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8719B1 - 일회용 종이기저귀 및 그 일회용 종이기저귀의 탄성부재의부착방법 - Google Patents

일회용 종이기저귀 및 그 일회용 종이기저귀의 탄성부재의부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8719B1
KR100818719B1 KR1020037000776A KR20037000776A KR100818719B1 KR 100818719 B1 KR100818719 B1 KR 100818719B1 KR 1020037000776 A KR1020037000776 A KR 1020037000776A KR 20037000776 A KR20037000776 A KR 20037000776A KR 100818719 B1 KR100818719 B1 KR 100818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elastic member
elastic
disposable paper
paper di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0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4790A (ko
Inventor
게이지 토리고시
사다나오 마나베
요수케 모리
Original Assignee
다이오 페이퍼 컨버팅 가부시키가이샤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218559A external-priority patent/JP419830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374190A external-priority patent/JP4198313B2/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오 페이퍼 컨버팅 가부시키가이샤,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다이오 페이퍼 컨버팅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24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4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8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8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 A61F13/4941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585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of babies' napkins, e.g. diapers
    • A61F13/15593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of babies' napkins, e.g. diapers having elastic ribbons fixed thereto; Devices for applying the rib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699Forming webs by bringing together several webs, e.g. by laminating or folding several webs, with or without additional treatment of the we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1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 A61F13/4901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the elastic means being elastic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4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side panels
    • A61F13/49015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side panels the elastic means being elastic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being placed longitudinally, transversely or diagonally over the artic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 A61F13/4941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 A61F13/4942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the barrier not being integral with the top- or back-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Abstract

본 발명은 흡수체를 가지고, 사용상태에 있어서 몸통 둘레 개구부 및 좌우의 다리 둘레 개구부가 형성되며, 적어도 상기 몸통 둘레 개구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다리 둘레 개구 시작단에 이르는 길이 범위의 몸통 둘레부에서 둘레방향을 따라서 또한 세로방향으로 간격을 갖는 다수의 탄성부재를 갖는 일회용 종이기저귀다. 적어도 전신(前身)부에서 상기 탄성부재는 제품의 일측의 접합부로부터 타측의 접합부까지의 부분 중, 상기 흡수체가 위치한 길이 범위의 일부 또는 전부가 불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일회용 종이기저귀 및 그 일회용 종이기저귀의 탄성부재의 부착방법{DISPOSABLE PAPER DIAPER AND METHOD OF ATTACHING EXPANSIBLE MEMBERS OF THE DISPOSABLE PAPER DIAPER}
본 발명은 팬츠형 테이프 등의 일회용 종이기저귀 및 그 일회용 종이기저귀의 탄성부재의 부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팬츠형 종이기저귀는 복부측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와 배부측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가 접합되고, 좌우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 및 몸통 둘레 개구부를 형성한 외형시트의 안쪽에, 투액성 탑시트와 불투액성 백시트와의 사이에 가요성 흡수체를 위치시킨 흡수요소가, 외형시트 폭방향 중앙에서 앞몸통 둘레 영역로부터 뒷몸통 둘레 영역에 걸치도록 부착된 것으로,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런 종류의 팬츠형 일회용 종이기저귀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복부측 및 배부측에서의 몸통 둘레 개구부 가장자리 부근의 흡수성 코어가 존재하지 않는 웨이스트 영역에 있어서, 개구부 가장자리에 평행하게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실고무로 이루어진 웨이스트 탄성부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흡수성 코어가 존재하고 또한 1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를 연결하는 가랑이 구역에 이를 때까지의 몸통 주위 영역에 있어서, 흡수성 코어를 가로질러서 좌우로 연장하고, 개구부 가장자리와 평행 하게 간격을 두고 실고무로부터 이루어진 몸통 주위 탄성부재가 고정된 것도 시판되고 있다. 몸통 주위의 탄성부재는 웨이스트 탄성부재와 더불어 제품의 흘러내림을 방지함과 동시에, 그 자체는 피부에의 밀착성을 높이는 기능이 있다.
특히 팬츠형 종이기저귀에 있어서는, 이러한 몸통 주위 탄성부재는 앞몸통 둘레 영역의 하복부에 해당하는 부분에 허리 둘레 조임 방향에 따라 일측 측가장자리부로부터 타측 측가장자리부까지 연속적으로 부착된 1개 또는 복수개의 하복부 탄성부재와, 하복부에 해당하는 곳에 대응한 뒷몸통 둘레 영역의 둔부 부분에 허리 둘레 조임 방향을 따라 일측 측가장자리부로부터 타측 측가장자리부까지 연속적으로 부착된 1개 또는 복수개의 둔부 탄성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기저귀 사용시(장착시)에 복부측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와 배부측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를 접합하는 타입의 이른바 테이프식 종이기저귀에 있어서는, 몸통 주위 탄성부재가 형성되어 있지 않는 것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몸통 주위 탄성부재의 부착 형태는, 흡수주체와 몸과의 사이의 틈새가 적어진다고 하는 점에서는 밀착성이 향상되어, 전후 누출 방지 효과가 높아질 것이라고 생각되었지만, 몸통 주위 탄성부재가 흡수체를 가로질러 좌우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흡수주체에 제품 전후방향에 따른 세로주름이 형성되어, 이 세로주름이 통로가 되어 소변 등의 배설 액체가 흡수되기보다도 먼저 웨이스트부까지 유도되어서 전후 누수를 촉진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판명되었다. 특별히 유아는 넙죽 엎드린 자세로 있는 경우가 많고, 또한 소변의 배설 방향이 제품의 앞쪽이기때문에, 웨이스트부까지의 배설물의 유도 및 누수는 특히 앞몸통 둘레 영역측에서 현저했다.
또한 종래 몸통 주위의 탄성부재는 앞몸통 둘레 영역 및 뒷몸통 둘레 영역의 각각에서 몸통 주위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몸통 주위 전체에 상당수의 주름이 형성되어, 보기에 좋지 않았다. 특히 흡수체의 배치영역을 포함하여 몸통 주위 전체에 탄성부재가 있으면, 외견상 매우 좋지 않다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제품의 전면 및/또는 이면에 캐릭터 디자인을 실시한 경우, 주름이 들어감으로써 그 디자인이 선명하지 않게 된다는 것을 알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몸통 주위 탄성부재를 형성하지 않는 것이 가장 간단하고 효과적이지만, 그러면 제품의 흘러내림 방지 및 피부에 대한 밀착 효과가 떨어진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흡수 성능을 저해하는 수축이 흡수체에 생기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보기에 좋고 게다가 제품의 흘러내림 방지 및 피부와의 밀착 효과가 높은 일회용 종이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제 2 목적은 제품의 전면 및 또는 이면에 캐릭터 디자인을 수행하는 경우, 주름이 들어감으로써 그 디자인이 선명하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일회용 종이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제 3 목적은 즉 제품의 외면이 불룩함이 없이 외견상으로도 섬세한 주름으로, 전체적으로는 평탄면인 외면을 나타내며, 보기에 좋은 일회용 종이기저귀를 제 공하는 것에 있다. 다른 목적은 면이 피부에 대하여 눌리어지도록 함으로써, 국부적으로 피부에 과도하게 압박이 가해지지 않도록 함으로 고무자국이 생기지 않고 제품의 내면과 피부와의 마찰이 전체에 미쳐 딱 맞게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밀착성이 양호하며, 제품의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제 4 목적은 그 일회용 종이기저귀를 제조 가능하게 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일회용 종이기저귀의 발명>
본 발명은 흡수체를 가지고, 사용상태에 있어서 몸통 둘레 개구부 및 좌우의 다리 둘레 개구부가 형성되며, 적어도 상기 몸통 둘레 개구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다리 둘레 개구 시작단에 이르는 길이 범위의 뭄통 둘레부에서 둘레방향을 따라서 또한 세로방향으로 간격을 갖는 다수의 탄성부재를 갖는 일회용 종이기저귀다.
적어도 앞몸통 둘레 영역에 있어서 탄성부재는 적어도 측면부에 형성되며, 뭄통 둘레부의 탄성부재, 특히 허리아래 탄성부재는 상기 흡수체가 위치하는 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분에 형성되어 있지 않는 형태가 제공된다.
이 형태는 테이프 종이기저귀 외에, 앞몸통 둘레 영역의 양측과 뒷몸통 둘레 영역의 양측이 접합된 팬츠형의 일회용 종이기저귀에도 적용할 수 있다.
뒷몸통 둘레 영역에도 상기 탄성부재를 형성하고, 이 뒷몸통 둘레 영역의 탄성부재는 전체에 연속시킬 수 있다.
또한 뒷몸통 둘레 영역에도 상기 탄성부재를 형성하고, 이 뒷몸통 둘레 영역 의 탄성부재는 상기 흡수체가 위치하는 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를 불연속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복수개 바람직하게는 2개의 외형시트 중의 어느 하나 사이에 형성하고, 이 외형시트의 사용면측에 상기 흡수체를 갖는 흡수요소가 배치되어 있는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흡수체가 위치하는 부분에 제품의 이면측에 실제로 확인가능한 디자인이 이루어진 형태를 포함한다. 디자인 부분에는 본질적으로 탄성부재가 배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디자인을 선명하게 실제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허리아래 탄성부재가 앞몸통 둘레 영역에서 흡수체를 가로질러 연속되지 않도록 하면, 흡수체에 대한 허리 둘레 조임 방향의 수축력이 약해진다. 그 결과, 종래와 같이 흡수체를 가로지른 탄성부재의 작용에 따라 허리 둘레 조임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는 세로 주름에 의해 흡수체가 피부로부터 들떠서 허리 둘레 부분으로부터 누수가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방지된다.
또한 뒷몸통 둘레 영역의 주름부 탄성부재는 뒷몸통 둘레 영역에서의 일측의 접합부로부터 타측의 접합부까지 연속적으로 형성하면, 흘러내림 방지 및 피부와의 밀착성을 좋게 한다. 또한 앞몸통 둘레 영역의 표면에서의 허리아래 탄성부재가 불연속적인 부분에 거의 주름이 없어지기 때문에, 그 위로부터 착용하는 팬츠와의 밀착성도 좋아지고, 말끔하게 보기에도 좋은 제품이 된다.
한편, 적어도 앞몸통 둘레 영역에 있어서, 굵기가 620dtex이하의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간격을 7.0mm이하로 된 상태에서 제품의 외면을 구성하는 시트에 대하 여 부착된 영역이, 상기 뭄통 둘레부의 60%이상의 길이 범위에 걸쳐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모양에서는 도 39에 모식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생성되는 주름은 둘레방향으로 폭이 좁으며, 세로 방향(주위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이가 짧고, 주름이 거의 세로 방향으로 연속되는 형태가 된다. 그리고 각 주름의 들어가고 나감은 극히 작다. 또한 실고무(g) 부분에서의 잘록하게 들어간 부분이 거의 없으며, 외면을 구성하는 시트의 색과 실고무(g)의 색이 동색인 경우에 실고무(g)의 존재가 판별되기 어렵다.
그 결과 주름이 눈에 띄지 않고 외면상으로도 섬세한 주름으로서 전체적으로는 평탄면의 외면을 나타내며, 말끔한 느낌, 즉 제품의 외면이 불룩하지 않아 보기에 좋은 일회용 종이기저귀가 된다. 그러나 면이 피부에 대하여 눌리어지도록 함으로써, 국부적으로 피부에 과도하게 압박이 가해지지 않게 함으로 고무자국이 생기지 않고 제품의 내면과 피부와의 마찰이 전체에 미쳐 딱 맞게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밀착성이 양호하며, 제품의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다.
적어도 앞몸통 둘레 영역에 있어서, 굵기가 620dtex이하의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간격을 7.0mm이하로 한 상태에서 제품의 외면을 구성하는 시트에 대하여 부착된 영역이, 상기 뭄통 둘레부의 60%이상의 길이 범위에 걸쳐서, 또한 중앙부를 제외한 좌우 측면부에만 존재하는 형태에서는 제품을 볼 때, 눈에 띄는 것은 중앙부(둘레 방향의 중앙부)인 바, 그 형태에서는 중앙부를 제외한 좌우 측면부에서만 탄성부재가 존재하기 때문에, 제품이 보기에 좋다.
반강성(半剛性)의 흡수코아가 세로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구성하에서 탄성부재가 중앙부를 제외한 좌우 측면부에만 존재한다. 흡수성 코어는 가요성의 시트에 비교하여 반강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탄성부재에 의한 수축력의 전달에 의해 변형되거나 주름을 생성하거나 하는 일이 적다. 그 결과 제품으로서 눈에 띄는 중앙부가 변형되거나 주름을 생성하거나 하는 일이 없으므로, 보기에 우수한 제품이 된다. 제품의 중앙부에는 캐릭터 등의 디자인을 형성하지만, 그 부분이 변형되거나 주름을 생성하거나 하지 않기 때문에 그 디자인이 망가지지 않고 선명하게 보이게 된다. 또한 제품의 둘레방향의 조임력은 주로 뭄통 둘레부의 측면부에 작용하고, 피부와의 마찰력에 의해 흡수성 코어의 중앙을 따라서 감쇄되기 때문에, 흡수성 코어의 거의 전체 영역에서는 둘레방향으로 조임력이 작아지게 되며, 복부를 과도하게 압박하지 않는다.
대퇴부의 중앙부를 제외한 좌우부에서도 탄성부재를 형성함으로써 제품의 외면을 구성하는 시트의 좌우부가 흐느적거리지 않고 착용자의 피부에 딱 맞게 되어 보기에도 좋다.
본 발명의 어느 한 형태의 경우에서도 탄성부재의 신장률은 150∼350%이며, 신장응력이 150% 신장시에 4∼17g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수치 범위를 한정하면 작용효과가 한층 더 명료하게 나타난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는 제품의 이면부직포 시트의 사용면측에 배치되며, 상기 이면부직포 시트는 JIS P 8138에 의거한 불투명도가 50%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면부직포 시트는 JIS P 8138에 의거한 불투명도가 50%이상이면 탄성부재의 존재가 보이지 않거나 잘 보기 힘들다. 그 결과 장착자는 과도한 조임이나 고무자국이 생성되는 우려를 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탄성부재가 비쳐 보이지 않기 때문에 상품의 고품격이나 마감처리의 우수함을 내세울 수 있다.
상기 이면부직포 시트는 JIS P 8138에 의거한 불투명도가 40%이상이며, 상기 탄성부재의 굵기가 925dtex이하인 형태가 제공된다. 탄성부재의 굵기가 925dtex이하이므로, 장착자는 불투명도가 낮은 레벨이라도 멀리에서는 잘 보이지 않고 또한 과도한 조임이나 고무자국이 생기는 우려를 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 탄성부재의 간격이 7.0mm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주름이 눈에 띄지 않으며, 말끔한 느낌, 즉 제품의 외면이 불록함이 없이 주름이 보여도 섬세한 주름으로 전체적으로는 평탄면의 외면을 나타내며, 보기에 우수한 작용효과가 한층 더 현저하게 나타난다.
이면부직포 시트는 40g/m2이하로서 두께가 0.1mm이상으로, JIS P 8143에 규정된 강도(剛度)가 10mm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두께가 0.1mm이상이므로 탄성부재의 은폐성이 높아져서 눈에 보이는 것이 40g/m2이하이고 또한 강도(剛度)가 10mm이상이므로, 신축성에 우수하고 또한 감촉이 우수하게 된다.
<일회용 종이기저귀의 탄성부재의 부착방법의 발명>
종래 기술 부분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연속적인 허리아래 탄성부재 및 둔부 탄성부재의 부착 방법으로서는 실고무 등의 재료제의 탄성부재를 외형시트 등의 피 부착부재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신장되는 가운에 배치 고정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한편, 전술한 종이기저귀와 같이 복수의 탄성부재를 제품 폭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불연속적으로 부착하는 경우, 탄성부재의 연속부착으로 대응할 수 없으며, 탄성부재를 피부착부재에 간헐적으로 부착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리고 이 경우(특히 피부착부재가 외형시트 등과 같이 탄성부재 부착 후에 커트할 수 없는 경우), 부착에 앞서서 탄성부재를 소정길이로 커트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커트한 탄성부재를 그대로 접착제로 피부착부재에 신장(伸張)하에 부착해도 연속적으로 부착하는 경우와 달리 부착후의 탄성부재의 신장을 유지하는 힘은 접착력뿐이고 피부착부재에 대한 접착면적이 적은 것이나 이종재료간의 접착인 것 등에 따른 접착력 약화도 더불어 작용하여, 탄성부재가 바로 수축되어 원위치로 돌아가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띠모양의 지지시트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탄성부재를 배치 고정하고,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절단하여 복수의 신축시트형부재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신축시트형부재를 피부착부재에 대하여 제품 푹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불연속적으로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종이기저귀의 제조에서의 탄성부재 부착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띠모양의 지지시트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탄성부재를 배치 고정하고, 길이방향으로 소정을 간격을 두고 절단하여 복수의 신축시트형부재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신축시트형부재를, 탄성부재의 신장상태로 각 신축시트형부재 사이의 인접 단부를 제외한 부분을 피부착부재에 접촉 고정하고, 이 미접착된 인접부분을 수축시키며, 상기 신축시트형부재 서로를 이격시켜서 불연속이 되도록 하는 방법도 제공된다.
또한 띠모양의 지지시트에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접착제를 도포하고 이 접착제를 도포한 중앙부분을 개구하며, 상기 신축시트형 부재를, 상기 띠모양 지지시트 개구의 접착제가 도포된 개구 가장자리에 배치 고정하여,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신축시트형부재가 불연속적으로 부착된 띠모양 시트를 형성하는 방법도 제공된다.
띠모양의 지지시트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탄성부재를 배치 고정한 후, 파도 모양으로 가로지른 파도형 커트에 의해 2분할되어, 이들 분할부재를 그 길이방향이 제품 폭방향으로 따라가도록 피부착부재에 대하여 일측을 하복부측에, 타측을 둔부측에 부착하는 방법도 채용할 수 있다.
띠모양의 지지시트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탄성부재를 배치 고정한 후,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유지부재를 고정하고, 이 고정한 유지부재를 개재하여 절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탄성부재를 지지시트에 배치 고정한 신축시트형부재를, 제품 폭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불연속적으로 피부착부재에 부착한다. 따라서 탄성부재의 지지시트에 대한 부착에 있어서는 연속부착이 가능하며, 또한 피부착부재에 대하여 부착하는 탄성부재는 시트형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피부착부재에 대한 접촉면적이 현저하게 증가하고, 접착력도 증가한다. 따라서 보다 확실하고 용이하게 복수의 탄성부재를 그 신장방향을 따라서 불연속적으로 또한 각각 신장상태로 피부착부재에 부착할 수 있도록 된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따른, 팬츠형 일회용 종이기저귀의 전개 상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2-2선 실시도.
도 3은 제품 상태의 도 1의 2- 2선 단면 상당부.
도 4은 표면측 전개 상태 평면도.
도 5는 다른 예의 전개 상태(표면측)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탄성부재 부착방법을 채용한 기저귀 제조라인의 흐름도.
도 7은 도 6의 ①부분의 라인을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신축시트형부재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평면도.
도 9은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몸통 주위 탄성부재 제조라인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최종 라인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평면도.
도 11은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신축시트형부재의 부착 후 수축 전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12은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신축시트형부재의 수축 후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13은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흡수주체 부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14은 제 1 실시 형태에 따라 제조되는 종이기저귀의 전개 상태(표면측)를 나타낸 평면도.
도 15은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기저귀 제조라인의 흐름도.
도 16은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주라인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7은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주라인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8은 제 2 실시 형태와 따른 신축시트형부재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평면도.
도 19은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하복부 및 둔부 탄성부재띠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평면도.
도 20은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웨이스트 탄성부재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평면도.
도 21은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외측시트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평면도.
도 22은 제 2 실시 형태에 의해 제조되는 팬츠형 일회용 종이기저귀의 전개 상태 평면도.
도 23은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변형 예의 흐름도.
도 24은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변형 예의 하복부 및 둔부 탄성부재띠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평면도.
도 25은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탄성부재 부착방법을 채용한, 기저귀 제조라인의 흐름도.
도 26은 도 25의 ①부분의 라인을 나타낸 흐름도.
도 27은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신축시트형부재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평면도.
도 28은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몸통 주위 탄성부재 제조라인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평면도.
도 29은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최종 처리라인의 상태변화를 나타낸 평면도.
도 30은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유지시트 부착공정을 나타낸 평면도.
도 31은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유지시트를 가진 신축시트형부재의 부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32은 다른 방향에서 바라 본 유지시트를 가진 신축시트형부재의 부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33은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푸시시트 부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34은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흡수주체 부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35은 제 3 실시 형태에 따라 제조되는 종이기저귀의 전개상태(내측)를 나타낸 평면도.
도 36은 제 3 실시 형태의 변형예의 흐름도.
도 37은 제 3 실시 형태의 번형예에서 푸시시트의 부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38은 제 1 실시 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39는 본 발명제품의 주름의 발생 상황 개요도.
도 40은 본 발명의 용어설명을 위한 일회용 종이기저귀의 전개상태 사용측면으로부터의 평면도.
도 41은 팬츠형 일회용 종이기저귀의 제품의 사시도.
도 42 내지 도 5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설명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팬츠형 일회용 종이기저귀의 예를 들어서 상세히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기저귀 사용시(장착시)에 복부측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와 배부측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를 점착제를 갖는 체결(fastening) 테이프에 의해 접합하는 타입의 이른바 테이프식 종이기저귀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예를 채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용어의 설명』
주로 도 40에 따라 본 발명의 부위나 방향에 관한 용어설명을 한다.
도시한 실시 형태에 따른 팬츠형 일회용 종이기저귀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요성의 외형시트(1)와 이 외형시트(1)의 내면에 고정되어 가랑이 아래(4)를 중심으로 하여 세로방향(전후방향)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흡수주체(10)를 주체로서 구성하고 있다.
외형시트(1)는 2장 또는 3장 이상의 통기??발수성의 부직포를 적층 고정하여 이루어지며, 이 외형시트(1)와 흡수주체(10)를 포개 쌓은 후의 제조공정의 최종단계로, 앞몸통 둘레 영역(F)와 뒷몸통 둘레 영역(B)와의 양측 가장자리부의 길이방 향 전체를 초음파실이나 열용융 등의 수단에 의해 접합(이 접합부를 부호 30으로 한다)함으로써, 도 4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몸통 둘레 개구부(재) 및 좌우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LO)를 형성하고 있다.
도 40의 부호에 있어서, 「세로방향」이란 복부측과 배부측을 잇는 방향을 의미하며, 「둘레방향」이란 상기 상기 세로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몸통 둘레 개구 가장자리」란 몸통 둘레 개구부(WO)의 가장자리를 의미하며, 「다리 둘레 개구 가장자리」란 다리 둘레 개구부(LO)의 가장자리를 의미한다. 「다리 둘레 개구 시작단」이란 다리 둘레 개구부(LO)의 다리 둘레 개구 가장자리와 접합부(30)과 교차되는 위치를 의미하며, 다리 둘레 개구 가장자리의 시작 부분을 의미한다. 「뭄통 둘레부(T)」란 몸통 둘레 개구 가장자리로부터 다리 둘레 개구 시작단에 이르는 길이 범위의 전체 영역을 의미한다. 뭄통 둘레부(T)는 개념적으로 「웨이스트(W)」와 「허리아래(U)」로 나눌 수 있다. 이들 세로방향의 길이는 제품의 사이즈에 따라 다르지만, 허리부(W)는 15∼40mm, 허리아래부(U)는 65∼120mm이다. 「대퇴부(L)」이란 다리 둘레 개구부(LO)를 형성하는 길이 범위의 전체 영역을 의미한다. 또한 「중앙부」란 제품의 중앙선을 포함하는 측부를 제외한 중간영역을 의미한다. 「측면부」란 몸체 주위부(T)에서의 양 측부를 의미한다.
<종이기저귀의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요성의 외형시트(1)와, 이 외형시트(1) 내면에 고정되고 가랑이 사이부(4)를 중심으로 하여 전후방향(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흡수주체(10),를 주체로 하여 구성되 어 이루어진다.
외형시트(1)는 2장의 통기·발수성의 부직포를 적층 고정하여 이루어지며, 이 외형시트(1)과 흡수주체(10)을 겹친 후의 제조공정의 최종단계에서 앞몸통 둘레 영역(F)와 뒷몸통 둘레 영역(B)의 양측 가장자리부의 길이방향 전체를 초음파실이나 열용융 등의 수단에 의해 접합(이 접합부를 부호 30으로 한다)함으로써, 몸통 주위 개구부 및 좌우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를 형성하고 있다.
흡수주체(10)는 도 2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부직포 등으로 되어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직사각형의 투액성 탑시트(11)와, 면상펄프를 주체로 하여 어느 정도의 강성(剛性)을 가지는 직사각형의 흡수성 코어(13)와, 그 상하면 전체를 싸는 홀치기 염색된 직사각형의 크레이프지(주름지)(14)로 이루어진 흡수체(AB)와, 이 흡수체(AB)의 이면으로부터 표면측으로 돌아 들어가서 표면측 양측부를 홀치기 염색형태로 덮고 있는, 폴리에틸렌 플라스틱 필름 등으로 이루어진 직사각형의 불투액성 백시트(12)가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접착(도면에서 *로 나타낸 것이 접착 부분이다) 일체화된 것이다. 필요에 따라서 도시한 바와 같이 투액성 탑시트(11)와 크레이프지(14)와의 사이에 투액성 세컨드시트(11S)를 개재시킬 수 있다.
이 흡수주체(10)는 불투액성 백시트(12)의 불과 양측부를 남기고 거의 이면 전체가 상기 외형시트(1)에 대하여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흡수주체(10)의 양측부에는 사용면측으로 돌출하는 다리 주위용 기립 커프(b,b)가 각각 형성되어 이 기립 커프(b)는 실질적으로 폭방향으로 연속된 기립용 시트(40)와, 탄성부재, 예를 들면 실고무로부터 이루어진 한 개의 또는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탄성부재(50),(50)…로 구성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기립 커프(b)는 기립용 시트(40)가 이중으로 형성되어 각 탄성부재(50),(50)…을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고착한 상태로 싸서 형성된 것이다. 각 기립 커프(b),(b)를 형성하는 기립용 시트(40)는 투액성이 아니고 불투액성 또는 소수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액성 시트에 대하여 실리콘 처리 등에 의해 액체를 겉돌게 하는 성질이 되도록 해도 좋다.
이중의 기립용 시트(40)의 내면은 불투액성 백시트(12)의 흡수체(AB)의 표면측으로 돌아 들어가서 부분표면측에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그 결과, 이중의 기립용 시트(40)의 내면의 , 불투액성 백시트(12)에 대한 고착 시작단은, 기립 커프(b)의 기립단을 형성하고 있다.
이 기립단으로부터 안쪽은 제품 본체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자유부분으로, 제품의 중앙측으로 향한 기립부(b1)와, 도면 중에서 다시 되접어 반전하여 외측으로 향한 평면부(b2)로 기능적으로 또한 개념적으로 구분되어 있다.
한편, 길이방향 전후 단부에 있어서,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상기 기립부상당부(기립부(b1)의 연장부)(b11)는, 물품의 중앙 측에 향하는 상태로 물품에 구체적으로는 투액성 탑시트(11) 외면에 고정되어 상기 평면부 상당부(평면부(b2)의 연장부) (b22)가 되접어 반전한 상태로 기립부 상당부(b11) 상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탄성부재(50),(50)…은 적어도 1개가 평면부(b2)에 있는 것을 기본형태 라고 하지만, 특히 탄성부재(50)는 평면부(b2)의 선단부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기립부(b1)에도 탄성부재(50)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적의 형태는 기립단 부근, 되접는 부근 및 평면부(b2)의 선단부에 있는 것이다. 평면부(b2)의 선단부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를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기립부(b1)에는 기립력을 높이기 위해서 추가로 탄성부재(50),(50)…을 형성할 수 있다. 도시한 형태에서는 기립부(b1)에 3개, 평면부(b2)에 4개로 총 7개다.
도 1은 종이기저귀를 길이방향으로 전개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장착시에는 종이기저귀가 배모양으로 몸에 장착되고, 그리고 각 탄성부재(50),(50)…의 수축력이 작용하므로, 제품의 전후단은 그대로 다리 주위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탄성부재(50),(50)…의 수축력에 의해 기립 커프(b)가 기립된다. 그리고 이 때, 흡수주체(10)의 측부를 변형시켜 들어 올리고, 또한 약간 흡수체(AB)도 변형시시켜 들어올려 포켓 공간을 깊게 형성한다.
또한 이 들어올림 상태에서 각 탄성부재(50),(50)…의 수축력이 기립 커프(b) 자체에 작용하기 때문에, 기립부(b1)는 거의 수직으로 기립하게 된다. 평면부(b2)도 수직으로 기립하게 되지만, 평면부상당부(b22)가 되접어 반전한 상태로 기립부상당부(b11)상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수직으로 기립하는 데도 한도가 있으며, 평면부(b2)는 밖으로 향한 상태를 유지한 채로 수직 방향의 기립력을 유지하면서 기립된다. 그 결과 평면부(b2)는 항상 착용자의 다리 주위에 평면적으로 착 붙는다.
기립부(b1),(b1)로 둘러싸이는 공간은 소변 또는 무른 대변을 가두는 공간을 형성한다. 이 공간 내에 배뇨되면 그 소변은 투액성 탑시트(11)를 통하여 흡수체(AB) 내로 흡수됨과 동시에, 무른 대변의 고형분에 있어서는 기립 커프(b)의 기립부(b1),(b1)가 장벽이 되어 흘러 넘치는 것이 방지된다. 만일 기립부(b1)의 기립 말단부 가장자리를 넘어서 옆으로 새어나간 소변은 평면부(b2)에 의한 스톱 기능에 의해 옆으로 새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기립단보다 중심측에서 또한 흡수체(AB)의 양 측부위치에 길이방향에 따라 들어올림용 탄성부재(60)는 신장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도시 형태에서는 들어올림용 탄성부재(60)는 불투액성 백시트(12)와 흡수체 (AB)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그리고 평면에서 본 위치로서는 도 2에 명시된 바와 같이 다리 주위 부위에서는 흡수성 코어(13)의 잘록하게 들어간 부분과 겹치지 않으며, 길이방향 전후에서는 흡수성 코어(13)의 밖으로 돌출 된 부분과 겹치는 위치에 있다.
이러한 들어올림용 탄성부재(60)를 형성함으로써 제품의 장착 상태에 있어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들어올림용 탄성부재(6)의 수축력(그 작용 상태를 흰색 화살표로 나타낸다)에 의해 흡수체(AB)의 양측부가 변형하여 착용자의 피부를 향해 기립하게 된다. 이 기립 부분에 대하여, 기립 커프(6)가 들어올림용 탄성부재(60)의 외측의 기립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흡수체(AB)의 양측부에서의 기립 부분에 가산되어 기립하도록 되므로, 피부에 대한 기립 높이가 높아지며, 즉 보다 깊은 포켓 공간이 형성되어 피부와의 밀착성이 높아져서 단지 기립 커프(b)만으로도 옆으로 새는 것을 확실히 방지 할 수 있다.
한편, 앞몸통 둘레 영역(F)와 뒷몸통 둘레 영역(B)에 있어서, 외형시트(1)의 부직포간 및 외형시트(1)의 이면측 시트의 전후 단부의 되접어 말아넣은 부분에는 몸통 주위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서, 몸통 주위 개구부의 단가장자리에 평행하게 간격을 두고 가는 실고무로 이루어진 웨이스트 탄성부재(20F),(20B)…이 신축하도록 신장상태로 배치 고정되어 있다. 웨이스트 탄성부재(20F),(20B)…의 간격 및 개수는 적당히 정할 수가 있는데, 예를 들면 간격은 4∼6mm정도, 개수는 5∼7개 정도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라 앞몸통 둘레 영역(F)의 하복부 상당 부분에 허리 둘레 조임 방향(몸통 주위 개구부의 단가장자리와 평행한 방향. 이하 동일)을 따라 허리아래 탄성부재(21F),(21F)가 형성되고, 한편 하복부 상당 부분에 대응한 뒷몸통 둘레 영역(B)의 둔부 부분에 허리 둘레 조임 방향을 따라 둔부 탄성부재(21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허리아래 탄성부재(21F),(21F)는 앞몸통 둘레 영역(F)에서의 일측의 접합부(30)로부터 타측의 접합부(30)까지의 부분 중 흡수체(AB)의 일부의 부분이 불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둔부 탄성부재(21B)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뒷몸통 둘레 영역(B)에서의 일측의 접합부(30)로부터 타측의 접합부(30)까지 연속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또 허리아래 탄성부재(21F),(21F)의 불연속측과 반대측의 측단은 둔부 탄성부재(21B)의 양단에 각각 연속하게 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이들 허리아래 탄성부재(21F) 및 둔부 탄성부재(21B)로서 가는 실고무로 이루어진 탄성부재가 신축하도록 신장상태로 앞몸통 둘레 영역(F) 및 뒷몸통 둘레 영역(B)의 양측에서 각각 평행하게 9∼25개, 외형시트(1)의 부직포간에 배치 고정되어 있다. 이 허리아래 탄성부재(21F) 및 둔부 탄성부재에서의 상호 간격은 웨이스트 탄성부재(20F),(20B)…의 간격에 대하여 같거나 혹은 이것보다도 짧게 되어 있다.
또한 이들 허리아래 탄성부재(21F) 및 둔부 탄성부재(21B)로서 사용하는 실고무는, 전술한 웨이스트 탄성부재(20F),(20B)…로서 사용하는 가는 실고무보다 신장 응력 및 단면 외경이 작거나 혹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할 수 있다. 간편하게는 양자에 있어서 완전히 같은 실고무를 사용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지만, 색을 달리하는 등의 상기 특성 이외에도 차별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여기에 있어 사용하는 가는 실고무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신장 응력이 150% 신장시에 있어 4∼17g의 범위, 특히5∼10g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되며, 단면 외경이 100∼350μm의 범위, 특히 120∼270μm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렇게 하여 앞몸통 둘레 영역(F)에서의 일측의 접합부(30)로부터 타측의 접합부(30)까지의 부분 중 흡수체(AB)의 일부의 부분이 불연속적으로 형성됨으로써 허리아래 탄성부재(21F),(21F)가 앞몸통 둘레 영역(F)에서 흡수체(AB)를 가로질러서 연속되지 않게 되어, 흡수체(AB)에 대한 허리 둘레 조임 방향의 수축력이 약해진다. 그 결과, 종래와 같이 흡수체(AB)를 가로지른 탄성부재의 작용에 의해 허리 둘레 조임 방향을 따라 형성된 세로주름에 의해 흡수체가 피부로부터 들떠서, 몸통 둘레 부분으로부터 새어나오는 문제가 방지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둔부 탄성부재(21B)는 종래와 같이 뒷몸통 둘레 영역(B)에서의 일측의 접합부(30)로부터 타 측의 접합부(30)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흘러내림 방지 및 피부로의 밀착성을 전술한 종래 예와 동일한 정도로 높일 수가 있다. 또한 앞몸통 둘레 영역(F)에서의 허리아래 탄성부재(21F),(21F)가 불연속인 부분에 거의 주름이 없어지기 때문에, 그 위로부터 착용하는 팬츠와의 밀착성도 좋아져서 말끔하게 보기에 좋게 된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허리아래 탄성부재(21F),(21F)는 앞몸통 둘레 영역(F)에서의 일측의 접합부(30)로부터 타측의 접합부(30)까지의 부분 중 흡수체(AB)의 전부분을 불연속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어서, 이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작용 효과가 나타난다.
한편, 도 5는 청구항 1기재의 발명에 따른 종이기저귀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흡수주체(10)보다 약간 폭이 넓은 직사각형의 본체 외형시트(1A)와 가랑이 사이(4)를 제외한 전신 부분을 형성하는 앞몸통 둘레 영역 몸통 둘레 시트(1B)와 가랑이 사이(4)를 제외한 후신 부분을 형성하는 뒷몸통 둘레 영역 몸통 둘레 시트(1C)를 적층 고정하여 이루어진다.
본체 외형시트(1A)에는 몸통 주위 개구부를 구성하는 양단 가장자리부에 단가장자리와 평행하게 간격을 두고 복수의 웨이스트 탄성부재(70F),(70B)가 각각 신장상태로 배치 고정되어 있다. 앞몸통 둘레 영역 몸통 둘레 시트(1B)의 각 측면부 상당 부분에는 제품 폭방향을 따라 연속되는 다수의 탄성부재(71F),(71F)가 각각 신장상태로 부착되고 있으며, 이들 측면부의 상당 부분의 탄성부재(71F),(71F) 서로는 불연속적으로 되어 있다. 한편, 뒷몸통 둘레 영역 몸통 둘레 시트(1C)에 있어서는, 탄성부재(71B)가 일측의 접합부로부터 타측의 접합부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 도록 배치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탄성부재 중 웨이스트 탄성부재와 연속되는 부분은 기능적으로도 또한 개념적으로도 본 발명의 웨이스트 탄성부재의 일부를 구성한다. 이러한 타입의 종이기저귀도 청구항 1기재의 발명에 포함된다.
<다른 종이기저귀의 실시 형태>
상기 예에서는 허리아래 탄성부재를 불연속적으로 형성하고, 또한 둔부 탄성부재를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반면, 반대로 허리아래 탄성부재를 일측 접합부로부터 타측 접합부까지 연속적으로 형성하며, 또한 둔부 탄성부재를 일측 접합부로부터 타측 접합부까지의 부분 중 흡수체의 일부 또는 전부분을 불연속적으로 형성하거나 후술하는 예와 같이, 허리아래 및 둔부의 탄성부재 양쪽 모두를 일측 접합부로부터 타측 접합부까지의 부분 중 흡수체의 일부 또는 전부분을 불연속적으로 형성하거나 할 수도 있다.
한편, 앞몸통 둘레 영역(F) 및 뒷몸통 둘레 영역(B)의 길이방향 단부에 있어서, 개략적으로 도 42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웨이스트부(W)에서의 외형시트(1)의 부직포(1A),(1B)간에 몸통 둘레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하여, 몸통 둘레 개구부(WO)의 단가장자리에 평행하게 간격을 두고 실고무로 이루어진 웨이스트 탄성부재(20F),(20B)를 배치하고, 이들이 신축하도록 신장상태로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웨이스트부(W)에서의 웨이스트 탄성부재(20F),(20B)의 간격 및 개수는 적당하게 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간격은 4∼8mm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4∼7mm, 개수는 4∼10개 정도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웨이스트부(W)로부터 하방의 허리아래(U)에서 의 앞몸통 둘레 영역(F)의 하복부 및 뒷몸통 둘레 영역(B)의 둔부에 둘레방향을 따라서 허리아래 탄성부재(21F),(21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허리아래 탄성부재(21F),(21B)는 각각 앞몸통 둘레 영역(F) 및 뒷몸통 둘레 영역(B)에 있어서, 일측의 접합부(30)로부터 타측의 접합부(30)까지의 부분 중 흡수성 코어(13)의 거의 전체를 제외한 제품의 좌우 측면부에 형성되어 있다.
외형시트(1)의 이면측의 부직포 시트(1A)는 JIS P 8138에 의거한 불투명도가 40%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이상의 것이 사용된다. 불투명도는 니뽄덴쇼쿠고우교우샤(日本電色工業) 제품 즉색 색차계로 JIS P 8138에 따라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이면부직포 시트(1A)는 40g/m2이하이며, 두께가 0.1mm이상이며, JIS P 8143에 규정된 강도(剛度)가 10mm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가 0.1mm이상이면 탄성부재(21)의 은폐성이 높아져서 눈에 보이는 정도가 40g/m2이하이며, 또한 강도(剛度)가 10mm이상이면 신축성이 우수하고, 또한 감촉이 우수한 것이 된다. 외형시트(1)의 이면측의 부직포 시트(1A)의 색은 백색이 청결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적층되는 부직포(1B)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시한 예에서는 이들 허리아래 탄성부재(21F),(21B)로서 가는 실고무, 구체적으로 굵기가 925dtex이하, 바람직하게는 620tex이하가 되는 탄성부재가 사용된다. 허리아래 탄성부재(21F),(21B)는 이면측의 부직포 시트와 동일하며 또한 백색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탄성부재를 반투명 또는 투명하게 한, 예를 들면 투명도가 50%이상의 것을 사용하면 그 존재를 판별하기 어려워 바람직하다.
허리아래 탄성부재(21F),(21B)는 앞몸통 둘레 영역(F) 및 뒷몸통 둘레 영역(B) 양자에 있어서, 가랑이 사이(4) 방향의 간격이 바람직하게는 7.0mm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mm이하가 되며, 각각 평행하게 15∼40개, 외형시트(1)의 부직포간에 배치 고정되어 있다. 이 허리아래 탄성부재(21F),(21B)에서의 상호 간격은 웨이스트 탄성부재(20),(20)…의 간격에 대하여 동일하거나 또는 이보다도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허리아래 탄성부재(21F),(21B)로서 사용하는 실고무는 전술한 웨이스트 탄성부재(20)으로서 사용하는 실고무보다도 신장응력 및 단면외경이 작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여기에 있어서 사용하는 가는 실고무는 구체적으로는 신장응력이 150% 신장시에서 4∼17g의 범위, 특히 5∼10g 범위의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한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대퇴부(L)에서의 중앙부를 제외한 좌우부에 있어서도 대퇴부 탄성부재(23)를 형성하고 있다. 이 대퇴부 탄성부재(23)에 있어서도, 허리아래 탄성부재(21F),(21B)와 마찬가지로 굵기가 925tex, 바람직하게는 620dtex이하의 탄성부재를 세로 방향의 간격을 7.0mm이하로 하여 부직포간에 배치 고정할 수 있다.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제 2 실시형태)
도 43 및 도 44에 나타낸 실시 형태는 상기 실시 형태와 다른 점으로서, 대퇴부(L)에 대퇴부 탄성부재(23)을 형성하지 않고, 또한 허리아래 탄성부재(21F),(21B)는 흡수주체(10)를 횡단하여 둘레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부직포 간에 배치 고정한 것이다.
도 45는 상기한 실시 형태와 다른 점으로서, 대퇴부(L)에 대퇴부 탄성부재(23)을 형성하지 않고, 또한 웨이스트 탄성부재(20F),(20B)를 중앙에는 이것을 배치하지 않고 측면부만으로 한 구조의 사용상태를 도 46에 나타낸다.
도 47은 외형시트(1)를 폭방향 중앙시트(1A)와, 양측부의 사이드 시트(1B),(1B)에 의해 구성하고, 각 사이드 시트(1B),(1B)를 예를 들면 부직포간에 그물코 모양 예를 들면 격자모양으로 실고무를 고정한 것을 사용한 것이다. 그리고 폭방향 중앙시트(1A)에 양측부의 사이드 시트(1B),(1B)를 접합하고, 각 사이드 시트(1B),(1B)를 둘레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신축하도록 한 것이다. 이 경우에서 둘레방향의 실고무는 웨이스트부(W) 및 허리아래(U)의 탄성부재를 형성한다.
상기 실시 형태를 개념적으로 정리하면, 각각 도 48의 (A)∼(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이들을 비교하여 추측할 수 있도록 웨이스트 탄성부재(20F),(20B) 및 허리아래 탄성부재(21F),(21B)는 흡수주체(10)을 횡단하여 둘레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 고정하는 형태와, 흡수성 코어(13)이 위치하는 중앙부에는 존재하지 않고, 제품의 좌우 측면부에서만 배치 고정하는 형태를 선택적으로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대퇴부 탄성부재(23)의 배설 유무에 있어서도 선택 가능하다. 아울러 앞몸통 둘레 영역(F)와 뒷몸통 둘레 영역(B)와의 사이에서 탄성부재의 배설형태를 서로 달리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8의 (E)에 다른 실시 형태로서 나타낸 바와 같이, 웨이스트 탄성부재(20F),(20B) 및 허리아래 탄성부재(21F),(21B)를 흡수성 코어(13)이 위치하는 중앙부에는 위치시키지 않고 제품의 좌우 측면부에서만 배치 고정하며, 또한 대퇴부 탄성부재(23)를 형성하지 않는 형태나, 도 48의 (F)에 다른 실시 형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웨이스트 탄성부재(20F),(20B) 및 허리아래 탄성부재(21F),(21B)를 흡수성 코어(13)가 위치하는 중앙부에 위치시키지 않고 제품의 좌우 측면부에서만 배치 고정하며, 또한 대퇴부 탄성부재(23)를 형성하는 형태 등도 채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의 배설형태는 적합하다는 것을 부언한다. 허리아래 탄성부재(21F),(21B) 또는 대퇴부 탄성부재(23)를 흡수성 코어(13)가 위치하는 중앙부에 위치시키지 않고 제품의 좌우 측면부에서만 배치 고정하는 경우에 있어서 허리아래 탄성부재(21F),(21B) 단부, 또는 대퇴부 탄성부재(23)의 단부가 흡수성 코어(13)의 측가장자리부에 겹쳐지는 경우와, 흡수성 코어(13)의 측가장자리부에 도달하지 않고 이격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예는 거의 모래 시계 형상의 외형시트(1)에 대하여 직사각형의 흡수주체(10)를 접합하고 있지만, 외형시트(1)와 같은 형상의 투액성 탑시트(11)를 형성하고, 이들 사이에 흡수체(AB)를 형성하는 형태라도 좋다. 또한 외형시트(1)와 흡수주체(10)가 경계없이 일체화되어 있는 형태라도 좋다.
제품의 외면을 구성하는 시트는 상기 예에서는 2개 또는 3개 이상의 통기??발수성 부직포를 적층 고정한 것이지만, 1개의 부직포라도 좋으며, 이 경우에는 그 부직포의 사용면측에 탄성부재(21)을 접합할 수 있다. 또한 적층하는 부직포간의 중간에 플라스틱 시트를 개재시키거나 또는 이면측 부직포의 사용면측에 접착시킬 수 있다.
허리아래 탄성부재(21F) 또는 허리아래 탄성부재(21B)는 격자 그물코 형상으 로 배설해도 좋다. 그 일예가 도 47에 나타낸 형태이다. 이러한 종류의 형태라도 탄성 탄성부재는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갖는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 적어도 앞몸통 둘레 영역(F)의 웨이스트 탄성부재(20F) 및 허리아래 탄성부재(21F)가 몸통 둘레 개구 가장자리로부터 다리 둘레 개구 시작단에 이르는 길이 범위의 뭄통 둘레부(T)의 60%이상, 바람직하게는 70%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이상의 길이 범위에 걸쳐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최대 40% 영역에 있어서는 허리아래 탄성부재(21F)가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굵기 또는 간격을 갖지 않고도 전체적으로 말끔한 느낌을 주는데 손색이 없다.
구체 예를 들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도 49에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7mm이하의 간격이 배치된 웨이스트 탄성부재(20F),(20F)…의 길이(a)와, 허리아래 탄성부재(21F),(21F)…의 배치 중, 7mm를 초과하는 길이 범위부분을 제외하고, 7mm이하의 길이 범위(b) 및 (c)와의 총 길이에서 뭄통 둘레부(T)의 길이에 대한 비율이(즉, (a+b+c)/T)이 60%이상인 것을 규정한 것이다.
그러나 외형시트(1)에는 가랑이 사이 또는 가랑이 아래를 밀착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탄성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도 50은 전방 측면부의 단부에서 대퇴부(L)의 다리 둘레 개구 가장자리에 거의 평행으로 후방 측면부의 단부에 걸쳐서, 각각 대퇴부 탄성부재(24),(24)를 외형시트(1)의 부직포 사이에 고정한 것이다. 이 형태에서는 대퇴부 탄성부재(24)가 다리 둘레 개구부(LO)를 수축시키고, 체액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대퇴부 탄성부재(24),(24)를 명시하기 위하여 흡수주체(10)를 가상선으로 표시하고 있다.
도 51은 앞몸통 둘레 영역(F) 및 뒷몸통 둘레 영역(B)에 있어서 좌측의 측면부의 단부로부터 가랑이 아래부분을 횡단하도록 우측의 측면부의 단부에 걸쳐서, 각각 가랑이 사이??가랑이 아래 탄성부재(25F),(25B)를 외형시트(1)의 부직포간에 고정한 것이다. 또한 이 예에 있어서는 앞몸통 둘레 영역(F)측과 뒷몸통 둘레 영역(B)측의 가랑이 사이??가랑이 아래 탄성부재(25F),(25B)가 일부 교차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도 52는 앞몸통 둘레 영역(F) 및 뒷몸통 둘레 영역(B)에 있어서, 좌측의 측면부의 단부로부터 가랑이 아래부분을 횡단하도록 우측의 겨드랑이의 단부에 걸쳐서 각각 가랑이 사이??가랑이 아래 탄성부재(26F),(26B)를 외형시트(1)에 부직포 사이에 고정한 것이다. 이 예에 있어서는 가랑이 사이??가랑이 아래 탄성부재(26F),(26B)는 교차하지 않고 가랑이 아래에서 평행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한편 도 5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랑이 아래 부분에 있어서 흡수주체(10), 특히 흡수성 코어(13)의 폭보다 외형시트(1)의 폭이 좁혀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 도 53의 형태나 전술한 형태에 있어서, 흡수성 코어(13)의 측가장자리로부터 외측의 비어져 나온 외형시트(1)는 펄럭거릴 경향이 있으며, 제품전체에 말끔한 느낌을 갖도록 하는 데 문제가 된다. 그러므로 제 1 형태의 대퇴부 탄성부재(23)와 마찬가지로 대퇴부(L)의 양측에 정형탄성부재(27)을 외형시트(1)의 부직포 사이에 형성하고, 비어져 나오는 외형시트(1)를 중앙측으로 모아 들이는 것으로 펄럭거리는 느낌을 해소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정형탄성부재(27) 그룹의 외단부는 핫멜트 접착제에 의한 봉재선(28)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정형탄성부재(27) 그룹의 외단부가 중앙측으로의 밀려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4는 마찬가지로 펼럭이는 느낌을 해소하기 위하여 앞몸통 둘레 영역(F) 및 뒷몸통 둘레 영역(B)에 있어서, 좌측의 측면부의 단부로부터 대퇴부를 횡단하도록 우측의 측면부의 단부에 걸쳐서 각각 정형탄성부재(29),(29)를 외형시트(1)의 부직포 사이에 고정한 것이다. 이 형태에서는 정형탄성부재(29)에 중간의 둘레방향 부분이 흡수성 코어(13)의 측가장자리로부터 외부로 비어져 나오는 외형시트(1)을 중앙측으로 모아 들임으로써, 펄럭이는 느낌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정형신축부(29)의 단부가 측면부의 단부에 걸쳐짐으로 대퇴부를 뭄통 둘레부(T)측으로 들어올리도록 작용하고 복부 및 둔부의 느슨함을 해소하여 보다 말끔한 느낌을 충족시키게 된다.
(테이프식 종이기저귀의 실시 형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이외에 테이프식 종이기저귀도 대상으로 한다. 이 제 1 실시 형태를 도 55에 나타낸다. 이 예에 있어서는 양측부에 기립시트(41),(41)를 가지고, 이들 자유기립부의 선단부에 탄성부재(51),(51)이 형성되며, 기립 커프(C),(C)를 구성하고 있다. 기립시트(41)는 외형시트와 마찬가지의 이면시트(1)와 접합되어 있다. 42는 배부측의 좌우 양측부를 복부측의 좌우 양측부에 들이밀어 접합하기 위한 테이프 파스너이다. 이 예에 있어서 앞몸통 둘레 영역(F) 및 뒷몸통 둘레 영역(B)의 길이방향 단부에 있어서, 웨이스트부(W)에서의 외형시트(1)의 부직포 사이에는 몸통 둘레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하여, 몸통 둘레 개구부(W)의 단가장자리에 평행으로 간격을 두고 가는 실고무로 이루어진 웨이스트 탄성부재(20F),(20B)가 신축되도록 신장상태로 배치 고정되어 있다. 또한 앞몸통 둘레 영역(F)의 하복부 및 뒷몸통 둘레 영역(B)의 둔부에 중앙부를 제외한 측면부에 둘레 방향을 따라서 허리아래 탄성부재(21F),(21B)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부재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로서는 천연 고무나 합성 고무 등의 재질 이외, 우레탄 등의 탄성 신축성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가는 띠모양의 탄성 신축성 띠나 면적면에서 큰 시트 형상의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예로서 우레탄 등의 띠, 필름 또는 시트 등이 있다. 필름으로서는 무공(無孔) 필름이나 유공(有孔) 필름, 또한 시트로서는 그물코 형상의 시트 등을 적당하게 선택할 수 있다. 무공 필름(60)의 배설예를 도 24에 나타내었다. 또한 그물코 형상의 필름(61)의 배설예를 도 25에 나타내었다. 이들 형태에 있어서도 탄성부재가 제품의 외형시트(1)에 대하여 부착된 영역이 뭄통 둘레부의 60%이상의 길이 범위에 걸쳐서 존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회용 종이기저귀의 제조에서의 탄성부재 부착방법의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탄성부재 부착방법을 적용한 종이기저귀의 제조방법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의 형태)
도 6은 제 1 형태에 따른 팬츠 타입 종이기저귀의 조립공정을 나타내고 있으며, 흡수주체 제조공급라인(100)과, 외형시트 제조공급 제조라인(200)과, 최종 처 리 라인(300)으로 구성되어 있다.
흡수주체 제조공급라인(100)에 있어서는 먼저 흡수성 코어가 그 길이방향이 반송방향을 따르도록 공급되고, 그 위에 투액성 탑시트가 덮혀져서 고정되며, 또한 이 투액성 탑시트의 양측 단부에 기립 커프가 각각 배치 고정된다. 그 다음에 이들은 별도로 공급되어지는 불투액성 백시트 위에 배치 고정되어 흡수주체(10)가 완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불투액성 백시트는 미리 그 양측 단부를 되접음과 동시에 그 사이에 색을 입힌 우레탄 필름 등의 보강부재를 사이에 두고 접착하여, 해당 가장자리부의 말단부분을 강하게 하도록 가공된다(보강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칼라 핫멜트 접착에 의해 측가장자리부를 강조시키거나 말단부분을 강하게 하거나 해도 좋다).
이렇게 하여 제조된 흡수주체(10)는 90° 턴장치(110)에 있어서, 그 길이방향이 반송 방향에 대하여 직교할 자세가 되도록 평면적으로 90° 턴되어, 최종 처리라인(300)의 외형시트 부착 장치(310)로 반송된다.
한편, 외형시트 제조공급 제조라인(200)에 있어서, 제품 폭방향으로 연속되는 띠모양 외형시트(201)에 대해서 허리아래 탄성부재 및 둔부 탄성부재 및 웨이스트 탄성부재의 부착이 이루어진다.
상세하게는 띠모양 외형시트(201)가 먼저 슬립커터장치(210)로 이송된다. 이 슬립커터장치(210)에 있어서는 별도로 공급된 디자인 시트(202)가 슬립되어 공급 간격을 벌어면서 소정 형상으로 순차적으로 커트 됨과 동시에, 도 9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커트 된 디자인 시트(202),(202)가 띠모양 외형시트(201)의 표면에서 의 앞몸통 둘레 영역 폭방향 중앙부 및 뒷몸통 둘레 영역 폭방향 중앙부에 대하여, 핫멜트 접착등에 의해 각각 배치 고정된다. 디자인 시트로서는 비치지 않는 재질의 필름 등에 도안 등을 교부한 것을 이용할 수가 있다.
그 후 이 디자인 시트(202),(202)를 붙인 외형시트(201) 표면에 대하여, 도 9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연속하는 웨이스트 탄성부재(203),(203)가 앞몸통 둘레 영역 및 뒷몸통 둘레 영역의 소정부위에 각각 연속적으로 공급되고(예를 들면 실고무나 띠모양 고무등의 재제가 복수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공급된다) 핫멜트 접착에 의해 고정된다. 계속하여 이 웨이스트 탄성부재(203)를 부착한 외형시트(201)는 몸통 주위 탄성부재 부착장치(220)로 공급되며, 본 발명에 따라 허리아래 탄성부재 및 둔부 탄성부재가 각각 부착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허리아래 탄성부재띠 공급라인 및 둔부 탄성부재 띠공급라인(230),(230)이 개별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라인(230)에 있어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개의 연속 탄성부재(실모양, 끈 모양, 띠모양 등의 탄성재. 이하 동일 )(205)가 연속 띠모양의 지지시트(204)상에 간격을 두어 평행하게 또한 핫멜트 접착 등에 의해 신장상태로 배치 고정되고, 연속 띠모양의 신축시트형부재(206),(206)가 각각 형성되며, 이들이 몸통 주위 탄성부재 부착장치(220)로 각각 송급된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1개의 연속 띠모양의 신축시트형부재를 형성하고 나서, 이것을 슬립커터에 의해 길이방향을 따라 절단하여 복수 개의 연속 띠모양의 신축시트형부재를 형성하여, 이들을 몸통 주위 탄성부재 부착 장치(220)로 각각 송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몸통 주위 탄성부재 부착장치(220)에 있어서는, 각 띠모양 신축시트형부재(206),(206)가 소정 길이로 순차적으로 절단되어 신축시트형부재(206),(206)…가 각각 형성되는 한편, 별도로 이송되어 오는 외형시트(201)에 대해 하복부 상당 부분에서의 제품 폭방향 중앙부를 제외한 부분 및 둔부 상당 부분에서의 제품 폭방향 중앙부를 제외한 부분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접착제 도포장치에 의해 핫멜트 접착제 (HM) 등이 간헐적으로 각각 도포된다. 그리고 이 외형시트(201)의 하복부 상당 부분 및 둔부 상당 부분에 신축시트형부재(206),(206)…가 제품 폭방향이 될 방향으로 이어지고 또한 제품 폭방향이 되는 방향을 따라 신장상태로 배치된다. 또한 이 때 탄성부재 시트상 부재(206),(206)…는 그 탄성부재 부착면이 외형시트(201)에 합쳐지도록 배치된다. 이렇게 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접착제(HM)가 간헐 도포 되어 있으므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신축시트형부재(206)에서의 다른 신축시트형부재(206)와의 인접 단부(S),(S)는 외형시트(201)와 접착되지 않고 해당 인접단부(S),(S)를 제외한 중앙 부분(C),(C)이 외형시트(201)에 접착 고정된다.
계속적으로 이 외형시트(201)에 부착된 신축시트형부재(206),(206)…는 접착 고정 후에 신장 상태로부터 개방되어 도 10이외에 도 12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신축시트형부재(206),(206)…에서의 미고정 인접단부(S),(S)가 수축된다. 이에 따라 외형시트(201)에 부착된 신축시트형부재(206),(206)…상호는 이격되어 불연속적으로 된다.
이상의 부재부착이 이루어진 외형시트(201)는 계속적으로 최종 처리라인(300)의 외형시트 부착장치(310)로 이송된다. 여기에서는 도 10외에 도 13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외형시트(201)의 제품 폭방향 중앙부 상당 부위에 대하여 별도로 이송되어 오는 흡수주체(10)가 배치되어 핫멜트 접착 등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각종 부재의 부착이 완료된 외형시트(201)는 순차적으로 다이커터장치(320)에 이송되어 여기에서 다리 둘레 개구부(207) 상당 부분의 구멍이 형성되며, 이어서 절곡 장치(330)에 의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몸통 둘레 영역(F) 및 뒷몸통 둘레 영역(B)의 양측 가장자리부(30),(30)가 겹치도록 두 곳이 접혀져서 계속되는 히트실 장치(340)에 의해 양측 가장자리부(30),(30)가 히트실 된 후, 파이널 커터(350)에서 반송을 위해서 남겨 둔 잔여 부분이 잘려나가 몸통 둘레 개구 단가장자리 상당 부분이 형성됨과 동시에, 연속되는 제품 상호가 그 측가장자리부(30),(30) 사이의 상당 부분을 따라 절단되며 또한 제품 치수에 맞도록 커트 되어 개개의 기저귀(PO, PO…)가 된다. 이들 개개의 기저귀(PO, PO…)는 필요에 따라서 전사 롤러(360)에 의해 외형시트(201) 표면에 그림이나 모양 등이 전사 된 후, 차례차례 도시되지 않은 계수 장치에 송급된다.
이렇게 하여 제조된 종이기저귀(PO)는 도 14에 전개 상태(표면측)로 나타낸 바와 같이, 허리아래에서의 탄성부재(205),(205)를 포함한 신축시트형부재(206),(206)가, 앞몸통 둘레 영역(F)에서의 일측의 접합부(30)로부터 타측의 접합부(30)까지의 부분 중 흡수체의 폭방향 중앙부와 대응되는 부분이 불연속적으로(간헐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둔부에서의 탄성부재(205),(205)를 포함한 신축시트형부재(206),(206)도 뒷몸통 둘레 영역(B)에서의 일측의 접합부(30) 로부터 타측의 접합부(30)까지의 부분 중 흡수체의 폭방향 중앙부와 대응되는 부분이 불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각 하복부 및 둔부 탄성부재(205),(205)는 흡수체 측단부(S),(S)…를 제외한 주요부가 신장상태로 부착되는 한편, 흡수체 측단부(S),(S)…가 비신장상태로 부착된다. 이 종이기저귀는 도 14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허리아래 탄성부재(205),(205) 및 둔부 탄성부재(205),(205)는 각각 흡수체 측단부의 미접착 수축부분(S),(S) 가 흡수주체(10)의 측단부와 겹쳐지는데, 이 겹친 부분의 탄성부재는 기저귀 표면측으로부터는 디자인 시트(202)에 숨겨져 안보이게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허리아래 탄성부재(205),(205) 및 둔부 탄성부재(205),(205)는 흡수체의 폭방향 전부분과 대응되는 부분을 불연속적으로 할 수도 있다.
한편, 도 7 등에서의 둔부 탄성부재 띠공급라인(230)을 생략하여 그 대신에 전술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한 신축시트형부재를 그대로 외형시트 제조라인에 있어서 외형시트의 소정 부위에 대하여 신장상태로 배치하여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전술한 도 1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은 둔부 탄성부재만을 뒷몸통 둘레 영역의 일측 측가장자리부로부터 타측 측가장자리부까지 연속적으로 배치 고정한 종이기저귀로 할 수가 있다.
또한 전술한 도 8에 나타낸 띠모양 신축시트형부재의 절단을 변경하여 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띠모양 신축시트형부재(206X)를 절단하는 대신에 폭방향 단가장자리부(206a)를 남기도록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이 폭방향 단가장자리부(206a)를 웨이스트 탄성부재로 하여, 분리부(206b)를 하복부 및 둔부 탄성부재로 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206c)는 절단선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전술한 도 6에 나타낸 웨이스트 탄성부재의 공급라인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2 형태)
도 15는 제 2 형태에 따른 팬츠 타입 종이기저귀의 조립 공정을 나타내고 있으며, 주라인에 대하여 기립 커프가 형성된 흡수주체, 몸통 주위 탄성부재, 웨이스트 탄성부재, 외형시트가 이 순서대로 공급되어 조립되어진다.
기립 커프가 형성된 흡수주체는 그 길이방향을 주라인(300)의 반송 방향에 맞추어 도시하지 않는 흡수주체 제조라인으로부터 주라인으로 차례차례 이송된다. 주라인(300)에 이송된 흡수주체는, 90°턴장치(301)에 있어서 그 길이방향이 반송 방향에 대하여 직교되는 자세가 되도록 평면적으로 90°턴되어 웨이스트 탄성부재 배치장치(302)로 반송된다. 자세 변경 이후의 주라인의 흐름이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나고 있다.
한편, 허리아래 탄성부재 띠공급라인 및 둔부 탄성부재 띠공급라인(310),(310)에 있어서, 허리아래 탄성부재띠(403) 및 둔부 탄성부재띠(404)가 각각 제조된다. 즉 각 라인(310),(310)에 있어서 먼저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띠모양의 지지시트(402S)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탄성부재(402G)를 신장상태로 배치 고정하여, 연속 띠모양의 신축시트형부재(402)를 형성한다. 특히 한 쌍의 띠모양 부직포를 접착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이들 사이 전체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도록 탄성부재를 배치 고정하여 연속 띠모양의 신축시트형부재(40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또 한편 도 19에 나타낸 바 와 같이 부직포로 이루어진 띠모양 반송시트(401)을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도포장치(311)에 있어서 이 띠모양 반송시트(401)에서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정된 탄성부재 첨부 영역의 상부표면 전체에 핫멜트 접착제(HM)를 차례차례 도포하고 이어서 다이커터(312)에 의해 이 접착제 도포영역(HM)의 가장자리부 도포영역을 제외한 중앙부에 개구(401H)를 차례차례 병설한다. 그러한 후에 슬립커터(313)에 있어서 별도 공급된 연속 띠모양의 신축시트형부재를 슬립시키면서 소정길이로 차례차례 커트함과 동시에, 이 커트신축시트형부재(402)를 반송시트(401)에 대해서 그 개구(401H)의 접착제 도포 가장자리 상부표면 사이에 걸쳐서 또한 개구(401H) 전체를 가리도록 차례차례 타이밍을 잡아 비신장상태로 점착 고정한다. 이렇게 하여 탄성부재(402),(402)가 길이방향(제품 폭방향이 되는 방향)에 간헐적으로 부착된 하복부 탄성부재띠(403) 및 둔부 탄성부재띠(404)가 각각 제조된다.
그 다음에 이들 허리아래 탄성부재띠(403) 및 둔부 탄성부재띠(404)는 주라인(300)의 몸통 주위 탄성부재 배치장치(302)에 공급되며, 그리하여 도 16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부재(402)를 접착한 측을 상부표면으로 하여 반송라인의 각 측단부(하복부 상당 부분 및 둔부 상당 부분)에 각각 배치하고, 그 상부의 소정 위치에 전술한 흡수주체(10)가 배치되며, 그 다음에 레그 홀 다이 커터(303)에 있어서 허리아래 탄성부재띠(403) 및 둔부 탄성부재띠(404)에서의 소정부분이 차례차례 절단되어 다리 둘레 개구부(RH),(RH)가 형성된 후, 웨이스트 탄성부재의 배치를 수행하는 슬립커터장치(304)로 이송된다. 이렇게 하여 허리아래 탄성부재띠(403) 및 둔부 탄성부재띠(404)의 각 탄성부재(402),(402)가 제품 폭방향을 따라 간헐적으로 배치되어진다.
한편, 웨이스트 탄성부재 띠공급라인(320)에 있어서 한 쌍의 웨이스트 탄성부재띠(410),(410)가 제조된다. 즉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한 쌍의 띠모양 부직포(405),(405)를 접착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이들 사이에서의 폭방향 양측 가장자리부(406),(406)을 제외한 중앙부 전체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된 실고무 등의 연속 탄성부재(407)를 신장상태에서 여러 개가 평행하게 배치 고정되어, 연속되는 띠모양 탄성부재(408)를 차례차례 제조한다. 이어서 이 띠모양 탄성부재(408)를 슬립커터장치(304)에 있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또한 점착한 탄성부재(407)를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그리고 타측에서 일측으로 소정의 시트 길이방향 간격으로 교대로 횡단하는 파상커트(도시한 예에서는 직사각형 파상)에 의해 2분할하여 탄성부재가 없는 측가장자리부(406)와 그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가장자리부 커트측으로 비어져 나오는 복수의 탄성부재 고정장출부(固定張出部)(409),(409)를 각각 가지는 한 쌍의 웨이스트 탄성부재띠(분할 띠모양부재)(410),(410)을 형성하여, 이들을 주라인으로 공급한다. 또한 이 때, 절단 직후의 한 쌍의 웨이스트 탄성부재띠는 장출부(409),(409)의 위상이 어긋나 있지만, 슬립커터장치(304)에서의 슬립 이송에 의해 어느 쪽이든 한쪽의 분할 띠모양부재(410)의 위상이 조정되어 장출부(409),(409) 상호 위상이 맞추어진 후에,주라인으로 공급된다.
슬립커터장치(304)로 이송된 한 쌍의 분할 띠모양부재(410),(410)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일측(410)이 별도로 이송되어 오는 배치가 끝난 허리아래 탄 성부재띠(403)상의 소정위치에 앞몸통 둘레 영역측 웨이스트 탄성부재로서 그리고 타측(410)이 둔부 탄성부재띠(404)상의 소정위치에, 뒷몸통 둘레 영역측 웨이스트 탄성부재로서 각각 신장상태로 배치 고정된다. 이렇게 하여 외측시트 안쪽에 부착하는 부재 모두가 소정위치에 배치된 상태가 되어, 이들이 그대로 외측시트 부착장치(305)로 차례차례 이송된다.
외측시트(420)는 외측시트 제조라인(330)에서 별도로 제조되어 부착장치(305)로 공급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먼저 미리 소정의 직사각형으로 커트한 외측시트(420)의 제품 표면측이 되는 면에 슬립커터장치(331)에서 차례차례 커트되어 공급되는 디자인 시트(422)가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치 고정된다. 도시예에서는 디자인 시트(422)는 비치지 않는 필름재료로 형성됨과 동시에 표면에 도안이 부여되며, 외측시트(420) 표면(상면)에서의 흡수주체와 대응하는 부분을 덮도록 배치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외측시트(420) 배치에 의해 다음에 몸통 주위 탄성부재의 제품 폭방향 중앙부가 가리워지며, 앞몸통 둘레 영역 및 뒷몸통 둘레 영역 양쪽 모두 보기 좋게 말끔하게 보인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서는 외측시트(420)의 양측 가장자리부(421),(421)를 되접음과 동시에, 그 사이에 착색된 우레탄 필름 등의 보강부재(423)를 사이에 두고 접착하여, 해당 가장자리부의 말단부분을 강하게 하도록 한다. 이 보강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칼라 핫멜트 접착에 따라 측가장자리부(421),(421)를 강조시키거나 말단부분을 강하게 하거나 해도 좋다.
이렇게 하여 제조된 외측시트(420)이 주라인(300)의 부재부착장치(305)로 공 급되어 이 부재공급장치(305)에서 그 제품 폭방향이 될 방향이 주라인 반송방향이 되도록 턴된 후, 그 후에 별도로 이송되어 오는 허리아래 탄성부재띠(403), 둔부 탄성부재띠(404), 흡수주체(10) 및 웨이스트 탄성부재(410),(410)가, 외측시트(420)상의 소정위치에 배치 고정된다(도시되지 않음). 그 후에 이들은 외측시트(420)와 함께 절곡장치장치(306)에 의해 도 16 및 도 17과의 대비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앞몸통 둘레 영역(F) 및 뒷몸통 둘레 영역(B)의 양측 가장자리부(30),(30)가 겹치도록 두 번 접히고, 계속하여 히트실장치(307)에 의해 양측 가장자리부(30),(30)가 히트실 된 후, 슬리터 커터(308)에서 반송을 위하여 남겨 둔 잔여 부분(430)이 잘리어 몸통 둘레 개구 단가장자리 상당 부분이 형성되고, 계속되어 최종 커터(309)에서 연속되는 제품 서로가 그 측가장자리부(30),(30) 사이에 상당 부분을 따라 잘리며, 그리고 제품 치수에 맞도록 커트되어 개개의 기저귀(PO),(PO)…로 된 후, 차례차례 도시되지 않은 계수 장치로 송급된다.
이렇게 하여 제조된 종이기저귀는 도 22에 전개상태(표면측)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하복부 신축시트형부재(402),(402)가 앞몸통 둘레 영역(F)에서의 일측의 접합부(30)로부터 타측의 접합부(30)까지의 부분 중 흡수체 중앙부와 대응하는 부분이 불연속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둔부 신축시트형부재(402),(402)도 뒷몸통 둘레 영역(B)에서의 일측의 접합부(30)로부터 타측의 접합부(30)까지의 부분 중 흡수체 중앙부와 대응하는 부분이 불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또 이들 하복부 및 둔부의 신축시트형부재(402),(402)…중에서 웨이스트 탄성부재(407),(407)와 연속되는 부분은 기능적으로도 개념적으로도 웨이스트 탄성부재를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본 제조방법 에 따른 종이기저귀에 있어서는, 각 하복부 및 둔부 신축시트형부재(402),(402)는 그 주연부를에 따른 コ자형 프레임 형상의 지지시트(432),(432)(원래는 반송시트(401))와 함께 피부착부재에 부착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하복부 및 둔부 신축시트형부재(402),(402)…는 흡수체의 폭방향 전부분과 대응되는 부분을 불연속적으로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제 2 형태에 있어서는 다음의 (가)∼(다)와 같은 변형도 가능하다.
(가) 상기 예에 있어서, 웨이스트 탄성부재띠 공급라인(320)의 간헐부착기구는, 허리아래 탄성부재띠 공급라인 및 둔부 탄성부재띠 공급라인(310),(310)의 간헐부착 기구에 적용할 수 있다. 나아가 이것과 함께 또는 별도로 허리아래 탄성부재띠 공급라인 및 둔부 탄성부재띠 공급라인(310),(310)의 간헐부재구성을 웨이스트 탄성부재띠공급라인(320)의 간헐부착기구에 적용하거나 어느 한 쪽 라인에 공지된 탄성부재 부착방법을 채용할 수도 있다.
(나) 둔부 탄성부재띠 공급라인(310)만을 변경하고,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탄성부재를 가지는 둔부 탄성부재띠를 제조 공급하도록 구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도 18에 나타낸 연속 띠모양의 신축시트형부재(402)를 제조하여, 이것을 그대로 전술한 주라인(300)의 몸통 주위 탄성부재 배치장치(302)에 공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둔부 탄성부재만을 뒷몸통 둘레 영역의 일측 측가장자리부로부터 타측 측가장자리부까지 연속적으로 배치 고정한 종이기저귀를 제조할 수 있다.
(다) 한편, 상술한 부착방법의 예에서는 허리아래 탄성부재띠 공급라인 및 둔부 탄성부재띠 공급라인을 별개로 형성하였지만, 예를 들면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허리아래 탄성부재띠 및 둔부 탄성부재띠 공급라인을 1라인으로 하고, 그리하여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폭넓은 탄성부재띠(510)을 제조하며, 이것을 폭방향 중심선(L)를 따라 잘라내어 2분할, 일측을 허리아래 탄성부재띠(513)로서 그리고 일측을 둔부 탄성부재띠(514)로서 전술한 주라인(300)의 몸통 주위 탄성부재 배치장치(302)에 공급하여 각 위치에 배치하도록 구성할 수가 있다.
(제 3 형태)
도 25는 제 3 형태에 따른 팬츠 타입의 종이기저귀의 조립 공정을 나타내고 있으며, 흡수주체 제조공급라인(600)과 외형시트 제조공급 제조라인(700)과 최종 처리라인(800)으로 구성되어 있다.
흡수주체 제조공급라인(600)에 있어서는, 먼저 흡수성 코어가 그 길이방향이 반송방향을 따르도록 공급되어 이 위에 투액성 탑시트가 덮혀 고정되며, 또한 이 투액성 탑시트의 양측 단부에 기립 커프가 각각 배치 고정된다. 그 다음에 이들은 별도로 공급되는 불투액성 백시트 위에 배치 고정되어 흡수주체(10)가 완성된다. 본실시예의 경우, 불투액성 백시트는 미리 그 양측 단부를 되접음과 동시에, 그 사이에 착색된 우레탄 필름 등의 보강부재를 사이에 두어 접착하며, 해당 가장자리부의 말단부분을 강하게 하도록 가공된다(보강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칼라 핫멜트 접착에 의해 측가장자리부를 강조시키거나 말단부분을 강하게 하거나 해도 좋다).
이렇게 하여 제조된 흡수주체(10)는 90° 턴장치(610)에 있어서, 그 길이방향이 반송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모양이 되도록 평면적으로 90° 턴되어 최종 처 리라인(800)의 외형시트 부착장치(801)로 반송된다.
한편, 외형시트 제조공급 제조라인(700)에 있어서, 제품 폭방향으로 연속하는 띠모양의 외형시트(701)에 대해서 허리아래 탄성부재 및 둔부 탄성부재 및 웨이스트 탄성부재가 부착된다.
상세하게는 띠모양 외형시트(701)가 먼저 슬립커터장치(710)로 이송된다. 이 슬립커터장치(710)에서 별도로 공급된 디자인 시트(702)가 슬립되면서 소정형상으로 차례차례 커트 됨과 동시에, 도 28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커트 된 디자인 시트(702),(702)가 띠모양 외형시트(701)의 상부표면에서의 앞몸통 둘레 영역 폭방향 중앙부 및 뒷몸통 둘레 영역 폭방향 중앙부에 대해 핫멜트 접착 등에 의해 각각 배치 고정된다. 디자인 시트(702)로서는 비쳐 보이지 않는 재질의 필름 등에 도안 등을 부가한 것을 이용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 이 디자인 시트(702),(702)를 붙인 외형시트(701)는 몸통 주위 탄성부재 부착용 슬립커터(720)에 공급되어 본 발명에 따라 허리아래 탄성부재 및 둔부 탄성부재가 각각 부착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허리아래 탄성부재띠 공급라인 및 둔부 탄성부재띠 공급라인(730),(730)을 개별적으로 구비하고 있으며, 각 라인(730)에서는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띠모양의 지지시트(703S)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실고무 등의 연속 탄성부재(703G)를 신장상태로 배치 고정한 연속 띠모양의 신축시트형부재(703)가 슬립커터장치(731)로 공급된다. 또한 여기에서 이용하는 한 쌍의 연속 띠모양의 신축시트형부재(703),(703)로서는 개별 라인으 로 제조해도 되지만, 1개의 연속 띠모양의 신축시트형부재를 형성한 후, 이것을 슬리터 커터에 의해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절단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슬립커터장치(731)에 대하여, 띠모양 신축시트형부재(703)보다도 폭이 넓은 연속 띠모양 유지시트(704)가 별도로 공급되어, 이 연속 띠모양 유지시트(704)가 슬립되면서 소정 길이로 차례차례 커트된다. 유지시트(704)로서는 외형시트나 탄성부재에 대한 접착성이 양호한 필름이나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커트 된 유지시트(704)는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띠모양 신축시트형부재(703) 상부표면에 대해 그 연속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핫멜트 접착 등에 의해 고정된다.
이렇게 하여 제조된 유지시트를 가진 신축시트형부재(703)가 몸통 주위 탄성부재 부착용 슬립커터(720)에 대해서 이송된다. 몸통 둘레 탄성부재 부착용 슬립커터(720)에 있어서, 유지시트를 가진 띠모양 신축시트형부재(703)가 슬립되면서 유지시트 중앙선(띠모양 신축시트형부재(703)의 폭방향을 따르는 중앙선)을 따라 차례차례 절단 되며, 이 절단된 유지시트를 가진 신축시트형부재(703),(703)…는 서로 별개로 된 한 쌍의 유지시트(704),(704)(유지부재)가 제품 폭방향 양단부에 고정됨과 동시에, 각 유지시트(704),(704)가 각 신축시트형부재(703)의 겨드랑이로 비어져 나오게 되며,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품 폭방향으로 신장되면서 또한 도 31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시트(704)의 비어져 나오는 부분(S),(S)도 포함하여 접착제에 의하여, 차례차례 이송되어 오는 디자인 시트를 갖는 외형시트(701)의 표면에 차례차례 고정된다. 또한 이 고정상태의 제품 폭방향에 따른 종단면이 도 32에 나타나 있다.
이렇게 하여 신축시트형부재(703)는 그 자체가 신축되지 않는 유지시트(S),(S)를 개입시켜 외형시트(701)에 접착되고, 또한 신축시트형부재(703) 자체도 외형시트(701)에 대한 접착 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신장된 신축시트형부재(703)가 그 수축력에 저항하여 신장상태로 유지된 상태로 외형시트(701)에 접착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신축시트형부재(703)를 불연속(간헐)적으로 부착하는 경우에서도 신장상태로 외형시트(701)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탄성부재(703)를 부착한 외형시트(701)는, 푸시시트 부착용 슬립커터장치에(740)로 공급된다. 이 슬립커터장치(740)에 있어서는, 별도의 연속 띠모양의 푸시시트(705)가 공급되고, 이것이 슬립되면서 소정형상으로 차례차례 커트되어, 도 28 외에 도 33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들 커트 된 푸시시트(705),(705)가, 차례차례 이송되어 오는 외형시트(701)의 상부표면에 간헐적으로 부착된 각 유지시트를 가진 신축시트형부재(703)의 상부표면 전체에 차례차례 씌울 수 있는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각각 접착된다.
그 다음에 이 외형시트(701)는 차례차례 다이커터장치(750)에 이송되어, 여기에서 다리 둘레 개구부 상당 부분의 구멍이 형성된다. 도 28에서는 이 구멍이 형성된 부분을 706으로 나타냈다.
이상의 부착 및 가공이 실시된 외형시트(701)는 계속적으로 최종 라인(800)의 외형시트 부착장치(810)로 이송된다. 여기에서는 먼저 차례차례 이송되어 오는 외형시트(701)의 상부표면에 대해,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개의 연속 탄성 부재(707)가 간격을 두어 평행하게 몸통 둘레 개구 가장자리부로 공급되며, 핫멜트 접착에 의해 고정된다. 계속적으로 도 28 외에 도 34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외형시트(701)의 제품 폭방향 중앙부 상당 부위에 대해, 별도로 이송되어 오는 흡수주체(10)가 배치되어 핫멜트 접착에 의해 고정된다.
이렇게 하여 각종부재의 부착이 완료된 외형시트(701)는 다음 절곡장치(820)에 의해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몸통 둘레 영역(F) 및 뒷몸통 둘레 영역(B)의 양측 가장자리부(30),(30)이 겹치도록 두 번 접히며, 계속되는 히트실장치(830)에 의해 양측 가장자리부(30),(30)가 히트실 된 후, 파이널커터(840)에서 반송을 위해서 남겨 둔 잔여 부분이 잘려져 나가 몸통 둘레 개구 단가장자리 상당 부분이 형성됨과 동시에, 연속된 제품 서로가 그 측가장자리부(30),(30) 사이의 상당 부분을 따라 잘리고 그리고 제품 치수에 맞도록 커트 되어 각각의 기저귀(PO),(PO)…가 된다. 이들 각각의 기저귀(PO),(PO) 는 필요에 따라서 전사롤러(850)에 의해 외형시트(201)의 표면에 그림이나 모양 등이 전사 된 후, 차례차례 계수 장치(미도시)로 송급된다.
이렇게 하여 제조된 종이기저귀는, 도 35에 전개상태(표면측)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하복부 신축시트형부재(703),(703)가, 앞몸통 둘레 영역(F)에서의 일측의 접합부(30)로부터 타측의 접합부(30)까지의 부분 중 흡수체 중앙부와 대응하는 부분이 불연속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둔부 신축시트형부재(703),(703)도, 뒷몸통 둘레 영역(B)에서의 일측의 접합부(30)로부터 타측의 접합부(30)까지의 부분 중 흡수체 중앙부와 대응하는 부분이 불연속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 종이기저귀에 있 어서는, 각 하복부 및 둔부 신축시트형부재(703),(703)는 불연속 측단부에 유지시트편(704),(704)가 각각 적층 고정된다. 또한 각각 외면상 보기에 좋은 유지시트편(704),(704)은 서로 독립되어 있다. 또한 이 종이기저귀에서는 하복부 및 둔부 신축시트형부재(703),(703)…의 흡수체 측단부가 흡수주체(10)의 측단부와 겹치도록 되어 있지만, 이 겹친 부분의 탄성부재는 기저귀 표면측으로부터는 디자인 시트에 숨겨져 안보이게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복부 및 둔부 신축시트형부재(703),(703)…는 흡수체의 폭방향 전부분과 대응하는 부분을 불연속으로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제 3 형태에서 다음과 같은 변형도 가능하다.
(가) 상기 부착형태에 있어서, 푸시시트를 유지시트를 가진 탄성부재에 대응하여 간헐적으로 붙이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슬립커터장치가 필요했지만, 도 3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립커터장치를 생략하여, 도 3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속 띠모양의 푸시시트(705X)를 그대로 유지시트를 가진 탄성부재 부착 부위를 따라 연속적으로 붙일 수도 있다.
(나) 도 7등에서의 둔부 탄성부재띠 공급라인(230)을 생략하고 그 대신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종래와 같이 외형시트(201)의 소정부위에 대하여 직접, 연속된 실고무 등의 탄성부재를 신장상태로 또한 제품 폭방향을 따라 배치하여,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둔부 탄성부재만을 뒷몸통 둘레 영역(B)의 일측 측가장자리부(30)로부터 타측 측가장자리부(30)까지 연속적으로 배치 고정한 종이기저귀라고 할 수 있다.

Claims (23)

  1. 흡수체를 가지고, 사용상태에 있어서 웨이스트 개구부 및 좌우의 다리 둘레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웨이스트 개구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다리 개구 시작단에 이르는 길이 범위의 뭄통 둘레부에서 둘레방향을 따라서 또한 세로방향으로 간격을 갖는 다수의 탄성부재를 갖는 일회용 종이기저귀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실 고무이고, 상기 탄성부재로서 앞몸통 둘레 영역에 있어서 웨이스트부 및 허리아래 부분에 각각 설치된 웨이스트 탄성부재 및 허리아래 탄성부재와, 뒷 몸통둘레영역에 있어서 웨이스트부 및 둔부에 각각 설치된 웨이스트 탄성부재 및 둔부탄성부재를 갖으며,
    상기 허리아래 탄성부재 및 상기 둔부탄성부재에서의 상호 간격이 상기 웨이스트 탄성부재에서의 상호 간격과 같거나 짧고, 상기 허리아래 탄성부재 및 상기 둔부탄성부재의 신장응력 및 단면 외형은 상기 웨이스트 탄성부재의 신장응력 및 단면 외형과 같거나 작으며,
    제품의 외면을 구성하는 복수 층으로 이루어진 외형시트를 구비하여,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외형시트층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 및 뒷 몸통 둘레영역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흡수체가 위치하는 길이 범위의 일부 또는 전부분이 불연속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일회용 종이기저귀.
  2. 제1항에 있어서, 앞몸통 둘레 영역의 양측과 뒷몸통 둘레영역의 양측이 접합된 팬티형의 일회용 기저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종이기저귀.
  3. 삭제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투액성 톱 시트와 불투액성 백시트와의 사이에 상기 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주체가, 상기 외형시트의 사용면 측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종이기저귀.
  6. 제 1항 내지 제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가 위치하는 부분에 제품의 이면측에 실제로 확인 가능한 디자인이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종이기저귀.
  7. 제1항 내지 제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굵기가 620dtex이하이고, 상기 탄성부재의 간격이 7.0mm이하이며, 상기 탄성부재가 제품의 외면을 구성하는 시트에 대하여 부착된 영역이, 상기 뭄통 둘레부의 60%이상의 길이 범위에 걸쳐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종이기저귀.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 내지 제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형시트의 이면을 구성하는 부직포 시트는 일본공업규격(JIS P 8138)에 의거한 불투명도가 5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종이기저귀.
  13. 제1항 내지 제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형시트의 이면을 구성하는 부직포 시트는, 일본공업규격(JIS P 8138)에 의거한 불 투명도가 40%이상이며, 상기 탄성부재의 굵기가 925dtex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종이기저귀.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간격이 7.0mm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종이기저귀.
  15.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외형시트의 이면을 구성하는 부직포 시트는 40g/m2 이하로서 두께가 0.1mm이상으로, 일본공업규격(JIS P 8143)에 규정된 강도(剛度)가 10mm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종이기저귀.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신장률은 150∼350%이며, 신장응력이 150% 신장시에 4∼17g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종이기저귀.
  17. 제 1 항 내지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웨이스트 개구 가장자리로부터 다리 개구 시작단에 이르는 길이 범위의 뭄통 둘레부 중에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웨이스트 개구 가장자리로부터 세로방향으로 30mm 이내의 위치로부터, 다리 개구 시작단으로부터 웨이스트 개구 가장자리측의 10mm 이내의 위치에 이르는 길이범위에 걸쳐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종이기저귀.
  18. 제 1 항 내지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시트에 배치고정하여 된 신축시트부재가 상기 외형 시트층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 및 뒷 몸통 둘레영역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있어서 상기 신축시트부재가 ,상기 흡수체가 위치하는 길이범위의 일부 또는 전부분이 불연속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종이기저귀.
  19. 제18항 기재의 일회용 종이 기저귀를 제조할 때, 띠모양의 지지시트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탄성부재를 배치 고정하고,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절단하여 복수의 신축시트형부재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신축시트형부재를 피부착부재에 대하여 제품 폭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불연속적으로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종이기저귀의 제조에서의 탄성부재 부착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띠모양의 지지시트에 길이방향으로 탄성부재를 배치 고정하고, 길이방향으로 소정을 간격을 두고 절단하여 복수의 신축시트형부재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신축시트형부재를, 탄성부재의 신장상태로 각 신축시트형부재 사이의 인접단부를 제외한 부분을 피부착부재에 접촉 고정하고, 이 미접착된 인접부분을 수축시켜 상기 신축시트형부재 서로를 이격시켜서 불연속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종이기저귀의 제조에서의 탄성부재 부착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띠모양의 지지시트에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접착제를 도포하고, 이 접착제를 도포한 중앙부분을 개구하며, 상기 신축시트형 부재를, 상기 띠모양 지지시트 개구의 접착제가 도포된 개구 가장자리에 배치 고정하여,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신축시트형부재가 불연속적으로 부착된 띠모양 시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종이기저귀의 제조에서의 탄성부재 부착방법.
  22. 제 19항에 있어서, 띠모양의 지지시트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탄성부재를 배치 고정한 후, 파도 모양으로 가로지른 파도형 커트에 의해 2분할되어, 이들 분할부재를 그 길이방향이 제품 폭 방향으로 따라가도록 피부착부재에 대하여 일측을 하복부측에, 타측을 둔부측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종이기저귀의 제조에서의 탄성부재 부착방법.
  23. 제 19항에 있어서, 띠모양의 지지시트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탄성부재를 배치 고정한 후,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유지부재를 고정하고, 이 고정한 유지부재를 개재하여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종이기저귀의 제조에서의 탄성부재 부착방법.
KR1020037000776A 2000-07-19 2001-07-19 일회용 종이기저귀 및 그 일회용 종이기저귀의 탄성부재의부착방법 KR1008187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18559A JP4198307B2 (ja) 2000-07-19 2000-07-19 紙おむつの製造における伸縮部材取付方法
JPJP-P-2000-00218559 2000-07-19
JPJP-P-2000-00374190 2000-12-08
JP2000374190A JP4198313B2 (ja) 2000-12-08 2000-12-08 使い捨て紙おむつ
PCT/JP2001/006306 WO2002005738A1 (fr) 2000-07-19 2001-07-19 Couche en papier jetable et procede de fixation des elements extensibles d'une telle couch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4790A KR20030024790A (ko) 2003-03-26
KR100818719B1 true KR100818719B1 (ko) 2008-04-07

Family

ID=26596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0776A KR100818719B1 (ko) 2000-07-19 2001-07-19 일회용 종이기저귀 및 그 일회용 종이기저귀의 탄성부재의부착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329245B2 (ko)
KR (1) KR100818719B1 (ko)
AU (1) AU2001272772A1 (ko)
WO (1) WO20020057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037462T2 (de) * 1999-10-22 2008-04-17 Archus Orthopedics Inc., Redmond Facettenarthroplastiegeräte
US7727214B2 (en) * 2000-11-29 2010-06-01 Daio Paper Corporation Disposable diaper with spaced elastic leg openings for improved appearance
KR100838672B1 (ko) * 2001-03-15 2008-06-16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일회용 기저귀 및 이것에 이용되는 신축성 시트의 제조 방법
US8333749B2 (en) * 2003-05-20 2012-12-18 Dsg Technology Holdings Ltd.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regions of varying elasticity
US7604624B2 (en) 2003-05-30 2009-10-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overlapping absorbent assembly secured to front and back panels
US20050010188A1 (en) * 2003-07-10 2005-01-13 Glaug Frank S. Efficiently manufacturable absorbent disposable undergar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bsorbent disposable article
JP4652724B2 (ja) * 2003-08-19 2011-03-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US8496638B2 (en) * 2004-06-30 2013-07-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having a waist region and corresponding fasteners that have matching stretch properties
JP4630622B2 (ja) * 2004-10-01 2011-02-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ES2765494T3 (es) * 2005-06-09 2020-06-09 Hartmann Paul Ag Banda de material compuesto, pañal desechable y proceso para la fabricación del mismo
JP5030775B2 (ja) * 2005-06-15 2012-09-19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US20070073262A1 (en) * 2005-09-28 2007-03-29 Kimberly Babusik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070073259A1 (en) * 2005-09-29 2007-03-29 Erdman Edward P Absorbent article with dual gather leg cuff assemblies
JP4871099B2 (ja) * 2006-11-15 2012-02-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おむつ
US20080287899A1 (en) * 2007-05-14 2008-11-20 Tyco Healthcare Retail Services Ag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080287897A1 (en) * 2007-05-14 2008-11-20 Tyco Healthcare Retail Services Ag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080287898A1 (en) * 2007-05-14 2008-11-20 Tyco Healthcare Retail Services Ag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of making same
WO2009031393A1 (ja) * 2007-09-05 2009-03-12 Uni-Charm Corporation 吸収性物品
AU2013263699B2 (en) * 2007-09-05 2015-06-04 Uni-Charm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US8551064B2 (en) * 2008-06-17 2013-10-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JP5690050B2 (ja) * 2009-05-22 2015-03-25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385075B2 (ja) 2009-09-30 2014-01-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着用物品
EP2507781B1 (en) * 2009-12-02 2017-04-12 Bedford Industries, Inc. Labeling article and manufacturing methods
US20130255861A1 (en) 2012-03-30 2013-10-03 Uwe Schneider Apparatuses and Methods for Making Absorbent Articles
US9050213B2 (en) 2012-03-30 2015-06-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es and methods for making absorbent articles
US9039855B2 (en) 2012-03-30 2015-05-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es and methods for making absorbent articles
JP5886418B2 (ja) 2012-03-30 2016-03-16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伸縮部材切断ロールシステム、方法、及びそれらから作製される吸収性物品
US9028632B2 (en) 2012-03-30 2015-05-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es and methods for making absorbent articles
US8440043B1 (en) 2012-03-30 2013-05-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process and apparatus for intermittently deactivating elastics in elastic laminates
AU2013260616B2 (en) 2012-05-09 2016-03-24 Unicharm Corporation Composite stretchable member
WO2013170433A1 (en) 2012-05-15 2013-11-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characteristic waist end
CN104284645B (zh) 2012-05-15 2016-10-19 宝洁公司 制备用于吸收制品的层合体的方法
US10524964B2 (en) 2013-11-05 2020-01-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waistband
CN113397472A (zh) * 2015-03-16 2021-09-17 奇跃公司 穿戴式增强现实装置和穿戴式虚拟现实装置
JP6560915B2 (ja) * 2015-06-29 2019-08-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6913423B (zh) * 2016-08-31 2019-11-12 黄山富田精工制造有限公司 输送装置
CN110022815B (zh) * 2016-12-05 2022-01-04 易希提卫生与保健公司 一次性裤型吸收性物品
BR112019023938A2 (pt) 2017-05-17 2020-06-09 Berry Global Inc sistema de laminação
US20200214905A1 (en) * 2017-09-27 2020-07-09 Daio Paper Corporation Elastic member and disposable wearing article including elastic member
CN111479540B (zh) * 2017-12-28 2022-11-08 尤妮佳股份有限公司 吸收性物品
US20210267817A1 (en) * 2018-07-31 2021-09-02 Daio Paper Corporation Disposable wearable article
JP7104602B2 (ja) * 2018-10-12 2022-07-21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使い捨ておむつ
JP1675979S (ko) * 2020-05-27 2021-01-04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7125A (ja) * 1993-10-21 1995-05-09 Kao Corp 伸縮性材並びにそ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77566A (ja) * 1996-07-11 1998-03-24 Uni Charm Corp 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253489A (ja) * 1999-01-07 1999-09-21 Kao Corp 使い捨ておむつ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84416B1 (en) * 1982-01-18 1986-09-03 Stephen David Mills Stopper support mechanism for casting containers
US4908247A (en) * 1986-04-15 1990-03-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ticle including segment which is elastically shirrable after manufacture
JP3156251B2 (ja) 1990-10-26 2001-04-16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MY109047A (en) * 1990-10-31 1996-11-30 Kao Corp Disposable diaper
JP3580323B2 (ja) 1995-02-08 2004-10-20 王子製紙株式会社 使いすておむつ
JP3184104B2 (ja) * 1996-11-06 2001-07-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おむつ
DE69838982T2 (de) * 1998-05-29 2008-12-24 Toyo Eizai K.K., Kawanoe Wegwerfunterhose und verfahren zu ihre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JP4421012B2 (ja) * 1999-06-16 2010-02-24 株式会社瑞光 使い捨てパンツ及びその製造方法
JP4248107B2 (ja) 1999-11-19 2009-04-02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6620146B2 (en) * 2001-04-20 2003-09-16 Paragon Trade Brands, Inc. Adult incontinence article with body-shaping elastic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7125A (ja) * 1993-10-21 1995-05-09 Kao Corp 伸縮性材並びにそ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77566A (ja) * 1996-07-11 1998-03-24 Uni Charm Corp 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253489A (ja) * 1999-01-07 1999-09-21 Kao Corp 使い捨ておむ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329245B2 (en) 2008-02-12
KR20030024790A (ko) 2003-03-26
US20040015146A1 (en) 2004-01-22
AU2001272772A1 (en) 2002-01-30
WO2002005738A1 (fr) 2002-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8719B1 (ko) 일회용 종이기저귀 및 그 일회용 종이기저귀의 탄성부재의부착방법
US10932960B2 (en) Stretch breathable protective absorbent article using bilaminate
EP1355604B1 (en) Disposable absorbent garment such as a diaper or training pants and a process of making the same
JP4225755B2 (ja) 使い捨て吸収性物品
RU2580990C2 (ru) Подгузник одноразов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0591095B1 (ko) 일회용팬츠형착용물품
CA2364233C (en) Disposable absorbent garment having stretchable side waist regions
US6531015B1 (en) System and process for making a disposable absorbent garment such as a diaper training pants
US20150297419A1 (en) Stretch breathable protective absorbent article using bilaminate
CA2950323C (en) Stretch breathable protective absorbent article using bilaminate
JP2001061890A (ja) 吸収性物品
JP4197835B2 (ja) 吸収性物品
JPH07299094A (ja) 使い捨ておむつまたは使い捨てパンツ
TW201517887A (zh) 用後即棄型紙尿褲
JP2007236649A (ja) 吸収性物品
JP4912373B2 (ja) 紙おむつの製造における伸縮部材取付方法
JP4198307B2 (ja) 紙おむつの製造における伸縮部材取付方法
JP2003339750A (ja) 使い捨て吸収性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286504A (ja)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H09154881A (ja) 使いすておむつ
JPH1147188A (ja) 使いすて着用物品
JP2009261980A (ja) 紙おむ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