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5707A - 무용접 고강도 트렌치 커버 유닛, 이를 포함하는 트렌치 커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무용접 고강도 트렌치 커버 유닛, 이를 포함하는 트렌치 커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5707A
KR20210035707A KR1020200038824A KR20200038824A KR20210035707A KR 20210035707 A KR20210035707 A KR 20210035707A KR 1020200038824 A KR1020200038824 A KR 1020200038824A KR 20200038824 A KR20200038824 A KR 20200038824A KR 20210035707 A KR20210035707 A KR 20210035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nch cover
frame
bent
cover unit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8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3812B1 (ko
Inventor
한덕환
한현규
Original Assignee
서일공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일공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일공영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035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5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00Shrinkage connections, e.g. assembled with the parts at different temperature; Force fits; Non-releasable friction-grip fastenings
    • F16B4/004Press fits, force fits, interference fits, i.e. fits without heat or chemical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렌치 커버 유닛 일 측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걸림부가 이웃하는 트렌치 커버 유닛 타 측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걸림홈에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끼움 결합되어 별도의 용접 작업이 필요 없는 무용접 고강도 트렌치 커버 유닛, 이를 포함하는 트렌치 커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용접 고강도 트렌치 커버 유닛, 이를 포함하는 트렌치 커버 및 그 제조방법{NON-WELDING HIGH-STRENGTH TRENCH COVER UNIT, TRENCH COVER COMPRI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트렌치 커버 유닛 일 측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걸림부가 이웃하는 트렌치 커버 유닛 타 측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걸림홈에 끼움 결합되어, 별도의 용접 작업이 필요 없는 무용접 고강도 트렌치 커버 유닛, 이를 포함하는 트렌치 커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렌치 커버(trench cover)는 도로의 가장자리, 통행로, 공장, 아파트, 빌딩, 선박 등과 같은 다양한 장소의 하수, 오수 또는 빗물 등이 모이는 배수관로에 설치된다.
배수관로에 설치된 트렌치 커버는 보행자, 자동차 및 바퀴가 포함된 카트나 유모차 등과 같은 이동수단이 배수관로에 빠지지 않고 안전하게 통행이 가능하게 함과, 배수관로로 유입되는 이물질 등을 걸러주어 하수, 오수 또는 빗물이 원활하게 배수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트렌치 커버는 안전과 관련된 측면에서 큰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사각 형상의 프레임에 격자형 리브를 형성하고, 높은 강도를 지니는 금속재로 제작되어 그레이팅(grating)이라고도 불린다.
위와 같이 형성되는 트렌치 커버는 자동차와 같이 무거운 중량체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뒤틀리거나, 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프레임에 격자형 리브를 형성하기 위해 용접 작업이 필요하게 되어 그에 따른 시간과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은 트렌치 커버에 관한 배경기술 문헌들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0753485호(이하, 문헌 1)는 ‘연결고정이 용이한 트렌치 커버(측구 덮개)’로, 평판 전방의 하부 측면에 하나 이상의 걸림홈이 형성되며, 평판의 후방 하측면부에 형성된 걸림홈의 개수만큼 회동용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트렌치 커버에 관한 것이다.
문헌 1의 트렌치 커버는 도 1에서와 같이, 금속재의 평판에 회동용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기 위해 별도의 용접 작업이 필요하며, 그에 따른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평판에 빗물을 배수하기 위해 배수 구멍이 형성되어 있을 뿐, 빗물에 의해 보행자가 미끄러질 수 있는 또 다른 문제가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9484호(이하, 문헌 2)는 ‘합성수지 무소음 트렌치 커버’로, 바디의 일 측 장변 면에는 탄성후크가 돌출 형성되고, 바디의 타 측 장변 면에는 탄성후트에 정렬되는 위치에 결합공이 형성되는 트렌치 커버에 관한 것이다.
문헌 2의 트렌치 커버는 도 2에서와 같이, 트렌치 커버 일 측에 탄성후크가 형성되어 있으나,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조립 시에 탄성후크가 부러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합성수지로 성형된 트렌치 커버는 금속 받침대에 바디를 볼트로 체결하여 트렌치에 고정하기에 시공 시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1496호(이하, 문헌 3)는 강재 그레이팅(트렌치 커버)은 강판을 레이저로 절단, 절곡 및 용접하여 전후방 지지대들 중 하나에 연결공과 다른 하나에는 연결공이 삽입되는 연결바가 형성되는 트렌치 커버에 관한 것이다.
문헌 3의 트렌치 커버는 도 3에서와 같이, 판의 양측부로부터 하향 절곡된 측면 지지대들의 전후방에 각각 전후방 지지대를 용접으로 형성하여 대량으로 생산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연결바는 연결공에 단순하게 삽입되는 방식으로, 외부에서 발생되는 힘에 의해 쉽게 분리되는 또 다른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28221호(이하, 문헌 4)는 ‘케이에스 중차량용 트렌치 커버’로 평평한 평 철을 이용하여 U자 형태로 가공한 후, 타원형의 구멍을 낸 트렌치 커버에 관한 것이다.
문헌 4의 트렌치 커버는 도 4에서와 같이, 가공된 철판의 하부가 수직바 형태로 형성되어, 트렌치 커버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트렌치 커버가 뒤틀리거나, 휠 수 있다.
또한, 트렌치 커버로 형성하기 위해 U자 형태로 가공된 철을 용접으로 가공하는 방식으로, 현장에서 배수관로 크기 또는 폭에 따라 트렌치 커버를 조립하여 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배경기술 문헌>
(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0753485호
(문헌 2)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9484호
(문헌 3)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1496호
(문헌 4)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28221호
본 발명은 상기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기존의 트렌치 커버에 형성된 두꺼운 평철인 베어링바(주보)와 크로스바를 용접 방식을 채택하지 않고, 트렌치 커버 유닛이 등간격으로 상하 또는 좌우 결합되는 방식으로 무용접 고강도 트렌치 커버 유닛, 이를 포함하는 트렌치 커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용접 고강도 트렌치 커버 유닛이 일체형으로 제조되며, 트렌치 커버가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대량생산에 따른 제조의 간편화 및 조립과 생산성이 향상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트렌치 커버 유닛의 수평부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미끄럼방지부가 상측으로 돌출되고, 배수구가 하측으로 돌출되어 빗물 배수가 원활함과 동시에 보행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무용접 고강도 트렌치 커버 유닛은 사각 단면으로 형성되되, 하측 면에 길이 방향으로 개방된 슬롯과, 상측 면에 하나 이상의 미끄럼방지부(120)와 배수구(130)가 등간격으로 포함되는 프레임(110); 프레임(110) 일 측면에 등간격으로 절곡되어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140); 및 프레임(110) 타 측면에 등간격으로 절단되어 홈이 형성되는 걸림홈(150);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110)은 수평부(111) 일 측이 하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수직부(112); 제1수직부(112)에 수평 방향으로 연속되어 절곡되는 제1지지부(113); 수평부(111) 타 측이 하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수직부(114); 및 제2수직부(114)에 수평 방향으로 연속되어 절곡되는 제2지지부(1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무용접 고강도 트렌치 커버 유닛은 제1수직부(112) 또는 제2수직부(114)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수평부(111) 내측 방향으로 일정 각도로 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무용접 고강도 트렌치 커버 유닛은 제1수직부(112) 또는 제2수직부(114)에 돌기부(116)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부(140)는 프레임(110) 일 측면이 절개된 후, 제1절개부(114)가 소정의 각도로 연속적으로 구부러져 제1절곡부(141); 제2절곡부(142) 및 제3절곡부(143)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무용접 고강도 트렌치 커버는 상측 면에 하나 이상의 미끄럼방지부(120)와 배수구(130)가 등간격으로 포함되는 프레임(110); 프레임(110) 일 측면에 등간격으로 절곡되어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140); 및 프레임(110) 타 측면에 등간격으로 절단되어 홈이 형성되는 걸림홈(150);이 포함되는 트렌치 커버 유닛(100)과 다수개의 이웃하는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의 일단과 타단에 결합되는 마감부(200);가 포함되고, 어느 하나의 트렌치 커버 유닛(100)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걸림부(140)가 이웃하는 트렌치 커버 유닛(100)의 타 측면에 형성된 걸림홈(150)에 상하 또는 좌우로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감부(200)는 이웃하는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의 제1수직부(112)와 제2수직부(114)를 고정 결합하는 제1고정돌기(220)와 제2고정돌기(230)가 마감프레임(210)에 등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마감프레임(210)에 등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되,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의 제1지지부(113)와 제2지지부(115)를 각각 고정하는 제3고정돌기(24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무용접 고강도 트렌치 커버 제조방법은 상측 면에 하나 이상의 미끄럼방지부(120)와 배수구(130)가 등간격으로 포함되는 프레임(110); 프레임(110) 일 측면에 등간격으로 절곡되어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140); 및 프레임(110) 타 측면에 등간격으로 절단되어 홈이 형성되는 걸림홈(150);이 포함되는 트렌치 커버 유닛(100) 제조단계(S100); 마감부(200) 제조단계(S200); 어느 하나의 트렌치 커버 유닛(100)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걸림부(140)가 이웃하는 트렌치 커버 유닛(100)의 타 측면에 형성된 걸림홈(150)에 상하 또는 좌우로 끼움 결합되는 결합단계(S300); 및 다수개의 이웃하는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의 일단과 타단에 마감부(200)가 삽입되는 삽입단계(S4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무용접 고강도 트렌치 커버 제조방법은 트렌치 커버(1) 도금단계(S60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무용접 고강도 트렌치 커버는 상기 무용접 고강도 트렌치 커버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 커버 유닛을 등간격으로 상하 또는 좌우 결합되는 방식을 채택하여 조립 및 무용접으로 구성되는 트렌치 커버는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그에 따른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트렌치 커버 유닛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필요로 하는 상부가 개방된 배수로의 크게 맞게 현장에서 조립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우천 시에 보행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카트나 유모차 등과 같은 이동수단의 바퀴가 배수로로 빠지지 않아 안전사고를 방지함과 동시에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배경기술이 되는 문헌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 커버 유닛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 커버 유닛 정면도와 일부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 커버 유닛들이 결합된 트렌치 커버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 커버 유닛들이 상하로 결합되는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형태의 트렌치 커버 유닛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형태의 트렌치 커버 유닛 평면도와 일부 확대도이다.
도 11은 또 다른 형태의 트렌치 커버 유닛들이 결합된 트렌치 커버 사시도이고,
도 12는 또 다른 형태의 트렌치 커버 유닛들이 좌우로 결합되는 상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마감부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개의 이웃하는 트렌치 커버 유닛에 마감부가 결합되는 상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 커버 정면도 및 일부분을 평면에서 확대한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형태의 마감부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형태의 마감부가 포함된 트렌치 커버 정면도 및 일부분을 평면에서 확대한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 커버를 배수로에 적용한 상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 커버 제조방법 흐름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 커버 유닛들이 결합되어 이격공간이 형성되는 예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 트렌치 커버
100: 트렌치 커버 유닛, 100a: 상하결합용 트렌치 커버 유닛, 100b: 좌우결합용 트렌치 커버 유닛
110: 프레임, 111: 수평부, 112: 제1수직부, 113: 제1지지부, 114: 제2수직부, 115: 제2지지부, 116: 돌기부
120: 미끄럼방지부, 121: 제1미끄럼방지부, 122: 제2미끄럼방지부, 123: 타공부
130: 배수구
140: 걸림부, 140a: 상하결합용 걸림부, 140b: 좌우결합용 걸림부, 141: 제1절곡부, 142: 제2절곡부, 143: 제3절곡부, 144: 제1절개부, 145: 공간부
150: 걸림홈, 150a: 상하결합용 걸림홈, 150b: 좌우결합용 걸림홈
200: 마감부, 210: 마감프레임, 220: 제1고정돌기, 221: 제1돌출절곡부, 230: 제2고정돌기, 231: 제2돌출절곡부, 240: 제3고정돌기, 241: 제3돌출절곡부
B: 체결부
S: 이격공간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이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이 가해질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 특징들, 실시예들 또는 구현예들은 단독으로 또는 다양한 조합들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청구범위에 의해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하고,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사람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1>
도 5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트렌치 커버 유닛(100)은 프레임(110); 미끄럼방지부(120); 배수구(130); 걸림부(140) 및 걸림홈(150)이 형성되며, 걸림부(140)와 걸림홈(150)이 결합되는 방향에 따라 상하결합용 트렌치 커버 유닛(100a)과 좌우결합용 트렌치 커버 유닛(100b)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는 상하결합용 트렌치 커버 유닛(100a)을 기본으로 하여 설명하였다.
상기 트렌치 커버 유닛(100)은 금속계열 또는 수지계열의 소재로 제조되며, 바람직하게는 금속계열로 제조되어 용접 작업 없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계열은 철, 강재,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또는 스틸-알루미늄 복합 소재 중 어느 하나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철은 비교적 저렴하고, 원하는 모양으로 성형이 쉬운 장점이 있다.
상기 강재는 95% 이상의 철분과 함께 탄소, 크롬, 망간, 니켈 등이 함유하고 있는 금속으로, 강도가 높고 불연성이며, 인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만일 강재로 제조되었을 경우, 부식이 발생할 수 있기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분체도장이나 도금, 페인트 도장 등의 후처리 과정이 필수로 수행되어야 한다.
상기 알루미늄은 산화 시에 그 자체로 치밀한 산화알루미늄(Al2O3) 막을 형성하여 부식의 침하를 방지하여, 금속 부식에 대한 내식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알루미늄은 녹이 슬지 않고 수명이 길며, 절곡 시에 발생되는 갈라짐과 깨지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상기 스테인리스는 녹이나 부식이 잘 생기지 않고, 내구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상기 스틸-알루미늄 복합 소재는 스테인리스 스틸 분말과 알루미늄 분말이 혼합되어 제조되는 복합 소재로, 기계적 강도, 내식성 및 경량성이 동시에 우수한 장점이 있다.
상기 수지계열은 폴리염화비닐(PVC), 비가소화 폴리염화비닐(UPVC),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수지 또는 폴리아미드(PA) 중 어느 하나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프레임(110)은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사각 단면으로 형성되되, 하측 면에 길이 방향으로 개방된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10)은 사출 또는 절곡 방식으로 제조되며, 시공하고자 하는 배수로의 크기에 따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6에서와 같이, 프레임(110)은 수평부(111), 제1수직부(112), 제1지지부(113), 제2수직부(114) 및 제2지지부(115)가 포함되어 하나의 판재가 절곡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수평부(111) 일 측과 타 측이 하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각각 제1수직부(112)와 제2수직부(114)가 형성된다.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제1수직부(112)와 제2수직부(114)에 수평 방향으로 연속되어 각각 절곡되어 제1지지부(113)와 제2지지부(115)가 형성되며, 제1지지부(113)와 제2지지부(115) 사이에 슬롯이 형성된다.
일반적인 트렌치 커버 유닛은 하부가 개방되는 사각 단면으로 형성되어 트렌치 커버에 가해지는 하중을 견디기 위해 두꺼운 평철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
즉, 본 발명은 트렌치 커버 유닛(100)에 제1지지부(113)와 제2지지부(115)가 절곡 형성되어 하부에 슬롯이 포함됨으로써, 일반적인 트렌치 커버보다 무게 대비 2배 이상의 강도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5에서와 같이, 수평부(111)에 하나 이상의 미끄럼방지부(120)와 하나 이상의 배수구(130)가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부(120)는 우천 시에 보행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빗물이 배수되기 위해 타공부(123)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미끄럼방지부(120)는 도 5에서 제1미끄럼방지부(121)와 제2미끄럼방지부(122)로 2개가 포함되어 있으나, 수평부(111) 폭의 길이에 따라 미끄럼방지부(120)의 개수가 변동될 수 있다.
평면에서 보았을 때, 미끄럼방지부(120)의 모양은 원형, 사각형, 삼각형, 역삼각형, 별형 등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미끄럼방지부(121)와 제2미끄럼방지부(122)의 모양은 동일하거나, 각각 다른 모양으로 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부(120)의 모양은 제조 시에 효율이 가장 우수한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좋다.
상기 배수구(130)는 우천 시에 빗물을 배수하기 위해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관통 형성되거나, 하부 방향으로 경사진 면을 갖도록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수구(130)는 도 5에서 1개가 포함되어 있으나, 수평부(111) 폭의 길이에 따라 배수구(130)의 개수가 변동될 수 있다.
평면에서 보았을 때, 배수구(130)의 모양은 타원형 또는 사각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서와 같이, 수평부(111)에 미끄럼방지부(120)와 배수구(130)가 번갈아가면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트렌치 커버 유닛(100)의 프레임(110) 윗면이 평평하게 이루어져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140)는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제1수직부(112)에 등간격으로 절곡되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서와 같이, 걸림부(140)는 제1절곡부(141), 제2절곡부(142) 및 제3절곡부(143)가 포함된다.
특히, 제1수직부(112)에 평면 형상이 상하방향으로 긴 사각형으로 형성된 제1절개부(144)가 형성된다.
상기 제1절개부(144)의 윗면을 제외한 3면이 절개되고, 제1절개부(144)의 윗면이 제1수직부(112)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제1절곡부(141)가 돌출 형성된다.
제1절곡부(141)가 연장되어 하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제2절곡부(142)와 공간부(145)가 형성되며, 제2절곡부(142)에 연장되어 소정의 각도로 구부러지는 제3절곡부(143)가 형성된다.
즉, 걸림부(140)는 제1절곡부(141), 제2절곡부(142) 및 제3절곡부(143)가 연속적으로 구부러지고, 제1수직부(112)가 절개되어 절곡됨으로써 용접 과정 없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장점이 있다.
걸림부(140)는 제3절곡부(143)가 형성되지 않고 제1절곡부(141)와 제2절곡부(142)가 형성되면, 정면에서 보았을 때 단면 형상이 ㄱ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부(140)에 소정의 각도로 구부러진 제3절곡부(143)가 형성되면, 후단에서 설명할 이웃하는 트렌치 커버 유닛(100)에 형성된 걸림홈(150)과 쉽게 결합되는 장점이 있다.
도 6에서와 같이 형성된 제2절곡부(142)와 제3절곡부(143) 사이의 소정의 각도는 제2절곡부(142)가 0° 기준으로 150~16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140)는 도 5에서와 같이, 하부 방향이 개방되어 제1수직부(112)에 형성되면 상하결합용 걸림부(140a)가 된다.
또한, 걸림부(140)는 도 9에서와 같이,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개방되어 제1수직부(112)에 형성되면 좌우결합용 걸림부(140b)가 된다.
상기 걸림홈(150)은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제2수직부(114)에 등간격으로 절단되어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은 위에서 설명한 걸림부(140)가 인입되어 다수개의 트렌치 커버 유닛(100)이 이웃하기 위해 걸림부(140)가 대응되는 위치에 평면 형상이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걸림홈(150)은 이웃하는 트렌치 커버 유닛(100)의 걸림부(140)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에 따라, 다수개의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이 결합되어도 수평부들(111)이 동일한 평면상을 이루어 보행자나 이동수단의 바퀴가 다수개의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에 걸려 넘어지지 않고,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걸림홈(150)은 상하결합용 걸림부(140a)와 대응되기 위해, 제2수직부(114)에 평면 형상이 상하방향으로 긴 사각형이 형성되는 상하결합용 걸림홈(150a)과, 좌우결합용 걸림부(140b)와 대응하기 위해 제2수직부(114)에 평면 형상이 길이방향으로 긴 사각형이 형성되는 좌우결합용 걸림홈(150b)이 포함될 수 있다.
후단에 설명할 트렌치 커버(1)로 제조되기 위해 도 7에서와 같이, 다수개의 상하결합용 트렌치 커버 유닛(100a)은 서로 이웃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수개가 이웃하는 상하결합용 트렌치 커버 유닛(100a)은 도 8에서와 같이 조립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상하결합용 트렌치 커버 유닛을 100a-1라고 하고,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상하결합용 트렌치 커버 유닛을 100a-2라고 하였을 때 도 8에서와 같이 상하로 결합될 수 있다.
도 8의 (A)에서와 같이, 상하결합용 트렌치 커버 유닛(100a-1)의 제1수직부(112)에 돌출 형성된 상하결합용 걸림부(140a)가 이웃하는 상하결합용 트렌치 커버 유닛(100a-2)의 제2수직부(114)에 형성된 상하결합용 걸림홈(150a)으로 인입된다.
이후, 도 8의 (B)에서와 같이, 이웃하는 상하결합용 트렌치 커버 유닛(100a-2)의 상하결합용 걸림홈(150a)으로 인입된 상하결합용 트렌치 커버 유닛(100a-1)의 상하결합용 걸림부(140a)가 하부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면, 상하결합용 걸림부(140a)가 상하결합용 걸림홈(150a)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하결합용 걸림부(140a)의 제2절곡부(142) 내측에 포함된 공간부(145)의 폭이 이웃하여 결합되는 상하결합용 걸림홈(150a)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결합 후에 상하결합용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a) 간에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웃하는 상하결합용 트렌치 커버 유닛(100a-2)의 제2수직부(114)에 형성된 상하결합용 걸림홈(150a)이 상하결합용 트렌치 커버 유닛(100a-1)의 제1수직부(112)에 돌출 형성된 상하결합용 걸림부(140a)로 인입된 후, 상하결합용 걸림홈(150a)이 제2절곡부(142) 내측에 포함된 공간부(145)로 즉, 상부 방향으로 움직여 결합 고정될 수도 있다.
즉, 상하결합용 트렌치 커버 유닛(100a)은 상하로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의 걸림부(140)와 걸림홈(150)이 결합되는 방향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트렌치 커버 유닛(100)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는 좌우결합용 트렌치 커버 유닛(100b)을 기본으로 하여 설명하였다.
상기 걸림부(140)는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제1수직부(112)에 등간격으로 절곡되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서와 같이, 좌우결합용 트렌치 커버 유닛(100b)에 포함되는 좌우결합용 걸림부(140b)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형성되되,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실시예 1의 걸림부(140)가 90° 회전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9에서와 같이 좌우결합용 트렌치 커버 유닛(100b)에 형성된 좌우결합용 걸림부(140b)의 제1절개부(144)는 평면 형상이 길이방향으로 긴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좌우결합용 걸림부(140b) 역시 길이방향으로 긴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좌우결합용 걸림부(140b)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단면 형상이 실시예 1의 상하결합용 걸림부(140a)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홈(150)은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제2수직부(114)에 등간격으로 절단되어 홈이 형성되되, 다수개의 좌우결합용 트렌치 커버 유닛(100b)이 이웃하기 위해 좌우결합용 걸림부(140b)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걸림홈(150)은 이웃하는 트렌치 커버 유닛(100)의 걸림부(140)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에 따라, 다수개의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이 결합되어도 수평부들(111)이 동일한 평면상을 이루어 보행자나 이동수단의 바퀴가 다수개의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에 걸려 넘어지지 않고,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좌우결합용 걸림홈(150b)은 이웃하는 좌우결합용 걸림부(140b)와 대응하기 위해 제2수직부(114)에 평면 형상이 길이방향으로 긴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후단에 설명할 트렌치 커버(1)로 제조되기 위해 도 11에서와 같이, 다수개의 좌우결합용 트렌치 커버 유닛(100b)은 서로 이웃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수개가 이웃하는 좌우결합용 트렌치 커버 유닛(100b)은 도 12에서와 같이 조립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좌우결합용 트렌치 커버 유닛을 100b-1이라 하고,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좌우결합용 트렌치 커버 유닛을 100b-2라고 하였을 때 도 12에서와 같이 좌우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2의 (A)에서와 같이, 좌우결합용 트렌치 커버 유닛(100b-1)의 제1수직부(112)에 돌출 형성된 좌우결합용 걸림부(140b)가 이웃하는 좌우결합용 트렌치 커버 유닛(100b-2)의 제2수직부(114)에 형성된 좌우결합용 걸림홈(150b)으로 인입된다.
이후, 도 12의 (B)에서와 같이, 이웃하는 좌우결합용 트렌치 커버 유닛(100b-2)의 좌우결합용 걸림홈(150b)으로 인입된 좌우결합용 트렌치 커버 유닛(100b-1)의 좌우결합용 걸림부(140b)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좌측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면, 좌우결합용 걸림부(140b)가 좌우결합용 걸림홈(150b)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때, 좌우결합용 걸림부(140b)의 제2절곡부(142) 내측에 포함된 공간부(145)의 폭이 이웃하여 결합되는 좌우결합용 걸림홈(150b)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결합 후에 좌우결합용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b) 간에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웃하는 좌우결합용 트렌치 커버 유닛(100b-2)의 제2수직부(114)에 형성된 좌우결합용 걸림홈(150b)이 좌우결합용 트렌치 커버 유닛(100b-1)의 제1수직부(112)에 돌출 형성된 좌우결합용 걸림부(140b)로 인입된 후, 좌우결합용 걸림홈(150b)이 제2절곡부(142) 내측에 포함된 공간부(145)로 즉, 우측 방향으로 움직여 결합 고정될 수도 있다.
즉, 좌우결합용 트렌치 커버 유닛(100b)은 좌우로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의 트렌치 커버 유닛(100)을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트렌치 커버 유닛(100) 제조단계(S100)는 프레임(110)이 성형되는 단계(S110); 미끄럼방지부(120)와 배수구(130)가 펀칭되는 단계(S120); 걸림부(140)가 돌출 절곡되는 단계(S130) 및 걸림홈(150)이 펀칭되는 단계(S14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0)이 성형되는 단계(S110)는 사각 단면으로 형성되되, 하측 면에 길이 방향으로 개방된 슬롯이 형성되는 프레임(110)이 사출되거나, 하나의 판재가 순차적으로 절곡되어 도 6에서와 같이, 수평부(111), 제1수직부(112), 제1지지부(113), 제2수직부(114) 및 제2지지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부(120)와 배수구(130)가 펀칭되는 단계(S120)는 수평부(111)에 미끄럼방지부(120)와 배수구(130)가 순차적으로 반복되어 형성되도록 펀칭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부(120)는 타공부(123)가 관통 형성되되, 타공부(123)의 바깥둘레가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130)는 수평부(111)에 하부 방향으로 관통되어 돌출 형성되거나, 하부 방향으로 경사진 면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미끄럼방지 기능과 배수 기능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140)가 돌출 절곡되는 단계(S130)는 레이저 및 프레스를 이용하여, 제1수직부(112)에 등간격으로 제1절개부(144)의 1개의 면을 제외한 3개의 면이 절개되어 순차적으로 절곡하여 제1절곡부(141), 제2절곡부(142) 및 제3절곡부(14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걸림부(140)가 도 5에서와 같이, 하부 방향으로 개방되어 제1수직부(112)에 형성되면 상하결합용 걸림부(140a)가 되며,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개방되어 제1수직부(112)에 형성되면 좌우결합용 걸림부(140b)가 된다.
즉, 걸림부(140)가 개방되는 방향에 따라 상하결합용 걸림부(140a) 또는 좌우결합용 걸림부(140b)를 형성하여, 상하결합용 트렌치 커버 유닛(100a) 또는 좌우결합용 트렌치 커버 유닛(100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걸림홈(150)이 펀칭되는 단계(S140)는 상하결합용 걸림부(140a)가 대응되는 위치의 제2수직부(114)에 등간격으로 절단되어 홈이 형성되되, 홈의 평면 형상이 상하방향으로 긴 사각형으로 형성되면, 상하결합용 걸림홈(150a)이 된다.
또한, 걸림홈(150)은 좌우결합용 걸림부(140b)가 대응되는 위치의 제2수직부(114)에 등간격으로 절단되어 홈이 형성되되, 홈의 평면 형상이 길이방향으로 긴 사각형으로 형성되면, 좌우결합용 걸림홈(150b)이 된다.
즉, 트렌치 커버 유닛(100)에 상하결합용 걸림부(140a)와 상하결합용 걸림홈(150a)이 형성되면, 상하결합용 트렌치 커버 유닛(100a)이 되고, 좌우결합용 걸림부(140b)와 좌우결합용 걸림홈(150b)이 형성되면, 좌우결합용 트렌치 커버 유닛(100b)으로 제조될 수 있다.
특히, 특히, 걸림홈(150)은 이웃하는 트렌치 커버 유닛(100)의 걸림부(140)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에 따라, 다수개의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이 결합되어도 수평부들(111)이 동일한 평면상을 이루어 보행자나 이동수단의 바퀴가 다수개의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에 걸려 넘어지지 않고,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트렌치 커버 유닛(100) 제조단계(S100)는 프레임(110)이 성형되는 단계(S110); 미끄럼방지부(120)와 배수구(130)가 펀칭되는 단계(S120); 걸림부(140)가 돌출 절곡되는 단계(S130) 및 걸림홈(150)이 펀칭되는 단계(S140)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설계조건에 따라 순서가 변경되어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의 트렌치 커버 유닛(100)을 이용하여, 다수개가 이웃하여 결합된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의 일단과 타단에 마감부(2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트렌치 커버 유닛(100)은 실시예 1의 상하결합용 트렌치 커버 유닛(100a) 또는 실시예 2의 좌우결합용 트렌치 커버 유닛(100b)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마감부(200)는 상기 실시예의 트렌치 커버 유닛(100)과 동일한 소재로 제조되며, 바람직하게는 금속계열로 제조되되, 용접 작업 없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되, 결합되는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의 길이에 맞추어 절단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마감부(200)는 도 13에서와 같이, 길이방향의 판재가 절곡되어 단면 형상이 ㄴ으로 형성인 마감프레임(2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감프레임(210) 일 측면에 제1고정돌기(220)와 제2고정돌기(230)가 등간격으로 순차적으로 반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돌기(220)와 제2고정돌기(230)는 마감프레임(210) 일 측에 1개의 면을 제외하고, 3개의 면이 절개되어 마감부(200)의 내측 방향으로 절개되지 않은 1개의 면을 절곡할 수 있다.
또한, 제1고정돌기(220)와 제2고정돌기(230)는 각각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구부러져, 제1돌출절곡부(221)와 제2돌출절곡부(2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절곡부(221)와 제2돌출절곡부(231)는 각각 둔각이 형성되도록 구부러지며, 평면에서 보았을 때 도 15에서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1돌출절곡부(221)와 제2돌출절곡부(231) 사이의 간격은 트렌치 커버 유닛(100)과 이웃하는 트렌치 커버 유닛(100)이 결합된 제1수직부(112)와 제2수직부(114)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도 14에서와 같이 결합되는 다수개의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의 결합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특히, 다수개의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 및 마감부(200)가 포함된 트렌치 커버(1)는 마감부(200)로 인해 트렌치 커버(1)가 휘거나, 뒤틀리지 않는 또 다른 장점이 있다.
또한, 트렌치 커버(1)의 상단면이 평평하게 이루어지되, 사용자가 외부에서 미끄럼방지부(120)와 배수구(130)를 통해 트렌치 커버(1) 내측 공간이 보이는 것을 최소화하여 공포심을 완화시킬 수 있다.
도 15에서와 같이, 다수개의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에서 마감부(2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외측에 형성된 트렌치 커버 유닛(100) 일 측에 체결부(B)를 각각 인입된다.
이때, 체결부(B)는 외측에 형성된 트렌치 커버 유닛(100) 내부에 인입된 제1돌출절곡부(221)와 제2돌출절곡부(231)에 각각 인입되어 결합되어 결합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B)는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마감부(200) 제조단계(S200)는 마감프레임(210)이 성형되는 단계(S210); 및 제1고정돌기(220)와 제2고정돌기(230)가 돌출 절곡되는 단계(S22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마감프레임(210)이 성형되는 단계(S210)는 하나의 판재가 절곡되어 도 13에서와 같이, 단면이 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돌기(220)와 제2고정돌기(230)가 돌출 절곡되는 단계(S220)는 마감프레임(210) 일 측면에 제1고정돌기(220)와 제2고정돌기(230)가 등간격으로 순차적으로 반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돌기(220)와 제2고정돌기(230)는 마감프레임(210) 일 측에 1개의 면을 제외하고, 3개의 면이 절개되어 마감부(200)의 내측 방향으로 절개되지 않은 1개의 면을 절곡할 수 있다.
또한, 제1고정돌기(220)와 제2고정돌기(230)는 각각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구부러져, 제1돌출절곡부(221)와 제2돌출절곡부(2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절곡부(221)와 제2돌출절곡부(231)는 도 15에서와 같이,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그 사이에 2개의 트렌치 커버 유닛(100)이 이웃하도록 결합되어 이웃하는 제1수직부(112)와 제2수직부(114)가 인입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트렌치 커버(1)가 휘거나, 뒤틀리지 않고, 결합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4의 마감부(200)에 제3고정돌기(2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3고정돌기(240)를 제외한 구성은 실시예 4의 마감부(200)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에서와 같이, 제3고정돌기(240)는 제1고정돌기(220)와 제2고정돌기(230)가 형성된 동일한 면의 마감프레임(210)에 상하 방향으로 긴 사각형이 절개되되, 2개의 제3고정돌기(240)가 한 쌍을 이루어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고정돌기(240)는 마감프레임(210) 일 측에 아래쪽에 위치한 1개의 면을 제외하고, 3개의 면이 절개되어 마감부(200)의 내측 방향으로 절개되지 않은 1개의 면이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제3고정돌기(240)에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구부러져, 제3돌출절곡부(24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돌출절곡부(241)는 둔각이 형성되도록 구부러지며, 정면에서 보았을 때, 평면에서 본 제1돌출절곡부(221) 또는 제2돌출절곡부(231)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마감프레임(210) 타 측과 제3돌출절곡부(241) 사이의 간격은 트렌치 커버 유닛(100)의 제1지지부(113)와 제2지지부(115)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도 17에서와 같이 다수개의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의 결합력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17에서와 같이, 다수개가 이웃하여 결합되는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에 포함된 제1지지부(113) 및 제2지지부(115)와 대응되는 위치에 한 쌍의 제3고정돌기들(240)이 마감프레임(210)에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마감부(200)에 제3고정돌기(240)가 더 포함됨에 따라, 다수개가 이웃하여 결합되는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이 외부에서 상하좌우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트렌치 커버(1)의 결합력이 저하되지 않고, 휘거나 뒤틀리지 않고 무용접으로 트렌치 커버(1)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7에서와 같이, 다수개의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에서 마감부(2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시예 4에서와 같이 외측에 형성된 트렌치 커버 유닛(100) 일 측에 체결부(B)를 각각 인입된다.
이때, 체결부(B)는 외측에 형성된 트렌치 커버 유닛(100) 내부에 인입된 제1돌출절곡부(221)와 제2돌출절곡부(231)에 각각 인입되어 결합되어 결합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마감부(200) 제조단계(S200)는 마감프레임(210)이 성형되는 단계(S210); 제1고정돌기(220)와 제2고정돌기(230)가 돌출 절곡되는 단계(S220) 및 제3고정돌기(240)가 돌출 절곡되는 단계(S23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마감프레임(210)이 성형되는 단계(S210) 및 제1고정돌기(220)와 제2고정돌기(230)가 돌출 절곡되는 단계(S220)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수행된다.
상기 제3고정돌기(240)가 돌출 절곡되는 단계(S230)는 제1고정돌기(220)와 제2고정돌기(230)가 형성된 동일한 면의 마감프레임(210)에 상하 방향으로 긴 사각형이 절개되되, 2개의 제3고정돌기(240)가 한 쌍을 이루어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고정돌기(240)는 마감프레임(210) 일 측에 아래쪽에 위치한 1개의 면을 제외하고, 3개의 면이 절개되어 마감부(200)의 내측 방향으로 절개되지 않은 1개의 면이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제3고정돌기(240)에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구부러져, 제3돌출절곡부(24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돌출절곡부(241)는 도 17에서와 같이, 한 쌍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각각 트렌치 커버 유닛(100)의 제1지지부(113)와 제2지지부(115)가 고정 결합된다.
특히, 제1돌출절곡부(221)와 제2돌출절곡부(231)가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그 사이에 2개의 트렌치 커버 유닛(100)이 이웃하도록 결합되어 이웃하는 제1수직부(112)와 제2수직부(114)가 인입되어 고정됨과 동시에, 한 쌍의 제3돌출절곡부(241)가 트렌치 커버 유닛(100)의 제1지지부(113)와 제2지지부(115)를 각각 고정하여 결합력이 더욱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6>
도 19에서와 같이, 트렌치 커버(1)가 제조될 수 있다.
트렌치 커버(1)는 도 18에서와 같이, 상측이 개방된 배수로에 형성되기 위해, 트렌치 커버 유닛(100) 및 마감부(20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트렌치 커버 유닛(100)은 상측 면에 하나 이상의 미끄럼방지부(120)와 배수구(130)가 등간격으로 포함되는 프레임(110); 프레임(110) 일 측면에 등간격으로 절곡되어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140); 및 프레임(110) 타 측면에 등간격으로 절단되어 홈이 형성되는 걸림홈(150);이 포함되며,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140)와 걸림홈(150)은 다수개의 이웃하는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이 상하로 결합되는 경우에는 실시예 1과 같이 형성되며, 좌우로 결합되는 경우에는 실시예 2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다수개의 이웃하는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은 어느 하나의 트렌치 커버 유닛(100)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걸림부(140)가 이웃하는 트렌치 커버 유닛(100)의 타 측면에 형성된 걸림홈(150)에 상하 또는 좌우로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마감부(200)는 이웃하는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의 제1수직부(112)와 제2수직부(114)를 고정 결합하는 제1고정돌기(220)와 제2고정돌기(230)가 마감프레임(210)에 등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며, 다수개의 이웃하는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의 일단과 타단에 결합되기 위해, 실시예 4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트렌치 커버(1) 제조방법은 도 19에서와 같이, 트렌치 커버 유닛(100) 제조단계(S100); 마감부(200) 제조단계(S200); 결합단계(S300) 및 삽입단계(S400)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트렌치 커버 유닛(100) 제조단계(S100)는 실시예 3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마감부(200) 제조단계(S200)는 실시예 4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결합단계(S300)는 어느 하나의 트렌치 커버 유닛(100)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걸림부(140)가 이웃하는 트렌치 커버 유닛(100)의 타 측면에 형성된 걸림홈(150)에 상하 또는 좌우로 끼움 결합되어 다수개의 이웃하는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다수개의 이웃하는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이 상하 결합되는 경우에는 도 8의 (A)에서와 같이, 상하결합용 트렌치 커버 유닛(100a-1)의 제1수직부(112)에 돌출 형성된 상하결합용 걸림부(140a)가 이웃하는 상하결합용 트렌치 커버 유닛(100a-2)의 제2수직부(114)에 형성된 상하결합용 걸림홈(150a)으로 인입된다.
이후, 도 8의 (B)에서와 같이, 이웃하는 상하결합용 트렌치 커버 유닛(100a-2)의 상하결합용 걸림홈(150a)으로 인입된 상하결합용 트렌치 커버 유닛(100a-1)의 상하결합용 걸림부(140a)가 하부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면, 상하결합용 걸림부(140a)가 상하결합용 걸림홈(150a)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하결합용 걸림부(140a)의 제2절곡부(142) 내측에 포함된 공간부(145)의 폭이 이웃하여 결합되는 상하결합용 걸림홈(150a)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결합 후에 상하결합용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a) 간에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웃하는 상하결합용 트렌치 커버 유닛(100a-2)의 제2수직부(114)에 형성된 상하결합용 걸림홈(150a)이 상하결합용 트렌치 커버 유닛(100a-1)의 제1수직부(112)에 돌출 형성된 상하결합용 걸림부(140a)로 인입된 후, 상하결합용 걸림홈(150a)이 제2절곡부(142) 내측에 포함된 공간부(145)로 즉, 상부 방향으로 움직여 결합 고정될 수도 있다.
즉, 상하결합용 트렌치 커버 유닛(100a)은 상하로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결합 예로, 다수개의 이웃하는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이 좌우 결합되는 경우에는 도 12의 (A)에서와 같이, 좌우결합용 트렌치 커버 유닛(100b-1)의 제1수직부(112)에 돌출 형성된 좌우결합용 걸림부(140b)가 이웃하는 좌우결합용 트렌치 커버 유닛(100b-2)의 제2수직부(114)에 형성된 좌우결합용 걸림홈(150b)으로 인입된다.
이후, 도 12의 (B)에서와 같이, 이웃하는 좌우결합용 트렌치 커버 유닛(100b-2)의 좌우결합용 걸림홈(150b)으로 인입된 좌우결합용 트렌치 커버 유닛(100b-1)의 좌우결합용 걸림부(140b)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좌측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면, 좌우결합용 걸림부(140b)가 좌우결합용 걸림홈(150b)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때, 좌우결합용 걸림부(140b)의 제2절곡부(142) 내측에 포함된 공간부(145)의 폭이 이웃하여 결합되는 좌우결합용 걸림홈(150b)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결합 후에 좌우결합용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b) 간에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웃하는 좌우결합용 트렌치 커버 유닛(100b-2)의 제2수직부(114)에 형성된 좌우결합용 걸림홈(150b)이 좌우결합용 트렌치 커버 유닛(100b-1)의 제1수직부(112)에 돌출 형성된 좌우결합용 걸림부(140b)로 인입된 후, 좌우결합용 걸림홈(150b)이 제2절곡부(142) 내측에 포함된 공간부(145)로 즉, 우측 방향으로 움직여 결합 고정될 수도 있다.
즉, 좌우결합용 트렌치 커버 유닛(100b)은 좌우로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삽입단계(S400)는 결합단계(S300)에 의해 상하 또는 좌우로 끼움 결합되어 다수개의 이웃하는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의 일단과 타단에 마감부(200)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도 15에서와 같이 형성된 마감부(200)의 제1돌출절곡부(221)와 제2돌출절곡부(231)가 마주보도록 형성되되, 사이의 간격이 트렌치 커버 유닛(100)과 이웃하는 트렌치 커버 유닛(100)이 결합된 제1수직부(112)와 제2수직부(114)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마주보도록 형성된 마감부(200)의 제1돌출절곡부(221)와 제2돌출절곡부(231) 사이에 포함된 공간에 트렌치 커버 유닛(100)과 이웃하는 트렌치 커버 유닛(100)이 결합된 제1수직부(112)와 제2수직부(114)가 인입되어 고정 결합되어, 다수개의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이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휘거나,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의 트렌치 커버(1)는 도 14에서와 같이, 다수개의 이웃하는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의 일단과 타단에 마감부(200)가 삽입되어 끼움 결합됨으로써, 무용접으로 제조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실시예 7>
트렌치 커버(1)는 실시예 6과 같이 상측이 개방된 배수로에 형성되기 위해, 트렌치 커버 유닛(100) 및 마감부(200)가 포함될 수 있다.
트렌치 커버 유닛(100)은 실시예 6에서와 같이 형성되어, 중복된 내용이 생략된다.
상기 마감부(200)는 이웃하는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의 제1수직부(112)와 제2수직부(114)를 고정 결합하는 제1고정돌기(220)와 제2고정돌기(230) 및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의 제1지지부(113)와 제2지지부(115)를 각각 고정하는 제3고정돌기(240)가 마감프레임(210)에 등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며, 다수개의 이웃하는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의 일단과 타단에 결합되기 위해, 실시예 5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트렌치 커버(1) 제조방법은 도 19에서와 같이, 트렌치 커버 유닛(100) 제조단계(S100); 마감부(200) 제조단계(S200); 결합단계(S300) 및 삽입단계(S400)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트렌치 커버 유닛(100) 제조단계(S100)는 실시예 3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마감부(200) 제조단계(S200)는 실시예 5와 같이 수행되며, 상기 결합단계(S300)는 실시예 6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삽입단계(S400)는 결합단계(S300)에 의해 상하 또는 좌우로 끼움 결합되어 다수개의 이웃하는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의 일단과 타단에 마감부(200)가 삽입될 수 있다.
도 16에서와 같이, 마감부(200)는 마감프레임(210) 일 측에 마주보도록 형성된 제1돌출절곡부(221)와 제2돌출절곡부(231)와, 2개의 제3고정돌기(240)가 한 쌍을 이루어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이때, 도 17에서와 같이, 마주보도록 형성된 마감부(200)의 제1돌출절곡부(221)와 제2돌출절곡부(231) 사이에 포함된 공간에 트렌치 커버 유닛(100)과 이웃하는 트렌치 커버 유닛(100)이 결합된 제1수직부(112)와 제2수직부(114)가 인입되어 고정 결합됨과 동시에, 마감프레임(210) 타 측과 제3돌출절곡부(241) 사이의 공간에 트렌치 커버 유닛(100)의 제1지지부(113)와 제2지지부(115)가 각각 인입되어 다수개의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이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휘거나,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마감프레임(210) 타 측과 제3돌출절곡부(241) 사이의 간격은 트렌치 커버 유닛(100)의 제1지지부(113)와 제2지지부(115)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의 결합력이 더욱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의 트렌치 커버(1)는 도 18에서와 같이, 다수개의 이웃하는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의 일단과 타단에 마감부(200)가 삽입되어 끼움 결합됨으로써, 무용접으로 제조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실시예 8>
상기 실시예 6 또는 실시예 7의 트렌치 커버(1) 제조방법에 마무리 단계(S5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마무리 단계(S500)는 위의 실시예 6 또는 실시예 7의 삽입단계(S400) 후에 수행될 수 있다.
마무리 단계(S500)는 먼저, 다수개의 이웃하는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과 마감부(200)가 결합된 트렌치 커버(1) 외측의 양 끝단에 체결부(B)를 각각 인입하여 고정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체결부(B)는 외측에 형성된 트렌치 커버 유닛(100) 내부에 삽입된 제1돌출절곡부(221)와 제2돌출절곡부(231)에 각각 인입되어 결합됨으로써, 결합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다수개의 이웃하는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 중 바깥쪽에 위치한 제1수직부(112)에 돌출 형성된 걸림부(140)는 절단하거나, 도 14에서와 같이 제1절개부(144)로 들어가도록 절곡될 수 있다.
즉, 상측이 개방된 배수로에 걸림 없이 트렌치 커버(1)가 인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9>
상기 실시예 6 내지 실시예 8의 트렌치 커버(1) 제조방법에 트렌치 커버(1) 도금단계(S6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도금단계(S600)는 위의 실시예 6 또는 실시예 7의 삽입단계(S400) 후에 수행되거나, 실시예 8의 마무리 단계(S500) 후에 수행될 수 있다.
도금단계(S600)는 용해된 금속에 상기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트렌치 커버(1)를 넣었다 뺀 후, 냉각시키는 용융도금을 통해 트렌치 커버(1)에 도금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은 주석, 알루미늄 또는 아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아연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용융아연도금은 내식성 및 밀착성이 우수하고,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부분까지 용융된 아연으로 균일하게 도금되며, 물성 변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금된 트렌치 커버(1)는 절단된 단면 부분, 관통 형성된 부분 및 외부 면이 용융아연에 의해 균일하게 도금되어 깨끗해지는 장점이 있다.
상기 실시예들을 통해 제조된 트렌치 커버(1)는 별도의 용접 작업 없이 각 구성들이 끼움 결합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트렌치 커버(1)의 외부 면은 물론이고, 다수개의 이웃하는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 간의 틈, 다수개의 이웃하는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과 마감부(200) 사이의 틈을 용융된 아연이 메워줌으로써, 결합력이 더욱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10>
상기 실시예들을 통해 제조되는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이 도 8에서와 같이 수평부(111)를 기준으로 제1수직부(112)와 제2수직부(114)가 직각으로 절곡되는 방식은 다수개의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이 이웃하도록 결합되어 도금되면, 환경이나 도금 방식에 따라 다수개의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의 이웃하는 제1수직부(112)와 제2수직부(114) 사이에 도금이 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위의 절곡 방식으로 제조된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은 배수로 등에 시공된 후에 제1수직부(112)와 제2수직부(114) 사이에서 녹물이 나오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의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의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이 결합될 때, 도 20에서와 같이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 사이에 이격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이격공간(S)은 트렌치 커버 유닛(100)의 수평부(111)를 기준으로, 제1수직부(112) 또는 제2수직부(114)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수평부(111) 내측 방향으로 일정 각도로 휘어지게 하여, 다수개의 이웃하는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도는 1 이상으로 휘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10°로 휘어질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3~8°, 가장 바람직하게는 4~6°로 휘어질 수 있으나, 제조되는 프레임(110)의 크기나 두께에 따라 변동될 수 있기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만일, 각도가 3° 미만으로 휘어지게 되면, 다수개의 이웃하는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 사이가 접합됨에 따라 이격공간(S)이 형성되지 못하여 사용 시에 녹물이 발생될 수 있다.
한편, 각도가 8° 초과로 휘어지게 되면, 다수개의 이웃하는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S)에 도금만으로 트렌치 커버(1)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어려워 별도의 용접 작업이 추가로 필요할 수도 있다.
또한, 다수개의 이웃하는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이 완전히 접합되지 않고 사이에 간격을 띄우기 위해, 도 20에서와 같이 제1수직부(112) 또는 제2수직부(114)에 돌기부(116)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기부(116)는 제1수직부(112) 또는 제2수직부(114)에 외측 방향으로 혹이 돌출 형성되어 다수개의 이웃하는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 사이에 이격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격공간(S)은 다수개의 이웃하는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간의 간격이 0.1~1mm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5~1mm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격공간(S)은 제조되는 프레임(110)의 크기나 두께에 따라 변동될 수 있기에,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실시예 3의 트렌치 커버 유닛(100) 제조단계(S100)의 프레임(110)이 성형되는 단계(S110) 후단에 트렌치 커버 유닛(100)의 수평부(111)를 기준으로, 제1수직부(112) 또는 제2수직부(114)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수평부(111) 내측 방향으로 일정 각도로 휘어지는 단계(S115)가 추가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정 각도로 휘어지는 단계(S115) 후단에 제1수직부(112) 또는 제2수직부(114)에 돌기부(116)가 돌출 형성되는 단계(S116)가 추가로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수행되는 미끄럼방지부(120)와 배수구(130)가 펀칭되는 단계(S120); 걸림부(140)가 돌출 절곡되는 단계(S130) 및 걸림홈(150)이 펀칭되는 단계(S140)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격공간(S)이 형성된 다수개의 이웃하는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이 상하 또는 좌우 끼움 결합되되, 마감부(200)가 결합된 트렌치 커버(1)는 상기 실시예 9에서와 같이, 도금단계(S60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도금단계(S600)는 실시예 9와 동일하기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조립된 트렌치 커버(1)는 용융도금 시에, 도금액이 다수개의 이웃하는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S)까지 도포되어 배수로 등에 시공한 후에도 녹이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무용접 고강도 트렌치 커버 유닛, 이를 포함하는 트렌치 커버 및 그 제조방법으로, 트렌치 커버 유닛 일 측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걸림부가 이웃하는 트렌치 커버 유닛 타 측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걸림홈에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끼움 결합되어 별도의 용접 작업이 필요 없는 산업상 이용가능한 발명이다.

Claims (11)

  1. 사각 단면으로 형성되되, 하측 면에 길이 방향으로 개방된 슬롯과, 상측 면에 하나 이상의 미끄럼방지부(120)와 배수구(130)가 등간격으로 포함되는 프레임(110);
    프레임(110) 일 측면에 등간격으로 절곡되어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140); 및
    프레임(110) 타 측면에 등간격으로 절단되어 홈이 형성되는 걸림홈(150);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 고강도 트렌치 커버 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프레임(110)은,
    수평부(111) 일 측이 하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수직부(112);
    제1수직부(112)에 수평 방향으로 연속되어 절곡되는 제1지지부(113);
    수평부(111) 타 측이 하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수직부(114); 및
    제2수직부(114)에 수평 방향으로 연속되어 절곡되는 제2지지부(1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 고강도 트렌치 커버 유닛.
  3.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수직부(112) 또는 제2수직부(114)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수평부(111) 내측 방향으로 일정 각도로 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 고강도 트렌치 커버 유닛.
  4.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수직부(112) 또는 제2수직부(114)에 돌기부(116)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 고강도 트렌치 커버 유닛.
  5. 청구항 1에 있어서,
    걸림부(140)는,
    프레임(110) 일 측면이 절개된 후, 제1절개부(114)가 소정의 각도로 연속적으로 구부러져 제1절곡부(141); 제2절곡부(142) 및 제3절곡부(143)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 고강도 트렌치 커버 유닛.
  6. 상측 면에 하나 이상의 미끄럼방지부(120)와 배수구(130)가 등간격으로 포함되는 프레임(110); 프레임(110) 일 측면에 등간격으로 절곡되어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140); 및 프레임(110) 타 측면에 등간격으로 절단되어 홈이 형성되는 걸림홈(150);이 포함되는 트렌치 커버 유닛(100)과
    다수개의 이웃하는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의 일단과 타단에 결합되는 마감부(200);가 포함되고,
    어느 하나의 트렌치 커버 유닛(100)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걸림부(140)가 이웃하는 트렌치 커버 유닛(100)의 타 측면에 형성된 걸림홈(150)에 상하 또는 좌우로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 고강도 트렌치 커버.
  7. 청구항 6에 있어서,
    마감부(200)는,
    이웃하는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의 제1수직부(112)와 제2수직부(114)를 고정 결합하는 제1고정돌기(220)와 제2고정돌기(230)가 마감프레임(210)에 등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 고강도 트렌치 커버.
  8. 청구항 7에 있어서,
    마감프레임(210)에 등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되,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의 제1지지부(113)와 제2지지부(115)를 각각 고정하는 제3고정돌기(24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 고강도 트렌치 커버.
  9. 상측 면에 하나 이상의 미끄럼방지부(120)와 배수구(130)가 등간격으로 포함되는 프레임(110); 프레임(110) 일 측면에 등간격으로 절곡되어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140); 및 프레임(110) 타 측면에 등간격으로 절단되어 홈이 형성되는 걸림홈(150);이 포함되는 트렌치 커버 유닛(100) 제조단계(S100);
    마감부(200) 제조단계(S200);
    어느 하나의 트렌치 커버 유닛(100)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걸림부(140)가 이웃하는 트렌치 커버 유닛(100)의 타 측면에 형성된 걸림홈(150)에 상하 또는 좌우로 끼움 결합되는 결합단계(S300); 및
    다수개의 이웃하는 트렌치 커버 유닛들(100)의 일단과 타단에 마감부(200)가 삽입되는 삽입단계(S4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 고강도 트렌치 커버 제조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무용접 고강도 트렌치 커버 제조방법은,
    트렌치 커버(1) 도금단계(S60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 고강도 트렌치 커버 제조방법.
  11. 청구항 9, 10 중 어느 한 항의 무용접 고강도 트렌치 커버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무용접 고강도 트렌치 커버.
KR1020200038824A 2019-09-24 2020-03-31 무용접 고강도 트렌치 커버 유닛, 이를 포함하는 트렌치 커버 및 그 제조방법 KR1023538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17537 2019-09-24
KR1020190117537 2019-09-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5707A true KR20210035707A (ko) 2021-04-01
KR102353812B1 KR102353812B1 (ko) 2022-01-20

Family

ID=75441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8824A KR102353812B1 (ko) 2019-09-24 2020-03-31 무용접 고강도 트렌치 커버 유닛, 이를 포함하는 트렌치 커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38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39382A1 (en) 2022-09-13 2024-03-20 F.lli Moro S.r.l. Covering element for a road well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4627Y1 (ko) * 2004-07-09 2004-10-08 전종순 그레이팅의 고정 구조
KR200469484Y1 (ko) * 2013-07-02 2013-10-15 박승철 합성수지제 무소음 트렌치커버
KR20150000343A (ko) * 2013-06-24 2015-01-02 이윤성 스틸 그레이팅 및 그 제조 방법
KR101627561B1 (ko) * 2014-09-24 2016-06-08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 하수구 뚜껑
KR101820907B1 (ko) * 2017-08-04 2018-01-23 포스머티리얼 주식회사 에코 그레이팅 제조공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에코 그레이팅
KR20180084393A (ko) * 2017-01-17 2018-07-25 권오용 그레이팅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4627Y1 (ko) * 2004-07-09 2004-10-08 전종순 그레이팅의 고정 구조
KR20150000343A (ko) * 2013-06-24 2015-01-02 이윤성 스틸 그레이팅 및 그 제조 방법
KR200469484Y1 (ko) * 2013-07-02 2013-10-15 박승철 합성수지제 무소음 트렌치커버
KR101627561B1 (ko) * 2014-09-24 2016-06-08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 하수구 뚜껑
KR20180084393A (ko) * 2017-01-17 2018-07-25 권오용 그레이팅 제조방법
KR101820907B1 (ko) * 2017-08-04 2018-01-23 포스머티리얼 주식회사 에코 그레이팅 제조공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에코 그레이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3812B1 (ko) 202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6610B2 (en) Wall panel, wall panel kit and method
CA2790109C (en) Structural part
US6908256B1 (en) Drainage grate assembly
RU2684819C2 (ru) Грузовой автомобиль и усиливающий узел для грузовой платформы грузового автомобиля
US20060043774A1 (en) Structural assembly having integrated outer and inner reinforced members
US20050232701A1 (en) Drainage grate
KR20210035707A (ko) 무용접 고강도 트렌치 커버 유닛, 이를 포함하는 트렌치 커버 및 그 제조방법
KR102402295B1 (ko) 맨홀, 하수구 입구 또는 배수로용 맨홀 커버
CN202596149U (zh) 脚手架踏板
KR101497927B1 (ko) 그레이팅
KR101155531B1 (ko) 배수로용 그레이팅
KR200446077Y1 (ko) 미끄럼방지용 강판 그레이팅
KR200463173Y1 (ko) 그레이팅
KR102097357B1 (ko) 배수로 덮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11613B1 (ko) 미끄럼방지와 중하중에 대한 응력을 보강시킨 스틸그레이팅용 보강빔
US10300961B2 (en) Vehicle coupling
JP4542119B2 (ja) 配管支持バンドの製造方法
KR102049984B1 (ko) 압축 강도가 강화된 배수용 그레이팅
JP4347750B2 (ja) 排水溝用ふた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排水溝用ふた
KR101223533B1 (ko) 배수관 어셈블리
CN208803277U (zh) 一种洗衣机加强件结构
CN210941556U (zh) 汽车及其侧踏杠
CN213477618U (zh) 一种防滑走道板
JP4878846B2 (ja) 車両用ドアのガードバーを備えた車両用ドア構造及び車両用ドアのガードバーの製造方法
JP3189586U (ja) 曲線側溝、及び側溝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