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7143A - 음료용 용기 - Google Patents

음료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7143A
KR20210027143A KR1020200107821A KR20200107821A KR20210027143A KR 20210027143 A KR20210027143 A KR 20210027143A KR 1020200107821 A KR1020200107821 A KR 1020200107821A KR 20200107821 A KR20200107821 A KR 20200107821A KR 20210027143 A KR20210027143 A KR 20210027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ed surface
container
surface portion
beverage container
f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7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히로 마루야마
다케시 이타가키
Original Assignee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어모스 케이.케이.
Publication of KR20210027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71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30Hand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10Handles
    • B65D23/102Gripping means formed in the walls, e.g. roughening, cavities, proj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35Swingable handles
    • B65D25/2838Swingable handles provided on a local area of the side wall(s)
    • B65D25/2841Horizontal, e.g. U-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3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ottle, jar or like container
    • B65D81/384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ottle, jar or like container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e.g. laminated or foam filling between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Abstract

[과제] 손의 사이즈의 차이에 맞추어, 용기 본체의 파지성을 좋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음료용 용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2)와, 용기 본체(2)의 구경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유닛(3)을 구비하며, 용기 본체(2)는, 몸통부(2b)의 좌우 양측을 양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제1 손가락이 걸리는 좌우 한 쌍의 전측 손가락 걸이부(51)와, 제2 손가락 내지 제5 손가락까지 중 어느 하나의 손가락이 걸리는 좌우 한 쌍의 후측 손가락 걸이부(52)를 가지며, 전측 손가락 걸이부(51)와 후측 손가락 걸이부(52) 중 적어도 일방의 손가락 걸이부(52)는, 몸통부(2b)의 둘레 방향으로 늘어서는 복수의 홈부(54)를 가진다.

Description

음료용 용기{Beverage Container}
본 발명은, 음료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음료용 용기로서, 합성 수지제의 단열 이중 용기에 의해서 보냉 기능을 갖게 한 휴대형의 캡 부착 용기(이른바 저그(jug))가 있다(예를 들면, 하기 특허 문헌 1을 참조). 이러한 음료용 용기에서는, 용기 본체의 사이즈(외경)가 비교적 크기 때문에, 용기 본체의 몸통부의 좌우 양측을 양손으로 파지한 상태로 용기 본체를 기울인다. 이것에 의해, 용기 본체 내의 음료를 상부의 주둥이를 통해 마시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 제4277318호 공보
그런데,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음료용 용기에서는, 용기 본체의 양 측면을 양손으로 끼울 때에, 양손의 엄지를 좌우 한 쌍의 손 걸이용 전부(前部) 홈에 각각 걺과 아울러, 검지, 중지 등의 손가락 끝을, 손 걸이용 전부 홈과 전후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1 손 걸이용 후부(後部) 홈, 제2 손 걸이용 후부 홈에 각각 거는 것에 의해서, 손과 용기 본체와의 걸림성을 좋게 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음료용 용기는, 아이부터 어른의 여성이나 남성까지 폭넓게 사용되기 위해서, 손의 사이즈의 차이에 맞추어, 상술한 손 걸이용 전부 홈이나 제1 손 걸이용 후부 홈, 제2 손 걸이용 후부 홈 등의 홈부의 배치를 최적화하여 둘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종래의 음료용 용기에서는, 손의 사이즈의 차이에 맞추어, 상술한 홈부의 배치를 최적화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범용성을 갖게 한 홈부의 배치나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이며, 손의 사이즈의 차이에 맞추어, 용기 본체의 파지성을 좋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음료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제공한다.
[1]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구경부(口頸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용기 본체는, 몸통부의 좌우 양측을 양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제1 손가락이 걸리는 좌우 한 쌍의 전측(前側) 손가락 걸이부와, 제2 손가락 내지 제5 손가락까지 중 어느 하나의 손가락이 걸리는 좌우 한 쌍의 후측(後側) 손가락 걸이부를 가지고,
상기 전측 손가락 걸이부와 상기 후측 손가락 걸이부 중 적어도 일방의 손가락 걸이부는, 상기 몸통부의 둘레 방향으로 늘어서는 복수의 홈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
[2] 상기 전측 손가락 걸이부 및 상기 후측 손가락 걸이부는, 상기 몸통부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제1 경사면부와 제2 경사면부를 포함하는 홈부를 가지며,
상기 제1 경사면부는, 정면에서 볼 때 상기 홈부의 저부로부터 상기 몸통부의 측면 측을 향해 경사지고,
상기 제2 경사면부는, 정면에서 볼 때 상기 홈부의 저부로부터 상기 몸통부의 정면 측을 향해 경사지고,
상기 제1 경사면부는, 상기 제2 경사면부보다도 급준한 각도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음료용 용기.
[3] 상기 복수의 홈부를 구성하는 상기 제1 경사면부와 상기 제2 경사면부가, 상기 몸통부의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에 기재된 음료용 용기.
[4] 상기 홈부는, 상기 몸통부의 상부를 향해 점차 깊어지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 또는 [3]에 기재된 음료용 용기.
[5] 상기 홈부는, 상기 제2 경사면부의 상단부를 따라서 세워지는 제3 경사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경사면부는, 상기 제2 경사면부보다도 급준한 각도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음료용 용기.
[6] 상기 홈부는, 상기 제1 경사면부와 상기 제3 경사면부와의 사이에서 연속한 코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5]에 기재된 음료용 용기.
[7] 상기 일방의 손가락 걸이부는, 상기 몸통부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복수의 홈부의 상단부의 사이에서 연속하는 홈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음료용 용기.
[8] 상기 몸통부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힌지부를 매개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핸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음료용 용기.
[9] 상기 캡 유닛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폐색함과 아울러, 상부에 주둥이가 마련된 캡 본체와,
상기 캡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됨과 아울러, 가압 부재에 의해서 상기 주둥이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로, 상기 주둥이를 개폐하는 덮개체와,
상기 가압 부재의 가압에 저항하여, 상기 덮개체가 상기 주둥이를 폐색하는 위치에서 상기 캡 본체에 대해서 상기 덮개체를 고정하는 덮개 락 기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음료용 용기.
[10] 상기 용기 본체는, 합성 수지제의 단열 이중 용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음료용 용기.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손의 사이즈의 차이에 맞추어, 용기 본체의 파지성을 좋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음료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음료용 용기에서, 덮개체가 폐색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음료용 용기에서, 덮개체가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음료용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음료용 용기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음료용 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음료용 용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음료용 용기의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내는 음료용 용기를 파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내는 음료용 용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 예시되는 재료 등은 일 예로서, 본 발명은 그들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로서, 예를 들면 도 1~도 8에 나타내는 음료용 용기(1)에 대해 설명한다.
또, 도 1은, 음료용 용기(1)에서, 덮개체(11)가 폐색(閉塞)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음료용 용기(1)에서, 덮개체(11)가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음료용 용기(1)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음료용 용기(1)의 배면도이다. 도 5는, 음료용 용기(1)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음료용 용기(1)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음료용 용기(1)의 횡단면도이다. 도 8은, 음료용 용기(1)를 파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음료용 용기(1)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음료용 용기(1)는, 도 1, 도 2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적 사이즈(용량)가 큰 보냉 기능을 가진 휴대형의 캡 부착 용기(이른바 저그(jug))이며, 그 내용량은 약 1.9L이다. 또, 비교적 사이즈(용량)가 큰 휴대형의 음료 용기로서는, 예를 들면 1~3L 정도의 것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 음료용 용기(1)는, 용기 본체(2)와, 용기 본체(2)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유닛(3)과, 용기 본체(2)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핸들(4)을 구비하고 있다.
용기 본체(2)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등으로 이루어지는 합성 수지제의 외부 용기(5) 및 내부 용기(6)를 구비하고 있다. 용기 본체(2)는, 일단이 개구된 저면을 가지는 타원 통 모양의 외부 용기(5)의 내측에, 일단이 개구된 저면을 가지는 타원 통 모양의 내부 용기(6)를 수용한 상태로, 서로 접합됨과 아울러, 이들 외부 용기(5)와 내부 용기(6)와의 사이에, 예를 들면 발포 우레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단열재(7)가 마련된 단열 이중 용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용기 본체(2)에서는, 이러한 단열 이중 용기에 의해 보냉 기능을 갖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용기 본체(2)에서는, 상술한 외부 용기(5)와 내부 용기(6)와의 사이에, 단열재(7)를 마련하는 대신에, 예를 들면 공기 등의 단열층(밀폐 공간)을 마련한 구성으로 해도 괜찮다.
용기 본체(2)는, 대략 타원형 모양의 저면부(2a)와, 저면부(2a)의 주위로부터 대략 타원 통 모양으로 기립한 몸통부(2b)와, 몸통부(2b)의 상부 측에서 축경(縮徑, 지름이 축소)된 숄더부(2c)와, 숄더부(2c)로부터 대략 원통 모양으로 기립한 구경부(2d)를 가지고 있다. 구경부(2d)의 상단부는,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e)로서, 원형 모양으로 개구되어 있다. 또, 구경부(2d)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8)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부 용기(5)의 내측에 내부 용기(6)가 끼워넣어짐과 아울러, 몸통부(2b)의 상부 측의 외면에서, 내부 용기(6)가 외부 용기(5)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로, 용기 본체(2)의 숄더부(2c) 및 구경부(2d)를 형성하고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음료용 용기(1)에서는, 용기 본체(2)의 외관 형상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사이즈나 디자인 등에 맞추어, 적절히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용기 본체(2)의 외면에는, 도장이나 인쇄 등이 실시되어 있어도 괜찮다.
캡 유닛(3)은,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e)를 폐색하는 캡 본체(9)와, 캡 본체(9)에 힌지부(10)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덮개체(11)와, 캡 본체(9)에 대해서 덮개체(11)를 고정하는 덮개 락 기구(12)를 가지고 있다.
캡 본체(9)는, 주둥이를 형성하는 노즐부(13a)가 상부를 향해 돌출되어 마련된 외측 캡 부재(13)와, 노즐부(13a)에 대응한 구멍부(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된 내측 캡 부재(14)와, 외측 캡 부재(13)와 내측 캡 부재(14)와의 사이에 마련된 단열재(15)를 포함하며, 외측 캡 부재(13)의 내측에 내측 캡 부재(14)가 끼워넣어진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 외측 캡 부재(13) 및 내측 캡 부재(14)에는, 상술한 외부 용기(5) 및 내부 용기(6)에서 예시한 합성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단열재(15)에는, 상술한 단열재(7)에서 예시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캡 본체(9)는, 상술한 외측 캡 부재(13)와 내측 캡 부재(14)와의 사이에, 단열재(15)를 마련하는 대신에, 예를 들면 공기 등의 단열층(밀폐 공간)을 마련한 구성으로 해도 괜찮다.
외측 캡 부재(13)의 내주면에는, 용기 본체(2)의 수나사부(8)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16)가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캡 본체(9)는,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e)를 덮은 상태로, 용기 본체(2)의 구경부(2d)에 대해서 나사 결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내측 캡 부재(14)의 하단부에는, 지수(止水, 물이 새는 것을 막음) 패킹(17)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지수 패킹(17)은, 용기 본체(2)와 캡 본체(9)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링 모양의 씰 부재이며,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등의 내열성을 가지는 고무나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진다.
한편, 내측 캡 부재(14)의 하단부에는, 플랜지부(14b)가 확경(擴徑, 지름이 확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지수 패킹(17)은, 이 플랜지부(14b)에 전체 둘레에 걸쳐 끼워져 있다. 또, 지수 패킹(17)의 외주면에는, 탄성 플랜지부(17a)가 확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지수 패킹(17)은, 용기 본체(2)에 캡 본체(9)(캡 유닛(3))가 장착된 상태에서, 탄성 플랜지부(17a)가 탄성 변형하면서, 용기 본체(2)의 구경부(2d)의 내측과 전체 둘레에 걸쳐 밀착된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용기 본체(2)와 내측 캡 부재(14)와의 사이를 지수 패킹(17)에 의해 밀폐(지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지수 패킹(17)은, 그것 자체를 탄성 변형시키는(인장하여 늘리는) 것에 의해서, 내측 캡 부재(14)의 하단부로부터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캡 본체(9)와 지수 패킹(17)을 각각 따로따로 세정할 수 있어, 캡 본체(9)와 지수 패킹(17)과의 사이를 위생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덮개체(11)는, 힌지부(10)를 매개로 하여 노즐부(13a)의 선단(주둥이)을 폐색하는 위치(이하, 「폐색 위치」라고 함)와, 노즐부(13a)의 선단(주둥이)을 개방하는 위치(이하, 「개방 위치」라고 함)와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 덮개체(11)는, 폐색 위치에서 노즐부(13a)를 덮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덮개체(11)에는, 상술한 외부 용기(5) 및 내부 용기(6)에서 예시한 합성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힌지부(10)는, 캡 본체(9)의 상부 중앙 부근에 위치하고, 노즐부(13a)는 힌지부(10)보다도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노즐부(13a)가 마련된 측을 음료용 용기(1)의 「정면(전면) 측」이라고 하고, 그것과는 반대 측을 음료용 용기(1)의 「배면(후면) 측」으로서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힌지부(10)의 내측에는, 노즐부(13a)의 선단(주둥이)을 개방하는 방향(개방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있다. 가압 부재에는, 예를 들면 비틀림 코일 스프링 등의 스프링 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또, 가압 부재에 대해서는, 상술한 것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힌지부(10)와 덮개체(11)와의 사이에서 걸려진 링 모양의 탄성 부재라도 좋다.
덮개체(11)의 내측에는, 덮개 패킹(19)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덮개 패킹(19)은, 노즐부(13a)의 선단(주둥이)을 밀폐하는 마개 모양의 씰 부재이다. 또, 덮개 패킹(19)에는, 상기 지수 패킹(17)에서 예시한 탄성 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덮개 패킹(19)은, 덮개체(11)의 상부에 마련된 구멍부(11a)에 끼워넣어지는 축부(19a)와, 축부(19a)의 하단으로부터 대략 돔 모양으로 넓어지는 마개부(19b)를 가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덮개 패킹(19)은, 구멍부(11a)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덮개체(11)와 덮개 패킹(19)을 각각 따로따로 세정할 수 있어, 덮개체(11)와 덮개 패킹(19)과의 사이를 위생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덮개 패킹(19)은, 덮개체(11)가 폐색 위치에 있을 때, 마개부(19b)가 탄성 변형하면서, 이 노즐부(13a)의 선단(주둥이)과 전체 둘레에 걸쳐 밀착한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노즐부(13a)의 선단(주둥이)을 덮개 패킹(19)에 의해 밀폐(폐색)하는 것이 가능하다.
덮개 락 기구(12)는, 가압 부재의 가압에 저항하여 폐색 위치까지 회동된 덮개체(11)를 캡 본체(9)에 대해서 고정하는 것이며, 캡 본체(9) 및 덮개체(11)의 전면(前面) 측에 마련되어 있다.
덮개 락 기구(12)에서는, 캡 본체(4)의 전면 측에 마련된 누름 버튼(20)을 압압(押壓)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덮개체(11)의 락 상태를 해제하고, 가압 부재의 가압에 의해 덮개체(11)를 개방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덮개 락 기구(12)에는, 누름 버튼(20)의 압압 조작을 규제하는 위치와, 이 규제를 해제하는 위치와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는 스토퍼 링(21)이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덮개 락 기구(12)에서는, 누름 버튼(20)의 불필요한 조작에 의해 덮개체(11)가 열리는 것을 막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덮개 락 기구(12)에 대해서는, 이러한 구성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적절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핸들(4)은, 용기 본체(2)의 몸통부(2b)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힌지부(22)를 매개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한 쌍의 암부(4a)와, 한 쌍의 암부(4a)의 사이를 연결하는 아치부(4b)를 가지고 있다. 핸들(4)은, 아치부(4b)가 용기 본체(2)의 몸통부(2b)와 맞닿는 하부 위치에서, 몸통부(2b)의 정면 측을 따른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 아치부(4b)에는, 미끄럼 방지가 되는 그립부(4c)가 마련되어 있다. 그립부(4c)에는, 예를 들면 엘라스토머 등이 이용되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 형태의 음료용 용기(1)에서는, 용기 본체(2)의 사이즈(외경)가 비교적 크기 때문에, 용기 본체(2)의 몸통부(2b)의 좌우 양측을 양손으로 파지한 상태로 용기 본체(2)를 기울인다. 이것에 의해, 용기 본체(2) 내의 음료를 노즐부(13a)의 선단(주둥이)을 통해 마시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의 음료용 용기(1)에서, 용기 본체(2)는, 도 1~도 5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몸통부(2b)의 좌우 양측을 양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제1 손가락(엄지)이 걸리는 좌우 한 쌍의 전측 손가락 걸이부(51)와, 제2 손가락 내지 제5 손가락까지(검지, 중지, 약지, 소지(小指)) 중 어느 하나의 손가락이 걸리는 좌우 한 쌍의 후측 손가락 걸이부(52)를 가지고 있다.
전측 손가락 걸이부(51)는, 몸통부(2b)의 전측(정면측)에서 좌우 대칭이 되는 1쌍의 홈부(53)를 가지고 있다. 후측 손가락 걸이부(52)는, 몸통부(2b)의 후측(배면측)에서 좌우 대칭이 되는 3쌍의 홈부(54)를 가지고 있다.
이 중, 전측 손가락 걸이부(51)를 구성하는 1쌍의 홈부(53)는, 도 3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몸통부(2b)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제1 경사면부(53a) 및 제2 경사면부(53b)와, 제2 경사면부(53b)의 상단부를 따라서 세워지는 제3 경사면부(53c)를 포함한다. 또, 홈부(53)는, 몸통부(2b)의 상부를 향해 점차 깊어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게다가, 홈부(53)는, 제1 경사면부(53a)와 제3 경사면부(53c)와의 사이에서 연속한 코너부(53d)를 가지고 있다.
제1 경사면부(53a)는, 도 3에서의 정면에서 볼 때 홈부(53)의 저부(53e)로부터 몸통부(2b)의 측면측(몸통부(2b)의 둘레 방향에서의 외측)을 향해 경사져 있다. 제2 경사면부(53b)는, 도 3에서의 정면에서 볼 때 홈부(53)의 저부(53e)로부터 몸통부(2b)의 정면측(몸통부(2b)의 둘레 방향에서의 내측)을 향해 경사져 있다. 또, 제1 경사면부(53a)는, 제2 경사면부(53b)보다도 급준한 각도로 경사져 있다. 제3 경사면부(53c)는, 제2 경사면부(53b)보다도 급준한 각도로 경사져 있다.
홈부(53)의 저부(53e)는, 도 3에서의 정면에서 볼 때 제1 경사면부(53a)와 제2 경사면부(53b)와의 사이에 위치하여, 몸통부(2b)의 하부를 향함에 따라서 몸통부(2b)의 정면 측을 향하도록 경사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홈부(53)의 저부(53e)는, 도 3에서의 정면에서 볼 때 제2 경사면부(53b)와 제3 경사면부(53c)와의 사이에 위치하여, 몸통부(2b)의 상부를 향함에 따라서 몸통부(2b)의 정면 측을 향하도록 경사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음료용 용기(1)에서는, 이러한 전측 손가락 걸이부(51)를 구성하는 1쌍의 홈부(53)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몸통부(2b)의 좌우 양측을 양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전측 손가락 걸이부(51)에 대한 제1 손가락(엄지)의 손가락 걸이를 좋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후측 손가락 걸이부(52)를 구성하는 3쌍의 홈부(54)는, 도 4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몸통부(2b)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제1 경사면부(54a) 및 제2 경사면부(54b)와, 제2 경사면부(54b)의 상단부를 따라서 세워지는 제3 경사면부(54c)를 포함한다. 또, 홈부(54)는, 몸통부(2b)의 상부를 향해 점차 깊어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게다가, 홈부(54)는, 제1 경사면부(54a)와 제3 경사면부(54c)와의 사이에서 연속한 코너부(54d)를 가지고 있다.
또, 후측 손가락 걸이부(52)를 구성하는 3쌍의 홈부(54)는, 몸통부(2b)의 후측(배면측)에서 좌우 대칭이 되도록, 각각 몸통부(2b)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 늘어서 마련되어 있다. 또, 이들 3개의 홈부(54)를 구성하는 제1 경사면부(54a)와 제2 경사면부(54b)는, 몸통부(2b)의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마련되어 있다.
제1 경사면부(54a)는, 도 4에서의 정면에서 볼 때(도 4에서는, 음료용 용기(1)의 배면을 정면에서 본 경우로 함) 홈부(54)의 저부(54e)로부터 몸통부(2b)의 측면 측을 향해 경사져 있다. 제2 경사면부(54b)는, 도 4에서의 정면에서 볼 때 홈부(54)의 저부(54e)로부터 몸통부(2b)의 정면 측을 향해 경사져 있다. 또, 제1 경사면부(54a)는, 제2 경사면부(54b)보다도 급준한 각도로 경사져 있다. 제3 경사면부(54c)는, 제2 경사면부(54b)보다도 급준한 각도로 경사져 있다.
홈부(54)의 저부(54e)는, 도 4에서의 정면에서 볼 때 제1 경사면부(54a)와 제2 경사면부(54b)와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홈부(54)의 저부(54e)는, 도 4에서의 정면에서 볼 때 제2 경사면부(54b)와 제3 경사면부(54c)와의 사이에 위치하여, 몸통부(2b)의 상부를 향함에 따라서 몸통부(2b)의 정면 측을 향하도록 경사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게다가, 몸통부(2b)의 둘레 방향으로 늘어서는 3개의 홈부(54)는, 도 4에서의 정면에서 볼 때 몸통부(2b)의 정면 측을 향함에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길게 되어 있다. 이것에 맞추어, 3개의 홈부(54)를 구성하는 제3 경사면부(54c)는, 도 4에서의 정면에서 볼 때 몸통부(2b)의 둘레 방향에서 연속한 호를 그리도록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음료용 용기(1)에서는, 이러한 후측 손가락 걸이부(52)를 구성하는 3쌍의 홈부(54)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몸통부(2b)의 좌우 양측을 양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후측 손가락 걸이부(52)에 대한 제2 손가락 내지 제5 손가락까지(검지, 중지, 약지, 소지)의 손가락 걸이를 좋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음료용 용기(1)에서는, 후측 손가락 걸이부(52)를 구성하는 홈부(54)가 몸통부(2b)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 늘어서 마련되는 것에 의해서, 손의 사이즈의 차이에 맞추어, 최적인 위치에 있는 홈부(54)에 손가락을 거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손이 작은 아이의 경우는, 몸통부(2b)의 좌우 양측을 양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전측 손가락 걸이부(51)를 구성하는 1쌍의 홈부(53)에 제1 손가락(엄지)을 건 상태로, 후측 손가락 걸이부(52)를 구성하는 3쌍의 홈부(54) 중, 몸통부(2b)의 둘레 방향에서의 외측에 위치하는 1쌍의 홈부(54)에 제2 손가락 내지 제5 손가락까지를 건다.
한편, 손이 큰 어른의 남성인 경우는, 몸통부(2b)의 좌우 양측을 양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전측 손가락 걸이부(51)를 구성하는 1쌍의 홈부(53)에 제1 손가락(엄지)을 건 상태로, 후측 손가락 걸이부(52)를 구성하는 3쌍의 홈부(54) 중, 몸통부(2b)의 둘레 방향에서의 내측에 위치하는 1쌍의 홈부(54)에 제2 손가락 내지 제5 손가락까지를 건다.
한편, 어른인 남성보다도 손이 작은 여성인 경우는, 몸통부(2b)의 좌우 양측을 양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전측 손가락 걸이부(51)를 구성하는 1쌍의 홈부(53)에 제1 손가락(엄지)을 건 상태로, 후측 손가락 걸이부(52)를 구성하는 3쌍의 홈부(54) 중, 중간에 위치하는 1쌍의 홈부(54)에 제2 손가락 내지 제5 손가락까지를 건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음료용 용기(1)에서는, 아이부터 어른의 여성이나 남성까지, 손의 사이즈의 차이에 맞추어, 몸통부(2b)의 좌우 양측을 양손으로 안정된 상태로 파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본 실시 형태의 음료용 용기(1)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측 손가락 걸이부(51) 및 후측 손가락 걸이부(52)를 구성하는 홈부(53, 54) 중, 코너부(53d, 54d)에 손가락 끝을 대고 누르면서, 이들 전측 손가락 걸이부(51)와 후측 손가락 걸이부(52)와의 사이에서 몸통부(2b)의 좌우 양측을 양손(H)으로 파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홈부(53, 54)를 구성하는 제1 경사면부(53a, 54a)의 사이에서 용기 본체(2)의 몸통부(2b)를 파지하는 방향의 힘이 전해지기 쉬워진다. 또, 홈부(53, 54)를 구성하는 제3 경사면부(53c, 54c)에 용기 본체(2)의 하중을 지지하는 방향의 힘이 전해지기 쉬워진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음료용 용기(1)에서는, 용기 본체(2)의 몸통부(2b)의 좌우 양측을 양손(H)으로 파지한 상태로 용기 본체(2)를 기울이면서, 용기 본체(2) 내의 음료를 안정된 상태로 마시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음료용 용기(1)에서는, 상술한 핸들(4)의 힌지부(22)가 한 쌍의 암부(4a)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이 경우, 용기 본체(2)의 몸통부(2b)의 좌우 양측을 핸들(4)마다 양손(H)으로 파지했을 때에, 제1 손가락(엄지)과 제2 손가락(검지)과의 사이에서 힌지부(22)가 지지된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음료용 용기(1)에서는, 용기 본체(2)의 몸통부(2b)의 좌우 양측을 핸들(4)마다 양손(H)으로 파지한 상태에서도, 용기 본체(2)를 기울이면서, 용기 본체(2) 내의 음료를 안정된 상태로 마시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의 것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음료용 용기(1)에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2)가 구비하는 후측 손가락 걸이부(52)의 구성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이 도 9에 나타내는 후측 손가락 걸이부(52)는, 상술한 제3 경사면부(52c) 및 코너부(52d) 대신에, 몸통부(2b)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복수의 홈부(54)의 상단부의 사이에서 연속하는 홈부(55)를 가지고 있다.
홈부(55)는, 복수의 홈부(54)의 상단부를 따라서 연속한 호를 그리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 홈부(55)는, 상단부를 따라서 세워지는 제4 경사면부(55a)를 가지고 있다. 제4 경사면부(55a)는, 제2 경사면부(54b)보다도 급준한 각도로 경사져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음료용 용기(1)에서는, 이러한 후측 손가락 걸이부(52)를 구성하는 홈부(55)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몸통부(2b)의 좌우 양측을 양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후측 손가락 걸이부(52)에 대한 제2 손가락(검지)의 손가락 걸이를 좋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홈부(55)를 구성하는 제4 경사면부(55a)에 용기 본체(2)의 하중을 지지하는 방향의 힘이 전해지기 쉬워진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음료용 용기(1)에서는, 용기 본체(2)의 몸통부(2b)의 좌우 양측을 양손으로 파지한 상태로 용기 본체(2)를 기울이면서, 용기 본체(2) 내의 음료를 안정된 상태로 마시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음료용 용기(1)에서는, 상술한 전측 손가락 걸이부(51)와 후측 손가락 걸이부(52) 중, 일방의 손가락 걸이부가 되는 후측 손가락 걸이부(52) 측에, 몸통부(2b)의 둘레 방향으로 늘어서는 복수의 홈부(54)를 마련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서, 일방의 손가락 걸이부가 되는 전측 손가락 걸이부(51) 측에, 몸통부(2b)의 둘레 방향으로 늘어서는 복수의 홈부(53)를 마련한 구성으로 해도 괜찮다. 게다가, 전측 손가락 걸이부(51) 및 후측 손가락 걸이부(52) 측에, 각각 몸통부(2b)의 둘레 방향으로 늘어서는 복수의 홈부(53, 54)를 마련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음료용 용기(1)에서는, 상술한 홈부(53, 54, 55)의 형상이나 배치, 수 등에 대해서도, 용기 본체(2)의 형상에 맞추어 적절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음료용 용기(1)에서는, 상술한 용기 본체(2)가 단열 이중 용기에 의해 보냉 기능을 갖게 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러한 구성의 것에 한정하지 않고, 전측 손가락 걸이부(51) 및 후측 손가락 걸이부(52)를 구성하는 홈부(53, 54)를 몸통부(2b)에 마련하는 것이 가능한 용기 본체이면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음료용 용기(1)에서는, 상술한 핸들(4)이 용기 본체(2)에 마련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스트랩등이 용기 본체(2)에 마련된 구성으로 해도 좋다.
1 - 음료용 용기 2 - 용기 본체
2b - 몸통부 3 - 캡 유닛
4 - 핸들 5 - 외부 용기
6 - 내부 용기 7 - 단열재
9 - 캡 본체 10 - 힌지부
11 - 덮개체 12 - 덮개 락 기구
51 - 전측 손가락 걸이부
52 - 후측 손가락 걸이부(일방의 손가락 걸이부)
53, 54 - 홈부 53a, 54a - 제1 경사면부
53b, 54b - 제2 경사면부 53c, 54c - 제3 경사면부
53d, 54d - 코너부 55 - 홈부
55a - 제4 경사면부 H - 양손

Claims (10)

  1.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구경부(口頸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용기 본체는, 몸통부의 좌우 양측을 양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제1 손가락이 걸리는 좌우 한 쌍의 전측(前側) 손가락 걸이부와, 제2 손가락 내지 제5 손가락까지 중 어느 하나의 손가락이 걸리는 좌우 한 쌍의 후측(後側) 손가락 걸이부를 가지고,
    상기 전측 손가락 걸이부와 상기 후측 손가락 걸이부 중 적어도 일방의 손가락 걸이부는, 상기 몸통부의 둘레 방향으로 늘어서는 복수의 홈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측 손가락 걸이부 및 상기 후측 손가락 걸이부는, 상기 몸통부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제1 경사면부와 제2 경사면부를 포함하는 홈부를 가지며,
    상기 제1 경사면부는, 정면에서 볼 때 상기 홈부의 저부로부터 상기 몸통부의 측면 측을 향해 경사지고,
    상기 제2 경사면부는, 정면에서 볼 때 상기 홈부의 저부로부터 상기 몸통부의 정면 측을 향해 경사지고,
    상기 제1 경사면부는, 상기 제2 경사면부보다도 급준한 각도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홈부를 구성하는 상기 제1 경사면부와 상기 제2 경사면부가, 상기 몸통부의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몸통부의 상부를 향해 점차 깊어지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
  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제2 경사면부의 상단부를 따라서 세워지는 제3 경사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경사면부는, 상기 제2 경사면부보다도 급준한 각도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제1 경사면부와 상기 제3 경사면부와의 사이에서 연속한 코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
  7.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일방의 손가락 걸이부는, 상기 몸통부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복수의 홈부의 상단부의 사이에서 연속하는 홈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힌지부를 매개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핸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 유닛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폐색(閉塞)함과 아울러, 상부에 주둥이가 마련된 캡 본체와,
    상기 캡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됨과 아울러, 가압 부재에 의해서 상기 주둥이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로, 상기 주둥이를 개폐하는 덮개체와,
    상기 가압 부재의 가압에 저항하여, 상기 덮개체가 상기 주둥이를 폐색하는 위치에서 상기 캡 본체에 대해서 상기 덮개체를 고정하는 덮개 락 기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합성 수지제의 단열 이중 용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
KR1020200107821A 2019-08-29 2020-08-26 음료용 용기 KR202100271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56848 2019-08-29
JP2019156848A JP2021031160A (ja) 2019-08-29 2019-08-29 飲料用容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143A true KR20210027143A (ko) 2021-03-10

Family

ID=74675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7821A KR20210027143A (ko) 2019-08-29 2020-08-26 음료용 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1031160A (ko)
KR (1) KR20210027143A (ko)
CN (1) CN112441312A (ko)
TW (1) TWI741739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77318B2 (ja) 2006-02-17 2009-06-10 サーモス株式会社 飲料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8794A (ja) * 1994-08-17 1996-03-05 Toppan Printing Co Ltd 収納容器
US6273282B1 (en) * 1998-06-12 2001-08-14 Graham Packaging Company, L.P. Grippable container
US20050252881A1 (en) * 2001-07-09 2005-11-17 Graham Packaging Pet Technologies Inc. (Formerly Continental Pet Technologies, Inc.) Hot fillable plastic container with integrated handle
US7611028B2 (en) * 2006-01-12 2009-11-03 Plastipak Packaging, Inc. Plastic container including handle portions
US8313005B2 (en) * 2006-08-03 2012-11-20 Kraft Foods Global Brands, Llc Plastic coffee container with pinch grip
US8141733B2 (en) * 2007-01-18 2012-03-27 The Coca-Cola Company Beverage container having circular arcs
JP2009173290A (ja) * 2008-01-21 2009-08-06 Peacock Vacuum Bottle Co Ltd 液体容器
CN201365777Y (zh) * 2009-03-02 2009-12-23 蒋学光 一种防滑杯子
CN203493300U (zh) * 2013-09-16 2014-03-26 高媛媛 一种便于抓握的防倒水杯
US20170253415A1 (en) * 2016-03-07 2017-09-07 Joseph Scott Schneider Insulating container
JP6767798B2 (ja) * 2016-07-12 2020-10-14 サーモス株式会社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JP6797608B2 (ja) * 2016-08-30 2020-12-09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薄肉プラスチックボト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77318B2 (ja) 2006-02-17 2009-06-10 サーモス株式会社 飲料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108460A (zh) 2021-03-01
JP2021031160A (ja) 2021-03-01
CN112441312A (zh) 2021-03-05
TWI741739B (zh) 2021-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5511B1 (en) Latched handle container lid
CA2793000C (en) Bottle closure with integrated flip top handle
AU2014249322B2 (en) Drink containers with closure retention mechanisms
JP2022172261A (ja) 携帯用飲料容器
US20170297785A1 (en) Cap unit for a beverage container
JP2003212258A (ja) 飲料用容器の中栓
US20070175931A1 (en) Closure for a liquid container
KR102061312B1 (ko) 홀더 케이스를 포함하는 유아동용 텀블러
CN109835599A (zh) 用于饮料容器的盖
JP3118647U (ja) 飲料用容器
KR20210027143A (ko) 음료용 용기
JP6767798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JP2009023712A (ja) 飲料容器用蓋
JP2022180974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JP7000146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JP2003327265A (ja) 携帯飲料容器
JP3219520U (ja) ミラー付き飲料容器
KR200479030Y1 (ko) 원터치형 물통
JP6925685B1 (ja) 容器の蓋体及び蓋体付きの容器
KR101802072B1 (ko) 오프너 기능이 구비된 물병걸이
KR20240032601A (ko) 텀블러 캡
TWI822272B (zh) 蓋組件及飲料容器
JP3552662B2 (ja) 液体保温容器のハンドル構造
JP4367699B2 (ja) 飲料容器
JP2023049388A (ja) 金属製保温容器の円筒部材装着構造及びグリップ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