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0644A - 배기가스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배기가스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0644A
KR20210030644A KR1020190112033A KR20190112033A KR20210030644A KR 20210030644 A KR20210030644 A KR 20210030644A KR 1020190112033 A KR1020190112033 A KR 1020190112033A KR 20190112033 A KR20190112033 A KR 20190112033A KR 20210030644 A KR20210030644 A KR 20210030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housing
flow path
treatment apparatus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2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2057B1 (ko
Inventor
김현수
정몽규
장광필
함진기
이인호
최우혁
Original Assignee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2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2057B1/ko
Publication of KR20210030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2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2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0807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using absorbents or adsorbents
    • F01N3/082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using absorbents or adsorbents characterised by the absorbed or adsorbed substances
    • F01N3/085Sulfur or sulfur ox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05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draining or otherwise eliminating condensates or moisture accumulating in the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0807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using absorbents or adsorbents
    • F01N3/082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using absorbents or adsorbents characterised by the absorbed or adsorbed substances
    • F01N3/0857Carbon ox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01N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catalytic conversion ; Methods of operation or control of catalytic converters
    • F01N3/2066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10/00By-passing, at least partially, exhaust from inlet to outlet of apparatus, to atmosphere or to other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70/00Exhaust treating apparatus eliminating, absorbing or adsorbing specific elements or compounds
    • F01N2570/14Nitrogen ox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90/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 F01N2590/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for marine vessels or naval appl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08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with prior mixing of the substances with a gas, e.g. air
    • F01N2610/085Controlling the ai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14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substances, e.g. conduits
    • F01N2610/1453Sprayers or atomisers; Arrangement thereof in the exhaust apparatus

Abstract

배기가스 처리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장치는 배기가스 배출장치에 연결되며, 상기 배기가스 배출장치로부터 배출되어 흡착제와, 환원제 또는 환원제 전구체가 주입된 배기가스가 내부에 유입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배기가스가 통과하면서, 배기가스에 포함된, 황산화물 및 이산화탄소가 흡착된 흡착제와, 입자상 물질이 배기가스로부터 여과되는 필터를 포함하는 제1처리유닛;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배기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이 환원제에 의해서 질소로 환원되는 것을 도와서 배기가스로부터 질소산화물이 제거되도록 하는 촉매가 부착된 촉매부재를 포함하는 제2처리유닛; 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기가스 처리장치{EXHAUST GAS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배기가스 배출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기가스 처리장치는 엔진 등의 배기가스 배출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처리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배기가스 처리장치로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황산화물을 배기가스로부터 제거하는 스크러버와, 배기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을 배기가스로부터 제거하는 선택적 환원촉매장치(이하, 'SCR(Selective Catalytic Reduction)'이라 함)가 있다.
종래에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황산화물과 질소산화물을 배기가스로부터 제거하기 위해서, 전술한 스크러버와 SCR을 모두 필요로 하였다. 따라서, 선박 등과 같이 설치공간의 제약이 있는 곳에는, 스크러버와 SCR을 모두 설치할 공간을 확보해야만 하기 때문에, 배기가스로부터 황산화물과 질소산화물을 모두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선박 등 설치공간의 제약이 있는 곳에서도 배기가스에 포함된 황산화물과 질소산화물 등을 배기가스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하나의 배기가스 처리장치로 배기가스에 포함된 황산화물과 질소산화물 등을 배기가스로부터 제거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배기가스 처리의 크기를 비교적 작게 할 수 있어서, 선박 등 설치공간의 제약이 있는 곳에서도 배기가스 처리장치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배기가스 처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장치는 배기가스 배출장치에 연결되며, 상기 배기가스 배출장치로부터 배출되어 흡착제와, 환원제 또는 환원제 전구체가 주입된 배기가스가 내부에 유입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배기가스가 통과하면서, 배기가스에 포함된, 황산화물 및 이산화탄소가 흡착된 흡착제와, 입자상 물질이 배기가스로부터 여과되는 필터를 포함하는 제1처리유닛;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배기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이 환원제에 의해서 질소로 환원되는 것을 도와서 배기가스로부터 질소산화물이 제거되도록 하는 촉매가 부착된 촉매부재를 포함하는 제2처리유닛; 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배기가스 배출장치에 연결되어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배기가스 유입구와, 상기 제1,2처리유닛에 의해서 처리된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가스 배출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처리유닛은 배기가스의 유동방향으로 상기 배기가스 유입구 다음의 상기 하우징 내부의 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제2처리유닛은 배기가스 유동방향으로 상기 제1처리유닛 다음의 상기 하우징 내부의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상기 하우징 내부의 일면에서 타면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촉매부재에는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가스통과구멍이 가로로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촉매부재는 복수개이며, 복수개의 상기 촉매부재 사이에는 배기가스가 유동하는 가스유동로가 형성되며, 상기 가스유동로의 일측은 열리고 타측은 닫히며 상기 가스유동로에 이웃하는 다른 가스유동로의 일측은 닫히고 타측은 열릴 수 있다.
또한, 배기가스는 상기 가스유동로의 일측을 통해 상기 가스유동로에 유입되고 상기 가스통과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가스유동로와 이웃하는 다른 가스유동로에 유입된 후 다른 가스유동로의 타측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나 촉매부재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유닛; 및 상기 이물질 제거유닛에 의해서 제거된 이물질을 수거하여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배출하는 이물질 배출유닛;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물질 제거유닛은 공기공급원, 일측은 상기 공기공급원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하우징의 일면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공기유동관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공기유동관의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나 촉매부재에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 배출유닛은 상기 하우징 바닥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바닥에 모아진 이물질을 이송하는 이송스크류, 상기 이송스크류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스크류구동모터 및, 상기 하우징 바닥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스크류에 의해서 이송된 이물질이 저장되는 이물질 수집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측은 상기 배기가스 유입구나 배기가스 유입구 측의 하우징의 부분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배기가스 배출구 측의 상기 하우징의 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열풍이나 외부공기를 공급하는 열풍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기가스 배출장치와 배기가스 유입구에 연결되어 상기 배기가스 배출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상기 배기가스 유입구로 유동하도록 하는 배기가스 매니폴드;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가스 매니폴드는 바이패스관에 의해서 상기 배기가스 배출관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기가스 매니폴드에서 흡착제와, 환원제 또는 환원제 전구체가 배기가스에 주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일측은 상기 배기가스 유입구에 연결되고 타측은 바이패스관에 의해서 상기 배기가스 배출관에 연결되며 상기 제1,2처리유닛이 구비된 상기 하우징 내부의 부분과 연결되는 바이패스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이패스유로와, 상기 제1,2처리유닛이 구비된 상기 하우징 내부의 부분이 연결되는 곳에는, 상기 배기가스 유입구에 유입된 배기가스가 상기 제1,2처리유닛이 구비된 상기 하우징 내부의 부분으로 유동하거나 상기 바이패스유로로 유동하도록 유로를 전환하는 유로전환댐퍼가 선회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배기가스 처리장치로 배기가스에 포함된 황산화물과 질소산화물 등을 배기가스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기가스 처리장치의 크기를 비교적 작게 할 수 있어서, 선박 등 설치공간의 제약이 있는 곳에서도 배기가스 처리장치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선박 등 설치공간의 제약이 있는 곳에서도 배기가스에 포함된 황산화물과 질소산화물 등을 배기가스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장치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장치의 촉매부재의 단면사시도와, 촉매부재의 배치구성을 나타내는 도1의 A부분의 확대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장치의 제1실시예가 선박에 구비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 내지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장치의 제1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장치의 제2실시예가 선박에 구비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배기가스 처리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배기가스 처리장치의 제1실시예
이하, 도1 내지 도9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장치의 제1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장치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장치의 촉매부재의 단면사시도와, 촉매부재의 배치구성을 나타내는 도1의 A부분의 확대단면도이다.
또한,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장치의 제1실시예가 선박에 구비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5 내지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장치의 제1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장치(10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0), 제1처리유닛(300) 및, 제2처리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00)은 배기가스 배출장치(ED)에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200)에 연결되는 배기가스 배출장치(ED)는, 예컨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SP)에 구비되는 메인엔진(ME)이나 발전용 엔진(GE)이 될 수 있다. 그러나, 하우징(200)에 연결되는 배기가스 배출장치(ED)는 메인엔진(ME)이나 발전용 엔진(GE)에 한정되지 않고,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것이라면 선박(SP)에 구비되는 보일러(도시되지 않음) 등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하우징(200) 내부에는 배기가스 배출장치(ED)로부터 배출되어 흡착제와, 환원제 또는 환원제 전구체가 주입된 배기가스가 유입될 수 있다. 흡착제와, 환원제또는 환원제 전구체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가스가 하우징(200) 내부에 유입되기 전에 흡착제공급원(SA)과, 환원제공급원 또는 환원제전구체공급원(SR)으로부터 배기가스에 주입될 수 있다. 예컨대, 흡착제와, 환원제 또는 환원제 전구체는 하우징(200)과 배기가스 배출장치(ED)에 연결되는 후술할 배기가스 매니폴드(800)에서 배기가스에 주입될 수 있다. 이 경우, 흡착제공급원(SA)과, 환원제공급원 또는 환원제전구체공급원(SR)은 배기가스 매니폴드(800)에 구비되거나 배기가스 매니폴드(80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흡착제와, 환원제 또는 환원제 전구체가 배기가스에 주입되는 곳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배기가스가 하우징(200) 내부에 유입되기 전에 배기가스에 주입될 수 있는 곳이라면 어떠한 곳에서도 주입될 수 있다.
배기가스에 주입되는 흡착제에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황산화물과 이산화탄소가 흡착될 수 있다. 예컨대, 배기가스에 포함된 황산화물과 이산화탄소는 배기가스에 주입된 흡착제에 화학적으로 흡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황산화물과 이산화탄소가 흡착된 흡착제는 제1처리유닛(300)에 포함되는 후술할 필터(310)에 의해서 배기가스로부터 여과되어, 배기가스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배기가스로부터 황산화물과 이산화탄소가 제거될 수 있다. 흡착제는, 예컨대 분말형태의 석회석일 수 있다. 그러나, 흡착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배기가스에 주입되어 배기가스에 포함된 황산화물과 이산화탄소를 흡착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배기가스에 주입되는 환원제는 제2처리유닛(400)에 포함되는 후술할 촉매부재(410)에 부착된 촉매의 도움을 받아, 배기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을 질소로 환원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배기가스부터 질소산화물을 제거할 수 있다. 환원제는, 예컨대 암모니아일 수 있다. 그러나, 환원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촉매의 도움을 받아, 배기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을 질소로 환원시켜서 배기가스로부터 질소산화물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배기가스에 환원제 전구체가 주입되는 경우에는, 환원제 전구체가 배기가스에 주입된 후 환원제로 될 수 있다. 예컨대, 환원제 전구체로 요소수가 배기가스에 주입될 수 있고, 배기가스에 주입된 요소수는 배기가스의 열 또는 후술할 열풍기(700)에 의해서 하우징(200) 내부에 공급된 열풍에 의한 열에 의해서 열분해되어, 환원제인 암모니아로 될 수 있다. 그러나, 환원제 전구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배기가스에 주입되어 환원제로 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하우징(200)에는 배기가스 유입구(210)와, 배기가스 배출구(220)가 구비될 수 있다. 배기가스 유입구(210)는 배기가스 배출장치(ED)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배기가스 유입구(210)에는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가스 유입관(PI)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배기가스 배출장치(ED)에 배기관(PE)에 의해서 연결된 배기가스 매니폴드(800)에 배기가스 유입관(PI)이 연결되어, 배기가스 유입구(210)가 배기가스 배출장치(ED)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배기가스 유입구(210)가 배기가스 배출장치(ED)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배기관(PE)에 의해서만 연결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배기가스 유입관(PI)에는 유입밸브(VI)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유입밸브(VI)가 열리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가스 배출장치(ED)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가 배기가스 유입관(PI)과 배기가스 유입구(210)를 통해 하우징(200) 내부에 유입될 수 있다.
제1,2처리유닛(300,400)에 의해서 처리된 배기가스는 배기가스 배출구(220)를 통해서 배출될 수 있다. 배기가스 배출구(220)에는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가스 배출관(PD)이 연결될 수 있다. 배기가스 배출구(220)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배기가스 배출관(PD)을 통해 외부, 예컨대 선박(SP)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배기가스 배출관(PD)에는 배출밸브(VD)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배출밸브(VD)가 열리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가스 배출구(220)를 통해 배출된 배기가스가 배기가스 배출관(PD)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외에도, 배출밸브(VD)가 열리면, 도7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열풍기(700)에 의해서 하우징(200) 내부에 공급된 열풍의 일부가 배기가스 배출구(220)와 배기가스 배출관(PD)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배출밸브(VD)가 열리면,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풍기(700)에 의해서 하우징(200) 내부에 공급된 외부공기의 일부가 배기가스 배출구(220)와 배기가스 배출관(PD)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배기가스 배출관(PD)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코노마이저(EM)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배기가스 배출관(PD)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열로 이코노마이저(EM)를 통과하는 물이 가열되어, 가열된 물을 필요로 하는 사용처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공급할 수 있다.
배기가스 배출관(PD)에는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가스 매니폴드(800)에 연결된 바이패스관(PB)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바이패스관(PB)에는 바이패스밸브(VB)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바이패스밸브(VB)가 열리면, 도5와 도7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가스 배출장치(ED)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가 하우징(200) 내부에 유입되지 않고, 바이패스관(PB)을 통해 배기가스 배출관(PD)으로 직접 유동하여, 배기가스 배출관(PD)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1처리유닛(300)은 하우징(2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처리유닛(300)은 배기가스 유동방향으로 배기가스 유입구(210) 다음의 하우징(200) 내부의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배기가스 유입구(210)를 통해서 하우징(200) 내부에 유입된 배기가스는 제1처리유닛(300)에서 먼저 처리될 수 있다.
제1처리유닛(300)은 필터(310)를 포함할 수 있다. 배기가스 유입구(210)를 통해서 하우징(200) 내부에 유입된 배기가스는 필터(310)를 통과할 수 있다. 배기가스에 주입된 흡착제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배기가스에 포함된 황산화물과 이산탄소가 흡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기가스에 포함된, 황산화물과 이산화탄소가 흡착된 흡착제는, 배기가스가 필터(310)를 통과하면서, 필터(310)에 의해서 여과되어, 배기가스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배기가스로부터 황산화물과 이산화탄소가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배기가스가 필터(310)를 통과하면서, 배기가스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이 필터(310)에 의해서 여과됨으로써, 배기가스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이 배기가스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31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배기가스가 통과하면서, 배기가스에 포함된, 황산화물 및 이산화탄소가 흡착된 흡착제와, 입자상 물질이 배기가스로부터 여과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필터(31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하우징(200) 내부에 일면에서 타면으로 연장되도록 하우징(2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필터(310)의 면적이 커질 수 있기 때문에, 배기가스의 유동방향으로 필터(310) 전의 배기가스의 유속이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필터(310)를 통과하기 전의 배기가스의 압력과 필터(310)를 통과한 배기가스의 압력의 차인 필터(310) 전후의 차압이 감소될 수 있다.
제2처리유닛(400)은 하우징(2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제2처리유닛(400)은 배기가스 유동방향으로 제1처리유닛(300) 다음의 하우징(200) 내부의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제1처리유닛(300)에서 처리된 배기가스,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처리유닛(300)에서 황산화물과 이산화탄소 및 입자상 물질이 제거된 배기가스가 제2처리유닛(400)에서 처리될 수 있다.
제2처리유닛(400)은 촉매부재(410)를 포함할 수 있다. 촉매부재(410)에는 촉매가 부착될 수 있다. 촉매부재(410)에 부착된 촉매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이 환원제 의해서 질소로 환원되는 것을 도와서 배기가스로부터 질소산화물이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촉매부재(410)에 부착된 촉매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배기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이 환원제 의해서 질소로 환원되는 것을 도와서 배기가스로부터 질소산화물이 제거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라면 이산화티타늄(TiO2) 등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촉매부재(410)에는 도2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가스통과구멍(411)이 가로로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촉매부재(410)는 도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일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촉매부재(410) 사이에는 배기가스가 유동하는 가스유동로(RT,RT')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스유동로(RT)의 일측은 열리고 타측은 닫히며 가스유동로(RT)에 이웃하는 다른 가스유동로(RT')의 일측은 닫히고 타측은 열릴 수 있다. 예컨대, 가스유동로(RT)의 타측과, 가스유동로(RT)와 이웃하는 다른 가스유동로(RT')의 일측은 폐쇄부재(420)에 의해서 닫힐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배기가스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유동로(RT)의 일측을 통해 가스유동로(RT)에 유입되고, 촉매부재(410)의 가스통과구멍(411)을 통과하여 가스유동로(RT)와 이웃하는 다른 가스유동로(RT')에 유입된 후 다른 가스유동로(RT')의 타측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전체 가스통과구멍(411)의 면적이 커질 수 있기 때문에, 배기가스의 유동방향으로 촉매부재(410) 전의 배기가스의 유속이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해서 촉매부재(410)의 가스통과구멍(411)을 통과하기 전의 배기가스의 압력과 촉매부재(410)의 가스통과구멍(411)을 통과한 배기가스의 압력의 차인 가스통과구멍(411) 전후의 차압이 감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200) 내부에 구비되는 제1,2처리유닛(300,400)에 의해서 배기가스로부터 황산화물, 이산화탄소, 입자상 물질 및, 질소산화물이 제거되기 때문에, 하나의 배기가스 처리장치(100)에 의해서 황산화물과 질소산화물 등이 모두 제거될 수 있다.
또한, 황산화물과 질소산화물 등을 처리하기 위해서, 종래와 같이 스크러버와 SCR 등 복수개의 배기가스 처리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선박(SP) 등 설치공간의 제약이 있는 곳에서도 배기가스에 포함된 황산화물과 질소산화물 등을 배기가스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장치(100)의 제1실시예는 도1과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 제거유닛(500)과, 이물질 배출유닛(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물질 제거유닛(500)은 제1처리유닛(300)의 필터(310)나, 제2처리유닛(400)의 촉매부재(410)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예컨대, 이물질 제거유닛(500)은 제1처리유닛(300)의 필터(310)에 의해서 배기가스로부터 걸러져서 필터(310)에 부착된, 황산화물과 이산화탄소가 흡착된 흡착제나 입자상 물질 등의 이물질을 필터(310)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이물질 제거유닛(500)은 촉매부재(410)에 부착된, 필터(310)에 의해서 걸러지지 못한 입자상 물질 등의 이물질을 촉매부재(410)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이물질 제거유닛(500)은 도1과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공급원(510), 공기유동관(520) 및, 공기분사노즐(530)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공급원(510)은, 예컨대 압축공기가 저장된 압축공기탱크일 수 있다. 그러나, 공기공급원(510)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1처리유닛(300)의 필터(310)나 제2처리유닛(400)의 촉매부재(410)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공기유동관(520)은 일측은 공기공급원(510)에 연결되고 타측은 하우징(200)의 일면을 관통하여 하우징(2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공기공급원(510)의 공기는 공기유동관(520)을 유동할 수 있다.
공기분사노즐(530)은 하우징(200) 내부에 구비되는 공기유동관(520)의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유동관(520)을 유동한 공기는, 공기분사노즐(530)을 통해, 제1처리유닛(300)의 필터(310)나 제2처리유닛(400)의 촉매부재(410)에 분사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제1처리유닛(300)의 필터(310)나 제2처리유닛(400)의 촉매부재(410)에 부착된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이물질 배출유닛(600)은 전술한 이물질 제거유닛(500)에 의해서 제1처리유닛(300)의 필터(310)나 제2처리유닛(400)의 촉매부재(410)로부터 제거된 이물질을 수거하여 하우징(200)으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이물질 배출유닛(600)은 이송스크류(610), 스크류구동모터(620) 및, 이물질 수집탱크(6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스크류(61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0) 바닥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이물질 제거유닛(500)에 의해서 제1처리유닛(300)의 필터(310)나 제2처리유닛(400)의 촉매부재(410)로부터 제거된 이물질은 하우징(200) 바닥에 모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200) 바닥에 모아진 이물질은 이송스크류(610)의 회전에 의해서 이송될 수 있다. 예컨대, 하우징(200) 바닥에 모아진 이물질은 이송스크류(610)의 회전에 의해서 이물질 수집탱크(630)가 연결된 하우징(200) 바닥의 부분으로 이송될 수 있다.
스크류구동모터(620)는 이송스크류(610)에 연결되어 이송스크류(6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스크류구동모터(620)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이송스크류(610)에 연결되어 이송스크류(610)를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이물질 수집탱크(630)는 하우징(200) 바닥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류구동모터(620)의 구동에 의한 이송스크류(610)의 회전에 의해서 이송된 이물질이 이물질 수집탱크(63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이물질 제거유닛(500)에 의해서, 예컨대 촉매부재(410)로부터 제거된 이물질은 하우징(200) 바닥에 모아지지 않고, 폐쇄부재(420)에 모아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 등이 하우징(200) 내부에 들어가서 폐쇄부재(420)에 모아진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장치(100)의 제1실시예는 열풍기(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열풍기(700)는 하우징(200) 내부에 열풍이나 외부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열풍기(700)의 일측은 하우징(200)의 배기가스 유입구(210)나 배기가스 유입구(210) 측의 하우징(200)의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열풍기(700)의 일측은 도5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순환관(PC1)에 의해서 배기가스 유입구(210)에 연결된 배기가스 유입관(PI)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순환관(PC1)은 배기가스의 유동방향으로 유입밸브(VI) 다음의 배기가스 유입관(PI)의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순환관(PC1)에는 제1순환밸브(VC1)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1순환관(PC1)은 제2순환관(PC2)에 의해서 배기가스 패니폴드(80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순환관(PC2)에는 제2순환밸브(VC2)가 구비될 수 있다.
열풍기(700)의 타측은 배기가스 배출구(220) 측의 하우징(200)의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열풍기(700)의 타측은 도5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순환관(PC3)에 의해서 배기가스 배출구(220) 측의 하우징(200)의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제3순환관(PC3)에는 외부공기유입밸브(VF)가 구비된 외부공기유입관(PF)이 연결될 수 있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패스밸브(VB)는 닫고, 유입밸브(VI)와 배출밸브(VD)는 열면, 배기가스 배출장치(ED)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가 배기가스 유입관(PI)과 배기가스 유입구(210)를 통해 하우징(200) 내부에 유입되어, 제1,2처리유닛(300,400)에 의해서 처리된 후, 배기가스 배출구(220)와 배기가스 배출관(PD)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순환밸브(VC1)와 외부공기유입밸브(VF)는 닫고 제2순환밸브(VC2)는 열어서, 열풍기(700)의 열풍이 제2순환관(PC2)을 통해 배기가스 매니폴드(800)에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배기가스 매니폴드(800)에서 배기가스에 주입된 요소수 등의 환원제 전구체가 열풍의 열에 의해서 열분해되어 암모니아 등의 환원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기가스 매니폴드(800)에 유입된 열풍은 배기가스 유입관(PI)과 배기가스 유입구(210)를 통해 하우징(200) 내부에 유입되어 하우징(200) 내부를 유동한 후 제3순환관(PC3)에 의해서 열풍기(700)에 유입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열풍이 열풍기(700)와 배기가스 매니폴드(800) 및 하우징(200) 내부를 순환할 수 있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밸브(VI)는 닫고 바이패스밸브(VB)는 열면, 배기가스 배출장치(ED)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는 바이패스관(PB)을 통해 배기가스 배출관(PD)으로 직접 유동하여 배기가스 배출관(PD)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순환밸브(VC2)와 외부공기유입밸브(VF)는 닫고 제1순환밸브(VC1)는 열어서, 열풍기(700)의 열풍이 제1순환관(PC1)을 통해 배기가스 유입관(PI)에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배출밸브(VD)는 열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열풍이 배기가스 유입관(PI)과 배기가스 유입구(210)를 통해 하우징(200) 내부에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200) 내부에 응축되어 있던 황산 등이 열풍의 열에 의해서 기화되어 배기가스 배출구(220)와 배기가스 배출관(PD)을 통해 열풍의 일부와 함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나머지 열풍은 제3순환관(PC3)에 의해서 열풍기(700)에 유입될 수 있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가스 배출장치(ED)가 정지된 경우에는, 유입밸브(VI), 바이패스밸브(VB), 제2순환밸브(VC2) 및, 외부공기유입밸브(VF)는 닫고, 제1순환밸브(VC1)는 열어서, 열풍기(700)의 열풍이 제1순환관(PC1)을 통해 배기가스 유입관(PI)에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배출밸브(VD)는 열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열풍이 배기가스 유입관(PI)과 배기가스 유입구(210)를 통해 하우징(200) 내부에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200) 내부에 응축되어 있던 황산 등이 기화되어 배기가스 배출구(220)와 배기가스 배출관(PD)을 통해 열풍의 일부와 함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나머지 열풍은 제3순환관(PC3)에 의해서 열풍기(700)에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200) 내부가 열풍에 의해서, 예컨대 배기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이 환원제와 촉매에 의해서 질소로 환원될 수 있는 온도로, 예열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제2처리유닛(400)에 의한 배기가스로부터의 질소산화물의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밸브(VI)는 닫고 바이패스밸브(VB)는 열면, 배기가스 배출장치(ED)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는 바이패스관(PB)을 통해 배기가스 배출관(PD)으로 직접 유동하여 배기가스 배출관(PD)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순환밸브(VC2)는 닫고, 제1순환밸브(VC1)와 외부공기유입밸브(VF)는 열어서, 외부공기가 외부공기유입관(PF)과 열풍기(700) 및 제1순환관(PC1)을 통해 배기가스 유입관(PI)에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배출밸브(VD)는 열 수 있다. 이 경우, 열풍기(700)에서는 공기를 가열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외부공기가 배기가스 유입관(PI)과 배기가스 유입구(210)를 통해 하우징(200) 내부에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200) 내부의 공기가 배기가스 배출구(220)와 배기가스 배출관(PD)을 통해 외부공기의 일부와 함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00) 내부에 유입된 나머지 외부공기는 제3순환관(PC3)에 의해서 열풍기(700)에 유입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배기가스 배출관(PD)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배기가스 배출관(PD)을 통해 역류하여 하우징(200) 내부에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장치(100)의 제1실시예는 배기가스 매니폴드(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기가스 매니폴드(800)는 배기가스 배출장치(ED)와 하우징(200)의 배기가스 유입구(210)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배기가스 매니폴드(800)는 배기관(PE)에 의해서 메인엔진(ME)이나 발전용 엔진(GE) 등의 배기가스 배출장치(ED)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기가스 매니폴드(800)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는 도5 내지 도7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가스 매니폴드(800)로 유동하여 배기가스 매니폴드(800)에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배기가스 매니폴드(800)는 배기가스 유입관(PI)에 의해서 하우징(200)의 배기가스 유입구(21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배기가스 유입관(PI)에 구비된 유입밸브(VI)가 열리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가스 매니폴드(800)의 배기가스가 배기가스 유입관(PI)과 배기가스 유입구(210)를 통해 하우징(200) 내부에 유입될 수 있다.
배기가스 매니폴드(800)는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패스관(PB)에 의해서 배기가스 배출관(PD)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바이패스관(PB)에는 바이패스밸브(VB)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바이패스밸브(VB)가 열리면, 도5와 도7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가스 매니폴드(800)의 배기가스가 바이패스관(PB)을 통해 배기가스 배출관(PD)으로 직접 유동하여, 배기가스 배출관(PD)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배기가스 매니폴드(800)에서 흡착제와, 환원제 또는 환원제 전구체가 배기가스에 주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흡착제공급원(SA)과, 환원제공급원 또는 환원제전구체공급원(SR)이 배기가스 매니폴드(800)에 구비되거나, 배기가스 매니폴드(800)에 연결될 수 있다. 흡착제공급원(SA)이나, 환원제공급원 또는 환원제전구체공급원(SR)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배기가스 매니폴드(800)에 구비되거나, 배기가스 매니폴드(800)에 연결되어, 배기가스에 흡착제나, 환원제 또는 환원제 전구체를 주입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배기가스 처리장치의 제2실시예
이하, 도10과 도11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장치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장치의 제2실시예는 상기 도1 내지 도9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장치의 제1실시예와 하우징(200) 내부에, 일측은 배기가스 유입구(210)에 연결되고 타측은 바이패스관(PB)에 의해서 배기가스 배출관(PD)에 연결되며 제1,2처리유닛(300,400)이 구비된 하우징(200) 내부의 부분과 연결되는 바이패스유로(RB)가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도1 내지 도9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장치(100)의 제2실시예에서는 하우징(200) 내부에 바이패스유로(RB)가 형성될 수 있다. 바이패스유로(RB)의 일측은 배기가스 유입구(21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바이패스유로(RB)의 타측은 바이패스관(PB)에 의해서 배기가스 배출관(PD)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바이패스유로(RB)는 제1,2처리유닛(300,400)이 구비된 하우징(200)의 내부의 부분과 연결될 수 있다.
바이패스유로(RB)와, 제1,2처리유닛(300,400)이 구비된 하우징(200) 내부의 부분이 연결되는 곳에는, 유로전환댐퍼(DC)가 선회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유로전환댐퍼(DC)의 선회위치에 따라, 배기가스 유입구(210)에 유입된 배기가스가 제1,2처리유닛(300,400)이 구비된 상기 하우징(200) 내부의 부분으로 유동하거나, 바이패스유로(RB)로 유동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장치(100)의 크기를 비교적 작게 할 수 있어서, 선박(SP) 등의 설치공간의 제약이 있는 곳에서도 배기가스 처리장치(100)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장치를 사용하면, 하나의 배기가스 처리장치로 배기가스에 포함된 황산화물과 질소산화물 등을 배기가스로부터 제거할 수 있으며, 배기가스 처리장치의 크기를 비교적 작게 할 수 있어서, 선박 등 설치공간의 제약이 있는 곳에서도 배기가스 처리장치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고, 선박 등 설치공간의 제약이 있는 곳에서도 배기가스에 포함된 황산화물과 질소산화물 등을 배기가스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배기가스 처리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배기가스 처리장치 200 : 하우징
210 : 배기가스 유입구 220 : 배기가스 배출구
300 : 제1처리유닛 310 : 필터
400 : 제2처리유닛 410 : 촉매부재
411 : 가스통과구멍 420 : 폐쇄부재
500 : 이물질 제거유닛 510 : 공기공급원
520 : 공기유동관 530 : 공기분사노즐
600 : 이물질 배출유닛 610 : 이송스크류
620 : 스크류구동모터 630 : 이물질 수집탱크
700 : 열풍기 800 : 배기가스 매니폴드
ED : 배기가스 배출장치 RT,RT' : 가스유동로
SP : 선박 ME : 메인엔진
GE : 발전용 엔진 PE : 배기관
PI : 배기가스 유입관 PD : 배기가스 배출관
PB : 바이패스관 PC1 : 제1순환관
PC2 : 제2순환관 PC3 : 제3순환관
PF : 외부공기유입관 VI : 유입밸브
VD : 배출밸브 VB : 바이패스밸브
VC1 : 제1순환밸브 VC2 : 제2순환밸브
VF : 외부공기유입밸브 EM : 이코노마이저
SA : 흡착제공급원
SR : 환원제공급원 또는 환원제전구체공급원
RB : 바이패스유로 DC : 유로전환댐퍼

Claims (16)

  1. 배기가스 배출장치에 연결되며, 상기 배기가스 배출장치로부터 배출되어 흡착제와, 환원제 또는 환원제 전구체가 주입된 배기가스가 내부에 유입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배기가스가 통과하면서, 배기가스에 포함된, 황산화물 및 이산화탄소가 흡착된 흡착제와, 입자상 물질이 배기가스로부터 여과되는 필터를 포함하는 제1처리유닛;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배기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이 환원제에 의해서 질소로 환원되는 것을 도와서 배기가스로부터 질소산화물이 제거되도록 하는 촉매가 부착된 촉매부재를 포함하는 제2처리유닛;
    을 포함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배기가스 배출장치에 연결되어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배기가스 유입구와, 상기 제1,2처리유닛에 의해서 처리된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가스 배출구가 구비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처리유닛은 배기가스의 유동방향으로 상기 배기가스 유입구 다음의 상기 하우징 내부의 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제2처리유닛은 배기가스 유동방향으로 상기 제1처리유닛 다음의 상기 하우징 내부의 부분에 구비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상기 하우징 내부의 일면에서 타면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부재에는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가스통과구멍이 가로로 복수개 형성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부재는 복수개이며, 복수개의 상기 촉매부재 사이에는 배기가스가 유동하는 가스유동로가 형성되며, 상기 가스유동로의 일측은 열리고 타측은 닫히며 상기 가스유동로에 이웃하는 다른 가스유동로의 일측은 닫히고 타측은 열리는 배기가스 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배기가스는 상기 가스유동로의 일측을 통해 상기 가스유동로에 유입되고 상기 가스통과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가스유동로와 이웃하는 다른 가스유동로에 유입된 후 다른 가스유동로의 타측을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나 촉매부재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유닛; 및
    상기 이물질 제거유닛에 의해서 제거된 이물질을 수거하여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배출하는 이물질 배출유닛;
    을 더 포함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유닛은 공기공급원, 일측은 상기 공기공급원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하우징의 일면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공기유동관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공기유동관의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나 촉매부재에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노즐을 포함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배출유닛은 상기 하우징 바닥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바닥에 모아진 이물질을 이송하는 이송스크류, 상기 이송스크류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스크류구동모터 및, 상기 하우징 바닥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스크류에 의해서 이송된 이물질이 저장되는 이물질 수집탱크를 포함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배기가스 유입구나 배기가스 유입구 측의 하우징의 부분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배기가스 배출구 측의 상기 하우징의 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열풍이나 외부공기를 공급하는 열풍기를 더 포함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배출장치와 배기가스 유입구에 연결되어 상기 배기가스 배출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상기 배기가스 유입구로 유동하도록 하는 배기가스 매니폴드; 를 더 포함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매니폴드는 바이패스관에 의해서 상기 배기가스 배출관에 연결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매니폴드에서 흡착제와, 환원제 또는 환원제 전구체가 배기가스에 주입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일측은 상기 배기가스 유입구에 연결되고 타측은 바이패스관에 의해서 상기 배기가스 배출관에 연결되며 상기 제1,2처리유닛이 구비된 상기 하우징 내부의 부분과 연결되는 바이패스유로가 형성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유로와, 상기 제1,2처리유닛이 구비된 상기 하우징 내부의 부분이 연결되는 곳에는, 상기 배기가스 유입구에 유입된 배기가스가 상기 제1,2처리유닛이 구비된 상기 하우징 내부의 부분으로 유동하거나 상기 바이패스유로로 유동하도록 유로를 전환하는 유로전환댐퍼가 선회가능하게 구비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
KR1020190112033A 2019-09-10 2019-09-10 배기가스 처리장치 KR102262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033A KR102262057B1 (ko) 2019-09-10 2019-09-10 배기가스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033A KR102262057B1 (ko) 2019-09-10 2019-09-10 배기가스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644A true KR20210030644A (ko) 2021-03-18
KR102262057B1 KR102262057B1 (ko) 2021-06-09

Family

ID=75232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2033A KR102262057B1 (ko) 2019-09-10 2019-09-10 배기가스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205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8888B1 (ko) * 1997-11-28 2002-06-27 김정택 디젤엔진배출가스정화장치
KR100984548B1 (ko) * 2009-09-18 2010-10-01 광성(주) 선박 또는 육상 플랜트용 scr시스템
KR101608720B1 (ko) * 2015-02-27 2016-04-04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배기가스 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8888B1 (ko) * 1997-11-28 2002-06-27 김정택 디젤엔진배출가스정화장치
KR100984548B1 (ko) * 2009-09-18 2010-10-01 광성(주) 선박 또는 육상 플랜트용 scr시스템
KR101608720B1 (ko) * 2015-02-27 2016-04-04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배기가스 정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2057B1 (ko) 202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16737B2 (ja) 排ガス脱硝装置、焼却炉および排ガス脱硝方法
WO2012153705A1 (ja) 湿式排ガス浄化装置
KR101864756B1 (ko) 배기가스 내 PM 및 SOx 동시 처리 장치
KR101306845B1 (ko) 복합형 질소산화물 처리 시스템
KR20110129160A (ko) 선박
KR100761014B1 (ko) 일체형 배출가스 정화장치
KR20110108971A (ko) 집진 장치
KR20190027589A (ko) 배기가스 정화장치
KR102262057B1 (ko) 배기가스 처리장치
KR102121670B1 (ko) 선박엔진용 배기가스 전처리 장치
KR20190008612A (ko) 스크러버
JP6114438B1 (ja) 排ガス処理装置
KR102098231B1 (ko) 통합형 배기처리장치
JP4581983B2 (ja) 排ガス処理方法
JP2007127033A (ja) 黒煙除去装置
KR101980883B1 (ko) 다중 분사구조를 가진 배기가스 처리장치
KR100833126B1 (ko) 선택적 촉매 환원법을 통한 질소산화물의 처리 시스템
CN108579330A (zh) 一种针对大风量高浓度涂装车间废气治理系统及方法
KR102153836B1 (ko) 펠렛 촉매 이용 시 탈질 효율을 높이는 탈질 장치
KR102183062B1 (ko) 질소산화물 저감장치
KR20200061066A (ko) 세정액의 배출을 방지하기 위한 데미스터를 구비하는 스크러버
KR20200066468A (ko) 스크러빙 워터 재순환 시스템
CN117717857B (zh) 一种用于工业排放烟雾的净化装置以及净化方法
KR102094112B1 (ko) 펠렛 촉매를 이용 시 탈질 효율을 높이는 탈질 장치
KR102281884B1 (ko) 공기 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