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8042B1 - 가드레일에 거치 가능한 비상용품보관함 - Google Patents

가드레일에 거치 가능한 비상용품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8042B1
KR102108042B1 KR1020190054150A KR20190054150A KR102108042B1 KR 102108042 B1 KR102108042 B1 KR 102108042B1 KR 1020190054150 A KR1020190054150 A KR 1020190054150A KR 20190054150 A KR20190054150 A KR 20190054150A KR 102108042 B1 KR102108042 B1 KR 102108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x
guard rail
emergency
height adjustment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세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강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강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강테크
Priority to KR1020190054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80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8/00Hand tool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fire-fighting, e.g. tool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reposition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에 거치 가능한 비상용품보관함은 비상용품보관함이 설치되는 거치대가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가드레일 상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고 가드레일로부터 이탈하지 않으며 가드레일의 높이에 따라 거치대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에 거치 가능한 비상용품보관함은 가드레일의 후면에 설치되어 차량의 운행이나 보행자의 보행을 방해하지 않으며 가드레일에 거치되는 상부거치대 및 하부거치대가 돌출부를 포함하여 가드레일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하여 가드레일의 높이에 따라 높이 조절 가능하다.

Description

가드레일에 거치 가능한 비상용품보관함{Emergency items storage box mounted on the guard rail}
본 발명은 가드레일에 거치 가능한 비상용품보관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상용품보관함이 설치되는 거치대가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가드레일 상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고 가드레일로부터 이탈하지 않으며 가드레일의 높이에 따라 거치대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가드레일에 거치 가능한 비상용품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도로에는 겨울철 눈이 내리거나 기온이 하강하여 노면이 결빙되면 운행하는 차량의 미끄럼에 의해 사고를 유발하며, 비상시를 대비하여 도로변 요소요소에 제설제인 염화칼슘 포대 또는 모래 포대를 적재하여 둔다.
종래의 제설제는 포대에 담겨진 상태로 도로변에 노상적재하면 폭설시 위치파악이 곤란하므로 박스형태의 구조물을 도로변에 설치하여 그 내부에 적층 보관하였다.
전술한 박스형태의 구조물은 도로변에 방치될 경우, 차량운행에 방해가 될 수 있고, 유실의 우려도 있다. 또한, 협소한 도로의 도로변에 제설함을 설치할 경우 차량이나 사람의 통행에 지장을 주기 때문에 사고의 위험이 있었다.
또한, 도로에서 발생될 수 있는 차량 고장, 사고, 화재 등에 대비하여 비상 시 도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비상용품을 보관하는 비상용품 보관함을 도로, 터널, 휴게소 등의 바닥에 비치하였다. 이러한 비상용품 보관함도 제설함과 마찬가지로 차량이나 사람의 통행에 지장을 주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70844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교량용 제설함에 대해 게제하였으며, 이는 가드레일에 디귿자 형태로 절곡되는 프레임 파이프를 거치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프레임을 보강하기 위한 복수의 보강 파이프,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와이어에 의해 결합되는 커버, 프레임의 저면에 염화칼슘이 적재되는 바닥패널, 상기 프레임의 앵커에 결합되는 고정앵커를 포함하여 가드레일에 거치되며 내부에 염화칼슘이 적재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 종래특허에 게제된 교량용 제설함은 가드레일의 크기에 따라 프레임을 조절할 수 없으며, 염화칼슘이 적재되는 공간은 좌우가 개방되어 장기간 보관 시 염화칼슘과 같은 제설제가 오염되거나 훼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는 도로를 향하여 설치되므로 차량이 가드레일에 부딪히는 사고 시 제설함에 먼저 부딪쳐 제설함이 파손될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70844호 (2006.04.06.)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운행과 보행자의 통행에 방해되지 않고, 가드레일에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설치되는 가드레일에 거치 가능한 비상용품보관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가드레일에 따라 높이 조절 가능하여 가드레일의 후면에서 가드레일의 높이에 맞추어 견고하게 설치되는 가드레일에 거치 가능한 비상용품보관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비상용품보관함의 내부를 쉽게 확인하여 관리 및 사용이 용이한 가드레일에 거치 가능한 비상용품보관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에 거치 가능한 비상용품 보관함은 내부에 비상용품을 보관하는 공간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개폐 가능하며 외부에서 내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창을 구비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비상용품보관함; 상면에 상기 비상용품보관함이 설치되는 상부수평부재와, 상기 상부수평부재의 일단에서 상기 상부수평부재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상부수직부재와, 상기 상부수직부재의 일단에서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게 연장 형성된 상부걸이부재와, 상기 상부수직부재의 타단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고 일측에 제1높이조절홀이 타공 형성된 상부결합부재와, 양단이 상기 상부수직부재와 상기 상부수평부재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상부수직부재를 지지하는 상부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가드레일의 상부에 거치되는 상부거치대; 가드레일의 축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하부수직부재와, 상기 하부수직부재의 상단에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하부걸이부재와, 상기 하부수직부재의 하단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고 일측에 제2높이조절홀이 형성된 하부결합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가드레일의 하부에 거치되는 하부거치대; 및 상기 상부거치대와 상기 하부거치대를 체결하고 상기 상부거치대와 상기 하부거치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거치대, 상기 하부거치대, 상기 높이조절부재를 결합하여 하나의 거치대를 형성하며 다수개의 상기 거치대가 가드레일에 일정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비상용품보관함을 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체결용 볼트와 너트이며, 나사결합에 의해 상기 상부거치대와 상기 하부거치대를 체결하며 상기 상부거치대와 상기 하부거치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스프링이며, 상기 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상부결합부재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결합부재에 결합되며, 탄성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거치대와 상기 하부거치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랙과 피니언이며, 상기 피니언은 상기 상부수직부재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랙은 상기 제2높이조절홀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피니언을 회전함에 따라 상기 피니언에 맞물린 상기 랙이 상하 이동하고, 상기 하부거치대가 상기 랙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상부거치대와 상기 하부거치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상부걸이부재 및 상기 하부걸이부재는 만곡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부수직부재 또는 상기 하부수직부재를 향해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각각 포함하여 상기 가드레일에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에 거치 가능한 비상용품보관함은 가드레일의 후면에 설치되어 차량의 운행이나 보행자의 보행을 방해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에 거치 가능한 비상용품보관함은 가드레일의 후면에 설치되어 차량이 가드레일에 부딪히는 사고 발생 시, 비상용품보관함에 먼저 부딪히지 않으며 비상용품보관함이 파손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에 거치 가능한 비상용품보관함은 가드레일에 거치되는 상부거치대 및 하부거치대가 돌출부를 포함하여 가드레일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에 거치 가능한 비상용품보관함은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하여 가드레일의 높이에 따라 높이 조절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에 거치 가능한 비상용품보관함은 거치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가드레일의 높이에 상관없이 설치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에 거치 가능한 비상용품보관함은 투명창을 구비하여 외부에서 비상용품보관함 내부를 확인하여 비상용품보관함을 용이하게 관리 할 수 있으며 사용이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에 거치 가능한 비상용품보관함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에 거치 가능한 비상용품보관함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에 거치 가능한 비상용품보관함의 거치대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에 거치 가능한 비상용품보관함의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에 거치 가능한 비상용품보관함의 거치대의 높이를 조절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재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재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에 거치 가능한 비상용품보관함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에 거치 가능한 비상용품보관함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에 거치 가능한 비상용품보관함은 비상용품보관함(100)과 거치대로 대분된다. 상기 비상용품보관함(100)은 내부에 비상용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거치대는 상부거치대(200), 하부거치대(300), 높이조절부재(400)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거치대는 다수개가 가드레일의 후면에 거치되며, 상기 상부거치대(200)의 상면에 상기 비상용품보관함(100)이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에 거치 가능한 비상용품보관함은 좁은 도로에도 설치될 수 있으며 차량 또는 보행자의 통행을 방해하지 않고, 가드레일의 후면에 설치되어 차량이 가드레일에 부딪히는 사고 발생시 상기 비상용품보관함에 먼저 부딪히지 않아, 가드레일의 전면에 비상용품보관함이 설치된 경우에 비하여 상기 비상용품보관함이 깨지는 경우를 감소할 수 있다.
상기 비상용품보관함(100)은 개폐부(110)와 몸체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120)는 염화칼슘, 모래, 소금 등의 제설제 또는 소화기, 마스크, 삽 등의 비상시 사용할 수 있는 비상용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면이 개방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상용품보관함(100)은 사각형의 외형을 가지며 상면, 전면, 후면 중 1면이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부(110)는 상기 몸체부(120)의 개방된 일측면에 힌지결합되며 일방향으로 여닫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개폐부(110)는 상기 몸체부(120)의 상면, 전면, 후면 중 개방되는 1면에 일측이 힌지결합되어 외부에서 일방향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개폐부(110)는 도로를 향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가 가드레일을 넘지 않아도 도로에 서서 상기 개폐부(110)를 개폐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부(110)는 중앙부에 투명창(111)을 포함하며, 상기 투명창(111)을 통해 상기 개폐부(110)를 개방하지 않아도 내부에 비상용품의 보관 여부 및 보관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비상용품이 필요한 상황에 상기 투명창(111)을 통해 외부에서 상기 비상용품보관함(100) 내의 비상용품의 구비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쉽게 비상용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비상용품의 보관 상태 및 비상용품 외의 이물질이 보관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비상용품보관함의 관리가 용이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에 거치 가능한 비상용품보관함의 거치대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에 거치 가능한 비상용품보관함은 상부거치대(200), 하부거치대(300), 높이조절부재(40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거치대(200)는 가드레일의 상부에 거치되는 것으로, 상부수평부재(210)와, 상부지지부재(220)와, 상부수직부재(240)와, 상부걸이부재(230)와, 상부결합부재(25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수평부재(210)는 L자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상부수평부재(210)의 일측에는 타공 형성된 두 개의 상부수평부재홀(211, 212)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수평부재홀(211, 212)은 일정 간격을 가지고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상부수평부재홀(211, 212)은 상기 비상용품보관함(100)과 상기 상부거치대(200)를 체결하기 위해 체결부재(미도시)가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체결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비상용품보관함(100)을 상기 상부거치대(200)에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상부수직부재(240)는 상기 상부수평부재(210)의 일단에서 상기 상부수직부재(240)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것이며, 평철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상부수직부재(240)는 일측에 타공 형성된 상부수직부재홀(241)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수직부재홀(241)은 상기 상부거치대(200)가 가드레일에 거치 시 보다 안정적으로 거치되기 위해 체결부재(미도시)를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체결부재(미도시)는 상기 상부거치대(200)와 상기 가드레일을 체결하여 상기 상부거치대(200)가 보다 안정적으로 가드레일에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나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상부걸이부재(230)는 상기 상부수직부재(240)의 일단에서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하방으로 절곡되게 연장 형성되어 가드레일에 거치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걸이부재(230)는 가드레일에 거치되기 용이하도록 만곡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부걸이부재(230)는 끝단에서 돌출 형성된 돌출부(231)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돌출부(231)는 상기 상부걸이부재(230)의 끝단에서 상기 상부수직부재(240)를 향해 돌출되는 것으로 가드레일에 보다 단단히 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부결합부재(250)는 상기 상부수직부재(240)의 타단에서 상기 상부결합부재(250)에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고 일측에 제1높이조절홀(251)이 타공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결합부재(250)는 평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수평부재(210)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높이조절홀(216)에 상기 높이조절부재(230)가 삽입되어 상기 상부거치대(210)와 상기 하부거치대(22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며 가드레일의 높이에 따라 전체적인 상기 거치대의 높이를 조절한다.
상기 상부지지부재(220)는 양단이 상기 상부수직부재(240)와 상기 상부 수평부재(210)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상부수직부재(240)를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상부지지부재(212)는 L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하부거치대(300)는 가드레일의 하부에 거치되는 것으로 하부걸이부재(330)와, 하부수직부재(320)와, 하부결합부재(310)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수직부재(320)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축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수직부재(320)의 상단에는 상기 하부결합부재(310)가 연장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기 하부걸이부재(330)가 연장 형성된다.
상기 하부결합부재(310)는 상기 하부수직부재(320)의 상단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상부결합부재(215)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결합부재(310)의 일측에는 제2높이조절홀(311)이 형성되며, 상기 제2높이조절홀(311)에 상기 높이조절부재(400)가 삽입되어 상기 상부거치대(200)와 결합하고 가드레일의 높이에 따라 상기 거치대의 전체적인 높이를 조절한다.
상기 하부걸이부재(330)는 상기 하부수직부재(320)의 하단에서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상방으로 절곡되게 연장 형성되어 가드레일에 거치되는 것이다. 상기 하부걸이부재(330)는 가드레일에 거치되기 용이하도록 만곡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부걸이부재(330)는 끝단에서 돌출 형성된 돌출부(331)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돌출부(331)는 상기 하부걸이부재(330)의 끝단에서 상기 하부수직부재(320)를 향해 돌출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거치대(300)가 가드레일에 보다 단단히 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에 거치 가능한 비상용품보관함은 가드레일에 거치되는 상부거치대 및 하부거치대가 돌출부를 포함하여 가드레일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높이조절부재(400)는 상기 상부거치대(200)와 상기 하부거치대(300)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전체적인 거치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며, 상기 상부거치대(200)와 상기 하부거치대(300)를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 높이조절부재(400)는 제1높이조절체(410)와 제2높이조절체(420)를 포함하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용 볼트와 너트이다. 상기 제1높이조절체(410)가 볼트이면 상기 제2높이조절체(420)는 너트이고 상기 제1높이조절체가 너트이면 상기 제2높이조절체(420)는 볼트이다.
도 3에는 상기 제1높이조절체(410)가 볼트이고 상기 제2높이조절체(420)가 너트인 것을 도시하였으며,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1높이조절체(410)의 하부인 볼트의 스크류가 상기 상부거치대(200)의 상기 제1높이조절홀(251)에 관통되고, 상기 제1높이조절체(410)의 상부인 볼트의 머리는 관통되지 않으며, 상기 상부결합부재(250)의 상면에 안착된다. 또한, 상기 제1높이조절홀(251)을 관통한 상기 제1높이조절체(410)의 하부가 상기 하부거치대(300)의 상기 제2높이조절홀(311)에 관통되며, 상기 하부결합부재(310)의 하면에서 상기 제2높이조절체(420)가 상기 제1높이조절체(410)와 나사 결합된다.
상기 상부거치대(200)와 상기 하부거치대(300)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여도 이에 맞추어 상기 제1높이조절체(410)와 상기 제2높이조절체(420)를 체결하여 전체적인 거치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에 거치 가능한 비상용품보관함의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부재(400)가 상부거치대(200)와 하부거치대(300)를 체결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높이조절부재(400)에 의해 상기 상부거치대(200)와 상기 하부거치대(300)의 간격을 조절하여 전체적인 거치대의 높이를 조절한 후 상기 높이조절부재(400)를 체결하여 상기 상부거치대(200)와 상기 하부거치대(300)를 결합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에 거치 가능한 비상용품보관함의 거치대의 높이를 조절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부결합부재(250)의 하면과 하부결합부재(310)의 상면이 맞닿도록 하여 상기 상부거치대(200)와 상기 하부거치대(300) 사이의 간격을 없애 거치대의 전체적인 높이를 줄인 것이다. 상기 상부결합부재(250)의 제1높이조절홀(251)과 상기 하부결합부재(310)의 제2높이조절홀(311)에 제1높이조절체(410)를 관통하여 상기 제1높이조절체(410)와 제2높이조절체(420)를 체결함으로써 상부거치대(200)와 하부거치대(300)를 결합한다.
도 3 내지 도 5에서는 상기 높이조절부재(400)가 체결용 볼트 및 너트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재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재는 스프링(430)이며, 상기 스프링(430)은 통상적인 인장스프링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430)은 일단이 상기 상부결합부재(250)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결합부재(310)에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430)에 탄성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거치대(200)와 상기 하부거치대(3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거치대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재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재는 랙(440)과 피니언(450)이며, 상기 피니언(450)을 회전함에 따라 상기 랙(440)이 상하 이동하여 거치대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이다.
상기 피니언(450)은 상기 상부수직부재(240)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랙(440)은 일측이 제2높이조절홀(311)의 일측에 결합되어 제2높이조절홀(311)과 제1높이조절홀(251)에 관통된다.
상기 피니언(450)을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랙(440)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움직이며, 상기 랙(440)에 결합된 상기 하부거치대(300)가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인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에 거치 가능한 비상용품보관함은 거치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가드레일의 높이에 상관없이 설치 가능한 것이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비상용품보관함
110 : 개폐부
111 : 투명창
120 : 몸체부
200 : 상부거치대
210 : 상부수평부재
211 : 상부수평부재홀
212 : 상부수평부재홀
220 : 상부지지부재
230 : 상부걸이부재
231 : 돌출부
240 : 상부수직부재
241 : 상부수직부재홀
250 : 상부결합부재
251 : 제1높이조절홀
300 : 하부거치대
310 : 하부결합부재
311 : 제2높이조절홀
320 : 하부수직부재
330 : 하부걸이부재
331 : 돌출부
400 : 높이조절부재
410 : 제1높이조절체
420 : 제2높이조절체
430 : 스프링
440 : 랙
450 : 피니언

Claims (5)

  1. 가드레일에 거치 가능한 비상용품 보관함에 있어서,
    내부에 비상용품을 보관하는 공간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개폐 가능하며 외부에서 내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창을 구비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비상용품보관함;
    상면에 상기 비상용품보관함이 설치되는 상부수평부재와, 상기 상부수평부재의 일단에서 상기 상부수평부재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상부수직부재와, 상기 상부수직부재의 일단에서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게 연장 형성된 상부걸이부재와, 상기 상부수직부재의 타단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고 일측에 제1높이조절홀이 타공 형성된 상부결합부재와, 양단이 상기 상부수직부재와 상기 상부수평부재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상부수직부재를 지지하는 상부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가드레일의 상부에 거치되는 상부거치대;
    가드레일의 축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하부수직부재와, 상기 하부수직부재의 상단에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하부걸이부재와, 상기 하부수직부재의 하단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고 일측에 제2높이조절홀이 형성된 하부결합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가드레일의 하부에 거치되는 하부거치대; 및
    상기 상부거치대와 상기 하부거치대를 체결하고 상기 상부거치대와 상기 하부거치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거치대, 상기 하부거치대, 상기 높이조절부재를 결합하여 하나의 거치대를 형성하며 다수개의 상기 거치대가 가드레일에 일정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비상용품보관함을 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스프링이며,
    상기 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상부결합부재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결합부재에 결합되며, 탄성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거치대와 상기 하부거치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상부걸이부재 및 상기 하부걸이부재는
    만곡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부수직부재 또는 상기 하부수직부재를 향해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각각 포함하여 상기 가드레일에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에 거치 가능한 비상용품 보관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체결용 볼트와 너트이며,
    나사결합에 의해 상기 상부거치대와 상기 하부거치대를 체결하며 상기 상부거치대와 상기 하부거치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에 거치 가능한 비상용품 보관함.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랙과 피니언이며,
    상기 피니언은 상기 상부수직부재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랙은 상기 제2높이조절홀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피니언을 회전함에 따라 상기 피니언에 맞물린 상기 랙이 상하 이동하고, 상기 하부거치대가 상기 랙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상부거치대와 상기 하부거치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에 거치 가능한 비상용품 보관함.
  5. 삭제
KR1020190054150A 2019-05-09 2019-05-09 가드레일에 거치 가능한 비상용품보관함 KR102108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150A KR102108042B1 (ko) 2019-05-09 2019-05-09 가드레일에 거치 가능한 비상용품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150A KR102108042B1 (ko) 2019-05-09 2019-05-09 가드레일에 거치 가능한 비상용품보관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8042B1 true KR102108042B1 (ko) 2020-05-07

Family

ID=70734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150A KR102108042B1 (ko) 2019-05-09 2019-05-09 가드레일에 거치 가능한 비상용품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804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278B1 (ko) * 2001-04-14 2003-09-19 (주)서경엔지니어링 모래주머니 적치대
KR100570844B1 (ko) 2005-12-23 2006-04-18 (주)진영이엔씨 교량용 제설함
KR100690155B1 (ko) * 2006-08-16 2007-03-08 도원철 가드레일용 빙방사 보관함
KR200446824Y1 (ko) * 2008-09-03 2009-12-03 주식회사 엔에이건설 접이식 모래함
KR200468752Y1 (ko) * 2013-04-08 2013-09-02 최진환 제설제 보관함 설치를 위한 가드레일용 거치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278B1 (ko) * 2001-04-14 2003-09-19 (주)서경엔지니어링 모래주머니 적치대
KR100570844B1 (ko) 2005-12-23 2006-04-18 (주)진영이엔씨 교량용 제설함
KR100690155B1 (ko) * 2006-08-16 2007-03-08 도원철 가드레일용 빙방사 보관함
KR200446824Y1 (ko) * 2008-09-03 2009-12-03 주식회사 엔에이건설 접이식 모래함
KR200468752Y1 (ko) * 2013-04-08 2013-09-02 최진환 제설제 보관함 설치를 위한 가드레일용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1434B2 (en) Traffic control device
US4241858A (en) Carrier accessory for vans
US9980593B2 (en) Mailbox, mailbox prot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5421428A (en) Ladder guard
US8210504B1 (en) Fence rail hanger bracket
US7937806B1 (en) Door safety device
US20140197290A1 (en) Bracket Assembly
US7507050B2 (en) Adjustable bollard
US8794505B1 (en) Mailbox guard and newspaper holding system
EP0104939A2 (en) Locking devices
US5400960A (en) Letter locker mailbox assembly
KR102108042B1 (ko) 가드레일에 거치 가능한 비상용품보관함
US20060236896A1 (en) Adjustable window shelf
KR100926257B1 (ko) 안전장치가 내장된 기능성 도로표지판
US6240681B1 (en) Parked vehicle protector
US20050061841A1 (en) Support Unit for Pickup Truck
US7980345B1 (en) Detachable footrest for a vehicle
KR200446824Y1 (ko) 접이식 모래함
US8485424B1 (en) Reversible security mailbox
US20120298678A1 (en) Vehicle modular storage system
US4286444A (en) Hand propelled yard machinery hang-lock device
US5879037A (en) Vehicle side panel dent preventer
US2936143A (en) Mailbox support
US5603183A (en) Window security device
US7500645B1 (en) Removable plaque frame for a lad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