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9083A - 적층시트 - Google Patents

적층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9083A
KR20210029083A KR1020200090102A KR20200090102A KR20210029083A KR 20210029083 A KR20210029083 A KR 20210029083A KR 1020200090102 A KR1020200090102 A KR 1020200090102A KR 20200090102 A KR20200090102 A KR 20200090102A KR 20210029083 A KR20210029083 A KR 20210029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po
laminated sheet
primer
lami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7535B1 (ko
Inventor
안정희
한형우
나종택
Original Assignee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029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9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7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7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4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N3/045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with polyolefin or polystyrene (co-)polym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18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two layers of different macromolecular materials
    • D06N3/183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two layers of different macromolecular materials the layers are one next to the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ynthetic Leather, Interior Materials Or Flexible Sheet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TPO(thermoplastic polyolefin elastomer) 기재층; 상기 TPO 기재층 상에 적층된 제1프라이머층; 상기 제1프라이머층 상에 적층된 인쇄층; 및 상기 인쇄층 상에 적층된 TPO 표면층; 을 포함한, 적층시트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적층시트{LAMINATED SHEET}
적층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TPO 기재층; 상기 TPO 기재층 상에 적층된 제1프라이머층; 상기 제1프라이머층 상에 적층된 인쇄층; 및 상기 인쇄층 상에 적층된 TPO 표면층; 을 포함한 적층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연가죽은 신발, 가방, 지갑, 각종 파우치, 소파, 의류 등의 제품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지만, 그 자원이 한정되어 수요를 충분히 충족시키지 못할 뿐만 아니라 각종 환경 문제와 유럽 등지에서 시작된 동물보호운동의 확산으로 수급이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그 대체품으로 표면에 각종 문양이 형성된 인조가죽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인조가죽(synthetic leather)은 통상 얇은 직물, 편성물 또는 부직포에 폴리우레탄(poly urethane: PU),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 vinyl chloride: PVC) 등의 합성 수지로 피막을 입혀 제조하며, 신발 외피나 벨트를 비롯하여 가방, 의류 등을 제작하기 위한 소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PVC는 halogen gas, phthalate, dioxin에 항상 노출되어 있으며, PU 또한 hydrogen cyanide, DMF, formaldehyde, MEK 등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특히, PVC 인조가죽은 화재시 염화수소 가스가 발생되어 인체에 해로우며, 더불어 VOC(volatile organic compounds)가 많이 발생되어 친환경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친환경적이고 리사이클 가능한 적층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량 소재로 유용한 적층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마모성, 내긁힘성, 내굴곡성, 복원성 및 내오염성이 우수한 적층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1. 일 측면에 따르면, 적층시트가 제공된다. 상기 적층시트는 TPO(thermoplastic polyolefin elastomer) 기재층; 상기 TPO 기재층 상에 적층된 제1프라이머층; 상기 제1프라이머층 상에 적층된 인쇄층; 및 상기 인쇄층 상에 적층된 TPO 표면층; 을 포함할 수 있다.
2. 상기 1에서, 상기 TPO 표면층은 KS K ISO 12947-2에 의거하여 마틴데일법에 따라 800gr 하중 조건 하에서 측정한 마모강도가 40,000회 이상일 수 있다.
3. 상기 1 또는 2에서, 상기 TPO 기재층과 상기 제1프라이머층이 직접(directly) 접촉되고, 상기 제1프라이머층과 상기 인쇄층이 직접 접촉될 수 있다.
4.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인쇄층과 상기 TPO 표면층 사이에 제2프라이머층 또는 접착제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5. 상기 4에서, 상기 인쇄층과 상기 제2프라이머층 또는 상기 접착제층이 직접 접촉되고, 상기 제2프라이머층 또는 상기 접착제층과 상기 TPO 표면층이 직접 접촉될 수 있다.
6.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TPO 표면층 상에 아크릴계 또는 우레탄계 표면보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7.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TPO 표면층 표면에 엠보싱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8.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TPO 기재층은 TPO 발포층일 수 있다.
9.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TPO 기재층 및 상기 TPO 표면층 중 적어도 하나는 핫멜트 접착성 수지, 충전제, 보강제, 윤활제, 열안정화제, 산화방지제, 슬립제, UV안정화제, 착색제 및 가공조제(processing aids)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10.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적층시트는 KS M ISO 17694에 의거하여 측정한 내굴곡도가 50,000회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친환경적이고 재활용 가능하며 경량 소재로 유용하고, 내마모성, 내긁힘성, 내굴곡성, 복원성 및 내오염성이 우수한 적층시트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적층시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적층시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명세서 중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 있다.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상부', '상면', '하부', '하면' 등과 같은 위치 관계는 도면을 기준으로 기재된 것일 뿐, 절대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즉, 관찰하는 위치에 따라, '상부'와 '하부' 또는 '상면'과 '하면'의 위치가 서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명세서 중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본 명세서에서 수치범위를 나타내는 "a 내지 b"에서 "내지"는 ≥a이고 ≤b으로 정의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적층시트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적층시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적층시트(100)는 TPO 기재층(110); TPO 기재층(110) 상에 적층된 제1프라이머층(120); 제1프라이머층(120) 상에 적층된 인쇄층(130); 및 인쇄층(130) 상에 적층된 TPO 표면층(140); 을 포함할 수 있다.
TPO 기재(base)층(110)은 열가소성 폴리올레핀(thermoplastic polyolefin: TPO)을 포함한 필름일 수 있다. TPO는 고무의 탄성과 플라스틱의 열가소성을 동시에 갖춘 친환경 소재로서 복원성, 충격흡수성, 가공성, 작업성, 유연성, 내오염성, 경량성, 리사이클성 등이 우수하여 적층시트 제조에 유리하다. TPO는 올레핀계 수지와 올레핀계 고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올레핀계 수지의 예로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을 들 수 있고, 올레핀계 고무의 예로는 에틸렌-프로필렌 모노머(EPM) 러버,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모노머(EPDM) 러버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PO는 제법에 따라 C-TPO(compound thermoplastic polyolefin)와 R-TPO(reactor thermoplastic polyolefin)로 구분될 수 있는데, C-TPO의 경우 단순한 물리적 결합을 통해 제조되고, R-TPO는 반응기 내에서 메탈로센(metallocene) 촉매 등을 이용한 중합반응을 통해 제조되며, TPO 기재층(110)에는 C-TPO, R-TPO 또는 이들 모두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PO 기재층(110)에는 PE 및/또는 PP와 EPM 및/또는 EPDM을 포함한 C-TPO 및/또는 R-TPO가 포함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TPO 기재층(110)은 TPO 발포층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적층시트의 질감이 더욱 부드러울 수 있다. TPO 발포층은 TPO 기재층 형성용 조성물에 발포제를 혼입하고 발포시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TPO 기재층(110)은 2개 이상의 TPO층이 적층된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적층시트의 물성을 제어하기 보다 용이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TPO 기재층(110)에는 TPO 외에도 본 발명의 목적을 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필요에 따라 핫멜트 접착성 수지, 충전제, 보강제, 윤활제, 열안정화제, 산화방지제, 슬립제, UV안정화제, 착색제, 가공조제(processing aids)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TPO 기재층(110) 총 중량 중 0.1 내지 30 중량%, 예를 들면 0.1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그 함량을 변경할 수 있다.
TPO 기재층(110)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요구되는 물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높은 소프트니스(softness)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두께는 얇으면서 경도는 낮게 할 필요가 있고, 반대로 높은 하드니스(hardness)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두께는 두꺼우면서 경도는 높게 할 필요가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TPO 기재층(110)의 두께는 10 내지 900㎛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에서 적층시트의 소프트니스와 하드니스의 제어가 용이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PO 기재층(110)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카렌더링 공정 또는 T-die 압출 공정 등을 통해 필름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TPO 기재층(110) 상에는 제1프라이머층(120)이 적층될 수 있다. 제1프라이머층(120)은 TPO 기재층(110)과 인쇄층(130) 사이의 부착력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통상 TPO는 비극성이기 때문에 TPO 기재층(110) 상에 인쇄물을 부착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인쇄물이 부착되더라도 외부 요인에 의해 쉽게 탈락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적층시트와 같이 TPO 기재층(110)과 인쇄층(130) 사이에 제1프라이머층(120)을 형성하는 경우 이러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제1프라이머층(120)은 극성을 갖는 화합물을 프라이머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프라이머층(120)은 염화 폴리올레핀계 프라이머 또는 폴리우레탄계 프라이머(예를 들면, 1액형 또는 2액형 폴리우레탄계 프라이머)를 포함할 수 있다. 염화 폴리올레핀계 프라이머의 예로는 염화 폴리프로필렌(chlorinated polypropylene: CPP) 프라이머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TPO 기재층(110)과 제1프라이머층(120)은 직접 접촉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직접 접촉'이란 TPO 기재층(110)과 제1프라이머층(120) 사이에 다른 층이 개재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제1프라이머층(120)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3 내지 100㎛일 수 있고, 상기 범위에서 TPO 기재층(110)과 인쇄층(130) 사이에 충분한 부착력이 제공될 수 있다.
제1프라이머층(120)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TPO 기재층(110) 상에 프라이머를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코팅 방법으로는 그라비아 코팅, 스프레이 코팅,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 등의 다양한 방법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제1프라이머층(120) 상에는 인쇄층(130)이 적층될 수 있다. 인쇄층(130)은 적층시트(100)에 무늬를 부여하여 적층시트의 외관을 최종 결정짓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인쇄층(130)은 아크릴계 또는 우레탄계 잉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아크릴계 또는 우레탄계 잉크의 극성으로 인해 염화 폴리올레핀계 프라이머 또는 폴리우레탄계 프라이머를 포함한 제1프라이머층(120)과의 접착력이 우수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제1프라이머층(120)과 인쇄층(130)은 직접 접촉되어 있을 수 있다.
인쇄층(130)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제1프라이머층(120) 상에 그라비아 방식, 실사(디지털 프린트) 방식, 전사 방식 등을 사용하여 인쇄물을 인쇄할 수 있으며, 요구되는 해상도, 인쇄 퀄리티 등에 따라 인쇄 방법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인쇄층(130) 상에는 TPO 표면층(140)이 적층될 수 있다. TPO 표면층(140)은 인쇄물을 보호하고, 투명도를 유지하여 시각적 품질을 높이고, 적층시트(100) 표면 내구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필요시 TPO 표면층(140)에는 칼라가 부여될 수도 있다.
TPO 표면층(140)은 TPO를 포함한 필름일 수 있다. TPO에 대한 설명은 TPO 기재층(110)에서의 TPO에 대한 설명을 참조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TPO 표면층(140)은 2개 이상의 TPO층이 적층된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서로 다른 물성의 TPO층을 적층함으로써(예를 들면, 특정 한층에는 발포층을 부여함으로써) 새로운 물성의 적층시트를 설계할 수 있어 적층시트의 물성을 제어하기 보다 용이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TPO 표면층(140)에는 TPO 외에도 본 발명의 목적을 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필요에 따라 핫멜트 접착성 수지, 충전제, 보강제, 윤활제, 열안정화제, 산화방지제, UV안정화제, 착색제, 가공조제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TPO 표면층(140) 총 중량 중 0.1 내지 30 중량%, 예를 들면 0.1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그 함량을 변경할 수 있다.
TPO 표면층(140)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요구되는 물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높은 소프트니스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두께는 얇으면서 경도는 낮게 할 필요가 있고, 반대로 높은 하드니스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두께는 두꺼우면서 경도는 높게 할 필요가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TPO 표면층(140)의 두께는 10 내지 900㎛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에서 적층시트의 소프트니스와 하드니스의 제어가 용이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PO 표면층(140)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카렌더링 공정 또는 T-die 압출 공정 등을 통해 필름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TPO 표면층(140)은 KS K ISO 12947-2에 의거하여 마틴데일법에 따라 800gr 하중 조건 하에서 측정한 마모강도가 40,000회 이상일 수 있다. TPO 표면층(140)의 마모강도는, 예를 들면 50,000회 이상, 다른 예를 들면 60,000회 이상, 또 다른 예를 들면 70,000회 이상, 또 다른 예를 들면 80,000회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적층시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인쇄층(230)과 TPO 표면층(240) 사이에는 제2프라이머층 또는 접착제층(25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제2프라이머층(250)에 대한 설명은 제1프라이머층(220)에 대한 설명을 참조한다.
접착제층 형성시 사용되는 접착제로는 본 발명의 목적을 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지의 접착제가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접착제로는 VOC, 냄새 등을 고려하여 수성 접착제, 무용제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고, 수성 접착제의 예로는 수분산된 2액형 우레탄계 접착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프라이머층 또는 접착제층(250)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1 내지 100㎛일 수 있고, 상기 범위에서 인쇄층(230)과 TPO 표면층(240) 사이에 충분한 부착력이 제공될 수 있다.
제2프라이머층 또는 접착제층(250)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인쇄층(230) 및/또는 TPO 표면층(240) 상에 프라이머 또는 접착제를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코팅 방법으로는 그라비아 코팅, 스프레이 코팅,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 등의 다양한 방법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인쇄층(230)과 제2프라이머층 또는 접착제층(250)이 직접 접촉되고, 제2프라이머층 또는 접착제층(250)과 TPO 표면층(240)이 직접 접촉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TPO 표면층(140, 240) 상에 아크릴계 또는 우레탄계 표면보호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표면보호층에 의해 내긁힘성 향상, 무광택 효과 등이 발현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TPO 표면층(140, 240)의 표면에는 엠보싱이 형성(미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질감의 시각적 효과가 발현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적층시트(100, 200)는 KS M ISO 17694에 의거하여 측정한 내굴곡도가 50,000회 이상일 수 있다. 적층시트(100, 200)의 내굴곡도는, 예를 들면 60,000회 이상, 또 다른 예를 들면 70,000회 이상, 또 다른 예를 들면 80,000회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적층시트는 TPO 기재층/제1프라이머층/인쇄층/TPO 표면층 구조를 포함함으로써, 친환경적이고, VOC 절감에도 효과적이며, 비중이 낮아 경량 소재로서 유용하고, 내마모성, 내굴곡성, 내오염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상술한 적층시트는, 예를 들어 TPO 기재층 상에 제1프라이머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1프라이머층 상에 인쇄층을 형성하고, 상기 인쇄층 상에 TPO 표면층을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름 형태의 TPO 기재층 상에 프라이머를 코팅하여 제1프라이머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1프라이머층 상에 그라비아 방식, 실사(디지털 프린트) 방식, 전사 방식 등을 사용하여 인쇄물을 부착하여 인쇄층을 형성하고; 그리고, 인쇄층 상에 필름 형태의 TPO 표면층을 적층한 후 압착 또는 열압착하거나, 인쇄층 및/또는 TPO 표면층 상에 프라이머 또는 접착제를 도포한 후 인쇄층과 TPO 표면층을 적층하여 접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TPO 표면층 상에 표면보호층용 코팅제, 예를 들면 아크릴계 또는 우레탄계 코팅제를 코팅하여 표면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TPO 표면층 표면에 엠보싱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술한 TPO 기재층/제1프라이머층/인쇄층/(제2프라이머층 또는 접착제층)/TPO 표면층/(표면보호층)을 포함한 적층시트를 엠보싱롤에 통과시켜 TPO 표면층 표면에 엠보싱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적층시트는, 예를 들면 인조가죽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조가죽 질감을 부여하는 인조가죽용 섬유층(backing cloth층) 상에 적층시트의 TPO 기재층이 맞닿도록 적층한 후 압착 또는 열압착하거나, 또는 인조가죽용 섬유층과 TPO 기재층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인조가죽을 제조할 수 있다. 상술한 적층시트를 사용하여 제조된 인조가죽은 친환경적이면서도, 우수한 성형성, 내오염성, 내마모성, 내굴곡성 등을 가질 수 있으며, 가방, 신발의 외피, 소파, 테이블, 가구용 외부 마감재, 바닥재, 자동차 내장재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적층시트의 용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상술한 적층시트는 데코시트 등의 제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실시예
실시예 1
먼저, ASTM D1238에 의거하여 측정한 용융 흐름 지수(Melt-flow Index: MI)가 1g/10min(190℃, 2.16kg), ASTM D2240에 의거하여 측정한 쇼어 A 경도가 76, 두께가 180㎛인 기재층용 TPO 필름(한화솔루션社) 위에 프라이머(JR-650, 진광社)를 그라비아 방식(챔버온도: 약 80℃, 스피드: 약 15m/min)으로 코팅 및 건조하여 제1프라이머층을 형성하였다. 이후, 제1프라이머층 위에 그라비아 방식(챔버온도: 약 100℃, 스피드: 약 15m/min)으로 인쇄층을 형성하였다. 그 다음, ASTM D1238에 의거하여 측정한 MI가 3g/10min(190℃, 2.16kg), ASTM D2240에 의거하여 측정한 쇼어 A 경도가 75, 두께가 100㎛인 표면층용 TPO 필름(한화솔루션社) 위에 그라비아 방식(챔버온도: 약 80℃, 스피드: 약 10m/min)으로 접착제(KW-100, 흥인화학社)를 코팅하고 인쇄층과 접착시키고, 약 60℃에서 24 시간 에이징한 뒤, 엠보 공정(온도: 약 180℃, 압력: 약 50kgf)을 거쳐 적층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표면층용 TPO 필름으로서, ASTM D1238에 의거하여 측정한 MI가 1g/10min(190℃, 2.16kg), ASTM D2240에 의거하여 측정한 쇼어 A 경도가 75, 두께가 100㎛인 TPO 필름(한화솔루션社)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적층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인쇄층 상에 표면층용 TPO 필름을 접착하는 대신, 액상 우레탄계 코팅제(KU-904, 흥인화학社)를 사용하여 그라비아 방식(챔버온도: 약 100℃, 스피드: 약 15m/min)으로 우레탄계 표면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적층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인쇄층 상에 표면층용 TPO 필름을 접착하는 대신, 액상 아크릴계 코팅제(KA-160, 흥인화학社)를 사용하여 그라비아 방식(챔버온도: 약 100℃, 스피드: 약 15m/min)으로 아크릴계 표면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적층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인쇄층 상에 표면층용 TPO 필름을 접착하는 대신, 액상 우레탄계 코팅제(KU-904, 흥인화학社) 2회, 액상 아크릴계 코팅제(KA-160, 흥인화학社) 2회 총 4회에 걸쳐 그라비어 방식(챔버온도: 약 100℃, 스피드: 약 15m/min)으로 우레탄계/아크릴계 표면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적층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인쇄층 상에 표면층용 TPO 필름을 접착하는 대신, 액상 2액형 타입의 우레탄계 코팅제(KW-328, 흥인화학社)를 사용하여 그라비어 방식(챔버온도: 약 150℃, 스피드: 약 10m/min)으로 우레탄계 표면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적층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인쇄층 상에 표면층용 TPO 필름을 접착하는 대신, TPU 필름(T-MAX, 에스케이에프씨社)을 접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적층시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한 적층시트에 대하여 하기와 같이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물성 평가 방법
(1) 내마모성(단위: 회) : KS K ISO 12947-2 기준에 의거하여 마틴데일(Martindale)법에 따라 800gr 하중 조건 하에서 적층시트 표면의 마모강도를 측정하였다.
(2) 내굴곡성(단위: 회) : KS M ISO 17694 : 2004 기준에 의거하여 굴곡강도 실험 장치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적층시트의 들뜸 또는 표면 갈라짐이 발생하기까지의 왕복 절곡 횟수(내굴곡도)를 측정하였다.
(3) Touch Feel : 촉감 테스트를 통해 적층시트가 부드러우면서 탄성이 우수한 경우 O, 그렇지 않은 경우 X, 만족스럽진 않으나 사용 가능한 경우 △로 표시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내마모성(회) 80,000 이상 80,000 이상 8,200 7,500 15,900 19,800 35,000
내굴곡성(회) 80,000 이상 80,000 이상 35,000 20,500 18,000 8,200 45,000
Touch Feel O O O X X X
상기 표 1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TPO 기재층, 제1프라이머층, 인쇄층, TPO 표면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실시예 1-2의 적층시트는 그렇지 않은 비교예 1-4의 적층시트에 비해 내마모성, 내굴곡성 및 Touch Feel이 모두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200 : 적층시트
110, 210 : TPO 기재층
120, 220 : 제1프라이머층
130, 230 : 인쇄층
140, 240 : TPO 표면층
250 : 제2프라이머층 또는 접착제층

Claims (10)

  1. TPO(thermoplastic polyolefin elastomer) 기재층;
    상기 TPO 기재층 상에 적층된 제1프라이머층;
    상기 제1프라이머층 상에 적층된 인쇄층; 및
    상기 인쇄층 상에 적층된 TPO 표면층; 을 포함한, 적층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PO 표면층은 KS K ISO 12947-2에 의거하여 마틴데일법에 따라 800gr 하중 조건 하에서 측정한 마모강도가 40,000회 이상인 것인, 적층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PO 기재층과 상기 제1프라이머층이 직접(directly) 접촉되고,
    상기 제1프라이머층과 상기 인쇄층이 직접 접촉되는, 적층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과 상기 TPO 표면층 사이에 제2프라이머층 또는 접착제층을 더 포함하는, 적층시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과 상기 제2프라이머층 또는 상기 접착제층이 직접 접촉되고,
    상기 제2프라이머층 또는 상기 접착제층과 상기 TPO 표면층이 직접 접촉되는, 적층시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PO 표면층 상에 아크릴계 또는 우레탄계 표면보호층을 더 포함하는, 적층시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PO 표면층 표면에 엠보싱이 형성되어 있는, 적층시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PO 기재층은 TPO 발포층인 것인, 적층시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PO 기재층 및 상기 TPO 표면층 중 적어도 하나는 핫멜트 접착성 수지, 충전제, 보강제, 윤활제, 열안정화제, 산화방지제, 슬립제, UV안정화제, 착색제 및 가공조제(processing aids)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인, 적층시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시트는 KS M ISO 17694에 의거하여 측정한 내굴곡도가 50,000회 이상인, 적층시트.
KR1020200090102A 2019-09-05 2020-07-21 적층시트 KR1025475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379 2019-09-05
KR20190110379 2019-09-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9083A true KR20210029083A (ko) 2021-03-15
KR102547535B1 KR102547535B1 (ko) 2023-06-27

Family

ID=7513454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102A KR102547535B1 (ko) 2019-09-05 2020-07-21 적층시트
KR1020200090103A KR102547536B1 (ko) 2019-09-05 2020-07-21 인조가죽
KR1020200090104A KR102547537B1 (ko) 2019-09-05 2020-07-21 인조가죽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103A KR102547536B1 (ko) 2019-09-05 2020-07-21 인조가죽
KR1020200090104A KR102547537B1 (ko) 2019-09-05 2020-07-21 인조가죽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54753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3888A (ja) * 1995-11-21 1997-06-03 Toli Corp Ltd 非ハロゲン床材
JPH11315482A (ja) * 1998-04-28 1999-11-16 Achilles Corp 装飾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0036600A (ko) * 2000-07-10 2003-05-09 이데미쓰 테크노파인 가부시키가이샤 수지 적층체, 가죽형 시이트, 자동차용 내장재 및 수지적층체의 제조방법
JP2004277986A (ja) * 2002-08-06 2004-10-07 Mitsui Chemicals Inc 壁紙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30045933A (ko) * 2010-08-26 2013-05-06 우키마 고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자기 가교형 폴리실록산 변성 폴리히드록시 폴리우레탄 수지, 그 수지를 포함한 수지 재료, 그 수지의 제조방법, 그 수지를 사용하여 이루어진 인조 피혁 및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표피재
JP2015140500A (ja) * 2014-01-29 2015-08-03 三井化学株式会社 合成皮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70079730A (ko) * 2015-12-31 2017-07-10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재활용이 가능한 인조가죽
KR101913812B1 (ko) * 2017-07-25 2018-11-02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폴리올레핀계 인조가죽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3888A (ja) * 1995-11-21 1997-06-03 Toli Corp Ltd 非ハロゲン床材
JPH11315482A (ja) * 1998-04-28 1999-11-16 Achilles Corp 装飾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0036600A (ko) * 2000-07-10 2003-05-09 이데미쓰 테크노파인 가부시키가이샤 수지 적층체, 가죽형 시이트, 자동차용 내장재 및 수지적층체의 제조방법
JP2004277986A (ja) * 2002-08-06 2004-10-07 Mitsui Chemicals Inc 壁紙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30045933A (ko) * 2010-08-26 2013-05-06 우키마 고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자기 가교형 폴리실록산 변성 폴리히드록시 폴리우레탄 수지, 그 수지를 포함한 수지 재료, 그 수지의 제조방법, 그 수지를 사용하여 이루어진 인조 피혁 및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표피재
JP2015140500A (ja) * 2014-01-29 2015-08-03 三井化学株式会社 合成皮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70079730A (ko) * 2015-12-31 2017-07-10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재활용이 가능한 인조가죽
KR101913812B1 (ko) * 2017-07-25 2018-11-02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폴리올레핀계 인조가죽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9085A (ko) 2021-03-15
KR102547536B1 (ko) 2023-06-27
KR102547535B1 (ko) 2023-06-27
KR102547537B1 (ko) 2023-06-27
KR20210029084A (ko) 202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6848B2 (en) Laminate and article for daily use
US20160325535A1 (en) Decorative sheet, and decorative member in which same is used
JP6487127B1 (ja) 化粧板、その使用方法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含む積層体、床仕上げ材
EP3601418B1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covered panel
US20060252329A1 (en) Halogen and plasticizer free permeable laminate
US10947742B2 (en) Recyclable synthetic resin ti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723904B2 (en) Decorative material
WO2016203417A1 (en) Flexible composite material, method of obtention and uses thereof
JP6133088B2 (ja) 銀付調人工皮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321241A (ja) 化粧シート
JP6331005B2 (ja) 壁装材用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壁装材
KR102547535B1 (ko) 적층시트
US11254805B2 (en) Eco-friendly floor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0873298B1 (ko) 인테리어 장식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0085076A (ja) 化粧シート
JP7047391B2 (ja) 化粧シート及び不燃化粧板
JP4248728B2 (ja) 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KR20210124264A (ko) 화장재
JP5233414B2 (ja) 内装化粧材
KR102437400B1 (ko)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적층시트
JP7206584B2 (ja) 床用化粧シート
JP2003118055A (ja) 化粧シート
JP2002127345A (ja) 積層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3075474A (ja) 合成皮革
JP2014065983A (ja) 合成皮革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