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2048A -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 - Google Patents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2048A
KR20210032048A KR1020190113270A KR20190113270A KR20210032048A KR 20210032048 A KR20210032048 A KR 20210032048A KR 1020190113270 A KR1020190113270 A KR 1020190113270A KR 20190113270 A KR20190113270 A KR 20190113270A KR 20210032048 A KR20210032048 A KR 20210032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gage
user
time
carrier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3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진선
송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캥거루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캥거루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캥거루콜
Priority to KR1020190113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2048A/ko
Publication of KR20210032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20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50/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Toxic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하물 운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수하물 운송 요청 및 미리 저장된 운송자 리스트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운송자를 매칭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200) 및 상기 매칭된 운송자가 보유하는 운송자 단말(300)로 상기 매칭의 결과를 각각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 {A METHOD, AN APPARATUS AND A SYSTEM FOR PROVIDING REAL-TIME BAGGAGE TRANSPORTATION SERVICE}
본 발명은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여행객의 가방 등 수하물을 실시간으로 여행객이 원하는 장소에서 픽업하여 공항이나 그 외의 다음 목적지 주변으로 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최근 외국인들의 한국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국내로 여행을 오는 해외여행객들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뿐만 아니라 점진적으로 국내선의 활성화가 이루어지고 있어, 국내여행객들의 항공편을 이용하는 비율도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때 여행객들은 일반적으로 여행용 가방, 캐리어, 박스, 골프가방 등의 수하물을 지참하게 되며, 여기에 여행 중 구매하는 물품들까지 더해져 여행 막바지에는 늘어난 수하물의 휴대 및 이동에 불편을 겪는 경우가 많다. 특히, 출국 당일에는 호텔 등 숙박시설의 체크아웃 시간 이후부터 공항 도착 전까지 이동 시 수하물을 동반해야 한다는 이유로, 출국 전 남은 여행 시간을 편리하고 유익하게 보내지 못하는 상황을 자주 볼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로서 여행객들을 위한 짐 보관소가 운영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보관소는 계단 이용이 잦은 지하철역사 내에 위치하거나 숙박시설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어 여행객들의 불편을 해소하기에는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공항으로 출발하기 직전에 다시 보관소로 돌아와 수하물을 챙겨가야 하는 비효율적인 면도 있다.
또 다른 조치로서 몇몇 업체들은 여행객들의 수하물을 공항까지 운송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업체들은 자체 운송 인력을 동원하여 서비스를 운영하기 때문에 시간 및 장소적인 제약을 많이 가지고 있다. 따라서 여행객이 미리 온라인 또는 유선 상의 예약을 해서 운송 스케줄을 잡아야 하고, 업체가 지정한 특정 장소까지 수하물을 직접 지참해야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여행객들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여행객 등의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간편하게 공항 또는 특정 보관소로 수하물을 운송해주는 서비스를 신청하거나 취소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선택한 매칭 옵션에 부합하는 드라이버에게 운송을 담당하도록 사용자와 드라이버의 일대일 매칭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수하물 운송에 대한 신뢰 및 안정감을 고취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QR코드를 매개로 하여 수하물의 입출고 관리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와 드라이버, 보관소 업무 담당자, 관리자 각각의 입장에서 수하물 인도 및 관리 상의 신속,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하물 운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수하물 운송 요청 및 미리 저장된 운송자 리스트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운송자를 매칭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매칭된 운송자가 보유하는 운송자 단말로 상기 매칭의 결과를 각각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수신된 수하물 운송 요청을 라이트(write)함으로써 사용자QR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매칭된 운송자가 보유하는 운송자 단말로 상기 매칭의 결과를 각각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생성된 사용자QR코드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운송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QR코드 및 적어도 하나의 수하물 부착용 공QR코드를 스캔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QR코드로부터 상기 수하물 운송 요청을 리드(read)하는 단계; 및 상기 리드된 수하물 운송 요청을 상기 수하물 부착용 공QR코드에 라이트함으로써 수하물QR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송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QR코드 및 적어도 하나의 수하물 부착용 공QR코드를 스캔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수하물 운송상황임을 인식하고, 상기 운송자 단말 또는 상기 운송자의 차량에 구비된 GPS장치와 통신 가능하도록 페어링하는 단계 및 상기 페어링된 GPS장치로부터 실시간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은, 보관소 단말로부터 상기 수하물QR코드를 스캔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하물QR코드로부터 상기 수하물 운송 요청을 리드하는 단계; 및 상기 리드된 수하물 운송 요청에 기초하여 수하물 도착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저장된 수하물 도착 정보에 기초하여 수하물 도착 메시지 또는 푸시 알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수하물 도착 메시지 또는 푸시 알림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송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QR코드 및 적어도 하나의 수하물 부착용 공QR코드를 스캔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보관소 단말로부터 상기 수하물QR코드를 스캔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복수의 QR코드를 연속적으로 스캔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QR코드에 라이트된 각각의 정보를 동시에 리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와 운송자를 매칭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와 상기 운송자의 성별, 상기 운송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픽업 위치까지의 거리, 상기 운송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픽업 위치까지의 소요시간, 상기 운송자의 평가점수, 수하물의 부피, 수하물의 중량 및 운송 목적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매칭 옵션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매칭 옵션을 선택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와 상기 운송자의 매칭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하물 운송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부; 상기 수하물 운송 요청 및 운송자 리스트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저장부; 및 상기 수하물 운송 요청 및 상기 운송자 리스트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운송자를 매칭하도록 구성되는 매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매칭된 운송자가 보유하는 운송자 단말로 상기 매칭의 결과를 각각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한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장치; 상기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운송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에 의하면, 여행객 등의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간편하게 공항 또는 특정 보관소로 수하물을 운송해주는 서비스를 신청하거나 취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매칭 옵션에 부합하는 드라이버에게 운송을 담당하도록 사용자와 드라이버의 일대일 매칭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수하물 운송에 대한 신뢰 및 안정감을 고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에 의하면, QR코드를 매개로 하여 수하물의 입출고 관리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와 드라이버, 보관소 업무 담당자, 관리자 각각의 입장에서 수하물 인도 및 관리 상의 신속,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 10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QR코드가 생성 및 이용되는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하물QR코드가 생성 및 이용되는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예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 1000')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은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장치(100), 사용자 단말(200) 및 운송자 단말(3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단일의 사용자 단말(200)과 단일의 운송자 단말(300)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과 운송자 단말(300)은 복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200) 및 적어도 하나의 운송자 단말(300)과 통신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개인 또는 사설 기업에 의해 제작되어 운영되는 자체 어플리케이션(APP) 기반의 장치에 해당하며, 관련 기술분야에서의 다양한 표현 방식에 따라 디바이스(device), 장비(equipment), 서버(server), 플랫폼(platform) 등의 용어로 지칭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통신부(110), 저장부(120), 매칭부(130), 생성부(140), 인식부(150), 제어부(1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에 도시되는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구성요소들(110, 120, 130, 140, 150, 16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동작, 기능 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구성요소들에 불과하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도시된 구성요소들(110, 120, 130, 140, 150, 160)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예를 들어, 전원부 등)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한편,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구성요소 각각이 수행하는 구체적인 기능에 관한 내용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의 시계열적 단계를 차례대로 설명한 후에 서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은 보관소 단말(400), 관리자 서버(5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2의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보관소 단말(400)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서버(500)와 추가로 통신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참고로, 사용자 단말(200), 운송자 단말(300) 및 보관소 단말(400) 각각은 시스템, 가입자 유닛, 가입자국, 이동국, 모바일, 원격국, 원격 단말, 모바일 디바이스, 액세스 단말, 단말,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장비(UE)라고 지칭될 수도 있다. 액세스 단말은 셀룰러 전화, 코드리스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LL) 스테이션,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무선 접속 능력을 구비한 핸드헬드 디바이스,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되는 다른 프로세싱 디바이스일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200), 운송자 단말(300), 보관소 단말(400) 및 관리자 서버(500)와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장치(100) 간의 통신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이후 도 3 내지 도 5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의 시계열적 단계를 설명하면서 함께 서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하물 운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100), 수신된 수하물 운송 요청 및 미리 저장된 운송자 리스트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운송자를 매칭하는 단계(S200) 및 사용자 단말(200) 및 매칭된 운송자가 보유하는 운송자 단말(300)로 매칭의 결과를 각각 전송하는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통신부(11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하물 운송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100).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수하물 운송 요청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한 수하물 운송 요청에는 사용자의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에 관한 예약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예약 정보는 적어도 사용자의 성명, 성별, 연락처, 전자우편주소, 결제용 카드번호 등의 개인 정보와 수하물 픽업 날짜 및 시각, 수하물 픽업 위치, 운송 목적지, 수하물 수량 등의 신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성명, 성별 등의 개인 정보는 사용자가 수화물 운송 서비스에 가입하면서 입력된 정보로서 실시간 수화물 운송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저장부(120)에 저장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가 본 수화물 운송 서비스 제공 플랫폼에 액세스함에 따라 자동으로 해당 개인 정보가 검색되어 활용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서비스를 요청할 때마다 매번 동일한 개인 정보를 입력할 필요가 없게 된다.
입력된 수하물 운송 요청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10)을 통해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전달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하물 운송 요청을 수신하면(S100),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매칭부(130)는 수신된 수하물 운송 요청 및 미리 저장된 운송자 리스트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운송자를 매칭할 수 있다(S200).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는, 보다 특정하게 저장부(120)에는 운송자 리스트에 관한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운송자 리스트는 관리자가 복수의 운송자를 서버에 등록함에 따라 생성되는 리스트이다. 즉, 관리자는 수하물 운송을 직접 담당하는 자를 한 명 이상 선정하여 운송자로 미리 등록할 수 있으며, 운송자 등록 시 소정의 카테고리(예를 들어, 지역 별로, 연령 별로, 등)를 지정함으로써 수시로 운송자를 추가 선정, 등록 또는 삭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자는 관리자 서버(500)를 통하여 운송자의 개인정보, 자격 인증 등을 포함하는 운송자 리스트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운송자 리스트에 관한 정보는 통신부(110)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전달된 후, 저장부(120)에 저장될 수 있다. 저장된 운송자 리스트에 관한 정보는 관리자에 의하여 수시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한편, 운송자의 자격 및 선정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송자는 본인의 차량을 소유한 일반 개인일 수 있다. 일반 개인은 본인의 성명, 성별, 운전면허취득정보, 활동지역 등을 포함한 개인정보를 관리자에게 제출함으로써 운송자 등록 신청을 할 수 있다. 관리자는 일반 개인의 운송자 등록 신청이 있는 경우, 신청자의 개인정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의 운송자로 선정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은, 미리 저장된 운송자 리스트에 포함된 운송자 중 한 명과 사용자를 일대일 매칭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수하물 운송 요청의 예약 정보와 미리 저장된 운송자 리스트를 비교하여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와 운송자를 매칭하는 단계(S200)는, 사용자와 운송자의 성별, 운송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픽업 위치까지의 거리, 운송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픽업 위치까지의 소요시간, 운송자의 평가점수, 수하물의 부피, 수하물의 중량 및 운송 목적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매칭 옵션 중에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매칭 옵션을 선택한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운송자의 매칭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사용자는 수하물 운송 요청 입력 시에 매칭 옵션을 선택할 수 있으며, 매칭 옵션의 종류 및 사용자가 매칭 옵션을 선택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성별' 매칭 옵션을 선택할 수 있으며, 사용자와 동일한 성별의 운송자를 선호하는 것으로 선택할 수도 있고, 특정 성별을 선호하는 것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
또다른 예로써, 사용자는 '운송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픽업 위치까지의 거리' 매칭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운송자 리스트에 포함된 운송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운송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나, 운송자 단말(300) 또는 운송자의 차량에 구비된 GPS장치와 통신하여 위치 정보를 수신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각각의 운송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면, 그 위치로부터 수하물 픽업 위치까지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운송자가 사용자와 최우선 순위로 매칭될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거리뿐만 아니라 도로 교통상황도 함께 파악하여, 운송자가 픽업 위치까지 도달하는 예상 소요시간을 측정한 후 매칭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다른 예로써, 사용자는 '운송자의 평가점수' 매칭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는 서비스 종료 시, 즉 사용자의 이용료 결제가 완료되면 사용자로부터 운송자의 평가점수를 제공받을 수 있다. 운송자의 평가점수는 점차 누적될 수 있으며, 누적된 횟수 및 그 평균 점수가 사용자 및 관리자에게 공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운송자의 평가점수' 매칭 옵션을 선택하면, 운송자 리스트에 포함된 운송자 중 평균 평가점수가 가장 높은 운송자가 사용자와 최우선 순위로 매칭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매칭된 운송자가 약속된 운송 시간에 도달하지 않는 등 운송 서비스를 태만할 경우 그러한 사실은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관리자 서버(500) 측에 전달될 수 있으며, 관리자는 해당 운송자에게 경고 등을 표시하거나 또는 해당 운송자를 본 실시간 운송 서비스의 운송자 리스트에서 삭제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전술한 매칭 옵션 중 둘 이상의 매칭 옵션을 동시에 선택할 수도 있고, 선택한 둘 이상의 매칭 옵션에 대하여 우선순위를 정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가 매칭 옵션을 선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운송자 리스트에 포함된 운송자의 현재 위치와 도로 교통상황을 파악하여, 운송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픽업 위치까지 소요시간이 가장 짧은 운송자가 사용자와 최우선 순위로 매칭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매칭 옵션의 종류 및 선택 방식은 몇 가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사용자가 이와 다른 매칭 옵션을 선택할 수도 있고, 다른 방식에 의하여 운송자와 매칭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운송자는 실시간으로 본인의 수하물 운송 가부에 관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운송자는 운송자 단말(300)을 통해 본인의 현재 상태를 '운송 가능' 또는 '운송 불가능'으로 설정해 둘 수 있고, 상황의 변동에 따라 실시간으로 그 설정을 반대로 변경할 수 있다. 참고로, 등록된 운송자는 현재 시점에 더하여 특정한 미래 시점에도 본인의 운송 가능 여부를 표시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미래 수화물 운송 예약에 대응하여 그에 매칭하는 운송자를 검색할 때에 그렇게 표시된 정보가 활용될 수도 있다.
이때 본인의 현재 상태를 '운송 불가능'으로 설정한 운송자에 대하여는, 사용자와 운송자를 매칭하는 단계(S200)에서 고려 대상이 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수하물 운송 요청이 있는 경우에 '운송 가능'으로 설정된 운송자만을 포함하도록 운송자 리스트를 먼저 필터링(filtering)하고, 필터링된 운송자 리스트를 대상으로 하여 사용자와 운송자의 일대일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와 운송자를 매칭하면(S200), 사용자 단말(200) 및 매칭된 운송자가 보유하는 운송자 단말(300)로 매칭의 결과를 각각 전송할 수 있다(S300).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200)로는 매칭의 결과로서 매칭된 운송자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매칭된 운송자에 관한 정보란, 해당 운송자의 성명, 성별, 연락처, 운송자의 현재 위치, 운송자의 픽업 위치까지 소요시간 및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운송자 단말(300)로는 매칭의 결과로서 매칭된 사용자의 예약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매칭된 사용자의 예약 정보란, 사용자의 성명, 성별, 연락처 등의 개인정보와 수하물 픽업 날짜 및 시각, 수하물 픽업 위치, 운송 목적지, 수하물 수량 등의 신청 정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 및 운송자 단말(300)로 매칭의 결과를 각각 전송하면(S300), 운송자는 전송받은 사용자의 예약 정보에 따라, 해당 수하물 픽업 날짜 및 시각에 맞추어 해당 수하물 픽업 위치로 방문할 수 있다.
이때, 신속하게 운송자와 매칭이 수행되어 수하물을 픽업해갈 것을 요청하는 실시간 수하물 운송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수하물 픽업 위치로 볼 수 있다. 다만,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상이한 제3의 장소가 사용자의 예약 정보에 따른 수하물 픽업 위치로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제3의 장소를 수하물 픽업 위치로 볼 수 있다.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나, 사용자 단말(200)에 구비된 GPS장치와 통신하여 위치 정보를 수신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은, 실시간이 아닌 특정 날짜 및 시각에 운송자가 수하물을 픽업해갈 수 있도록, 사용자가 수하물 운송 서비스를 미리 예약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수하물 운송 서비스를 미리 예약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수화물 운송을 예약한 그 시각에 운송이 가능한 운송자를 매칭할 수도 있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수하물 운송 요청은 일단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이후 사용자가 예약한 특정 날짜 및 시각이 임박하면(예를 들어, 예약한 시각으로부터 1시간 전) 저장된 수하물 운송 요청 및 해당 시점의 운송자 리스트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운송자를 매칭할 수 있다.
또는 이와달리,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하물 운송 요청이 있는 시점을 기준으로 관리자가 직접 운송자를 지정하여 매칭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하물 운송 서비스의 예약에 따른 수하물 운송 요청이 있는 경우에, 관리자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수하물 운송 요청 및 미리 저장된 운송자 리스트를 비교하여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운송자를 직접 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관리자가 직접 지정한 운송자가 보유하는 운송자 단말(300)로 수하물 운송 서비스의 예약에 따른 매칭 수락여부를 질의하는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해당 메시지를 수신한 운송자는 사용자가 예약한 특정 날짜 및 시각에 수하물을 픽업할 수 있는지 확인하여 매칭 수락 또는 거절의 답변을 선택할 수 있다.
운송자가 매칭 수락의 답변을 선택하면, 사용자와 운송자의 매칭 결과가 사용자 단말(200), 운송자 단말(300) 및 관리자 서버(500)로 각각 전송될 수 있다. 반면 운송자가 매칭 거절의 답변을 선택하면, 관리자는 관리자 서버(500)를 통해 거절의 답변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관리자는 운송자를 새롭게 지정할 수 있고, 새롭게 지정된 운송자가 보유하는 운송자 단말(300)로 매칭 수락여부를 질의하는 메시지가 다시 전송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QR코드가 생성 및 이용되는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은, 수신된 수하물 운송 요청을 라이트함으로써 사용자QR코드를 생성하는 단계(S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하물 운송 요청을 수신하면(S100),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생성부(140)는 수신된 수하물 운송 요청을 라이트한 새로운 QR코드인 '사용자QR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 및 매칭된 운송자가 보유하는 운송자 단말(300)로 매칭의 결과를 각각 전송하는 단계(S300)는, 사용자 단말(200)로 생성된 사용자QR코드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사용자와 운송자를 매칭하고(S200), 사용자QR코드를 생성하면(S210), 사용자 단말(200)로는 매칭 결과 및 사용자QR코드가 전송될 수 있고(S310), 운송자 단말(300)로는 매칭 결과가 전송될 수 있다(S320).
여기서, 사용자QR코드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수하물 운송 요청을 라이트한 새로운 QR코드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QR코드를 리드하면, 사용자의 수하물 운송 요청에 포함된 예약 정보(사용자의 개인정보 및 신청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QR코드에 사용자가 촬영한 수하물의 이미지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에 구비된 카메라로 촬영한 수화물 실사진, 등)를 추가적으로 라이트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와 운송자가 매칭되어 운송자에게 수하물이 인도될 때, 그 수하물의 인도 당시 상태를 증명할 수 있는 이미지를 사용자가 직접 촬영할 수 있다. 촬영된 수하물의 이미지 정보는 다른 예약 정보와 함께 사용자QR코드에 라이트되며, 따라서 사용자QR코드를 리드하면 수하물의 인도 당시 이미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정보는, 운송이 완료된 최종 목적지에서 사용자가 수하물을 수거할 때, 수하물의 운송 과정에서 변형, 파손, 분실 등이 없었는지 여부를 확인 및 증명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하물QR코드가 생성 및 이용되는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QR코드가 생성되면(S210), 사용자QR코드로부터 수하물 운송 요청을 리드할 수 있다(S220). 또한, 리드된 수하물 운송 요청을 수하물 부착용 공QR코드에 라이트할 수 있고(S230), 이로써 수하물QR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S240).
구체적으로, 관리자는 미리 수하물 부착용 공QR코드를 다량으로 제작하여, 운송자 및 보관소에 배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수하물 부착용 공QR코드'는 특정한 정보가 라이트되지 않은 상태의 비어있는 QR코드를 의미한다. 즉, 수하물 부착용 공QR코드는 운송자 단말(300) 또는 보관소 단말(400)의 QR코드 스캐너를 통해 스캔될 수 있는 QR코드의 형태를 구비하고 있지만, 스캔된 결과로써 어떠한 정보도 리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수하물 부착용 공QR코드가 운송자 및 보관소에 배부될 당시, 수하물에 거치할 수 있는 가방 태그(tag) 또는 수하물에 직접 부착할 수 있는 스티커 상에 각각의 수하물 부착용 공QR코드가 출력되어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특정한 정보가 라이트되지 않은 상태의 수하물 부착용 공QR코드는, 사용자QR코드와 연속적으로 스캔된 이후부터 새로운 정보를 포함하는 수하물QR코드로 전환될 수 있다. 즉, 사용자QR코드가 스캔된 이후 신속하게 수하물 부착용 공QR코드가 스캔됨으로써, 수하물 부착용 공QR코드에도 사용자QR코드와 같은 수하물 운송 요청이 라이트될 수 있다. 수하물 운송 요청이 새롭게 라이트되면 수하물 부착용 공QR코드는 더이상 비어있는 QR코드가 아니므로, 수하물QR코드로 명명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운송자가 매칭된 사용자의 수하물 운송 요청에 따라 픽업 장소에 도착하면, 운송자는 운송자 단말(300)의 QR코드 스캐너를 실행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된 사용자QR코드를 스캔할 수 있다. 이어서, 운송자는 본인이 보유하고 있는 수하물 부착용 공QR코드 중에서 수하물 수량에 부합하는 수량의 수하물 부착용 공QR코드를 추가로 스캔할 수 있다.
이렇게 운송자 단말(300)의 QR코드 스캐너를 이용하여 사용자QR코드와 수하물 부착용 공QR코드를 연속적으로 스캔하면, 사용자QR코드 및 수하물 부착용 공QR코드를 스캔한 정보가 수신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은, 운송자 단말(300)로부터 사용자QR코드 및 적어도 하나의 수하물 부착용 공QR코드를 스캔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은,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QR코드로부터 수하물 운송 요청을 리드하는 단계(S220) 및 리드된 수하물 운송 요청을 수하물 부착용 공QR코드에 라이트함으로써(S230) 수하물QR코드를 생성하는 단계(S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운송자 단말(300)로부터 사용자QR코드 및 적어도 하나의 수하물 부착용 공QR코드를 스캔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수하물 운송상황임을 인식하고, 운송자 단말(300) 또는 운송자의 차량에 구비된 GPS장치와 통신 가능하도록 페어링하는 단계 및 페어링된 GPS장치로부터 실시간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운송자 단말(300)의 QR코드 스캐너를 이용하여 사용자QR코드 및 수하물 부착용 공QR코드가 스캔되면, 스캔된 정보에 기초하여 그 이후부터 운송자의 수하물 운송상황임을 인식할 수 있다. 운송자의 수하물 운송상황에서는 사용자가 수하물의 실시간 위치 및 이동경로를 수시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운송자 단말(300) 또는 수하물을 운송 중인 운송자의 차량에 구비된 GPS장치와 통신 가능하도록 페어링하고, 실시간으로 페어링된 GPS장치의 위치정보를 수신한 후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성된 수하물QR코드로부터 수하물 운송 요청을 리드할 수 있고(S250), 이로부터 수하물 도착 정보가 생성 및 저장될 수 있다(S260).
구체적으로, 보관소 단말(400)은 운송자 단말(300)과 마찬가지로 QR코드 스캐너를 실행하여 QR코드를 스캔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보관소의 업무 담당자는 보관소 단말(400)의 QR코드 스캐너를 이용하여 수하물QR코드를 스캔할 수 있고, 이로부터 수하물 운송 요청을 리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은, 보관소 단말(400)로부터 수하물QR코드를 스캔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수하물QR코드로부터 수하물 운송 요청을 리드하는 단계(S250) 및 리드된 수하물 운송 요청에 기초하여 수하물 도착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S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의 보관소는, 공항 내의 보관소 및 시내의 사설 보관소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관리자는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와 사업 연계가 이루어진 보관소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등록할 수 있으며, 등록된 보관소 및 그 정보는 수시로 업데이트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수하물 운송 요청 입력 시 공항 내의 보관소 및 시내의 사설 보관소 중 하나의 보관소를 운송 목적지로 지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송자는 지정된 운송 목적지에 해당하는 보관소까지 수하물을 운송한 후, 보관소의 업무 담당자에게 운송한 수하물을 인도할 수 있다.
보관소의 업무 담당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보관소 단말(400)의 QR코드 스캐너를 실행하여 인도받은 수하물에 거치 또는 부착된 수하물QR코드를 스캔할 수 있다.
이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저장된 수하물 도착 정보에 기초하여 수하물 도착 메시지 또는 푸시 알림을 생성하는 단계(S270) 및 생성된 수하물 도착 메시지 또는 푸시 알림을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는 단계(S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운송자의 수하물 운송상황에서는 수하물의 실시간 위치 및 이동경로를 수시로 확인할 수 있고, 수하물이 보관소에 도착하여 운송이 최종 완료되었을 때에는 메시지 또는 푸시 알림을 통해 수하물 도착 사실을 신속하게 통지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수하물 운송 요청을 입력할 때 현재 위치와 상이한 제3의 장소를 수하물 픽업 위치로 지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3의 장소란, 시내 사설 보관소, 호텔 컨시어지 서비스에 따른 장소, 그 외 숙박시설의 짐 보관소 등을 포함하는 특정한 장소일 수 있다.
사용자는 제3의 장소를 수하물 픽업 위치로 지정한 후, 운송자와 직접 대면하여 수하물을 인도할 수도 있고, 운송자와 대면 없이 수하물을 픽업 위치에 맡겨둘 수도 있다. 사용자가 운송자와 대면 없이 수하물 인도 절차를 밟을 예정인 경우, 수하물 운송 요청 입력 시 그 사실을 적시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가 운송자와 대면 없이 수하물 인도 절차를 밟을 예정이라고 적시한 경우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뿐만 아니라 운송자 단말(300)로도 사용자QR코드를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운송자는 사용자의 수하물 운송 요청에 따른 제3의 장소에 도착한 후, 본인이 보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하물 부착용 공QR코드를 운송자 단말(300)의 QR코드 스캐너를 이용하여 스캔할 수 있다. 운송자 단말(300)에는 사용자QR코드가 이미 전송된 상태이므로, 수하물 부착용 공QR코드의 스캔만으로도 사용자QR코드에 라이트된 수하물 운송 요청이 리드될 수 있고(S220), 이것이 다시 수하물 부착용 공QR코드에 라이트될 수 있다(S230). 즉, 수하물QR코드가 생성될 수 있다(S240).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운송자 단말(300)로부터 사용자QR코드 및 적어도 하나의 수하물 부착용 공QR코드를 스캔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보관소 단말(400)로부터 수하물QR코드를 스캔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복수의 QR코드를 연속적으로 스캔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QR코드에 라이트된 각각의 정보를 동시에 리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 1000')은, 운송자 단말(300) 및 보관소 단말(400)이 복수의 QR코드를 연속적으로 스캔할 수 있는 QR코드 스캐너를 실행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QR코드 스캐너를 멀티 QR코드 스캐너로 지칭하기로 한다.
QR코드 스캐너가 구동(스캔 동작을 수행)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의 카메라로 인식된 이미지를 벡터화 하고, 벡터화 한 이미지에서 QR코드 이미지를 색출한 후, 색출된 QR코드를 저장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이때 저장된 QR코드에 특정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정보를 리드하는 단계까지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멀티 QR코드 스캐너는 전술한 구동 방식(이하, 이미징 프로세스라 한다)을 자동적으로 수 회 반복하는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 QR코드 스캐너는 단말의 카메라를 통해 복수의 QR코드를 한번에 훑듯이 촬영하는 동작에 의하여, 초당 100회의 이미징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즉, 운송자 또는 보관소 업무 담당자는 운송자 단말(300) 또는 보관소 단말(400)의 QR코드 스캐너를 실행시킨 후, 복수의 QR코드를 한번에 훑고 지나가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복수의 QR코드를 연속적으로 스캔할 수 있다. 연속적으로 스캔된 복수의 QR코드는 일괄적으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저장된다.
한편, QR코드를 이용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은, QR코드의 위조나 변조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다양한 암호화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QR코드에 워터마크를 추가하거나, 해시코드값을 함께 저장하여 암호화하는 기술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은, 최종적으로 운송이 완료된 최종 목적지에서 사용자가 수하물을 수거하면, 서비스 이용료 자동 결제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수하물 운송 요청을 입력할 때 결제 카드정보를 함께 입력하도록 요구하여, 사용자가 수하물을 반드시 수거하도록 하는 목적 및 서비스 이용료에 대한 보증 목적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최종 목적지에서 수하물의 상태 등을 확인한 후 보관소 업무 담당자로부터 수하물을 인도받을 수 있다. 이때 보관소 단말(400)을 통한 인도 완료 인증 및 사용자 단말(200)을 통한 최종 승인 절차가 완료되면,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수하물 운송 요청에 포함된 결제 카드정보를 이용하여 이용료 자동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통신부(110), 저장부(120), 매칭부(130), 생성부(140), 인식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의 시계열적인 단계를 차례대로 설명하였으므로, 이하 내용에서는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구성요소 각각이 수행하는 구체적인 기능에 관해 간단히 서술하고자 한다.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하물 운송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200) 및 매칭된 운송자가 보유하는 운송자 단말(300)로 매칭의 결과를 각각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110)는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200), 운송자 단말(300), 보관소 단말(400) 또는 관리자 서버(500) 간의 통신, 즉 쌍방향 정보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통신부(1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와 사업 연계된 다양한 타기업(예를 들어, 항공사 또는 여행사)의 서버와 통신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참고로, 통신부(110)는 외부와의 직접 연결 또는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을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부(110)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저장부(120), 매칭부(130), 생성부(140), 인식부(150), 제어부(160) 등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수신하여 매칭부(130), 생성부(140), 인식부(150) 또는 제어부(160)로 전달하거나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에는 텍스트, 이미지, 동화상 등의 컨텐츠, 사용자 영상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랜(LAN),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RF(Radio Frequency)통신, 무선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등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당해 기술분야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유, 무선 통신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저장부(120)는 수하물 운송 요청 및 운송자 리스트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20)에는 사용자QR코드 및 수하물QR코드에 라이트된 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그밖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시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참고로, 저장부(120)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HDD(Hard Disk Drive),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CF(Compact Flash) 카드, SD(Secure Digital) 카드, SM(Smart Media) 카드, MMC(Multimedia) 카드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저장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내부에 구비되거나 별도의 외부 장치에 구비될 수 있다.
매칭부(130)는 수하물 운송 요청 및 운송자 리스트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운송자를 매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매칭부(130)가 사용자와 운송자를 매칭하는 방법에 관한 내용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본 단락에서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생성부(140)는 사용자QR코드 및 수하물QR코드를 포함한 다양한 QR코드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생성부(140)는, 통신부(110)가 사용자 단말(200), 운송자 단말(300) 또는 운송자가 보유한 차량의 GPS장치를 통해 수신한 현재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를 표시한 지도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생성부(140)는, 수하물 도착 정보, 수하물 도착 메시지 또는 푸시 알림을 생성할 수 있고, 그밖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시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인식부(150)는 운송자 단말(300) 또는 보관소 단말(400)의 QR코드 스캐너를 통해 스캔된 QR코드를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인식부(150)는 운송자 단말(300) 또는 보관소 단말(400)의 카메라에 촬영된 하나 또는 복수의 QR코드에 대하여 이미징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징 프로세스에 관한 내용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본 단락에서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어부(160)는 통신부(110), 저장부(120), 매칭부(130), 생성부(140) 및 인식부(150)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다양한 정보를 수시로 업데이트 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제어부(160)는 프로세서(processor),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controll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예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수하물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촬영한 수하물의 이미지 정보는 사용자QR코드에 추가적으로 라이트될 수 있다. 수하물의 이미지 정보가 사용자QR코드에 라이트됨에 따른 활용 가치는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본 단락에서는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수하물의 픽업 위치를 지정할 수 있고,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 수하물의 픽업 위치로 추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수하물의 픽업 위치를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아닌 제3의 장소로 지정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본 단락에서는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로 운송자와 매칭된 결과를 전송 받을 수 있고, 사용자는 매칭된 운송자의 현재 위치 및 수하물 픽업 장소까지 소요시간을 포함한 운송자의 정보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에 의하면, 여행객 등의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간편하게 공항 또는 특정 보관소로 수하물을 운송해주는 서비스를 신청하거나 취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매칭 옵션에 부합하는 드라이버에게 운송을 담당하도록 사용자와 드라이버의 일대일 매칭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수하물 운송에 대한 신뢰 및 안정감을 고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에 의하면, QR코드를 매개로 하여 수하물의 입출고 관리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와 드라이버, 보관소 업무 담당자, 관리자 각각의 입장에서 수하물 인도 및 관리 상의 신속,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반도체(ASIC)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DSPD)들, 프로그램어블 논리 디바이스(PLD)들, 필드 프로그램어블 게이트 어레이(FPGA)들, 프로세서들, 컨트롤러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여기서 제시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되거나 인코딩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 또는 인코딩된 명령들은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세서로 하여금 예컨대, 명령들이 실행될 때 방법을 수행하게끔 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하며,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기타 광학 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기타 자기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등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동작들 및 기능들을 지원하도록 동일한 디바이스 내에서 또는 개별 디바이스들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서 "~부"로 기재된 구성요소들, 유닛들, 모듈들, 컴포넌트들 등은 함께 또는 개별적이지만 상호 운용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들로서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들, 유닛들 등에 대한 서로 다른 특징들의 묘사는 서로 다른 기능적 실시예들을 강조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며, 이들이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실현되어야만 함을 필수적으로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하나 이상의 모듈들 또는 유닛들과 관련된 기능은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공통의 또는 개별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내에 통합될 수 있다.
특정한 순서로 동작들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동작들이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모든 도시된 동작이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이해되지 말아야 한다. 임의의 환경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이러한 구분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기술된 구성요소들이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장치
110: 통신부
120: 저장부
130: 매칭부
140: 생성부
150: 인식부
160: 제어부
200: 사용자 단말
300: 운송자 단말
400: 보관소 단말
500: 관리자 서버
1000: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Claims (10)

  1.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하물 운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수하물 운송 요청 및 미리 저장된 운송자 리스트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운송자를 매칭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매칭된 운송자가 보유하는 운송자 단말로 상기 매칭의 결과를 각각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수신된 수하물 운송 요청을 라이트(write)함으로써 사용자QR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매칭된 운송자가 보유하는 운송자 단말로 상기 매칭의 결과를 각각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생성된 사용자QR코드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QR코드 및 적어도 하나의 수하물 부착용 공QR코드를 스캔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QR코드로부터 상기 수하물 운송 요청을 리드(read)하는 단계; 및
    상기 리드된 수하물 운송 요청을 상기 수하물 부착용 공QR코드에 라이트함으로써 수하물QR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QR코드 및 적어도 하나의 수하물 부착용 공QR코드를 스캔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수하물 운송상황임을 인식하고, 상기 운송자 단말 또는 상기 운송자의 차량에 구비된 GPS장치와 통신 가능하도록 페어링하는 단계 및 상기 페어링된 GPS장치로부터 실시간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보관소 단말로부터 상기 수하물QR코드를 스캔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하물QR코드로부터 상기 수하물 운송 요청을 리드하는 단계; 및
    상기 리드된 수하물 운송 요청에 기초하여 수하물 도착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수하물 도착 정보에 기초하여 수하물 도착 메시지 또는 푸시 알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수하물 도착 메시지 또는 푸시 알림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3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QR코드 및 적어도 하나의 수하물 부착용 공QR코드를 스캔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보관소 단말로부터 상기 수하물QR코드를 스캔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복수의 QR코드를 연속적으로 스캔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QR코드에 라이트된 각각의 정보를 동시에 리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와 운송자를 매칭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와 상기 운송자의 성별, 상기 운송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픽업 위치까지의 거리, 상기 운송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픽업 위치까지의 소요시간, 상기 운송자의 평가점수, 수하물의 부피, 수하물의 중량 및 운송 목적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매칭 옵션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매칭 옵션을 선택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와 상기 운송자의 매칭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
  9.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장치로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하물 운송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부;
    상기 수하물 운송 요청 및 운송자 리스트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저장부; 및
    상기 수하물 운송 요청 및 상기 운송자 리스트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운송자를 매칭하도록 구성되는 매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매칭된 운송자가 보유하는 운송자 단말로 상기 매칭의 결과를 각각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장치.
  10. 제 9 항에 따른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장치;
    상기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운송자 단말을 포함하는,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190113270A 2019-09-16 2019-09-16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 KR202100320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270A KR20210032048A (ko) 2019-09-16 2019-09-16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270A KR20210032048A (ko) 2019-09-16 2019-09-16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2048A true KR20210032048A (ko) 2021-03-24

Family

ID=75257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270A KR20210032048A (ko) 2019-09-16 2019-09-16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204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84575B2 (en) Method for requesting transportation services
US201601890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ccess to contextually relevant vehicles for delivery purposes
US20160092709A1 (en) Register for counting and tracking items in a bag
KR102149027B1 (ko) 유휴공간을 이용한 짐 보관 및 배송 시스템
CN113581724B (zh) 服务器装置、车辆、服务提供系统和非暂态存储介质
US20210342966A1 (en) Baggage management system and server for use in the system
KR102047048B1 (ko) IoT 기반의 물류배송방법
JP2018005409A (ja) 情報処理端末
KR102152891B1 (ko) 수하물 보관 및 배송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JP2014059770A (ja) 配達物配送支援システムおよび配達物情報管理サーバ
JP2013075742A (ja) 荷物配送システム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20170050227A (ko) 사용자 연결형 배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11919542B2 (en) Management device, transportation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JP6903063B2 (ja) 多数の対象の対象固有の場所間の輸送方法
JP2021508098A (ja) 物品追跡に関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EP3113090A1 (en) Baggage tracking system
US11216775B1 (en) Digital luggage shipping system and method
KR101553674B1 (ko) 지하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
KR101770603B1 (ko)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
US20240054432A1 (en) Baggage delivery system, baggage delivery management apparatus, baggage delivery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210049547A1 (en) Method for Gas Station-Based Parcel Delivery Service and System for Implementing Same
KR20210032048A (ko)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
KR20190090740A (ko) 고유 식별자를 이용한 수화물 배송시스템 및 배송방법
KR102461947B1 (ko) 경로 기반 배송 중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7099069B2 (ja) 荷物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