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3062B1 - 질소산화물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질소산화물 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3062B1
KR102183062B1 KR1020180080576A KR20180080576A KR102183062B1 KR 102183062 B1 KR102183062 B1 KR 102183062B1 KR 1020180080576 A KR1020180080576 A KR 1020180080576A KR 20180080576 A KR20180080576 A KR 20180080576A KR 102183062 B1 KR102183062 B1 KR 102183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trogen oxide
exhaust gas
valve
housing
remov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0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6789A (ko
Inventor
성삼경
김현수
이상억
함진기
김도윤
유다나
Original Assignee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0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3062B1/ko
Publication of KR20200006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6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3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3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01N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catalytic conversion ; Methods of operation or control of catalytic converters
    • F01N3/2066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01N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catalytic conversion ; Methods of operation or control of catalytic converters
    • F01N3/2006Periodically heating or cooling catalytic reactors, e.g. at cold starting or overheating
    • F01N3/2033Periodically heating or cooling catalytic reactors, e.g. at cold starting or overheating using a fuel burner or introducing fuel into exhaust 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40/00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 F01N2240/14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a fuel bur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40/00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 F01N2240/16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an electric heater, i.e. a resistance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40/00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 F01N2240/20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a flow director or deflec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10/00By-passing, at least partially, exhaust from inlet to outlet of apparatus, to atmosphere or to other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70/00Structure or shape of gas passages, pipes or tubes
    • F01N2470/02Tubes being perfor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70/00Exhaust treating apparatus eliminating, absorbing or adsorbing specific elements or compounds
    • F01N2570/14Nitrogen ox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14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substances, e.g. conduits
    • F01N2610/1453Sprayers or atomisers; Arrangement thereof in the exhaust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Gas Treatment By Means Of Catalyst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질소산화물 저감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질소산화물 저감장치는 배기가스 배출장치에 연결되는 유입관과, 배출관 및, 상기 배출관에 연결되는 바이패스관이 각각 연결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배기가스로부터 질소산화물을 제거하는 질소산화물 제거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유입관을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유입된 배기가스가 상기 질소산화물 제거유닛을 바이패스하여 상기 바이패스관으로 유동하거나 상기 질소산화물 제거유닛을 통과하면서 질소산화물이 제거된 후 상기 배출관으로 유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질소산화물 저감장치{NOX REDU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배기가스의 질소산화물을 저감시키는 질소산화물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엔진 등의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배기가스 배출장치(EA)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관(PE)이 연결되어 배기가스 배출장치(EA)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가 배기관(PE)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배기가스 배출장치(EA)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에는 독성이 있는 질소산화물이 포함되어, 배기가스가 배기관(PE)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때 배기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이 소정량 이하로 포함되도록 할 필요성이 발생하였다.
이를 위해서, 종래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관(PE)에 바이패스관(PB)의 일측과 타측을 연결하고 바이패스관(PB)에 질소산화물 저감장치(10)가 구비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배기가스로부터 질소산화물을 저감할 필요가 있을 때, 배기관(PE)을 유동하는 배기가스가 바이패스관(PB)으로 유동하도록 하여, 배기가스가 질소산화물 저감장치(10)를 통과하면서 질소산화물이 저감되도록 한 후, 다시 배기관(PE)으로 되돌아가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였다.
한편, 질소산화물 저감장치(10)는 연돌 등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는데, 종래 의 질소산화물 저감장치(10)는 배기관(PE)에 연결되는 바이패스관(PB)에 구비되기 때문에, 배기관(PE) 및 바이패스관(PB)과 함께 연돌 등의 내부에 구비되기 때문에, 배기가스로부터 질소산화물을 저감시키기 위해서 연돌 내부 등에서 필요한 공간이 컸다.
이에 따라, 연돌 등의 내부에 스크러버 등의 다른 장치가 설치되도록 하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없어서 연돌을 확장하거나 일부 다른 구성품을 생략해야 하는 등의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연돌 등의 내부에 질소산화물 저감장치와 함께 스크러버 등의 다른 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연돌 등의 내부에서 질소산화물 저감을 위해서 필요한 공간이 감소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질소산화물 저감장치의 크기가 감소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질소산화물 저감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질소산화물 저감장치는 배기가스 배출장치에 연결되는 유입관과, 배출관 및, 상기 배출관에 연결되는 바이패스관이 각각 연결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배기가스로부터 질소산화물을 제거하는 질소산화물 제거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유입관을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유입된 배기가스가 상기 질소산화물 제거유닛을 바이패스하여 상기 바이패스관으로 유동하거나 상기 질소산화물 제거유닛을 통과하면서 질소산화물이 제거된 후 상기 배출관으로 유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제1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제1밸브가 닫히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유입된 배기가스는 상기 질소산화물 제거유닛을 바이패스하여 상기 바이패스관으로 유동하고 상기 제1밸브가 열리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유입된 배기가스는 상기 질소산화물 제거유닛으로 유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밸브에 의해서 상기 하우징 내부는 상기 유입관과 바이패스관이 연결되는 제1영역과 상기 질소산화물 제거유닛이 구비되며 상기 배출관이 연결되는 제2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밸브는 상기 하우징 내부를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으로 구획하는 밸브바디와, 상기 밸브바디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 사이를 개폐하는 복수개의 개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관에는 상기 제1밸브가 닫히면 열리고 열리면 닫히는 제2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관에는 상기 제1밸브가 닫히면 닫히고 열리면 열리는 제3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영역에는 상기 제1영역에 유입된 배기가스가 상기 제2영역으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베인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밸브와 상기 질소산화물 제거유닛 사이의 상기 제2영역에는 배기가스의 유동을 균일하게 하는 다공판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질소산화물 제거유닛은 환원제에 의한 질소산화물의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에 의해서 배기가스로부터 질소산화물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질소산화물 제거유닛은 촉매가 포함되는 촉매부재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상기 촉매부재 사이 각각에는 배기가스가 유동하는 유동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로의 일측은 열리고 타측은 닫히며 상기 유동로와 이웃하는 유동로의 일측은 닫히고 타측은 열릴 수 있다.
그리고, 배기가스는 상기 유동로의 열린 일측을 통해 상기 유동로에 유입되고, 상기 촉매부재를 통과하여 상기 유동로와 이웃하는 유동로에 유입되며, 상기 유동로와 이웃하는 유동로의 열린 타측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관에는 상기 제1밸브가 열리면 상기 유입관을 유동하는 배기가스에 환원제 전구체를 분사하는 분사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관에는 상기 환원제 전구체가 환원제로 분해되도록 가열하는 히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영역에는 상기 촉매부재가 재생되도록 하거나 환원제에 의한 질소산화물의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이 일어나도록 상기 질소산화물 제거유닛을 예열하는 버너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질소산화물 저감장치에 유입된 배기가스가 질소산화물 제거유닛을 바이패스하여 바이패스관으로 유동하여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거나 질소산화물 제거유닛을 통과하면서 질소산화물이 제거된 후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질소산화물 저감장치의 크기가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돌 등의 내부에서 질소산화물 저감을 위해서 필요한 공간이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돌 등의 내부에 질소산화물 저감장치와 함께 스크러버 등의 다른 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질소산화물 저감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와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질소산화물 저감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종래의 질소산화물 제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질소산화물 저감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이하, 도1 내지 도3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질소산화물 저감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질소산화물 저감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2와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질소산화물 저감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질소산화물 저감장치(100)의 일실시예는 하우징(200)과, 질소산화물 제거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00)에는 유입관(PI)과 배출관(PO) 및 바이스패스관(PB)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유입관(PI)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배기가스 배출장치(EA)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기가스 배출장치(EA)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는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PI)을 통해 하우징(200) 내부에 유입될 수 있다. 유입관(PI)이 연결되는 배기가스 배출장치(EA)는, 예컨대 엔진이나 보일러 등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유입관(PI)이 연결되는 배기가스 배출장치(EA)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유입관(PI)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유입관(PI)이 연결되는 하우징(200)의 부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배기가스 배출장치(EA)에 연결되어 배기가스 배출장치(EA)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가 하우징(200) 내부에 유입되도록 하는 부분이라면 하우징(200)의 어떠한 부분에도 연결될 수 있다.
유입관(PI)에는 후술하고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유닛(SP)과 히터(HE)가 구비될 수 있다.
배출관(PO)을 통해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0) 내부를 유동한 배기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예컨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PI)을 통해 하우징(200) 내부에 유입되고 바이패스배관(PB)을 유동한 배기가스가 배출관(PO)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PI)을 통해 하우징(200) 내부에 유입되고 질소산화물 제거유닛(300)을 통과하면서 질소산화물이 제거된 배기가스가 배출관(PO)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관(PO)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0)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배출관(PO)이 연결되는 하우징(200)의 부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하우징(200) 내부를 유동한 배기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부분이라면 하우징(200)의 어떠한 부분에도 연결될 수 있다.
배출관(PO)에는 후술하고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밸브(230)가 구비될 수 있다.
바이패스관(PB)의 일측은 배출관(PO)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바이패스관(PB)의 타측은 하우징(200)에 연결될 수 있다. 유입관(PI)을 통해 하우징(200) 내부에 유입된 배기가스로부터 질소산화물을 제거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가스는 질소산화물 제거유닛(300)으로 유동하지 않고 질소산화물 제거유닛(300)을 바이패스하여 바이패스관(PB)으로 유동할 수 있다. 바이스패스관(PB)으로 유동한 배기가스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패스관(PB)에 유입되어 배출관(PO)으로 유동하며 배출관(PO)에 유입된 배기가스는 배출관(PO)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바이패스관(PB)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0)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바이패스관(PB)이 연결되는 하우징(200)의 부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일측은 배출관(PO)에 연결되고 타측은 하우징(200)에 연결되며 배기가스로부터 질소산화물을 제거할 필요가 없는 경우 배기가스가 질소산화물 제거유닛(300)을 바이패스하여 배출관(PO)으로 유동할 수 있는 부분이라면 어떠한 부분에도 연결될 수 있다.
바이패스관(PB)에는 후술하고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밸브(220)가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200)은 유입관(PI)을 통해 하우징(200) 내부에 유입된 배기가스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0) 내부에 구비되는 질소산화물 제거유닛(300)을 바이패스하여 바이패스관(PB)으로 유동하거나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소산화물 제거유닛(300)을 통과하면서 질소산화물이 제거된 후 배출관(PO)으로 유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돌(도시되지 않음) 등의 내부에 본 발명에 따른 질소산화물 저감장치(100)를 설치할 때, 도4에 도시된 종래의 질소산화물 저감장치(10)와 같이 적어도 바이패스관(PB)이 함께 설치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연돌 등의 내부에서 질소산화물 저감을 위해서 필요한 공간이 감소되도록 할 수 있으며, 연돌 등의 내부에 질소산화물 저감장치(100)와 함께 스크러버(도시되지 않음) 등의 다른 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연돌 등을 확장할 필요가 없거나 연돌의 확장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하우징(200) 내부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밸브(21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밸브(210)가 닫히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0) 내부에 유입된 배기가스는 질소산화물 제거유닛(300)을 바이패스하여 바이패스관(PB)으로 유동할 수 있다. 바이패스관(PB)으로 유동한 배기가스는 바이패스관(PB)에 유입되어 배출관(PO)으로 유동하고 배출관(PO)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1밸브(210)가 열리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0) 내부에 유입된 배기가스는 질소산화물 제거유닛(300)으로 유동할 수 있다. 질소산화물 제거유닛(300)으로 유동한 배기가스는 질소산화물 제거유닛(300)을 통과하면서 질소산화물이 제거된 후 배출관(PO)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1밸브(210)에 의해서 하우징(200) 내부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영역(S1)과 제2영역(S2)으로 구획될 수 있다.
하우징(200)의 제1영역(S1)에는 유입관(PI)과 바이패스관(PB)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밸브(210)가 닫히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PI)을 통해 하우징(200)의 제1영역(S1)으로 유입된 배기가스가 하우징(200)의 제2영역(S2)으로 유동하지 못하고 바이패스관(PB)으로 유동하여 바이패스관(PB)에 유입될 수 있다. 바이패스관(PB)에 유입된 배기가스는 배출관(PO)으로 유동하여 배출관(PO)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하우징(200)의 제1영역(S1)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베인(GV)이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베인(GV)에 의해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PI)을 통해 하우징(200)의 제1영역(S1)에 유입된 배기가스가 하우징(200)의 제2영역(S2)으로 유동하는 것이 가이드될 수 있다. 가이드베인(GV)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부러진 형상이며 복수개가 제1영역(S1)에 소정 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가이드베인(GV)의 형상과 개수 및 제1영역(S1)에 배치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유입관(PI)을 통해 하우징(200)의 제1영역(S1)에 유입된 배기가스가 하우징(200)의 제2영역(S2)으로 유동하는 것을 가이드할 수 있는 형상과 개수 및 배치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형상과 개수 및 배치구성이라도 가능하다.
하우징(200)의 제2영역(S2)에는 질소산화물 제거유닛(300)이 구비되며 배출관(PO)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밸브(210)가 열리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PI)을 통해 하우징(200)의 제1영역(S1)으로 유입된 배기가스는 하우징(200)의 제2영역(S2)으로 유동하여 질소산화물 제거유닛(300)을 통과할 수 있다. 질소산화물 제거유닛(300)을 통과하면서 질소산화물이 제거된 배기가스는 배출관(PO)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1밸브(210)와 질소산화물 제거유닛(300) 사이의 하우징(200)의 제2영역(S2)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공판(240)이 구비될 수 있다. 다공판(240)에 의해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소산화물 제거유닛(300)으로 유동하는 배기가스의 유동이 균일하게 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후술할 바와 같이, 배기가스에 포함된 환원제인 암모니아와 질소산화물이 균일한 속도와 농도로 질소산화물 제거유닛(300)의 촉매에 전달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질소산화물 제거유닛(300)에서의 질소산화물 제거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제1밸브(21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바디(211)와, 복수개의 개폐부재(212)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바디(211)는 하우징(200) 내부를 제1영역(S1)과 제2영역(S2)으로 구획할 수 있다. 밸브바디(211)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부분품이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밸브바디(211)의 형상과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하우징(200) 내부를 제1영역(S1)과 제2영역(S2)으로 구획하고 복수개의 개폐부재(212)가 구비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복수개의 개폐부재(212)는 밸브바디(211)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하우징(200) 내부의 제1영역(S1)과 제2영역(S2) 사이를 개폐할 수 있다. 개폐부재(212)의 형상과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밸브바디(211)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하우징(200) 내부의 제1영역(S1)과 제2영역(S2) 사이를 개폐할 수 있는 형상과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형상과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바이패스관(PB)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밸브(220)가 구비될 수 있다. 제2밸브(22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밸브(210)가 닫히면 열리고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밸브(210)가 열리면 닫힐 수 있다.
제1밸브(210)가 닫히면 제2밸브(220)는 열림으로써,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PI)을 통해 하우징(200)의 제1영역(S1)으로 유입된 배기가스가 바이패스관(PB)을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밸브(210)가 열리면 제2밸브(220)는 닫힘으로써,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PI)을 통해 하우징(200)의 제1영역(S1)으로 유입된 배기가스가 하우징(200)의 제2영역(S2)으로 유동하여 질소산화물 제거유닛(300)을 통과한 후 배출관(PO)을 유동할 때, 바이패스관(PB)을 통해 배기가스가 하우징(200)의 제1영역(S1)에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배출관(PO)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밸브(230)가 구비될 수 있다. 제3밸브(23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밸브(210)가 닫히면 닫히고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밸브(210)가 열리면 열릴 수 있다.
제1밸브(210)가 닫히면 제3밸브(230)는 닫힘으로써, 유입관(PI)을 통해 하우징(200)의 제1영역(S1)으로 유입된 배기가스가 바이패스관(PB)을 유동한 후 배출관(PO)을 유동할 때, 배기가스가 배출관(PO)을 통해 하우징(200)의 제2영역(S2)에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밸브(210)가 열리면 제3밸브(230)는 열림으로써,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PI)을 통해 하우징(200)의 제1영역(S1)으로 유입된 배기가스가 하우징(200)의 제2영역(S2)으로 유동하여 질소산화물 제거유닛(300)을 통과한 후 배출관(PO)을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질소산화물 제거유닛(300)은 하우징(2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소산화물 제거유닛(300)은 하우징(200)의 제2영역(S2)에 구비될 수 있다. 질소산화물 제거유닛(300)에 의해서 배기가스로부터 질소산화물이 제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밸브(210)와 제3밸브(230)는 열리고 제2밸브(220)는 닫혀서, 유입관(PI)을 통하여 하우징(200)의 제1영역(S1)에 유입된 배기가스가 하우징(200)의 제2영역(S2)으로 유동하여 질소산화물 제거유닛(300)을 통과하면 배기가스로부터 질소산화물이 제거될 수 있다.
질소산화물 제거유닛(300)에서는 환원제에 의한 질소산화물의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에 의해서 배기가스로부터 질소산화물을 제거할 수 있다. 예컨대, 질소산화물 제거유닛(300)에서는 암모니아를 환원제로 한 질소산화물의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에 의해서 질소산화물이 물과 질소가스가 되도록 함으로써, 배기가스로부터 질소산화물을 제거할 수 있다. 질소산화물 제거유닛(300)에서 질소산화물의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을 위한 환원제는 전술한 암모니아에 한정되지 않고, 질소산화물의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에 의해서 배기가스로부터 질소산화물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질소산화물 제거유닛(30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촉매부재(310)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촉매부재(310)에는 촉매가 포함될 수 있다. 촉매는, 예컨대 이산화티타늄을 서포트로 한 바나디아 촉매(V2O5/TiO2)일 수 있다. 그러나, 촉매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환원제에 의한 질소산화물의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이 가능하도록 하는 촉매라면 주지의 어떠한 촉매라도 가능하다.
복수개의 촉매부재(310) 사이 각각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로(RT,RT')가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200)의 제2영역(S2)으로 유동한 배기가스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촉매부재(310) 사이의 유동로(RT,RT')를 유동할 수 있다.
유동로(RT)의 일측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리고 타측은 닫힐 수 있다. 그리고, 유동로(RT)와 이웃하는 유동로(RT')의 일측은 닫히고 타측은 열릴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배기가스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로(RT)의 열린 일측을 통해 유동로(RT)에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동로(RT)에 유입된 배기가스는 촉매부재(310)를 통과할 수 있다. 촉매부재(310)를 통과하면서 배기가스는 환원제에 의한 질소산화물의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에 의해서 질소산화물이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촉매부재(310)를 통과하면서 질소산화물이 제거된 배기가스는 유동로(RT)와 이웃하는 유동로(RT')에 유입되고 유동로(RT)와 이웃하는 유동로(RT')의 열린 타측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질소산화물 제거유닛(300)을 구성하면, 기존에 사용하던 모노리스와 압출촉매 이외에 펠렛형 촉매를 사용할 수 있어서, 배기가스의 접촉 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으므로, 기존 촉매량 보다 적은 양의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질소산화물 저감장치(100)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연돌 등의 내부에서 질소산화물 저감을 위해서 필요한 공간이 감소되도록 할 수 있으며, 연돌 등의 내부에 질소산화물 저감장치(100)와 함께 스크러버 등의 다른 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유입관(PI)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유닛(SP)이 구비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밸브(210)가 열리면 분사유닛(SP)에서 유입관(PI)을 유동하는 배기가스에 환원제 전구체를 분사할 수 있다. 분사유닛(SP)에서 분사되는 환원제 전구체는, 예컨대 요소수일 수 있다. 그러나, 분사유닛(SP)에서 분사되는 환원제 전구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환원제 전구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PI)에는 히터(HE)가 구비될 수 있다. 히터(HE)는 환원제 전구체를 가열하여 환원제로 분해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밸브(210)가 열린 상태에서, 유입관(PI)을 통해 하우징(200)의 제1영역(S1)에 유입된 배기가스에는 환원제가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분사유닛(SP)에서 분사된 요소수를 히터(HE)가 가열하여 요소수가 열분해에 의해서 암모니아가 되도록 함으로써, 유입관(PI)을 통해 하우징(200)의 제1영역(S1)에 유입된 배기가스에 암모니아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암모니아가 포함된 배기가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질소산화물 제거유닛(300)의 촉매부재(310)를 통과하면서 암모니아에 의한 질소산화물의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에 질소산화물이 제거될 수 있다. 예컨대, 배기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이 환원제인 암모니아와 반응하여 물과 질소가스가 됨으로써 배기가스로부터 질소산화물이 제거될 수 있다.
하우징(200)의 제2영역(S2)에는 버너(BN)가 구비될 수 있다. 버너(BN)에 의해서 질소산화물 제거유닛(300)의 촉매부재(310)가 재생될 수 있다. 촉매부재(310)에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황 등에 의해서 생성되는 염(암모니움바이설페이트((NH4)2SO4) 및 암모니움설페이트(NH4SO4) 등의 고체 불순물이 축적될 수 있다. 이러한 고체 불순물이 촉매부재(310)에 축적되면 촉매부재(310)의 촉매표면과 미세기공에 침착되어 질소산화물 제거효율이 낮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촉매부재(310)의 질소산화물 제거효율이 낮아지게 되면, 버너(BN)가 작동하여 촉매부재(310)에 축적된 고체 불순물이 액체 또는 기체가 되어 촉매부재(310)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하우징(200)의 제2영역(S2)을 가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촉매부재(310)가 재생될 수 있다.
또한, 버너(BN)에 의해서 질소산화물 제거유닛(300)을 예열할 수 있다. 질소산화물 제거유닛(300)에서 장시간 배기가스로부터 질소산화물 제거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PI)을 통해 하우징(200)의 제1영역(S1)에 유입되어 하우징(200)의 제2영역(S2)으로 유동한 배기가스가 질소산화물 제거유닛(300)을 통과한다고 하더라도, 질소산화물 제거유닛(300)의 온도가 환원제에 의한 질소산화물의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온도에 이르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버너(BN)에 의해서 하우징(200)의 제2영역(S2)을 가열함으로써 환원제에 의한 질소산화물의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이 일어나도록 질소산화물 제거유닛(300)을 예열할 수 있다.
질소산화물 제거유닛(300)의 구성은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배기가스가 통과하면서 질소산화물이 제거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질소산화물 저감장치를 사용하면, 질소산화물 저감장치에 유입된 배기가스가 질소산화물 제거유닛을 바이패스하여 바이패스관으로 유동하여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거나 질소산화물 제거유닛을 통과하면서 질소산화물이 제거된 후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질소산화물 저감장치의 크기가 감소되도록 할 수 있고, 연돌 등의 내부에서 질소산화물 저감을 위해서 필요한 공간이 감소되도록 할 수 있으며, 연돌 등의 내부에 질소산화물 저감장치와 함께 스크러버 등의 다른 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질소산화물 저감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100 : 질소산화물 저감장치 200 : 하우징
210 : 제1밸브 211 : 밸브바디
212 : 개폐부재 220 : 제2밸브
230 : 제3밸브 240 : 다공판
300 : 질소산화물 제거유닛 310 : 촉매부재
PI : 유입관 PO : 배출관
PB : 바이패스관 S1 : 제1영역
S2 : 제2영역 GV : 가이드베인
RT, RT' : 유동로 SP : 분사유닛
HE : 히터 BN : 버너
EA : 배기가스 배출장치 PE : 배기관

Claims (15)

  1. 배기가스 배출장치에 연결되는 유입관과, 배출관 및, 상기 배출관에 연결되는 바이패스관이 각각 연결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배기가스로부터 질소산화물을 제거하는 질소산화물 제거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유입관을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유입된 배기가스가 상기 질소산화물 제거유닛을 바이패스하여 상기 바이패스관으로 유동하거나 상기 질소산화물 제거유닛을 통과하면서 질소산화물이 제거된 후 상기 배출관으로 유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제1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제1밸브가 닫히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유입된 배기가스는 상기 질소산화물 제거유닛을 바이패스하여 상기 바이패스관으로 유동하고 상기 제1밸브가 열리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유입된 배기가스는 상기 질소산화물 제거유닛으로 유동하고,
    상기 제1밸브에 의해서 상기 하우징 내부는 상기 유입관과 바이패스관이 연결되는 제1영역과 상기 질소산화물 제거유닛이 구비되며 상기 배출관이 연결되는 제2영역으로 구획되며,
    상기 바이패스관에는 상기 제1밸브가 닫히면 열리고 열리면 닫히는 제2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관에는 상기 제1밸브가 닫히면 닫히고 열리면 열리는 제3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질소산화물 제거유닛은 환원제에 의한 질소산화물의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에 의해서 배기가스로부터 질소산화물을 제거하고,
    상기 질소산화물 제거유닛은 촉매가 포함되는 촉매부재를 복수개 포함하며,
    복수개의 상기 촉매부재 사이 각각에는 배기가스가 유동하는 유동로가 형성되고,
    상기 유동로의 일측은 열리고 타측은 닫히며 상기 유동로와 이웃하는 유동로의 일측은 닫히고 타측은 열리는 질소산화물 저감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는 상기 하우징 내부를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으로 구획하는 밸브바디와, 상기 밸브바디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 사이를 개폐하는 복수개의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질소산화물 저감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에는 상기 제1영역에 유입된 배기가스가 상기 제2영역으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베인이 구비되는 질소산화물 저감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와 상기 질소산화물 제거유닛 사이의 상기 제2영역에는 배기가스의 유동을 균일하게 하는 다공판이 구비되는 질소산화물 저감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배기가스는 상기 유동로의 열린 일측을 통해 상기 유동로에 유입되고, 상기 촉매부재를 통과하여 상기 유동로와 이웃하는 유동로에 유입되며, 상기 유동로와 이웃하는 유동로의 열린 타측을 통해 배출되는 질소산화물 저감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에는 상기 제1밸브가 열리면 상기 유입관을 유동하는 배기가스에 환원제 전구체를 분사하는 분사유닛이 구비되는 질소산화물 저감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에는 상기 환원제 전구체가 환원제로 분해되도록 가열하는 히터가 구비되는 질소산화물 저감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에는 상기 촉매부재가 재생되도록 하거나 환원제에 의한 질소산화물의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이 일어나도록 상기 질소산화물 제거유닛을 예열하는 버너가 구비되는 질소산화물 저감장치.
KR1020180080576A 2018-07-11 2018-07-11 질소산화물 저감장치 KR102183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576A KR102183062B1 (ko) 2018-07-11 2018-07-11 질소산화물 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576A KR102183062B1 (ko) 2018-07-11 2018-07-11 질소산화물 저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789A KR20200006789A (ko) 2020-01-21
KR102183062B1 true KR102183062B1 (ko) 2020-11-25

Family

ID=69369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576A KR102183062B1 (ko) 2018-07-11 2018-07-11 질소산화물 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30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9568B1 (ko) 2023-08-24 2024-04-19 이선희 질소산화물 저감 장치용 금속촉매환원필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80464A (ja) * 2006-12-01 2017-10-05 ビーエーエスエフ コーポレーション 領域的に被覆されたフィルター、排気処理システム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3687A (ko) * 2015-07-28 2017-02-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Scr 시스템
KR101784567B1 (ko) * 2015-10-29 2017-10-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배기 경로 일체형 scr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80464A (ja) * 2006-12-01 2017-10-05 ビーエーエスエフ コーポレーション 領域的に被覆されたフィルター、排気処理システム及び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9568B1 (ko) 2023-08-24 2024-04-19 이선희 질소산화물 저감 장치용 금속촉매환원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789A (ko) 2020-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10550C2 (ru) Устройство очистки отработанных газов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варианты)
RU2405946C2 (ru) Система дополнительной обработки выхлопных газов
JP4716325B2 (ja) 排煙脱硝装置とその運転方法
CN109690042A (zh) 还原剂分解反应室
JP4673145B2 (ja) 尿素水噴射ノズルの詰まりを自動解消する脱硝装置
KR101608720B1 (ko) 배기가스 정화장치
EP3467381A1 (en) Exhaust gas denitration device, incinerator and exhaust gas denitration method
KR102183062B1 (ko) 질소산화물 저감장치
KR101525302B1 (ko)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 및 선택적 촉매 환원용 촉매의 재생 방법
KR101257049B1 (ko) 배기가스 처리 장치
KR102150213B1 (ko) 촉매 일체형 집진기
KR102150227B1 (ko) 암모니아 분사장치를 삽입한 촉매 일체형 집진기
DK3088067T3 (en) Plant and method for catalytic denitrification of flue gases
KR102359737B1 (ko) 통합형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
KR102299818B1 (ko) 배기가스 후처리 시스템 및 내연기관
KR101334528B1 (ko) 필터 벨트를 포함한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
KR102153836B1 (ko) 펠렛 촉매 이용 시 탈질 효율을 높이는 탈질 장치
JP2007315308A (ja) 排出ガス浄化装置
KR102229475B1 (ko) 촉매 재생 효과가 향상된 scr 촉매 재생 시스템
KR20170063120A (ko) 선택적 촉매 환원 반응기
KR101552003B1 (ko) 배기가스 처리 장치
KR102538626B1 (ko) 배기가스 처리장치
KR20190122259A (ko) 배기가스 시스템
KR102094112B1 (ko) 펠렛 촉매를 이용 시 탈질 효율을 높이는 탈질 장치
KR20150002122A (ko) 세라믹 필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배기가스 유해물질 동시 저감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