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1322B1 - Iata기준을 준수하는 수하물운송네트워크 서버구축을통한 편리한 항공여행서비스와 수하물태그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Iata기준을 준수하는 수하물운송네트워크 서버구축을통한 편리한 항공여행서비스와 수하물태그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1322B1
KR102451322B1 KR1020220002161A KR20220002161A KR102451322B1 KR 102451322 B1 KR102451322 B1 KR 102451322B1 KR 1020220002161 A KR1020220002161 A KR 1020220002161A KR 20220002161 A KR20220002161 A KR 20220002161A KR 102451322 B1 KR102451322 B1 KR 102451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gage
destination
information
damag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2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트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트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트립
Priority to KR1020220002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13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06Q50/3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객에게 수하물 배달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고객에게 수하물 배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플랫폼을 운용하는 서버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IATA 태그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하물 배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IATA 기준을 준수하는 수하물운송네트워크 서버구축을 통한 편리한 항공여행서비스와 수하물태그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IATA기준을 준수하는 수하물운송네트워크 서버구축을 통한 편리한 항공여행서비스와 수하물태그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venient air travel services and baggage tag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baggage transport network server that complies with IATA standards}
본 발명은 고객에게 수하물 배달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고객에게 수하물 배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플랫폼을 운용하는 서버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IATA 태그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하물 배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IATA 기준을 준수하는 수하물운송네트워크 서버구축을 통한 편리한 항공여행서비스와 수하물태그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비행기나 기차를 이용하여 여행을 하는 여행객들에게 수하물을 직접 운반하는 일은, 수하물의 크기나 무게를 고려하면 여행객의 여행에 큰 불편함을 주고 있다. 예를 들면, 여행객들은 공항에 도착해서 수하물을 찾은 이후부터 여행지에서 묶을 숙소까지 수하물을 직접 운반하거나, 여행을 마치고 공항에 돌아갈 때에도 무거운 수하물을 직접 운반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여행, 해외출장 등을 위해 국가 간 입국/출국을 하는 고객은, 가지고 있는 수하물로 인해 입국/출국 후 이동에 제한이 있는 경우가 많다. 임시로 공항이나 특정 위탁 장소에 수하물을 보관하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지만, 수하물을 맡긴 고객은 결국 해당 위탁 장소로 다시 복귀하여 수하물을 회수해야 하므로 근원적인 해결책으로는 부족한 면이 있다. 스마트 플랫폼의 발달에 따라, 수하물로 인해 입국/출국 후 이동에 제한이 있는 고객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10-1999-0042183호 (1999.06.15) 국내공개특허 제10-2018-0099648호 (2018.09.05) 국내공개특허 제10-2006-0093364호 (2006.08.25)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고객에게 수하물 배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공항 이외의 장소에서 수하물을 맡기는 과정을 위한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가 고객에게 수하물(luggage) 배달(delivery)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고객의 수하물 배달과 관련된 수하물 위탁 장소에 대한 정보, 수하물 배달 목적지에 대한 정보 및 수하물 배달 긴급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수하물 위탁 장소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수하물 배달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수하물 배달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이 상기 수하물 위탁 장소에 도착할 것으로 예상되는 위탁 장소 도착 예상 시각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이 상기 수하물 배달 목적지 주변의 위탁 장소에 도착할 것으로 예상되는 목적지 도착 예상 시각을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위탁 장소 도착 예상 시각 및 상기 목적지 도착 예상 시각을 상기 고객의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수하물 위탁 장소는, 국제 공항을 통해 입국한 고객이 숙소로 수하물을 운송하기 위해 이용하는 국제 공항 내 위탁 장소 또는 상기 국제 공항을 통해 출국하고자 하는 고객이 상기 국제 공항으로 상기 수하물을 운송하기 위해 이용하는 국제 공항 외 위탁 장소이고, 상기 수하물 배달 목적지는, 상기 국제 공항을 통해 입국한 상기 고객이 상기 수하물을 운송하는 목적지인 상기 숙소 또는 상기 국제 공항을 통해 출국하고자 하는 고객이 상기 수하물을 운송하는 목적지인 상기 국제 공항이고, 상기 수하물 배달을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의 타입(type)은, 육상 운송 수단 타입, 해상 운송 수단 타입 및 항공 운송 수단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은, 상기 서버와 관련된 복수의 위탁 장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위탁 장소에서 정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하물 배달 긴급도 정보가 상기 수하물 배달이 긴급함을 지시하는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은, 기 정의된 임계 시간 내에 상기 수하물 위탁 장소에서 상기 수하물을 싣고 출발하는 것이 가능한 운송 수단들 중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으로 결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을 결정함에 있어서, 기 정의된 각 운송 수단의 수화물 배달 가능 영역은 고려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하물 배달 긴급도 정보가 상기 수하물 배달이 긴급하지 않음을 지시하는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은, 기 정의된 수화물 배달 가능 영역이 상기 수화물 배달 목적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하물 위탁 장소와 상기 수하물 배달 목적지가 육로 상 연결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의 타입은 상기 육상 운송 수단 타입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하물 위탁 장소와 상기 수하물 배달 목적지가 육로 상 연결되지 않은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은, 상기 해상 운송 수단 타입의 운송 수단 또는 상기 항공 운송 수단 타입의 운송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하물 위탁 장소가 상기 국제 공항 내 위탁 장소이고, 상기 수하물 배달 목적지가 상기 숙소인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은 상기 복수의 위탁 장소들 중 상기 숙소에서 가장 가까운 위탁 장소에서 정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방법은, 상기 수하물 위탁 장소가 상기 국제 공항 외 위탁 장소이고, 상기 수하물 배달 목적지가 상기 국제 공항인 경우, 상기 수하물의 부피가 기 정의된 임계 부피를 초과하거나 상기 수하물의 무게가 기 정의된 임계 무게를 초과하는 것을 기반으로, 상기 수하물을 기내 반입이 불가한 수하물로 분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하물 배달 긴급도 정보가 상기 수하물 배달이 긴급함을 지시하는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은, 기 정의된 임계 시간 내에 상기 수하물 위탁 장소에서 상기 수하물을 싣고 출발하는 것이 가능한 운송 수단들 중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으로 결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을 결정함에 있어서, 기 정의된 각 운송 수단의 수화물 배달 가능 영역은 고려되지 않으며, 상기 수하물 배달 긴급도 정보가 상기 수하물 배달이 긴급하지 않음을 지시하는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은, 기 정의된 수화물 배달 가능 영역이 상기 수화물 배달 목적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으로 결정되고, 상기 수하물 위탁 장소와 상기 수하물 배달 목적지가 육로 상 연결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의 타입은 상기 육상 운송 수단 타입으로 결정되고, 상기 수하물 위탁 장소와 상기 수하물 배달 목적지가 육로 상 연결되지 않은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은, 상기 해상 운송 수단 타입의 운송 수단 또는 상기 항공 운송 수단 타입의 운송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수하물 위탁 장소가 상기 국제 공항 내 위탁 장소이고, 상기 수하물 배달 목적지가 상기 숙소인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은 상기 복수의 위탁 장소들 중 상기 숙소에서 가장 가까운 위탁 장소에서 정차하고, 상기 수하물 위탁 장소가 상기 국제 공항 외 위탁 장소이고, 상기 수하물 배달 목적지가 상기 국제 공항인 경우, 상기 수하물의 부피가 기 정의된 임계 부피를 초과하거나 상기 수하물의 무게가 기 정의된 임계 무게를 초과하는 것을 기반으로, 상기 수하물은 기내 반입이 불가한 수하물로 분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객에게 수하물 배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가 제공된다. 상기 서버는, 송수신부(transceiver) 및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고객의 수하물 배달과 관련된 수하물 위탁 장소에 대한 정보, 수하물 배달 목적지에 대한 정보 및 수하물 배달 긴급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수하물 위탁 장소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수하물 배달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수하물 배달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을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이 상기 수하물 위탁 장소에 도착할 것으로 예상되는 위탁 장소 도착 예상 시각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이 상기 수하물 배달 목적지 주변의 위탁 장소에 도착할 것으로 예상되는 목적지 도착 예상 시각을 추정하고, 상기 위탁 장소 도착 예상 시각 및 상기 목적지 도착 예상 시각을 상기 고객의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되, 상기 수하물 위탁 장소는, 국제 공항을 통해 입국한 고객이 숙소로 수하물을 운송하기 위해 이용하는 국제 공항 내 위탁 장소 또는 상기 국제 공항을 통해 출국하고자 하는 고객이 상기 국제 공항으로 상기 수하물을 운송하기 위해 이용하는 국제 공항 외 위탁 장소이고, 상기 수하물 배달 목적지는, 상기 국제 공항을 통해 입국한 상기 고객이 상기 수하물을 운송하는 목적지인 상기 숙소 또는 상기 국제 공항을 통해 출국하고자 하는 고객이 상기 수하물을 운송하는 목적지인 상기 국제 공항이고, 상기 수하물 배달을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의 타입(type)은, 육상 운송 수단 타입, 해상 운송 수단 타입 및 항공 운송 수단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은, 상기 서버와 관련된 복수의 위탁 장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위탁 장소에서 정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버는 고객에게 수하물 배달 서비스를 제공하여 고객 편의가 증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상기 기재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기재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또한 다른 측면들과, 특징들 및 이득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처리되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a는 사용자 디바이스, 서버 및 외부 서버 간의 통신 구조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도 1b 내지 도 1d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배달하는 서비스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e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접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사용자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수하물 배달 긴급도 정보에 따라 운송 수단을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수하물 위탁 장소와 수하물 배달 목적지가 육로 상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운송 수단을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a은 사용자 디바이스, 서버 및 외부 서버 간의 통신 구조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서버” 또는 “외부 서버”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들 또는 (자신 이외의) 외부 서버들과 통신하는 서버(server)의 일종으로서, 외부 장치들 또는 외부 서버들을 운용하기 위한 서버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서버는,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 윈도우, 리눅스, 유닉스, 매킨토시 등의 운영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서버(110)는, 고객에게 수하물 배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수하물 배달 서비스라 함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태그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하물 배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에 상응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b 내지 도 1d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배달하는 서비스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1단계 (인바운드 국내)
- 인천공항청사 청사 1층 SAFEX공항전용데스크(이하, SAFEX부스) 설치
- SAFEX 운영 및 서비스 제공 ⇒ SAFEX App/Web(이하, SAFEX시스템) 및 배송팀 활용
- 고객 이용 방식
① 고객 SAFEX시스템 사전예약
② 입국 (입국게이트 통과 후 SAFEX부스에서 짐 위탁 (기존 SAFEX 운용 방식 ⇒ 다만, 부스가 공항청사로서 고객접점이 가까워짐)
③ SAFEX배송팀(서울권) 및 전국 공항운송교통사업자가 짐 운송 후 목적 지점(숙소)에 인계 (출국 시는 2-1단계 아웃바운드 국내 동일) ⇒ SAFEX 수하물 태그 활용
[2] 2단계 (아웃바운드 국내)
가. 2-1단계: 오프라인 서비스 개시
- SAFEX부스 집하 (고객 셀프 또는 각 공항운송교통사업자)
- 고객 이용 방식
① 고객 SAFEX시스템 사전예약
② 전국 공항운송교통접점(예: 도심공항터미널, 공항리무진탑승장 등)에서 고객이 짐 위탁
③ SAFEX배송팀(서울권) 및 전국 공항운송교통사업자가 짐 운송 후 SAFEX부스에 인계 (입국 시는 1단계 인바운드 동일)
④ IATA(이아타: 국제항공운송협회) 수하물 전자태그 시스템(이하 IATA시스템)과의 수동 연결 후 스마트백드롭 시스템 이용 수하물 공항 인계
나. 2-2단계: 스마트 백 딜리버리 서비스 개시
- SAFEX 배송시스템과 IATA시스템과 API 연동
- 고객 이용 방식
① 2-1단계 동일 (단, SAFEX시스템 예약 시 항공사 관련 항목 추가)
② 2-1단계 동일
③ 2-1단계 동일
④ 실시간 자동발급 수하물태그(항공사 체크인 시스템과 동일) 부착 후 스마트백드롭 시스템 이용 수하물 공항 인계
[3] 3단계 (인,아웃바운드 현지)
- 해외 SAFEX 제휴사(수하물배송서비스 사업자) 연계 글로벌 서비스 제공(단, Smart Bag Delivery는 국내 한정)
- SAFEX 해외 제휴사 활용
이와 같은 절차들을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바운드」는 해외에서 한국으로 들어오는 경우를 나타내고, 「아웃바운드」는 한국에서 해외로 나가는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핸드폰, 스마트 TV, 스마트 워치, 전자 손목 시계, 셋톱박스(set-top box),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데스크탑,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착용형 기기(wearable device), 에어컨, 전자 레인지, 오디오, DVD 플레이어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서버(110), 사용자 디바이스(120) 및 외부 서버(130) 중 적어도 하나는, 통신망을 통해 상호 통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망은, 예를 들어 무선 통신망 또는 유선 통신망일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망은, 예를 들어 LTE (Long Term Evolution) RAT(Radio Access Technology), NR(New Radio) RAT, WiFi 등에 기반한 통신망일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서버(110), 사용자 디바이스(120) 및 외부 서버(130) 중 적어도 하나는, 상호 D2D(Device-to-Device)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기지국(예를 들어, gNB 및/또는 eNB)과 UU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D2D 통신 또는 상기 UU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s access) 시스템에서, 정확한 시간 및 주파수 동기화가 요구될 수 있다. 시간 및 주파수 동기화가 정확하게 되지 않으면, 심볼 간 간섭(Inter Symbol Interference, ISI) 및 반송파 간 간섭(Inter Carrier Interference, ICI)으로 인해 시스템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D2D 통신에서는 시간/주파수 동기화를 위해, 물리 계층에서는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를 사용할 수 있고, RLC(radio link control) 계층에서는 MIB(master information block)를 사용할 수 있다.
D2D 통신 과정에서, 상기 서버(110), 사용자 디바이스(120) 및 외부 서버(130) 중 적어도 하나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s)에 직접적으로 동기화 되거나, 또는 GNSS에 직접적으로 동기화된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의 또는 네트워크 커버리지 밖의) 단말을 통해 비간접적으로 GNSS에 동기화 될 수 있다. GNSS가 동기화 소스로 설정된 경우, 상기 서버(110), 사용자 디바이스(120) 및 외부 서버(130) 중 적어도 하나는 UTC(Coordinated Universal Time) 및 (미리) 설정된 DFN(Direct Frame Number) 오프셋을 사용하여 DFN 및 서브프레임 번호를 계산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서버(110), 사용자 디바이스(120) 및 외부 서버(130) 중 적어도 하나는 기지국에 직접 동기화되거나, 기지국에 시간/주파수 동기화된 다른 단말에게 동기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은 eNB 또는 gNB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버(110), 사용자 디바이스(120) 및 외부 서버(130) 중 적어도 하나가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에 있는 경우, 상기 서버(110), 사용자 디바이스(120) 및 외부 서버(130) 중 적어도 하나는 기지국이 제공하는 동기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에 직접 동기화될 수 있다. 그 후, 상기 서버(110), 사용자 디바이스(120) 및 외부 서버(130) 중 적어도 하나는 동기화 정보를 인접한 다른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기지국 타이밍이 동기화 기준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서버(110), 사용자 디바이스(120) 및 외부 서버(130) 중 적어도 하나는 동기화 및 하향링크 측정을 위해 해당 주파수에 연관된 셀(상기 주파수에서 셀 커버리지 내에 있는 경우), 프라이머리 셀 또는 서빙 셀(상기 주파수에서 셀 커버리지 바깥에 있는 경우)을 따를 수 있다.
기지국(예를 들어, 서빙 셀)은 D2D 또는 SL(sidelink) 통신에 사용되는 반송파에 대한 동기화 설정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서버(110), 사용자 디바이스(120) 및 외부 서버(13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동기화 설정을 따를 수 있다. 만약, 상기 서버(110), 사용자 디바이스(120) 및 외부 서버(130)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D2D 또는 SL 통신에 사용되는 반송파에서 어떤 셀도 검출하지 못했고, 서빙 셀로부터 동기화 설정도 수신하지 못했다면, 상기 서버(110), 사용자 디바이스(120) 및 외부 서버(130) 중 적어도 하나는 미리 설정된 동기화 설정을 따를 수 있다.
또는, 상기 서버(110), 사용자 디바이스(120) 및 외부 서버(130) 중 적어도 하나는 기지국이나 GNSS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동기화 정보를 획득하지 못한 다른 단말에게 동기화될 수도 있다. 동기화 소스 및 선호도는 단말에게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는, 동기화 소스 및 선호도는 기지국에 의하여 제공되는 제어 메시지를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110), 사용자 디바이스(120) 및 외부 서버(130) 중 적어도 하나는 네트워크(100)(또는 통신망)를 통해서 상호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20)가 네트워크(100)로 데이터를 전송하면, 네트워크(100)는 상기 서버(110)로 상기 데이터를 전달(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서버(110)가 상기 네트워크(100)로 데이터를 전송하면, 상기 네트워크(100)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20)로 상기 데이터를 전달(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버(110), 사용자 디바이스(120) 및 외부 서버(130)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네트워크(100)를 거치지 않고 상호 통신할 수 있음은, 상기 D2D 통신에 관한 설명에서 전술한 바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e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접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고객의 수하물이 위탁 장소(또는 '제1 지점'으로 호칭될 수 있다)에 접수되면 상기 고객의 수하물에 상응하는 수하물 태그가 발행되는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객의 수하물에 수하물 태그의 일 예시인 출력 태그가 부착되는 절차가 진행될 수 있으며, 상기 출력 태그의 일 예로는 IATA 공항 코드, RFID 태그, NFC 태그, ICAO 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ATA의 원말은 'International Air Transport Association'이며, 한국어로는 '국제항공운송협회'로 번역할 수 있다. ICAO의 원말은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이며, 한국어로는 '국제민간항공기구'로 번역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태그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하물 배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및/또는 절차, 서버, 시스템)은 공항 또는 이에 준하는 터미널에 마련되는 위탁 장소 뿐만 아니라, 민간 시설에 설치(또는 배치)되는 위탁 장소에서도 구현(및/또는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탁 장소는 특정 장소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이동 수단에 설치된 공간(또는 이동 부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태그가 발행되는 절차(예; 전자 태그가 발행되거나 출력 태그가 부착되는 절차)가 진행되기에 앞서 상기 고객의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 인증(또는 본인 인증 또는 권한 인증)이 전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하물 태그는 전자 태그 및/또는 출력 태그의 형태로 발행될 수 있으며, 상기 전자 태그는 고객의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실행(및/또는 구현)되는 본 발명의 IATA 태그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하물 배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출력 태그는 상기 고객의 수하물에 부착(및/또는 고정)되기 위한 출력된(및/또는 프린트된) 태그에 상응할 수 있다(이하 '출력 태그'라고 칭할 수 있다). 상기 출력 태그에는 상기 전자태그를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서 식별하기 위한 패턴 정보 및/또는 QR(Quick Response) 코드 등이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위탁 장소(또는 이에 상응하는 장소)에는 상기 출력 태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장치(및/또는 프린트하기 위한 프린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술한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 태그가 출력되면, 고객 또는 상기 위탁 장소의 직원이 상기 출력 태그를 상기 고객의 수하물에 부착(및/또는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고객 정보 및/또는 수하물 정보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20)를 통하여 수집하거나, 외부 서버(13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때 고객 정보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사용자, 즉 고객의 개인 정보(예; 이름, 나이, 성별 등), 그리고 상기 고객의 일정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객의 일정을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고객의 이동 수단을 나타내는 정보(예; 버스, 기차, 배, 크루즈, 비행기, 항공기 등), 상기 고객의 일정이 아웃바운드인지 또는 인바운드인지를 나타내는 정보, 상기 고객의 국내 목적지를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상기 고객의 해외 목적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하물 정보는 상기 고객의 수하물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객의 국내 목적지를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상기 고객의 해외 목적지를 나타내는 정보는 후술하는 수하물 배달 목적지에 대한 정보 및/또는 수하물 배달 긴급도 정보에 상응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상기 고객의 일정이 아웃바운드인 경우에 대하여, 고객의 수하물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 상기 고객의 국내 목적지를 나타내는 정보, 상기 고객의 해외 목적지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출력 태그를 발급할지 여부를 결정하거나 상기 출력 태그를 부착(및/또는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국내 목적지는 경유지에 상응하는 제1 국내 목적지와 공항 및/또는 터미널(예; 인천 공항, 김포 공항 등)에 상응하는 제2 국내 목적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해외 목적지는 해외 경유지에 상응하는 공항 및/또는 터미널(예; 두바이 공항, 뮌헨 공항 등)에 상응하는 제1 해외 목적지와 최종 목적지에 상응하는 공항 및/또는 터미널에 상응하는 제2 해외 목적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국내 목적지(즉, 제1 국내 목적지 및/또는 제2 국내 목적지), 해외 목적지(즉, 제1 해외 목적지 및/또는 제2 해외 목적지)를 경유한(또는 통과한) 수하물들의 손상 정도를 나타내는 손상 통계 정보를 외부 서버(130)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수하물들의 손상 정도를 나타내는 손상 통계 정보는 수하물이 손상(및/또는 파손)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 수하물이 손상된(및/또는 파손된) 횟수를 나타내는 정보, 수하물과 관련되는 컴플레인(불만접수)의 횟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손상 통계 정보는 제1 국내 목적지를 경유한(또는 통과한) 수하물들의 손상 정도를 나타내는 제1 손상 통계 정보, 제2 국내 목적지를 경유한(또는 통과한) 수하물들의 손상 정도를 나타내는 제2 손상 통계 정보, 제1 해외 목적지를 경유한(또는 통과한) 수하물들의 손상 정도를 나타내는 제3 손상 통계 정보, 및/또는 제2 해외 목적지를 경유한(또는 통과한) 수하물들의 손상 정도를 나타내는 제4 손상 통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손상 통계 정보는 제1 국내 목적지에 상응하는 외부 서버에 의해 수집된 정보이고, 제2 손상 통계 정보는 제2 국내 목적지에 상응하는 외부 서버에 의해 수집된 정보이고, 제3 손상 통계 정보는 제1 해외 목적지에 상응하는 외부 서버에 의해 수집된 정보이고, 제4 손상 통계 정보는 제2 해외 목적지에 상응하는 외부 서버에 의해 수집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국내 목적지(즉, 제1 국내 목적지 및/또는 제2 국내 목적지), 해외 목적지(즉, 제1 해외 목적지 및/또는 제2 해외 목적지)를 경유한(또는 통과한) 수하물들의 손상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가 소정의 임계치를 넘는 경우, 상기 출력 태그를 발급하지 않고 전자 태그를 발급할 것을 지시하는 명령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의 명령어는 상기 위탁 장소의 직원이 사용하는 직원 디바이스(및/또는 직원 단말)에 전달되거나 상기 직원 디바이스(및/또는 직원 단말)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직원 디바이스(및/또는 직원 단말)에서 전자 태그를 발급할 것을 지시하는 명령어가 표시되면 직원은 상기 직원 디바이스(및/또는 직원 단말)에서 실행되는 본 발명의 온라인 플랫폼을 통하여 고객의 수하물에 할당되는 전자 태그(즉, 수하물 태그)의 발급 및 고객의 사용자 디바이스로의 전자 태그 전달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전에 거주하는 고객이 광명역(KTX역, 기차역)을 거쳐 인천공항 제1 터미널에서 출국하여 두바이 공항에서 경유하고 스페인 바르셀로나 공항에 도착하는 일정이라면, 상기 고객의 일정은 '아웃 바운드'에 해당하고, 제1 국내 목적지는 '광명역(KTX역, 기차역)'에 해당하고, 제2 국내 목적지는 '인천공항 제1 터미널'에 해당하고, 제1 해외 목적지는 '두바이 공항'에 해당하고, 제2 해외 목적지는 '스페인 바르셀로나 공항'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국내 목적지(즉, 제1 국내 목적지 및/또는 제2 국내 목적지), 해외 목적지(즉, 제1 해외 목적지 및/또는 제2 해외 목적지)를 경유한(또는 통과한) 수하물들의 손상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가 소정의 임계치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출력 태그를 부착이 아닌 상기 수하물에 걸치는 형태로 제공할 것을 지시하는 명령어를 생성하고, 상기 수하물들의 손상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가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하물에 부착(및/또는 고정)하는 형태의 출력 태그를 출력할 것을 지시하는 명령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의 명령어는 상기 위탁 장소의 직원이 사용하는 직원 디바이스(및/또는 직원 단말)에 전달되거나 상기 직원 디바이스(및/또는 직원 단말)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직원 디바이스(및/또는 직원 단말)에서 전자 태그를 발급할 것을 지시하는 명령어가 표시되면 직원은 상기 직원 디바이스(및/또는 직원 단말)에서 실행되는 본 발명의 온라인 플랫폼을 통하여 고객의 수하물에 할당되는 전자 태그(즉, 수하물 태그)의 발급 및 고객의 사용자 디바이스로의 전자 태그 전달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SNS(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정보를 외부 서버(130)로부터 수집할 수 있으며, SNS 정보에 포함된 게시글 정보로부터 특정 키워드에 상응하는 관찰 대상 게시글들을 추출할 수 있다. 이때 게시글 정보 및/또는 관찰 대상 게시글들은 텍스트 정보,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110)는 '해외 여행', '캐리어'를 상기 특정 키워드로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해외 여행' 및 '캐리어' 모두에 상응하는 관찰 대상 게시글들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손상', '파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손상 키워드를 설정하고, 상기 관찰 대상 게시글들 중에서 손상 키워드에 상응하는 손상 관련 게시글들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관찰 대상 게시글들 대비 손상 관련 게시글들의 비율을 토대로 제5 손상 통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버(110)는 제1 손상 정보 및 제2 손상 정도를 고려하여 판단 점수를 산출할 수 있으며, 상기 판단 점수가 소정의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하물에 부착(및/또는 고정)하는 형태의 출력 태그를 출력할 것을 지시하는 명령어를 생성하여 상기 위탁 장소의 직원이 사용하는 직원 디바이스(및/또는 직원 단말)에 전달되거나 상기 직원 디바이스(및/또는 직원 단말)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버(110)는 제5 손상 통계 정보를 고려하여 판단 점수를 산출할 수 있으며, 상기 판단 점수가 소정의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하물에 부착(및/또는 고정)하는 형태의 출력 태그를 출력할 것을 지시하는 명령어를 생성하여 상기 위탁 장소의 직원이 사용하는 직원 디바이스(및/또는 직원 단말)에 전달되거나 상기 직원 디바이스(및/또는 직원 단말)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버(110)는 제1 손상 통계 정보, 제2 손상 통계 정보, 제3 손상 통계 정보, 제4 손상 통계 정보, 제5 손상 통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고려하여 판단 점수를 산출할 수 있으며, 상기 판단 점수가 소정의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하물에 부착(및/또는 고정)하는 형태의 출력 태그를 출력할 것을 지시하는 명령어를 생성하여 상기 위탁 장소의 직원이 사용하는 직원 디바이스(및/또는 직원 단말)에 전달되거나 상기 직원 디바이스(및/또는 직원 단말)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아래와 같은 수학식을 이용하여 상기 판단 점수(jud_score, judgment score)를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Figure 112022001917758-pat00001
Statistic_1은 제1 손상 통계 정보를 나타내고, Statistic_2는 제2 손상 통계 정보를 나타내고, Statistic_3은 제3 손상 통계 정보를 나타내고, Statistic_4는 제4 손상 통계 정보를 나타내고, Statistic_5는 제5 손상 통계 정보를 나타내고, days는 고객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고객이 수하물을 갖고 이동하는 일정 전체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고객이 수하물을 갖고 자택에서 출발하여 해외 목적지에 도착하는 일정이 3일로 예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days는 '3'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의 일정에 제1 국내 목적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즉 국내 경유지가 없는 경우에는 Statistic_1은 '0'으로 설정되고, 고객의 일정에 제1 해외 목적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즉 해외 경유지가 없는 경우에는 Statistic_3은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N은 상기 고객의 일정에 제2 국내 목적지와 제2 해외 목적지만 존재하는 경우에는 '2'로 설정되고, 제2 국내 목적지와 제2 해외 목적지, 그리고 제1 국내 목적지 또는 제1 해외 목적지가 존재하는 경우 '3'으로 설정되고, 제1/제2 국내 목적지와 제1/제2 해외 목적지 모두 존재하는 경우 '4'로 설정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7에 대한 설명에서는, 상기 서버(110), 사용자 디바이스(120) 및 외부 서버(130) 중 적어도 하나 간의 통신을 기반으로, 상기 서버(110)가 고객에게 수하물 배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검토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의 흐름도에 개시된 동작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과 결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도 2에서 설명되는 서버는, 도 1a에 개시된 서버(110), 도 3에 개시된 서버(301), 도 4 및 도 5의 동작 주체인 서버 또는 도 7에 개시된 서버(700)와 대응될 수 있다. 다른 일 예시에서, 도 2에서 설명되는 사용자 디바이스는, 도 1a에 개시된 사용자 디바이스(120) 또는 도 3에 개시된 사용자 디바이스(302)와 대응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도 2의 흐름도에 개시된 동작들은, 도 1a 내지 도 7에 개시된 (서버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동작들 중 일부와 대응될 수 있다.
단계 S21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고객의 수하물 배달과 관련된 수하물 위탁 장소에 대한 정보, 수하물 배달 목적지에 대한 정보 및 수하물 배달 긴급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객의 수하물 배달과 관련된 수하물 위탁 장소에 대한 정보, 수하물 배달 목적지에 대한 정보 및 수하물 배달 긴급도 정보는, 사용자(즉, 고객)에 의해 사용자 디바이스에 입력될 수 있고, 서버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수하물 위탁 장소에 대한 정보, 수하물 배달 목적지에 대한 정보 및 수하물 배달 긴급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고객의 수하물 배달과 관련된 수하물 위탁 장소에 대한 정보, 수하물 배달 목적지에 대한 정보 및 수하물 배달 긴급도 정보는, 사용자(고객)에 의해 수기(by hand) 또는 구두(by talk, verbally)로 상기 서버와 관련된 사업을 위해 종사하는 종업원에게 전달될 수 있고, 상기 종업원에 의해 상기 서버에 입력될 수 있다.
단계 S22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상기 수하물 위탁 장소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수하물 배달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수하물 배달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의 수는, 1개, 2개, 3개 또는 4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은, 하나의 운송 수단으로 결정되는 빈도가 가장 많을 수 있다.
단계 S23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이 상기 수하물 위탁 장소에 도착할 것으로 예상되는 위탁 장소 도착 예상 시각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이 상기 수하물 배달 목적지 주변의 위탁 장소에 도착할 것으로 예상되는 목적지 도착 예상 시각을 추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복수의 운송 수단들은 각자의 수하물 배달 스케줄에 따라 운행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수하물 배달을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을 결정(또는 채택)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의 수하물 배달 스케줄을 변경할 수 있다. 이때, 변경 전 기존의 수하물 배달 스케줄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이 상기 수하물 위탁 장소에 도착할 것으로 예상되는 위탁 장소 도착 예상 시각을 추정할 수 있고, 신규로 수하물 배달 스케줄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상기 변경 전 기존의 수하물 배달 스케줄 및 상기 신규 수하물 배달 스케줄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이 상기 수하물 배달 목적지 주변의 위탁 장소에 도착할 것으로 예상되는 목적지 도착 예상 시각을 추정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위탁 장소 도착 예상 시각 및 상기 목적지 도착 예상 시각을 추정함에 있어서, 외부 디바이스(예를 들어, 서버, GNSS 등)로부터 수신된 GPS(Geographical Positioning System) 정보, 외부 디바이스(예를 들어, 서버, 외부 차량 단말, 외부 단말 등)로부터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 차량 메시지(예를 들어, BSM(Basic Safety Message) 메시지)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단계 S24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상기 위탁 장소 도착 예상 시각 및 상기 목적지 도착 예상 시각을 상기 고객의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는 셀룰러 네트워크(예를 들어, LTE, LTE-A, NR 또는 6G 기반의 통신)에 기반한 통신을 통해서 상기 위탁 장소 도착 예상 시각 및 상기 목적지 도착 예상 시각을 상기 고객의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는 근거리 네트워크(예를 들어, Wi-Fi, 블루투스, 이더넷 등)에 기반한 통신을 통해서 상기 위탁 장소 도착 예상 시각 및 상기 목적지 도착 예상 시각을 상기 고객의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서버는 애플리케이션(APP, application) 또는 웹(web) 기반으로 고객에게 수하물 배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하물 위탁 장소는, 국제 공항을 통해 입국한 고객이 숙소로 수하물을 운송하기 위해 이용하는 국제 공항 내 위탁 장소 또는 상기 국제 공항을 통해 출국하고자 하는 고객이 상기 국제 공항으로 상기 수하물을 운송하기 위해 이용하는 국제 공항 외 위탁 장소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하물 배달 목적지는, 상기 국제 공항을 통해 입국한 상기 고객이 상기 수하물을 운송하는 목적지인 상기 숙소 또는 상기 국제 공항을 통해 출국하고자 하는 고객이 상기 수하물을 운송하는 목적지인 상기 국제 공항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하물 배달을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의 타입(type)은, 육상 운송 수단 타입, 해상 운송 수단 타입 및 항공 운송 수단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육상 운송 수단 타입은, 승용차, 버스, 오토바이, 전동 자전거, 전동 킥보드(또는 '퀵보드'라고 칭할 수 있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해상 운송 수단 타입은, 배, 수상 스키, 수상 보트, 유람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항공 운송 수단 타입은, 비행기, 헬리콥터, 전투기, 전용 비행기, 드론, 비행 차량, 항공 택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은, 상기 서버와 관련된 복수의 위탁 장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위탁 장소에서 정차할 수 있다. 즉,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은, 상기 서버와 관련된 사업에서 관리하는 복수의 (수하물) 위탁 장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수하물) 위탁 장소(또는 정거장)에서 정차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복수의 위탁 장소들은, 예를 들어 전국 공항운송교통접점 (예를 들어, 도심공항터미널, 공항리무진탑승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하물 배달 긴급도 정보가 상기 수하물 배달이 긴급함을 지시하는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은, 기 정의된 임계 시간 내에 상기 수하물 위탁 장소에서 상기 수하물을 싣고 출발하는 것이 가능한 운송 수단들 중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으로 결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을 결정함에 있어서, 기 정의된 각 운송 수단의 수화물 배달 가능 영역은 고려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 정의된 임계 시간은, 긴급 출발로 간주되는 임계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기 정의된 임계 시간은, 15분, 30분, 1시간, 2시간 또는 4시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복수의 운송 수단들 각각에 대하여 수화물 배달 가능 영역이 사전에 정의되거나,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수화물 배달 가능 영역이 (주기적으로 또는 특정 시간에) 결정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A 운송 수단은 서울특별시 동작구가 수화물 배달 가능 영역일 수 있고, B 운송 수단은 대구광역시가 수화물 배달 가능 영역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하물 배달 긴급도 정보가 상기 수하물 배달이 긴급하지 않음을 지시하는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은, 기 정의된 수화물 배달 가능 영역이 상기 수화물 배달 목적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으로 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수하물 배달이 긴급하지 않음을 상기 고객에 의해 확인 받은 경우, 각 운송 수단들의 출발 시간보다 수화물 배달 가능 영역에 우선 순위를 부과하여 상기 수화물 배달을 위한 운송 수단을 할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하물 위탁 장소와 상기 수하물 배달 목적지가 육로 상 연결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의 타입은 상기 육상 운송 수단 타입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하물 위탁 장소(예를 들어, 인천국제공항)와 상기 수하물 배달 목적지(예를 들어, 대구광역시)가 육로 상 연결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은 육상 운송 수단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하물 위탁 장소와 상기 수하물 배달 목적지가 육로 상 연결되지 않은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은, 상기 해상 운송 수단 타입의 운송 수단 또는 상기 항공 운송 수단 타입의 운송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하물 위탁 장소(예를 들어, 인천국제공항)와 상기 수하물 배달 목적지(예를 들어, 제주도)가 육로 상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은 육상 운송 수단과 해상 운송 수단으로 구성되거나, 육상 운송 수단과 항공 운송 수단으로 구성되거나, 항공 운송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하물 위탁 장소가 상기 국제 공항 내 위탁 장소이고, 상기 수하물 배달 목적지가 상기 숙소인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은 상기 복수의 위탁 장소들 중 상기 숙소에서 가장 가까운 위탁 장소에서 정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방법은, 상기 수하물 위탁 장소가 상기 국제 공항 외 위탁 장소이고, 상기 수하물 배달 목적지가 상기 국제 공항인 경우, 상기 수하물의 부피가 기 정의된 임계 부피를 초과하거나 상기 수하물의 무게가 기 정의된 임계 무게를 초과하는 것을 기반으로, 상기 수하물을 기내 반입이 불가한 수하물로 분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수하물 위탁 장소가 상기 국제 공항 외 위탁 장소이고, 상기 수하물 배달 목적지가 상기 국제 공항인 경우, 상기 수하물의 부피가 기 정의된 임계 부피를 초과하거나 상기 수하물의 무게가 기 정의된 임계 무게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수하물에 대한 출국 절차 시 상기 수하물이 기내에 반입되지 않도록 상기 수하물을 기내 반입이 불가한 수하물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분류는, 예를 들어 상기 서버의 배송 시스템과 국제항공운송협회의 수하물 전자태그 시스템 간의 연동 시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버의 배송 시스템과 국제항공운송협회의 수하물 전자태그 시스템은 API 연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하물이 배달 목적지인 국제 공항에 도착한 경우, 실시간 자동발급 수하물태그(항공사 체크인 시스템과 동일)가 부착될 수 있고, 스마트백드롭 시스템을 기반으로 수하물이 국제 공항에 인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하물 배달 긴급도 정보가 상기 수하물 배달이 긴급함을 지시하는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은, 기 정의된 임계 시간 내에 상기 수하물 위탁 장소에서 상기 수하물을 싣고 출발하는 것이 가능한 운송 수단들 중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으로 결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을 결정함에 있어서, 기 정의된 각 운송 수단의 수화물 배달 가능 영역은 고려되지 않으며, 상기 수하물 배달 긴급도 정보가 상기 수하물 배달이 긴급하지 않음을 지시하는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은, 기 정의된 수화물 배달 가능 영역이 상기 수화물 배달 목적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으로 결정되고, 상기 수하물 위탁 장소와 상기 수하물 배달 목적지가 육로 상 연결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의 타입은 상기 육상 운송 수단 타입으로 결정되고, 상기 수하물 위탁 장소와 상기 수하물 배달 목적지가 육로 상 연결되지 않은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은, 상기 해상 운송 수단 타입의 운송 수단 또는 상기 항공 운송 수단 타입의 운송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수하물 위탁 장소가 상기 국제 공항 내 위탁 장소이고, 상기 수하물 배달 목적지가 상기 숙소인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은 상기 복수의 위탁 장소들 중 상기 숙소에서 가장 가까운 위탁 장소에서 정차하고, 상기 수하물 위탁 장소가 상기 국제 공항 외 위탁 장소이고, 상기 수하물 배달 목적지가 상기 국제 공항인 경우, 상기 수하물의 부피가 기 정의된 임계 부피를 초과하거나 상기 수하물의 무게가 기 정의된 임계 무게를 초과하는 것을 기반으로, 상기 수하물은 기내 반입이 불가한 수하물로 분류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사용자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이하의 S310 내지 S340은, 도 2에서 전술된 S210 내지 S240과 각각 대응될 수 있다.
단계 S31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301)는, 고객의 수하물 배달과 관련된 수하물 위탁 장소에 대한 정보, 수하물 배달 목적지에 대한 정보 및 수하물 배달 긴급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32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301)는, 상기 수하물 위탁 장소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수하물 배달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수하물 배달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33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30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이 상기 수하물 위탁 장소에 도착할 것으로 예상되는 위탁 장소 도착 예상 시각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이 상기 수하물 배달 목적지 주변의 위탁 장소에 도착할 것으로 예상되는 목적지 도착 예상 시각을 추정할 수 있다.
단계 S34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301)는, 상기 위탁 장소 도착 예상 시각 및 상기 목적지 도착 예상 시각을 상기 고객의 사용자 디바이스(302)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수하물 배달 긴급도 정보에 따라 운송 수단을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이하의 S410은 도 2에서 전술된 S210과 대응되고, S420 내지 S470은 도 2에서 전술된 S220을 구체화하는 내용일 수 있다.
단계 S41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고객의 수하물 배달 긴급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42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수하물 배달 긴급도 정보가 수하물 배달이 긴급함을 지시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수하물 배달 긴급도 정보가 수하물 배달이 긴급함을 지시하는 경우, 단계 S430에서,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을, 기 정의된 각 운송 수단의 수화물 배달 가능 영역은 고려하지 않으면서, 기 정의된 임계 시간 내에 상기 수하물 위탁 장소에서 상기 수하물을 싣고 출발하는 것이 가능한 운송 수단들 중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으로 결정할 수 있다.
수하물 배달 긴급도 정보가 수하물 배달이 긴급함을 지시하지 않는 경우, 단계 S440에서,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을, 기 정의된 수화물 배달 가능 영역이 수화물 배달 목적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수하물 위탁 장소와 수하물 배달 목적지가 육로 상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운송 수단을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이하의 S510 내지 S530은 도 2에서 전술된 S220을 구체화하는 내용일 수 있다.
단계 S51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수하물 위탁 장소와 수하물 배달 목적지가 육로 상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수하물 위탁 장소와 수하물 배달 목적지가 육로 상 연결된 경우, 단계 S520에서,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의 타입을 육상 운송 수단 타입으로 결정할 수 있다.
수하물 위탁 장소와 수하물 배달 목적지가 육로 상 연결되지 않은 경우, 단계 S530에서,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이, 해상 운송 수단 타입의 운송 수단 또는 항공 운송 수단 타입의 운송 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사용자 디바이스(12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를 참조하면, 사용자(고객)는 자신의 수하물 배달과 관련된 수하물 위탁 장소에 대한 정보(610), 수하물 배달 목적지에 대한 정보(620) 및 수하물 배달 긴급도 정보(630)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고객)는 자신의 수하물 배달과 관련된 수하물 위탁 장소가 국제공항 내 위탁 장소이고, 구체적 위탁 장소가 A5임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고객)는, 수하물 배달 목적지가 숙소임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고객)이 숙소의 구체적 주소를 입력하면, 상기 숙소에서 가장 가까운 위탁 장소(또는 운송 수단의 정거장)가 결정(또는 할당)될 수 있다 (도 6의 예시에서, H9). 또한 사용자(고객)는, 수하물 배달의 긴급도가 긴급인지 또는 보통인지 여부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20)가 사용자(고객)로부터 입력 받은 위 정보들을 서버로 전달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수하물 배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700)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710), 송수신부(720) 및 프로세서(7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도 7에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서버(700)의 필수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고, 서버(700)는 도 7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700)에서 데이터베이스(710), 송수신부(720) 및 프로세서(730)는 각각 별도의 칩(chip)으로 구현되거나, 적어도 둘 이상의 구성 요소가 하나의 칩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DB, 710)는 송수신부(720) 또는 프로세서(730)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7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프로세서(730)가 학습 모델을 실행할 때 이용될 수 있다.
송수신부(72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송수신부(720)는 외부 장치(예를 들어, 외부 사용자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730)는 서버(7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프로세서(730)는 서버(700)의 데이터베이스(71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710) 및 송수신부(72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프로세서(730)는 서버(700)의 데이터베이스(71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도 1a 내지 도 6에서 전술된 서버(700)의 동작들의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730)는, 고객의 수하물 배달과 관련된 수하물 위탁 장소에 대한 정보, 수하물 배달 목적지에 대한 정보 및 수하물 배달 긴급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730)는, 상기 수하물 위탁 장소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수하물 배달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수하물 배달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73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이 상기 수하물 위탁 장소에 도착할 것으로 예상되는 위탁 장소 도착 예상 시각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이 상기 수하물 배달 목적지 주변의 위탁 장소에 도착할 것으로 예상되는 목적지 도착 예상 시각을 추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730)는, 상기 위탁 장소 도착 예상 시각 및 상기 목적지 도착 예상 시각을 상기 고객의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72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하물 위탁 장소는, 국제 공항을 통해 입국한 고객이 숙소로 수하물을 운송하기 위해 이용하는 국제 공항 내 위탁 장소 또는 상기 국제 공항을 통해 출국하고자 하는 고객이 상기 국제 공항으로 상기 수하물을 운송하기 위해 이용하는 국제 공항 외 위탁 장소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하물 배달 목적지는, 상기 국제 공항을 통해 입국한 상기 고객이 상기 수하물을 운송하는 목적지인 상기 숙소 또는 상기 국제 공항을 통해 출국하고자 하는 고객이 상기 수하물을 운송하는 목적지인 상기 국제 공항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하물 배달을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의 타입(type)은, 육상 운송 수단 타입, 해상 운송 수단 타입 및 항공 운송 수단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은, 상기 서버와 관련된 복수의 위탁 장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위탁 장소에서 정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예는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는 일부분들이 서로 조합되어 본 발명의 시스템, 서버 및/또는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 서버 및/또는 사용자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특정 관점에서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에서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computer readable code)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리드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이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의 예들은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와, 랜덤-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와, 컴팩트 디스크- 리드 온니 메모리(compact disk-read only memory: CD-ROM)들과, 마그네틱 테이프(magnetic tape)들과,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들과, 광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들, 및 캐리어 웨이브(carrier wave)들(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송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또한 네트워크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을 통해 분산될 수 있고, 따라서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는 분산 방식으로 저장 및 실행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성취하기 위한 기능적 프로그램들,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서 숙련된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쉽게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k: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이러한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송수신부(transceiver); 및 프로세서(processor); 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고객의 개인 정보, 일정 정보 및 수하물 정보를 상기 고객의 제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수하물 태그를 전자 태그(electronic tag)의 형태로 발행할지 또는 출력 태그(print tag)의 형태로 발행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수하물 태그를 전자 태그(electronic tag)의 형태로 발행할지 또는 출력 태그(print tag)의 형태로 발행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하물 위탁 직원의 제2 디바이스에게 전달하고,
    상기 일정 정보는 상기 고객의 일정이 아웃바운드(outbound)인지 또는 인바운드(inbound)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고객의 국내 목적지 및 해외 목적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국내 목적지는 국내 경유지에 상응하는 제1 국내 목적지와 공항 또는 터미널에 상응하는 제2 국내 목적지를 포함하고, 상기 해외 목적지는 해외 경유지에 상응하는 공항 또는 터미널에 상응하는 제1 해외 목적지와 최종 목적지에 상응하는 공항 또는 터미널에 상응하는 제2 해외 목적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국내 목적지, 상기 제2 국내 목적지, 상기 제1 해외 목적지 및 상기 제2 해외 목적지를 경유한 수하물들의 손상된 횟수, 파손된 횟수 및 컴플레인 횟수를 나타내는 손상 통계 정보를 외부서버로부터 수집하되,
    상기 손상 통계 정보는, 상기 제1 국내 목적지에 상응하는 제1 손상 통계 정보, 상기 제2 국내 목적지에 상응하는 제2 손상 통계 정보, 상기 제1 해외 목적지에 상응하는 제3 손상 통계 정보 및 상기 제2 해외 목적지에 상응하는 제4 손상 통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SNS(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정보를 상기 외부서버로부터 수집하고,
    상기 SNS 정보로부터 '해외 여행', '캐리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응하는 특정 키워드를 포함하는 관찰 대상 게시글들을 추출하고,
    상기 관찰 대상 게시글들 중에서 '손상', '파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응하는 손상 키워드를 포함하는 손상 관련 게시글들을 추출하고,
    상기 관찰 대상 게시글들 대비 상기 손상 관련 게시글들의 비율을 토대로 제5 손상 통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아래의 수학식에 기반하여 산출되는 판단 점수(jud_score)가 소정의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수하물 태그를 상기 전자 태그의 형태로 발행할 것을 지시하는 명령어를 생성하여 상기 수하물 위탁 직원의 제2 디바이스에게 전달하되,
    상기 판단 점수가 상기 소정의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수하물 태그를 상기 출력 태그의 형태로 발행할 것을 지시하는 명령어를 생성하여 상기 수하물 위탁 직원의 제2 디바이스에게 전달하고,
    [수학식]
    Figure 112022072502217-pat00013

    Statistic1은 상기 제1 손상 통계 정보, Statistic2는 상기 제2 손상 통계 정보, Statistic3은 상기 제3 손상 통계 정보, Statistic4는 상기 제4 손상 통계 정보, Statistic5는 상기 제5 손상 통계 정보를 나타내고, days는 상기 일정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고객이 수하물을 갖고 이동하는 일정 전체 시간을 나타내고,
    N은 상기 일정 정보에, 제2 국내 목적지와 제2 해외 목적지만 존재하는 경우에는 '2'로 설정되고, 제2 국내 목적지와 제2 해외 목적지, 그리고 제1 국내 목적지 또는 제1 해외 목적지가 존재하는 경우 '3'으로 설정되고, 제1 국내 목적지, 제2 국내 목적지, 제1 해외 목적지 및 제2 해외 목적지 모두 존재하는 경우 '4'로 설정되고,
    상기 일정 정보에, 제1 국내 목적지가 존재하지 않으면 Statistic1은 '0'으로 설정되고, 제1 해외 목적지가 존재하지 않으면 Statistic3은 '0'으로 설정되는,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002161A 2022-01-06 2022-01-06 Iata기준을 준수하는 수하물운송네트워크 서버구축을통한 편리한 항공여행서비스와 수하물태그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451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161A KR102451322B1 (ko) 2022-01-06 2022-01-06 Iata기준을 준수하는 수하물운송네트워크 서버구축을통한 편리한 항공여행서비스와 수하물태그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161A KR102451322B1 (ko) 2022-01-06 2022-01-06 Iata기준을 준수하는 수하물운송네트워크 서버구축을통한 편리한 항공여행서비스와 수하물태그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1322B1 true KR102451322B1 (ko) 2022-10-06

Family

ID=83597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2161A KR102451322B1 (ko) 2022-01-06 2022-01-06 Iata기준을 준수하는 수하물운송네트워크 서버구축을통한 편리한 항공여행서비스와 수하물태그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13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61024B1 (en) 2023-02-14 2024-04-16 Insight Direct Usa, Inc. Automated staffing allocation and scheduling
KR102668229B1 (ko) * 2023-08-04 2024-05-24 주식회사 굿럭컴퍼니 도어 투 도어 심리스 항공 수하물 배송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2183A (ko) 1997-11-25 1999-06-15 이세희 수하물 전표에 마그네틱 띠를 구성한 수하물 도난 방지방법
KR20060093364A (ko) 2005-02-21 2006-08-2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Rfid를 이용한 공항 수하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22201A (ko) * 2007-08-29 2009-03-04 황인혁 운송 및 운전서비스에 대한 보험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방법
KR20170095071A (ko) * 2016-02-12 2017-08-22 주식회사 트레드링스 운송 정보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80099648A (ko) 2015-11-06 2018-09-05 시스테마스 테크니코스 와이 몬타제스, 에스.엘. 통합형 승객 및 수하물 통제 시스템
KR20190115696A (ko) * 2018-04-03 2019-10-14 최은경 수화물 개인 택배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152891B1 (ko) * 2020-03-23 2020-09-07 주식회사 넥스엠앤이 수하물 보관 및 배송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JP2021168202A (ja) * 2018-07-20 2021-10-21 ヤフー株式会社 配送管理装置、配送管理方法および配送管理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2183A (ko) 1997-11-25 1999-06-15 이세희 수하물 전표에 마그네틱 띠를 구성한 수하물 도난 방지방법
KR20060093364A (ko) 2005-02-21 2006-08-2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Rfid를 이용한 공항 수하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22201A (ko) * 2007-08-29 2009-03-04 황인혁 운송 및 운전서비스에 대한 보험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방법
KR20180099648A (ko) 2015-11-06 2018-09-05 시스테마스 테크니코스 와이 몬타제스, 에스.엘. 통합형 승객 및 수하물 통제 시스템
KR20170095071A (ko) * 2016-02-12 2017-08-22 주식회사 트레드링스 운송 정보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90115696A (ko) * 2018-04-03 2019-10-14 최은경 수화물 개인 택배 서비스 제공 방법
JP2021168202A (ja) * 2018-07-20 2021-10-21 ヤフー株式会社 配送管理装置、配送管理方法および配送管理プログラム
KR102152891B1 (ko) * 2020-03-23 2020-09-07 주식회사 넥스엠앤이 수하물 보관 및 배송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61024B1 (en) 2023-02-14 2024-04-16 Insight Direct Usa, Inc. Automated staffing allocation and scheduling
KR102668229B1 (ko) * 2023-08-04 2024-05-24 주식회사 굿럭컴퍼니 도어 투 도어 심리스 항공 수하물 배송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71021B2 (en) Comprehensive flight planning tool for a mobile device
US9989370B2 (en) Real-time multimodal travel estimation and routing system
US9946556B2 (en) Multilingual information guidance system and device
US9024752B2 (en) Traveler hurry status monitor
EP2587221A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generating alternate itineraries
US20090276250A1 (en) Process and system to determine commercial airline arrivals
US11972372B2 (en) Unified travel interface
US20090187640A1 (en) In-flight information system
US20180276572A1 (en) Providing travel related content for transportation by multiple vehicles
US20150276410A1 (en) Journey planning method and system
CN101241612A (zh) 一种自助值机的方法及系统
CN107633328B (zh) 一种显示到达航班旅客出机场时间的方法及系统
US2012019751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ircraft taxi gate selection based on passenger connecting flight information
GB2511887A (en) Transportation board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US20180276578A1 (en) Providing travel related content to modify travel itineraries
US20180102056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Regional Diversion
WO2017138019A1 (en) City transit solution
US11869366B1 (en) Airline flight operations support
KR102451322B1 (ko) Iata기준을 준수하는 수하물운송네트워크 서버구축을통한 편리한 항공여행서비스와 수하물태그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US20180276573A1 (en) Providing travel related content customized for users
US20190124165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wayfinding
US20210264784A1 (en) Server, vehicle operation system, vehicle opera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Dray et al. Air transportation and multimodal, collaborative decision making during adverse events
Tuchen Multimodal transportation operational scenario and conceptual data model for integration with UAM
KR101626235B1 (ko) 여행자 긴급 상태 모니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