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3899B1 - 주행풍을 이용한 표식 장치 - Google Patents

주행풍을 이용한 표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3899B1
KR101423899B1 KR1020140010021A KR20140010021A KR101423899B1 KR 101423899 B1 KR101423899 B1 KR 101423899B1 KR 1020140010021 A KR1020140010021 A KR 1020140010021A KR 20140010021 A KR20140010021 A KR 20140010021A KR 101423899 B1 KR101423899 B1 KR 101423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king
vehicle
pair
connecting bar
b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0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용근
박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알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알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알산업
Priority to KR1020140010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38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3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3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7/22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for rotatably or swingably mounting, e.g. for boards adapted to be rotated by the wi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주행풍을 이용한 표식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주행풍을 이용한 표식 장치는 도로에 설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지지축을 포함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축에 회전 결합되는 회전 몸체와 차량의 주행풍에 의해 회전하는 표식체와 이 표식체와 회전 몸체를 연결하는 한 쌍의 단턱 연결바를 포함하는 회전부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단턱 연결바는 상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부를 갖는 일측의 단턱 연결바와 하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부를 갖는 타측의 단턱 연결바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주행풍을 이용한 표식 장치{safety indicating apparatus using drive wind force}
본 발명은 주행풍을 이용한 표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이 통행하는 도로의 중앙분리대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중앙분리대로 구분되는 양측 방향으로 주행하는 차량이 지나갈 때 발생되는 바람으로부터 회전력을 발생시켜 차량 운전자로부터 시각적 변화를 야기시켜 안전운전을 향상시킬 수 있는 주행풍을 이용한 표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는 양측 방향으로 차량이 지나갈 수 있도록 도로의 중앙에 중앙분리대가 설치되어 있다. 중앙분리대는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이 상대편 차선과 구분을 명확히 하고,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건너편 차선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한편, 도로를 장시간 운전하게 되면, 차량의 운전자는 피로감을 느끼게 되고 나아가 시각적인 인식력이 현저하게 저하될 수 있다. 비록 도로에는 상대편 차선과 분리하고 차량이 상대편 차선으로 넘어가게 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한 중앙분리대가 설치되어 있지만, 동일한 형상으로 연이어 결합된 중앙분리대는 시각적으로 단조로운 느낌을 해소하기는 어렵다.
운전시 피로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중앙분리대의 일측에 시각적인 변화를 발생시키는 장치를 부가설치하고 있다. 시각적 변화를 유도하는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190167호의 풍력을 이용한 자가 발전형 안전 표시등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문헌의 안전 표시등은 도로의 중앙 라인 또는 가장자리 라인에 위치되는 가이드 레일로부터 수직하게 위치되는 지지바의 상단에 이 지지바를 감싸는 형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와, 이 몸체의 표면 둘레를 따라 복수의 엘이디가 배치되어 있는 표시부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임펠러와, 이 임펠러의 회전력으로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고 엘이디를 점등시키는 발전 모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선행기술에 따른 도로에 설치되는 경우 자연풍 또는 차량 주행에 따른 주행풍에 의해 회전날개가 회전되면서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켜 엘이디를 점등시키고 또한 전기 에너지를 충전시킨 후 이를 통해 엘이디를 점등시킴에 따라 야간주행 차량의 운전자가 안전 운전을 도모한다.
한편, 주행 중 차량의 운전자는 야간의 경우 점등으로부터 시각적 인식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안전 운전이 이루어질 수 있지만, 주간의 경우 그 장치의 외적 형상만이 보이게 되므로 시각적 변화를 쉽게 인식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주간 및 야간에서도 도로를 주행하는 운전자에게 시각적인 인식력을 도모할 수 있는 표식 장치를 필요로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90167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주간 및 야간에서도 도로를 주행하는 운전자에게 시각적인 인식력을 도모할 수 있는 주행풍을 이용한 표식 장치를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식 장치는 도로에 설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지지축을 포함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축에 회전 결합되는 회전 몸체와 차량의 주행풍에 의해 회전하는 표식체와 이 표식체와 회전 몸체를 연결하는 한 쌍의 단턱 연결바를 포함하는 회전부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단턱 연결바는 상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부를 갖는 일측의 단턱 연결바와 하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부를 갖는 타측의 단턱 연결바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상기 한 쌍의 단턱 연결바 사이에 한 쌍의 직선 연결바를 더욱 구비한다.
또한, 상기 직선 연결바의 길이는 상기 단턱 연결바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부의 표식체는 반구 형상의 표식체 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표식체 몸체의 내측에는 반사 시트가 부착된 표식 플레이트가 구비되며, 상기 표식 플레이트는 표식체 몸체의 내측으로 일정 깊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직선 연결바에 결합되는 표식체 몸체는 반구 형상이며, 상기 단턱 연결바에 결합되는 표식체 몸체는 반구 형상의 표식체 몸체를 결합한 구 형상이다.
또한, 상기 표식체 몸체의 내측에는 반사 시트가 부착된 표식 플레이트가 구비되며, 상기 표식 플레이트는 표식체 몸체의 내측으로 일정 깊이에 형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별도의 발전 수단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차량의 운전자로 하여금 쉽게 인식할 수 있는 표식체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식 장치는 차량의 주행풍을 이용하여 회전체를 회전하게 함으로써, 차량의 운행시 운전자의 시각적 효과를 갖도록 한다. 따라서, 안전 운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행풍을 이용한 표식 장치는 연결바에 경사부를 갖도록 구성하여, 각각의 연결바에 결합된 표식체를 서로 다른 높이로 구분되게 인식하도록 하여 명확한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행풍을 이용한 표식 장치는 표식체 몸체의 반구 형상으로 인해 마치 볼록 렌즈의 역할을 하게 되고, 운전자는 적색 또는 황색의 반사 시트를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풍을 이용한 차량 안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풍을 이용한 차량 안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풍을 이용한 차량 안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풍을 이용한 차량 안내 장치의 회전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풍을 이용한 차량 안내 장치에 구비되는 회전부의 회전 몸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풍을 이용한 차량 안내 장치에 구비되는 회전부의 연결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풍을 이용한 차량 안내 장치에 구비되는 회전부의 표식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과장되거나, 간략화되거나 그리고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단수 표현은 복수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풍을 이용한 차량 안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풍을 이용한 차량 안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풍을 이용한 차량 안내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풍을 이용한 표식 장치는 베이스(100), 지지부(200) 및 회전부(300)를 포함한다.
주행풍을 이용한 표식 장치는 도로에 설치되는 고정체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차량의 운전자에게 시각적인 단조로움을 방지하고, 도로 상태의 인식률을 높인다. 여기서, 상기 고정체는 중앙 분리대나 주변 분리대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0)는 고정체에 설치되어 고정된다. 상기 베이스는 지지부가 고정되는 상단부(110)와, 고정체에 고정되는 하단부(130)와, 상기 하단부와 상단부 사이에 구비되고 소정 높이를 갖는 중간부(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단부(110)는 회전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고정되어 결합되며, 상기 하단부(130)은 도로의 고정체에 고정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하단부는 나사를 사용하여 고정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중간부(120)은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는 구비된다. 중간부는 베이스의 높이를 결정한다. 차량의 운전자가 주행풍을 이용한 표식 장치를 인식할 수 있는 높이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1m 내지 1.5m의 길이로 구성할 수 있다. 중간부의 높이는 차량의 주행에 따른 주행풍을 용이하게 받을 수 있는 높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주행풍을 이용한 표식 장치가 도로 상에 설치되는 것이라면 1m 내지 1.5m의 길이로 구성할 수 있고, 도로 상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설치된다면 상기 설정 높이보다 낮게 형성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중간부의 둘레를 따라 두 개의 줄무늬 시트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줄무늬 시트는 주행풍을 이용한 표식장치의 존재를 운전자에게 확인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부(200)는 지지축(210)과 마감캡(2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축은 베이스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하측 부분과, 회전부가 끼워지는 중간측 부분과, 마감캡이 나사결합되는 상측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측 부분과 중간측 부분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간측 부분에 하측 부분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지지부의 중간측 부분은 원기둥 형상을 갖는다. 상기 지지부의 중간측 부분과 회전부 사이에는 베어링이 개재된다. 이에 따라 회전부는 지지부의 중간측 부분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게 된다.
상기 마감캡은(220)은 지지부의 상측 부분과 나사결합한다. 회전부가 주행풍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회전부는 상승하려는 힘이 발생되고, 상기 마감캡은 회전부의 상승을 제한한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풍을 이용한 차량 안내 장치의 회전부의 사시도와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풍을 이용한 차량 안내 장치에 구비되는 회전부의 회전 몸체를 나타낸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상기 회전부(300)는 회전 몸체(310)와, 연결바(320)와, 표식체(330)를 포함한다.
회전 몸체(310)는 원 형상이며 하측 내부에는 베이링이 끼워지는 공간부(3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측 내부에는 지지부가 끼워지는 축공(3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측에는 각각 90도 각도를 갖고, 상기 회전 몸체의 중심 방향으로 절개부(3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절개부와 절개부 사이에는 절개부의 수직하는 방향으로 나사를 결합할 수 있도록 단턱부(314)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절개부와 단턱부 사이에는 상기 절개부와 단턱부를 관통하는 나사홈(315)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홈에는 나사가 결합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풍을 이용한 차량 안내 장치에 구비되는 회전부의 연결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단턱 연결바를 나타낸 것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선 연결바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연결바(320)은 표식체를 지지한다. 연결바는 표식체 결합부(321)와, 표식체 지지바(322)와, 회전 몸체 결합부(323)를 포함한다. 상기 표식체 결합부에는 표식체가 결합되고, 상기 회전 몸체 결합부에는 회전 몸체가 결합된다.
표식체 결합부(321)는 원 형상을 갖으며,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사홈은 표식체와 결합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표식체 결합부를 원 형상을 갖는 것을 실시예로 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반원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표식체 결합부는 표식체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원 형상 중 일부분으로 하여 형성할 수 있다.
표식체 지지바(322)는 소정 길이를 갖으며, 그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통풍구(322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풍구는 역방향의 바람을 통과시켜 상기 회전부가 주행풍에 의해 용이하게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회전 몸체 결합부(323)는 표식체 지지바의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다. 회전 몸체 결합부에는 두 개의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사홈은 회전 몸체와 고정결합되기 위한 구성이다.
한편, 연결바는 한 쌍의 직선 연결바와 한 쌍의 단턱 연결바로 이루어진다. 상기 한 쌍의 직선 연결바는 상기 회전 몸체를 중심으로 하여 상호 대응되는 방향에 설치된다. 한 쌍의 직선 연결바 각각은 서로 180도 각도를 갖는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단턱 연결바는 상기 회전 몸체를 중심으로 하여 상호 대응되는 방향에 설치된다. 한 쌍의 단턱 연결바는 각각 서로 180도 각도를 갖는다. 다시 말하면 한 쌍의 단턱 연결바 사이에 직선 연결바가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직선 연결바는 동일한 직선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턱 연결바는 단턱지도록 경사부를 갖는다. 상기 한 쌍의 단턱 연결바는 각각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데, 일측의 단턱 연결바는 상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부를 갖으며, 타측의 단턱 연결바는 하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부를 갖는다.
따라서 일측의 단턱 연결바와 타측의 단턱 연결바를 상기 회전 몸체에 결합하면, 상기 표식체의 높이가 상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주행풍을 이용한 차량 안내 장치를 수평에서 바라다보면, 상기 회전부의 회전 몸체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직선 연결바에 결합된 표식체가 운전자에게 보여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회전부의 회전 몸체를 기준으로 상측에는 상측으로 경사부를 갖는 단턱 연결바에 결합된 표식체가 운전자에게 보여지게 되며, 상기 회전부의 회전 몸체를 기준으로 하측에는 하측으로 경사부를 갖는 단턱 연결바에 결합된 표식체가 운전자에게 보여지게 된다.
다시 말하면, 회전부가 회전하게 되면, 상측에는 상측으로 경사부를 갖는 단턱 연결바에 결합된 표식체가 보이고, 중간측에는 직선 경사부에 연결된 표식체가 보여지게 되며, 하측에는 하측으로 경사부를 갖는 단턱 연결바에 결합된 표식체가 보여지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상측, 중간측 및 하측으로 각각 높이를 달리하는 표식체가 인식된다.
여기서, 단턱 연결바를 결합하지 아니하고, 모두 직선 연결바를 결합한다면, 각각의 적선 연결바에 결합된 표식체는 회전으로 인해 색상의 혼합이 일어나게 되어 명확한 표식체의 인식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연결바에 경사부를 갖도록 구성하여, 각각의 연결바에 결합된 표식체를 구분하여 인식하도록 하여 명확한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예컨대, 일측의 단턱 연결바에 적색의 반사시트를 부착하고 타측의 단턱 연결바에는 황색의 반사시트를 부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측에는 항상 적색이 회전에 의해 깜빡이는 효과를 갖으며, 하측에는 항상 황색이 회전에 의해 깜빡이는 효과를 갖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중간측에 형성된 직선 경사부에 연결된 표식체를 투명한 재료로 형성한다면, 상측과 하측에 형성된 표식체만이 보여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풍을 이용한 차량 안내 장치에 구비되는 회전부의 표식체를 나타낸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상기 표식체(330)는 차량의 주행풍을 받고, 주행풍에 의해 회전한다. 회전체는 반구 형상의 표식체 몸체(331)와 그 가장자리에는 돌출부(33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표식체 몸체의 내측에는 표식 플레이트(333)가 더욱 구비된다.
상기 표식체 몸체(331)은 차량의 주행풍을 받는다. 이에 따라 차량의 주행풍에 의해 상기 표식체 몸체는 회전하게 된다. 표식체 몸체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표식체 몸체의 전면(차량이 다가오는 방향)은 표식 플레이트가 구비되어 있고, 표식체 몸체의 배면은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의 주행에 따른 주행풍은 표식 플레이트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표식체 몸체의 배면으로 불어오는 바람은 구형으로 인해 바람의 저항을 비교적 받지 않게 된다. 그리고 표식체 몸체의 내부에는 표식 플레이트가 개재된다.
한편, 상기 표식체 몸체의 가장자리에는 돌출부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332)에는 표식체 연결바가 나사 결합한다. 이에 따라 표식체와 연결바가 견고히 결합된다. 상기 돌출부는 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표식 플레이트(333)는 표식체 몸체의 내측으로 일정 깊이에 형성되며, 차량의 주행풍을 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표식 플레이트는 차량의 전조등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반사시키고 운전자에게 표식 플레이트의 존재를 인식시킨다. 표식 플레이트에는 교통 표식를 연상시키는 원형, 삼각 등 다양한 주의 표식을 부착할 수 있다. 주의 표식을 더욱 부각시키기 위하여 상기 주의 표식에는 적색 또는 황색의 경고 색상을 부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경고 색상을 갖는 주의 표식으로서 반사 시트(도면부호 미부여)를 제단하여 부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헤드 라이트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반사시킬 수 있는 고휘도의 반사 시트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표식 플레이트에 부착된 반사 시트는 표식체 몸체의 반구 형상으로 인해 마치 볼록 렌즈의 역할을 하게 되고, 운전자는 반사 시트를 쉽게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반사 시트는 복수 개의 오목 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 홈의 내부에는 반사 도료가 코팅된다. 주행하는 차량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오목 홈에서 반사된 후, 운전자에게 삼각 형상 또는 원 형상의 표식을 인식하게 한다. 이때 반사 시트로 나아간 광은 상기 오목 홈에 따라 반사되는 범위가 제한된다. 따라서 도로에 주행하는 차량 이외의 영역에서는 명확히 인식되지 않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단턱 연결바에 결합된 표식체는 구 형상이고 직선 연결바에 결합된 표식체는 반구 형상이다. 구 형상의 표식체는 반구 형상의 표식체 몸체를 서로 마주하여 결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하면, 단턱 연결바에 결합된 구 형상의 표식체는 주행풍에 의해 회전력을 약하게 받게 되고 주로 직선 연결바에 결합된 반구 형상의 표식체로부터 회전력이 발생된다. 따라서 반구 형상의 표식체의 크기를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풍을 이용한 표식 장치에 의하면, 차량의 운전자는 차량의 주행풍을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다양한 형상으로 변화되는 모습을 볼 수 있게 되고, 운전자가 주행 중 지루함을 달랠 수 있고, 안전 운전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0 : 베이스
110 : 베이스의 상단부
120 : 베이스의 중간부
130 : 베이스의 하단부
200 : 지지부
210 : 지지축
220 : 마감캡
300 : 회전부
310 : 회전 몸체
311 : 공간부
312 : 축공
313 : 절개부
314 : 단턱부
315 : 나사홈
320 : 연결바
321 : 표식체 결합부
322 : 표식체 지지바
322a : 통풍구
323 : 회전 몸체 결합부
330 : 표식체
331 : 표식체 몸체
332 : 돌출부
333 : 표식 플레이트

Claims (6)

  1. 도로에 설치되는 주행풍을 이용한 표식 장치로서,
    상기 표식 장치는,
    도로에 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지지축을 포함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축에 회전 결합되는 회전 몸체와, 차량의 주행풍에 의해 회전하는 표식체와, 이 표식체와 회전 몸체를 연결하는 한 쌍의 단턱 연결바와, 상기 한 쌍의 단턱 연결바 사이에 형성되고 단턱 연결바의 길이보다 짧은 한 쌍의 직선 연결바를 포함하는 회전부;
    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단턱 연결바는 상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부를 갖는 일측의 단턱 연결바와 하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부를 갖는 타측의 단턱 연결바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턱 연결바의 표식체는 구 형상의 표식체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직선 연결바의 표식체는 반구 형상의 표식체 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표식체 몸체의 내측에는 반사 시트가 부착된 표식 플레이트가 구비되며, 상기 표식 플레이트는 표식체 몸체의 내측으로 일정 깊이에 형성되고,
    상기 일측의 단턱 연결바에는 적색의 반사시트를 부착하고 타측의 단턱 연결바에는 황색의 반사시트를 부착하여, 회전에 의해 색상의 혼합이 일어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풍을 이용한 표식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 형상의 표식체 몸체는 반구 형상의 표식체 몸체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풍을 이용한 표식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40010021A 2014-01-28 2014-01-28 주행풍을 이용한 표식 장치 KR101423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021A KR101423899B1 (ko) 2014-01-28 2014-01-28 주행풍을 이용한 표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021A KR101423899B1 (ko) 2014-01-28 2014-01-28 주행풍을 이용한 표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3899B1 true KR101423899B1 (ko) 2014-07-25

Family

ID=51743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0021A KR101423899B1 (ko) 2014-01-28 2014-01-28 주행풍을 이용한 표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38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6623B1 (ko) * 2018-01-17 2018-11-08 주식회사 청우이디에스 도로용 회전 경광 장치
KR102524355B1 (ko) * 2022-10-14 2023-04-21 주식회사 옵티멀이노베이션 Led 갈매기 표지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5587U (ko) * 1998-02-04 1999-09-15 박선봉 도로안내용회전반사체가구비된표시장치
KR200223992Y1 (ko) * 2000-12-05 2001-05-15 이철두 도로용 안전 표시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5587U (ko) * 1998-02-04 1999-09-15 박선봉 도로안내용회전반사체가구비된표시장치
KR200223992Y1 (ko) * 2000-12-05 2001-05-15 이철두 도로용 안전 표시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6623B1 (ko) * 2018-01-17 2018-11-08 주식회사 청우이디에스 도로용 회전 경광 장치
KR102524355B1 (ko) * 2022-10-14 2023-04-21 주식회사 옵티멀이노베이션 Led 갈매기 표지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49098A (ko) 지면 매립형 상향 조명등
ES2365089A1 (es) Dispositivo de señalización de paso de peatones.
KR101406782B1 (ko) 도로경계석
JP2018037404A (ja) 支柱取付け用照明装置
KR101423899B1 (ko) 주행풍을 이용한 표식 장치
KR101234779B1 (ko) 교통사고방지를 위한 신호등 구조
KR101589695B1 (ko) 자연풍과 주행풍을 이용한 교통안전표시장치
KR20130083285A (ko) 엘이디를 이용한 횡단보도 안전 대기 시스템
KR101201879B1 (ko) 차량 검지센서에 의한 충돌예방시스템
KR20140005469A (ko) 횡단보도용 조명장치 및 조명방법
WO2003063107A2 (en) Traffic control system
KR101157800B1 (ko) 설치 용이성과 시인성이 향상된 교통안전표지판
RU2682295C1 (ru) Управляемый дифференцированный дорожный маркер и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я дорожного движения.
RU122514U1 (ru) Система регулирования дорожного движения на нерегулируемом пешеходном переходе
KR101423900B1 (ko) 주행풍을 이용한 표식 장치
CN204982743U (zh) 一种节能环保的道路指示护栏
US10559203B2 (en) Motorist warning system
KR101885882B1 (ko) 도로용 중앙분리대의 시인장치
KR102546908B1 (ko) 정보 알림용 델리네이터
KR20150064398A (ko) 스쿨존의 안전경고 장치
KR20110004365U (ko) 발광장치가 구비되는 경계펜스
CN211080023U (zh) 一种防眩目交通护栏
KR101604901B1 (ko) 교통안전 가상표지장치
KR20140139243A (ko) 안전 유도 표시 장치
KR100530956B1 (ko) 횡단보도 경고 및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