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0731A - 자동차 내장 부품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내장 부품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0731A
KR20210030731A KR1020190112247A KR20190112247A KR20210030731A KR 20210030731 A KR20210030731 A KR 20210030731A KR 1020190112247 A KR1020190112247 A KR 1020190112247A KR 20190112247 A KR20190112247 A KR 20190112247A KR 20210030731 A KR20210030731 A KR 20210030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aterial layer
surface material
interior parts
illumination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2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균
최연욱
강대인
손정일
이현석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90112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0731A/ko
Publication of KR20210030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7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1/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08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wood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34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8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소재를 포함하면서, 조명 기능 및 터치 기능 구현이 가능한 자동차 내장 부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내장 부품 및 그 제조방법{interior parts for ve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리얼우드 또는 카본을 포함하는 자동차 내장 부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명을 투과시키고, 터치 센싱이 가능한 자동차 내장 부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리얼우드 자동차 내장 부품은 천연 나무의 질감과 촉감 등을 구현함으로써 자동차 내장 부품의 외관을 화려하게 하고 고급스러움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어 최고급 사양의 자동차 내장재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또한, 친환경 트랜드에 따라 이에 부합하는 소재로서 리얼 우드 등이 각광받음에 따라 자동차 내장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심미성과 사용성을 모두 중요시하는 현대의 트랜드를 고려하여 조명과 터치 기능까지 구현할 수 있는 자동차 내장재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91941호에서는 무늬목을 적용한 차량 내장재용 리얼우드 필름 및 이를 적용한 리얼우드 사출물 제조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는 리얼우드의 감촉 및 외관을 완벽히 구현하는 효과만 있을 뿐, 조명을 적용하거나 터치 기능을 적용하는 것에 대해 전혀 개시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리얼우드, 카본 등의 천연 소재를 적용한 자동차 내장 부품에 조명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미감을 향상시키고, 천연 소재 표면에 조명이 투과함으로써 문자 등의 시인성을 높이고, 고급스러움과 화려함을 동시에 제공하는 것을 해결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차 내장 부품의 천연 소재 외관에서 터치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기술적으로 향상된 기능을 제공함과 동시에, 별도의 물리적 스위치나 버튼을 구비하지 않음으로써 외관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터치를 통해 조명이나 오디오 등의 다양한 기능이 작동되도록 하는 것을 해결 과제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자동차 내장 부품은, 제1 패널 하부에 제2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패널은 코팅층, 표면재층, 수지층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패널은 터치센서층을 포함하고,
상기 표면재층은 조명투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패널은 터치센서층의 하부에 조명 및 터치모듈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명 투영부의 두께는 상기 표면재층의 두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명 투영부의 두께는 상기 표면재층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명 투영부의 하면과 상기 표면재층의 하면의 높이가 일치하고, 상기 조명투영부의 상면은 상기 표면재층의 상면 보다 아래에 형성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명 투영부의 상면과 상기 표면재층의 상면의 높이와 일치하고, 상기 조명투영부의 하면은 상기 표면재층의 하면 보다 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면재층은 리얼 우드 또는 리얼 카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명투영부는 상기 코팅층 또는 수지층의 소재와 동일한 소재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지층의 소재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글리콜 및 폴리카보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터치센서층은 전극 및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 부품의 제조방법은, (a) 천연 소재를 포함하는 표면재층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표면재층의 일부에 에칭 또는 레이저 식각을 통하여 조명 투영부를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표면재층을 인서트 사출하여 상기 표면재층의 하부에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표면재층 상부에 코팅층을 형성하여 제1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 (e) 상기 제1 패널의 하부에 터치센서층을 포함하는 제2 패널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패널은 터치센서층의 하부에 조명 및 터치모듈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차 내장 부품은 천연 소재를 표면재로 사용함으로써 천연 소재의 질감과 촉감을 그대로 구현함과 동시에, 천연 소재의 외부로 조명이 투과함으로써 문자, 그림, 기호 등의 형상으로 발광하여 상기 형상의 시인성 및 가독성이 우수하고, 정보 전달이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차 내장 부품은 터치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별도의 물리적 버튼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나아가, 터치 기능을 통하여 상기 조명을 작동시키거나, 오디오 등의 자동차에서 작동 가능한 다양한 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차 내장 부품은 조명 투영부를 오픈 타입 또는 히든 타입으로 구현할 수 있고, 히든 타입의 경우에는 자동차 내장 부품의 외부에서 문자나 디자인 등이 노출되지 않아 외관이 깔끔하고 고급스러운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 부품의 오픈 타입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 부품의 히든 타입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오픈타입 자동차 내장 부품의 (a) 조명이 꺼진 상태 및 (b) 조명이 켜진 상태에서의 조명투영부의 육안 식별 정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히든타입 자동차 내장 부품의 (a) 조명이 꺼진 상태 및 (b) 조명이 켜진 상태에서의 조명투영부의 육안 식별 정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며,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을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자동차 내장 부품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 부품은 천연 소재로 표면재층을 형성함으로써 자연적인 무늬 및 질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표면재층에 조명투영부를 형성함으로써 조명이 투과하여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 때, 상기 조명투영부는 표면재층의 에칭 또는 식각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상기 표면재층과 다른 재질을 포함할 수 있어 조명이 꺼진 경우에도 외부에서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하며, 이를 '오픈 타입'자동차 내장 부품이라 칭한다. 이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오픈 타입과 달리, 조명투영부 형성시 표면재층의 에칭 또는 식각의 위치 및 깊이를 달리하여 조명이 꺼진 경우에는 조명투영부가 외부에서 육안으로 식별되지 않도록 하는 경우를 '히든 타입'자동차 내장 부품이라 칭한다. 이는 도 4에 개시되어 있고, 조명이 꺼진 상태에서 조명투영부가 외부에서 육안으로 식별되지 않는 경우(도 4의 아래) 및 조명 투영부가 외부에서 육안으로 희미하게 식별되는 경우(도 4의 위)의 경우를 모두 히든타입이라 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 부품이 오픈 타입인 경우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 부품은 제1 패널(100) 및 제2 패널(200)을 포함하고, 제1 패널(100)의 하부에 제 2 패널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1 패널(100) 및 제2 패널(200)은 끼워 맞추거나 단순 적층이 가능하다. 제1 패널 (100) 및 제2 패널(200)은 접합되어 일체를 이룰 수 있고, 이 경우 제1 패널(100)과 제2 패널(200) 사이에 공지의 점착 수단을 포함하는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널 (100)과 제2 패널(200)은 탈착(脫着)이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패널(100)의 하부에 홈이 형성되어 있고, 제2 패널(200)은 상기 홈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끼워 맞춤이 가능하다. 제2 패널(20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터치 센서와 광원 등을 포함하므로 적절한 기능 및/또는 성능을 갖는 제2 패널(200)을 제1 패널(100)과 결합하여 자동차 내장재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1 패널(100)은 코팅층(110), 표면재층(120), 수지층(130210을 포함하고, 상기 표면재층(120)은 조명 투영부(121)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코팅층(110)의 배면에 표면재층(120), 표면재층(120)의 배면에 수지층(130)21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상기 코팅층(110), 표면재층(120) 및 수지층(130) 의 각 층간에는 공지된 접착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접착수단에 의해 코팅층(110), 표면재층(120) 및, 수지층(130) 의 층간이 일부 또는 전부 접착될 수 있다.
상기 표면재층(120) 및 수지층(130)의 사이에는 부직포층(도면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층(110)은 표면재층(120)의 상면에 형성되어 표면재층(120)을 보호한다.
상기 코팅층(110)은 표면재층(120)을 보호할 수 있고, 그 상부로 광 전달이 가능한 것이라면 통상적으로 코팅층에 사용하는 어떠한 재질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바람직하게는 표면재층(120)의 천연 소재의 무늬와 질감이 가려지지 않도록 투명한 소재일 수 있고, 유광 또는 무광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그 예로는 폴리우레탄수지 등이 있다.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0.1 내지 0.8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층의 두께가 0.1mm 미만인 경우 입체감이 떨어질 수 있고, 상기 코팅층의 두께가 0.8mm를 초과하는 경우 필요 이상의 과량의 사용으로 재료 소모가 상당하여 비용상의 부담이 따를 수 있고, 자동차 내장 부품의 전체 두께에 영향을 준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재층(120)은 코팅층(110)의 배면에 형성된다. 상기 표면재층(120)은 천연 소재를 포함한다. 상기 천연 소재는 자연에서 얻은 재료로서 본 발명에서는 그 종류를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으며, 천연 소재는 인공적으로 가공되지 않은 특유의 무늬, 질감, 색, 냄새 등을 가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천연 소재는 리얼 우드 또는 리얼 카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재층(120)의 두께는 제품 특성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여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표면재층의 두께는 0.7 내지 0.9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0.9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재층의 두께가 0.7 mm 미만인 경우에는 조명투영부(121) 형성이 어렵거나 취급이 어렵고, 천연 소재의 질감 및 깊이감을 나타내기 어려우며, 0.9 mm 초과인 경우에는 천연 소재 사용에 따라 비용이 증가하고, 조명투영부(121) 형성시 에칭 또는 레이져 식각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상기 표면재층(120)은 그 일부에 조명투영부(121)를 포함한다. 상기 조명 투영부(121)는 표면재층(120)의 일부를 에칭 또는 레이져 식각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자동차 내장 부품에 조사되는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하는 영역이다.
상기 조명투영부(121)는 문자, 그림, 기호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빛을 투과시키고자 하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조명투영부(121)를 터치시 후술하는 터치 기능이 작동하여 조명을 켜고 끄는 작동이 가능하고, 오디오, 에어컨 과 같은 기기를 작동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는 버튼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에는 제한이 없으며, 종래 자동차 내부에서 물리적 버튼, 정전식 버튼, 감압식 버튼, 터치스크린, 음성 제어, 원격 제어 등으로 조작할 수 있는 기능이라면 제한 없이 적용이 가능하다.
도 1과 같은 본 발명의 오픈 타입 자동차 내장 부품의 경우, 표면재층(120)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도록 조명투영부(121)가 형성된다. 즉, 조명투영부(121)의 두께는 상기 표면재층(120)의 두께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조명투영부(121)의 상면에 바로 코팅층(110)이 위치하게 되므로 투명한 코팅층을 통해 외부에서 조명투영부(121)를 육안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히든 타입 자동차 내장 부품을 나타낸다. 히든 타입의 경우 조영투영부(121) 깊이, 즉 조명투영부의 두께는 표면재층(120)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에칭 또는 레이져 식각에 의해 형성되는 조명투영부(121)의 깊이는 표면재층(120)의 두께와 같지 않고 이보다 작다.
도 2(a)의 경우, 조명투영부(121)의 하면과 상기 표면재층(120)의 하면의 높이가 일치하고, 상기 조명투영부의 상면은 상기 표면재층의 상면 보다 아래에 형성된다. 즉, 조명투영부(121)는 표면재층(120)의 하면부터 형성되어, 표면재층(120)의 상면에는 미치지 못하고, 표면재층(120)의 일부가 에칭 또는 레이져로 식각되지 않은 채 조명투영부의 상면에 얇은 두께로 남아 있다. 표면재층이 조명투영부의 상면에 매우 얇은 두께로 남아 있기 때문에 조명을 통과시키는데 영향을 주지 않으며, 상기 두께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조명이 꺼진 상태에서는 자동차 내장 부품(100)의 외부에서 조명투영부(121)의 형상이 육안으로 관찰되지 않아 깔끔하고 고급스러운 외관을 갖는다.
도 2(b)의 경우, 상기 조명투영부(121)는 상면과 상기 표면재층(120)의 상면의 높이와 일치하고, 상기 조명투영부(121)의 하면은 상기 표면재층(120)의 하면 보다 위에 형성된다. 즉, 조명투영부(121)는 표면재층(121)의 상면부터 형성되어, 표면재층(120)의 하면에는 미치지 못하고, 표면재층(120)의 일부가 에칭 또는 레이져로 식각되지 않은 채 조명투영부의 하면에 얇은 두께로 남아 있다. 표면재층이 조명투영부의 하면에 매우 얇은 두께로 남아 있기 때문에 조명을 통과시키는데 영향을 주지 않으며, 표면재층의 무늬가 외부에서 육안으로 인식될 수 있다. 상기 두께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조명이 꺼진 상태에서는 자동차 내장 부품(100)의 외부에서 조명투영부(121)의 형상이 육안으로 관찰되지 않거나 매우 흐리게 관찰되어 멀리서 볼 때 외관이 깔끔하고 고급스럽지만, 도 2(a)에 비해 터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버튼 역할을 하는 조명투영부(121)를 좀 더 쉽게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에칭 또는 레이져로 식각되지 않은 채 남아있는 표면재층(120)의 두께, 즉, 도 2(a)에서 조명투영부(121)의 상면부터 표면재층(120)의 상면까지의 길이 및 도 2(b)에서 조명투영부(121)의 하면부터 표면재층(120)의 하면까지의 길이는 0.3 mm 내지 0.5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0.3mm 미만인 경우 오픈 타입 자동차 내장 부품과 다를 바 없이 조명투영부(121)의 은폐 효과가 없고, 인서트 사출시 찢어질 수 있으며, 0.5mm 초과인 경우 조명이 표면재층(120)을 투과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자동차 내장 부품은 표면재층(120)의 상면의 코팅층(110) 및 하면의 수지층(130)은 모두 투명하거나 반투명하여 조명을 투과시킬수 있으므로, 표면재층(120)과 달리 조명투영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고, 표면재층(120)의 일부에만 표면재층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은 깊이를 갖는 조명투영부(121)를 형성함으로써 조명을 투과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투영부(121)는 표면재층(120)이 에칭 또는 레이져 식각에 의해 제거된 부분이므로, 수지층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코팅층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a)의 경우에는 표면재층(120)의 하면에 형성되는 수지층(130)의 소재가 조명투영부(121)에 충전(充塡)될 수 있다. 도 2(b)의 경우에는 표면재층(120)의 상면에 형성되는 코팅층(110)의 소재가 조명투영부(121)에 충전(充塡)될 수 있다. 이 때, 조명투영부(121)에 충전되는 성분은 빛을 투과시키기에 알맞은 재질이라면 제한이 없고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으며, 공지의 물질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조명 투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표면재층(120)과 수지층(130) 사이에 부직포층(도면 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층은 표면재층(120)과 샌드위치 된 후 프레스를 통해 포밍될 수 있다. 부직포층은 인서트 사출시에 표면재층(120)의 표면으로 수지가 사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표면재층(120)과 수지층(130)간 접착을 용이하게 하여 층분리가 일어나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부직포층은 표면재층(120)의 두께를 보강하여 표면재층(120)의 깨짐 등의 물성을 개선할 수 있고, 컬러 작업 등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부직포층은 각각의 부직포의 두께가 0.1 내지 0.4mm 인 것을 1장 또는 2장 이상 적층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층은 두께가 0.1 내지 0.4mm 일 수 있다. 두께가 0.1mm 미만인 경우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고, 두께가 0.4mm 초과인 경우 상부로의 광 전달이 미흡할 수 있으므로 상기 부직포층은 0.1 내지 0.4mm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0.2 내지 0.3mm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부직포층은 프레스 후의 전체 두께가 0.2 내지 0.6mm 인 것이 바람직하나, 제품의 특성에 맞도록 제한 없이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층은 프레스 후의 전체 두께가 0.2 내지 0.6mm 인 경우 자동차 내장 부품의 내구성 등의 물성이 우수하다.
상기 표면재층(120)과 상기 부직포층 사이에는 글루시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글루시트는 표면재층과 부직포층의 접착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부직포에의 표면재층 적층 고정이 안정되게 한다. 상기 글루시트는 광을 투과시키기 위하여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고, 에폭시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폴리에스터계, 아크릴레이트계,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아미드계, 합성고무계 수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층(130)은 인서트 사출을 통해 형성된다. 상기 수지층(130)은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층(130)은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형성됨으로써 조명이 수지층(130)을 투과하게 되므로 상기 수지층(130)의 상부로 광의 전달이 가능하다.
이 때, 상기 투명 반투명 소재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글리콜 및 폴리카보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투명 또는 반투명한 소재를 필요에 따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글리콜 및 폴리카보네이트는 수지층(130)의 강도, 절연성, 투명도 및 내열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출 성형이 가능하여 다양한 형상으로의 제작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지층(130)은 자동차 내장 부품의 표면을 터치시 터치센서층(210)을 통해 조명 및 터치모듈층(220)에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패널(100)의 두께는 3.3 내지 5.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인 경우 자동차 내장 부품이 가볍고 슬림하면서도 우수한 강도를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두께로 제한 되는 것은 아니며, 자동차의 크기에 따라 자동차 내장재의 크기가 커지거나 작아지도록 두께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2 패널(200)은 터치센서층(21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센서층(210)은 전극 및 센서를 포함하며, 자동차 내장 부품의 표면을 손으로 터치함으로써 작동한다. 상기 터치에 의한 작동 메커니즘은 감압 방식이 될 수도 있고, 정전용량 방식이 될 수도 있다. 감압방식은, 상기 자동차 내장 부품의 표면에, 손가락에 의해 가해진 압력을 감지함으로써 작동되는 방식을 의미하며, 정전용량 방식은, 상기 자동차 내장 부품 의 표면에 특수 전도성 금속, 예를 들면 틴안티모니옥사이드(TAO;Tin Antimony Oxide) 물질을 코팅하여 투명전극을 형성함으로써, 일정량의 전류를 표면에 흐르게 하는 방식이다. 이는 사용되는 제품의 모듈에 맞게 선택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 부품이 어느 하나의 방식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고, 이외에 공지된 모든 메커니즘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상기 터치센서층(210)이 작동하면 조명 및 터치모듈층(220) 내의 터치 모듈에 신호가 전달되어 조명, 오디오, 에어컨 등 자동차에서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이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터치센서층(210)의 두께는 0.5 내지 1.0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치센서층(210)의 배면에 조명 및 터치모듈층(220)이 추가로 적층될 수 있다. 터치센서층(210) 및 터치 모듈층(220)의 층간에 공지의 접착수단을 사용하여 접착시킬 수도 있다.
상기 조명 및 터치모듈층(220)은 조명 및 터치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조명은 광원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일례로 광도 확보가 안정되고 전력소비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차 내장 부품은 상기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과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전달받으며, 상기 광원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터치모듈은 상기 터치센서층(210)으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감지하여 조명, 오디오 등의 기능을 작동하는 것으로서, 공지의 모든 수단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명 및 터치모듈층(220)의 두께는 4.5 내지 5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패널(200)의 두께는 5.0 내지 6.5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인 경우 자동차 내장 부품이 가볍고 슬림하면서도 우수한 강도를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두께로 제한 되는 것은 아니며, 자동차의 크기에 따라 자동차 내장재의 크기가 커지거나 작아지도록 두께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자동차 내장 부품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자동차 내장 부품의 제조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a) 천연 소재를 포함하는 표면재층(120)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표면재층(120)의 일부에 에칭 또는 레이저 식각을 통하여 조명 투영부(121)를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표면재층(120)을 인서트 사출하여 상기 표면재층의 하부에 수지층(130)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표면재층(120) 상부에 코팅층(110)을 형성하여 제1 패널(100)을 형성하는 단계;
(e) 상기 제1 패널(100)의 하부에 터치센서층(210)을 포함하는 제2 패널(200)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a)단계는, 천연 소재인 리얼우드 또는 리얼 카본 등을 가공하여 표면재층(120)을 준비한다. 원목을 여러 겹으로 압축, 코팅하는 가공을 통하여 표면재층(120)을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표면재층(120)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바 생략한다.
상기 (b)단계는, 표면재층(120)의 일부에 문자, 기호, 도형 등의 형상으로 에칭하거나 레이져로 식각하여 조명투영부(121)를 형성한다. 상기 조명투영부(121)의 깊이는 상기 표면재층(12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을 수 있으며, 이는 위에서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c)단계는, 조명투영부(121)가 형성된 표면재층(120)을 사출금형에 투입한 후, 상기 사출금형 내부로 용융 상태의 재료를 주입하여 상기 표면재층(120)의 하부에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의 수지층(130)을 형성하고, 완성된 수지층(130)의 표면을 샌딩한다.
상기 수지층(130)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면 통상의 인서트 사출 방식을 사용할 수 있고, 어떠한 구조 및 방식의 것이어도 무방하며, 샌딩 또한 상기 수지층(130)의 표면이나 가장자리 등을 말끔하게 할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수단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 외에 상기 수지층(130)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바 생략한다.
상기 제2 패널(200)은 터치센서층(210)의 하부에 조명 및 터치모듈층(2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 및 터치모듈층(220) 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바 생략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 부품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자동차 내장 부품의 표면에 천연 소재의 질감과 무늬가 표현됨과 동시에, 표면에 조명이 투과하여 발광할 수 있고, 표면을 터치하여 자동차의 기능을 작동할 수 있다.
100: 제1 패널
110: 코팅층
120: 표면재층
130: 수지층
200: 제2 패널
210: 터치센서층
220: 조명 및 터치 모듈층

Claims (12)

  1. 제1 패널 하부에 제2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패널은 코팅층, 표면재층, 수지층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패널은 터치센서층을 포함하고,
    상기 표면재층은 조명투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 부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널은 터치센서층의 하부에 조명 및 터치모듈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 부품.
  3.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투영부의 두께는 상기 표면재층의 두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 부품.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투영부의 두께는 상기 표면재층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 부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투영부의 하면과 상기 표면재층의 하면의 높이가 일치하고, 상기 조명투영부의 상면은 상기 표면재층의 상면 보다 아래에 형성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 부품.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투영부의 상면과 상기 표면재층의 상면의 높이와 일치하고, 상기 조명투영부의 하면은 상기 표면재층의 하면 보다 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 부품.
  7.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재층은 리얼 우드 또는 리얼 카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 부품.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투영부는 상기 코팅층 또는 수지층의 소재와 동일한 소재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 부품.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의 소재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글리콜 및 폴리카보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 부품.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센서층은 전극 및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 부품.
  11. (a) 천연 소재를 포함하는 표면재층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표면재층의 일부에 에칭 또는 레이저 식각을 통하여 조명 투영부를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표면재층을 인서트 사출하여 상기 표면재층의 하부에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표면재층 상부에 코팅층을 형성하여 제1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
    (e) 상기 제1 패널의 하부에 터치센서층을 포함하는 제2 패널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 부품의 제조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널은 터치센서층의 하부에 조명 및 터치모듈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 부품의 제조방법.
KR1020190112247A 2019-09-10 2019-09-10 자동차 내장 부품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307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247A KR20210030731A (ko) 2019-09-10 2019-09-10 자동차 내장 부품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247A KR20210030731A (ko) 2019-09-10 2019-09-10 자동차 내장 부품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731A true KR20210030731A (ko) 2021-03-18

Family

ID=75232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2247A KR20210030731A (ko) 2019-09-10 2019-09-10 자동차 내장 부품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073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34363B (zh) 模制本体及其制造方法
KR101977221B1 (ko)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히든 스위치 구조
US20120133169A1 (en) Glass interior trim member
KR101883080B1 (ko)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JP2014525131A (ja) 発光式調節ノブ
EP1961581A2 (en) Decorative key sheet for pushbutton switches
CN105579938A (zh) 电容式曲面形状触摸面板及其制造方法
KR101854939B1 (ko) 정전용량형 접촉 센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정전용량형 접촉 센서
KR20220079625A (ko) 플라스틱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그리고 플라스틱 부품
JP5180708B2 (ja) 照明式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3510106A (ja) 光源を備える車両内装部品用表皮
US9340167B2 (en) Interior trim part and exterior facing part of a vehicle having an ultrasonic sensor
WO2019225140A1 (ja) 発泡成形品とその製造方法
EP3565717B1 (en) Vehicle interior component
JP2018069725A (ja) Elシートを含むフォーム層一体射出成形の構造及び方法
CN111660632B (zh) 装饰片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CN113597593A (zh) 车辆控制设备及其制造方法
JP4780712B2 (ja) 多層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KR20210030731A (ko) 자동차 내장 부품 및 그 제조방법
JP2023510098A (ja) 操作要素を含む車両内装トリム部品用表皮
CN112873464A (zh) 木质装饰板及其制造方法、成形品及其制造方法
CN219677103U (zh) 智能内饰浮雕触控透光按键
CN114347919A (zh) 一种装饰与发光一体化汽车外饰件
JP4268378B2 (ja) 射出成形同時加飾方法
CN219295323U (zh) 一种智能表面、车辆的中控台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