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6773A - 상용차량용 중량물 상하차 장치 - Google Patents

상용차량용 중량물 상하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6773A
KR20210026773A KR1020190108038A KR20190108038A KR20210026773A KR 20210026773 A KR20210026773 A KR 20210026773A KR 1020190108038 A KR1020190108038 A KR 1020190108038A KR 20190108038 A KR20190108038 A KR 20190108038A KR 20210026773 A KR20210026773 A KR 20210026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compartment
heavy
loading
support frame
unloa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8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0405B1 (ko
Inventor
박수배
Original Assignee
(주)호이스트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호이스트코리아 filed Critical (주)호이스트코리아
Priority to KR1020190108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0405B1/ko
Publication of KR20210026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parallel up-and-down movement of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6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1Light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용차량용 중량물 상하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화물칸의 내부에 배치되는 지지프레임; 지지프레임을 따라 차량의 진행방향을 따라 전후방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딩부; 및 슬라이딩부에 결합되어, 중량물을 파지하여 리프팅하며 슬라이딩부의 동작에 따라 화물칸의 내부 또는 바깥으로 이동시켜 리프팅된 중량물의 파지상태를 해제하는 리프팅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상용차량용 중량물 상하차 장치{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commercial vehicle}
본 발명은 상용차량용 중량물 상하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탑차 또는 벤 차량에 중량의 화물을 상하차 할 때에 안전하게 중량의 화물을 상하차할 수 있는 상용차량용 중량물 상하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탑차 및 벤 차량용 화물에 중량물을 싣어 나르기 위해서는 지게차를 사용하거나 2명 이상의 작업자가 들어올려야 한다. 지게차를 사용하게 되면 중량물을 쉽게 적재할 수 있지만, 적재함 내부 깊숙이 넣을 수 없기 때문에 적재함 내부에서 작업자가 추가적으로 중량의 화물을 옮겨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지게차를 사용에 따른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작업자가 직접 중량의 물건을 들어 올리는 경우에는, 작업자에 허리부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싣어나를 때에 중량의 물건이 발 위에 떨어지게 되면 발에 골절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인터넷의 발달과 온라인 쇼핑의 활성화로 인하여 온라인을 통한 물품 구매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렇게 온라인을 통해 구매된 물품은 택배를 통하여 구매자들에 배송되고 있으며, 전국에 수만명의 택배기사들은 설정된 시간에 맞추어 물품을 배송하기 위해서 현장에서 일하고 있는 상황이다.
택배회사들은 택배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 총알 배송을 위해서 많은 노력을 하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에는 물품 구매후에 24시간 이내에 택배를 배송하는 업체까지 생겨나고 있어, 빠른 배송은 택배업체들 간의 경쟁력을 높이는 하나의 수단으로 여겨지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택배회사들은 빠른 배송을 위해서 물류 배송 시스템의 개선이나 새로운 장비를 개발하기 보다는 무리하게 택배기사들에게 빠른 배송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서, 택배기사들은 택배회사들이 요구하는 빠른 배송의 일정을 맞추기 위한 과도한 업무강도로 인해서 피로가 누적되고 있어, 오히려 배송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택배운전기사는 택배차량의 적재함에 물품을 적재하거나 하차할 때에 오르내리기를 반복해야 하므로 피로 누적을 가중하고 있으며 보다 빠른 배송을 하는데 장애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03996호, 2000년 09월 08일)
본 발명의 목적은 탑차 또는 벤 차량에 중량의 화물을 상하차 할 때에 안전하게 중량의 화물을 상하차시킬 수 있는 상용차량용 중량물 상하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차 또는 승합차의 화물칸에 설치되어 중량물을 상기 화물칸으로 이송시키는 상용차량용 중량물 상하차 장치는 화물칸의 내부에 배치되는 지지프레임; 지지프레임을 따라 차량의 진행방향을 따라 전후방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딩부; 및 슬라이딩부에 결합되어, 중량물을 파지하여 리프팅하며 슬라이딩부의 동작에 따라 화물칸의 내부 또는 바깥으로 이동시켜 리프팅된 중량물의 파지상태를 해제하는 리프팅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탑차 또는 승합차의 화물칸에 설치되어 중량물을 상기 화물칸으로 이송시키는 상용차량용 중량물 상하차 장치는 화물칸의 내부에 배치되는 지지프레임; 지지프레임을 따라 차량의 진행방향을 따라 전후방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딩부; 및 슬라이딩부에 결합되어, 중량물을 파지하여 리프팅하며 슬라이딩부의 동작에 따라 화물칸의 내부 또는 바깥으로 이동시켜 리프팅된 중량물의 파지상태를 해제하는 리프팅부;를 포함하며, 슬라이딩부는 지지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화물칸의 측면에서 중량물을 파지할 수 있도록 90도로 회전하는 회전테이블을 구비한다.
여기서, 지지프레임은 화물칸의 내측에 배치되는 전방프레임; 및 전방프레임이 배치된 반대쪽의 화물칸에 배치되는 후방프레임;을 구비한다.
여기서, 슬라이딩부는 일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연장되는 텔레스코픽 구조를 형성한다.
여기서, 리프팅부는 체인블록으로 형성되며, 체인블록에 결합되는 받침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상용차량용 중량물 상하차 장치는 탑차 또는 벤 차량에 중량의 화물을 상하차 할 때에 안전하게 중량의 화물을 상하차 시킬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부가 90도 회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차량의 측면에 있는 화물에 대해서도 차량을 움직이지 않고 측면에서 상하차 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탑차 또는 승합밴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용차량용 중량물 상하차 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용차량용 중량물 상하차 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용차량용 중량물 상하차 장치의 회동구조를 설명하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상용차량용 중량물 상하차 장치의 작동순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용차량용 중량물 상하차 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용차량용 중량물 상하 장치는 탑차 또는 승합차의 화물칸에 설치되어 중량물을 화물칸으로 이송 또는 바깥으로 배출시키는 것으로서, 지지프레임(110), 슬라이딩부(120), 리프링부(130), 작동제어부(140), 배터리(150) 및 열화상카메라(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프레임(110)은 화물칸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전방프레임(111) 및 후방프레임(112)을 구비한다.
전방프레임(111)은 화물칸의 내측에 배치되며, 화물칸의 폭방향 양측 각각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수직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연장된 한 쌍의 수직부를 연결하는 수평부를 통해 격자형상의 프레임 구조를 형성하여 화물칸의 내측에 고정배치된다.
후방프레임(112)은 화물칸의 바깥측에 배치되며, 화물칸의 폭방향 양측 각각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수직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연장된 한 쌍의 수직부를 연결하는 수평부를 통해 격자형상의 프레임 구조를 형성하여 화물칸의 내측에 고정배치된다.
슬라이딩부(120)는 전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전방프레임(110a) 및 후방프레임(110b)에 결합된다. 이때, 슬라이딩부(120)는 일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연장되는 텔레스코픽 구조를 형성한다. 따라서, 중량물이 차량의 문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텔레스코픽 구조를 통해 소정의 위치로 연장시킨 후에 파지 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편리한 운송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슬라이딩부(120)는 일방향을 따라 랙기어 구비하며, 후술하는 리프팅부(130)는 피니언기어와 피니언기어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리프링부(130)는 슬라이딩부(120)에 결합되어, 중량물을 파지하여 리프팅하며 슬라이딩부(120)의 동작에 따라 화물칸의 내부 또는 바깥으로 이동시켜 리프팅된 중량물의 파지상태를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리프팅부(130)는 중량물을 파지한 상태에서 랙기어를 따라 슬라이딩부(12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리프팅부(130)는 체인블록으로 형성되며, 체인블록에 결합되는 받침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작동제어부(140)는 슬라이딩부(120) 및 리프링부(130)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화물칸의 내부에 구비되거나, 독립적인 리모콘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배터리(150)는 차량에 적용된 배터리로 부터 필요한 구동전력을 공급받거나 독립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열화상카메라(160)는 슬라이딩부(120)의 종단에 결합된다. 열화상카메라(160)는 중량물의 열적상태를 확인한다. 그리고, 슬라이딩부(120)는 열화상카메라(160)를 통해 촬영된 중량물의 열적상태에 따라 화물칸에 배치를 조정함으로써 서로 온도차가 많이 나는 중량물이 인접하게 배치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중량물의 보관을 더욱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용차량용 중량물 상하차 장치의 작동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용차량용 중량물 상하차 장치의 회동구조를 설명하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용차량용 중량물 상하차 장치는 지지프레임(210), 슬라이딩부(220), 리프링부(230), 작동제어부(240), 배터리(250) 및 열화상카메라(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 리프링부(230), 작동제어부(240) 및 배터리(250)는 전술한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지지프레임(210), 슬라이딩부(220)에서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지지프레임(210)은 전방프레임(211), 후방프레임(212) 및 슬라이딩 가이드부(213)를 구비한다.
전방프레임(211)은 화물칸의 내측에 배치되며, 화물칸의 폭방향 양측 각각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수직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연장된 한 쌍의 수직부를 연결하는 수평부를 통해 격자형상의 프레임 구조를 형성하여 화물칸의 내측에 고정배치된다.
후방프레임(212)은 화물칸의 바깥측에 배치되며, 화물칸의 폭방향 양측 각각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수직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연장된 한 쌍의 수직부를 연결하는 수평부를 통해 격자형상의 프레임 구조를 형성하여 화물칸의 내측에 고정배치된다.
슬라이딩 가이드부(213)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전방프레임(211)의 수평부와 후방프레임(212)의 수평부를 연결하여 슬라이딩부(220)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후술하는 슬라이딩부(220)는 한 쌍으로 형성된 슬라이딩 가이드부(220)를 따라 이동하고 지지하면서 90도 각도로 좌 우측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슬라이딩부(220)는 슬라이딩 가이드부(213)에 결합되어 일방향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슬라이딩부(220)는 일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연장되는 텔레스코픽 구조를 형성한다. 따라서, 중량물이 차량의 문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텔레스코픽 구조를 통해 소정의 위치로 연장시킨 후에 파지 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편리한 운송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부(220)는 슬라이딩 가이드부(213)에서 90도 회전할 수 있는 회전원판(221)을 구비한다. 회전원판(221)을 통해 슬라이딩부(220)는 양방향으로 90도 회전함으로써 차량의 측면에 있는 중량물을 파지할 수 있으므로 차량을 옮기는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슬라이딩부(220)는 일방향을 따라 랙기어 구비되고, 리프팅부(230)는 피니언기어 및 피니언기어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리프팅부(230)는 중량물을 파지한 상태에서 랙기어 방식으로 슬라이딩부(22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상용차량용 중량물 상하차 장치는 탑차 또는 승합밴에 상관없이 간편하게 편리하게 중량물을 이송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상용차량용 중량물 상하차 장치는 탑차 또는 벤 차량에 중량의 화물을 상하차 할 때에 안전하게 중량의 화물을 상하차 시킬 수 있다. 한, 슬라이딩부가 90도 회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차량의 측면에 있는 화물에 대해서도 차량을 움직이지 않고 측면에서 상하차 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10, 210 : 지지프레임 111, 211 : 전방프레임
112, 212 : 후방프레임 120, 220 : 슬라이딩부
221 : 회전원판 130, 230 : 리프링부
140, 240 : 작동제어부 150, 250 : 배터리
160, 260 : 열화상카메라

Claims (5)

  1. 탑차 또는 승합차의 화물칸에 설치되어 중량물을 상기 화물칸으로 이송 또는 바깥으로 배출시키는 상용차량용 중량물 상하차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물칸의 내부에 배치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을 따라 차량의 진행방향을 따라 전후방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딩부; 및
    상기 슬라이딩부에 결합되어, 중량물을 파지하여 리프팅하며 상기 슬라이딩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화물칸의 내부 또는 바깥으로 이동시켜 상기 리프팅된 중량물의 파지상태를 해제하는 리프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량용 중량물 상하차 장치.
  2. 탑차 또는 승합차의 화물칸에 설치되어 중량물을 상기 화물칸으로 이송 또는 바깥으로 배출시키는 상용차량용 중량물 상하차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물칸의 내부에 배치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을 따라 차량의 진행방향을 따라 전후방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딩부; 및
    상기 슬라이딩부에 결합되어, 중량물을 파지하여 리프팅하며 상기 슬라이딩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화물칸의 내부 또는 바깥으로 이동시켜 상기 리프팅된 중량물의 파지상태를 해제하는 리프팅부;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화물칸의 측면에서 중량물을 파지할 수 있도록 90도로 회전하는 회전테이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량용 중량물 상하차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화물칸의 내측에 배치되는 전방프레임; 및
    상기 전방프레임이 배치된 반대쪽의 상기 화물칸에 배치되는 후방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량용 중량물 상하차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일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연장되는 텔레스코픽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량용 중량물 상하차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부는,
    체인블록으로 형성되며, 상기 체인블록에 결합되는 받침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량용 중량물 상하차 장치.
KR1020190108038A 2019-09-02 2019-09-02 상용차량용 중량물 상하차 장치 KR102480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038A KR102480405B1 (ko) 2019-09-02 2019-09-02 상용차량용 중량물 상하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038A KR102480405B1 (ko) 2019-09-02 2019-09-02 상용차량용 중량물 상하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773A true KR20210026773A (ko) 2021-03-10
KR102480405B1 KR102480405B1 (ko) 2022-12-22

Family

ID=75148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038A KR102480405B1 (ko) 2019-09-02 2019-09-02 상용차량용 중량물 상하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04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2506B1 (ko) 2022-10-27 2023-01-30 주식회사 볼크 상하차장치
KR102502871B1 (ko) 2022-10-27 2023-02-23 주식회사 볼크 상하차장치의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8918B2 (ja) * 1994-09-21 2000-03-13 トヨタ車体株式会社 簡易クレーン付荷物運搬用車両
KR200203996Y1 (ko) 2000-06-07 2000-11-15 지구아이티주식회사 탑차의 워크 스루 도어 및 회전칸막이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8918B2 (ja) * 1994-09-21 2000-03-13 トヨタ車体株式会社 簡易クレーン付荷物運搬用車両
KR200203996Y1 (ko) 2000-06-07 2000-11-15 지구아이티주식회사 탑차의 워크 스루 도어 및 회전칸막이 설치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2506B1 (ko) 2022-10-27 2023-01-30 주식회사 볼크 상하차장치
KR102502871B1 (ko) 2022-10-27 2023-02-23 주식회사 볼크 상하차장치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0405B1 (ko) 2022-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08081A1 (zh) 一种装车用码垛设备
US2959262A (en) Hoist
MX2014014916A (es) Aparato de transporte y manejo del tambor de cable.
US20090297306A1 (en) Transport Trailer and Method
KR20210026773A (ko) 상용차량용 중량물 상하차 장치
CN211496082U (zh) 一种新型履带式装箱用的传送机
CN105905581A (zh) 转盘过渡式双向装卸机
CN101955069A (zh) 移动式装卸输送机
JP2009107759A (ja) 移動式リフタ−における荷物段積装置
CN205312568U (zh) 转盘过渡式双向装卸机
CN102935821B (zh) 厢式救援车升降门
KR102115230B1 (ko) 차량용 화물 이송장치
KR20210064447A (ko) 매니퓰레이터 타입 다중 하역 장치
CA2665587A1 (en) Transport trailer and method
JP5900843B2 (ja) 車載式昇降装置
KR100792943B1 (ko) 차량 조립 공정에서의 휠 및 타이어 공급 시스템
US20090245991A1 (en) Transport Trailer and Method
CN211169741U (zh) 一种自动装卸货物的agv小车
CN111016764A (zh) 块状海绵运输小车
JP4614292B1 (ja) トラックおよびトラック用の荷台スライド傾斜装置
EP0698525A1 (en) Integrated container handling system
CN205523864U (zh) 运输装卸快件装置
CN218519473U (zh) 一种智能物流搬运小车
CN217516626U (zh) 一种配送用具有角度调节结构的装车装置
CN209939724U (zh) 一种物料输送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