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1750A - 가열이 가능한 일회용 라면용기 - Google Patents

가열이 가능한 일회용 라면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1750A
KR20210041750A KR1020190124367A KR20190124367A KR20210041750A KR 20210041750 A KR20210041750 A KR 20210041750A KR 1020190124367 A KR1020190124367 A KR 1020190124367A KR 20190124367 A KR20190124367 A KR 20190124367A KR 20210041750 A KR20210041750 A KR 20210041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men
heating
container
ramen container
dispos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4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해성
Original Assignee
한국셀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셀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셀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4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1750A/ko
Publication of KR20210041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17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over a heat source, e.g. a hob, campfi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4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열이 가능한 일회용 라면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라면용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봉지라면과 같이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여러재료를 넣은 상태로 라면을 시식할 수 있도록 하고, 라면용기를가열할 수 있어 별도의 조리용기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가열이 가능한 일회용 라면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내부에 음식물이 수납되는 라면용기에 있어서, 상기 라면용긴는, 수지재로 제조된 중공형 통체(10)와;상기 통체(10)의 외주면을 감싼 상태로 하측면을 가리는 불연성 재질의 가열체(20)와; 상기 가열체(20)의 외주면과 하측면을 감싸는 상/하측부(31,35)가 분활띠(33)를 매개로 분리되는 커버체(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열이 가능한 일회용 라면용기 {Heatable disposable ramen container}
본 고안은 가열이 가능한 일회용 라면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라면용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봉지라면과 같이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여러재료를 넣은 상태로 라면을 시식할 수 있도록 하고, 라면용기를 가열할 수 있어 별도의 조리용기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가열이 가능한 일회용 라면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산이나 야외 활동시 음식물을 조리하여 시식하기 위해서는 휴대용 가스렌지와 같은 조리장치에 조리용기기를 올려놓고 여기에 조리할 대상물인 음식물들을 투입하여 가열하면서 조리하게 된다.
다시 말해,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와 같은 재질로 된 용기를 가스렌지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음식물을 넣고 가스렌지에서 일정 시간 가열하여 조리를 하게 된다.
그리고, 근래에 들어서는 바쁜 일상생활로 인해 음식물을 빨리 데워 먹을 수 있도록 하는 라면이 남녀노소 할것 없이 큰 인기를 얻고 있는데, 라면의 종류에는 가스렌지에 직접 데워서 먹는 봉지라면과 뜨거운 물을 부어먹는 사발면이 있다.
상기한 봉지라면과 사발면은 모두 빠른 시간 안에 먹을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사발면의 경우 뜨거운 물만을 부어 그 뜨거운 물이 내용물을 데우는 방식에 의해 라면을 익혀 먹게 된다. 그러나, 상기의 사발면은 뜨거운 물에 의해서 라면의 면발을 익히게 되므로, 뜨거운 물만으로는 라면의 면발이 제대로 익지 않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며 그로인해 라면을 맛있는 상태에서 먹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봉지라면에서와 같이 시식자의 기호에 맞게 다른 재료, 예를 들어 계란이나 떡살, 파, 당근과 같은 여러재료를 넣고 라면을 시식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라면을 먹을 경우 별도의 용기를 준비하여 준비된 용기에 김치나 단무지와 같은 반찬을 준비하여야 하므로 번거로움이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면발이 수납된 라면용기를 가열할 수 있어 라면을 끓이기 위해 별도의 조리용기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고,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여러 재료를 넣은 상태에서 맛있는 라면을 시식할 수 있도록 하는 라면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라면용기의 하측부를 이용하여 반찬을 담을 수 있어 별도의 용기를 구비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내부에 음식물이 수납되는 라면용기에 있어서, 상기 라면용기는, 수지재로 제조된 중공형 통체(10)와; 상기 통체(10)의 외주면을 감싼 상태로 하측면을 가리는 불연성 재질의 가열체(20)와; 상기 가열체(20)의 외주면과 하측면을 감싸는 상/하측부(31,35)가 분활띠(33)를 매개로 분리되는 커버체(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측부(35)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구획편(36)이 마련되어 구획된 공간에 음식물을 담을 수 있도록구성되고, 상기 통체(10)의 끝단부는 강도 향상을 위해 외측으로 둥그렇게 말아진 테두리(11)가 형성되는 것이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활띠(33)는 상기 하측부(35)의 하측면으로부터 3~4cm의 범위 이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가열이 가능한 일회용 라면용기는 라면을 끓이기 위해 별도의 조리용기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고, 봉지라면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여러 재료를 넣은 상태에서 맛있는 라면을 시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라면용기의 하측부를 이용하여 반찬을 담을 수 있어 별도의 반찬 용기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열이 가능한 일회용 라면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열이 가능한 일회용 라면용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열이 가능한 일회용 라면용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라면용기를 가열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열이 가능한 일회용 라면용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열이 가능한 일회용 라면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열이 가능한 일회용 라면용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열이 가능한 일회용 라면용기를 나타
- 3 -
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라면용기를 가열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라면용기는 수지재의 중공형 통체(10)와, 상기 통체(10)를 감싸는 가열체(20)와, 커버체(30)로 구성된다.
상기 통체(10)는 수지재로 재조되고, 하측이 개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통체(10)의 상단에는 내/외부가 차단되게 밀봉뚜껑(15)이 융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통체(10)의 끝단부에는 강도 향상을 위해 외측으로 둥그렇게 말아진 테두리(1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열체(20)는 불연성 재질로 상기 통체(10)의 외주면을 감싼 상태로 하측면을 가리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가열체(20)는 상기 통체(10)의 외주면 전체를 감싸고, 상기 통체(10)의 하측 개방부위를 가림으로써 상기 통체(10)의 내측에 면발과 물이 수용되었을 경우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통체(10)의 내측에 면발과 물이 수용되면, 상기 통체(10)의 밑면을 가리는 가열체(20)에 물이 접촉된 상태로 있게 된다.
그런 상태에서, 상기 가열체(20)에 열을 가하게 되면 상기 통체(10)의 밑면을 가리는 가열체(20)에 의해 물이 가열되어 면발이 익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열체(20)는 비교적 저렴한 은박지나 불연성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커버체(30)는 상기 가열체(20)의 외주면과 하측면을 감싸는 상/하측부(31,35)가 분활띠(33)를 매
개로 분리된다.
여기서, 상기 상/하측부(31,35)는 상기 통체(10)와 같이 수지재로 제조되고, 상기 하측부(35)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구획편(36)이 마련되어 구획된 공간에 음식물을 담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상기 상/하측부(31,35)를 연결하는 분활띠(33)를 외력에 의해 상기 가열체(20) 외주면을 따라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하측부(35)가 상기 상측부(31)에서 분리되고, 분리된 하측부(35)의 내측에 마련된 구획편(36)을 손가락으로 상기 하측부(35)의 밑면과 수직되게 세워놓은 상태에서 구획된 각각의 공간에 반찬을 담으면
된다.
여기서, 상기 분활띠(33)는 상기 하측부(35)의 하측면으로부터 3~4cm의 범위 이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염이 상기 가열체(20)에 닿게 되면 화염이 가열체(20)의 외측상부으로 확장되는데, 상기 가열체(20)의 외측상부로 확장되는 화염이 상기 상측부(31)에 닿지 않도록 함으로써 화염이 상측부(31)로 옮겨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커버체(30)의 하측부(35)를 분리한다.
그런 다음, 통체(10)의 상측 밀봉뚜껑(15)을 일정부분 개봉한 후, 내측에 마련된 스프를 뜯어 첨가하고, 상기통체(10)의 내측에 찬물이나 뜨거운물을 붓는다.
이때, 시식자는 뜨거운물을 상기 통체(10)에 붓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통체(10)의 내측에 찬물이나 뜨거운물을 붓고 난 후에, 스프를 뜯어 첨가할 수도 있는 데, 이는 시식자의 기호에 맞게 적절히 선택하면 될 것이다.
이런 상태에서 상기 통체(10)의 상측 밀봉뚜껑(15)을 밀폐한 후 가열기기에 용기를 올려 가열한다.
이때, 사용자는 자신의 기호에 맞게 계란이나, 양파, 파와 같은 재료를 넣을 수 있다.
그리고, 가열체(20)에 가열기기의 화염이 닿게 되면, 상기 화염으로부터 발생되는 열기에 의해 가열체(20)가 가열되면서 물이 끓게 된다.
상기의 과정으로 상기 통체(10)의 내측에 수용된 물이 끓으면, 라면과 기타재료가 충분히 익혀졌는지 확인하고익혀졌으면, 가열기기로부터 상기 통체(10)을 이탈시킨 후 시식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시식자는 상기 하측부(35)의 내측 구획편(36)을 밑면과 수직되게 세워 구획공간을 마련하고, 마련된 구획공간에 김치와 단무지와 같은 라면과 함께 먹을 수 있는 반찬을 담아 라면과 함께 시식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별도의 용기를 구비하지 않고도 면발이 수납된 라면용기를 가열할 수 있어 라면을 끓이기 위해 별도의 조리용기가 필요 없으며, 봉지라면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여러 재료를 넣은 상태에서 맛있는라면을 시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라면과 함께 시식할 반찬을 별도의 용기를 마련할 필요 없이 본 고안의 하측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담을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통체 11: 테두리
15: 밀봉뚜껑 20: 가열체
30: 커버체 31: 상측부
33: 분활띠 35: 하측부
36: 구획편

Claims (4)

  1. 내부에 음식물이 수납되는 라면용기에 있어서,
    상기 라면용긴는, 수지재로 제조된 중공형 통체(10)와; 상기 통체(10)의 외주면을 감싼 상태로 하측면을 가리는 불연성 재질의 가열체(20)와;상기 가열체(20)의 외주면과 하측면을 감싸는 상/하측부(31,35)가 분활띠(33)를 매개로 분리되는 커버체(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이 가능한 일회용 라면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부(35)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구획편(36)이 마련되어 구획된 공간에 음식물을 담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이 가능한 일회용 라면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체(10)의 끝단부에는 강도 향상을 위해 외측으로 둥그렇게 말아진 테두리(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이 가능한 일회용 라면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활띠(33)는 상기 하측부(35)의 하측면으로부터 3~4cm의 범위 이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이 가능한 일회용 라면용기.
KR1020190124367A 2019-10-08 2019-10-08 가열이 가능한 일회용 라면용기 KR202100417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367A KR20210041750A (ko) 2019-10-08 2019-10-08 가열이 가능한 일회용 라면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367A KR20210041750A (ko) 2019-10-08 2019-10-08 가열이 가능한 일회용 라면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750A true KR20210041750A (ko) 2021-04-16

Family

ID=75743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4367A KR20210041750A (ko) 2019-10-08 2019-10-08 가열이 가능한 일회용 라면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175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24448B2 (en) Beverage dispenser
US5582854A (en) Cooking with the use of microwave
US6526875B1 (en) Cooking vessel with removable trough
CN106516443A (zh) 一种方便火锅
KR101311121B1 (ko) 멀티 쿠커
JP5075237B2 (ja) 食品包装容器
KR20210041750A (ko) 가열이 가능한 일회용 라면용기
JP2002300966A (ja) 容器兼用蒸し器
US20150118370A1 (en) Microwave macaroni cooking bowl
JP3547126B2 (ja) 殻付き貝用蒸し鍋
KR200455177Y1 (ko) 개량 신선로
KR200318987Y1 (ko) 조리용기
KR200439220Y1 (ko) 불판 열을 이용한 가온 용기
KR200259355Y1 (ko) 전자레인지용 1회용 편의 식품용기
GB2049400A (en) Cooking vessel
KR20100007636U (ko) 가열이 가능한 일회용 라면용기
CN204378850U (zh) 蒸煮并用式电子锅
JPH06125755A (ja) 容器入り冷凍食品
KR20130090971A (ko) 컵밥 포장용기
KR200365864Y1 (ko) 두맛 요리 조리용 냄비
US11304559B2 (en) Cooking apparatus
KR950010520Y1 (ko) 전자레인지의 조리용기
JPH10127490A (ja) 炊飯容器
KR20220093449A (ko) 체 형식의 컵라면 용기
CN204797558U (zh) 一种陶瓷水蒸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