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9734Y1 - 차선 규제봉 - Google Patents

차선 규제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9734Y1
KR200389734Y1 KR20-2005-0011017U KR20050011017U KR200389734Y1 KR 200389734 Y1 KR200389734 Y1 KR 200389734Y1 KR 20050011017 U KR20050011017 U KR 20050011017U KR 200389734 Y1 KR200389734 Y1 KR 2003897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lane
wing body
support shaft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10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지현
Original Assignee
류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지현 filed Critical 류지현
Priority to KR20-2005-00110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97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97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97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4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generator
    • F21S9/04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generator driven by wind power, e.g. by wind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존의 봉체에 대하여 회전하는 날개의 구성을 이용한 자체 발전으로 램프를 발광시킴으로써, 시인성을 높이고 운전자의 시선을 확실하게 유도하여 보다 안전하게 차량을 운행할 수 있도록 해주며, 상기 봉체에 대하여 회전하는 날개에 브러시를 구성하여 반사띠 상의 먼지를 지속적으로 제거하여 반사띠의 반사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시인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해주는 차선 규제봉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선 규제봉{A traffic lane restriction pole}
본 고안은 전방의 도로선형이나 기하조건의 변화를 안내하여 안전하고 원활하게 차량을 유도하기 위한 차선 규제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봉체에 대하여 회전하는 날개의 구성을 이용한 자체 발전으로 램프를 발광시킴으로써, 시인성을 높이고 운전자의 시선을 확실하게 유도하여 보다 안전하게 차량을 운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차선 규제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선 규제봉은 도로의 중앙선이나 차선 등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불법 유턴이나 인근 차선으로부터의 합류를 방지하는 교통 안전시설물이며, 이러한 목적 이외에도 횡단보도의 표시, 보도와 차도의 분리표시, 안전지대의 표시, 버스전용차선의 표시 등 각종 경계를 표시하거나 과속으로 인한 급커브 길에서의 탈선을 예방하기 위해 설치된다.
이러한 차선 규제봉은 통상 도로 상에 결합될 수 있도록 둘레 방향으로 체결 공을 형성한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 중앙에 수직으로 입설되고 상측 외주연에 반사띠가 부착된 규제봉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규제봉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반사띠는 규제봉의 외주면에 복수개가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어 야간 주행하는 운전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차선 규제봉에 있어서는 반사띠 만으로는 시인성(視認性)이 미약한 단점이 있으며, 먼지 등에 의해 반사띠의 반사성능이 현저히 떨어지고, 특히, 야간에는 그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기존의 봉체에 대하여 회전하는 날개의 구성을 이용한 자체 발전으로 램프를 발광시킴으로써, 시인성을 높이고 운전자의 시선을 확실하게 유도하여 보다 안전하게 차량을 운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차선 규제봉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봉체에 대하여 회전하는 날개에 브러시를 구성하여 반사띠 상의 먼지를 지속적으로 제거하여 반사띠의 반사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시인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해주는 차선 규제봉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차선 규제봉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엥커볼트를 통하여 노면에 설치되는 설치판이 일체로 형성되는 봉체; 상기 봉체의 상단에 끼워져 스크류로 체결되며, 중앙에는 지주축을 형성하는 상부 지주체; 상기 상부 지주체의 지주축 상에 상,하부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중앙부가 끼워지도록 회전판 상에 다수개의 상부 날개를 형성하는 상부 날개체; 상기 상부 지주체의 지주축과 상기 상부 날개체의 각 상부 날개 사이에 구성되어 지주축에 대한 상부 날개체의 외풍에 의한 회전력을 이용하여 자체 발전하여 램프를 발광시키는 제1발광유닛; 상기 봉체의 외주측에 대응하도록 상부는 상기 상부 날개체의 회전판과 스크류 체결되는 연결판을 형성하고, 하부 일측은 상기 봉체와의 사이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봉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연결판에 다수개의 측부 날개를 형성하는 측부 날개체; 상기 봉체와 상기 측부 날개체의 각 측부 날개 사이에 구성되어 봉체에 대한 측부 날개체의 외풍에 의한 회전력을 이용하여 자체 발전하여 램프를 발광시키는 제2발광유닛; 상기 봉체의 외주면 일측에 일정폭으로 부착되는 고휘도의 반사띠; 상기 반사띠에 대응하여 측부 날개체의 일측에 장착되어 측부 날개체의 회전에 따라 반사띠에 묻은 먼지를 제거해주는 브러시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날개체는 회전판의 중앙부에 관통 하우징을 형성하여 상기 지주축에 끼워지며, 상기 관통 하우징의 외측으로 회전판 상에 4개의 상부 날개를 일정간격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날개체는 상기 상부 지주체의 지주축에 끼워진 상태로 상부 베어링의 상면에 안착되는 레테이너 플레이트와, 상기 리테이너 플레이트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지주축의 중앙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관통볼트에 의해 축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발광유닛은 상기 상부 지주체의 지주축 외주면 상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영구자석; 상기 영구자석에 대응하도록 상기 상부 날개체의 각 상부 날개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 상에 설치되는 유도코일; 상기 공간부 내부에서 상기 유도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도록 설치되는 램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부 날개체는 상기 연결판의 하측으로 4개의 측부 날개가 서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판은 상기 상부 지주체의 지주축 상의 하부 베어링에 끼워진 상태로 상부 날개체의 회전판과 스크류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발광유닛은 상기 봉체의 외주면 상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영구자석; 상기 영구자석에 대응하도록 상기 측부 날개체의 각 측부 날개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 상에 설치되는 유도코일; 상기 공간부 내부에서 상기 유도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도록 설치되는 램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램프 들은 LED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러시는 상기 측부 날개체의 다수개의 측부 날개 중 하나의 측부 날개내측에, 상기 반사띠에 대응하는 브라켓을 형성하고, 상기 브라켓에 스크류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선 규제봉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선 규제봉의 단면도로써,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선 규제봉(101)은 기존의 봉체(103)에 대하여 외풍에 의해 회전하는 상부 날개체(105)와 측부 날개체(107)의 구성을 이용한 자체 발전으로 램프를 발광시켜 시인성을 높이며, 상기 회전하는 날개에 브러시(109)를 구성하여 반사띠(111) 상의 먼지를 지속적으로 제거하여 반사띠(111)의 반사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 주기 위한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선 규제봉(101)의 구성은, 도 1에서와 같이, 원통 형상의 봉체(103)를 구비한다.
상기 봉체(103)는 그 상부가 개구되며, 그 하부에는 설치판(113)을 일체로 형성하여 엥커볼트(115)를 이용하여 노면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봉체(103)는 그 재질을 스테인리스 스틸로 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봉체(103)의 상단에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지주체(117)가 끼워져 스크류(119)로 체결되는데, 상기 상부 지주체(117)는 그 중앙에 지주축(121)을 형성한다.
상기 상부 지주체(117)의 지주축(121) 상에는 상부 날개체(105)가 상부 베어링(123) 및 하부 베어링(125)을 개재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상부 날개체(105)는 회전판(127)의 중앙부에 관통 하우징(129)을 형성하여 상기 지주축(121)에 끼워지며, 상기 관통 하우징(129)의 외측으로는 상기 회전판(127) 상에 4개의 상부 날개(131)를 일정간격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상부 날개체(105)는 그 관통 하우징(129)을 통하여 상기 상부 지주체(117)의 지주축(121)에 끼워진 상태로 축방향으로 고정되는데, 이는 상기 지주축(121)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상부 베어링(123)의 상면에 레테이너 플레이트(133)가 안착되며, 이 리테이너 플레이트(133)는 상기 지주축(121)의 중앙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관통볼트(135)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상부 날개체(105)가 지주축(121) 상에서 축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 지주체(117)의 지주축(121)과 상기 상부 날개체(105)의 4개의 상부 날개(131) 사이에는 제1발광유닛(137)이 구성되는데, 상기 제1발광유닛(137)은 상기 지주축(121)에 대한 상부 날개체(105)의 외풍에 의한 회전력을 이용하여 자체 발전하여 램프(139)를 발광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1발광유닛(137)의 구성은 상기 상부 지주체(117)의 지주축(121)외주면 상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영구자석(141)이 설치되며, 상기 영구자석(141)에 대응하도록 상기 상부 날개체(105)의 4개의 상부 날개(131)에는 공간부(S)를 형성하여 이 공간부(S) 상에 유도코일(143)을 설치한다.
또한, 상기 공간부(S) 내부에는 상기 유도코일(14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도록 램프(139)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지주축(121)에 대하여 상부 날개체(105)가 외풍에 의해 회전하면, 상기 영구자석(141)들에 대하여 각각의 유도코일(143)이 회전하면서 전자기 유도에 의한 기전력을 발생시켜 발전함으로써, 상기 램프(139)에 전원을 공급하여 발광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봉체(103)의 외주측에는 측부 날개체(107)가 구성되는데, 상기 측부 날개체(107)는 상부에 상기 상부 날개체(105)의 회전판(127)과 스크류(145) 체결되는 연결판(147)을 형성하고, 그 하부 일측은 상기 봉체(103)와의 사이에 베어링(149)을 개재하여 봉체(103)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판(147)에 4개의 측부 날개(151)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측부 날개체(107)는 상기 연결판(147)의 하측으로 4개의 측부 날개(151)가 서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판(147)은 상기 상부 지주체(117)의 지주축(121) 상의 하부 베어링(125)에 끼워진 상태로 상부 날개체(105)의 회전 판(127)과 스크류(145) 체결되어 상부 날개체(105)와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날개체(105)와 측부 날개체(107)는 그 재질을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소재 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TE)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봉체(103)와 상기 측부 날개체(107)의 4개의 측부 날개(151) 사이에는 제2발광유닛(153)이 구성되어 봉체(103)에 대한 측부 날개체(107)의 외풍에의한 회전력을 이용하여 자체 발전하여 램프(155)를 발광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발광유닛(153)도 상기 봉체(103)의 외주면 상에 설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영구자석(157)과, 상기 영구자석(157)에 대응하도록 상기 측부 날개체(107)의 각 측부 날개(151)에 공간부(S)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S) 상에 유도코일(159)이 설치되며, 상기 공간부(S) 내부에는 상기 유도코일(159)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도록 상기 램프(155)가 설치된다.
이러한 제2발광유닛(153)의 발광원리는 제1발광유닛(137)의 발광원리와 같이, 상기 봉체(103)에 대하여 측부 날개체(151)가 외풍에 의해 회전하면, 상기 영구자석(157)들에 대하여 각각의 유도코일(159)이 회전하면서 전자기 유도에 의한 기전력을 발생시켜 발전함으로써, 상기 램프(155)에 전원을 공급하여 발광시키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발광유닛(153)의 상하부에는 상기 봉체(103)와 측부 날개체(107) 사이에 각각 베어링(161,163)이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발광유닛(137) 및 제2발광유닛(153)에 적용되는 상기 각 램프(139,155)는 LED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봉체(103)의 외주면 중앙부 일측에는 고휘도의 반사띠(111)가 일정폭으로 감겨져 부착되며, 상기 반사띠(111)에 대응하여 측부 날개체(107)의 일 측에는 측부 날개체(107)의 회전에 따라 반사띠(111)에 묻은 먼지를 제거해주도록브러시(109)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브러시(109)는 상기 측부 날개체(107)의 4개의 측부 날개(151)중 하나의 측부 날개 내측에, 상기 반사띠(111)에 대응하는 브라켓(165)을 형성하고, 상기 브라켓(165)에 스크류(167)로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차선 규제봉(101)은, 도 3에서와 같이, 고속도로, 국도 등의 급커브 구간이나, 위험 과속구간 등의 도로 중앙선이나 차선등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자연 외풍이나 선행 차량에 의해 발생되는 돌풍에 의해 상부 날개체(105)와 측부 날개체(107)가 봉체(103)를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면, 도 4에서와 같이, 그 회전력을 이용하여 제1발광유닛(137)과 제2발광유닛(153)은 각각의 영구자석(141,157)과 해당 유도코일(143,159)의 전자기 유도에 의한 자체 발전으로 각 램프(139,155)를 발광시키게 된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차선 규제봉(101)은 회전하는 상부 날개체(105)와 측부날개체(107)의 구성을 이용한 자체 발전으로 발광되는 램프(139,155)에 의해 띠형상의 불빛을 발산하여 어두운 고속도로나 국도변에서도 운전자에 의한 시인성을 높이고 운전자의 시선을 확실하게 유도하여 보다 안전하게 차량을 운행할 수 있도록 해주게 된다.
또한, 상기 브러시(109)는 회전하는 하나의 측부 날개(151) 상에서 반사띠(111)의 둘레를 따라 회전하면서 반사띠(111)의 반사성능을 항시 유지할 수 있도록 먼지를 떨어줌으로써 전 방위에서 차량의 전조등을 반사시켜 운전자의 인식률을 높이며, 도로 상의 차선 구분을 위한 표식의 기능성을 향상시겨 더욱 안정적인 주행여건을 보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존의 봉체에 대하여 회전하는 날개의 구성을 이용한 자체 발전으로 램프를 발광시킴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시인성을 높이고 운전자의시선을 확실하게 유도하여 차량의 안정적인 운행을 보장하며, 기존의 봉체에 대하여 회전하는 날개에 브러시를 구성하여 반사띠 상의 먼지를 지속적으로 제거해 줌으로써, 전 방위에서 전조등의 반사를 통한 운전자의 인식률을 높여 안전운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별도의 배터리를 추가할 필요가 없어 경제적이며, 반사띠의 청결상태를 위한 작업이 불필요하여 이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을 최대한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선 규제봉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선 규제봉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선 규제봉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선 규제봉의 작동 상태도이다.

Claims (10)

  1. 차선 규제봉에 있어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엥커볼트를 통하여 노면에 설치되는 설치판이 일체로 형성되는 봉체;
    상기 봉체의 상단에 끼워져 스크류로 체결되며, 중앙에는 지주축을 형성하는 상부 지주체;
    상기 상부 지주체의 지주축 상에 상,하부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중앙부가 끼워지도록 회전판 상에 다수개의 상부 날개를 형성하는 상부 날개체;
    상기 상부 지주체의 지주축과 상기 상부 날개체의 각 상부 날개 사이에 구성되어 지주축에 대한 상부 날개체의 외풍에 의한 회전력을 이용하여 자체 발전하여 램프를 발광시키는 제1발광유닛;
    상기 봉체의 외주측에 대응하도록 상부는 상기 상부 날개체의 회전판과 스크류 체결되는 연결판을 형성하고, 하부 일측은 상기 봉체와의 사이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봉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연결판에 다수개의 측부 날개를 형성하는 측부 날개체;
    상기 봉체와 상기 측부 날개체의 각 측부 날개 사이에 구성되어 봉체에 대한 측부 날개체의 외풍에 의한 회전력을 이용하여 자체 발전하여 램프를 발광시키는 제2발광유닛;
    상기 봉체의 외주면 일측에 일정폭으로 부착되는 고휘도의 반사띠;
    상기 반사띠에 대응하여 측부 날개체의 일측에 장착되어 측부 날개체의 회전에 따라 반사띠에 묻은 먼지를 제거해주는 브러시;
    를 포함하는 차선 규제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날개체는 회전판의 중앙부에 관통 하우징을 형성하여 상기 지주축에 끼워지며, 상기 관통 하우징의 외측으로 회전판 상에 4개의 상부 날개를 일정간격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규제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날개체는 상기 상부 지주체의 지주측에 끼워진 상태로 상부 베어링의 상면에 안착되는 레테이너 플레이트와, 상기 리테이너 플레이트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지주축의 중앙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관통볼트에 의해 축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규제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발광유닛은 상기 상부 지주체의 지주축 외주면 상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영구자석;
    상기 영구자석에 대응하도록 상기 상부 날개체의 각 상부 날개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 상에 설치되는 유도코일;
    상기 공간부 내부에서 상기 유도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도록 설치되는 램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규제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날개체는 상기 연결판의 하측으로 4개의 측부 날개가 서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판은 상기 상부 지주체의 지주축 상의 하부 베어링에 끼워진 상태로 상부 날개체의 회전판과 스크류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규제봉.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발광유닛은 상기 봉체의 외주면 상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영구자석;
    상기 영구자석에 대응하도록 상기 측부 날개체의 각 측부 날개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 상에 설치되는 유도코일;
    상기 공간부 내부에서 상기 유도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도록 설치되는 램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규제봉.
  7.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LED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규제봉.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는 상기 측부 날개체의 다수개의 측부 날개 중 하나의 측부 날개 내측에, 상기 반사띠에 대응하는 브라켓을 형성하고, 상기 브라켓에 스크류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규제봉.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체는 그 재질을 스테인리스 스틸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규제봉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날개체와 측부 날개체는 그 재질을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소재 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TE)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규제봉
KR20-2005-0011017U 2005-04-20 2005-04-20 차선 규제봉 KR2003897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017U KR200389734Y1 (ko) 2005-04-20 2005-04-20 차선 규제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017U KR200389734Y1 (ko) 2005-04-20 2005-04-20 차선 규제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9734Y1 true KR200389734Y1 (ko) 2005-07-18

Family

ID=43691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1017U KR200389734Y1 (ko) 2005-04-20 2005-04-20 차선 규제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97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7526A (ko) * 2021-10-21 2023-05-02 안소윤 풍력발전을 이용한 차선규제봉 자동청소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7526A (ko) * 2021-10-21 2023-05-02 안소윤 풍력발전을 이용한 차선규제봉 자동청소장치
KR102532661B1 (ko) 2021-10-21 2023-05-16 안소윤 풍력발전을 이용한 차선규제봉 자동청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9734Y1 (ko) 차선 규제봉
JP3475389B2 (ja) 風力発電機の航空障害灯点滅装置
KR101760888B1 (ko) 회전이 가능한 그림자 광고시스템
KR101867897B1 (ko) 마그네틱을 이용한 발전 및 회전체 도로병
KR100915173B1 (ko) 풍력에 의한 발광수단을 갖는 차량 시선유도봉
KR200272033Y1 (ko) 풍력을 이용한 자가발전식 발광 표시구
KR200226934Y1 (ko) 회전식 교통 안전 표시봉
JP2005521493A (ja) 発光スキー
KR20100055029A (ko) 회전 분리식 차선 규제봉
KR102339742B1 (ko) 풍력발전기가 구비된 도로 반사경장치
KR101698060B1 (ko) 모듈형 풍력발전장치
KR200434114Y1 (ko) 풍력에 의한 발광수단을 갖는 차량 시선유도봉
KR200275740Y1 (ko) 점등을위한자가발전을갖춘도로안전표지폴
KR20040039232A (ko) 회전형 시선유도대
KR20210041326A (ko) 바람개비형 도로안전 시선유도장치
JP2005521494A (ja) 発光スノーボード
KR20020039952A (ko) 발광날개를 갖는 회전체
KR200281811Y1 (ko) 탄력봉 점멸 및 차량 점멸장치
KR200210571Y1 (ko) 차량용 표시등장치
KR200201498Y1 (ko) 풍력을 이용한 도로안내표지판
KR200355842Y1 (ko) 회전형 시선유도대
KR101916623B1 (ko) 도로용 회전 경광 장치
KR20130137317A (ko) 절전형 안전 신호기
KR200277819Y1 (ko) 차량점멸등 및 안전표지판 점멸장치
KR200284434Y1 (ko) 자연풍을 이용한 발광 위치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