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0205A - 잠금 메커니즘을 갖는 플러그인 연결체 - Google Patents

잠금 메커니즘을 갖는 플러그인 연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0205A
KR20210030205A KR1020200111643A KR20200111643A KR20210030205A KR 20210030205 A KR20210030205 A KR 20210030205A KR 1020200111643 A KR1020200111643 A KR 1020200111643A KR 20200111643 A KR20200111643 A KR 20200111643A KR 20210030205 A KR20210030205 A KR 20210030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locking member
plug
locking pin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1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9890B1 (ko
Inventor
조세프 베이간드
스테판 세이부치너
Original Assignee
오드우 지엠비에치 엔드 코. 케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드우 지엠비에치 엔드 코. 케이지 filed Critical 오드우 지엠비에치 엔드 코. 케이지
Publication of KR20210030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5Casing or ring with bayonet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6Snap or like fastening comprising one or more balls engaging in a hole or a groo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on the p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01R13/434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by separate resilient locking means on contact member, e.g. retainer collar or ring around contact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86Parallel contacts arranged about a common ax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결플러그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연결플러그는 연결체면에 배열된 잠금핀을 구성하고, 상기 잠금핀은 최소한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 및 대응부재를 구성하며, 여기서 상기 최소한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는 2연결부의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대응부재에 맞물리도록 구성한다. 상기 잠금핀은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및 상기 대응부재 서로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된 스프링부재를 구성한다.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가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대응부재와 결합되는 순간, 상기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를 방사상 외부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를 결합위치에서 확실히 잠글 수 있도록 상기 대응부재가 성형되고 구성된다.

Description

잠금 메커니즘을 갖는 플러그인 연결체{Plug-in connector with a locking mechanism}
본 발명은 연결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연결플러그와 2연결부를 결합 구성하는 플러그인 연결체에 관한 것이다.
미국특허 7 192 303 B2는 전기기구를 연결하고 지지하기 위한 장치를 설명한다. 상기 장치는 숫전기플러그(a male electrical plug), 결합암전기소켓(a mating female electrical socket) 및 상기 플러그를 상기 소켓에 고정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기구를 지지면 또는 전기함에 기계적으로 고정하기도 하는 해제가능한 걸쇠뭉치(a releasable latch assembly)를 포함한다. 상기 플러그는 동심원이자 환형의 숫연결체들(male connectors)이 제공되며, 상기 숫연결체는 상기 소켓에서 비슷한 형태를 갖는 암요부들(female recesses)에 의해 결합되도록 수용되어, 상기 기구가 복수의 결합방향 중 어느 한 곳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해제가능한 걸쇠뭉치는 사용자의 엄지나 손가락으로 조작되는 간단한 밀대(push rod)를 사용하여 제어된다.
독일특허출원 DE 10 2016 105 975 A1은 플러그 연결체를 위한 장금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잠금장치는 제1잠금수단(first locking means) 및 제2잠금수단(second locking means)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두 잠금수단은 같이 연결되거나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차단요소(blocking element)가 제공되어 상기 제1감금수단을 상기 제2잠금수단과 결합한다. 상기 차단요소는 기계적 결합에 적합하며, 작동기(actuator)를 통하여 작동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다른 작동기는 상기 제1잠금수단 또는 상기 제2잠금수단에 정렬되어 상기 잠금장치가 실패하지 않도록 보호한다. 상기 제1잠금수단 및 상기 제2잠금수단은 플러그 및 그에 대응되는 상대플러그(counter plug)에서 사용하도록 제공된다.
국제특허출원 WO 2000/16442 A2는 전력을 전도하고 기계적으로 기기를 지지하기 위한 소켓과 플러그의 조합을 설명한다. 상기 조합은 a)벽이나 천장에 견고히 부착할 수 있고, 서로 떨어져 있으며 전력 공급원에 연결할 수 있는 오목한 최소 두 개의 연결기(receptacles)를 포함하고, 제1기계적연결요소(mechanical connection first element)를 구성하는 소켓; b)기기에 견고히 부착될 수 있고 기기를 기계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두 개의 오목한 연결기와 결합가능한 돌출된 최소 두 개의 갈래(prongs)를 지지하고, 상기 기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도체에 연결가능한 플러그; c)상기 소켓과 상기 플러그 사이에 유지력(retention force)을 제공하여 상기 기기를 지지하도록 상기 조합에 부착된 해제가능한 걸림수단(releasable latching means)을 구성한다.
미국특허출원 US 2018/0323556 A1은 다극연결체(multipolar connector)를 설명한다. 상기 연결체는 실질적으로 원기둥 형태의 베이스(base)와, 상기 베이스로부터 다시 해제할 수 있으면서(removable) 상기 베이스에 연결할 수 있고 복수의 접촉점(contacts)이 배치되어 있는 플러그를 구성한다. 상기 베이스는 전도성면(conducting face)을 구성하는데, 상기 전도성면의 중심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중심을 갖는 원의 최소한 하나 이상의 호(arc)를 형성하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전도성 트랙(conducting track)이 배치되는 곳 위 또는 안쪽에 구성한다. 상기 트랙은 나아가 상기 접촉점 중 하나와의 기계적 전기연결을 허용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미국특허 US 8 764 473 B2는 볼잠금연결체(ball-lock connector)에 대해 설명한다. 볼수용홈(Ball storage holes)은 관부재(tubular member)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결합볼(engagement balls)은 상기 볼수용홈에 수용된다. 내부 슬리브(inner sleeve) 및 외부 슬리브(outer sleeve)는 상기 관부재의 외부에 배치되어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대응되는 연결체가 부착될 때, 각 결합공이 첫 번째 위치에서 이동하되, 여기서 상기 결합공의 일부분은 상기 관부재의 내부 주변 표면으로부터 외부 슬리브의 첫 번째 내부 주변 표면에 근접한 두 번째 위치로 돌출되고, 여기서 상기 결합공의 일부분은 상기 내부 주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이후 상기 첫 번째 위치로 돌아온다. 상기 대응되는 연결체가 탈착될 때, 각 결합공은 상기 첫 번째 위치에서 상기 외부 슬리브의 두 번째 내부 주변 표면과 근접한 세 번째 위치로 이동하되, 여기서 상기 결합공의 일부분은 상기 내부 주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상기 첫 번째 위치로 돌아온다. 그러므로 비교적 작은 지름을 갖고 부드럽게 탈부착이 가능한 연결체가 저비용으로 구현된다.
1. 미국특허 7 192 303 B2 2. 독일특허출원 DE 10 2016 105 975 A1 3. 국제특허출원 WO 2000/16442 A2 4. 미국특허출원 US 2018/0323556 A1 5. 미국특허 US 8 764 473 B2
본 발명의 목적은 견고하고 믿을만한 연결을 제공하고 편리한 조작을 가능케하며 특히 웨어러블 기술(wearable technology) 분야에 사용하기 적합한 연결플러그(connecting plug) 및 플러그인 연결체(plug-in connector)를 제공함에 있다. 다만 상기 연결플러그 및 상기 플러그인 연결체의 사용은 이 기술분야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플러그가 제공된다. 상기 연결플러그는 연결체면에 배열된 잠금핀을 구성하고, 상기 잠금핀은 최소한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 및 대응부재를 구성하며, 여기서 상기 최소한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는 2연결부의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대응부재에 맞물리도록 구성한다. 상기 잠금핀은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및 상기 대응부재 서로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된 스프링부재를 구성한다.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가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대응부재와 결합되는 순간, 상기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를 방사상 외부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를 결합위치에서 확실히(positively) 잠글 수 있도록 상기 대응부재가 성형되고 구성된다.
전기연결을 이루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촉부재에 추가하여, 본 발명의 상기 연결플러그는 나아가 상기 연결플러그가 2연결부와 결합할 때 상기 2연결부와의 견고하고 믿을만한 기계적 연결을 이루기에 적합한 잠금핀을 구성한다. 상기 잠금핀은 상기 연결플러그와 상기 2연결부가 연결될 때 최소한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에 맞물리도록 구성된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를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잠금핀은 나아가 대응부재를 구성한다. 대응부재는 상기 잠금핀의 추가적인 요소이며, 여기서 상기 대응부재 및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는 서로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압력을 가한다. 상기 대응부재는 두 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첫째로, 상기 대응부재가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와 상호작용하므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잠금핀의 방사상 외부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압력이 가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는 그에 대응되는 대응걸림부재와 탄성적으로 맞물릴 수 있다. 둘째로,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를 결합위치에서 확실히(positively) 잠글 수 있도록 상기 대응부재가 성형되고 구성된다. 상기 결합위치에서,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는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와 맞물린다. 상기 대응부재는 가압(pressing)부재로써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와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 사이의 결합을 잠그도록 구성된 걸림부재로써도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플러그는 상기 2연결부와 의도치 않게 탈착되지 않는다. 상기 연결플러그 및 2연결부 간의 견고하고 믿을만한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연결플러그와 상기 2연결부를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걸림부재들이 맞물릴 때까지 상기 연결플러그를 단순히 상기 2연결부로 밀어 넣는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플러그가 제공된다. 상기 연결플러그는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를 갖는 잠금핀,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를 파지하는 홀더부재 및 대응부를 구성하며, 여기서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는 2연결부의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와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대응부재는 결합위치에서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를 확실히(positively) 잠글 수 있도록 성형되고 구성된다. 상기 홀더부재는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와 함께 상기 잠금핀에 또는 그 안에 움직일 수 있도록 배열되고, 상기 대응부재는 상기 잠금핀에 고정된다. 상기 대응부재에 대하여 상기 홀더부재를 움직임으로써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의 결합위치에서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가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잠금핀이 구성된다.
접촉부재에 추가하여, 상기 연결플러그는 상기 2연결부와 안정적인 기계적 연결을 이루기 위하여 잠금핀을 구성한다. 상기 잠금핀은 홀더부재를 구성한다. 홀더부재는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를 지지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부분이다. 예를 들어, 볼(ball)이 걸림부재로써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홀더부재는 볼케이지(ball cage)가 된다. 상기 걸림부재는 그에 대응되는 2연결부의 대응걸림부재에 걸기(latching) 위하여 구성된다. 상기 잠금핀은 나아가 상기 걸림부재에 탄성적으로 압력을 가하는 대응부재를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대응부재는 상기 연결핀에 고정되는 고정부품으로써 이용되는 반면, 상기 걸림부재를 갖는 상기 홀더부재는 이동가능한 부분으로써 이용된다. 스프링부재의 수단을 통하여 상기 걸림부재를 갖는 상기 홀더부재는 상기 고정된 대응부재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압력을 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대응부재를 고정부품으로써 이용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이와 같은 이용이 결합위치에서 상기 결합부재가 더 안정적이고 믿을만한 잠금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특히, 흔들리는 경우, 고정된 대응부재는 확실히(reliably) 상기 연결플러그 및 상기 2연결부 간의 잠금을 가능케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플러그 및 2연결부를 구성하는 플러그인 연결체가 제공된다. 상기 연결플러그는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 및 대응부재를 갖는 잠금핀을 구성한다. 상기 연결플러그는 나아가 최소 하나 이상의 제1접촉부재를 구성한다. 상기 2연결부는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를 갖는 잠금슬리브를 구성하고, 상기 잠금슬리브는 상기 연결플러그가 상기 2연결부와 결합할 때 상기 잠금핀을 수용하도록 구성하며, 여기서,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는 상기 잠금슬리브의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상기 2연결부는 최소 하나 이상의 제1접촉부재와의 전기적 접촉을 위해 구성된 최소 하나 이상의 제2접촉부재를 구성한다. 상기 잠금핀은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와 상기 대응부재 서로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스프링부재를 구성한다.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가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대응부재와 결합하는 순간, 상기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를 방사상 외부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를 결합위치에서 확실히(positively) 잠글 수 있도록 상기 대응부재가 성형되고 구성된다.
상기 연결플러그와 관련하여, “전면단부”, “후면단부”, “전면부”, “후면부” 등과 같은 단어들은 상기 연결플러그의 결합방향과 관련이 있다. 상기 연결플러그의 결합방향은 2연결부에 상기 연결플러그가 삽입되는 방향이다. 상기 2연결부와 관련하여, “전면단부”, “후면단부”, “전면부”, “후면부” 등과 같은 단어들은 상기 2연결부의 결합방향과 관련 있으며, 이는 상기 연결플러그의 결합방향과 반대이다. 따라서, 상기 2연결부의 전면부는 상기 2연결부의 부분 중, 상기 연결플러그의 전면단부를 먼저 받아들이는 부분이다. “방사상 내부방향” 및 “방사상 외부방향”은 축방향에서 상기 연결플러그의 중심축에 관한 것이며, 상기 연결플러그의 결합방향과 대응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플러그 및 2연결부를 구성하는 플러그인 연결체가 제공된다. 상기 연결플러그는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를 갖는 잠금핀을 구성한다. 상기 연결플러그는 상기 잠금핀에 또는 그 안에 움직일 수 있도록 배열된 작동부, 및 상기 잠금핀 주변에 배치된 최소 하나 이상의 제1접촉부재를 구성한다. 상기 2연결부는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를 갖는 잠금슬리브를 구성하고, 상기 잠금슬리브는 상기 연결플러그가 상기 2연결부와 결합될 때 상기 잠금핀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는 상기 잠금슬리브의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상기 2연결부는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제1접촉부재와의 전기적 접촉을 위해 구성된 최소 하나 이상의 제2접촉부재를 구성한다.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가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대응부재와 결합되는 순간, 상기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를 확실히(positively) 잠글 수 있도록 상기 잠금핀 및 상기 잠금슬리브가 성형되고 구성된다. 나아가,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의 해제는 작동부의 작동이 필요하도록 상기 잠금핀 및 상기 잠금슬리브를 성형하고 구성한다. 상기 잠금핀은 상기 작동부를 작동하지 않고 상기 잠금슬리브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잠금핀이 상기 잠금슬리브에 삽입될 때, 최소 하나 이상의 탄력있는 걸림부재 또는 스프링력이 미리 축적된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가 방사상 내부방향으로 밀어지고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가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와 맞물릴 때까지 상기 잠금핀을 상기 잠금슬리브에 삽입한다. 이에 따라, 상기 작동부를 작동하지 않고도 상기 연결플러그 및 상기 2연결부는 영향을 받으며, 이러한 이유로, 상기 연결플러그 및 상기 2연결부를 결합하는 것은 간단하고 직관적이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플러그 및 2연결부를 구성하는 플러그인 연결체가 제공된다. 상기 연결플러그는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를 갖는 잠금핀,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를 파지하는 홀더부재 및 대응부를 구성한다. 상기 2연결부는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를 갖는 잠금슬리브를 구성하고 상기 잠금슬리브는 상기 연결플러그가 상기 2연결부와 결합할 때 상기 잠금핀을 수용하기 위하여 구성된다.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는 상기 2연결부의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와 결합하도록 구성하고, 여기서 상기 대응부재는 결합위치에서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를 확실히(positively) 잠글 수 있도록 성형되고 구성된다.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를 갖는 홀더부재는 상기 잠금핀에 또는 그 안에 움직일 수 있도록 배열되고, 상기 대응부재는 상기 잠금핀에 고정된다. 상기 대응부재에 대하여 상기 홀더부재를 움직임으로써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의 결합위치에서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가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잠금핀이 구성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플러그 및 2연결부를 구성하는 플러그인 연결체가 제공된다. 상기 연결플러그는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 및 대응부재를 갖는 잠금핀을 구성한다. 상기 2연결부는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를 갖는 잠금슬리브를 구성하고 상기 잠금슬리브는 상기 연결플러그가 상기 2연결부와 결합할 때 상기 잠금핀을 수용하기 위하여 구성된다.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는 상기 2연결부의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와 결합하도록 구성하고, 여기서 결합위치에서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를 확실히(positively) 잠글 수 있도록 상기 대응부재는 성형되고 구성된다.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의 결합위치에서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 및 상기 대응부재에 의해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에 가해진 힘은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를 방사상 내부 방향으로 움직이는 데 적합한 힘의 성분은 포함하지 않도록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 및 상기 대응부재는 성형되고 구성된다.
이 해결방안에서, 상기 대응걸림부재 및 상기 대응부재의 기하학 구조에 의하여, 방사상 내부방향으로 상기 걸림부재를 이동시키는 힘의 요소를 포함하는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에는 이 부재들이 힘을 가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가 상기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와 결합되는 순간, 그 결합이 잠기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플러그 및 2연결부를 구성하는 플러그인 연결체가 제공된다. 상기 연결플러그는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 및 대응부재를 갖는 잠금핀을 구성한다. 상기 연결플러그는 최소 하나 이상의 제1접촉부재를 구성한다. 상기 2연결부는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를 갖는 잠금슬리브를 구성하고, 상기 잠금슬리브는 상기 연결플러그가 상기 2연결부와 결합할 때 상기 잠금핀을 수용하도록 구성하고, 여기서,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는 상기 잠금슬리브의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상기 2연결부는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제1접촉부재와의 전기적 접촉을 위해 구성된 최소 하나 이상의 환형의 접촉부재를 구성한다. 상기 연결플러그는 각이 있는 연결체인 것이다.
이 해결방안에서, 잠금핀과 잠금슬리브를 구성하는 잠금 메커니즘이 제공되어, 견고하고 믿을만한 기계적 연결을 이룰 수 있다. 이 해결방안에서, 상기 연결플러그는 각이 있는 연결체로써 이용된다. 각이 있는 연결체(angular connector)란 케이블 방향이 상기 연결플러그의 축방향과 다른 방향에서 기원된 연결체를 말한다. 본 발명의 잠금 메커니즘은 특히 각이 있는 연결체에 적합하다. 상기 각이 있는 연결체를 2연결부와 결합하기 위하여, 걸림부재들이 맞물릴 때까지 상기 각이 있는 연결체를 단순히 상기 2연결부에 밀어넣으면 된다. 상기 접촉부재의 환형모양으로 인하여, 상기 각이 있는 연결체는 어떤 각도에서도 상기 2연결부와 결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플러그인 연결체의 조작이 간단해진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플러그 및 2연결부를 구성하는 플러그인 연결체가 제공된다. 상기 연결플러그는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를 갖는 잠금핀을 구성하고, 여기서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는 2연결부의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와 맞물리도록 구성한다. 상기 연결플러그는 나아가 상기 연결핀 주변에 배치된 최소 하나 이상의 접촉부재를 구성하고, 작동부는 상기 잠근핀에 또는 안쪽에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된다.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는 상기 잠금슬리브의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와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가 상기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와 맞물리는 순간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가 확실히(positively) 잠길 수 있도록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 및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가 성형되고 구성된다.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는 최소 하나 이상의 탄력있는 걸림부재 또는 스프링력이 미리 축적된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로써 실현되고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는 상기 잠금핀의 방사상 외부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작동부를 작동시키면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의 최소한 일부분들이 방사상 내부방향으로 움직이고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로부터 탈착될 수 있게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와 상호작용하도록 상기 작동부를 구성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플러그 및 2연결부를 구성하는 플러그인 연결체가 제공된다. 상기 연결플러그는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를 갖는 잠금핀을 구성한다. 상기 연결플러그는 상기 잠금핀 주변에 배치된 최소 하나 이상의 제1접촉부재 및 상기 잠금핀에서 또는 그 안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되는 작동부를 구성한다. 상기 2연결부는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를 갖는 잠금슬리브를 구성하고, 상기 잠금슬리브는 상기 연결플러그가 상기 2연결부와 결합할 때 상기 잠금핀을 수용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는 상기 잠금슬리브의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와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가 상기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와 맞물리는 순간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가 확실히(positively) 잠길 수 있도록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 및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가 성형되고 구성된다. 상기 2연결부는 나아가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제1연결부재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하여 최소 하나 이상의 제2연결부재를 구성한다.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는 최소 하나 이상의 탄력있는 걸림부재 또는 스프링력이 미리 축적된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로써 구현되고,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는 상기 잠금핀의 방사상 외부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작동부를 작동시키면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의 최소한 일부분들이 방사상 내부방향으로 움직이고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로부터 탈착될 수 있게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와 상호작용하도록 상기 작동부를 구성한다.
첫번째 효과로, 본발명의 연결플러그와 상기 2연결부를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걸림부재들이 맞물릴 때까지 상기 연결플러그를 단순히 상기 2연결부로 밀어 넣는 것으로 결합되고 의도치 않게 탈착되지 않는 효과를 가진다.
두번째 효과로, 흔들리는 경우에도 고정된 대응부재는 확실히(reliably) 본발명의 연결플러그 및 상기 2연결부 간의 잠금을 가능케 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세번째 효과로, 본원발명의 연결플러그 및 상기 2연결부를 결합하는 것은 간단하고 직관적인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네번째 효과로, 본원발명의 대응걸림부재 및 상기 대응부재의 기하학 구조에 의하여, 방사상 내부방향으로 상기 걸림부재를 이동시키는 힘의 요소를 포함하는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에는 이 부재들이 힘을 가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가 상기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와 결합되는 순간, 그 결합이 잠기게 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다섯번째 효과로, 본 발명의 잠금 메커니즘은 특히 각이 있는 연결체에 적합하다. 각이 있는 연결체를 2연결부와 결합하기 위하여, 걸림부재들이 맞물릴 때까지 상기 각이 있는 연결체를 단순히 상기 2연결부에 밀어넣으면 된다. 상기 접촉부재의 환형모양으로 인하여, 상기 각이 있는 연결체는 어떤 각도에서도 상기 2연결부와 결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대략적인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는 도식적으로 다음과 같다:
도1은 연결플러그 및 2연결부를 구성하는 플러그인 연결체를 나타낸다.
도2a는 연결플러그의 후면단부를 나타낸다.
도2b는 연결플러그의 전면단부를 나타낸다.
도3a는 2연결부의 전면단부를 나타낸다.
도3b는 2연결부의 후면단부를 나타낸다.
도4는 연결플러그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5는 2연결부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6은 결합상태일 때 연결플러그와 2연결부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7은 대응부재의 대안 예시를 나타낸다.
도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결플러그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
독자적으로 또는 결합하여 적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최선의 특징은 종속항 및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잠금핀은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를 파지하기 위해 구성된 홀더부재를 구성한다. 상기 홀더부재 및 상기 걸림부재는, 예를 들어, 개별적인 부품일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홀더부재 및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는, 예를 들어,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홀더부재는 예를 들어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를 파지하기 위하여 구성된 케이지(cage)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는 최소 하나 이상의 탄력있는 걸림부재 또는 스프링력이 미리 축적된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로써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는 상기 잠금핀(53)의 방사상 외부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는 상기 홀더부재에 의해 파지되어,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가 방사상으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잠금핀은 대응부재를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최소 하나 이상의 홀더부재 및 상기 대응부재가 상기 잠금핀에 또는 그 안에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홀더부재 및 상기 대응부재는 서로 탄성적으로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리하여 상기 대응부재는 상기 걸림부재에 영향을 끼치며 상기 걸림부재를 상기 잠금핀의 방사상 외부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유도한다.
최선의 실시예에서, 상기 잠금핀은 스프링부재를 구성하고, 여기서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 및 상기 대응부재 서로에 대하여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잠금핀은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 및 상기 대응부재 서로에 대하여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된 스프링부재를 구성하고,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가 상기 대응부재에 의하여 방사상 외부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압력을 받도록 상기 대응부재를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응부재는 접근면을 가진다.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응부재는 경사접근면을 가진다. 경사접근면은 상기 걸림부재와 확실히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와 상호작용하고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를 상기 잠금핀의 방사상 외부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밀어넣기 위하여 상기 대응부재의 상기 접근면이 구성된다.
최선의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플러그는 작동부를 구성하고, 상기 작동부는 작동시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 및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 사이의 결합을 풀고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를 해제하기 위하여 구성된다.
최선의 실시예에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연결플러그의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축방향으로 상기 작동부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걸림부재 및 상기 대응걸림부재 사이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동부는 상기 작동부를 상기 연결플러그의 축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작동되도록 구성한다.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동부는 상기 연결플러그의 결합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작동부를 잡아당겨 작동되도록 구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작동부를 작동하면 상기 축방향으로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 및 상기 대응부재간의 관련 움직임을 만들어내도록 상기 작동부를 구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작동부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홀더부재는 상기 대응부재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는 해제된다.
최선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를 갖는 상기 홀더부재는 상기 잠금핀의 외부 또는 잠금핀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대응부재는 상기 잠금핀에 고정된다. 상기 대응부재는 상기 걸림부재를 위한 잠금부재로써 역할을 한다. 상기 잠금핀에 고정된 부동(stationary)의 대응부재를 제공함으로써, 결합위치에서 상기 걸림부재의 안정적인 잠금이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응부재는 부동의 돔형 대응부재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를 갖는 상기 홀더부재는 상기 잠금핀의 외부 또는 그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의 결합위치에서 상기 대응부재에 대하여 상기 홀더부재를 움직임으로써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가 해제되도록 상기 잠금핀을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잠금핀은 스프링부재를 구성하고,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기 대응부재를 향하여 상기 홀더부재를 밀어넣도록 구성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홀더부재는 스프링이 장착된 홀더부재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동부는 상기 홀더부재와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동부는 작동시 상기 스프링부재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상기 대응부재로부터 상기 홀더부재를 이격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작동부를 작동시키면 상기 걸림부재가 해제된다.
다른 최선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대응부재는 상기 잠금핀의 외부에서 또는 잠금핀의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를 갖는 상기 홀더부재는 상기 잠금핀에 고정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대응부재는 이동가능한 부분으로 구현되고, 상기 홀더부재는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는 요부, 홈부 또는 최소 하나 이상의 오목부, 원주상 요부 및 원주상 홈부 중 하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는 최소 하나 이상의 전동 (轉動)부재(rolling element)로써 구현된다.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더부재는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전동부재를 파지하기 위하여 구성된 케이지(cage)로써 구현된다. 상기 걸림부재를 전동부재로 구현함으로써, 기능면(functional surface)은 굴곡이 있는 표면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는 최소 하나 이상의 볼(ball)로 구현된다.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더부재는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볼을 파지하기 위하여 구성된 볼케이지(ball cage)로 구현된다. 이러한 종류의 볼잠금핀(ball lock pin)은 상기 연결플러그 및 상기 2연결부 간의 안정적인 기계적 연결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는 최소 하나 이상의 볼이고, 상기 홀더부재는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볼이 방사상 내부방향으로 압력을 받도록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볼을 파지할 수 있게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플러그 및 상기 2연결부를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작동부를 작동시킬 필요는 없다. 상기 걸림부재는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방사상 내부방향으로 압력을 받을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잠금핀은 상기 작동부를 작동하지 않고도 상기 잠금슬리브에 유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가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와 맞물릴 때까지 상기 작동부를 작동하지 않고도 상기 잠금슬리브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잠금핀을 구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플러그 및 상기 2연결부를 결합은 상기 작동부를 작동하지 않아도 바람직하게 진행된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플러그와 상기 2연결부의 결합은 사용자가 결합과정에서 상기 작동부를 눌렀을 때에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는 상기 잠금핀이 상기 잠금슬리브에 삽입될 때 방사상 내부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눌러지도록 구성된다.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응부재에 의하여 가해진 탄성력에 대항하여 방사상 내부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밀어지도록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를 구성한다. 나아가 최선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플러그 및 상기 2연결부를 해제하는 것은 상기 작동부를 작동시켜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가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와 맞물리는 순간, 결합으로 잠겨긴다. 이에 따라,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가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와 맞물리는 순간,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는, 예를 들어, 상기 대응부재에 의하여 확실히(positively) 잠길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가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와 맞물린 후에는 상기 연결플러그에 당기는 힘을 적용하여 상기 연결플러그와 상기 2연결부를 해제하는 것은 더 이상 불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응부재는 방사상 외부방향으로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에 압력을 가하기 위하여 성형되고 구성된다.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가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와 맞물리는 순간, 결합위치에서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를 확실히(positively) 잠글 수 있도록 상기 대응부재를 성형하고 구성한다. 더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가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와 맞물리는 순간,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를 방사상 외부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고 결합위치에서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를 확실히(positively) 잠글 수 있도록 상기 대응부재를 성형하고 구성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대응부재는 이중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대응부재는 바람직하게는 가압부재(pressing element)로써 역할하면서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를 위한 잠금부재로써도 역할한다. 상기 대응부재는, 예를 들어, 접근면을 구성하고, 여기서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가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와 맞물리는 순간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를 방사상 외부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고 결합위치에서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를 확실히(positively) 잠글 수 있도록 상기 대응부재의 접근면을 성형하고 구성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대응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가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와 맞물리는 순간 잠금부재로써 역할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의 결합위치에서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 및 상기 대응부재에 의해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에 가해진 힘은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를 방사상 내부 방향으로 움직이는 데 적합한 힘의 성분은 포함하지 않도록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 및 상기 대응부재는 성형되고 구성된다. 특히, 상기 연결플러그에 외부힘이 적용되는 경우에,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 및 상기 대응부재에 의해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에 가해진 힘은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를 방사상 내부 방향으로 움직이는데 적합한 힘의 성분은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에 작용하는 힘은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로부터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를 분리시키는데 적합하지 않다.
최선의 실시예에서,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의 결합위치에서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결합부재가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와 상기 대응부재 사이에 고정되어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가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와 맞물려 잠겨지도록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 및 상기 대응부재는 성형되고 구성된다. 상기 결합위치에서, 상기 대응걸림부재와 상기 대응부재의 특정 형상으로 인해 잠금이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가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와 맞물리고 상기 연결플러그에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가 잠금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와 상기 대응부재는 성형되고 구성된다.
나아가 최선의 실시예에서,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는 제2경사접근면을 구성하는 원주연홈부(circumferential groove)로써 구현된다.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응부재는 제1경사접근면을 가질 수 있고,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의 제2경사접근면과 상기 대응부재의 제1경사접근면 사이에 고정된다.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응부재는 잠금면(locking surface)을 가질 수 있고,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와 상기 대응부재의 잠금면 사이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응부재는 제1경사접근면을 갖고, 여기서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는 제2경사접근면을 구성하는 원주연홈부로 구현되고, 여기서 상기 잠금핀의 상기 축방향에 대한 상기 제2경사접근면의 각도는 상기 축방향에 대한 상기 제1경사접근면의 각도보다 크거나 같다.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응부재는 잠금면을 갖고, 여기서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는 제2경사접근면을 갖는 원주연홈부로 구현되고, 여기서 상기 잠금핀의 상기 축방향에 대한 상기 제2경사접근면의 각도는 상기 축방향에 대한 상기 잠금면의 각도보다 크거나 같다. 이런 기하학적 형상으로 인해, 안정적인 잠금을 이룰 수 있다.
최선의 실시예에 의하면,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작동부를 작동시켜야하고, 여기서 상기 작동부를 작동하면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가 상기 대응부재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를 해제하도록 상기 작동부를 구성한다.
최선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작동부를 작동시키면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를 갖는 상기 홀더부재를 상기 대응부재로부터 이격시키고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가 해제되도록 상기 작동부를 구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작동부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걸림부재 및 상기 대응걸림부재 사이의 결합이 해제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동부를 작동시키면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가 해제되고 방사상 내부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되며 상기 잠금핀은 상기 잠금슬리브로부터 빼내어지도록 상기 작동부를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플러그는 최소 하나 이상의 제1접촉부재를 구성한다.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2연결부는 상기 연결플러그의 최소 하나 이상의 제1접촉부재와 최소 하나 이상의 전기연결을 이루기 위하여 구성된 최소한 하나 이상의 제2접촉부재를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잠금핀은 상기 연결플러그에 상기 연결체면 중심에 배치된다.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잠금슬리브는 상기 2연결부의 상기 연결체면의 중심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제1접촉부재는 상기 잠금핀 주변에 배열된다.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제1연결부재는 상기 잠금핀의 방사상 외부방향에 위치한다. 더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제1접촉부재는 상기 제2연결부의 연결체면에 상기 잠금핀의 방사상 외부방향으로 배치된다. 더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제2접촉부재는 상기 잠금슬리브의 방사상 외부방향에 위치한다.
최선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2연결부는 최소 하나 이상의 환형접촉부재를 구성한다.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2연결부는 이웃하는 환형접촉부재 사이 각각에 배치된 둘 이상의 환형접촉부재 및 환형의 절연부를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환형접촉부재는 상기 2연결부의 상기 잠금슬리브에 동심원상으로 정렬된다.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환형접촉부재 및 상기 환형의 절연부는 상기 2연결부의 상기 잠금슬리브에 동심원상으로 정렬된다.
최선의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플러그는 상기 연결플러그의 상기 연결체면에 배열된 최소 하나 이상의 접촉핀을 구성한다.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플러그는 상기 잠금핀 주변에 배열된 복수의 접촉핀을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2연결부의 최소 하나 이상의 환형접촉부재와 전기접촉을 이루기 위하여 상기 연결플러그의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접촉핀이 배열되고 구성된다.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접촉핀은 스프링이 부착된 접촉핀으로 구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2연결부의 동일한 환형접촉부재와 전기접촉을 이루기 위하여 상기 연결플러그의 최소 둘 이상의 접촉핀을 배열하고 구성한다. 최선의 실시예에서, 상기 잠금핀과 상기 잠금슬리브는 전기연결이 되도록 구성되지 않는다. 다른 최선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잠금핀과 상기 잠금슬리브는 전기연결을 이루기 위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러그인 연결체부(plug-in connector part) 및 상기 2연결부 각각은 차폐접촉을 포함한다.
최선의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플러그는 각이 있는 연결체(angular connector)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플러그의 상기 연결체면의 표준(normal)에 대하여 상기 연결플러그의 상기 케이블 각도는 60˚와 120˚ 사이에 있다. 더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플러그의 상기 연결체면의 표준에 대하여 상기 케이블 각도는 대략 90˚이다.
최선의 실시예에서, 상기 2연결부의 축방향에 대하여 어느 각도에서도 상기 2연결부와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플러그를 구성한다. 다른 최선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2연결부의 축방향에 대하여 각기 다른 각도들 중 한 각도로 상기 2연결부와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플러그를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2연결부는 회전대칭이다. 다른 최선의 실시에에 따르면, 상기 2연결부는 n겹 회전 대칭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러그인 연결체(plug-in connector)는 웨에러블 기술분야에 이용된다.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2연결부는 의복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2연결부는 물로 빠는 것이 가능하다.
최선의 실시에에 따르면, 상기 2연결부는 주조복합체(casting compound)를 이용하여 밀봉할 수 있다.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플러그는 주조복합체를 이용하여 밀봉할 수 있다. 최선의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플러그 및 상기 2연결부 사이의 연결은 O형링 들(O-rings)로 밀봉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환형접촉부재 및 상기 환형의 절연부는 상기 2연결부의 매끄러운 표면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환형접촉부재 및 상기 환형의 절연부는 오목하거나 깔때기 모양으로 상기 2연결부의 표면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2연결부의 상기 잠금슬리브에 상기 연결플러그의 상기 연결핀이 유도될 수 있도록 상기 오목하거나 깔때기 모양의 표면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최선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잠금핀은 그 전면부에 덮개를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덮개는 상기 2연결부의 표면의 손상을 막아줄 수 있는 재질로 만들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덮개는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잠금슬리브는 상기 2연결부를 완전히 관통한다.
최소 하나 이상의 탄력있는 걸림부재 또는 스프링력이 미리 축적된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를 갖는 연결플러그
최선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는 최소 하나 이상의 리프스프링(leaf spring)으로 구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리프스프링은 최소 하나 이상의 U자형 및/또는 Ω(오메가)자형 리프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잠금핀이 상기 잠금슬리브에 삽입될 때, 상기 잠금슬리브의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와 맞물리도록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리프스프링의 일부분들을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가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와 맞물리는 순간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가 확실히(positively) 잠길 수 있도록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 및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를 성형하고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잠금핀에 힘을 가하여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가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 및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를 성형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동부를 작동하지 않고는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가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리프스프링 및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를 성형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에 대한 상기 잠금핀의 축방향으로 상기 작동부가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작동부를 상기 잠금핀의 외부 또는 잠금핀 내부에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동부의 작동은 스프링부재의 스프링력에 대항하도록 이루어진다.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동부를 작동하면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의 일부분이 방사상 내부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와 상호작용하도록 상기 작동부를 구성한다.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동부를 작동하면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의 최소 부분이 탄력적으로 변형될 수 있게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와 상호작용하도록 상기 작동부를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리프스프링은 최소 하나 이상의 U자형 또는 Ω(오메가)자형 리프스프링을 구성하고, 여기서 상기 작동부는 주로(predominantly) 축방향으로 연장된 최소 하나 이상의 작동암(actuating arm)을 구성하며, 여기서 상기 작동부를 작동할 때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U자형 또는 Ω(오메가)자형 리프스프링의 다리가 방사상 내부 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게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리프스프링과 상호작용하도록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작동암을 구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에 대한 다음 설명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비슷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1은 연결플러그(1) 및 2연결부(2)를 구성하는 플러그인 연결체를 나타내며, 여기서 상기 연결플러그(1) 및 상기 2연결부(2)는 축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2a 및 2b는 연결플러그(1)의 후면단부 및 전면단부를 나타낸다. 도3a 및 3b는 2연결부(2)의 전면단부 및 후면단부를 나타낸다.
상기 연결플러그(1)는 각이 있는 연결체(angular connector)로써 이용되고 케이블(5)을 위한 케이블인출부(4)를 구성하며, 상기 케이블(5)은 고정링(6)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기 연결플러그(1)의 후면단부에, 작동부(7)가 링부(8)와 함께 배치되고, 여기서 상기 작동부(7)는 화살표(9)로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플러그(1)의 결합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길 수 있다. 상기 연결플러그(1)의 하우징부는 제1하우징부(10) 및 제2하우징부(11)를 구성한다.
도2b는 연결플러그(1)의 연결체면(12)을 나타낸다. 상기 연결체면(12)의 중심에는 잠금핀(13)이 배치된다. 홀더부재에 해당되는 볼케이지(15)에 의해 지지되는 걸림부재에 해당하는 볼(14)은 걸림부재로써의 역할을 한다. 상기 잠금핀(13)의 전면단부에 덮개(16)가 배치되며, 여기서 상기 덮개(16)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제1접촉부재에 해당하는 복수의 접촉핀(17)은 상기 잠금핀(13)의 주변에 배치되며, 여기서 상기 접촉핀(17)은 바람직하게는 스프링이 장착된 접촉핀으로써 구현된다.
도3a는 상기 2연결부(2)의 연결체면(18)을 나타낸다. 상기 연결체면(18)의 중심에 잠금슬리브(19)가 위치한다. 상기 연결플러그(1)가 상기 2연결부(2)와 결합할 때, 상기 잠금핀(13)은 대응되는 상기 잠금슬리브에 삽입되어 상기 2연결부(2)에 대하여 상기 연결플러그(1)를 걸어서 잠글수 있다. 상기 2연결부(2)의 상기 연결체면(18)은 상기 잠금슬리브(19) 주변에 동심원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2접촉부재에 해당하는 환형접촉부재(20)를 구성하고, 상기 잠금슬리브(19)는 중심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플러그(1) 및 상기 2연결부(2) 사이의 견고한 기계적 연결을 이루기 위하여 상기 잠금핀(13) 및 상기 잠금슬리브(19)를 구성한다.
상기 연결플러그(1)가 상기 2연결부(2)와 결합될 때 복수의 전기연결을 만들기 위하여 상기 접촉핀(17) 및 상기 환형접촉부재(20)를 구성한다. 특히 상기 접촉핀(17)의 각각은 그에 대응되는 환형접촉부재(20)와 전기접촉을 이루기 위하여 구성된다. 상기 접촉핀(17)과 상기 환형접촉부재(20) 사이의 신뢰할 만한 전기접촉을 이루기 위하여, 각 환형접촉부재에 대하여 둘 이상의 접촉핀(17)이 제공되어 둘 이상의 접촉핀(17)을 통하여 전기연결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환형접촉부재(20)의 각각은 대응되는 접촉핀들(17)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환형접촉부재(20)가 상기 잠금슬리브(19) 주변에 동심원상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축방향(3)으로 상기 2연결부(2)에 대하여 상기 연결플러그(1)를 어떤 각도로 하든 상관 없이 상기 연결플러그(1)를 상기 2연결부(2)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2연결부(2)는, 예를 들어, 회전대칭 연결부로써 구현될 수 있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2연결부에 대한 상기 연결플러그의 연결가능한 각도의 개수는 다수의 예정된 각도로 한정할 수 있다.
도3b는 상기 2연결부(2)의 후면단부를 나타낸다. 상기 잠금슬리브(19)가 상기 2연결부(2)를 완전히 관통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잠금슬리브(19)는 상기 2연결부(2)를 일부만 관통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2연결부의 후측면에, 상기 환형의접촉부재(20)의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핀(21)을 배치한다.
상기 연결플러그(1)를 상기 2연결부(2)와 연결할 때, 상기 잠금핀(13) 및 상기 잠금슬리브(19)가 걸려서 잠길 때까지, 상기 잠금핀(13)을 상기 잠금슬리브(19)에 삽입한다. 상기 연결플러그(1)와 상기 2연결부(2)를 연결하는 것은 작동부(7)를 작동시키지 않고 시행한다. 상기 연결플러그 및 상기 2연결부를 결합하는 것은 결합과정에서 사용자가 상기 작동부(7)를 밀어넣은 경우라도 시행될 수 있다. 상기 잠금핀(13)이 상기 잠금슬리브(19)와 맞물리는 순간, 상기 연결플러그(1) 및 상기 2연결부를 해제하는 것은 더 이상 불가능하며, 화살표(9)로 표시한 방향으로, 예를 들어, 링부(8)를 잡아당겨 상기 작동부(7)를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잠금핀(13)과 상기 잠금슬리브(19) 간의 결합을 해제할 필요가 있다. 그러면, 상기 잠금핀(13) 및 상기 잠금슬리브(19) 간의 결합은 해제되고, 상기 잠금핀(13)은 상기 잠금슬리브(19)로 부터 잡아 뺄 수 있으며, 상기 두 개의 연결부는 분리될 수 있다.
도1, 2a, 2b, 3a 및 3b에서 보여진 형태의 플러그인 연결체는, 예를 들어, 웨어러블 기술분야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웨어러블 기술분야는, 예를 들면, 신체에 입을 수 있는 각기 다른 전자기기를 연결하거나 의류에 일체화시키는 것 등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2연결부(2)는 의류, 예를 들어, 조끼에 접합시킬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신체에 입을 수 있는 기기들은 헬멧에 일체화된 기기들과 연결될 수도 있다. 도1, 2a, 2b, 3a 및 3b에서 보여진 상기 플러그인 연결체의 사용은 웨어러블 기술분야에 한정되진 않는다. 상기 플러그인 연결체는 다른 기술분야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도4는 상기 연결플러그(1)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상기 연결플러그(1)의 하우징부는 제1하우징부(10) 및 제2하우징부(11)로 구성된다. 상기 잠금핀(13)은 상기 연결체면(12)의 중심에 위치하며, 복수의 스프링이 장착된 접촉핀(17)은 상기 잠금핀(13) 주변에 배치된다. 덮개(16)는 상기 잠금핀(13) 일단에 배치된다. 상기 접촉핀(17)은 회로판넬(22)의 전도성 경로(conducting paths)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케이블(5)의 와이어스트랜드(23) 또한 상기 회로판넬(22)의 전도성 경로와 연결되며, 이로 인해 상기 와이어스트랜드(23)와 상기 접촉핀(17) 사이에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진다. 주조복합체(24)는 상기 연결플러그(1) 안의 상기 회로판넬(22)을 절연하거나 상기 연결플러그(1)를 수용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걸림 및 잠금 메커니즘은 상기 잠금핀(13)과 일체화 된다. 상기 잠금핀(13)은 상기 잠금핀(13) 안에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된 볼(14)을 갖는 볼케이지(15)를 구성하고, 여기서 상기 볼케이지(15)는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잠금핀(13)은 제1경사접근면(26)을 갖는 고정된 대응부재(25)를 구성한다.
도4의 예시에서 상기 잠금핀(13)은 결합방향(28)으로 상기 대응부재(25)에 대하여 상기 볼(14)을 갖는 상기 볼케이지(15)를 탄성적으로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된 스프링부재에 해당하는 코일스프링(27)을 구성한다. 상기 코일스프링(27)은 내부슬리브(29)의 원주요부에 안착하고 상기 대응부재(25)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볼(14)을 갖는 볼케이지(15)를 탄성적으로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그 결과, 상기 상기 대응부재(25)의 제1경사접근면(26)이 상기 볼(14)에 작용하며 상기 볼(14)을 방사상 외부방향으로 압력을 가한다.
상기 볼케이지(15)는 중간부(30)를 통하여 상기 작동부(7)에 견고히 연결된다. 도4의 예시에서 상기 중간부(30)는 압입조립(press-fit)을 통하여 상기 볼케이지(15)에 연결된다. 추가적으로 스냅조립(snap-fit) 연결이 상기 중간부(30)와 상기 작동부(7)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볼케이지(15), 상기 중간부(30) 및 상기 작동부(7) 사이의 견고한 기계적 연결은 또한 다른 방법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볼케이지(15) 및 상기 중간부(30)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나아가 또 다른 예로써, 상기 볼케이지(15), 상기 중간부(30) 및 상기 작동부(7)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작동부(7)를 화살표(31)로 표시한 것과 같이 상부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볼케이지(15)는 상기 대응부재(25)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기 코일스프링(27)에 의해 가해지는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움직인다.
상기 잠금핀(13)을 잠금슬리브(19) 안으로 삽입할 때, 상기 볼(14)은 상기 잠금슬리브(19)의 벽면에 의하여 방사상 내부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고, 상기 볼케이지(15)는 상기 코일스프링(27)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상부방향으로 밀려난다. 그러므로, 상기 잠금핀(13)을 잠금슬리브(19) 안쪽으로 삽입하기 위하여, 상기 작동부(7)를 작동시킬 필요가 없는 것이다. 상기 잠금핀(13)을 상기 잠금슬리브(19) 안으로 삽입할 때 상기 작동부(7)를 누른다고 하여 결합과정이 방해받지 않는다. 그래서 사용자가 결합과정에서 상기 작동부(7)를 눌렀다고 해도, 상기 연결플러그(1)와 상기 2연결부(2)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플러그(12)는 나아가 상기 2연결부(2)에 상기 연결플러그(1)를 밀폐시키기 위해 O형링(32) 및 상기 제1하우징부(10)에 상기 작동부(7)를 밀폐시키기 위하여 구성된 O형링(33)을 구성한다.
도5는 상기 2연결부(2)의 단면을 나타낸다. 상기 2연결부(2)는 하우징부(34)를 구성한다. 상기 연결체면(18) 중심에 상기 잠금슬리브(19)가 위치한다. 상기 잠금슬리브(19)는 상기 볼(14)을 위한 대응걸림부재로써 역할을 하는 원주연홈부(35)를 구성한다. 상기 원주연홈부(35)는 제2경사접근면(36)을 구성한다. 상기 잠금(13)을 상기 잠금슬리브(19) 안에 삽입할 때, 상기 볼(14)은 상기 원주연홈부(35)와 맞물린다.
상기 잠금슬리브(19) 내부에 O형링(37)이 위치한다. 상기 잠금핀(13)을 상기 잠금슬리브(19) 안에 삽입할 때, 상기 O형링(37)은 상기 잠금핀(13) 및 상기 잠금슬리브(19) 사이를 밀폐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환형접촉부재(20)는 상기 걸림부재(19)에 동심원상으로 배치된다. 인접한 환형접촉부재(20) 사이에, 환형의 절연층(38)이 배치되어 인접한 환형접촉부재(20)간의 전기적 절연을 제공한다. 상기 환형접촉부재(20)는 상기 2연결부(2)의 상기 연결체면(18)까지 연장되고 상기 연결플러그(1)의 상기 접촉핀(17)과 복수의 전기접촉을 이루기 위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환형접촉부재(20)는 상기 잠금슬리브(19) 주변에 동심원상으로 배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체면(18)은 상기 환형접촉부재(20) 및 환형의 절연층(38)에 의해 형성된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고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체면(18)이 오목한 표면이나 깔때기 모양의 표면으로써 구현된다. 그리하여, 상기 연결플러그(1)가 상기 2연결부(2)와 결합할 때, 상기 잠금핀(13)이 상기 연결체면(18)의 오목한 표면을 따라 미끄러져 들어갈 수 있게 되어 상기 잠금슬리브(19)로 유도된다. 상기 2연결부(2)의 후면단부에 복수의 연결핀(21)이 위치하고, 상기 연결핀(21)은 상기 환형접촉부재(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주변환경으로부터 상기 환형접촉부재(20) 및 상기 환형의 절연층(38)을 밀봉차단하기 위하여, 주조복합체(39)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2연결부(2)는 나아가 하우징부(34)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하여 구성된 최소한 하나 이상의 차폐접촉부재를 구성한다.
도6은 상기 연결플러그(1) 및 상기 2연결부(2)가 결합한 후의 상기 연결플러그(1) 및 상기 2연결부(2)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상기 잠금핀(13)은 상기 잠금슬리브(19) 안쪽으로 삽입되며, 상기 볼(14)은 방사상 외부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상기 원주연홈부(35)와 맞물린다. 특히, 상기 볼(14)은 상기 대응부재(25)의 제1경사접근면(26)과 상기 원주연홈부(35)의 제2경사접근면 사이에 폐쇄되고 고정된다.
상기 볼(14)은 걸릴 뿐만 아니라 상기 대응부재(25) 및 상기 원주연홈부(35) 사이에서 잠기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잠금핀(13)은 상기 잠금슬리브(19)로부터 잡아뺄 수 없다. 상기 잠금핀(13)에 힘을 가할 때, 상기 잠금핀(13)에 견고히 밀착된 상기 대응부재(25)는 상기 볼(14)에 대항하여 압력을 받으나, 상기 제1경사접근면(26)에 의해 가해진 이 힘은 상기 볼(14)이 방사상 내부방향으로 어떤 움직임을 갖게 하지는 않는다. 실제로, 상기 제2경사접근면(36)과 축방향(3)
의 각도가 축방향(3)에 대한 상기 제1경사접근면(26)의 각도보다 크거나 같기 때문에, 상기 제1경사접근면(26) 및 상기 제2경사접근면(36)에 의하여 상기 볼(14)에 가해지는 힘은 상기 볼(14)이 상기 제1경사접근면(36)을 따라 방사상 내부방향으로 움직이게 할 수 있는 어떠한 요소도 구성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볼(14)은 상기 제2경사접근면(36)과 상기 제1경사접근면26) 사이에서 폐쇄되며 상기 볼(14)과 상기 원주연홈부(35)의 결합은 잠기게 된다.
이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화살표(31)로 표시된 방향으로 링부(8)를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작동부(7)를 작동시켜야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볼케이지(15)는 상기 코일스프링(27)에 의해 가해진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상기 대응부재(25)로부터 이격된다. 상기 볼(14)은 상기 제2경사접근면(36)에 의하여 방사상 내부방향으로 유도된다.
따라서, 상기 볼(14)과 상기 원주연홈부(35)의 결합이 해제되고, 상기 잠금핀(13)은 상기 잠금슬리브(19)로부터 당겨 빼내지며, 상기 연결플러그(1)와 상기 2연결부(2)의 연결이 해제된다.
상기 두 연결부의 연결을 해제하려면, 상기 작동부(7)를 결합방향(28)의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겨야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잠금핀(13)의 잠금 메커니즘은 상기 연결플러그(1) 및 상기 2연결부(2)간의 안전하고 믿을만한 기계적 연결을 보장한다.
도7에서 나타난 다른 실시예에서 볼(41)은 볼케이지(42)에 의하여 지지되며 대응부재(43)와 상호작용한다. 도7에 나타난 상기 대응부재(43)는 실린더형걸림부재(44) 및 제3경사접근면(45)을 구성한다. 잠금핀을 잠금슬리브 안으로 삽입할 때, 상기 볼(41)은 상기 실린더형걸림부재(44)에 인접하기 때문에 방사상 내부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잠금핀을 상기 잠금슬리브 안으로 삽입할 때, 상기 볼(41) 및 상기 볼케이지(42)는 화살표(46)에 표시한대로 코일스프링의 스프링력을 거슬러 대응부재(43)에 대하여 밀어넣어진다. 상기 볼(41)은 상기 제3경사접근면(45)에 닿는 순간 방사상 내부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잠금핀은 상기 잠금슬리브 안쪽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볼(41)은 상기 잠금슬리브의 대응걸림부재에 도달할 때 상기 대응걸림부재와 맞물리고 방사상 외부방향으로 움직인다. 상기 볼(41)이 상기 대응걸림부재와 맞물리는 순간, 상기 볼(41)을 갖는 상기 볼케이지(42)는 화살표(47)에 표시한대로 원래 위치로 돌아간다. 그러면 상기 볼(41)은 상기 실린더형잠금면(44)에 의하여 결합상태로 잠기게 된다. 잠금을 풀기 위해서는 상기 작동부(7)를 작동시켜야 한다. 상기 작동부(7)를 작동시키면, 상기 볼(41)을 갖는 상기 볼케이지(42)는 화살표(46) 방향으로 움직인다. 상기 볼(41)이 상기 제3경사접근면(45)에 닿는 순간, 상기 볼(41)은 상기 대응걸림부재와의 결합이 해제되고 상기 잠금핀은 상기 잠금슬리브로부터 잡아 뺄 수 있다.
도8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플러그가 보여진다. 도8은 상기 연결플러그(48)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상기 연결플러그(48)는 제1하우징부(49), 제2하우징부(50) 및 절연체(51)로 구성되며, 상기 절연체(51)에 접촉핀(52) 및 잠금핀(53)이 부착된다. 상기 잠금핀(53)은 내부슬리브(54), 코일스프링(55) 및 상기 잠금핀에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 작동부(56)를 구성하며, 상기 작동부(56)는 주로(predominantly) 축방향으로 연장된 두 개의 작동암(57)을 갖는다. 상기 잠금핀(53)은 나아가 리프스프링(58)을 구성하며, 바람직하게는 U자형 또는 Ω(오메가)자형인 상기 리프스프링(58)은 상기 잠금핀(53)이 2연결부의 잠금슬리브에 삽입될 때 대응되는 대응걸림부재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돌출부(59)를 구성한다. 상기 잠금핀(53)은 나아가 전면부(60)와 덮개부재(61)를 구성한다.
상기 연결플러그(48)는 2연결부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2연결부는 중심에 잠금슬리브를 구성하고 상기 잠금슬리브 주변에 배치된 복수의 각이 있는 접촉부재를 구성한다. 상기 잠금슬리브는 상기 리프스프링(58)의 상기 돌출부(59)를 위한 대응걸림부재로써 역할을 하는 원주연홈부를 구성한다. 상기 잠금슬리브에 상기 잠금핀(53)을 밀어넣을 때, 걸림부재에 해당하는 상기 리프스프링(58)의 상기 돌출부(59)는 방사상 외부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압력이 가해지며, 따라서 상기 원주연홈부와 맞물리게 된다. 상기 잠금핀(53)에 힘을 가하여 상기 잠금핀(53)이 상기 원주연홈부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59) 및 상기 원주연홈부는 성형되고 구성된다. 특히, 상기 잠금슬리브의 상기 원주연홈부는 경사접근면을 구성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작동부(56)를 작동하지 않으면 상기 연결플러그(48)와 그에 대응되는 2연결부를 분리할 수 없다.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작동부(56)를 작동시켜야하며, 이는 상기 작동부(56)를 축방향으로 잡아당겨야한다.
상기 작동부(56)는 상기 코일스프링(55)에 의하여 발생하는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움직인다. 상기 작동암(57)은 상기 U자형 또는 Ω(오메가)자형 리프스프링(58)의 다리들과 상호작용하고 상기 돌출부(59)를 방사상 내부방향으로 잡아당긴다. 결과적으로, 상기 돌출부(59)는 상기 원주연홈부와 분리되며, 상기 잠금핀(53)은 상기 잠금슬리브로부터 잡아 빼내어진다.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한 특징들, 청구항 및 도면들은 어떠한 조합으로도 본 발명과 연관이 있을 수 있다.
1, 48: 연결플러그 2: 2연결부 3: 축방향
4: 케이블인출부 5: 케이블 6: 고정링
7,56: 작동부재 8: 링부
9, 31, 46, 47: 화살표 10, 49: 제1하우징부
11, 50: 제2하우징부 12, 18: 연결체면
13: 잠금핀 14, 41: 볼 15, 42: 볼케이지
16: 덮개 17, 52: 접촉핀 19: 잠금슬리브
20: 환형접촉부재 21: 연결핀 22: 회로판넬
23: 와이어스트랜드 24,39: 주조복합체 25,43: 대응부재
26: 제1경사접근면 27,55: 코일스프링 28: 결합방향
29: 내부슬리브 30: 중간부 32, 33, 37: O형링
34: 하우징부 35: 원주연홈부 36: 제2경사접근면
38: 환형의 절연층 40: 차폐접촉부재 44: 원기둥잠금면
45: 제3경사접근면 51: 절연체 53: 잠금핀
54: 내부슬리브 57: 작동암 58: 리프스피링
59: 돌출부 60: 전면부 61: 덮개부재

Claims (16)

  1. 최소한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 및 대응부재를 구성하고 연결플러그의 연결체면에 배열된 잠금핀을 구성하되,
    여기서 최소한 하나 이상의 상기 걸림부재는 2연결부의 최소한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에 맞물리도록 구성되되,
    상기 잠금핀은 최소한 하나 이상의 상기 걸림부재 및 상기 대응부재 서로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된 스프링부재를 구성하고,
    여기서 최소 하나 이상의 상기 걸림부재가 최소 하나 이상의 상기 대응걸림부재와 결합되는 순간, 하나 이상의 상기 걸림부재를 방사상 외부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고, 하나 이상의 상기 걸림부재를 결합위치에서 확실히(positively) 잠글 수 있도록 상기 대응부재가 성형되고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플러그.
  2. 제1항에 있어서, 최소 하나 이상의 상기 걸림부재 및 최소 하나 이상의 상기 대응걸림부재 사이의 결합을 해제하도록 작동부를 더 구성하여 작동하되, 최소 하나 이상의 상기 걸림부재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플러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연결플러그의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플러그.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를 작동시키면 최소 하나 이상의 상기 걸림부재 및 상기 대응부재 사이에서 상기 축방향으로 연관된 움직임이 발생하도록 상기 작동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플러그.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핀은 최소 하나 이상의 상기 걸림부재를 파지하도록 구성된 홀더부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플러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재는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와 함께 상기 잠금핀의 외부 또는 상기 잠금핀의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배열되고, 여기서 상기 대응부재는 상기 잠금핀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플러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부재에 대하여 상기 홀더부재를 움직임으로써 최소 하나 이상의 상기 걸림부재의 결합위치에서 최소 하나 이상의 상기 걸림부재가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잠금핀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플러그.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재는 최소 하나 이상의 볼을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볼케이지(ball cage)로써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플러그.
  9.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플러그는 각이 있는 연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플러그.
  10.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를 갖는 잠금핀,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를 파지하는 홀더부재 및 대응부를 구성하되,
    여기서 최소 하나 이상의 상기 걸림부재는 2연결부의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와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대응부재는 결합위치에서 최소 하나 이상의 상기 걸림부재를 확실히(positively) 잠글 수 있도록 성형되고 구성되되,
    상기 홀더부재는 최소 하나 이상의 상기 걸림부재와 함께 상기 잠금핀의 외부 또는 상기 잠금핀의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배열되고, 상기 대응부재는 상기 잠금핀에 고정되며,
    상기 홀더부재를 움직임으로써 최소 하나 이상의 상기 걸림부재의 결합위치에서 최소 하나 이상의 상기 걸림부재가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잠금핀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플러그.
  11. 연결플러 및 2연결부를 구성하되,
    여기서 상기 연결플러그는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를 갖는 잠금핀, 나아가 상기 잠금핀 외부 또는 상기 잠금핀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배열된 작동부, 및 상기 잠금핀 주변에 배치된 최소 하나 이상의 제1접촉부재를 구성하며,
    여기서, 상기 2연결부는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를 갖는 잠금슬리브를 구성하고, 상기 잠금슬리브는 상기 연결플러그가 상기 2연결부와 결합될 때 상기 잠금핀을 수용하도록 구성하며,
    여기서, 최소 하나 이상의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잠금슬리브의 최소 하나 이상의 상기 대응걸림부재와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나아가 상기 2연결부는 최소 하나 이상의 상기 제1접촉부재와의 전기적 접촉을 위해 구성된 최소 하나 이상의 제2접촉부재를 구성하며,
    여기서 최소 하나 이상의 상기 걸림부재가 최소 하나 이상의 상기 대응걸림부재와 결합되는 순간, 하나 이상의 상기 걸림부재를 확실히(positively) 잠글 수 있도록 상기 잠금핀) 및 상기 잠금슬리브가 성형되고 구성되며,
    최소 하나 이상의 상기 걸림부재의 해제는 작동부의 작동이 필요하도록 상기 잠금핀및 상기 잠금슬리브를 성형하고 구성하되,
    상기 잠금핀은 상기 작동부를 작동하지 않고 상기 잠금슬리브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연결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핀은 나아가 대응부재 및 최소한 하나 이상의 상기 걸림부재와 상기 대응부재가 서로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된 스프링부재를 구성하고,
    여기서 최소 하나 이상의 상기 걸림부재가 최소 하나 이상의 상기 대응걸림부재와 결합되는 순간, 최소 하나 이상의 상기 걸림부재를 방사상 외부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고 최소 하나 이상의 상기 걸림부재를 결합위치에서 확실히 잠글 수 있도록 상기 대응부재가 성형되고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연결체.
  13. 제11항에 있어서, 최소 하나 이상의 상기 걸림부재는 최소 하나 이상의 탄력있는 걸림부재 또는 스프링력이 미리 축적된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로써 구현되고 최소 하나 이상의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잠금핀의 방사상 외부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작동부를 작동시키면 최소 하나 이상의 상기 걸림부재의 최소한 일부분들이 방사상 내부방향으로 움직이고 최소 하나 이상의 상기 대응걸림부재로부터 해제되도록 최소 하나 이상의 상기 걸림부재와 상호작용하도록 상기 작동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연결체.
  14. 연결플러그 및 2연결부를 구성하되,
    여기서 상기 연결플러그는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 및 대응부재를 갖는 잠금핀을 구성하고
    여기서 상기 2연결부는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를 갖는 잠금슬리브를 구성하고 상기 잠금슬리브는 상기 연결플러그가 상기 2연결부와 결합할 때 상기 잠금핀을 수용하기 위하여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2연결부의 최소 하나 이상의 상기 대응걸림부재와 결합하도록 최소 하나 이상의 상기 걸림부재를 구성하고, 여기서 결합위치에서 최소 하나 이상의 상기 걸림부재를 확실히 잠글 수 있도록 상기 대응부재는 성형되고 구성되되,
    최소 하나 이상의 상기 걸림부재의 결합위치에서 최소 하나 이상의 상기 대응걸림부재 및 상기 대응부재에 의해 최소 하나 이상의 상기 걸림부재에 가해진 힘은 최소 하나 이상의 상기 걸림부재를 방사상 내부 방향으로 움직이는 데 적합한 힘의 성분은 포함하지 않도록 최소 하나 이상의 상기 대응걸림부재 및 상기 대응부재를 성형하고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연결체.
  15. 연결플러그 및 2연결부를 구성하되,
    여기서 상기 연결플러그는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 및 대응부재를 갖는 잠금핀을 구성하며,나아가 상기 연결플러그는 최소 하나 이상의 제1접촉부재를 구성하고,
    여기서, 상기 2연결부는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를 갖는 잠금슬리브를 구성하고, 상기 잠금슬리브는 상기 연결플러그가 상기 2연결부와 결합될 때 상기 잠금핀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는 상기 잠금슬리브의 최소 하나 이상의 상기 대응걸림부재와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나아가 상기 2연결부는 최소 하나 이상의 상기 제1접촉부재와의 전기적 접촉을 위해 구성된 최소 하나 이상의 환형접촉부재를 구성하되,
    상기 연결플러그는 각이 있는 연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연결체.
  16. 연결플러그 및 2연결부를 구성하되,
    여기서 상기 연결플러그는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를 갖는 잠금핀을 구성하며,
    나아가 상기 연결플러그는 상기 잠금핀 주변에 배치된 최소 하나 이상의 제1접촉부재 및 상기 잠금핀의 외부 또는 상기 잠금핀의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되는 작동부를 구성하고,
    여기서, 상기 2연결부는 최소 하나 이상의 대응걸림부재를 갖는 잠금슬리브를 구성하고, 상기 잠금슬리브는 상기 연결플러그가 상기 2연결부와 결합할 때 상기 잠금핀을 수용하도록 구성하며,
    여기서, 최소 하나 이상의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잠금슬리브의 최소 하나 이상의 상기 대응걸림부재와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최소 하나 이상의 상기 걸림부재가 하나 이상의 상기 대응걸림부재와 맞물리는 순간 최소 하나 이상의 상기 걸림부재가 확실히(positively) 잠길 수 있도록 최소 하나 이상의 상기 걸림부재 및 최소 하나 이상의 상기 대응걸림부재가 성형되고 구성되며,
    나아가 상기 2연결부는 최소 하나 이상의 제1연결부재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하여 최소 하나 이상의 제2연결부재를 구성하되,
    최소 하나 이상의 상기 걸림부재는 최소 하나 이상의 탄력있는 걸림부재 또는 스프링력이 미리 축적된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로써 구현되고 최소 하나 이상의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잠금핀의 방사상 외부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압력을 받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작동부재를 작동시키면 최소 하나 이상의 상기 걸림부재의 최소한 일부분들이 방사상 내부방향으로 움직이고 최소 하나 이상의 상기 대응걸림부재로부터 해제되게끔 최소 하나 이상의 상기 걸림부재와 상호작용하도록 상기 작동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연결체.
KR1020200111643A 2019-09-06 2020-09-02 잠금 메커니즘을 갖는 플러그인 연결체 KR1025198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196039.2 2019-09-06
EP19196039.2A EP3789235A1 (en) 2019-09-06 2019-09-06 Plug-in connector with a locking mechanis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205A true KR20210030205A (ko) 2021-03-17
KR102519890B1 KR102519890B1 (ko) 2023-04-10

Family

ID=67875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1643A KR102519890B1 (ko) 2019-09-06 2020-09-02 잠금 메커니즘을 갖는 플러그인 연결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611175B2 (ko)
EP (1) EP3789235A1 (ko)
JP (1) JP7220181B2 (ko)
KR (1) KR102519890B1 (ko)
CN (1) CN112563820B (ko)
IL (1) IL276054A (ko)
RU (1) RU2745555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90231A (ja) * 2020-05-27 2021-12-13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装置
US11677194B2 (en) * 2020-10-09 2023-06-13 Te Connectivity Solutions Gmbh Quick disconnect electrical connector with circular contacts
US11721934B2 (en) * 2021-12-23 2023-08-0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Hidden power and data connectors for accessories
CN114865358B (zh) * 2022-07-07 2022-10-04 四川华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大电流旋转线连接器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7421Y2 (ja) * 1979-01-20 1985-11-07 金次 飛田 物品クランプ装置
WO2000016442A2 (en) 1998-09-16 2000-03-23 Safety Quick Light Ltd. A plug and socket combination
US20050148241A1 (en) * 2001-05-31 2005-07-07 Ran Kohen Quick connect device for electrical fixtures
US20130210258A1 (en) * 2010-05-20 2013-08-15 Thales Lockable Connector
US8764473B2 (en) 2010-04-22 2014-07-01 Canare Electric Co., Ltd. Ball-lock connector
DE102016105975A1 (de) 2016-04-01 2017-10-05 Harting Ag & Co. Kg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Steckverbinder
US20180323556A1 (en) 2015-10-27 2018-11-08 Fischer Connectors Holding Sa Multipolar Connector
JP7192303B2 (ja) 2018-08-17 2022-12-20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7779A (en) * 1975-10-16 1977-09-13 Afco Products Incorporated Antenna couplings
JPS55105586A (en) 1978-12-28 1980-08-13 Masao Kamio Value of inverse operation
SU1001253A1 (ru) * 1980-10-24 1983-02-28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Проектно-Конструкторский И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Тяжелого Электромашиностроения Завода "Электротяжмаш" Им.В.И.Ленина Электрический соединитель штепсельного типа
US5129836A (en) * 1991-06-24 1992-07-14 Ursich Nels E Self-locking female receptor for electrical cord
US20050220425A1 (en) * 2004-03-31 2005-10-06 Jorg-Reinhard Kropp Optoelectronic arrangement
RU2508581C1 (ru) * 2012-07-18 2014-02-27 Российская Федерация, от имени которой выступает 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корпорация по атомной энергии "Росатом" Электрический соединитель
WO2015146394A1 (ja) 2014-03-25 2015-10-01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Sb-Te基合金焼結体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
DE102014109351B3 (de) * 2014-07-04 2015-07-30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Steckverbinder mit Schutzleiterbrücke
DE102014214704A1 (de) * 2014-07-25 2016-01-28 Siemens Aktiengesellschaft Kippbare Kopfspule
DE202015001505U1 (de) * 2015-02-26 2015-03-12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Spielfreie Steckverbindung mit CPA
EP3211727B1 (en) * 2016-02-26 2019-06-26 ODU GmbH & Co KG. Plug-in connector with latching element and methods for connecting and disconnecting
US10074936B2 (en) * 2016-07-01 2018-09-11 Kaizheng Dong Secure locking sockets
JP6411002B1 (ja) * 2018-03-26 2018-10-24 カナレ電気株式会社 誤離脱防止機構を備えたボールロック式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7421Y2 (ja) * 1979-01-20 1985-11-07 金次 飛田 物品クランプ装置
WO2000016442A2 (en) 1998-09-16 2000-03-23 Safety Quick Light Ltd. A plug and socket combination
US20050148241A1 (en) * 2001-05-31 2005-07-07 Ran Kohen Quick connect device for electrical fixtures
US8764473B2 (en) 2010-04-22 2014-07-01 Canare Electric Co., Ltd. Ball-lock connector
US20130210258A1 (en) * 2010-05-20 2013-08-15 Thales Lockable Connector
US20180323556A1 (en) 2015-10-27 2018-11-08 Fischer Connectors Holding Sa Multipolar Connector
DE102016105975A1 (de) 2016-04-01 2017-10-05 Harting Ag & Co. Kg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Steckverbinder
JP7192303B2 (ja) 2018-08-17 2022-12-20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745555C1 (ru) 2021-03-29
US11611175B2 (en) 2023-03-21
US20210075157A1 (en) 2021-03-11
KR102519890B1 (ko) 2023-04-10
JP2021048124A (ja) 2021-03-25
IL276054A (en) 2021-03-25
CN112563820B (zh) 2022-07-19
EP3789235A1 (en) 2021-03-10
JP7220181B2 (ja) 2023-02-09
CN112563820A (zh) 2021-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30205A (ko) 잠금 메커니즘을 갖는 플러그인 연결체
KR102071000B1 (ko) 포크-인 와이어 컨택트를 갖는 전기 커넥터
RU2719347C2 (ru) Многополюсный соединитель
US10148047B2 (en) Guided coaxial connector
KR101809013B1 (ko) 회전가능한 플러그형 커넥터
JPS6323629B2 (ko)
US3525973A (en) Electrical connectors
KR101701587B1 (ko) 플러그 커넥터의 절연 바디
US9692179B2 (en) Plug connector assembly
US20190181588A1 (en) Connector device and coaxial connector
EP3540868B1 (en) Locking electrical receptacle
JP6875599B2 (ja) 係止要素を備えた電気コネクタ部品
CN107342487B (zh) 连接器组件、插头连接器和插座连接器
CN202094415U (zh) 插头连接器和连接器组件
JP3215384U (ja) 保護接地端子付きピンソケットコネクタ部材
US11824304B2 (en) Electrical connector
JP2019079621A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CN110829130B (zh) 电源转接组件
KR20130078183A (ko) 커넥터
CA2828624C (en) System of plug connectors fixed on mounting rails
JP2006073396A (ja) 多接点コネクタ
CN110943346B (zh) 插座结构、电源接头及该电源接头的插拔连接方法
JP2014049273A (ja) プッシュオン同軸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