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9033A - 주물 탈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주물 탈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9033A
KR20210029033A KR1020190110315A KR20190110315A KR20210029033A KR 20210029033 A KR20210029033 A KR 20210029033A KR 1020190110315 A KR1020190110315 A KR 1020190110315A KR 20190110315 A KR20190110315 A KR 20190110315A KR 20210029033 A KR20210029033 A KR 20210029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door
inlet
demoulding
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0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0022B1 (ko
Inventor
박경원
Original Assignee
박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원 filed Critical 박경원
Priority to KR1020190110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022B1/ko
Publication of KR20210029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9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9/00Removing castings from moulds, not restricted to casting processes covered by a single main group; Removing cores; Handling ingots
    • B22D29/04Handling or stripping castings or ing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9/00Removing castings from moulds, not restricted to casting processes covered by a single main group; Removing cores; Handling ingots
    • B22D29/02Vibratory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haking out flas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Devices For Molds (AREA)

Abstract

주물 제품과 모래를 내장한 형틀을 클램핑하여 탈형실로 이송하는 이송 크레인; 및 상기 이송 크레인의 이송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탈형실의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 크레인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형틀의 하단 모서리가 상기 도어의 측면과 접촉한 채로 도어를 밀어서 개방시키며, 상기 이송 크레인은 상기 투입구가 완전히 개방될 때까지 상기 형틀을 이송하고, 상기 개방된 투입구는 상기 형틀의 바닥면에 의해 커버되는 구성의 주물 탈형 장치와 이를 이용한 주물 탈형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주물 탈형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casting from mold}
발명은 주물 탈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모래를 이용한 사형 주물 작업에 있어서 형틀로부터 주물 제품을 효과적으로 탈거하는 동시에, 비산 먼지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주물 탈형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조 작업은 주철, 주강, 또는 비철합금 등의 금속을 열에 녹인 다음 형틀에 부어 원하는 형태의 제품을 만드는 작업으로서, 대체적으로, 형틀 내부에 금형을 설치하고 모래를 다진 후 금형을 제거하는 조형 공정, 금속 재료를 녹여 상기 형틀 내부에 주입하는 주입 공정, 굳어진 제품, 즉 주물 제품을 상기 형틀로부터 분리하는 탈형 공정, 및 분리된 주물 제품을 다듬질하는 마무리 공정으로 구성된다.
그 중에서 상기 탈형 공정에서는 형틀로부터 주물 제품과 모래를 동시에 분리하기 때문에 많은 먼지가 비산된다. 더욱이, 정밀한 주물 제품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더욱 가는 입자의 모래나 가루가 사용되기 때문에 이러한 비산 문제는 더욱 심화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탈형 공정시 수반되는 모래 가루의 비산을 막기 위해, 종래에는 탈형 공정에 해당하는 작업장 또는 탈형 장치의 외형을 모두 폐쇄하도록 덮개를 설치하여 집진실을 구성함으로써 비산 먼지의 누출을 막고 있으나, 이 경우 탈형 장치의 상당 부분을 덮개로 덮기 때문에 비산 먼지 방지 효율이 낮고, 대용량의 집진기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설비의 상당 부분이 덮개로 커버되어 있어서 설비의 유지 관리가 용이하지 않고, 비산 먼지로 인한 기계의 고장이 잦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형틀로부터 분리되는 주물 제품과 모래를 수용할 수 있도록 폐쇄된 공간의 탈형실을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대용량의 집진 설비 없이도 효과적으로 탈형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주물 탈형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탈형실의 도어를 형틀의 이동과 연동시켜 개방시키는 한편, 무게추를 사용해 중력에 의해 닫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동력없이도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구동가능한 탈형실 개폐구조를 가진 주물 탈형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주물 탈형 장치는, 주물 제품과 모래를 내장한 형틀을 클램핑하여 탈형실로 이송하는 이송 크레인; 및 상기 이송 크레인의 이송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탈형실의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 크레인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형틀의 하단 모서리가 상기 도어의 측면과 접촉한 채로 도어를 밀어서 개방시키며, 상기 이송 크레인은 상기 투입구가 완전히 개방될 때까지 상기 형틀을 이송하고, 상기 개방된 투입구는 상기 형틀의 바닥면에 의해 커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물 탈형 장치는, 상기 도어의 양측에 구비된 복수의 가이드 롤러; 및 상기 가이드 롤러가 수납되어 구름 운동하는 가이드 홈을 구비하고 상기 이송 크레인의 이송 방향으로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물 탈형 장치는, 상기 이송 크레인에 의해 상기 형틀이 후퇴하면, 상기 도어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복원력을 인가하는 복원 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송 크레인은 상기 클램핑된 형틀을 소정 높이로 상승시키는 승강 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정 높이는 상기 형틀이 탈형실의 투입구 상부에 위치할 때, 형틀의 하단면과 상기 투입구 테두리의 상면 사이의 이격 거리가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주물 제품과 모래가 내장된 형틀을 클램핑하여 이송하는 동작; 상기 이송되는 상기 형틀의 하단 모서리가 탈형실의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도어의 측면과 접촉되도록 하여 도어를 밀어서 투입구를 개방시키는 동작; 상기 개방된 투입구를 상기 형틀의 바닥면으로 커버하는 동작; 상기 형틀에 진동을 인가하여 내장된 주물 제품과 모래를 상기 투입구를 통해 탈형실 내부로 낙하시키는 동작; 및 상기 형틀을 역방향으로 후퇴시키는 동시에 상기 도어로 투입구를 다시 폐쇄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주물 탈형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주물 탈형 장치 및 그 방법에 따르면, 형틀로부터 분리되는 주물 제품과 모래를 수용할 수 있도록 폐쇄된 공간의 탈형실을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대용량의 집진 설비없이도 모래나 먼지의 비산을 억제하면서도 효과적으로 탈형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주물 탈형 장치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주물 제품과 모래의 분리는 전용 공간인 탈형실 내에서만 수행되므로 주형 장치나 기타 장치들이 비산되는 모래나 먼지 등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주물 탈형 장치 및 그 방법에 따르면, 탈형실의 도어를 형틀의 이송과 연동시켜 열리도록 하고 무게추를 사용해 중력에 의해 닫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동력없이도 간단하고 효율적이면서도 유지관리가 용이한 탈형실 개폐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향상된 효과와 이점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아래 도면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되지만,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그 도면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 및 도 2 각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물 탈형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로서, 커버플레이트의 승강 상태를 각각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물 탈형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물 탈형 장치의 도어와 무게추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의 IV 영역에 대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 각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물 탈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물 탈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물 탈형 장치 및 방법에 따라 주형 공정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형틀을 개략적으로 도식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물 탈형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 각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물 탈형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물 탈형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물 탈형 장치는 주형 작업의 일 공정으로서 전후 공정의 장치들과 연계되어, 또는 그와 별도로 구비되고 가동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물 탈형 장치는, 모래를 이용한 사형 주물 공정에 있어서 주물 제품과 모래를 형틀로부터 분리(탈형)하는 작업을 위해 구비되고 가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형 주물 공정은 조형 공정, 주입 공정, 탈형 공정, 및 마무리 공정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조형 공정에서는, 모래를 사용하여 원하는 제품의 형상대로 주조 형틀(주조틀, 주형, 또는 금형틀 등의 다양한 용어로 지칭될 수 있으며, 이하, "형틀"이라 함)을 준비하는 공정으로서, 형틀 내부에 주물 제품의 형상을 이루는 모형(즉, 금형)을 설치하고 모래로 빈공간을 다진 후 금형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통상적으로, 상부 틀과 하부 틀로 구성된 형틀을 사용하며, 금속을 녹인 쇳물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공이 형성되도록 모래를 다져 제작한다.
주입 공정에서는, 철 및 그 합금, 알루미늄 및 그 합금 등의 금속 소재를 녹인 용융액(이하, "쇳물"이라 함)을 상기 주입공을 통해 형틀 내부로 주입한다.
탈형 공정에서는, 쇳물이 굳어짐으로써 내부에 형성된 주물 제품을 상기 형틀로부터 분리시킨다. 이 경우, 형틀에 진동이나 타격을 가하거나 형틀을 분해함으로써 상기 주물 제품을 모래와 함께 형틀로부터 강제 탈락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물 탈형 장치는 이와 같은 탈형 공정을 위해 구비되고 가동될 수 있다.
이어서, 형틀로부터 분리되고 수거된 주물 제품은, 제품의 용도에 따라서, 디버링(deburring), 연마, 착색 등의 후처리를 거쳐 최종 제품으로 마무리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물 탈형 장치는 이송 크레인(100)과 탈형실(20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 크레인(100)은 형틀(300)을 소정 지점으로부터 상기 탈형실(200)까지, 구체적으로는 상기 탈형실(200)의 도어까지 운반할 수 있으며, 이렇게 운반된 형틀(300) 내의 주물 제품과 모래는 상기 탈형실(200) 내부로 강제 탈락됨으로써 형틀(3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탈형실(200)까지 연장되도록 서포트 레일(245)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이송 크레인(100)은 상기 서포트 레일(245) 위에 지지되어 이를 따라 왕복 운동하면서 상기 탈형실(200)을 향해 접근하거나 또는 그로부터 후퇴할 수 있다.
상기 이송 크레인(100)은 주몸체(110), 클램핑 기구(120), 승강 기구(130) 및 이송 기구(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몸체(110)는 이송 크레인(100)의 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클램핑 기구(120)와 후술하는 진동 기구 등이 고정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주몸체(110)의 형상과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은 기능과 동작들을 달성하기에 적절한 다양한 구성이 채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주몸체(110)의 바닥면은 평면으로 형성되며, 특히 형틀(300)의 상단 개방부를 덮어서 밀폐할 수 있도록 형틀(300)의 상단 테두리보다 더 큰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형틀(300)에서 주물 제품과 모래를 탈형할 때, 형틀(300) 상부로 먼지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상기 주몸체(110)의 바닥면에는 수직으로 승강운동하면서 상기 형틀(300)의 상단 개방부를 커버하여 밀폐할 수 있는 커버링 수단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링 수단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승강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형틀(300)의 상단 개방부를 커버하는 커버 플레이트(150)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150)를 승강 운동시키는 구동 실린더(160)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커버 플레이트(150)가 상승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커버 플레이트(150)가 하강하여 형틀(300)의 상단 개방부를 덮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도 2에 되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형틀(300)에서 주물 제품과 모래를 탈형함으로써, 형틀(300) 상부로 먼지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클램핑 기구(120)는 상기 형틀(300)을 클램핑하도록 상기 주몸체(110)의 양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클램핑 기구(120)는, 상기 형틀(300)을 선택적으로 클랭핑하도록 주몸체(110)에 설치된 한 쌍의 그리퍼(121,122)와, 상기 그리퍼(121,122)를 상기 형틀(300)에 대해 가압하여 클램핑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실린더(123,124)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한 쌍의 그리퍼(121,122)는 그 일단이 상기 주몸체(110)의 양단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고, 그 타단은 상기 형틀(300)의 측벽을 가압하여 클램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형틀(300)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그리퍼(121,122)의 타단(즉, 형틀(300)을 클랭핑하는 단부, 이하, "클램핑 단부"라 함)에는 홀더 돌기부(121a,122a)가 상기 형틀(300)의 측벽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형틀(300)을 클랭핑할 때 그 외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 형성된 리브(예를 들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부 틀의 상단 리브) (도 8의 310U 참조)를 지지함으로써 더욱 안정된 클랭핑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구동실린더(123,124)는 그 일단이 상기 주몸체(110)의 양단 소정 부위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그 타단은 상기 그리퍼(121,122)의 클램핑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실린더(123,124)의 동작에 따라 상기 그리퍼(121,122)는 형틀(300)의 측벽을 선택적으로 클랭핑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실린더(123,124)의 피스톤이 전진하면 그 단부에 연결된 한 쌍의 그리퍼(121,122)의 클램핑 단부는 형틀(300)을 향해 상호 접근하여 형틀(300)의 측벽과 접촉함으로써 이를 클램핑하게 된다.
반대로,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구동실린더(123,124)의 피스톤이 후퇴하면, 그 단부에 연결된 그리퍼(121,122)의 클램핑 단부도 상기 회동점을 중심으로 바깥쪽으로 이동하고 따라서, 한 쌍의 그리퍼(121,122)는 상호 이격됨으로써 형틀(300)의 클램핑을 해제할 수 있다.
비록, 본 실시예에서 구동실린더(123,124)의 동작에 의해 그리퍼(121,122)가 형틀(300)을 클램핑하는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에 한정됨없이 다양한 구성과 기능을 하진 클램핑 구성을 채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승강 기구(130)는 이송 크레인(100)의 주몸체(110)를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승강 기구(130)는 상기 이송 크레인(100)의 주몸체(110)와 상기 이송 기구(14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 크레인(100)을 승하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승강 기구(130)는 상기 이송 크레인(100)의 주몸체(110)와 상기 이송 기구(140) 사이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송 크레인(100)의 주몸체(110)는 상기 클램핑 기구(120)에 의해 형틀(300)을 클램핑한 상태에서 승강 기구(130)의 구동에 따라 승하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형틀(300)은 이송 크레인(100)에 클램핑되어 "소정 높이"로 상승된 채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탈형실(200)의 도어(210)를 향해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소정 높이"는 이송되는 형틀(300)의 하단 모서리(또는 하부 틀의 하단 리브(도 8의 310L 참조))가 상기 탈형실(200)의 도어(210)의 측면과 맞닿을 정도의 높이일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소정 높이"는 상기 형틀(300)이 탈형실(200)의 투입구(220) 상부에 위치할 때, 형틀(300)의 테두리 바닥면과 상기 투입구(220) 테두리의 상면 사이의 이격 거리가 소정의 적절한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설정되는 높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절한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이격 거리는 적어도 5mm 이내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 3mm 이내일 수 있다.
상기 이송 기구(140)는 상기 이송 크레인(100)을 상기 탈형실(200)까지 이송하거나 그로부터 후퇴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 기구(140)는 상기 탈형실(200)까지 연장된 서포트 레일(245) 위에서 왕복 운동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이송 크레인(100)에 의해 클램핑된 형틀(300)을 상기 탈형실(200)의 도어(210)까지 이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상기 이송 기구(140)는 상기 이송 크레인(100)의 주몸체(110)와 연결되어 이를 지지하는 프레임(141)과, 상기 프레임(141)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서포트 레일(245) 위를 주행하는 이송 롤러(142)와, 상기 이송 롤러(142)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미도시)와 같은 동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송 기구(140)는 이미 당업계에 널리 알려져 있는 다양한 이송 기구들을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이송 기구(140)는 전술한 승강 기구(130)를 통해 상기 이송 크레임의 주몸체(110)와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핑 기구(120)에 의해 클램핑된 형틀(300)이 상기 승강 기구(130)에 의해 상기 소정 높이로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이송 기구(140)에 의해 탈형실(200)로 이송되면, 상기 형틀(300)의 하단 모서리가 상기 탈형실(200) 도어(210)의 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이송 기구(140)는 이러한 접촉 상태에 있는 형틀(300)을 더욱 전진시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탈형실(200)의 도어(210)가 형틀(300)에 밀려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이송 기구(140)는 도어(210)의 개방에 따라 드러나는 투입구(220)가 상기 형틀(300)의 바닥면(도 8의 330 참조)에 의해 커버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이송 기구(140)는 탈형실(200)로부터 멀어지도록 이송 크레인(100)을 후퇴시킴으로써 상기 형틀(300)과 도어(210)의 접촉 상태를 해제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도어(210)가 후술하는 무게추(260)의 자중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여 투입구(220)를 폐쇄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물 탈형 장치는, 상기 형틀(300)에 진동을 가해 그 내부에 내장된 주물 제품과 모래를 하방으로 탈락시키도록 구성된 진동 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실린더(123,124)와 그에 결합된 한 쌍의 그리퍼(121,122)는 진동 기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실린더(123,124)가 미소 거리 범위 내에서 전후진 동작을 빠르게 수행함으로써 이에 따른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이러한 진동은 상기 그리퍼(121,122)를 통해 형틀(300)로 전달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상기 진동 기구는 이송 크레인(100)의 주몸체(110)에 구비된 편심 모터(미도시)일 수 있다.
그러나, 진동 기구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형틀(300)에 진동을 인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의 기구들이 채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진동 기구 외에도 상기 형틀(300)을 타격하여 충격을 인가하는 타격 기구를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진동과 타격에 의해 주물 제품과 모래는 상기 형틀(300)로부터 더욱 용이하게 탈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진동 기구 및/또는 타격 기구는, 상기 형틀(300)이 이송 기구(140)에 의해 전진하여 상기 탈형실(200)의 도어(210)가 개방되고 그 투입구(220) 상에 위치하였을 때, 동작하여 상기 형틀(300)에 대해 진동 및/또는 타격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탈형실(200)은 상기 형틀(300)로부터 주물 제품과 모래 등을 분리하기 위해 폐쇄된 공간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탈형실(200)은 상기 형틀(300)의 이송 동작과 연동되어 그 투입구(220)가 개방 및 폐쇄됨으로써 모래 등의 비산 먼지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탈형실(200)의 크기와 구조는 본 발명에 의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제조하는 주물의 특성(형상, 크기, 등)이나 작업자의 출입 유무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설계될 수 있다.
상기 탈형실(200)의 상면에는 투입구(220)가 형성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형틀(300) 내부에서 탈락된 주물 제품과 모래 등이 상기 투입구(220)를 통해 탈형실(200) 내부로 낙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탈형실(200)의 투입구(220)는 상기 형틀(300)의 하단에 형성된 개방부에 상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투입구(220)의 테두리는 상기 형틀(300)의 하단 테두리에 상응하는 형상과 크기를 가져 상호 정합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형틀(300)과 상기 투입구(220)의 기밀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형틀(300)이 상기 투입구(220)의 상부에 위치할 때, 진동 또는 타격에 의해 그 내부에 있던 주물 제품과 모래가 하방으로 탈락되더라도 상기 형틀(300)의 하단과 투입구(220) 테두리의 정합으로 인해 모래나 먼지가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상기 탈형실(200)에 구비된 도어(21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탈형실(200)의 투입구(220)는 도어(210)에 의해 개폐되며, 이러한 개폐 동작은 상기 형틀(300)의 이송 동작과 상호 연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도어(210)는 상기 형틀(300)의 이송방향(예를 들어, 전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탈형실(200)의 상면에는 상기 형틀(300)의 이송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한 쌍의 가이드 레일(231,232)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 레일(231,232)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가이드 롤러(240)를 수납하도록 가이드 홈이 형성된 절곡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210)는 상기 탈형실(200)의 투입구(220)를 개폐하기에 적절한 크기로 형성되며, 그 양측에는 복수의 가이드 롤러(240)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는 도어(210)의 양측에 복수의 지지축(241)이 구비되고, 그 지지축(241)에 가이드 롤러(240)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가이드 롤러(240)는 상기 가이드 레일(231,232)에 형성된 가이드 홈 내에 수납되어 이를 따라 구름 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도어(210)는 상기 이송 크레인(100)이 전진하면 그것에 의해 이송되는 형틀(300)과 접촉하여 투입구(220)를 개방하는 반면, 이송 크레인(100)이 후퇴하면 복원 기구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여 투입구(220)를 재폐쇄할 수 있다. 상기 복원 기구는 개방 위치의 도어(210)가 원래의 폐쇄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수단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복원 기구는 상기 도어(210)로부터 도어(21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된 고정 바아(250), 상기 고정 바아(250)의 선단에 와이어(252)에 의해 자중을 인가하도록 매달린 무게추(260), 상기 와이어(252)를 지지하며 상기 무게추(260)의 수직 운동을 상기 고정 바아(250)의 수평 운동으로 전환하는 도르래(2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르래(270)는 상기 탈형실(200)에 고정된 브래킷의 선단에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252)는 상기 고정 바아(250)의 수평 운동 범위를 허용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바아(250)는 상기 도어(210)가 상기 탈형실(200)의 투입구(220)를 완전히 폐쇄한 상태의 위치(즉, 상기 형틀(300)이 도어(210)와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서 이하, "후사점"이라고 함)와, 상기 도어(210)가 상기 탈형실(200)의 투입구(220)를 완전히 개방한 상태의 위치(즉, 상기 형틀(300)이 도어(210)와 접촉함으로써 도어(210)를 완전히 밀어낸 상태로서 이하, "전사점"이라고 함) 사이의 영역에서 슬라이딩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252)는 상기 도어(210)가 후사점과 전사점 사이의 영역에서 슬라이딩운동가능한 정도의 길이를 가지며, 이 범위 내에서 상기 무게추(260)는 수직으로 움직이며 와이어(252)에 자중을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정 바아(250)는, 이송되는 형틀(300)에 밀려서 후사점에서 전사점으로 이동하는 도어(210)와 함께 전진하고, 무게추(260)의 자중에 따른 복원력에 의해 후퇴함으로써 상기 도어(210)를 전사점에서 후사점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비록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 바아(250)를 도어(210)와 별개의 부품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고정 바아(250)는 도어(210)의 일부로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어의 일부분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면, 도 5 내지 도 8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물 탈형 장치 및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물 탈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물 탈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주형 공정은 조형 단계, 주입 단계, 탈형 단계, 및 마무리 단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조형 단계에서는 모래를 사용하여 원하는 제품의 형상에 따라 형틀(300)을 준비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가능한 형틀(300)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형틀(300)은 네 측벽으로 구성된 하부 틀(310)과, 상기 하부 틀(310) 위에 적재되는 것으로서 역시 네 측벽으로 구성된 상부 틀(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벽들은 예를 들어, 철 및 그 합금 등과 같은 금속 소재로 제작되며, 각각을 별개로 제작한 후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해 상호 결합하거나, 또 다른 대안으로서, 네 측벽을 일체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및 하부 틀(310,320)의 상단 테두리와 하단 테두리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리브(310U,310L 및 320U,320L)가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리브에 의해 상부 틀(320)과 하부 틀(310)을 상호 결합할 수 있다. 특히, 상부 틀(320)의 상단 테두리에 형성된 리브(320U)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150)과 접촉하거나, 또는 이송 크레인(100)에 형틀(300)이 클램핑될 때 주몸체(110)의 하면과 접촉하여 기밀성을 유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하부 틀(310)의 하단 테두리에 형성된 리브(310L)는, 상기 형틀(300)이 탈형실(200)의 투입구(220) 상에 위치할 때, 투입구(220)의 테두리에 대한 대향 면적을 확보함으로써 탈형시 모래나 먼지가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조형 단계의 작업 예를 살펴보면, 먼저 하부 틀(310) 내부에 모래를 채우고 그 위에 원하는 제품 형상의 금형을 위치시킨다. 선택적으로, 금형은 하부 틀(310)의 상단 테두리에 형성된 소정의 결합홈(미도시)이나 결합 리세스(미도시)에 맞추어 안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하부 틀(310) 위에 상부 틀(320)을 올려 놓고, 예를 들어, 클램프 또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사용해 상호 결합한다. 그런 다음, 다시 상부 틀(320) 위에 모래를 투입하여 견고하게 다지는 작업을 수행한다.
모래 다짐이 완료된 후에는, 상부 틀(320)과 하부 틀(310)을 조심스럽게 분리하여 내부에 있던 금형을 제거하고, 이어서 상부 틀(320)과 하부 틀(310)을 재조립하여 조형 작업을 완료한다. 이때, 상기 모래 내부로 쇳물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도 미리 형성시킨다.
조형 단계가 완료된 후, 지정된 금속 소재를 녹인 쇳물을 상기 주입구를 통해 형틀(300) 내부로 주입하는 주입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주입된 쇳물이 어느 정도 식으면, 본 발명에 따른 탈형 단계가 수행된다. 이를 위해, 주입 단계 후에 형틀(300)은 본 발명에 따른 주물 탈형 장치로 이송된다. 이러한 형틀(300)의 이송은 컨베이어 벨트 등을 통해 자동으로 또는 대차 등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주물 탈형 장치의 이송 크레인(100) 하부까지 형틀(300)이 이송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 크레인(100)이 하강한 후, 클램핑 기구(120)를 작동시켜 형틀(300)의 양측면을 클램핑한다 (S800).
예를 들어, 상기 구동실린더(123,124)의 피스톤이 전진하면 그 단부에 연결된 한 쌍의 그리퍼(121,122)의 클램핑 단부는 형틀(300)을 향해 상호 접근하게 되고 형틀(300)의 측벽과 접촉함으로써 이를 클램핑할 수 있다. 이때, 그리퍼(121,122)의 클램핑 단부에는 홀더 돌기부(121a,122a)가 형성되어, 상기 형틀(300)에 돌출 형성된 리브 (예를 들어, 하부 틀(310)의 상단 테두리에 형성된 리브(310U))를 지지함으로써 더욱 안정된 클랭핑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형틀(300)의 상면 개방부를 커버하기 위해 커버링 수단이 가동된다(S810). 예를 들어, 구동 실린더(미도시)의 동작에 의해 커버 플레이트(150)가 하강하여 상기 형틀(300)의 상단(즉, 상부 틀(320)의 상단 또는 상단 테두리)와 접촉하여 상면 개방부를 커버한다. 이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형틀(300) 내부의 주물 제품과 모래를 탈형할 때, 모래나 먼지가 상기 상면 개방부를 통해 비산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 플레이트(150)를 사용하는 대신, 주몸체(110)의 바닥면에 의해 상기 형틀(300)의 상면 개방부를 커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전술한 클램핑 단계(S800)에서, 이송 크레인(100)이 상기 주몸체(110)가 형틀(300)의 상단(즉, 상부 틀(320)의 상단 또는 상단 테두리)과 접촉할 때까지 충분히 하강한 후에 클램핑을 수행한다.
나아가, 상기 한 쌍의 그리퍼(121,122)가 형틀(300)을 클랭핑할 때, 상방향 힘의 성분도 인가하게 되므로, 상기 형틀(300)의 상단(즉, 상부 틀(320)의 상단 또는 그 테두리)과 상기 이송 크레인(100)의 주몸체(110) 사이는 더욱 밀착되어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형틀(300)이 클랭핑되면, 승강 기구(130)의 동작에 의해 이송 크레인(100)과 형틀(300)은 "소정 높이"까지 상승하게 된다(S820). 이와 같이 형틀(300)이 상승하더라도 내부는 모래로 다져진 상태이므로 하면 개방부를 통해 모래 또는 주물 제품이 쏟아지지는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소정 높이"는 이송되는 형틀(300)의 하단 모서리(또는 하부 틀(310)의 하단 리브(도 8의 310L))가 상기 탈형실(200)의 도어(210)의 측면과 맞닿을 정도의 높이일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소정 높이"는 상기 형틀(300)이 탈형실(200)의 투입구(220) 상부에 위치할 때, 형틀(300)의 바닥면(도 8의 330)과 상기 투입구(220) 테두리의 상면 사이의 이격 거리가 소정의 적절한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설정되는 높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절한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이격 거리는 적어도 5mm 이내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 3mm이내 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틀(300)이 소정 높이까지 상승한 상태에서, 이송 기구(140)가 동작하여 상기 이송 크레인(100)과 형틀(300)을 탈형실(200)의 도어(210)를 향해 이송한다. 예를 들어, 모터의 회전력을 인가받은 이송 롤러(142)가 상기 서포트 레일(245) 위를 주행함으로써, 이송 크레임 및 형틀(300)은 탈형실(200)까지 이송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송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형틀(300)의 하단 모서리(즉, 하부 틀(310)의 하단 모서리 또는 그로부터 돌출 형성된 리브)가 상기 도어(210)의 측면에 접촉하게 된다(S830). 이때, 도어(210)는 탈형실(200)의 투입구(220)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즉, 후사점에 위치한 상태)이며, 상기 고정 바아(250)의 단부에 와이어(252)로 매달린 무게추(260)는 지면에 가장 근접된 상태로 유지되며, 따라서 상기 무게추(260)의 자중에 의해 상기 도어(210)는 외력이 인가되지 않는 한 투입구(220)를 폐쇄하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위와 같이, 형틀(300)의 하단 모서리가 도어(210)의 측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이송 크레인(100)이 더욱 더 전진하게 되면, 상기 형틀(300)의 하단 모서리와 접촉되어 있는 도어(210)는 그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 슬라이딩된다. 예를 들어, 상기 도어(210)가 형틀(300)에 의해 밀리면 도어(21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가이드 롤러(240)가 가이드 레일(231,232)에 형성된 가이드 홈 내에서 구름 운동함으로서 상기 도어(21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할 수 있다.
동시에, 도어(210)가 밀려나면서 개방되는 투입구(220)의 상부는 이송되는 형틀(300)의 바닥면(330)에 의해 커버되면서 폐쇄 상태가 여전히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 고정 바아(250)가 전진하므로 그 선단에 와이어(252)로 매달린 무게추(260)는 도르래(270)의 회전에 따라 수직 상승하게 되며, 이러한 상승은 상기 도어(210)가 전사점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된다.
이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형틀(300)의 바닥면이 상기 투입구(220)를 모두 커버(폐쇄)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즉, 도어(210)가 완전히 개방되는 전사점에 도달하게 되면), 이송 기구(140)는 작동을 중지하고 이송 크레인(100)과 형틀(300)을 정지시킨다(S840). 이때, 투입구(220)의 테두리 상면과 형틀(300)의 하단 바닥면 (300) (즉, 하부 틀(310)의 하단 테두리의 바닥면) 사이의 간격은 기밀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최소화된다. 예를 들어 그 간격은 최소 5mm 이내, 바람직하게, 3mm로 유지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형틀(300)의 하단 테두리에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리브(310L)가 구비되므로, 상기 투입구(220)의 테두리 상면과의 대향 면적을 최대화함으로써 기밀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형틀(300)의 바닥면이 탈형실(200)의 투입구(220)를 덮어 폐쇄한 상태에서 형틀(300) 내부에 포함된 주물 제품과 모래의 탈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S850). 이러한 분리 작업은 형틀(300)에 진동이나 타격을 가하여 상기 주물 제품을 모래와 함께 형틀(300)로부터 강제 탈락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실린더(123,124)가 미소 거리 범위 내에서 전후진 동작을 빠르게 수행함으로써 이에 따른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이러한 진동은 상기 그리퍼(121,122)를 통해 형틀(300)로 전달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상기 이송 크레인(100)의 주몸체(110)에 구비된 편심 모터(미도시)를 동작시킴으로써 형틀(300)에 진동을 인가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진동 기구가 타격 기능을 구비한 경우 또는 별도로 타격 수단을 구비한 경우에는 진동과 더불어 상기 형틀(300)을 타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진동 및/또는 타격에 의해 상기 형틀(300) 내부에 있던 주물 제품과 모래 등은 형틀(300)로부터 탈락되어 상기 투입구(220)를 통해 탈형실(200) 내부로 낙하할 수 있다. 상기 탈형실(200) 내부에는 별도의 완충재 또는 모래 등을 쌓아두어 상기 주물 제품이 낙하시 충격으로 인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주물 제품과 모래 등이 형틀(300)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모래와 기타 먼지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투입구(220)와 형틀(300)의 하단부 사이에 어느 정도의 기밀이 유지되고, 또한 상기 형틀(300)의 상단은 이송 크레임의 주몸체(110)의 바닥면과 접촉하고 있으므로 먼지가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주물 제품과 모래 등의 탈락과 낙하가 완료되면, 상기 이송 기구(140)는 반대로 동작하여 상기 이송 크레인(100)과 형틀(300)(즉, 주물 제품과 모래가 분리된 빈 형틀(300))을 원위치로 후퇴시킨다(S860).
상기 형틀(300)이 후퇴함에 따라서 그와 접촉되어 있던 도어(210) 역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는데 이러한 복원력은 상기 무게추(260)의 자중에 기인한다. 즉, 상기 도어(210)가 투입구(220)로부터 완전히 벗어난 지점(즉, 전사점)에서 무게추(260)는 지면으로부터 최대한의 높이로 상승된 상태로 자중을 인가하여 고정 바아(250) 및 도어(210)에 복원력을 인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형틀(300)이 후퇴하면, 상기 복원력에 의해 도어(210)도 함께 후퇴하게 되며, 이때에도 마찬가지로 복수의 가이드 롤러(240)가 도어(21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한다. 이어서, 상기 도어(210)가 다시 투입구(220)를 완전히 커버하여 폐쇄하는 위치에 도달하면(즉, 후사점에 도달하면), 상기 도어(210)의 이동은 저지된다. 예를 들어,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가이드 롤러(240)가 상기 후사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더 이상의 후퇴를 저지하는 별도의 스토퍼(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송 크레임이 계속 후퇴하여 상기 형틀(300)이 도어(210)의 측면으로부터 이탈되더라도 도어(210)는 더 이상 후퇴하지 않고 제위치를 유지한 채로 투입구(220)를 폐쇄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탈형실(200) 내부로 낙하된 주물 제품은 자동 또는 수동 작업에 의해 모래로부터 수거되어 마무리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S870). 마무리 단계는 수거된 주물 제품을 용도에 따라서 후처리(예를 들어, 디버링, 연마, 착색 등)하는 공정으로서, 필요에 따라 본 공정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물 탈형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탈형실(200)의 투입구(220)에 설치된 도어(210)를 형틀(300)의 이송에 연동하여 개폐시키는 동시에 형틀(300)과 이송 프레임(141) 등에 의해 기밀을 유지한 상태에서 투입구(220)를 통해 주물 제품과 모래를 형틀(300)로부터 분리하므로 모래나 먼지 등의 비산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 수작업에 의한 탈형 공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주물 작업의 효율성과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은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정해지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와 균등예가 있을 수 있다.
100: 이송 크레인 110: 주몸체
120: 클램핑 기구 121,122: 그러퍼
121a,122a: 홀더 돌기부 123,124: 구동실린더
130: 승강 기구 141: 프레임
142: 이송 롤러 150: 커버 플레이트
200: 탈형실 210: 도어
220: 투입구 231,232: 가이드 레일
240: 가이드 롤러 245: 서포트 레일
250: 고정 바아 252: 와이어
260: 무게추 300: 형틀
310: 하부 틀 320: 상부 틀

Claims (14)

  1. 주물 제품과 모래를 내장한 형틀을 클램핑하여 탈형실로 이송하는 이송 크레인; 및
    상기 이송 크레인의 이송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탈형실의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 크레인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형틀의 하단 모서리가 상기 도어의 측면과 접촉한 채로 도어를 밀어서 개방시키며,
    상기 이송 크레인은 상기 투입구가 완전히 개방될 때까지 상기 형틀을 이송하고,
    상기 개방된 투입구는 상기 형틀의 바닥면에 의해 커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물 탈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틀이 상기 투입구를 커버한 상태에서, 상기 형틀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 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물 탈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양측에 구비된 복수의 가이드 롤러; 및
    상기 가이드 롤러가 수납되어 구름 운동하는 가이드 홈을 구비하고 상기 이송 크레인의 이송 방향으로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물 탈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크레인에 의해 상기 형틀이 후퇴하면, 상기 도어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복원력을 인가하는 복원 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물 탈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 기구는,
    상기 도어로부터 도어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된 고정 바아;
    상기 고정 바아의 선단에 와이어에 의해 자중을 인가하도록 매달린 무게추; 및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며, 상기 무게추의 수직 운동을 상기 고정 바아의 수평 운동으로 전환하는 도르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물 탈형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크레인은 상기 클램핑된 형틀을 소정 높이로 상승시키는 승강 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정 높이는 상기 형틀이 탈형실의 투입구 상부에 위치할 때, 형틀의 하단면과 상기 투입구 테두리의 상면 사이의 이격 거리가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물 탈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형틀의 하단 테두리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리브가 형성되어 상기 투입구 테두리의 상면에 대한 대향 면적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물 탈형 장치.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랭핑된 형틀의 상면 개방부를 커버하도록 승강운동하는 커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물 탈형 장치.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크레인은 상기 형틀의 상단이 상기 이송 크레인의 주몸체의 바닥면과 접촉하도록 상기 형틀을 클램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물 탈형 장치.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크레인은,
    상기 형틀을 선택적으로 클랭핑하도록 주몸체에 설치된 한 쌍의 그리퍼; 및
    상기 그리퍼를 상기 형틀에 대해 가압하여 클램핑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물 탈형 장치.
  11. 주물 제품과 모래가 내장된 형틀을 클램핑하여 이송하는 동작;
    상기 이송되는 상기 형틀의 하단 모서리가 탈형실의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도어의 측면과 접촉되도록 하여 도어를 밀어서 투입구를 개방시키는 동작;
    상기 개방된 투입구를 상기 형틀의 바닥면으로 커버하는 동작;
    상기 형틀에 진동을 인가하여 내장된 주물 제품과 모래를 상기 투입구를 통해 탈형실 내부로 낙하시키는 동작; 및
    상기 형틀을 역방향으로 후퇴시키는 동시에 상기 도어로 투입구를 다시 폐쇄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물 탈형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된 형틀을 소정 높이로 상승시키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소정 높이는 상기 형틀이 탈형실의 투입구 상부에 위치할 때, 형틀의 하단면과 상기 투입구 테두리의 상면 사이의 이격 거리가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물 탈형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형틀을 클램핑하는 동작에서,
    상기 형틀의 상단이 상기 이송 크레인의 주몸체의 바닥면과 접촉하도록 상기 형틀을 클램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물 탈형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승강운동하는 커버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상기 형틀의 상면 개방부를 커버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물 탈형 방법.
KR1020190110315A 2019-09-05 2019-09-05 주물 탈형 장치 및 방법 KR102230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315A KR102230022B1 (ko) 2019-09-05 2019-09-05 주물 탈형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315A KR102230022B1 (ko) 2019-09-05 2019-09-05 주물 탈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9033A true KR20210029033A (ko) 2021-03-15
KR102230022B1 KR102230022B1 (ko) 2021-03-18

Family

ID=75134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0315A KR102230022B1 (ko) 2019-09-05 2019-09-05 주물 탈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02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2340A (ja) * 1993-03-15 1994-09-20 Nissan Motor Co Ltd 中子砂の砂落し方法および装置
JP2001300718A (ja) * 2000-04-14 2001-10-30 Sintokogio Ltd 注湯済み生砂鋳型の砂回収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30054838A (ko) * 2001-12-26 2003-07-02 주식회사 포스코 저장빈 상부의 분진차단장치
JP2005088013A (ja) * 2003-09-12 2005-04-07 Daihatsu Motor Co Ltd 型砂の分離回収システム
KR101565444B1 (ko) * 2014-07-18 2015-11-13 (주)한실기계 사형을 이용한 주물 형틀 제작용 조형장치
KR20170019387A (ko) * 2017-01-13 2017-02-21 (주)청송기공 로스트왁스 주물 탈사장치 및 그 방법
KR101829011B1 (ko) * 2017-09-07 2018-02-13 윤천호 탈사기 및 이를 이용한 주물의 가공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2340A (ja) * 1993-03-15 1994-09-20 Nissan Motor Co Ltd 中子砂の砂落し方法および装置
JP2001300718A (ja) * 2000-04-14 2001-10-30 Sintokogio Ltd 注湯済み生砂鋳型の砂回収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30054838A (ko) * 2001-12-26 2003-07-02 주식회사 포스코 저장빈 상부의 분진차단장치
JP2005088013A (ja) * 2003-09-12 2005-04-07 Daihatsu Motor Co Ltd 型砂の分離回収システム
KR101565444B1 (ko) * 2014-07-18 2015-11-13 (주)한실기계 사형을 이용한 주물 형틀 제작용 조형장치
KR20170019387A (ko) * 2017-01-13 2017-02-21 (주)청송기공 로스트왁스 주물 탈사장치 및 그 방법
KR101829011B1 (ko) * 2017-09-07 2018-02-13 윤천호 탈사기 및 이를 이용한 주물의 가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0022B1 (ko) 2021-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8711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итья и способ замены литейных форм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литья
US9187801B2 (en) Apparatus for recycling metal scraps
TWI683710B (zh) 鑄模造型機、砂充填壓縮單元及鑄模造型方法
KR20000047900A (ko) 생사 주형용 자동 진동 조형기
CN210996437U (zh) 砂型铸造生产线
MXPA06011603A (es) Dispositivo de vaciado de molde de metal utilizando rebaje y draga, y dispositivo para mover el rebaje con relacion a la draga.
KR102230022B1 (ko) 주물 탈형 장치 및 방법
CN113175814A (zh) 一种铸件加工设备及加工工艺
CN107263674A (zh) 一种乐高砖成型机
CN204321104U (zh) 一种造型机
CN105690551A (zh) 人工防汛备防石振动挤压快速成型设备
CN101195147A (zh) 移动自卸式定量加砂装置
CN206154480U (zh) 一种翻转式混凝土构件成型机
CN202037308U (zh) 铸件脱箱自动造型生产装置
CN111842750B (zh) 一种高强度轧机导辊生产装备及其生产工艺
US10173259B2 (en) Machine for producing sand moulds
US3176369A (en) Automatic molding machine
CN210820137U (zh) 一种移动式布料压坯装置
CN207156058U (zh) 一种乐高砖成型机
CN111823360A (zh) 自动接坯装置和四开模注浆机
KR101550231B1 (ko) 플라스크 몰드 클램핑장치의 터닝 장치
CN205572686U (zh) 人工防汛备防石振动挤压快速成型设备
CN210996345U (zh) 一种造型机用模具转运装置
CN211489533U (zh) 一种改进型的热芯盒射芯机
CN104924443B (zh) 压砖机进料及出料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