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4939B1 - 정전용량형 접촉 센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정전용량형 접촉 센서 - Google Patents

정전용량형 접촉 센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정전용량형 접촉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4939B1
KR101854939B1 KR1020137004858A KR20137004858A KR101854939B1 KR 101854939 B1 KR101854939 B1 KR 101854939B1 KR 1020137004858 A KR1020137004858 A KR 1020137004858A KR 20137004858 A KR20137004858 A KR 20137004858A KR 101854939 B1 KR101854939 B1 KR 101854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film
cavity
carrier plate
sidewall
sensor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4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0928A (ko
Inventor
페터 볼테
틸 피에글러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010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0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4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4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26Measuring inductance or capacitance; Measuring quality factor, e.g. by using the resonance method; Measuring loss factor; Measuring dielectric constants ; Measuring impedance or related variables
    • G01R27/2605Measuring capacitanc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Capacitive touch switches
    • H03K17/9622Capacitive touch switches using a plurality of detectors, e.g. key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maintenance of measuring instruments, e.g. of probe t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3Touch sensitive instrument input devices
    • B60K2360/1446Touch switch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7Capacitive touch switches
    • H03K2217/960755Constructional details of capacitive touch and proximity switch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캐리어 플레이트(4)를 구비하고, 그 전방 표면(7)은 접촉된 때 스위칭 과정을 개시하며, 그 후방 표면은 이것 상에 배치되는 그리고 전도체를 통해 분석 전자 장치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정전용량형 센서 전극을 구비하는, 정전용량형 접촉 센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정전용량형 접촉 센서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센서 전극에 대향되게 놓이는 캐리어 플레이트(4)의 전방 표면(7)상의 영역이 접촉 구역(5)을 형성한다. 센서 전극 및 전도체를 지지하는 플라스틱 필름(1)이 사출 성형 공구의 캐비티의 제1 측벽 상에 배치되고, 센서 전극이 제1 측벽을 향하며, 이어서 캐리어 플레이트(4)를 형성하는 폴리카보네이트가 센서 전극의 반대쪽을 향하는 플라스틱 필름(1) 측에서 캐비티 내로 주입된다. 이어서 캐비티가 확장되어, 플라스틱 필름(1)의 반대쪽을 향하는 측에 갭을 형성하고, 접촉 영역에서 폴리카보네이트와 반응하는 그리고 내스크래치성 코팅(3)을 형성하는 다른 플라스틱이 갭에 주입된다.

Description

정전용량형 접촉 센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정전용량형 접촉 센서{METHOD FOR PRODUCING A CAPACITIVE CONTACT SENSOR AND CAPACITIVE CONTACT SENSOR}
본 발명은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 캐리어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그 전방 표면과 접촉함으로써 스위칭 과정이 개시가능하며, 전도체 트랙을 통해 평가 전자 장치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정전용량형 센서 전극이 그 후방 표면상에 배치되고, 센서 전극에 대향되게 놓이는 캐리어 플레이트의 전방 표면상의 영역이 접촉 구역을 형성하는, 정전용량형 접촉 센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정전용량형 접촉 센서의 경우에, 캐리어 플레이트를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하고, 전면에 바니시(varnish)를 제공하며, 정전용량형 센서 전극을 후면 상에 접착 접합시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들 접촉 센서의 제조는 개별 구성요소를 서로 연결시키기 위해 복잡하게 복수의 접합 및 장착 공정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품질의 간단히 구성된 접촉 센서가 간단한 제조 공정으로 제조가능한, 정전용량형 접촉 센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과 정전용량형 접촉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 전극 및 전도체 트랙을 갖춘 플라스틱 필름이 사출 성형 공구의 캐비티의 제1 측벽 상에 배치되되, 센서 전극이 제1 측벽을 향해 지향되는 상태로 배치되고, 이어서 캐리어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폴리카보네이트(PC)가 센서 전극의 반대쪽을 향하는 플라스틱 필름 측에서 캐비티 내로 주입되며, 캐비티는 이어서 플라스틱 필름의 반대쪽을 향하는 측에 갭을 형성하기 위해 넓혀지고, 접촉 영역에서 폴리카보네이트(PC)와 반응하는 그리고 내스크래치성 코팅을 형성하는 다른 플라스틱이 갭에 주입되며, 또는 플라스틱 필름과 캐리어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구성요소가 캐비티로부터 제거되고 제2 캐비티 내에 배치되며, 이어서 플라스틱 필름의 반대쪽을 향하는 측에서 제2 캐비티 내에 갭이 형성되고, 접촉 영역에서 폴리카보네이트와 반응하는 그리고 내스크래치성 코팅을 형성하는 다른 플라스틱이 갭에 주입된다는 점에서 달성된다.
상기한 목적의 다른 해법은 센서 전극 및 전도체 트랙을 갖춘 플라스틱 필름이 사출 성형 공구의 캐비티의 제1 측벽 상에 배치되되, 센서 전극이 제1 측벽을 향해 지향되는 상태로 배치되고, 플라스틱 필름은 센서 전극의 반대쪽을 향하는 그 면상에 접착 증진제 층을 구비하며, 이어서 캐리어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가 센서 전극의 반대쪽을 향하는 플라스틱 필름 측에서 캐비티 내로 주입되고, 캐비티는 이어서 플라스틱 필름의 반대쪽을 향하는 측에 갭을 형성하기 위해 넓혀지고, 접촉 영역에서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에 재료 적합성을 갖고서 연결되는 그리고 내스크래치성 코팅을 형성하는 다른 플라스틱이 갭에 주입되며, 또는 플라스틱 필름과 캐리어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구성요소가 캐비티로부터 제거되고 제2 캐비티 내에 배치되며, 이어서 플라스틱 필름의 반대쪽을 향하는 측에서 제2 캐비티 내에 갭이 형성되고, 접촉 영역에서 캐리어 플레이트의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에 재료 적합성을 갖고서 연결되는 그리고 내스크래치성 코팅을 형성하는 다른 플라스틱이 갭에 주입된다는 것에 있다.
캐리어 플레이트를 플라스틱 필름상에 사출함으로써, 캐리어 플레이트에 대한 센서 전극의 연결이 별개의 장착 공정 없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플라스틱 필름은 센서 전극을 캐비티 내에 정확하게 배치하기 위해 취급하기 쉬운 캐리어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이중 기능으로 센서 전극을 고압으로 캐비티 내로 주입된 캐리어 플레이트 플라스틱으로 인한 캐비티 내에서의 그 위치의 변위 및 손상으로부터 보호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내스크래치성 코팅의 도포는 캐리어 플레이트를 캐비티로부터 제거하지 않고서, 단지 캐비티를 넓혀 주입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캐리어 플레이트의 높은 열간-성형 안정성은 실질적으로 왜곡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접촉 센서의 높은 치수 유지로 이어진다.
이와 동시에, PC로 구성되는 캐리어 플레이트는 분열되지 않아, 접촉 센서는 차량 내의 헤드 임팩트 영역(head impact region) 내에서도 제어 패널로서 사용될 수 있다.
PMMA로 구성되는 캐리어 플레이트의 경우에, 놀랍게도 PMMA의 본질적으로 불량한 파괴 특성이 접착 증진제 층에 의해 현저히 개선될 수 있어, 이 경우에도 또한 접촉 센서가 차량 내의 헤드 임팩트 영역 내에서도 제어 패널로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개별 제조 단계 사이에서의 부품의 별개의 취급이 배제되기 때문에, 수송 및 중간 저장으로 인한 구성요소의 오염 및 손상의 위험이 또한 최소화되며, 이는 품질 향상을 의미한다.
플라스틱 필름이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일 때 플라스틱 필름과 캐리어 플레이트의 우수한 연결이 달성된다.
내스크래치성 코팅을 형성하는 다른 플라스틱이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이면, 그것은 또한 내스크래치성에 더하여 화학적 안정성을 갖는다.
반응 시스템에 의한 폴리카보네이트와 PMMA의 반응에 의해, 2-성분 접착제와 유사한 방식으로, 반응 후 이들 두 재료 사이의 견고한 연결이 이루어져, 실질적으로 열경화성 수지를 형성한다.
캐비티의 제1 측벽에 대향되게 놓이는 캐비티의 제2 측벽이 전체적으로 또는 국소적으로 표면 구조를 가지면, 접촉 센서의 작동 표면은 어떠한 추가적인 비용 없이 대응하는 표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예를 들어, 작동 표면을 완전히 커버하는 소정 광택도, 또는 작동 표면의 부분적으로 상이한 광택도가 어떠한 특별한 비용 없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표면 구조는 침식된 구조 또는 에칭된 구조일 수 있다.
그러나, 표면 구조가 광의 파장보다 작은 돌출부를 포함하는 나노구조인 것도 또한 가능하다.
이는 간단하게 캐리어 플레이트의 제조 공정으로 반사-감소 표면으로 이어지며, 이는 또한 쉬운 세정성("세정하기 쉬움") 또는 심지어 지문의 낮은 가시성("지문 방지")을 가져올 수 있다.
캐비티의 제1 측벽에 대향되게 놓이는 캐비티의 제2 측벽이 하나 이상의 함몰된 또는 융기된 영역을 포함하면, 촉각 보조물 또는 촉각 요소로서 사용될 수 있는 융기부 및 함몰부가 접촉 센서의 작동 표면상에 생성될 수 있다.
함몰부, 융기부 또는 융기부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이 접촉 구역의 영역일 수 있다.
플라스틱 필름이 투명 플라스틱 필름일 수 있어, 접촉 센서가 투과적으로 조명될 수 있다.
플라스틱 필름 및/또는 캐리어 플레이트가 착색되면, 장식 특성이 접촉 센서에 부여된다.
또한, 제1 측벽을 향하는 플라스틱 필름 측에 기호 및/또는 심볼 및/또는 장식이 배치될 수 있고, 캐리어 플레이트는 투명 PC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플라스틱 필름에 의해, 인쇄될 수 있는 기호, 심볼 및 장식이 캐리어 플레이트의 플라스틱이 캐비티 내로 주입된 때 캐리어 플레이트의 플라스틱에 의해 씻겨 없어지고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된다.
센서 전극이 투명 센서 전극이면 접촉 센서를 통한 조명이 훼손되지 않는다.
캐비티의 제1 측벽 및/또는 제2 측벽이 공간적으로 만곡된 형상 및/또는 평면으로부터 공간적으로 벗어나는 영역을 구비하면 공간 구성 자유도가 추가의 비용 없이 달성된다.
이 경우에, 플라스틱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제1 측벽에 맞추어진 형상을 갖는 딥 드로잉된 플라스틱 필름이다.
특허청구범위 제1항 내지 제13항의 특징의 이점은 또한 특허청구범위 제14항 내지 제19항의 특징을 갖는 정전용량형 접촉 센서에 상응하게 적용된다.
평가 전자 장치가 센서 전극 및 전도체 트랙을 갖춘 플라스틱 필름 측에 배치되면, 플라스틱 필름은 또한 이미 언급된 기능에 더하여 평가 전자 장치를 위한 캐리어 구성요소의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가 도면에 도시되고,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품질의 간단히 구성된 접촉 센서가 간단한 제조 공정으로 제조가능한, 정전용량형 접촉 센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과 정전용량형 접촉 센서가 제공된다.
도 1은 정전용량형 접촉 센서의 제1 예시적 실시 형태의 정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접촉 센서를 통한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접촉 센서의 확대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접촉 센서의 아래로부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정전용량형 접촉 센서의 제2 예시적 실시 형태의 정면 사시도의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접촉 센서의 확대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5에 따른 접촉 센서의 아래로부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은 정전용량형 접촉 센서의 제3 예시적 실시 형태의 정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는 정전용량형 접촉 센서의 제4 예시적 실시 형태의 측면 사시도의 확대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정전용량형 접촉 센서의 제5 예시적 실시 형태의 정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정전용량형 접촉 센서의 제6 예시적 실시 형태의 정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도 11에 따른 접촉 센서의 아래로부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도 11의 제1 확대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도 11의 제2 확대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면에 나타낸 정전용량형 접촉 센서는 투명 폴리카보네이트(PC)로 구성되는 플라스틱 필름(1)을 구비하며, 이러한 플라스틱 필름의 하면 상에 정전용량형 센서 전극(미도시)이 적용된다.
투명 또는 불투명 폴리카보네이트(PC)의 플레이트(2)가 센서 전극의 반대쪽을 향하는 플라스틱 필름(1)의 상면 상에 사출 성형 방법으로 사출된다.
폴리카보네이트와 반응하는 그리고 대략 15 ㎛ 내지 280 ㎛의 두께를 갖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의 투명 내스크래치성(scratchproof) 코팅(3)이 플라스틱 필름(1)에 대향된 측에서 플레이트(2)의 폴리카보네이트(PC) 상에 사출된다.
플레이트(2)와 코팅(3)은 캐리어 플레이트(4, 4', 4", 4"', 4"")를 형성한다.
센서 전극과 상응하게, 접촉 구역(5, 5', 5")이 감지 영역으로서 캐리어 플레이트(2)의 전방 표면(7) 상에 형성된다.
충분히 큰 전도체, 예를 들어 사람 손가락이 접촉 구역(5, 5', 5")에 근접하게, 따라서 접촉 구역(5, 5', 5")에 할당된 센서 전극에 근접하게 위치됨으로써 스위칭 기능이 개시된다.
생성된 스위칭 신호는 플라스틱 필름(1) 상에 배치되는 전도체 트랙(미도시)을 통해 평가 전자 장치로 전달된다.
이를 위해, 플라스틱 필름(1)은 가요성 연결부(6)로 캐리어 플레이트(4, 4', 4", 4"', 4"")를 넘어 연장되고, 평가 전자 장치를 갖춘 인쇄 회로 기판(미도시)으로 이어진다.
도 1 내지 도 7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는, 캐리어 플레이트(4)의 평탄한 전방 표면(7)을 갖춘 접촉 구역(5) 및 전방 표면(7) 상에 함몰부(8)로서 형성되는 접촉 구역(5') 둘 모두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 캐리어 플레이트(4)는 함몰부(8)를 제외하고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다.
도 4 내지 도 7에서, 캐리어 플레이트(4')와 플라스틱 필름(1)은 함몰부(8)에 맞추어져, 캐리어 플레이트(4')는 예외없이 일정한 두께를 갖는다.
도 8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는 평탄한 전방 표면(7)을 갖춘 캐리어 플레이트(4")를 구비하며, 2열의 접촉 구역(5)이 가는 선으로 표시된다.
2열의 접촉 구역(5) 사이에, 디스플레이 영역(9)이 마찬가지로 가는 선으로 표시된다.
플라스틱 필름(1)과 캐리어 플레이트(4")가 투명하기 때문에, 플라스틱 필름(1) 상에 인쇄된 심볼, 기호 및 장식이 투과적으로 조명될 수 있는 접촉 센서의 전면 상에서 보일 수 있다.
그러나, 특히 투과적으로 조명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인 디스플레이를 캐리어 플레이트(4") 후방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배치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도 9에 나타낸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캐리어 플레이트(4"')의 코팅(3)은 구조의 세밀함으로 인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나노구조로 전방 표면(7) 상에 제공된다.
이러한 나노구조는 반사를 감소시키기 위해 그리고 선택적으로는 전방 표면(7)의 지문 방지 특성을 균일하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0 내지 도 14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는 접촉 구역(5') 내의 함몰부(8), 평탄한 전방 표면(7)을 갖춘 일렬의 접촉 구역(5) 및 접촉 구역(5")의 영역 내의 버튼형 융기부(10)를 갖춘 다른 열을 전방 표면(7) 내에 구비하는 캐리어 플레이트(4"")를 도시한다.
평탄한 전방 표면(7)을 갖춘 접촉 구역(5) 사이에, 촉각 보조물로서 엠보싱되는 분리 비드(11)가 전방 표면(7)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1: 플라스틱 필름 2: 플레이트
3: 코팅 4, 4', 4", 4"', 4"": 캐리어 플레이트
5, 5', 5": 접촉 구역 6: 가요성 연결부
7: 전방 표면 8: 함몰부

Claims (19)

  1.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 캐리어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그 전방 표면과 접촉함으로써 스위칭 과정이 개시가능하며, 전도체 트랙을 통해 평가 전자 장치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정전용량형 센서 전극이 그 후방 표면상에 배치되고, 센서 전극에 대향되게 놓이는 캐리어 플레이트의 전방 표면상의 영역이 접촉 구역을 형성하는, 정전용량형 접촉 센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센서 전극 및 전도체 트랙을 갖춘 플라스틱 필름(1)이 사출 성형 공구의 캐비티의 제1 측벽 상에 배치되되, 센서 전극이 제1 측벽을 향해 지향되는 상태로 배치되고, 이어서 캐리어 플레이트(4, 4', 4", 4"', 4"")를 형성하는 폴리카보네이트가 센서 전극의 반대쪽을 향하는 플라스틱 필름(1) 측에서 캐비티 내로 주입되며;
    (a) 캐비티는 이어서 플라스틱 필름(1)의 반대쪽을 향하는 측에 갭을 형성하기 위해 넓혀지고, 접촉 영역에서 폴리카보네이트와 반응하는 그리고 내스크래치성 코팅(3)을 형성하는 다른 플라스틱이 갭에 주입되는 것, 및
    (b) 플라스틱 필름과 캐리어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구성요소가 캐비티로부터 제거되고 제2 캐비티 내에 배치되며, 이어서 플라스틱 필름의 반대쪽을 향하는 측에서 제2 캐비티 내에 갭이 형성되고, 접촉 영역에서 폴리카보네이트와 반응하는 그리고 내스크래치성 코팅을 형성하는 다른 플라스틱이 갭에 주입되는 것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형 접촉 센서 제조 방법.
  2.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 캐리어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그 전방 표면과 접촉함으로써 스위칭 과정이 개시가능하며, 전도체 트랙을 통해 평가 전자 장치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정전용량형 센서 전극이 그 후방 표면상에 배치되고, 센서 전극에 대향되게 놓이는 캐리어 플레이트의 전방 표면상의 영역이 접촉 구역을 형성하는, 정전용량형 접촉 센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센서 전극 및 전도체 트랙을 갖춘 플라스틱 필름이 사출 성형 공구의 캐비티의 제1 측벽 상에 배치되되, 센서 전극이 제1 측벽을 향해 지향되는 상태로 배치되고, 플라스틱 필름은 센서 전극의 반대쪽을 향하는 그 면상에 접착 증진제 층을 구비하며, 이어서 캐리어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가 센서 전극의 반대쪽을 향하는 플라스틱 필름 측에서 캐비티 내로 주입되며;
    (a) 캐비티는 이어서 플라스틱 필름의 반대쪽을 향하는 측에 갭을 형성하기 위해 넓혀지고, 접촉 영역에서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에 연결되는 그리고 내스크래치성 코팅을 형성하는 다른 플라스틱이 갭에 주입되는 것, 및
    (b) 플라스틱 필름과 캐리어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구성요소가 캐비티로부터 제거되고 제2 캐비티 내에 배치되며, 이어서 플라스틱 필름의 반대쪽을 향하는 측에서 제2 캐비티 내에 갭이 형성되고, 접촉 영역에서 캐리어 플레이트의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에 연결되는 그리고 내스크래치성 코팅을 형성하는 다른 플라스틱이 갭에 주입되는 것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형 접촉 센서 제조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필름(1)은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형 접촉 센서 제조 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내스크래치성 코팅(3)을 형성하는 다른 플라스틱은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형 접촉 센서 제조 방법.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캐비티의 제1 측벽에 대향되게 놓이는 캐비티의 제2 측벽은 전체적으로 또는 국소적으로 표면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형 접촉 센서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표면 구조는 침식된 구조 또는 에칭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형 접촉 센서 제조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표면 구조는 광의 파장보다 작은 돌출부를 포함하는 나노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형 접촉 센서 제조 방법.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캐비티의 제1 측벽에 대향되게 놓이는 캐비티의 제2 측벽은 하나 이상의 함몰된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형 접촉 센서 제조 방법.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필름(1)은 투명 플라스틱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형 접촉 센서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제1 측벽을 향하는 플라스틱 필름(1) 측에 기호 및/또는 심볼 및/또는 장식이 배치되고, 캐리어 플레이트(4, 4', 4", 4"', 4"")는 투명 폴리카보네이트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형 접촉 센서 제조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센서 전극은 투명 센서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형 접촉 센서 제조 방법.
  12.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캐비티의 제1 측벽 및/또는 제2 측벽은 공간적으로 만곡된 형상 및/또는 평면으로부터 공간적으로 벗어나는 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형 접촉 센서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필름(1)은 제1 측벽에 맞추어진 형상을 갖는 딥 드로잉된 플라스틱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형 접촉 센서 제조 방법.
  14.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 캐리어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그 전방 표면과 접촉함으로써 스위칭 과정이 개시가능하며, 전도체 트랙을 통해 평가 전자 장치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정전용량형 센서 전극이 그 후방 표면상에 배치되고, 센서 전극에 대향되게 놓이는 캐리어 플레이트의 전방 표면상의 영역이 접촉 구역을 형성하는, 정전용량형 접촉 센서에 있어서,
    플라스틱 필름(1)이 그 일면 상에 센서 전극 및 전도체 트랙을 구비하고, 그 타면 상에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로 구성되는 캐리어 플레이트(4, 4', 4", 4"', 4"")가 주입되며, 재료가 폴리카보네이트와 반응하거나 캐리어 플레이트의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에 연결되는 내스크래치성 코팅(3)이 플라스틱 필름(1)의 반대쪽을 향하는 캐리어 플레이트(4, 4', 4", 4"', 4"") 측에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형 접촉 센서.
  15. 제14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필름(1)은 폴리카보네이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형 접촉 센서.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내스크래치성 코팅(3)은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형 접촉 센서.
  17. 제 14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내스크래치성 코팅(3)은 플라스틱 필름(1)의 반대쪽을 향하는 캐리어 플레이트(4"') 측에서 표면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형 접촉 센서.
  18. 제 14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필름(1)의 반대쪽을 향하는 캐리어 플레이트 측은 하나 이상의 융기부(10, 11) 및/또는 함몰부(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형 접촉 센서.
  19. 제 14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센서 전극 및 전도체 트랙을 갖춘 플라스틱 필름 측에 평가 전자 장치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형 접촉 센서.
KR1020137004858A 2010-07-30 2011-07-19 정전용량형 접촉 센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정전용량형 접촉 센서 KR1018549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32951A DE102010032951A1 (de) 2010-07-30 2010-07-30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apazitiven Berührungssensors sowie kapazitiver Berührungssensor
DE102010032951.7 2010-07-30
PCT/EP2011/062367 WO2012013545A1 (de) 2010-07-30 2011-07-19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apazitiven berührungssensors sowie kapazitiver berührungssens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0928A KR20140010928A (ko) 2014-01-27
KR101854939B1 true KR101854939B1 (ko) 2018-05-04

Family

ID=44543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4858A KR101854939B1 (ko) 2010-07-30 2011-07-19 정전용량형 접촉 센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정전용량형 접촉 센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89257B2 (ko)
EP (1) EP2598975B1 (ko)
KR (1) KR101854939B1 (ko)
CN (1) CN103038735B (ko)
DE (1) DE102010032951A1 (ko)
WO (1) WO20120135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39190T3 (es) 2012-10-15 2017-10-25 Polyic Gmbh & Co. Kg Lámina y cuerpo con una lámina semejante
DE202013100760U1 (de) 2013-02-20 2014-05-22 Eugster/Frismag Ag Kaffeemaschine
DE102013105802B4 (de) * 2013-06-05 2016-09-15 Polylc Gmbh & Co. Kg Folienkörper, Verfahren zum Hinterspritzen eines Folienkörpers und Hinterspritzwerkzeug dazu
FR3006635B1 (fr) * 2013-06-07 2016-10-14 Faurecia Interieur Ind Element de garnissage comprenant au moins un element de detection
DE202014101407U1 (de) * 2014-03-26 2015-06-29 Rehau Ag + Co Profil und elektrische Stromkreisanordnung mit wenigstens einem derartigen Profil
DE102015109549A1 (de) * 2014-06-25 2015-12-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Näherungsschalteranordnung mit einer Furche zwischen benachbarten Näherungssensoren
DE102017218243B3 (de) * 2017-10-12 2019-02-21 Audi Ag Verfahren zum Herstellen zumindest eines Teils einer berührungssensitiven Bedieneinrichtung, berührungssensitive Bedieneinrichtung und Kraftfahrzeug
CN109326221B (zh) * 2018-09-25 2021-09-28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装置和显示装置的触觉反馈显示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22794A1 (en) 2001-11-20 2003-07-03 Caldwell David W. Touch sensor with integrated decoration
US20070031161A1 (en) 2005-08-04 2007-02-08 Iandoli Raymond C Contoured capacitive touch control panel
CN101178630A (zh) 2006-11-09 2008-05-14 胜华科技股份有限公司 触控面板组件及其制造方法
CN101607431A (zh) 2008-06-20 2009-12-23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制造树脂产品的装置和方法
US20100013499A1 (en) 2008-07-18 2010-01-21 Tony Tong In-molded capacitive sensor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36820A1 (de) 1993-10-28 1995-05-04 Dinger Werkzeugbau Gmbh Spritzgußkunststoffummantelter Sensorkörper un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desselben
WO2008131305A1 (en) * 2007-04-20 2008-10-30 Ink-Logix, Llc In-molded capacitive switch
DE102007035455A1 (de) * 2007-07-26 2009-02-05 Diehl Ako Stiftung & Co. Kg Kapazitiver Berührungsschalter
DE102007037680A1 (de) * 2007-08-10 2009-02-12 Volkswagen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artiell mit Endlosfasern verstärkten Spritzgussbauteils und Werkzeugform für das Spritzgießverfahren
DE102008016284A1 (de) * 2008-03-28 2009-10-08 Lic Langmatz Gmbh Vorrichtung zum Auslösen eines Schaltvorgangs insbesondere Anforderungsgerät für eine Verkehrsampe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22794A1 (en) 2001-11-20 2003-07-03 Caldwell David W. Touch sensor with integrated decoration
US20070031161A1 (en) 2005-08-04 2007-02-08 Iandoli Raymond C Contoured capacitive touch control panel
CN101178630A (zh) 2006-11-09 2008-05-14 胜华科技股份有限公司 触控面板组件及其制造方法
CN101607431A (zh) 2008-06-20 2009-12-23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制造树脂产品的装置和方法
US20100013499A1 (en) 2008-07-18 2010-01-21 Tony Tong In-molded capacitive sens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0032951A1 (de) 2012-02-02
US9389257B2 (en) 2016-07-12
US20140145731A1 (en) 2014-05-29
WO2012013545A1 (de) 2012-02-02
CN103038735A (zh) 2013-04-10
EP2598975A1 (de) 2013-06-05
EP2598975B1 (de) 2017-06-07
CN103038735B (zh) 2016-09-21
KR20140010928A (ko) 2014-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4939B1 (ko) 정전용량형 접촉 센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정전용량형 접촉 센서
US9501102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surface panel
CN105511661B (zh) 触控装置
JP5904876B2 (ja) ボタン機能を備えたファンクショナルユニット
EP2695715A1 (en) Device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3144782B1 (en) Cover window for touch screen panel formed with printing layer and method for forming printing layer on cover window for touch screen panel
US20080136788A1 (en) Touch Panel Unit
CN102549639A (zh) 显示面板及制造显示元件的半透明载体元件
US20130069502A1 (en) Handheld mobile device casing and molding method of the same
US20160239121A1 (en) Curved capacitive touch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4640674A (zh) 具有便携式电子设备外壳的内部凹陷区域的暴露玻璃制品
TWI550467B (zh) 觸控螢幕
KR20140134235A (ko) 버튼 기능을 가진 기능 지지부
CN105989362B (zh) 包括薄膜塑料的电容传感组件
WO2013100159A1 (ja) タッチパネルの固定構造
KR20220079625A (ko) 플라스틱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그리고 플라스틱 부품
WO2019225140A1 (ja) 発泡成形品とその製造方法
JP2009154479A (ja) 静電容量センサ付ガラスインサート成形品
CN103246394B (zh) 装置模块
EP2627003B1 (en) Input device
KR101162017B1 (ko) 표시 장치
CN103324321A (zh) 立体化触控模块及其制造方法
JP5768031B2 (ja) 検知機能を有する表面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CN106598326A (zh) 一种电容式触摸屏
CN109791455B (zh) 输入装置的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