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0441A -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위한 가열 요소 - Google Patents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위한 가열 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0441A
KR20210040441A KR1020217007335A KR20217007335A KR20210040441A KR 20210040441 A KR20210040441 A KR 20210040441A KR 1020217007335 A KR1020217007335 A KR 1020217007335A KR 20217007335 A KR20217007335 A KR 20217007335A KR 20210040441 A KR20210040441 A KR 20210040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element
heating structure
providing
heating
arran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7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팀 아스무스
슈테판 디트만
마티아스 무지올
카를하인즈 비난드
Original Assignee
헤라우스 넥센소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헤라우스 넥센소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헤라우스 넥센소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10040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04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70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88Applications for non specified applications
    • H05B1/0291Tubular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 H05B3/4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arranged within rods or tubes of insul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60Aspects relating to the preparation, properties or mechanical treatment of green bodies or pre-forms
    • C04B2235/602Making the green bodies or pre-forms by moulding
    • C04B2235/6022Injection mou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Abstract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위한 가열 요소가, 전기적 절연 재료를 포함하는 본체; 본체 상에 배열되는 가열 구조물; 및 본체 상에 가열 구조물을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커버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추가로,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위한 가열 요소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에,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그리고 그러한 시스템을 위한 기화기 유닛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위한 가열 요소
본 발명은, 가열 요소에 관한 것으로,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위한 가열 요소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은,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그리고 그러한 시스템을 위한 기화기 유닛에 관한 것이다.
에어로졸을 형성하기 위한 물질을 가열하는,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을 제공하기 위한 가열 요소들을 갖는 시스템들이,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흔히, 전자 담배 또는 간단하게 e-담배로 지칭된다. 일반적으로, 그러한 시스템들은, 마우스피스 및, 가열 요소를 포함하는 기화기 유닛을 포함한다. 사용되는 시스템에 의존하여, 물질은, 담배 또는 담배-유사 제품과 같은 니코틴-함유 제품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리고 이들은, 액체, 기체 또는 고체일 수 있다. 그러나, 무-니코틴 물질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형성되는 에어로졸은 이어서, 에어로졸에 니코틴을 부가하기 위해, 니코틴-수용 몸체 또는 니코틴을 갖는 몸체를 지나도록 안내되거나, 또는 상기 몸체를 통해 유동할 수 있다.
더불어, 일반적으로, 물질은, 통상적인 궐련과 같이 타지 않는 대신, 단지 그로 인해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을 획득하기 위해 가열된다. 가열 요소는, 프로세스에서, 물질을 대략 200 ℃ 내지 400 ℃의 온도 범위 내에서 가열하고, 따라서, 시스템의 사용자에 의해 흡입될 수 있는,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이, 생성된다.
그에 따라, 창(lance) 형상, 튜브 형상, 또는 봉 형상 가열 요소가,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다. 에어로졸을 형성하기 위한 물질은, 이러한 가열 요소들과 접촉하게 된다.
예를 들어, US 5665262 A에서, 금속 슬리브, 금속 슬리브 상의 절연층 및 그 위에 적용되는 저항 요소로 형성되는, 튜브형 가열 요소가, 설명된다.
JP 2014216287 A에서, 산화된 표면을 갖는 얇은 알루미늄 튜브로 형성되는, 가열 요소가, 설명된다. 가열 와이어가 얇은 알루미늄 튜브 둘레에 감긴다.
US20170215474A1가, 알루미늄 실린더 둘레에 감기는 NiCd 가열 와이어와의 사이의 열적 접촉 중재자로서, 천공된 알루미늄 실린더를 갖는 튜브형 가열 요소를 설명한다. 튜브형 가열 요소는, 에어로졸을 형성하기 위한 물질로 충전된다.
DE 102016115574 A1에서, 유리 또는 유리 세라믹으로 이루어지는 캐리어 재료를 갖는 그리고 금속성 열 전도 구조물들을 갖는, 튜브형 가열 요소가, 설명된다.
US 6222166 B1은, > 16x10E-16/℃의 높은 열팽창 계수를 갖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가열 요소를 설명하고; 예를 들어, 재료는, 유전체층, 예를 들어 Al2O3, 및 그 위에 적용되는 두꺼운-층 저항 히터를 갖는, 알루미늄 재료일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되는 가열 요소들은, 이러한 가열 요소들이, 단지 증가된 생산 기술적 노력에 의해서만 생성될 수 있다는 그리고 비교적 비싼 재료들이 가열 요소들의 구성을 위해 사용되어야만 한다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개선된 가열 요소 및 그러한 개선된 가열 요소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목적은, 저렴하게 그리고 간단하게 생산될 수 있는, 가열 요소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1의 대상에 따른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열 요소는:
전기적 절연 재료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 상에 배열되는 가열 구조물; 및
상기 본체 상에 상기 가열 구조물을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커버층을 포함한다.
본체는 이상적으로, 고온 안정성 및 높은 열전도성을 갖는다. 더불어, 본체의 적어도 표면은, 우수한 전기 절연 속성을 갖는 절연 재료를 포함한다. 전기적 절연 재료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산화물 재료, 양극 산화 처리된 알루미늄 재료, 또는 유리 슬립(glass slip)으로 코팅된 강철, 특히 유리 슬립으로 코팅된 강철 슬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용어 "가열 구조물"은, 본체 상에 배열되며 그리고 그의 가장 단순한 설계에서 또한 열전도체로도 지칭되는 금속 와이어를 포함하는, 열저항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 구조물은 또한, 예를 들어 구불구불한 경로(meander)로 연장되는, 전도 트랙의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전류가 전도 트랙을 통해 흐를 때, 전도 트랙의 내재 저항은 열을 생성한다. 전도 트랙을 통해 흐르는 전류에 의존하여, 가열 구조물의 열 출력이, 결정될 수 있다. 가열 구조물은, 본체의 외측에 배열될 수 있다.
가열 구조물은, 예를 들어, 스크린 인쇄 및/또는 테이프 주조에 의해, 또는 또한 본체 상에 독립된 구조물로서, 배열될 수 있다.
용어 "커버층"은, 예를 들어, 본체 및 가열 구조물 상에서 소성된, 유리 재료와 같은, 전기적 절연 층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성(firing)은, 적어도 850 ℃에서 적어도 1시간 동안 일어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커버층은 또한, 본체 및 가열 구조물 상으로 압착되며 그리고 가열 구조물을 본체 상에 고정하는, 내열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사출 성형 부품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 요소의 간단하고 저렴한 생산이 달성될 수 있다는, 놀라운 발견에 기초하게 된다.
하나의 예에서, 본체는, 튜브의 형태로 설계된다.
예를 들어, 튜브는, 20 mm 이하의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원형, 타원형, 삼각형 또는 다각형 단면을 갖는다. 이러한 예에서, 가열 구조물 및 커버층은, 상응하게, 튜브의 형태로 설계된다. 에어로졸을 형성하기 위한 물질은, 예를 들어, 튜브의 중간에 배열될 수 있다.
부가적인 예에서, 본체는, 알루미늄 산화물 재료, 양극 산화 처리된 알루미늄 재료, 또는 유리 슬립으로 코팅된 강철, 특히 유리 슬립으로 코팅된 강철 슬리브를 포함한다.
알루미늄 산화물 재료 또는 양극 산화 처리된 알루미늄 재료로 이루어진 본체가, 매우 우수한 열적 속성을 갖는 저렴한 출발 재료를 제공한다. 대안적으로, 유리 슬립으로 코팅된, 강철로 이루어진 본체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본체는:
- 슬리브, 또는
- 바람직하게 0.1 내지 0.7 mm의 두께를 갖는, 양극 산화 처리된 알루미늄 포일로서, 양극 산화 처리된 알루미늄 포일은 자체 상에 배열되는 가열 구조물과 함께, 특히 5 내지 15 mm의 외경을 갖는 슬리브의 형태로, 돌돌 감기는 것인, 양극 산화 처리된 알루미늄 포일, 또는
- 소성된(fired) 알루미늄 산화물 재료 또는 세라믹 사출 성형 부품을 포함한다.
슬리브는, 예를 들어, 5 내지 15 mm의 외경 및 0.1 내지 0.7 mm의 벽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양극 산화 처리된 알루미늄 포일은, 포일의 접경 에지들이, 서로 연결되어, 예를 들어 용접되어, 닫힌 슬리브가 형성되는 방식으로, 돌돌 감길 수 있다. 대안적인 예에서, 접경 에지들은, 연결되지 않으며 그리고 개방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 다른 예에서, 포일은, 자체의 접경 에지들에서 중첩될 수 있고, 및/또는 복수의 권선으로 감길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가열 구조물은:
- 본체 상에 인쇄되고, 증기-증착되며, 광구조화 가능 페이스트(photostructurable paste)로서 적용되고, 또는
- 본체 상에 구조화된 금속 포일로서 배열된다.
예를 들어, 가열 구조물은, 스크린 인쇄 및/또는 테이프 주조에 의해, 본체 상에 특히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가열 구조물은, 금속 포일 내로 전도 트랙으로서 도입될 수 있으며, 그리고 상응하게 구조화된 금속 포일이 결국, 본체 상에 배열될 수 있으며 그리고 커버층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구조화된 금속 포일은, 구불구불한 경로를 가질 수 있으며, 그리고 구불구불한 경로의 전도 트랙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 표면이, 본체의 외경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을 갖는다.
유리하게, 그러한 구성의 결과로서, 구조화된 금속 포일은, 판스프링과 같이 작용할 수 있으며 그리고 그에 따라 본체와의 열적 접촉을 개선한다.
부가적인 예에서, 커버층은:
- 베이킹된(baked) 유리 층, 또는
- 특히 PEEK, PPS 또는 PTFE 재료를 포함하는, 내열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사출 성형 부품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출 성형 부품은 본체 및 가열 구조물 상에 압착되는 것인, 사출 성형 부품을 포함한다.
사출 성형 부품과의 고정으로 인해, 커버층의 베이킹(baking)이 생략될 수 있기 때문에, 가열 요소는, 특히 간단하고 저렴하게 생산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가열 요소는, 가열 구조물 상에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 바람직하게 2개의 온도 센서, 특히 2개의 급전 라인을 갖는 PT1000을 포함하고, 급전 라인들은, 평면 리본형 급전 라인들 또는 와이어 급전 라인들로서 배열되며, 그리고 급전 라인들은, 축방향으로 또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며 그리고 적어도 백금 재료, 니켈 재료, 철 재료, 구리 재료 또는 황동 재료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 급전 라인들은, 금, 은, 또는 백금으로 코팅되며, 그리고 커버층은, 온도 센서를 위한 외피를 포함한다.
온도 센서는, 예를 들어, 평가 전자기기에 연결될 수 있으며, 그리고 가열 구조물의 순간 온도를 평가 전자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유리하게, 예에서 설명된 평면 급전 라인들을 갖는 온도 센서는, 특히 공간 절약적인 배열을 허용한다. 또한 유리하게, 커버층 내의 외피는, 외부로부터의 우수한 열 차폐 뿐만 아니라, 가열 구조물 상에서의 온도 센서의 양호한 고정을 허용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용어 "외피"는, 온도 센서의 외형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커버층 내의 리세스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가열 구조물은, 특히, 0.4 내지 3 오옴의, 바람직하게 0.6 오옴의, 저항을 갖는, 구조화된 강철 합금, 니켈-철 합금 또는 니켈-크롬 합금을 포함한다.
유리하게, 가열 구조물을 위한 강철 합금을 선택함에 의해, 특히 적절한 가열 요소가,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뒤따르는 연속적인 단계들을 포함하는,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위한 가열 요소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전기적 절연 재료를 포함하는 본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본체 상에 가열 구조물을 배열하는 단계; 및
상기 본체 상에 가열 구조물을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커버층을 배열하는 단계.
하나의 예에서, 본체를 제공하는 단계는:
튜브형 본체를 제공하는 것, 및/또는
알루미늄 산화물 재료, 양극 산화 처리된 알루미늄 재료, 또는 유리 슬립으로 코팅된 강철, 특히 유리 슬립으로 코팅된 강철 슬리브를 포함하는 본체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본체를 제공하는 단계는:
- 슬리브로서 본체를 제공하는 것 및 본체 상에 가열 구조물을 배열하는 것,
- 양극 산화 처리된 알루미늄 포일로서 본체를 제공하는 것 및 5 내지 15 mm의 외경을 갖는 슬리브의 형태로, 본체를, 자체 상에 배열되는 가열 구조물과 함께, 돌돌 감는 것, 또는
- 알루미늄 산화물 재료를 포함하는, 생소지(green body)로서, 특히 세라믹 사출 성형 부품으로서, 본체를 제공하는 것 및 생소지를 소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하나의 예에서, 가열 구조물을 배열하는 단계는:
- 본체 상에의 금속 페이스트의 스크린 인쇄 또는 패드 인쇄에 의해 가열 구조물을 인쇄하는 것 및 금속 페이스트를 베이킹하는 것, 또는
- 본체 상에 증기 증착 또는 침지 코팅에 의해 금속 층을 배열하는 것 및 레이저 제거 프로세스로 구조화하는 것, 또는
- 가열 구조물을 증기-증착하는 것, 또는 가열 구조물을 광구조화 가능 페이스트로서 도포하는 것 및 포토리소그래피 프로세스로 구조화하는 것, 또는
- 본체 상에 구조화된 금속 포일로서 가열 구조물을 배열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커버층을 배열하는 단계는:
- 본체 및 가열 구조물 상에서 유리 층을 베이킹하는 것, 또는
- 본체 및 가열 구조물 및/또는 온도 센서 상에, 내열성 플라스틱으로, 특히 PEEK, PPS 또는 PTFE 재료로, 이루어진 사출 성형 부품을 배열하는 것, 바람직하게 사출 성형 부품을 압착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열 요소 및/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생산되는 가열 요소를 포함하는,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위한 기화기 유닛을 제안한다.
더불어,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 요소 및/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생산되는 가열 요소를 포함하는,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들 및 이점들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식적 도면의 도움과 더불어 설명되는, 뒤따르는 설명으로부터 야기된다.
도면들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터의 도식적 단면도를 도시하며; 그리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위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가열 요소(1)는, 전기적 절연 재료를 갖는 튜브형 본체(5), 본체(5) 상에 배열되는 가열 구조물(3), 및 본체(5) 상에 가열 구조물(5)을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커버층(7)을 포함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 구조물(3)은, 본체(5)의 외측면 상에 배열된다. 에어로졸을 형성하기 위한 물질은, 튜브형 본체(5)의 내부공간 내에 배열될 수 있다. 더불어, 도 1은, 커버층(7)의 외주 둘레에 배열되는, 봉-형상 히트 싱크들(9a - 9n)을 도시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이러한 히트 싱크들(9a - 9n)이 본 발명을 위해 필수적인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안다.
도 1은 또한, 가열 구조물(3) 상에 배열되는 온도 센서(13), 및 가열 구조물(3)에 또는 가열 구조물(3) 상에 온도 센서(13)를 고정하기 위한 커버층(7) 내의 외피(11)를 도시한다.
제1 실시예에서, 도시된 본체(5)는, 5-15 mm의 외경 및 0.1-0.7 mm의 벽 두께를 갖는 양극 산화 처리된 알루미늄 튜브일 수 있다. 알루미늄 산화물 층은, 5-50 ㎛의 두께를 가지며, 그리고 전기적 절연 물질로서 역할을 한다. 가열 구조물(3)은, 양극 산화 처리된 알루미늄 튜브에:
a) 금속 페이스트의 스크린 인쇄 또는 패드 인쇄 및 후속 베이킹에 의해,
b) 예를 들어 증기 증착, 침지 코팅에 의한, 전체 표면 위에서의 금속 층의 적용 및 후속 레이저 구조화에 의해,
c) 광구조화 가능 페이스트의, 특히 박-막 페이스트(침지, 분무)의, 적용 및 포토리소그래피 프로세스를 통한 후속 구조화에 의해, 또는
d) 예를 들어 펀칭된, 구조화된 금속 포일을 압착/접착함에 의해, 적용될 수 있다.
도 3에서, 커버층(7)은, 아래에 놓이는 가열 구조물(3)을 드러내기 위해 투명하게 표현된다. 도 3에서, 도시된 가열 구조물(3)은, 구불구불한 경로를 갖도록 설계되며 그리고 급전 와이어들(미도시)에 의해 접촉되는 2개의 연결 접점(17a, 17b)을 구비한다.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서, 본체(5)는, 연결 접점들(17a, 17b) 위에서 그리고 온도 센서(13)의 급전 라인들(15a, 15b) 위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 알루미늄 포일이 또한, 이상에 설명된 양극 산화 처리된 알루미늄 튜브 대신에, 본체(5)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0.1-0.7 mm의 두께를 갖는 알루미늄 포일이, 스트립들로 절단될 수 있으며, 그리고 후속적으로 양극 산화 처리될 수 있다. 알루미늄 산화물 층은, 5-50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가열 구조물(3)은, 이상의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양극 산화 처리된 알루미늄 스트립들 상에 적용될 수 있다.
가열 구조물(3)의 적용 이후에, 포일은, 돌돌 감길 수 있고, 따라서 5-15 mm의 외경을 갖는 슬리브가 형성된다. 포일의 접경 에지들은, 서로 연결될 수, 예를 들어 함께 용접될 수 있고, 따라서 닫힌 슬리브가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접경 에지들이 연결되지 않으며 그리고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서, 포일은 또한, 그의 접경 에지들에서 중첩될 수 있다. 감기(winding)가 또한, 복수 회전의 형태로 일어날 수 있으며, 특히 그에 따라, 가열 구조물(3)은, 포일 권선에 의해 커버된다.
제3 실시예에서, 본체(5)와 같이, 알루미늄 산화물로 이루어진 생소지가, 튜브의 형태로 제공되고 압출될 수 있으며, 그리고 이어서 요구되는 길이를 갖는 별개의 조각들로 분할되고 소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생소지는 또한, 세라믹 사출 성형 부품으로서 생성될 수 있다.
제4 실시예에서, 강철 슬리브가, 유리 슬립으로 이루어진 커버층(7)으로 코팅될 수 있으며 그리고 이어서 소성될 수 있다.
제5 실시예에서, 최대 대략 15 ㎛까지 양극 산화 처리된 또는 최대 대략 25 ㎛까지 경질 양극 산화 처리된, 알루미늄 슬리브 또는 대안적으로 알루미늄 (합금) 슬리브가, 제공될 수 있다. 가열 구조물(3)은, 0.4-3 오옴의, 전형적으로 0.6 오옴의 전기 저항을 갖는, 부식된 강철 합금 42, NiCr 합금, 또는 유사한 재료일 수 있다.
제2 내지 제5 실시예의 모든 부가적 기계 가공 단계들은, 제1 실시예의 단계들에 대응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 청구범위에, 그리고 도면에 나타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도 그리고 또한 임의의 조합으로도, 그의 상이한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에 본질적일 수 있다.
1: 가열 요소 3: 가열 구조물
5: 본체 7: 커버층
9a - 9n: 히트 싱크 11: 외피
13: 온도 센서 15a, 15b: 급전 라인들
17a, 17b: 연결 접점들

Claims (16)

  1.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위한 가열 요소로서:
    전기적 절연 재료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 상에 배열되는 가열 구조물; 및
    상기 본체 상에 상기 가열 구조물을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커버층
    을 포함하는 것인, 가열 요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튜브형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요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알루미늄 산화물 재료, 양극 산화 처리된 알루미늄 재료, 또는 유리 슬립으로 코팅된 강철, 특히 유리 슬립으로 코팅된 강철 슬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요소.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 슬리브를 포함하거나, 또는
    - 바람직하게 0.1 내지 0.7 mm의 두께를 갖는, 양극 산화 처리된 알루미늄 포일로서, 양극 산화 처리된 알루미늄 포일은 자체 상에 배열되는 가열 구조물과 함께, 특히 5 내지 15 mm의 외경을 갖는 슬리브의 형태로, 돌돌 감기는 것인, 양극 산화 처리된 알루미늄 포일을 포함하거나, 또는
    - 소성된(fired) 알루미늄 산화물 재료 또는 세라믹 사출 성형 부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요소.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구조물은:
    - 상기 본체 상에 인쇄되고, 증기-증착되며, 광구조화 가능 페이스트(photostructurable paste)로서 적용되거나, 또는
    - 상기 본체 상에 구조화된 금속 포일로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요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화된 금속 포일은, 구불구불한 경로를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구불구불한 경로의 전도 트랙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 표면이, 상기 본체의 외경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요소.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층은:
    - 베이킹된(baked) 유리 층을 포함하거나, 또는
    - 특히 PEEK, PPS 또는 PTFE 재료를 포함하는, 내열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사출 성형 부품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출 성형 부품은 상기 본체 및 상기 가열 구조물 상에 압착되는 것인, 사출 성형 부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요소.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열 구조물 상에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 바람직하게 2개의 온도 센서, 특히 2개의 급전 라인을 갖는 PT1000을 구비하고, 상기 급전 라인들은, 평면 리본형 급전 라인들 또는 와이어 급전 라인들로서 설계되며, 그리고 상기 급전 라인들은, 축방향으로 또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며 그리고 적어도 백금 재료, 니켈 재료, 철 재료, 구리 재료 또는 황동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급전 라인들은, 바람직하게, 금, 은, 또는 백금으로 코팅되며, 그리고 상기 커버층은, 상기 온도 센서를 위한 외피를 포함하는 것인, 가열 요소.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구조물은, 특히, 0.4 내지 3 오옴의, 바람직하게 0.6 오옴의, 저항을 갖는, 구조화된 강철 합금, 니켈-철 합금 또는 니켈-크롬 합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요소.
  10.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위한 가열 요소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연속적인 단계들:
    전기적 절연 재료를 포함하는 본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본체 상에 가열 구조물을 배열하는 단계; 및
    상기 본체 상에 가열 구조물을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커버층을 배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본체를 제공하는 단계는:
    튜브형 본체를 제공하는 것, 및/또는
    알루미늄 산화물 재료, 양극 산화 처리된 알루미늄 재료, 또는 유리 슬립으로 코팅된 강철, 특히 유리 슬립으로 코팅된 강철 슬리브를 포함하는 본체를 제공하는 것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본체를 제공하는 단계는:
    - 슬리브로서 본체를 제공하는 것 및 본체 상에 가열 구조물을 배열하는 것,
    - 양극 산화 처리된 알루미늄 포일로서 본체를 제공하는 것 및 5 내지 15 mm의 외경을 갖는 슬리브의 형태로, 본체를, 자체 상에 배열되는 가열 구조물과 함께, 돌돌 감는 것, 또는
    - 알루미늄 산화물 재료를 포함하는, 생소지(green body)로서, 특히 세라믹 사출 성형 부품으로서, 본체를 제공하는 것 및 생소지를 소성하는 것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열 구조물을 배열하는 단계는:
    - 본체 상에의 금속 페이스트의 스크린 인쇄 또는 패드 인쇄에 의해 가열 구조물을 인쇄하는 것 및 금속 페이스트를 베이킹하는 것, 또는
    - 본체 상에 증기 증착 또는 침지 코팅에 의해 금속 층을 배열하는 것 및 레이저 제거 프로세스로 구조화하는 것, 또는
    - 가열 구조물을 증기-증착하는 것, 또는 가열 구조물을 광구조화 가능 페이스트로서 도포하는 것 및 포토리소그래피 프로세스로 구조화하는 것, 또는
    - 본체 상에 구조화된 금속 포일로서 가열 구조물을 배열하는 것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버층을 배열하는 단계는:
    - 본체 및 가열 구조물 상에서 유리 층을 베이킹하는 것, 또는
    - 본체 및 가열 구조물 및/또는 온도 센서 상에, 내열성 플라스틱으로, 특히 PEEK, PPS 또는 PTFE 재료로, 이루어진 사출 성형 부품을 배열하는 것, 바람직하게 사출 성형 부품을 압착하는 것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위한 기화기 유닛을 위한 히터로서,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가열 요소 및/또는 제10항 내지 제14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생산되는 가열 요소를 포함하는 것인,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위한 기화기 유닛을 위한 히터.
  16.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가열 요소 및/또는 제10항 내지 제14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생산되는 가열 요소를 포함하는 것인,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KR1020217007335A 2018-09-24 2019-09-13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위한 가열 요소 KR202100404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196175.6 2018-09-24
EP18196175.6A EP3626093A1 (de) 2018-09-24 2018-09-24 Heizelement für ein system zur bereitstellung eines inhalierbaren aerosols
PCT/EP2019/074487 WO2020064365A1 (de) 2018-09-24 2019-09-13 Heizelement für ein system zur bereitstellung eines inhalierbaren aerosol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0441A true KR20210040441A (ko) 2021-04-13

Family

ID=63683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7335A KR20210040441A (ko) 2018-09-24 2019-09-13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위한 가열 요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392955A1 (ko)
EP (2) EP3626093A1 (ko)
JP (1) JP7254909B2 (ko)
KR (1) KR20210040441A (ko)
CN (1) CN112566520A (ko)
WO (1) WO20200643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100441B4 (de) 2021-01-12 2022-08-04 Smokerstore Gmbh Erfassung der Temperatur eines Heizelements einer E-Zigarett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5262A (en) 1991-03-11 1997-09-09 Philip Morris Incorporated Tubular heater for use in an electrical smoking article
US6222166B1 (en) 1999-08-09 2001-04-24 Watlow Electric Manufacturing Co. Aluminum substrate thick film heater
US8557082B2 (en) * 2007-07-18 2013-10-15 Watlow Electric Manufacturing Company Reduced cycle time manufacturing processes for thick film resistive devices
EP2316286A1 (en) * 2009-10-29 2011-05-04 Philip Morris Products S.A. An electrically heated smoking system with improved heater
JP6054382B2 (ja) * 2011-06-16 2016-12-27 レスメド・リミテッドResMed Limited 加湿器および層状の加熱エレメント
JP2014216287A (ja) 2013-04-30 2014-11-17 清水 和彦 無煙喫煙冶具用ヒーター
CN105473013B (zh) * 2013-09-02 2019-06-25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具有不重叠、径向分开、双重热传导元件的吸烟制品
RU2607772C1 (ru) * 2015-07-27 2017-01-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лгоритм" Курительное изделие (варианты)
US20170215474A1 (en) 2016-02-02 2017-08-03 Lrider Technology Co.,Ltd Annular stereoscopic-heating electronic cigarette with replaceable inner container
US10098387B2 (en) * 2016-03-31 2018-10-16 Altria Client Services Llc Vaporizing assembly comprising a viewable heating element and delivery device for an aerosol-generating system
DE102016115574A1 (de) 2016-08-23 2018-04-05 Schott Ag Heizelemente für elektronische Zigaretten
CN108451046A (zh) * 2018-04-26 2018-08-28 株洲利德英可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管状电子烟加热器及其制备方法及电子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566520A (zh) 2021-03-26
JP7254909B2 (ja) 2023-04-10
US20210392955A1 (en) 2021-12-23
EP3626093A1 (de) 2020-03-25
WO2020064365A1 (de) 2020-04-02
EP3855952A1 (de) 2021-08-04
JP2022501020A (ja) 2022-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09071B2 (ja) 加熱器が改善された電気加熱式喫煙システム
KR102323782B1 (ko)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터 구조
KR102029225B1 (ko) 궐련형 전자담배 가열기기용 세라믹히터 및 이의 제조방법
AU2011347333B2 (en) Reduced ceramic heating element
EP4008198A1 (en) Aerosol generation device and heating assembly thereof
CN213604404U (zh) 气雾生成装置及红外发射器
JP7443574B2 (ja) 発熱アセンブリ及び加熱装置
CN111657556A (zh) 发热组件及加热雾化装置
CN113455715A (zh) 气溶胶产生装置及其加热组件
CN216983603U (zh) 气雾生成装置
KR20210040441A (ko)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위한 가열 요소
CN219182801U (zh) 气雾生成装置及用于气雾生成装置的加热器
KR20200137427A (ko)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터 구조
CN212911679U (zh) 发热组件及加热雾化装置
CN116916770A (zh) 用于气溶胶产生装置的加热组件
KR20200074018A (ko) 가열식 담배용 히터 및 이것을 구비한 가열식 담배 장치
WO2020212009A1 (de) Heizelement mit exzentrischer durchgangsöffnung für ein system zur bereitstellung eines inhalierbaren aerosols
CN219353071U (zh) 加热组件以及气溶胶生成装置
CN216983594U (zh) 气雾生成装置及用于气雾生成装置的加热器
CN217609592U (zh) 气雾生成装置及用于气雾生成装置的加热器
CN117617576A (zh) 气雾生成装置及用于气雾生成装置的加热器
CN220109139U (zh) 气雾生成装置及用于气雾生成装置的加热器
CN220875921U (zh) 气雾生成装置及用于气雾生成装置的加热器
US20230240367A1 (en) Apparatus for heating aersolisable material
WO2023138442A1 (zh) 气雾生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100188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30901

Effective date: 2023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