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0354A - 일회용 착용 물품 - Google Patents

일회용 착용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0354A
KR20210040354A KR1020217000394A KR20217000394A KR20210040354A KR 20210040354 A KR20210040354 A KR 20210040354A KR 1020217000394 A KR1020217000394 A KR 1020217000394A KR 20217000394 A KR20217000394 A KR 20217000394A KR 20210040354 A KR20210040354 A KR 20210040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layer
elastic member
sheet
folded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0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5550B1 (ko
Inventor
쇼헤이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8143835A external-priority patent/JP704218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9101719A external-priority patent/JP7456731B2/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10040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0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5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5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being located at the crotch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4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side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 A61F13/4941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 A61F13/4942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the barrier not being integral with the top- or back-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Inorganic Fibers (AREA)

Abstract

[과제] 고간부 측부의 촉감을 개선한다.
[해결 수단] 상기 과제는, 고간부의 양 측부에 흡수체(56)를 갖지 않는 사이드 플랩(70)을 갖고, 사이드 플랩(70)이 1개 또는 복수 개의 세장형 사이드 탄성 부재(73)가 전후 방향(LD)을 따라 그리고 서로 간격을 두고 마련된 사이드 신축 영역(SG)을 갖고 있는 일회용 착용 물품에 있어서, 사이드 플랩(70)은 그 측연을 따라 전후 방향(LD)으로 계속되는 중공부(70H)를 갖고 있으며, 사이드 탄성 부재(73)의 수축에 의해, 사이드 플랩(70)에서 중공부(70H)를 포함하는 부분이 전후 방향(LD)으로 수축해서 사이드 개더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해결된다.

Description

일회용 착용 물품
본 발명은 고간부 측부의 촉감(유연성, 쿠션성)을 향상시킨 일회용 착용 물품에 관한 것이다.
일회용 착용 물품의 대표예 중 하나는 팬티 타입 일회용 기저귀이다. 팬티 타입 일회용 기저귀는 앞몸판 및 뒷몸판의 적어도 몸통 둘레부를 구성하는 외장체와, 앞몸판부터 뒷몸판에 걸치도록 외장체에 대하여 설치된, 흡수체를 포함하는 내장체를 구비하고, 앞몸판의 외장체 양 측부와 뒷몸판의 외장체 양 측부가 접합되어 사이드 실링부가 형성됨으로써, 웨이스트 개구 및 좌우 한 쌍의 다리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종래의 팬티 타입 일회용 기저귀는 고간부의 측부가 외장체만으로 형성되는 것도 있었지만, 최근에는, 고간부의 측부가 내장체의 측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많아지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른바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특허문헌 2∼4 참조)도 일회용 착용 물품의 대표예 중 하나이다. 일반적인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는 전후 방향 중앙을 포함하는 고간부와, 전후 방향 중앙으로부터 전측으로 연장되는 배측(腹側) 부분과, 전후 방향 중앙으로부터 후측으로 연장되는 등측(背側) 부분을 갖고, 배측 부분 및 등측 부분은 좌우의 윙 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본체 부분을 갖고, 적어도 등측 부분은 고간부보다 폭 방향 좌우 양측으로 연장된 윙 부분을 갖고, 윙 부분은 배측 부분의 외면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를 갖고 있다. 사용 시에는, 윙 부분을 허리의 양측으로부터 배측 부분의 외면으로 돌려서, 윙 부분의 연결부를 배측 부분의 외면에 연결한다.
종래,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로서는, 흡수체의 측연(側緣)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된 사이드 플랩이 다리 둘레를 따르도록 절제되고, 미절제 부분이 윙 부분으로서 남겨진 일체형(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외에, 본체 부분을 형성하는 어셈블리의 측연에 별도 제조된 연결 테이프가 설치되며, 이 연결 테이프가 윙 부분이 되는 별체형(예를 들면, 특허문헌 3, 4 참조)이 알려져 있다. 또한, 별체형으로서는, 본체 부분을 형성하는 어셈블리에 좌우의 윙 부분을 포함하는 유닛을 설치한 것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6 참조).
이러한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고간부의 측부는 사이드 플랩의 측부에 의해 형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일회용 착용 물품에서는, 다리에 대한 피트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고간부 측부의 시트층의 사이에, 다리 둘레를 따르는 방향 또는 전후 방향을 따라 세장형 탄성 부재를 내장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일회용 착용 물품에서는, 장착이나 구입 시에 제품을 손으로 잡았을 때 또는 장착중에 고간부 측부의 촉감, 특히, 고간부 측부에서의 시트층의 유연성이나 쿠션성(압축 복원성)에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6-12239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6-08307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0-2255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1-72736호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 과제는 고간부 측부의 촉감을 개선하는 것 등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한 일회용 착용 물품은 이하와 같다.
<제1 양태>
고간부의 양 측부에 흡수체를 갖지 않는 사이드 플랩을 갖고,
상기 사이드 플랩은 1개 또는 복수 개의 세장형 사이드 탄성 부재가 전후 방향을 따라 그리고 서로 간격을 두고 마련된 사이드 신축 영역을 갖고 있는,
일회용 착용 물품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플랩은 그 측연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계속되는 중공부를 갖고 있고,
상기 사이드 탄성 부재의 수축에 의해, 상기 사이드 플랩에서 상기 중공부를 포함하는 부분이 전후 방향으로 수축해서 사이드 개더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착용 물품.
(작용 효과)
본 일회용 착용 물품에서는, 사이드 탄성 부재의 수축에 의해, 사이드 플랩을 따르는 중공부를 포함하는 부분이 전후 방향으로 수축해서 사이드 개더의 각 주름이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된다. 여기서, 사이드 플랩에서 중공부를 포함하는 부분에 사이드 개더가 형성되면, 사이드 개더의 주름은 중공부가 크게 부풀어오름으로써 형성되어, 크고 부드러운(즉, 쿠션성이 풍부한) 것이 된다. 따라서, 이 크고 부드러운 주름에 의해, 고간부 측부의 촉감이 양호해진다(몽실몽실, 폭신폭신한 것이 된다).
<제2 양태>
상기 사이드 플랩은 상기 사이드 탄성 부재의 표측에 접하는 제1 시트층과, 사이드 탄성 부재의 이측에 접하는 제2 시트층을 포함해서 3층 이상의 시트층을 가짐과 동시에, 최표측 시트층 및 최이측 시트층 중 적어도 한쪽과 그것과 겹치는 내부 시트층이 접합되어 있지 않은 비접합부를 갖고 있고,
상기 비접합부는 최측방에 위치하는 사이드 탄성 부재와 상기 사이드 플랩의 측연과의 사이 영역을 포함하는 폭 방향 범위에서 전후 방향으로 계속되고 있으며,
상기 최표측 시트층 및 최이측 시트층 중 적어도 한쪽과 그것과 겹치는 내부 시트층의 간극이 상기 비접합부의 폭 방향 양측에서 닫혀 있음으로써, 상기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1 양태의 일회용 착용 물품.
(작용 효과)
본 일회용 착용 물품에서는, 사이드 플랩이 3층 이상의 층 구조를 갖고, 최표측 시트층 및 최이측 시트층 중 적어도 한쪽과 그것과 겹치는 내부 시트층이 접합되어 있지 않은 비접합부가 형성됨으로써, 시트층에 의해 둘러싸인 중공 부분이 형성된다. 또한, 비접합부는 최측방에 위치하는 사이드 탄성 부재와 사이드 플랩의 측연과의 사이 영역을 포함하는 폭 방향 범위(해당 영역과 같거나 또는 그 이상의 폭 방향 범위)에서 전후 방향으로 계속되고 있다. 그 결과, 최측방에 위치하는 사이드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부위에 크고 부드러운 주름이 형성된다.
<제3 양태>
상기 중공부는 상기 사이드 플랩의 측연으로부터 폭 방향의 중앙 측으로 2㎜ 이상 이간된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는,
제1 또는 제2 양태의 일회용 착용 물품.
(작용 효과)
중공부의 위치 및 폭은 적절히 정하면 되지만, 통상의 경우, 본 양태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4 양태>
상기 사이드 플랩에서, 측연으로부터 폭 방향의 중앙 측으로 2∼15㎜까지의 부분은 상기 사이드 탄성 부재를 포함하지 않고, 또, 상기 중공부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제1∼제3 중 어느 한 양태의 일회용 착용 물품.
(작용 효과)
이와 같이, 사이드 탄성 부재가 사이드 플랩의 측연으로부터 충분히 이간되어 있고, 그 이간 부분에 중공부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면, 장착이나 구입 시에 상품을 손으로 잡았을 때 또는 장착중에 피부에 눌리는 부분(즉, 사이드 탄성 부재를 갖는 부분)의 측방 두께 방향 전체에 유연성이나 쿠션이 풍부한 커다란 주름이 형성되기 때문에, 다리 개구 단부의 촉감을 개선함에 있어서 특히 바람직하다.
<제5 양태>
상기 중공부의 표측에 적어도 1개의 상기 사이드 탄성 부재를 갖는,
제1∼제4 중 어느 한 양태의 일회용 착용 물품.
(작용 효과)
중공부과 사이드 탄성 부재의 위치 관계는 적절히 정할 수 있지만, 중공부의 표측에 적어도 1개의 상기 사이드 탄성 부재를 가지면, 사이드 탄성 부재의 수축력이 직접적으로 중공부에 가해져, 중공부에서의 주름의 형상 유지성이 높은 것이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제6 양태>
상기 중공부는 두께 방향으로 겹치도록 복수 마련되어 있는,
제1∼제5 중 어느 한 양태의 일회용 착용 물품.
(작용 효과)
이 구조에서는, 복수의 중공부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도 독립적으로 주름이 형성되고, 그것이 겹쳐지기 때문에, 보다 우수한 쿠션성을 갖는 주름이 사이드 플랩의 측부에 형성되게 된다.
<제7 양태>
상기 사이드 플랩은 상기 중공부의 표측으로부터 상기 사이드 플랩의 측연에서 되접어 꺾여서 상기 중공부의 이측에 이르는 되접어 꺽은 시트층을 갖고 있고,
상기 중공부는 상기 되접어 꺽은 시트층이 되접어 꺽는 위치까지 측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제6 중 어느 한 양태의 일회용 착용 물품.
(작용 효과)
이렇게, 되접어 꺽은 시트층에 의해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되접어 꺽는 것에 대한 복원력에 의해, 중공부에 형성되는 주름의 쿠션성이 특히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제8 양태>
상기 사이드 플랩은 상기 사이드 플랩의 측연에서 되접어 꺾인 되접어 꺽은 시트층을 이중으로 갖고 있고,
상기 사이드 플랩에서 최표측 시트층 및 최이측 시트층은 각각 외부에 위치하는 되접어 꺽은 시트층의 접는 위치를 경계로 하여 표측 부분 및 이측 부분이며,
상기 사이드 탄성 부재는 외부에 위치하는 되접어 꺽은 시트층의 접는 위치를 경계로 하여 표측 부분과, 내부에 위치하는 되접어 꺽은 시트층의 접는 위치를 경계로 하여 표측 부분의 사이에서, 접는 위치보다 폭 방향의 중앙 측으로 떨어진 위치에 고정되어 있으며,
최측방에 위치하는 사이드 탄성 부재와 상기 사이드 플랩의 측연과의 사이에서는, 두께 방향으로 인접하는 시트층 모두가 접합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각 시트층의 사이에 중공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1∼제6 중 어느 한 양태의 일회용 착용 물품.
(작용 효과)
이 구조에서는, 사이드 플랩에 이중의 되접어 꺽은 시트층을 배치함으로써, 사이드 플랩 중 적어도 측부에 중공부를 3단(두께 방향으로 3곳)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이중의 되접어 꺽은 시트층 각각이 되접어 꺽는 것에 대한 복원력을 갖기 때문에, 보다 적은 시트재로 보다 우수한 쿠션성을 갖는 주름이 사이드 플랩의 측부에 형성되게 된다.
<제9 양태>
상기 사이드 플랩은 상기 사이드 플랩의 측연에서 되접어 꺾인 되접어 꺽은 시트층을 이중으로 갖고 있고,
상기 사이드 플랩에서 최표측 시트층 및 최이측 시트층은 각각 외부에 위치하는 되접어 꺽은 시트층의 접는 위치를 경계로 하여 표측 부분 및 이측 부분이며,
상기 사이드 탄성 부재는 내부에 위치하는 되접어 꺽은 시트층의 접는 위치를 경계로 하여 표측 부분 및 이측 부분의 사이에서, 접는 위치보다 폭 방향의 중앙 측으로 떨어진 위치에 고정되어 있고,
최측방에 위치하는 사이드 탄성 부재와 상기 사이드 플랩의 측연과의 사이에서는, 상기 최표측 시트층과, 상기 내부에 위치하는 되접어 꺽은 시트층의 접는 위치를 경계로 하여 표측 부분이 접합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그들 시트층의 사이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최이측 시트층과, 상기 내부에 위치하는 되접어 꺽은 시트층의 접는 위치를 경계로 하여 이측 부분이 접합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그들 시트층의 사이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1∼제6 중 어느 한 양태의 일회용 착용 물품.
(작용 효과)
본 양태에서는, 사이드 플랩의 측연을 포함하는 범위 중 적어도 표리 양측에 형성되기 때문에, 고간부 측부의 표리 양면에서 촉감이 양호해진다. 또한, 이중의 되접어 꺽은 시트층 각각이 되접어 꺽는 것에 대한 복원력을 갖기 때문에, 보다 적은 시트재로 보다 우수한 쿠션성을 갖는 주름이 사이드 플랩의 측부에 형성되게 된다.
<제10 양태>
상기 사이드 탄성 부재보다 폭 방향의 중앙 측 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기립하는 기립 개더가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상기 기립 개더는 선단부에서 2개 접혀서 2층 구조로 되어 있는 개더 시트와, 적어도 선단부에서 상기 2층 구조의 층간에 전후 방향을 따라 마련된 세장형 개더 탄성 부재를 갖고 있으며,
상기 사이드 플랩의 양 측부는 상기 개더 시트로 이루어지는 2층 구조가 상기 기점부터 상기 사이드 플랩의 측연까지 연장되는 제1 부분과, 상기 개더 시트로 이루어지는 2층 구조가 상기 사이드 플랩의 측연에서 되접어 꺾여서 폭 방향의 중앙 측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을 갖고 있으며,
상기 이중의 되접어 꺽은 시트층은 상기 개더 시트의 상기 제 1 부분 및 제2 부분인,
제7 또는 제8 양태의 일회용 착용 물품.
(작용 효과)
일회용 착용 물품에서는, 본 양태와 같은 기립 개더를 마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일반적인 기립 개더는 선단부에서 2개 접혀서 2층 구조로 되어 있는 개더 시트를 갖고 있다. 따라서, 이 개더 시트의 2층 구조를 연장함과 동시에 측연에서 되접어 꺽음으로써, 전술한 중공부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보다 적은 시트재로 보다 우수한 쿠션성을 갖는 주름이 사이드 플랩의 측부에 형성되게 된다.
<제11 양태>
상기 사이드 탄성 부재는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마련되어 있고,
전개 상태의 상기 사이드 신축 영역에서 상기 사이드 탄성 부재의 신장율은 측방에 위치하는 것 만큼 낮은,
제1∼제10 중 어느 한 양태의 일회용 착용 물품.
(작용 효과)
이렇게 신장율을 변화시켜서 사이드 탄성 부재를 복수 개 마련함으로써, 사이드 신축 영역의 피부 측으로의 첫 기립이 더뎌져서, 사이드 신축 영역이 적절한 장착 상태가 되기 쉬워진다. 사이드 신축 영역의 기립이 힘들면, 사이드 플랩이 내측으로 접혀서, 다리와 일회용 착용 물품의 표면과의 사이에 끼여서, 새는 것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제12 양태>
앞몸판 및 뒷몸판 중 적어도 몸통 둘레부를 구성하는 외장체와, 앞몸판부터 뒷몸판에 걸치도록 외장체에 대하여 장착된, 흡수체를 내장하는 내장체와, 웨이스트 개구와 좌우 한 쌍의 다리 개구를 구비한 팬티 타입 일회용 착용 물품으로서,
상기 내장체의 양 측부에 상기 사이드 플랩을 갖고 있는,
제1∼제11 중 어느 한 양태의 일회용 착용 물품.
(작용 효과)
팬티 타입 일회용 착용 물품에 응용할 경우, 이렇게 내장체의 양 측부에 흡수체를 갖지 않는 사이드 플랩을 마련하고, 이 사이드 플랩에 중공부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3 양태>
앞몸판의 적어도 몸통 둘레부를 구성하는 전외장체 및 뒷몸판의 적어도 몸통 둘레부를 구성하는 후외장체를 별개로 구비하고, 이들 전외장체 및 후외장체가 전후 방향으로 이간되어 있고,
상기 내장체가 상기 전외장체로부터 상기 후외장체에 걸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재하고, 또한, 상기 전외장체 및 후외장체에 각각 접합되며,
상기 전외장체의 양 측부와 상기 후외장체의 양 측부가 각각 접합된 사이드 실링부와, 웨이스트 개구 및 좌우 한 쌍의 다리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전외장체 및 상기 후외장체에서 상기 내장체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윙 영역의 하연(下緣)이 상기 다리 개구의 상부 테두리로 되어 있으며,
상기 윙 영역의 하단부는 1개 또는 복수 개의 세장형 하단부 탄성 부재가 폭 방향을 따라, 그리고 서로 간격을 두고 마련된 하단부 신축 영역을 갖고 있고,
상기 윙 영역의 하단부는 그 하연을 따라 폭 방향으로 계속되는 중공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하단부 탄성 부재의 수축에 의해, 상기 윙 영역의 하단부에서 상기 중공부를 포함하는 부분이 폭 방향으로 수축해서 하단부 개더가 형성되어 있는,
제12 양태의 일회용 착용 물품.
(작용 효과)
본 일회용 착용 물품에서는, 하단부 탄성 부재의 수축에 의해, 윙 영역의 하연을 따르는 중공부를 포함하는 부분이 폭 방향으로 수축해서 하단부 개더가 형성된다. 즉, 윙 영역의 하단부에서 중공부를 포함하는 부분에 하단부 개더의 각 주름이 폭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된다. 여기서, 윙 영역에서 중공부를 포함하는 부분에 하단부 개더가 형성되면, 하단부 개더의 주름은 중공부가 크게 부풀어오름으로써 형성되어, 크고 부드러운(즉, 쿠션성이 풍부한) 것이 된다. 따라서, 외장체의 윙 영역의 하단부에서의 촉감이 양호해지는(몽실몽실, 폭신폭신한 것이 된다) 것과, 전술한 사이드 플랩 측부의 촉감이 양호해지는 것이 합쳐져서, 다리 개구 테두리부의 전체 촉감이 양호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간부 측부의 촉감이 개선되는 등의 이점이 초래된다.
도 1은 전개 상태의 팬티 타입 일회용 기저귀의 내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전개 상태의 팬티 타입 일회용 기저귀의 외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2-2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3-3 단면도이다.
도 5의 (a)는 도 1의 4-4 단면도 및 (b)는 도 1의 5-5 단면도이다.
도 6은 팬티 타입 일회용 기저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전개 상태의 내장체의 외면을 외장체의 윤곽과 함께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전개 상태의 내장체의 외면을 외장체의 윤곽과 함께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2-2 단면에 해당하는 다른 예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3-3 단면에 해당하는 다른 예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3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의 (a)는 도 1의 4-4 단면도 및 (b)는 도 1의 5-5 단면도이다.
도 14는 팬티 타입 일회용 기저귀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전측 외장체 및 후측 외장체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전측 외장체 및 후측 외장체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전측 외장체 및 후측 외장체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전측 외장체 및 후측 외장체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의 4-4 단면에 해당하는 다른 예의 단면도이다.
이하, 팬티 타입 일회용 착용 물품의 일례로서, 팬티 타입 일회용 기저귀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단면도에서 점 모양 부분은 그 표측 및 이측에 위치하는 각 구성 부재를 접합하는 접합 수단으로서의 접착제를 나타내고 있으며, 핫멜트 접착제의 베타, 비드, 커튼, 서미트 혹은 스파이럴 도포 또는 패턴 코팅(철판 방식에서의 핫멜트 접착제의 전사) 등에 의해, 혹은 탄성 부재의 고정 부분은 이것 대신 또는 이것과 함께 콤건이나 슈어랩 도포 등의 탄성 부재의 외주면에 대한 도포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다. 핫멜트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EVA계, 점착 고무계(엘라스토머계),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폴리아미드계 등의 종류의 것이 존재하지만, 특별히 한정 없이 사용할 수 있다. 각 구성 부재를 접합하는 접합 수단으로서는 히트 실링이나 초음파 실링 등의 소재 용착에 의한 수단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1∼도 6은 팬티 타입 일회용 기저귀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본 팬티 타입 일회용 기저귀는 앞몸판(F)의 적어도 몸통 둘레부를 구성하는 직사각형 전외장체(12F) 및 뒷몸판(B)의 적어도 몸통 둘레부를 구성하는 직사각형 후외장체(12B)와, 전외장체(12F)부터 고간부를 거쳐 후외장체(12B)까지 연재하도록 외장체(12F, 12B)의 내측에 마련된 내장체(200)를 구비하고 있다. 전외장체(12F)의 양 측부와 후외장체(12B)의 양 측부가 접합되어 사이드 실링부(1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로써, 외장체(12F, 12B)의 전후 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가 장착자의 몸통을 통과하는 웨이스트 개구(WO)가 되고, 내장체(200)의 폭 방향 양측에 있어서 외장체(12F, 12B)의 하연 및 내장체(200)의 측연에 의해 각각 둘러싸이는 부분이 다리를 통과하는 다리 개구(LO)로 되어 있다. 내장체(200)는 오줌 등의 배설물들을 흡수 유지하는 부분이고, 외장체(12F, 12B)는 착용자의 신체에 대하여 내장체(200)를 지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또한, 부호 Y는 전개 상태에서 기저귀의 전체 길이(앞몸판(F)의 웨이스트 개구(WO)의 테두리부터 뒷몸판(B)의 웨이스트 개구(WO)의 테두리까지의 전후 방향 길이)를 나타내고 있고, 부호 X는 전개 상태에서의 기저귀의 전체 폭을 나타내고 있다.
본 팬티 타입 일회용 기저귀는 사이드 실링부(12A)를 갖는 전후 방향 범위(웨이스트 개구(WO)로부터 다리 개구(LO)의 상단에 이르는 전후 방향 범위)로서 정해지는 몸통 둘레 영역(T)과, 다리 개구(LO)를 형성하는 부분의 전후 방향 범위(앞몸판(F)의 사이드 실링부(12A)를 갖는 전후 방향 영역과, 뒷몸판(B)의 사이드 실링부(12A)를 갖는 전후 방향 영역의 사이)로서 정해지는 중간 영역(L)을 갖는다. 몸통 둘레 영역(T)은 개념적으로 웨이스트 개구의 테두리부를 형성하는 「웨이스트부」(W)와, 이보다 하측 부분인 「웨이스트 하방부」(U)로 나눌 수 있다. 통상, 몸통 둘레 영역(T) 내에 폭 방향(WD)의 신축 응력이 변하는 경계(예를 들면, 탄성 부재의 굵기나 신장율이 변하는)를 가질 경우, 최웨이스트 개구(WO) 측의 경계보다 웨이스트 개구(WO) 측이 웨이스트부(W)가 되고, 이러한 경계가 없는 경우에는 흡수체(56) 또는 내장체(200)보다 웨이스트 개구(WO) 측으로 연장된 웨이스트 연장 부분(12E)이 웨이스트부(W)가 된다. 이들의 전후 방향 길이는 제품의 사이즈에 따라서 달라서, 적절히 정할 수 있지만, 일례를 들면, 웨이스트부(W)는 15∼40㎜, 웨이스트 하방부(U)는 65∼120㎜로 할 수 있다. 한편, 중간 영역(L)의 양 측연은 피착자의 다리 둘레를 따르도록 コ자형 또는 곡선형으로 잘록하며, 이곳이 장착자의 다리를 넣는 부위가 된다. 이 결과, 전개 상태의 팬티 타입 일회용 기저귀는 전체적으로 거의 모래시계 형상을 이루고 있다.
(내장체)
내장체(200)는 임의의 형상을 채택할 수 있지만, 도시한 예에서는 직사각형이다. 내장체(200)는 도 3∼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신체 측이 되는 탑 시트(30)와, 액 불투과성 시트(11)와, 이들 사이에 개재된 흡수 요소(50)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서, 흡수 기능을 담당하는 본체부이다. 부호 40은 탑 시트(30)를 투과 한 액을 신속하게 흡수 요소(50)로 이행시키기 위해서, 탑 시트(30)와 흡수 요소(50)의 사이에 마련된 중간 시트를 나타내고 있고, 부호 60은 내장체(200)의 양 옆으로 배설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내장체(200)의 양 측부로부터 장착자의 다리 둘레에 접하도록 연장된 기립 개더(60)를 나타내고 있다.
(탑 시트)
탑 시트(30)는 액을 투과하는 성질을 갖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유공 또는 무공 부직포나 다공성 플라스틱 시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탑 시트(30)는 1매의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도, 2매 이상의 시트를 첩합하여 얻은 적층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탑 시트(30)는 평면 방향에 관하여, 1매의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도, 2매 이상의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도 있다.
탑 시트(30)의 양 측부는 흡수 요소(50)의 측연에서 이측으로 되접어 꺽어도 좋고, 또, 되접어 꺽지 않고 흡수 요소(50)의 측연으로부터 측방으로 비어져나오게 해도 좋다.
탑 시트(30)는 이측의 부재에 대한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는 등의 목적으로, 히트 실링, 초음파 실링과 같은 소재 용착에 의한 접합 수단이나,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이측과 인접하는 부재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한 예에서는, 탑 시트(30)는 그 이면에 도포된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중간 시트(40)의 표면 및 포장 시트(58) 중 흡수체(56)의 표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표면에 고정되어 있다.
(중간 시트)
탑 시트(30)를 투과한 액을 신속하게 흡수체로 이행시키기 위해서, 탑 시트(30)보다 액의 투과 속도가 빠른 중간 시트(「세컨드 시트」라고도 부른다)(40)를 마련할 수 있다. 이 중간 시트(40)는 액을 신속하게 흡수체로 이행시켜서 흡수체에 의한 흡수 성능을 높임과 동시에, 흡수한 액의 흡수체로부터의 역행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중간 시트(40)는 생략할 수도 있다.
중간 시트(40)로서는, 탑 시트(30)와 동일한 소재나 스펀 레이스 부직포, 스펀 본드 부직포, SMS 부직포, 펄프 부직포, 펄프와 레이온의 혼합 시트, 포인트 본드 부직포 또는 크레이프지를 예시할 수 있다. 특히, 에어스루 부직포가 부피가 크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에어스루 부직포로는 심초 구조의 복합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심(芯)으로 사용하는 수지는 폴리프로필렌(PP)일 수 있지만, 강성 높은 폴리에스테르(PET)가 바람직하다. 평량은 17∼80g/㎡가 바람직하고, 25∼60g/㎡가 보다 바람직하다. 부직포의 원료 섬유의 굵기는 2.0∼10dtex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를 부피가 크게 하기 위해서, 원료 섬유의 전부 또는 일부의 혼합 섬유로서, 심이 중앙에 없는 편심 섬유나 중공 섬유, 편심이면서 중공인 섬유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시한 예의 중간 시트(40)는 흡수체(56)의 폭보다 짧게 중앙에 배치되어 있지만, 전체 폭에 걸쳐 마련할 수 있다. 중간 시트(40)의 전후 방향 길이는 기저귀의 전체 길이와 동일할 수 있고, 흡수 요소(50)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으며, 액을 받아들이는 영역을 중심으로 한 짧은 길이 범위 내일 수 있다.
중간 시트(40)는 이측 부재에 대한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는 등의 목적으로, 히트 실링, 초음파 실링과 같은 소재 용착에 의한 접합 수단이나,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이측과 인접하는 부재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한 예에서는, 중간 시트(40)는 그 이면에 도포된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포장 시트(58) 중 흡수체(56)의 표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표면에 고정되어 있다.
(액 불투과성 시트)
액 불투과성 시트(11)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 필름이나, 부직포의 표면에 플라스틱 필름을 마련한 라미네이트 부직포, 플라스틱 필름에 부직포 등을 겹쳐서 접합한 적층 시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액 불투과성 시트(11)로는 땀이 차는 것의 방지 관점에서 선호되어 사용되고 있는 액 불투과성이면서 투습성을 갖는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습성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으로서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중에 무기 충전제를 혼련하여 시트를 성형한 후, 1축 또는 2축 방향으로 연신하여 얻어진 미다공성 플라스틱 필름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밖에도, 마이크로 데니어 섬유를 사용한 부직포, 열이나 압력을 가함으로써 섬유의 공극을 작게 함에 따른 방루성 강화, 고흡수성 수지 또는 소수성 수지나 발수제의 도공과 같은 방법에 의해,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하지 않고 액 불투과성으로 한 시트도 액 불투과성 시트(11)로서 사용할 수 있지만, 후술하는 커버 부직포(13)와의 핫멜트 접착제를 통한 접착 시에 충분한 접착 강도를 얻기 위해서, 수지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 불투과성 시트(11)는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 요소(50)의 이측에 들어가는 폭으로 하는 것 외에, 방루성을 높이기 위해서, 흡수 요소(50)의 양측을 돌아 들어가게 해서 흡수 요소(50)의 탑 시트(30) 측면의 양 측부까지 연재시킬 수도 있다. 이 연재부의 폭은 좌우 각각 5∼20㎜ 정도가 적당하다.
(흡수 요소)
흡수 요소(50)는 흡수체(56)와, 이 흡수체(56) 전체를 싸는 포장 시트(58)를 갖는다. 포장 시트(58)는 생략할 수도 있다.
(흡수체)
흡수체(56)는 섬유의 집합체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이 섬유 집합체로서는, 면상 펄프나 합성 섬유 등의 단섬유를 적섬한 것 외에,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등의 합성 섬유의 토우(섬유 다발)를 필요에 따라서 개섬하여 얻을 수 있는 필라멘트 집합체도 사용할 수 있다. 섬유 평량으로서는, 면상 펄프나 단섬유를 적섬할 경우, 예를 들면 100∼300g/㎡ 정도로 할 수 있고, 필라멘트 집합체의 경우, 예를 들면 30∼120g/㎡ 정도로 할 수 있다. 합성 섬유인 경우의 섬도는 예를 들면, 1∼16dtex, 바람직하게는 1∼10dtex, 더욱 바람직하게는 1∼5dtex이다. 필라멘트 집합체의 경우, 필라멘트는 비권축 섬유일 수 있지만, 권축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권축 섬유의 권축도는 예를 들면, 2.54㎝당 5∼75개, 바람직하게는 10∼50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15∼50개 정도로 할 수 있다. 또한, 균일하게 권축한 권축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흡수체(56) 중에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분산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체(56)는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지만, 도 7 등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 중간에, 그 전후 양측보다 폭이 좁은 잘록부(56N)를 갖는 모래시계 형상을 이루고 있으면, 흡수체(56) 자체와 기립 개더(60)의 다리 둘레에 대한 피트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흡수체(56)의 치수는 배뇨구 위치의 전후 좌우에 걸치는 한 적절히 정할 수 있지만, 전후 방향(LD) 및 폭 방향(WD)에서, 내장체(200)의 주연부 또는 그 근방까지 연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호 56X는 흡수체(56)의 전체 폭을 나타내고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
흡수체(56)에는 그 일부 또는 전부에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함유시킬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란, 「입자」 이외에 「분체」도 포함한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로서는, 이 종류의 일회용 기저귀에 사용되는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500㎛의 표준 체(JIS Z8801-1:2006)를 사용한 체질(5분간 진탕)로 체 위에 남는 입자의 비율이 30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 180㎛의 표준 체(JIS Z8801-1:2006)를 사용한 체질(5분간 진탕)로 체 위에 남는 입자의 비율이 60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 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흡수량이 40g/g 이상인 것이 적합하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로서는, 전분계, 셀룰로오스계나 합성 폴리머계 등인 것이 있으며, 전분-아크릴산(염) 그래프트 공중합체, 전분-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의 비누화물, 나트륨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의 가교물이나 아크릴산(염) 중합체 등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형상으로서는, 통상 사용되는 분립체형인 것이 적합하지만, 다른 형상의 것도 사용할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로서는, 흡수 속도가 70초 이하, 특히, 40초 이하인 것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흡수 속도가 너무 느리면, 흡수체(56) 내에 공급된 액이 흡수체(56) 밖으로 돌아나와버리는 소위 역행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또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로서는, 겔 강도가 1000Pa 이상인 것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로써, 부피가 큰 흡수체(56)로 한 경우라도, 액 흡수 후의 끈적거림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량량은 해당 흡수체(56)의 용도에서 요구되는 흡수량에 따라서 적절히 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일률적으로 말할 수는 없지만, 50∼350g/㎡로 할 수 있다. 폴리머의 평량량이 50g/㎡ 미만에서는, 흡수량을 확보하기 어려워진다. 350g/㎡를 초과하면, 효과가 포화한다.
(포장 시트)
포장 시트(58)를 사용할 경우, 그 소재로서는, 티슈 페이퍼, 특히 크레이프지, 부직포, 폴리라미 부직포, 작은 구멍이 뚫린 시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빠져나오지 않는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크레이프지 대신 부직포를 사용할 경우, 친수성 SMS 부직포(SMS, SSMMS 등)가 특히 적합하며, 그 재질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복합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평량은 5∼40g/㎡, 특히, 10∼30g/㎡인 것이 바람직하다.
포장 시트(58)의 포장 구조는 적절히 정할 수 있지만, 제조 용이성이나 전후 끝 테두리로부터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샘 방지 등의 관점에서, 흡수체(56)의 표리면 및 양 측면을 둘러싸도록 통 모양으로 감고, 또한, 그 전후 테두리부를 흡수체(56)의 전후로부터 비어져나오게 해서, 감아서 포개는 부분 및 전후 비어져나온 부분의 중첩 부분을 핫멜트 접착제, 소재 용착 등의 접합 수단에 의해 접합하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기립 개더)
기립 개더(60)는 내장체(200)의 측부로부터 기립하는 기립 부분(68)을 갖고 있으며, 이 기립 부분(68)이 장착자의 서혜부로부터 다리 둘레를 거쳐 둔부까지의 범위에 접하여 옆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시한 예의 기립 개더(60)는 허벅다리 측 부분(60B)이 폭 방향 중앙 측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기립하고, 중간부로부터 선단 측 부분(60A)이 폭 방향 외측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기립하는 것이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전체적으로 폭 방향 중앙 측으로 기립하는 것 등,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시한 예의 기립 개더는 내장체(200)의 전후 방향 길이와 같은 길이를 갖는 띠형 개더 시트(62)를 선단이 되는 부분에서 폭 방향(WD)으로 되접어 꺽어서 2개로 접어서 포갬과 동시에, 되접어 꺾은 부분 및 그 근방의 시트간에 세장형 개더 탄성 부재(63)를 장변 방향을 따라 신장 상태에서, 폭 방향(WD)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고정시켜 구성하는 것이다. 기립 개더(60) 중 선단부와 반대 측에 위치하는 기단부(폭 방향(WD)에 있어서 시트의 되접어 꺾은 부분과 반대 측 단부)는 내장체(200)의 측부에 고정된 허벅다리 부분(65)이 되고, 이 허벅다리 부분(65) 이외의 부분은 허벅다리 부분(65)으로부터 연장되는 본체 부분(66)(되접어 꺾은 부분 측의 부분)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체 부분(66)은 폭 방향 중앙 측으로 연장되는 허벅다리 측 부분(60B)과, 이 허벅다리 측 부분(60B)의 선단에서 되접어 꺾여서,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선단 측 부분(60A)을 갖고 있다. 그리고, 본체 부분(66) 중 전후 방향 양단부가 도복 상태에서 탑 시트(30)의 측부 표면에 대하여 고정된 도복 부분(67)이 되는 한편,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전후 방향 중간부는 비고정 기립 부분(68)이 되며, 이 기립 부분(68)의 적어도 선단부에 전후 방향(LD)을 따르는 개더 탄성 부재(63)가 신장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기립 개더(60)에서는, 개더 탄성 부재(63)의 수축력에 의해 기립 부분(68)이 도 3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부에 당접하도록 기립한다.
도시한 예의 기립 개더(60)와 같이, 본체 부분(66)이 폭 방향 중앙 측으로 연장되는 허벅다리 측 부분(60B)과, 이 허벅다리 측 부분(60B)의 선단에서 되접어 꺾여서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선단 측 부분(60A)으로 이루어지는 굴곡 구조에서는, 도복 부분(67)에서, 선단 측 부분(60A)과 허벅다리 측 부분(60B)이 도복 상태로 접합됨과 동시에, 허벅다리 측 부분(60B)이 도복 상태로 탑 시트(30)에 접합된다. 도복 부분(67)에서 대향면의 접합으로는, 각종 도포 방법에 따른 핫멜트 접착제 및 히트 실링이나 초음파 실링 등의 소재 용착에 의한 수단 중 적어도 한쪽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허벅다리 측 부분(60B) 및 탑 시트(30)의 접합과, 선단 측 부분(60A) 및 허벅다리 측 부분(60B)의 접합을 같은 수단으로 실시해도, 또 다른 수단으로 실시해도 좋다. 예를 들면, 허벅다리 측 부분(60B) 및 탑 시트(30)의 접합을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실시하고, 선단 측 부분(60A) 및 허벅다리 측 부분(60B)의 접합을 소재 용착에 의해 실시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개더 시트(62)로서는 스펀 본드 부직포(SS, SSS 등)나 SMS 부직포(SMS, SSMMS 등), 멜트 블로 부직포 등, 유연하고 균일성·은폐성이 우수한 부직포에, 필요에 따라서 실리콘 등으로 발수 처리를 실시한 것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의 부직포의 섬유 평량은 10∼30g/㎡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더 탄성 부재(63)로서는 실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스판덱스 실고무를 사용할 경우에는, 굵기는 470∼1240dtex가 바람직하고, 620∼940dtex가 보다 바람직하다. 개더 탄성 부재(63)의 설치 상태에서의 신장율은 150∼350%가 바람직하고, 200∼300%가 보다 바람직하다. 개더 탄성 부재(63)의 개수는 2∼6개가 바람직하고, 3∼5개가 보다 바람직하다. 개더 탄성 부재(63)의 배치 간격(60d)은 3∼10㎜가 적당하다. 이렇게 구성하면, 개더 탄성 부재(63)를 배치한 범위에서 피부에 대하여 면에서 닿기 쉬워진다. 선단 측 뿐만 아니라 허벅다리 측에도 개더 탄성 부재(63)를 배치해도 좋다.
기립 개더(60)의 기립 부분(68)에서는, 개더 시트(62)의 내측층 및 외측층의 첩합이나, 그 사이에 끼워지는 개더 탄성 부재(63)의 고정으로, 각종 도포 방법에 따른 핫멜트 접착제 및 히트 실링이나 초음파 실링 등의 소재 용착에 의한 고정 수단 중 적어도 한쪽을 이용할 수 있다. 개더 시트(62)의 내측층 및 외측층의 전체 면을 첩합하면 유연성을 해치기 때문에, 개더 탄성 부재(63)의 접착부 이외의 부분은 접착하지 않거나 약하게 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한 예에서는, 콤건이나 슈어랩 노즐 등의 도포 수단에 의해 개더 탄성 부재(63)의 외주면에만 핫멜트 접착제를 도포하여 개더 시트(62)의 내측층 및 외측층 사이에 끼움으로써, 해당 개더 탄성 부재(63)의 외주면에 도포한 핫멜트 접착제만으로, 개더 시트(62)의 내측층 및 외측층에 대한 개더 탄성 부재(63)의 고정과, 개더 시트(62)의 내측층 및 외측층간의 고정을 실시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도복 부분(67)의 고정에 대해서도, 각종 도포 방법에 따른 핫멜트 접착제 및 히트 실링이나 초음파 실링 등의 소재 용착에 의한 수단 중 적어도 한쪽을 이용할 수 있다.
(사이드 플랩)
내장체(200)의 양 측부에는 흡수체(56)의 측방으로 연장된 사이드 플랩(70)이 마련되어 있고, 각 사이드 플랩(70)은 그 측연을 따라 전후 방향(LD)으로 계속되는 중공부(70H)를 갖고 있으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사이드 플랩(70)은 1개 또는 복수 개의 세장형 사이드 탄성 부재(73)가 전후 방향(LD)을 따라 그리고 서로 간격을 두고 마련된 사이드 신축 영역(SG)을 갖고 있다. 이 결과, 사이드 탄성 부재(73)의 수축에 의해, 사이드 플랩(70)에서 중공부(70H)를 포함하는 부분이 전후 방향(LD)으로 수축해서, 다수의 주름이 전후 방향(LD)으로 나열된 사이드 개더가 형성된다. 여기서, 사이드 플랩(70)에서 중공부(70H)를 포함하는 부분에 사이드 개더가 형성되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개더의 주름은 중공부(70H)가 크게 부풀어오름으로써 형성되어, 크고 부드러운(즉, 쿠션성이 풍부한) 것이 된다. 따라서, 이 크고 부드러운 주름에 의해, 고간부 측부의 촉감이 양호해진다(몽실몽실, 폭신폭신한 것이 된다).
사이드 플랩(70)은 사이드 탄성 부재(73)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사이드 탄성 부재(73)의 이측에 접하는 제1 시트층(71)과, 사이드 탄성 부재(73)의 표측에 접하는 제2 시트층(72)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시트층(71) 및 제2 시트층(72)을 구성하는 시트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전술한 기립 개더(60)나 전술한 외장체(12F, 12B)에서 이용 가능한 부직포 등, 적절한 부직포를 선택할 수 있다. 도 3, 도 4 및 도 1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립 개더(60)의 개더 시트(62)를 연장하여 제1 시트층(71) 및 제2 시트층(72)을 형성하고 있다. 도 9, 도 10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립 개더(60)와는 다른 전용 시트재(79)를 추가하여, 사이드 플랩(70)을 구축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사이드 플랩(70)의 전후단은 기립 개더(60)의 전후단(즉, 이 경우, 내장체(200)의 전후단)과 일치하지만, 후자의 경우에는 사이드 플랩(70)의 전후단은 기립 개더(60)의 전후단보다 전후방 방향의 중앙 측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사이드 탄성 부재(73)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전술한 개더 탄성 부재(63)와 동일한 세장형 탄성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전개 상태의 사이드 신축 영역(SG)에서 사이드 탄성 부재(73)의 신장율은 150∼350%가 바람직하고, 200∼270%가 보다 바람직하다. 사이드 탄성 부재(73)의 개수는 2∼16개가 바람직하고, 6∼10개가 보다 바람직하다. 사이드 탄성 부재(73)의 배치 간격은 5∼10㎜가 적당하다. 특히, 사이드 탄성 부재(73)가 폭 방향(WD)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마련될 경우, 전개 상태의 사이드 신축 영역(SG)에서 사이드 탄성 부재(73)의 신장율은 측방에 위치하는 것 만큼 낮으면, 사이드 신축 영역(SG)의 피부 측으로의 첫 기립이 더뎌져서, 사이드 신축 영역(SG)이 적절한 장착 상태가 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사이드 신축 영역(SG)의 첫 기립이 힘들면, 사이드 플랩(70)이 내측으로 접혀서, 다리와 일회용 착용 물품의 표면과의 사이에 끼워져서, 새는 것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사이드 탄성 부재(73)는 제1 시트층(71) 및 제2 시트층(72)에 고정되어 있다. 제1 시트층(71) 및 제2 시트층(72)의 첩합이나, 그 사이에 끼워지는 사이드 탄성 부재(73)의 고정으로, 각종 도포 방법에 따른 핫멜트 접착제(HM)나 히트 실링이나 초음파 실링 등의 소재 용착에 의한 고정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제1 시트층(71) 및 제2 시트층(72)의 접합 면적이 크면 유연성을 해치기 때문에, 사이드 탄성 부재(73)의 접착부 이외의 부분은 접합하지 않거나, 또는 약하게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한 예에서는, 콤건이나 슈어랩 노즐 등의 도포 수단에 의해 사이드 탄성 부재(73)의 외주면에만 핫멜트 접착제(HM)를 도포해서, 제1 시트층(71) 및 제2 시트층(72)의 사이에 끼움으로써, 해당 사이드 탄성 부재(73)의 외주면에 도포한 핫멜트 접착제(HM)만으로 제1 시트층(71) 및 제2 시트층(72)에 대한 사이드 탄성 부재(73)의 고정과, 제1 시트층(71) 및 제2 시트층(72)간의 고정을 실시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전후 방향(LD)에서 사이드 탄성 부재(73)의 설치 범위, 즉, 사이드 신축 영역(SG)의 전후 방향(LD)의 범위는 전외장체(12F)와 겹치는 부분부터 후외장체(12B)와 겹치는 부분까지로 되어 있다. 사이드 신축 영역(SG)의 전후 방향(LD)의 범위는 후술하는 비접합부(77)의 전후 방향(LD)의 범위와 같거나, 또는 보다 넓은 범위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이드 신축 영역(SG)의 전후 방향(LD)의 범위는 기립 개더(60)의 개더 탄성 부재(63)에 의한 수축 부분과 같거나, 그보다 전후 양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사이드 플랩(70)은 제1 시트층(71) 및 제2 시트층(72)를 포함해서 3층 이상의 시트층을 가지면 바람직하다. 즉, 최표측 시트층(74) 및 최이측 시트층(75) 외에, 그들 사이에 위치하는 내부 시트층(76)을 적어도 1층 가지면 바람직하다.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시트층은 각각 별체의 시트재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1매의 시트재가 1회 또는 복수 회 되접어 꺾여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내부 시트층(76)은 전술한 개더 시트(62)나 액 불투과성 시트(11) 또는 후술하는 외장체(12F, 12B)와 동일한 부직포 중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는 것 외에, 전술한 개더 시트(62)나 액 불투과성 시트(11)를 적절히 연장이나 반복하는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중공부(70H)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시트층의 적층 구조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즉, 도시한 예의 사이드 플랩(70)에서는, 최표측 시트층(74) 및 최이측 시트층(75) 중 적어도 한쪽과, 그것과 겹치는 내부 시트층(76)이 접합되어 있지 않은 비접합부(77)가 형성되어 있다. 이 비접합부(77)는 최측방에 위치하는 사이드 탄성 부재(73)와 사이드 플랩(70)의 측연과의 사이 영역을 포함하는 폭 방향(WD)의 범위에서 전후 방향(LD)으로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계속되는 부분이다. 즉, 비접합부(77)는 최표측 시트층(74) 및 최이측 시트층(75) 중 어느 한쪽과 그것과 겹치는 내부 시트층(76)이 비접합인 한, 그 이외의 일부 또는 전부의 층간이 접합되어 있을 수 있고, 두께 방향의 모든 시트층이 비접합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 도 4 및 도 11에 나타내는 예의 비접합부(77)에서는, 최표측 시트층(74)과 그것과 겹치는 내부 시트층(76)이 비접합인 부분은 측연으로부터 최측방의 사이드 탄성 부재(73)의 고정 위치까지이며, 최이측 시트층(75)과 그것과 겹치는 내부 시트층(76)이 비접합인 부분은 그것보다 폭 방향의 중앙 측까지 계속되고 있다. 도 9, 도 10 및 도 12에 나타내는 예의 비접합부(77)에서는, 최표측 시트층(74)과 그것과 겹치는 내부 시트층(76)이 비접합인 부분 및 최이측 시트층(75)과 그것과 겹치는 내부 시트층(76)이 비접합인 부분은 측연으로부터 최측방의 사이드 탄성 부재(73)의 고정 위치보다 폭 방향의 중앙 측까지 계속되고 있지만, 전자 쪽이 보다 폭 방향의 중앙 측까지 계속되고 있다.
비접합부(77)의 폭 방향(WD) 치수는 적절히 정할 수 있지만, 2∼15㎜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5∼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중공부(70H)의 폭 방향(WD) 치수는 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한 예와 같이, 기립 개더(60)를 가질 경우, 비접합부(77)의 폭 방향(WD)의 중앙 측 테두리는 허벅다리 부분(65)과 본체 부분(66)의 경계(기립의 기점)보다 측방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접합부(77)의 전후 방향(LD) 치수(중공부(70H)의 전후 방향 치수)는 제품 전체 길이(Y)의 30% 이상, 특히, 4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한 예와 같은 전외장체(12F) 및 후외장체(12B)가 이간된 팬티 타입 일회용 착용 물품의 경우, 비접합부(77)는 전외장체(12F) 및 후외장체(12B)와 각각 겹치는 위치까지 전후 방향(LD)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비접합부(77)는 내장체(200)의 전후 방향(LD) 전체에 걸쳐 연장되어 있는 것은 바람직하다. 또한, 비접합부(77)는 내장체(200)의 전후 테두리의 위치와, 전외장체(12F) 및 후외장체(12B)의 제일 다리 개구(LO) 측 탄성 부재(16, 19)의 사이 위치까지 밖에 연장되어 있지 않은 것도 바람직하다. 더욱이, 비접합부(77)는 전외장체(12F) 및 후외장체(12B)에서 제일 다리 개구(LO) 측 탄성 부재(16, 19)와 다리 개구(LO)의 테두리(전외장체(12F)의 후연(後緣) 및 후외장체(12B)의 전연(前緣)) 사이의 위치까지 밖에 신장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비접합부(77)의 폭 방향(WD)의 양측에서는, 최표측 시트층(74) 및 최이측 시트층(75) 중 적어도 한쪽과, 그것과 겹치는 내부 시트층(76)과의 간극이 닫혀 있다. 도시한 예와 같이, 비접합부(77)의 간극의 일방 측은 최표측 시트층(74) 또는 최이측 시트층(75)을 구성하는 시트재를 사이드 플랩(70)의 측연에서 되접어 꺽음으로써 닫을 수 있다. 또한, 비접합부(77)의 간극의 타방 측은 핫멜트 접착제(HM)나 용착 수단 등을 이용하여, 두께 방향으로 인접하는 시트층을 적절한 개소에서 접합함으로써 닫을 수 있다. 물론, 비접합부(77)의 간극 양측을 동일한 방법, 예를 들면, 시트재의 반복 또는 핫멜트 접착제(HM)에 의해 닫을 수도 있다.
도시한 예와 같이, 폭 방향(WD) 양측에서 닫힌 비접합부(77)가 형성됨과 동시에, 이 비접합부(77)는 최측방에 위치하는 사이드 탄성 부재(73)와 중간 영역(L)의 측연과의 사이 영역을 포함하는 폭 방향(WD)의 범위(해당 영역과 같거나 또는 그 이상의 폭 방향(WD)의 범위)에서 전후 방향(LD)으로 계속되고 있으면, 사이드 플랩의 측연에는 시트층에 의해 둘러싸인 중공부(70H)가 전후 방향(LD)으로 계속되게 된다. 이 경우, 사이드 플랩의 측부에 형성되는 주름은 최표측 시트층(74) 및 최이측 시트층(75) 중 적어도 한쪽이 크게 부풀어오름으로써 형성되어, 크고 부드러운(즉, 쿠션성이 풍부한) 것이 된다. 따라서, 이 크고 부드러운 주름이 사이드 플랩(70)의 측연을 포함하는 범위의 내측, 외측, 내외 양측 또는 두께 방향의 전체에 형성되기 때문에, 다리 개구(LO) 단부의 촉감이 양호해진다.
사이드 탄성 부재(73)는 사이드 플랩(70)의 측연 근방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지만, 사이드 플랩(70)에서, 측연으로부터 폭 방향(WD)의 중앙 측으로 2∼15㎜(특히, 5∼10㎜)까지의 부분은 사이드 탄성 부재(73)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측연으로부터 폭 방향(WD)의 중앙 측으로 2∼15㎜(특히, 5∼10㎜)까지의 부분은 중공부(70H)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사이드 탄성 부재(73)가 사이드 플랩(70)의 측연으로부터 충분히 이간되어 있으면, 장착이나 구입 시, 상품을 손으로 잡았을 때 또는 장착중에 피부에 눌리는 부분(즉, 사이드 탄성 부재(73)를 갖는 부분)의 측방의 두께 방향 전체에 유연성이나 쿠션이 풍부한 커다란 주름이 형성되기 때문에, 다리 개구(LO) 단부의 촉감을 개선함에 있어서 특히 바람직하다. 이 효과는 사이드 탄성 부재(73)가 사이드 플랩(70)의 측연으로부터 충분히 이간되어 있고, 또, 그 이간 부분에 중공부(70H)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경우에 특히 현저하다.
중공부(70H)와 사이드 탄성 부재(73)의 위치 관계는 적절히 정할 수 있지만, 도시한 예와 같이, 중공부(70H)의 표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적어도 1개의 사이드 탄성 부재(73)를 가지면, 사이드 탄성 부재(73)의 수축력이 직접적으로 중공부(70H)에 가해져서, 중공부(70H)에서 주름의 형상 유지성이 높은 것이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비접합부(77)에서는, 최표측 시트층(74) 또는 최이측 시트층(75)의 뒤와 겹치는 내부 시트층(76)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대 측과 인접하는 시트층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을 수 있지만(도시한 예의 제1 시트층(71) 및 제2 시트층(72)은 서로 핫멜트 접착제(HM)로 접착되어 있음),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 시트층(76)이 두께 방향의 양측과 인접하는 시트층에 대하여 비고정으로 되어 있으면 특히 바람직하다. 즉, 내부 시트층(76)에 의해 구획되는 중공부(70H)가 두께 방향으로 겹치도록 복수 마련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이로써, 복수의 중공부(70H)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도 독립적으로 주름이 형성되고, 그것이 겹치기 때문에, 보다 우수한 쿠션성을 갖는 주름이 사이드 플랩(70)의 측부에 형성되게 된다.
도시한 예와 같이, 사이드 플랩(70)은 중공부(70H)의 표측에 위치하는 부분으로부터 사이드 플랩(70)의 측연에서 되접어 꺾여서 중공부(70H)의 이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이르는 되접어 꺽은 시트층을 갖고 있고, 중공부(70H)는 되접어 꺽은 시트층의 되접어 꺽는 위치까지 측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면, 되접어 꺽는 것에 대한 복원력에 의해, 중공부(70H)에 형성되는 주름의 쿠션성이 특히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되접어 꺽은 시트층은 시트재를 되접어 꺽음으로써 형성되는 한 쌍의 층을 의미한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는 도 3, 도 4 및 도 11에 나타내는 구조이다. 이 사이드 플랩부(70)는 그 측연에서 되접어 꺾인 되접어 꺽은 시트층을 이중으로 갖고 있으며, 비접합부(77)의 최표측 시트층(74) 및 최이측 시트층(75)은 각각 외부에 위치하는 되접어 꺽은 시트층의 접는 위치를 경계로 하여 표측 부분 및 이측 부분으로 되어 있다. 또한, 사이드 탄성 부재(73)는 외부에 위치하는 되접어 꺽은 시트층의 접는 위치를 경계로 하여 표측 부분과, 내부에 위치하는 되접어 꺽은 시트층의 접는 위치를 경계로 하여 표측 부분의 사이에서, 접는 위치보다 폭 방향(WD)의 중앙 측으로 떨어진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최측방에 위치하는 사이드 탄성 부재(73)와 사이드 플랩(70)의 측연의 사이에서는, 두께 방향으로 인접하는 시트층 모두(4층)가 접합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각 시트층의 사이에 중공부(70H)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구조에서는, 사이드 플랩(70)의 적어도 측부에 중공부(70H)를 3단(두께 방향으로 3곳)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이중의 되접어 꺽은 시트층 각각이 되접어 꺽는 것에 대한 복원력을 갖기 때문에, 보다 적은 시트재로, 보다 우수한 쿠션성을 갖는 주름이 사이드 플랩(70)의 측부에 형성되게 된다.
다른 바람직한 예는 도 9, 도 10 및 도 12에 나타내는 구조이다. 이 사이드 플랩(70)은 그 측연에서 되접어 꺾인 되접어 꺽은 시트층을 이중으로 갖고 있으며, 사이드 탄성 부재(73)를 끼우는 제1 시트층(71) 및 제2 시트층(72)은 각각 내부에 위치하는 되접어 꺽은 시트층의 접는 위치를 경계로 하여 일방 측 부분 및 타방 측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즉, 제1 시트층(71) 및 제2 시트층(72)은 모두 내부 시트층(76)이다). 그리고, 비접합부(77)는 최표측 시트층(74)과 그것과 겹치는 제1 시트층(71)이 접합되어 있지 않은 부분 및 최이측 시트층(75)과 그것과 겹치는 제2 시트층(72)이 접합되어 있지 않은 부분으로 되어 있으며, 중공부(70H)는 외부에 위치하는 되접어 꺽은 시트층의 되접어 꺽는 위치까지 측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구조에서는, 사이드 플랩(70)부 측부의 표리 양측에 중공부(70H)가 각각 형성되며, 그로 인해서 표리 양측에 커다란 주름이 각각 형성되기 때문에, 사이드 플랩(70)부 측부의 촉감이 양호해진다. 또한, 사이드 탄성 부재(73)가 되접어 꺽은 시트층에 의해 이중으로 피복되기 때문에, 사이드 탄성 부재(73)의 감촉이 피부로 전해지기 어려워져서, 촉감이 특히 양호해진다. 더욱이, 최표측 시트층(74) 및 최이측 시트층(75)은 외부에 위치하는 되접어 꺽은 시트층의 접는 위치를 사이에 두고 일방 측 부분 및 타방 측 부분이기 때문에, 되접어 꺽는 것에 대한 복원력에 의해, 중공부(70H)를 갖는 부분에 형성되는 주름의 쿠션성도 우수한 것이 된다.
도시하지 않지만, 도 3, 도 4 및 도 11에 나타내는 구조에서, 사이드 탄성 부재(73)의 위치를 외부에 위치하는 되접어 꺽은 시트층의 접는 위치를 경계로 하여 이측 부분과, 내부에 위치하는 되접어 꺽은 시트층의 접는 위치를 경계로 하여 이측 부분의 사이로 할 수 있다. 즉, 사이드 탄성 부재(73)는 중공부(70H)의 이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설치할 수 있다.
이들 예와 같이, 비접합부(77)를 시트층의 4층 구조로 할 경우, 도 11에 나타내는 예와 같이, 기립 개더(60)의 시트를 이용하여 사이드 플랩(70)을 구축하면 바람직하다. 즉, 전술한 사이드 플랩(70)의 되접어 꺽은 시트층은 기립 개더(60) 시트의 2층 구조가 기립 개더(60)의 허벅다리 부분(65)부터 사이드 플랩(70)의 측연까지 연장되는 제1 부분(P1)과, 기립 개더(60) 시트의 2층 구조가 사이드 플랩(70)의 측연에서 되접어 꺾여서 폭 방향(WD)의 중앙 측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P2)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외장체)
외장체(12F, 12B)는 앞몸판(F)의 적어도 몸통 둘레부를 구성하는 부분인 직사각형 전외장체(12F)와, 뒷몸판(B)의 적어도 몸통 둘레부를 구성하는 부분인 직사각형 후외장체(12B)로 이루어지며, 전외장체(12F) 및 후외장체(12B)는 고간 측에서 연속되지 않고, 전후 방향(LD)으로 이간된 것으로 되어 있다(외장 2분할 타입). 이 전후 방향의 이간 거리는 예를 들면 전체 길이(Y)의 40∼60% 정도로 할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전외장체(12F) 및 후외장체(12B)의 하연은 폭 방향(WD)을 따르는 직선형으로 되어 있지만, 전외장체(12F) 및 후외장체(12B)의 적어도 한쪽의 하연이 다리 둘레를 따르는 곡선형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장체(12F, 12B)가 앞몸판(F)부터 뒷몸판(B)에 걸쳐서 고간을 통과하여 연속되는 일체적인 것으로 할 수도 있다(외장 일체 타입).
외장체(12F, 12B)는 몸통 둘레 영역(T)과 대응하는 전후 방향 범위인 몸통 둘레부를 갖는다. 또한, 본 예에서는, 전외장체(12F) 및 후외장체(12B)의 전후 방향 치수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외장체(12B)의 전후 방향 치수를 전외장체(12F)의 전후 방향 치수보다 길게 하고, 후외장체(12B)에 몸통 둘레 영역(T)으로부터 중간 영역(L) 측으로 연장된 둔부 커버부를 마련하여, 전외장체(12F)에는 중간 영역(L)과 대응하는 부분을 마련하지 않는 구조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또는 이와는 반대로, 도시하지 않지만, 전외장체(12F)에도 몸통 둘레 영역(T)으로부터 중간 영역(L) 측으로 연장된 서혜 커버부를 마련할 수도 있다.
외장체(12F, 12B)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내측 시트층(12H) 및 외측 시트층(12S)과, 이들의 사이에 마련된 탄성 부재(16∼19)를 갖는다. 각 시트층은 공통된 1매의 시트재로 하는 것 외에, 개별 시트재로 할 수도 있다. 즉, 전자의 경우, 전외장체(12F) 및 후외장체(12B)의 일부 또는 전부에 있어서, 웨이스트 개구(WO)의 테두리나 다리 개구(LO) 측 테두리 등, 적절한 위치에서 되접어 꺾인 1매의 시트재의 내측 부분 및 외측 부분의 사이에 탄성 부재(16∼19)를 마련할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웨이스트부(W)에 각각 시트재가 되접어 꺽이는 것을 포함하는 부분을 갖고 있다. 예를 들면, 웨이스트부(W)에서는, 외측 시트층(12S)을 형성하는 시트재는 웨이스트 개구(WO)의 테두리까지 밖에 연재되어 있지 않지만, 내측 시트층(12H)을 형성하는 시트재는 제2 시트층을 형성하는 시트재의 웨이스트 측 테두리를 돌아들어가서, 그 내측으로 되접어 꺾여 있다. 또한, 이 되접어 꺾은 부분은 내장체(200)의 웨이스트 개구(WO) 측 단부와 겹치는 위치까지, 외장체의 폭 방향 전체에 걸쳐 연재하는 내장 커버층(12r)으로 되어 있다. 내장 커버층(12r)은 내측 시트층(12H)을 형성하는 시트재를 되접어 꺽어서 형성하지 않고, 전용 시트재를 첩부할 수 있다.
외장체(12F, 12B)에는 장착자의 몸통 둘레에 대한 피트성을 높이기 위해서, 탄성 부재(16∼19)가 내장되고, 탄성 부재의 신축을 수반하여 폭 방향(WD)으로 탄성 신축하는 신축 영역(A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신축 영역(A2)에서는, 외장체(12F, 12B)는 자연 길이 상태에서는 탄성 부재의 수축에 따라 수축해서, 구김 또는 주름이 형성되어 있으며, 탄성 부재의 장변 방향으로 신장하면, 주름 없이 다 신장하는 소정의 신장율까지 신장이 가능하다. 탄성 부재(16∼19)로서는, 실고무 등의 세장형 탄성 부재(도시한 예) 외에, 띠형, 망형, 필름형 등, 공지의 탄성 부재를 특별히 한정 없이 사용할 수 있다. 탄성 부재(16∼19)로서는 스판덱스 등의 합성 고무를 사용해도, 천연 고무를 사용해도 좋다.
도시한 예의 탄성 부재(16∼19)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외장체(12F, 12B)의 웨이스트부(W)에는 폭 방향(WD)의 전체에 걸쳐 연속하도록, 복수의 웨이스트 탄성 부재(17)가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또한, 웨이스트 탄성 부재(17) 중, 웨이스트 하방부(U)와 인접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1개 또는 복수 개에 대해서는, 내장체(200)와 겹쳐 있어도 좋고, 내장체(200)와 겹치는 폭 방향 중앙부를 제외하고, 그 폭 방향 양측에 각각 마련할 수 있다. 이 웨이스트 탄성 부재(17)로서는, 굵기 155∼1880dtex, 특히, 470∼1240dtex 정도(합성 고무인 경우. 천연 고무인 경우에는 단면적 0.05∼1.5㎟, 특히, 0.1∼1.0㎟ 정도)의 실고무를 2∼12㎜의 간격, 특히, 3∼7㎜의 간격으로 2∼15개 정도, 특히, 4∼10개 정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른 웨이스트부(W)의 폭 방향(WD) 신장율은 150∼400%, 특히, 220∼32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웨이스트부(W)는 그 전후 방향(LD) 모두에 같은 굵기의 웨이스트 탄성 부재(17)를 사용하거나, 같은 신장율로 하거나 할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면, 웨이스트부(W)의 상부와 하부에서 탄성 부재(17)의 굵기나 신장율이 다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외장체(12F, 12B)의 웨이스트 하방부(U)에는 세장형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웨이스트 하방 탄성 부재(15, 19)가 복수 개,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웨이스트 하방 탄성 부재(15, 19)로서는, 굵기 155∼1880dtex, 특히, 470∼1240dtex 정도(합성 고무인 경우. 천연 고무인 경우에는 단면적 0.05∼1.5㎟, 특히, 0.1∼1.0㎟ 정도)의 실고무를 1∼15㎜, 특히, 3∼8㎜의 간격으로 5∼30개 정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른 웨이스트 하방부(U)의 폭 방향(WD) 신장율은 200∼350%, 특히, 240∼30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술한 바와 같이, 후외장체(12B)에 둔부 커버부를 마련하는 경우나, 도시하지 않지만, 전외장체(12F)에 서혜 커버부를 마련할 경우에는, 웨이스트 하방부와 동일한 탄성 부재를 마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폭 방향(WD) 신장율은 150∼300%, 특히, 180∼260%로 할 수 있다.
도시한 예의 웨이스트 하방부(U)와 같이, 흡수체(56)를 갖는 전후 방향 범위에 탄성 부재(16, 19)를 마련할 경우에는, 그 일부 또는 전부에서 흡수체(56)의 폭 방향(WD)의 수축을 방지하기 위해서, 흡수체(56)와 폭 방향(WD)과 겹치는 부분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폭 방향 중간(바람직하게는 내외 접합부(201, 202) 전체를 포함함)이 비신축 영역(A1)이 되고, 그 폭 방향 양측이 신축 영역(A2)으로 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웨이스트부(W)는 폭 방향(WD)의 전체에 걸쳐 신축 영역(A2)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웨이스트 하방부(U)와 마찬가지로, 폭 방향 중간에 비신축 영역(A1)을 마련할 수 있다. 신축 영역(A2) 중, 사이드 실링부(12A)를 갖는 전후 방향(LD)의 범위에 위치하는 부분이 웨이스트 하방 신축 영역(A3)이 된다.
이러한 신축 영역(A2) 및 비신축 영역(A1)은 내측 시트층(12H)과 외측 시트층(12S)의 사이에 탄성 부재(15∼17, 19)를 공급하고, 탄성 부재(16, 19)를 신축 영역(A2)에 위치하는 부분만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고정시킨 후, 흡수체(56)를 갖는 영역에 있어서, 탄성 부재(16, 19)를 폭 방향 중간의 1개소에서 가압 및 가열에 의해 절단하거나, 또는 탄성 부재(16, 19)의 거의 전체를 가압 및 가열에 의해 잘게 절단하여, 신축 영역(A2)에 신축성을 남기면서 비신축 영역(A1)에서는 신축성을 없앰으로써 구축할 수 있다.
내측 시트층(12H) 및 외측 시트층(12S)을 형성하는 시트재로서는, 특별히 한정 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부직포를 사용할 경우, 1매당 평량은 10∼30g/㎡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부재(16∼19)는 각종 도포 방법에 따른 핫멜트 접착제(HM)에 의해 외장체(12F, 12B)에 고정된다. 내측 시트층(12H) 및 외측 시트층(12S)은 각각 탄성 부재(16∼19)를 갖는 부분에서는, 탄성 부재(16∼19)를 고정시키기 위한 핫멜트 접착제(HM)에 의해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탄성 부재(16∼19)를 갖지 않는 부분에서는, 핫멜트 접착제(HM)에 의해 접합해도, 히트 실링이나 초음파 실링 등의 소재 용착에 의해 접합해도 되며, 또, 일부 또는 전부를 접착하지 않아도 된다. 도시한 예의 외장체(12F, 12B)에서 탄성 부재(16∼19)를 갖는 부분에서는, 콤건이나 슈어랩 노즐 등의 도포 수단에 의해 탄성 부재(16∼19)의 외주면에만 핫멜트 접착제(HM)를 도포하여 시트층간에 끼움으로써, 해당 탄성 부재(16∼19)의 외주면에 도포한 핫멜트 접착제(HM)만으로, 양 시트층에 대한 탄성 부재(16∼19)의 고정과, 양 시트층간의 고정을 실시하고 있다. 탄성 부재(16∼19)는 신축 영역(A2)에서 신축 방향의 양단부만 양 시트층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하단부 개더)
외장 2분할 타입의 팬티 타입 일회용 기저귀의 경우, 도 13,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리 개구(LO)의 측부 테두리는 전술한 내장체(200)의 사이드 플랩(70)이 되고, 다리 개구(LO)의 상부 테두리는 전외장체(12F) 및 후외장체(12B)에서 내장체(200)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윙 영역(J)의 하연으로 되어 있다. 윙 영역(J)의 하단부(80)는 1개(또는 복수 개일 수 있다)의 세장형 하단부 탄성 부재(83)가 폭 방향을 따라 그리고 서로 간격을 두고 마련된 하단부 신축 영역(UG)을 갖고 있다. 그리고, 이 윙 영역(J)의 하단부(80)는 그 하연을 따라 폭 방향으로 계속되는 중공부(80H)를 갖고 있으며, 하단부 탄성 부재(83)의 수축에 의해, 윙 영역(J)의 하단부(80)에서 중공부(80H)를 포함하는 부분이 폭 방향으로 수축해서 하단부 개더가 형성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본 일회용 착용 물품에서는, 하단부 탄성 부재(83)의 수축에 의해, 윙 영역(J)의 하연을 따르는 중공부(80H)를 포함하는 부분이 폭 방향(WD)으로 수축해서 하단부 개더가 형성된다. 즉, 윙 영역(J)의 하단부에서 중공부(80H)를 포함하는 부분에 하단부 개더의 각 주름이 폭 방향(WD)으로 나란히 형성된다. 여기서, 윙 영역(J)에서 중공부(80H)를 포함하는 부분에 하단부 개더가 형성되면, 하단부 개더의 주름은 중공부(80H)가 크게 부풀어오름으로써 형성되어, 크고 부드러운(즉, 쿠션성이 풍부한) 것이 된다. 따라서, 외장체(12F, 12B)의 윙 영역(J)의 하단부(80)에서의 촉감이 양호해지는(몽실몽실, 폭신폭신한 것이 된다) 것과, 전술한 사이드 플랩(70) 측부의 촉감이 양호해지는 것이 합쳐져서, 다리 개구(LO) 테두리부의 전체 촉감이 양호해진다.
중공부(80H)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시트층의 적층 구조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즉, 도 1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전술한 제2 시트재(12H)가 다리 개구(LO)의 테두리에서 외측으로 되접어 꺾여 있으며, 접는 위치보다 외측 부분이 하단부 탄성 부재(83)의 표측에 접하는 제1 시트층(81)이 되고, 접는 위치보다 내측 부분이 하단부 탄성 부재(83)의 이측에 접하는 제2 시트층(82)으로 되어 있다. 이것 대신, 제1 시트재(12S)를 다리 개구(LO)의 테두리에서 되접어 꺽어서, 제1 시트층(81) 및 제2 시트층(82)를 형성하거나 제1 시트재(12S) 및 제2 시트재(12H) 중 어느 한쪽에서 제1 시트층(81)을 형성하고, 다른 쪽에서 제2 시트층(82)을 형성하는 등,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제1 시트층(81) 및 제2 시트층(82)으로서 전술한 제1 시트재(12S) 및 제2 시트재(12H)를 이용하지 않고, 제1 시트층(81) 및 제2 시트층(82)을 구성하는 시트재를 외장체(12F, 12B)의 하단부(80)에 추가할 수도 있으며, 그 시트재로서는, 전술한 기립 개더(60)나 전술한 외장체(12F, 12B)에서 이용 가능한 부직포 등, 적절한 부직포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한 예의 경우에는, 하단부 탄성 부재(83)는 전외장체(12F)에서는 전술한 웨이스트 하방 탄성 부재(19)이고, 후외장체(12B)에서는 전술한 커버부 탄성 부재(16)이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것들과 소재나 신장율, 배치 등에서 다른 전용 탄성 부재를 마련할 수도 있다. 하단부 탄성 부재(83)의 설치 상태에서의 신장율은 200∼350%가 바람직하고, 240∼300%가 보다 바람직하다. 하단부 탄성 부재(83)의 배치 간격은 5∼10㎜가 적당하다.
도시한 예의 하단부 탄성 부재(83)는 제1 시트층(81) 및 제2 시트층(82)에 고정되어 있다. 제1 시트층(81) 및 제2 시트층(82)의 첩합이나 그 사이에 끼워지는 하단부 탄성 부재(83)의 고정으로, 각종 도포 방법에 따른 핫멜트 접착제(HM)나 히트 실링이나 초음파 실링 등의 소재 용착에 의한 고정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제1 시트층(81) 및 제2 시트층(82)의 접합 면적이 크면 유연성을 해치기 때문에, 하단부 탄성 부재(83)의 접착부 이외의 부분은 접합하지 않거나 또는 약하게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한 예에서는, 콤건이나 슈어랩 노즐 등의 도포 수단에 의해 하단부 탄성 부재(83)의 외주면에만 핫멜트 접착제(HM)를 도포해서 제1 시트층(81) 및 제2 시트층(82)의 사이에 끼움으로써, 해당 하단부 탄성 부재(83)의 외주면에 도포한 핫멜트 접착제(HM)만으로, 제1 시트층(81) 및 제2 시트층(82)에 대한 하단부 탄성 부재(83)의 고정과, 제1 시트층(81) 및 제2 시트층(82)간의 첩합을 실시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하단부 탄성 부재(83)의 외주면에 도포한 핫멜트 접착제(HM)를 이용하는 것 만으로는, 제1 시트층(81) 및 제2 시트층(82)간의 첩합이 불충분해질 경우에는, 하단부 탄성 부재(83)를 갖지 않는 개소에 적절히 핫멜트 접착제(HM)를 추가할 수 있다.
폭 방향에 있어서의 하단부 탄성 부재(83)의 설치 범위, 즉, 하단부 신축 영역(UG)의 폭 방향(WD)의 범위는 적절히 정할 수 있다. 도시한 예와 같이, 비신축 영역(A1)을 가질 경우에는, 하단부 탄성 부재(83)는 비신축 영역(A1)의 폭 방향(WD) 양측에만 마련해도 좋고, 폭 방향(WD) 전체에 걸쳐 마련하되, 폭 방향(WD)의 중간부에서는 절단 가공에 의해 신축성을 없앨 수 있다.
도시한 예의 윙 영역(J)의 하단부(80)는 제1 시트층(81) 및 제2 시트층(82)을 포함해서 3층 이상의 시트층을 갖는다. 즉, 최표측 시트층(84) 및 최이측 시트층(85) 외에, 그들의 사이에 위치하는 내부 시트층(86)을 적어도 1층 갖는다. 이들 시트층의 일부 또는 전부는 각각 별체의 시트재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1매의 시트재가 1회 또는 복수 회 되접어 꺾여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내부 시트층(86)은 제1 시트재(12S) 및 제2 시트재(12H)를 그대로 또는 적절히 반복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고, 전용 시트재를 외장체(12F, 12B)의 하단부(80)에 추가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서 전용 시트재로서는, 전술한 기립 개더(60)나 전술한 외장체(12F, 12B)에서 이용 가능한 부직포 등, 적절한 부직포를 선택할 수 있다.
윙 영역(J)의 하단부(80)는 최표측 시트층(84) 및 최이측 시트층(85) 중 적어도 한쪽과 그 뒤에 겹치는 내부 시트층(86)이 접합되어 있지 않은 비접합부(87)를 갖고 있다. 즉, 비접합부(87)는 최표측 시트층(84) 및 최이측 시트층(85) 중 어느 한쪽과 그것과 겹치는 내부 시트층(86)이 비접합인 한, 그 이외의 일부 또는 전부의 층간이 접합되어 있을 수 있고, 두께 방향의 모든 시트층이 비접합일 수 있다.
또한, 비접합부(87)는 제일 아래쪽에 위치하는 하단부 탄성 부재(83)와 윙 영역(J)의 하연과의 사이 영역을 포함하는 전후 방향(LD)의 범위에서 폭 방향(WD)으로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계속되는 부분이다. 비접합부(87)의 전후 방향(LD) 치수는 적절히 정할 수 있지만, 2∼15㎜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5∼1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접합부(87)의 폭 방향(WD) 치수는 윙 영역(J)의 폭 방향(WD) 치수의 50% 이상, 특히,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시한 예와 같이, 전외장체(12F) 및 후외장체(12B)가 비신축 영역(A1) 및 신축 영역(A2)을 갖는 팬티 타입 일회용 착용 물품의 경우, 윙 영역(J)의 적층 구조(비접합부를 포함함)는 제품 전체 폭에 걸쳐 마련되어 있어도, 신축 영역(A2)에만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더욱이, 도시한 예에서는, 비접합부(87)에서, 최표측 시트층(84) 및 최이측 시트층(85) 중 적어도 한쪽과 그것과 겹치는 내부 시트층(86)과의 간극이 비접합부(87)의 전후 방향(LD) 양측에서 닫힘으로써, 중공부(80H)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와 같이, 비접합부(87)의 간극의 일방 측은 최표측 시트층(84) 또는 최이측 시트층(85)을 구성하는 시트재를 윙 영역(J)의 하연에서 되접어 꺽음으로써 닫고, 타방 측은 핫멜트 접착제(HM)나 용착 수단 등을 이용하여 적절한 시트층을 접착함으로써 닫을 수 있다. 물론, 비접합부(87)의 간극 양측을 같은 방법, 예를 들면, 시트재의 되접어 꺽음 또는 핫멜트 접착제(HM)에 의해 닫을 수도 있다.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예의 외장체(12F, 12B)의 하단부(80)에서는, 최이측 시트층(85)은 그것과 겹치는 내부 시트층(86)에 접합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갖고 있지만, 그 간극은 하측에서 닫혀 있지 않기 때문에, 간극이 전후 방향(LD)의 양측에서 닫힌 비접합부(87)가 아니라, 후술하는 쿠션성이 우수한 주름이 형성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도 15에 나타내는 예의 비접합부(87)는 최표측 시트층(84)과 그것과 겹치는 내부 시트층(86)이 비접합인 부분이 외장체(12F, 12B)의 하연으로부터 제일 아래쪽의 하단부 탄성 부재(83)의 고정 위치까지 계속되는 부분이다. 또한, 도 16에 나타내는 예 및 도 17에 나타내는 예의 비접합부(87)는 최표측 시트층(84)과, 그것과 겹치는 내부 시트층(86)이 비접합인 부분이 외장체(12F, 12B)의 하연으로부터 내부 시트층(86)의 상연(上緣)까지 계속되는 부분이다. 또한, 도 18에 나타내는 예의 비접합부(87)에서는, 최이측 시트층(85)과 그것과 겹치는 내부 시트층(86)이 비접합인 부분은 외장체(12F, 12B)의 하연부터 제일 아래쪽의 하단부 탄성 부재(83)의 고정 위치까지이여, 최표측 시트층(84)과 그것과 겹치는 내부 시트층(86)이 비접합인 부분은 외장체(12F, 12B)의 하연부터 내부 시트층(86)의 상연까지 계속되는 부분이다.
비접합부(87)는 최표측 시트층(84) 및 최이측 시트층(85) 중 적어도 한쪽과 그것과 겹치는 내부 시트층(86)이 접합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며, 그 시트층간의 간극은 비접합부(87)의 전후 방향(LD) 양측에서 닫혀 있다. 또한, 비접합부(87)는 제일 아래쪽에 위치하는 하단부 탄성 부재(83)와 윙 영역(J)의 하연과의 사이 영역을 포함하는 전후 방향(LD)의 범위(해당 영역과 같거나 또는 그 이상의 전후 방향(LD)의 범위)에서 폭 방향(WD)으로 계속되고 있다. 즉, 비접합부(87)에는 시트층에 의해 둘러싸인 중공 부분이 폭 방향으로 계속되게 된다. 그 결과, 비접합부(87)에 형성되는 주름은 최표측 시트층(84) 및 최이측 시트층(85) 중 적어도 한쪽이 크게 부풀어오름으로써 형성되어, 크고 부드러운(즉, 쿠션성이 풍부한) 것이 된다. 따라서, 이 크고 부드러운 주름이 윙 영역(J)의 하연을 포함하는 범위의 내측, 외측, 내외 양측 또는 두께 방향 전체에 형성되기 때문에, 외장체(12F, 12B)에서 다리 개구(LO) 단부의 촉감이 양호해진다.
하단부 탄성 부재(83)는 윙 영역(J)의 하연 근방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지만, 윙 영역(J)의 하연으로부터 전후 방향(LD)의 중앙 측으로 2∼15㎜(특히, 5∼10㎜)까지의 부분은 하단부 탄성 부재(83)를 포함하지 않고, 또한, 중공부(80H)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단부 탄성 부재(83)가 윙 영역(J)의 하연으로부터 충분히 이간되어 있고, 그 이간 부분에 중공부(80H)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면, 장착이나 구입 시에 상품을 손으로 잡았을 때 또는 장착중에 피부에 눌리는 부분(즉, 하단부 탄성 부재(83)를 갖는 부분)의 아래쪽 두께 방향 전체에 유연성이나 쿠션이 풍부한 커다란 주름이 형성되기 때문에, 다리 개구(LO) 단부의 촉감을 개선함에 있어서 특히 바람직하다.
중공부(80H)와 하단부 탄성 부재(83)의 위치 관계는 적절히 정할 수 있지만, 도시한 예와 같이, 중공부(80H)와 두께 방향으로 겹치는 위치에 적어도 1개의 하단부 탄성 부재(83)를 가지면, 하단부 탄성 부재(83)의 수축력이 직접적으로 비접합부(87)에 가해져서, 비접합부(87)에서의 주름 형상 유지성이 높은 것이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비접합부(87)에서는,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 시트층(86)이 두께 방향의 한쪽과 인접하는 시트층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을 수 있지만,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께 방향의 양측과 인접하는 시트층에 대하여 비고정으로 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로써, 하단부 탄성 부재(83)의 수축력에 의해 내부 시트층(86)에도 독립적으로 주름이 형성된다. 즉, 윙 영역(J)의 하단부(80)에 형성되는 크게 부풀어오른 주름은 그 내측에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내부 시트층(86)의 주름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보다 우수한 쿠션성을 갖는 주름이 윙 영역(J)의 하단부(80)에 형성되게 된다.
도 15∼도 17에 나타내는 예와 같이, 제2 시트재(12H)는 최표측 시트층(84)을 구성하는 부분과, 윙 영역(J)의 하연에서, 하단부 탄성 부재(83)를 갖는 측으로 되접어 꺾인 내부 시트층(86)을 구성하는 부분을 갖고 있으며, 내부 시트층(86)을 구성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제1 시트재(12S)에 접합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반대로, 제1 시트재(12S)는 최이측 시트층(85)을 구성하는 부분과, 윙 영역(J)의 하연에서, 하단부 탄성 부재(83)를 갖는 측으로 되접어 꺾인 내부 시트층(86)을 구성하는 부분을 갖고 있으며, 내부 시트층(86)을 구성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제2 시트재(12H)에 접합되어 있을 수 있다(도시 생략). 제1 시트재(12S) 및 제2 시트재(12H)의 어느 한쪽 시트재를 되접어 꺽어서 형성된 내부 시트층과, 다른쪽 시트재와의 접합은 도 15에 나타내는 예와 같이, 하단부 탄성 부재(83)의 고정을 위한 핫멜트 접착제(HM)를 이용해도,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별도 핫멜트 접착제(HM)를 도포해도 좋다. 또한, 그 접합 위치는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예와 같이, 윙 영역(J)의 하연으로부터 상측으로 어느 정도(예를 들면, 5∼10㎜ 정도) 이간되어 있어도, 도 17에 나타내는 예와 같이, 윙 영역(J)의 하연 근방일 수 있다. 이 구조에서는, 하단부 탄성 부재(83)를 끼우는 제1 시트층(81) 및 제2 시트층(82) 중 어느 한쪽을 구성하는 시트재에 의해, 내부 시트층(86)을 형성할 수 있으며, 게다가, 최표측 시트층(84) 또는 최이측 시트층(85)을 구성하는 부분은 내부 시트층(86)을 구성하는 부분이 되접어 꺽는 것에 대한 복원력을 갖기 때문에, 보다 적은 시트재로, 보다 우수한 쿠션성을 갖는 주름이 윙 영역(J)의 하단부(80)에 형성되게 된다.
또한, 도 18에 나타내는 예도 바람직하다. 이 구조에서는, 제1 시트재(12S) 및 제2 시트재(12H)는 윙 영역(J)의 하연에서 내측으로 되접어 꺾인 되접어 꺾은 부분을 갖고 있다. 그리고, 최이측 시트층(85)은 제1 시트재(12S)의 접는 위치를 사이에 두고 일방 측 부분 및 타방 측 부분으로 되어 있고, 최표측 시트층(84)은 제2 시트재(12H)의 접는 위치를 사이에 두고 일방 측 부분 및 타방 측 부분으로 되어 있다. 내부 시트층(86)은 제2 시트재(12H)의 접는 위치를 사이에 두고 일방 측 부분 및 타방 측 부분으로 되어 있다. 이 구조에서는, 하단부 탄성 부재(83)를 끼우는 제1 시트재(12S) 및 제2 시트재(12H)를 되접어 꺽음으로써, 제1 시트층(81) 및 제2 시트층(82) 이외의 시트층을 2층 형성할 수 있으며, 게다가 각각이 되접어 꺽는 것에 대한 복원력을 갖기 때문에, 보다 적은 시트재로, 보다 우수한 쿠션성을 갖는 주름이 윙 영역(J)의 하단부(80)에 형성되게 된다. 제1 시트재(12S) 및 제2 시트재(12H)의 되접어 꺽는 방향은 외측으로 할 수도 있으며, 그 경우에도 방향이 다른 것 이외에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이점이 초래된다.
(내외 접합부)
내장체(200)의 외장체(12F, 12B)에 대한 고정은 히트 실링, 초음파 실링과 같은 소재 용착에 의한 접합 수단이나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내장체(200)의 이면, 즉, 이 경우에는 액 불투과성 시트(11)의 이면 및 기립 개더(60)의 허벅다리 부분(65)에 도포된 핫멜트 접착제를 통해 외장체(12F, 12B)의 내면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 내장체(200)와 외장체(12F, 12B)를 고정시키는 내외 접합부(201, 202)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자가 겹치는 영역의 거의 전체에 마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내장체(200)의 폭 방향 양단부를 제외한 부분에 마련할 수도 있다.
(커버 부직포)
외장 2분할 타입의 팬티 타입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전외장체(12F) 및 후외장체(12B)의 사이에 내장체(200)가 노출되기 때문에, 내장체(200)의 이면에 액 불투과성 시트(11)가 노출되지 않도록, 내장체(200)의 이면에는 전외장체(12F)와 내장체(200)의 사이로부터 후외장체(12B)와 내장체(200)의 사이에 걸친 커버 부직포(13)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 부직포(13)의 내면 및 외면은 각각 대향면에 핫멜트 접착제를 통해 접착할 수 있다. 커버 부직포(13)로 사용하는 부직포는 예를 들면 외장체(12F, 12B)의 소재와 같은 것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부직포)
상기 설명에서의 부직포로서는, 부위나 목적에 따라 공지의 부직포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부직포의 구성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합성 섬유(단성분 섬유 외, 심초 등의 복합 섬유도 포함함) 외에,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 섬유, 면등의 천연 섬유 등, 특별히 한정 없이 선택할 수 있으며, 이것들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부직포의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서, 구성 섬유를 권축 섬유로 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또한, 부직포의 구성 섬유는 친수성 섬유(친수화제에 의해 친수성이 된 소수성 섬유를 포함함)일 수도, 소수성 섬유 혹은 발수성 섬유(발수제에 의해 발수성이 된 발수성 섬유를 포함함)일 수도 있다. 또한, 부직포는 일반적으로 섬유의 길이나 시트 형성 방법, 섬유 결합 방법, 적층 구조에 따라서, 단섬유 부직포, 장섬유 부직포, 스펀 본드 부직포, 멜트 블로운 부직포, 스펀 레이스 부직포, 써멀 본드(에어스루) 부직포, 니들 펀치 부직포, 포인트 본드 부직포, 적층 부직포(스펀 본드층간에 멜트 블로운층을 끼운 SMS 부직포, SMMS 부직포 등) 등으로 분류되지만, 이들 중 어떤 부직포도 사용할 수 있다.
<명세서 내의 용어 설명>
명세서 내 이하의 용어는 명세서 내에 특별히 기재가 없는 한, 이하의 의미를 갖는 것이다.
·「전후 방향」이란 도면 중에 부호 LD로 나타내는 방향(세로 방향)을 의미하고, 「폭 방향」이란 도면 중에 WD로 나타내는 방향(좌우 방향)을 의미하며, 전후 방향과 폭 방향은 직교하는 것이다.
·「표측」이란 팬티 타입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했을 때에 착용자의 피부와 가까운 쪽을 의미하고, 「이측」이란 팬티 타입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했을 때에 착용자의 피부로부터 먼 쪽을 의미한다.
·「표면」이란 부재가, 팬티 타입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했을 때에 착용자의 피부와 가까운 쪽의 면을 의미하고, 「이면」이란 팬티 타입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했을 때에 착용자의 피부로부터 먼 쪽의 면을 의미한다.
·「신장율」은 자연 길이를 100%로 하였을 때의 값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신장율이 200%란, 신장 배율이 2배인 것과 같은 뜻이다.
·「겔 강도」는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되는 것이다. 인공뇨(요소: 2wt%, 염화나트륨: 0.8wt%, 염화칼슘 이수화물: 0.03wt%, 황산마그네슘 칠수화물: 0.08wt% 및 이온 교환수: 97.09wt%를 혼합한 것) 49.0g에 고흡수성 폴리머를 1.0g 더해서, 교반기로 교반시킨다. 생성한 겔을 40℃×60%RH의 항온항습조 내에 3시간 방치한 뒤 상온으로 되돌려서, 커드미터(I. techno Engineering사제: Curdmeter-MAX ME-500)로 겔 강도를 측정한다.
·「평량」은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되는 것이다. 시료 또는 시험편을 예비 건조한 후, 표준 상태(시험 장소는 온도 23±1℃, 상대 습도 50±2%)의 시험실 또는 장치 내에 방치하여, 항량이 된 상태로 한다. 예비 건조는 시료 또는 시험편을 온도 100℃의 환경에서 항량으로 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공정 수분율이 0.0%인 섬유에 대해서는, 예비 건조를 실시하지 않을 수 있다. 항량이 된 상태의 시험편으로부터, 시료 채취용 형판(100㎜×100㎜)을 사용하여, 100㎜×100㎜ 치수의 시료를 잘라낸다. 시료의 중량을 측정하고, 100배하여 1평방미터당 무게를 산출해서, 평량으로 한다.
·「두께」는 자동 두께 측정기(KES-G5 핸디 압축 계측 프로그램)를 이용하여, 하중: 0.098N/㎠ 및 가압 면적: 2㎠의 조건 하에서 자동 측정한다.
·흡수량은 JIS K7223-1996 「고흡수성 수지의 흡수량 시험 방법」에 따라 측정한다.
·흡수 속도는 2g의 고흡수성 폴리머 및 50g의 생리 식염수를 사용하여, JIS K7224-1996 「고흡수성 수지의 흡수 속도 시험법」을 실시하였을 때의 「종점까지의 시간」으로 한다.
·「전개 상태」란 수축이나 이완 없이 평탄하게 전개한 상태를 의미한다.
·각 부의 치수는 특별히 기재가 없는 한, 자연 길이 상태가 아니라 전개 상태에서의 치수를 의미한다.
·시험이나 측정에서 환경 조건에 대한 기재가 없을 경우, 그 시험이나 측정은 표준 상태(시험 장소는 온도 23±1℃, 상대 습도 50±2%)의 시험실 또는 장치 내에서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예와 같은 팬티 타입 일회용 기저귀 외에,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 패드 타입 일회용 기저귀, 생리용 냅킨 등의 일회용 착용 물품 전반에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11 액 불투과성 시트 12A 사이드 실링부
12B 후외장체 12E 웨이스트 연장 부분
12F 전외장체 12F, 12B 외장체
12H 내측 시트층 12S 외측 시트층
13 커버 부직포 15, 19 웨이스트 하방 탄성 부재
17 웨이스트 탄성 부재 200 내장체
201, 202 내외 접합부 30 탑 시트
40 중간 시트 50 흡수 요소
56 흡수체 58 포장 시트
60 기립 개더 60A 선단 측 부분
60B 허벅다리 측 부분 62 개더 시트
63 개더 탄성 부재 67 도복 부분
68 기립 부분 70 사이드 플랩
71 제1 시트층 72 제2 시트층
73 사이드 탄성 부재 74 최표측 시트층
75 최이측 시트층 76 내부 시트층
77 비접합부 79 전용 시트재
80 하단부 83 하단부 탄성 부재
70H, 80H 중공부 A1 비신축 영역
A2 신축 영역 A3 웨이스트 하방 신축 영역
F 앞몸판 B 뒷몸판
J 윙 영역 L 중간 영역
LD 전후 방향 SG 사이드 신축 영역
UG 하단부 신축 영역 T 몸통 둘레 영역
U 웨이스트 하방부 W 웨이스트부
WD 폭 방향 WO 웨이스트 개구
LO 다리 개구 P1 제1 부분
P2 제2 부분 HM 핫멜트 접착제

Claims (13)

  1. 고간부의 양 측부에, 흡수체를 갖지 않는 사이드 플랩을 갖고,
    상기 사이드 플랩은, 1개 또는 복수 개의 세장형 사이드 탄성 부재가 전후 방향을 따라 그리고 서로 간격을 두고 마련된 사이드 신축 영역을 갖고 있는,
    일회용 착용 물품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플랩은, 그 측연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계속되는 중공부를 갖고 있고,
    상기 사이드 탄성 부재의 수축에 의해, 상기 사이드 플랩에서 상기 중공부를 포함하는 부분이 전후 방향으로 수축해서 사이드 개더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착용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플랩은 상기 사이드 탄성 부재의 표측에 접하는 제1 시트층과, 사이드 탄성 부재의 이측에 접하는 제2 시트층을 포함해서 3층 이상의 시트층을 가짐과 동시에, 최표측 시트층 및 최이측 시트층 중 적어도 한쪽과 이와 겹치는 내부 시트층이 접합되어 있지 않은 비접합부를 갖고 있고,
    상기 비접합부는, 최측방에 위치하는 사이드 탄성 부재와 상기 사이드 플랩의 측연과의 사이 영역을 포함하는 폭 방향 범위에서 전후 방향으로 계속되고 있으며,
    상기 최표측 시트층 및 최이측 시트층 중 적어도 한쪽과 그것과 겹치는 내부 시트층의 간극이, 상기 비접합부의 폭 방향 양측에서 닫혀 있음으로써, 상기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착용 물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는, 상기 사이드 플랩의 측연으로부터 폭 방향의 중앙 측으로 2㎜ 이상 이간된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는, 일회용 착용 물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플랩에서, 측연으로부터 폭 방향의 중앙 측으로 2∼15㎜까지의 부분은, 상기 사이드 탄성 부재를 포함하지 않고, 또한, 상기 중공부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일회용 착용 물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의 표측에, 적어도 1개의 상기 사이드 탄성 부재를 갖는, 일회용 착용 물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는, 두께 방향으로 겹치도록 복수 마련되어 있는, 일회용 착용 물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플랩은, 상기 중공부의 표측으로부터 상기 사이드 플랩의 측연에서 되접어 꺾여서 상기 중공부의 이측에 이르는 되접어 꺽은 시트층을 갖고 있고,
    상기 중공부는 상기 되접어 꺽은 시트층이 되접어 꺽는 위치까지 측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일회용 착용 물품.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플랩은, 상기 사이드 플랩의 측연에서 되접어 꺾인 되접어 꺽은 시트층을 이중으로 갖고 있고,
    상기 사이드 플랩에서 최표측 시트층 및 최이측 시트층은, 각각 외부에 위치하는 되접어 꺽은 시트층의 접는 위치를 경계로 하여 표측 부분 및 이측 부분이며,
    상기 사이드 탄성 부재는, 외부에 위치하는 되접어 꺽은 시트층의 접는 위치를 경계로 하여 표측 부분과, 내부에 위치하는 되접어 꺽은 시트층의 접는 위치를 경계로 하여 표측 부분의 사이에서, 접는 위치보다 폭 방향의 중앙 측으로 떨어진 위치에 고정되어 있고,
    최측방에 위치하는 사이드 탄성 부재와 상기 사이드 플랩의 측연의 사이에서는, 두께 방향으로 인접하는 시트층 모두가 접합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각 시트층의 사이에 중공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착용 물품.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플랩은, 상기 사이드 플랩의 측연에서 되접어 꺾인 되접어 꺽은 시트층을 이중으로 갖고 있고,
    상기 사이드 플랩에서 최표측 시트층 및 최이측 시트층은, 각각 외부에 위치하는 되접어 꺽은 시트층의 접는 위치를 경계로 하여 표측 부분 및 이측 부분이며,
    상기 사이드 탄성 부재는, 내부에 위치하는 되접어 꺽은 시트층의 접는 위치를 경계로 하여 표측 부분 및 이측의 부분의 사이에서, 접는 위치보다 폭 방향의 중앙 측으로 떨어진 위치에 고정되어 있고,
    최측방에 위치하는 사이드 탄성 부재와 상기 사이드 플랩의 측연의 사이에서는, 상기 최표측 시트층과, 상기 내부에 위치하는 되접어 꺽은 시트층의 접는 위치를 경계로 하여 표측 부분이 접합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그들 시트층의 사이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최이측 시트층과, 상기 내부에 위치하는 되접어 꺽은 시트층의 접는 위치를 경계로 하여 이측 부분이 접합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그들 시트층의 사이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착용 물품.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탄성 부재보다 폭 방향의 중앙 측 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기립하는 기립 개더가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상기 기립 개더는, 선단부에서 2개 접혀서 2층 구조로 되어 있는 개더 시트와, 적어도 선단부에서 상기 2층 구조의 층간에 전후 방향을 따라 마련된 세장형 개더 탄성 부재를 갖고 있으며,
    상기 사이드 플랩의 양 측부는, 상기 개더 시트로 이루어지는 2층 구조가 상기 기점부터 상기 사이드 플랩의 측연까지 연장되는 제1 부분과, 상기 개더 시트로 이루어지는 2층 구조가 상기 사이드 플랩의 측연에서 되접어 꺾여서 폭 방향의 중앙 측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을 갖고 있으며,
    상기 이중의 되접어 꺽은 시트층은, 상기 개더 시트의 상기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인, 일회용 착용 물품.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탄성 부재는,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마련되어 있고,
    전개 상태의 상기 사이드 신축 영역에서 상기 사이드 탄성 부재의 신장율은, 측방에 위치하는 것 만큼 낮은, 일회용 착용 물품.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앞몸판 및 뒷몸판의 적어도 몸통 둘레부를 구성하는 외장체와, 앞몸판부터 뒷몸판에 걸치도록 외장체에 대하여 설치된, 흡수체를 내장하는 내장체와, 웨이스트 개구와, 좌우 한 쌍의 다리 개구를 구비한, 팬티 타입 일회용 착용 물품으로서,
    상기 내장체의 양 측부에, 상기 사이드 플랩을 갖고 있는, 일회용 착용 물품.
  13. 제12항에 있어서,
    앞몸판의 적어도 몸통 둘레부를 구성하는 전외장체 및 뒷몸판의 적어도 몸통 둘레부를 구성하는 후외장체를 별개로 구비하고, 이들 전외장체 및 후외장체가 전후 방향으로 이간되어 있으며,
    상기 내장체가, 상기 전외장체로부터 상기 후외장체에 걸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재하고, 또한, 상기 전외장체 및 후외장체에 각각 접합되며,
    상기 전외장체의 양 측부와 상기 후외장체의 양 측부가 각각 접합된 사이드 실링부와, 웨이스트 개구 및 좌우 한 쌍의 다리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전외장체 및 상기 후외장체에서 상기 내장체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윙 영역의 하연이, 상기 다리 개구의 상부 테두리로 되어 있으며,
    상기 윙 영역의 하단부는, 1개 또는 복수 개의 세장형 하단부 탄성 부재가 폭 방향을 따라 그리고 서로 간격을 두고 마련된 하단부 신축 영역을 갖고 있으며,
    상기 윙 영역의 하단부는, 그 하연을 따라 폭 방향으로 계속되는 중공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하단부 탄성 부재의 수축에 의해, 상기 윙 영역의 하단부에서 상기 중공부를 포함하는 부분이 폭 방향으로 수축해서 하단부 개더가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착용 물품.
KR1020217000394A 2018-07-31 2019-07-03 일회용 착용 물품 KR1026555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43835A JP7042186B2 (ja) 2018-07-31 2018-07-31 使い捨て着用物品
JPJP-P-2018-143835 2018-07-31
JP2019101719A JP7456731B2 (ja) 2019-05-30 2019-05-30 使い捨て着用物品
JPJP-P-2019-101719 2019-05-30
PCT/JP2019/026438 WO2020026684A1 (ja) 2018-07-31 2019-07-03 使い捨て着用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0354A true KR20210040354A (ko) 2021-04-13
KR102655550B1 KR102655550B1 (ko) 2024-04-05

Family

ID=69232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0394A KR102655550B1 (ko) 2018-07-31 2019-07-03 일회용 착용 물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10267817A1 (ko)
EP (1) EP3831352A4 (ko)
KR (1) KR102655550B1 (ko)
CN (1) CN112384180B (ko)
BR (1) BR112021001569A2 (ko)
RU (1) RU2769810C1 (ko)
TW (1) TWI780349B (ko)
WO (1) WO20200266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81914A1 (ja) * 2018-03-20 2019-09-26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6488040B1 (ja) * 2018-03-20 2019-03-20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2022020983A (ja) * 2020-07-21 2022-02-02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5590A (en) * 1990-11-05 1994-01-04 Paragon Trade Brands, Inc. Disposable asborbent garment with composite topsheet assembly
US6383170B1 (en) * 1999-05-21 2002-05-07 Uni-Charm Corporation Disposable diaper
JP2006122396A (ja) 2004-10-29 2006-05-18 Kao Corp 吸収性物品
JP2010022550A (ja) 2008-07-18 2010-02-04 Daio Paper Corp テープ式使い捨ておむつ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072736A (ja) 2009-10-01 2011-04-14 Unicharm Corp 使い捨ておむつ
JP2012200366A (ja) * 2011-03-24 2012-10-22 Livedo Corporation 吸収性物品
US20140163500A1 (en) * 2012-12-10 2014-06-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JP2014117349A (ja) * 2012-12-14 2014-06-30 Kao Corp 使い捨ておむつ
JP2016083077A (ja) 2014-10-24 2016-05-19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17212857A1 (ja) * 2016-06-09 2017-12-14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34695B2 (ja) * 1997-12-26 2003-08-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KR100818719B1 (ko) * 2000-07-19 2008-04-07 다이오 페이퍼 컨버팅 가부시키가이샤 일회용 종이기저귀 및 그 일회용 종이기저귀의 탄성부재의부착방법
RU2002114934A (ru) * 2002-06-07 2004-02-10 Тать на Анатольевна Окульска Одноразовые трусы
JP4522351B2 (ja) * 2005-10-06 2010-08-11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20110196327A1 (en) * 2010-02-10 2011-08-11 Rajeev Chhabra Web Material(s) for Absorbent Articles
JP5475323B2 (ja) * 2009-05-18 2014-04-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479865B2 (ja) * 2009-11-30 2014-04-23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5960388B2 (ja) * 2011-02-09 2016-08-02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5946182B2 (ja) * 2012-10-31 2016-07-05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WO2016029369A1 (en) * 2014-08-27 2016-03-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leg cuffs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5590A (en) * 1990-11-05 1994-01-04 Paragon Trade Brands, Inc. Disposable asborbent garment with composite topsheet assembly
US6383170B1 (en) * 1999-05-21 2002-05-07 Uni-Charm Corporation Disposable diaper
JP2006122396A (ja) 2004-10-29 2006-05-18 Kao Corp 吸収性物品
JP2010022550A (ja) 2008-07-18 2010-02-04 Daio Paper Corp テープ式使い捨ておむつ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072736A (ja) 2009-10-01 2011-04-14 Unicharm Corp 使い捨ておむつ
JP2012200366A (ja) * 2011-03-24 2012-10-22 Livedo Corporation 吸収性物品
US20140163500A1 (en) * 2012-12-10 2014-06-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JP2014117349A (ja) * 2012-12-14 2014-06-30 Kao Corp 使い捨ておむつ
JP2016083077A (ja) 2014-10-24 2016-05-19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17212857A1 (ja) * 2016-06-09 2017-12-14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31352A1 (en) 2021-06-09
RU2769810C1 (ru) 2022-04-06
CN112384180B (zh) 2022-05-10
TWI780349B (zh) 2022-10-11
BR112021001569A2 (pt) 2021-04-20
KR102655550B1 (ko) 2024-04-05
EP3831352A4 (en) 2022-04-27
WO2020026684A1 (ja) 2020-02-06
TW202007380A (zh) 2020-02-16
US20210267817A1 (en) 2021-09-02
CN112384180A (zh) 2021-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65985B (zh) 吸收性物品
KR102504449B1 (ko) 팬티타입 일회용 기저귀
KR20210040354A (ko) 일회용 착용 물품
JP2019170552A (ja) 使い捨て着用物品の伸縮構造、及びこの伸縮構造を有する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着用物品
JP7456731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CN113518604B (zh) 短裤型一次性穿着物品
JP7042186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CN110691575B (zh) 短裤型一次性尿布
JP2020195421A5 (ko)
JP2020018482A5 (ko)
WO2021059956A1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6986403B2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0018483A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着用物品
JP2019054939A5 (ko)
JP7362393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JP7424811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JP2019054939A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7349819B2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着用物品
JP6860393B2 (ja) 吸収性物品
WO2022138106A1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着用物品
JP6814582B2 (ja) 使い捨て水着
TW202245721A (zh) 褲型拋棄式穿著用物品
JP2022054090A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着用物品
JP2020195420A5 (ko)
JP2020168221A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着用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