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0156A - 비상용품보관함의 설치를 위한 가드레일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비상용품보관함의 설치를 위한 가드레일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0156A
KR20210030156A KR1020190111754A KR20190111754A KR20210030156A KR 20210030156 A KR20210030156 A KR 20210030156A KR 1020190111754 A KR1020190111754 A KR 1020190111754A KR 20190111754 A KR20190111754 A KR 20190111754A KR 20210030156 A KR20210030156 A KR 20210030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x
guard rail
height adjustment
emergency supplies
supplies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1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8781B1 (ko
Inventor
정세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강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강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강테크
Priority to KR1020190111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8781B1/ko
Publication of KR20210030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8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8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reposition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용품보관함의 설치를 위한 가드레일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운행과 보행자의 통행에 방해되지 않도록 가드레일 상에 비상용품보관함의 거치가 가능하도록 하며 가드레일의 높이에 맞추어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설치되되, 가드레일의 전후방으로 비상용품보관함이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비상용품보관함의 내부에 수용된 물품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하는 비상용품보관함의 설치를 위한 가드레일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상용품보관함의 설치를 위한 가드레일용 거치대{Disposition table for installing a Emergency items storage box for guardrail}
본 발명은 비상용품보관함의 설치를 위한 가드레일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운행과 보행자의 통행에 방해되지 않도록 가드레일 상에 비상용품보관함의 거치가 가능하도록 하며 가드레일의 높이에 맞추어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설치되되, 가드레일의 전후방으로 비상용품보관함이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비상용품보관함의 내부에 수용된 물품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하는 비상용품보관함의 설치를 위한 가드레일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도로에는 겨울철 눈이 내리거나 기온이 하강하여 노면이 결빙되면 운행하는 차량의 미끄럼에 의해 사고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비상시를 대비하여 도로변에 제설제인 염화칼슘 포대 또는 모래 포대를 적재하여 둔다.
종래의 제설제는 포대에 담겨진 상태로 도로변에 노상적재되었으나, 폭설시 위치파악이 곤란하므로 박스형태의 구조물을 도로변에 설치하여 그 내부에 적층 보관한다.
한편, 도로에서 발생될 수 있는 차량 고장, 사고, 화재 등에 대비하여 비상 시 도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비상용품을 보관하는 박스형태의 구조물을 도로, 터널, 휴게소 등의 바닥에 비치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박스형태의 구조물이 도로변에 방치될 경우, 차량운행에 방해가 될 수 있으며, 유실의 우려도 있다. 또한, 협소한 도로의 도로변에 박스형태의 구조물을 설치할 경우, 차량이나 사람의 통행에 지장을 주는 불편함이 있으며, 사고의 위험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제10-0570844호는 가드레일에 디귿자 형태로 절곡되는 프레임 파이프를 거치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프레임을 보강하기 위한 복수의 보강 파이프,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와이어에 의해 결합되는 커버, 프레임의 저면에 염화칼슘이 적재되는 바닥패널, 상기 프레임의 앵커에 결합되는 고정앵커를 포함하여 가드레일에 거치되며 내부에 염화칼슘이 적재되는 교량용 제설함을 공지한 바 있으나, 가드레일의 크기에 따라 프레임을 조절할 수 없으며, 염화칼슘이 적재되는 공간은 좌우가 개방되어 장기간 보관 시 염화칼슘과 같은 제설제가 오염되거나 훼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는 도로를 향하여 설치되므로 차량이 가드레일에 부딪히는 사고 시 제설함에 먼저 부딪쳐 제설함이 파손될 가능성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8752호는 제1 내지 제3고정부를 포함하여 가드레일의 후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안정된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의 제설제 보관함 설치를 위한 가드레일용 거치대를 공지한 바 있으나, 판상의 거치프레임에 올려진 제설제 보관함은 소정의 체적을 가질 뿐만 아니라 가드레일용 거치대에 의해 가드레일 후면에 배치되므로 설치되는 위치상 제설제 보관함 내부에 물품을 집어넣거나 내부 보관된 물품을 꺼내기 위하여 작업자(혹은 이용자)가 상체를 숙이거나 허리를 구부리는 등의 자세를 취해야 하는 불편함을 야기할 수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70844호(2006.04.06.)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8752호(2013.08.26.)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운행과 보행자의 통행에 방해되지 않도록 가드레일 상에 비상용품보관함의 거치가 가능하도록 하며, 가드레일의 높이에 맞추어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설치되는 비상용품보관함의 설치를 위한 가드레일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드레일의 전후방으로 비상용품보관함이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비상용품보관함의 내부에 수용된 물품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하는 비상용품보관함의 설치를 위한 가드레일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비상용품을 보관하는 공간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일단에 외측에서 내부 투시가 가능한 투명창이 형성된 개폐부가 개폐가능하게 힌지결합된 비상용품보관함의 설치를 위한 가드레일용 거치대에 있어서, 길이방향 일단에 소정의 각도로 절곡 연장되어 가드레일 상단에 걸 수 있도록 형성된 상부걸이부를 구비하고, 상면에서 하면까지 관통된 'ㄷ'자 형상의 경로안내홀이 형성되며, 상기 비상용품보관함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비상용품보관함을 수평으로 지지하는 수평부재; 원통형상을 가지며, 상단부가 상기 몸체부 외측 하면에 함몰형성된 결합홈에 끼움결합되고,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깊이로 함입형성된 안내홈이 상기 경로안내홀에 결합되어 상기 경로안내홀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재; 상기 수평부재 길이방향 일측에서 하방으로 수직 연장되어 상기 수평부재를 수직으로 지지하며, 하단부에 수직으로 돌출 연장된 상부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결합부 중앙부에 제1높이조절홀이 관통 형성된 수직부재; 일단은 상기 수평부재 하면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수직부재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수평부재와 상기 수직부재를 지지하는 사선부재; 상기 상부결합부 하측에 배치되며, 중앙부에 제2높이조절홀이 관통형성된 하부결합부와 상기 하부결합부 일단에서 하방으로 연장형성된 하부수직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수직부 하단에 소정의 각도로 절곡 연장된 하부걸이부에 의해 가드레일 하단에 걸 수 있도록 형성된 하부거치부재; 및 상기 상부결합부와 상기 하부결합부를 상호 체결하며, 상기 상부걸이부와 상기 하부걸이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하는 비상용품보관함의 설치를 위한 가드레일용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제1높이조절홀과 상기 제2높이조절홀을 관통하는 체결볼트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결합부 하측에서 상기 체결볼트와 나사결합되는 너트를 구비하며, 상기 체결볼트와 결합된 상기 너트의 위치에 따라 상기 상부걸이부와 상기 하부걸이부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1높이조절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높이조절홀에 결합되며, 탄성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걸이부와 상기 하부걸이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상기 수직부재 일측에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피니언기어와, 하단부는 상기 제2높이조절홀에 삽입고정되고 상단부는 상기 제1높이조절홀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결합부 상측에서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되는 랙기어를 구비하며,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랙기어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랙기어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랙기어와 결합된 상기 하부거치부재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상부걸이부와 상기 하부걸이부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상부걸이부 및 상기 하부걸이부는, 만곡된 형상을 가지되, 상기 상부걸이부 끝단에는 상기 수직부재를 향해 돌출형성된 제1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걸이부 끝단에는 상기 하부수직부를 향해 돌출 형성된 제2돌출부가 형성되어 가드레일의 일면을 밀착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 운행과 보행자의 통행에 방해되지 않도록 가드레일 상에 비상용품보관함의 거치가 가능하도록 하며, 가드레일의 높이에 맞추어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설치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드레일의 전후방으로 비상용품보관함이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이용자가 비상용품보관함의 내부에 수용된 물품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상용품보관함의 설치를 위한 가드레일용 거치대가 가드레일 상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상용품보관함의 설치를 위한 가드레일용 거치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상용품보관함의 설치를 위한 가드레일용 거치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상용품보관함의 설치를 위한 가드레일용 거치대의 높이를 조절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상용품보관함의 설치를 위한 가드레일용 거치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비상용품보관함의 설치를 위한 가드레일용 거치대의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상용품보관함의 설치를 위한 가드레일용 거치대가 가드레일 상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상용품보관함의 설치를 위한 가드레일용 거치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상용품보관함의 설치를 위한 가드레일용 거치대(100)는 상측에 비상용품보관함(200)이 거치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비상용품보관함(200)이 도로의 폭에 상관없이 차량 또는 보행자의 통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가드레일(300)의 후면에 설치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비상용품보관함(200)은 내부에 비상용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 것으로, 몸체부(210)과 개폐부(220)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210)는 염화칼슘, 모래, 소금 등의 제설제 또는 소화기, 마스크, 삽 등의 비상시 사용할 수 있는 비상용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면이 개방된 것 상자형상을 가지며, 상기 개폐부(220)는 상기 몸체부(210)의 개방된 일측면에 힌지결합되며 일방향으로 상기 몸체부(210)의 개방된 부분을 개폐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220)는 중앙부에 투명창(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투명창(미도시)을 통해 상기 개폐부(220)를 개방하지 않고도 외측에서 내부를 투시하여 비상용품의 보관 여부 및 보관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어 쉽게 비상용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비상용품보관함(200)의 관리가 용이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가드레일용 거치대(100)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가드레일용 거치대(100)는 크게 수평부재(110), 이동부재(120), 수직부재(130), 사선부재(140), 하부거치부재(150) 및 높이조절부재(160)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부재(110)는 상기 가드레일용 거치대(100)의 상단을 이루는 것으로, 상기 비상용품보관함(200)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비상용품보관함(200)을 수평으로 지지한다.
이때, 상기 수평부재(11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막대 형상 혹은 'L'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L'자 형상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수평부재(110)는 길이방향 일단에 상기 가드레일(300) 상단에 걸수 있도록 상부걸이부(111)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걸이부(111)는 상기 수평부재(110)의 길이방향 일단에서 소정의 각도로 절곡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가드레일(300)에 용이하게 거치되도록 만곡된 형상을 가지며, 끝단에는 상기 수평부재(110)를 향해 돌출된 제1돌출부(111a)가 형성되어 상기 가드레일(300)의 전면에 밀착지지함으로써, 상기 가드레일용 거치대(100)가 상기 가드레일(300)에 보다 단단히 거치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가드레일용 거치대(100)에 의해 상기 비상용품보관함(200)이 상기 가드레일(300) 후측에만 고정 배치된다면, 상기 비상용품보관함(200) 내부에 물품을 집어넣거나 내부 보관된 물품을 꺼내기 위하여 작업자(혹은 이용자)가 상체를 숙이거나 허리를 구부리는 등의 자세를 취해야 하는 불편함을 야기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가드레일용 거치대(100)가 설치되는 위치상의 제약으로 인해 발생되는 불편함을 최소화하고자 상기 비상용품보관함(200)의 이동이 불가피하며, 이를 위하여 상기 수평부재(110)는 상면에서 하면까지 관통된 'ㄷ'자 형상의 경로안내홀(112) 복수 개가 형성되며, 상기 경로안내홀(112) 상에는 상기 이동부재(120)가 각각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부재(120)은 원통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단부가 상기 비상용품보관함(200)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경로안내홀(112)의 형상을 따라 상기 비상용품보관함(200)이 상기 가드레일용 거치대(100)의 전방 혹은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부재(120)가 원통형상을 가지되,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깊이로 함입형성된 안내홈(121)가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121)이 상기 경로안내홀(112)의 내주연과 결합되어 상기 이동부재(120)가 상기 경로안내홀(112)의 형상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이동부재(120) 상단부가 상기 몸체부(210)의 외측 하면에 결합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210) 외측 하면에 함몰형성된 결합홈(미도시)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이동부재(120)가 상기 경로안내홀(112)의 형상을 따라 이동하면, 상기 비상용품보관함(200)이 상기 이동부재(120)에 의해 상기 가드레일용 거치대(100)의 전방 혹은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비상용품보관함(200)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가드레일용 거치대(100)의 전방 혹은 후방을 향하여 밀거나 잡아당기면, 상기 비상용품보관함(200)에 결합된 상기 이동부재(120)가 상기 경로안내홀(112)의 형상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경로안내홀(112)이 'ㄷ'자 형상을 가지므로, 상기 경로안내홀(112) 중 상기 가드레일용 거치대(100)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부위를 따라 상기 이동부재(120)가 이동하면 상기 비상용품보관함(200)이 상기 가드레일용 거치대(100)의 전방 혹은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부재(120)가 상기 경로안내홀(112)의 길이방향 양단에 절곡된 부위에 위치하면 상기 비상용품보관함(200)이 상기 가드레일(300)의 전측 혹은 후측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평소에는 상기 비상용품보관함(200)이 차량 또는 보행자의 통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가드레일(300)의 후측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비상용품보관함(200) 내에 수용된 물품을 꺼낼 경우에만, 상기 비상용품보관함(200)을 전방을 향해 이동시켜 상기 비상용품보관함(200)의 내부에 수용된 물품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이동부재(120)는 상기 비상용품보관함(200)과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몸체부(210) 하면 및 상기 이동부재(120)의 상면 중앙부를 관통하여 상호체결하는 체결부재(미도시)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수직부재(130)은 상기 수평부재(110)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평부재(110)을 수직으로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직부재(130)는 상기 상부걸이부(111)에 인접한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수평부재(110)을 수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가드레일(300) 후면을 밀착지지하며, 이때, 평철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수직부재(130) 일측에는 관통 형성된 수직부재홀(13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직부재홀(132)은 상기 가드레일용 거치대(100)가 상기 가드레일(300)에 설치 시, 보다 안정적으로 거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체결부재(미도시)를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수직부재홀(132)에 삽입된 상기 체결부재(미도시)는 상기 수직부재(130)와 상기 가드레일(300)을 체결하여 상기 가드레일용 거치대(100)가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가드레일(300)에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나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수직부재(130) 하단부에는 수직되게 돌출 연장된 상부결합부(131)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결합부(131) 일측에는 제1높이조절홀(131a)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수직부재(130)는 평판으로 형성되되, 상기 수평부재(110)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높이조절홀(131a)는 상기 높이조절부재(160)가 삽입되도록 마련된 것으로 상기 가드레일(300)의 높이에 따라 상기 가드레일용 거치대(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사선부재(140)는 일단이 상기 수평부재(110) 하면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수직부재(130)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수평부재(110) 및 상기 수직부재(130)를 지지한다.
상기 사선부재(140)는 소정의 폭을 가지는 평판 혹은 'L'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L'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거치부재(150)은 상기 가드레일용 거치대(100)의 하단부가 상기 가드레일(300)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하부결합부(151), 하부수직부(152) 및 하부걸이부(153)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결합부(151)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결합부(131)의 하측에 배치되되, 상기 상부결합부(131)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상부결합부(131) 중앙부에는 상기 제1높이조절홀(131a)에 삽입된 상기 높이조절부재(160)의 타측이 삽입되는 제2높이조절홀(151a)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가드레일(300)의 높이에 따라 상기 가드레일용 거치대(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부결합부(151) 일단에는 상기 하부수직부(152)가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수직부(152)가 상기 하부결합부(151) 일단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수직부재(130)와 동일한 가상의 평면상에 위치한다.
상기 하부수직부(152) 하단에는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상방으로 절곡되게 연장되어 상기 하부걸이부(153)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걸이부(153)는 상기 가드레일(300) 하단에 고정이 용이하도록 만곡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부걸이부(153)는 끝단에서 돌출 형성된 제2돌출부(153a)를 포함한다.
상기 제2돌출부(153a)는 상기 제2돌출부(152)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가드레일(300)의 전면에 밀착지지함으로써, 상기 가드레일용 거치대(100)가 상기 가드레일(300)에 보다 단단히 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높이조절부재(160)는 상기 상부걸이부(111)와 상기 하부걸이부(153)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가드레일용 거치대(10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결합부(131)와 상기 하부결합부(151)를 연결시킨다.
즉, 상기 높이조절부재(160)는 상기 상부결합부(131)와 상기 하부결합부(151)를 연결하여 상기 가드레일용 거치대(100)가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가드레일용 거치대(100)가 상기 가드레일(300)의 높이에 상관없이 설치 가능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상용품보관함의 설치를 위한 가드레일용 거치대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상용품보관함의 설치를 위한 가드레일용 거치대의 높이를 조절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높이조절부재(160)는 체결볼트(161)과 너트(16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체결볼트(161)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통상의 볼트로, 상기 체결볼트(161)의 상부인 볼트의 머리는 관통되지 않고 상기 상부결합부(131)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제1높이조절홀(131a)과 상기 제2높이조절홀(151a)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상부결합부(131)와 상기 하부결합부(151)를 연결시킨다.
또한, 상기 너트(162)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통상의 너트로, 상기 하부결합부(151) 하측에서 상기 체결볼트(161)와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볼트(161)와 결합된 상기 너트(162)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상부결합부(131)와 상기 하부결합부(151)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상부걸이부(111)와 상기 하부걸이부(153)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체결볼트(161)와 결합된 상기 너트(162)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가드레일(300)의 높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가드레일용 거치대(100)의 높이를 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상용품보관함의 설치를 위한 가드레일용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가드레일용 거치대(100)는 상기 높이조절부재(160)가 스프링(163)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프링(163)은 통상적인 인장스프링으로, 상기 스프링(163)은 일단이 상기 상부결합부(131)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결합부(151)에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163)에 탄성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결합부(131)와 상기 하부결합부(151)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프링(163)의 일단이 상기 제1높이조절홀(131a)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높이조절홀(151a)에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163)의 탄성에 의해 상기 상부걸이부(111)와 상기 하부걸이부(153) 사이의 간격이 조절됨으로써 상기 가드레일(300)의 높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가드레일용 거치대(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비상용품보관함의 설치를 위한 가드레일용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가드레일용 거치대(100)는 상기 높이조절부재(160)가 피니언기어(164)와 랙기어(165)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니언기어(164)는 상기 수직부재(130)의 일측에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부재(130) 일면에서 상기 상부결합부(131)와 인접한 부위에 설치된다.
반면, 상기 랙기어(165)는 하단부가 상기 제2높이조절홀(151a)에 삽입고정되고, 상단부는 상기 제1높이조절홀(131a)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결합부(131) 상측에 노출되어 상기 피니언기어(164)와 치합된다.
따라서, 상기 피니언기어(164)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랙기어(165)가 상하방향로 이동하며, 이를 통해 상기 랙기어(165)와 결합된 하부거치부재(150)는 상기 랙기어(165)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랙기어(165)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랙기어(165)와 결합된 하부거치부재(150)가 이동하며, 상기 하부거치부재(150)가 이동함으로써 상기 상부걸이부(111)와 상기 하부걸이부(153)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어 상기 가드레일(300)의 높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가드레일용 거치대(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10 : 수평부재
111 : 상부걸이부
111a : 제1돌출부
112 : 경로안내홀
120 : 이동부재
121 : 안내홈
130 : 수직부재
131 : 상부결합부
131a : 제1높이조절홀
132 : 수직부재홀
140 : 사선부재
151 : 하부결합부
151a : 제2높이조절홀
152 : 하부수직부
153 : 하부걸이부
153a : 제2돌출부
160 : 높이조절부재
161 : 체결볼트
162 : 너트
163 : 스프링
164 : 스퍼기어
165 : 랙기어

Claims (5)

  1. 내부에 비상용품을 보관하는 공간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일단에 개폐가능하게 힌지결합된 개폐부를 구비하는 비상용품보관함의 설치를 위한 가드레일용 거치대에 있어서,
    길이방향 일단에 소정의 각도로 절곡 연장되어 가드레일 상단에 걸 수 있도록 형성된 상부걸이부를 구비하고, 상면에서 하면까지 관통된 'ㄷ'자 형상의 경로안내홀이 형성되며, 상기 비상용품보관함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비상용품보관함을 수평으로 지지하는 수평부재;
    원통형상을 가지며, 상단부가 상기 몸체부 외측 하면에 함몰형성된 결합홈에 끼움결합되고,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깊이로 함입형성된 안내홈이 상기 경로안내홀에 결합되어 상기 경로안내홀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재;
    상기 수평부재 길이방향 일측에서 하방으로 수직 연장되어 상기 수평부재를 수직으로 지지하며, 하단부에 수직으로 돌출 연장된 상부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결합부 중앙부에 제1높이조절홀이 관통 형성된 수직부재;
    일단은 상기 수평부재 하면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수직부재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수평부재와 상기 수직부재를 지지하는 사선부재;
    상기 상부결합부 하측에 배치되며, 중앙부에 제2높이조절홀이 관통형성된 하부결합부와 상기 하부결합부 일단에서 하방으로 연장형성된 하부수직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수직부 하단에 소정의 각도로 절곡 연장된 하부걸이부에 의해 가드레일 하단에 걸 수 있도록 형성된 하부거치부재; 및
    상기 상부결합부와 상기 하부결합부를 상호 체결하며, 상기 상부걸이부와 상기 하부걸이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하는 비상용품보관함의 설치를 위한 가드레일용 거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제1높이조절홀과 상기 제2높이조절홀을 관통하는 체결볼트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결합부 하측에서 상기 체결볼트와 나사결합되는 너트를 구비하며,
    상기 체결볼트와 결합된 상기 너트의 위치에 따라 상기 상부걸이부와 상기 하부걸이부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품보관함의 설치를 위한 가드레일용 거치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1높이조절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높이조절홀에 결합되며, 탄성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걸이부와 상기 하부걸이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품보관함의 설치를 위한 가드레일용 거치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상기 수직부재 일측에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피니언기어와, 하단부는 상기 제2높이조절홀에 삽입고정되고 상단부는 상기 제1높이조절홀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결합부 상측에서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되는 랙기어를 구비하며,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랙기어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랙기어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랙기어와 결합된 상기 하부거치부재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상부걸이부와 상기 하부걸이부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품보관함의 설치를 위한 가드레일용 거치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걸이부 및 상기 하부걸이부는, 만곡된 형상을 가지되, 상기 상부걸이부 끝단에는 상기 수직부재를 향해 돌출형성된 제1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걸이부 끝단에는 상기 하부수직부를 향해 돌출 형성된 제2돌출부가 형성되어 가드레일의 일면을 밀착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품보관함의 설치를 위한 가드레일용 거치대.
KR1020190111754A 2019-09-09 2019-09-09 비상용품보관함의 설치를 위한 가드레일용 거치대 KR102278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754A KR102278781B1 (ko) 2019-09-09 2019-09-09 비상용품보관함의 설치를 위한 가드레일용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754A KR102278781B1 (ko) 2019-09-09 2019-09-09 비상용품보관함의 설치를 위한 가드레일용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156A true KR20210030156A (ko) 2021-03-17
KR102278781B1 KR102278781B1 (ko) 2021-07-19

Family

ID=75245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1754A KR102278781B1 (ko) 2019-09-09 2019-09-09 비상용품보관함의 설치를 위한 가드레일용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878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4071U (ko) * 1987-07-17 1989-01-24
JPH06180005A (ja) * 1992-12-14 1994-06-28 Kanagawa Koji Raito Kk 道路標識の仮設装置
JP3105506U (ja) * 2004-04-26 2004-11-18 三ツ星ベルト株式会社 引張りスプリングとこれを用いたクランプの開閉機構
KR100570844B1 (ko) 2005-12-23 2006-04-18 (주)진영이엔씨 교량용 제설함
KR200468752Y1 (ko) 2013-04-08 2013-09-02 최진환 제설제 보관함 설치를 위한 가드레일용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5506B2 (ja) * 1989-02-13 2000-11-06 日本ケーブル・システム株式会社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の導管およびその製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4071U (ko) * 1987-07-17 1989-01-24
JPH06180005A (ja) * 1992-12-14 1994-06-28 Kanagawa Koji Raito Kk 道路標識の仮設装置
JP3105506U (ja) * 2004-04-26 2004-11-18 三ツ星ベルト株式会社 引張りスプリングとこれを用いたクランプの開閉機構
KR100570844B1 (ko) 2005-12-23 2006-04-18 (주)진영이엔씨 교량용 제설함
KR200468752Y1 (ko) 2013-04-08 2013-09-02 최진환 제설제 보관함 설치를 위한 가드레일용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8781B1 (ko) 2021-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9380B2 (en) Modular locker structure
US10660303B2 (en) Unique twelve-different-application umbrella system, having pivotable pole receiver systems, rotatable pole-receiver-locking adjustor system, curved-surface adaptor systems, trailer-hitch adaptor system, and spiral-shovel spike system
US20070108243A1 (en) Vehicle roof rack end support
JP6734118B2 (ja) 消火栓装置、消火器箱
US20060197419A1 (en) Overhead storage device
US10070757B2 (en) Shower enclosure door system
AU774585B2 (en) Workstation and spring-assisted door therefor
JP5788756B2 (ja) レール運搬用トロ
US20120298678A1 (en) Vehicle modular storage system
KR20210030156A (ko) 비상용품보관함의 설치를 위한 가드레일용 거치대
US5603183A (en) Window security device
KR102108042B1 (ko) 가드레일에 거치 가능한 비상용품보관함
JP2014202037A (ja) 車両用非常梯子
JP5415244B2 (ja) 作業車
US20120299338A1 (en) Vehicle jump seat and storage system
CN204511129U (zh) 合金挂体装配的吊趟门滑轮和推拉门体
JP6335593B2 (ja) 非常解除型開放ストッパー装置付引戸装置
JP3940231B2 (ja) 曲面ドアトイレのドア非常開放装置
KR100485694B1 (ko) 문화재 전시용 조감형 밀폐 진열장
JP6083511B2 (ja) 引掛装置
JP3729338B2 (ja) リニアモータ駆動式の引き戸装置
JP2011131763A (ja) フリークライミング車両
JP4390198B2 (ja) 建設機械におけるバンダリズムガードの収納構造
KR200418429Y1 (ko) 차량용 열쇠 보관 장치
CN204627246U (zh) 吊趟门上吊挂滑轮限位器和推拉门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