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5765A - 낙상 감지기와 이를 이용한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낙상 감지기와 이를 이용한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5765A
KR20210035765A KR1020200124259A KR20200124259A KR20210035765A KR 20210035765 A KR20210035765 A KR 20210035765A KR 1020200124259 A KR1020200124259 A KR 1020200124259A KR 20200124259 A KR20200124259 A KR 20200124259A KR 20210035765 A KR20210035765 A KR 20210035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fall
control unit
protected
pers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4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9929B1 (ko
Inventor
위보환
Original Assignee
위보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보환 filed Critical 위보환
Publication of KR20210035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5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76Cameras to detect unsafe condition, e.g. video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 G08B21/043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detecting an emergency event, e.g. a fal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낙상 감지기와 이를 이용한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호대상자의 침대를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 및 침대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보호대상자가 침대에서 낙상한 상태 또는 낙상할 가능성을 판단하여 보호자 또는 간병인에게 즉시 통보하여 낙상 사고에 적극적이고 대처할 수 있는 낙상 감지기와 이를 이용한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낙상 감지기를 이용한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은 낙상 감지기가 침대의 가장자리 또는 침대에 인접한 바닥면에 설치되어 보호대상자가 낙상의 상태이거나 낙상위험이 있는 움직임 상태임을 원거리에 있는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어 상황에 따른 즉각대처가 가능하여 안전사고 발생이 감소될 수 있으며 관리 효율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낙상 감지기와 이를 이용한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Fall detector and fall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낙상 감지기와 이를 이용한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호대상자의 침대를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 및 침대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보호대상자가 침대에서 낙상한 상태 또는 낙상할 가능성을 판단하여 보호자 또는 간병인에게 즉시 통보하여 낙상 사고에 적극적이고 대처할 수 있는 낙상 감지기와 이를 이용한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료과학의 발전과 인간수명의 증가에 따른 노령인구가 증가하면서 노령인구에 대한 의료복지혜택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와 비례하여, 많은 노령자 및 신체활동이 부자유스러운 사람들이 홀로 거주하는 현상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실버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데, 그 하나가 환자를 감시할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하여 이상 발생시에 의료센터나 친인척들에게 자동으로 구급 통보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었다.
그러나, 종래의 환자 감시 모니터링 시스템은 병실을 단순 모니터링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보양원이나 양로원 또는 노인 지정병원 등의 경우의 독거 노인, 장기요양환자, 치매증상이나 정신질환을 가지고 있는 지각능력저하 장애자 등과 같이 스스로 자신을 돌볼 수 없는 무의탁 노인이나 환자는 별도의 노인 요양병원이나 정신병원 등에 입원시켜 담당 의사나 간호사들이 이들과 함께 생활하면서 돌보고 있으나, 무의탁 노인이나 환자가 담당의사나 간호사 없이 스스로 해결할 수 없는 긴급한 상황이 발생하면 직접 휴대폰 또는 긴급연락용 단말기기 등을 이용하여 연락을 취하여야 하나 직접적으로 조작할 수 조차 없는 경우가 번번히 발생되어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특히,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관리가 소홀한 야간 취침시에 환자용 침대에서 갑작스럽게 낙상하는 경우에는 환자 스스로가 별도의 조치를 취할 수조차 없어 낙상 자체로 큰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다시 말해, 거동이 불편한 무의탁 노인이나 환자가 야간에 취침시에 환자용 침대에서 낙상하는 경우에 있어 사전에 대응이 미흡하여 신변파악과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아 여러 위험요소에 노출되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종래 낙상을 방지하는 침대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07157호에는 보호자 또는 간병인이 자리를 비울 경우에만 침대 측면을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보호대상자가 낙상하는 것을 방지하는 의료용 침대 낙상방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의료용 침대 낙상방지장치는 보호대상자 낙상 방지를 위해 침대 일측을 지속적으로 폐쇄하여야 하므로 보호대상자가 심리적으로 답답할 수 있으며, 긴급 상황 시 보호자 또는 간병인이 즉시 확인하는 것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83067 : 낙상방지용 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35232호 : 낙상 방지용 침대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호대상자와 함께 침대를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 및 침대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보호대상자가 침대에서 추락할 가능성 및 위험도를 분석하여 추락 가능성 및 추락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될 시 이를 간병인 또는 간호사에게 즉시 통보 및 신속한 물리적인 조취를 취하도록 하여 낙상 사고를 미연에 방지 및 낙상 사고에 대해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낙상 감지기와 이를 이용한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은 침대에 누워있는 보호대상자를 촬영하도록 침대 또는 상기 침대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카메라와, 상기 침대에 설치되어 보호대상자가 상기 침대의 가장자리로 이동하는 낙상징후 움직임을 감지하는 다수의 낙상 감지기를 포함하는 감지부와; 상기 침대에 설치된 상기 감지부에서 전달된 정보를 분석하여 낙상 징후 움직임을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낙상 징후 움직임 감지 시, 관리자에게 알려주는 알림수단을 구비하고, 다수의 상기 낙상 감지기는 상기 침대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거나 상기 침대에 인접하는 바닥측에 설치되어 보호대상자의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달된 영상정보의 보호대상자의 위치 및 자세에 따라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구나 이미지가 설정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문구나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각 상기 침대가 배치된 침실 또는 상기 침대에 설치되고 다수의 상기 감지부와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로컬제어부와, 상기 로컬제어부와 연결된 통신부를 통해 상기 감지부에서 전달된 정보를 전달받으며 관리자 측에 설치되는 중앙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침대의 매트리스의 내부 또는 상기 매트리스와 접하는 상기 침대의 프레임 상면에 일정한 배열로 배치되어 보호대상자의 하중을 감지하는 다수의 하중감지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로컬제어부는 다수의 상기 하중감지센서로부터 전달된 각 감지신호를 통해 보호대상자의 하중 분포를 산출하며 보호대상자의 하중분포가 상기 침대의 가장자리측에 집중되면 낙상 징후 움직임을 판단하여 상기 중앙제어부로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낙상 감지기는 상기 침대의 프레임이나 상기 침대에 인접하는 바닥측에 지지되는 하판과;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 일측이 상기 하판과 힌지결합되어 폭 방향 타측이 상기 하판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근접하도록 회동가능한 상판과; 상기 하판에 설치되어 상기 상판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와; 상기 하판에 설치되는 제1감지단자와, 상기 보호대상자의 하중이 가해짐으로써 상기 하판과 근접하는 방향으로 상기 상판이 회동 시 상기 제1감지단자와 접촉되게 상기 상판에 설치되는 제2감지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 연결된 감지신호발생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낙상 감지기를 이용한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은 낙상 감지기가 침대의 가장자리 또는 침대에 인접한 바닥면에 설치되어 보호대상자가 낙상의 상태이거나 낙상위험이 있는 움직임 상태임을 원거리에 있는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어 상황에 따른 즉각대처가 가능하여 안전사고 발생이 감소될 수 있으며 관리 효율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낙상 감지기를 이용한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은 디스플레이부에 보호대상지의 거동 상태에 매칭된 문구나 이미지가 표시되어 보호자가 보호대상지의 거동상태 파악이 용이하므로 관리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낙상모니터링 시스템이 적용된 침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낙상모티터링 시스템에 적용된 낙상 감지기에 대한 일부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낙상모니터링 시스템이 적용된 침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낙상모니터링 시스템이 적용된 침대에 대한 일부 절재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낙상모니터링 시스템이 적용된 침대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낙상모니터링 시스템이 적용된 침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낙상모니터링 시스템의 낙상 감지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낙상모니터링 시스템의 낙상 감지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낙상 감지기와 이를 이용한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7)은 병실 또는 침실의 침대(1)에 설치되어 보호대상자의 낙상 징후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부(8)와, 감지부(8)에서 전달된 정보를 분석하여 낙상 징후 움직임을 판단하는 제어부(81,92)와; 제어부(80)와 연결되며 카메라(60)에서 촬영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95)와; 제어부(81,82)와 연결되어 낙상 징후 움직임 감지 시, 관리자에게 알려주는 알림수단(96)을 구비한다.
제어부는 하나의 병실 또는 침실에 마련되는 로컬제어부(81)와, 병동의 간호사실과 같은 관제센터(미도시) 측에 설치되는 중앙제어부(92)로 구분된다.
침대(1)는 하나의 병실 또는 침실에, 다수 개 배치될 수도 있으며 하나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컬제어부(81)는 하나의 병실 또는 침실에 하나만 마련되고 각 침대(1)에 설치된 다수의 감지부(8)와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며, 각 침대에 설치되어 감지부(8)와 일대일 연결되도록 다수 개가 마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7)은 하나의 병실 또는 침실 측에 설치되어 감지부(8)의 감지정보가 전달되는 로컬통신부(70)와, 통신망(90)을 통해 로컬통신부(70)로부터 감지정보를 전달받아 중앙제어부(92)로 전달하는 중앙통신부(92)를 구비한다.
로컬통신부(70)는 로컬제어부(81)와 연결되어 후술되는 감지부(8)의 낙상감시스위치(9)의 감지신호와, 카메라(60)의 촬영정보를 중앙통신부(92)로 무선으로 송출할 수 있게 지원한다.
중앙제어부(91)는 감지부(8)로부터 감지신호와 촬영정보를 전달받아 낙상 징후 움직임을 판단한다. 중앙제어부(92)은 낙상 징후 움직임 감지 시, 음향을 발생시키는 스피커 또는 점멸광을 발생시키는 램프와 같은 알림수단(96)을 작동시켜 간병인 또는 간호사에게 보호대상자가 낙상상태 또는 낙상의 위험이 있는 상태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중앙제어부(92)는 낙상 징후 움직임 판단 시, 간병인 또는 간호사 등의 휴대폰과 같은 관리자 단말기(94)와 관제센터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부(95)에 경보메세지나 경보이미지를 전송시킬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95)에 전송된 경보메세지나 경보이미지는 중앙제어부(92)에 설정되어, 상황에 적합한 문구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95)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중앙제어부(92)에는 보호대상자가 침대에 앉아 있을 때의 모습을 형상화한 이미지, 보호대상자가 침대이 가장자리측에 걸터앉아 있을 때의 모습을 형상화한 이미지, 보호대상자가 누워있는 이미지 등의 다양한 이미지가 저장될 수 있다. 중앙제어부(92)는 영상정보에 적합한 이미지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부(95)에 표시함으로써, 간병인이나 간호사가 2미터 이상 멀어진 거리에서도 보호대상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적용될 수 있다.
즉, 중앙제어부(92)는 카메라(60)로부터 전달된 영상정보의 보호대상자의 위치 및 자세에 따라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구나 이미지가 설정되어, 디스플레이부(95)에 상기 문구나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보호대상자의 거동 상태에 따라 중앙제어부(92)에 저장된 이미지를 매칭하는 방법은 카메라와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또는 로컬제어부(40)는 보호대상자가 낙상의 상태이거나 낙상의 위험이 있는 상태임을 판단하여 그 판단된 정보를 로컬통신부(70)를 통해 중앙제어부(91)로 전달할 수도 있다. 중앙제어부(91)는 판단된 정보에 따라 알림수단의 구동을 제어하고, 디스플레이부와 관리자 단말기에 판단된 정보를 알릴 수 있는 문구나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도 있다.
그리고, 통신망(90)에 복수 개의 로컬제어부(81)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 다수의 로컬제어부(81)는 각각 저장되어있는 고유식별번호를 감지신호와 함께 연결된 로컬통신부(70)를 통해 각각 송신하며, 중앙제어부(93)는 수신된 고유식별번호를 통해 중앙제어부(93)와 연결된 데이테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된 정보와 대조함으로써 감지신호가 전달된 침대 또는 침실의 로컬제어부를 구분할 수 있다. 중앙제어부(93)는 관리자가 낙상징후 움직임이 감지된 침대나 침실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고유식별번호를 통해 로컬제어부가 식별되면 로컬제어부(81)가 설치된 침대 또는 침실의 병실이나 침대번호를 디스플레이부(95)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관리자는 관리자단말기(94) 또는 알림수단을 통해 관리자가 보호대상자의 낙상 또는 낙상 징후 움직임 상태가 파악되면, 디스플레이부(93)에 표시되는 침대 영상정보를 통해 보호대상자의 현재 상황을 인지할 수 있다.
한편, 감지부(8)는 침대(1)에 누워있는 보호대상자를 촬영하도록 침대(1) 또는 침대(1)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카메라(60)와, 침대(1)의 매트리스를 지지하는 프레임(3)의 프레임본체(4)에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배게 배열되어 보호대상자가 침대(1)의 가장자리로 이동하는 낙상징후 움직임을 감지하는 다수의 낙상 감지기(9)를 포함한다.
카메라(60)는 보호대상자가 침대에 누워있을 때, 보호대상자의 전신과 매트리스(2) 전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렌즈부(미도시)가 하향 경사지고, 매트리스의 폭 방향 가장자리 양측이 촬영된 영상의 좌우측에 위치되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대상자가 침대에 누워있을 때 보호대상자의 머리부분에 인접하게 침대(1)의 프레임(3)의 길이방향 일측에 프레임(3)에 대해 상방에 위치되게, 프레임(3)의 일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지지프레임(61)의 상단에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60)는 일반적인 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일반적인 카메라가 적용될 수 있으나, 보호대상자의 위치나 움직임 상태를 판단하여 중앙제어부(93)가 보호대상자의 거동 상태에 따라 저장된 이미지를 매칭할수 있도록 열화상카메라 또는 움직이는 보호대상자의 모션을 캡쳐할 수 있는 3D 모션캡쳐카메라가 적용될 수도 있다. 카메라(60)가 열화상카메라인 경우, 중앙제어부는 온도분포를 통해 보호대상자의 거동상태를 판단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60)가 3D 모션캡쳐카메라인 경우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호 위치를 달리하도록 설치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7)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대상자가 손, 발, 머리, 목 등에 착용가능하여 상호 위치에 따라 카메라(60)로부터 보호대상자의 움직임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복수의 모션캡쳐센서(98,99)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모션캡쳐센서(98,99)는 도시된 개수에 한정되지 않고, 보호대상자의 다양한 부위에 착용될 수 있으며, 보호대상자의 의복에 배열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7)은 영상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전환하는 A/D컨버터(미도시)를 더 구비하고, 로컬제어부(81)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정보를 침대의 프레임 폭 방향 가장자리 양측을 위험영역, 상기 위험영역들 사이에 보호대상자가 누워있거나 앉아 있을 수 있는 안심영역으로 구분하며,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A/D컨버터에 의해 디지털화된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보호대상자의 움직임을 검지하고 보호대상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영상정보를 역추적하여 낙상징후움직임인지 판단하는 검지프로세서;를 구비할 수 있다. 검지프로세서는 중앙제어부(93)에 마련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7)은 영상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DB)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험영역은 도 2를 참고하면, 매트리스(2)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다수의 낙상 감지기(9)가 설치되는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검지프로세서는 보호대상자의 움직임을 검지하는 검지모듈(미도시)과, 검지모듈로부터 보호대상자의 움직임이 검지되고 안심영역에서 위험영역으로 보호대상자의 물직임이 추적되면 낙상징후 움직임으로 판단하는 추적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검지모듈에서 보호대상자의 움직임이 검지되면, 추적모듈에서 영상정보의 프레임을 역추적(back tracking)하거나, 하여 안심영역에서 위험영역으로 보호대상자의 움직임이 추적된 경우인지를 판단하여 낙상 징후 움직임으로 판별한다.
또는, 추적모듈은 카메라가 열화상카메라인 경우, 영상의 온도분포를 통해 보호대상자가 안심영역에서 위험영역으로 이동하였는지 판단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추적모듈은 카메라가 3D 캡쳐 카메라인 경우, 모션캡쳐센서(98,99)로부터 전달쇤 정보를 통해 보호대상자가 안심영역에서 위험영역으로 이동하였는지 판단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
카메라(55)로부터 획득된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보호대상자의 거동상태를 분석하는 방법은 제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2247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55)로부터 획득된 영상정보를 통해 로컬제어부 또는 중앙제어부가 특정행위 만을 자동으로 인지하여 이를 관제센터에 송신할 수 있는 방법이 인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일 예로 특정행위는 안심영역 내에서 보호대상자가 누워서 거동하는 정상동작행위, 침대에 앉아있거나 일어나려고 하는 주의동작행위, 보호대상자가 누운상태로 위험영역 측으로 이동하거나 침대의 가장자리에 걸터 앉아 있는 이상동작행위로 구분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다수의 낙상 감지기(9)는 침대(1)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거나 침대(1)에 인접하는 바닥측에 설치되어 보호대상자의 하중이 가해지면 로컬제어부(81)로 감지신호를 전달한다.
낙상 감지기(9)는 침대(1)의 프레임(3)이나 침대(1)에 인접하는 바닥측에 지지되며 일정한 폭으로 길이연장된 하판(10)과; 하판(10)에 대응되는 폭과 길이로 연장되며,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 일측이 하판(10)과 힌지결합되어 폭 방향 타측이 하판(10)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근접하도록 회동가능한 상판(20)과; 하판(10)에 설치되어 상판(20)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복수의 탄성부재(50)와; 하판(10)에 설치되는 제1감지단자(31)와, 보호대상자의 하중이 가해짐으로써 하판(10)과 근접하는 방향으로 상판(20)이 회동 시 제1감지단자(31)와 접촉되게 상판(20)에 설치되는 제2감지단자(32)를 포함하며 로컬제어부(81)와 전기적 연결된 감지신호발생부(30)와; 하판(10)의 상부에 상판(20)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50)와; 완충유닛(60);을 구비한다.
하판(10)과 상판(20)은 각각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내부공간이 형성된 직육면체로 형성되며, 내부공간이 다수의 종방향격벽(15)과 다수의 횡방향격벽(14)에 의해 각각 구획되어 있다.
하판(10)의 다수의 횡방향격벽(14)에는 각각 다른 낙상 감지기(9)들과 로컬제어부(81)와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전기케이블(C)이 관통연장되게 절제된 절제홈(1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판의 다수의 종방향 격벽(15) 중 절제홈(16)에 인접한 하나의 종방향 격벽(14)의 상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전기케이블(ㅊ)을 구속하는 다수의 제1고리부(19)가 형성된다.
상판(20)은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의 일측 가장자리에 적어도 하나의 상판힌지결합부(21)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판힌지결합부(21)는 길이방향의 양측면에 인입 형성된 힌지결합홈(23)을 구비한다.
하판(10)은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의 일측 가장자리에 상판힌지결합부(21)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마주하도록 상방으로 돌출된 복수의 하판힌지결합부(11)를 구비한다. 하판힌지결합부(11)는 상판힌지결합부(21)와 마주보는 길이방향의 측면에 힌지결합홈(23)에 끼워지도록 돌출되어 상판(20)을 지지하는 힌지결합돌기(13)를 구비한다.
탄성부재(50)는 하판(10)에 대해 상판(20)을 균일하게 지지 할 수 있도록 하판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 개가 설치된다. 탄성부재(50)는 하판(10)의 상단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갖고, 상판(20)의 상부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압축될 수 있는 압축코일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탄성부재(50)는 상판(20)에 매트의 하중만이 가해졌을 때는 상판(20)을 하판(10)으로부터 나란하게 지지하고, 보호대상자의 하중이 가해졌을때 상판(20)이 하판(10)과 근접하도록 회동할 정도의 탄성력을 갖는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하판(10)은 상방으로 돌출형성되어 탄성부재(50)의 하부로 삽입됨으로써 탄성부재(50)를 고정하는 탄성부재끼움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판(20)에는 탄성부재(50)의 상부가 인입되어 탄성부재(50)가 길이 신축시 탄성부재(50)의 위치를 고정하는 지지부재(24)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재(24)는 상판(20)에 대해 하판(10)측으로 돌출되며, 탄성부재(50)의 상부가 수용될 수 있게 내측이 상방으로 인입형성된다. 지지부재(24)는 상판(20)의 폭방향의 중심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돌출된 길이가 짧도록 형성되어 상판(20)이 하판(10)에 근접하도록 회동 시 하판(10)에 대한 지지부재(24)의 간섭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감지신호발생부(30)는 전류가 통할 수 있는 금속소재로 형성되고 로컬제어부(8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상호 접촉 시 로컬제어부(81)에 감지신호가 발생시키는 제1 감지단자(31)와 제2 감지단자(32)를 구비한다.
제1 감지단자(31)는 하판(10)의 폭방향의 타측 가장자리 중앙에서 횡방향 격벽(14)들에 의해 양측부가 지지되고, 상면이 하판(10)의 상단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제2 감지단자(32)는 상판(20)의 폭방향의 타측 가장자리 중앙에서 횡방향 격벽(14)들에 의해 지지되고, 상판(20)이 하판(10)과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동 시 하단이 제1 감지단자(31)의 상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전기케이블(C)은 (+)선(82a)과 (-)선(82b)이 내장될 수 있으며, (+)선(82a)이 제1 감지단자(31)에 연결되고 (-)선(82b)이 제2감지단자(32)에 연결될 수 있다. 하지만, 전기케이블(C)은 제1감지단자(31)와 제2감지단자(32)가 접촉시 전기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면 제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완충유닛(60)은 하판(10)에 상판(20)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제1 완충부재(61)와, 상판(20)에 하판(10)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제2 완충부재(62)로 구성된다. 완충유닛(60)은 하판(10) 및 상판(20)의 각 폭 방향 타측 가장자리에서 각각 감지신호발생부(30)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복수개가 구비되며, 하판(10) 및 상판(20)의 격벽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제1 완충부재(61)는 하판(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방으로 볼록한 호형 곡률을 갖는 판스프링으로 형성된다. 제2 완충부재(62)는 상판(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하방으로 볼록한 호형 곡률을 갖는 판스프링으로 형성된다.
제1 완충부재(61)는 볼록한 상단이 제1감지단자(31)보다 상방에 위치되고, 제2 완충부재(62)는 볼록한 하단이 제2감지단자(32)보다 하방에 위치된다. 이는 상판(20)이 하판(10)과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동 할 때, 제1 완충부재(61)와 제2 완충부재(62)가 상호 접촉에 의한 탄성변형을 되면서 하판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완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완충유닛(60)은 제1 완충부재(61)와 제2 완충부재(62)가 상호 접촉 시 전기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전기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완충부재(61)와 제2 완충부재(62)은 상호 접촉되면서, 보호대상자의 하중에 의해 제1감지단자(31)와 제2감지단자(32)가 접촉 전 예비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로컬제어부(81)는 완충유닛(60)으로부터 전달된 예비신호를 로컬통신부(70)를 통해 중앙통신부(92)로 송신할 수 있으며, 중앙제어부(93)는 예비신호가 전달되면 제1감지단자(31)와 제2감지단자(33)가 접촉되면서 발생되는 감지신호에 따른 경고메세지나 경고이미지와 구별되는 경고메세지나 경고이미지가 관리자단말기(94)나 디스플레이부(95)에 전달 및 표시되거나 또는 다른 멜로디나 음향이 알림수단인 스피커에 송출되게 제어할 수 있다.
하판(10)과 상판(20)에는 하판(10)과 상판(20)의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는 걸림부(70)가 설치된다. 걸림부(70)는 하판에 설치되는 제1 걸림부재(71)와, 상판에 설치되는 제2 걸림부재(75)로 구성된다.
제1 걸림부재(71)는 하판(10)의 상면으로부터 상부가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하부보다 상부가 더 큰 폭을 가져 제1 걸림턱(72)이 형성되고, 제1 걸림턱(72)으로부터 상부의 면적이 좁아지도록 연장되어 제1 경사면(73)이 형성된다.
제2 걸림부재(75)는 상판(20)의 하면으로부터 하부가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부보다 하부가 더 큰 폭을 가져 제2 걸림턱(76)이 형성되고, 제2 걸림턱(76)으로부터 하부의 면적이 좁아지도록 연장되어 제1 경사면(73)에 마주하여 면접촉이 가능한 제2 경사면(77)이 형성된다.
제1 걸림부재(71)와 제2 걸림부재(75)는 제1 걸림턱(72)과 제2 걸림턱(76)이 맞닿아 탄성부재(50)로 인해 하판(10)으로부터 벌어지려는 상판(20)의 회동각도를 제한하고, 상판(20)이 하판(10)과 일정 간격 이상으로 떨어진 상태에서 근접하도록 상판(20)이 회동 시 제1 경사면(73)과 제2 경사면(77)이 맞닿도록 엇갈려 형성된다.
상판(20)과 하판(10)이 분리된 상태에서 배터리 교체작업 등이 끝난 후에 상판(20)이 하판(10)과 일정한 간격 이하로 좁아지는 회동 시, 제1 걸림부재(71)와 제2 걸림부재(75)는 상호 면접하는 제1 경사면(73)과 제2 경사면(77)을 통해 상기 상판(10b)의 회동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상호 밀어냄으로써 탄성변형될 수 있다.
제1 경사면(73)과 제2 경사면(77)은 상기 상판(20)의 회동방향의 수직방향으로 밀어내어 제1 걸림부재(71)와 제2 걸림부재(75)를 각각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
한편, 하판(10)은 길이방향 양측에 개방되고 마주하는 상판 방향으로 개방되는 결합홈(17)과, 결합홈(17)의 저면에서 상판(20) 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결합돌기(18)가 형성된다.
낙상 감지기(9)는 결합홈(17)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어 전기케이블(C)을 구속하는 케이블구속부재(40)를 더 구비한다.
케이블구속부재(40)는 각 결합홈(17)에 장착되게 복수 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결합홈(17)에 대응되게 사각 판상으로 형성되고 결합돌기(18)가 삽입결합되는 제1돌기결합공(42)이 형성된 베이스부(41)와, 하판(10) 폭 방향의 베이스부(41)의 일측에 돌출형성되어 하판(10)의 상부에 하판(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전기케이블(C)을 구속하는 제2고리부(43)를 구비한다.
낙상 감지기(9)는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낙상 감지기(9)와 전기케이블(C)을 통해 연결되는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감지부(8)는 상호 인접하는 낙상 감지기(9)들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연결부재는 상호 인접하는 낙상 감지기(9)들의 마주하는 결합홈(17)에 양측이 각각 삽입결합되게, 케이블구속부재(40)의 베이스부(41)가 두개 형합된 사각 판상으로 형성되며 양측에 결합돌기(18)가 삽입결합되는 제2돌기결합공(미도시)가 형성된다. 연결부재는 일측에 대해 타측이 좌우 회동가능한 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다. 또는 연결부재는 양측이 고리형상으로 형성된 와이어나 필름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도 3을 참고하면, 하판(10)은 폭 방향 중심측 상면에 로컬제어부(81)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원형 베터리와 같은 전원부(미도시)를 장착할 수 있는 전원 고정틀(44)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로컬제어부는 침대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는데, 전원부는 다수의 낙상 감지기(9) 중 로컬제어부와 인접한 하나의 낙상 감지기(9)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전원부는 로컬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로컬제어부(81)는 제1 감지단자(31)와 제2 감지단자(32)가 상호 접촉되어 통전되면서 발생된 감지신호를 로컬통신부(70)를 통해 관제센터 측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감지기를 이용한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대의 인접한 바닥에 설치되어 보호대상자가 낙상하였을 때 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신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 보호매트(97)가 구비될 수 있다. 보호매트(97)의 저부에는 보호대상자가 낙상하였거나, 보호대상자의 보호매트상에 위치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도록 낙상 감지기가 상호 이격되게 배열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감지기를 이용한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은 낙상 감지기가 침대의 가장자리 또는 침대에 인접한 바닥면에 설치되어 보호대상자가 낙상의 상태이거나 낙상위험이 있는 움직임 상태임을 원거리에 있는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어 상황에 따른 즉각대처가 가능하여 안전사고 발생이 감소될 수 있으며 관리 효율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감지기를 이용한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은 디스플레이부에 보호대상지의 거동 상태에 매칭된 문구나 이미지를 표시하여 보호자가 보호대상지의 거동상태 파악이 용이하므로 관리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낙상 감지기를 이용한 낙상감지모니터링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낙상감지모니터링 시스템(107)은 감지부(8)가 다수의 하중감지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감지모니터링 시스템(7)의 구조와 동일하다.
감지부(8)는 침대(1)의 매트리스(2)의 내부 또는 매트리스(2)와 접하는 침대(1)의 프레임(3) 상면에 일정한 배열로 배치되어 보호대상자의 하중을 감지하는 다수의 하중감지센서(64)를 더 구비한다.
다수의 하중감지센서(64)는 프레임본체(4)의 폭 방향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배치된 순서에 따라 X1,X2,X3,X4의 X좌표 값이 로컬제어부에 입력되며, 프레임본체(4)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Y1,Y2,Y3,Y4,Y5,Y6,Y7,Y8의 Y좌표값이 로컬제어부에 입력되어, 위치에 따른 고유번호를 갖는다. 일 예로, 도 4를 참고하면, 프레임본체(4)의 모서리측에 위치한 하나의 하중감지센서(64')의 고유번호는 X1Y1이고, 하나의 하중감지센서(64')에 대해 프레임본체(4)의 폭방향으로 인접한 하중감지센서(64")의 고유번호는 X2Y1이다.
로컬제어부(81) 또는 중앙제어부(92)는 각 하중감지센서(64)의 고유번호가 입력되어 있어, 각 하중감지센서(64)로부터 전달된 감지신호들을 통해 보호대상자의 하중 분포를 산출할 수 있다.
로컬제어부(81) 또는 중앙제어부(92)는 보호대상자의 하중분포가 침대의 가장자리 측에 집중되면 낙상 징후 움직임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낙상감지모니터링 시스템(107)은 보호대상자의 하중분포를 파악할 수 있는 다수의 하중감지센서(64)를 더 구비하여, 낙상 감지 움직임 판단의 신뢰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낙상 감지기를 이용한 낙상감지모니터링 시스템(207)이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낙상 감지기를 이용한 낙상감지모니터링 시스템(207)은 침대에 마련되어 보호대상자가 눕는 매트리스를 지지하는 프레임 일측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안전바(106)를 승강시키는 안전바 승강유닛(110)을 더 구비하는 것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감지기를 이용한 낙상감지모니터링시스템(7)의 구조와 동일하다.
안전바(106)는 프레임본체부(4)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하방향으로 폭을 가지며 프레임본체부(4)의 폭 방향으로 내측이 관통된 직사각형상의 외형프레임(107)와, 외형프레임(107)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는 복수의 승강가이드바(108)를 구비한다.
안전바승강유닛(100)은 프레임본체부(4)의 폭 방향 일측에 장착되며 프레임본체부(4)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내부공간(112)을 갖는 승강지지하우징(111)과, 승강지지하우징(111) 내에 장착되는 승강구동모터(114)와, 승강구동모터(114)의 구동축(115)에 장착되며 일측에 래크기어가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승강가이드바(108)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116)를 구비한다.
로컬제어부(81)는 낙상 감지기(9)로부터 감지시호 전달 시, 보호대상자의 낙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안전바(106)가 상승되게 승강구동모터(114)를 구동시킨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낙상 감지기를 이용한 낙상감지모니터링 시스템(207)은 낙상 징후 감지 시, 안전바(106)가 자동으로 상승되므로 보호대상자의 낙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낙상 감지기를 이용한 낙상감지모니터링 시스템(307)이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낙상 감지기를 이용한 낙상감지모니터링 시스템(307)은 침대(1)의 프레임본체(4)의 하방에 지면에 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로컬제어부(81)의 제어에 의해 낙상 징후 움직임 감지 시 보호대상자가 낙상 예상되는 상기 침대의 측 방향으로 돌출 이동되게 이동되어 보호대상자가 침대로부터 낙상 시 보호대상자를 보호하는 쿠션매트(397)를 포함하는 낙상충격완충유닛(310);을 더 구비하는 것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감지기를 이용한 낙상감지모니터링(7)과 동일하다.
낙상충격완충유닛(310)은 프레임본체(4)의 하면에 프레임본체(4)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제1레일(311)과, 제1레일의(311)의 일측에 장착되는 스크류구동모터(313)과, 일단이 스크류구동모터의 구동축(미도시)과 결합되고 제1레일(311)의 하방에서 제1레일(311)에 나란하게 연장되며 타단이 프레임본체(4)의 하면에 장착된 브라켓(315)에 제자리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스크류바(315)와, 제1레일(311) 상에 제1레일(31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스크류바(315)가 관통되어 나사 결합되는 슬라이더(318)와, 슬라이더(318)의 하단에서 수직하방으로 연장되고 하단이 지면과 나란하게 연장된 절곡판(319)과, 절곡판(319)의 하단에 지지되는 쿠션매트(397)을 구비한다.
로컬제어부(81)는 스크류구동모터(313)과 연결되어, 낙상 감지기(9)로부터 감지신호 전달 시, 쿠션매트(397)가 프레임본체(4)의 수직하방에서 측방으로 돌출되게 스크류구동모터(313)의 구동을 제어한다. 또한, 로컬제어부(81)는 설정된 시간 이상 감지신호 미전달 시 쿠션매트(397)가 절곡판(319)과 함께 프레임본체(4)의 수직하방으로 이동되게 스크류구동모터(313)의 구동을 제어한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낙상 감지기를 이용한 낙상감지모니터링 시스템(407)이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낙상 감지기를 이용한 낙상감지모니터링 시스템(407)은 로컬제어부(81)와 연결되며, 침대(1)로부터 이탈된 보호대상자가 침대로 복귀가 용이하도록, 보호대상자가 지지된 상태에서 침대(1)의 인접한 바닥면에서부터 상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복귀 보조매트(497)를 포함하는 침대복귀보조유닛(410);을 더 구비하는 것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낙상 감지기를 이용한 낙상감지모니터링(7)의 구조와 동일하다.
침대복귀보조유닛(410)은 침대(1)의 프레임(3) 길이방향 양측에 상하로 나란하게 결합되어 상호 이격된 사이로 복귀 보조매트(97)가 위치되며, 프레임(3)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타측에 고정 설치되는 실린더본체(412)와, 바닥면에 인접하거나 멀어지게 승강가능하게 상기 실린더본체(412)에 상부가 수용되는 승강로드(414)를 각각 구비하는 한 쌍의 실린더(411)와; 침대의 프레임(3)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양측이 실린더(411)들의 승강로드(414)의 하단과 결합되며 복귀보조매트(497)를 지지하는 매트지지승강판(416)과, 매트지지승강판(416)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승강안전난간(418)과, 로컬제어부(81)와 연결되며, 실린더본체(412)에 유체를 공급하여 승강로드(414)를 승강시키는 실린더유체공급부(미도시)를 구비한다.
한편, 침대(1)는 프레임본체(4)가 바닥면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되게 프레임본체(4)의 모서리측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다리(5)를 구비한다. 한 쌍의 실린더(411)의 각 실린더본체(412)는 프레임본체(4)의 지지다리(5)에 장착된다.
승강안전난간(418)은 실린더본체(412)의 일측면에 일단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침대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평연장된 제1연장부(419)와, 제1연장부(419)의 타단에서 수직하방으로 연장되어 매트지지승강판(416)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타단에 결합되는 제2연장부(420)를 구비한다.
실린더본체(412)는 제2연장부와 마주하는 일측면에 프레임본체(4)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돌출되되 상하로 나란하게 연장되며 돌출된 단부측이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제1연장부(419)의 일단을 구속하는 제1 및 제2구속리브(423,425)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구속리브(423,425)는 상호 이격되어 제1연장부(419)의 외경이 확장된 일단이 구속되며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가이드구속공간(427)을 형성한다.
실린더유체공급부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실린더본체(412)의 상단과 하단으로 연장된 복수의 유체공급관과, 실린더본체(412)에 공급되는 유체를 저장하는 유체저장탱크와, 복수의 유체공급관 일측에 설치되며 로컬제어부(81)의 제어에 의해 유체저장탱크에 저장된 유체를 유체공급관으로 펌핑하는 유체공급펌프와, 유체공급펌프와 복수의 유체공급관 사이에 설치되어 로컬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유체공급방향을 제어하는 컨트롤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
복귀보조매트(497)의 저부에는 낙상 감지기(9)가 설치되어, 로컬제어부(81)는 복귀보조매트(497)에 보호대상자가 위치하고 있음을 감지하여 승강로드가 상승되게 컨트롤밸브와 유체공급펌프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낙상 감지기를 이용한 낙상감지모니터링 시스템(407)은 침대에서 이탈한 보호대상자가 보호대상자가 스스로 침대로 복귀하거나, 간병인 또는 간호사들이 보호대상자를 침대로 복귀시키는 것을 도울 수가 있어 2차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은 낙상 감지기(9')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조와 동일하다.
도 8에 도시된 낙상 감지기(9')는 상판(120)과, 감지신호발생부(530)를 제외하고 본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감지기(9)의 구조와 동일하다.
상판(20)은 제2 감지단자(32)가 설치된 중앙상판(25)과, 중앙상판(25)의 길이방향으로 양측부에 개별적으로 회동하는 보조상판(26)을 구비한다.
중앙상판(25) 및 보조상판(26)은 각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일측 가장자리에 각각의 상판힌지결합부(21)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판힌지결합부(21)는 길이방향의 양측면에 인입 형성된 힌지결합홈(23)을 구비한다.
하판(10)은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일측 가장자리에 상판힌지결합부(21)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마주하도록 상방으로 돌출된 복수의 하판힌지결합부(11)가 구비된다. 하판힌지결합부(11)는 상판힌지결합부(21)와 마주보는 길이방향의 측면에 힌지결합홈(23)에 끼워지도록 돌출되어 중앙상판(25) 및 보조상판(26)을 지지하는 힌지결합돌기(13)를 구비한다.
감지신호발생부(530)는 제1 감지단자(31), 제2 감지단자(32), 제1 보조감지단자(33), 제2 보조감지단자(34)를 구비한다.
제2 보조감지단자(34)는 각 보조상판(26)의 폭 방향의 타측 가장자리에서 횡방향 구획격벽에 의해 지지되고 하단이 보조상판(26)의 하단보다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제1 보조감지단자(33)는 하판(10)의 길이방향 각 양측에 하판(10)의 폭 방향의 타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위치에서 횡방향 격벽(14)에 의해 지지되고, 중앙상판(25) 및 보조상판(26)이 하판(10)과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동 시 상단이 제2 보조감지단자(34)의 하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제1 보조감지단자(33) 및 제2 보조감지단자(34)는 전류가 통할 수 있는 금속 소재로 구성되고 전기케이블(C)을 통해 로컬제어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감지신호를 로컬제어부에 전달한다.
하판(10)의 상면에는 중앙상판(25) 및 보조상판(26)을 하판(10)에 대해 개별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50)가 각각 설치된다.
도면에 도시되어있지는 않으나, 보조상판(26)의 하면에는 제1 완충부재(61)가 설치되고, 하판(10)의 상면에 보조상판(26)의 제1 완충부재(61)와 보조상판(26)이 하판(20)과 근접하는 회동시 제1 보조감지단자(33)와 제2 보조감지단자(34)의 접촉간 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제2 완충부재(62)가 설치될 수 있다.
하판(10)과 중앙상판(25) 및 보조상판(26)에는 중앙상판(14) 및 보조상판(26)이 하판(10)로부터 일정 간격 이상 회동하는 것을 개별적으로 제한하는 걸림부(70)가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낙상 감지기는 보호대상자의 하중이 침대의 가장자리에 편중되도록 거동 시 보호대상자의 하중이 중앙상판(25)과 보조상판(26)에 순차적으로 가중됨에 따라 중앙상판(25)과 보조상판(26)이 순차적으로 회동된다. 중앙상판(25)과 보조상판(26)의 순차적 회동에 의해 제1 감지단자(31), 제2 감지단자(32), 제1 보조감지단자(33)와 제2 보조감지단자(34)가 순차적으로 접촉하게 되고 순차적인 감지신호를 발생시킨다.
로컬제어부(81)는 감지신호발생부(530)로부터 발생하는 순차적인 감지신호를 로컬통신부(70)와, 통싱망(90)과, 중앙통신부(92)를 통해 중앙제어부(93)로 송신하거나, 감지신호의 순서를 바탕으로 보호대상자의 이동 방향을 직접 판단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낙상 감지기는 수신된 감지신호의 순서를 바탕으로 관리자가 보호대상자의 거동 방향을 판단하여 보호대상자가 낙상의 위험이 있는 상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은 낙상 감지기(9")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조와 동일하다.
도 9에 도시된 낙상 감지기(9")는 상판(20)에 장착홈(28)이 더 형성되고, 다수의 로드셀(35)를 더 구비하는 것을 제외하고 본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감지기(9)의 구조와 동일하다.
상판(20)은 로드셀(35)이 각각 수용될 수 있는 장착홈(25)이 상판(2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다수 개 형성된다. 로드셀(35)은 상부가 노출되도록 각 장착홈(25)에 삽입 설치된다.
로드셀(35)은 보호대상자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전류신호값으로 변환하여 발생시킬 수 있으며, 각 로드셀(35)은 가해지는 하중의 크기에 따라 각기 다른 값의 전류신호값을 발생시킨다.
로컬제어부(81)는 로드셀(35)로 전달된 전류신호값이 설정된 값 이상일 때 감지신호를 중앙제어부(93) 송신하거나, 로컬제어부(81)에 수신된 전류신호값의 차이를 통해 보호대상자가 편중 상태를 판단하고, 그 판단된 신호를 관리자에게 알리기 위해 중앙제어부(93) 송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낙상 감지기(9˝)가 침대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상태에서, 보호대상자가 침대의 가장자리로 거동 시 로드셀(35)에는 보호대상자의 위치 또는 자세에 따라 각기 다른 하중이 부하된다. 로컬제어부(40)는 각기 달리 수신된 전류신호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관리자에게 보호대상자가 낙상의 위험이 있는 상태임을 알릴 수 있는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는 로컬제어부(81)로부터 신호를 받은 후 보호대상자의 실제 상태를 병실에 비치된 카메라 또는 육안으로 직접 확인하여 보호대상자가 낙상의 상태 또는 낙상의 위험이 있는 상태임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자 확인 시 낙상의 상태 또는 낙상의 위험이 있는 상태가 아닌경우에 로컬제어부(81)에 설정된 수치를 조정함으로써 이후 발생되는 신호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낙상 감지기와 이를 이용한 낙상 감지모니터링 시스템은 도면에 도시 된 일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침대 3 : 프레임
7 :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
8 : 감지부 9 : 낙상 감지기
10 : 하판 20 : 상판
30 : 감지신호발생부 31 : 제1감지단자
32 : 제2감지단자 55 : 카메라
70 : 로컬통신부 81 : 로컬제어부
92 : 중앙통신부 93 : 중앙제어부
94 : 관리자단말기 95 : 디스플레이부

Claims (12)

  1. 침대에 누워있는 보호대상자를 촬영하도록 침대 또는 상기 침대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카메라와, 상기 침대에 설치되어 보호대상자가 상기 침대의 가장자리로 이동하는 낙상징후 움직임을 감지하는 다수의 낙상 감지기를 포함하는 감지부와;
    상기 침대에 설치된 상기 감지부에서 전달된 정보를 분석하여 낙상 징후 움직임을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낙상 징후 움직임 감지 시, 관리자에게 알려주는 알림수단을 구비하고,
    다수의 상기 낙상 감지기는
    상기 침대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거나 상기 침대에 인접하는 바닥측에 설치되어 보호대상자의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낙상 감지기는
    상기 침대의 프레임이나 상기 침대에 인접하는 바닥측에 지지되는 하판과;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 일측이 상기 하판과 힌지결합되어 폭 방향 타측이 상기 하판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근접하도록 회동가능한 상판과;
    상기 하판에 설치되어 상기 상판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와;
    상기 하판에 설치되는 제1감지단자와, 상기 보호대상자의 하중이 가해짐으로써 상기 하판과 근접하는 방향으로 상기 상판이 회동 시 상기 제1감지단자와 접촉되게 상기 상판에 설치되는 제2감지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 연결된 감지신호발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달된 영상정보의 보호대상자의 위치 및 자세에 따라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구나 이미지가 설정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문구나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모니터링 시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 상기 침대가 배치된 침실 또는 상기 침대에 설치되고 다수의 상기 감지부와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로컬제어부와, 상기 로컬제어부와 연결된 통신부를 통해 상기 감지부에서 전달된 정보를 전달받으며 관리자 측에 설치되는 중앙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침대의 매트리스의 내부 또는 상기 매트리스와 접하는 상기 침대의 프레임 상면에 일정한 배열로 배치되어 보호대상자의 하중을 감지하는 다수의 하중감지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로컬제어부는
    다수의 상기 하중감지센서로부터 전달된 각 감지신호를 통해 보호대상자의 하중 분포를 산출하며 보호대상자의 하중분포가 상기 침대의 가장자리측에 집중되면 낙상 징후 움직임을 판단하여 상기 중앙제어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는
    보호대상자가 눕는 매트리스를 지지하는 프레임 일측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안전바를 승강시키는 안전바 승강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각 상기 침대가 배치된 침실 또는 상기 침대에 설치되고 다수의 상기 감지부와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로컬제어부와, 상기 로컬제어부와 연결된 통신부를 통해 상기 감지부에서 전달된 정보를 전달받으며 관리자 측에 설치되는 중앙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로컬제어부는
    낙상 징후 움직임 감지 시, 보호대상자의 낙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안전바가 상승되게 상기 안전바 승강유닛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모니터링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 상기 침대가 배치된 침실 또는 상기 침대에 설치되고 다수의 상기 감지부와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로컬제어부와, 상기 로컬제어부와 연결된 통신부를 통해 상기 감지부에서 전달된 정보를 전달받으며 관리자 측에 설치되는 중앙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침대의 프레임의 하방에 지면에 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로컬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낙상 징후 움직임 감지 시 보호대상자가 낙상 예상되는 상기 침대의 측 방향으로 돌출 이동되게 이동되어 보호대상자가 상기 침대로 부터 낙상 시 보호대상자를 보호하는 쿠션매트를 포함하는 낙상충격완충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침대로부터 이탈된 보호대상자가 침대로 복귀가 용이하도록, 보호대상자가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침대의 인접한 바닥면에서부터 상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복귀 보조매트를 포함하는 침대복귀보조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침대복귀보조유닛은
    상기 침대의 프레임 길이방향 양측에 상하로 나란하게 결합되어 상호 이격된 사이로 상기 복귀 보조매트가 위치되며,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타측에 고정 설치되는 실린더본체와, 바닥면에 인접하거나 멀어지게 승강가능하게 상기 실린더본체에 상부가 수용되는 승강로드를 각각 구비하는 한 쌍의 실린더와;
    상기 침대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양측이 상기 실린더들의 상기 승강로드의 하단과 결합되며 상기 복귀보조매트를 지지하는 매트지지승강판과,
    상기 실린더본체의 일면에 일단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침대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의 타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매트지지승강판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타단에 결합되는 제2연장부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매트지지승강판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승강안전난간과,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에 유체를 공급하여 상기 승강로드를 승강시키는 실린더유체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상기 제2 감지단자가 설치된 중앙 상판과, 상기 중앙 상판의 길이방향으로 양측부에 개별적으로 회동하는 복수의 보조 상판을 구비하고,
    상기 감지신호발생부는
    상기 보조 상판에 설치된 제2 보조 감지단자와, 상기 보조 상판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제2 보조감지단자와 접촉함으로써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하판에 설치된 제1 보조감지단자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순차적으로 수신된 상기 감지신호의 수신된 순서를 통해 보호대상자의 하중이 편중되거나 이동되는 방향을 판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판단된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모니터리이 시스템.
  9. 침대의 가장자리 측에 설치되거나, 상기 침대에 인접하는 바닥면에 설치되어 보호대상자의 하중이 감지되면 이를 감지하는 낙상 감지기에 있어서,
    상기 침대의 프레임이나 상기 침대에 인접하는 바닥측에 지지되는 하판과;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 일측이 상기 하판과 힌지결합되어 폭 방향 타측이 상기 하판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근접하도록 회동가능한 상판과;
    상기 하판에 설치되어 상기 상판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와;
    상기 하판에 설치되는 제1감지단자와, 상기 보호대상자의 하중이 가해짐으로써 상기 하판과 근접하는 방향으로 상기 상판이 회동 시 상기 제1감지단자와 접촉되게 상기 상판에 설치되는 제2감지단자를 포함하며 전기적으로 연결된 관제센터의 제어부에 감지신호를 전달하는 감지신호발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감지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의 상면에 상기 제1 감지단자 보다 상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제1 완충부재와,
    상기 상판이 상기 하판과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동 할 시 상기 제1 완충부재와 상호 접촉에 의한 탄성변형을 통해 상기 하판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완충할 수 있도록 상기 상판의 하면에 상기 제2 감지단자보다 하부로 돌출되게 설치된 제2 완충부재를 구비하는 완충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완충부재는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볼록한 호형곡률을 가지며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판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감지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유닛은
    상기 제1 완충부재와 상기 제2 완충부재가 상기 하판 및 상기 상판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감지신호발생부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도록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완충부재와 상기 제2 완충부재는
    상호 접촉 시 전기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감지단자와 상기 제2감지단자가 상호 접촉 전 예비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알림수단은
    상기 예비신호가 전달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1감지단와 상기 제2감지단자가 접촉 시와 구분되게 관리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감지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부가 더 큰 폭을 가져 제1 걸림턱이 형성된 제1 걸림부재와, 상기 상판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로 연장 형성되고 하부가 더 큰 폭을 가져 상기 제1 걸림턱과 걸림으로써 상기 상판이 상기 탄성부재로 인해 일정한 간격 이상으로 회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제2 걸림턱이 형성된 제2 걸림부재를 구비하는 걸림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감지기.
KR1020200124259A 2019-09-24 2020-09-24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 KR1024099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17650 2019-09-24
KR1020190117650 2019-09-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5765A true KR20210035765A (ko) 2021-04-01
KR102409929B1 KR102409929B1 (ko) 2022-06-16

Family

ID=75441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4259A KR102409929B1 (ko) 2019-09-24 2020-09-24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99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4424B1 (ko) * 2021-11-22 2022-02-17 빅헤브솔루션 주식회사 영상수집장치를 활용한 원격 낙상 유무 확인 판별 시스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8412B2 (ja) * 1998-07-27 2001-08-13 株式会社ノア 安全管理システム
KR101355245B1 (ko) * 2005-10-07 2014-01-27 콘메디시스, 인크. 환자 리프트 및 이송 장치
CN106388418A (zh) * 2015-07-28 2017-02-15 由田新技股份有限公司 防止跌落装置与其操作方法
KR101715218B1 (ko) * 2015-06-25 2017-03-13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 분석을 통하여 환자의 낙상 위험을 판단하는 시스템 및 방법
WO2017163479A1 (ja) * 2016-03-25 2017-09-28 株式会社フジクラ 荷重検知装置
JP6212223B2 (ja) * 2015-03-30 2017-10-11 株式会社フジクラ 荷重検知装置
KR101935232B1 (ko) 2018-06-18 2019-04-03 주식회사 소프트웨어융합연구소 낙상 방지용 침대
KR20190083067A (ko) 2018-01-03 2019-07-11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낙상 방지용 침대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8412B2 (ja) * 1998-07-27 2001-08-13 株式会社ノア 安全管理システム
KR101355245B1 (ko) * 2005-10-07 2014-01-27 콘메디시스, 인크. 환자 리프트 및 이송 장치
JP6212223B2 (ja) * 2015-03-30 2017-10-11 株式会社フジクラ 荷重検知装置
KR101715218B1 (ko) * 2015-06-25 2017-03-13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 분석을 통하여 환자의 낙상 위험을 판단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6388418A (zh) * 2015-07-28 2017-02-15 由田新技股份有限公司 防止跌落装置与其操作方法
WO2017163479A1 (ja) * 2016-03-25 2017-09-28 株式会社フジクラ 荷重検知装置
KR20190083067A (ko) 2018-01-03 2019-07-11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낙상 방지용 침대
KR101935232B1 (ko) 2018-06-18 2019-04-03 주식회사 소프트웨어융합연구소 낙상 방지용 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4424B1 (ko) * 2021-11-22 2022-02-17 빅헤브솔루션 주식회사 영상수집장치를 활용한 원격 낙상 유무 확인 판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9929B1 (ko) 2022-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48840B2 (ja) ベッド上及び室内の見守りシステム
JP5992296B2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及び状態判断システム
US7987069B2 (en) Monitoring patient support exiting and initiating response
US20090044334A1 (en) Automatically adjusting patient platform support height in response to patient related events
US20150281659A1 (en) Image transmission or recording triggered by bed event
KR101715218B1 (ko) 영상 분석을 통하여 환자의 낙상 위험을 판단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9165449B2 (en) Occupant egress predictio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JP5858940B2 (ja) 離床監視システム
US20210142643A1 (en) Patient-fall scenario detector and systems and methods for remediating fall scenarios
JP5506195B2 (ja) 建物内の人を監視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5924820B2 (ja) トイレ見守り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トイレ見守り装置
EP3103385A1 (en) Image transmission or recording triggered by bed event
JP2011028583A (ja) 監視支援装置、システム及び監視支援方法
KR102409929B1 (ko)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
JP2007072964A (ja) 離床予測自動感知通報方法と同自動感知通報システム
KR102604548B1 (ko)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
JP2020113016A (ja) 見守りシステム、見守り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4185406A1 (ja) 離床予測検知機構
KR102404971B1 (ko) 환자의 낙상 감시시스템 및 그 감시방법
JP2007289251A (ja) 転落防止ベット
JP6390937B2 (ja) 人感装置
JP2986403B2 (ja) 病室内患者監視装置
KR101655969B1 (ko) 영상 분석을 통하여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5774152B2 (ja) 寝床の在床状況検出方法
JP2020113243A (ja) 見守りシステム、見守り方法、プログラム及び学習済みモデルの生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