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4348A - 이동체의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체의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4348A
KR20210044348A KR1020190126963A KR20190126963A KR20210044348A KR 20210044348 A KR20210044348 A KR 20210044348A KR 1020190126963 A KR1020190126963 A KR 1020190126963A KR 20190126963 A KR20190126963 A KR 20190126963A KR 20210044348 A KR20210044348 A KR 20210044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rea
airbag
moving object
display
deplo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6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재준
문영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6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4348A/ko
Priority to US17/064,887 priority patent/US11865914B2/en
Priority to CN202011093675.7A priority patent/CN112721817A/zh
Publication of KR20210044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43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Arrangement of adaptations of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46Adaptations on rotatable parts of the steering wheel for accommodation of switches
    • B60K35/28
    • B60K35/29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r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for ensuring comfort, stability and safety or drive control systems for propelling or retarding the vehicle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082Selecting or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es of propelling
    • B60K2360/1526
    • B60K2360/175
    • B60K2360/652
    • B60K2360/78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70/00Details of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K35/00, B60K37/00
    • B60K2370/15Output devices or features thereof
    • B60K2370/152Displays
    • B60K2370/1533Flexible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70/00Details of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K35/00, B60K37/00
    • B60K2370/16Type of information
    • B60K2370/172Driving mode ind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70/00Details of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K35/00, B60K37/00
    • B60K2370/18Information management
    • B60K2370/195Blocking or enabling display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70/00Details of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K35/00, B60K37/00
    • B60K2370/60Structural details of dashboards or instruments
    • B60K2370/67Foldable or movable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70/00Details of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K35/00, B60K37/00
    • B60K2370/70Arrangements of instruments in the vehicle
    • B60K2370/77Arrangements of instruments in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locations other than the dashboard
    • B60K2370/782Arrangements of instruments in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locations other than the dashboard on the steering wheel
    • B60K35/22
    • B60K35/223
    • B60K35/6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01Details of the control system
    • B60W2050/0002Automatic control, details of type of controller or control system architecture
    • B60W2050/0004In digital systems, e.g. discrete-time systems involving sampling
    • B60W2050/0005Processor details or data handling, e.g. memory registers or chip archite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체에서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성화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이동체에서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성화하는 방법은 이동체가 주행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이동체의 주행 모드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된 경우, 디스플레이 영역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주행 모드가 제 1 모드인 경우, 디스플레이 영역은 활성화되고, 에어백은 비활성화되며, 주행 모드가 제 2 모드인 경우, 디스플레이 영역은 비활성화되고, 에어백은 활성화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체의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n a vehicle}
본 발명은 이동체의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동체에서 에어백을 고려하여 스티어링 휠의 정면 영역에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기술 발전에 따라 차량은 다양한 형태의 통신 방법에 기초하여 다른 디바이스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차량 뿐만 아니라, 이동할 수 있는 장치로서 다양한 장치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장치들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들이 발전되고 있다.
자율주행자동차는 운전자가 직접 조작하지 않아도 자동차가 자동으로 장착된 센서와 V2X 통신 장치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활용하여 주행환경을 인지, 판단, 제어가 가능한 인간 친화적인 자동차를 말한다. 미국 자동차 공학회(SAE)에서 제시한 기준에 따르면 자율주행자동차는 총 6단계로 정의되며, 레벨 3(조건부 자동화), 레벨 4(고도의 자동화), 레벨 5(완전 자동화)가 본격적인 자율주행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동체의 스티어링 휠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용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동체의 스티어링 휠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과 에어백의 관계를 고려하여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율 주행 이동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영역 활성화 방법은, 상기 이동체가 주행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체의 주행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주행 모드가 제 1 모드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활성화되고, 에어백은 비활성화되며, 상기 주행 모드가 제 2 모드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비활성화되고, 상기 에어백은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이동체 스티어링 휠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이고, 상기 에어백은 상기 스티어링 휠에 구비된 에어백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에어백이 전개되는 방향의 기준선을 중심으로 적어도 두 개의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구분되되,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연접되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비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두 개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기준선을 중심으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이되,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스티어링 휠의 정면 영역으로 확대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비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스티어링 휠의 상단 영역으로 축소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에어백 사이에는 디스플레이 보호 영역이 존재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보호 영역은 상기 에어백이 전개되는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에어백이 전개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보호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감싸는 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이동체 스티어링 휠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고정되고, 상기 에어백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단 및 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에어백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단에 구비된 상태에서 전개되는 경우, 상기 에어백은 정면으로 전개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하단 방향으로 폴딩될 수 있다.
상기 에어백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하단에 구비된 상태에서 전개되는 경우, 상기 에어백은 정면으로 전개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에어백이 전개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폴딩될 수 있다.
상기 제 1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이동체의 스티어링 휠은 상기 이동체 내부로 폴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스티어링 휠이 폴딩된 위치에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모드는 자율 주행 모드이고, 상기 제 2 모드는 일반 주행 모드이되, 상기 제 1 모드에서 상기 이동체의 상기 제어권은 상기 이동체에게 제공되고, 상기 제 2 모드에서 상기 이동체의 제어권은 상기 이동체의 운전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1 모드는 기 설정된 레벨 초과의 자율 주행 모드이고, 상기 제 2 모드는 일반 주행 모드 및 기 설정된 레벨 이하의 자율 주행 모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활성화 방법은, 상기 이동체가 결정된 주행 모드에 기초하여 주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이동체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된 상기 제 1 모드에 기초하여 주행하는 경우, 상기 이동체는 사전 충돌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된 사전 충돌 가능성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체가 충돌 회피가 가능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활성화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판단된 사전 충돌 가능성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체가 충돌 회피가 불가능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비활성화되고, 상기 에어백이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이동체가 상기 사전 충돌 가능성을 판단하는 경우, 상기 이동체는 TTC(Time to Collision) 값을 획득하고, 상기 이동체는 상기 획득한 TTC 값과 기 설정된 값을 비교하여 상기 이동체의 충돌 회피 가능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상기 충돌 회피 가능 여부는 AI(Artificial Intelligence) 시스템에 기초하여 판단되되, 상기 AI 시스템은 충돌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충돌 회피 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기 활성화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는 상기 이동체와 연관된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와 동일한 이미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한 이동체는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체의 주행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이동체의 주행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주행 모드가 제 1 모드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활성화되고, 에어백은 비활성화되며, 상기 주행 모드가 제 2 모드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비활성화되고, 상기 에어백은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이동체 스티어링 휠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이고, 상기 에어백은 상기 스티어링 휠에 구비된 에어백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에어백이 전개되는 방향의 기준선을 중심으로 두 개의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구분되되,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두 개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연접되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비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두 개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기준선을 중심으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되,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스티어링 휠의 정면 영역으로 확대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비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스티어링 휠의 상단 영역으로 축소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에어백 사이에는 디스플레이 보호막이 존재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보호막은 상기 에어백이 전개되는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에어백이 전개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보호막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감싸는 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이동체 스티어링 휠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고정되고, 상기 에어백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단 및 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에어백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단에 구비된 상태에서 전개되는 경우, 상기 에어백은 정면으로 전개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에어백 전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폴딩될 수 있다.
상기 에어백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하단에 구비된 상태에서 전개되는 경우, 상기 에어백은 정면으로 전개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단 방향으로 폴딩될 수 있다.
상기 제 1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이동체의 스티어링 휠은 상기 이동체 내부로 폴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스티어링 휠이 폴딩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모드는 자율 주행 모드이고, 상기 제 2 모드는 일반 주행 모드이되, 상기 제 1 모드에서 상기 이동체의 상기 제어권은 상기 이동체에게 제공되고, 상기 제 2 모드에서 상기 이동체의 제어권은 상기 이동체의 운전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1 모드는 기 설정된 레벨 초과의 자율 주행 모드이고, 상기 제 2 모드는 일반 주행 모드 및 기 설정된 레벨 이하의 자율 주행 모드 중 어느 하나 일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결정된 주행 모드에 기초하여 주행을 수행하되, 상기 이동체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된 상기 제 1 주행 모드에 기초하여 주행하는 경우, 상기 이동체는 사전 충돌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된 사전 충돌 가능성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체가 충돌 회피가 가능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활성화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판단된 사전 충돌 가능성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체가 충돌 회피가 불가능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비활성화되고, 상기 에어백이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이동체가 상기 사전 충돌 가능성을 판단하는 경우, 상기 이동체는 TTC(Time to Collision) 값을 획득하고, 상기 이동체는 상기 획득한 TTC 값과 기 설정된 값을 비교하여 상기 이동체의 충돌 회피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충돌 회피 가능 여부는 AI(Artificial Intelligence) 시스템에 기초하여 판단되되, 상기 AI 시스템은 충돌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충돌 회피 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기 활성화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는 상기 이동체와 연관된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와 동일한 이미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영역 활성화 방법은, 상기 이동체가 주행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체의 주행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주행 모드가 제 1 모드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및 에어백 모두 활성화되며, 상기 주행 모드가 제 2 모드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비활성화되고, 상기 에어백은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활성화 방법은 상기 이동체가 결정된 주행 모드에 기초하여 주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이동체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된 상기 제 1 모드에 기초하여 주행하는 경우, 상기 이동체는 사전 충돌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한 이동체는,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체의 주행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이동체의 주행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주행 모드가 제 1 모드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및 에어백 모두 활성화되며, 상기 주행 모드가 제 2 모드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비활성화되고, 상기 에어백은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결정된 주행 모드에 기초하여 주행을 수행하되, 상기 이동체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된 상기 제 1 주행 모드에 기초하여 주행하는 경우, 상기 이동체는 사전 충돌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영역 활성화 방법은, 상기 이동체가 주행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체의 주행 모드에 기초하여 활성화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및 활성화되는 에어백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활성화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주행 모드가 제 1 모드인 경우, 상기 이동체의 스티어링 휠이 상기 이동체 내부로 폴딩되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되고, 상기 주행 모드가 제 2 모드인 경우, 상기 이동체의 스티어링 휠은 상기 이동체 실내 측에 유지되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이 비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주행 모드가 제 1 모드인 경우, 제 1 에어백이 비활성화되며, 제 2 에어백이 활성화되고, 상기 주행 모드가 제 2 모드인 경우, 상기 제 1 에어백이 활성화되며, 상기 제 2 에어백이 비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주행 모드가 제 2 모드인 경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이동체의 상기 폴딩된 스티어링 휠의 덮개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에어백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 상단 또는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이동체의 폴딩되지 않은 스티어링 휠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되,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덮개부에서 확대되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이 비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덮개부 상단 영역으로 축소될 수 있다.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제 1 에어백 사이에는 제 1 디스플레이 보호 영역이 존재하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보호 영역은 상기 제 1 에어백이 전개되는 경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에 발생하는 충격이 흡수 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에어백이 전개되는 경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보호 영역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을 감싸는 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에어백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단에 구비된 상태에서 전개되는 경우, 상기 제 1 에어백은 정면으로 전개되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은 하단 방향으로 폴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에어백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의 하단에 구비된 상태에서 전개되는 경우, 상기 제 1 에어백은 정면으로 전개되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제 1 에어백이 전개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폴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에어백은 상기 스티어링 휠에 구비된 에어백인, 디스플레이 영역 활성화 방법.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제 2 에어백이 전개되는 방향의 기준선을 중심으로 적어도 두 개의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구분되되,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연접되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이 비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두 개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기준선을 중심으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되,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스티어링 휠의 정면 영역으로 확대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이 비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스티어링 휠의 상단 영역으로 축소될 수 있다.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제 2 에어백 사이에는 제 2 디스플레이 보호 영역이 존재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보호 영역은 상기 제 2 에어백이 전개되는 경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제 2 에어백이 전개되는 경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보호 영역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을 감싸는 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에어백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단 및 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에어백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단에 구비된 상태에서 전개되는 경우, 상기 제 2 에어백은 정면으로 전개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은 하단 방향으로 폴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에어백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의 하단에 구비된 상태에서 전개되는 경우, 상기 제 2 에어백은 정면으로 전개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제 2 에어백이 전개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폴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성화 하는 이동체는,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체의 주행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이동체의 주행 모드에 기초하여 활성화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및 활성화되는 에어백을 결정하고, 및 상기 활성화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주행 모드가 제 1 모드인 경우, 상기 이동체의 스티어링 휠이 상기 이동체 내부로 폴딩되며,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되고, 상기 주행 모드가 제 2 모드인 경우, 상기 이동체의 스티어링 휠은 상기 이동체 실내 측에 유지되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이 비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주행 모드가 제 1 모드인 경우, 제 1 에어백이 비활성화되며, 제 2 에어백이 활성화되고, 상기 주행 모드가 제 2 모드인 경우, 상기 제 1 에어백이 활성화되며, 상기 제 2 에어백이 비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주행 모드가 제 2 모드인 경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이동체의 상기 폴딩된 스티어링 휠의 덮개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에어백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 상단 또는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이동체의 폴딩되지 않은 스티어링 휠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되,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덮개부에서 확대되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이 비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덮개부 상단 영역으로 축소될 수 있다.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제 1 에어백 사이에는 제 1 디스플레이 보호 영역이 존재하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보호 영역은 상기 제 1 에어백이 전개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에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에어백이 전개되는 경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보호 영역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을 감싸는 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에어백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단에 구비된 상태에서 전개되는 경우, 상기 제 1 에어백은 정면으로 전개되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은 하단 방향으로 폴딩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성화 하는 이동체.
상기 제 1 에어백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의 하단에 구비된 상태에서 전개되는 경우, 상기 제 1 에어백은 정면으로 전개되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제 1 에어백이 전개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폴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에어백은 상기 스티어링 휠에 구비되는 에어백일 수 있다.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제 2 에어백이 전개되는 방향의 기준선을 중심으로 적어도 두 개의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구분되되,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연접되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이 비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두 개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기준선을 중심으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2디스플레이 영역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되, 상기 제 2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스티어링 휠의 정면 영역으로 확대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이 비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스티어링 휠의 상단 영역으로 축소될 수 있다.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제 2 에어백 사이에는 제 2 디스플레이 보호 영역이 존재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보호 영역은 상기 제 2 에어백이 전개되는 경우에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제 2 에어백이 전개되는 경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보호 영역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을 감싸는 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에어백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단 및 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에어백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단에 구비된 상태에서 전개되는 경우, 상기 제 2 에어백은 정면으로 전개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은 하단 방향으로 폴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에어백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의 하단에 구비된 상태에서 전개되는 경우, 상기 제 2 에어백은 정면으로 전개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제 2 에어백이 전개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폴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체의 스티어링 휠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용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체의 스티어링 휠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과 에어백의 관계를 고려하여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율 주행 이동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체가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이동체 또는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티어링 휠에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가 활성화 및 에어백이 활성화가 전환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체 충돌 감지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이 비활성화되고, 에어백이 활성화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체 충돌 감지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이 비활성화되고, 에어백이 활성화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에어백 활성화 여부에 대한 업데이트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용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용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용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용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체 사고시 휠 디스플레이 및 윈드 실드의 디스플레이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에어백을 고려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이 구비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에어백을 고려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이 구비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을 고려하여 에어백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보호 영역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이 보호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티어링 휠이 폴딩되는 구조에 기초하여 에어백이 활성화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19는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경우를 고려하여 에어백이 동작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개시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관계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간접적인 연결관계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요소들간의 순서 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일 실시 예에서의 제1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일 실시 예에서의 제2 구성요소를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서로 구별되는 구성요소들은 각각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복수의 구성요소가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요소가 분산되어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이와 같이 통합된 또는 분산된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요소들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의 부분집합으로 구성되는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에 추가적으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이동체가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이동체 또는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체는 다른 이동체 또는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이동체는 셀룰라 통신, WAVE 통신,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또는 그 밖에 다른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다른 이동체 또는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셀룰러 통신망으로서 LTE, 5G와 같은 통신망, WiFi 통신망, WAVE 통신망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DSRC와 같이 이동체에서 사용되는 근거리 통신망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이동체의 통신과 관련하여, 이동체 보안을 위해 이동체 내부에 위치하는 디바이스만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듈과 이동체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듈이 분리되어 존재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 내부에서는 와이파이 통신처럼 이동체 내의 일정 범위 내의 디바이스에 대해서만 보안에 기초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와 이동체 운전자의 개인 소유 디바이스는 상호 간의 통신만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이동체와 이동체 운전자의 개인 디바이스는 외부 통신망과 차단된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이동체는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상술한 모듈은 하나의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모듈에 기초하여 이동체는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이동체에서 통신 방법은 다양한 방법에 기초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일 예로, 이동체라 함은 이동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지칭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는 차량 (Autonomous Vehicle, Automated Vehicle 포함), 드론, 모빌리티, 이동 오피스, 이동 호텔 또는 PAV(Personal Air Vehicle) 일 수 있다. 또한, 이동체는 그 밖에 다른 이동하는 장치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스티어링 휠에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티어링 휠의 정면 영역에 디스플레이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현재 스티어링 휠의 정면 영역에는 충돌 사고를 고려하여 에어백이 장착될 수 있다. 다만, 이동체에 자율 주행이 적용되어, 충돌 가능성이 낮아지는 경우, 해당 영역은 디스플레이를 위한 영역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자율 주행에 기초하여 이동체가 주행하는 경우, 이동체의 사용자는 기존과 다르게 스티어링 휠을 제어하지 않고, 다른 동작이나 필요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사용자는 스마트 디바이스나 별도의 장치들을 통해 업무를 수행할 수 있으나, 운전석에 착석해 있는 경우에 스티어링 휠의 정면 영역을 가장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또는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UX) 관점에서 해당 영역에 디스플레이가 구비되고, 필요한 영상이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동체 사용자는 해당 영역에서 업무를 수행하거나, 필요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이동체 사고를 고려하여 운전자 보호를 위해서 해당 영역에는 에어백이 장착될 필요성이 있으며, 이를 고려한 디스플레이 영역이 설정될 필요성이 있다. 일 예로, 자율 주행에 기초하여 이동체가 동작하는 경우, 이동체의 충돌 위험이 줄어들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자율 주행에 기초하여 이동체가 동작하는 경우, 이동체는 자율 주행에 기초하여 충돌을 예측할 수 있으며, 충돌의 회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스티어링 휠 정면에 장착되는 에어백에 대한 활성화 여부는 자율 주행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고, 이를 고려하여 스티어링 휠 정면에 디스플레이 영역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자가 스티어링 휠을 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동체가 운행되는 이동체의 동작 모드를 자율 주행 모드라 정의하며, 사용자가 스티어링 휠을 조작하여 이동체를 제어하는 이동체의 동작 모드를 일반 주행 모드라 정의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서, 자율 주행 모드인 경우에 적용되는 실시예는 이동체가 주차 혹은 정차되어 있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동체가 주차 혹은 정차 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동체가 운행된다고 볼 수 없으나, 이동체의 이동에 따른 충돌 가능성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동체는 자율 주행 모드에서의 동작과 유사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이동체가 주차 혹은 정차 상태에 놓여, 이동체의 충돌 위험성이 줄어드는 경우, 이동체는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는 에어백 및 디스플레이의 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체는 이동체에 구비되는 속도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을 이용하여 이동체의 주차 혹은 정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3은 디스플레이 활성화 및 에어백 활성화가 전환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스티어링 휠의 정면 영역의 디스플레이는 자율 주행에 기초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되는 경우, 에어백은 비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에어백이 활성화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영역은 비활성화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영역과 에어백에 대한 전환은 자율 주행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에 자율 주행 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이동체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성화하고, 에어백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자율 주행 모드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단계가 존재할 수 있다. 일 예로, 자율 주행 모드의 경우, 사용자의 제어 동작이나 추가 동작이 필요한 자율 주행 모드가 존재할 수 있다. 반면, 자율 주행 모드는 사용자의 제어 동작이나 추가 동작이 필요하지 않은 자율 주행 모드가 존재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영역 활성화 및 에어백 비활성화 전환은 기 설정된 레벨 이상의 자율 주행 모드인지 여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영역은 기 설정된 레벨 이상의 자율 주행 모드에서만 활성화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되는 자율 주행 모드는 이동체 또는 사용자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일 예로, 자율 주행 모드가 기 설정된 레벨 미만인 경우, 디스플레이 영역은 비활성화되고, 에어백이 활성화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이동체 제어권이 사용자에게 전환되어 자율 주행 모드가 해제된 경우, 디스플레이 영역은 비활성화되고, 에어백은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에어백은 디스플레이 영역 활성화와 무관하게 지속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체가 자율 주행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이동체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성화하고, 에어백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다만, 일 예로, 이동체가 자율 주행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도 이동체는 에어백을 비활성화하지 않고, 활성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즉, 이동체는 자율 주행 모드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의 활성화를 제어하더라도 안전 등을 고려하여 에어백의 활성화는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이동체는 일반 주행 모드에서 제 1 에어백을 활성화하고, 디스플레이 영역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반면, 이동체가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이동체는 제 1 에어백을 비활성화하고, 제 2 에어백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때, 이동체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성화할 수 있다. 즉, 이동체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된 점을 고려하여 기존 에어백을 비활성화시키고, 디스플레이 영역을 고려한 에어백을 활성화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4 및 도 5는 이동체 충돌 감지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이 비활성화되고, 에어백이 활성화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동체가 주행하는 경우, 이동체의 주행 모드가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이동체의 주행 모드는 이동체의 제어권이 사용자에게 존재하는 일반 모드 및 이동체 스스로 주행하는 자율 주행 모드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자율 주행 모드는 기 설정된 레벨(또는 단계)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이때, 일 예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체가 자율 주행 모드에 기초하여 주행하는 경우, 스티어링 휠 정면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활성화되고, 에어백은 비활성화 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이동체가 자율 주행 모드 중 기 설정된 레벨 이상으로 주행하는 경우, 스티어링 휠 정면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활성화되고, 에어백은 비활성화 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이동체가 자율 주행 모드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성화하고, 에어백을 비활성화한 경우, 이동체는 충돌을 고려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을 비활성화하고, 에어백을 활성화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체는 자율 주행 모드에 기초하여 이동체로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이동체는 자율 주행 모드에 기초하여 이동체 전방, 후방 및 측방에 충돌 가능성이 존재하는 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이동체는 자율 주행 모드에 기초하여 감지된 물체에 대한 사전 충돌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이동체가 자율 주행 모드에 기초하여 주행하는 경우, 이동체는 충돌 여부를 사전에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이동체가 충돌 회피가 가능한 경우, 이동체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유지하고, 충돌 회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이동체가 충돌 여부를 감지한 후, 이동체 동작에 의해서도 충돌 회피가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 이동체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비활성화하고, 에어백을 활성화할 수 있다. 그 후, 이동체는 실제로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이동체를 전개할 수 있다. 반면, 이동체는 실제로 충돌이 발생하지 않고, 이동체가 충돌 물체를 회피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이동체는 다시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성화하고, 에어백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도 5를 참조하면, 이동체 주행시, 주행 모드가 결정될 수 있다. (S510) 이때, 이동체 주행에 대한 모드가 자율 주행 모드인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S520) 일 예로, 이동체가 자율 주행 모드에 기초하여 동작하지 않는 경우, 이동체는 에어백을 활성화하고, 휠 디스플레이 영역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S530) 즉, 기존 이동체와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반면, 이동체가 자율 주행 모드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경우, 이동체는 에어백을 비활성화하고, 휠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성화할 수 있다. (S540) 또한, 일 예로, 이동체가 기 설정된 레벨 이상의 자율 주행 모드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경우, 이동체는 에어백을 비활성화하고, 휠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성화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그 후, 이동체는 자율 주행에 기초하여 충돌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S550) 이때, 일 예로, 이동체가 자율 주행 모드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경우, 이동체는 주행 방향에 기초하여 주변 이동체 및 주변 물체를 디텍트 할 수 있다. 그 후, 이동체는 디텍트 된 물체 및 이동체에 기초하여 주행을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이동체는 디텍트 되는 물체 또는 이동체에 대한 충돌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는 디텍트 된 물체의 이동 방향, 속도 및 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충돌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이동체는 충돌 여부를 감지한 후, 충돌 가능성 물체에 대한 충돌 회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는 이동체의 주행 방향, 속도, 충돌 가능성 있는 물체와의 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충돌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즉, 이동체는 자율 주행에 기초하여 사전에 충돌 회피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이동체가 충돌 회피가 가능한 경우, 이동체는 휠 디스플레이 활성화를 유지할 수 있다. (S560) 보다 구체적인 일 예로, 이동체가 자율 주행에 기초하여 주행하는 경우, 이동체는 TTC(Time To Collision) 값을 계산할 수 있다. 일 예로, 자율 주행 이동체는 영상 인식이나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TTC 값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TTC 값은 인공 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시스템을 고려하여 머신러닝 방식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즉, 이동체 충돌에 대한 다수 케이스에 대한 정보를 입력으로, 실제 충돌까지의 시간을 머신러닝 방식을 통해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실제 충돌까지의 시간을 바탕으로 상술한 TTC 값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이동체에서 TTC 값이 계산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일 예로, 이동체는 TTC 값을 임계값으로 하여 휠 디스플레이 영역을 비활성화하고, 에어백을 활성화할 수 있다. 즉, 이동체는 TTC 값을 기준으로 충돌 가능성이 존재하면 휠 디스플레이 영역을 비활성화하고, 에어백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일 예로, TTC의 임계값은 0.5초 또는 1초일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일 예일 뿐,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일 예로, 이동체는 이동체가 인식하는 다른 정보에 기초하여 충돌 가능성을 판단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6에서 후술한다.
충돌 가능성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일 예로, 충돌 가능성은 하기 수학식 1 및 수학식 2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충돌 가능성을 고려하기 하기 위한 대상 이동체로 제 1 이동체 및 제 2 이동체를 고려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이동체 및 제 2 이동체는 동일한 방향으로 주행하는 이동체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제 1 이동체 및 제 2 이동체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주행하는 이동체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일 예로, TTC를 고려하기 위해 제 1 이동체와 제 2 이동체의 상대 속도 및 상호 간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이때, 하기 수학식 1에서 X(t)는 현재 시점에서의 제 1 이동체와 제 2 이동체의 거리일 수 있다. 또한,
Figure pat00001
는 제 1 이동체와 제 2 이동체의 상대속도일 수 있다. 즉, TTC(t)는 충돌 가능성이 존재하는 이동체의 거리 및 상대 속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TTC는 시간을 기준으로 측정될 수 있다. 즉, 변동되는 거리 및 상대 속도에 기초하여 TTC 값이 실시간으로 측정될 수 있다. 한편, 일 예로, 수학식 1에서 상대 속도
Figure pat00002
은 제 1 이동체와 제 2 이동체의 이동 방향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상대 속도는 상술한 X(t)가 줄어드는 방향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이동체와 제 2 이동체가 동일한 방향으로 주행하는 경우, 각각의 이동체의 이동 방향에 따른 속도 차이에 기초하여 하기 수학식 2처럼
Figure pat00003
가 계산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제 1 이동체와 제 2 이동체의 방향이 다른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때, 제 1 이동체가 제 1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 2 이동체가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 1 이동체와 제 2 이동체 거리의 연장선 방향을 고려하여 각각의 이동체에 대한 속도가 결정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이동체의 이동 방향과 거리의 위상을 고려하여 각각의 속도 값이 결정될 수 있다. 즉, 하기 수학식들에 기초하여 상대 속도를 구하고, 상대 속도에 기초하여 TTC 값이 실시간으로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1]
TTC(t) =
Figure pat00004
[수학식 2]
Figure pat00005
-
Figure pat00006
또한, 일 예로, 충돌 가능성은 상술한 TTC값과 각 이동체의 긴급 제동 거리를 더 고려하여 판단될 수 있다. 일 예로, 긴급 제동 거리는, 하기 수학식 3과 같을 수 있다. 일 예로, 긴급 제동 거리는 이동체의 딜레이 시간
Figure pat00007
과 이동체의 현재 속도 V(t)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의 딜레이 시간은 센서나, ECU 및 엑셀레이터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긴급 제동 거리는 이동체가 위험을 감지하고, 이동체를 정지시키기 위한 거리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충돌 가능성은 상술한 TTC 및 긴급 제동 거리를 더 고려할 수 있다. 일 예로, TTC가 짧은 경우라도 이동체가 긴급 제동을 통해 충분히 충돌을 피할 수 있는 경우라면 이동체는 충돌을 회피할 수 있다. 반면, TTC가 길더라도 긴급 제공 거리가 큰 경우라면 충돌 가능성이 존재할 수 있는바, 충돌 회피가 불가능할 수 있다.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충돌 가능성은 TTC 값 및 긴급 제동 거리를 더 고려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수학식 3]
D(t) =
Figure pat00008
이때, 일 예로,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이동체가 충돌 회피가 가능한 경우, 이동체는 휠 디스플레이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이동체는 충돌 우려가 없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활용하는 것을 제한하지 않기 위해 디스플레이 영역을 유지하고, 에어백을 비활성화 상태로 할 수 있다. 반면, 이동체가 충돌 회피가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 이동체는 에어백을 활성화하고, 휠 디스플레이 영역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S570) 이때, 이동체의 충돌 가능성이 존재하는 상황이고, 이동체에 실제 충돌이 발생하는지 여부는 불명확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이동체가 충돌 회피가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 이동체는 에어백을 활성화시키고, 휠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성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가 충돌 회피가 불가능한 경우, 이동체는 에어백을 활성화시키고, 충돌시 에어백이 전개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충돌 회피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긴박한 상황일 수 있는바, 이동체는 휠 디스플레이 영역을 비활성화 시키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기보다 현재 휠 디스플레이 영역의 활성화를 유지한채로 에어백 전개시 휠 디스플레이 영역을 보호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이동체는 휠 디스플레이 영역의 활성화를 유지한채 에어백 전개에 디스플레이 영역이 방해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 영역을 보호하도록 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일 예로, 이동체에 실제로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이동체는 충돌에 기초하여 활성화된 에어백을 전개할 수 있다. (S580) 즉, 자율 주행의 경우에는 충돌 여부에 대한 예측이 가능할 수 있는바, 휠 디스플레이 영역의 활성화와 에어백의 활성화를 조절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6은 에어백 활성화 여부에 대한 업데이트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휠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되고, 에어백은 비활성화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이동체는 자율 주행에 기초하여 충돌 가능성을 판단하고, 휠 디스플레이 영역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다만, 일 예로, 이동체가 자율 주행에 기초하여 충돌 가능성 및 충돌 회피 여부를 판단하는 상황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가 주행 중에 정차하거나 도로 상황에 따라 서행하는 경우와 같이 다른 이동체 또는 물체와 거리가 가까운 경우, 이동체는 자율 주행에 따라 충돌 가능성 여부를 판단하더라도 충돌 가능성이 존재하는 상황에 대한 판단 동작이 많을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이동체가 충돌 가능성에 대한 동작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휠 디스플레이 영역을 비활성화하고, 에어백을 활성화하는 경우, 이동체 동작 제어에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이동체 사용자에 대한 편의성이 낮아질 수 있다.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이동체는 충돌 가능성 및 충돌 회피 여부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는 AI (Artificial Intelligence) 시스템을 통해 충돌 가능성 및 충돌 회피 여부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때, AI 시스템은 이동체 자체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이동체는 충돌 가능성 및 충돌 회피 여부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일 예로, 이동체는 상술한 도 6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마다 해당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즉, 이동체가 충돌 가능성 및 충돌 회피 가능 여부에 대한 판단을 수행하는 경우, 이동체 동작은 입력 정보가 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판단에 대한 정보 및 결과가 지속적으로 저장되고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일 예로, AI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충돌 가능성 및 충돌 회피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이에 대한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AI 시스템은 동일 또는 유사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비교하여 학습할 수 있다. 즉, AI 시스템은 획득한 정보와 기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실제 충돌 가능성 및 충돌 회피 여부에 대한 학습을 수행하고, 이에 대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AI 시스템이 획득한 표본이 증가하고, 다양한 상황을 인지하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충돌 회피 여부에 대한 판단 정확도가 높아질 수 있다. 상술한 바를 통해, AI 시스템은 충돌 가능성 및 충돌 회피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이를 이동체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이동체는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는 충돌 가능성 및 충돌 회피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충돌 상황에 대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이동체는 디스플레이 영역 활성화 및 에어백 비활성화 상태에 대한 판단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동체는 휠 디스플레이 영역을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일 예로, 상술한 바와 같이 AI 시스템이 충돌 가능성에 대한 학습을 수행하는 경우, AI 시스템은 TTC 값에 기초하여 충돌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즉, AI 시스템은 다양한 케이스에 대한 정보를 입력 정보로써 획득한 후, 입력 정보를 기준으로 실제 충돌까지의 시간 값을 계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AI 시스템은 TTC 값을 산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충돌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즉, 충돌 가능성을 판단하는 기준 정보는 TTC 값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7 내지 도 11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용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휠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되는 경우, 이동체는 휠 디스플레이 영역에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는 네비게이션 및 경로에 대한 정보를 휠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이동체는 이동체 제어와 관련된 정보를 휠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휠 디스플레이 영역은 제한적인 디스플레이 영역일 수 있다. 따라서, 이동체 관련 정보만이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한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일 예로, 도 8을 참조하면, 이동체의 안전성은 자율 주행에 기초하여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휠 디스플레이 영역은 스마트 디바이스와 연동되어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체가 자율 주행 모드로 동작하고, 충돌 가능성에 대한 판단이 가능한 경우, 이동체는 휠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 사용자의 경우,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디스플레이 하는 정보를 미러링 또는 확장 형태로 휠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이동체가 자율 주행 모드에 기초하여 주행하는 경우에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하지 않고, 이동체를 통해 필요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도 9를 참조하면, 이동체의 안전성아 확보되어 자율 주행에 대해 사용자의 특별한 제어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 이동체는 휠 디스플레이 영역 뿐만 아니라 윈드 실드 영역에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이동체의 자율 주행 레벨(또는 단계)가 높은 레벨로서 기 설정된 레벨 이상인 경우에만 이동체의 윈드 실드 영역에 디스플레이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이동체의 윈드 실드 영역의 디스플레이는 이동체에 구현되는 HUD(Head Up Display)가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윈드 실드 영역에 디스플레이가 구현되는 경우, 이동체 주행과 관련된 사용자 시야가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윈드 실드 디스플레이는 자율 주행 레벨이 높은 경우에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일 예로, 이동체의 휠 디스플레이 영역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윈드 실드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보다 구체적인 일 예로, 이동체의 휠 디스플레이 영역에 입력부가 디스플레이되고, 윈드 실드에 출력부가 디스플레이 되는 방법일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바와 같이, 자율 주행 레벨이 높고, 사용자가 이동체 주행에 관여하지 않을 수 있는 경우, 이동체는 사용자를 위한 입력부 및 출력부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입력부는 키보드 또는 그 밖의 터치 스크린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출력부는 HUD나 홀로그램 등에 기초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이동체 사용자는 자율 주행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이동체 내부에서 주행과 무관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동체는 이를 위한 UI/UX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이동체 사고시 휠 디스플레이 및 윈드 실드의 디스플레이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이동체에 충돌 또는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체는 충돌 가능성을 판단하고, 에어백을 활성화하여 충돌에 대비할 수 있다. 다만, 일 예로, 이동체에 충돌이 발생한 경우, 이동체는 이동체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통해 충돌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에 충돌이 발생한 경우, 이동체는 윈드 실드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고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이동체 충돌 발생전의 이동체의 윈드 실드 디스플레이는 이동체 내부로 정보를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반면, 이동체에 충돌이 발생한 경우, 이동체의 윈드 실드 디스플레이는 이동체 외부로 정보를 제공하도록 설정이 변경될 수 있다. 즉, 윈드 실드 디스플레이 영역이 전환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이동체 사고 발생 전에는 이동체 내부의 HUD를 통해 이동체 내부의 윈드 실드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될 수 있다. 반면, 이동체에 사고가 발생한 경우, 이동체 내부의 HUD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반면, 이동체 외부에 포함된 HUD 또는 영상 표시 장치가 활성화되어 이동체 외부로 윈드실드 등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영역은 이동체 외부의 윈드실드에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스플레이 영역은 이동체 외부에서 윈드실드가 아닌 다른 위치에서도 활성화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는 이동체 외부 영역 중 이동체 사고에 의해 발생한 충격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가 불가능한 영역을 제외할 수 있다. 이때, 이동체는 디스플레이 영역 활성화가 가능한 영역에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성화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일 예로, 이동체가 윈드실드에 디스플레이 영역 활성화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이동체는 윈드실드에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성화할 수 있다. 반면, 이동체가 윈드실드에 디스플레이 영역 활성화가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 이동체는 윈드실드가 아닌 이동체 외부의 다른 영역에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성화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이동체 외부의 HUD 또는 영상 표시 장치는 윈드실드와 이동체 본네트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윈드실드 디스플레이 영역은 이동체 충돌 발생 여부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이 전환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이동체에 충돌이 발생한 경우, 휠 디스플레이 영역에 충돌 관련 정보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에 충돌이 발생하였지만, 에어백이 전개되지 않을 정도로 경미한 충돌인 경우, 이동체는 휠 디스플레이 영역에 충돌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는 충돌 발생 지점에 대한 정보를 휠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이동체는 사고 처리와 관련된 다른 정보를 더 디스플레이 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일 예로, 이동체에 충돌이 발생하고, 에어백이 전개될 만큼 위중한 사고의 경우, 이동체는 휠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성화하지 않을 수 있다. 이동체는 휠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성화하지 않고, 관련 정보는 이동체 사용자의 디바이스 또는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이동체에 구현된 디스플레이 영역은 충돌 발생에 기초하여 다르게 사용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2 및 도 13은 에어백을 고려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이 구비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 예로, 도 12의 (a)를 참조하면, 에어백은 스티어링 휠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이동체에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스티어링 휠 정면 영역은 상하 기준선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벌어지면서 에어백이 전개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에어백은 스터어링 휠 정면 영역의 좌우 기준선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벌어지면서 전개될 수 있다.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디스플레이는 영역은 에어백이 확장되는 기준선을 중심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에어백이 전개될 수 있는 기준선을 중심으로 두 개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인접하여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되는 경우, 에어백은 비활성화되고, 디스플레이 영역은 이미지 또는 영상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반면, 에어백이 활성화되고, 디스플레이 영역이 비활성화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영역에 공급되는 전력이 중단되고, 두 개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술한 바와 같이 두 개의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되는 경우라면 디스플레이 영역과 결합된 힌지 (hinge)가 조절되어 두 개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공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상태에서 인접할 수 있다. 즉, 두 개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하나의 디스플레이처럼 구성될 수 있다. 반면, 에어백이 활성화되는 경우, 에어백이 전개될 때 디스플레이 영역에 의해 추가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이 에어백 전개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설계될 필요성이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술한 바와 같이 힌지를 통해 조절되어 에어백이 확장될 수 있도록 공간을 구비하여 멀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에어백이 활성화되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전력 공급이 중단되고, 두 개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공간을 확보하여 에어백 전개를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스플레이 영역은 에어백 전개를 고려하여 파편이 발생하지 않은 재질이나 플렉서블 재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일 예로, 에어백 전개를 고려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에 파편이 발생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 보호 영역이 디스플레이 영역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스플레이 보호 영역은 디스플레이 보호막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스플레이 보호 영역은 디스플레이와 일체형을 결합된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스플레이 보호 영역은 보호막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영역을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보호 구조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2의 (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영역 및 에어백 사이에 디스플레이 보호막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보호막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여 에어백 전개시 에어백이 전개되기 위해 오픈되는 보호막 부분 또는 그 라인은 나머지 부분 보다 연질의 재료이거나, 보호막 서로 다른 부분간의 결합 구조 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에어백 전개시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파편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영역은 강화 유리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에어백은 충돌에 기초하여 강한 압력에 따라 전개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백의 강한 압력은 디스플레이 영역에 전달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영역에 파편이 발생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위협이 될 수 있다.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디스플레이 영역과 에어백 사이에 디스플레이 보호막이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영역에 파편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일 예로, 에어백이 활성화되고, 디스플레이 영역이 비활성화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영역은 힌지를 기준으로 양쪽으로 갈라져 에어백 전개를 방해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다만, 이때도 디스플레이 영역의 파편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보호막은 유지될 수 있으며, 이는 도 12와 같다.
또 다른 일 예로, 디스플레이 보호막은 디스플레이 영역과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에어백이 전개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보호막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감싸는 형태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 다른 일 예로, 도 1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영역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에어백이 전개되는 기준선과 다른 방향으로서 도 13처럼 상단의 힌지에 기초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되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상단의 힌지로부터 확장되어 스티어링 휠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반면, 에어백이 활성화되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상단의 힌지 부분으로 축소되어 에어백이 전개되는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에어백이 전개되는 기준선을 기준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힌지가 다른 부분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스티어링 휠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을 위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활용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자율 주행 모드를 통해 에어백과 연동되어 동작할 수 있다. 다만, 일 예로, 상술한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보호막이 에어백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사이에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보호막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힌지에 충격이 전달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4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고려하여 에어백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되는 경우, 에어백은 비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에어백이 활성화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영역은 비활성화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영역의 활성화와 에어백의 활성화는 서로 상반되어 동작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영역에 의해 에어백의 전개가 원활하게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예로, 에어백이 상술한 도 12와 같이 디스플레이 영역 중간에서 전개되는 경우, 에어백의 압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파편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스플레이 영역에 의해 에어백 전개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에어백은 디스플레이 영역의 가장 상단에서 확장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4의 (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단에 에어백이 설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도 14의 (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영역의 하단에 에어백이 설치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에어백이 전개되지 않도록 하고, 디스플레이 영역을 피해 에어백이 전개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에어백 전개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일 예로, 도 14의 (c)를 참조하면, 에어백은 도 14의 (a)에 기초하여 상단 영역에서 확장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영역 전체는 에어백의 전개에 의해 하단으로 내려갈 수 있다. 상술한 경우,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단만 에어백의 압력을 전달받아 하단으로 확장되는바, 에어백 전개를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도 14(d)를 참조하면 에어백은 도 14의(b)에 기초하여 하단 영역에서 확장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영역 전체는 에어백의 전개에 의해 상단으로 올라갈 수 있다. 상술한 경우, 디스플레이 영역의 하단만 에어백의 압력을 전달받아 상단으로 확장되는바, 에어백 전개를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에어백은 디스플레이 영역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일 예로, 도 14의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되는 경우, 에어백은 비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에어백이 활성화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영역은 비활성화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에어백은 도 14(a) 또는 도 14(b)와 같이 장착된 후 디스플레이(또는 디스플레이 판넬)이 유지된채로 전개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4(c) 또는 도 14(d)처럼 디스플레이가 확장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예로, 도 14(a)처럼 휠 디스플레이 상단에 에어백이 전개될 수 있는 공간을 통해 에어백이 전개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도 14(b)처럼 휠 디스플레이 하단에 에어백이 전개될 수 있는 공간을 통해 에어백이 전개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는 에어백이 전개되더라도 유지될 수 있으며, 에어백은 장착된 영역에서 일정한 공간을 통해 전개될 수 있다. 상술한 바를 통해, 에어백 전개시 디스플레이 파편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와 무관하게 전개될 수 있다.
도 15는 디스플레이 보호막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이 보호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의 (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영역을 고려하여 에어백 및 디스플레이 영역 사이에는 디스플레이 보호막이 존재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보호막 중에서 에어백이 전개되는 부분은 상기 보호막의 다른 부분보다 연질의 재질일 수 있다. 일 예로, 에어백이 전개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보호막이 에어백 전개 방향으로 절단될 수 있다. 이때, 에어백으로부터 받는 압력은 디스플레이 보호막이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영역에는 큰 압력이 작용하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바를 통해, 디스플레이 영역이 스티어링 휠에 구현되더라도 에어백 전개를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디스플레이 보호막이 절단되는 경우, 절단되는 디스플레이 보호막 각각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덮으면서 전개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5의 (b)를 참조하면, 에어백이 전개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보호막은 에어백의 전개 방향으로 절단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스플레이 보호막이 절단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보호막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덮을 수 있다. 즉, 에어백이 전개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영역은 디스플레이 보호막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스플레이 보호막 중에서 에어백이 전개되는 부분은 상기 보호막의 다른 부분보다 연질의 재질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보호막 중에서 에어백이 전개되는 부분은 내부로 감싸질 수 있도록 탄력 있는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영역이 디스플레이 보호막에 의해 보호받는 경우, 에어백 전개시 디스플레이 영역에 파편이 발생하더라도 운전자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보호막 내에서만 파편이 존재할 수 있어 에어백 전개를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6은 스티어링 휠이 폴딩되는 구조에 기초하여 에어백이 활성화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이동체는 스티어링 휠을 폴딩하여 이동체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는 자율 주행에 기초하여 스티어링 휠을 폴딩하여 이동체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반면, 이동체의 제어권이 운전자에게 존재하는 일반 주행 모드에서 스티어링 휠은 기존 이동체와 동일하게 외부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스티어링 휠에 위치하는 에어백은 기존과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즉, 스티어링 휠은 내부에 위치하며, 이동체에 충돌이 발생한 경우, 에어백은 스티어링 휠의 정면에서 전개될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경우를 고려하여 일반 주행 모드에서 이동체는 제 1 에어백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때, 제 1 에어백은 스티어링 휠 정면에 위치한 에어백일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또 다른 일 예로, 스티어링 휠이 폴딩되어 이동체 내부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도 16에서 디스플레이 영역은 스티어링 휠이 폴딩된 영역에서 활성화될 수 있다. 한편, 일 예로,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되는 경우, 제 2 에어백이 활성화될 수 있다. 상술한 바에서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되는 경우, 에어백이 비활성화될 수 있었다. 다만, 도 16처럼 스티어링 휠이 폴딩되는 구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되는 경우, 이동체 내부 구조를 고려하여 에어백을 비활성화시키지 않고, 제 2 에어백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제 2 에어백은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단 또는 하단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는 도 16a와 같다.
보다 구체적인 일 예로, 도 16b를 참조하면, 이동체가 일반 주행 모드로서 스티어링 휠이 외부에 위치하는 경우, 스티어링 휠 내부에 위치하는 제 1 에어백이 활성화될 수 있다. 이때, 에어백은 기존과 동일하게 전개될 수 있다. 반면, 이동체가 자율 주행 모드로서 스티어링 휠에 내부에 폴딩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되고, 제 2 에어백이 활성화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영역은 스티어링 휠이 폴딩된 후 스티어링 휠을 덮는 덮개부 영역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 2 에어백은 상술한 디스플레이 영역 상단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상술한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영역은 덮개부에서 확대되어 전개될 수 있다. 반면, 디스플레이 영역이 비활성화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영역은 덮개부 상단 영역으로 축소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스티어링 휠 폴딩이 해제되어 이동체 실내에 위치하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덮개부와 함께 이동체 내부 영역으로서 비시각적인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영역은 운전자가 볼 수 없도록 내부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상술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이 폴딩된 경우의 디스플레이 영역 및 에어백 사이에도 보호 영역이 존재할 수 있으며, 보호 영역의 구체적인 동작은 상술한 바와 같을 수 있다. 일 예로, 에어백이 전개되는 경우, 에어백 전개에 필요한 압력은 디스플레이 영역 상단에 가해지고, 디스플레이 영역은 압력에 기초하여 하단으로 전개되어 에어백 전개를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이동체의 자율 주행 모드에 기초하여 활성화되는 에어백이 다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자율 주행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영역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술한 실시예에서, 이동체가 자율 주행 모드로서 스티어링 휠이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될 수 있다. 이때,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은 스티어링 휠이 폴딩된 영역에서 활성화 될 수 있다. 반면, 이동체가 일반 주행 모드로서 스티어링 휠이 외부에 위치하는 경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이 비활성화되고,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 될 수 있다. 이때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은 스티어링 휠의 덮개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은 이동체의 폴딩되지 않은 스티어링 휠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일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9는 상술한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경우를 고려하여 에어백이 동작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일 예로, 도 17 내지 도 19에서 상술하는 에어백은 상술한 도 1 내지 도 16에서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도 17 내지 도 19는 하나의 일 예일 뿐, 도 1 내지 도 16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즉, 에어백은 다른 방법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일 예로, 도 17을 참조하면, 에어백은 에어백 커버, 에어백 본체 및 에어백 제어부(Airbag Control Unit, ACU) 및 인플레이터(inflator)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에어백은 인플레이터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에어백 내부 및 커버 홀(cover hole) 형성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커버에 형성되는 홀 내부에서 압력이 증가하는 경우, 커버 중앙부가 자체적으로 절개되어 전체 티어 심(tear seam)으로 압력이 전달되어 에어백 커버 자체는 반력을 받지 않아 압력이 크게 증가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에어백 커버는 절개부에 기초하여 찢어질 수 있으며, 커버 자체에 압력이 크게 증가되지 않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일 예로, 도 18(a)를 참조하면, 이동체가 운행 중에 급정거 또는 충돌을 감지하는 경우, 이동체는 에어백을 전개할 수 있다. 특히, 이동체가 정면 충돌 또는 급정거를 감지하는 경우, 이동체는 스티어링 휠 중앙부에 위치하는 에어백을 전개할 수 있다. 이때, 이동체는 이동체에 장착된 에어백 센서와 ACU를 작동시켜 운전석 또는 조수석 에어백을 전개시켜 이동체 탑승객을 보호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에어백은 상술한 도 17과 같은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이동체가 에어백 전개가 필요함을 디텍트하는 경우, 이동체는 상술한 도 17에 기초하여 인플레이터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고, 화약이 폭발하는 압력에 의해 에어백이 팽창시킬 수 있다. 일 예로, 도 18(a)에서 인플레이터에서 발생한 압력에 기초하여 에어백 커버는 에어백 커버 상부 및 에어백 커버 하부로 절개되고, 에어백 쿠션이 활성화되어 전개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도 18(b)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에어백 커버에 디스플레이가 결합 또는 부착된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바에서는 에어백이 활성화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가 비활성화되는 경우 및 디스플레이 활성화가 유지될 수 있었다. 이때, 상술한 경우 모두 도 18(b)처럼 디스플레이가 에어백 커버와 결합하여 에어백 활성화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일 예로, 에어백이 활성화되고, 디스플레이가 비활성화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영역이 에어백 커버 끝단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에어백 쿠션이 전개되는 부분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없어지고, 이에 기초하여 에어백이 활성화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경우에도 에어백 커버의 일부 영역과 디스플레이 영역 일부는 부착(또는 결합)된 상태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에어백이 활성화되고, 디스플레이도 여전히 활성화가 유지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영역은 도 18(b)처럼 에어백 커버와 부착(또는 결합)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상술한 경우 모두 에어백 커버는 상술한 도 17에서처럼 큰 압력을 받지 않을 수 있는 구조일 수 있으며, 에어백 커버와 부착(또는 결합)된 디스플레이 영역도 큰 압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영역이 스티어링 휠 영역에 구비되더라도 에어백 전개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스티어링 휠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일 예로, 도 18(b)를 참조하면, 에어백 커버 및 보호막 상부가 디스플레이 판넬 하부와 부착(또는 결합)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에어벡 인플레이터에 기초하여 압력이 전달되는 경우, 에어백 커버는 절개부에 기초하여 갈라지고, 에어백 쿠션이 전개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영역, 보호막 및 에어백 커버가 부착(또는 결합)된 일체형으로 된 구조일 수 있는바, 에어백 전개시 함께 절개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스플레이 영역은 디스플레이 판넬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판넬은 에어백 커버 또는 보호막과 다른 재질일 수 있다.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디스플레이 판넬은 절개부를 기준으로 갈라질 수 있도록 별도의 판넬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판넬은 절개부를 기준으로 제 1 디스플레이 판넬 및 제 2 디스플레이 판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스플레이 판넬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인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에어백 커버와 함께 절개(또는 찢어지는)될 수 있다.
다만, 일 예로, 상술한 경우에 에어백 커버(또는 보호막)이 디스플레이 영역과 분리되는 경우에는 탑승자 안전에 위함이 될 수 있는바, 에어백 커버와 디스플레이 영역은 분리 불가능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영역은 에어백 전개를 방해하지 않을 수 있으며, 스티어링 휠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용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일 예로, 에어백 커버와 디스플레이 영역 일부는 분리 가능할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이 비활성화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영역은 에어백 커버 끝단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구조를 위해서 디스플레이 영역 및 에어백 커버 전부가 부착(또는 결합)된 형태로 일체형으로 구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 영역(끝단 영역)과 에어백 커버의 일부 영역은 분리 불가능한 부착(또는 결합) 구조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비활성화에 기초하여 에어백이 전개될 수 있다.
도 19는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에어백이 전개되는 경우에 에어백 커버 및 디스플레이 영역이 절개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에어백 커버는 디스플레이 영역과 일체형으로 부착된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에어백 커버는 도 17에 기초하여 큰 압력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영역도 큰 압력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9(a)를 참조하면, 에어백 커버 및 디스플레이 영역은 A-A 선을 기준으로 절개될 수 있다. 즉, 절개부는 A-A선을 기준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에어백 커버 및 디스플레이 영역은 절개부를 기준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에어백이 전개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도 19(b)를 참조하면, 에어백 커버 및 디스플레이 영역은 B-B 선을 기준으로 절개될 수 있다. 즉, 절개부는 B-B선을 기준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에어백 커버 및 디스플레이 영역은 절개부를 기준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에어백이 전개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도 19(c)를 참조하면, 에어백 커버 및 디스플레이 영역은 A-A 선 및 B-B 선을 기준으로 절개될 수 있다. 즉, 절개부는 다수의 방향으로 갈라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도 19(c)는 두 개의 기준선에 기초하여 에어백 커버 및 디스플레이 영역이 절개되지만 더 많은 기준선에 기초하여 절개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도 19(c)에서 4 개의 에어백 커버 및 디스플레이 영역이 분리되어 갈라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에어백이 전개될 수 있다.
도 20은 장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장치는 상술한 이동체, 디바이스, 서버 및 RSU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장치는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고, 연동되는 장치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장치(2100)는 상술한 동작을 위해 프로세서(2010) 및 송수신부(20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장치는 다른 장치와 통신을 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장치는 상술한 구성 이외에도 다른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장치는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상술한 장치를 포함하는 구성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이며,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장치일 수 있다.
전술한 본 개시의 예시적인 방법들은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서 동작의 시리즈로 표현되어 있지만, 이는 단계가 수행되는 순서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필요한 경우에는 각각의 단계가 동시에 또는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 예시하는 단계에 추가적으로 다른 단계를 포함하거나, 일부의 단계를 제외하고 나머지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의 단계를 제외하고 추가적인 다른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모든 가능한 조합을 나열한 것이 아니고 본 개시의 대표적인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사항들은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범용 프로세서(general processor),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는 다양한 실시 예의 방법에 따른 동작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머신-실행가능한 명령들(예를 들어,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펌웨어(firmware), 프로그램 등), 및 이러한 소프트웨어 또는 명령 등이 저장되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 가능한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를 포함한다.
2000 : 장치
2010 : 프로세서
2020 : 송수신부

Claims (76)

  1. 이동체에서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성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가 주행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체의 주행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주행 모드가 제 1 모드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활성화되고, 에어백은 비활성화되며,
    상기 주행 모드가 제 2 모드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비활성화되고, 상기 에어백은 활성화되는, 디스플레이 영역 활성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이동체 스티어링 휠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이고,
    상기 에어백은 상기 스티어링 휠에 구비된 에어백인, 디스플레이 영역 활성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에어백이 전개되는 방향의 기준선을 중심으로 적어도 두 개의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구분되되,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연접되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비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두 개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기준선을 중심으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디스플레이 영역 활성화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이되,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스티어링 휠의 정면 영역으로 확대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비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스티어링 휠의 상단 영역으로 축소되고, 디스플레이 영역 활성화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에어백 사이에는 디스플레이 보호 영역이 존재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보호 영역은 상기 에어백이 전개되는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디스플레이 영역 활성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이 전개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보호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감싸는 방향으로 전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 활성화 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이동체 스티어링 휠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고정되고,
    상기 에어백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단 및 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영역 활성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단에 구비된 상태에서 전개되는 경우, 상기 에어백은 정면으로 전개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하단 방향으로 폴딩되는, 디스플레이 영역 활성화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하단에 구비된 상태에서 전개되는 경우, 상기 에어백은 정면으로 전개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에어백이 전개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폴딩되는, 디스플레이 영역 활성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이동체의 스티어링 휠은 상기 이동체 내부로 폴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스티어링 휠이 폴딩된 위치에서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영역 활성화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드는 자율 주행 모드이고, 상기 제 2 모드는 일반 주행 모드이되,
    상기 제 1 모드에서 상기 이동체의 상기 제어권은 상기 이동체에게 제공되고, 상기 제 2 모드에서 상기 이동체의 제어권은 상기 이동체의 운전자에게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영역 활성화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드는 기 설정된 레벨 초과의 자율 주행 모드이고, 상기 제 2 모드는 일반 주행 모드 및 기 설정된 레벨 이하의 자율 주행 모드 중 어느 하나인, 디스플레이 영역 활성화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가 결정된 주행 모드에 기초하여 주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이동체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된 상기 제 1 모드에 기초하여 주행하는 경우, 상기 이동체는 사전 충돌 가능성을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영역 활성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된 사전 충돌 가능성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체가 충돌 회피가 가능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활성화를 유지하는, 디스플레이 영역 활성화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된 사전 충돌 가능성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체가 충돌 회피가 불가능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비활성화하고, 상기 에어백을 활성화하는, 디스플레이 영역 활성화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가 상기 사전 충돌 가능성을 판단하는 경우, 상기 이동체는 TTC(Time to Collision) 값을 획득하고,
    상기 이동체는 상기 획득한 TTC 값과 기 설정된 값을 비교하여 상기 이동체의 충돌 회피 가능 여부를 판단되는, 디스플레이 영역 활성화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회피 가능 여부는 AI(Artificial Intelligence) 시스템에 기초하여 판단되되,
    상기 AI 시스템은 충돌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충돌 회피 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는, 디스플레이 영역 활성화 방법.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는 상기 이동체와 연관된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와 동일한 이미지인, 디스플레이 영역 활성화 방법.
  19.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한 이동체에 있어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체의 주행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이동체의 주행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주행 모드가 제 1 모드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활성화되고, 에어백은 비활성화되며,
    상기 주행 모드가 제 2 모드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비활성화되고, 상기 에어백은 활성화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한 이동체.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이동체 스티어링 휠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이고,
    상기 에어백은 상기 스티어링 휠에 구비된 에어백인,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한 이동체.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에어백이 전개되는 방향의 기준선을 중심으로 두 개의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구분되되,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두 개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연접되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비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두 개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기준선을 중심으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한 이동체.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되,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스티어링 휠의 정면 영역으로 확대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비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스티어링 휠의 상단 영역으로 축소되고,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한 이동체.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에어백 사이에는 디스플레이 보호막이 존재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보호막은 상기 에어백이 전개되는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한 이동체.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이 전개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보호막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감싸는 방향으로 전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한 이동체.
  25.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이동체 스티어링 휠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고정되고,
    상기 에어백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단 및 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한 이동체.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단에 구비된 상태에서 전개되는 경우, 상기 에어백은 정면으로 전개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에어백 전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폴딩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한 이동체.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하단에 구비된 상태에서 전개되는 경우, 상기 에어백은 정면으로 전개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단 방향으로 폴딩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한 이동체.
  28.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이동체의 스티어링 휠은 상기 이동체 내부로 폴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스티어링 휠이 폴딩된 위치에서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한 이동체.
  29.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드는 자율 주행 모드이고, 상기 제 2 모드는 일반 주행 모드이되,
    상기 제 1 모드에서 상기 이동체의 상기 제어권은 상기 이동체에게 제공되고, 상기 제 2 모드에서 상기 이동체의 제어권은 상기 이동체의 운전자에게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한 이동체.
  3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드는 기 설정된 레벨 초과의 자율 주행 모드이고, 상기 제 2 모드는 일반 주행 모드 및 기 설정된 레벨 이하의 자율 주행 모드 중 어느 하나인,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한 이동체.
  3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결정된 주행 모드에 기초하여 주행을 수행하되,
    상기 이동체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된 상기 제 1 주행 모드에 기초하여 주행하는 경우, 상기 이동체는 사전 충돌 가능성을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한 이동체.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된 사전 충돌 가능성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체가 충돌 회피가 가능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활성화를 유지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한 이동체.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된 사전 충돌 가능성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체가 충돌 회피가 불가능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비활성화하고, 상기 에어백을 활성화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한 이동체.
  34.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가 상기 사전 충돌 가능성을 판단하는 경우, 상기 이동체는 TTC(Time to Collision) 값을 획득하고,
    상기 이동체는 상기 획득한 TTC 값과 기 설정된 값을 비교하여 상기 이동체의 충돌 회피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한 이동체.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회피 가능 여부는 AI(Artificial Intelligence) 시스템에 기초하여 판단되되,
    상기 AI 시스템은 충돌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충돌 회피 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한 이동체.
  36.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는 상기 이동체와 연관된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와 동일한 이미지인,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한 이동체.
  37. 이동체에서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성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가 주행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체의 주행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주행 모드가 제 1 모드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및 에어백 모두 활성화되며,
    상기 주행 모드가 제 2 모드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비활성화되고, 상기 에어백은 활성화되는, 디스플레이 영역 활성화 방법.
  38.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가 결정된 주행 모드에 기초하여 주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이동체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된 상기 제 1 모드에 기초하여 주행하는 경우, 상기 이동체는 사전 충돌 가능성을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영역 활성화 방법.
  39.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한 이동체에 있어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체의 주행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이동체의 주행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주행 모드가 제 1 모드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및 에어백 모두 활성화되며,
    상기 주행 모드가 제 2 모드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비활성화되고, 상기 에어백은 활성화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한 이동체.
  40.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결정된 주행 모드에 기초하여 주행을 수행하되,
    상기 이동체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된 상기 제 1 주행 모드에 기초하여 주행하는 경우, 상기 이동체는 사전 충돌 가능성을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한 이동체.
  41. 이동체에서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성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가 주행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체의 주행 모드에 기초하여 활성화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및 활성화되는 에어백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활성화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주행 모드가 제 1 모드인 경우, 상기 이동체의 스티어링 휠이 상기 이동체 내부로 폴딩되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되고,
    상기 주행 모드가 제 2 모드인 경우, 상기 이동체의 스티어링 휠은 상기 이동체 실내 측에 유지되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이 비활성화되는, 디스플레이 영역 활성화 방법.
  42.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모드가 제 1 모드인 경우, 제 1 에어백이 비활성화되며, 제 2 에어백이 활성화되고,
    상기 주행 모드가 제 2 모드인 경우, 상기 제 1 에어백이 활성화되며, 상기 제 2 에어백이 비활성화되는, 디스플레이 영역 활성화 방법.
  43. 제 42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모드가 제 2 모드인 경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되는, 디스플레이 영역 활성화 방법.
  44.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이동체의 상기 폴딩된 스티어링 휠의 덮개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에어백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 상단 또는 하단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영역 활성화 방법.
  45.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이동체의 폴딩되지 않은 스티어링 휠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인, 디스플레이 영역 활성화 방법.
  46.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되,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덮개부에서 확대되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이 비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덮개부 상단 영역으로 축소되는, 디스플레이 영역 활성화 방법.
  47.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제 1 에어백 사이에는 제 1 디스플레이 보호 영역이 존재하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보호 영역은 상기 제 1 에어백이 전개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에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디스플레이 영역 활성화 방법.
  48.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에어백이 전개되는 경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보호 영역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을 감싸는 방향으로 전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 활성화 방법.
  49.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에어백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단에 구비된 상태에서 전개되는 경우, 상기 제 1 에어백은 정면으로 전개되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은 하단 방향으로 폴딩되는, 디스플레이 영역 활성화 방법.
  50.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에어백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의 하단에 구비된 상태에서 전개되는 경우, 상기 제 1 에어백은 정면으로 전개되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제 1 에어백이 전개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폴딩되는, 디스플레이 영역 활성화 방법.
  51.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에어백은 상기 스티어링 휠에 구비된 에어백인, 디스플레이 영역 활성화 방법.
  52.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제 2 에어백이 전개되는 방향의 기준선을 중심으로 적어도 두 개의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구분되되,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연접되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이 비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두 개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기준선을 중심으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디스플레이 영역 활성화 방법.
  53.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되,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스티어링 휠의 정면 영역으로 확대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이 비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스티어링 휠의 상단 영역으로 축소되고, 디스플레이 영역 활성화 방법.
  54.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제 2 에어백 사이에는 제 2 디스플레이 보호 영역이 존재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보호 영역은 상기 제 2 에어백이 전개되는 경우에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디스플레이 영역 활성화 방법.
  55.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에어백이 전개되는 경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보호 영역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을 감싸는 방향으로 전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 활성화 방법.
  5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에어백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단 및 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영역 활성화 방법.
  57.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에어백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단에 구비된 상태에서 전개되는 경우, 상기 제 2 에어백은 정면으로 전개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은 하단 방향으로 폴딩되는, 디스플레이 영역 활성화 방법.
  58.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에어백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의 하단에 구비된 상태에서 전개되는 경우, 상기 제 2 에어백은 정면으로 전개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제 2 에어백이 전개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폴딩되는, 디스플레이 영역 활성화 방법.
  59.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한 이동체에 있어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체의 주행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이동체의 주행 모드에 기초하여 활성화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및 활성화되는 에어백을 결정하고, 및
    상기 활성화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주행 모드가 제 1 모드인 경우, 상기 이동체의 스티어링 휠이 상기 이동체 내부로 폴딩되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되고,
    상기 주행 모드가 제 2 모드인 경우, 상기 이동체의 스티어링 휠은 상기 이동체 실내 측에 유지되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이 비활성화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성화 하는 이동체.
  60. 제 59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모드가 제 1 모드인 경우, 제 1 에어백이 비활성화되며, 제 2 에어백이 활성화되고,
    상기 주행 모드가 제 2 모드인 경우, 상기 제 1 에어백이 활성화되며, 상기 제 2 에어백이 비활성화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성화 하는 이동체.
  61. 제 60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모드가 제 2 모드인 경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성화 하는 이동체.
  62. 제 6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이동체의 상기 폴딩된 스티어링 휠의 덮개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에어백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 상단 또는 하단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성화 하는 이동체.
  63.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이동체의 폴딩되지 않은 스티어링 휠의 정면 디스플레이 영역인,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성화 하는 이동체.
  64. 제 6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되,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덮개부에서 확대되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이 비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덮개부 상단 영역으로 축소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성화 하는 이동체.
  65. 제 6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제 1 에어백 사이에는 제 1 디스플레이 보호 영역이 존재하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보호 영역은 상기 제 1 에어백이 전개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에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성화 하는 이동체.
  66.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에어백이 전개되는 경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보호 영역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을 감싸는 방향으로 전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성화 하는 이동체.
  67. 제 6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에어백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단에 구비된 상태에서 전개되는 경우, 상기 제 1 에어백은 정면으로 전개되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은 하단 방향으로 폴딩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성화 하는 이동체.
  68. 제 6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에어백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의 하단에 구비된 상태에서 전개되는 경우, 상기 제 1 에어백은 정면으로 전개되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제 1 에어백이 전개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폴딩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성화 하는 이동체.
  69. 제 6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에어백은 상기 스티어링 휠에 구비된 에어백인,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성화 하는 이동체.
  70. 제 6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제 2 에어백이 전개되는 방향의 기준선을 중심으로 적어도 두 개의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구분되되,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연접되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이 비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두 개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기준선을 중심으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성화 하는 이동체.
  71. 제 6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디스플레이 영역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되,
    상기 제 2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스티어링 휠의 정면 영역으로 확대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이 비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스티어링 휠의 상단 영역으로 축소되고,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성화 하는 이동체.
  72. 제 6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제 2 에어백 사이에는 제 2 디스플레이 보호 영역이 존재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보호 영역은 상기 제 2 에어백이 전개되는 경우에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성화 하는 이동체.
  73. 제 7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에어백이 전개되는 경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보호 영역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을 감싸는 방향으로 전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성화 하는 이동체.
  74. 제 6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에어백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단 및 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성화 하는 이동체.
  75. 제 7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에어백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단에 구비된 상태에서 전개되는 경우, 상기 제 2 에어백은 정면으로 전개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은 하단 방향으로 폴딩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성화 하는 이동체.
  76. 제 7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에어백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의 하단에 구비된 상태에서 전개되는 경우, 상기 제 2 에어백은 정면으로 전개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제 2 에어백이 전개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폴딩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성화 하는 이동체.
KR1020190126963A 2019-10-14 2019-10-14 이동체의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KR2021004434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963A KR20210044348A (ko) 2019-10-14 2019-10-14 이동체의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US17/064,887 US11865914B2 (en) 2019-10-14 2020-10-07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n a vehicle
CN202011093675.7A CN112721817A (zh) 2019-10-14 2020-10-13 用于在车辆中显示的方法和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963A KR20210044348A (ko) 2019-10-14 2019-10-14 이동체의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4348A true KR20210044348A (ko) 2021-04-23

Family

ID=75382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6963A KR20210044348A (ko) 2019-10-14 2019-10-14 이동체의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865914B2 (ko)
KR (1) KR20210044348A (ko)
CN (1) CN11272181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90845B2 (en) * 2021-04-29 2023-02-28 Toyota Research Institut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head-up display in a vehicle
CN114013383B (zh) * 2021-12-21 2023-12-26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屏幕移动装置及汽车
CN115257618B (zh) * 2022-07-29 2023-12-15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可旋转的主驾驶安全气囊总成及车辆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94772B2 (ja) * 2010-09-29 2014-09-24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DE102013012777A1 (de) * 2013-07-31 2015-02-05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Verfahren zum Nutzen eines Kommunikationsendgeräts in einm Kraftfahrzeug beim aktivierten Autopiloten und Kraftfahrzeug
US9580033B2 (en) * 2013-11-20 2017-02-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ual airbags in vehicle with reconfigurable interior
US9073574B2 (en) * 2013-11-20 2015-07-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utonomous vehicle with reconfigurable interior
US9421929B2 (en) * 2014-09-19 2016-08-23 Joseph Y. Yoon Airbag deployment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20160200254A1 (en) * 2015-01-12 2016-07-14 BSR Technologies Group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Blind Spots
ITBA20150017A1 (it) * 2015-03-05 2016-09-05 Virgilio Savino Sistema intelligente di sicurezza e soccorso per veicoli in genere
US10040352B2 (en) * 2016-04-12 2018-08-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ehicle steering control display device
US10606276B2 (en) * 2016-09-30 2020-03-31 Faraday & Future Inc. User data-based autonomous vehicle system
FR3070327B1 (fr) * 2017-08-24 2020-10-09 Psa Automobiles Sa Systeme de commande d’un moniteur principal de vehicule autonome
US11186295B2 (en) * 2017-12-22 2021-11-30 Veripat, LLC Vehicle with escape feature using synthesized vehicle view
JP7034718B2 (ja) * 2018-01-04 2022-03-14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KR102135376B1 (ko) * 2018-01-05 2020-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입출력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US11351892B1 (en) * 2018-03-11 2022-06-07 Matthew Roy Autonomous vehicle adapted for sleeping or resting in a reclined posture
US10864872B2 (en) * 2018-06-14 2020-12-1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Occupant airbag and control system for use in autonomous vehicles with retractable steering wheels
US10532697B2 (en) * 2018-06-14 2020-01-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gmented reality-based roadside content viewing within primary field of view
US11927668B2 (en) * 2018-11-30 2024-03-12 Qualcomm Incorporated Radar deep learning
US11072301B2 (en) * 2018-12-03 2021-07-27 Key Safety Systems, Inc. Asymmetric airbag assembly for steering wheel assembly
US10857884B2 (en) * 2018-12-03 2020-12-08 Key Safety Systems, Inc. Visual display unit for a steering wheel assembly
WO2020141485A1 (en) * 2019-01-04 2020-07-09 MDGo Ltd. Passive safety design systems and methods
US11036223B2 (en) * 2019-02-08 2021-06-15 Honda Motor Co., Ltd. Steering wheel with driving mode control
WO2020246627A1 (ko) * 2019-06-04 2020-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출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721817A (zh) 2021-04-30
US11865914B2 (en) 2024-01-09
US20210107552A1 (en) 2021-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09370B2 (ja) 自動運転制御装置及び車両
KR20210044348A (ko) 이동체의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US10464559B2 (en) Damage reduction device, damage reduction method, and program
EP2284047B1 (en) Occupant protection system for vehicle
US20160121835A1 (en) Adaptive suppression of vehicle restraint system
JP6795909B2 (ja) 車両制御システム、車両制御方法、および車両制御プログラム
US20160325741A1 (en) Safety Device for a Motor Vehicle and Associated Operating Method
JP6753324B2 (ja) 車両用乗員保護装置及び車両用乗員保護方法
KR20160062306A (ko)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 장치
EP3861535B1 (en) Exploitation of automotive automated driving systems to cause motor vehicles to perform follow-me low-speed manoeuvres controllable from the outside of the motor vehicles by user terminals
CN108725348B (zh) 用于车辆的安全控制的系统及方法
JP4084318B2 (ja) 緊急ブレーキ装置
JP2009146203A (ja) 車両用安全支援装置
KR10244522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70131968A (ko) 에어백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3144597A (zh) 用于运行机动车的方法及机动车
US6863302B2 (en) Side impact automotive crash sensor system
WO2017056375A1 (ja) 被害低減装置、被害低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339172B1 (ko) 차량용 에어백 구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67311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JP7475087B2 (ja) 車両
EP4105083B1 (en) Monitoring system for a vehicle
KR20130113014A (ko) 차량의 에어백 전개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8149987A (ja) 乗員保護システム
KR100778420B1 (ko) 차체 에어백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