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1326A - 바람개비형 도로안전 시선유도장치 - Google Patents

바람개비형 도로안전 시선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1326A
KR20210041326A KR1020190123896A KR20190123896A KR20210041326A KR 20210041326 A KR20210041326 A KR 20210041326A KR 1020190123896 A KR1020190123896 A KR 1020190123896A KR 20190123896 A KR20190123896 A KR 20190123896A KR 20210041326 A KR20210041326 A KR 20210041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rotating
gaze
mounting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3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재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앤비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앤비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앤비코리아
Priority to KR1020190123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1326A/ko
Publication of KR20210041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13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6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fastening to safety barrier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with rotatable, swingable or adjustable signs or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람개비형 도로안전 시선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바디부와 블레이드로 이루어진 바람개비형의 시선유도부재를 통해 운전자의 시선을 효과적으로 유도하여 안전한 주행을 이룰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블레이드이 파손시 신속한 교체를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지속적인 시선유도효과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바람개비형 도로안전 시선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로의 가드레일에 장착되게 설치되는 장착폴유닛(100)과, 상기 장착폴유닛(100)의 길이방향 상측에 회전축(360)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형 시선유도부재(200)로 이루어진 시선유도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선유도부재(200)는, 상기 회전축(360)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바디부(300)와, 상기 회전바디부(300)의 둘레를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회전바디부(300)에 분리가능하게 끼움결합되되 일측면에 윈드대응구(421)가 형성된 다수개의 블레이드(4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바람개비형 도로안전 시선유도장치{PINWHEEL TYPE OPTICAL GUIDE APPARATUS FOR ROAD SAFETY}
본 발명은 바람개비형 도로안전 시선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바디부와 블레이드로 이루어진 바람개비형의 시선유도부재를 통해 운전자의 시선을 효과적으로 유도하여 안전한 주행을 이룰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블레이드이 파손시 신속한 교체를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지속적인 시선유도효과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바람개비형 도로안전 시선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 설치되는 시선유도장치는 운전자들이 위치를 파악하면서 주행이 가능하도록 식별이 용이한 위치의 도로편에 설치되며, 특히 도로의 곡선구간, 공사구간, 차선 변경구간 및 위험 지역 등에 설치되어 주행시 운전자에게 도로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안전 운행을 유도하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고속도로 등에서는 단면의 반사 안내 표지판이 설치되고, 일반 국도 등에는 양면의 반사 안내 표지판이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시선유도장치의 경우 대부분 고휘도의 반사지나 빛의 굴절을 이용한 플라스틱(Plastic) 등으로 이루어진 반사판과, 이러한 반사판을 지지 및 고정해주는 지지몸체로 구성되어 도로의 주변이나 가드레일(Guard-rail) 등에 설치되어 운전자가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시서유도장치는 우수나 노면수 등에 의해 반사판이 오염될 경우 그 반사판에 의해 반사되는 반사광이 희미하게 되어 운전자의 시선을 제대로 유도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특히, 이러한 우천시나 야간시와 같이 시야확보가 다소 어려운 시기에 시선을 유도하거나 도로의 경계를 나타내 줌으로써 운전자의 안전에 지대한 역할을 하게 되는데, 종래 시선유도장치와 같은 경우 이와 같은 때에 그 반사되는 반사광이 더욱 희미하여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전혀 도와주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57684호의 눈과 얼음을 털어내는 표지판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바디부와 블레이드로 이루어진 바람개비형의 시선유도부재를 통해 운전자의 시선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도로의 굴곡진 구간이나 도로의 진행방향으로 효과적으로 안내하여 안전한 주행을 이룰 수 있도록 하고, 다수개의 블레이드 중 어느 하나의 블레이드 파손되더라도 시선유도효과를 저감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파손된 블레이드를 현장에서 신속히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지속적인 시선유도를 통한 안전운행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바람개비형 도로안전 시선유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로의 가드레일에 장착되게 설치되는 장착폴유닛(100)과, 상기 장착폴유닛(100)의 길이방향 상측에 회전축(360)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형 시선유도부재(200)로 이루어진 시선유도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선유도부재(200)는, 상기 회전축(360)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바디부(300)와, 상기 회전바디부(300)의 둘레를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회전바디부(300)에 분리가능하게 끼움결합되되 일측면에 윈드대응구(421)가 형성된 다수개의 블레이드(4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바디부(300)는, 내측에 상기 회전축(360)이 연결되는 조인트회전부(340)가 설치된 상태로 상기 조인트회전부(340)의 외측에 상기 블레이드(400)의 길이방향 일측이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끼움장착부(350)가 마련된 장착몸체(310)와, 상기 장착몸체(310)의 내측을 폐쇄하도록 상기 장착몸체(310)의 전면에 장착되는 커버구(37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400)의 폭방향 양측 가장자리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반원형의 시선유도편(422)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바디부(300)로부터 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회전축(360)에 연결되는 방향전환기어구(521)를 매개로 직교되게 설치되는 회전봉(500)과, 상기 회전봉(50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되 외주연에 방향지시반사체(511)가 부착된 서브유도구(510)와, 상기 장착폴유닛(100)의 길이방향 상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방향전환기어구(521)를 매개로 연결된 상기 회전축(360)과 회전봉(500)의 연결부위를 수용하는 기어박스(5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조인트회전부(340)는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기어박스(5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장착몸체(310)를 관통하여 돌출되게 형성되는 중공형 메인회전체(341)와, 상기 메인회전체(341)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외주연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회전핀설치홈(343)이 형성되되 상기 회전핀설치홈(343)은 단면상 상기 회전바디부(300)의 시계방향 회전에 대응되는 방향을 따라 내부 깊이가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중앙부에 상기 회전축(360)이 끼움결합되는 회전구속구(342)와, 상기 메인회전체(341)의 내주연과 상기 회전핀설치홈(343)의 내부깊이가 가장 낮은 내주면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메인회전체(341)와 회전구속구(342)간 걸림력을 제공하는 회전핀(345)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람개비형의 시선유도부재를 통해 운전자의 시선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음은 물론 도로의 굴곡진 구간이나 도로의 진행방향과 같은 주행중 필요한 안전사항을 운전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한 주행을 유도할 수 있고, 블레이드의 신속한 교체를 통한 지속적인 시선유도가 가능하여 안전운행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개비형 도로안전 시선유도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선유도부재의 회전바디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바디부의 장착몸체의 내부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구속구와 회전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회전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서브유도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캡부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캡부재의 회전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전기적 연결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개비형 도로안전 시선유도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개비형 도로안전 시선유도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선유도부재의 회전바디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바디부의 장착몸체의 내부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구속구와 회전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회전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서브유도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캡부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캡부재의 회전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전기적 연결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개비형 도로안전 시선유도장치는 도로의 가드레일에 장착되게 설치되는 장착폴유닛(100)과, 상기 장착폴유닛(100)의 길이방향 상측에 회전축(360)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형 시선유도부재(200)로 이루어진 시선유도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선유도부재(200)는 상기 회전축(360)에 연결되는 회전바디부(300)와, 상기 회전바디부(300)의 둘레를 따라 상호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회전바디부(300)에 분리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다수개의 블레이드(400)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바람개비형 도로안전 시선유도장치는 풍력에 의해 회전되는 시선유도부재(200)에 반사시트를 선택적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반사시트가 부탁착되지 않더라도 효과적인 시선유도효과를 이룰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블레이드(400)의 파손시 현장에서 파손된 블레이드만을 손쉽게 분리하여 새로운 블레이드를 신속히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장착폴유닛(100)은 도로의 가드레일에 장착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가드레일(10)의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폴(110)과, 상기 고정폴(110)의 상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폴(120)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폴(120)은 상기 고정폴(110)과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필요에 따란 회전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폴(110)이 길이방향 하단에는 상기 가드레일(10)에 장착되는 별도의 고정브라켓(미도시)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시선유도부재(200)는 상기 장착폴유닛(100)의 상측에 상기 회전축(360)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풍력에 의해 회전되어 운전자의 시선유도효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시선유도부재(200)의 회전바디부(300)는 내측에 상기 회전축(360)이 연결되는 조인트회전부(340)가 설치된 상태로 상기 조인트회전부(340)의 외측에 상기 블레이드(400)의 길이방향 일측이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끼움장착부(350)가 마련된 장착몸체(310)와, 상기 장착몸체(310)의 내측을 폐쇄하도록 상기 장착몸체(310)의 전면에 장착되는 커버구(370)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장착몸체(310)는 원판형으로 이루어지되 중심부에 상기 조인트회전부(340)가 상기 커버구(370)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베이스판(320)과, 상기 베이스판(320)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커버구(370)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상기 블레이드(400)의 일측이 관통될 수 있도록 하는 블레이드장착공(331)이 형성된 측판부(33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끼움장착부(350)는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조인트회전부(340)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측판부(330)의 내주연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방사형격판(351)과, 상기 조인트회전부(340)로부터 상기 측판부(330)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길이방향 양측이 상호 인접된 상기 방사형격판(351)에 연결되되 상기 블레이드(400)의 일측이 끼워져 걸림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걸림홀(354)이 형성된 분할판(353)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블레이드(400)의 일측을 상기 블레이드장착공(331)을 통해 상기 끼움장착부(350)로 밀어넣은 후, 상기 블레이드(400)의 일측을 상기 관통걸림홀(354)에 끼워 걸림되게 하면 상기 블레이드(400)의 결합을 손쉽게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커버구(370)는 상기 장착몸체(310)의 전면에 볼팅결합되어 상기 끼움장착부(350)에 끼움결합된 상기 장착몸체(310)의 내측으로 폐쇄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방사형격판(351)에는 상기 커버구(370)의 볼팅결합을 위한 볼팅구(35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장착몸체(310)의 일측면을 분할하도록 마련되는 상기 끼움장착부(350)에 각각의 블레이드가 끼움결합됨에 따라 회전에 의한 상기 블레이드(400)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게 되고, 어느 하나의 블레이드가 훼손되더라고 훼손된 블레이드만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400)는 상기 회전바디부(300)의 둘레를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회전바디부(300)에 분리가능하게 끼움결합되되 일측면에 윈드대응구(421)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블레이드(400)는 상기 장착몸체(310)의 측판부(330)를 관통하여 상기 끼움장착부(350)에 끼움결합되되 길이방향 일측단에 상기 분할판(353)의 내측면에 걸림되는 걸림편(411)이 마련되고, 길이방향 타측단에 상기 측판부(330)의 외측면에 밀착걸림되는 밀착편(412)이 마련된 끼움결합구(410)와, 상기 끼움결합구(410)의 밀착편(412)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좌우폭이 점차 증가되는 구조를 갖도록 연장형성되고, 일측면에 상기 윈드대응구(421)가 돌출되게 형성된 메인날개구(420)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윈드대응구(421)는 상기 메인날개구(420)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돌출되게 형성되어 풍력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블레이드(400)에 작용하는 풍력에 의해 상기 회전바디부(300)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블레이드(400)를 일정각도 회전시키지 않더라도 상기 블레이드(400)가 풍력에 용이하게 대응하여 상기 회전바디부(300)의 회전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블레이드(400)의 메인날개구(420)에는 폭방향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반원형의 시선유도편(42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시선유도편(422)은 다수개의 블레이드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원형띠를 이루게 되고, 상기 블레이드(400)의 회전수에 따라 선명한 원형띠를 형성하거나 흐릿한 원형띠를 형성하게 되는 반복작용에 의해 운전자의 시선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게 되고, 운전자의 시선유도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수개의 시선유도편(422)에 각각 다른 색상을 갖는 반사지를 부착하여 시선유도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회전바디부(300)로부터 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회전축(360)에 연결되는 방향전환기어구(521)를 매개로 직교되게 설치되는 회전봉(500)과, 상기 회전봉(50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되 외주연에 방향지시반사체(511)가 부착된 서브유도구(510)와, 상기 장착폴유닛(100)의 길이방향 상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방향전환기어구(521)를 매개로 연결된 상기 회전축(360)과 회전봉(500)의 연결부위를 수용하는 기어박스(5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시선유도부재(200)의 회전바디부(300)가 상기 블레이드(400)에 작용하는 풍력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상기 회전축(360)으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이 상기 방향전환기어구(521)를 통해 상기 회전봉(500)으로 전달되어 상기 회전봉(500)의 상부에 설치된 상기 서브유도구(51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서브유도구(510)는 상기 시선유도부재(2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서브유도구(510)에 부착된 상기 방향지시반사체(511)는 차량의 진행방향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하는 패턴이 형성되어 주행중인 도로의 곡선구간이나 진행방향을 운전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방향전환기어구(521)는 상기 회전축(360)에 설치되는 제1기어구(522)와, 상기 회전봉(500)에 설치되는 제2기어구(523)로 이루어진 베벨기어의 결합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서브유도구(510)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조인트회전부(340)는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기어박스(5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장착몸체(310)를 관통하여 돌출되게 형성되는 중공형 메인회전체(341)와, 상기 메인회전체(341)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외주연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회전핀설치홈(343)이 형성되되 상기 회전핀설치홈(343)은 단면상 상기 회전바디부(300)의 시계방향 회전에 대응되는 방향을 따라 내부 깊이가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중앙부에 상기 회전축(360)이 끼움결합되는 회전구속구(342)와, 상기 회전핀설치홈(343)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메인회전체(341)의 내주연과 상기 회전핀설치홈(343)의 내부깊이가 가장 낮은 내주면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메인회전체(341)와 회전구속구(342)간 걸림력을 제공하는 회전핀(345)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축(360)은 상기 회전구속구(342)에 끼움결합되는 길이방향 일측은 단면상 다각형 바람직하게는 육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봉(500)과 방향전환기어구(521)를 매개로 연결되는 길이방향 타측은 단면상 원형의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회전구속구(342)에는 상기 회전축(360)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축삽입홀(344)이 중공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블레이드(400)에 작용하는 풍력에 의해 상기 회전바디부(3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조인트회전부(340)의 메인회전체(341)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핀설치홈(343)에 설치된 상기 회전핀(345)이 상기 회전핀설치홈(343)의 내부깊이가 가장 낮은 부위(L)로 이동되어 상기 메인회전체(341)와 회전구속구(342)간 걸림력을 부여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회전축(360)을 회전구동시켜 상기 방향전환기어구(521)와 회전봉(500)을 매개로 연결된 상기 서브유도구(510)를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회전시켜 주행중인 도로의 곡선구간이나 진행방향을 운전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400)에 작용하는 풍력에 의해 상기 회전바디부(3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메인회전체(34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핀설치홈(343)에 설치된 상기 회전핀(345)이 상기 회전핀설치홈(343)의 내부깊이가 가장 깊은 부위(H)로 이동되어 상기 메인회전체(341)와 회전구속구(342)간 걸림력이 해제되면서 상기 메인회전체(341)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회전구속구(342)는 회전되지 않아 상기 회전구속구(342)에 연결된 회전축이 회전구동하지 않음에 따라 상기 서브유도구(510)의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핀(345)의 직경은 상기 회전핀설치홈(343)의 내부깊이가 가장 깊은 부위(H)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상기 서브유도구(510)에 형성된 상기 방향지시반사체(511)가 차량의 진행방향이 아닌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차량운전자에게 혼동을 야기함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한편, 상기 회전축(360)을 상기 조인트회전부(340)를 통해 상기 장착몸체(310)의 내측으로 일정길이 돌출시킨 상태에서 돌출된 상기 회전축(360)의 일측에 장착되는 캠부재(600)와, 상기 장착몸체(310)의 내측을 바라보는 상기 커버구(370)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캠부재(600)의 회전시 간헐적 스위칭이 이룰어질 수 있도록 장착되는 스위치센서(610)와, 상기 커버구(370)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스위치센서(610)의 신호에 의해 점등되는 발광부재(620)와, 상기 스위치센서(610)의 신호에 의해 상기 발광부재(620)가 발광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630)가 더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630)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선유도장치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도로변이나 가드레일, 상기 장착폴유닛(100)등에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스위치센서(610)는 상기 제어부(6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일측에 눌림구(612)가 형성된 센서바디(611)와, 상기 센서바디(611)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캠부재(600)의 회전시 상기 눌림구(612)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푸쉬편(613)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시선유도부재(2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축(360)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캠부재(600)가 회전되면서 상기 푸쉬편(613)을 간헐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눌림구(612)를 반복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시선유도부재(200)의 회전시 상기 커버구(370)에 설치된 상기 발광부재(620)가 간헐적으로 깜빡여 운전자의 시선유도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발광부재(620)를 발광시키기 위한 전력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개비형 도로안전 시선유도장치에 별도의 태양광장치를 설치하여 상기 태양광장치와 상기 제어부(630)간 전기적 연결을 통해 생성된 전력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 두는 바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장착폴유닛 110: 고정폴
120: 회전폴 200: 시선유도부재
300: 회전바디부 310: 장착몸체
320: 베이스판 330: 측판부
340: 조인트회전부 341: 메인회전체
342: 회전구속구 345: 회전핀
350: 끼움장착부 351: 방사형격판
353: 분할판 370: 커버구
400: 블레이드 410: 끼움결합구
420: 메인날개구 500: 회전봉
510: 서브유도구 520: 기어박스
600: 캠부재 610: 스위치센서
620: 발광부재 630: 제어부

Claims (5)

  1. 도로의 가드레일에 장착되게 설치되는 장착폴유닛(100)과, 상기 장착폴유닛(100)의 길이방향 상측에 회전축(360)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형 시선유도부재(200)로 이루어진 시선유도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선유도부재(200)는, 상기 회전축(360)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바디부(300)와, 상기 회전바디부(300)의 둘레를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회전바디부(300)에 분리가능하게 끼움결합되되 일측면에 윈드대응구(421)가 형성된 다수개의 블레이드(4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개비형 도로안전 시선유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바디부(300)는, 내측에 상기 회전축(360)이 연결되는 조인트회전부(340)가 설치된 상태로 상기 조인트회전부(340)의 외측에 상기 블레이드(400)의 길이방향 일측이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끼움장착부(350)가 마련된 장착몸체(310)와, 상기 장착몸체(310)의 내측을 폐쇄하도록 상기 장착몸체(310)의 전면에 장착되는 커버구(3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개비형 도로안전 시선유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400)의 폭방향 양측 가장자리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반원형의 시선유도편(422)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개비형 도로안전 시선유도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바디부(300)로부터 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회전축(360)에 연결되는 방향전환기어구(521)를 매개로 직교되게 설치되는 회전봉(500)과, 상기 회전봉(50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되 외주연에 방향지시반사체(511)가 부착된 서브유도구(510)와, 상기 장착폴유닛(100)의 길이방향 상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방향전환기어구(521)를 매개로 연결된 상기 회전축(360)과 회전봉(500)의 연결부위를 수용하는 기어박스(5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개비형 도로안전 시선유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회전부(340)는,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기어박스(5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장착몸체(310)를 관통하여 돌출되게 형성되는 중공형 메인회전체(341)와,
    상기 메인회전체(341)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외주연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회전핀설치홈(343)이 형성되되 상기 회전핀설치홈(343)은 단면상 상기 회전바디부(300)의 시계방향 회전에 대응되는 방향을 따라 내부 깊이가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중앙부에 상기 회전축(360)이 끼움결합되는 회전구속구(342)와,
    상기 메인회전체(341)의 내주연과 상기 회전핀설치홈(343)의 내부깊이가 가장 낮은 내주면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메인회전체(341)와 회전구속구(342)간 걸림력을 제공하는 회전핀(345)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개비형 도로안전 시선유도장치.
KR1020190123896A 2019-10-07 2019-10-07 바람개비형 도로안전 시선유도장치 KR202100413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896A KR20210041326A (ko) 2019-10-07 2019-10-07 바람개비형 도로안전 시선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896A KR20210041326A (ko) 2019-10-07 2019-10-07 바람개비형 도로안전 시선유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326A true KR20210041326A (ko) 2021-04-15

Family

ID=75440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3896A KR20210041326A (ko) 2019-10-07 2019-10-07 바람개비형 도로안전 시선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132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8347B1 (ko) 도로용 난간조명장치용 조사각 조정장치
KR100939477B1 (ko) 도로용 난간조명장치
KR100812565B1 (ko) 시설물 점검 및 진단시 차량통제를 위한 안전 경광봉
KR102409589B1 (ko) 교체설치가 용이한 도로안내표지판
KR101906380B1 (ko) 내구성·시인성·유지관리성이 향상된 광섬유 표지판
KR20210041326A (ko) 바람개비형 도로안전 시선유도장치
KR20160048377A (ko) 레이저 조명을 이용한 턴 시그널 램프 장치
KR100995337B1 (ko) 차량 유도장치를 갖는 중앙분리대
KR20090089738A (ko) 자동 복귀기능을 갖는 교통안전표지판 지지장치
KR101423900B1 (ko) 주행풍을 이용한 표식 장치
KR200389734Y1 (ko) 차선 규제봉
KR101423899B1 (ko) 주행풍을 이용한 표식 장치
KR101047343B1 (ko) 싸인카 진행방향 표시장치의 발광소자 설치구조
KR20090102275A (ko) 교통안전 표지물
KR200226934Y1 (ko) 회전식 교통 안전 표시봉
KR200277443Y1 (ko) 청소장치가 구비된 도로 표지봉
KR200228245Y1 (ko) 도로경계석용 시선유도판
KR100340995B1 (ko) 도로표지장치
KR20100125556A (ko) 싸인카 진행방향 표시장치의 방향지시물 회전 억제구조
KR100596535B1 (ko) 안개 상습 출몰구간의 도로 안전진단시설물
KR200171766Y1 (ko) 차량안내표시판
KR200334641Y1 (ko) 회전구형 시선유도표지
KR20040039232A (ko) 회전형 시선유도대
KR200223992Y1 (ko) 도로용 안전 표시구
KR101106702B1 (ko) 회전식 도로 교통 표지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