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5297A - 정보 처리 장치, 비일시적 기억 매체,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비일시적 기억 매체,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5297A
KR20210045297A KR1020200099123A KR20200099123A KR20210045297A KR 20210045297 A KR20210045297 A KR 20210045297A KR 1020200099123 A KR1020200099123 A KR 1020200099123A KR 20200099123 A KR20200099123 A KR 20200099123A KR 20210045297 A KR20210045297 A KR 20210045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rea
time
information
de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9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8049B1 (ko
Inventor
다이키 가네이치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210045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5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8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for evaluating statistical data, e.g. average values, frequency distributions, probability functions, regression analy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20Monitoring the location of vehicles belonging to a group, e.g. fleet of vehicles, countable or determined number of vehicles
    • G08G1/202Dispatching vehicles on the basis of a location, e.g. taxi dispatching
    • G06Q50/3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38Rendez-vous, i.e. searching a destination where several users can meet, and the routes to this destination for these users; Ride sharing, i.e. searching a route such that at least two users can share a vehicle for at least part of the rou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5Needs-based resource requirements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08G1/09670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received information might be used to generate an automatic action on the vehicle control
    • G08G1/096716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received information might be used to generate an automatic action on the vehicle control where the received information does not generate an automatic action on the vehicle contr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08G1/09673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a selection of the information might take place
    • G08G1/096741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a selection of the information might take place where the source of the transmitted information selects which information to transmit to each veh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08G1/096766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system is characterised by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 G08G1/09677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system is characterised by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where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is a central s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lgebra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정보 처리 장치(10;30)는 제어부(11;31)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1;31)는, 소정의 시간을 분할하는 복수의 시각의 각각의 시각까지, 차량(10)이 이동 가능한 에어리어의 상기 각각의 시각에 있어서의 승객의 수요를 취득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소정의 시간에 있어서의 상기 수요의 합계가 제 1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상기 각각의 시각에 있어서 상기 차량(10)이 위치하는 에어리어를 추출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비일시적 기억 매체, 및, 시스템{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AND SYSTEM}
본 발명은, 정보 처리 장치, 비일시적 기억 매체,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에어리어마다에 수요를 나타내는 고객 기대치를 산출하고, 고객 기대치에 의거하여 추장(推奬) 이동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9-079267 참조.).
본 발명은, 시간에 따라 수요가 변화되는 경우여도, 적절한 위치에 차량을 유도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제 1 양태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이다.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시간을 분할하는 복수의 시각의 각각의 시각까지 차량이 이동 가능한 에어리어의 상기 각각의 시각에 있어서의 승객의 수요를 취득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소정의 시간에 있어서의 상기 수요의 합계가 제 1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상기 각각의 시각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위치하는 에어리어를 추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한 에어리어에 관한 정보를 상기 차량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제 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한 에어리어를 대응하는 상기 시각의 순서대로 상기 차량이 통과하도록 상기 차량의 루트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도 되고, 상기 생성한 루트에 관한 정보를 상기 차량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제 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에어리어마다의 승객의 수요를 상기 복수의 시각마다 기억하도록 구성되는 기억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제 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소정의 시간을 설정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제 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시간을, 상기 차량의 위치에 대응하는 소정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손님을 태울 때까지의 평균 시간에 의거하여 설정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제 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시간에 있어서의 상기 수요의 합계가 가장 크게 되는 상기 제 1 소정의 조건을, 상기 소정의 시간에 있어서의 상기 수요의 합계가 만족시키도록, 상기 에어리어를 추출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제 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차량에 대하여 상기 수요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도 되고, 상기 복수의 시각 중 동일의 시각에 동일의 에어리어에 존재하고 있는 상기 차량의 대수에 따라 상기 수요를 조정하도록 구성되어도 되고, 상기 소정의 시간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차량의 상기 수요의 합계가 제 2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상기 각각의 시각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차량이 위치하는 에어리어를 추출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제 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일의 시각에 상기 동일의 에어리어에 존재하고 있는 상기 복수의 차량의 대수가 많을수록, 상기 동일의 시각에 있어서의 상기 동일의 에어리어에 대응하는 상기 수요가 작아지도록 상기 수요를 조정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제 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시간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차량의 상기 수요의 합계가 가장 크게 되는 상기 제 2 소정의 조건을, 상기 소정의 시간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차량의 상기 수요의 합계가 만족시키도록, 상기 에어리어를 추출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본 개시의 제 2 양태는, 1개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로 실행 가능하며, 또한,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에 기능을 실행시키는 명령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기억 매체이다. 상기 기능은, 소정의 시간을 분할하는 복수의 시각의 각각의 시각까지 차량이 이동 가능한 에어리어의 상기 각각의 시각에 있어서의 승객의 수요를 취득하는 것과, 상기 소정의 시간에 있어서의 상기 수요의 합계가 제 1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상기 각각의 시각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위치하는 에어리어를 추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양태에 있어서, 상기 기능은, 상기 추출한 에어리어에 관한 정보를 상기 차량으로 송신시키는 것을 포함하여도 된다.
상기 제 2 양태에 있어서, 상기 기능은, 상기 추출한 에어리어를 대응하는 상기 시각의 순서대로 상기 차량이 통과하도록 상기 차량의 루트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것과, 상기 생성한 루트에 관한 정보를 상기 차량으로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여도 된다.
상기 제 2 양태에 있어서, 상기 기능은,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소정의 시간을 설정시키는 것을 포함하여도 된다.
상기 제 2 양태에 있어서, 상기 기능은, 상기 소정의 시간을, 상기 차량의 위치에 대응하는 소정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손님을 태울 때까지의 평균 시간에 의거하여 설정시키는 것을 포함하여도 된다.
상기 제 2 양태에 있어서, 상기 기능은, 상기 소정의 시간에 있어서의 상기 수요의 합계가 가장 크게 되는 상기 제 1 소정의 조건을, 상기 소정의 시간에 있어서의 상기 수요의 합계가 만족시키도록, 상기 에어리어를 추출시키는 것을 포함하여도 된다.
상기 제 2 양태에 있어서, 상기 기능은, 복수의 상기 차량에 대하여 상기 수요를 취득하는 것과, 상기 복수의 시각 중 동일의 시각에 동일의 에어리어에 존재하고 있는 상기 차량의 대수에 따라 상기 수요를 조정하는 것과, 상기 소정의 시간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차량의 상기 수요의 합계가 제 2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상기 각각의 시각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차량이 위치하는 에어리어를 추출하는 것을 포함하여도 된다.
상기 제 2 양태에 있어서, 상기 기능은, 상기 동일의 시각에 상기 동일의 에어리어에 존재하고 있는 상기 복수의 차량의 대수가 많을수록, 상기 동일의 시각에 있어서의 상기 동일의 에어리어에 대응하는 상기 수요가 작아지도록 상기 수요를 조정시키는 것을 포함하여도 된다.
상기 제 2 양태에 있어서, 상기 기능은, 상기 소정의 시간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차량의 상기 수요의 합계가 가장 크게 되는 상기 제 2 소정의 조건을, 상기 소정의 시간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차량의 상기 수요의 합계가 만족시키도록, 상기 에어리어를 추출시키는 것을 포함하여도 된다.
본 개시의 제 3 양태는, 시스템이다. 상기 시스템은, 위치 정보를 서버에 대하여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차량과, 제어부를 포함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소정의 시간을 분할하는 복수의 시각의 각각의 시각까지 상기 차량이 이동 가능한 에어리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소정의 시간을 분할하는 복수의 시각의 각각의 시각까지 상기 차량이 이동 가능한 에어리어의 상기 각각의 시각에 있어서의 승객의 수요를 취득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소정의 시간에 있어서의 상기 수요의 합계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상기 각각의 시각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위치하는 에어리어를 추출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상기 제 1 양태, 상기 제 2 양태, 및 상기 제 3 양태에 의하면, 시간에 따라 수요가 변화되는 경우여도, 적절한 위치에 차량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특징, 이점, 및 기술적 그리고 산업적 중요성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될 것이며, 첨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시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차량 및 서버의 각각의 구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차량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서버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차량이 이동 가능한 에어리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6은 시각 T1에 있어서 차량이 에어리어 C4에 위치하고 있다고 가정하였을 경우에, 시각 T1로부터 시각 T2까지의 시간에 차량이 이동 가능한 에어리어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각 시각에 대응하는 수요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차량 정보의 테이블 구성을 예시한 도이다.
도 9는 수요 정보의 테이블 구성을 예시한 도이다.
도 10은 서버가 차량에 루트를 출력하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1은 차량으로부터 차량 정보를 출력하는 처리의 플로우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12는 차량이 운전자에게 루트를 안내할 때의 처리의 플로우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13은 제 2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는 서버가 각 차량에 루트를 출력하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본 개시의 양태의 하나인 정보 처리 장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제어부는, 소정의 시간에 있어서의 복수의 시각의 각각의 시각까지 차량이 이동 가능한 에어리어의 각각의 시각에 있어서의 승객의 수요를 취득한다. 차량은, 손님을 운송하는 것에 의해 대가를 받는 예를 들면 택시이다. 택시는, 예를 들면, 소위 손님을 찾아다니는 택시, 택시 타는 곳 또는 호출에 의해 손님을 태우는 택시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소정의 시간은, 예를 들면, 현시점부터 차량이 손님을 태울 때까지의 시간으로 하여 설정되어도 된다. 차량이 손님을 태울 때까지의 시간은, 예를 들면, 과거에 차량이 손님을 태울 때까지 실제로 요한 시간에 의거하여 취득하여도 된다. 소정의 시간의 개시 시각은, 예를 들면, 차량의 유도를 개시하는 시각이며, 현재 시각, 또는, 장래의 임의의 시각으로 하여도 된다. 복수의 시각은, 소정의 시간 내에 있어서 소정의 시간을 분할하는 시각이다. 각각의 시각의 간격은, 일정하여도 되고, 달라도 된다. 차량이 이동 가능한 에어리어는, 예를 들면, 경도 및 위도에 의거하여 구획된 에어리어여도 되고, 시구 읍면 등의 행정 구역에 의해 구획된 에어리어여도 된다. 또한, 같은 차량이 다른 시각에 같은 에어리어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차량이 이동 가능한 에어리어는, 예를 들면, 시간과 각 도로의 제한 속도에 의거하여 산출하여도 되고, 차량이 각 시각 사이에 일정한 거리를 주행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산출하여도 된다. 수요는, 장래의 각 시각의 각 에어리어의 승객의 수에 상관하는 값이다. 수요는, 예를 들면, 각 시각의 각 에어리어에 있어서 예상되는 승객의 수, 또는, 각 시각의 각 에어리어에 있어서 예상되는 승객의 수에 상관하는 값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수요는, 제어부가 산출하여도 되고, 다른 서버 등으로부터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제어부는, 소정의 시간에 있어서의 수요의 합계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각 시각에 있어서 차량이 위치하는 에어리어를 추출한다. 수요의 합계는, 차량이 소정 시간 내에 손님을 태울 확률과 상관 관계에 있다. 소정의 조건은, 예를 들면, 손님을 태울 확률이 가장 높게 되는 조건으로 하여도 되고, 손님을 태울 확률이 허용 범위 내가 되는 조건으로 하여도 되고, 매상고가 가장 높게 되는 조건으로 하여도 되고, 또는, 매상고가 허용 범위 내가 되는 조건으로 하여도 된다. 이러한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각 시각에 있어서 차량이 위치하는 에어리어를 추출함으로써, 차량이 손님을 태울 확률을 높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매상고를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추출한 에어리어에 관한 정보를 상기 차량으로 송신하여도 된다. 각 시각에 위치해야 할 에어리어를 차량으로 송신함으로써, 차량의 운전자는, 어느 시각에 어느 에어리어를 향하면 좋을지를 알 수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손님을 태우기 쉬운 루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추출한 에어리어를 대응하는 상기 각각의 시각의 순서대로 상기 차량이 통과하도록 상기 차량의 루트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것과, 생성한 루트에 관한 정보를 상기 차량으로 송신하는 것을 실행하여도 된다. 이처럼, 제어부가 차량의 루트를 생성하여 차량에 제공할 수도 있다. 차량에서는, 예를 들면 루트를 표시함으로써, 운전자가 루트에 따라서, 차량을 운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리어마다의 승객의 수요를 상기 복수의 시각마다 기억하고 있는 기억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수요는, 예를 들면, 과거의 승객의 수요의 이력에 의거하여 예측하여도 되고, 현시점의 인구 등에 의거하여 예측하여도 된다. 또한, 이벤트의 개최 또는 열차의 운휴 등의 정보에 의거하여 수요를 예측하여도 된다. 이 수요는, 제어부가 산출하여 기억부에 기억시켜도 되고, 다른 서버 등으로부터 얻은 정보를 제어부가 얻어서 기억부에 기억시켜도 된다. 수요를 기억부에 기억시켜 두는 것에 의해, 차량에 대응하는 에어리어를 조속히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소정의 시간`을 설정하여도 된다. 여기에서, 차량의 현재 위치에 의해 승객을 태우기 용이함이 다른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인구가 많은 지역에서는, 적은 지역보다도, 승객을 태우기 쉽다. 따라서, 인구가 많은 지역에서는, 적은 지역보다도, 단시간에 승객을 태울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차량을 유도하는 시간이 짧아도 된다. 즉, 인구가 많은 지역에 위치하는 차량에서는, 소정의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이처럼, 차량의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소정의 시간을 설정함으로써, 필요 이상의 연산이 행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제어부의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시간을, 상기 차량의 위치에 대응하는 소정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손님을 태울 때까지의 평균 시간에 의거하여 설정하여도 된다. 소정의 영역은, 차량의 현재 위치를 포함한 영역이며, 예를 들면, 차량이 손님을 태울 때까지 요하는 시간이 같거나, 또는, 같다고 하여도 문제가 없는 영역이다. 이러한 소정의 영역에 있어서 차량이 손님을 태울 때까지의 평균 시간을 미리 구해 두고, 이 평균 시간에 의거하여 소정의 시간을 설정함으로써, 필요 이상의 시간이 설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어부의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시간에 있어서의 상기 수요의 합계가 가장 크게 되는 것을 상기 소정의 조건으로 하여, 상기 에어리어를 추출하여도 된다. 수요의 합계가 가장 크게 되도록, 각 시각에 대응하는 에어리어를 추출함으로써, 승객을 태울 확률을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차량의 각각의 차량에 대하여 상기 수요를 취득하는 것과, 상기 복수의 시각 중 동일의 시각에 동일의 에어리어에 존재하고 있는 상기 차량의 대수에 따라 상기 수요를 조정하는 것과, 상기 소정의 시간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차량의 상기 수요의 합계가 제 2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상기 각각의 시각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차량이 위치하는 에어리어를 추출하는 것을 실행하여도 된다. 즉, 복수의 차량의 전체로서 손님을 태울 확률이 높아지도록, 각 시각에 있어서 각 차량이 위치하는 에어리어를 추출하여도 된다. 복수의 차량은, 예를 들면, 상기의 소정의 영역에 존재하는 차량으로 하여도 되고, 소정의 영역에 등록되어 있는 차량으로 하여도 되고, 동일한 사업소에 속해 있는 차량으로 하여도 된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동일 시각에 동일 에어리어에 존재하는 차량이 많아질수록, 다른 차량이 승객을 태울 확률이 높아질 수 있다. 그 때문에, 각각의 차량이 승객을 태울 확률이 낮아질 수 있다. 즉, 동일 시각에 동일 에어리어에 존재하는 손님의 수가 같아도, 차량의 수에 의해, 차량이 손님을 태울 확률이 감소한다. 그래서, 제어부는, 동일 시각에 동일 에어리어에 존재하고 있는 차량의 대수에 따라 수요를 조정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복수의 차량의 전체로서, 승객을 태울 확률을 높일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차량이 사업소에 속하는 경우에는, 사업소로서의 매상고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일의 시각에 상기 동일의 에어리어에 존재하고 있는 상기 복수의 차량의 대수가 많을수록, 상기 동일의 시각에 있어서의 상기 동일의 에어리어에 대응하는 상기 수요가 작아지도록 상기 수요를 조정하여도 된다. 즉, 동일 시각에 동일 에어리어에 존재하고 있는 차량의 대수가 많을수록, 차량이 손님을 태울 확률이 낮아지기 때문에, 수요가 작아지도록 조정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수요로서 승객의 인원수와 상관 관계에 있는 값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승객의 인원수를 다른 차량의 대수만큼만큼 감소한 값에 대응하도록 수요를 조정한다. 이처럼, 수요를 조정함으로써, 동일 시각에 동일 에어리어에 차량이 과잉하게 모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시간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차량의 상기 수요의 합계가 가장 크게 되는 것을 상기 제 2 소정의 조건으로 하여, 상기 에어리어를 추출하여도 된다. 복수의 차량의 전체로서의 수요를 모두 합한 값이 가장 크게 되도록, 각 시각에 각 차량이 위치하는 에어리어를 추출함으로써, 복수의 차량의 전체로서 승객을 태울 확률을 높게 할 수 있다.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형태의 구성은 예시이며, 본 개시는 실시형태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는 가능한 한 조합시킬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제 1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시스템(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시스템(1)은, 차량(10) 및 서버(30)를 포함한다. 차량(10)은, 위치 정보를 취득하고, 그 위치 정보를 서버(30)로 송신한다. 그리고, 서버(30)는, 차량(10)의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장래의 각 시각에 차량(10)이 이동 가능한 에어리어를 구하고, 추가로, 차량(10)이 각 에어리어에 도착하였을 때의 승객의 수요를 취득한다. 서버(30)는, 복수의 시각(T1, …, Tn)의 각각에 있어서, 차량(10)이 이동 가능한 에어리어를 산출한다. 또한, n은, 2 이상의 수이다. 또한, 현재 시각을 시각 T0이라고 한다. 시각 T1로부터 시각 Tn까지 차량(10)이 이동 가능한 에어리어의 조합은 복수 존재한다. 그 복수의 에어리어의 조합 중에서, 서버(30)는, 시각 T1로부터 시각 Tn까지의 사이에서 손님을 태울 확률이 가장 높게 되는 에어리어의 조합을 추출한다. 또한, 서버(30)는, 추출한 에어리어의 조합을 차량(10)으로 송신한다. 차량(10)에서는, 예를 들면, 수신한 에어리어의 조합을 시각순으로 통과하는 루트를 디스플레이에 표시시켜서, 운전자에게 루트를 안내한다. 또한, 서버(30)가, 추출한 에어리어의 조합을 차량(10)이 시각순으로 통과하는 루트를 생성하여 차량(10)으로 송신하여도 된다.
차량(10) 및 서버(30)는, 네트워크(N1)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네트워크(N1)는, 예를 들면, 인터넷 등의 세계 규모의 공중통신망이며 WAN(Wide Area Network)이나 그 밖의 통신망이 채용되어도 된다. 또한, 네트워크(N1)는, 휴대전화 등의 전화 통신망, Wi-Fi(등록상표) 등의 무선 통신망을 포함하여도 된다. 도 1에는, 예시적으로 1대의 차량(10)을 도시하고 있지만, 차량(10)은 복수 존재할 수 있다.
(하드웨어 구성)
다음으로, 도 2에 의거하여 차량(10) 및 서버(30)의 하드웨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시스템(1)을 구성하는 차량(10) 및 서버(30)의 각각의 구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차량(10)은, 프로세서(11), 주(主)기억부(12), 보조 기억부(13), 통신부(14), 위치 정보 센서(15), 입력부(16), 및, 출력부(17)를 가진다. 이것들은, 버스에 의해 서로 접속된다. 프로세서(11)는, CPU(Central_Processing_Unit)이나 DSP(Digital_Signal_Processor) 등이다. 프로세서(11)는, 차량(10)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처리의 연산을 행한다.
주기억부(12)는, RAM(Random_Access_Memory), ROM(Read_Only_Memory) 등이다. 보조 기억부(13)는, EP ROM(Erasable_Programmable_ROM),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_Disk_Drive), 리무버블 미디어 등이다. 보조 기억부(13)에는, 오퍼레이팅 시스템(Operating_System:OS), 각종 프로그램, 각종 테이블 등이 저장된다. 보조 기억부(13)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프로세서(11)가 주기억부(12)의 작업 영역에 로드하여 실행하고, 이 프로그램의 실행을 개재하여 각 구성부 등이 제어된다. 주기억부(12) 및 보조 기억부(13)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이다. 도 2에 나타낸 구성은, 복수대의 컴퓨터가 연계된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보조 기억부(13)에 저장되는 정보는, 주기억부(12)에 저장되어도 된다. 또한, 주기억부(12)에 저장되는 정보는, 보조 기억부(13)에 저장되어도 된다.
통신부(14)는, 차량(10)을 네트워크(N1)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수단이다. 통신부(14)는, 예를 들면, 이동 통신 서비스(예를 들면, 5G(5th_Generation), 4G(4th_Generation), 3G(3rd_Generation), LTE(Long_Term_Evolution) 등의 전화 통신망), Wi-Fi(등록상표) 등의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N1) 경유로 다른 장치(예를 들면 서버(30) 등)와 통신을 행하기 위한 회로이다.
위치 정보 센서(15)는, 소정의 주기로, 차량(10)의 위치 정보(예를 들면 위도, 경도)를 취득한다. 위치 정보 센서(15)는, 예를 들면, GPS(Global_Positioning_System) 수신부, 무선 LAN 통신부 등이다. 위치 정보 센서(15)에서 취득된 정보는, 예를 들면, 보조 기억부(13) 등에 기록되어, 서버(30)로 송신된다.
입력부(16)는, 이용자가 행한 입력 조작을 접수하는 수단이며, 예를 들면, 터치패널, 푸쉬 버튼, 마우스, 키보드 등이다. 입력부(16)는, 예를 들면, 차량(10)에 손님이 승차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입력 가능하다. 출력부(17)는, 이용자에 대하여 정보를 제시하는 수단이며, 예를 들면, LCD(Liquid_Crystal_Display), EL(Electroluminescence) 패널, 스피커, 램프 등이다. 입력부(16) 및 출력부(17)는, 1개의 터치패널 디스플레이로 하여 구성하여도 된다.
다음으로, 서버(30)에 대하여 설명한다. 서버(30)는, 프로세서(31), 주기억부(32), 보조 기억부(33), 통신부(34)를 가진다. 이것들은, 버스에 의해 서로 접속된다. 서버(30)의 프로세서(31), 주기억부(32), 보조 기억부(33), 통신부(34)에 대해서는, 차량(10)의 프로세서(11), 주기억부(12), 보조 기억부(13), 통신부(14)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서버(30)의 프로세서(31)는, 「제어부」의 일례이다.
또한, 차량(10), 또는, 서버(30)에 있어서 실행되는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지만,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다. 차량(10), 또는, 서버(30)의 하드웨어 구성은, 도 2에 나타내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능 구성 : 차량)
도 3은, 차량(10)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차량(10)은, 기능 구성 요소로서, 정보 송신부(101) 및 네비게이션부(102)를 구비하고 있다. 정보 송신부(101) 및 네비게이션부(102)는, 예를 들면, 차량(10)의 프로세서(11)가, 보조 기억부(13)에 기억된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제공되는 기능 구성 요소이다.
정보 송신부(101)는, 예를 들면, 위치 정보 센서(15)로부터 취득하는 위치 정보, 및, 입력부(16)로부터 취득하는 실차(實車) 정보를, 통신부(14)를 개재하여 서버(30)로 송신한다. 위치 정보는, 차량(10)의 현재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실차 정보는, 차량(10)이 손님을 태우고 있는 상태(실차 상태)인지, 손님을 태우고 있지 않은 상태(공차(空車) 상태)에 있는지를 구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정보 송신부(101)로부터 서버(30)로 송신되는 정보를 「차량 정보」라고도 말한다. 정보 송신부(101)가, 차량 정보를 송신하는 타이밍은 적절히 설정 가능하며, 예를 들면, 정기적으로 송신하여도 되고, 어떠한 정보를 서버(30)로 송신하는 타이밍에 맞춰서 송신하여도 되고, 서버(3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송신하여도 된다. 정보 송신부(101)는, 자차량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차량 ID)와 연관지어, 차량 정보를 서버(30)로 송신한다.
네비게이션부(102)는 보조 기억부(13)에 저장된 지도 정보 등에 의거하여, 차량(10)의 현재지의 주변의 지도를 출력부(17)에 표시한다. 또한, 네비게이션부(102)는, 서버(3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따라서, 운전자에 대하여 루트를 안내한다. 예를 들면, 서버(30)로부터 루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였을 경우에는, 그 루트에 따라서, 차량(10)을 안내한다. 또한, 서버(30)로부터 목표로 하는 에어리어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였을 경우에는, 그 에어리어를 향하도록 차량(10)을 안내한다. 또한, 서버(30)로부터 각 시각에 대응하는 에어리어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였을 경우에는, 각 시각에 대응하는 에어리어를 순서대로 통과하도록 차량(10)을 안내한다. 네비게이션부(102)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에 지도와 루트를 표시시키거나, 루트에 따라서, 이동 방향을 음성으로 안내하거나 한다. 네비게이션부(102)의 기능에 대해서는, 관련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기능 구성 : 서버)
도 4는, 서버(30)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서버(30)는, 기능 구성 요소로서, 취득부(301), 생성부(302), 정보 송신부(303), 차량 정보 DB(311), 수요 정보 DB(312), 및, 지도 정보 DB(313)를 포함한다. 취득부(301), 생성부(302), 정보 송신부(303)는, 예를 들면, 서버(30)의 프로세서(31)가, 보조 기억부(33)에 기억된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제공되는 기능 구성 요소이다.
차량 정보 DB(311), 수요 정보 DB(312), 지도 정보 DB(313)는, 프로세서(31)에 의해 실행되는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Database_Management_System, DBMS)의 프로그램이, 보조 기억부(33)에 기억되는 데이터를 관리함으로써 구축된다, 예를 들면, 릴레이셔널 데이터베이스이다. 또한, 서버(30)의 각 기능 구성 요소 중 어느 것, 또는 그 처리의 일부는, 네트워크(N1)에 접속되는 다른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어도 된다.
취득부(301)는, 차량(10)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관리한다. 취득부(301)는, 예를 들면, 차량(10)으로부터 송신된 차량 정보(위치 정보 및 실차 정보)를 취득하여 관리한다. 취득부(301)는, 차량 정보를 차량 ID 및 차량 정보를 수신한 시각과 연관지어서 차량 정보 DB(311)에 저장한다.
생성부(302)는, 공차 상태의 차량(10)에 제공하는 루트를 생성한다. 생성부(302)는, 차량(10)이 현재 시각 T0을 개시 시점으로 하여, 시각 T1로부터 시각 Tn까지의 각 시각까지 이동 가능한 에어리어의 조합을 모두 생성한다. 추가로, 각 시각의 각 에어리어에 대응하는 수요에 관한 정보(이하, 수요 정보라고도 한다.)를 수요 정보 DB(312)로부터 취득한다. 생성부(302)는, 에어리어의 조합의 각각에 대해서, 시각 T1로부터 시각 Tn의 각 시각에 대응한 수요의 합계를 산출한다. 그리고, 수요의 합계가 가장 크게 되는 에어리어의 조합을 추출한다. 이 수요의 합계가 가장 크게 되는 에어리어의 조합은, 시각 T1로부터 시각 Tn까지의 각 시각에 있어서, 차량(10)이 이동의 목표로 하는 에어리어의 조합이 된다. 그리고, 생성부(302)는, 수요의 합계가 가장 크게 되는 에어리어의 조합에 의거하여, 차량(10)의 루트를 생성한다. 차량(10)의 루트는, 시각 T1로부터 시각 Tn까지의 각 시각에 있어서, 추출된 에어리어 내에 차량(10)이 위치하도록 생성된다.
도 5는, 차량(10)이 이동 가능한 에어리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5에 있어서, 「T0」 있어서의 흰색 원형은, 시각 T0에 있어서의 차량(10)이 위치하는 에어리어를 나타내고 있으며, 「T1」에 있어서의 흰색 원형은, 시각 T1까지 차량(10)이 이동 가능한 에어리어를 나타내고 있으며, 「T2」에 있어서의 흰색 원형은, 시각 T2까지 차량(10)이 이동 가능한 에어리어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있어서, 세로방향의 선에 A~G의 부호를 붙이고, 가로방향의 선에 1~7의 부호를 붙이고 있다. 세로방향의 선의 A~G와, 가로방향의 선의 1~7의 각각의 교점이 에어리어의 대표점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D」로 나타내지는 세로방향의 선과, 「4」로 나타내지는 가로방향의 선의 교점을 에어리어 D4라고 칭한다. 세로방향의 선의 A~G, 및, 가로방향의 선의 1~7의 간격은, 차량(10)이 각 시각 사이에 이동 가능한 거리에 의거하여 설정하고 있다. 또한, 차량(10)은, 다음 시각까지의 사이에 같은 에어리어에 머물 수도 있다. 또한, 차량(10)은, 이전에 통과한 에어리어로 되돌아갈 수도 있다.
도 5에 있어서, 시각 T0에서는, 차량(10)이 에어리어 D4에 위치하고 있다. 시각 T0으로부터 시각 T1까지의 시간에 차량(10)은, 이웃하는 교점까지 이동할 수 있다. 즉, 에어리어 C4,D3,D5,E4 중 어느 에어리어까지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은, 에어리어 D4로부터 이동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시각 T1에서는, 차량(10)은, 에어리어 C4,D3,D4,D5,E4 중 어느 곳에 위치한다.
마찬가지로, 시각 T2에서는, 차량(10)이 이동 가능한 에어리어가 넓혀진다. 여기에서, 도 6은, 시각 T1에 있어서 차량(10)이 에어리어 C4에 위치하고 있다고 가정하였을 경우에, 시각 T1로부터 시각 T2까지의 시간에 차량(10)이 이동 가능한 에어리어를 나타낸 도이다. 시각 T1로부터 시각 T2까지의 시간에 차량(10)은, 이웃하는 교점까지 이동할 수 있다. 즉, 시각 T1에 있어서 차량(10)이 에어리어 C4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시각 T2까지 에어리어 B4,C3,C5,D4 중 어느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은, C4로부터 이동하지 않아도 된다. 이처럼, 시각 T1로부터 시각 Tn까지의 시간에 차량(10)이 이동 가능한 에어리어의 조합을 모두 산출한다.
다음으로, 도 7은, 각 시각에 대응하는 수요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의 각 에어리어에 나타내지는 숫자는, 예를 들면, 예측되는 손님의 수이다. 예를 들면, T0으로부터 T2까지, 에어리어 D4, 에어리어 C4, 에어리어 B4의 순서대로 차량(10)이 이동한다고 가정하였을 경우에는, 시각 T1에 있어서의 수요는 에어리어 C4의 「5」이며, 시각 T2에 있어서의 수요는 에어리어 B4의 「7」이기 때문에, 수요의 합계는 5+7=12가 된다.
생성부(302)는, 차량(10)이 이동 가능한 에어리어의 조합의 각각에 있어서 수요의 합계를 산출하고, 수요의 합계가 가장 크게 되는 에어리어의 조합을 추출한다. 또한, 생성부(302)는, 추출한 에어리어의 조합에 관한 정보를 시각과 연관지어서 생성하여, 차량(10)으로 송신하여도 된다. 또한, 추출한 에어리어의 조합에 대응하는 차량(10)의 루트를 생성하여, 차량(10)으로 송신하여도 된다. 생성부(302)가, 추출한 에어리어의 조합에 관한 정보를 차량(10)으로 송신하였을 경우에는, 차량(10)의 네비게이션부(102)가 각 시각에 각 에어리어를 통과하도록 루트를 생성한다.
정보 송신부(303)는, 추출한 에어리어의 조합에 관한 정보, 또는, 추출한 에어리어의 조합에 의거하여 생성한 루트에 관한 정보를, 차량(10)으로 송신한다. 송신되는 정보에는, 예를 들면, 시각 T1로부터 시각 Tn까지의 각 시각의 각 에어리어에 대응한 목적지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차량 정보 DB(311)는, 보조 기억부(33)에 차량 정보가 저장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차량 정보 DB(311)에는, 차량 ID에 관한 정보, 시각에 관한 정보, 위치 정보, 및, 실차 정보가 저장된다. 여기에서, 차량 정보 DB(311)에 저장되는 차량 정보의 구성에 대해서, 도 8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차량 정보의 테이블 구성을 예시한 도이다. 차량 정보 테이블은, 예를 들면, 차량 ID, 시각, 위치, 및, 실차의 각 필드를 가진다. 차량 ID 필드에는, 차량(10)을 특정하는 식별 정보가 입력된다. 시각 필드에는, 차량 정보가 취득된 시각에 관한 정보가 입력된다. 위치 필드에는, 차량(10)이 송신한 위치 정보가 입력된다. 실차 필드에는, 차량(10)이 송신한 실차 정보가 입력된다. 취득부(301)는, 차량(10)으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신하면, 차량 정보 DB(311)에 있어서 차량(10)에 대응하는 레코드를 갱신한다.
수요 정보 DB(312)는, 보조 기억부(33)에 상기의 수요 정보가 저장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수요 정보 DB(312)에 저장되는 수요 정보의 구성에 대해서, 도 9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수요 정보의 테이블 구성을 예시한 도이다. 수요 정보 테이블은, 예를 들면, 에어리어, 시각, 수요의 각 필드를 가진다. 에어리어 필드에는, 에어리어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가 입력된다. 시각 필드에는, 수요에 대응하는 시각에 관한 정보가 입력된다. 수요 필드에는, 수요에 관한 정보(수요 정보)가 입력된다. 수요 정보는, 예를 들면, 그 에어리어에 있어서 예측되는 승객의 수에 관한 정보이다. 수요 정보는, 예를 들면, 휴대전화 네트워크 회선에 대한 에어리어마다의 액세스수에 의거하여 현재의 인구 분포를 도출하고, 인구 분포의 시계열 데이터, 기상 데이터, 이벤트의 개최에 관한 정보, 및, 열차의 운휴에 관한 정보 등으로부터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것에 의해 얻어도 된다. 또한, 수요 정보는, 과거의 실적에 의거하여 산출하여도 된다. 수요 정보는, 생성부(302)가 생성하여도 되고, 다른 시스템 등으로부터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수요에 관한 정보는, 관련 기술을 이용하여 취득하여도 된다.
지도 정보 DB(313)에는, 지도 데이터, 당해 지도 데이터 상의 각 지점의 특성을 나타내는 문자나 사진 등의 POI(Point_of_Interest)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지도 정보 DB(313)는, 네트워크(N1)에 접속되는 다른 시스템, 예를 들면, GIS(Geographic_Information_System)로부터 제공되어도 된다. 지도 데이터에는, 예를 들면, 도로(링크)에 관한 링크 데이터, 노드점에 관한 노드 데이터, 각 교차점에 관한 교차점 데이터, 경로를 탐색하기 위한 탐색 데이터, 시설에 관한 시설 데이터, 지점을 검색하기 위한 검색 데이터 등이 포함된다.
(처리의 흐름 : 서버)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제 1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서버(30)의 처리를 설명한다. 도 10은, 서버(30)가 차량(10)에 루트를 출력하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처리는, 공차 상태의 차량(10)에 대해서, 소정의 주기로 프로세서(31)에 의해 실행된다. 또한, 차량 정보 DB(311) 및 수요 정보 DB(312)에는, 필요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복수의 차량(10)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각 차량(10)에 대하여 실행된다.
단계 S101에서는, 정보 송신부(303)가, 차량(10)에 대하여 루트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고 완료하였는지 판정한다. 본 단계 S101에서는, 차량(10)에 대하여 루트에 관한 정보를 송신할 필요가 있는지 아닌지 판정하고 있다. 단계 S101에서 부정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S102로 진행되고, 긍정 판정된 경우에는 본 루틴을 종료시킨다. 단계 S102에서는, 생성부(302)가, 차량 정보 DB(311)로부터 차량(10)의 현재지를 취득한다. 단계 S103에서는, 생성부(302)가, 차량(10)의 현재지에 의거하여, 루트 안내를 행하는 시간(소정의 시간)을 취득한다. 소정의 시간은, 예를 들면, 차량(10)이 손님을 태울 때까지 요하는 시간의 평균값으로 설정된다. 이에 의해, 필요 충분한 시간만큼 루트 안내를 실시한다. 소정의 시간의 개시 시각은, 예를 들면 현재 시각이지만, 임의의 시각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소정의 시간은, 소정의 영역마다 설정된다. 소정의 영역은, 예를 들면, 행정 구역 등에 의거하여 분할된 영역이어도 되고, 경선과 위선에 의하여 분할된 영역이어도 된다. 이 소정의 영역은, 복수의 에어리어를 포함하고 있다. 생성부(302)는, 지도 정보 DB(313)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10)의 현재지를 포함하고 있는 소정의 영역을 특정하고, 이어서, 소정의 영역에 연관지어진 소정의 시간을 취득한다. 소정의 영역과 소정의 시간의 관계는, 미리 보조 기억부(33)에 기억시켜 둔다.
단계 S104에서는, 생성부(302)가, 소정의 시간에 차량(10)이 이동 가능한 에어리어의 조합을 산출한다. 생성부(302)는, 차량(10)의 현재지를 포함하는 에어리어를 기점으로 하여, 시각 T1로부터 시각 Tn까지의 각 시각에 도착 가능한 에어리어를 산출한다. 여기에서, 시각 T1로부터 시각 Tn까지의 각 시각은, 소정의 시간을 분할하도록 설정된다. 예를 들면, 일정한 시간마다(예를 들면, 10분마다, 30분마다, 또는, 1시간마다) 소정의 시간을 분할한다. 각 시각까지 차량(10)이 이동 가능한 에어리어는, 예를 들면, 각 시각 사이의 간격 및 차량(10)의 속도에 의거하여 설정한다. 차량(10)의 속도는, 예를 들면, 도로의 제한 속도 및 정체 예측 등에 의거하여 산출한다. 생성부(302)는, 소정의 시간에 차량(10)이 이동 가능한 에어리어의 조합을 모두 산출한다.
단계 S105에서는, 차량(10)이 시각 T1로부터 시각 Tn까지의 각 시각에 이동 가능한 각 에어리어에 대응하는 수요 정보를 생성부(302)가 취득한다. 생성부(302)는, 수요 정보 DB(312)에 액세스하여, 각 에어리어의 각 시각에 대응하는 수요 정보를 취득한다.
단계 S106에서는, 소정의 시간에 차량(10)이 이동 가능한 에어리어의 조합의 각각 대응한 수요의 합계를 생성부(302)가 산출한다. 생성부(302)는, 에어리어의 조합마다 시각 T1로부터 시각 Tn까지의 각 시각에 대응하는 수요를 가산한다. 그리고, 단계 S107에서는, 수요의 합계가 가장 크게 되는 에어리어의 조합을 생성부(302)가 추출한다. 또한, 단계 S108에서는, 생성부(302)가, 차량(10)의 루트를 생성한다. 생성부(302)는, 시각 T1로부터 시각 Tn의 각 시각에 있어서 대응하는 에어리어를 차량(10)이 주행하도록, 차량(10)의 루트를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부(302)가 루트를 생성하면, 단계 S109에 있어서, 정보 송신부(303)가, 차량(10)에 루트를 포함하는 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정보 송신부(303)는, 차량(10)에 루트를 포함하는 정보를 송신하는 대신에, 시각과 에어리어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하여도 된다. 이 경우, 차량(10)에 있어서 루트가 생성된다.
(처리의 흐름 : 차량)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차량(10)에 있어서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차량(10)으로부터 차량 정보를 출력하는 처리의 플로우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처리는, 각 차량(10)에 있어서, 소정의 주기로 프로세서(11)에 의해 실행된다.
단계 S201에서는, 정보 송신부(101)가, 위치 정보 및 실차 정보를 취득한다. 위치 정보는, 위치 정보 센서(15)에 의해 검지된다. 실차 정보는, 운전자가 입력부(16)를 이용하여 입력한 정보가 이용된다. 단계 S202에서는, 정보 송신부(101)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생성한다. 정보 송신부(101)는, 위치 정보 및 실차 정보를, 차량 ID와 연관지어서 차량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단계 S203에서는, 정보 송신부(101)가, 생성한 차량 정보를 서버(30)로 송신한다.
다음으로, 도 12는, 차량(10)이 운전자에게 루트를 안내할 때의 처리의 플로우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처리는, 소정의 주기로 프로세서(11)에 의해 실행된다.
단계 S301에서는, 네비게이션부(102)가, 서버(30)로부터 루트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였는지 아닌지 판정한다. 단계 S301에서 긍정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S302로 진행되고, 부정 판정된 경우에는 본 루틴을 종료시킨다. 단계 S302에서는, 네비게이션부(102)가, 서버(3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의거하여, 차량(10)의 루트를 출력부(17)에 출력한다. 운전자는, 출력부(17)로부터의 출력에 의해 차량(10)이 진행해야 할 방향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수요의 합계가 가장 크게 되는 에어리어의 조합을 서버(30)가 추출함으로써, 차량(10)이 손님을 태울 확률을 높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매상고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13은, 제 2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시스템(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시스템(1)은, 복수의 차량(10) 및 서버(30)를 포함한다. 복수의 차량(10)은, 예를 들면, 동일한 사업소에 속해 있는 차량이다. 각 차량(10)의 하드웨어 구성 및 기능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량(10)과 같다. 또한, 서버(30)의 하드웨어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서버(30)와 같다. 각 차량(10)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량(10)과 마찬가지로, 차량 정보를 서버(30)로 송신한다.
서버(30)는, 각 차량(10)의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장래의 각 시각에 각 차량(10)이 이동 가능한 에어리어를 각각 구하고, 추가로, 각 차량(10)이 각 에어리어에 도착하는 시각에 대응하는 승객의 수요를 취득한다. 서버(30)는, 복수의 시각(T1, …, Tn)의 각각에 있어서, 각 차량(10)이 이동 가능한 에어리어를 예를 들면 모두 산출한다. 또한, n은 2 이상의 수이다. 또한, 현재 시각을 시각 T0으로 한다. 시각 T1로부터 시각 Tn까지 각 차량(10)이 이동 가능한 에어리어의 조합은 복수 존재한다. 그 복수의 에어리어의 조합 중에서, 서버(30)는, 시각 T1로부터 시각 Tn까지의 사이에서 손님을 태울 확률이, 시스템(1)의 전체로서 가장 높게 되는 각 차량(10)이 이동 가능한 에어리어의 조합을 추출한다. 또한, 서버(30)는, 각 차량(10)에 대응하는 에어리어의 조합, 또는, 각 차량(10)에 대응하는 루트를, 각 차량(10)으로 송신한다. 각 차량(10)에서는, 예를 들면, 수신한 에어리어의 조합을 순서대로 통과하는 루트를 디스플레이에 표시시켜서, 운전자에게 루트를 안내한다.
여기에서, 복수의 차량(10)이 동일 시각에 동일 에어리어 내에 존재하면, 그 에어리어에 있어서 각 차량(10)이 손님을 태울 확률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예를 들면, 수요가 높다고 하여 많은 차량(10)이 동일 시각에 동일 에어리어에 집중되면, 자차량이 승객을 태우기 전에, 타차량에서 승객을 태워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 때에는, 수요가 낮은 에어리어여도, 차량(10)의 대수가 적으면, 승객을 태울 확률이 높아질 경우도 있다. 거기에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시스템(1)의 전체로서, 손님을 태울 확률이 높아지도록, 각 차량(10)이 각 시각에서 이동하는 에어리어를 추출한다. 그리고, 각 차량(10)이, 각 시각에 그 에어리어를 통과하도록, 서버(30) 또는 각 차량(10)이 루트를 설정한다. 그 때문에, 서버(30)는, 동일 시각에 동일 에어리어에 복수의 차량(10)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미리 기억되어 있는 수요를 차량(10)의 대수에 따라 조정한다. 예를 들면, 동일 시각에 동일 에어리어에 복수의 차량(10)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미리 기억되어 있는 수요보다도, 수요가 적은 것으로서 취급한다. 이 경우, 동일 시각에 동일 에어리어에 존재하고 있는 차량(10)의 대수가 많을수록, 수요가 작아지도록, 수요를 조정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수요가 손님의 인원수를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는, 동일 시각에 동일 에어리어 내에 존재하는 자차량 이외의 차량(10)의 대수를 수요로부터 감산함으로써, 수요의 값을 조정한다. 또한, 예를 들면, 동일 시각에 동일 에어리어 내에 존재하는 차량(10)의 대수에 따른 계수를, 미리 기억되어 있는 수요에 승산함으로써, 수요를 조정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동일 시각에 동일 에어리어에 차량(10)이 집중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차량(10)이 손님을 태우기 어려워지는 것을 억제한다.
복수의 차량(10) 및 서버(30)는, 네트워크(N1)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네트워크(N1)는, 예를 들면, 인터넷 등의 세계 규모의 공중통신망이며 WAN(Wide Area Network)이나 그 밖의 통신망이 채용되어도 된다. 또한, 네트워크(N1)는, 휴대전화 등의 전화 통신망, Wi-Fi(등록상표) 등의 무선 통신망을 포함하여도 된다.
제 2 실시형태의 서버(30)의 기능 구성에 대하여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취득부(301)는, 예를 들면, 각 차량(10)으로부터 송신된 차량 정보(위치 정보 및 실차 정보)를 취득하여 관리한다. 취득부(301)는, 차량 정보를 차량 ID와 연관지어서 차량 정보 DB(311)에 저장한다. 차량 정보 DB(311)에 저장되는 정보의 구성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생성부(302)는, 공차 상태의 각 차량(10)에 제공하는 루트를 생성한다. 생성부(302)는, 각 차량(10)이 현재 시각 T0을 개시 시점으로 하여, 시각 T1로부터 시각 Tn까지의 각 시각까지 이동 가능한 에어리어의 조합을 모두 생성한다. 추가로, 생성부(302)는, 각 시각의 각 에어리어에 대응하는 수요 정보를 수요 정보 DB(312)로부터 취득한다. 생성부(302)는, 시스템(1)의 전체로서의 에어리어의 조합에 대해서, 시각 T1로부터 시각 Tn의 각 시각에 대응한 수요의 합계를 산출한다. 이 때에, 동일 시각의 동일 에어리어에 다른 차량(10)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존재하는 다른 차량(10)의 대수에 따라, 그 시각의 그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수요의 값을 조정한다.
예를 들면, 생성부(302)는, 다른 차량(10)이 동일 시각의 동일 에어리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다른 차량(10)의 대수만큼을 그 에어리어의 수요로부터 감산한다. 즉, 동일 시각의 동일 에어리어에 다른 차량(10)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대수만큼, 손님을 태울 확률이 저하된다. 그 때문에, 수요 정보 DB(312)에 저장되어 있는 수요보다도 낮아지도록, 수요의 값을 조정한다. 그리고, 생성부(302)는, 각 차량(10)의 수요의 합계를 모두 합쳐서, 시스템(1)의 전체로서의 수요의 합계를 산출한다. 추가로, 시스템(1)의 전체로서의 수요의 합계가 가장 크게 되는 각 차량(10)의 이동 가능한 에어리어의 조합을 추출한다.
이 시스템(1)의 전체로서의 수요의 합계가 가장 크게 되는 에어리어의 조합은, 시각 T1로부터 시각 Tn까지의 각 시각에 있어서, 각 차량(10)이 이동의 목표로 하는 에어리어가 된다. 그리고, 생성부(302)는, 수요의 합계가 가장 크게 되는 에어리어의 조합에 의거하여, 각 차량(10)의 루트를 생성한다. 각 차량(10)의 루트는, 시각 T1로부터 시각 Tn까지의 각 시각에 있어서, 대응하는 에어리어 내에 각 차량(10)이 위치하도록 생성된다.
(처리의 흐름 : 서버)
다음으로, 도 14를 참조하여, 제 2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서버(30)의 처리를 설명한다. 도 14는, 서버(30)가 각 차량(10)에 루트를 출력하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처리는, 시스템(1)의 전체로서, 소정의 주기로 프로세서(31)에 의해 실행된다. 또한, 차량 정보 DB(311) 및 수요 정보 DB(312)에는, 필요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단계 S401에서는, 생성부(302)가, 차량 정보 DB(311)로부터 각 차량(10)의 현재지를 취득한다. 단계 S402에서는, 생성부(302)가, 각 차량(10)의 현재지에 의거하여, 루트 안내를 행하는 시간(소정의 시간)을 취득한다. 소정의 시간은, 예를 들면, 각 차량(10)이 속하는 사업소의 영업 지역에 의거하여 설정된다. 영업 지역과 소정의 시간의 관계는, 미리 보조 기억부(33)에 기억시켜 둔다. 소정의 시간은, 예를 들면, 영업 지역에 있어서 차량(10)이 손님을 태울 때까지의 시간의 평균값이다.
단계 S403에서는, 생성부(302)가, 소정의 시간에 각 차량(10)이 이동 가능한 에어리어의 조합을 산출한다. 생성부(302)는, 각 차량(10)의 현재지를 포함하는 에어리어를 기점으로 하여, 시각 T1로부터 시각 Tn까지의 각 시각에 도착 가능한 에어리어를 산출한다. 여기에서, 시각 T1로부터 시각 Tn까지의 각 시각은, 소정의 시간을 분할하도록 설정된다. 예를 들면, 일정한 시간마다(예를 들면, 10분마다, 30분마다, 또는, 1시간마다) 소정의 시간을 분할한다. 각 시각까지 각 차량(10)이 이동 가능한 에어리어는, 예를 들면, 각 시각 사이의 간격 및 각 차량(10)의 속도에 의거하여 산출한다. 생성부(302)는, 소정의 시간에 각 차량(10)이 이동 가능한 에어리어의 조합을 모두 산출한다.
단계 S404에서는, 각 차량(10)이 시각 T1로부터 시각 Tn까지의 각 시각에 이동 가능한 각 에어리어에 대응하는 수요 정보를 생성부(302)가 취득한다. 생성부(302)는, 수요 정보 DB(312)에 액세스하고, 각 에어리어의 각 시각에 대응하는 수요 정보를 취득한다.
단계 S405에서는, 소정의 시간에 각 차량(10)이 이동 가능한 에어리어의 조합의 각각 대응한 수요의 합계를 생성부(302)가 산출한다. 생성부(302)는, 시스템(1)의 전체로서의 시각 T1로부터 시각 Tn까지의 각 시각에 대응하는 수요를 가산한다. 이 때에, 동일 시각에 동일 에어리어 내에 다른 차량(10)이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는, 다른 차량(10)의 대수만큼만큼 수요가 적은 것으로 하여 계산한다. 그리고, 단계 S406에서는, 시스템(1)의 전체로서 수요의 합계가 가장 크게 되는 에어리어의 조합을 생성부(302)가 추출한다.
단계 S407에서는, 생성부(302)가, 각 차량(10)의 루트를 생성한다. 생성부(302)는, 단계 S406에서 추출한 에어리어의 조합을 각 차량(10)이 주행하도록, 각 차량(10)의 루트를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부(302)가, 각 차량(10)의 루트를 생성하면, 단계 S408에 있어서, 정보 송신부(303)가, 각 차량(10)에 루트를 포함하는 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정보 송신부(303)는, 각 차량(10)에 루트를 포함하는 정보를 송신하는 대신에, 시각과 에어리어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하여도 된다. 이 경우, 각 차량(10)에 있어서 루트가 생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복수의 차량(10)이 존재하는 지역 전체로서 손님을 태울 확률이 가장 높게 되는 각 차량(10)의 루트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지역의 차량(10) 전체로서의 매상고를 높일 수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
상기의 실시형태는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본 개시는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서버(30)가, 취득부(301), 생성부(302), 정보 송신부(303), 차량 정보 DB(311), 수요 정보 DB(312), 지도 정보 DB(313)를 포함하고 있지만, 이들의 기능 구성 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가, 차량(10)에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수요가 가장 높게 되는 에어리어의 조합을 추출하고 있지만, 이 대신에, 수요가 허용 범위가 되는 에어리어의 조합을 추출하여도 된다. 이에 의해, 연산 시간을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예를 들면, 본 개시의 제어부 중 적어도 일부가, 차량(10)의 프로세서(11)여도 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설명한 처리나 수단은, 기술적인 모순이 생기지 않는 한에 있어서, 자유롭게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1개의 장치가 행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 처리가, 복수의 장치에 의해 분담되어 실행되어도 된다. 또는, 다른 장치가 행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 처리가, 1개의 장치에 의해 실행되어도 상관없다.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각 기능을 어느 하드웨어 구성(서버 구성)에 의해 실현할지는 유연하게 변경 가능하다.
본 개시는, 상기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기능을 실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공급하고, 당해 컴퓨터가 가지는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독출하여 실행함으로써도 실현 가능하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시스템 버스에 접속 가능한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기억매체에 의해 컴퓨터에 제공되어도 되고,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컴퓨터에 제공되어도 된다.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자기디스크(플로피(등록상표)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등), 광디스크(CD-ROM, DVD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등) 등 임의의 타입의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EPROM, EEPROM, 자기 카드, 플래시 메모리, 광학식 카드, 전자적 명령을 저장하기 위하여 적합한 임의의 타입의 매체를 포함한다.

Claims (20)

  1. 제어부(11;31)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10;30)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1;31)는,
    소정의 시간을 분할하는 복수의 시각의 각각의 시각까지, 차량(10)이 이동 가능한 에어리어의 상기 각각의 시각에 있어서의 승객의 수요를 취득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소정의 시간에 있어서의 상기 수요의 합계가 제 1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상기 각각의 시각에 있어서 상기 차량(10)이 위치하는 에어리어를 추출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10;3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1;31)는, 상기 추출한 에어리어에 관한 정보를 상기 차량(10)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10;30).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1;31)는,
    상기 추출한 에어리어를 대응하는 상기 시각의 순서대로 상기 차량(10)이 통과하도록, 상기 차량(10)의 루트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생성한 루트에 관한 정보를 상기 차량(10)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10;30).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리어마다의 승객의 수요를 상기 복수의 시각마다 기억하도록 구성되는 기억부(33)를 추가로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10;30).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1;31)는, 상기 차량(10)의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소정의 시간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10;30).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1;31)는, 상기 소정의 시간을, 상기 차량(10)의 위치에 대응하는 소정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차량(10)이 손님을 태울 때까지의 평균 시간에 의거하여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10;30).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1;31)는, 상기 소정의 시간에 있어서의 상기 수요의 합계가 가장 크게 되는 상기 제 1 소정의 조건을, 상기 소정의 시간에 있어서의 상기 수요의 합계가 만족시키도록, 상기 에어리어를 추출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10;30).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1;31)는,
    복수의 상기 차량(10)에 대하여 상기 수요를 취득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시각 중 동일의 시각에 동일의 에어리어에 존재하고 있는 상기 차량(10)의 대수에 따라 상기 수요를 조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소정의 시간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차량(10)의 상기 수요의 합계가 제 2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상기 각각의 시각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차량(10)이 위치하는 에어리어를 추출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10;30).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1;31)는, 상기 동일의 시각에 상기 동일의 에어리어에 존재하고 있는 상기 복수의 차량(10)의 대수가 많을수록, 상기 동일의 시각에 있어서의 상기 동일의 에어리어에 대응하는 상기 수요가 작아지도록 상기 수요를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10;30).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1;31)는, 상기 소정의 시간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차량(10)의 상기 수요의 합계가 가장 크게 되는 상기 제 2 소정의 조건을, 상기 소정의 시간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차량(10)의 상기 수요의 합계가 만족시키도록, 상기 에어리어를 추출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10;30).
  11. 1개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11;31)로 실행 가능하며, 또한,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11;31)에 이하의 기능을 실행시키는 명령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기억 매체(12;13;32;33)에 있어서,
    소정의 시간을 분할하는 복수의 시각의 각각의 시각까지 차량(10)이 이동 가능한 에어리어의 상기 각각의 시각에 있어서의 승객의 수요를 취득하는 것; 및
    상기 소정의 시간에 있어서의 상기 수요의 합계가 제 1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상기 각각의 시각에 있어서 상기 차량(10)이 위치하는 에어리어를 추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기억 매체(12;13;32;33).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은, 상기 추출한 에어리어에 관한 정보를 상기 차량(10)으로 송신시키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비일시적 기억 매체(12;13;32;33).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은, 상기 추출한 에어리어를 대응하는 상기 시각의 순서대로 상기 차량(10)이 통과하도록 상기 차량(10)의 루트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것; 및
    상기 생성한 루트에 관한 정보를 상기 차량(10)으로 송신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비일시적 기억 매체(12;13;32;33).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은, 상기 차량(10)의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소정의 시간을 설정시키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비일시적 기억 매체(12;13;32;33).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은, 상기 소정의 시간을, 상기 차량(10)의 위치에 대응하는 소정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차량(10)이 손님을 태울 때까지의 평균 시간에 의거하여 설정시키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비일시적 기억 매체(12;13;32;33).
  16. 제 1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은, 상기 소정의 시간에 있어서의 상기 수요의 합계가 가장 크게 되는 상기 제 1 소정의 조건을, 상기 소정의 시간에 있어서의 상기 수요의 합계가 만족시키도록, 상기 에어리어를 추출시키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비일시적 기억 매체(12;13;32;33).
  17. 제 1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은, 복수의 상기 차량(10)에 대하여 상기 수요를 취득하는 것;
    상기 복수의 시각 중 동일의 시각에 동일의 에어리어에 존재하고 있는 상기 차량(10)의 대수에 따라 상기 수요를 조정하는 것; 및
    상기 소정의 시간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차량(10)의 상기 수요의 합계가 제 2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상기 각각의 시각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차량(10)이 위치하는 에어리어를 추출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비일시적 기억 매체(12;13;32;33).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은, 상기 동일의 시각에 상기 동일의 에어리어에 존재하고 있는 상기 복수의 차량(10)의 대수가 많을수록, 상기 동일의 시각에 있어서의 상기 동일의 에어리어에 대응하는 상기 수요가 작아지도록 상기 수요를 조정시키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비일시적 기억 매체(12;13;32;33).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은, 상기 소정의 시간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차량(10)의 상기 수요의 합계가 가장 크게 되는 상기 제 2 소정의 조건을 상기 소정의 시간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차량(10)의 상기 수요의 합계가 만족시키도록, 상기 에어리어를 추출시키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비일시적 기억 매체(12;13;32;33).
  20. 시스템(1)에 있어서,
    위치 정보를 서버(30)에 대하여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차량(10); 및
    상기 차량(10)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소정의 시간을 분할하는 복수의 시각의 각각의 시각까지 상기 차량(10)이 이동 가능한 에어리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소정의 시간을 분할하는 복수의 시각의 각각의 시각까지 상기 차량(10)이 이동 가능한 에어리어의 상기 각각의 시각에 있어서의 승객의 수요를 취득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소정의 시간에 있어서의 상기 수요의 합계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상기 각각의 시각에 있어서 상기 차량(10)이 위치하는 에어리어를 추출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31)를 포함하는 상기 서버(30)를 포함하는 시스템(1).
KR1020200099123A 2019-10-16 2020-08-07 정보 처리 장치, 비일시적 기억 매체, 및, 시스템 KR1024380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89380A JP7347104B2 (ja) 2019-10-16 2019-10-16 情報処理装置、非一時的記憶媒体、及び、システム
JPJP-P-2019-189380 2019-10-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297A true KR20210045297A (ko) 2021-04-26
KR102438049B1 KR102438049B1 (ko) 2022-08-30

Family

ID=72242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9123A KR102438049B1 (ko) 2019-10-16 2020-08-07 정보 처리 장치, 비일시적 기억 매체,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10118306A1 (ko)
EP (1) EP3809344A1 (ko)
JP (1) JP7347104B2 (ko)
KR (1) KR102438049B1 (ko)
CN (1) CN112665599A (ko)
BR (1) BR102020016477A2 (ko)
CA (1) CA3093155A1 (ko)
RU (1) RU2747711C1 (ko)
SG (1) SG10202007947XA (ko)
TW (1) TW20211766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20908B (zh) * 2021-05-26 2022-11-29 浙江中控信息产业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意愿性概率的大型场站旅客等候时长预测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06890A (ja) * 2012-05-30 2014-01-16 Osamu Masuda タクシーの最適配置システム
JP2014186645A (ja) * 2013-03-25 2014-10-02 Nec Corp 車両位置制御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WO2015018309A1 (en) * 2013-08-06 2015-02-12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Location-based taxi information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terminals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1894A (ja) * 2000-05-19 2001-11-30 Nec Corp 輸送サービスシステムおよび輸送サービス方法
US6356838B1 (en) * 2000-07-25 2002-03-12 Sunil Paul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 efficient transportation route
JP2008052455A (ja) * 2006-08-23 2008-03-06 Fujitsu Ten Ltd 需要予測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2043296A (ja) * 2010-08-20 2012-03-01 Ntt Docomo Inc 需要予測システム及び需要予測方法
RU146733U1 (ru) * 2014-03-11 2014-10-20 Арташес Валерьевич Икономов Устройство коммутации водителей и заказчиков такси
CN104021667B (zh) * 2014-06-25 2016-06-01 哈尔滨工业大学 整合预约服务与实时打车的出租车合乘调度系统及调度方法
JP2016075972A (ja) * 2014-10-02 2016-05-12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0607095B1 (en) * 2015-01-13 2020-03-31 State Farm Mutual Automobile Insurance Company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classifying digital images
US10139237B2 (en) * 2015-09-01 2018-11-27 Chris Outwater Method for remotely identifying one of a passenger and an assigned vehicle to the other
CN106557829B (zh) * 2015-09-30 2021-07-27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用车业务中获取需求与运力不匹配区域的方法和装置
EP3449435A1 (en) * 2016-04-27 2019-03-06 Beijing Didi Infinity Technology and Development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routes of transportation service
US11599833B2 (en) * 2016-08-03 2023-03-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ride sharing system and method using smart modules
WO2018090581A1 (en) * 2016-11-21 2018-05-24 Beijing Didi Infinity Technology And Development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location-based actions
US10677602B2 (en) * 2017-01-25 2020-06-09 Via Transportation, Inc. Detecting the number of vehicle passengers
JP2018169985A (ja) * 2017-03-30 2018-11-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交通システム
WO2018219306A1 (en) * 2017-06-01 2018-12-06 Beijing Didi Infinity Technology And Development Co., Ltd.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transportation service
JP2019079267A (ja) * 2017-10-24 2019-05-23 株式会社デンソーテン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情報提供方法
WO2019083528A1 (en) * 2017-10-25 2019-05-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ACTIVE DETERMINATIONS OF THE POSITIONING OF VEHICLES
WO2019199766A1 (en) * 2018-04-09 2019-10-17 Via Transportatio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lanning transportation rout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06890A (ja) * 2012-05-30 2014-01-16 Osamu Masuda タクシーの最適配置システム
JP2014186645A (ja) * 2013-03-25 2014-10-02 Nec Corp 車両位置制御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WO2015018309A1 (en) * 2013-08-06 2015-02-12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Location-based taxi information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terminals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18306A1 (en) 2021-04-22
JP7347104B2 (ja) 2023-09-20
KR102438049B1 (ko) 2022-08-30
EP3809344A1 (en) 2021-04-21
TW202117663A (zh) 2021-05-01
SG10202007947XA (en) 2021-05-28
CA3093155A1 (en) 2021-04-16
RU2747711C1 (ru) 2021-05-13
BR102020016477A2 (pt) 2021-04-20
JP2021064250A (ja) 2021-04-22
CN112665599A (zh) 2021-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35001B2 (ja) 地図データ配信装置、電子機器及び地図更新システム
CN106969777B (zh) 路径预测装置以及路径预测方法
JP5961848B2 (ja) 計画管理システム及び計画管理方法
US9217647B2 (en) Guidebook transit routing
US9304013B2 (en) Storage device and navigation system
US2022005876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KR102438049B1 (ko) 정보 처리 장치, 비일시적 기억 매체, 및, 시스템
JP2012137833A (ja) 渋滞情報生成装置、渋滞情報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019428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ブラム
JP2019074459A (ja) 経路探索装置、経路を探索する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4106046A (ja) 走行可能範囲表示システム
CN103512578A (zh) 用于按类别更新对象的导航装置及其更新方法
JP2013008135A (ja) 渋滞予測装置および渋滞予測データ
JP2016211900A (ja) 情報処理装置、経路探索方法、交通情報データ、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2003433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12042339A (ja) 経路案内装置、経路案内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4044661A (ja) キーワード出力装置、キーワード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4080151A1 (ja) 地図情報作成装置及び地図情報作成方法
JP2020077263A (ja) 行程提案装置、行程提案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2133105B (zh) 交通流预测辅助装置以及交通流预测辅助方法
JP7243563B2 (ja) 情報処理装置
JP2015232529A (ja) 歩行者向け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19133335A (ja) 地図情報作成装置、地図情報作成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13566842A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2024061520A (ja) 情報処理装置、車両、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