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7048B1 - IoT 기반의 물류배송방법 - Google Patents

IoT 기반의 물류배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7048B1
KR102047048B1 KR1020180014048A KR20180014048A KR102047048B1 KR 102047048 B1 KR102047048 B1 KR 102047048B1 KR 1020180014048 A KR1020180014048 A KR 1020180014048A KR 20180014048 A KR20180014048 A KR 20180014048A KR 102047048 B1 KR102047048 B1 KR 102047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terminal
shipment
iot device
dest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4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0492A (ko
Inventor
송하윤
모준상
김태현
Original Assignee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14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048B1/ko
Publication of KR20190100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0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50/28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IoT 장치가, 목적지 위치, 및 허브 터미널로부터 배달 터미널까지의 배송차량의 이동경로인 주이동경로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주이동경로와 상기 목적지 위치 간의 최단거리를 산출한 후, 상기 최단거리가 미리 결정된 제1값 이하인 경우, 상기 IoT 장치의 출력부를 통해 상기 IoT 장치가 부착된 제1배송물의 최적 상차를 요구하는 제1안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물류이동이 시작된 이후, 현재 위치와 상기 목적지 위치 간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제2값 이하이거나 또는 상기 제2값 이하가 될 것으로 판정한 경우, 배송자 단말기에게 상기 IoT 장치의 ID 또는 상기 IoT 장치가 부착된 물건의 ID를 송신하고, 상기 목적지 위치를 상기 배송자 단말기에게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배송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배송물의 중간 하차 결정이 수신되면, 상기 IoT 장치의 출력부를 통해 상기 제1배송물의 쉬운 식별을 위하여 제2안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IoT 기반의 물류배송방법을 공개한다.

Description

IoT 기반의 물류배송방법{Logistics delivery method based on IoT}
본 발명은 IoT 장치를 이용한 물류배송방법으로서, 최적의 배송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물류배송방법에 관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택배 운전사(배송자)는 각 택배 취급점에 미리 정해진 시간에 방문해 상품을 인수한다. 이후, 택배 운전사는 인수한 모든 배송물들을 허브 터미널로 이동시킨 후, 허브 터미널에서 배송물들을 각 배달지에 맞춰 분류하는 작업을 진행하며, 이후 배달 터미널로 배송물들을 이동시킨다.
일반적으로 물류의 종류, 배달 지역의 교통 복잡도, 도로 경사, 및 날씨로 인한 도로 사정 등으로 인해, 배달 터미널에서 배달지까지 배달하는 예상 배송 시간과 실제 배송 시간 간에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택배의 배송시 무조건 허브 터미널로 배송하였다가 다시 배달 터미널로 이동하게 되는데, 택배 발송지역과 택배 도착지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 무의미하게 먼 거리를 이동하게 되어 큰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
택배 물류 배송 관련 특허로서, 한국등록특허 '10-1461063' 가 있다. 상기 등록특허는 택배화물 배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택배화물의 배송지 주소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택배화물에 부착되는 운송장의 식별코드를 스캔하여 식별가능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식별단말기와, 상기 식별단말기 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식별단말기에 의해 식별된 식별코드에 매칭되는 배송지 주소를 수신하여 이를 자동으로 입력하여 안내하는 내비게이션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비게이션단말기는 GPS로부터 현재 배송인의 위치를 파악하고 자동으로 입력된 상기 각 식별코드에 매칭되는 다수개의 배송지 주소 사이가 최단경로가 되도록 연산하여 순차적으로 안내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식별단말기에 의해 인식된 식별코드 및 이에 해당하는 택배화물을 구별하기 위한 임의의 화물번호가 순차적으로 부여되어 저장되고, 상기 내비게이션단말기 또는 상기 식별단말기에는 상기 각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화물번호가 표시되어 상기 택배화물의 구별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내비게이션단말기는 GPS를 통해 최단경로로 설정된 상기 각 배송지 주소에 도착하면, 도착된 배송지의 화물번호를 i)영상, ii)음성 또는 iii)영상 및 음성으로 안내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택배 박스에 위치 추적이 가능한 IoT 장치를 별도로 부착하여, 허브 터미널로부터 배달 터미널까지 이동하는 배송차량의 이동 경로 근처에 최종 배달 목적지가 있을 때 우선적으로 배송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IoT 기반의 물류배송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IoT 기반의 물류배송방법으로서, 제1배송물에 부착된 IoT 장치가, 상기 제1배송물이 최종적으로 배송되어야 하는 목적지인 배송 목적지의 위치를 서버 또는 스캐너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IoT 장치가, 허브 터미널로부터 배달 터미널까지의 배송차량의 이동경로인 주이동경로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주이동경로와 상기 배송 목적지의 위치 간의 최단거리를 산출한 후, 상기 최단거리가 미리 결정된 제1값 이하인 경우, 상기 IoT 장치의 출력부를 통해 상기 제1배송물의 최적 상차를 요구하는 제1안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IoT 장치가, 상기 물류이동이 시작된 이후, 현재 위치(GPS)와 상기 배송 목적지의 위치 간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제2값 이하이거나 또는 상기 제2값 이하가 될 것으로 판정한 경우, 상기 판정이 이루어졌음을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배송 목적지의 위치를 상기 배송자 단말기에게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IoT 장치가, 상기 배송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배송물의 중간 하차 결정이 수신되면, 상기 IoT 장치의 출력부를 통해 상기 제1배송물의 쉬운 식별을 위하여 상기 IoT 장치의 출력부를 통해 제2안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현재 위치(GPS)와 상기 배송 목적지의 위치 간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제2값 이하이거나 또는 상기 제2값 이하가 될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배송자 단말기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도록 되어 있는 네비게이션 장치가 상기 목적지를 새로운 경유지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송 목적지의 위치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IoT 장치가, 상기 스캐너가 상기 바코드에 포함된 정보 및 상기 ID 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매칭된 정보를 서버에게 전송할 수 있도록, 상기 스캐너에게 상기 IoT 장치의 ID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IoT 장치가, 상기 서버 또는 상기 스캐너로부터 상기 배송 목적지의 위치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처리부, 통신부, 및 출력부를 포함하는 배송지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처리부는, 배송물이 최종적으로 배송되어야 하는 목적지인 배송 목적지의 위치 및 이동경로에 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이동경로와 상기 배송 목적지의 위치 간의 최단거리가 미리 결정된 제1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1값 이하임을 나타내는 제1안내신호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현재의 지구위치와 상기 배송 목적지 위치 간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제2값 이하이거나 또는 상기 제2값 이하가 될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배송지원장치의 ID 및 상기 배송 목적지의 위치를 서로 연계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배송자 단말기에게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배송물의 중간하차결정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배송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배송물의 쉬운 식별을 위한 제2안내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장치는, 서버 또는 상기 배송물에 부착된 식별코드를 스캔하는 스캐너이고, 상기 배송 목적지 및 상기 이동경로는 상기 식별코드에 포함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식별코드에 이해 링크되는 웹페이지에 의해 제공되는 것이며, 상기 이동경로는, 상기 배송물을 운송하는 배송차량의 출발지인 허브 터미널로부터 상기 배송차량의 최종 목적지인 배달 터미널까지의 경로이며, 상기 이동경로에 관한 정보는 상기 서버 또는 상기 스캐너로부터 획득된 것이며, 상기 현재의 지구위치는 상기 배송지원장치에 부착된 GPS 장치로부터 실시간으로 획득된 것이거나 또는 상기 배송차량에 부착된 GPS 장치로부터 근거리통신을 통해 실시간으로 획득된 것이고, 상기 통신부는 네트워크 통신부 및 근거리 통신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배송물에 부착되는 배송지원장치; 및 배송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배송지원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송지원장치는, 배송물이 최종적으로 배송되어야 하는 목적지인 배송 목적지의 위치 및 배송차량의 이동경로에 관한 정보를 외부장치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이동경로와 상기 배송 목적지의 위치 간의 최단거리가 미리 결정된 제1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1값 이하임을 나타내는 제1안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현재의 지구위치와 상기 배송 목적지 위치 간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제2값 이하이거나 또는 상기 제2값 이하가 될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배송지원장치의 ID 및 상기 배송 목적지의 위치를 서로 연계하여 상기 배송자 단말기에게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배송물을 상기 배송 목적지에 하차하기로 결정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중간하차결정이 상기 배송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배송물의 쉬운 식별을 위한 제2안내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송자 단말기는, 상기 배송지원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배송지원장치의 ID 및 상기 배송 목적지의 위치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배송차량이 상기 이동경로의 종점에 도달하기 이전에, 상기 중간하차결정에 관한 사용자 입력을 받아 상기 중간하차결정을 상기 배송지원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네비게이션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송자 단말기는, 상기 중간하차 결정에 관한 사용자 입력을 받으면, 상기 배송 목적지를 중간경유지점으로 설정하는 요청을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에게 송신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는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배송 목적지를 중간경유지점으로 설정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와 상기 배송자 단말기는 일체의 장치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IoT R기반의 물류배송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물류배송방법은, 스캐너가, 제1배송물에 부착된 제1택배바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인식된 제1택배바코드에 관한 정보를 서버에게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제1배송물을 실은 배송차량이 출발하는 허브 터미널로부터 상기 배송차량이 도착하는 배달 터미널까지의 이동경로인 주이동경로와 상기 제1배송물이 최종적으로 배송되어야 하는 목적지인 배송 목적지의 위치 간의 최단거리를 산출한 후, 상기 최단거리가 미리 결정된 제1값 이하인 경우, (1) 상기 제1배송물의 최적 상차를 요구하는 신호를 상기 배송차량을 운전하는 배송자가 이용하는 단말기인 배송자 단말기 또는 상기 스캐너에게 제공하고, 그리고 (2) 상기 제1배송물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배송 목적지에 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상기 배송자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스캐너가, 제1 IoT 장치의 식별자인 제1 ID를 상기 제1 IoT 장치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제1택배바코드와 상기 제1 ID가 서로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1)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배송자 단말기에게 전송하거나, 또는 (2)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배송자 단말기에게 직접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배송자 단말기가, 물류이동이 시작된 이후, 현재의 지구위치를 획득하여, 상기 현재의 지구위치와 상기 배송 목적지의 위치 간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제2값 이하이거나 또는 소정의 시간 이내에 상기 제2값 이하가 될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제1배송물을 상기 배송 목적지에 하차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배송 목적지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제1배송물을 상기 배송 목적지에 하차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1 IoT 장치에게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IoT 장치가, 상기 제1배송물을 상기 배송 목적지에 하차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배송자가 상기 제1배송물을 쉽게 식별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1 IoT 장치의 출력부를 통해 제2안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송자 단말기가, 상기 물류이동이 시작된 이후, 현재의 지구위치를 획득하여, 상기 현재의 지구위치와 상기 배송 목적지의 위치 간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제2값 이하가 되었다가 다시 상기 제2값 이상으로 멀어진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제1배송물을 상기 배송 목적지에 하차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1 IoT 장치에게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IoT 장치가, 상기 제1배송물을 상기 배송 목적지에 하차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1 IoT 장치의 출력부를 통해 상기 제2안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캐너가, 제1 IoT 장치의 식별자인 제1 ID를 상기 제1 IoT 장치로부터 획득하는 것은, 상기 스캐너가 상기 제1 IoT 장치로부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제1 ID를 수신함으로써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스캐너가 상기 제1 IoT 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출된 아이콘을 광학 스캔함으로써 상기 제1 ID를 획득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택배 박스에 위치 추적이 가능한 IoT 장치를 별도로 부착함으로써, 허브 터미널로부터 배달 터미널까지 이동하는 배송차량의 이동 경로 근처에 최종 배달 목적지가 있을 때 우선적으로 배송할 수 있도록 하는 IoT 기반의 물류배송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배송지원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택배상자의 운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배송지원시스템에서 배송지원을 수행하는 배송지원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택배상자들이 상차된 배송차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터미널부터 배달 터미널까지의 이동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배송지원시스템에서의 IoT 기반의 물류배송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의도된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배송지원시스템(1000)을 나타낸 것이다.
배송지원시스템(1000)은 IoT 장치(1), 택배바코드(bar code)(2), 스캐너(200), 서버(300), 배송자 단말기(400), 및 네비게이션 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IoT 장치(1)는 택배상자에 부착에 부착되는 장치로서 배터리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전자기기일 수 있다. IoT 장치(1)는 출발지점(예컨대, 허브 터미널)으로부터 도착지점(예컨대, 배달 터미널)까지의 이동 도중에 특정 택배상자를 특정 목적지에 하차하는 '중간 하차'가 가능한 택배를 구별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IoT 장치(1)는 배송지원장치로 지칭될 수 있다. IoT 장치(1)는 배터리, 처리부, 통신부, 및 저장부를 포함하는 소형 컴퓨팅 통신 장치일 수 있다.
택배바코드(2)는 택배 상자에 부착되는 택배 송장에 인쇄된 바코드로서, 해당 택배 상자에 담길 물품에 관련된 송장번호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을 수 있다. 택배바코드(2)는 식별코드라는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스캐너(200)는 배송차량을 운전하며 택배를 배송하는 배송자에 의해, 상기 IoT 장치(1)의 디스플레이에 표출된 아이콘인 '장치바코드', 및/또는 상기 택배바코드(2)를 스캔할 수 있다. 이때, 스캐너(200)는 상기 장치바코드 및 상기 택배바코드(2)를 직접 스캔할 수 있다. 또는 스캐너(200)는 상기 장치바코드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택배바코드(2)에 대한 정보를 상기 IoT 장치(1), 및 택배바코드(2)로부터 각각 근거리통신방식(예컨대, Bluetooth, WiFi)을 이용하여 전송받을 수도 있다. 상기 '장치바코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출된 아이콘일 수 있으며, 1차원 형태의 바코드, 2차원 형태의 바코드, 또는 다른 형태로 인코딩된 마커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치바코드는 상기 IoT 장치(1)의 ID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택배바코드에 대한 정보는 예컨대, 송장번호, 및 배송 목적지를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스캐너(200)는 상기 장치바코드에 대한 정보(즉, 특정 IoT 장치(1)의 ID 정보) 및 상기 택배바코드(2)에 대한 정보들(즉, 송장번호, 배송 목적지)를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스캐너(200)와 서버(300)는 네트워크 통신(예컨대, LTE)을 이용하여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스캐너(200)는 상기 장치바코드에 대한 정보(즉, 특정 IoT 장치(1)의 ID 정보) 및 상기 택배바코드(2)에 대한 정보들(즉, 송장번호, 배송 목적지)을 서로 매칭하여 상기 매칭된 정보를 서버(3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스캐너(200)는 각 배송차량에 별도로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스캐너(200)가 여러 명의 배송자가 함께 사용하는 공용 스캐너일 경우, 상기 스캐너는 각 배송차량을 구분할 수 있도록 배송차량의 차량번호를 입력받는 기능을 갖고 있을 수 있다.
이때, 스캐너(200)는 배송자 단말기(400)와는 별도의 장치로서 도시하였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스캐너(200)는 배송자 단말기(400)에 포함되는 개념일 수도 있다.
서버(300)는 스캐너(200)로부터 전송 받은 장치바코드에 대한 정보인 IoT 장치(1)의 ID정보, 및 택배바코드(2)에 대한 정보들인 송장번호, 및 배송 목적지를 서버(300)의 택배송장내역에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서버(300)는 택배송장내역에 상기 ID정보, 상기 송장번호, 및 상기 배송 목적지를 서로 매칭하여 한 쌍으로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택배송장내역은 테이블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이후 서버(300)는 IoT 장치(1)에게 상기 배송 목적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300)는 상기 배송 목적지 정보를 상기 배송 목적지 정보에 대응하는 IoT 장치(1)의 ID 정보와 함께 배송자 단말기(400)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서버(300)는 LoRa망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IoT 장치(1)와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300)는 네트워크 통신 방식(예컨대, LTE)을 이용하여 배송자 단말기(400)와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또는 서버(300)가 스캐너(200)로부터 상기 매칭된 정보({송장번호, 배송 목적지, IoT 장치의 ID정보})를 전송 받는 경우, 상기 매칭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서버(300)는 정보 요청시, 저장된 정보 중 특정 배송상자(또는 배송물)에 대한 정보를 해당 IoT 장치(1) 또는 해당 배송자 단말기(4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배송자 단말기(400)는 특정 배송물에 대하여 중간 하차에 대한 정보(중간 하차가 가능한지 계산하는 산출값, 중간 하차 여부 등)를 근거리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IoT 장치(1)와 서로 교환할 수 있다.
네비게이션 장치(500)는 상기 배송자 단말기(400)로부터 배송 목적지를 전송받아 배송 이동 경로를 갱신할 수 있다. 이때, 네비게이션 장치(500)는 근거리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배송자 단말기(400)와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이때, 네비게이션 장치(500)는 배송차량에 설치된 네비게이션 장치이거나 또는 배송자 단말기(400)의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일 수도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택배상자의 운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장치(1)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배달을 위한 택배상자(100)가 준비되면, 배송자는 상기 택배상자(100)에 초기화된 IoT 장치(1) 및 바코드(2)를 택배상자(100)의 바깥부분에 부착할 수 있다. 이후, 배송자는 IoT 장치(1)의 전원을 온(ON) 시킬 수 있다.
IoT 장치(1)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는 상기 중간 하차가 가능한 택배상자의 구별을 위한 제1출력부(11) 및 제2출력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출력부(11)는 제1안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출력부(12)는 제2안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출력부(11) 및 제2출력부(12)는 각각 서로 다른 색의 빛을 발광하는 LED일 수 있다.
이하,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IoT 장치(1)는 디스플레이 모듈(10), 처리부(20), GPS 모듈(30), WiFi 모듈(40), 블루투스 모듈(50), LoRa 모듈(60), 및 스피커 모듈(7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IoT 장치(1)의 ID 정보가 인코딩된 장치바코드를 출력할 수 있다. 배송자는, 스캐너(SP)로 상기 장치바코드를 스캔하여 서버에 등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예컨대, OLED 모듈일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모듈(10)은 별도의 LED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LED들은 도 2a에 도시한 상기 제1출력부(11) 및 상기 제2출력부(12)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처리부(20)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입 ㅇ 출력 모듈을 하나의 칩으로 만들어 정해진 기능을 수행하는 컴퓨터로서, IoT 장치(1)에 탑재된 모듈들을 내장된 코드로 제어할 수 있다. 즉, IoT 장치(1)에 탑재된 디스플레이 모듈(10), GPS 모듈(30), WiFi 모듈(40), 블루투스 모듈(50), LoRa 모듈(60), 및 스피커 모듈(70)을 제어할 수 있다.
GPS 모듈(30)은 배송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처리부(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WiFi 모듈(40)은 GPS 모듈(30)을 이용한 GPS 수신이 불가능한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즉, WiFi 모듈(40)은 WiFi를 이용해 외부의 장치(예컨대, 배송자 단말기 또는 네비게이션)로부터 지구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지구위치정보를 처리부(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WiFi 모듈(40)은 IoT 장치(1)가 스캐너(200) 또는 배송자 단말기(400)와 통신하는 경우의 근거리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50)은 GPS 모듈(30)을 이용한 위치정보 수신이 불가할 경우 위치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50)은 IoT 장치(1)가 스캐너(200) 또는 배송자 단말기(400)와 통신하는 경우의 근거리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LoRa 모듈(60)은 GPS 모듈(30)이 수집한 위치 정보를 LoRa ThingPlug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API로 상기 ThingPlug 서버에서 데이터를 읽고 분석할 수 있다. GPS 모듈, WiFi 모듈, 및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위치정보 수집이 불가한 경우, LoRa 망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스피커 모듈(70)은 집하과정에서 최단 배송이 가능할 경우 배송자가 효율적으로 택배상자들을 배치를 하도록 돕기 위한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스피커 모듈(70)은 배송차량이 배송 목적지에 도착하면 배송자가 해당 배송물을 빠르게 하차시킬 수 있도록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스피커 모듈(70)은 상기 제1출력부 및/또는 상기 제2출력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최단 배송이란, 택배상자들을 배달 터미널까지 이동시킨 후에 각 택배상자의 배송 목적지로 배송하는 것이 아니라, 택배차량이 허브터미널에서 배달 터미널까지의 택배차량의 이동경로와 근접한 위치에 특정 택배상자의 목적지가 위치한 경우, 상기 배달 터미널에 도착하지 이전에, 상기 특정 택배상자를 상기 목적지에 먼저 배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특정 택배상자가 상기 배달 터미널까지 이동한 후 다시 상기 특정 택배상자의 배송 목적지로 되돌아오는 불필요한 이동 거리를 줄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배송지원시스템에서 배송지원을 수행하는 배송지원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배송지원시스템은 제1택배상자(100, 101)에 부착된 IoT 장치(1.1) 및 택배바코드(2), 스캐너(200), 서버(300), 배송자 단말기(400), 및 네비게이션 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택배상자들이 상차된 배송차량을 나타낸 것이다.
배송차량에는 예컨대, 16개의 택배상자(100)가 상차되어 있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터미널(A)부터 배달 터미널(B)까지의 이동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계(S100)에서, 스캐너(200)는 제1택배상자(100, 101)에 부착된 택배바코드(2)를 스캔함으로써 택배바코드에 대한 정보(예컨대, 송장번호, 배송 목적지, 주이동경로 등)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이동경로는 배송차량의 출발지인 허브터미널(A)로부터 배송차량의 최종 목적지인 배달 터미널(B)까지의 경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주이동경로는 상기 바코드에 의해 링크되는 웹페이지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단계(S101)에서, IoT 장치(1, 1.1)는 스캐너(200)에게, IoT 장치(1)의 ID 정보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스캐너(200)가 상기 IoT 장치(1)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된 장치바코드를 스캔함으로써, 상기 장치바코드에 포함된 IoT 장치(1)의 ID 정보가 스캐너(200)에게 전송될 수 있다.
단계(S102)에서, 스캐너(200)는 상기 IoT 장치의 ID 정보 및 상기 IoT 장치가 부착된 제1택배상자의 택배바코드(2)에 포함된 정보인 송장번호, 및 배송 목적지를 서로 매칭시킬 수 있다.
단계(S103)에서, 스캐너(200)가 서버(300)에게, 상기 매칭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S104)에서, 서버(300)가 IoT 장치(1)에게, 상기 IoT 장치(1)의 ID 정보에 매칭된 상기 제1택배상자의 배송 목적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S105)에서, 스캐너(200)가 IoT 장치(1)에게, 상기 제1택배상자를 배송하는 배송차량의 주이동경로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주이동경로는 서버(300)로부터 IoT 장치(1)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주이동경로는 서버(300)로부터 스캐너(200) 또는 배송자 단말기(400)에게 전송될 수 있다. 그 후, 스캐너(200) 또는 배송자 단말기(400)는 상기 주이동경로를 IoT 장치(1)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단계(S104) 및 단계(S105)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단계(S106)에서, IoT 장치(1)가, 상기 주이동경로(A-B)와 상기 제1택배상자(101)의 배송 목적지(예컨대, C)의 위치간의 최단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단계(S107)에서, IoT 장치(1, 1.1)가, 상기 최단거리가 미리 결정된 제1값 이하인 경우, IoT 장치(1, 1.1)의 제1출력부(11)를 통해 제1안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안내신호는 상기 제1택배상자(100, 101)의 최적 상차를 요구하는 안내신호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최적 상차란, 배송차량에서 주이동경로(A-B)로부터 가까운 목적지에 배송하기 위한 택배상자를 먼저 하차할 수 있도록 가장 마지막에 배송차량에 상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최적 상차란, 배송차량이 특정 목적지에 도착했을 때 배송차량의 택배상자를 손쉽게 꺼낼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상차하는 공간의 가장 바깥쪽 공간에 배치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IoT 장치(1, 1.1)는, 배송차량이 배송을 시작하였음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제1안내신호의 출력을 종료할 수 있다. 이때, IoT 장치(1, 1.1)는 상기 배송차량을 운전하는 배송자의 배송자 단말기(400)로부터 물류이동이 시작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전송받음으로써 물류이동의 시작을 검출할 수 있다. 또는 IoT 장치(1, 1.1)에 포함된 GPS 모듈을 통해 물류이동의 시작을 직접 검출할 수도 있다. 또는 IoT 장치(1, 1.1)는 배송차량에 설치된 GPS 모듈이 검출한 GPS 정보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전달받음으로써 물류이동의 시작을 검출할 수도 있다.
단계(S108)에서, IoT 장치(1)가, GPS 상의 현재 지구위치(Z1)와 배송 목적지(C)의 위치 간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제2값 이하인지 판정할 수 있다. 상기 현재의 지구위치(Z1)는 IoT 장치(1, 1.1)에 부착된 GPS 장치로부터 실시간으로 획득된 것이거나 또는 상기 배송차량에 부착된 GPS 장치로부터 근거리통신을 통해 실시간으로 획득된 것일 수 있다.
단계(S109)에서, IoT 장치(1)가 배송자 단말기(400)에게, 상기 판정이 이루어졌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배송 목적지(C)의 위치, IoT 장치(1)의 ID 정보, IoT 장치(1, 1.1)가 부착된 상기 제1택배상자(100, 101)의 식별자 정보 중 하나 이상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판정이 이루어졌음을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택배차량이 상기 배송 목적지 근처를 지나가거나 접근하는 도중이므로 제1택배상자(101)에 대한 최단 배송이 가능하다는 메시지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배송자는 배송자 단말기(400)를 통해 배송 목적지 위치(C)에 대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으며, 제1택배상자(101)의 중간 하차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S110)에서, 배송자 단말기(400)가 IoT 장치(1)에게, 상기 제1택배상자의 중간 하차 결정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S111)에서, IoT 장치(1)는, IoT 장치(1)의 제2출력부(12)를 통해 제2안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안내신호는 상기 배송자가 다른 택배상자들로부터 상기 제1택배상자를 식별하는 것을 돕기 위한 안내신호일 수 있다.
단계(S112)에서, 배송자 단말기(400)가 네비게이션 장치(500)에게, 상기 배송 목적지를 경유지로 설정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배송자가 직접 네비게이션 장치에 상기 배송 목적지를 경유지로 입력할 수도 있다.
단계(S113)에서, 네비게이션 장치(500)가 상기 배송 목적지를 새로운 경유지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단계(S110) 및 단계(S112)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이후, 배송자가 상기 배송 목적지 위치에 도착하면, 상기 제2안내신호를 확인하고 상기 제1택배상자를 하차하여 제1택배상자에 대한 배송을 완료할 수 있다.
이때, 배송자가 상기 최단 배송을 실시한 경우, 즉, 배송자가 제1택배상자(101)를 제1목적지 위치(C)에 배송한 경우, 배송자는 제1택배상자(101)에서 IoT 장치(1, 1.1)를 수거할 수 있다. 이후, 제1 IoT 장치(1, 1.1) 또는 배송자 단말기(400)가 서버(300)에게 배송 완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IoT 장치(1, 1.1)가, 현재 위치(Z1)와 상기 배송 목적지(C) 위치 간의 차이를 계산한 결과를 제1 IoT 장치(1, 1.1)의 ID 또는 제1 IoT 장치(1, 1.1)가 부착된 제1택배상자(101)의 제2 ID와 함께 배송자 단말기(4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배송자 단말기(400)는 상기 현재 위치(Z1)와 상기 배송 목적지(C) 위치 간의 차이를 미리 결정된 제2값과 비교할 수 있다. 배송자 단말기(400)가, 상기 차이가 미리 결정된 제2값 이하이거나 또는 상기 제2값 이하가 될 것으로 판정한 경우, 제1 IoT 장치(1, 1.1)로부터 상기 배송 목적지(C) 위치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이하의 과정은 상술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배송자 단말기(400)가 상기 현재 위치(Z1)와 상기 배송 목적지 위치의 차이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한 값이 미리 결정된 제2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1택배상자(101)에 대한 최단 배송이 가능하다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배송자 단말기(400)는 상기 제1택배상자(101)의 배송 목적지를 스캐너(200), 서버(300), 또는 IoT 장치(1)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다수의 택배상자가 유사한 지역에 배달되어야 하는 경우, 배송자 단말기(400)는 상기 다수의 택배상자를 모두 배송하기 위한 최적 배송경로를 배송자 단말기(400)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서버(300)가 최적 배송경로를 계산하여 배송자 단말기(4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배송자 단말기(400)와 서버(300)가 협력하여 최적 배송경로를 계산하여 배송자 단말기(400)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배송차량의 현재의 지구위치가 제2택배상자(100, 102)에 대한 목적지(D) 근처를 지나갈 때에도 제1택배상자(100, 101)와 동일한 방법으로 배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배송차량의 현재의 지구위치가 제3택배상자(100, 103)에 대한 목적지(E) 근처를 지나갈 때에도 제1택배상자(100, 101)와 동일한 방법으로 배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배송차량의 주이동경로를 허브터미널(A)로부터 배달 터미널(B)까지의 경로로 정의하였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주이동경로는 집화장소에서 허브터미널까지의 경로로 정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배송지원시스템에서의 IoT 기반의 물류배송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배송지원시스템은 제1IoT장치(1'), 제1택배바코드(2'), 스캐너(200), 서버(300), 및 배송자 단말기(400)를 포함할 수 있다.
스캐너(200)는, 제1배송물에 부착된 제1택배바코드(2')를 인식하여(단계(S201)), 상기 인식된 제1택배바코드(2')에 관한 정보를 서버(300)에게 송신할 수 있다(단계(S202)).
상기 서버(300)는, 상기 제1배송물을 실은 배송차량이 출발하는 허브 터미널로부터 상기 배송차량이 도착하는 배달 터미널까지의 이동경로인 주이동경로와 상기 제1배송물이 최종적으로 배송되어야 하는 목적지인 배송 목적지의 위치 간의 최단거리를 산출한 후, 상기 최단거리가 미리 결정된 제1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S210)).
상기 서버(300)는, 상기 최단거리가 미리 결정된 제1값 이하인 경우, (1) 상기 제1배송물의 최적 상차를 요구하는 신호를 상기 배송차량을 운전하는 배송자가 이용하는 단말기인 배송자 단말기(400) 또는 상기 스캐너(200)에게 제공하고(단계(S221) 또는 단계(S222)), 그리고 (2) 상기 제1배송물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배송 목적지에 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상기 배송자 단말기(400)에게 제공할 수 있다(단계(S230)).
상기 스캐너(200)는, 제1 IoT 장치(1')의 식별자인 제1 ID를 상기 제1 IoT 장치(1')로부터 획득하여(단계(S241)), 상기 제1택배바코드(2')와 상기 제1 ID가 서로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1) 상기 서버(300)를 통해 상기 배송자 단말기(400)에게 전송하거나, 또는 (2)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배송자 단말기(400)에게 직접 전송할 수 있다(단계(S242)). 이때, 상기 스캐너(200)가, 제1 IoT 장치(1')의 식별자인 제1 ID를 상기 제1 IoT 장치(1')로부터 획득하는 것은, 상기 스캐너(200)가 상기 제1 IoT 장치(1')로부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제1 ID를 수신함으로써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스캐너(200)가 상기 제1 IoT 장치(1')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출된 아이콘을 광학 스캔함으로써 상기 제1 ID를 획득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송자 단말기(400)는, 물류이동이 시작된 이후, 현재의 지구위치를 획득하여, 상기 현재의 지구위치와 상기 배송 목적지의 위치 간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제2값 이하이거나 또는 소정의 시간 이내에 상기 제2값 이하가 될 것인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단계(S251)).
상기 배송자 단말기(400)는, 상기 현재의 지구위치와 상기 배송 목적지의 위치 간의 차이가 상기 제2값 이하가 될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제1배송물을 상기 배송 목적지에 하차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배송 목적지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고(단계(S252)), 상기 제1배송물을 상기 배송 목적지에 하차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1 IoT 장치(1')에게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단계(S261)).
상기 제1 IoT 장치(1')는, 상기 제1배송물을 상기 배송 목적지에 하차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배송자가 상기 제1배송물을 쉽게 식별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1 IoT 장치(1')의 출력부를 통해 제2안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단계(S262)).
상기 배송자 단말기(400)는, 상기 물류이동이 시작된 이후, 현재의 지구위치를 획득하여, 상기 현재의 지구위치와 상기 배송 목적지의 위치 간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제2값 이하가 되었다가 다시 상기 제2값 이상으로 멀어졌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단계(S271)).
상기 배송자 단말기(400)는, 상기 현재의 지구위치와 상기 배송 목적지의 위치 간의 차이가 상기 제2값 이상으로 멀어진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제1배송물을 상기 배송 목적지에 하차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고(단계(S272)), 상기 제1배송물을 상기 배송 목적지에 하차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1 IoT 장치(1')에게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단계(S281)).
상기 제1 IoT 장치(1')는, 상기 제1배송물을 상기 배송 목적지에 하차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1 IoT 장치(1')의 출력부를 통해 상기 제2안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중지할 수 있다(단계(S282)).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내용은 본 명세서를 통해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인용관계가 없는 다른 청구항에 결합될 수 있다.

Claims (11)

  1. 제1배송물에 부착된 IoT 장치가, 상기 제1배송물이 최종적으로 배송되어야 하는 목적지인 배송 목적지의 위치를 서버 또는 스캐너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IoT 장치가, 허브 터미널로부터 배달 터미널까지의 배송차량의 미리 결정된 이동경로인 주이동경로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주이동경로와 상기 배송 목적지의 위치 간의 최단거리를 산출한 후, 상기 최단거리가 미리 결정된 제1값 이하인 경우, 상기 IoT 장치의 출력부를 통해 상기 제1배송물의 최적 상차를 요구하는 제1안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최단거리가 상기 미리 결정된 제1값 이하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있어서, 상기 IoT 장치가, 물류이동이 시작된 이후 현재 위치(GPS)와 상기 배송 목적지의 위치 간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제2값 이하이거나 또는 상기 제2값 이하가 될 것으로 판정한 경우, 상기 현재 위치와 상기 배송 목적지의 위치 간의 차이가 상기 제2값 이하이거나 또는 상기 제2값 이하가 될 것이라는 판정이 이루어졌음을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배송 목적지의 위치를 상기 배송차량을 운전하는 배송자가 이용하는 단말기인 배송자 단말기에게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IoT 장치가, 상기 배송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배송물의 중간 하차 결정을 수신하면, 상기 IoT 장치의 출력부를 통해 상기 제1배송물의 쉬운 식별을 위하여 상기 IoT 장치의 출력부를 통해 제2안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IoT 기반의 물류배송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현재 위치(GPS)와 상기 배송 목적지의 위치 간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제2값 이하이거나 또는 상기 제2값 이하가 될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배송자 단말기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도록 되어 있는 네비게이션 장치가 상기 배송 목적지를 새로운 경유지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IoT 기반의 물류배송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 목적지의 위치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IoT 장치가, 상기 스캐너가 상기 제1배송물에 부착된 바코드에 포함된 정보 및 상기 IoT 장치의 ID를 서로 매칭하여 상기 매칭된 정보를 서버에게 전송할 수 있도록, 상기 스캐너에게 상기 IoT 장치의 ID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IoT 장치가, 상기 서버 또는 상기 스캐너로부터 상기 배송 목적지의 위치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IoT 기반의 물류배송방법.
  4. 처리부, 통신부, 및 출력부를 포함하는 배송지원장치로서,
    상기 처리부는,
    배송물이 최종적으로 배송되어야 하는 목적지인 배송 목적지의 위치 및 상기 배송물을 운송하는 배송차량의 출발지인 허브 터미널로부터 상기 배송차량의 최종 목적지인 배달 터미널까지의 미리 결정된 이동경로인 주이동경로에 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상기 주이동경로와 상기 배송 목적지의 위치 간의 최단거리가 미리 결정된 제1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1값 이하임을 나타내는 제1안내신호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상기 최단거리가 상기 미리 결정된 제1값 이하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 그리고 현재의 지구위치와 상기 배송 목적지 위치 간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제2값 이하이거나 또는 상기 제2값 이하가 될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배송지원장치의 ID 및 상기 배송 목적지의 위치를 서로 연계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배송자 단말기에게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배송물의 중간하차결정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배송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배송물의 쉬운 식별을 위한 제2안내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는,
    배송지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는, 서버 또는 상기 배송물에 부착된 식별코드를 스캔하는 스캐너이고,
    상기 배송 목적지 및 상기 주이동경로는 상기 식별코드에 포함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식별코드에 이해 링크되는 웹페이지에 의해 제공되는 것이며,
    상기 주이동경로에 관한 정보는 상기 서버 또는 상기 스캐너로부터 획득된 것이며,
    상기 현재의 지구위치는 상기 배송지원장치에 부착된 GPS 장치로부터 실시간으로 획득된 것이거나 또는 상기 배송차량에 부착된 GPS 장치로부터 근거리통신을 통해 실시간으로 획득된 것이고,
    상기 통신부는 네트워크 통신부 및 근거리 통신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배송지원장치.
  6. 배송물에 부착되는 배송지원장치; 및 배송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배송지원시스템으로서,
    상기 배송지원장치는,
    배송물이 최종적으로 배송되어야 하는 목적지인 배송 목적지의 위치 및 상기 배송물을 운송하는 배송차량의 출발지인 허브 터미널로부터 상기 배송차량의 최종 목적지인 배달 터미널까지의 미리 결정된 이동경로인 주이동경로에 관한 정보를 외부장치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상기 주이동경로와 상기 배송 목적지의 위치 간의 최단거리가 미리 결정된 제1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1값 이하임을 나타내는 제1안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최단거리가 상기 미리 결정된 제1값 이하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 그리고 현재의 지구위치와 상기 배송 목적지 위치 간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제2값 이하이거나 또는 상기 제2값 이하가 될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배송지원장치의 ID 및 상기 배송 목적지의 위치를 서로 연계하여 상기 배송자 단말기에게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배송물을 상기 배송 목적지에 하차하기로 결정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중간하차결정이 상기 배송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배송물의 쉬운 식별을 위한 제2안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배송자 단말기는,
    상기 배송지원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배송지원장치의 ID 및 상기 배송 목적지의 위치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배송차량이 상기 주이동경로의 종점에 도달하기 이전에, 상기 중간하차결정에 관한 사용자 입력을 받아 상기 중간하차결정을 상기 배송지원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
    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는,
    배송지원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네비게이션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송자 단말기는, 상기 중간하차 결정에 관한 사용자 입력을 받으면, 상기 배송 목적지를 중간경유지점으로 설정하는 요청을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에게 송신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는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배송 목적지를 중간경유지점으로 설정하도록 되어 있는,
    배송지원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와 상기 배송자 단말기는 일체의 장치로 되어 있는, 배송지원시스템.
  9. 스캐너가, 제1배송물에 부착된 제1택배바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인식된 제1택배바코드에 관한 정보를 서버에게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제1배송물을 실은 배송차량이 출발하는 허브 터미널로부터 상기 배송차량이 도착하는 배달 터미널까지의 미리 결정된 이동경로인 주이동경로와 상기 제1배송물이 최종적으로 배송되어야 하는 목적지인 배송 목적지의 위치 간의 최단거리를 산출한 후, 상기 최단거리가 미리 결정된 제1값 이하인 경우, (1) 상기 제1배송물의 최적 상차를 요구하는 신호를 상기 배송차량을 운전하는 배송자가 이용하는 단말기인 배송자 단말기 또는 상기 스캐너에게 제공하고, 그리고 (2) 상기 제1배송물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배송 목적지에 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상기 배송자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스캐너가, 제1 IoT 장치의 식별자인 제1 ID를 상기 제1 IoT 장치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제1택배바코드와 상기 제1 ID가 서로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1)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배송자 단말기에게 전송하거나, 또는 (2)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배송자 단말기에게 직접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배송자 단말기가, 물류이동이 시작된 이후, 상기 최단거리가 상기 미리 결정된 제1값 이하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 현재의 지구위치를 획득하여, 상기 현재의 지구위치와 상기 배송 목적지의 위치 간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제2값 이하이거나 또는 소정의 시간 이내에 상기 제2값 이하가 될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제1배송물을 상기 배송 목적지에 하차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배송 목적지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제1배송물을 상기 배송 목적지에 하차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1 IoT 장치에게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IoT 장치가, 상기 제1배송물을 상기 배송 목적지에 하차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배송자가 상기 제1배송물을 쉽게 식별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1 IoT 장치의 출력부를 통해 제2안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IoT 기반의 물류배송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자 단말기가, 상기 물류이동이 시작된 이후, 현재의 지구위치를 획득하여, 상기 현재의 지구위치와 상기 배송 목적지의 위치 간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제2값 이하가 되었다가 다시 상기 제2값 이상으로 멀어진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제1배송물을 상기 배송 목적지에 하차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1 IoT 장치에게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IoT 장치가, 상기 제1배송물을 상기 배송 목적지에 하차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1 IoT 장치의 출력부를 통해 상기 제2안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중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IoT 기반의 물류배송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너가, 제1 IoT 장치의 식별자인 제1 ID를 상기 제1 IoT 장치로부터 획득하는 것은,
    상기 스캐너가 상기 제1 IoT 장치로부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제1 ID를 수신함으로써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스캐너가 상기 제1 IoT 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출된 아이콘을 광학 스캔함으로써 상기 제1 ID를 획득함으로써 이루어지는,
    IoT 기반의 물류배송방법.
KR1020180014048A 2018-02-05 2018-02-05 IoT 기반의 물류배송방법 KR102047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048A KR102047048B1 (ko) 2018-02-05 2018-02-05 IoT 기반의 물류배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048A KR102047048B1 (ko) 2018-02-05 2018-02-05 IoT 기반의 물류배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0492A KR20190100492A (ko) 2019-08-29
KR102047048B1 true KR102047048B1 (ko) 2019-11-20

Family

ID=67775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048A KR102047048B1 (ko) 2018-02-05 2018-02-05 IoT 기반의 물류배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70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8167A (ko) 2021-07-29 2023-02-07 씨제이대한통운 (주) 소터를 포함하는 물류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물류 처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2163B1 (ko) * 2020-09-28 2023-02-20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IoT 장치 기반의 물류배송방법 및 이를 위한 IoT 장치
KR20230041278A (ko) * 2021-09-17 2023-03-24 주식회사 딜리버스 물품의 운반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30144153A (ko) 2022-04-06 2023-10-16 주식회사 이테크놀리지 IoT기술을 이용한 근거리 물류 배송시스템
KR102578798B1 (ko) * 2023-03-15 2023-09-14 메타솔루션 주식회사 운송자를 경제적으로 보호하고, 상기 운송자의 안전 운행을 유도하고, 제품 소유자의 운송 스케줄을 보장하며, 제품의 안전을 보증할 수 있는 제품 운송 관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39734A (ja) * 2006-06-16 2009-11-19 フェデラル エクスプレス コーポレイション センサウェブを使用して物品を追跡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063B1 (ko) * 2012-09-05 2014-11-13 김동석 택배화물 배송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39734A (ja) * 2006-06-16 2009-11-19 フェデラル エクスプレス コーポレイション センサウェブを使用して物品を追跡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8167A (ko) 2021-07-29 2023-02-07 씨제이대한통운 (주) 소터를 포함하는 물류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물류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0492A (ko) 2019-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7048B1 (ko) IoT 기반의 물류배송방법
US20200333785A1 (en) Autonomously delivering items to corresponding delivery locations proximate a delivery route
US20230336610A1 (en) Location-based pick up and delivery services
US10883843B2 (en) Method for remotely identifying one of a passenger and an assigned vehicle to the other
US9905100B2 (en) Remote initiation of interaction by a computing entity
JP4559452B2 (ja) 物流管理方法及び物流管理システム
US20110258135A1 (en) Method for Planning the Travel Route of A Transport Vehicle, Transport Vehicle
US11829927B2 (en) Remote initiation of interaction by a computing entity
KR101461063B1 (ko) 택배화물 배송시스템
KR101955527B1 (ko) 배송기사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10535040B2 (en) Product movement and distribution systems and methods
US20090045924A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For Freight Carriers
US11386475B2 (en) Mail-order system
KR20200112266A (ko) 배송 서비스 시스템
KR102299328B1 (ko) Tms 기반 통합 물류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4768198B2 (ja) 物流管理方法、物流管理システム、荷札
JP2019074926A (ja)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管理装置、無人運転装置およびサーバ
JP2013075742A (ja) 荷物配送システム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20210295245A1 (en) Management device, management method, and storage medium
WO2017120281A1 (en) Systems and methods of consolidating product orders
CN111105182A (zh) 利用客户协助手递包裹的运输系统以及方法
KR101553674B1 (ko) 지하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
KR20200112265A (ko) 배송 서비스 시스템
US11568359B2 (en) Management device,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US10891879B1 (en) Repurposed packa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