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3992Y1 - 도로용 안전 표시구 - Google Patents

도로용 안전 표시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3992Y1
KR200223992Y1 KR2020000034041U KR20000034041U KR200223992Y1 KR 200223992 Y1 KR200223992 Y1 KR 200223992Y1 KR 2020000034041 U KR2020000034041 U KR 2020000034041U KR 20000034041 U KR20000034041 U KR 20000034041U KR 200223992 Y1 KR200223992 Y1 KR 2002239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rotating
reflector
light
ref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40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두
Original Assignee
이철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두 filed Critical 이철두
Priority to KR20200000340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39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39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3992Y1/ko

Links

Landscapes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용 안전 표시구에 관한 것으로, 도로의 중앙부나 곡선도로의 선단 경계부에 설치되어 도로의 경계를 표시하도록 설치되는 도로용 안전 표시구에 있어서, 도로상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의 중앙부에 일체로 입설되는 폴부의 상부에 그 중앙부가 자유회전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그 외주면에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체가 부착된 회전반사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여 차량의 전조등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은 종래와 같이 고정된 채 구비된 표시구의 반사 각보다 다각도로 반사시킬 수 있어서, 운전자에게 표시구의 설치위치를 보다 명확하게 인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로용 안전 표시구{Safety indicator on road}
본 고안은 도로용 안전 표시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상에 구비되어 진행방향을 경계짓는 안전 표시구의 폴부 상부에 빛을 반사하는 회전반사부재를 회전가능하게 구비함으로서 회전시 다각도로 빛 반사가 이루어져 표시구 설치위치를 운전자에게 보다 확실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도로용 안전 표시구에 관한 것이다.
잘 아는 바와 같이 도로상에는 차량의 진행방향을 경계와 차선 변경 및 곡선도로를 운전자에게 알리게 위해 도로상에 표시구가 설치되어 있다.
첨부된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도로용 안전 표시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용 안전 표시구(이하, 표시구라 칭함)(100)는 진행방향이 서로 다른 차량의 차선을 경계짓기 위해 도로(A)의 중앙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는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재질로 성형되며 그 내부는 중공으로서 일체로 성형된다.
즉, 표시구(10)는 이를 도로(A)에 볼트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홀(11a)이 그 원주면상에 복수개 형성된 베이스부(11)와, 이 베이스부(11)의 중앙으로부터 일체로 입설되는 폴부(12)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부(11)와 폴부(12)는 축경부인 휨부(13)에 의해 일체로 연결형성된다.
한편, 첨부된 도면 도 2는 종래의 또 다른 도로용 안전 표시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구(10a)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체(14)를 부착하여 특히, 곡선도로(커브길)(B)와 같은 곳에 설치되어 주간에는 햇빛에 의해 반사되고 야간에는 차량의 전조등의 불빛으로 반사체를 비추도록 하여 이에 반사된 빛이 운전자에게 반사됨에 따라 도로(B)의 경계부를 운전자에게 알리게 된다.
물론 이와 같은 표시구(10,10a) 외에도 전구를 설치하여 점등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에게 도로의 경계부를 알리도록 한 것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표시구(`10,10a)들은 먼저 도 1에 도시된 표시구(10)는 도로(A)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특히 주간에 주행중인 운전자에서 도로(A)의 경계부를 알리게 된다.
즉, 야간에는 표시구(10)의 설치위치를 근접된 거리에서만이 확인 가능하게 되므로 초행 도로인 경우 로로의 경계부 확인 거리가 짧아져 운전자가 당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표시구(10a)는 이의 표시구(10a)에 빛을 반사하는 반사체(14)가 고정된 채 구비되므로 이는 빛의 각도 특히 야간에 자동차에 구비된 전조등의 빛을 반사하여 운전자에게 도로의 경계를 알리게 될 때, 전조등의 빛의 각도가 반사체와 틀리게 되면 빛의 반사가 운전자에게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됨에 따라 초행길에서 특히 사고의 위험이 뒤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도로상에 구비되어 진행방향을 경계짓는 도로용 안전 표시구의 폴부 상부에 빛을 반사하는 반사체가 구비된 회전반사부재를 회전가능하게 구비함으로서 다각도로 빛 반사가 이루어져 표시구 설치위치를 먼거리에서도 운전자에게 보다 확실하게 확인시켜줄 수 있어서 초행도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 도로용 안전 표시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도로용 안전 표시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도로용 안전 표시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안전 표시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안전 표시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안전 표시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안전 표시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안전 표시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안전 표시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100a,100b : 표시구 105 : 베이스부
110 : 폴부 115 : 회전부재
120,220 : 반사체 125 : 부착판
130 : 연결부재 135 : 접촉부재
140,140a : 회전반사부재 240 : 회전통부재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도로의 중앙부나 곡선도로의 선단 경계부에 설치되어 도로의 경계를 표시하도록 설치되는 도로용 안전 표시구에 있어서, 도로상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의 중앙부에 일체로 입설되는 폴부의 상부에 그 중앙부가 자유회전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그 외주면에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체가 부착된 회전반사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안전 표시구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회전반사부재는 원판형상의 회전부재와, 이 회전부재의 외주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반사체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판이 형성된 연결부재와, 이 부착판을 내측으로 위치하도록 함과 동시에 연결부재에 고정되는 빛을 투과시키는 투명재질로서 반구형상으로 이루어진 접촉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안전 표시구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회전반사부재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복수개의 날개편이 갖추어지되, 이 날개편의 양면에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체가 부착구비된 회전통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안전 표시구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회전반사부재는 폴부의 상부에 그 중앙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되, 그 외주면에는 반사체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판이 형성된 연결부재가 복수개 구비되고, 이 부착판을 내측으로 위치하도록 함과 동시에 연결부재에 고정되어 빛을 투과시키는 투명재질로서 반구로 이루어진 접촉부재를 포함한 회전부재와, 이 회전부재의 상부에 고착구비되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날개편이 갖추어지고 이 날개편의 양면에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체가 부착구비된 회전통부재가 동시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안전 표시구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안전 표시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안전 표시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용 안전 표시구는 도로의 중앙부나 곡선도로의 선단 경계부에 설치되어 도로의 경계를 표시하기 위해 도로용 안전 표시구가 설치되는 것으로 본 고안에의 표시구(100)는 도로(C)상에 고정되는 베이스부(105)의 중앙부에 일체로 입설되는 폴부(11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원판형상의 회전부재(115)와, 이 회전부재(115)의 외주면에는 일정간격 복수개로 그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반사체(120)를 양면에 부착시키도록 부착판(125)이 형성된 연결부재(130)와, 이 부착판(125)을 내측으로 위치하도록 함과 동시에 그 선단부는 상기 연결부재(130)에 고정되는 투명재질로서 빛을 투과시키도록 반구형상으로 이루어져 바람을 내측으로 포집하도록 부착판(125)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접촉부재(135)로 이루어진 회전반사부재(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반사체(120)는 차량의 전조등 및 빛을 반사하는 야광테이프 또는 반사경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130)와 접촉부재(135)의 결합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130)에 홈(130a)을 형성하고 이의 홈(130a)에 대응되게 삽입되도록 접촉부재(135)의 선단부에는 돌기(135a)를 형성함으로써 접촉부재(135) 고정시 회전되지 않게 고정구비된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115)와 폴부(110)와의 결합은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이는 회전부재(115)의 저면에 폴부(110)의 상단부 보다 작은 직경의 홀(115a)을 형성하고 폴부(110)의 상단부에는 요홈부(110a)를 형성하여 이의 요홈부(110a)에 홀(115a)의 외주면이 접촉하도록 삽입되므로 인해 자유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회전반사부재(140)는 회전부재(115)의 외주면에 반사체(120)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판(125)이 형성된 연결부재(130)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연결부재(130)에 고정되는 투명재질인 반구형상의 접촉부재(135)로 이루어지지 않고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구(100a)의 회전반사부재(140a)는 베이스부(105)의 중앙부에 입설된 폴부(110)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일정간격 복수개의 날개편(240a)이 갖추어지되, 이 날개편(240a)의 양면에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체(220)가 부착구비된 회전통부재(240)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이들 즉, 즉 3내지 도 6에 도시된 각각의 회전반사부재(140,140a)를 고정시켜 구비한 표시구(100b)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부(110)의 상부에 회전부재(140)를 회전가능하게 구비하고 이의 상단에 고정되게 회전통부재(240)를 구비하여 이들 부재(140,240)가 바람에 의해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안전 표시구를 도로에 설치하게 되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구(100)의 폴부(110)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구비된 회전반사부재(140)의 회전부재(115)는 연결부재(130)에 형성된 부착판(125)과 투명한 재질로서 반구형상으로 구비된 접촉부재(135) 내측으로 바람이 유입됨에 따라 회전부재(115)가 회전하게 된다.
이 회전부재(115)의 회전으로 연결부재(130)의 부착판(125) 양면에 부착된 반사체(120)가 주간에는 햇빛을 반사하게 되고 야간에는 차량의 전조등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운전자에게 반사시키게 된다.
즉, 반사체(120)를 반사한 빛은 회전부재(115)가 회전하면서 빛을 반사시키게 되므로 그 각도가 고정된 반사체(120)보다 넓은 각도에서 빛을 반사시키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표시구(100)의 설치위치를 보다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표시구를 도로상에 설치할 경우에는 날개편(240a)에 바람이 접촉하면서 회전통부재(240)가 회전하게 된다. 이로 인해 날개편(240a)의 양면에 부착된 반사체(220)가 햇빛 또는 차량에서 조사되는 전조등의 빛을 반사시켜 운전자에게 표시구(100a)의 설치위치를 알리게 된다.
물론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전술한 두 표시구의 결합으로된 표시구(100c) 또한 바람에 의해 회전부재(140) 및 회전통부재(240)가 회전함에 따라 이의 표시구 (100b)설치위치를 운전자에게 알리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표시구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체를 회전가능하게 폴부의 상단에 구비되는 회전반사부재에 부착시킴으로서 이의 회전반사부재가 회전하게되고 이에 빛이 조사되면 반사체에 반사된 빛이 점등되는 기능을 겸할 수 있어서 보다 먼거리에서 표시구의 설치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표시구는 회전반사부재의 회전부재 또는 회전통부재가 폴부를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이의 회전부재 또는 회전통부재에 빛을 반사하는 반사체가 부착구비되어 있으므로 차량의 전조등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은 종래와 같이 고정된 채 구비된 표시구의 반사 각보다 다각도로 반사시킬 수 있어서, 운전자에게 표시구의 설치위치를 보다 명확하게 인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도로의 중앙부나 곡선도로의 선단 경계부에 설치되어 도로의 경계를 표시하도록 설치되는 도로용 안전 표시구에 있어서,
    도로상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의 중앙부에 일체로 입설되는 폴부의 상부에 그 중앙부가 자유회전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그 외주면에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체가 부착된 회전반사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안전 표시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반사부재는 원판형상의 회전부재와, 이 회전부재의 외주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반사체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판이 형성된 연결부재와, 이 부착판을 내측으로 위치하도록 함과 동시에 연결부재에 고정되는 빛을 투과시키는 투명재질로서 반구형상으로 이루어진 접촉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안전 표시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반사부재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복수개의 날개편이 갖추어지되, 이 날개편의 양면에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체가 부착구비된 회전통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안전 표시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반사부재는 폴부의 상부에 그 중앙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되, 그 외주면에는 반사체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판이 형성된 연결부재가 복수개 구비되고, 이 부착판을 내측으로 위치하도록 함과 동시에 연결부재에 고정되어 빛을 투과시키는 투명재질로서 반구로 이루어진 접촉부재를 포함한 회전부재와, 이 회전부재의 상부에 고착구비되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날개편이 갖추어지고 이 날개편의 양면에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체가 부착구비된 회전통부재가 동시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안전 표시구.
KR2020000034041U 2000-12-05 2000-12-05 도로용 안전 표시구 KR2002239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041U KR200223992Y1 (ko) 2000-12-05 2000-12-05 도로용 안전 표시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041U KR200223992Y1 (ko) 2000-12-05 2000-12-05 도로용 안전 표시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3992Y1 true KR200223992Y1 (ko) 2001-05-15

Family

ID=73092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4041U KR200223992Y1 (ko) 2000-12-05 2000-12-05 도로용 안전 표시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399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899B1 (ko) * 2014-01-28 2014-07-25 주식회사 에스알산업 주행풍을 이용한 표식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899B1 (ko) * 2014-01-28 2014-07-25 주식회사 에스알산업 주행풍을 이용한 표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23992Y1 (ko) 도로용 안전 표시구
US4747664A (en) Rotary reflective marker
KR200418006Y1 (ko) 도로용 회전 반사판
JP3806575B2 (ja) 明滅標示板
JP2521014B2 (ja) 凍結表示用標識装置
KR200430991Y1 (ko) 온도표시기능을 갖는 데리네이터
JP3055014B2 (ja) 可変方向性自発光鋲
KR0118944Y1 (ko) 발광표시등
KR200226934Y1 (ko) 회전식 교통 안전 표시봉
KR200341338Y1 (ko) 교통용 칼라콘
JPH021761Y2 (ko)
CN117537298B (zh) 一种基于can通讯实现灯语的车前灯
KR101145338B1 (ko) 도로표지병
KR200372521Y1 (ko) 도로 표지병
KR200219083Y1 (ko) 도로표지병
KR100816464B1 (ko) 반사판
KR200342005Y1 (ko) 가로등헤드 구조
KR200272022Y1 (ko) 도로표지병
KR200396006Y1 (ko) 도로 표지병
KR200238694Y1 (ko) 차선 표지봉
KR200307790Y1 (ko) 도로표시용 델리네이터의 반사판
CN205640629U (zh) 双光源的车辆用信号灯
KR200272932Y1 (ko) 경계석용 표지병
KR200263360Y1 (ko) 도로차선 표지병
KR200216863Y1 (ko) 도로용 차량 유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