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1312B1 - 홀더 케이스를 포함하는 유아동용 텀블러 - Google Patents

홀더 케이스를 포함하는 유아동용 텀블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1312B1
KR102061312B1 KR1020170166574A KR20170166574A KR102061312B1 KR 102061312 B1 KR102061312 B1 KR 102061312B1 KR 1020170166574 A KR1020170166574 A KR 1020170166574A KR 20170166574 A KR20170166574 A KR 20170166574A KR 102061312 B1 KR102061312 B1 KR 102061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strap
cap
tumbler
protectiv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6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6803A (ko
Inventor
조우현
Original Assignee
(주)퓨어나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퓨어나인 filed Critical (주)퓨어나인
Priority to KR1020170166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1312B1/ko
Publication of KR20190066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6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A47G23/0216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for one glass or cu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7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for mixing drinks; Hand-held sha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2External fittings for facilitating lifting or suspending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67Handles with respective ends fixed to local areas of two opposite sides or wall-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3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22Devices for holding in closed position, e.g. 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31/00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 B65D2231/0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 B65D2231/02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for permitting the insertion of a tubular contents-removing device, e.g. a drinking stra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와 홀더 케이스를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으며, 홀더 끈을 이용해 안정적으로 결합과 텀블러와 케이스가 떨어지지 않는 결합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물을 마실 수 있고, 홀더 끈을 후방으로 위치하여 다양한 장치에 컵홀더처럼 거치될 수 있는 텀블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아동용 텀블러는 액체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용기와 상기 용기에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상부 덮개, 및 상기 본체부를 삽입하는 보호 커버와 상기 보호 커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홀더 끈을 포함하는 홀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 끈의 길이방향 양쪽 단부는 상기 보호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캡의 측면에는 상기 홀더 끈이 삽입되는 안착 홈이 형성된다.

Description

홀더 케이스를 포함하는 유아동용 텀블러{TUMBLER FOR CHILD HAVING HOLDER CASE}
본 발명은 아이들이 물통을 편리하게 가지고 다니거나 어디든 컵 홀더 기능을 할 수 있게 하여 물을 쉽게 마실 수 있도록 고안된 텀블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홀더 케이스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홀더 케이스를 포함하는 유아동용 텀블러에 관한 것이다.
통상, 텀블러는 굽과 손잡이가 없고 바닥이 납작한 큰 잔을 일컫는 것으로 다량의 음료를 장시간에 걸쳐 마실 수 있도록 내부가 비교적 큰 용량을 갖도록 형성되고, 보온병과 함께 등산이나 야영 등 각종 스포츠 및 여가활동에 널리 이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회사 또는 단체에서 일회용 종이컵 사용을 제한하고 개인용 머그컵을 이용하자는 규칙을 세우는 등의 환경운동이 심화되고 있어 텀블러의 소비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텀블러는 보온병이나 머그컵과 달리 중량이 가볍고 용량이 크기 때문에 휴대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이중 또는 진공의 단열구조로 보온성이 우수한 것은 물론, 개폐 가능한 뚜껑으로 보관성과 청결성을 모두 겸비하고 있다. 특히, 다채로운 디자인으로 가방이나 핸드백처럼 하나의 패션 아이템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이러한 텀블러 중 유아용으로 사용되는 텀블러는 유아가 텀블러에 수용된 내용물을 마시기 편리하도록 빨대를 꽂아 사용하거나, 유아가 물어 사용할 수 있는 돌출된 꼭지가 형성된 텀블러가 개발되고 있다.
유아용 텀블러는 밀폐성이 중요할 뿐만 아니라 엄마 혹은 아이들이 물을손쉽게 마실수 있도록 이동중에 유모차 또는 가방에 쉽고 안정적으로 편리하게 거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텀블러는 손잡이만 제공하거나, 용기와 덮개를 연결하는 고리만 제공하여 안정적인 거치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거치된 상태에서 엄마가 혹은 아이들이 직접 텀블러를 쉽게 이용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제20-2015-0003770호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제 20-2016-0004174호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본체와 홀더 케이스를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으며, 홀더끈을 이용해 안정적으로 텀블러와 케이스의 결합과 결합된 상태에서도 자유롭게 물을 마실수 있고, 홀더끈을 후방으로 위치하여 다양한 장치에 컵홀더처럼 거치될 수 있는 텀블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아동용 텀블러는 액체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용기와 상기 용기에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상부 덮개, 및 상기 본체부를 삽입하는 보호 커버와 상기 보호 커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홀더 끈을 포함하는 홀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 끈의 길이방향 양쪽 단부는 상기 보호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캡의 측면에는 상기 홀더 끈이 삽입되는 안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착 홈은 상기 캡에서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는 양쪽 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안착 홈의 바닥은 호형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덮개의 측면에는 상기 홀더 끈이 삽입되는 2개의 절개부가 형성되되, 상기 캡과 상기 상부 덮개가 결합될 때, 상기 절개부는 상기 안착 홈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 끈은 상기 캡의 상면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상기 캡과 상기 상부 덮개 사이에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안착 홈과 상기 절개부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에는 빨대부가 삽입되되 상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상부 덮개가 결합되는 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홀더 끈은 상기 빨대부와 상기 힌지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홀더 끈을 분리하지 않고도 음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에는 음료가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를 감싸는 가이드 리브와 상기 상부 덮개가 결합되는 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홀더 끈은 상기 가이드 리브와 상기 힌지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홀더 끈을 분리하지 않고도 음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 끈은 상기 본체의 후방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장비에 거치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홀더 끈이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홀더 케이스에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 커버에는 측면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홀더 끈의 길이방향 일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지지 홀이 형성되어, 상기 홀더 끈의 길이방향 일측은 상기 돌기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홀더 끈의 길이방향 타측은 상기 보호 커버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 케이스는 상기 보호 커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홀더 끈보다 더 길게 형성된 걸개용 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 커버에는 2개의 고리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걸개용 끈의 길이방향 단부에는 상기 고리에 결합되는 후크들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에는 빨대 홀이 형성되고 상기 빨대 홀에는 빨대부가 관통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빨대 홀에는 상기 빨대부를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삽입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덮개에는 상기 빨대부를 가압하는 지지 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지지 돌기는 상기 빨대부의 상면과 맞닿는 평편한 하면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캡의 측면에 안착 홈이 형성되어 홀더 끈이 캡과 상부 덮개 사이에 삽입 설치될 수 있으므로 홀더 케이스와 텀블러가 안정적으로 결합 및 고정 될 수 있다.
또한, 고정된 상태에서도 버튼을 누르면 뚜껑이 열려 아이들이 빠르게 물을 마실 수 있다. 또한, 물을 마실 때 고정 끈을 풀거나 홀더 케이스와 텀블러 분리 없이도 빠르고 편리하게 물 마시기가 가능하다. 또한, 홀더 끈을 뒤쪽으로 결합하면 컵 홀더 기능을 하여 유모차, 가방 등에 홀더 케이스를 홀더 끈으로 고정하여 텀블러를 담을 수 있는 컵 홀더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의 본체부와 상부 덮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의 홀더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의 빨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의 본체부와 상부 덮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의 본체부와 상부 덮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100)는, 액체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110)와, 본체부(11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상부 덮개(120), 및 본체부(110)를 삽입 지지하는 홀더 케이스(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100)는 유아동용 텀블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기재에서 유아동용 텀블러라 함은 만 19세 이하의 미성년자가 사용 가능한 텀블러를 의미한다.
본체부(110)는 음용 가능한 액체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용기(112)와 용기(112)의 상부에 결합된 캡(113)을 포함할 수 있다. 용기(112)는 원통 또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원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부에 음료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용기(112)는 스테인리스스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스테인리스스틸 304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용기(112)는 합성수지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용기(112)는 이중벽을 갖는 단열 구조로 이루어져서 이중벽 사이에 진공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캡(113)은 용기(112)의 상부에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캡(113)에는 빨대부(150)가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캡(113)에는 빨대가 설치되지 않고 마시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캡(113)에는 상부 덮개(120)에 형성된 지지 고리(121)가 삽입되되 내부에 지지 고리(121)가 걸려지는 턱(미도시)이 형성된 고정 홈(118)과 상부 덮개(120)와 본체부(110)의 결합을 제어하는 개폐 버튼(115)이 형성될 수 있다. 개폐 버튼(115)은 턱과 일체로 형성되어 개폐 버튼(115)을 누르면 턱이 뒤로 밀리면서 지지 고리(121)가 턱에서 이탈할 수 있다. 또한 캡(113)에는 상부 덮개(120)가 결합되는 힌지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캡(113)의 측면에는 홀더 끈(132)이 삽입되는 안착 홈(116)이 형성되는데, 안착 홈(116)은 캡(113)에서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는 양쪽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착 홈(116)의 중심을 이은 선은 캡(113)의 단면 중심을 지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안착 홈(116)은 캡(113)의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으며, 안착 홈(116)의 바닥은 호형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안착 홈(116)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는 모서리가 형성되나 안착 홈(116)은 상면과 측면이 부드럽게 이어져 형성되어 홀더 끈(132)이 안착 홈(116)을 타고 측면에서 상면으로 부드럽게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캡(113)에는 빨대부(150)가 관통하는 빨대 홀(117)이 형성되며, 빨대 홀(117)에는 빨대부(150)를 지지하는 탄성부재(158)가 삽입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빨대 홀(117)의 내측에는 탄성부재(158)의 하단을 지지하되 발대부가 관통하는 지지턱이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158)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빨대부(150)를 가압하여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에는 빨대부(150)가 상부로 돌출되도록 한다. 탄성부재(158)의 상단은 빨대부(150)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출부에 지지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빨대부(150)는 빨대 홀(117)을 관통하는 상부 빨대(151)와 투명하고 플렉서블하게 형성된 하부 빨대(152) 및 상부 빨대(151)와 하부 빨대(152)를 연결하는 빨대 고정부재(1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빨대(151)는 폴리프로필렌(PP) 수지로 이루어진 관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가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 빨대(152)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빨대 고정부재(153)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빨대 고정부재(153)는 상부 빨대(151)에 나사 결합되어 상부 빨대(151)와 하부 빨대(152)를 연결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덮개(120)는 캡(113)에 형성된 힌지부(114)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고정 홈(118)에 삽입되는 지지 고리(121)를 갖는다. 또한 상부 덮개(120)에는 상부 빨대(151)를 가압하는 지지 돌기(123)가 형성될 수 있는데, 지지 돌기(123)는 상부 빨대(151)의 상면과 맞닿을 수 있도록 평편한 하면을 갖는다. 이에 따라 상부 덮개(120)가 캡(113)과 결합되면 상부 빨대(151)가 아래로 이동하며, 지지 돌기(123)가 상부 빨대(151)의 입구를 막아서 음료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폐 버튼(115)을 누르면 탄성부재(158)가 지지 돌기(123)를 밀어 올려서 상부 덮개(120)가 캡(113)에서 분리되므로 한 손으로 상부 덮개(120)를 본체부(110)에 대하여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상부 덮개(120)에는 홀더 끈(132)이 삽입되는 절개부(125)가 형성되는데, 절개부(125)는 상부 덮개(120)에서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절개부(125)는 상부 덮개(120)의 측면에 형성되며 기 설정된 폭과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절개부(125)는 안착 홈(116)의 직상방에 위치하여 상부 덮개(120)와 캡(113)이 결합될 때, 절개부(125)와 안착 홈(116)이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의 홀더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홀더 케이스(130)는 본체부(110)를 삽입하는 보호 커버(131)와 보호 커버(13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홀더 끈(132), 및 홀더 끈(132)보다 더 길게 형성된 걸개용 끈(135)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 케이스(130)는 가죽, 직물,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보호 커버(131)는 용기(112)를 삽입하며 용기(112)의 외면에 밀착되어 용기(112)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보호 커버(131)는 바닥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닥을 갖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용기(112)의 내경이 아래로 갈수록 감소하도록 형성되면 보호 커버(131)가 바닥을 갖지 않더라도 용기(112)가 보호 커버(131)의 하부로 이탈하지 못한다.
홀더 끈(132)은 중앙 부분이 양쪽 가장자리보다 더 작은 폭을 갖는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가방, 유모차, 카시트, 자건거 등에 걸려질 수 있다. 홀더 끈(132)은 보호 커버(131)의 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캡(113)의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캡(113)의 상면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홀더 끈(132)이 캡(113)의 상면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캡(113)과 상부 덮개(120)가 결합되면 홀더 끈(132)은 캡(113)과 상부 덮개(1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이때, 홀더 끈(132)은 안착 홈(116)과 절개부(125)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홀더 끈(132)이 캡(113)과 상부 덮개(120) 사이에 위치하면 홀더 케이스(130)와 본체부(110)가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안착 홈(116)과 절개부(125)에 홀더 끈(132)이 삽입되므로 홀더 끈(132)이 유동하지 않고 정확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보호 커버(131)에는 홀더 끈(132)이 결합되는 하나의 돌기(137)가 형성되며, 돌기(137)는 보호 커버(131)의 측면에 형성된다. 홀더 끈(132)의 길이방향 일측 가장자리에는 돌기(137)가 삽입되는 지지 홀(132a)이 형성되며, 홀더 끈(132)의 길이방향 다른 쪽 가장자리는 보호 커버(131)에 리벳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즉, 홀더 끈(132)은 길이방향 일측 단부는 보호 커버(131)에 고정되고, 다른측 단부는 보호 커버(13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홀더 끈(132)이 길게 형성되면 홀더 끈(132)이 캡(113)과 상부 덮개(120) 사이에 삽입되더라도 보호 커버(131)가 용기(112)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다. 이에 홀더 끈(132)은 보호 커버(13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짧게 형성되는데, 홀더 끈(132)이 짧게 형성되면 회동 범위가 제한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홀더 끈(132)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가 보호 커버(13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면 홀더 끈(132)의 일측 단부가 분리되어 캡(113)과 상부 덮개(120)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고정 모드로서 홀더 끈(132)이 캡(113)과 상부 덮개(120) 사이에 설치되는 경우, 홀더 끈(132)은 돌출된 빨대부(150)와 힌지부(11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 모드에서는 홀더 케이스(130)와 본체부(110)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료를 섭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개폐 버튼(115)를 눌러서 상부 덮개(120)만 개방하면 용이하게 음료의 섭취가 가능한다.
한편, 홀더 모드로서 텀블러(100)를 거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홀더 끈(132)의 한쪽을 분리하여 홀더 끈(132)이 본체부(110)의 뒤쪽으로 위치하게 하면서, 유모차, 가방, 자전거 등에 홀더 끈(132)을 거치할 수 있다. 특히, 홀더 끈(132)을 이용하여 텀블러(100)를 가방 안에 넣지 않고 가방 끈에 고정할 수 있다. 홀더 끈(132)이 가방 등에 고정된 상태에서, 홀더 케이스(130)를 유모차 등에서 분리하지 않고 본체부(110)만 홀더 케이스(130)에서 분리하여 음료를 섭취할 수 있다. 또한 음료를 섭취한 이후에는 본체부(110)를 홀더 케이스(130)에 삽입하여 텀블러(100)를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다.
가방에 텀블러(100)를 거치하기 위해서는 홀더 끈(132)의 일측을 분리한 후, 홀더 끈(132)을 본체부(11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홀더 끈(132)을 보호 커버(131)에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유모차에 텀블러(100)를 거치하기 위해서는 본체부(110)와 홀더 케이스(130)를 분리한 후, 홀더 끈(132)의 일측을 분리하여, 홀더 끈(132)을 본체부(11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홀더 끈(132)을 보호 커버(131)에 결합하고, 보호 커버(131)에 본체부(110)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본체부(110)와 홀더 케이스(130)를 고정 모드로 결합하기 위해서는 상부 덮개(120)를 개방한 상태에서 보호 커버(131)에 본체부(110)를 삽입한 후, 홀더 끈(131)이 캡(113)을 가로지르도록 설치하여 홀더 끈(132)을 보호 커버(131)에 고정하고 상부 덮개(120)를 받아 본체부(110)와 홀더 케이스(130)를 고정할 수 있다.
한편, 걸개용 끈(135)은 홀더 끈(132)보다 더 길게 형성된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길이가 조절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걸개용 끈(135)은 보호 커버(13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바, 보호 커버(131)에는 2개의 고리(138)가 고정 설치되고, 걸개용 끈(135)에는 고리(138)에 결합되는 후크들(139)이 고정 설치된다. 후크들(139)은 걸개용 끈(135)의 길이방향 단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걸개용 끈(135)은 어깨에 사선으로 거치될 수 있다. 한편, 홀더 케이스(130)는 고리(138)에 결합되는 손잡이 끈(13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 끈(136)은 걸개용 끈(135)과 함께 고리(138)에 결합될 수 있으며,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손목에 감겨질 수 있다.
걸개용 끈(135)에 의하여 텀블러(100)가 거치된 상태에서 홀더 끈(132)이 캡(113)과 상부 덮개(120) 사이에 위치하면 텀블러(100)가 뒤집어지더라도 홀더 케이스(130)와 본체부(110)가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걸개용 끈(135)이 이용되는 경우, 홀더 끈(132)이 거치되므로 걸개용 끈(135)과 홀더 끈(132)이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의 본체부와 상부 덮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제2 실시에에 따른 텀블러는 캡에 빨대부 대신 가이드 리브(217)와 배출구(218)가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동일한 구조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제2 실시에에 따른 텀블러는 본체부(210)와 홀더 케이스를 포함하며, 홀더 케이스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홀더 케이스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캡(113)에는 음료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218)가 형성되며, 배출구(218)의 주변에는 배출구(218)를 감싸는 가이드 리브(217)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217)는 개폐 버튼(115)이 형성된 앞쪽이 뒤쪽보다 더 높게 형성되며, 원형의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217)는 텀블러가 기울어질 때, 음료가 누출되지 않고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 덮개(120)에는 가이드 리브(217)에 삽입되어 배출구(218)를 막는 차단 마개(22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차단 마개(223)는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홀더 끈(132)은 가이드 리브(217)와 힌지부(114) 사이로 배치되어 홀더 케이스와 몸체부(210)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홀더 끈(132)은 몸체부(210)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제2 실시예와 같이 홀더 끈(132)이 가이드 리브(217)와 힌지부(114) 사이에 위치하면 상부 덮개(120)를 몸체부(210)에서 분리만 하면 홀더 끈(132)이 고정 모드로 설치된 상태에서도 음료의 섭취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텀블러
110: 본체부
112: 용기
113: 캡
114: 힌지부
115: 개폐 버튼
116: 안착 홈
117: 빨대 홀
118: 고정 홈
120: 상부 덮개
121: 지지 고리
125: 절개부
130: 홀더 케이스
132: 홀더 끈
135: 걸개용 끈
136: 손잡이 끈
137: 돌기
138: 고리
139: 후크
150: 빨대부
151: 상부 빨대
152: 하부 빨대
153: 고정부재
158: 탄성부재
217: 가이드 리브
218: 배출구
223: 차단 마개

Claims (12)

  1. 액체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용기와 상기 용기에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상부 덮개; 및
    상기 본체부를 삽입하는 보호 커버와 상기 보호 커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홀더 끈을 포함하는 홀더 케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 끈의 길이방향 양쪽 단부는 상기 보호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캡의 측면에는 상기 홀더 끈이 삽입되는 안착 홈이 형성되되,
    상기 홀더 끈은 상기 캡의 상면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상기 캡과 상기 상부 덮개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안착 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케이스를 갖는 유아동용 텀블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홈은 상기 캡에서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는 양쪽 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안착 홈의 바닥은 호형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케이스를 갖는 유아동용 텀블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덮개의 측면에는 상기 홀더 끈이 삽입되는 2개의 절개부가 형성되되, 상기 캡과 상기 상부 덮개가 결합될 때, 상기 절개부는 상기 안착 홈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케이스를 갖는 유아동용 텀블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끈은 상기 안착 홈과 상기 절개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케이스를 갖는 유아동용 텀블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캡에는 빨대부가 삽입되되 상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상부 덮개가 결합되는 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홀더 끈은 상기 빨대부와 상기 힌지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홀더 끈을 분리하지 않고도 음용 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케이스를 갖는 유아동용 텀블러.
  6. 액체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용기와 상기 용기에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상부 덮개; 및
    상기 본체부를 삽입하는 보호 커버와 상기 보호 커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홀더 끈을 포함하는 홀더 케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 끈의 길이방향 양쪽 단부는 상기 보호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캡의 측면에는 상기 홀더 끈이 삽입되는 안착 홈이 형성되며,
    상기 캡에는 음료가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를 감싸는 가이드 리브와 상기 상부 덮개가 결합되는 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홀더 끈은 상기 캡의 상면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상기 안착 홈에 삽입되며, 상기 홀더 끈은 상기 가이드 리브와 상기 힌지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홀더 끈을 분리하지 않고도 음용 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케이스를 갖는 유아동용 텀블러.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끈은 상기 본체의 후방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장비에 거치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케이스를 갖는 유아동용 텀블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홀더 끈이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홀더 케이스에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케이스를 갖는 유아동용 텀블러.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커버에는 측면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홀더 끈의 길이방향 일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지지 홀이 형성되어,
    상기 홀더 끈의 길이방향 일측은 상기 돌기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홀더 끈의 길이방향 타측은 상기 보호 커버에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케이스를 갖는 유아동용 텀블러.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케이스는 상기 보호 커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홀더 끈보다 더 길게 형성된 걸개용 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 커버에는 2개의 고리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걸개용 끈의 길이방향 단부에는 상기 고리에 결합되는 후크들이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케이스를 갖는 유아동용 텀블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에는 빨대 홀이 형성되고 상기 빨대 홀에는 빨대부가 관통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빨대 홀에는 상기 빨대부를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삽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케이스를 갖는 유아동용 텀블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덮개에는 상기 빨대부를 가압하는 지지 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지지 돌기는 상기 빨대부의 상면과 맞닿는 평편한 하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케이스를 갖는 유아동용 텀블러.
KR1020170166574A 2017-12-06 2017-12-06 홀더 케이스를 포함하는 유아동용 텀블러 KR102061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574A KR102061312B1 (ko) 2017-12-06 2017-12-06 홀더 케이스를 포함하는 유아동용 텀블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574A KR102061312B1 (ko) 2017-12-06 2017-12-06 홀더 케이스를 포함하는 유아동용 텀블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803A KR20190066803A (ko) 2019-06-14
KR102061312B1 true KR102061312B1 (ko) 2019-12-31

Family

ID=66846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6574A KR102061312B1 (ko) 2017-12-06 2017-12-06 홀더 케이스를 포함하는 유아동용 텀블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13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0005B1 (ko) 2019-07-15 2021-01-29 박문식 음료제조용 텀블러
KR20210008820A (ko) 2019-07-15 2021-01-25 박문식 첨가물 저장 캡슐
KR20230173048A (ko) 2022-06-15 2023-12-26 박문식 상압유로를 구비한 음료제조용 펌핑 텀블러
KR102650077B1 (ko) 2022-06-15 2024-03-22 박문식 상압유로를 구비한 음료제조용 펌핑 텀블러
KR20230173049A (ko) 2022-06-15 2023-12-26 박문식 펌핑 텀블러용 첨가물 캡슐
KR102655837B1 (ko) 2022-06-15 2024-04-09 박문식 음료제조용 펌핑 텀블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2782A (ja) 1998-11-09 2000-05-23 Sekisui Plastics Co Ltd 飲物容器用カバー
JP2011057253A (ja) 2009-09-09 2011-03-24 Combi Corp 飲料容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3770U (ko) 2014-04-07 2015-10-15 김현순 텀블러
KR200482433Y1 (ko) 2015-05-28 2017-01-23 주식회사 아가프라 수밀성을 갖는 유아용 텀블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2782A (ja) 1998-11-09 2000-05-23 Sekisui Plastics Co Ltd 飲物容器用カバー
JP2011057253A (ja) 2009-09-09 2011-03-24 Combi Corp 飲料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803A (ko) 2019-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1312B1 (ko) 홀더 케이스를 포함하는 유아동용 텀블러
US20070175931A1 (en) Closure for a liquid container
KR101404859B1 (ko) 뚜껑 뒷면에 열림 버튼을 가지는 음료병 및 뚜껑
CA2793000C (en) Bottle closure with integrated flip top handle
US8464895B2 (en) Beverage container with one-handed operation
RU2005106273A (ru) Непроливающие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питья
JP2010521388A (ja) 飲用容器
WO2016163924A1 (en) A drinking container with a holding arrangement
KR20190000570U (ko) 빨대가 구비된 컵
KR101778080B1 (ko) 음료 용기
US20150076104A1 (en) Accessory and spill-proof cap for bottled beverage
KR100706717B1 (ko) 음료용기 휴대장치
KR200484515Y1 (ko) 휴대용 접이식 다용도 페트병 클립 홀더
KR101540973B1 (ko) 유아용 컵
JP2006176170A (ja) 水筒等飲料容器用カバー及びカバー付き水筒等飲料容器
KR200202880Y1 (ko) 휴대용 목걸이가 부설된 유아용 음료용기
KR200475190Y1 (ko) 유아용품 수납가방
KR102162890B1 (ko) 빨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유아용 빨대컵
KR102239659B1 (ko)
US20220313559A1 (en) Food holding device with tethered cover and support
KR101802072B1 (ko) 오프너 기능이 구비된 물병걸이
CA2789293A1 (en) Feeding bag system with interchangeable attachments
KR20230050142A (ko)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
KR200478789Y1 (ko) 개폐식 음료 배출구가 구비된 음료용 컵
JP3200451U (ja) バッ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