을 통해 제1 마이크 요소(19312)에 직접 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 사운드 안내 채널(192241)의 형상은 마이크 구멍(19214) 또는 제1 마이크 요소(19312)의 형상과 같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응용 시나리오에서, 챔버(1911)를 향한 브래킷(1921)에 수직인 방향으로 마이크 구멍(19214) 및 제1 마이크 요소(19312)의 단면 형상은 정사각형일 수 있다. 마이크 구멍(19214)의 크기는 사운드 안내 채널(192241)의 외부 크기보다 약간 클 수 있다. 사운드 안내 채널(192241)의 내부 크기는 제1 마이크 요소(19312)의 외부 크기보다 작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운드 안내 채널(192241)은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23)을 통과하여 제1 마이크 요소(19312)에 도달하고 제1 마이크 요소(19312)의 주변부 둘레를 감쌀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을 통해, 스피커의 연질 커버층(1922)에는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23) 및 사운드 안내 채널(192241)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사운드 안내 채널(192241)은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23)의 주변부로부터 마이크 구멍(19214)을 통과하여 제1 마이크 요소(19312)에 도달하고, 그리고 제1 마이크 요소(19312)의 주변부 둘레를 감쌀 수 있다. 사운드 안내 채널(192241)은,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23)을 통해 진입하는 사운드 신호가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23)을 통해 제1 마이크 요소(19312)에 도달하고 제1 마이크 요소(193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전송 과정에서 사운드 신호의 누출이 감소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스피커에 의한 전자 신호를 수신하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응용 시나리오에서, 스피커는 또한 사운드 안내 채널(192241) 내측에 배치된 방수 메쉬 천(waterproof mesh cloth)(194)을 포함할 수 있다. 방수 메쉬 천(194)은 제1 마이크 요소(19312)에 의해 마이크 요소를 향하는 연질 커버층(1922)의 측부에 대해 보유되고,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23)을 덮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래킷(1921)은 사운드 안내 채널(192241) 내의 제1 마이크 요소(19312)에 가까운 브래킷(1921)의 위치에서 돌출하여 제1 마이크 요소(19312)의 반대편에 볼록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방수 메쉬(194)는 제1 마이크 요소(19312)와 볼록 표면 사이에 개재될 수 있거나, 제1 마이크 요소(19312)의 주변부에 직접 부착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설정 방식은 본원에서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마이크 요소(19312)에 대한 방수 기능에 추가하여, 실시예의 방수 메쉬 천(194)은 또한 제1 마이크 요소(19312)의 사운드 수신 영역(193121)의 사운드 수신 효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사운드 전송 등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회로 구성요소(1930)의 설정 요구 사항으로 인해 제1 마이크 요소(19312)가 제1 회로 기판(1931)의 제1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23)이 배치될 때,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23) 때문에 미적 및 편리한 요구 사항으로 인해 커버(1920)의 제2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위치 및 제2 위치는 커버(1920)의 폭 방향으로 대응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23)의 주축과 제1 마이크 요소(19312)의 사운드 수신 영역(193121)의 주축이 커버(1920)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23)을 통한 사운드 입력은 직선을 따라 제1 마이크 요소(19312)의 사운드 수신 영역(193121)에 도달하지 못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커버(1920)는 스피커의 외부 하우징의 일부분일 수 있다. 스피커의 전반적인 미적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23)은 커버(1920)의 폭 방향으로 중간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23)은 더 대칭으로 볼 수 있고 사람의 시각적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있다.
일부 시나리오에서, 대응하는 사운드 안내 채널(192241)은 도 19에서 B-B 축을 따른 단면에서 계단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23)에 의해 도입된 사운드 신호는 계단형 사운드 안내 채널(192241)을 통해 제1 마이크 요소(19312)로 전송되고 제1 마이크 요소(193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또한, 도 23을 참조하면, 도 23은 본 개시내용에 따라 도 19에서 C-C 축을 따라 조합된 상태에서 전자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피커는 발광 요소(19313)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광 요소(19313)는 챔버(1911) 내측에 수용되도록 회로 구성요소(1930)의 제1 회로 기판(1931)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요소(19313)는 실시예에서 스위치(19311) 및 제1 마이크 요소(19312)와 함께하는 배열에서 제1 회로 기판(1931)에 배치될 수 있다. 회로 구성요소(1930)는 상기 실시예들에서 제어 회로와 동등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에 대응하여, 강성 브래킷(1921)에는 발광 요소(19313)에 대응하는 발광 구멍(19215)이 배치될 수 있다. 연질 커버층(1922)은 발광 구멍(19215)을 덮을 수 있다. 발광 구멍(19215)에 대응하는 연질 커버층(1922)의 영역의 두께는 발광 요소(19313)에 의해 방출되는 빛이 연질 커버층(1922)을 통해 전달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발광 요소(19313)는 발광 다이오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요소(19313)의 개수는 하나 또는 다수일 수 있다. 강성 브래킷(1921)상의 발광 구멍(19215)들의 개수는 발광 요소(19313)들의 개수와 같을 수 있다. 발광 요소(19313)의 개수가 다수인 경우, 발광 요소(19313)들은 상이한 발광 구멍(19215)들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상이한 신호들이 상이한 발광 요소(19313)들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연질 커버층(1922)은 여전히 커버층(1922)이 발광 구멍(19215)을 덮는 조건 하에 있는 방식으로 발광 요소(19313)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스피커의 외측으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응용 시나리오에서, 발광 구멍(19215)의 전체 영역 또는 영역의 일부분에 대응하는 연질 커버층(1922)의 두께는 발광 구멍(19215)의 주변부의 영역에 대응하는 연질 커버층(19215)의 두께보다 적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발광 소소(19313)에 의해 방출되는 빛은 발광 구멍(19215)을 통과하고 연질 커버층(1922)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물론, 연질 커버층(1922)이 연질 커버층(1922)을 통해 빛을 전송할 수 있는 발광 구멍(19215)을 덮는 영역을 만들기 위해 다른 방식이 또한 채택될 수 있으며, 본원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가 발광 구멍(19215)의 전체 영역 또는 영역의 일부분에 대응하는 연질 커버층(1922)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는 투명 또는 광 전달 재료(예를 들어, 박막, 석영 등)의 층으로 덮일 수 있으므로, 발광 요소(19313)에 의해 방출되는 빛이 발광 구멍(19215)을 통과하고 윈도우를 통해 추가로 전송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발광 요소(19313)에 대응하는 발광구멍(19215)을 덮는 것에 기초하여, 연질 커버층(1922)은 발광 요소(19313)에 의해 방출되는 빛을 커버층(1922)을 통해 전자 구성요소의 외측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발광 요소(19313)는 전자 구성요소의 발광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연질 커버층(1922)에 의해 밀봉될 수 있어서, 전자 구성요소의 밀봉 및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에서, 강성 브래킷(1921)은 챔버(1911) 내측을 향해 연장되고 발광 구멍(19215)의 주변부에 배치된 광 차단 부재(19216)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광 차단 부재(19216)는 발광 요소(19313)에 의해 생성된 빛의 전송 방향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발광 구멍(19215)의 형상은 원형, 사각형, 삼각형 등과 같이, 발광 요소(19313)에 의해 방출되는 빛을 전송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발광 구멍(19215)의 형상은 원형일 수 있다.
발광 요소(19313)와 발광 구멍(19215) 사이에는 여전히 소정 거리가 있기 때문에, 발광 요소(19313)에 의해 방출되는 빛의 일부분은 상기 빛이 제한이 없다면 발광 구멍(19215)에 도달하기 전에 누출될 수 있다. 따라서, 빛이 발광 구멍(19215)으로 효과적으로 전송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는 스피커의 외측에서 볼 수 있는 빛의 밝기를 감소시킬 수 있어, 이에 의해 그것이 사용자가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불편하게 만들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광 차단 부재(19216)의 배열은 광 누출을 감소시키기 위해 발광 요소(19313)에 의해 생성된 빛의 전송 방향을 제한하여, 이에 의해 발광 구멍(19215)을 통해 전송되는 빛의 밝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 실시예에서 광 차단 부재(19216)는 강성 브래킷(1921)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성 브래킷(1921)은 발광 구멍(19215)의 주변부를 따라 챔버(19215)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어 발광 요소(19313)를 둘러싸고 있다. 이러한 경우, 광 전파를 위한 광 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 광 채널을 통해, 발광 요소(19313)에 의해 생성된 빛은 광 채널의 방향을 따라 발광 구멍(19215)으로 직접 전파될 수 있다. 대안으로, 강성 브래킷(1921)은 광 채널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광의 전파는 강성 브래킷(1921)에 의해 한 방향 또는 여러 방향에서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성 브래킷(1921)은 발광 구멍(19215)의 일 측부에서부터 챔버(1911) 내로 연장되어, 일 측부상에 발광 요소(19313)를 차단하는 광 차단 부재(19216)를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강성 브래킷(1921)은 추가로 다른 구성요소들과 협력하여 광의 전파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성 브래킷(1921)은 발광 구멍(19215)의 일 측부에서부터 챔버(1911) 내로 연장되어, 일 측부상에 발광 요소(19313)를 차단하는 광 차단 부재를 형성할 수 있고, 그리고 광 차단 부재(19216)가 추가로 챔버(1911)의 내부 벽 또는 강성 브래킷(1921)의 다른 구조물들과 협력하여 발광 요소(19313)에 의해 생성된 광의 전송 방향을 다수의 방향으로부터 제한할 수 있다.
응용 시나리오에서, 발광 요소(19313)와 제1 마이크 요소(19312)는 제1 회로 기판(1931)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대응하는 발광 구멍(19215)들과 제1 마이크 구멍(19214)들은 간격을 두고 강성 브래킷(1921)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운드 안내 채널(192241)을 한정하는 연질 커버층(19222)에 의해 형성된 제1 사운드 차단 부재(19224)는 제1 마이크 요소(19312)의 주변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사운드 차단 부재(19224)는 제1 마이크 구멍(19214)을 통해 배치될 수 있다. 이어서 제1 마이크 요소(19312)와 발광 요소(19313)는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마이크 구멍(19214)과 발광 구멍(19215)은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응용 시나리오에서, 강성 브래킷(1921)에 의해 형성된 광 차단 부재(19216)는 발광 요소(19313)에 가까운 제1 사운드 차단 부재(19224)의 일 측벽과 협력할 수 있으며, 이는 공동으로 발광 요소(19313)에 의해 생성된 광의 전송 방향을 제한할 수 있다.
다른 응용 시나리오에서, 챔버(1911)는 개구부(1912)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단면상에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강성 브래킷(1921)은 또한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배열되고, 인서팅 부분(19211)을 통해 개구부(1912)를 통해 챔버(1911) 내로 삽입되고, 이에 의해 챔버(1911)와 기계적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인서팅 부분(19211)은 강성 브래킷(1921)의 길이 방향의 양면에 배치될 수 있어서, 발광 요소(19313)는 강성 브래킷(1921)의 길이 방향의 양면에 대응하는 인서팅 부분(19211)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발광 요소(19313)의 양면에 대한 광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시나리오에서, 광 차단 부재(19216)는 강성 브래킷(1921)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발광 요소(19313)의 일 측부에 추가로 배치될 수 있고, 제1 사운드 차단 부재(19224)의 측벽은 강성 브래킷(1921)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발광 요소(19313)의 다른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광 차단 부재(19216)와 제1 사운드 차단 부재(19224)는 서로 평행한 플레이트(plate)들일 수 있으며, 발광 요소(19313)의 양면에 있는 인서팅 부분(19313)과 추가로 협력하여 발광 요소(19313)에 의해 생성된 광의 전송 방향을 제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스피커 내의 회로 구성요소(1930)는 상기 실시예들에서 스피커의 제1 회로 기판(1931)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 구성요소(1930)는 제2 회로 기판(1932)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 도 22,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라.
제2 회로 기판(1932)은 상기 실시예에서 제2 분기 회로 기판과 동등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제2 회로 기판(1932)은 수용체(1910)를 대면하며 배치될 수 있다. 제2 회로 기판(1932)은 제1 회로 기판(1931)에 대해 경사진 챔버(191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마이크 요소(19321)는 수용체(1910)를 대면하는 제2 회로 기판(1932)의 일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마이크 요소(19321)는 수용체(1910)의 측벽을 대면하며 배치될 수 있어서, 제2 마이크 요소(19321) 근처에 큰 공간이 있으며, 이는 수용체(19321)에 제2 마이크 요소(19321)에 대응하는 기능적 구성요소들을 제공하는 것이 편리할 수 있다. 또한, 제2 회로 기판(1932)은 제1 회로 기판(1931)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2개의 회로 기판상의 기능적 구성요소들은 엇갈린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또한 기능적 구성요소들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키며, 이에 의해 스피커의 내부 공간을 절약하고 압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제2 사운드 안내 구멍(1914)은 커버(1920) 또는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23)의 반대편에 있는 수용체(1910)의 측벽에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사운드 안내 구멍(1914)은 수용체(1910)의 측벽에 그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 사운드 안내 구멍(1914)과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23)은 서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수용체(1910)의 개구부(1912)는 경사진 개구부일 수 있다. 커버(1920)는 수용체(1910)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3)의 반대편의 수용체(1910)의 측벽은 챔버(1911)의 일 측부상의 측부 표면일 수 있다. 제2 사운드 안내 구멍(1914)은 수용체(1910)의 일 측벽상의 측부 표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사운드 안내 구멍(1914)은 수용체(1910)의 일 측부상의 측부 표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사운드 안내 구멍(1914)과 수용체(1910)의 상단 사이의 거리는 3 mm 내지 6 mm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거리는 3 mm, 4 mm, 5 mm, 6 mm 등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수용체(1910)의 개구부(1912)의 깊이 방향이 수용체의 하단에 대해 수직일 때, 커버(1920)는 수용체(1910)에 대해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23)의 반대편에 있는 수용체(1910)의 측벽은 챔버(1911)의 상단이 될 수 있다. 제2 사운드 안내 구멍(1914)은 수용체(191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사운드 안내 구멍(1914)은 수용체(1910)의 상단의 중간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방식들에 따르면, 제2 사운드 안내 구멍(1914)은 주 음원으로부터 멀리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주 음원으로부터 제2 사운드 안내 구멍(1914)에 의해 수신된 사운드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2 사운드 안내 구멍(1914)에 의해 수신되는 환경 소음의 비율을 증가시키고 소음 감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스피커의 상기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버(1920)는 제1 마이크 요소(19312) 및 제1 마이크 구멍(19214)에 대응하는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2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제1 마이크 요소(19312)는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23)을 통해 사운드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마이크 요소(19321)는 제2 사운드 안내 구멍(1914)을 통해 사운드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사운드 안내 구멍(1914)의 중심축은 제2 마이크 요소(19321)의 사운드 수신 영역의 주축과 일치할 수 있다.
제2사운드 안내 구멍(1914)의 중심축이 제2 마이크 요소(19321)의 사운드 수신 영역의 주축과 일치할 때, 노이즈들이 제2 사운드 안내 구멍(1914)을 통해 제2 마이크 요소(19321)의 사운드 수신 영역으로 직접 안내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챔버(1911) 내측의 노이즈 전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동시에, 노이즈들은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23)을 통해 제1 마이크 요소(19312)의 사운드 수신 영역(193121)으로 직접 안내될 수 있다. 제1 마이크 요소(19312)에 의해 수신된 노이즈들은 제2 마이크 요소(19321)에 의해 수신된 것과 대략 같을 수 있으며, 이는 후속 처리에서 노이즈들을 제거하고 주 음원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사운드 안내 구멍(1914)의 중심축은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23)의 중심축과 일치하거나 평행할 수 있다.
제2 사운드 안내 구멍(1914) 및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23)은 동일한 중심축 방향을 가질 수 있다. 즉, 그들의 중심축들은 일치하거나 평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사운드 안내 구멍(1914)의 사운드 입구와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23)의 사운드 입구는 반대 방향으로 대면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사운드 안내 구멍(1914)에 의해 수신된 주 음원의 사운드가 감소될 수 있으며, 이는 후속 처리의 노이즈들을 제거하고 주 음원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마이크 요소(19321)의 사운드 수신 영역의 주축은 제1 마이크 요소(19312)의 사운드 수신 영역(19312)의 주축과 일치하거나 평행할 수 있다. 제2 마이크 요소(19321)의 사운드 수신 영역은 제2 사운드 안내 구멍(1914)을 통해 사운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마이크 요소(19312)의 사운드 수신 영역(193121)은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23)을 통해 사운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사운드 안내 구멍(1914)을 통한 주 음원 신호가 작기 때문에, 제2 마이크 요소(19321)의 사운드 수신 영역에 의해 수신된 주 음원 신호가 작을 수 있으며, 이는 사운드 신호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회로 기판(1931)은 개구부(1912)의 개구부 평면과 평행하게 그리고 개구부(1912)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회로 기판(1931)은 또한 개구부(1912)의 개구부 평면에 경사지게 그리고 개구부(1912)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스위치(19311), 발광 요소(19313) 등은 제1 회로 기판(1931)에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스위치(19311), 발광 요소(19313), 제1 마이크 요소(19312) 등은 소정 방식으로 제1 회로 기판(1931)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스위치 구멍(19213), 발광 구멍(19215), 제1 마이크 구멍(19214) 등은 대응하는 구멍들을 통해 스피커 외측으로 신호를 전송하도록 커버(1920)에 개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마이크 구멍(19214)은 커버(1920)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스위치 구멍(19213)과 발광 구멍(19215)은 제1 마이크 구멍(19214)의 양면에 각각 커버(192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스위치 구멍(19213)과 제1 마이크 구멍(19214) 사이의 거리와 발광 구멍(19215)과 제1 마이크 구멍(19214) 사이의 거리는 5 내지 10 mm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 거리는 5 mm, 6 mm, 7 mm, 8 mm, 9 mm, 10 mm 등일 수 있다. 스위치 구멍(19213)과 제1 마이크 구멍(19214) 사이의 거리와 발광 구멍(19215)과 제1 마이크 구멍(19214) 사이의 거리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수용체(1910)는 개구부(1912)에서부터 개구부 평면에 수직으로 연장되어 소정 폭을 갖는 챔버(1911)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회로 기판(1932)은 챔버(1911)의 폭 방향에 평행하게 그리고 개구부 평면에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2 회로 기판(1932)은 또한 챔버(1911)의 폭 방향으로 경사지게 그리고 개구부(1912)의 평면에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회로 기판(1932)은 제1 회로 기판(1931)에 경사진 챔버(191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제2 회로 기판(1932)에는 주 제어 칩, 안테나 등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회로 기판(1932)은 챔버(1911)의 폭 방향으로 졍사지고 개구부(1912)의 개구부 평면에 경사질 수 있다. 제2 회로 기판(1932)과 챔버(1911)의 폭 방향 사이의 협각은 5 내지 20도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회로 기판(1932)과 챔버(1911)의 폭 방향 사이의 협각은 5도, 10도, 15도, 20도 등과 같이 범위 내의 임의의 각도일 수 있으며, 이는 본원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응용 시나리오에서, 사용자가 스피커를 사용하는 경우, 제2 마이크 요소(19321)의 사운드 수신 영역의 주축은 제1 마이크 요소(19312)의 사운드 수신 영역(193121)의 주축과 일치할 수 있다. 제1 마이크 요소(19312)와 제2 마이크 요소(19321)는 사용자의 입과 나란히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마이크 요소(19312) 및 제2 마이크 요소(19321)는 각각 2개의 회로 기판에 배치될 수 있다. 2개의 마이크 요소는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23) 및 제2 사운드 안내 구멍(1914) 각각을 통해 사운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 요소들 중 하나는 인간의 목소리와 같은 주요 사운드를 수신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다른 마이크 요소는 배경 노이즈의 수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배경 노이즈를 수집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2개의 마이크 요소는 수신된 사운드 신호를 분석하고 처리하기 위해 협력할 수 있으며, 이는 수신된 사운드 신호의 노이즈를 감소시키며, 이에 의해 사운드 신호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6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도 25로부터 상이한 협각을 갖는 조합된 상태에서 스피커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제1 회로 기판(1931) 및 제2 회로 기판(1932)은 동일한 챔버(1911) 내에서 서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2개의 회로 기판의 설치 방식을 보다 유연하게 만들 수 있다. 2개의 회로 기판 사이의 협각은 2개의 회로 기판의 전자 구성요소들의 크기들 및 위치들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스피커의 공간 활용도가 향상될 수 있다. 스피커 내에 배열이 적용되면, 스피커 내의 공간은 더 얇은 스피커를 달성하도록 절약될 수 있다.
또한, 제1 회로 기판(1931)과 제2 회로 기판(1932) 사이의 협각은 50 내지 150도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제1 회로 기판(1931)과 제2 회로 기판(1932)사이의 특정 협각은 70도, 80도, 90도, 100도, 110도 등과 같은 범위 내의 임의의 각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응용 시나리오에서, 개구부(1912) 및 커버(1920)는 대응하는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회로 기판(1931)의 형상은 개구부(1912)의 형상과 매칭될 수 있다. 제1 회로 기판(1931)의 폭 d1은 개구부(1912)의 폭 방향을 따라 개구부 평면의 크기보다 크지 않을 수 있으므로, (개구부 평면에 평행한 또는 경사진) 제1 회로 기판(1931년)이 챔버(1911) 내의 개구부 근처의 위치에 수용될 수 있다. 즉, 제1 회로 기판(1931)도 또한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스위치(19311), 발광 요소(19313), 및 제1 마이크 요소(19312)가 제1 회로 기판(1931)의 길이 방향(예를 들어, 커버(19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제1 회로 기판(1931)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마이크 요소(13921)는 골전도 마이크일 수 있다. 골전도 마이크는 제2 사운드 안내 구멍(1914)을 통해 수용체(1910)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골전도 마이크는 수용체(1910)의 일 측부의 측벽에 설치될 수 있다. 측벽은 사용자가 스피커를 착용할 때 사용자의 몸체에 맞추어질 수 있으므로, 골전도 마이크가 주 음원의 진동 신호를 더 잘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음성 입력을 위해 스피커를 착용할 때, 제2 마이크 요소(19321)는 주로 주 음원의 진동 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진동 신호는 제1 마이크 요소(19312)에 의해 수집된 사운드 신호(오디오 신호 및 노이즈 포함)와 비교될 수 있다(공기 전도).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마이크 요소(19312)에 의해 수집된 사운드 신호는 고품질 오디오 신호를 얻기 위해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최적화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구성요소 몸체는 챔버(1911)의 측벽을 통해 제2 사운드 안내 구멍(19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운드 차단 부재(1915)는 제2 사운드 안내 구멍(1914)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사운드 차단 부재(1915)는 제2 사운드 안내 구멍(1914)을 통해 챔버(1911)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어 사운드의 전송 방향을 제2 마이크 요소(19321)로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2 마이크 요소(19321)에 대응하는 제2 사운드 안내 구멍(19321)은 구성요소 몸체상에 배치되어 챔버(1911)를 관통하여서, 제2 마이크 요소(19321)가 외측과 연통할 수 있다. 이어서 제2 마이크 요소(19321)는 외부 사운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제2 사운드 차단 부재(1915)는 경질 재료 또는 연질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체(1910)는 챔버(1911)의 내부측에서 제2 사운드 안내 구멍(1914)의 주변부를 따라 챔버(1911)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제2 사운드 차단 부재(1915)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사운드 차단 부재(1914)는 수용체(1910)와 일체로 주입되는 연질 고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연질 고무는 챔버(1911)의 내부측으로부터 제2 사운드 안내 구멍(1914)의 주변부를 따라 챔버(1911)의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응용 시나리오에서, 제2 사운드 차단 부재(1915)는 제2 사운드 안내 구멍(1914)의 주변부를 따라 챔버(1911)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제2 마이크 요소(19321)로 연장된 다음, 제2 마이크 요소(19321)의 사운드 수신 영역을 둘러쌀 수 있다. 이어서 제2 사운드 안내 구멍(1914)과 제2 마이크 요소(19321)를 연결하는 채널이 형성될 수 있어서, 제2 사운드 안내 구멍(1914)으로 입력되는 외부 사운드 신호가 채널을 통해 제2 마이크 요소의 사운드 수신 영역에 의해 직접 수신될 수 있다. 다른 응용 시나리오에서, 제2 사운드 차단 부재(1915)는 제2 사운드 안내 구멍(1914)의 주변부를 완전히 둘러싸지만, 단지 제2 사운드 안내 구멍의 하나 또는 두 측부들을 따라 챔버(1911)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제2 마이크 요소(19321)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사운드 안내 구멍(1914)으로부터 입력되는 사운드는 제2 마이크 요소(19321)로 안내되며 전파되고, 제2 마이크 요소(19321)의 사운드 수신 영역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스피커의 이중 마이크 모듈에 대한 상기 설명은 단지 특정 예일 수 있으며 유일한 실행가능한 구현예로 간주해서는 안 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명백히, 당업자의 경우, 스피커의 이중 마이크 모듈의 기본 원리를 이해한 후, 이러한 원리에서 벗어나지 않고 스피커의 이중 마이크 모듈을 구현하는 구체적인 방법 및 동작의 형태 및 세부 사항에 대해 다양한 수정들 및 변경들을 할 수 있지만, 이러한 수정들 및 변경들은 여전히 상술한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중 마이크 모듈은 또한 오디오 신호 처리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신호 처리 구성요소는 제2 마이크 요소(1321)에 의해 수집된 주 음원의 진동 신호를 제1 마이크 요소(1312)에 의해 수집된 사운드 신호(오디오 신호 및 노이즈를 포함함)와 비교할 수 있다(공기 전도).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제1 마이크 요소(1312)에 의해 수집된 사운드 신호는 고품질 오디오 신호를 얻기 위해 최적화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수정들은 본 개시내용의 보호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자 구성요소("회로 하우징" 또는 "구성요소 몸체"로도 지칭됨)는 수용체(1910)와 커버(19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수용체(1920)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1912)를 갖는 챔버(1911)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1920)는 챔버(1911)의 개구부(1912)를 덮으며 챔버(1911)를 밀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전자 구성요소는 상기 실시예들의 구성요소 몸체와 일치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전자 구성요소는 전자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는 이어폰, MP3 플레이어, 보청기, 휴대 전화, 태블릿 컴퓨터 또는 회로 구성요소들 또는 전자 디바이스 등을 가진 안경과 같이, 내부 구조체를 밀봉할 것을 요구하는 임의의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본원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자 구성요소는 도 7의 안경 템플(15)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자 구성요소는 또한 회로 하우징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수용체(1910)는 전자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피커)의 적어도 일부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회로 구성요소는 도 2의 제어 회로에 대응할 수 있다.
도 28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조합 상태에서 도 19의 A-A 축을 따라 전자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수용체(1910)는 개구부(1912)를 한정하기 위한 개구부 에지(1913)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링 부분(19212)은 개구부(1912) 근처에서 개구부 에지(1913)의 내부 영역(19131)상에 가압될 수 있다. 커버층(1922)은 수용체(1910)로부터 이격된 커버링 부분(19212)의 외부 표면을 덮을 수 있고, 개구부 에지(1913)의 내부 영역(19131)의 외측면에 있는 외부 영역(19132)상에 가압되어 개구부 에지(1913)로 밀봉할 수 있다.
도 29는 본 개시내용에 따라 도 19에서 B-B 축을 따라 조합된 상태에서 전자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구성요소는 제1 마이크 요소(1931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마이크 요소(19312)는 챔버(1911) 내측에 수용되도록 회로 구성요소(1930)의 제1 회로 기판(1931)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마이크 요소(19312)는 실시예에서 스위치(19311)로부터 이격된 제1 회로 기판(1931)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마이크 요소(19312)는 전자 구성요소의 외측에서부터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고, 사운드 신호를 분석 및 처리를 위한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브래킷(1921)에는 제1 마이크 요소(19312)에 대응하는 마이크 구멍(19214)이 배치될 수 있다. 커버층(1922)에는 마이크 구멍(19214)에 대응하는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23)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사운드 차단 부재(19224)는 마이크 구멍(19214)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사운드 차단 부재(19224)는 마이크 구멍(19214)을 통해 챔버(1911)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고 사운드 안내 채널(192241)을 한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23)은 커버층(1922)을 통해 배치될 수 있고 제1 마이크 요소(19312)의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23)은 브래킷(1921)의 마이크 구멍(19214)에 대응하며, 제1 마이크 요소(19312)를 전자 구성요소의 외측과 추가로 연통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자 구성요소의 외측으로부터의 사운드는 제1 사운드 안내 구멍(19223) 및 마이크 구멍(19214)을 통해 제1 마이크 요소(193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안경에 대한 상기 설명은 단지 특정 예일 수 있으며 유일한 실행가능한 구현예로 간주해서는 안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분명히, 당업자의 경우, 안경의 기본 원리를 이해한 후, 이러한 원리에서 벗어나지 않고 안경을 구현하는 특정 방법 및 동작의 형태와 세부 사항에 대한 다양한 수정들 및 변경들을 할 수 있지만, 이러한 수정들 및 변경들은 여전히 전술한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1912)의 개수는 하나, 또는 다수일 수 있고, 본원에서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위치(19311)들의 개수는 하나 또는 다수일 수 있다. 스위치(19311)들의 개수가 다수인 경우, 스위치(19311)들은 간격을 두고 제1 회로 기판(1931)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수정들은 본 개시내용의 보호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스피커를 도시하는 부분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스피커의 부분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도 30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스피커의 부분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들에서, 보조 기능 모듈은 마이크(432)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432)들의 개수는 2개, 즉 제1 마이크(432a)와 제2 마이크(432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제1 마이크(432a)와 제2 마이크(432b)는 양쪽 모두 MEMS(마이크로-전기기계 시스템) 마이크(432)일 수 있으며, 이는 작은 작동 전류, 비교적 안정적인 성능 및 높은 음성 품질을 가질 수 있다. 2개의 마이크(432)는 실제 요구 사항에 따라 플렉시블 회로 기판(44)의 다른 위치들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플렉시블 회로 기판(44)은 도 1에서 스피커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플렉시블 회로 기판(44)은 예컨대 도 1의 플렉시블 회로 기판(106)에 대응할 수 있다. 플렉시블 회로 기판(44)은 주 회로 기판(441), 및 상기 주 회로 기판(441)에 연결된 분기 회로 기판(442)과 분기 회로 기판(443)을 포함할 수 있다. 분기 회로 기판(442)은 주 회로 기판(441)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마이크(432a)는 주 회로 기판(441)으로부터 이격된 분기 회로 기판(442)의 하나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분기 회로 기판(443)은 주 회로 기판(441)에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마이크(432b)는 주 회로 기판(441)으로부터 이격된 분기 회로 기판(443)의 하나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패드(45)는 분기 회로 기판(442)과 분기 회로 기판(443)으로부터 이격된 주 회로 기판(441)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코어 하우징(41)은 개방 단부를 가진 수용 공간을 형성하도록 주변 측벽(411) 및 상기 주변 측벽(411)의 일 단부 표면에 연결된 하단 단부벽(41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이어폰 코어(42)는 개방 단부를 통해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마이크(432a)는 하단 단부벽(412)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마이크(432b)는 주변 측벽(411)에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분기 회로 기판(442) 및/또는 분기 회로 기판(443)은 코어 하우징(41)에서 마이크(432)에 대응하는 사운드 입구의 위치에 맞게 적절히 구부러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렉시블 회로 기판(44)은 주 회로 기판(441)이 하단 단부벽(412)과 평행하게 되는 방식으로 코어 하우징(4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마이크(432a)는 주 회로 기판(441)을 구부리지 않고 하단 단부벽(412)에 대응할 수 있다. 제2 마이크(432b)는 코어 하우징(41)의 주변 측벽(411)에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제2 주 회로 기판(441)을 구부릴 필요가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기 회로 기판(443)은 주 회로 기판(441)으로부터 이격된 하나의 단부에서 구부러져 있어, 분기 회로 기판(443)의 기판 표면이 주 회로 기판(441)과 분기 회로 기판(442)의 기판 표면에 수직일 수 있다. 또한, 제2 마이크(432b)는 주 회로 기판(441) 및 분기 회로 기판(442)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방향으로 코어 하우징(41)의 주변 측벽(411)에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패드(45), 패드(46), 제1 마이크(432a) 및 제2 마이크(432b)는 플렉시블 회로 기판(44)의 동일한 면에 배치될 수 있다. 패드(46)는 제2 마이크(432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패드(46)는 구체적으로 주 회로 기판(441)으로부터 이격된 분기 회로 기판(443)의 하나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마이크(432b)와 동일한 배향을 가지며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패드(46)는 분기 회로 기판(443)이 구부러짐에 따라 패드(45)의 배향에 수직일 수 있다. 분기 회로 기판(443)의 기판 표면은 분기 회로 기판(443)이 구부러진 후 주 회로 기판(441)의 기판 표면에 수직이 아닐 수 있으며, 이는 주변 측벽(411)과 하단 단부벽(412) 사이의 배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플렉시블 회로 기판(44)의 다른 면에는 패드(45)를 지지하기 위한 강성 지지판(4a)과 마이크 강성 지지판(4b)이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 강성 지지판(4b)은 제1 마이크(432a)를 지지하기 위한 강성 지지판(4b1), 및 패드(46)와 제2 마이크(432b)를 함께 지지하기 위한 강성 지지판(4b2)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강성 지지판(4a), 강성 지지판(4b1) 및 강성 지지판(4b2)은 주로 대응하는 패드들 및 마이크(432)를 지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따라서 강도를 가질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상기 3개의 재료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특정 물질은 폴리이미드(PI),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등과 같이 강도를 제공할 수 있는 다른 물질일 수 있다. 또한, 3개의 강성 지지판들의 두께는 강성 지지판들의 강도 및, 패드(45), 패드(46), 제1 마이크(432a) 및 제2 마이크(432b)에 의해 요구되는 실제 강도에 따라 설정될 수 있으며, 본원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마이크(432a) 및 제2 마이크(432b)는 각각 2개의 마이크 구성요소들(4c)에 대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2개의 마이크 구성요소들(4c)의 구조들은 동일할 수 있다. 사운드 입구(413)는 코어 하우징(41)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스피커에는 코어 하우징(41)에서 코어 하우징(41)의 내부 표면에 일체로 형성된 환형 차단벽(414)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환형 차단벽은 사운드 입구(413)의 주변부에 배치되어, 이에 의해 사운드 입구(413)에 연결된 수용 공간(415)을 한정할 수 있다.
도 2, 도 3 및 도 30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들에서, 마이크 구성요소(4c)는 방수막 구성요소(4c1)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방수막 구성요소(4c1)는 수용 공간(415) 내측에 배치되고, 사운드 입구(413)를 덮을 수 있다. 마이크 강성 지지판(4b)은 수용 공간(415) 내측에 배치되며, 사운드 입구(413)로부터 이격된 방수막 구성요소(4c1)의 일 측부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방수막 구성요소(4c1)는 코어 하우징(41)의 내부 표면에 가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마이크 강성 지지판(4b)에는 사운드 입구(413)에 대응하는 사운드 입구(4b3)가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마이크(432)는 방수막 구성요소(4c1)로부터 이격된 마이크 강성 지지판(4b)의 일 측부에 배치되고, 사운드 입구(4b3)를 덮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방수막 구성요소(4c1)는 방수 및 사운드 전송 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코어 하우징(41)의 내부 표면에 밀접하게 부착되어 코어 하우징(41) 외측의 액체가 사운드 입구(413)를 통해 코어 하우징(41)으로 유입되어 마이크(432)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운드 입구(4b3)와 사운드 입구(413)의 축방향들은 마이크(432) 등의 실제 요구 사항에 따른 각도에서 중첩되거나 교차될 수 있다.
마이크 강성 지지판(4b)은 방수막 구성요소(4c1)와 마이크(43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방수막 구성요소(4c1)는 방수막 구성요소(4c1)가 코어 하우징(41)의 내부 표면에 밀접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가압될 수 있다. 다른 한편, 마이크 강성 지지판(4b)은 일정 강도를 가질 수 있어, 이에 의해 마이크(432)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마이크 강성 지지판(4b)의 재료는 폴리이미드(PI)일 수 있거나,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등과 같이 강도를 제공할 수 있는 다른 재료일 수 있다. 또한, 마이크 강성 지지판(4b)의 두께는 마이크 강성 지지판(4b)의 강도 및 마이크(432)에 요구되는 실제 강도에 따라 설정될 수 있고, 본원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31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도 30에서 부분(C)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수막 구성요소(4c1)는 방수막 몸체(4c11) 및 환형 고무 개스킷(4c12)을 포함할 수 있다. 환형 고무 개스킷(4c12)은 마이크 강성 지지판(4b)을 향하는 방수막 몸체(4c11)의 일 측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운드 입구(413)의 주변부와 사운드 입구(4b3)에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마이크 강성 지지판(4b)은 환형 고무 개스킷(4c12)에 대해 가압될 수 있다. 따라서, 방수막 구성요소(4c1) 및 마이크 강성 지지판(4b)은 함께 접착 및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환형 고무 개스킷(4c12)은 단지 방수막 몸체(4c11)와 강성 지지판 사이의 사운드 입구(4b3)를 통해서만 마이크(432)와 연통하는 밀봉된 챔버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방수막 구성요소(4c1)와 마이크 강성 지지판(4b) 사이의 연결부에는 갭이 없을 수 있다. 따라서 방수막 몸체(4c11)와 마이크 강성 지지판(4b) 사이의 환형 고무 개스킷(4c12) 둘레의 공간은 사운드 입구(4b3)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수막 몸체(4c11)는 방수 및 사운드 전송막일 수 있으며 인간 고막과 동등할 수 있다. 외부 사운드가 사운드 입구(413)를 통해 진입할 때, 방수막 몸체(4c11)가 진동하며, 이에 의해 밀봉된 챔버 내의 기압을 변화시키고 마이크(432)에서 사운드를 생성한다.
또한, 방수막 몸체(4c11)는 진동 동안에 밀봉된 챔버 내의 기압을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기압은 적절한 범위 내에서 제어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그것이 너무 크거나 너무 작으면, 그것은 음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실시예에서, 방수막 몸체(4c11)와 강성 지지판 사이의 거리는 0.1 내지 0.2 mm, 구체적으로 0.1mm, 0.15 mm, 0.2 mm 등일 수 있다. 따라서, 방수막 몸체(4c11)의 진동 동안에 밀봉된 챔버 내의 기압의 변화는 적절한 범위 내에 있으며, 이에 의해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수막 구성요소(4c1)는, 코어 하우징(41)의 내부 표면측을 향해 방수막 몸체(4c11)에 배치되고 그리고 환형 고무 개스킷(4c12)과 중첩하는 환형 고무 개스킷(4c13)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방수막 구성요소(4c1)는 사운드 입구(413)의 주변부에서 코어 하우징(41)의 내부 표면에 밀접하게 부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사운드 입구(413)를 통해 진입된 사운드의 손실을 감소시키고, 방수막 몸체(4c11)의 진동으로 사운드를 변환하는 변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환형 고무 개스킷(4c12) 및 환형 고무 개스킷(4c13)은 각각 양면 테이프, 실란트 등이 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실란트는 환형 차단벽(414)과 마이크(432)의 주변부들에 추가로 코팅되어 밀봉을 추가로 향상시키며, 이에 의해 사운드의 변환율 및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플렉시블 회로 기판(44)은 강성 지지판과 마이크(43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운드 입구(444)는 마이크 강성 지지판(4b)의 사운드 입구(4b3)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사운드에 의해 생성된 방수막 몸체(4c11)의 진동은 사운드 입구(444)를 통과하여, 이에 의해 마이크(432)에 더욱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도 3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들에서, 플렉시블 회로 기판(44)은 마이크(432)로부터 더 멀리 연장되어 다른 기능적 구성요소들 또는 와이어들에 연결되어 대응하는 기능들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마이크 강성 지지판(4b)은 또한 마이크(43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플렉시블 회로 기판에서 일정 거리를 연장할 수도 있다.
이에 대응하여, 환형 차단벽(414)은 플렉시블 회로 기판이 수용 공간(415)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플렉시블 회로 기판의 형상과 매칭하며 갭을 갖고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갭은 밀봉을 더욱 개선하기 위해 실란트로 추가로 채워질 수 있다.
마이크 방수의 상기 설명은 단지 특정 예일 뿐이며 유일한 실행가능한 구현예로 간주해서는 안 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분명히, 당업자의 경우, 마이크 방수의 기본 원리를 이해한 후, 이 원리에서 벗어나지 않고 마이크 방수를 구현하는 특정 방법 및 단계의 형태와 세부 사항에 대한 다양한 수정들 및 변경들을 할 수 있지만, 이러한 수정들 및 변경들은 여전히 전술한 범위 내에 있다. 예를 들어, 사운드 입구(413)들의 개수는 하나 또는 다수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수정들은 본 개시내용의 보호 범위 내에 있다.
도 32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스피커의 코어 하우징을 도시하는 부분 구조도이다. 도 33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도 32에서 D 부분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34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스피커의 코어 하우징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32, 도 33 및 도 34를 참조하면, 코어 하우징은 주 하우징(2825)(즉, 도 1의 코어 하우징(108))과 배플 구성요소(282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배플 구성요소(2826)는 주 하우징(2825) 내측에 위치되고 주 하우징(2825)에 연결되며, 이에 의해 주 하우징(2825)의 내부 공간(2825)을 연결 구멍(2822) 근처에서 제1 수용 공간(271)과 제2 수용 공간(272)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주 하우징(2825)은 주변 측벽(251) 및 상기 주변 측벽(251)의 일 단부 표면에 연결된 하단 단부 벽(251)을 포함할 수 있다. 주변 측벽(251)과 하단 단부 벽(252)은 주 하우징(2825)의 내부 공간(2827)을 함께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배플 구성요소(2826)는 연결 구멍(2822) 근처의 주 하우징(2825)의 일 측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측부 배플(261)과 하단 배플(26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측부 배플(261)은 하단 단부 벽(252)에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측부 배플(261)의 양단부들은 주 하우징(2825)의 내부 공간(2827)을 공간화하도록 주변 측벽(251)에 연결될 수 있다. 하단 배플(262)은 간격을 두고 하단 단부 벽(252)에 평행하거나 근접할 수 있으며, 주변 측벽(251)과 측부 배플(261)에 각각 추가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주 하우징(2825)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2827)은 2개로 분할되어 제1 수용 공간(271)과 제2 수용 공간(272)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수용 공간(271)은 측부 배플(261), 하단 배플(262), 연결 구멍(2822)에서 이격된 주변 측벽(251), 및 하단 단부 벽(252)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제2 수용 공간(272)은 하단 배플(262), 측부 배플(261) 및 연결 구멍(2822) 근처의 주변 측벽(251)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제2 수용 공간(272)은 제1 수용 공간(271)보다 적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배플 구성요소(2826)는 또한 다른 설정 방식들에 의해 주 하우징(2825)의 내부 공간(2825)을 분할할 수 있으며, 본원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배플 구성요소(2826)는 내부 배플(263)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내부 배플(263)은 추가로 제2 수용 공간(272)을 2개의 하위 수용 공간(2721)으로 분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부 배플(263)은 측부 배플(261)과 주변 측벽(251)에 각각 연결된 주 하우징(2825)의 하단 단부 벽(2825)에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추가로 배선 구멍(2621)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수용 공간(272)이 2개의 하위 수용 공간(2721)으로 분할될 수 있는 한편, 배선 구멍(2621)은 2개로 추가로 분할될 수 있으며, 2개의 배선 구멍(2621)은 대응하는 하위 수용 공간(2721)들과 연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수용 공간(272)은 실란트로 추가로 채워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수용 공간(272) 내측에 수용된 리드 와이어(2812)와 리드 와이어(80)는 추가로 고정될 수 있으며, 리드 와이어들의 진동으로 인한 음질에 대한 부작용을 더욱 감소시키고, 리드(2812)와 리드(80) 사이의 용접점을 보호하면서 스피커의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수용 공간(272)은 방수 및 방진 목적을 구현하기 위해 밀봉될 수 있다.
스피커의 상기 설명은 단지 특정 예일 뿐이며 유일한 실행가능한 구현 해법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분명히, 당업자의 경우, 스피커의 기본 원리를 이해한 후, 이러한 원리에서 벗어나지 않고 스피커를 구현하는 특정 방법과 단계의 형태와 세부 사항에 대한 다양한 수정들 및 변경들을 할 수 있지만, 이러한 수정들 및 변경들은 여전히 전술한 범위 내에 있다. 예를 들어, 제2 수용 공간(272)은 또한 제1 수용 공간(271)보다 클 수 있다. 대안으로, 제2 수용 공간(272)은 제1 수용 공간(271)과 같을 수 있다. 이러한 모든 수정들은 본 개시내용의 보호 범위 내에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술한 스피커는 골전도 및/또는 공기 전도를 통해 사용자에게 사운드를 전송할 수 있다. 공기 전도가 사운드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스피커는 하나 이상의 음원을 포함할 수 있다. 음원은 외이도를 차단하거나 덮지 않고, 예를 들어, 머리의 상단, 이마, 뺨, 관자놀이, 외이, 외이의 후방 등 사용자의 머리의 특정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설명의 목적을 위해, 도 35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공기 전도를 통해 사운드를 전송하는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원(2810)과 음원(2820)은 반대 위상들을 가진 음파를 생성할 수 있다(도면에서 "+" 및 "-"은 반대 위상들을 나타낼 수 있다). 간결함을 위해, 본 명세서에 언급된 음원들은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의 사운드 출력 구멍들을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원(2810)과 음원(2820)은 각각 스피커의 특정 위치들(예를 들어, 코어 하우징(41) 또는 안경 템플(15))에 위치된 2개의 사운드 출력 구멍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음원(2810)과 음원(2820)은 동일한 진동 디바이스(2801)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진동 디바이스(2801)는 다이어프램(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이어프램이 전기 신호에 의해 진동하도록 구동될 때, 다이어프램의 전방 측부가 공기를 진동시킬 수 있다. 음원(2810)은 사운드 안내 채널(3112)을 통해 사운드 출력 구멍에 형성될 수 있다. 다이어프램의 후방은 공기를 진동하도록 구동할 수 있으며, 음원(2820)은 사운드 안내 채널(3122)을 통해 사운드 출력 구멍에 형성될 수 있다. 사운드 안내 채널은 다이어프램으로부터 대응하는 사운드 출력 구멍으로의 사운드 전송 경로를 지칭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운드 안내 채널은 스피커의 특정 구조체(예를 들어, 코어 하우징(41), 또는 안경 템플(12))에 의해 둘러싸인 경로일 수 있다. 일부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음원(2810)과 음원(2820)은 또한 각각 상이한 진동 디바이스들의 상이한 진동 다이어프램들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음원(2810)과 음원(2820)에 의해 생성된 사운드들 중에서, 하나의 부분은 사용자의 귀로 전송되어 사용자가 듣게 되는 사운드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부분은 환경으로 전송되어 누출된 사운드를 형성할 수 있다. 음원(2810)과 음원(2820)이 사용자의 귀들에 비교적 가깝다는 점을 감안할 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의 귀들로 전송되는 사운드는 근거리 사운드로서 지칭될 수 있다. 환경으로 전송되는 누출된 사운드는 원거리 사운드로서 지칭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피커에 의해 생성된 상이한 주파수들의 근거리/원거리 사운드들은 음원(2810)과 음원(2820) 사이의 거리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스피커에 의해 생성된 근거리 사운드는 2개의 음원들 사이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할 수 있으며, 한편 생성된 원거리 사운드(누출된 사운드)는 주파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증가할 수 있다.
다른 주파수들의 사운드들의 경우, 음원(2810)과 음원(2820) 사이의 거리가 각각 설계될 수 있으므로, 스피커에 의해 생성된 저주파 근거리 사운드(예를 들어, 800Hz 미만의 주파수를 가진 사운드)는 가능한 클 수 있고, 고주파 원거리 사운드(예를 들어, 주파수가 2000Hz를 초과하는 주파수를 가진 사운드)가 가능한 작을 수 있다. 상기 목적을 구현하기 위해, 스피커는 2세트 이상의 이중 음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중 음원들의 각 세트는 음원(2810) 및 음원(2820)과 유사한 2개의 음원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 특정 주파수들을 갖는 사운드들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세트의 이중 음원들은 저주파 사운드를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제2 세트의 이중 음원들은 고주파 사운드를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더 많은 저주파 근거리 사운드들을 얻기 위해, 제1 세트의 이중 음원들에서 두 음원 사이의 거리가 더 큰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저주파 신호는 파장이 길기 때문에, 두 음원 사이의 거리가 클수록 원거리에서 큰 위상 차이를 일으키지 않을 수 있으며, 원거리에서 과도한 누출된 사운드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고주파 원거리 사운드를 더 작게 만들기 위해, 제2 세트의 이중 음원들에서 두 음원들 사이의 거리가 더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고주파 신호는 파장이 짧기 때문에, 두 음원들 사이의 거리가 작을수록 원거리에서 큰 위상 차이의 생성을 피할 수 있으며, 따라서 과도한 누출된 사운드의 생성을 피할 수 있다. 제2 세트의 이중 음원들 사이의 거리는 제1 세트의 이중 음원들 사이의 거리보다 적을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유익한 효과는 다음을 포함하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1) 안경테와 안경 템플은 회전 샤프트를 통해 연결되며, 이에 의해 안경 내의 연결 와이어를 보호하고 연결 와이어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2) 플렉시블 회로 기판은 스피커 내의 배선 방식을 단순화할 수 있다. (3) 제2 수용 공간은 그 안에 배치된 와이어들 고정하기 위해 실란트로 채워질 수 있으며, 이는 음질에 대한 와이어 진동의 영향을 감소시키고, 이에 의해 스피커 디바이스의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수용 공간 내에 채워진 실란트는 와이어들 사이의 용접 지점을 보호할 수 있다. 제2 수용 공간의 밀봉은 방수 및 방진 기능들을 가질 수 있다. (4) 방수 및 사운드 전송 기능을 갖춘 방수막 모듈은 강성 지지판을 통해 제1 사운드 입구에 가압되고 그를 덮을 수 있다. 방수막 모듈은 코어 하우징의 내부 표면에 밀접하게 부착되어 코어 하우징 외측의 액체가 제1 사운드 입구로부터 코어 하우징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에 의해 마이크의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5) 주 음원의 사운드를 수집하는 마이크 요소의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상이한 실시예들은 상이한 유익한 효과들을 가질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상이한 실시예들에서, 가능한 유익한 효과는 상기의 임의의 하나 또는 조합일 수 있으며, 임의의 다른 유익한 효과일 수 있다.
따라서 기본 개념을 설명한 결과, 이러한 상세한 개시내용을 읽은 후 당업자에게, 상기 상세한 개시내용이 단지 예시로만 제시될 의도가 있으며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이 다소 명백할 수 있디. 본 명세서에서 명백히 진술하지 않았지만, 다양한 변경들, 개선들 및 수정들이 발생할 수 있으며, 당업자에게 의도될 수 있다. 이러한 변경들, 개선들 및 수정들은 이러한 개시내용에 의해 제안되도록 의도되며,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다.

Claims (39)

  1. 안경으로서,
    안경테;
    제어 회로 또는 배터리를 수용하는 안경 템플(temple);
    회전 샤프트로서, 상기 회전 샤프트는 상기 안경테 및 상기 안경 템플을 연결하여, 상기 안경테 및 상기 안경 템플이 상기 회전 샤프트 둘레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회전 샤프트에는 축방향을 따라 회전 샤프트 배선 채널이 배치되는, 상기 회전 샤프트;
    상기 회전 샤프트 배선 채널을 통과하며 상기 안경테 및 상기 안경 템플 각각으로 연장되는 연결 와이어;
    스피커로서, 상기 스피커는 이어폰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는 상기 안경 템플에 연결되며, 상기 안경 템플 내의 상기 제어 회로 또는 배터리가 상기 이어폰 코어를 진동하도록 구동시켜 상기 연결 와이어를 통해 사운드를 발생시키는, 상기 스프커; 및
    적어도 2개의 마이크(microphone)로서, 상기 적어도 2개의 마이크는 상기 안경 템플 또는 상기 스피커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마이크는 사용자의 입으로부터 상이한 거리들을 갖는 위치들에 위치되는, 상기 적어도 2개의 마이크를 포함하는, 안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샤프트는 제1 회전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 샤프트의 2개의 단부들은 상기 안경테 및 상기 안경 템플 각각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 샤프트 배선 채널은 상기 제1 회전 샤프트의 축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회전 샤프트 배선 채널은 상기 제1 회전 샤프트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 표면에 배치된 배선 포트를 통해 외측과 연통되고;
    상기 연결 와이어는 상기 배선 포트를 통해 상기 안경테 또는 상기 안경 템플로 연장되는, 안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샤프트 배선 채널은 제1 배선 포트 및 제2 배선 포트를 통해 외측과 연통되며, 상기 제1 배선 포트 및 상기 제2 배선 포트는 상기 제1 회전 샤프트의 2개의 단부 표면들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연결 와이어는 상기 제1 배선 포트 및 상기 제2 배선 포트 각각을 통해 상기 안경테 및 상기 안경 템플로 연장되는, 안경.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샤프트 배선 채널은 상기 제1 회전 샤프트의 단부 표면에 배치된 제1 배선 포트와 상기 제1 회전 샤프트의 측벽에 배치된 제2 배선 포트를 통해 외측과 연통되고;
    상기 연결 와이어는 상기 제1 배선 포트 및 상기 제2 배선 포트 각각을 통해 상기 안경테 및 상기 안경 템플로 연장되는, 안경.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샤프트는 상기 제2 배선 포트 근처에 배치된 상기 안경테 및 상기 안경 템플 중 하나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제1 배선 포트 근처에 배치된 상기 안경테 및 상기 안경 템플 중 다른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안경.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샤프트는 상기 제1 회전 샤프트와 동축에 있으며 그로부터 이격되는 제2 회전 샤프트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안경테는 제1 러그를 포함하며, 상기 안경 템플은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2 러그 및 제3 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 샤프트 및 상기 제2 회전 샤프트의 서로 근접한 단부 부분들은 상기 제1 러그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회전 샤프트 및 상기 제2 회전 샤프트의 서로 떨어져 있는 단부 부분들은 상기 제2 러그와 상기 제3 러그 사이에 상기 제1 러그를 유지하도록 각각 상기 제2 러그 및 상기 제3 러그에 연결되는, 안경.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선 포트는 상기 제2 회전 샤프트에 근접한 상기 제1 회전 샤프트의 단부 표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배선 포트는 상기 제2 러그에 근접한 상기 제1 회전 샤프트의 측벽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회전 샤프트는 상기 제1 러그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 러그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안경.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러그 및 상기 제2 러그는 제1 수용 구멍 및 제2 수용 구멍과 동축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수용 구멍 및 상기 제2 수용 구멍의 크기들은 상기 제1 회전 샤프트가 상기 제2 수용 구멍을 통해 상기 안경 템플의 외측에서부터 상기 제1 수용 구멍 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회전 샤프트는 상기 제2 수용 구멍과 간섭 끼워맞춤되고 상기 제1 수용 구멍과 헐거운 끼워맞춤되는, 안경.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러그 및 상기 제3 러그는 제3 수용 구멍 및 제4 수용 구멍과 동축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3 수용 구멍 및 상기 제4 수용 구멍의 크기들은 상기 제2 회전 샤프트가 상기 제4 수용 구멍을 통해 상기 안경 템플의 외측에서부터 상기 제3 수용 구멍 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회전 샤프트는 상기 제3 수용 구멍과 간섭 끼워맞춤되고 상기 제4 수용 구멍과 헐거운 끼워맞춤되며, 또는 상기 제2 회전 샤프트는 상기 제3 수용 구멍과 헐거운 끼워맞춤되고 상기 제4 수용 구멍과 간섭 끼워맞춤되는, 안경.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 샤프트는 중실 샤프트이고;
    상기 제2 회전 샤프트의 직경은 상기 제1 회전 샤프트의 직경보다 작고;
    착용 상태에서, 상기 제2 회전 샤프트는 상기 안경 템플의 상부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1 회전 샤프트는 상기 안경 템플의 하부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1 배선 포트를 배치하기 위한 상기 제1 회전 샤프트의 상기 단부 표면과 상기 회전 샤프트 배선 채널을 한정하기 위한 상기 제1 회전 샤프트의 내부 벽의 표면 사이의 연결부는 아크 형상을 갖는, 안경.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추가로:
    보조 신호를 수신하고 보조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보조 기능 모듈;
    상기 제어 회로의 오디오 신호 와이어 및 보조 신호 와이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플렉시블 회로 기판으로서, 상기 플렉시블 회로 기판을 통해 상기 오디오 신호 와이어 및 상기 보조 신호 와이어를 상기 이어폰 코어 및 상기 보조 기능 모듈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상기 플렉시블 회로 기판; 및
    상기 이어폰 코어, 상기 보조 기능 모듈 및 상기 플렉시블 회로 기판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코어 하우징을 포함하는, 안경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회로 기판은 적어도 복수의 제1 패드들 및 복수의 제2 패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패드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오디오 신호 와이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패드는 상기 플렉시블 회로 기판 상의 제1 플렉시블 리드를 통해 상기 제2 패드들 중 적어도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패드는 외부 와이어를 통해 상기 이어폰 코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패드들 중 적어도 다른 하나는 상기 보조 신호 와이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패드들 중 적어도 다른 하나는 상기 플렉시블 회로 기판 상의 제2 플렉시블 리드를 통해 상기 보조 기능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안경.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회로 기판은 적어도 주 회로 기판 및 제1 분기 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분기 회로 기판은 상기 주 회로 기판에 연결되고, 상기 주 회로 기판에서 이격되며, 상기 주 회로 기판의 하나의 단부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보조 기능 모듈은 적어도 제1 보조 기능 모듈 및 제2 보조 기능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보조 기능 모듈은 상기 주 회로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보조 기능 모듈은 상기 제1 분기 회로 기판에 배치되는, 안경.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드들은 상기 주 회로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패드는 상기 제1 분기 회로 기판에 배치되는, 안경.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회로 기판은 제2 분기 회로 기판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2 분기 회로 기판은 상기 주 회로 기판에 연결되며, 상기 주 회로 기판에서 이격되며, 상기 주 회로 기판의 다른 단부를 따라 연장되고, 그리고 상기 제1 분기 회로 기판으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보조 기능 모듈은 제3 보조 기능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3 보조 기능 모듈은 상기 제2 분기 회로 기판에 배치되는, 안경.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패드들은 상기 주 회로 기판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패드는 상기 제1 분기 회로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다른 제2 패드들은 상기 제2 분기 회로 기판에 배치되는, 안경.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코어는:
    자기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자기 회로 구성요소;
    코일 및 내부 리드를 포함하는 진동 구성요소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코일은 상기 자기장 내에 위치되고,
    상기 내부 리드는 상기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코일은 상기 내부 리드를 통해 오디오 전류를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오디오 전류를 상기 자기장의 작용하에 기계적 진동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오디오 전류를 상기 코일로 전송하는 상기 외부 와이어의 하나의 단부는 제2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외부 와이어의 다른 단부는 상기 내부 리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안경.
  18. 제17항에 있어서,
    배선 홈이 상기 코어 하우징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외부 와이어 및/또는 상기 내부 리드 라인은 상기 배선 홈 내측에 배치되는, 안경.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리드 및 상기 외부 와이어는 서로 용접되고, 용접 위치는 상기 배선 홈 내측에 위치되는, 안경.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 템플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갖는 챔버를 포함하는 수용체;
    상기 챔버를 밀봉하기 위해 상기 개구부에 배치된 커버를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커버는 브래킷 및 사출 성형에 의해 상기 브래킷의 표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커버층을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은 상기 수용체에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커버층은 상기 브래킷이 상기 수용체에 연결된 후 상기 챔버를 밀봉하는 데 사용되는, 안경.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를 향하는 상기 브래킷의 측부의 형상은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개구부와 매칭(matching)되며, 상기 커버층은 상기 수용체에서 이격된 상기 브래킷의 외부 표면을 덮는, 안경.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인서팅(inserting) 부분 및 커버링(covering)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링 부분은 상기 개구부에 배치되고, 상기 인서팅 부분은 상기 커버링 부분의 측부에 배치되고 그리고 상기 챔버의 내부벽을 따라 상기 챔버 내로 연장되어 상기 커버링 부분을 상기 개구부에 고정하는, 안경.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는 상기 개구부를 한정하기 위한 개구부 에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링 부분은 상기 개구부 근처의 상기 개구부 에지의 내부 영역으로 가압되고, 상기 커버층은 상기 수용체에서 이격된 상기 커버링 부분의 외부 표면을 덮고, 그리고 상기 개구부 에지의 상기 내부 영역의 주변부의 외부 영역으로 가압되며, 이에 의해 상기 개구부 에지로 상기 커버를 밀봉하는, 안경.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링 부분과 상기 개구부 에지의 접촉 단부 표면 및 상기 커버층과 상기 개구부 에지의 접촉 단부 표면은 덮인 상태에서 서로 동일 높이에 있거나, 상기 커버층이 상기 커버링 부분과 상기 개구부 에지 사이로 추가로 연장되며, 상기 커버링 부분은 상기 개구부 에지의 상기 내부 영역으로 가압되는, 안경.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의 상기 챔버에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회로 구성요소가 배치되고;
    상기 브래킷은 상기 스위치에 대응하는 스위치 구멍을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커버층은 상기 스위치 구멍을 덮고;
    가압 부분이 상기 스위치 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 부분은 상기 스위치 구멍을 통해 상기 챔버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커버층의 대응하는 위치가 가압될 때, 상기 가압 부분이 상기 회로 구성요소의 스위치를 가압하며, 이에 의해 상기 회로 구성요소를 트리거하여 사전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안경.
  2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의 상기 챔버는 서로에 대해 경사지는 제1 회로 기판 및 제2 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제1 마이크 요소가 상기 수용체를 대면하는 상기 제1 회로 기판의 측벽에 배치되고, 제2 마이크 요소가 상기 수용체를 대면하는 상기 제2 회로 기판의 측벽에 배치되며, 여기서
    상기 제1 마이크 요소의 반대편의 상기 수용체의 측벽은 제1 사운드 안내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운드 안내 구멍은 사운드를 상기 제1 마이크 요소로 안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마이크 요소의 반대편의 상기 수용체의 측벽은 제2 사운드 안내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운드 안내 구멍은 사운드를 상기 제2 마이크 요소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안경.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 기판은 상기 커버를 대면하고, 상기 제1 마이크 요소는 상기 커버를 대면하는 상기 제1 회로 기판의 측면에 배치되는, 안경.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운드 안내 구멍은 상기 커버에 배치되는, 안경.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 기판은 상기 커버를 상기 커버의 표면에 평행하게 또는 경사지게 대면하고, 상기 제1 사운드 안내 구멍은 상기 커버의 표면에 수직하거나 경사지는, 안경.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로 기판은 상기 수용체를 대면하고, 상기 제2 마이크 요소는 상기 수용체를 대면하는 상기 제2 회로 기판의 측부에 배치되는, 안경.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운드 안내 구멍은 상기 커버 또는 상기 제1 사운드 안내 구멍의 반대편의 상기 수용체의 측벽에 배치되는, 안경.
  3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하우징에는 제1 사운드 입구가 배치되고, 상기 스피커는:
    상기 코어 하우징의 내부 표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사운드 입구의 주변부에 배치되며, 이에 의해 상기 제1 사운드 입구에 연결된 수용 공간을 한정하는 환형 차단 벽;
    상기 수용 공간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사운드 입구를 덮는 방수막 구성요소; 및
    상기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코어 하우징의 내부 표면상의 상기 방수막 구성요소를 가압하고, 제2 사운드 입구가 배치되는 강성 지지판을 추가로 포함하는, 안경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막 구성 요소는 방수막 몸체 및 상기 강성 지지판을 향하는 상기 방수막 몸체의 하나의 측부에 배치된 제1 환형 고무 개스킷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환형 고무 개스킷은 상기 제1 사운드 입구의 주변부 및 상기 제2 사운드 입구의 주변부에 배치되고,
    상기 강성 지지판은 상기 제1 환형 고무 개스킷에 대해 가압되는, 안경.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환형 고무 개스킷은 상기 마이크와 연통하는 밀봉된 챔버를 형성하도록 그리고 단지 상기 방수막 몸체와 상기 강성 지지판 사이의 상기 제2 사운드 입구만을 통해서 배열되는, 안경.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막 구성요소는 상기 코어 하우징의 내부 표면을 향하는 상기 방수막 몸체의 하나의 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환형 고무 개스킷과 중첩하는 제2 환형 고무 개스킷을 추가로 포함하는, 안경.
  3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하우징은 주 하우징 및 배플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배플 구성요소는 상기 주 하우징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주 하우징에 연결되며, 이에 의해 상기 주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제1 수용 공간과 제2 수용 공간으로 분할하고;
    상기 코어 하우징에는 추가로 상기 코어 하우징의 외부 단부 표면과 연통하는 연결 구멍이 배치되는, 안경.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 공간은 상기 연결 구멍 근처에 배치되는, 안경.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주 하우징은 주변 측벽 및 상기 주변 측벽의 하나의 단부 표면에 연결된 하단 단부벽을 포함하는, 안경.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 구성요소는 양단부들에서 상기 주변 측벽에 연결된 측부 배플, 및 상기 하단 단부벽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주변 측벽 및 상기 측부 배플에 각각 연결된 하단 배플을 포함하고;
    상기 하단 배플에는 배선 구멍이 배치되고;
    상기 측부 배플에는 상기 하단 단부벽에서 이격된 상단 에지에서 배선 홈이 배치되는, 안경.
KR1020217008592A 2018-08-24 2019-08-24 안경 KR1025282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975515.1A CN108873372B (zh) 2018-08-24 2018-08-24 一种铰链及眼镜
CN201810975515.1 2018-08-24
CN201910009904.3 2019-01-05
CN201920031804.6 2019-01-05
CN201910009904.3A CN109495809B (zh) 2019-01-05 2019-01-05 骨传导扬声装置
CN201920031804.6U CN209267805U (zh) 2019-01-05 2019-01-05 骨传导耳机芯及骨传导扬声装置
PCT/CN2019/102390 WO2020038480A1 (zh) 2018-08-24 2019-08-24 一种眼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6058A true KR20210046058A (ko) 2021-04-27
KR102528290B1 KR102528290B1 (ko) 2023-05-03

Family

ID=69592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8592A KR102528290B1 (ko) 2018-08-24 2019-08-24 안경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1) US11846831B2 (ko)
EP (1) EP3828620A4 (ko)
JP (1) JP7208401B2 (ko)
KR (1) KR102528290B1 (ko)
BR (1) BR112021003527A8 (ko)
RU (1) RU2766545C1 (ko)
WO (8) WO202003848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0319A1 (ko) * 2021-06-09 2022-12-15 삼성전자 주식회사 방열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63362B2 (en) 2018-06-15 2022-06-14 Shenzhen Shokz Co., Ltd. Speaker device
US11463814B2 (en) 2011-12-23 2022-10-04 Shenzhen Shokz Co., Ltd. Bone conduction speaker and compound vibration device thereof
US11690847B2 (en) 2016-11-30 2023-07-04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Combinations of 15-PGDH inhibitors with corticosteroids and/or TNF inhibitors and uses thereof
WO2018145080A1 (en) 2017-02-06 2018-08-09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odulating short-chain dehydrogenase activity
US12013538B2 (en) 2017-07-03 2024-06-18 Holovisions LLC Augmented reality (AR) eyewear with a section of a fresnel reflector comprising individually-adjustable transmissive-reflective optical elements
CA3103582C (en) 2018-06-15 2023-06-13 Shenzhen Voxtech Co., Ltd. Bone conduction speaker and testing method therefor
CN109547906B (zh) 2019-01-05 2023-12-08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骨传导扬声装置
TWI761685B (zh) * 2019-06-24 2022-04-2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穿戴式顯示裝置
US11590027B2 (en) 2019-09-09 2023-02-28 Gateway Safety, Inc. Metal-detectable lens assemblies and protective eyewear including same
US11925582B2 (en) 2019-09-09 2024-03-12 Gateway Safety, Inc. Metal-detectable lens assemblies and protective eyewear including same
AU2021263005B2 (en) 2020-04-30 2023-08-10 Shenzhen Shokz Co., Ltd. Bone conduction earphones
TWM606182U (zh) * 2020-09-17 2021-01-01 鄭溪州 帶有藍芽無線雙聲道耳機的多功能眼鏡
US11516573B2 (en) * 2020-09-19 2022-11-29 Shenzhen Mengda Network Technology Co., Ltd. Split bone conduction earphone
EP4151869A4 (en) * 2020-11-19 2023-10-25 BOE Technology Group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ASSOCIATED ROTATING SHAFT MECHANISM
CN215072893U (zh) * 2021-04-01 2021-12-07 深圳市亿音科技有限公司 一种骨传导扬声装置
KR102417634B1 (ko) * 2021-04-06 2022-07-06 부전전자 주식회사 헤드셋의 실리콘 방수 구조
CN113784244B (zh) * 2021-08-31 2023-07-25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开放场远场消声喇叭装置、头戴设备和信号处理方法
USD1022016S1 (en) * 2021-09-15 2024-04-09 Shenzhen Shokz Co., Ltd. Glasses with headphones
USD1022018S1 (en) * 2021-09-15 2024-04-09 Shenzhen Shokz Co., Ltd. Glasses with headphones
USD1022020S1 (en) * 2021-09-15 2024-04-09 Shenzhen Shokz Co., Ltd. Glasses with headphones
USD1022019S1 (en) * 2021-09-15 2024-04-09 Shenzhen Shokz Co., Ltd. Glasses with headphones
USD1022017S1 (en) * 2021-09-15 2024-04-09 Shenzhen Shokz Co., Ltd. Glasses with headphones
USD1022023S1 (en) 2021-09-15 2024-04-09 Shenzhen Shokz Co., Ltd. Endpieces of glasses with headphones
USD1022011S1 (en) 2021-09-15 2024-04-09 Shenzhen Shokz Co., Ltd. V-shaped part of glasses with headphones
CN217116309U (zh) * 2022-03-30 2022-08-02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扬声器箱
US20240017683A1 (en) * 2022-07-14 2024-01-18 Zephyros, Inc. Baffle with drain path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3926A (en) * 1999-11-12 2000-12-26 Ppg Industries Ohio, Inc. Split-pin hinge with wire extending therethrough
CN201984240U (zh) * 2011-01-31 2011-09-21 雅视光学有限公司 一种眼镜的铰接装置
KR20120090097A (ko) * 2004-11-19 2012-08-16 오우크리이, 인크. 와이어리스 인터랙티브 헤드셋
US20150319546A1 (en) * 2015-04-14 2015-11-05 Okappi, Inc. Hearing Assistanc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27320A (en) 1941-11-12 1943-08-17 Sonotone Corp Amplifying hearing aid
JPS59161928A (ja) * 1983-03-04 1984-09-12 Miyota Seimitsu Kk ラジオ付きメガネの配置構造
DE8529437U1 (de) * 1985-10-16 1987-06-11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Richtmikrofon
US4902120A (en) 1988-11-22 1990-02-20 Weyer Frank M Eyeglass headphones
CA2059597A1 (en) * 1991-01-22 1992-07-23 Paul A. Vogt Radio eyewear
CA2071040A1 (en) * 1992-06-11 1993-12-12 Jacob Gluz Earphone-type speaker assembly
US6010216A (en) * 1993-01-19 2000-01-04 Jesiek; Daniel Stephen "Hear speak" two-way voice radio communications eyeglasses
US6676592B2 (en) * 1993-07-01 2004-01-13 Symphonix Devices, Inc. Dual coil floating mass transducers
EP0806099B1 (en) 1995-01-25 2000-08-30 Philip Ashley Haynes Communication method
US6850138B1 (en) 1999-12-02 2005-02-01 Nec Tokin Corporation Vibration actuator having an elastic member between a suspension plate and a magnetic circuit device
US6456720B1 (en) * 1999-12-10 2002-09-24 Sonic Innovations Flexible circuit board assembly for a hearing aid
KR100344091B1 (ko) 2000-04-18 2002-07-24 주식회사 도우미텍 골도 진동자 및 이것을 이용한 골도 스피커 헤드셋
US20120105740A1 (en) * 2000-06-02 2012-05-03 Oakley, Inc. Eyewear with detachable adjustable electronics module
US6409338B1 (en) * 2000-09-25 2002-06-25 Frank Saleem Jewell Air-generating audible spectacles device
US6769767B2 (en) * 2001-04-30 2004-08-03 Qr Spex, Inc. Eyewear with exchangeable temples housing a transceiver forming ad hoc networks with other devices
US20030048911A1 (en) * 2001-09-10 2003-03-13 Furst Claus Erdmann Miniature speaker with integrated signal processing electronics
JP2005534269A (ja) * 2002-07-26 2005-11-10 オークレイ・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無線対話式ヘッドセット
JP2004274593A (ja) 2003-03-11 2004-09-30 Temuko Japan:Kk 骨伝導スピーカ
US7477751B2 (en) 2003-04-23 2009-01-13 Rh Lyon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sound transduction with minimal interference from background noise and minimal local acoustic radiation
CN2639920Y (zh) 2003-07-29 2004-09-08 黄陈才 眼镜架弹性铰链
US7079876B2 (en) * 2003-12-23 2006-07-18 Isaac Levy Wireless telephone headset built into eyeglasses
US7289767B2 (en) 2004-01-16 2007-10-30 Chia Song Lai Wireless communication glasses
EP1718043A4 (en) 2004-02-20 2007-02-28 Temco Japan BONE LINE HANDSET
JP2005352024A (ja) * 2004-06-09 2005-12-22 Murata Mfg Co Ltd 眼鏡型インタフェース装置及び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US20060034478A1 (en) 2004-08-11 2006-02-16 Davenport Kevin E Audio eyeglasses
CN2739664Y (zh) * 2004-10-13 2005-11-09 珠海精准表业有限公司 带音乐播放器的眼镜
JP2006157318A (ja) 2004-11-29 2006-06-15 Nec Tokin Corp 骨伝導スピーカーユニット
US20060158608A1 (en) * 2005-01-19 2006-07-20 Chung-Hung Lin Eyeglasses with signal receiving function
WO2006079254A1 (en) * 2005-01-31 2006-08-03 Jow Tong Technology Co., Ltd. Eyeglasses with signal receiving function
JP4631070B2 (ja) 2005-05-23 2011-02-16 並木精密宝石株式会社 骨伝導スピーカ
KR100767260B1 (ko) * 2005-10-31 2007-10-17 (주)케이에이치 케미컬 음향 진동판 및 이를 구비하는 스피커
WO2007070508A2 (en) 2005-12-13 2007-06-21 Marcio Marc Abreu Biologically fit wearable electronics apparatus and methods
US7784935B2 (en) * 2006-01-20 2010-08-31 Jackson Michael T Eyewear with removable audio system
JP2007251358A (ja) 2006-03-14 2007-09-27 Nec Tokin Corp 骨伝導スピーカ
WO2007107985A2 (en) 2006-03-22 2007-09-27 David Weisman Method and system for bone conduction sound propagation
JP4992062B2 (ja) 2006-05-17 2012-08-08 キム、スング−ホー 骨伝導ヘッドセット
KR101135396B1 (ko) 2006-07-03 2012-04-17 아이필유(주) 다기능 초소형 스피커
TW200804887A (en) * 2006-07-12 2008-01-16 Jia-Lin Jou Slim frame of spectacle having electronic device thereon, and spectacle having the same
US20090290730A1 (en) 2006-09-07 2009-11-26 Temco Japan Co., Ltd. Bone conduction speaker
US7380935B2 (en) 2006-09-12 2008-06-03 Chic Optic, Inc. Mechanical universal hinge
US9118990B2 (en) * 2007-01-06 2015-08-25 Apple Inc. Connectors designed for ease of use
WO2008119056A1 (en) * 2007-03-27 2008-10-02 Future S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an earphone device
GB0714081D0 (en) * 2007-07-17 2007-08-29 Lewis Marcus Audio equipment
US8391534B2 (en) 2008-07-23 2013-03-05 Asius Technologies, Llc Inflatable ear device
US8270637B2 (en) 2008-02-15 2012-09-18 Sonitus Medical, Inc. Headset systems and methods
TWM349154U (en) * 2008-08-21 2009-01-11 Jetvox Acoustic Corp Dual frequency coaxial earphone with common magnet
WO2010046988A1 (ja) * 2008-10-23 2010-04-2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スピーカ装置
JP2010177901A (ja) * 2009-01-28 2010-08-12 Funai Electric Co Ltd マイクロホンユニット
GB2476033A (en) * 2009-12-04 2011-06-15 Marcus Lewis Personal audio equipment device
US20110293120A1 (en) * 2010-05-25 2011-12-01 Timothy Val Kolton Earphone transducer
US8320579B2 (en) * 2010-06-29 2012-11-27 Research In Motion Limited Control cord for headsets and auxiliary devices
ITPD20100056U1 (it) 2010-07-15 2012-01-16 Visottica Ind Spa Cerniera per occhiali
CN102141688B (zh) * 2011-03-30 2012-08-22 黄维克 一种可容纳排线或柔性线路板的镜架铰链
CN202364340U (zh) * 2011-08-05 2012-08-01 歌尔声学股份有限公司 一种硅麦克风阵列的固定机构及蓝牙耳机
JP5667018B2 (ja) 2011-09-06 2015-02-12 Kddi株式会社 携帯電話端末、携帯電話端末の音声伝達方法、携帯電話端末の音声伝達プログラム
JP5676003B2 (ja) 2011-09-30 2015-02-25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JP5926950B2 (ja) 2011-12-22 2016-05-25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CN108873372B (zh) * 2018-08-24 2024-06-14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铰链及眼镜
CN102497612B (zh) 2011-12-23 2013-05-29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骨传导扬声器及其复合振动装置
CN102523546A (zh) 2011-12-30 2012-06-27 歌尔声学股份有限公司 微型动圈式发声器及其组装方法
JP5812925B2 (ja) 2012-04-12 2015-11-17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CN202679440U (zh) 2012-06-08 2013-01-16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带骨传导功能的通信装置
JP6006598B2 (ja) 2012-09-27 2016-10-12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WO2014063345A1 (zh) * 2012-10-26 2014-05-01 易力声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头戴式耳机
US20140253867A1 (en) 2013-03-05 2014-09-11 Tao Jiang Pair of Projector Glasses
CN103167390B (zh) 2013-04-09 2017-04-19 苏州逸巛声学科技有限公司 具有气导作用的骨传导受话器
EP4040805A3 (en) * 2013-08-09 2022-10-05 MED-EL Elektromedizinische Geräte GmbH Bone conduction hearing aid system
CN203786416U (zh) 2013-10-24 2014-08-20 玉环富华眼镜有限公司 一种眼镜用弹性铰链
ITMI20131797A1 (it) * 2013-10-29 2015-04-30 Buhel S R L Trasduttore elettromagnetico per generare vibrazioni per la conduzione ossea di suoni e/o parole
CN103716739B (zh) 2014-01-06 2016-11-02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抑制骨传导扬声器漏音的方法及骨传导扬声器
CN103792683B (zh) * 2014-01-26 2015-04-08 杭州双弯月电子科技有限公司 骨传导蓝牙眼镜
KR101514677B1 (ko) * 2014-01-28 2015-05-20 주식회사 예일전자 골전도 출력장치
US9675259B2 (en) * 2014-03-12 2017-06-13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Physiological function detecting earphone and detecting method thereof
CN204374548U (zh) * 2015-01-21 2015-06-03 郭钧 智能蓝牙眼镜
TWM507624U (zh) * 2015-03-27 2015-08-21 Jetvox Acoustic Corp 音域切換耳機
CN204887455U (zh) * 2015-08-13 2015-12-16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改善骨传导扬声器音质的骨传导扬声器
CN106954153B (zh) 2015-08-13 2020-04-14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骨传导扬声器
CN107209373B (zh) * 2015-09-27 2020-07-28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头戴式显示设备
CN205103503U (zh) 2015-11-25 2016-03-23 温州市益大眼镜有限公司 一种双芯内定位弹性镜腿
US10670888B1 (en) * 2015-12-28 2020-06-02 Amazon Technologies, Inc. Head-mounted wearable device with integrated circuitry
CN205301727U (zh) 2015-12-29 2016-06-08 高正生 一种弹性眼镜脚
CN106974645A (zh) 2016-01-22 2017-07-25 周常安 眼镜式脑部活动传感器以及眼镜式电生理活动感测装置
CN106994014A (zh) * 2016-01-22 2017-08-01 周常安 耳戴式电极结构及穿戴式生理感测装置及系统
US9674597B1 (en) * 2016-02-10 2017-06-06 Bose Corporation Electrical circuit board with embedded acoustic channel
EP3455670A1 (en) * 2016-05-09 2019-03-20 Oakley, Inc. Modular wearable electroni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CN205793159U (zh) * 2016-05-24 2016-12-07 广东伟旺达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动圈与压电一体式耳机
CN205793173U (zh) 2016-05-30 2016-12-07 歌尔股份有限公司 一种耳机接线焊盘和一种耳机
CN205720956U (zh) 2016-06-08 2016-11-23 王泽玲 一种无线骨传导眼镜
CN205987287U (zh) 2016-08-17 2017-02-22 江西联创电声有限公司 新型声腔结构耳机
CN205961389U (zh) 2016-08-29 2017-02-15 张灿锋 一种骨传导耳机及带有骨传导耳机的眼镜
CN206061075U (zh) * 2016-09-06 2017-03-29 深圳市凯狮博电子有限公司 一种智能蓝牙耳机
CN206421112U (zh) * 2016-10-18 2017-08-18 深圳市看见智能科技有限公司 转轴构件改良型智能眼镜
RU172082U1 (ru) * 2016-11-21 2017-06-28 Георгий Леонович Башинджагян Электронные очки
CN206292473U (zh) 2016-11-25 2017-06-30 陈光华 一种带骨传导功能的眼镜腿、眼镜及眼镜盒
CN206387972U (zh) * 2016-12-30 2017-08-08 杨启鹏 一种眼镜用弹簧铰链
CN206365029U (zh) * 2016-12-30 2017-07-28 歌尔丹拿音响有限公司 扬声器
CN206920741U (zh) 2017-01-16 2018-01-23 张�浩 骨传导眼镜
CN206563855U (zh) 2017-03-22 2017-10-17 深圳市型社眼镜有限公司 一种眼镜弹性铰链及眼镜架
CN206640748U (zh) * 2017-03-22 2017-11-14 北京金锐德路科技有限公司 脖戴式语音交互智能设备
US10659868B1 (en) * 2017-03-28 2020-05-19 Amazon Technologies, Inc. Field replaceable spacer for head-mounted wearable device
US20180333590A1 (en) * 2017-05-17 2018-11-22 Matthew D. Millard Head worn device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US10699691B1 (en) * 2017-06-29 2020-06-30 Amazon Technologies, Inc. Active noise cancellation for bone conduction speaker of a head-mounted wearable device
CN207424414U (zh) * 2017-09-19 2018-05-29 浙江帝力眼镜股份有限公司 一种眼镜
CN207443120U (zh) 2017-09-28 2018-06-01 盐城宝丰磁电有限公司 一种防水扬声器结构
CN207266241U (zh) 2017-09-29 2018-04-20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主动降噪耳机
CN107942536B (zh) * 2017-11-28 2019-03-05 苏州佑克骨传导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骨传导耳机的太阳眼镜
US20190041666A1 (en) * 2017-12-28 2019-02-07 Nicolas Abele Electronically reinforced head-wearable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CN207718105U (zh) * 2018-01-08 2018-08-10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骨传导眼镜
CN110022503A (zh) 2018-01-08 2019-07-16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骨传导发声装置
CN207720370U (zh) * 2018-01-08 2018-08-10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骨传导发声装置
CN108600920A (zh) 2018-01-08 2018-09-28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骨传导扬声器
CN117395572A (zh) * 2018-01-08 2024-01-12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骨传导扬声器
CN108391188B (zh) 2018-02-11 2020-02-2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扬声器组件及电子设备
CN208079380U (zh) 2018-03-16 2018-11-09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扬声器单体和一种主动降噪耳塞
CA3103582C (en) * 2018-06-15 2023-06-13 Shenzhen Voxtech Co., Ltd. Bone conduction speaker and testing method therefor
CN208780925U (zh) * 2018-08-24 2019-04-23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眼镜
CN208780926U (zh) 2018-08-24 2019-04-23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铰链及眼镜
CN208847977U (zh) * 2018-08-24 2019-05-10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眼镜
CN208780932U (zh) 2018-08-24 2019-04-23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组件及眼镜
CN108845436A (zh) * 2018-08-24 2018-11-20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眼镜
CN209267805U (zh) * 2019-01-05 2019-08-16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骨传导耳机芯及骨传导扬声装置
CN108776393A (zh) * 2018-08-24 2018-11-09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眼镜
CN109061902B (zh) * 2018-08-24 2024-09-13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组件及眼镜
CN208847981U (zh) 2018-08-24 2019-05-10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铰链及眼镜
CN208780924U (zh) * 2018-08-24 2019-04-23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眼镜
CN209358728U (zh) 2019-01-05 2019-09-06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骨传导扬声装置
CN209184747U (zh) 2019-01-05 2019-07-30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骨传导扬声装置
CN117793593A (zh) * 2019-01-05 2024-03-29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骨传导扬声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3926A (en) * 1999-11-12 2000-12-26 Ppg Industries Ohio, Inc. Split-pin hinge with wire extending therethrough
KR20120090097A (ko) * 2004-11-19 2012-08-16 오우크리이, 인크. 와이어리스 인터랙티브 헤드셋
CN201984240U (zh) * 2011-01-31 2011-09-21 雅视光学有限公司 一种眼镜的铰接装置
US20150319546A1 (en) * 2015-04-14 2015-11-05 Okappi, Inc. Hearing Assistance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0319A1 (ko) * 2021-06-09 2022-12-15 삼성전자 주식회사 방열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38480A1 (zh) 2020-02-27
BR112021003527A2 (pt) 2021-05-18
US20230152606A1 (en) 2023-05-18
US11940670B2 (en) 2024-03-26
US20210072564A1 (en) 2021-03-11
US11940669B2 (en) 2024-03-26
WO2020038487A1 (zh) 2020-02-27
US20210063774A1 (en) 2021-03-04
US20210168481A1 (en) 2021-06-03
WO2020038478A1 (zh) 2020-02-27
US20210173232A1 (en) 2021-06-10
US11846831B2 (en) 2023-12-19
BR112021003527A8 (pt) 2023-03-07
WO2020038481A1 (zh) 2020-02-27
WO2020038486A1 (zh) 2020-02-27
US11977275B2 (en) 2024-05-07
JP2021535701A (ja) 2021-12-16
EP3828620A1 (en) 2021-06-02
US20240168316A1 (en) 2024-05-23
KR102528290B1 (ko) 2023-05-03
EP3828620A4 (en) 2022-03-16
US11644692B2 (en) 2023-05-09
US11899284B2 (en) 2024-02-13
US20240241395A1 (en) 2024-07-18
WO2020038488A1 (zh) 2020-02-27
US20210116719A1 (en) 2021-04-22
RU2022102528A (ru) 2022-03-01
US11592690B2 (en) 2023-02-28
WO2020038485A1 (zh) 2020-02-27
US20210168482A1 (en) 2021-06-03
RU2766545C1 (ru) 2022-03-15
WO2020038475A1 (zh) 2020-02-27
US11906817B2 (en) 2024-02-20
US20210116723A1 (en) 2021-04-22
US20210165249A1 (en) 2021-06-03
JP7208401B2 (ja) 2023-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8290B1 (ko) 안경
US12105357B2 (en) Eyeglasses
US11800275B2 (en) Loudspeaker apparatus
CN103081510B (zh) 耳用扬声器
CN114697800A (zh) 一种发声装置
CN219592604U (zh) 一种耳机
JP7295253B2 (ja) 頭部装着型オーディオ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装置、および方法のためのパーソナライズされた指向性オーディオ
RU2793148C2 (ru) Очки
CN221784333U (zh) 一种耳夹式耳机
WO2024113331A1 (zh) 一种耳机
WO2024113332A1 (zh) 机芯模组及耳机
WO2024113330A1 (zh) 壳体组件及电子设备
JP2002101489A (ja) ヘッドホン
CN118785032A (zh) 一种耳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