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3128A - 위스키 초콜릿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위스키 초콜릿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3128A
KR20210033128A KR1020190114439A KR20190114439A KR20210033128A KR 20210033128 A KR20210033128 A KR 20210033128A KR 1020190114439 A KR1020190114439 A KR 1020190114439A KR 20190114439 A KR20190114439 A KR 20190114439A KR 20210033128 A KR20210033128 A KR 20210033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rup
chocolate
whiskey
manufacturing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4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7631B1 (ko
Inventor
이승민
Original Assignee
이승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민 filed Critical 이승민
Priority to KR1020190114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7631B1/ko
Publication of KR20210033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3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1/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0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05Products for covering, coating, finishing, deco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1/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0003Processes of manufacture not relating to composition or compounding ingredients
    • A23G1/005Moulding, shaping, cutting, or dispensing chocolat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1/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0003Processes of manufacture not relating to composition or compounding ingredients
    • A23G1/0079Chocolate moulds process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1/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0003Processes of manufacture not relating to composition or compounding ingredients
    • A23G1/0096Removing chocolate from the moul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1/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0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cocoa or cocoa products
    • A23G1/20Apparatus for moulding, cutting, or dispensing chocolate
    • A23G1/22Chocolate moul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1/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0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2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콜릿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위스키 시럽의 주입 방법이 아닌, 시럽 주머니를 먼저 제조 및 그 시럽 주머니의 표면에 초콜릿을 코팅하여 완성함으로써, 별도로 형상 작업 등 초콜릿쉘 제작이 필요 없게 되는 등 그 작업이 매우 편리하며, 특히 위스키 시럽을 주입하는 과정에서 외부로 흘러내려 초콜릿 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며, 별도의 마감 과정과 외관 다듬 작업 등 마무리 작업이 필요 없게 하고, 그 마무리 과정에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다양한 형상 제작이 가능한 시럽 몰드를 이용하여 팬닝된 밀가루에 형상 제작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초콜릿의 형상을 술병이나 동물 모양 등 외형의 다양화가 가능하게 하며, 또한 시럽 주입기를 이용하여 시럽의 간편한 취급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위스키 초콜릿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위스키 초콜릿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whiskey chocolate }
본 발명은 초콜릿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코릿의 내부에 액상의 위스키(Whisky)가 형성되게 하되, 간편한 제조와 초콜릿 표면의 미려함의 유지가 가능하게 하는 위스키 초콜릿 제조방법
일반적으로 초콜릿은 테오브로마 카카오(Theobroma cacao) 나무의 종실에서 추출한 카카오 가공품-카카오버터, 카카오매스, 카카오분말에 당류, 유지, 유가공품 및 식품 첨가물 등을 혼합, 성형한 것으로 카카오 가공품을 20%이상 함유한 제품을 말한다. 초콜릿은 카카오 가공품의 함유량에 따라 다크, 밀크, 화이트초콜릿으로 구분되며 보고된 바에의하면 초콜릿에는 녹차에 비해 4배 이상 많은 폴리페놀류를 함유하고 있어 이들의 높은 항산화 활성으로 심혈관 질환과 암 예방 효과가 탁월하며 지방대사 조절 호르몬인 렙틴의 분비를 촉진시켜 지방 대사를 활성화시켜 비만 예방에도 효과가 큰 것으로 알려졌다. 뿐만 아니라, 피부보습 및 피부노화 억제 및 항염증 효과도 높은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이에 최근 웰빙(well-being) 분위기와 함께 다크초콜릿의 영양적 가치가 주목받으면서 제품의 수요가 급증하면서 초콜릿 시장이 확대되고 제품의 다양화와 고급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다.
이에, 근자에 들어서는 이러한 초콜릿의 다양화를 추구하기 위해 특허출원등록 제10-1280877호와 같이 자두를 이용한 초콜릿의 제조방법, 특허출원등록 제10-0816874호, 특허출원등록 제10-1733863호와 같이 인삼을 이용한 초콜릿이 제안된 바 있으며, 이러한 초콜릿의 지속적인 개발로 인해 초콜릿 고유의 맛과 영양효과 뿐만 아니라 다양한 맛과 향의 부여와 영양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근자에 들어 성인들의 초콜릿 섭취를 위해 초콜릿의 내부에 주류를 충전하여 주류 애호가들로 하여금 초콜릿과 함께 주류의 섭취가 가능하게 하는 초콜릿이 제안된바 있는 것으로, 이러한 주류 초콜릿은 그 내부에 액상의 주류를 주입하기 위해 먼저 상부가 개구된 초콜릿쉘(Chocolate shell)을 제조하고, 그 내부에 위스키 등의 주류를 주입 충전하며, 이후 개구된 개구부를 별도의 초콜릿 등을 이용하여 마감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주류 초콜릿의 경우에는 초콜릿쉘의 형상 제작을 위한 상당한 불편함이 있었으며, 특히 비교적 좁은 초콜릿쉘의 개구부를 통해 시럽의 주입이 불편하여 외부로 흘러내리는 등 초콜릿 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시럽 주입 후, 다시 개구부를 덮어 마감하는 작업 과정이 매우 어렵고, 그 마감 과정후 다시 외관의 다듬 작업이 필요하게 되는 등 매우 불편하였으며, 특히 그 마감 과정에서 초콜릿쉘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내부에 공간부를 이루는 초콜릿쉘의 경우 그 형상의 제작이 용이하지 못하게 되는 등 통상 원형에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80877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816874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733863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32045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위스키 시럽의 주입 방법이 아닌, 시럽 주머니를 먼저 제조 및 그 시럽 주머니의 표면에 초콜릿을 코팅하여 완성함으로써, 별도로 형상 작업 등 초콜릿쉘 제작이 필요 없게 되는 등 그 작업이 매우 편리하며, 특히 위스키 시럽을 주입하는 과정에서 외부로 흘러내려 초콜릿 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며, 별도의 마감 과정과 외관 다듬 작업 등 마무리 작업이 필요 없게 하고, 그 마무리 과정에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위스키 초콜릿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다양한 형상 제작이 가능한 시럽 몰드를 이용하여 팬닝된 밀가루에 형상 제작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초콜릿의 형상을 술병이나 동물 모양 등 외형의 다양화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위스키 초콜릿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시럽 주입기를 이용하여 시럽의 간편한 취급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위스키 초콜릿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설탕과, 물과, 위스키를 이용하여 위스키 시럽을 제조하는 시럽 제조단계;
전분과 밀가루를 이용하여 제조하고자 하는 초콜릿의 형상에 해당하게 모양의 시럽틀을 성형하는 시럽틀 성형단계;
성형된 시럽틀에 시럽 주입기를 이용하여 위스키 시럽을 주입하여 주머니를 제조하는 시럽 주머니 제조단계;
제조된 시럽 주머니의 표면에 탬버링한 다크초콜릿을 코팅하는 초콜릿 코팅단계; 및
코팅된 초콜릿을 상온에서 경화시키는 경화단계를 수행하되,
이때, 상기 시럽 제조단계는,
위스키 시럽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설탕 58~63중량%와, 물 23~27중량%를 혼합 및 100℃까지 가열하면서 교반하여 설탕물을 얻고 다시 상온에서 10~15분간 숙성시키는 설탕물 제조단계; 및
제조된 설탕물에 위스키 시럽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위스키 12~17중량%를 더 혼합 및 교반하여 위스키 시럽을 완성하는 위스키 혼합단계를 수행하여 되며,
상기 시럽틀 성형단계는,
전분을 호화시켜 쟁반에 팬닝하는 전분 팬닝단계;
구운 밀가루를 채를 이용하여 팬닝된 전분의 상부면에 2~3mm 두께로 도포하는 제1 도포단계; 및
초콜릿의 형상에 해당하는 몰드를 이용하여 구운 밀가루가 도포된 상부면을 찍어내어 다수의 "홈"을 이루는 시럽틀을 성형하는 성형단계를 수행하여 되며,
상기 시럽 주머니 제조단계는,
시럽 주입기를 이용하여 시럽틀에 제조된 위스키 시럽을 주입하는 시럽 주입단계;
주입된 위스키 시럽의 상부면에 구운 밀가루를 2~3mm 두께로 도포하는 제2 도포단계;
구운 밀가루가 도포된 상태에서 24시간 이상 동안 상온에서 경화시켜 주입되는 시럽의 표면에 구운 밀가루가 흡착되어 막이 형성되게 하는 시럽 경화단계; 및
막이 형성된 경화된 위스키 시럽을 시럽틀에서 꺼내어 표면의 구운 밀가루를 제거하여 시럽 주머니를 완성하는 밀가루 제거단계를 수행하되,
상기 몰드는,
쟁반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가압바; 및
가압바의 하부에서 가압바의 길이를 따라 다수 형성되는 성형돌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성형단계에서는,
가압바의 양단이 쟁반의 상단 양측에 지지 되도록 성형돌부를 팬닝된 전분의 상부면을 가압 찍어내어 시럽틀을 형성하며,
상기 시럽 주입기는,
상부는 넓고 하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역 고깔 형태를 이루며 내부에는 상부로 개방되는 시럽 수용공간을 이루고, 하단에는 시럽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주입기 본체; 및
주입기 본체 상단에 장착되는 장착부와 사용자의 파지가 가능한 손잡이부로 된 레버 지지대와, 장착부 상부에서 힌지 결합되며 스프링 탄설되어 전방의 상하 회동력을 부여하는 개폐레버와, 개폐레버 작동에 의해 상하 승강 작동하면서 주입기 본체의 배출구 개폐를 단속하는 개폐봉으로 된 배출 단속구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시럽 주입단계에서는,
시럽 수용공간에 제조된 위스키 시럽을 충전한 상태에서 배출구를 시럽틀에 위치 및 개폐레버를 작동시켜 개폐봉을 개방 및 위스키 시럽의 자동 배출 주입이 가능하게 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위스키 초콜릿 제조방법은, 간단한 작업을 통해 내부에 위스키 시럽이 충전된 초콜릿의 제조가 용이하게 되며, 특히 제조 과정에서 위스키 시럽이 외부로 흘러내리는 것이 방지되게 하며, 특히 개구부의 마감 등의 마무리 작업으로 인해 초콜릿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는 등 그 생산성이 한층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간단하게 시럽 몰드를 이용하여 초콜릿의 형상 성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그 시럽 몰드의 교체 사용만으로 초콜릿의 다양한 형상의 제작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시럽 주입기를 이용하여 시럽 주머니를 제조하기 위한 시럽틀에 편리한 주입이 가능하게 하는 등 시럽 취급이 매우 편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위스키 초콜릿 제조방법의 전체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 위스키 초콜릿 제조방법의 몰드 요부도.
도 3은 본 발명 위스키 초콜릿 제조방법의 시럽틀 성형단계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 위스키 초콜릿 제조방법의 시럽 주입기 요부도.
도 5는 본 발명 위스키 초콜릿 제조방법의 시럽 주머니 제조단계 공정도.
도 6은 본 발명 위스키 초콜릿 제조방법의 초콜릿 코팅단계 간략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위스키 초콜릿 제조방법의 전체 공정도이다.
도 1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위스키 초콜릿 제조방법은 시럽 제조단계(S100)와, 시럽틀 성형단계(S200)와, 시럽 주머니 제조단계(S300)와, 초콜릿 코팅단계(S400)와, 경화단계(S500)를 수행하여 된다.
먼저, 시럽 제조단계(S100)는,
본 발명 위스키 초콜릿을 제조함에 있어, 초콜릿의 내부에 충전되는 위스키 시럽을 제조하게 된다.
이를 위해, 위스키 시럽은 설탕과, 물과, 위스키를 이용하여 제조하게 되는 것으로, 설탕물 제조단계(S110)와, 위스키 혼합단계(S120)를 수행하여 된다.
먼저, 설탕물 제조단계(S110)는 상기 준비되는 설탕과, 물을 이용하되, 위스키 시럽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설탕 58~63중량%와, 물 23~27중량%를 먼저 혼합 및 100℃까지 가열하면서 교반하여 설탕물을 얻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얻어진 설탕물은 상온에서 10~15분간 자연 숙성시키면 되는 것으로, 이때 설탕물을 숙성시킴은 설탕이 물과 혼합되는 특성상 상온에서 자연 숙성시킴으로 단맛의 깊이를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이후, 위스키 혼합단계(S120)는 상기에서 얻어진 설탕물에 위스키 시럽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위스키 12~17중량%를 혼합 및 교반하여 위스키 시럽을 완성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위스키는 알콜농도가 20~30%인 것을 적용함으로 섭취시 섭취자로 하여금 거부감과 알콜 성분에 취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며, 이때 12~17중량%를 적용함은, 만약 그 이하로 적용시 설탕물의 단맛에 위스키의 맛이 저하될 수 있으며, 그 이상으로 첨가시 단맛 보다는 위스키의 맛이 강해 섭취시 거부감을 줄 수 있는 것인바, 12~17중량%를 적용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시럽 제조단계(S100)에서는 위스키 초콜릿을 제조함에 있어, 초콜릿의 내부에 충전되는 위스키 시럽을 제조하게 된다.
상기 시럽틀 성형단계(S200)는,
본 발명 위스키 초콜릿을 제조함에 있어, 제조하고자 하는 초콜릿의 형상에 해당하는 시럽틀을 성형하게 된다.
이를 위해, 시럽틀 성형단계(S200)는 전분 팬닝단계(S210)와, 제1 도포단계(S220)와, 성형단계(S230)를 수행하여 된다.
먼저, 전분 팬닝단계(S210)는 도 3의 (a)와 같이 전분을 호화시켜 그 호화된 전분을 소정 높이를 갖는 쟁반에 팬닝하게 된다.
이후, 제1 도포단계(S220)는 도 3의 (b)와 같이 상기와 같이 팬닝된 전분의 상부면에 구운 밀가루를 채를 이용하여 걸러내며 고운 가루만을 도포하되, 약 2~3mm 두께로 도포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밀가루를 2~3mm로 도포함은, 만약 2mm 이하로 도포하게 되면 후술하는 시럽 주머니 제조단계(S300)에서 주입되는 위스키 시럽에 밀가루가 흡수되어 후술하는 막을 얻을 수 없게 되며, 3mm 이상으로 주입하게 되면 원활한 막의 생성은 가능하나 주입되는 위스키 시럽과 혼합되어 그 위스키 시럽의 양이 극소화되는 한편, 불필요하게 밀가루를 낭비하게 되는 것인바, 2~3mm로 도포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후, 성형단계(S230)는 도 3의 (c)와 같이 상기와 같이 밀가루가 도포된 상부면에 초콜릿의 형상에 해당하는 몰드(200)를 이용하여 가압하여 다수의 "홈"을 이루는 시럽틀(10)(10')을 성형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몰드(200)는 도 2를 참조하여 먼저, 쟁반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이루는 평바 형태의 가압바(210)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바(210)의 하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성형하고자 하는 형상에 맞는 다수의 성형돌부(220)(220')가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성형돌부(220)(220')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술병이나 동물 모양, 도형 등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위스키의 특성상 술병 모양으로 구성된다.
이에, 성형단계(S230)에서는 상기 몰드(200)를 이용하되, 가압바(210)의 양측이 상기 쟁반의 상단 양측에 지지되도록 성형돌부(220)(220')를 밀가루가 도포된 전분 상부에 눌러 시럽틀(10)(10')을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즉, 시럽틀 성형단계(S200)에서는 호화 전분에 다수의 시럽틀(10)(10')을 형성하되, 몰드(200)를 이용하여 신속하면서도 편리하게 성형돌부(220)(220')에 해당하는 시럽틀(10)(10')을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시럽 주머니 제조단계(S300)는,
본 발명 위스키 초콜릿을 제조함에 있어, 상기와 같이 얻어진 시럽틀(10)(10')에 시럽을 주입하여 내부에 위스키 시럽이 충전된 시럽 주머니(20)를 얻게 된다.
이를 위해, 시럽 주머니 제조단계(S300)는 도 5를 참조하여 시럽 주입단계(S310)와, 제2 도포단계(S320)와, 시럽 경화단계(S330)와, 밀가루 제거단계(S340)를 수행하여 된다.
먼저, 시럽 주입단계(S310)는 도 5의 (a)와 같이 상기 시럽틀(10)(10')에 시럽을 주입하여 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시럽 주입기(300)를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고 간편하게 시럽의 주입을 수행한다.
이때, 시럽 주입기(300)는 도 4를 참조하여 먼저, 스테인레스재로 구성되며, 상부는 넓고 하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역 고깔 형태를 이루는 주입기 본체(310)가 구성된다.
이때, 주입기 본체(310)에는 그 내부에 내용물 즉, 위스키 시럽의 수용이 가능한 시럽 수용공간(311)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기 시럽 수용공간(311)과 연통되며 수용된 위스키 시럽의 배출이 가능한 배출구(312)가 관통 구성된다.
또한, 시럽 주입기(300)에는 상기 배출구(312)의 개폐를 단속하는 배출 단속구(320)가 구성된다.
이때, 배출 단속구(320)는 먼저, 상기 주입기 본체(310)에 장착되는 레버 지지대(321)가 구성된 것으로, 레버 지지대(321)는 상기 주입기 본체(310)의 중앙 상단을 횡단하여 고정되는 장착부(321a)를 이루고, 그 장착부(321a)의 단부에는 주입기 본체(310)의 외측으로 하방 경사를 이루면서 연장되는 손잡이부(321b)가 구성된다.
또한, 배출 단속구(320)에는 상기 레버 지지대(321)에 고정되어 후술하는 개폐봉(323)의 작동을 제어하는 개폐레버(322)가 구성된다.
이때, 개폐레버(322)는, 상기 장착부(321a) 상부 중앙에서 일측으로 편십되는 위치에서 힌지 결합되고 후방측 즉, 손잡이부(321b) 측이 스프링(322a) 탄설되게 구성된 것으로, 전방측이 장착부(321a)의 중앙에 위치되는 한편 스프링(322a)력에 의해 장착부(321a)에 밀착되어 후방의 수직 가압에 의해 상하 회동 작동되게 구성된다.
또한, 배출 단속구(320)에는 상기 개폐레버(322) 작동에 의해 상하 승강 작동하면서 상기 주입기 본체(310)의 배출구(312)의 개폐를 단속하는 개폐봉(323)이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개폐봉(323)은 중량을 가지게 구성하되, 먼저 상부는 상기 장착부(321a)의 중앙과 개폐레버(322)의 전방을 수직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관통 및 상단에 걸림돌기(323a)가 형성되며, 그 하단에는 배출구(312)의 상단에 밀착되어 그 배출구(312)를 개폐하는 중량을 가지는 "구(球)"형 개폐볼(323b)이 구성된다.
즉, 개폐봉(323)은 상기 개폐레버(322)의 후방 상부에 외력을 가해 눌러주게 되면 전방이 개폐봉(323)의 걸림돌기(323a)를 걸어 상부로 들어 올려 개폐볼(323b)을 배출구(312)로부터 분리 및 개방하게 된다.
이에, 시럽 주입단계(S310)에서는 주입기 본체(310)에 시럽 수용공간(311)에 제조된 위스키 시럽을 수용한 상태에서 손잡이부(321b)를 파지 및 배출구(312)를 시럽틀(10)(10')의 상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개폐레버(322)를 가압 작동 및 개폐봉(323)을 상승시켜 배출구(312)를 개방 및 위스키 시럽을 배출하여 시럽틀(10)(10')에 주입하며, 적정량 주입시 가압력을 해제시켜 개폐봉(323)을 하강 및 개폐볼(323b)을 이용하여 배출구(312)를 폐쇄하게 되는 것으로, 간단한 조작에 의해 위스키 시럽의 주입 및 신속한 중지로 불필요한 시럽의 낭비를 방지하는 등 위스키 시럽의 취급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이후, 제2 도포단계(S320)는 도 5의 (b)와 같이 상기와 같이 시럽틀(10)(10')에 주입된 위스키 시럽의 상부면에 구운 밀가루를 채를 이용하여 걸러내며 고운 가루만을 도포하되, 약 2~3mm 두께로 도포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밀가루를 2~3mm로 도포함은, 만약 2mm 이하로 도포하게 되면 주입된 위스키 시럽에 밀가루가 흡수되어 막을 얻을 수 없게 되며, 3mm 이상으로 주입하게 되면 원활한 막의 생성은 가능하나 주입된 위스키 시럽과 혼합되어 그 위스키 시럽의 양이 극소화되는 한편, 불필요하게 밀가루를 낭비하게 되는 것인바, 2~3mm로 도포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후, 시럽 경화단계(S330)는 5의 (c)와 같이 상기와 같이 구운 밀가루가 도포된 상태에서 24시간 이상 동안 상온에서 경화시켜 시럽의 표면에 구운 밀가루가 흡착되어 막이 형성되게 한다.
이때, 그 경화시간을 24시간 이상으로 수행함은, 만약 24시간 이하로 경화를 수행하게 되면 그 밀가루가 흡착된 표면의 경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막이 형성되지 않으며, 이에 후술하는 시럽 주머니(20)를 얻을 수 없게 되는 것인바, 24시간 이상 경화시킴으로 밀가루의 원활한 흡착과 표면에 막의 형성이 가능하게 된다.
이후, 밀가루 제거단계(S340)는 5의 (d)와 같이 상기와 같이 경화되어 표면에 막이 형성된 위스키 실럽을 시럽틀(10)(10')에서 꺼내어 표면에 묻어 있는 구운 밀가루를 붓 등을 이용하여 털어 제거하면 된다.
즉, 시럽 주머니 제조단계(S300)에서는 시럽틀(10)(10')에 위스키 시럽을 주입 및 구운 밀가구를 위스키 시럽의 표면에 도포 및 경화시켜 막을 형성함으로 내부에 액상의 위스키 시럽이 충전되며, 제조하고자 하는 초콜릿의 형상에 해당하는 시럽 주머니(20)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초콜릿 코팅단계(S400)는 본 발명 위스키 초콜릿을 제조함에 있어, 상기와 같이 얻어진 시럽 주머니(20)의 표면에 초코릿을 코팅하게 된다.
이를 위해, 도 6을 참조하여 먼저, 통상의 다크초콜릿을 탬버링하여 점도를 가지는 액상의 초콜릿을 준비하되, 그 탬버링 된 다크초콜릿에 얻어진 시럽 주머니(20)를 담가 건져내어 코팅을 수행하여 된다.
즉, 초콜릿 코팅단계(S400)에서는 시럽 주머니(20)의 표면에 초콜릿을 코팅함으로 시럽 주머니(20)의 형상대로 위스키 초콜릿(30)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후, 경화단계(S500)는 본 발명 위스키 초콜릿을 제조함에 있어, 상기와 같이 코팅된 초콜릿을 상온에서 자연 경화시켜 위스키 초콜릿을 완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위스키 초콜릿 제조방법은 초콜릿쉘에 시럽을 주입하는 방법이 아닌 위스키 시럽을 주머니 제작하여 코팅 형성하는 것인바, 별도의 마감 과정 등이 필요 없어 그 제조가 매우 편리하며, 제작 과정에서 파손이 최소화 되게 되며, 몰드의 성형돌부의 간편한 교체 사용으로 다양한 형상의 초콜릿 제조가 가능하며, 시럽 주입기를 이용한 주입 방식으로 간편한 시럽의 주입 등 그 시럽의 취급이 매우 편리하게 된다.
S100 : 시럽 제조단계 S200 : 시럽틀 성형단계
S300 : 시럽 주머니 제조단계 S400 : 초콜릿 코팅단계
S500 : 경화단계
200 : 몰드 210 : 가압바
220 : 성형돌부
300 : 시럽 주입기 310 : 주입기 본체
311 : 시럽 수용공간 312 : 배출구
320 : 배출 단속구 321 : 레버 지지대
321a : 장착부 321b : 손잡이부
322 : 개폐레버 322a : 스프링
323 : 개폐봉 323a : 걸림돌기
323b : 개폐볼

Claims (4)

  1. 설탕과, 물과, 위스키를 이용하여 위스키 시럽을 제조하는 시럽 제조단계(S100);
    전분과 밀가루를 이용하여 제조하고자 하는 초콜릿의 형상에 해당하는 모양의 시럽틀을 성형하는 시럽틀 성형단계(S200);
    성형된 시럽틀에 시럽 주입기를 이용하여 위스키 시럽을 주입하여 주머니를 제조하는 시럽 주머니 제조단계(S300);
    제조된 시럽 주머니의 표면에 탬버링한 다크초콜릿을 코팅하는 초콜릿 코팅단계(S400); 및
    코팅된 초콜릿을 상온에서 경화시키는 경화단계(S500)를 수행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위스키 초콜릿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럽 제조단계(S100)는,
    위스키 시럽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설탕 58~63중량%와, 물 23~27중량%를 혼합 및 100℃까지 가열하면서 교반하여 설탕물을 얻고 다시 상온에서 10~15분간 숙성시키는 설탕물 제조단계(S110); 및
    제조된 설탕물에 위스키 시럽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위스키 12~17중량%를 더 혼합 및 교반하여 위스키 시럽을 완성하는 위스키 혼합단계(S120)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위스키 초콜릿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럽틀 성형단계(S200)는,
    전분을 호화시켜 쟁반에 팬닝하는 전분 팬닝단계(S210);
    구운 밀가루를 채를 이용하여 팬닝된 전분의 상부면에 2~3mm 두께로 도포하는 제1 도포단계(S220); 및
    초콜릿의 형상에 해당하는 몰드(200)를 이용하여 구운 밀가루가 도포된 상부면을 찍어내어 다수의 "홈"을 이루는 시럽틀을 성형하는 성형단계(S230)를 수행하여 되며,
    상기 시럽 주머니 제조단계(S300)는,
    시럽 주입기(300)를 이용하여 시럽틀에 제조된 위스키 시럽을 주입하는 시럽 주입단계(S310);
    주입된 위스키 시럽의 상부면에 구운 밀가루를 2~3mm 두께로 도포하는 제2 도포단계(S320);
    구운 밀가루가 도포된 상태에서 24시간 이상 동안 상온에서 경화시켜 주입되는 시럽의 표면에 구운 밀가루가 흡착되어 막이 형성되게 하는 시럽 경화단계(S330); 및
    막이 형성된 경화된 위스키 시럽을 시럽틀에서 꺼내어 표면의 구운 밀가루를 제거하여 시럽 주머니를 완성하는 밀가루 제거단계(S340)를 수행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위스키 초콜릿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200)는,
    쟁반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가압바(210); 및
    가압바(210)의 하부에서 가압바(210)의 길이를 따라 다수 형성되는 성형돌부(220)(220')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성형단계(S230)에서는,
    가압바(210)의 양단이 쟁반의 상단 양측에 지지 되도록 성형돌부(220)(220')를 팬닝된 전분의 상부면을 가압 찍어내어 시럽틀을 형성하며,
    상기 시럽 주입기(300)는,
    상부는 넓고 하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역 고깔 형태를 이루며 내부에는 상부로 개방되는 시럽 수용공간(311)을 이루고, 하단에는 시럽 수용공간(311)과 연통되는 배출구(312)가 형성된 주입기 본체(310); 및
    주입기 본체(310) 상단에 장착되는 장착부(321a)와 사용자의 파지가 가능한 손잡이부(321b)로 된 레버 지지대(321)와, 장착부(321a) 상부에서 힌지 결합되며 스프링(322a) 탄설되어 전방의 상하 회동력을 부여하는 개폐레버(322)와, 개폐레버(322) 작동에 의해 상하 승강 작동하면서 주입기 본체(310)의 배출구(312) 개폐를 단속하는 개폐봉(323)으로 된 배출 단속구(320)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시럽 주입단계(S310)에서는,
    시럽 수용공간(311)에 제조된 위스키 시럽을 충전한 상태에서 배출구(312)를 시럽틀에 위치 및 개폐레버(322)를 작동시켜 개폐봉(323)을 개방 및 위스키 시럽의 자동 배출 주입이 가능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위스키 초콜릿 제조방법.
KR1020190114439A 2019-09-18 2019-09-18 위스키 초콜릿 제조방법 KR102307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439A KR102307631B1 (ko) 2019-09-18 2019-09-18 위스키 초콜릿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439A KR102307631B1 (ko) 2019-09-18 2019-09-18 위스키 초콜릿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128A true KR20210033128A (ko) 2021-03-26
KR102307631B1 KR102307631B1 (ko) 2021-09-30

Family

ID=75259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4439A KR102307631B1 (ko) 2019-09-18 2019-09-18 위스키 초콜릿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763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874B1 (ko) 2007-06-13 2008-03-26 (주)삼흥 인삼절편이 함유된 초콜릿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11095A (ko) * 2008-04-21 2009-10-26 임재욱 홍삼 성분을 함유한 초콜릿의 제조방법
KR101280877B1 (ko) 2012-09-20 2013-07-02 경상북도 김천시(김천시농업기술센터장) 자두 초콜릿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자두 초콜릿
KR101320458B1 (ko) 2013-05-24 2013-10-29 이종교 주류를 함유하는 초콜릿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주류 함유 초콜릿
KR101733863B1 (ko) 2015-05-28 2017-05-10 최형일 인삼 초콜릿 제조방법
KR101857225B1 (ko) * 2017-08-08 2018-05-11 윤여철 주입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874B1 (ko) 2007-06-13 2008-03-26 (주)삼흥 인삼절편이 함유된 초콜릿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11095A (ko) * 2008-04-21 2009-10-26 임재욱 홍삼 성분을 함유한 초콜릿의 제조방법
KR101280877B1 (ko) 2012-09-20 2013-07-02 경상북도 김천시(김천시농업기술센터장) 자두 초콜릿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자두 초콜릿
KR101320458B1 (ko) 2013-05-24 2013-10-29 이종교 주류를 함유하는 초콜릿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주류 함유 초콜릿
KR101733863B1 (ko) 2015-05-28 2017-05-10 최형일 인삼 초콜릿 제조방법
KR101857225B1 (ko) * 2017-08-08 2018-05-11 윤여철 주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7631B1 (ko) 2021-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78331C (en) Process for modified production of filled one-shot confectionery products
US8734876B2 (en) Confectionary product and method of manufacture and use
JP2009523415A (ja) 冷凍菓子製品および製造方法
CH654982A5 (fr) Procede de fabrication d'un bonbon dur au sorbitol et bonbon obtenu par ce procede.
DE60118577T2 (de) Gefrorene süsswaren und herstellungsverfahren
KR101320458B1 (ko) 주류를 함유하는 초콜릿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주류 함유 초콜릿
KR101672913B1 (ko) 마카롱 꼬끄의 제조 방법 및 쁘띠 케이크 마카롱의 제조 방법
KR100666078B1 (ko) 호두과자 및 그의 제조방법
CN206821891U (zh) 一种自动化夹心软糖浇注成型装置
KR102307631B1 (ko) 위스키 초콜릿 제조방법
US20170142996A1 (en) Layered confectionery manufacture
KR101739238B1 (ko) 홍삼 트뤼플 초콜릿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홍삼 트뤼플 초콜릿
CN111789278A (zh) 一种面窝成型模具及面窝自动加工设备
KR102070646B1 (ko) 커피만주 제조장치
KR101298331B1 (ko) 쌀을 이용한 초콜릿 제조방법
CN209463254U (zh) 一种新型冰淇淋生产线装置
CN112998038A (zh) 一种西式糕点制作装置及其使用方法
KR20220067414A (ko) 크림을 함유한 오란다 강정 제조방법
FR2970842A1 (fr) Procede de fabrication de dragees comprenant un fourrage liquide
JPH0378090B2 (ko)
JP2020518283A (ja) アイスクリームコーンおよびその製品を得る方法
JP2015029482A (ja) スナック菓子およびスナック菓子の製造方法
CN212260441U (zh) 一种面窝成型模具及面窝自动加工设备
KR102250968B1 (ko) 하트 형상의 콩빵 및 그 제조방법
CN108353982A (zh) 一种无糖或低糖枸杞蛋糕及其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