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2891B1 - 수하물 보관 및 배송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 Google Patents

수하물 보관 및 배송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2891B1
KR102152891B1 KR1020200035011A KR20200035011A KR102152891B1 KR 102152891 B1 KR102152891 B1 KR 102152891B1 KR 1020200035011 A KR1020200035011 A KR 1020200035011A KR 20200035011 A KR20200035011 A KR 20200035011A KR 102152891 B1 KR102152891 B1 KR 102152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luggage
delivery
information
storage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5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권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스엠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스엠앤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스엠앤이
Priority to KR1020200035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28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버에 의해 사용자 단말로 수하물 보관 및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보관서비스 가맹점에 대한 리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관서비스 가맹점에 대한 리스트 정보는, 복수의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가맹점정보; 및 각각의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실시간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를 포함하는, 수하물 보관 및 배송 서비스 제공방법이다.

Description

수하물 보관 및 배송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METHOD FOR KEEPING AND TRANSPORTING LUGGAGES AND SERVER THEREFOR}
본 발명은 수하물 보관 및 배송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적으로 국내 및 해외를 여행하는 여행객들이 증가하고 있다. 여행사를 통해 패키지 여행하는 여행객뿐만 아니라 소그룹 또는 혼자서 여행하는 여행객들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소그룹 또는 개인 여행객들은 개인의 짐을 숙소에 보관하지 않는 이상 대부분 개인의 짐을 직접 들고 다니며 여행을 하게 된다.
여행객은 여행을 출발하여 여행지의 공항에 도착한 후 예약된 숙소까지 개인의 짐을 직접 들고 이동해야 하며, 예약된 숙소의 체크인 시간이 여행지의 공항 도착 시간으로부터 비교적 많은 시간이 남았다면 체크인 시간까지 개인의 짐을 계속하여 들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여행객은 여행을 마치고 여행지에서 출발하기 위해 숙소에서 체크아웃 할 수 있고, 여행지의 공항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여행객은 숙소를 체크아웃 한 후 항공편의 시간이 비교적 많은 시간이 남았다면 공항으로 미리 이동할 필요가 없으며 그 사이의 시간을 쇼핑 등을 통해 보낼 수 있다. 하지만, 여행객은 체크아웃을 통해 숙소를 떠났기 때문에 개인의 짐을 공항으로 이동하는 시간까지 계속하여 들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여행객은 여행기간 동안 동일 여행지 내에서 여러군데의 숙소에서 숙박을 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여행객은 개인의 짐을 직접 들고 숙소 이동을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즉, 여행객은 여행하는 동안 공항-숙소 또는 숙소-숙소 이동 시, 개인의 짐을 짊어지고 이동해야 하는 신체적인 번거로움을 가지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여행객의 짐에 대한 번거로움을 줄여줄 수 있도록 수하물 보관 및 배송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를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여행객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수하물 보관 및 배송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소상공인의 매출 증대를 꾀할 수 있는 수하물 보관 및 배송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서버에 의해 사용자 단말로 수하물 보관 및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보관서비스 가맹점에 대한 리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관서비스 가맹점에 대한 리스트 정보는, 복수의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가맹점정보; 및 각각의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실시간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를 포함하는, 수하물 보관 및 배송 서비스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보관서비스 가맹점에 리스트 정보는, 기설정된 지점에서 각각의 보관서비스 가맹점까지의 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에 보관서비스 가맹점에 대한 리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최대 보관 수하물 개수 및 현재 보관 중인 수하물 개수를 통해, 상기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실시간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보관예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실시간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시간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x)는 x=a-(b+c)에 의해 산출되고, a는 상기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최대 보관 수하물 개수, b는 상기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현재 보관 중인 수하물 개수, c는 상기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보관예약된 수하물 개수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보관예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실시간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를 산출하는 단계 이후에,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보관서비스 가맹점 단말로부터, 상기 보관예약 정보에 포함된 수하물에 대한 보관수락 정보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실시간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를 재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시간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y)는 y=a-(b+c-c')에 의해 재산출되고, a는 상기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최대 보관 수하물 개수, b는 상기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현재 보관 중인 수하물 개수, c는 상기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보관예약된 수하물 개수, c'는 상기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보관예약된 후 보관수락되지 않은 수하물의 개수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에 보관서비스 가맹점에 대한 리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이후에, 보관서비스 가맹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수하물에 대한 보관수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관수락 정보는 수하물의 긴급배송 여부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하물이 긴급배송으로 선택되는 경우, 상기 수하물에 대한 배송을 수행할 택시를 연계해줄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에 보관서비스 가맹점에 대한 리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보관예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배송자 단말로부터 배송예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실시간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시간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z)는 z=a-(b+c)+d에 의해 산출되고, a는 상기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최대 보관 수하물 개수, b는 상기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현재 보관 중인 수하물 개수, c는 상기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보관예약된 수하물 개수, d는 상기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배송 예약된 수하물 개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로 수하물 보관 및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보관서비스 가맹점에 대한 리스트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보관서비스 가맹점에 대한 리스트 정보는, 복수의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가맹점정보; 및 각각의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실시간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보관예약 정보를 수신하고, 배송자 단말로부터 배송예약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실시간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z)는, z=a-(b+c)+d에 의해 산출되고, a는 상기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최대 보관 수하물 개수, b는 상기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현재 보관 중인 수하물 개수, c는 상기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보관예약된 수하물 개수, d는 상기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배송 예약된 수하물 개수인, 수하물 보관 및 배송 서비스 제공 서버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보관 및 배송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를 이용하면, 여행객의 신체적 부담이 경감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보관 및 배송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를 이용하면, 여행객이 서비스 가맹점을 방문함으로써 서비스 가맹점의 추가 매출이 발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보관 및 배송 서비스의 비즈니스 모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보관 및 배송 서비스의 네트워크 관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보관 및 배송 서비스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보관 및 배송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단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보관 및 배송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단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보관 및 배송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배송자의 단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보관 및 배송 서비스 제공 서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보관 및 배송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보관 및 배송 서비스 제공방법은, 수하물 보관 및 배송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수하물 보관 및 배송 서비스 제공 서버(이하, 서비스 제공 서버)를 운영하는 주체는 '운영사업자'로 칭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보관 및 배송 서비스의 비즈니스 모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보관 및 배송 서비스의 네트워크 관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보관 및 배송 서비스의 비즈니스 모델에 의하면, 사용자(여행객)(1)이 수하물(L)을 가지고 여행을 하는 중에 사용자(1)는 보관서비스 가맹점(2)(이하, '가맹점'이라고도 함)에 수하물(L)을 보관요청할 수 있고, 보관서비스 가맹점(2)은 수하물(L)을 보관하며, 배송자(3)는 여행객의 수하물을 보관서비스 가맹점(2)에서 도착지(4)까지 배송할 수 있다.
보관서비스 가맹점(2)은 숙소, 카페, 편의점, 식당, 의류매장 등 다양할 수 있다. 즉, 수하물 처리(보관 및 배송 출발) 거점은 운영사업자가 별도로 마련하는 영업장일 수도 있지만 본업을 영위하도록 존재하는 숙소, 카페, 편의점, 식당, 의류매장 등의 기존영업장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기존영업장은 운영사업자와 계약을 통해 보관서비스 가맹점(2)이 될 수 있다.
배송자(3)는 운영사업자에게 고용되거나 운영사업자와 계약을 맺은 여객 운송업자, 화물 운송업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배송자(3)는 운영사업자에게 고용된 사람일 수도 있고, 기존의 여객 운송업자, 화물 운송업자로서 운영사업자와 계약을 맺은 사람일 수도 있다. 이러한 배송자(3)는 보관서비스 가맹점(2)에 보관된 수하물(L)을 배송, 운송한다.
여기서, 여객 운송업자 또는 화물 운송업자는, 택시기사, 택배기사 뿐만 아니라 학원차량, 셔틀버스, 광고차량과 같이 일정 지역 내에서 지속적으로 운행하는 차량의 운행자일 수도 있다.
배송자(3)는 택시기사인 경우, 개인택시 또는 택시회사가 운영사업자와 계약을 맺고, 택시기사가 직접 수하물 배송을 담당할 수 있다.
도착지(4)는 공항, 숙소(호텔, 펜션, 게스트하우스, 공유숙소, 가정집 등) 등을 포함한 사용자(1)가 지정하는 장소가 될 수 있다.
사용자(1)는 보관서비스 가맹점(2)에 수하물(L)을 보관함으로써 짐 없이 여행할 수 있다. 사용자(1)가 여행하는 동안, 배송자(3)는 사용자(1)의 수하물(L)을 도착지까지 배송할 수 있다.
사용자(1)는 보관 및 배송에 대해 운영사업자에 비용을 지불하고, 운영사업자는 보관서비스 가맹점(2) 및 배송자(3)에게 금전, 포인트, 광고노출 등의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1)는 짐 없이 공항-숙소, 숙소-공항, 숙소-숙소를 이동하고, 여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항-숙소로 이동하는 경우, 보관서비스 가맹점(2)은 공항 내 편의점이 되고, 도착지(4)는 숙소가 될 수 있다. 숙소-공항으로 이동하는 경우, 보관서비스 가맹점(2)은 숙소가 되고, 도착지(4)는 공항이 될 수 있다. 숙소-숙소로 이동하는 경우, 보관서비스 가맹점(2)은 제1 숙소가 되고, 도착지(4)는 제2 숙소가 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보관 및 배송 서비스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 사용자(여행객) 단말(200), 보관서비스 가맹점 단말(300), 배송자 단말(400)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00)와 사용자(여행객) 단말(200), 보관서비스 가맹점 단말(300), 배송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 보관서비스 가맹점 단말(300), 배송자 단말(400) 각각은, 스마트폰,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데스크 탑, 랩탑 등 다양한 기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자, 보관서비스 가맹점, 배송자는 각각의 단말(1T, 2T, 3T)에 소프트웨어(애플리케이션 등)를 다운로드 등을 통해 설치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 서버와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는,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5G, LTE, VoLTE, Wi-Fi, Bluetooth, NFC, RFID, 홈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보관서비스 가맹점에는 출력장치(P)가 비치될 수 있고, 출력장치(P)는 보관서비스 가맹점 단말(30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출력장치(P)는 보관수락되는 수하물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출력물을 생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보관 및 배송 서비스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보관서비스 가맹점을 검색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서버(100)에 보관서비스 가맹점 검색을 요청할 수 있다(S210).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의 식별정보, 사용자의 위치정보, 수하물정보를 서버(100)로 전달하면, 서버(100)는 이에 맞는 보관서비스 가맹점을 검색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식별정보는 사용자의 고유ID, 사용자의 연락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수하물정보는 수하물 크기, 수하물 종류, 수하물 수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검색하기' 버튼을 터치하는 등의 행위를 통해 서버(100)에 보관서비스 가맹점 검색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의 식별정보, 사용자의 위치정보, 수하물정보를 불러오거나 (자동 또는 수동)입력한 후 가맹점 검색을 요청할 수 있다.
또는, '검색하기' 버튼 터치 행위가 없이, 애플리케이션 실행과 동시에 보관서비스 가맹점 검색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서버(100)는 사용자의 식별정보, 사용자의 위치정보, 수하물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토대로 보관서비스 가맹점을 검색할 수 있다(S120).
예를 들어, 수하물정보가 수하물 크기(대, 중, 소)를 포함하는 경우, 서버(100)는 선택된 수하물 크기를 수용할 수 있는 보관서비스 가맹점만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A지역(또는 B공항)에 위치하는 경우 서버(100)는 A 지역에 있는(또는 B 공항 주변에 있는) 보관서비스 가맹점을 검색할 수 있다.
검색을 마친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에 보관서비스 가맹점에 대한 리스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130).
보관서비스 가맹점에 대한 리스트 정보는, 복수의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가맹점정보; 및 각각의 상기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실시간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가맹점정보는 보관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자격을 갖춘(운영사업자와 계약을 맺은) 복수의 가맹점의 식별정보가 리스트 형식으로 제공되는 것으서, 가맹점의 이름, 대표자, 위치(주소), 업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실시간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는, 각 보관서비스 가맹점이 현재 수용할 수 있는 수하물의 개수이다.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에 보관서비스 가맹점에 대한 리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이전에, 각각의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실시간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를 산출하는 단계(S110)를 진행할 수 있다.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실시간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를 산출하는 단계(S110)는 사용자 단말(200)의 보관서비스 가맹점 검색 요청(S210)의 전 또는 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실시간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를 산출하는 단계(S110)는 서버(100)의 보관서비스 가맹점 검색(S120) 전 또는 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실시간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는 각각의 보관서비스 가맹점에 대해 별도로 산출된다.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실시간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는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최대 보관 수하물 개수 및 현재 보관 중인 수하물 개수를 통해 산출될 수 있다.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최대 보관 수하물 개수는 보관서비스 가맹점와 운영사업자의 계약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보관서비스 가맹점이 스스로 선택할 수 있다.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최대 보관 수하물 개수는 가맹점의 규모, 가맹점의 업종, 가맹점의 인력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최대 보관 수하물 개수는 수하물의 크기 별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최대 보관 수하물 개수는, “대 2개, 중 3개, 소 5개”와 같이 설정될 수 있다. 또는, 보관서비스 가맹점은 수하물의 크기에 상관없이 최대 보관 수하물 개수만 설정할 수도 있다.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현재 보관 중인 수하물 개수는 보관서비스 가맹점이 보관수락하여 현재 보유하고 있는(보관서비스 가맹점의 주소지에 놓여있는) 수하물의 개수이다. '보관수락'은 사용자 단말(200)이 '보관요청(사용자가 서버를 통해 보관서비스 가맹점에 수하물 보관을 요청함)'하였을 때 보관서비스 가맹점이 사용자의 보관요청을 받아들이는 행위이고, 보관수락 시 보관서비스 가맹점은 사용자의 수하물을 보관서비스 가맹점 주소지에 놓아둔다.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실시간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는,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최대 보관 수하물 개수에서 현재 보관 중인 수하물 개수를 제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관서비스 가맹점에 대한 리스트 정보는 각 가맹점에 대한 리뷰(평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관서비스 가맹점에 대한 리스트 정보는, 기설정된 지점에서 각각의 보관서비스 가맹점까지의 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관서비스 가맹점에 대한 리스트 정보는 사용자의 현재위치로부터 각 보관서비스 가맹점까지의 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지점'은 사용자의 현재위치가 디폴트(default)값일 수 있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00)는 보관서비스 가맹점에 대한 리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이전에, 기설정된 지점에서 각각의 보관서비스 가맹점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미도시)를 진행할 수 있다.
보관서비스 가맹점에 대한 리스트 정보는, 보관서비스 가맹점정보에 각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실시간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와, 각 보관서비스 가맹점까지의 거리가 함께 표시되어 제공될 수 있다.
보관서비스 가맹점에 대한 리스트 정보는, 복수의 보관서비스 가맹점이 일정한 조건에 따라 정렬되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보관서비스 가맹점은 거리순으로 정렬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보관서비스 가맹점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또는 다른 기설정된 위치)로부터 가까운 순으로 정렬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보관서비스 가맹점은 현재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순으로 정렬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보관서비스 가맹점은 현재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가 많은 순으로 정렬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시된 복수의 보관서비스 가맹점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가 선택한 보관서비스 가맹점에 대해 서버(100)로 보관예약을 요청할 수 있다(S220).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보관예약 정보를 수신한다.
보관예약 정보는, 사용자의 식별정보, 가맹점정보, 수하물정보, 배송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배송정보는 출발지, 도착지, 도착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출발지는 배송이 시작되는 곳이자 보관이 수행되는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주소일 수 있다. 도착지는 사용자가 지정한 곳으로 사용자가 묵을 숙소일 수 있다. 도착시간은 사용자가 지정하는 시간으로 도착지에 수하물이 도착되었으면 하는 시간이다. 도착시간은 예정시간이므로 실제 수하물이 도착하는 시간과 다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지정할 수 있는 도착시간은 기설정된 시간 단위(예를 들어, 1시간 단위)로 제시되고, 사용자는 그 중에서 원하는 도착시간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배송정보는 긴급배송 여부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긴급배송 여부정보는 일반과 긴급으로 구분될 수 있다.
서버(100)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보관예약 정보를 수신하면, 서버(100)는 보관서비스 가맹점 단말(300)로 보관예약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보관예약 정보를 전달은 팝업 메시지, 푸시알림, SMS, 메신저(카카오톡 등)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00)로 예약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My 수하물 보기” 등의 페이지에서 본인의 수하물 예약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서버(100)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보관예약 정보를 수신하면, 서버(100)는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실시간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를 산출할 수 있다(S140). 즉,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보관예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보관예약 정보를 반영하여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실시간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실시간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x)는 아래 식 1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식 1] x=a-(b+c)
여기서, a는 상기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최대 보관 수하물 개수, b는 상기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현재 보관 중인 수하물 개수, c는 상기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보관예약된 수하물 개수이다. 특히, b는 보관서비스 가맹점이 보유하여 보관서비스 가맹점 주소지에 놓여있는 수하물 개수이다.
즉, 보관예약된 수하물이 있는 경우에, 그 보관예약된 수하물은 현재 보관 중인 수하물로 카운트된다. 사용자는 보관예약을 함으로써,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보관 자리를 선점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보관서비스 가맹점에 도착하면 자신의 수하물을 보관서비스 가맹점에 맡길 수 있도록 보관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서버(100)를 통해 보관서비스 가맹점 단말(300)에 보관요청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서버(100)에 보관요청 정보를 송신하고(S230), 서버(100)는 보관서비스 가맹점 단말(300)에 보관요청 정보를 전달한다(S150). 보관요청 정보는 보관예약 정보를 그대로 포함할 수 있다.
즉, 보관요청 정보는 사용자의 식별정보, 가맹점정보, 수하물정보, 배송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배송정보는 출발지, 도착지, 도착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배송정보는 긴급배송 여부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긴급배송 여부정보는 일반과 긴급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보관서비스 가맹점 단말(300)은 보관요청 정보를 수신한 후, 보관수락할 수 있다. 보관서비스 가맹점 단말(300)은 서버(100)로 보관수락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S310). 서버(100)가 보관수락 정보를 수신하면, 그 시점부터 보관서비스 가맹점은 해당 수하물에 대한 보관을 수행한다. 보관수락 정보는 보관요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는 보관수락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로 보관시작을 알림할 수 있다. 알림은 팝업 메시지, 푸시알림, SMS, 메신저(카카오톡 등)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관서비스 가맹점에는 보관요청 정보(또는 보관수락 정보)를 실물로 출력할 수 있는 출력장치가 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출력장치는 보관서비스 가맹점 단말(300)에 내장되거나, 보관서비스 가맹점 단말(30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보관서비스 가맹점 단말(300)이 사용자의 보관요청을 보관수락하였을 때, 출력장치는 보관요청 정보(또는 보관수락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력물은 사용자 식별정보, 수하물정보, 배송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물은 사용자 식별정보, 수하물정보, 배송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토큰정보(예를 들어, 바코드, QR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수하물들은 상기 출력물의 텍스트 및/또는 토큰정보로에 의해 서로 식별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00)로 보관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My 수하물 보기” 등의 페이지에서 본인의 수하물 보관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서버(100)가 사용자 단말(200)에 의해 보관예약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동일 사용자 및 동일 수하물에 대해 보관서비스 가맹점 단말(300)로부터 보관수락 정보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50). 즉, 보관예약 요청이 있은 후에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보관서비스 가맹점으로부터 동일 사용자 및 동일 수하물에 대한 보관수락하였는지를 판단한다.
기설정된 시간은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0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보관수락 정보를 수신한 후 기설정된 시간 내에 동일 사용자 및 동일 수하물에 대한 보관수락 정보를 수신한 경우라면, 보관은 실제로 수행된 것이므로, 실시간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를 재산출하지 않고, 식 1에 따른 개수로 확정할 수 있다. 이러한 개수 확정은 상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이루어지지 않고, 보관수락 정보 수신 시 즉시 이루어질 수 있다.
보관수락 정보를 수신한 후 기설정된 시간 내에 동일 사용자 및 동일 수하물에 대한 보관수락 정보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서버(100)는 동일 사용자 및 동일 수하물에 대한 보관예약을 취소(S560)하고, 실시간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를 재산출할 수 있다(S570).
실시간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y)는 아래 식 2에 의해 재산출될 수 있다.
[식 2] y=a-(b+c-c')
여기서, a는 상기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최대 보관 수하물 개수, b는 상기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현재 보관 중인 수하물 개수, c는 상기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보관예약된 수하물 개수, c'는 상기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보관예약된 후 보관수락되지 않은 수하물의 개수이다.
즉, 보관예약되었으나 보관수락되지 않은 수하물이 있는 경우에, 그 수하물을 현재 보관 중인 수하물에서 빼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보관예약만 하고 해당 보관서비스 가맹점에 보관을 실제로 맡기지 않은 경우에, 자동으로 보관예약을 취소시키고, 타 사용자에게 실시간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에 관해 정확한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한편, 보관예약되었으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보관예약이 취소된 경우에도, 식 2를 통해 실시간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가 재산출될 수 있고, 이때 c'는 보관예약 취소된 수하물의 개수가 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서버(100)는 배송자 단말(400)에 배송요청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S160). 이러한 배송요청은 보관수락된 수하물에 한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배송요청 정보는 보관수락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배송요청은 각각의 수하물의 도착시간 이전에 이루어질 수 있다. 배송요청은 각각의 수하물의 도착시간보다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2시간) 이전에 이루어질 수 있다. 도착시간이 17:00인 경우, 배송요청은 15:00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배송요청은 정해진 시각(예를 들어, 오후 3시부터 1시간마다)에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착시간이 동일한 수하물들에 대해 통합하여 배송요청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배송자 단말(400)은 본인이 배송하고자 하는 수하물들에 대해 배송예약을 요청할 수 있다. 즉, 배송자 단말(400)은 배송하고자 하는 수하물들을 선택하여 서버(100)로 배송예약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S410). 배송예약 정보는, 수하물선택 정보, 배송자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수하물선택 정보는 배송자가 선택한 수하물에 대한 정보이고, 배송자 정보는 배송자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배송자 단말(400)이 배송예약을 한 경우, 배송자 단말(400)은 배송예약된 수하물 리스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서버(100)는 배송자 단말(400)로 배송예약된 수하물 리스트 정보를 제공한다. 배송예약된 수하물 리스트 정보는 배송자가 선택한 수하물에 대한 정보와 배송현황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배송예약된 수하물 리스트 정보는 배송자가 선택한 수하물이 도착지별 또는 도착시간별로 정렬되어 제공될 수 있다.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00)로 배송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My 수하물 보기” 등의 페이지에서 본인의 수하물 배송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서버(100)가 배송자 단말(400)로부터 배송예약 정보를 수신하면, 서버(100)는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실시간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를 산출할 수 있다(S140). 즉, 서버(100)는 상기 배송자 단말(400)로부터 배송예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배송예약 정보를 반영하여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실시간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z0)는 아래 식 3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식 3] z0=a-b+d
여기서, a는 상기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최대 보관 수하물 개수, b는 상기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현재 보관 중인 수하물 개수, d는 상기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배송 예약된 수하물 개수이다.
즉, 배송자에 의해 배송예약된 수하물이 있는 경우, 해당 수하물은 곧 보관서비스 가맹점을 떠날 것이므로, 현재 보관 중인 수하물에서 제하는 것이다.
한편, 서버(100)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보관예약 정보를 수신하고, 배송자 단말(400)로부터 배송예약 정보를 수신한 경우,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실시간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z)는 아래 식 4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식 4] z=a-(b+c)+d
는 상기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최대 보관 수하물 개수, b는 상기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현재 보관 중인 수하물 개수, c는 상기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보관예약된 수하물 개수, d는 상기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배송 예약된 수하물 개수이다.
즉, 서버(100)는 보관예약 정보와 배송예약 정보를 모두 반영하여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실시간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대 보관 수하물 개수는 10, 현재 보관 중인 수하물 개수는 6, 보관예약된 수하물 개수는 2, 배송 예약된 수하물 개수는 3이라면, 실시간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z)는,
z =10-(6+2)+3=5
에 의해 5개로 산출될 수 있다.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실시간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w)는 아래 식 5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식 5] w=a-(b+c-c')+d
a는 상기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최대 보관 수하물 개수, b는 상기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현재 보관 중인 수하물 개수, c는 상기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보관예약된 수하물 개수, c'는 상기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보관예약된 후 보관수락되지 않은 수하물의 개수, d는 상기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배송 예약된 수하물 개수이다.
예를 들어, 최대 보관 수하물 개수는 10, 현재 보관 중인 수하물 개수는 6, 보관예약된 수하물 개수는 2, 보관예약된 후 보관수락되지 않은 수하물의 개수는 1, 배송 예약된 수하물 개수는 3이라면, 실시간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w)는,
w=10-(6+2-1)+3=6
에 의해 6개로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식 5에 의하여 각각의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실시간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가 산출되며, 이러한 산출은 가맹점 검색요청, 보관예약 요청, 기설정된 시간 내 보관수락 미수신(또는 보관예약 취소), 배송예약 요청 중 적어도 하나가 있는 경우에 자동으로 이루어져,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한편, 수하물이 긴급배송으로 선택되어 보관되는 경우, 서버(100)는 상기 수하물에 대한 배송을 수행할 택시를 연계해줄 수 있다. 즉, 수하물이 긴급배송으로 선택되어 보관되는 경우(보관수락 정보 중 긴급배송 여부에서 긴급배송으로 선택됨), 서버(100)는 해당 수하물의 배송자를 택시로 지정하여 배송자 단말(400)에 배송요청할 수 있다.
긴급배송으로 선택된 수하물은, 도착시간과 무관하게, 서버(100)가 보관수락 정보를 수신하자마자 곧바로 택시의 배송자 단말(400)에 배송요청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택시는 여객을 운송하는 외에 긴급 수하물을 함께 운송함으로써, 수하물을 신속하게 도착지로 배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배송으로 선택된 수하물은 운영사업자가 고용하는 배송자가 정해진 시간마다 차량을 운행하여 도착지로 각각 운송될 수 있다. 긴급배송으로 선택된 수하물은 택시에 의해 신속하게 운송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운영사업자는 택시 공유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다. 즉, 긴급배송 수하물이 보관수락된 경우, 서버(100)는 기존의 택시 공유 플랫폼을 통해 택시를 수하물에 연계해줄 수 있다.
긴급배송으로 선택된 수하물의 운송은, 택시뿐만 아니라 학원차량, 호텔셔틀버스, 광고차량과 같이 일정 지역 내에서 지속적으로 운행하는 차량의 운행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배송자가 보관서비스 가맹점에 방문하여 본인이 선택한 수하물을 픽업(수거)한다. 배송자는 수하물에 부착된 출력물을 통해 수하물을 식별할 수 있다. 배송자는 출력물에 포함된 토큰정보를 읽을 수 있는 리더기를 별도로 소지하거나, 리더기가 장착된 배송자 단말을 소지함으로써, 출력물의 토큰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송자는 배송자 단말(400)에 내장된 카메라를 통해 바코드나 QR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또는, 배송자는 휴대용 바코드 리더기를 소지하고, 휴대용 바코드 리더기로 출력물의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그 리더기는 배송자 단말(400)과 통신할 수 있다.
배송자 단말(400)은 출력물을 통해 해당 수하물에 대한 보관수락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배송자 단말(400)은 그 수하물에 대해 배송시작 정보를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 배송시작 정보를 알림할 수 있다.
배송자가 도착지로 배송을 완료한 경우, 배송자 단말(400)은 리더기를 통해 출력물의 정보를 재인식하고, 배송자 단말(400)은 서버(100)로 배송완료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배송자는 배송예약된 수하물 리스트 정보 중에서 해당 수하물을 불러오기를 한 후에 그 수하물에 대한 배송완료 정보를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배송이 완료되면,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에 배송완료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보관 및 배송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단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보관 및 배송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단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보관 및 배송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배송자의 단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보관서비스 가맹점을 검색요청하고, 서버에 의해 보관서비스 가맹점에 대한 리스트 정보를 제공받았다. 사용자는 수하물의 크기를 지정하여 검색요청할 수 있고, 도 5는 수하물 크기를 중으로 지정하여 검색한 결과이다. 검색결과, 제과점, 편의점, 카페 등의 가맹점이 표시되었다. 또한, 보관서비스 가맹점까지의 거리 및 실시간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가 함께 표시된다.
보관서비스 가맹점은 가까운 거리순으로 정렬 또는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순(수량순)으로 정렬되어 표시될 수 있다. 거리순 정렬 시, 기준위치를 사용자 현재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공항의 '수하물 찾는 곳(baggage claim)'을 보관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수하물 찾는 곳'에 수하물을 보관하는 것으로 선택하는 경우, 수하물 찾는 곳(baggage claim)을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는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리스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비행기에서 하차한 후 수하물 찾는 곳을 경유하지 않고 그대로 여행목적지로 갈 수 있고,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직원 등이 수하물 찾는 곳에서 수하물을 대리 픽업한 후 보관서비스 가맹점에 보관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검색된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수하물 보관현황과 가맹점정보를 상세히 볼 수 있다(가맹점 상세보기 페이지). 사용자는 가맹점 상세보기 페이지에서, 가맹점의 주소, 위치, 실시간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를 상세히 파악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가맹점 상세보기 페이지에서 보는 '보관 중 수하물 개수'(도 6(a)에서 2개)는 실제 가맹점이 보관수행 중인 것과, 가맹점에 보관예약된 것의 총합으로 나타날 수 있다(즉, 사용자에게는 보관예약 정보를 노출하지 않음).
또한, 사용자가 가맹점 상세보기 페이지에서 보는 '빈 자리 개수'(도 6(a)에서 3개)는 실제 빈 자리 개수와 배송예약된 것의 총합으로 나타날 수 있다(즉, 사용자에게는 배송예약 정보를 노출하지 않음).
사용자는 보관예약을 요청하거나, 보관예약 없이 보관요청을 바로(즉시) 할 수 있다.
도 6(b)는 사용자가 도 6(a)에서 보관예약 없이 바로 보관요청을 바로(즉시) 하는 경우, 수하물정보와 배송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페이지의 예시이다. 여기서, '요청하기' 버튼을 누르게 되면, 서버로 보관요청 정보가 전송되고, 서버는 보관서비스 가맹점 단말로 보관요청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도 6(a)에서 예약하기를 선택한 경우, 도착지, 도착시간, 긴급여부 등을 입력하여, 예약 세부내용을 작성할 수 있다. 보관예약이 완료되면, 해당 가맹점의 실시간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는 변경된다. 다만, 보관예약이 완료되었을 때,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30분) 내에 보관요청 및/또는 보관수락되지 않을 시, 보관예약은 취소될 수 있다.
도 7(b)는 도 7(a)에서 예약하기를 입력한 경우, 실제 보관서비스 가맹점으로 가서 보관예약된 수하물을 맡길 때, 보관요청을 할 수 있는 페이지의 예시이다. 보관예약 정보를 불러오고, 보관요청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요청하기' 버튼을 누르게 되면, 서버로 보관요청 정보가 전송되고, 서버는 보관서비스 가맹점 단말로 보관요청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보관서비스 가맹점 단말은 서버로부터 보관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보관수락할 수 있다. 보관수락하게 되면, 보관서비스 가맹점에 비치된 출력장치를 통해 보관수락 정보 중 적어도 일부가 출력될 수 있고, 출력물은 수하물에 부착될 수 있다. 출력물에 의해 수하물은 서로 식별될 수 있다. 출력장치는 보관서비스 가맹점 단말에 내장되거나, 보관서비스 가맹점 단말과 유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도 8은 보관서비스 가맹점 단말이 보관수락한 후에, 사용자가 수하물의 상태를 볼 수 있는 페이지의 예시이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My 수하물 보기” 등의 페이지에서 본인의 수하물의 예약상태, 보관상태, 배송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9(a)는 보관서비스 가맹점 단말이 보관요청 정보를 수신하였을 때, 보관수락을 하기 위한 페이지의 예시이다. 여기서 '수락하기'를 누르면, 서버로 보관수락 정보가 전송된다.
보관서비스 가맹점 단말이 보관수락을 하게 되면, 실시간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가 변경된다. 보관예약이 1건 발생하였으므로, 이를 반영하여 실시간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가 변경된다.
도 9(b)는 보관서비스 가맹점 단말에서 보여지는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보관현황 페이지의 예시이다. 보관서비스 가맹점 단말에서 보여지는 보관현황 페이지는 보관예약 현황, 배송예약 현황까지 포함하여 표시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최대 보관 수하물 개수가 5개로 설정되었고, 현재 보관서비스 가맹점이 보관 중인 수하물 개수가 3개, 보관예약된 수하물 개수가 1개, 배송예약된 수하물 개수가 1개이므로, 실시간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는,
5-(3+1-1)=2
에 의해 2개로 산출되었다. 이는 도 6에서 산출된 3에서, 보관예약 수하물이 1건 발생한 결과 2건으로 감소한 것이다.
한편, 보관현황은 수하물의 크기 별로 표시되고, 실시간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도 수하물의 크기 별로 산출될 수 있다.
도 10(a)는 보관수행 또는 보관예약된 수하물의 상세 내용을 나타내는 페이지의 예시이다. 수하물은 일반, 긴급으로 구분되어 보관수행되며, 예약 건도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도 10(b)는 배송현황을 나타내는 페이지의 예시이다. 특히, 긴급으로 구분된 건의 경우, 서버는 택시를 연계해주며, 상기 페이지는 택시의 예약여부, 택시의 위치 등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1은 배송자가 배송요청을 받고, 배송할 수하물을 선택할 수 있는 페이지의 예시이다. 예를 들어, 수하물은 도착시간 별로 선택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로부터의 배송요청은 도착시간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이전에 배송자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배송자는 복수의 타임군을 선택하고, 그 타임군에 속하는 수하물을 모두 배송예약할 수 있다.
서버로 배송예약이 전송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송자 단말은 배송예약된 수하물 리스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배송자는 사용자 식별정보, 수하물정보, 배송정보, 배송현황 등을 상세히 살펴볼 수 있다.
배송예약이 되면, 배송예약 정보가 반영되어 실시간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가 변경된다.
도 9(b)에서, 배송예약이 1건 추가되면, 실시간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는 3개로 증가할 수 있다.
배송자는 보관서비스 가맹점을 방문하여 배송예약된 수하물을 픽업할 수 있다. 이 경우, 배송자는 수하물에 부착된 출력물을 통해 수하물을 식별할 수 있다. 배송자는 출력물에 포함된 토큰정보를 읽을 수 있는 리더기를 별도로 소지하거나, 리더기가 장착된 배송자 단말을 소지함으로써, 출력물의 토큰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배송자의 리더기가 출력물의 토큰정보를 인식하면, 서버로 해당 수하물에 대한 배송시작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 배송시작 정보를 알림할 수 있다.
배송자가 도착지에 도착하여 수하물을 인계한 경우, 배송자의 리더기는 출력물의 토큰정보를 한번 더 인식하거나, 배송자가 직접 배송자 단말에서, 배송예약된 수하물 리스트 중 해당 수하물을 선택하면, 도 13과 같은 배송완료 페이지가 나타날 수 있다.
배송자가 배송완료를 누름으로써 수하물 배송완료 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는 사용자에게 배송완료 정보를 알림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보관 및 배송 서비스 제공 서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보관 및 배송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보관서비스 가맹점에 대한 리스트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보관서비스 가맹점에 대한 리스트 정보는, 복수의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가맹점정보; 및 각각의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실시간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를 포함한다.
서버는, 제어부(10), 통신부(20), 저장부(30), 리스트관리부(40), 제1 산출부(개수 산출부)(50), 제2 산출부(거리 산출부)(60), 보관예약 관리부(70), 배송 관리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의 상기 구성은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고, 한 구성이 더 세분화되거나 여러 구성이 통합될 수 있다.
제어부(10)는 서버(100)의 전원공급 제어 등과 같은 전반적인 동작 및 서버(100)의 내부 구성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0)는 서버를 사용자 단말, 보관서비스 가맹점 단말, 배송자 단말, 외부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연결시킬 수 있다. 통신부(20)는 네트워크 모듈, 기지국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저장부(30)는 가맹점정보, 사용자 식별정보, 수하물정보, 배송정보, 실시간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 보관서비스 가맹점까지의 거리 등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30)는 메모리(memory), 캐시(cash), 버퍼(buffer)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리스트관리부(40)는 사용자 단말의 검색요청에 따라 가맹점정보, 실시간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 거리 등을 리스트화하여 사용자 단말에 리스트 정보를 제공한다. 리스트 정보에서 복수의 보관서비스 가맹점은 가까운 거리 순, 개수 순 등의 일정한 조건으로 정렬될 수 있다.
제1 산출부(개수 산출부)(50)는 보관서비스 가맹점 각각에 대해 실시간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를 산출할 수 있다. 실시간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는 상술한 식1 내지 식5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제2 산출부(거리 산출부)(60)는 기설정 위치부터 보관서비스 가맹점까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기설정 위치는 사용자의 현재위치로 디폴트 설정될 수 있다.
보관예약 관리부(70)는 사용자 단말의 보관예약 요청에 따라 보관예약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특히, 보관예약 관리부(70)는 보관예약 정보를 수신한 후 기설정된 시간 내에 보관수락 정보 수신 여부를 판단하고, 보관수락 정보 수신이 없는 경우, 해당 보관예약을 취소할 수 있다.
배송 관리부(80)는 보관수락된 수하물에 대한 배송을 관리할 수 있다. 배송관리부는 일반배송과 긴급배송을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일반배송으로 선택되어 보관수락된 수하물의 도착시간이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도달하는 경우(예를 들어, 도착시간이 17:00이면 2시간 전인 15:00시에 도달하는 경우) 배송자 단말에 배송요청 정보(알림)를 발송할 수 있다.
긴급배송으로 선택되어 보관수락된 수하물은 보관서비스 가맹점 단말로부터 보관수락 정보를 수신하자마자 택시 배송자의 배송자 다말로 배송요청 정보를 발송할 수 있다.
또한, 배송 관리부(80)는 배송예약, 배송시작, 배송완료 등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100: 서버
200: 사용자 단말
300: 보관서비스 가맹점 단말
400: 배송자 단말

Claims (9)

  1. 서버에 의해 사용자 단말로 수하물 보관 및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보관서비스 가맹점에 대한 리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관서비스 가맹점에 대한 리스트 정보는,
    복수의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가맹점정보; 및
    각각의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실시간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를 포함하고,
    상기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실시간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는, 실시간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 산출 단계를 통해,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보관예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보관서비스 가맹점 단말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보관예약 정보에 포함된 수하물에 대한 보관수락 정보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배송자 단말로부터 배송예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시간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 산출 단계에서, 상기 실시간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w)는,
    w=a-(b+c-c')+d
    에 의해 실시간으로 산출되고,
    a는 상기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최대 보관 수하물 개수,
    b는 보관예약 후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보관수락되어 상기 보관서비스 가맹점에 현재 보관 중인 수하물 개수,
    c는 상기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보관예약된 수하물 개수,
    c'는 보관예약된 후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보관수락되지 않은 수하물의 개수,
    d는 상기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배송 예약된 수하물 개수인,
    수하물 보관 및 배송 서비스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서비스 가맹점에 리스트 정보는,
    기설정된 지점에서 각각의 보관서비스 가맹점까지의 거리를 더 포함하는,
    수하물 보관 및 배송 서비스 제공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수락 정보는 수하물의 긴급배송 여부정보를 포함하는,
    수하물 보관 및 배송 서비스 제공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하물이 긴급배송으로 선택되는 경우,
    상기 수하물에 대한 배송을 수행할 택시, 택배차량, 학원차량, 셔틀버스, 광고차량 중 적어도 하나의 운행자를 연계해주는,
    수하물 보관 및 배송 서비스 제공방법.
  8. 삭제
  9. 사용자 단말로 수하물 보관 및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보관서비스 가맹점에 대한 리스트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보관서비스 가맹점에 대한 리스트 정보는,
    복수의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가맹점정보; 및
    각각의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실시간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를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보관예약 정보를 수신하고,
    보관서비스 가맹점 단말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보관예약 정보에 포함된 수하물에 대한 보관수락 정보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배송자 단말로부터 배송예약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실시간 보관 가능 수하물 개수(w)는,
    z=a-(b+c-c')+d
    에 의해 실시간으로 산출되고,
    a는 상기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최대 보관 수하물 개수,
    b는 보관예약 후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보관수락되어 상기 보관서비스 가맹점에 현재 보관 중인 수하물 개수,
    c는 상기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보관예약된 수하물 개수,
    c'는 보관예약된 후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보관수락되지 않은 수하물의 개수,
    d는 상기 보관서비스 가맹점의 배송 예약된 수하물 개수인,
    수하물 보관 및 배송 서비스 제공 서버.
KR1020200035011A 2020-03-23 2020-03-23 수하물 보관 및 배송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KR102152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011A KR102152891B1 (ko) 2020-03-23 2020-03-23 수하물 보관 및 배송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011A KR102152891B1 (ko) 2020-03-23 2020-03-23 수하물 보관 및 배송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2891B1 true KR102152891B1 (ko) 2020-09-07

Family

ID=72472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5011A KR102152891B1 (ko) 2020-03-23 2020-03-23 수하물 보관 및 배송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28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5628A (ko) * 2020-10-27 2022-05-04 손진현 수하물 관리 방법
KR102451322B1 (ko) * 2022-01-06 2022-10-06 주식회사 아이트립 Iata기준을 준수하는 수하물운송네트워크 서버구축을통한 편리한 항공여행서비스와 수하물태그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WO2022234996A1 (ko) * 2021-05-03 2022-11-10 (주) 더서비스플랫폼 온라인 구매 상품의 택스 리펀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서버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31721A (ko) * 2008-06-19 2009-12-30 전병우 폐쇄형 호텔 예약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77971B1 (ko) * 2019-09-17 2020-02-14 이준 통신 네트워크 기반의 수하물 보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77970B1 (ko) * 2019-09-17 2020-04-09 주식회사 아이트립 통신 네트워크 기반의 수하물 배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31721A (ko) * 2008-06-19 2009-12-30 전병우 폐쇄형 호텔 예약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77971B1 (ko) * 2019-09-17 2020-02-14 이준 통신 네트워크 기반의 수하물 보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77970B1 (ko) * 2019-09-17 2020-04-09 주식회사 아이트립 통신 네트워크 기반의 수하물 배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5628A (ko) * 2020-10-27 2022-05-04 손진현 수하물 관리 방법
KR102511782B1 (ko) * 2020-10-27 2023-03-17 손진현 수하물 관리 방법
WO2022234996A1 (ko) * 2021-05-03 2022-11-10 (주) 더서비스플랫폼 온라인 구매 상품의 택스 리펀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2451322B1 (ko) * 2022-01-06 2022-10-06 주식회사 아이트립 Iata기준을 준수하는 수하물운송네트워크 서버구축을통한 편리한 항공여행서비스와 수하물태그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2891B1 (ko) 수하물 보관 및 배송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US20190340544A1 (en) Trip planning and implementation
US967246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lligent location information
EP2587221A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generating alternate itineraries
KR101799458B1 (ko) 공유경제형 협력적 배송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PL178212B1 (pl) Sposób wyznaczania struktury transportu minimalizującej koszty transportu dla dowolnej organizacji
JP2016139263A (ja) 旅行システム
US20090112461A1 (en) Mapping system and method
KR102149027B1 (ko) 유휴공간을 이용한 짐 보관 및 배송 시스템
Raviv et al. Crowd-shipping of small parcels in a physical internet
JP2020530174A (ja) 搬送業界セグメントにおけるインタラクティブリアルタイムシステムおよびそのリアルタイム使用方法
US20240140615A1 (en) Managed connecting service for mass transit baggage
US11216775B1 (en) Digital luggage shipping system and method
JP2020119441A (ja) 配車プログラム及び配車システム
KR20150028479A (ko) 지하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
KR20180082940A (ko) 빅 데이터 분석을 통한 배송 의뢰 정보 제공 방법
US20220012827A1 (en) System and method for utilizing transit data to determine where a transit traveler's order is placed in an order queue
JP4403838B2 (ja) 車両運行管理システム、車両運行管理方法、および車両運行管理装置
KR101768875B1 (ko) 렌터카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관광 컨텐츠 공급 시스템의 수수료 과금 시스템
JP2020107137A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US20170091840A1 (en) On demand delivery
KR20210032048A (ko) 실시간 수하물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
JP7409275B2 (ja) 情報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30048705A (ko) 관광객 수하물 보관운반 서비스 시스템
Tenzer TELAVIV UNIVERS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